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003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properties of network us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properties of network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003B1
KR101531003B1 KR1020130092543A KR20130092543A KR101531003B1 KR 101531003 B1 KR101531003 B1 KR 101531003B1 KR 1020130092543 A KR1020130092543 A KR 1020130092543A KR 20130092543 A KR20130092543 A KR 20130092543A KR 101531003 B1 KR101531003 B1 KR 101531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mobility
conn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6733A (en
Inventor
이상국
이승준
김순욱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어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to KR102013009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003B1/en
Priority to PCT/KR2014/007155 priority patent/WO2015020370A1/en
Publication of KR2015001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는, 제 1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셀룰러 망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Wi-Fi 망에는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AP)이 발견되면, 자신의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견된 AP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AP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AP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견된 AP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이용특성이, 기준치 이상의 데이터 사용을 나타내는 경우일 때는 상기 발견된 AP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러한 경우가 아닐 때는 상기 발견된 AP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cellular network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Wi-Fi networ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ity is in a stationary state,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found AP, and if the mobility is in a moving state, determining, based o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connect to the found AP. When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AP, an operation to connect to the discovered AP is performed. In the specific operation,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discovered AP whe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indicates the use of data exceeding a reference value, and when not, the AP determines not to access the discovered AP.

Description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properties of network u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특정의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접속점( AP: Access Point )들이 분산되어 각기 독립된 데이터 서비스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apable of using a data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ccess points (APs) And a device for the method.

무선 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은 휴대폰은 물론이고,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이하, “무선통신 단말기”로 통칭한다. )을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브라우징(browsing)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원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streaming)방식으로 수신하여 볼 수 있게 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ers can browse various information that they need by using smart phones, tablet computer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s well as mobile phones, browsing, or downloading or streaming the desired content.

이용자들은, 데이터 양이 많은 정보나 컨텐츠의 경우 데이터 서비스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Wi-Fi 방식의 무선 통신망( 이하, "Wi-Fi 망"이라 칭한다. )에 접속하여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셀룰러 방식의 이동 통신망, 예를 들어 3G 또는 4G의 이동 통신망( 이하, "셀룰러 망"이라 칭한다. )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Wi-Fi 망이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만 서비스되고 있고 이용자에게 비용적 부담없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통신 서비스의 이용환경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Users access and use a Wi-Fi wirel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i-Fi network") in which the data service speed is relatively high in the case of information or contents having a large amount of data, ,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3G or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ellular network"). This can be attributed mainly to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which is available only in the limited area of the Wi-Fi network and allows the user to use the data service without any cost burden.

그런데, Wi-Fi 망은 지역적으로 산포(散布)되어 설치된 각 접속점(AP)의 제한된 좁은 서비스 영역에서만 이용가능하므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어떤 장소들에서 Wi-Fi 망을 이용할 수 있는 지 정확히 알고 있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접속가능한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되면 바로 Wi-Fi 망에 접속하도록, Wi-Fi 망에 대한 액세스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해 두게 된다. 이와 같이, 액세스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해 두게 되면, 그 무선통신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주위를 검색하고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되면 해당 접속점에 접속 요청하여 IP 주소를 할당받음으로써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접속상태가 되게 한다.However, since the Wi-Fi network can be used only in a limited narrow service area of each access point (AP) distributed locally, the us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Wi- It is hard to know. Accordingly, the user sets the access mode to the Wi-Fi network to "Auto"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access the Wi-Fi network immediately when an access point of the connectable Wi-Fi network is found. If the access mode is set to "Automatic ",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eriodically searches for the surrounding area, and when a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s fou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ccess to the connection point and receives an IP address to use the data service To be able to connect.

그런데,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 중에 있으면, 무선통신 단말기가 자동적으로 접속한 접속점의 서비스 존을 곧 벗어나게 되므로 Wi-Fi 망을 통해서는 지속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가 없게 되고, 무선통신 단말기는 Wi-Fi 망의 접속 이전 상태, 즉 셀룰러 망을 사용하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 따른 통신망에의 접속과 해제, 또는 그에 따른 사용 통신망의 전환 등에는 다소의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짧게는 3초에서 길게는 10여초 이상 소요될 때도 있다. 이러한 과도기적 시간동안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의 무선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은 중단될 수 밖에 없다. 만약, 사용자가 짧은 시간내에 해당 접속점의 서비스 존을 벗어나게 된다면 전환시의 소요시간을 배제하였을 때 실제 해당 접속점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극히 짧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라면, Wi-Fi 망에의 접속없이 기존의 셀룰러 망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연결성(connectivity)이나 데이터 이용성 측면에서 오히려 더 유리할 수 있다.However, if the us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ing, the service zone of the access point automatically acces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soon to be released. Therefore, the user can not receive the continuous data service through the Wi-Fi network. Fi network,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cellular network is used. It takes some time for connection and release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switching of the us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ly. For example, it may take as little as 3 seconds to as long as 10 seconds or more. During such a transitional period, the use of data servic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applications execu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not be stopped. If the user deviates from the service zone of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within a short time, the actual use time of the data service by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may be extremely short when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is excluded. In this case, maintaining connectivity of the existing cellular network without access to the Wi-Fi network may b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nnectivity and data availability.

따라서, Wi-Fi 망이 이용가능하다고 해서 무조건 해당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볼 때 하상 유리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오히려 불리할 수도 있다는 이유로, Wi-Fi 망에 무조건 접속하지 않는다면,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의 비용 절감은 기대할 수가 없다.
Therefore, it is not advantageous to access the access point unconditionally if the Wi-Fi network is available, in terms of using data services. However, if you do not connect to the Wi-Fi network unconditionally because you may be disadvantaged, you can not expect to save users the cost of using the data ser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이용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이동성을 고려하여 특정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접속제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ccessing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consideration of mobility so that data utiliz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nhanc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망 이용특성에 따라 특정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이 적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connection to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be adap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plicitly stated objects, but, of cour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effect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specific and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무선 통신망에는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경우에,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것인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이용특성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준치 이상의 데이터 사용을 나타내는 제 1경우이거나,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data at a remote lo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a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und in a state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ther or not connection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is established based on the detected mobility an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cau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nect to the found connection point. Here,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ope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is the first case indicating the use of data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if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stationary state, 1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mobility does not connect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if it corresponds to the moving stat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세기의 변화량 또는 변화의 추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한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ng unit detects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change amount or a change in the signal intensity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출부는, 수신되는 위성 신호로부터 산출한 경위도 좌표의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change in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satellite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용특성이,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가 기 지정된 하한치 미만이거나 또는 기 지정된 상한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는, 원격지에 대해 데이터 전송 요구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그 요구가 있기 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는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면 이동성 검출을 위한 신호의 검출 간격을 더 길게 설정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nsity of the data amount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p to now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valu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detected. When the data transmission request is scheduled to the remote site, the detection unit starts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the request is made. In such embodiments, the detection unit may set the detection interval of the signal for detecting the mobility to be longer if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stopp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경우는, 상기 이용특성이, 정해진 제한 시간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이 상기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이거나, 또는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intensity)가 상기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한 시간을 조정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조정된 시간동안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을 구하여 상기 기준치와 비교한다. 상기 제한 시간은, 상기 이동성이 클수록 짧은 값이 되도록 조정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랑의 상기 강도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기 정해진 시간폭 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을 상기 시간폭으로써 나누어서 얻어지는 값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se is a case where the usage characteristic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data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lim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intensity of the amount of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unit adjusts the time limi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mobility, obtains an amount of data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adjusted time, and compares the amount of data with the reference value. The time limit is adjusted to be a shorter value as the mobility is greater. The strength of the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mount of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width before the current time as the time width .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준치를 조정한 후 상기 제 1경우인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는, 상기 이동성이 클수록 큰 값이 되도록 조정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ase is after adjusting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mobility. Here, the reference value is adjusted to be a larger value as the mobility is greater.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할 때에도, 상기 이용 특성이 원격지에 대해 데이터 전송 요구가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제 2경우일 때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경우는, 상기 이용특성이, 이전까지의 파일간의 수신 간격에 따라 새로운 파일의 전송 요청이 있을 것임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거나, 또는 원격지에 요청하여 수신할 또는 전송할 파일이 현재 지정되어 있음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operation, even when the detected mobility is not the first case and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stopped state, the second case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found connection point.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ase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use characteristic indicates that there is a request to transmit a new file according to a reception interval between the previous files, or a file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by requesting from a remote place It may be the case that it is indicated that it is currently designat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면(foreground) 모드로 실행되고 있는 실행 개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망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중단없이 데이터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특정 유형의 개체가 아니고, 또한 상기 실행 개체가 현재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더라도,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유형의 개체인 지는, 기 구비된 목록에 상기 실행 개체의 식별자가 등재되어 있는 지의 여부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록은 외부에 요청하여 최신의 것으로 갱신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ecution entity executing in a foreground mod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ntinue data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eve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nged The determining unit does not perform the specific operation even if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moving state when the executing entity is not a specific type of entity and the executing entity is current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loc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entity of the specific type is based on whether or not the identifier of the executable entity is registered in the prepared list. And, the list may be updated to the latest by requesting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부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이 기 지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 기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요건은, 접속점으로부터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신호세기 이상이어야 할 것, 접속점이 일정 서비스 속도 이상을 보장하는 것으로 정해진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접속점이어야 할 것,접속점의 링크(link) 속도가 기 지정된 속도 이상이어야 할 것,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정 시간 이상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했던 적이 있는 접속점이어야 할 것,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한 동안의 데이터 사용률이 일정 기준치 이상이었던 접속점이어야 할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unit performs the specific operation only when the found connection point satisfies the pre-designated service quality related requirement. Here,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related to the quality of service set forth above must be such that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connection point should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the connection point should be an access point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determined to guarantee a certain service speed or more, The link speed must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an access point that has accessed the data ser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data usage rate during the conne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t should be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points that were above a certain threshol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실행 개체에 영상을 플레이하는 개체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영상을 플레이하는 개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und, th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that the execution entity receiving data from the outsid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entity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found connection point, and the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entity that plays the video is not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출부와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O/S)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실행 개체내에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용 특성은, 상기 실행 개체가 데이터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해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이용함에 따라 얻어지는 특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에서,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할 때에도, 원격지에 요청하여 수신할 또는 전송할 파일이 현재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그 결정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면, 상기 실행 개체는, 원격지에 요청하여 상기 지정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수신 또는 송신이 시작되게 한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unit are implemented in an execution entity executed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O / 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embodiment,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may be a characteristic that is obtained when the executing entity use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reception or transmission. In the specific operation, when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stopped state in the specific operation, if the file requested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is designated at the remote location, the determined connection point As shown in FIG.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iscovered access poi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he execution entity requests the remote terminal to start receiving or transmitting the specified file.

상기 검출부와 상기 결정부가 상기 실행개체에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행 개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O/S)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타 실행 개체의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면모드로 실행되고 있는 타 실행 개체가, 상기 중계부에 의한 데이터 중계를 이용할 수 있는 개체가 아니고, 또한 현재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etecting unit and the determining unit are implemented in the executing entity, the executing entity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ata with the remote location of another executing entity based on the operating system (O / S) And a relay unit for relaying the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other execution entity executing in the front-side mod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an entity that can use data relay by the relay and is in the stat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site at present, The determination unit does not perform the specific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일 방법은,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원격지에 한번 이상 요청하여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와,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2단계와, 상기 검색에서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검출된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와,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questing a remote location more than onc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tep of repeatedly search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whether a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vailable; a step of, when an access point is found in the search,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moving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mobility is connected to the found connecting poi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data reception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and if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Lin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found connection point.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일 방법은, 상기 2단계의 검색에서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특성이, 정해진 제한 시간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이 상기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이거나, 또는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가 상기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경우가 아닐 때는, 검출된 이동성을 확인하여 정지 상태이면 접속하는 것으로, 이동 상태에 해당하면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상기 3단계 대신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the amount of data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or when the intensity of the amount of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Determining that the mobile sta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determining that the detected mobility is not the case and connecting the mobile station when the mobile station is in the stopped state, and determining that the mobile station is not connected if the mobile station is in the moving stat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들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한 검출은, 상기 검색에서 접속점이 발견된 시점부터 진행되거나, 또는 상기 검색과 함께 진행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on of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proceed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nnection point is found in the search, or may proceed with the search.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타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데이터가 외부에 제공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무선 통신망에는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경우에,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과,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program executed in another apparatus through an interface, comprising: an interfa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outside;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Here, the program may include a function of detecting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unction of detecting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ing the specific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nect to the discovered access point based on the detected mobility and the usage characteristic f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und, And to conn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when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전술한 단말기, 방법, 그리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비(非) 셀룰러 방식의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각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을 가진다.
In the above-described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a non-cellular service area is formed b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each service area form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area of each service cell is smaller than that of each service cell.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이동 중이라 하더라도 Wi-Fi 망에 접속하는 것이 데이터의 이용성 측면에서 유리할 경우에는 비록 접속유지가 짧은 시간동안일지라도 무선통신 단말기가 Wi-Fi 망에 접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비용적 잇점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이는 Wi-Fi 망을 이용하는 만큼,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셀룰러 망에 대한 데이터 사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동 중에 Wi-Fi 망에 접속함으로써 취하게 되는 비용적 잇점이 미미한 경우, 즉 그 접속시간동안 의미있을 정도의 데이터량을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Wi-Fi 망에 접속하지 않고 현재의 셀룰러 망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로써, 이동 중일 때 발견되는 Wi-Fi 망에 불필요하게 또는 비효용적으로 접속하게 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서 단말기의 연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Even if the mobile terminal is moving, if the access to the Wi-Fi network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availability of data, Thereby allow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Thus allowing the user to take advantage of the cost of using the data service. This is because data usage for a cellular network, which may incur cost, decreases as a Wi-Fi network is used. In the case where the cost advantage obtained by connecting to the Wi-Fi network during the movement is small, that is, when a meaningful amount of data can not be obtained during the connection time, the current cellular network Thereby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This greatly improves the connectivity of the termina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it is unnecessarily or ineffectively connected to a Wi-Fi network found while mov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이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일 방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주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성과 예상 데이터 사용량에 근거하여 특정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성을 단말기가 수신하는 무선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사용강도를 파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들을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 상태에서 접속점(AP)에 접속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기의 예상 데이터 사용량을 산출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 상태에서, 예상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접속점에 대해 접속 여부가 결정되는 각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사용패턴을 파악하고 그 파악된 패턴에 근거하여, 이동 상태에서 접속점에 대해 접속할 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전면모드(foreground mode)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가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기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량의 누적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과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특정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이, 단말기의 운영시스템(O/S)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구현된 것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implemented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 network,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erforms a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characteristics of a network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diagram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expected data usag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xemplary determination of mobility of a terminal based on a change in intensity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by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show examples of a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grasp the data use intensity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 method of calculating the expected data usage of a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o connect to an access point (AP) in the mobile stat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respective examples in which, in a moving state of a terminal, access to an access poi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expected data usage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nect to an access point in a moving state based on a pattern of data u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an application or a process running in a foreground mode in a terminal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n orde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 This is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confirming information,
10 and 11 illustrate a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characteristics of a network utilization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to be executed,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이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에 의한 서비스 셀(cell)들간의 핸드오버(handover)를 통해 이동동안 끊김없는 통신을 제공하는 셀룰러 망과, 그와는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특정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Wi-Fi 망 등을 모두 액세스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implemented based on the mobility of a termin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ellular network that provides seamless communication during movement through handover between service cells by a base station and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Wi-Fi network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도 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셀룰러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셀룰러 망과 송수신하는 셀룰러 모뎀(1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셀룰러 망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encoding)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하는 셀룰러 코덱(1b)과, Wi-Fi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Wi-Fi 망과 송수신하는 Wi-Fi 모뎀(2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Wi-Fi 망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틀 복호하는 Wi-Fi 코덱(2b)과, 영상, 문자 등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5)과, 임의 데이터나 정보 등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4)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의 전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6a)와, 키(key) 및/또는 버튼(button)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6b)와, 상기 터치 센서(6a)와 키패드(6b)상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6)와, 상기 입력 제어부(6)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중 그에 맞는 구성요소에 적절히 데이터를 전송 또는 그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하며 그에 따른 결과나 사용자의 원하는 동작의 선택을 위한 UI 화면의 표시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4)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10)와, 상기 주 제어부(1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부(7)를 포함한다.1, a cellular modem 1a (a component including a processing module of an RF signal) that modulates or demodulates a signal according to a designated scheme of a cellular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a cellular network, A cellular codec 1b that encodes data or decodes encoded data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adopted in the Wi-Fi network, and a cellular codec 1b that modulates or demodulates signals according to a designated method of the Wi-Fi network, A Wi-Fi modem 2a (a component including a processing module of an RF sig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Wi-Fi codec for encoding data or decoded data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adopted in the Wi-Fi network A display panel 5 for displaying images, characters and the like and a display panel 5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5 such that arbitrary data or information is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5, A keypad 6b provided with a key 4 and a touch sensor 6a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5 and a key and / An input control unit 6 for sensing a user input and / or selection on the keypad 6a and the keypad 6b and outputting corresponding input information, A main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river 4 to transmit or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among the elements, and to display a result of the UI screen for selecting a result of the user or a desired operation of the user, And a memory unit 7 for providing a data storage spa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0.

그리고, 상기 주 제어부(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타 구성요소들과의 물리적 신호 교환 및/또는 정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와, 상기 메모리부(7)에 설치되어 있는 실행 개체( 본 명세서에서, "실행 개체"란,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들에서 현재 실행 상태에 있는 실행 개체들(20)이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요청 시에 수행하고,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고유의 기능( 통신, 입출력 등 )이 작동하도록,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필요한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 엔진부(12)와, 실행 상태에 있는 상기 실행 개체들(20)이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예비된 기능을 요청하는 데 필요한 정보 인터페이스 기능( 예를 들어,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을 위한 응용 인터페이스부(13)로써 구성된 운영시스템(1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운영시스템(10a)의 의도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코드들이 기록된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며, 또한 그러한 펌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자원, 예를 들어 CPU(110)와 캐쉬 메모리,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칩셋(111), 타이머(112), 그리고 실시간을 추적하는 시계부(113) 등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주 제어부(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드웨어 자원은, 다양한 실행 개체들에 대해 상기 메모리부(7)에 설치하고, 그 설치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해서 해당 명령코드들을 실행하는데 사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와 상기 운영 엔진부(12)의 일부는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 동작방식이 상세히 설명되는 상기 주 제어부(10)는 그 구현하는 형태 또는 사용된 자원의 유형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2, the main control unit 10 includes a hardware interface unit 11 for performing physical signal exchange and / 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above-mentioned other components, (Here, the "execution entity" refers to an application or a process that can be executed in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execution entity 20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on demand and also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so that the functions (communication, input / output, etc.) An operation engine unit 12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nd an information interface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information interface function ") necessary for requesting a function reserved for the execution engine unit 12 Example,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ng system (10a) configured as an application interface unit 13 for th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The main control unit 10 includes firmware in which command codes for causing an intended oper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10a to be executed are recorded and hardware resources for executing such firmware, A cache memory, an application chipset 111, a timer 112, and a clock unit 113 for tracking real time. Of course, the hardware resources constituting the main control unit 10 may be installed in the memory unit 7 for various execution entities, and based on the installed information, It is used to execute.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and a part of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the main control unit 10, the type of resource used, or the like, in which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7)에는, 다양한 실행 개체들외에도, 실행 상태하에서,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필요한 기능을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요청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그 입력에 기초해 의도된 동작을 실행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본 프로세스( 이하, "내장(built-in) 프로세스"라고 칭한다. )가 기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장 프로세스들은,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항상 그 실행상태가 유지된다.The memory unit 7 requests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o perform necessary functions through the application interface unit 13 under the execution state in addition to various execution entitie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ilt-in process ") for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performing an intended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 input, setting necessary information, etc. "), And these built-in processes are always maintained by the main control unit 10 in its execution state.

한편, 도 1에 예시한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지 하나의 예일 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GPS 모듈 등 )이 더 포함되거나 또는 예시된 구성요소가 배제될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로 구성된 요소의 일부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지만, 도 1에 예시된 구성과는 상이하더라도,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를 운영시스템(O/S)을 통해 구현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별도의 미들웨어, 플랫폼,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가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는, 청구범위의 해석에서 배제되지 않는 한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 is merely an example for showing a specific and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functional elements (not shown) GPS module, etc.) may be included, or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excluded, and some of the functionality of the components configured by hardware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owever, even if the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that illustrated in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mplements the concept and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xemplarily described below, through an operating system (O / S), or a separate middlewa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it is exclud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상기 주 제어부(10)의 운영시스템(10a)에 속하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상기 셀룰러 모뎀(1a)과 셀룰러 코덱(1b)를 활성화시켜 셀룰러 망에 접속되도록 한다. 즉, 셀룰러 망으로부터 접속 주소( 예를 들어, IP주소 )를 할당받고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정보 등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Wi-Fi 모뎀(2a)을 주기적으로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에서 Wi-Fi 망이 연결 가능한 지를 확인한다. 물론, 이러한 주기적 확인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주 제어부(10)가 제공하는 적절한 UI를 통해 설정한 동작 환경정보, 예를 들어 Wi-Fi 액세스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Wi-Fi 모뎀(2a)은 활성화상태가 되면, 지정된 RF신호대역을 복조하여 파일럿(pilot) 채널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통지한다. 그러면,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현재 물리적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인 Wi-Fi 망에 대해 접속상태로 만들기 위해 접속점( AP: Access Point )과의 필요한 정보 교환절차를 수행하여 그 접속점으로부터 접속 IP주소를 할당받아 이를 설정한다. 그리고, Wi-Fi 망에 대해 접속상태가 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그 상태를 현재 실행 중인 다양한 실행 개체들(20)이 알 수 있도록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Wi-Fi 망의 이용가능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드웨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4)를 제어하여, 특정의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상단 상태바에 표시되게 한다. 물론, Wi-Fi 망 접속 상태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 신호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등의 동작은, 내장 프로세스가 필요한 기능을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요청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belonging to the operating system 10a of the main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the cellular modem 100a via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cellular codec 1b are activated to be connected to the cellular network. That is, a connection address (for example, an IP address) is allocated from the cellular network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data communication is set. Then, the Wi-Fi modem 2a is periodically activated through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to check whether the Wi-Fi network can be connected at the current location. Of course, this periodic confirm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us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the oper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set through the appropriate UI provided by the main control unit 10, for example, the Wi-Fi access mode is set to & And may be performed only if the When the Wi-Fi modem 2a is activated, it detects a pilot channel signal by demodulating a designated RF signal band, and when a signal is detected, transmits the pilot signal through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to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Then,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performs a necessary information exchange procedure with an access point (AP) to make a connection state with respect to a Wi-Fi network in a state where a current phys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ssign a connection IP address and set it. When the connection state is established with respect to the Wi-Fi network,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generates an event so that the various execution entities 20 currently executing can recognize the state.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know the availability status of the Wi-Fi network, the display driver 4 is controlled through the hard-wired interface unit 11 so that a specific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5 Position, for example, in the top status bar. Of course, the operations such as displaying the Wi-Fi network connection status, or confirming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ignal strength, etc. are performed by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hrough the application interface unit 13, Lt; / RTI >

그리고,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다중접속(multi-connection) 지원 시스템인 경우에는, Wi-Fi 망과 접속된 후에도 셀룰러 망과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중접속 비지원 시스템인 경우에는, 셀룰러 망과의 접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 때는, 접속상태를 위해 할당한 메모리 공간을 회수하며, 망 인터페이스 목록과 라우팅(routing) 테이블 갱신 등의 동작을 행하게 된다. 현재 접속된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주기적인 검색에서 해당 접속점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그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최저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그 접속점과의 접속을 해제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multi-connection supporting syste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maintains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cellular network even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In the case of the multiple access non-supporting system, , And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cellular network. At this time, the memory space allocated for the connection state is recovered, and the operation such as the network interface list and the routing table update is performed. For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urrently connected Wi-Fi network, if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oint is not visible in the periodic search, or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int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minimum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ransmits a connection .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이 정지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주변에서 Wi-Fi 망이 검색되는 지에 따라, 전술한 바에서와 같이 임의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해제하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이 어느 정도 이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통신망 사용특성, 예를 들어 단말기가 어느 정도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 지( 또는 사용할 것인 지 )에 근거한 Wi-Fi 망에의 접속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3에 그 절차가 예시된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제어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When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rresponds to a stationary state,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may conn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an arbitrary connection point,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whether the Wi-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releasing it. However, if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hibits a certain degree of movement, it is possible to 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such as illustrated in FIG. 3, for example, how much data the terminal uses (Wi-Fi) network. 3, a method of grasping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before the connection control operation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n which the procedure is illustra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을 파악하기 위한 이동성 검출부(121)와,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사용특성에 따라 Wi-Fi 망에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접속 결정부(122)를 내부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될 때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자신들이 수행하는 기능 이외의 나머지의 기능들( 예를 들어, 각 통신망에 대한 접속 제어,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제어, 통신규약(protocol)에 기반한 외부와의 통신 등 )을 수행하는 상기 운영 엔진부(12)와는 광역변수들, 내부변수들 또는 로컬함수의 인자 및/또는 리턴값 등을 통해서 정보나 명령 등을 상호간에 전달하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엔진부(12)와는 분리 독립된 기본 프로세스( 기본 프로세스란, 상기 운영시스템(10a)이 동작할 때는 그에 의해 항상 실행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임을 의미한다. )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정보나 명령 등을 상기 운영 엔진부(12)와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게 된다.2,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includes a mobility detection unit 121 for detecting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Wi-Fi network management unit 122, And a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network. When configured in this manner,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can perform the functions other than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m (for example, connection control for each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for hardware resources ,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like), information and commands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hrough parameters and / or return values of global variables, internal variables or local functions.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basic process (basic process) that is separated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based on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10a), it means that the process is always in the running state). In this case,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exchange information and commands with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hrough the application interface unit 1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다음에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을 파악하게 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may determine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using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xemplary methods.

단말기의 이동성을 파악하는 한가지 방법으로는, 상기 운영 엔진부(12)가, 지정된 검색용 시간격(Tint1)마다,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상기 Wi-Fi 모뎀(2a)를 제어하여 주변의 Wi-Fi 망을 검색하도록 하여 그 검색 결과를 수신받고, 그 수신받은 결과가 접속점에 대한 식별정보와 수신신호 세기 값 등을 보여주면 그 결과를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에 제공한다.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에 대한 정보( 접속점 식별정보와 신호세기 등 )를 그 제공된 차수별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앞선 검색에서는 보이지 않던 Wi-Fi 망이 발견된 경우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정된 검색용 시간격(Tint1)보다 훨씬 짧은 시간격(Tint2, Tint2<Tint1)으로 주변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에 제공한다. 즉, 임의 접속점에 대한 발견 이후부터는 이동성 판단을 위해 매우 짧은 시간격으로 신호세기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그 제공되는 정보를 차수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게 된다.One way of understanding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is to allow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to control the Wi-Fi modem 2a via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for each designated time period Tint1 Searches for a neighboring Wi-Fi network, receives the search result,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when the received result show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and the like.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stores information (connection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strength, and the like) of one or more access points provided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for each provided degree. When the Wi-Fi network that is not shown in the previous search is found,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searches for a time interval (Tint2, Tint2) much shorter than the designated search time interval (Tint1) &Lt; Tint1), and provides the acquired information to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 That is, after the discovery of the arbitrary access point, information such as the signal strength is acquired at a very short time interval for the determination of mobility, and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s shown in FIG.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제공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가 지정된 횟수, 예를 들어 2회 이상이 되면, 그 제공된 각 차수의 신호세기로부터 변화량을 파악하고 그 파악된 변화량으로부터 이동성을 추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2회 이상 확인된 신호세기의 변화량(401)이 기 지정된 일정 폭(SS_D+ 또는 SS_D-) 이상이면,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에 대하여 현재 움직임이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즉 통상의 신호세기 변화범위에 해당하면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신호세기의 변화량이 상기 일정 폭(SS_D+ 또는 SS_D-) 이하라 하더라도 그 변화의 추이가 한 방향이면 이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회 확인된 신호세기들에서, 1차와 3차의 신호세기간의 차이가, 상기 일정 폭 이하라 하더라도, 1차, 2차, 3차로 확인된 신호세기가 계속 증가 또는 계속 감소하는 값을 보인 경우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이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When the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poi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becomes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two times or more,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grasps the change amount from the signal strength of each provided order, And estimates the mobility.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 if the amount of change 401 of the signal strength detected twice or mo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onstant width (SS_D + or SS_D-),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detects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station 100 is in a stationary state if it corresponds to a normal signal intensity change range. Even i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ignal strength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SS_D + or SS_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hange in the signal strength is in the moving state if the change is one direction.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mary and tertiary signal intensiti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width, the signal strengths identified as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continue to increase or decrease continuous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moving state.

신호세기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지정된 시간격(Tint2)마다의 주변 접속점에 대한 확인(t1_k, k=1,2,..)에서, 새로운 접속점이 보이거나 또는 보였던 접속점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단말기가 이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 1 - k, k = 1, 2, ...) for the peripheral connection point per specified time interval Tint 2 to detect a change in the signal strength, even if a new connection point is seen or seen, ,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is in a moving state.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은, 매 신호세기 확인 시점(t1_k, k=1,2,..)마다 그에 앞서 확인된 N개의 각 차수의 신호세기를 대상으로 하여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고, 그 확인 시점에 임의의 접속점도 발견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을 중지하고, 이를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통지한다. 이 통지가 있게 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기 지정된 검색용 시간격(Tint1)마다 주변의 Wi-Fi 망을 검색하는 동작을 재개하게 된다.The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signal strengths of the N respective orders determined before the signal strength check timing (t 1 - k, k = 1, 2, ..) And stops the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and notifies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of the operation. When this notification is made,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resumes the operation of searching for the neighboring Wi-Fi network every predetermined time Tint1 for search.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이동성 검출을 위한 동작을 시작할 때는,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값을 "미확인"으로 설정해 두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이동성이 검출되면, 그에 따라 "이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이동성 값을 지정해 둔다. 확인된 이동성 값은,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의 새로운 접속점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있을 때까지 유지될 수도 있다.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sets the mobility value for the terminal to "unconfirmed" when the operation for detecting the mobility starts, and when the mobility is det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mobility" or " Stationary state ". The identified mobility value may be maintained until there is a provision of information about the new access point from the operating engine section 12. [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성 값이 "이동 상태"로 지정될 때는, 이동성의 크기, 즉 이동 강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확인되는 신호세기 변화량의 크기, 또는 신호세기 변화의 추이의 강도( 즉, 신호세기 변화률 ) 등에 따라 그 변량에 비례하여 이동 강도를 파악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ity value is designated as "moving state ",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mobility, i.e., the moving intensit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calculates the mobility intensity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ntensity variation or the magnitude of the magnitude of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ntensity variation (that is, the signal intensity variation rate) .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성 파악을 위한 주기적인 신호세기 확인과정(t1_k, k=1,2,..)에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접속점(AP1,AP2,..)이 보이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각 접속점의 신호세기의 변화량 또는 추이로부터 이동성을 판단한 후, 개별적인 이동성 판단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이동성 판단을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발견되는 접속점들 중에서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보이는 접속점(AP1)의 신호세기만을 이동성 파악에 이용할 수도 있다.( T1_k , k = 1, 2, ..), the two or more access points AP1, AP2, .., as illustrated in Figure 4,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may determine the mobility from the change amount or the change in the signal strength of each connection point and then determine the final mobility by combining the mobility determination results of the individual mobility determination unit 121. Otherwise, Only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AP1 having the high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can be used for mobility.

이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GPS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그 GPS 모듈에서 제공되는 경위도 좌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GPS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면, 그에 대한 활성화는, 특정의 내장 프로세스가 제공하는 제어창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 GPS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접속점 발견의 통지가 있게 되면, 그 때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그 GPS 모듈이 위성신호로부터 산출하여 파악하고 있는 현재 위치의 경위도 좌표를 획득하고, 그 획득되는 경위도 좌표의 변화 정도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이동 상태에 있는 지 정지 상태에 있는 지를 파악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2)가, 이전 검색에서는 보이지 않던 Wi-Fi 망이 보이는 경우는 물론, 이전 검색에서와 다른 접속점이 보이는 경우에도 그 사실을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그 때부터 경위도 좌표에 근거한 이동성 판단을 하게 된다. 본 방법에서도, 상기 획득되는 경위도 좌표의 변화폭으로부터 이동 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Another method of determining the mobility is to use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PS modu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equipped with the GPS module. If a GPS module is provided, activation of the GPS module can be set by a user through a control window provided by a specific built-in process. When the GPS module is activated,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periodically detects the connection point discovery from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and then, via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Acquires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current position calculated and obtained from the satellite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the moving state or the stopped state based o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obtain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notifies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of the fact that a Wi-Fi network that is not shown in the previous search is visible as well as a connection poi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search, And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determines the mobility based on the latitude / longitude coordinates since then. Also in this method, the movement intensity can be estimated from the variation width of the obtain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임의의 접속점이 발견되었을 때부터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을 시작하고 이동성이 판별되면 동작을 중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접속점 발견과 무관한 다른 요건에 의해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을 시작하거나 또는 중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요건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외부로부터 수신( 또는 송신 )하고 있는 일정시간당 데이터량으로부터 정해질 수 있다. 일정시간당 수신( 또는 송신 )되는 데이터량은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실시간으로 파악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다른 요건이 적용된 예로서는, 일정시간당 수신( 또는 송신 ) 데이터량이 기 지정된 하한치 이상인 요건을 만족하면 그 동안에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 예를 들어 외부의 접속점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세기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GPS 모듈이 추적하고 있는 현재 위치의 경위도 좌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행하고, 상기 하한치보다 적을 때는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는, 상기 일정시간당 수신( 또는 송신 ) 데이터량이 기 지정된 상한치 ( 상기 하한치보다는 일정 이상 높은 값 )이상인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을 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starts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from the time when an arbitrary connection point is found, and stops the operation when the mobility is determined.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can be started or stopped by other requirements independent of any connection point discovery. The other requirements can be determined from the amount of data per a predetermined time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receiving (or transmitting) from the outside. The amount of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per predetermined time is grasped in real time by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amount of data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per predetermined time satisfies a requirement of a predetermined lower limit value or more,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mobility, for example, a signal intensity received from an external access point Or monitors the coordinates of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current position tracked by the GPS module, and does not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when the GPS module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mount of received (or transmitted) data per predetermined time satisfies a requirement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a valu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may not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mobility .

상기 다른 요건의 또 다른 예는, 상기 운영시스템(10a)을 기반으로 실행되고 있는 실행 개체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또는 데이터 송신 )이 예정되어 있음을 알리는 통지의 여부이다. 이 경우에는, 임의의 실행 개체는 자신이 앞으로, 예를 들어 수 초후에 원격지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것 임을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통지하게 되고,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상기 운영 엔진부(12)를 통해 그 통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사용 예정 통지가 있게 되면,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그 시점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성 검출을 위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당 수신( 또는 송신 ) 데이터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 되면 이동성 검출을 위한 동작을 중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실행 개체가 자신이 원격지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게 될 시간 정보를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통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시간 정보를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상기 운영 엔진부(12)를 통해 통보받으면, 그 시간 정보가 가리키는 시점이 되기 수 초전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성 검출을 위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Another example of the above other requirement is whether or not there is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data reception (or data transmission) from the executing entity that is being executed based on the operating system 10a is scheduled. In this case, the arbitrary execution entity notifies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hat it will request data transfer to the remote site in the future, for example, a few seconds later, and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notifies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12). &Lt; / RTI &gt; When such a data use scheduled notification is made,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starts the operation for detecting the mobility as described above from that point on. Then, when the amount of received (or transmitted) data per predetermined time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operation for detecting the mobility is stopped.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ecution entity may notify the operating engine section 12 of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xecution entity will request data transmission to the remote loc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is notified of the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an operation for detecting the mobility is started from several seconds before the time point indicated by the time information .

상기 다른 요건에 따라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을 행하는 앞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이동성 판단을 위한 신호( 신호세기 값 또는 좌표정보 등 )의 검출 간격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이 "정지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검출 간격을 보다 더 긴 시간으로 조정하여 이동성 판단을 위한 신호의 검출에 적용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according to the other requirements,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daptively detects the detection interval of signals (signal intensity values,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like) It can also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mobility is determined as "stationary state ", the detection interval is adjusted to a longer time to be applied to detection of a signal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GPS 모듈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의 접속점 발견 또는 변화 등에 따른 접속점 정보의 제공과 무관하게 항상 이동성 파악을 위한 동작을 행할 수도 있다.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GPS module is active,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lways detects the mobility of the mobile station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point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It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grasping.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성 파악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있을 때,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셀룰러 망에 접속되어 있고 Wi-Fi 망에는 비접속된 상태이면(S300),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데이터량을 일정 시간(TchkInt)( 예를 들어, 5초 또는 10초 등 )마다 파악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301).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데이터량을 파악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가 상기 셀룰러 코덱(1b)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운영 엔진부(12)로 전달하는 데이터의 누적량을 상기 운영 엔진부(12)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이 때, 확인하는 주기를, 상기 일정 시간(TchkInt)으로 하고, 현시점에 확인된 누적 데이터량에서 직전 확인된 누적 데이터량을 차감함으로써,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TchkInt)당 수신 데이터량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파악되는 일정 시간당 수신 데이터량(Ni, i=..,K-2,K-1,K)에서, 최신의 L개의( 또는 정해진 시간(TWINDOW)이내에 확인되었던 ) 수신 데이터량을 사용하여 현 시점에서의 초당 또는 분당 데이터량( 이하, "데이터 사용강도"라 칭한다. )을 파악하게 된다(51).When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is performing an operation for grasping mo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ellular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S300), an operation of grasping the amount of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time (T chkInt ) (e.g., 5 seconds or 10 seconds) is performed (S301). As one method of grasping the amount of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receives the data from the cellular codec 1b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And continuously checks the accumulated amount of data through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 At this time, a confirming period, said predetermined time (T chkInt), and subtracting the cumulative amount of data to check just before from the accumulated data amount verify the present time, as illustrated in Figure 5a, a predetermined time (T chkInt) The amount of received data per unit time can be grasped continuously. (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 WINDOW )) from the received data amount (Ni, i = .., K-2, K-1, K) per a certain period of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ta use intensity") at the current time using the received data amount (51).

상기 운영 엔진부(12)가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서, 기 지정된 통신규약에 따른 오버헤드(overhead) 데이터( 패킷 헤더 등 )를 제외하고, 현재 실행 상태에 있는 실행 개체들(20)과의 사이에 생성된 소켓(socket)들을 통해 그 실행 개체들(20)에 전달할 때마다, 그 전달한 데이터량을 상기 접속 결정부(122)에 통지하는 방법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데이터량을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본 방법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2)가 데이터량을 통지하는 것이 임의 시점에 이루어지므로,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통지되는 간격이 균등하지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데이터량이 통지될 때마다, 그 시점을 기록하게 되고, 그 통지된 시점을 기점으로 그 이전의 정해진 시간(TWINDOW)이내에 통지되었던 데이터량을 모두 합산한 뒤, 그 합산된 데이터량을 상기 정해진 시간(TWINDOW)으로 나눔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데이터 사용강도를 파악하게 된다(5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데이터 사용강도를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언제든지 참조할 수 있도록 그 사용강도 정보를 공유시킨다. Except for overhead data (such as a packet header) according to a predefined communication protocol,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extracts, from data received from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execution objects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notifies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of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to each of the execution entities 20 through the sockets creat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may grasp the amount of data received by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in real time. In this method, since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is notified of the amount of data at any point in time, the notified intervals become uneven as illustrated in FIG. 5B. Therefore,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records the time point of each data amount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an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 WINDOW ) before the notification time point The data usage intensity at the present time is obtained by summing all the amounts of data that have been notified and dividing the summed data amount by the predetermined time (T WINDOW ) (5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intensity information is shared so that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can always refer to the data usage intensity to be grasped in real time as described above.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사용강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는 동안(S301),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전술한 바의 주기적인 Wi-Fi 망 검색을 수행하게 되고, 이 검색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발견되면,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접속점 발견 사실을 상기 접속 결정부(122)에 통지하게 된다(S302). 물론, 이 통지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에도 이루어진다. 임의의 접속점 발견이 통지되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정해진 제한 시간폭 동안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예상 데이터 수신량을 추정한다(S303). 상기 정해진 제한 시간폭은, 사람이 도보로서, 임의의 Wi-Fi 망의 접속점에 의한 서비스 존을 횡단하는데 일반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통계적인 값으로서 예를 들어, 30초, 또는 60 초 등의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예상 데이터 수신량을 산출하는 하나의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른 방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는 데이터 사용강도(60)의 현 시점에서의 값(601)에 상기 제한 시간폭을 곱함으로써 예상 데이터 수신량(610)을 구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는 데이터 사용강도(60)의 일정 시간(TaverW)동안의 평균값(602)에 상기 제한 시간폭을 곱함으로써 예상 데이터 수신량을 구할 수도 있다.While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grasps the data use intensity in real time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S301),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performs the above-described periodic Wi-Fi network search If an arbitrary connection point is found in the search, information on the found connection point is provided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is informed of the connection point discovery (S302). Of course, this notification is also made to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s described above. If a connection point discovery is notified, the connection decision section 122 estimates an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width (S303).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width may be a statistical value of a time required for a person to walk across a service zone by an access point of an arbitrary Wi-Fi network as a walk, for example, 30 seconds or 60 seconds Time can be applied.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ne example of a method of calculating an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In the method according to Fig. 6, the predicted data reception amount 610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value 601 at the present time of the data use intensity 60 that is grasped in real time as described above by the time limit width. Alternatively, an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may b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verage value 602 during a predetermined time (T averW ) of the data use intensity 60 that is grasped in real time by the above-mentioned time limit duration.

한편,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한 시간폭 동안의 예상 데이터 수신량을 구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에는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서 문의하게 된다. 이 문의에 대해,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는, 현재의 이동성 값을 상기 접속 결정부(122)에 전달한다.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그 값이 "미확인"이면 일정한 시간격을 두고서 반복하여 문의하고, "미확인"이 아니면 그 값에 따른 동작을 행하게 된다(S310).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obtains the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for the limited time width as described above, and also inquires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about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is inquiry,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delivers the current mobility value to the connection decision unit 122. If the value is "unconfirmed ",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repeatedly inquire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if it is not " unconfirmed ",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value at step S310.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응답한 이동성 값이 "정지 상태"이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악하는 예상 데이터 수신량에 무관하게 Wi-Fi 망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정지 상태에 해당할 때, 예상 데이터 수신량과 무관하게 Wi-Fi 망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데이터 사용강도가 사실상 0에 가까워 예상 데이터 수신량도 미미할 경우에도( 다른 의미에서 볼 때는, 상대적으로 서비스 속도가 빠른 Wi-Fi 망에 접속할 필요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됨에도 불구하고 ) Wi-Fi 망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 같은 결정을 하는 이유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Wi-Fi 망의 서비스 존에 진입하기 전에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다가, 그 서비스 존에 진입한 후에 검색 주기에 의해 Wi-Fi 망이 검색되어 임의의 접속점이 발견되고, 또한 그 발견된 시점에는 사용자는 이미 정지하고 있으며, 그 정지한 상태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When the mobility value returned by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is in the "stationary state ",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determines to access the Wi-Fi network regardless of the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to be grasped as described above .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irrespective of the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Therefore, even when the data use strength is practically close to zero and the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is small (in other words, The reason for making such a determination is that the us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not connect to the Wi-Fi network even though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need to access the fast Wi-Fi network The data service is not used before entering the service zone of the network, and after entering the service zone, the Wi-Fi network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search cycle, and an arbitrary connection point is found, And may want to use the data service in the stopped state.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행한 접속 결정을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통지하면,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현재 발견된 접속점에 대해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상기 Wi-Fi 모뎀(2a)을 제어하게 된다(S312). 만약, 현재 발견된 접속점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가장 좋은 품질을 보이는 접속점, 예를 들어 신호세기가 가장 높은 접속점을 지정하여 상기 Wi-Fi 모뎀(2a)에 접속 명령하게 된다.When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notifies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of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to the currently discovered connection point via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And controls the Wi-Fi modem 2a (S312). If there are a plurality of currently discovered connection points,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designates an access point having the highest quality, for example, an access point with the highest signal strength, and connects to the Wi-Fi modem 2a Command.

만약,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응답한 이동성 값이 "이동 상태"이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자신이 구한 예상 데이터 수신량을 기 지정된 기준 사용량과 비교한다(S311). 예상 데이터 수신량이 상기 기준 사용량 이상이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Wi-Fi 망에의 접속이 비록 짧은 시간동안만 유지될 지라도 그 접속에 따른 사용자의 이익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Wi-Fi 망에의 접속을 결정하여, 그 사실을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따라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게 된다(S312). 만약, 상기 예상 데이터 수신량이 상기 기준 사용량보다 적으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Wi-Fi 망에 접속하는 것이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측면이나 연결성(connectivity)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불리하다고 판단하고, Wi-Fi 망에 대해서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운영 엔진부(12)에는 Wi-Fi 망에의 접속을 위한 아무런 요청도 하지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2)에는 비접속 결정을 통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현재 발견된 접속점들에 대해서는 무시할 수도 있다.If the mobility value returned by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is the "moving state ",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compares the estimated data reception amount obtained by itself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usage amount (S311). If the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usage amount,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that the user's benefit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is sufficient even if the connection to the Wi-Fi network is maintained for a short time, Determines the connection to the network, and notifies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of the fact. According to this notification,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connec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discovered access point (S312). If the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usage amount,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determines that access to the Wi-Fi network is disadvantageous to the user in terms of the use of the data service and the connectivity, It is determined not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Therefore,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does not make any request for connection to the Wi-Fi network. In some cases,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is notified of the non-connection determination,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may ignore the currently found connection points.

전술한 바와 같은 Wi-Fi 망에의 선택적 접속 결정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 상태에 있는 실행 개체들(20)의 기 접속된 셀룰러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발견된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7a 내지 7c는, Wi-Fi 망 접속 전의 몇가지 데이터 서비스 이용특성에 따라 Wi-Fi 망에 접속되거나 접속되지 않는 경우들을 각기 예시한 것이다. 도 7a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기 접속상태에 있는 셀룰러 망을 사용하여 간헐적으로 원격지의 데이터를 요구하게 되는 실행 개체, 예를 들어 브라우저 또는 채팅(chatting)용 실행 개체 등을 사용할 때의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특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간헐적으로 요청하는 데이터의 수신에 따른 실시간 사용강도(71)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임의의 Wi-Fi 망의 접속점이 검색되었을 때에 추정되는 예상 데이터 사용량(711)이 기준 사용량(Th_Dusage)을 넘지 않게 되므로, 현재 단말기가 이동 상태에 있다면, 기존 접속된 셀룰러 망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현재 발견된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해 비접속을 결정하게 된다. 도 7b는, 원격지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지속 수신하는 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음악 데이터의 스트리밍이나 또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행 개체를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이 경우에도 역시, 실시간 데이터 사용강도(72)가 높지 않은 값을 유지하기 때문에, 그로 인해 산출되는 예상 데이터 수신량(721)도 상기 기준 사용량(Th_Dusage)을 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단말기가 이동 상태에 있으면 Wi-Fi 망에 접속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당한 데이터량의 수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실행 개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추적하고 있는 실시간 사용강도(73)도 높은 값을 유지하게 되므로, 필요한 시점에 추정된 예상 데이터 수신량(731)도 상기 기준 사용량(Th_Dusage)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Wi-Fi 망에 추가로 접속하거나( 다중접속 지원 시스템인 경우 ) 또는 Wi-Fi 망으로 접속을 전환하게( 다중접속 비지원 시스템인 경우 ) 된다.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시간당 상당한 양의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므로, 추가 접속된 또는 접속 전환된 Wi-Fi 망에 대해서 짧은 시간동안 접속을 유지하더라도 그 동안 많은 데이터량을 수신하게 되므로, 사용망 전환에 따른 시간적 손실이 있을 수 있지만 데이터 이용성이나 사용자의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이동 중이라 하더라도 발견된 Wi-Fi 망의 접속점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Based o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ata service through the connected cellular networks of the execution entities 20 in the execution stat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lective connection determination to the Wi-Fi network as described above , And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iscovered Wi-Fi network is selectively performed. Figs. 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cases in which a Wi-Fi network is connected or not connected according to some data servic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before a Wi-Fi network connection. 7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xecution object in which a user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requested to intermittently request remote data using a cellular network in a connected state, for example, a browser or a chatting execution The usage strength of the real-time usage 71 due to the reception of intermittently requested data is maintained to be low, and accordingly, any Wi-Fi The estimated data usage amount 711 estimated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network is searched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usage amount Th_Dusage. Therefore, if the current terminal is in the mobile state, the Wi- The non-connection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point. 7B shows a case where data at a remote place is continuously received at a low speed. For example,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user is using an execution object for providing a service such as streaming of music data or Internet radio broadcasting to be. Also in this case, since the real-time data use intensity 72 is maintained at a value not high, the estimated data reception amount 721 calculated thereby also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usage amount Th_Dusage. Therefore, in this case, if the terminal is in a moving state, do not connect to the Wi-Fi network. However, as exemplified in FIG. 7C, when an execution entity that provides video streaming that is continuously required to receive a considerable amount of data is used, the real-time usage intensity tracked by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ection 122 , The estimated data reception amount 731 estimated at the required time also exceeds the reference usage amount Th_Dusage.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further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in the case of a multiple access support system) or to a Wi-Fi network (in the case of a multiple access support system). 7C, since a considerable amount of data is received per hour, even if a connection is maintain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for an additional connected or switched Wi-Fi network, a large amount of data is received during that time, Although it may be time-consuming to switch the network,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data availability and user's cost,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iscovered Wi-Fi network even if it is in motion.

한편,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 제어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Wi-Fi 망에 대한 액세스 모드가 "수동"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전원 오프(OFF)가 될 때까지(S320) 지속적으로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control operation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as illustrated in FIG. 3 is performed by the user when the access mode to the Wi-Fi network is set to " (S320) until it becomes OFF (OFF).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통신망 이용특성으로서 Wi-Fi 망 접속 전에 원격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량을 사용하였다. 즉,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원격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량에 근거해서, Wi-Fi 망의 접속점에 접속할 것인 지를 결정하였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통신망 이용특성으로서 Wi-Fi 망 접속 전에 셀룰러 망을 사용하여 원격지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원격지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더 고려하여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수신 데이터량에 대한 사용강도를 파악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송신 데이터량에 대해서도 사용강도를 파악한다. 그리고, 단말기의 이동성이 이동 상태로 파악될 때, 송신 데이터량의 사용강도에 근거하여 예상 데이터 송신량도 파악한다. 이와 같이 예상 데이터 송신량이 파악되면 예상 데이터 수신량과 합산하고, 그 합산된 예상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기준 데이터량과 비교함으로써 그 대소에 따라 Wi-Fi 망에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Wi-Fi 망에의 접속 여부의 결정 방법에 따라, 기 접속상태에 있는 셀룰러 망을 이용한 수신 데이터량이 많을 때와 마찬가지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송신 데이터량이 많을 때도, 이동 상태에서 Wi-Fi 망이 발견되는 경우 Wi-Fi 망에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amount of data received from a remote place before the Wi-Fi network connection is used as the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 That is, based on the amount of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place,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whether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o a remote place using the cellular network may be further used as a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 before the Wi-Fi network connection.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to connect to the access point considering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to the remote pl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also grasps the usag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data amount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grasping the usage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reception data amount. Then, whe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is grasped as a moving state, the expected data transmission amount is also grasped based on the usag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data amount. When the predicted data transmission amount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expected data transmission amount is added to the expected data reception amount, and the summed estimated data usage amount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data amount,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even when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using the cellular network is large as i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received data using the cellular network in the connected state is large, If it is found, the connection to the Wi-Fi network is mad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상태에서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할 때 그 기준으로 사용하는 상기 기준 사용량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이동성 판단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 강도도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자신이 구한 예상 데이터 사용량을 기 지정된 기준 사용량과 비교하기(S311) 전에,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에 문의하여 확인되는 이동 강도에 근거하여 그 기준 사용량의 크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이동 강도에 대해서 '상' '중' '하'의 3가지 범위로 구분하여 검출하는 것을 가정할 때,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이동 강도가 '하'일 때는 기 지정된 기준 사용량을 그대로 적용하고, '중'일 때는 기준 사용량을 1.5배로 증가시키며, '상'일 때는 2배로 증가시켜 적용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rmining whether to connect to an access point found in a moving state, the reference usage amount used as a reference is adaptively changed and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determines the mobility and also grasps the movement intensity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n,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usage amoun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usage amount based on the movement strength that is inquired to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nd before the comparison is made (S311) Adjust the size. For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divides the moving intensity into three ranges of 'up' and 'down',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that the moving strength In case of 'low', the standard used amount is applied as it is, and when it is 'medium', the reference amount is increased to 1.5 times, and when it is 'upper', it is doubled.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예상 데이터 사용량을 산출하는데 적용하는 전술한 바의 상기 제한 시간폭을 이동 강도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강도에 대해서 '상' '중' '하'의 3가지 범위로 구분하는 것을 가정할 때, 이동 강도가 '하'이면 기 지정된 제한 시간폭을 그대로 적용하고, '중'일 때는 제한 시간폭을 2/3으로 감소시키며, '상'일 때는 1/2로 감소시켜 적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한 시간폭을 적응적으로 조정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파악하고 있는 데이터 사용강도를 그 적응적으로 조정된 제한 시간폭에 곱하여 얻은 값을 기 지정된 기준 사용량과 비교하여도, 기준 사용량을 이동 강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실시예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time limit width to be applied for calculating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tensity.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movement intensity is divided into three ranges of 'upper' and 'lower', if the movement intensity is 'lower',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width is applied as it is, The time limit is reduced to 2/3, and when it is 'phase', it is reduced to 1/2. Even if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daptive adjusted time width by the data use intensity that is grasped as described above after adjusting the time limit width adaptively as described above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use amoun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result as the embodiment in which adaptive adjustment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intensity.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실시간으로 구하고 있는 데이터 사용강도로부터 예상 데이터 사용량을 구하고 이를 기준 사용량과 비교함으로써, 이동 상태에서 Wi-Fi 망에 접속할 지 여부를 결정하였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상 데이터 사용량을 구하지 않고, 데이터 사용강도를 기 지정된 기준 강도와 비교하여 그 대소의 결과에 근거하여, 이동 상태에서 Wi-Fi 망에 접속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has been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in the moving state by obtaining the estimated data usage amount from the data usage strength obtained in real time and comparing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with the reference usage amount.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use intensity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trength without obtaining the estimated data usage amount,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magnitude compariso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in the moving state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사용강도가 임의 기준치, 예를 들어 전술한 바의 지정된 상한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가 이동성 판단을 위한 동작을 행할 지 여부의 기준이 되는 기준치 )보다 낮을 때에 한해서, 이동성과 예상 데이터 사용량에 근거한 접속점에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정된 상하치 이상일 때는, 단말기의 이동성 확인없이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되면 무조건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Also,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use intensity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or example, the specified upper limi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performs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mobility The access point of the Wi-Fi network is found without confirming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when the access point is above the designated upper limit value or higher. It may decide to connect unconditionally.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에 따라, 발견된 접속점에 바로 접속할 지 아니면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강도 )에 따라 접속점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지를 결정하였다. 하지만, 이 순서는 당연히 변경될 수 있다. 즉,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강도 )이 기 지정된 기준치를 넘어서면 무조건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단말기의 이동성을 확인하여 그에 따라 접속점에의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정지상태에 해당하면 접속하는 것으로, 이동상태에 해당하면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사용패턴에 따른 Wi-Fi 망에 대한 선택적 접속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depending on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has been decided whether to connect to the access point that is found or to access the access point according to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or data use intensity). However, this order can of course be changed. That is, when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or the data use intensity)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unconditionally found. Otherwise,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that a connection is made when the stationary state is established, and not connected when the stationary state corresponds to the movement state.) This can be applied to the selective access to the Wi-Fi network according to the data usage pattern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통신망 이용특성으로서, Wi-Fi 망 접속 전의 사용 데이터량 대신 데이터 사용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 사용강도에 근거한 예상 데이터 사용량 대신, 기 접속된 셀룰러 망을 이용한 데이터 사용( 수신 또는 송신 ) 패턴에 근거하여 Wi-Fi 망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도 5a 또는 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신( 또는 송신 ) 데이터량( 이하, 송신 데이터량에 대해서 별도로 부기하지 않는다. )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면서, 그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패턴에 규칙성이 있는 지를 파악한다. 도 8a는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예이다.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를 통해 도 5a에서와 같이 확인하는 데이터량 또는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통지되는 데이터량에 대해 그 시점과 함께 연계하여 저장하면서, 전자의 경우에는 확인되는 수신 데이터량이 없는 또는 일정 한계치 이하의 미미한, 후자의 경우에는 데이터량이 통지된 시간격이 앞서의 시간격과 일정 배수 이상 차이나는 빈 시간격들(TBlkInt_i, i=..,N-2,N-1,N)이 일정 정도의 허용범위( 예를 들어, 10%, 15% 등 )내에서 그 길이가 서로 동일한 지를 확인하고, 최신의 L개 ( 예를 들어, 2개 이상 )가 모두 상기 허용범위내에서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데이터 수신에서의 사용 패턴에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In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usage pattern can be applied as a network usage characteristic, instead of a usage data amount before connection to a Wi-Fi network.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based on the data usage (reception or transmission) pattern using the connected cellular network, instead of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based on the data usage strength. To this en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continuously grasps the amount of received (or transmitted) data (hereinafter, not separately referred to the amount of transmitted data) in the manner as illustrated in FIG. 5A or 5B,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ttern in the data reception has regularity. 8A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this.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whether the amount of data to be confirmed as shown in FIG. 5A through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or the amount of data notified from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as shown in FIG. (T) in which there is no received data amount to be confirmed in the case of the former, or a small amount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in the latter case,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data amount is notified is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time interval by a predetermined multiple or more (For example, 10%, 15%, etc.) within a certain degree of tolerance ( BlkInt_i , i = .., N-2, N-1, N) (For example, two or more) are all equal to each other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that the usage pattern in data reception has regularity.

이와 같이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가 Wi-Fi 망의 접속점을 새로이 발견한 현 시점(801)이, 일정 문턱치 이상의 상당한 데이터의 수신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 마지막 시점(802)으로부터 경과한 시간(TPassBy)에 근거하여 Wi-Fi 망에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결정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이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에 한하여 수행된다. 상기 경과 시간(TPassBy)이, 상기 빈 시간격들(TBlkInt_i, i=..,N-2,N-1,N)의 평균치(811)에서 기 지정된 예비 시간(812)을 차감한 기준 시간(813)에 미치지 않으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Wi-Fi 망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만약, 상기 경과 시간(TPassBy)이 상기 기준 시간(813)보다 길면, 발견된 Wi-Fi 망의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상기 예비 시간(812)은 전술한 바의 상기 제한 시간폭의 1/2에 상당하는 시간값일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regularity in this way,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that the current time point 801 at which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newly finds a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based on the time (T PassBy ) elapsed from the last time 802 that the reception was confirmed. Of course, this determination method is performed 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moving state. The elapsed time T PassBy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predefined time 812 from the average value 811 of the bin time intervals T BlkInt_i , i = .., N-2, N-1, If the elapsed time (T PassBy )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813),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not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Fi network is determin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The preliminary time 812 may be a time value corresponding to 1/2 of the time limit width described above.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데이터 사용 패턴에 의한 상기와 같은 접속 여부 결정 방법은, 플레이 리스트 등에 의한 순차적인 음악 재생을 행하는 실행 개체,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21)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될 때에 Wi-Fi 망에 대한 불필요한 연결없이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곡(82)( 즉, 하나의 파일 )에 대해 셀룰러 망을 통해 다운로드후 플레이하는 중에, 주변에서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때가, 다음 곡(83)의 다운로드 요청( 즉, 상기 빈 시간격들에서의 미미한 데이터 수신량에 비해 현저히 많은 데이터량에 대한 원격지에의 전송 요청 )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이면, 즉 상당한 양의 데이터 수신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 마지막 시점(821)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빈 시간격들의 평균치(822)에 상기 예비 시간 이내의 차로 근접한 경우이면(831a),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그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중이더라도, 그 접속한 접속점의 서비스 존을 지나는 동안에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가 다음 곡(83)을 요청하여 그 데이터를 수신할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만약,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때가 다음 곡(83)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에 근접하지 못한 경우이면(831b), 해당 접속점에 접속하더라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가 실제 다음 곡(83)의 데이터를 요청할 시점에는 이동으로 인해 그 접속된 접속점의 서비스 존을 벗어나거나 접속 해제된 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발견된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nnect according to the data usage pattern for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s as follows. An execution entity, for example, a media player 21 that performs sequential music playback by a play list, ), It is made possible to use it as much as possible without unnecessary connection to the Wi-Fi network. In other words, as illustrated in FIG. 8B, when one song 82 (i.e., one file) is downloaded through the cellular network and then played back, the time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 If there is a time period in which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download request (that is, a request to transmit to a remote location for a considerably larger amount of data compared to a small amount of data reception in the empty time intervals), that is, (831a) if the time elapsed from the last time point (821) confirmed as being close to the average value (822) of the vacant time intervals within the preliminary time,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The possibility that the media player 21 requests the next song 83 and receives the data is increa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rvice zone of the connected access point. If the time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s found is not close to the expected time for the download request of the next song 83 (831b), even if the connection is made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oint,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oes not connect to the found access point because the access point is likely to move out of the service zone of the connected access point or become disconnected due to movement at the time of requesting data of the next song 83 It is decided that it is not.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시점이, 상기 빈 시간격들의 평균치(822)를 지난 경우라 하더라도, 그 지난 시간(841)이, 직전의 데이터 수신이 있었던 시간(TRecvInt)의 일정 비율( 예를 들어, 1/3, 1/2, 또는 2/3 )보다 작으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현재 발견된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831c). Even if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s found exceeds the average value 822 of the idle time slots , the last time 841 is set to a certain ratio of the time (T RecvInt ) (For example, 1/3, 1/2, or 2/3),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may determine to connect to the currently found connection point (831c).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실행 개체의 실행 상황에 따라서는,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제어동작없이 무조건 Wi-Fi 망에 접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운영시스템(10a)이 다중접속 비지원 시스템인 경우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되었음의 통지가 있을 때, 또는, 상기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 패턴에 근거한 접속점에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실행 프로세스 현황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상기 실행 프로세스 현황정보에는,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ID, 패키지 명, 그리고 실행모드( 전면(front)실행, 이면(background)실행 )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 정보를 통해 현재 전면모드(foreground mode)로 실행되고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 상의 화면을 점유하여 자신의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 실행 개체의 식별자, 예를 들어, 패키지 명을 확인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execution state of the execution entity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unconditionally without connection control operation to the connection point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utilization It may not.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only when the operating system 10a is a multiple access non-supporting system.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point based on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or the data usage pattern is made when there is a notification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h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 Before the determination, the execution engine unit 12 requests and receives execution process status information. The execution process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n ID of a process being executed, a package name, and an execution mode (front execution, background execution), so that the current front mode for example, a package name (which occupies the screen on the display panel 5 and provides visual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executed in a mode (for example,

또한,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되었다는 통지가 있는 시점부터 Wi-Fi 망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기 직전까지의 사이에 시간차를 두고서 2회 이상(t1,t2,..),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요청하여 각 시점에서의 데이터 통신내역(901,902)을 확인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내역에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이 외부와 통신을 한 누적 데이터량이 프로세스 ID와 함께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전면모드로 실행되고 있는 실행 개체의 프로세스 ID가, 상기 확인한 각 데이터 통신내역(901,902)에 기재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프로세스 ID에 대해 파악된 누적 사용량( 수신량 또는 송신량 )에 변화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 시간차를 두고서 확인한 각 누적 사용량에 변화가 있다는 것은, 전면모드로 실행 중인 실행 개체가 현재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전면모드의 실행 개체가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으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그 실행 개체가 망전환 가능 개체인 지를 확인한다. "망전환 가능 개체"라 함은,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접속된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중에 다른 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이 전환되는 경우에도 동작의 멈춤이나 오동작없이 그 전환된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예를 들어 전환된 통신망을 통해서 이전에 행하던 데이터 통신을 이어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실행 개체를 의미한다. 망전환 가능 개체인 지는, 상기 접속 결정부(122)에 기 등록되어 있는 망전환 가능 패키지 목록에, 앞서 확인된 해당 실행 개체의 패키지 명이 등재되어 있는 지에 근거하여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망전환 가능 패키지 목록에 대해서는,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기 지정되어 있는 액세스 주소를 통해 외부의 정보 제공서버에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최신의 패키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9,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whether or not a time difference exists between a point of time when a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s found to the point of disconnection of the Wi-Fi network, (T 1 , t 2 ,...) To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to check the data communication details 90 1 , 90 2 at each time point. In the data communication details, as illustrated in FIG. 9, cumulative data amount in which currently executed processes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s described together with the process ID. Thus,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ection 122, the process ID of the running object, which is running in front mode, check that is described above, make each of the data communication history (90 1, 90 2), and in the case described, the ,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cumulative usage amount (reception amount or transmission amount) determined for the process ID. The fact that there is a change in each cumulative usage amount confirmed with a time difference means that the execution entity executing in the front mode is current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hen the execution entity in the front mode performs data communication in this manner,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ection 122 confirms whether the execution entity is a network switchable entity. The term "network switchable entity" means an entity capable of using the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stopping or malfunctioning even when the connection is switched to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le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hereto in any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n execution entity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successive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previously performed through a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The network switchable entity can be identified based on whether the package name of the corresponding executable entity is registered in the network switchable package list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 Of course, for the network switchable package list,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may periodically request the exter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predefined access address to obtain the latest package information.

전면모드로 실행 중인 실행 개체가 망전환 가능 개체로 확인되거나, 또는 그 실행 개체가 현재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접속점에 접속할 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그 전면모드의 실행 개체가, 망전환 가능 개체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고 또한 현재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으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무관하게, 현재 발견된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는, 다중접속 비지원 시스템에서, 접속점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망이 Wi-Fi 망으로 전환된 경우, 현재 전면모드로 실행 중인 실행 개체가 데이터 수신의 연속성을 보장하지 못해 화면 상에 표시하는 영상 정보 등에 단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execution entity executing in the front mode is identified as the network switchable entity or that the execution entity is not current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en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ection 122 determines, , And determines whether to connect to the access point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utilization. However, if the execution entity in the front mode is determined not to be a network switchable entity and is current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ection 12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rrently discovered connection point It is determined not to connect to the network. This is because, in the multiple access non-support system, when the use networ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witched to the Wi-Fi network by connecting to the access point, the execution entity currently running in the front mode can not guarantee continuity of data reception, In order to prevent occurrence of disconnection in the video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품질이 좋은 상태인 또는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접속점에 한해서, 단말기의 이동 상태에서 접속할 지 말 지를 결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검색에서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발견되면, 그 검색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 접속점 식별자( 예를 들어, MAC 주소 ), 신호세기, 서비스 식별자(SSID), 링크(link) 속도 등 }를 모두 상기 접속 결정부(122)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정보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접속점에 대해서 서비스 품질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게 된다. 서비스 품질 관련 특성의 파악은 다음에 설명하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onnect in the moving state of the terminal, only to the access point where the service quality is good or is expected to be goo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arbitrary access point of the Wi-Fi network is found in the search,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retrieved access point (for example, a MAC address) (SSID), link speed, and the like} to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Then,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grasps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ervice quality with respect to the one or more access points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of service quality related characteristics can be selected from among various methods described below.

첫번째 방법은, 서비스 품질 관련 특성으로서 접속점의 신호세기를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전달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에서, 기 지정된 기준 세기 이상을 보인 접속점이 없으면, 예상 데이터 사용량 등에 무관하게 이동 상태일 때는 현재 검색된 접속점에 대해서는 접속을 행하지 않게 된다. 물론, 정지 상태일 때는 해당 접속점에 접속하게 된다. 만약, 상기 기준 세기 이상을 보인 접속점이 있으면,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 패턴 등에 근거해 이동 상태에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전달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가 상기 기준 세기보다 낮음을 보이더라도, 그 때 바로 비접속을 결정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 패턴이 접속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 또는 그 때로부터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수 초 )내에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상기 Wi-Fi 모뎀(2a)을 제어하여 다시 한번 더 검색하여 얻은 신호세기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The first method adopt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int as the service quality related characteristic. That is, when there is no connection point show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strength or more i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poin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ion point is currently searched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point is not performed. Of course, when it is stopped, it will connect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oint. If there is an access point showing the reference strength above the reference strengt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ccess point is in the moving state based on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or the data usage patter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poin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trength,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oes not immediately determine the connection, When the usage amount or the data usage pattern is confirmed to satisfy the connection requirement or the Wi-Fi modem 2a is controlled through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several seconds)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btained by further searching again.

두번째 방법은, 접속점의 보장 속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품질 관련 특성으로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특별한 접속점들은 일정 정도( 예를 들어, 1 Gbits ) 이상의 서비스 속도를 보장하는 표준( 예를 들어, 802.11ac )을 채택하고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전달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에서, 그 통신방식이 기 지정된 표준에 해당하는 것이 있으면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 패턴 등에 근거해 이동 상태에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그러한 접속점이 없으면 이동 상태에 있는 경우 Wi-Fi 망에 접속하지 않게 된다.The second method is to adopt information about the guaranteed speed of the connection point as a characteristic related to the service quality. The special connection points may adopt a standard (e.g., 802.11ac) that guarantees a service speed of at least a certain level (for example, 1 Gbits) ,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is made in the moving state based on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or the data usage pattern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int i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point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point And if there is no such connection point, it will not connect to the Wi-Fi network if it is in a moving state.

세번째 방법은, 접속점의 링크(link) 속도를 서비스 품질 관련 특성으로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주변의 Wi-Fi 망을 검색할 때, 상기 Wi-Fi 모뎀(2a)을 제어하여, 비콘(beacon) 신호를 확인하거나 또는 검증 패킷(probe packet)을 송신하여 그 응답 패킷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게 한다. 임의의 접속점 존재로 인해 상기 Wi-Fi 모뎀(2a)이 비콘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검증 응답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경우, 그 신호의 프리앰블(preamble)에 있는 정보로부터, 해당 접속점의 링크 속도를 검출하게 되는데, 이렇게 검출되는 링크 속도가 전술한 바의 다른 정보( 신호세기, 접속점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등 )와 함께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상기 운영 엔진부(12)에 전달된다. 상기 운영 엔진부(12)는 그 전달된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점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접속 결정부(122)에 제공하게 된다. 링크 속도는, 링크상의 송수신 데이터에 대한 에러 발생률이 커지게 되면 접속점이 그 속도를 하향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전달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에서, 그 링크 속도가 기 지정된 기준 속도 이상이면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 패턴 등에 근거해 이동 상태에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그 기준 속도 이상인 링크 속도의 접속점이 없으면 이동 상태에 있는 경우 Wi-Fi 망에 접속하지 않게 된다.The third method is to use the link speed of the connection point as a service quality related characteristic.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controls the Wi-Fi modem 2a to check a beacon signal or a probe packet when searching for a nearby Wi-Fi network And confirm whether or not the response packet is received. When the Wi-Fi modem 2a detects the beacon signal or receives the verification response packet due to the presence of an arbitrary connection point, the link speed of the connection point is detected from the information in the preamble of the signal The link speed thus detected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via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 together with other information (signal strength, connection point identifier, service identifier, etc.)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as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link speed decreases the speed of the connection point when the error rate for the transmitted / received data on the link becomes large. Therefore, in the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poin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determines that the link spe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Or data usage pattern, and if there is no connection point of the link speed higher than the reference speed, it is not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if it is in a moving state.

네번째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Wi-Fi 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했던 이력 정보를 서비스 품질 관련 특성으로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방법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또는 실행 상태의 임의의 실행 개체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운영 엔진부(12)가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그 때부터 접속이 해제될 때까지의 접속 유지시간을 파악하고 그 접속 유지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그 접속점의 식별자를 선호 접속점 목록에 등재해 두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 유지시간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량을 도 5a 또는 5b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파악하고, 그 파악된 데이터량을 해당 접속점에 대해 접속된 시간으로 나누어서 그 접속점에 대한 평균 사용률을 구한다. 이렇게 구한 평균 사용률이 일정 기준 사용률 이상이면 그 접속점의 식별자를 선호 접속점 목록에 등재해 두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로부터 전달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에 상기 선호 접속점 목록에 등재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가 있으면 그 식별자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 패턴 등에 근거해 이동 상태에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그러한 접속점이 없으면 이동 상태에 있는 경우 Wi-Fi 망에 접속하지 않게 된다.In the fourth method, the history information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s used the data service through the Wi-Fi network is adopted as service quality related characteristics. For this method, when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accesses any of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Wi-Fi network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user or an execution entity in the execution state,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 Grasps the connection holding time from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until the connection is released, and if the connection holding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ime, the identifier of the connection point is registered in the preferred connection point lis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connection holding time, the amount of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ete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5A or 5B, And the average utilization rate for the connection point. If the obtained average utilization rate is above a certain reference usage rate, the identifier of the connection point is registered in the preferred connection point list. Therefore, if there is an identifier identical to the identifier registered in the preferred connection point list in the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poin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engine unit 12,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determines the connection point of the identifier as described above , Expected data usage, data usage pattern, and the lik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onnect in the moving state. If there is no such connection point, the mobile terminal is not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moving stat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실행 개체의 유형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해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상기 운영 엔진부(12)와의 사이에 소켓을 개설하고 있는 실행 개체들 중에 그 유형이 영상 플레이를 위한 것이 있다면, Wi-Fi 망의 접속점이 발견될 때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무관하게 그 발견된 접속점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만약, 실행 개체들 중에 영상 플레이를 위한 개체가 없다면, 예를 들어, 오디오 플레이를 위한 개체 또는 기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개체들만이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접속 결정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이동성과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 패턴 등에 근거해,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selectively determine whether to connect or not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ecution entity receiving data from the outside .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whether a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is found if the type of the executing entity that establishes a socket with the operating engine unit 12 is for video pla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irrespective of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utilization. If there is no object for video playback among the execution entities, for example, If there are only entities for acquiring entities for playing or other information, the connection determining section 122 determines,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or data usage patter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network.

지금까지 상세히 그 기능을 설명한,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를 포함하는 상기 운영시스템(10a)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코드들의 집합은, 하나의 소프트웨어로서, 통신망에 연결된 특정의 프로그램 공급서버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 공급서버는,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매체에 수록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용량 저장수단과, 상기 대용량 저장수단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혀진 데이터를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타 장치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대용량 저장수단의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있게 된다. 상기 프로그램 공급서버의 상기 대용량 저장수단의 기록매체에 수록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요청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통상의 온라인(on-line) 구매과정 등을 거쳐,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져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7)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운로드와 설치 동작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기 구비된 운영시스템에 의해서 또는 그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업그레이드(upgrade) 프로세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후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기 구비된 운영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체하여 또는 보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A set of program codes corresponding to all or a part of the operating system 10a including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which has explained the function in detail so far is one software, Or may be provid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a specific program supply server connected thereto. The program supply server may include a mass storage means for providing data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hrough an interface provided therein and a communication means for allowing the mass storage means to transmit the data read through the interface to another apparatus via a connect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oftware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of the mass storage means. The software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of the mass storage means of the program supply server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a normal on-line purcha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downloaded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downloaded to the memory unit 7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he downloading and installing operations may be performed by an operating system provi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an upgrade process executed based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after the software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oftware may be replaced or supplemented with all or a part of the operating system provi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검색에 의해 발견된 Wi-Fi 망의 접속점에 접속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에 의해 수행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들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실행 개체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이동성 검출과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따른 접속 제어를 위한 기능을 구비한 임의의 실행 개체(22)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2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운영시스템(10a)을 기반으로 수행됨으로써, 자신에게 구현된 고유의 기능, 예를 들어, 미디어 데이터의 플레이, 인터넷 방송 클라이언트, 파일 송수신, 원격지 정보 검색 등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 상에서 실현하게 되며, 그러한 고유 기능 외에, 전술한 바의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의 기능을 또한 수행한다. 이와 같이, 자신의 고유 기능 외에 이동성 검출과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따른 접속 제어를 위한 기능을 또한 수행하는 실행 개체를, 이하에서는, "특화된 개체"라 칭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a connection point of a Wi-Fi network found by searching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s performed by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which are components of the system.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s performed by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may be performed by an execution entity performed based 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e. 10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arbitrary execution entity 22 having a function for mobility detection and connec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bitrary execution entity 22 i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operating system 10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so that a specific function implemented in itself, for example, a play of media data, Reception of a file, retrieval of remote information, and the like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to the unique functions, the functions of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described above are also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an execution entity that performs mobility detection,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access contro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utilization in addition to its own function is referred to as a "specialized entit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특화된 개체(22)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실행 개체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고유 기능부(23) 외에, 전술한 바의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의 각 동작을, 상기 특화된 개체(22)내라는 동작환경에 맞게 적절히 변형하여 수행하는 이동성 검출부(221)과 접속 결정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성 검출부(221)와 상기 접속 결정부(222)는, 그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상기 운영 엔진부(12)와 주고 받는 정보 등을, 상기 운영시스템(10a)의 API( 즉,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3)가 제공하는 기능 )에 기반한 기능의 호출 또는 이벤트 등을 통해 주고 받게 된다. 그 외의 모든 동작은, 실행 개체내에서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의 상기 이동성 검출부(121)와 상기 접속 결정부(122)가 수행하던 것과 동일하게 또는 적절히 변형되어 상기 이동성 검출부(221)와 상기 접속 결정부(222)에 의해 수행된다. 10, the specialized entity 22 includes, in addition to the inherent function section 23 for performing a function inherent to the executive entity, the mobility detection section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ection 121 described above, And a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222 that appropriately modifies each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22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vironment in the specialized entity 22 and performs the operations. The mobility detecting unit 2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may store information or the like exchanged between the mobility detecting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122 corresponding to the mobility detecting unit 2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Through a function call or an event based on the API of the system 10a (that is,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terface unit 13). All the other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performed by the mobility detection unit 1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122 as described above or modified appropriately, except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in the execution entity, (221) and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222).

적절히 변형되는 동작의 예로서는, 상기 접속 결정부(222)가, 데이터 사용 패턴을 확인함에 있어서, 상기 운영시스템(10a)을 통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전체 실행 개체들의 사용 패턴 대신, 상기 고유 기능부(223)가 원격지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패턴에 근거해서,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유 기능부(223)가 플레이 리스트 등에 따라 원격지로부터 영상 또는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여 플레이할 때, 각 영상 또는 음악 간의 시간격에 근거해, 도 8a 및 8b에 예시된 방법에 따라 Wi-Fi 망에의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특화된 개체(22)가 자신의 데이터 사용패턴에 근거하여 Wi-Fi 망에의 접속을 제어할 때는, 자신이 전면모드로서 실행 중일 때에 한하여 그 접속 제어 동작을 행할 수도 있다. 적절히 변형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로서는, 상기 접속 결정부(22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강도에 근거하지 않고, 상기 고유 기능부(223)의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강도만을 고려하여, 이동 상태에서의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to be appropriately modifie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age patter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dentical to the usage pattern of all the execution entiti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operating system 10a, The function unit 223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found access point based on a pattern of obtaining data from the remote place. That is, when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receives or plays video or music data from a remote place in accordance with a play list or the like, the Wi- Fi network. When the specialized entity 22 controls the connection to the Wi-Fi network based on its own data usage pattern, it can perform its connection control operation only when it is running as the front mode. As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that is appropriately modifie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may determine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of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or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in the moving state, considering only the data usage intensity.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설명되지 않는 특별한 동작을 상기 접속 결정부(222)가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 결정부(222)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운영시스템(10a)에 의해 발견된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되었을 때, 그 결정에 따라 상기 운영시스템(10a)에 해당 접속점을 지정하면서 Wi-Fi 망에 접속할 것을 요청함과 동시에, 상기 고유 기능부(223)에 그 요청 사실을 통지할 수도 있다. 이 통지에 의해, 상기 고유 기능부(223)는, Wi-Fi 망의 접속에 미리 대비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기존에 셀룰러 망을 사용하던 소켓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의 수신을 중단시키고 그 중단된 위치를 파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렇게 미리 파악된 위치에 대해서 이후에 상기 운영시스템(10a)으로부터 Wi-Fi 망의 접속 사실이 통지되면, Wi-Fi 망을 사용하는 소켓을 생성한 후 그 소켓을 통해 그 중단된 위치부터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구를 전송함으로써, 사용망을 전환하여 데이터 이어받기를 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0,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may further perform a special operation no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accesses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Fi network found by the operating system 10a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operation system 10a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while designating a corresponding connection poi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and notify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of the fact of the request . With this notification,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can prepare for connection of the Wi-Fi network in advan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stopping reception of data received through a socket using a cellular network and grasping the stopped position. When a connection of the Wi-Fi network is notified from the operating system 10a to the previously recognized position, a socket using the Wi-Fi network is created, and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topped position through the socket By transmitting the request, the network is switched to receive the data.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상기 특화된 개체(22)는, 만약, 상기 고유 기능부(223)가 원격지에 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경우라면, 통신망 이용특성( 즉, 데이터 사용강도에 근거한 예상 데이터 사용량, 또는 데이터 사용패턴 )에 근거했을 때는 Wi-Fi 망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상황에서도, 원격지에 요청하여 수신할 파일이 있는 지에 따라 접속점에의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접속 결정부(222)는, 주기적인 상기 운영시스템(10a)에의 검색 요청에 의해,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10a)으로부터의 이벤트 통지에 의해,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게 되면, 그 때 상기 고유 기능부(223)에 원격지로부터 수신할 파일이 있는 지를 문의한다. 원격지로부터 수신할 파일은, 상기 특화된 개체(22)의 고유의 기능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가 선택된 원격지의 미디어 파일, 프로그램 파일 등일 수 있다. 상기 문의에 대해 상기 고유 기능부(223)가 수신할 파일이 있음을 알리는 자신의 이용 특성 정보를 상기 접속 결정부(222)에 제공하면, 상기 접속 결정부(222)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221)에 의해 판단된 이동성 값을 무시하고, 현재 발견된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할 것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상기 운영시스템(10a)에 그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도록 요청하게 된다. 만약, 수신할 파일이 없다는 이용 특성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접속 결정부(222)는, 상기 이동성 검출부(221)에 의해 판단된 이동성 값이 "정지 상태"이면 발견된 접속점에 대해 접속할 것으로 결정하고, "이동 상태"이면 접속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물론, 이동성 값을 먼저 확인한 후, "이동 상태"일 때, 상기 고유 기능부(223)가 원격지로부터 수신할 파일이 있는 지에 따라, Wi-Fi 망에 접속할 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결정부(222)는 Wi-Fi 망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상기 운영시스템(10a)에 접속점에 대한 연결을 요청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상기 고유 기능부(223)에 통지한다. 그러면, 상기 고유 기능부(223)는, 원격지로부터 수신할 파일의 선두( 또는 이전의 수신에 이어지는 지점 )부터 요청하는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작성하여, 상기 운영시스템(10a)을 통해 새로이 접속된 Wi-Fi 망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필요한 파일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pecialized entity 22 having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nect to a connection point of a Wi-Fi network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 223) has a function of requesting and receiving a file at a remote location, it does not access the Wi-Fi network when it is based on the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 (that is, the expected data usage amount based on the data use intensity or the data usage patter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access the connection point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file to be received and requested at a remote place.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about the found connection point is detected by the search request to the operating system 10a periodically or by the event notification from the operating system 10a At that time,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inquires whether there is a file to be received from the remote place. The file to be received from a remote location may be a media file, a program file, or the like of a remote site selected by the user to downloa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specialized entity 22.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file to be received by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in response to the inquiry to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unit 222, , Determines to connect to the currently discovered access point, and requests the operating system 10a to access the found access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If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no file to be received is provided,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determines that the access point determined to be connected is found to be connected to the found access point if the mobility value determined by the mobility detecting unit 221 is " , And if it is in the "moving state" Of course, after checking the mobility value, it can selectively determine whether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depending on whether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receives a file from a remote location when the mobile unit 223 is in the "moving state ". When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determines to connect to the Wi-Fi network and requests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point to the operating system 10a,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22 notifies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of the fact. Then, the unique function unit 223 creates a request based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requested from the head of the file to be received from the remote site (or a point subsequent to the previous reception), and transmits the request via the operating system 10a Wi-Fi network, and receives necessary file data.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화된 개체가, 타 실행 개체에 대해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갖춘 실행 개체일 수 있다. 즉, 도 11에 그 구성이 예시된 특화된 개체(23)는, 전술한 바의 이동성 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성 검출부(231)와,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접속점에의 접속여부를 결정하는 접속 결정부(232)와, 타 실행 개체(1101)에 대하여 그 실행 개체의 원격지의 데이터 요구와 그 요구에 대한 응답을 중계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고유 기능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고유 기능부(233)는, 타 실행 개체(1101)에 대해서 내부 소켓(is1,is2)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게 된다. 내부 소켓이란, 상기 운영시스템(10a)이 임의의 실행 개체에 대하여 외부와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하는 일반적인 소켓과 정보 구조와 사용방식에 있어서 동일한 소켓이나, 그 소켓의 목적지( 즉, 상대측 )가 모두 상기 운영시스템(10a)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내부의 실행 개체란 점에서 상이한 소켓을 지칭한다. 상기 고유 기능부(233)는, 타 실행 개체(1101)에 대해서 데이터 중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망이 셀룰러 망과 Wi-Fi 망간에 전환되어도, 데이터가 누락되지 않고 그 전환된 통신망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이어서 수신하여 타 실행 개체(1101)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화된 개체(23)의 고유 기능부(233)에 의한 데이터 중계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예를 들어, 외부로 송신할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내부 소켓을 통해 상기 특화된 개체(23)로 전송할 수 있는, 또는 별도의 서로 약속된 방식에 따라 그 요구를 상기 특화된 개체(23)에 전달할 수 있는 ) 임의의 실행 개체( 이하, 이러한 실행 개체를 "중계 기반형 개체"라 칭한다. )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망이 전환되어도 그에 영향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가 있다. 따라서, 임의의 중계 기반형 개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 전면모드로 실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망이 전환되어도 데이터를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수신함으로써 화면 상에 시각적 정보를 보여주는데에 영상 등이 끊어지거나 시각적 정보가 멈춘 상태로 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중계 기반형 개체가 아닌 임의의 실행 개체가 전면모드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는 사용망이 전환되면 시각적 정보의 표현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접속 결정부(232)는, 전면모드로 실행 중인 실행 개체가 중계 기반형 개체가 아니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으면,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무관하게, 현재 발견된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접속점에 접속할 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1, a specialized entity may be an execution entity having a function of relay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remote place to another executing entity. That is, the specialized entity 23 in which the configuration is illustrated in FIG. 11 includes a mobility detection unit 231 for performing the mobility detec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a mobility detection unit 231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based on mobility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nd a unique function unit 233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relaying a data request of a remote entity of the execution entity and a response to the request to the other execution entity 1101, The inherent function unit 233 relays data to the other execution object 1101 through the internal sockets is1 and is2. The internal socket refers to a socket that is the same as a general socket and an information structure and a usage scheme that are generated by the operating system 10a to provide an external communication service to an arbitrary executable entity or a destination of the socket Refers to different sockets in that they are all internal execution objects that are executed based on the operating system 10a. Even i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witched between the cellular network and the Wi-Fi network, the unique function unit 233 performs data relay with respect to the other executing entity 1101, It can successively receive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other execution entity 1101 through the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miss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 function that can use data relay by the unique function unit 233 of the specialized entity 23 (for example, a request by a communication protocol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via the internal socket 23 (Hereinafter, such an execution entity is referred to as a "relay-based entity"), which can transmit the request to the specialized entity 23 in accordance with a promised method, Even if the use networ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witched, data can be received stabl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change. Accordingly, when an arbitrary relay-based entity is running in the front-face mod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even when the usage networ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witched, data is continuously received without interruption, There is no problem such that the image is cut off or the visual information is stopped when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However, when an execution object other than a relay-based object is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in the front-end mod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resentation of visual information will be problematic if the network is switched. For this reason, when the execution entity executing in the front mode is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without being the relay-based entity, the connection determining section 232 does not access the currently found connection point regardless of the mobility and the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 Otherwise, it determines whether to connect to the access point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s,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상기 접속 결정부(232)는, 전면모드의 실행 개체가 중계 기반형 개체인 지는, 그 실행 개체의 패키지 명이 자신에게 설정되어 있는 연동형 개체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지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동형 개체 목록에 대해서는, 상기 접속 결정부(232)가 액세스 주소가 기 지정되어 있는 외부의 정보 제공서버에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최신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결정부(232)는, 전면모드의 실행 개체가 데이터 통신 중인 지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시스템(10a)으로부터 확인되는 데이터 통신내역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32 can determine whether the execution entity in the front-side mode is a relay-based type entity or whether the package name of the execution entity is registered in the linked-object list set for itself. For the interworking entity list,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32 may periodically request the exter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which the access address is pre-assigned to acquire the latest information. The connection determining unit 232 can determine whether the execution entity in the front mode is in data communication from the data communication history confirmed by the operating system 10a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모드의 실행 개체가 중계 기반형 개체인 지의 여부를, 상기 특화된 개체(23)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내부 소켓, 공유 메모리 등 )을 형성하고 있는 지에 따라 판단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xecution entity of the front mode is a relay-based entity by transmitting a data channel (for example, an internal socket , A shared memory, and the like).

지금까지 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 상기 특화된 개체(22,23)도,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로그램 공급장치의 대용량 저장수단의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온라인 구매과정 등을 거쳐,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져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7)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 실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alized entities 22 and 23, which have described the operation in detail, may also be included in the recording medium of the mass storage means of the program supply device. In this case, It can be read from the recording medium by the communication means, downloaded to the memory unit 7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stalled and then executed.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된,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Wi-Fi 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적용된 다양한 방식들은 상호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적절히 선택 결합되어 함께 실시될 수 있다.Various methods applied to the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to the Wi-Fi network based on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utilization characteristics,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combined together if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

지금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망으로서, 셀룰러 망으로 칭한 이동 통신망외에, 셀룰러 망의 각 셀에 비해 매우 좁은 서비스 영역들에 의해 국소적으로 무선 서비스가 제공되는 고속의 무선랜망인 Wi-Fi 망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Wi-Fi 망외의, 다른 종류의 비(非) 셀룰러 방식의 무선 통신망이 있다면 그 통신망에의 접속 제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방식을 동일하게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이라 하더라도, 신호의 변복조 방식, 송수신 대역 또는 채널 코딩 등이 서로 달라서 상호 구분되는 별개의 통신망으로 운용되는 경우에는, 그 중 서비스 셀이 서로 이격되어 연속적이지 않는 서비스 권역을 가지는 하나의 통신망에 대해서, 전술한 바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따른 접속 제어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용하는 무선 통신망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통신망과 그 명칭이 다르다는 이유로써는 본 청구범위에 의한 권리범위가 배척될 수는 없다.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be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in which wireless services are locally provided by very narrow service areas as compared with each cell of a cellular network,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by taking a Wi-Fi network as a wireless LAN as an example. However,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ccess control to a communication network if there is another type of non-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utside the Wi-Fi network. In addition, eve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ame cellular system, in the case of operating in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of signal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band, or the channel codi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a singl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service area, the above-described mobility and the conne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utilization may be directly applied. Thus, the scope of the rights under the scope of the claims can not be ruled out because the name of the wireless network to which it is applied is different from the network exemplified herein.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Alteration, substitution, addition, or the like.

1a: 셀룰러 모뎀 1b: 셀룰러 코덱
2a: Wi-Fi 모뎀 2b: Wi-Fi 코덱
4: 디스플레이 구동부 5: 디스플레이 패널
6: 입력 제어부 6a: 터치 센서
6b: 키패드 7: 메모리
10: 주 제어부 10a: 운영시스템(O/S)
1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 12: 운영 엔진부
13: 응용 인터페이스부 20: 실행 상태에 있는 실행 개체
21: 미디어 플레이어 22, 23: 특화된 개체
110: 중앙처리장치(CPU) 111: 어플리케이션 칩셋
112: 타이머 113: 시계부(real-time clock)
121,221,231: 이동성 검출부 122,222,232: 접속 결정부
223,233: 고유 기능부 1101: 실행 상태의 임의의 실행 개체
1a: cellular modem 1b: cellular codec
2a: Wi-Fi modem 2b: Wi-Fi codec
4: Display driver 5: Display panel
6: Input control unit 6a: Touch sensor
6b: Keypad 7: Memory
10: main control unit 10a: operating system (O / S)
11: Hardware interface part 12: Operation engine part
13: Application interface part 20: Execution object in execution state
21: media player 22, 23: specialized object
110: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11: application chipset
112: Timer 113: Real-time clock
121, 221, 231: mobility detection units 122, 222, 232:
223, 233: unique function 1101: arbitrary execution object in execution state

Claims (25)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무선 통신망에는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경우에,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것인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이용특성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준치 이상의 데이터 사용을 나타내는 제 1경우이거나,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data at a remote location,
A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und 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found access poin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when determining to connect to the access point, cau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nect to the found access point Respectively,
In the specific ope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is a first case indicating use of data exceeding a reference valu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if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a stationary state, the access point is determined to be connected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moving state, it is determined not to access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and each service area is divided into a service area and a service area,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mall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세기의 변화량 또는 변화의 추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change amount or a change in the signal intensity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수신되는 위성 신호로부터 산출한 경위도 좌표의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change in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satellite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용특성이,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가 기 지정된 하한치 미만이거나 또는 기 지정된 상한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intensity of the data amount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valu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the detection section detects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furth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원격지에 대해 데이터 전송 요구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그 요구가 있기 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는 동작을 시작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start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mobility o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the request for data transmission is scheduled for the remote place.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면 이동성 검출을 위한 신호의 검출 간격을 더 길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detecting section is configured to set a detection interval of a signal for detecting the mobility to be longer if the detected mobility is in a stop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경우는, 상기 이용특성이, 정해진 제한 시간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이 상기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이거나, 또는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intensity)가 상기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se may be a case where the usage characteristic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data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limit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at the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tensity of which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value or mor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한 시간을 조정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조정된 시간동안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을 구하여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성이 클수록 짧은 값이 되도록 상기 제한 시간을 조정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ime limi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mobility and to calculate the amount of data to be received or to be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adjusted time and compare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adjusts the time limit to be a short valu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랑의 상기 강도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기 정해진 시간폭 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을 상기 시간폭으로써 나누어서 얻어지는 값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rength of the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width based on the current time, Lt; / RTI &g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준치를 조정한 후 상기 제 1경우인 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성이 클수록 큰 값이 되도록 상기 기준치를 조정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ase is after adjusting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mobility,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adjusts the reference value such that the larger the mobility is, the larger the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할 때에도, 상기 이용 특성이 원격지에 대해 데이터 전송 요구가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제 2경우일 때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operation, even when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stationary state without the first case, whe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is the second case indicating that there is a data transmission request to the remote location, Is determined to be &lt; RTI ID = 0.0 &g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경우는, 상기 이용특성이, 이전까지의 파일간의 수신 간격에 따라 새로운 파일의 전송 요청이 있을 것임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거나, 또는 원격지에 요청하여 수신할 또는 전송할 파일이 현재 지정되어 있음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econd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corresponds to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equest to transmit a new file according to a reception interval between the previous files, or that a file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is requested at a remote location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visible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면(foreground) 모드로 실행되고 있는 실행 개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망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중단없이 데이터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특정 유형의 개체가 아니고, 또한 상기 실행 개체가 현재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더라도,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ecution entity executing in the foreground mod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a specific type entity capable of continuing the data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eve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nged,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is further configured not to perform the specific operation even if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moving state when the executing entity is current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loca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유형의 개체인 지는, 기 구비된 목록에 상기 실행 개체의 식별자가 등재되어 있는 지의 여부로부터 판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목록은 외부에 요청하여 최신의 것으로 갱신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n entity of the specific type is included in the list based on whether the identifier of the executable entity is registered,
And the list is updated to the latest by requesting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이 기 지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되,
상기 기 기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요건은,
접속점으로부터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신호세기 이상이어야 할 것,
접속점이 일정 서비스 속도 이상을 보장하는 것으로 정해진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접속점이어야 할 것,
접속점의 링크(link) 속도가 기 지정된 속도 이상이어야 할 것,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정 시간 이상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했던 적이 있는 접속점이어야 할 것,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한 동안의 데이터 사용률이 일정 기준치 이상이었던 접속점이어야 할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perform the specific operation only if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meets a predefined quality of service related requirement,
The pre-determined quality of service-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connection point should be not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An access point must be an access point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determined to guarantee a certain service speed or higher,
The link speed of the connection point should be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an access point that has accessed the data ser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the data usage rate during the conne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t least one of connection points hav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실행 개체에 영상을 플레이하는 개체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영상을 플레이하는 개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und,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executing entity that receives data from the outsid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when an entity playing the video is included And perform the specific operation when an object to play the image is not inclu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와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O/S)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실행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unit and the determining unit are included in an execution object executed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O / 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특성은, 상기 실행 개체가 데이터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해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이용함에 따라 얻어지는 특성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is a characteristic obtained as the execution entity use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reception or transmission.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에서,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할 때에도, 원격지에 요청하여 수신할 또는 전송할 파일이 현재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실행 개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면, 원격지에 요청하여 상기 지정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수신 또는 송신이 시작되게 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a file requested to be received or to be transmitted to a remote location is currently designated even if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a stopped state in the specific operation, , &Lt; / RTI &gt;
Wherei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iscovered access point, the execution entity makes a request to a remote location to start receiving or transmitting the specified fil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개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O/S)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타 실행 개체의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execution entity comprises a relay unit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remote location of another execution entity executed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O / 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면(foreground) 모드로 실행되고 있는 타 실행 개체가, 상기 중계부에 의한 데이터 중계를 이용할 수 있는 개체가 아니고, 또한 현재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If the other executing entity in the foreground mod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an entity that can use data relay by the relay and is in a stat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site at presen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further configured not to perform the specific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비(非) 셀룰러 방식의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는 통신망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non-cellular service areas are formed b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원격지에 한번 이상 요청하여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와,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2단계와,
상기 검색에서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검출된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와,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상기 특성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준치 이상의 데이터 수신을 나타내는 제 1경우일 때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경우가 아닐 때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인 것인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questing a remote location more than once while being connected 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step of repeatedly search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whether a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vailab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a mobility state, if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a mobility state, if the mobility detect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a mobility state,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found connection poi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reception;
And ca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nect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if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In the specific ope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data reception is a connection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when the characteristic is a first case indicating data reception of a value equal to or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etermined not to access the found connection point,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and each service area is divided into a service area and a service area, How to be a small area.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원격지에 한번 이상 요청하여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와,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2단계와,
상기 검색에서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특성이, 정해진 제한 시간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이 지정된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이거나, 또는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가 지정된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경우가 아닐 때는, 검출된 이동성을 확인하여 정지 상태이면 접속하는 것으로, 이동 상태에 해당하면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3단계와,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인 것인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questing a remote location more than once while being connected 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step of repeatedly search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whether a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vailable,
If a connection point is found in the search, the characteristic of the data reception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data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limit is more than a specified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when the strength of the amount of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is more than the specified reference value, and when it is not the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And ca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nect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if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and each service area is divided into a service area and a service area, How to be a small area.
타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데이터가 외부에 제공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무선 통신망에는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경우에,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과,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이용특성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준치 이상의 데이터 사용을 나타내는 제 1경우이거나,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인 것인 장치.
1. A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program to be executed in another apparatus through an interface,
An interface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with the outside,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he data being provided externally through the interface,
The program, when execu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function of detecting the mo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und 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connect to the found connection point based on the connection status,
And connec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when it is determined to connect to the connection point,
In this specific ope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 is the first case indicating the use of data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connection point detected when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stopped sta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mobility corresponds to the moving state, it is determined not to connect to the discovered connection point,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and each service area is divided into a service area and a service area, The device is a small area.
KR1020130092543A 2013-08-05 2013-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properties of network use KR101531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43A KR101531003B1 (en) 2013-08-05 2013-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properties of network use
PCT/KR2014/007155 WO2015020370A1 (en) 2013-08-05 2014-08-0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based on mobility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properties of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43A KR101531003B1 (en) 2013-08-05 2013-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properties of network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33A KR20150016733A (en) 2015-02-13
KR101531003B1 true KR101531003B1 (en) 2015-06-23

Family

ID=5246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543A KR101531003B1 (en) 2013-08-05 2013-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properties of network u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1003B1 (en)
WO (1) WO2015020370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576A (en) * 2011-09-02 2013-03-12 주식회사에어플러그 Method for changing access points in wireless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hanging access points
KR101243737B1 (en) * 2011-09-15 2013-03-13 주식회사에어플러그 Method for receiving streaming data as selectively changing a network to use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ccording to amount of buffered data and an apparatus for sai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40B1 (en) * 2007-12-14 2010-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Selecting and Connecting of Interface supporting Multimedia call Service
KR101231608B1 (en) * 2011-08-05 2013-02-08 주식회사에어플러그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applying a policy for selecting a connected network amo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576A (en) * 2011-09-02 2013-03-12 주식회사에어플러그 Method for changing access points in wireless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hanging access points
KR101243737B1 (en) * 2011-09-15 2013-03-13 주식회사에어플러그 Method for receiving streaming data as selectively changing a network to use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ccording to amount of buffered data and an apparatus for sai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33A (en) 2015-02-13
WO2015020370A1 (en)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573B1 (en) Methods for providing a navigation route based on network availability and device attributes
US7747279B2 (en) Interface negotiation
US20140071895A1 (en) Network Selection Based On Customizing Crowdsourced Connection Quality Data
EP1736010B1 (en) Interface negotiation
US201300583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hannel in wireless network
US201501100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information related to mutual communication property between a terminal and access points of a wireless network to be used in connecting to the wireless network
KR20180030781A (en) Service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07113572B (en) Geographic information for wireless networks
US9204421B2 (en) Application configured triggers and push notifications of network information
JP2009100210A (en) Relay device, relay method and relay program
JP2010034894A (en) Base station and resources securing method
US20140079014A1 (en) Method for managing selective access to a wireless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and an apparatus for same
JPWO2017170692A1 (en) Slice management system and slice management method
US2012031588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ide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peri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880903B1 (en) Multi-mode dynamic frequency selection system
GB2537623A (en) Content delivery over D2D links
KR10148251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use of wireless networks on connection of an additional wireless network and Apparatus for said method
KR20120049555A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16972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quality of data service adaptively depending on the type of an access device through which a wireless data service can be used
JP4437761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network partitioning method
KR1015310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mobility of a terminal and properties of network use
EP4287704A1 (en) Cel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1440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changing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KR101859382B1 (en) Scheduling policy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data network connect function in scheduling policy server
KR101616058B1 (en) Method for receiving/transmitting a file through a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according to expected information about receiving/transmitting the file from/to a remote side and an apparatus for sai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