KR101531909B1 - A low power dualband active RFID tag - Google Patents

A low power dualband active RFID t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909B1
KR101531909B1 KR1020140049803A KR20140049803A KR101531909B1 KR 101531909 B1 KR101531909 B1 KR 101531909B1 KR 1020140049803 A KR1020140049803 A KR 1020140049803A KR 20140049803 A KR20140049803 A KR 20140049803A KR 101531909 B1 KR101531909 B1 KR 10153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ic tag
wake
mode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솔루션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루션아이티 filed Critical (주)솔루션아이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means to regulate power transfer to the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06K19/0776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eans being two different antennas types, e.g. dipole and coil type, or two antennas of the same kind but operating at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ow power dual band active electronic tag. The low power dual band active electronic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tag comprising; a first antenna which receives a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from an active electronic tag identification device; and a second antenna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of a second frequency band. The low power dual band active electronic tag comprises; a wake-up signal generating unit capable of generat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which is induced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s a wake-up signal; and a micro control unit (MCU) which converts an electronic tag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if the wake-up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second antenna. The MCU determines whether to convert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leep mode or not.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is in the sleep mode if communications with the active electronic tag identification device is not needed.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is converted into the wake-up mode if the communications are needed. Therefore, a battery of an active electronic tag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low power standby is possible.

Description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A low power dualband active RFID tag}A low power dual band active RFID tag < RTI ID = 0.0 >

본 발명은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power dual-band active electronic t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power dual-band active electronic tag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RFID 는 전자태그에 식별정보 ID 를 포함하는 소정의 태그정보를 저장하고, 소정의 RFID 리더기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 상기 태그정보를 읽고,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하는 소정의 정보시스템 및/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상기 태그정보를 판독 및 가공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장치 및/또는 시스템의 총칭으로서, 배터리의 내장 여부에 따라 수동형 전자태그와 능동형 전자태그로 구분된다.The RFID stores predetermined tag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n an RFID tag, and allows a predetermined RFID reader to read the tag information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 the tag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 A system and / or a system for reading and processing the tag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supplementary service, and is classified into a passive type RFID tag and an active type RFID tag depending on whether the battery is embedded or not.

여기서, 수동형 전자태그는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는 전자태그로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소정의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동형 전자태그는 안테나와 트랜스폰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전자 회로만으로 이루어져 제작단가가 비교적 저렴한 이점이 있으나,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에서 보안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있다.Here, the passive electronic tag is an electronic tag without a battery, and includes a transponder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signal provided from a predetermined terminal device via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performs the function. Such passive electronic tag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are made of only a predetermined electronic circuit for performing functions of an antenna and a transponder, and are relatively inexpensive to manufacture. However, when it is necessary to enhance security in a security system for managing access to people or objects, I have a problem that I did not.

또한, 능동형 전자태그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전자태그로서, 상기 수동형 전자태그의 트랜스폰더 기능 이외에도 자체 배터리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능동형 전자태그는 계층형 구조를 갖는 RFID 시스템에 이용되거나, USN(Ubiquitious Sensor Network) 시스템에 이용가능하여 상술한 보안 시스템에서 보안 강화시에 적합한 이점이 있으나, 전력 소모에 따라 배터리 수명이 다한 경우 능동형 전자태그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The active electronic tag is an electronic tag having a built-in battery, and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outside by its own battery in addition to the transponder function of the passive electronic tag. As a result, the active electronic tag is advantageously used in an RFID system having a hierarchical structure or in a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system to enhance security in the security system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oblem of losing the function of the active electronic tag is included.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전자태그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웨이크업 모드의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keup mode is switched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through a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received from an RFID reader, a signal of a second frequency band is received, Low-power dual-band active electronic tag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자태그 인식장치로부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와 각각 접속되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로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부터 유도된 유도 기전력을 웨이크업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웨이크업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전자태그를 슬립(sleep) 모드에서 웨이크업(wake-up)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웨이크업 모드에서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MCU 를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power dual-band active electronic tag connected to a first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from a RFID reader and a second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of a second frequency band, A wake-up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erived from a signal in a first frequency band as a wake-up signal; and a wake-up signal generator for switching the electronic tag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when the wak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second antenna, and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leep mod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한편,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상기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속한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스캔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신호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cludes a scan signal for transmitting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ystem to which the RFID tag belongs, and the scan signal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또한, MCU 는, 상기 시스템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된 상기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속한 시스템이 상기 전자태그가 응답해야 하는 시스템이면, 상기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MCU can maintain the wake-up mode if the system to which the RFID tag identified through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longs is a system to which the RFID should respond.

또한, MCU 는, 상기 시스템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된 상기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속한 시스템이 상기 전자태그가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이 아니면, 상기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MCU can switch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leep mode if the system to which the RFID tag identified through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longs is not a system to which the RFID should respond.

또한, 웨이크업 신호 발생부는, 상기 유도 기전력을 소정 레벨의 단일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웨이크업 신호로서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 the wake-up signal generator may convert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to a single pulse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and generate the wake-up signal as the wake-up signal.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자태그 인식장치와 통신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있다가 통신이 필요할 경우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저전력 대기가 가능하여 능동형 전자태그의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munication with the RFID reader is not required, the RFID tag is in a sleep mode, and when communication is required, the RFID tag is switched to a wakeup mode, have.

또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 후에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스캔신호를 기초로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함으로써, 전자태그 인식장치와 계속적인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하여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시키는데 소요되는 웨이크업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it is determined whether to maintain the wake-up mode or the sleep mode again based on the scan signal periodically received after switching to the wake-up mode, thereby maintaining the wake-up mode when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the RFID reader is required The wake-up delay time required for switch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up mode can be reduc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전자태그 인식 시스템의 실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전자태그 인식 시스템의 실제 사용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전자태그 인식 시스템에서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와 능동형 전자태그 인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actual use example of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system shown i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flow of an actual use example of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system shown in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low-power dual-band active type electronic tag and an active type electronic tag recognition device in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system shown in FIG.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low-power dual-band active type electronic tag shown in FIG.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al flow of the low-power dual-band active type electronic tag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인식 시스템은 서버(100), 전자태그 인식장치(200) 및 전자태그(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rver 100,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apparatus 200, and an electronic tag 300.

서버(100)는 전자태그 인식장치(200)에서 판독한 전자태그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서버(100)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서버일 수 있으며, 전자태그 인식장치(2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통신망의 고속 기간망으로서, 예컨대 일반적인 인터넷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ALL-IP(ALL 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망으로 시스템 상호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rver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read by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apparatus 200. [ The server 100 may be a general server that provi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client connection request,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FID read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control each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a high speed backbone network of a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a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 data service, for example, can be a general Internet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a next generation wired network for providing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based on ALL-IP (ALL Internet Protocol), and mediat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systems.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는 소정의 거리내에 근접한 전자태그(300)에 저장된 소정의 정보를 독출하며, 독출된 정보를 서버(100)에 전달하여 전자태그(300)와 서버(100)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apparatus 200 reads predetermined information stored in the electronic tag 3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s the read information to the server 100 so that the electronic tag 300 and the server 100 It acts as an intermediary.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안테나(210)와,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220)를 포함한다. The RFID read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ntenna 210 for transmitting signals of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antenna 2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of a second frequency band.

한편, 제 1 주파수 대역은 약 900MHz 일 수 있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약 400MHz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bout 900 MHz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bout 400 MHz, but is not limited thereto.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는 전자태그(300)에 제 1 주파수 대역의 스캔신호만을 송신하는 제 1 모드와, 전자태그(300)에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스캔신호를 송신한 후 소정시간 이후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스캔신호를 송신하는 제 2 모드를 갖는다.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의 동작은 전자태그 인식장치(200)가 설치되는 지점의 보안 규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자태그 인식장치(200)가 설치되는 지점의 보안도가 비교적 낮으면,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는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보안도가 비교적 높으면, 전자태그 인식장치(200)가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FID read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mode of transmitting only a scan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o the RFID 300 and a second mode of transmitting a first sca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o the RFID 300 And a second mod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scan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ransmitting the signal. The operation in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curity rule at the location where the RFID reader 200 is installed. For example, when the secur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RFID reader 200 is installed is relatively low The RFID reader 200 operates in the first mode, and if the security degree is relatively high, the RFID reader 200 can be set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전자태그(30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310),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320), 제 1 안테나(310)에 연결된 수동형 전자태그(330) 및 제 1 안테나(310) 와 제 2 안테나(320)에 연결된 능동형 전자태그(340) 를 포함한다. The electronic tag 300 includes a first antenna 3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antenna 3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second frequency band, a passive electronic tag And an active electronic tag 340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310 and the second antenna 320.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자태그(340)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로서, 주로 배터리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슬립(sleep)모드에 있다가 제 1 안테나에서 수신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립 모드에서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는 웨이크업(wake-up)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웨이크업 모드의 능동형 전자태그(330) 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웨이크업 모드의 유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및 전자태그 인식장치의 구성과 동작원리는 이후 도 4 내지 도 6 을 통해 설명한다.Particularly, the active RFID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ow-power dual-band active RFID tag, which is in a sleep mode that does not consume battery power, Wake-up mode in which the battery power is consumed in the sleep mode using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of the battery. In addition, the active electronic tag 330 in the wakeup mode transmits / receives a signal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determines whether to maintain the wakeup mode based on the signal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electronic tag and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이하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전자태그 인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보안 시스템에의 적용예를 도 2 및 도 3 을 통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lication example to the security system based on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system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도 2 를 참조하면, 출입자는 A 영역(고(高)보안영역)과 B 영역(저(低)보안영역)을 출입하고자 할 경우, 보안관리서버(1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보안관리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전자태그 인식장치(200)에 전자태그(300)를 근접하게 위치시켜야 한다. 2, when a user desires to access the A area (high security area) and the B area (low security area),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electronic tag 300 should be placed close to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apparatus 200 managed by the electronic tag reader / writer 100.

한편, 보안관리서버(100)는 보안영역인 A 영역과 B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자태그 인식장치(200)에서 독출된 전자태그(300)의 데이터를 기초로 출입자가 보안영역에 출입할 권한을 갖는지 판단하여 보안을 승인한다. 즉, 보안관리서버(100)는 A 영역과 B 영역에 진입한 출입자가 누구인지 판단하고, 현재 출입자가 보안관리서버(100)에 기저장된 출입 권한자와 다른 경우 이상상황으로 판단한다.Meanwhile,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 and B areas, which are the security areas,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ecurity area 100 based on the data of the electronic tag 300 read out from the RFID reader 200, And to approve the security. That is,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100 judges who is entering the area A and the area B, and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abnormal if the current accessing person is different from the accessing person previously stored in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100.

또한, 전자태그 인식장치(200) 는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고, 보안관리서버로부터 보안승인을 받아 출입문의 개폐 또는 경보등을 작동시키는 등의 기기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RFID reader 2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a door, and controls devices such as opening / closing a door or operating an alarm, etc. in response to a security approval from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또한, 전자태그(300)는 출입자의 신분 및 개인정보 일부를 저장한 출입증, 신분증, 사원증 등의 객체에 내부에 삽입된 RFID 태그로서, 출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ID 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고유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FID tag 300 is an RFID tag inserted in an object such as a pass, ID, employee ID, etc. storing a part of the identity and personal information of a visitor, and includes an ID such as an ID or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can do.

한편, A 영역에 대한 보안은, 보안관리서버(100), 전자태그 인식장치(200), 수동형 전자태그(330) 및 능동형 전자태그(340)를 통해 이루어진다. The security for the A area is performed through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100, the RFID reader 200, the passive RFID 330, and the active RFID 340.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태그 인식장치는 소정범위 내로 근접한 전자태그의 존재를 인식하기 위해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스캔신호를 송신한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first, the RFID reader transmits a first scan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in order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an RFID proximate to a predetermined range.

이러한 제 1 스캔신호는 전자태그의 수동형 전자태그에서 인식되고, 수동형 전자태그는 이에 응답하여 전자태그 인식장치에 자신의 고유 ID 와 같은 식별정보를 송신한다. The first scan signal is recognized in the passive electronic tag of the electronic tag, and the passive electronic tag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its own ID to the RFID reader in response thereto.

한편, 상기 제 1 스캔신호로 인한 유도 기전력은 전자태그의 능동형 전자태그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되고, 이를 통해 능동형 전자태그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여 기동을 시작한다. Meanwhile,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ue to the first scan signal is used to generate a wake-up signal in the active electronic tag of the electronic tag, and the active electronic tag switches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up mode to start the activation.

또한, 상기 제 1 스캔신호를 송신한 전자태그 인식장치는 소정 시간 이후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스캔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소정 시간은 능동형 전자태그가 웨이크업 모드로의 전환시간을 고려한 시간이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apparatus that has transmitted the first scan signal transmits the second scan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when the active electronic tag considers the switching time to the wake-up mode.

제 2 스캔신호는 전자태그 인식장치와 능동형 전자태그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로서, 전자태그 인식장치와 능동형 전자태그 사이에 상호 타임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신호와,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속한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식별정보 신호를 포함한다. The second scan signal is a signal for initiat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device and the active electronic tag. The second scan signal includes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synchronizing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device and the active electronic tag, And a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for identifying the system.

여기서, 동기신호는 최소 20 Bytes 의 프리앰블(preamble)과 상기 프리앰블의 끝을 알리는 EOF(End Of Frame) 을 포함한다. 이로써 능동형 전자태그는 상기 동기신호 내의 프리앰블과 EOF 를 기준으로 전자태그 인식장치와의 동기를 맞춘다.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cludes a preamble of at least 20 bytes and an end of frame (EOF) indicating the end of the preamble. As a result, the active electronic tag synchronizes with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device on the basis of the preamble and the EOF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또한, 시스템 식별정보 신호는 동기신호 이후에 전송되는 신호로서, 시스템 ID 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능동형 전자태그는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자신이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인지 알 수 있다.Also,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may be a signal transmitted after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may be in the form of a system ID, through which the active RFID reader can know whether the RFID reader is a system to which the RFID reader should respond.

제 2 스캔신호를 인식한 능동형 전자태그는 상기 제 2 스캔신호에 포함된 시스템 식별정보 신호를 확인하고, 자신이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인지 판단한다. 능동형 전자태그는 상기 시스템 식별정보 신호를 기초로 자신이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자신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보안정보를 전자태그 인식장치의 보안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태그 인식장치에 송신한다. 이때, 능동형 전자태그는 미리 정해진 랜덤 시드(Random Seed) 를 이용하여 시분할 통신에 필요한 시간 슬롯(slot)을 산출하고, 소정의 시간 슬롯에서 상기 보안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The active electronic tag recognizing the second scan signal confirms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scan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system is a system to which the active electronic tag recognizes the respon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ive electronic tag is a system to which the active electronic tag should respond based on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the active electronic tag transmits security information including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security information request of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device do. At this time, the active electronic tag can calculate a time slot required for time division communication using a predetermined random seed, and transmit the security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time slot.

또한, 능동형 전자태그는 상기 시스템 식별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즉시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Als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ive electronic tag is not a system to which the active electronic tag should respond based on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ctive electronic tag immediately switches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leep mode.

보안정보를 송신받은 전자태그 인식장치는 보안관리서버에 보안인증을 요청하며, 이에 응답하여 보안관리서버는 보안을 승인하고, 전자태그 인식장치를 통한 A 영역상의 출입문과 경보등의 제어가 개시된다.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apparatus having transmitted the security information requests security authentication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n response to this,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pproves the security, and the control of the door and the alarm on the area A through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apparatus is started.

즉, A 영역상의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스캔신호를 송신한 후 소정시간 이후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스캔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수동형 전자태그(330)는 상기 제 1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식별정보를 송신하고, 능동형 전자태그(340)는 상기 제 1 스캔신호를 이용하여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 2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보안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A 영역에 대한 보안은 수동형 전자태그(330)와 능동형 전자태그(340)를 모두 기동시키는 이중보안으로 보다 강화된 보안을 실현할 수 있다.That is, the RFID reader 200 on the A region transmits the first scan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n transmits the second scan signal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passive RFID 330 transmits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signal, the active RFID 340 switches to the wakeup mode using the first scan signal, And transmits security information including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ignal. Accordingly, the security for the area A can realize enhanced security by double security that activates both the passive RFID 330 and the active RFID 340.

한편, B 영역에 대한 보안은, 보안관리서버(100), 전자태그 인식장치(200) 및 전자태그 중 수동형 전자태그(330)를 통해 이루어진다. Meanwhile, security for the B area is performed through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100, the RFID reader 200, and the passive RFID 330 among the RFID tags.

즉, B 영역상의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스캔신호만을 송신하도록 설정되고, 수동형 전자태그(330)는 상기 제 1 스캔신호를 인식하여 이에 응답한 자신의 식별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B 영역에 대한 보안은 간단한 수동형 전자태그(330)의 식별정보만으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RFID reader 200 on the B region is set to transmit only the first scan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passive RFID 330 recognizes the first scan signal, . Therefore, the security for the B area is made only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mple passive electronic tag 330.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전자태그 인식 시스템에서의 능동형 전자태그와 전자태그 인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crete configuration of an active electronic tag and an electronic tag recognizing apparatus in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system shown in FIG. 1. FIG.

도 4 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는 듀얼밴드 전자태그 인식장치로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안테나(210)와 연결된 제 1 통신부(240),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220)와 연결된 제 2 통신부(250), 제 1 통신부(240) 및 제 2 통신부(250)를 제어하는 MCU(230)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RFID read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40 connected to a first antenna 210 for transmitting a first frequency band signal,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connected to a second antenna 2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second frequency band, an MCU 230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4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특히, 전자태그 인식장치(200)의 MCU(230) 는 전자태그에 제 1 주파수 대역의 스캔신호만을 송신하는 제 1 모드와,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스캔신호를 송신한 후 소정시간 이후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스캔신호를 송신하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를 동작시킨다. 한편, 상기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의 동작 여부는 전자태그 인식장치(200)의 설치 지점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MCU 230 of the RFID reader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mode for transmitting only the scan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o the RFID tag and a second mode for transmitting the first scan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a second mode for transmitting a second scan signal in a second frequency b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may be prese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RFID reader 200. [

한편, 제 1 주파수 대역은 약 900MHz 일 수 있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약 400MHz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bout 900 MHz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bout 400 MHz,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300)는 제 1 안테나(310)와 연결된 수동형 전자태그(330)와, 제 1 안테나(310) 및 제 2 안테나(320)와 연결된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340) 를 포함한다.The electronic tag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ssive electronic tag 330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310 and a low power dual band active electronic tag 330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310 and the second antenna 320. [ (340).

먼저, 수동형 전자태그(330)는 제 1 통신부(331)를 통해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로부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스캔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메모리(332)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를 제 1 통신부(331)를 통해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신한다.First, the passive electronic tag 330 periodically receives a first scan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from the RFID reader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31,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31 as a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또한, 능동형 전자태그(340) 는 웨이크업신호 발생부(341), 배터리(342), 메모리(343), MCU(344) 및 제 2 통신부(345) 를 포함한다.The active electronic tag 340 includes a wake-up signal generator 341, a battery 342, a memory 343, an MCU 344,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45.

웨이크업신호 발생부(341)는 제 1 안테나(310)와 연결되어 제 1 스캔 신호로부터 유도된 유도 기전력을 웨이크업 신호로서 발생시키며, 이를 MCU(344) 에 전달한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슬립 모드에 있는 능동형 전자태그(340)를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신호이다. The wake-up signal generator 341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310 and generates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erived from the first scan signal as a wake-up signal, and transmits the wake-up signal to the MCU 344. The wake-up signal is a signal for switching the active electronic tag 340 in a sleep mode that does not consume battery power to a wake-up mode for consuming battery power.

보다 구체적으로, 웨이크업 신호 발생부(341)는 도 5 에서와 같이, 커패시터(C), 다이오드(D), 복수의 저항(R1,R2,R3) 및 트랜지스터(T)로 구성된다. 웨이크업 신호 발생부(341) 는 인덕터(L)로 구성된 제 1 안테나(310)에서의 유도 기전력을 소정 레벨의 단일 펄스 신호인 웨이크업 신호(W)로 발생시킨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wake-up signal generating unit 341 includes a capacitor C, a diode D, a plurality of resistors R1, R2, and R3, and a transistor T. The wake-up signal generating unit 341 generates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first antenna 310 constituted by the inductor L as the wake-up signal W, which is a single pulse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MCU(344) 는 웨이크업 신호 발생부(341), 배터리(342), 메모리(343) 및 통신부(345)와 연결되어 능동형 전자태그(3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MCU 344 is connected to the wake-up signal generator 341, the battery 342, the memory 343 and the communication unit 345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ctive electronic tag 340.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MCU(344) 는 웨이크업 신호 발생부(341)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 전환부(344a)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MCU 34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de switching unit 344a for switching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upon receiving a wake-up signal from the wake-up signal generating unit 341. [

모드 전환부(344a)에 의해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면, MCU(344) 는 제 2 통신부(345)를 통해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한다. MCU(344) 는 메모리(343)에 저장된 소정의 정보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한다.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344a switches to the wake-up mode, the MCU 344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45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MCU 344 control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43 to be transmitted as a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processes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received.

이때, 상기 수신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제 2 스캔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스캔신호는 전자태그 인식장치(200)와 능동형 전자태그(340) 사이의 타임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신호와, 상기 제 2 스캔신호를 전송한 전자태그 인식장치(200)가 속한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식별정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ceived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cludes a second scan signal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RFID reader 200. The second scan signal is a synchronous signal for synchronizing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RFID reader 200 and the active RFID 340 and a system to which the RFID reader 200 receiving the second scan signal belongs And may include a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for identificatio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부(344a)는 수신된 제 2 스캔신호를 기초로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다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한다.In addition, the mode switching unit 344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back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leep mode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scan signal.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전환부(344a)는 상기 제 2 스캔신호의 시스템 식별정보 신호로부터 전자태그 인식장치(200)가 속한 시스템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시스템이 응답해야 하는 시스템이면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능동형 전자태그(340)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웨이크업 모드에서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 More specifically, the mode switching unit 344a determines the system to which the RFID reader 200 belongs based on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of the second scan signal. If the determined system is a system to which the system responds, And the active electronic tag 340 is not required to be driven, so that the wakeup mode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again.

또한, 모드 전환부(344a)에 의해 웨이크업 모드가 유지되면, MCU(344) 는 메모리(343)에 저장된 능동형 전자태그(34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정보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전자태그 인식장치(200)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계속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wake-up mode is maintain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344a, the MCU 344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tive electronic tag 340 stored in the memory 343 to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controls the RFID reader 200 to continuously receive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low-power dual-band active type electronic tag shown in FIG.

도 6 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는 먼저,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인접한 전자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제 1 스캔신호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킨다(410).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410), 배터리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 슬립 모드에서 배터리 전력을 소모하여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시킨다(420).Referring to FIG. 6, the low-power dual-band active type RFID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generates a wake-up signal from a first scan signal for recognizing an adjacent RFID tag. When the wake-up signal is generated (410), the wake-up mode is switched to a wake-up mode in which the battery power is consume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sleep mode in which battery power is not consumed.

또한, 웨이크업 모드에 있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는 능동형 전자태그로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스캔신호를 전자태그 인식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다(430). 이러한 제 2 스캔신호는 전자태그 인식장치의 시스템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능동형 전자태그로 하여금 전자태그 인식장치로의 응답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low-power dual-band active electronic tag in the wake-up mode periodically receives the second scan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from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device for starting operation as the active electronic tag (430). The second scan signal includes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device so that the active electronic tag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o respond to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device.

또한,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는 상기 제 2 스캔신호에 포함된 상기 시스템 식별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인지 결정한다(440).Also, the low power dual band active electronic tag determines whether the system is a system to which it should respond based on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can signal (440).

이때,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되면(440),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하여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소정의 정보를 전자태그 인식장치와 통신하거나, 능동형 전자태그 인식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다음 주기의 제 2 스캔신호를 수신한다(451). 또한,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440), 다시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배터리 전력의 소모를 중지시킨다(452).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ystem is to respond (440), the wake-up mode is maintained to communicate predetermined information with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o the RFID reader, 2 scan signal is received (45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ystem is not responding (440), the system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again to stop the consumption of battery power (452).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자태그 인식장치와 통신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있다가 통신이 필요할 경우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여 저전력 대기가 가능하므로 능동형 전자태그의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munication with the RFID reader is not required, the RFID tag is in a sleep mode, and when communication is required, the RFID tag can be switched to a wakeup mode, have.

또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 후에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스캔신호를 기초로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함으로써, 전자태그 인식장치와 계속적인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전환시켰다가 다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하여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시키는데 소요되는 웨이크업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maintain the wake-up mode or to switch to the sleep mode again based on the scan signal periodically received after switching to the wake-up mode, and when the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the RFID reader is require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ke-up delay time required for switch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up mode can be reduced by maintaining the wake-up mode instead of switching to the wake-up mode again.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서버
200: 전자태그 인식장치
300: 전자태그
330: 수동형 전자태그
340: 능동형 전자태그
100: Server
200: Electronic tag recognition device
300: Electronic tag
330: passive electronic tag
340: active electronic tag

Claims (5)

전자태그 인식장치로부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와 각각 접속되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로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부터 유도된 유도 기전력을 웨이크업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웨이크업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전자태그를 슬립(sleep) 모드에서 웨이크업(wake-up)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상기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속한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스캔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웨이크업 모드에서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MCU 를 포함하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
1. A low-power dual-band active electronic tag connected to a first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from an electronic tag recognizer and a second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of a second frequency band,
A wake-up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erived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s a wake-up signal; And
When the wake-up signal is generated, switching the electronic tag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second antenna,
Wherein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cludes a scan signal for transmitting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ystem to which the RFID tag belongs, and wherein in the wakeup mode, Wherein the micro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to < RTI ID = 0.0 > a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an signal is transmitted periodical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CU 는,
상기 시스템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된 상기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속한 시스템이 상기 전자태그가 응답해야 하는 시스템이면, 상기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하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CU includes:
Wherein the wake-up mode is maintained if the system in which the RFID tag identified through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system to which the RFID tag should respon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MCU 는,
상기 시스템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된 상기 전자태그 인식장치가 속한 시스템이 상기 전자태그가 응답해야하는 시스템이 아니면, 상기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
The method of claim 3,
The MCU includes:
Wherein the system belonging to the RFID tag identified through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switches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leep mode if the RFID tag is not a system to which the RFID tag should respo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 발생부는,
상기 유도 기전력을 소정 레벨의 단일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웨이크업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저전력 듀얼밴드 능동형 전자태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ke-
And converts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to a single pulse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and generates it as the wake-up signal.
KR1020140049803A 2014-04-10 2014-04-25 A low power dualband active RFID tag KR1015319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2808 2014-04-10
KR1020140042808 2014-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909B1 true KR101531909B1 (en) 2015-06-26

Family

ID=5351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803A KR101531909B1 (en) 2014-04-10 2014-04-25 A low power dualband active RFID t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9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561A (en)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Door lock system and supporting door lock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99B1 (en) * 2007-04-17 2008-10-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Tag and reader of having combined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99B1 (en) * 2007-04-17 2008-10-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Tag and reader of having combined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561A (en)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Door lock system and supporting door lock module
KR102427360B1 (en) * 2020-08-03 2022-08-01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Door lock system and supporting door lock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563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n active transponder
US114237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electronic lockers
KR1014058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oing In and Out Using ZigBee Communication
US20080252426A1 (en) Intelligent Rfid System For Low Powered Reader-Tag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EP2101287A1 (en) Active RFID tag
CN106413061B (e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honeycomb
JP2018530812A (en) Power optimization
US93364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lling NFC-A devices alongside RF barcode devices
US1147572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KR100869888B1 (en) Home door open control device and therefor automatic open control system for use in apartment complex
KR101068897B1 (en) A storagebox control system using a remote-control
US20220172531A1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sensor
CN203588348U (en) Wireless in and out recognition access control system
KR101531909B1 (en) A low power dualband active RFID tag
KR20070056816A (en) Rfid system
KR1010927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computer using user's information
KR100761900B1 (en) Rfid reader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utput signal power
JP2000194803A (en) Reader-writer for non-contact ic card and non-contact ic card system
KR1010209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KR101550658B1 (en) The method for generating dynamic ID and RFID tag using the method
JP2007065960A (en) Information access system and active-type noncontact information memory device
JP2009076013A (en) Location management system
KR20160149032A (en) Method for checking visitor using beacon
KR20120011360A (en) Installation for certificating rfid reader
KR200324928Y1 (en) Card Reader Switched by Capacitiv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