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002B1 -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002B1
KR101530002B1 KR1020130047547A KR20130047547A KR101530002B1 KR 101530002 B1 KR101530002 B1 KR 101530002B1 KR 1020130047547 A KR1020130047547 A KR 1020130047547A KR 20130047547 A KR20130047547 A KR 20130047547A KR 101530002 B1 KR101530002 B1 KR 10153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ine
connector
base film
clamping
sens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8736A (en
Inventor
박익로
Original Assignee
박익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익로 filed Critical 박익로
Priority to KR102013004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002B1/en
Priority to PCT/KR2013/004001 priority patent/WO2014178467A1/en
Publication of KR2014012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259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using conductive adhesive means, e.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A61B5/273Connection of cords, cables or leads to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6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containing electrolytes, conductive gels or pas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 A61B2562/227Sensors with 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도록 하여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가의 센서전극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전극부가 아닌, 리드어댑터에 구비되므로,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부의 전도성피막층이 리드어댑터의 센서전극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상호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전도성피막층에서 읽어들인 생체 신호가 리드어댑터로 안전하게 전도되는 효과가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signal sensing device capable of repeatedly reusing a sensor electrode so as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and an expensive sensor electrode is provided in a lead adapter rather than an electrode part used for a single use, It is possible to reuse it, and there is an effect that maintenance cost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of the electrode part is firmly attached to the sensor electrode of the lead adapter, the biosignal read from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can be safely conducted to the lead adapter.

Description

생체 신호 감지 장치{BIO-SIGNAL DETECTING APPARATUS}[0001]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생체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도록 하여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ignal sen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signal sens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repeatedly reusing a sensor electrode.

일반적으로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피검체(예, 인체의 심장, 근육)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활동 전류의 전기적 변화 등을 수집하는 것으로, 검사 대상인 피검체에 전극을 부착시키고, 상기 전극을 통해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근전도(Electromyogram, EMG) 등을 측정하게 된다.
Generally, a bio-signal sensing device collects electrical changes in minute activity currents generated in a subject (e.g., the heart and muscles of a human body), attaches an electrode to a subject to be examined and transmits an electrocardiogram , ECG), and electromyogram (EMG).

도 1은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0)은 절연성을 가지며 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일면에 위치되는 하이드로겔 점착제(12)와, 베이스(11)의 타면에 위치되며 하이드로겔 점착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 재질의 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의 표시기기(20)와 연결된 연결선(15)의 커넥터(16)가 연결부(13)에 결합되고, 전극(10)이 부착된 피검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표시기기(20)에 표시되어 외부로 출력된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electrode for detecting a living body signal, and FIG. 2 is a bottom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ode for sensing a living body signal. 1 and 2, a conventional bio-signal sensing electrode 10 includes a base 11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and a circular shape, a hydrogel adhesive 12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11, And a connecting portion 13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ydrogel adhesive 1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ydrogel adhesive 12. The connector 16 of the connection line 15 connected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2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3 and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from the body to which the electrode 10 is attach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 And output to the outside.

이러한 종래 생세 신호 감지용 전극(10)에는 비교적 고가인 Ag 또는 AgCl로 형성되는 연결부(13)가 구비되고, 연결선(15)에는 상기 연결부(13)에 결합되기 위한 커넥터(16)가 구비되는바,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극(10)의 연결부(13)와 연결선(15)의 커넥터(16) 사이가 단순 끼움식으로 체결되는바,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아, 전기적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약간의 움직임에도 전극(10)의 연결부(13)가 연결선(15)의 커넥터(16)에서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electrode for detecting blood glucose signals 10 has a connecting portion 13 formed of Ag or AgCl which is relatively expensive and a connector 16 for connect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13 is provided on the connecting line 15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portion 13 of the electrode 10 and the connector 16 of the connection line 15 are fastened together in a simple fitting manner, they are not electrically tightly fastened, electrical errors are frequently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portion 13 of the pad electrode 10 is easily detached from the connector 16 of the connection line 15. [

공고실용신안 제1990-0006903호Publication of Utility Model No. 1990-0006903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도록 하여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ving body signal sensing apparatus capable of repeatedly reusing sensor electrodes to reduce maintenance cos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통공을 갖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관통공을 덮도록 상기 관통공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상면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도성 피막층을 구비하는 전극부; 및 상기 피막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센서전극과,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수용된 상기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구비하는 리드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base film having a through-hole;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ilm so as to cover the through- An electrode portion having an exposed conductive layer; And a lead adapter having a sensor electrod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a connector accommodating the sensor electrode, and a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connector. Sensing device.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라이너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The biosignal sen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n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 second lin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또한, 상기 전도성 피막층은 하이드로겔(Hydrog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may include a hydrogel.

또한, 상기 센서전극의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측에는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 latch portion on a side of the sensor electrode and a sensor portion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connector. The latch port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engage with the latch portion. A signal sensing device is provided.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방에서 상기 연결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선이 내삽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센서전극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The connector may include a body for receiving the sensor electrode and a suppor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line and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line.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clined upward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연결선의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측부 방향으로 구비되는 집게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의 측부에는 상기 집게부재에 물리도록 돌출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집게부재에 물릴때, 상기 돌출부의 상기 삽입홀에 상기 집게부재에 형성되는 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The base film may further include a clamp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in a side direction of the base film, wherein a protrusion is formed at a side of the base film to be held by the clamping member, Wherein tabs formed on the clamping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held by the clamping member.

또한, 상기 집게부재는, 상기 커넥터에서 상기 연결선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1 집게부의 하방에 대향 위치되며, 상기 제 1 집게부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집게부와,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 방향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타측이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집게부 또는 제 2 집게부의 일측에는 상기 탭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일측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물릴 때, 상기 탭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The clip member may include a first clamping unit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to a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a second clamping unit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clamping unit and coupled to be pivotally coupled with the first clamping uni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ortions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cla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when one side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connector direction, Wherein the tabs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clamping unit so that when the protrusion is hel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clamping unit and the second clamping unit, And the ta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측에는 그 외측 방향으로 날개부가 더 구비되되, 인체와 대향되는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는 점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w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nd an adhesive portion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facing the human body.

또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일측에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부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은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삽입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타측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센서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 재질의 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관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receive the sensor electrode and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side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A socket port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and having one side thereof located inside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wire portion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portion and the sensor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wire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one side of the socket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ving body.

또한, 상기 연결선의 일측은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선의 타측은 결합부가 구비되며,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이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One side of the connecting l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electrode through the connector,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lin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and an auxiliary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ving body.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은 다수 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시트로 구성되되, 서로 인접한 상기 베이스필름은 절취선에 의하여 상호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라이너 및 상기 제 2 라이너는 하나의 상기 시트에 부착되도록 각각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Also, the base film may b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base films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one another in parallel or in series so that the base film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ut by a perforated line, and the first and second liner And the biosensor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sheet of the living body signal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고가의 센서전극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전극부가 아닌, 리드어댑터에 구비되므로,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biosign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lead adapter rather than the electrode portion in which the expensive sensor electrode is used as a disposable electrode, the sensor electrode can be repeatedly reused,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또한, 전극부의 전도성피막층이 리드어댑터의 센서전극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상호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전도성피막층에서 읽어들인 생체 신호가 리드어댑터로 안전하게 전도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of the electrode part is firmly attached to the sensor electrode of the lead adapter, the biosignal read from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can be safely conducted to the lead adapter.

도 1은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리드어댑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집게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집게부재에 의하여 전극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가 인체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소켓부에 연결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소켓부에 연결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electrode for sensing a living body signal.
2 is a bottom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ode for detecting a living body signal.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unit of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ad adapter of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law member of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unit is firmly fixed by the claw member of the bio-sign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io-sign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human body.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line is detachably coupled to a socket portion of a bio-sign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tion of Fig. 15. Fig.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re a connection line is detachably coupled to a socket of a bio-sign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Fig. 17.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de section of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 등의 피검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전극부(100)에서 감지한 인체의 전기 신호를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 등의 표시기기(미도시)로 출력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3 and 4, the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a subject such as a human body and outputs the sensed electrical signal to the outside, And a lead adapter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00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of the human body sensed by the electrode unit 100 to a display device (not shown) such as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

전극부(100)는 베이스필름(120)과, 전도성피막층(130)과, 제 1 라이너(110)와, 제 2 라이너(140)를 포함한다. The electrode unit 100 includes a base film 120, a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a first liner 110, and a second liner 140.

베이스필름(120)은 종이, 부직포, 절연성 수지 등의 비도전성 또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관통공(1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필름(12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전도성피막층(130)이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되고, 베이스필름(12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제 2 라이너(140)가 점착되도록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필름(120)의 측부, 상세하게는 리드어댑터(200)의 연결선(230) 방향으로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에는 전도성피막층(130)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가 돌출부(122)를 잡고 전극부(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The base film 12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aper, a non-woven fabric, an insulating resin, or the like, and is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a through hole 120a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ilm 120 so that the conductive film layer 130 will be easily attached to the base film 120 and a second liner 1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pplied to the top surface of the base film 120. have.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film 120, more specif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line 230 of the lead adapter 200. Since the conductive layer 130 is not provided on the protrusion 122,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electrode unit 100 by holding the protrusion 122.

전도성피막층(130)은 신체의 미세 전기를 후술하는 리드어댑터(200)로 전도(Conduction)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체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점착성 및 도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Hydrogel)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피막층(130)은 베이스필름(120)의 관통공(120a)을 덮도록 관통공(120a)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량생산에 용이하도록 베이스필름(120)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베이스필름(120)의 하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전도성피막층(130)의 상면 중앙은 베이스필름(120)의 관통공(12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serves to conduct the conduction of the micro-electricity of the body to the lead adapter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dhesiveness and conductivity, for example, a hydrogel Hydrogel). The conductive film layer 130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through hole 120a so as to cover the through hole 120a of the base film 120 and preferably has the same size as the base film 120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120.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20a of the base film 120.

제 1 라이너(110)는 베이스필름(120)의 하면, 상세하게는 전도성피막층(130)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전도성피막층(130)의 하면을 보호한다. 그리고 제 2 라이너(140)는 베이스필름(12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전도성피막층(130)의 노출된 상면을 보호한다.
The first liner 1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120,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to protec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The second liner 14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120 to protect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리드어댑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ad adapter of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리드어댑터(200)는 센서전극(220), 커넥터(210), 소켓부(216) 및 연결선(2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lead adapter 200 includes a sensor electrode 220, a connector 210, a socket portion 216, and a connection line 230.

센서전극(220)은 Ag 또는 AgCl 전극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베이스필름(120)의 관통공(12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관통공(12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전도성피막층(130)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후술하는 몸체(212)에 수용된다. 이러한 센서전극(220)은 신체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활동 전류의 전기적 변화 등을 전도성피막층(130)으로부터 읽어들인다.The sensor electrode 220 is formed of Ag or AgCl electrode sensor or the like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0a of the base film 120. One end of the conductive electrode layer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20a 13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ccommodated in a body 212 to be described later. The sensor electrode 220 reads an electrical change or the like of a minute active current generated in the body from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커넥터(210)는 몸체(212)와 소켓부(216)를 포함한다. 몸체(212)는 센서전극(220)을 수용하도록 하부에 수용부(214)가 형성되며, 상부에 지지부(2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19)의 내부에는 수용부(214) 방향으로 관통부(219a)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212)의 수용부(214)에 센서전극(220)이 수용될 때, 센서전극(220)의 측방에는 걸림부(222)가 형성되고 몸체(212)의 수용부(214)에는 상기 걸림부(222)에 삽입되도록 고정부(215)가 형성되어, 센서전극(220)의 걸림부(222)가 수용부(214)의 고정부(215)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된다. 소켓부(216)는 지지부(219)의 관통부(219a)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은 관통부(219a)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그 타측은 수용부(214)의 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부(21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소켓부(216)의 내부에는 그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소켓홀(216a)이 형성된다. The connector 210 includes a body 212 and a socket portion 216. The body 212 has a receiving portion 214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receive the sensor electrode 220 and a supporting portion 219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through portion 219a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219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14. [ When the sensor electrode 22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4 of the body 212, a latching portion 22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nsor electrode 220, The fixing portion 215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222 so that the locking portion 222 of the sensor electrode 220 is securely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215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14. The socket portion 216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219a of the support portion 219 so that one sid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enetration portion 219a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extended in the bottom surface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14 An extension portion 216b is provided. A socket hole 216a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socket portion 216 in the other direction.

전선부(218)는 다수의 전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소켓부(216)의 연장부(216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수용부(214)의 저면과 센서전극(220)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수용부(214)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이 전선부(218)의 타측에 밀착되어, 숄더링되며, 이에 따라 소켓부(216)의 연장부(216b)와, 수용부(214)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One end of the wire portion 21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216b of the socket portion 216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14 and the sensor electrode 220 . The sensor electrode 220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4 is close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wire portion 218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216b of the socket portion 216 and the receiving portion 214 The accommodated sensor electrodes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연결선(230)은 전기가 통전되는 전선 등으로 구성되어, 일측은 소켓부(216)의 소켓홀(216a)에 삽입되도록 돌출부(232)가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에 위치한 상기 표시기기와 유선 등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기기는 전극부(100)와 리드어댑터(200)를 통해 읽어들인 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에 출력한다.
The protrusion 232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ocket hole 216a of the socket portion 216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cable, . The display device converts a signal rea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00 and the lead adapter 200 into a signal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outsid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전극부(100)의 베이스필름(120)은 다수 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시트(50)로 구성되고, 각각의 베이스필름(120)의 하면에 전도성피막층(13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베이스필름(120) 및 전도성피막층(130)은 절취선(125)에 의하여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라이너(110) 및 상기 제 2 라이너(140)는 상기 시트(5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시트(50)로 구성된 다수의 베이스필름(12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부착된다.Referring to FIG. 6, the base film 120 of the electrode unit 100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base films 120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in parallel or in series, And a coating layer 130 are respectively attached. The base film 120 and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figured to be cut by a perforated line 125. The first liner 110 and the second liner 140 are formed to have a size And are attached to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base films 120 constituted by one sheet 50, respectively.

그리고 시트(50)에 위치된 다수의 전극부(100) 중 절취선(125)에 의하여 절취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전극부(100)를 시트(50)에서 떼어낸 후, 상기 전극부(100)를 피부에 접착시킨다. 그 후, 전극부(100)의 관통공(12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전도성피막층(130)의 상면에 리드어댑터(200)의 센서전극(220)을 부착시켜서, 전극부(100)의 전도성피막층(130)에서 읽어들인 신체의 미세 전기 신호를 리드어댑터(200)를 통하여 외부에 위치한 표시기기(미도시)로 전달한다.After one of the electrode parts 100 cut off by the perforated line 125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100 located on the sheet 50 is separated from the sheet 50 and then the electrode part 100 is removed, Adhere to the skin. The sensor electrode 220 of the lead adapter 20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20a of the electrode unit 100, And transmits the micro electrical signal of the body read from the coating layer 130 to a display device (not shown) located outside through the lead adapter 200.

이처럼 본 발명은 고가의 센서전극(220)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전극부(100)가 아닌, 리드어댑터(200)에 구비되므로, 센서전극(220)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부(100)의 전도성피막층(130)이 리드어댑터(200)의 센서전극(220)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상호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전도성피막층(130)에서 읽어들인 생체 신호가 리드어댑터(200)로 안전하게 전도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pensive sensor electrode 220 is provided in the lead adapter 200 rather than the electrode unit 100 used for disposable use, the sensor electrode 220 can be repeatedly used again, The effect is less costly.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of the electrode unit 100 is firmly attached to the sensor electrode 220 of the lead adapter 200 so that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is firmly and physically and electrically fastened to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ignal is safely conducted to the lead adapter 20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집게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집게부재(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의 지지부(219) 하측에 베이스필름(120) 방향으로 집게부재(240)가 더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lamping member 240 in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That is, the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100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a lead adapter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00. A clamping member 2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19 of the lead adapter 200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film 120.

집게 부재는 커넥터(210)의 몸체(212)에서 연결선(23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집게부(242)와, 상기 제 1 집게부(242)의 하방에 대향 위치되며 상기 제 1 집게부(242)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집게부(244)와, 상기 제 1 집게부(242)와 상기 제 2 집게부(244)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246)를 포함한다. 그리고 탄성부(246)는 탄성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며, 제 1 집게부(242)와 상기 제 2 집게부(244)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210) 방향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집게부(242)와 상기 제 2 집게부(244)의 타측이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집게부(242)와 대향되는 제 2 집게부(244)의 내측에는 탭(245)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탭(245)이 베이스필름(120)의 돌출부(122)에 형성되는 삽입홀(122a)에 삽입된다.
The clamping member includes a first clamping portion 242 extending from the body 212 of the connector 210 to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line 230 and a second clamping portion 242 located below the first clamping portion 242, And a second elastic member 246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 24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44. The second elastic member 246 is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24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44, When one side of the first clamping unit 242 and the second clamping unit 244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210, the first clamping unit 242, 242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lamping unit 24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tab 245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lamping unit 244 opposite to the first clamping unit 242 so that the tab 245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22 of the base film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122a.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집게부재에 의하여 전극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unit is firmly fixed by the claw member of the bio-sign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전극부(100)가 리드어댑터(200)의 커넥터(210)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에 부착될 때, 베이스필름(120)의 돌출부(122)가 제 1 집게부(242)와 제 2 집게부(244)의 일측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집게부(242)와 제 2 집게부(244)가 베이스필름(120)의 돌출부(122)를 물게 된다. 이때, 제 2 집게부(244)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탭(245)이 베이스필름(120)의 돌출부(122)에 형성되는 삽입홀(122a)에 삽입되어, 베이스필름(120)이 제 1 집게부(242)와 제 2 집게부(244) 사이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된다. 9, when the electrode unit 100 is attached to the sensor electrode 220 housed in the connector 210 of the lead adapter 200, the protrusion 122 of the base film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ipper unit 242 and one side of the second clamping unit 244 so that the first clamping unit 242 and the second clamping unit 244 clamp the protrusion 122 of the base film 120. At this time, the tab 245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clamping unit 24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2a formed in the protrusion 122 of the base film 120, And is securely latched between the second clamping portion 242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244.

이처럼 베이스필름(120)이 제 1 집게부(242)와 제 2 집게부(244)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하거나 또는 환자의 이동 등에 의하여 전극부(100)가 리드어댑터(200)의 커넥터(210)에서 탈거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base film 120 is firmly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arts 242 and 244, the electrode part 1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ead adapter 20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nector 210 is firmly fixed without detaching it.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지지부(219')가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의 커넥터(21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부(219')는 연결선(2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선(230)이 지지부(219')에 내삽된다. 이때, 지지부(219')는 리드어댑터(200)의 센서전극(220)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219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hat is,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100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a lead adapter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00. The support portion 219 'provided on the connector 210 of the lead adapter 200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line 230 so that the connection line 23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219'. At this time, the supporter 219 'is protrud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s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electrode 220 of the lead adapter 200 increases.

그리고 전극부(100)가 인체의 피부에 부착되면, 연결선(230)은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219')에 의하여 인체의 피부에서 상방으로 'h' 만큼 이격되어, 인체의 피부에 연결선(230)이 직접 닿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전극부(100)가 부착된 환자 등은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연결선(230)이 피부에 닿지 않으므로,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생체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electrode unit 100 is attach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the connection line 230 is spaced upward by h from the skin of the human body by the inclined supporting portion 219 ' The connection line 230 does not touch the skin in the process of sensing the living body signal, so that the effect of sensing the living body signal in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is obtained have.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가 인체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베이스필름(120)에 날개부(123)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의 피부(S)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극부(100)의 베이스필름(120)의 둘레를 따라 그 외측 방향으로 날개부(123)가 더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필름(120)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4개의 측부에 각각 날개부(12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인체와 대향되는 날개부(123)의 하면에는 점착부가 구비되어, 전극부(100)의 전도성피막층(130)이 굴곡진 인체의 피부(S) 등에 부착될 때, 베이스필름(120)의 점착부가 보조적으로 인체에 부착되어, 전도성피막층(130)이 잘 떨어지지 않고, 인체의 피부(S)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ing 123 in the base film 120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100 attached to the skin S of the human body and a lead adapter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00 . A wing portion 123 is further protruded in the outer direction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se film 120 of the electrode portion 100. For example, when the base film 120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the wings 123 protrude from the four side portions. Whe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of the electrode unit 100 is attached to the skin S of the curved body or the like, the base film 120 is adhered Is adhered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 does not fall off but is firmly attached to the skin S of the human body.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리드어댑터(200)의 연결선(230)이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25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는 전극부(100)가 결합되는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며, 연결선(230)의 일측은 커넥터(210)를 통하여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선(230)의 타측은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25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연결선(230)의 타측에 결합부(234)가 구비되고 보조연결선(250)의 상기 결합부(234)와 대향되는 단부에 보조결합부(252)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234)와 상기 보조결합부(252)는 핀 타입으로 암수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3, a living body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nection line 230 of the lead adapter 20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250, respectively. That is,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100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a lead adapter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00. The lead adapter 200 includes a connector 210 to which the electrode unit 100 is coupled and a connection line 23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0. One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s connected to the sensor 210 through the connector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250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The coupling portion 23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line 230 and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52 is provided on the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line 250 facing the coupling portion 234, And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in-type manner.

이처럼 결합부(234)와 보조결합부(252)가 핀 타입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 연결선(230)의 회전 및 이동이 용이하여, 연결선(23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연결선(230)과 보조연결선(250)이 분리되므로, 연결선(230) 또는 보조연결선(250)이 꼬였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풀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coupling portion 234 and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52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pin-type manner, rotation and movement of the coupling line 230 are facilitated and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line 230 is facilitated.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23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2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line 230 or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250 is twisted, the connection line 230 can be quickly released.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5 실시예에서, 연결선(230)의 타측에 구비되는 결합부(235)와 보조연결선(250)에 구비되는 보조결합부(254)의 결합 방식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는 전극부(100)가 결합되는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며, 연결선(230)의 일측은 커넥터(210)를 통하여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선(230)의 타측은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25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연결선(230)의 타측에 결합부(235)가 구비되고 보조연결선(250)의 상기 결합부(235)와 대향되는 단부에 보조결합부(254)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선(230)의 결합부(235)는 평평하게 판형으로 형성되고, 보조연결선(250)의 보조결합부(254)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결합부(254)가 결합부(235)를 물게 되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14,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upling unit 235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25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n the fifth embodiment, The coupling method of the auxiliary coupling part 254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biological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100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a lead adapter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00. The lead adapter 200 includes a connector 210 to which the electrode unit 100 is coupled and a connection line 23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0. One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s connected to the sensor 210 through the connector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250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The coupling portion 235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line 230 and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54 is provided on the end of the auxiliary coupling line 250 facing the coupling portion 235. [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54 of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250 is formed in a jugular shape so that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54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235. The coupling portion 235 of the coupling line 23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소켓부에 연결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line is detachably coupled to a socket portion of a bio-sign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cross- FIG.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리드어댑터(200)의 커넥터(210)와 연결선(230)이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5 and 16, in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210 of the lead adapter 200 and the connection line 230 are mutually detachable Lt; / RTI > In other words,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100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a lead adapter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00.

그리고 리드어댑터(200)는 전극부(100)가 결합되는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며, 연결선(230)의 일측은 커넥터(210)를 통하여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선(230)의 타측은 외부의 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lead adapter 200 includes a connector 210 to which the electrode unit 100 is coupled and a connection line 23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0. One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s connected to the sensor 210 through the connector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커넥터(210)는 몸체(212)와 소켓부(216)와 전선부(218)를 포함한다. 몸체(212)는 센서전극(220)을 수용하도록 하부에 수용부(214)가 형성되며, 상부에 인체와 수평하도록 지지부(2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19)의 내부에는 수용부(214) 방향으로 관통부(219a)가 형성된다. 소켓부(216)는 지지부(219)의 관통부(219a)에 삽입되고, 전선부(218)는 소켓부(216)의 연장부(216b)와 수용부(214)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The connector 210 includes a body 212, a socket portion 216, and a wire portion 218. The body 212 has a receiving portion 214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receive the sensor electrode 220 and a supporting portion 219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be level with the human body. A through portion 219a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219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14. [ The socket portion 216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219a of the support portion 219 and the electric wire portion 218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ortion 216b of the socket portion 216 and the sensor electrode 220 hous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214, To each other.

연결선(230)은 전기가 통전되는 전선 등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소켓부(216)의 소켓홀(216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돌출부(232)가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에 위치한 상기 표시기기와 유선 등으로 연결된다.The protruding portion 232 is formed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socket hole 216a of the socket portion 216.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23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wired lines.

이처럼 연결선(230)이 소켓부(2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선(230)이 용이하게 회전되므로, 소켓부(216) 또는 연결선(23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연결선(230)과 소켓부(216)가 분리되므로, 연결선(230)이 꼬였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풀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connection line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ocket unit 216 and the connection line 230 is easily rotated, it is easy to move the socket unit 216 or the connection line 230, 230 and the socket portion 21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line 230 is twisted, the connection line 230 can be quickly released.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소켓부에 연결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line is detachably coupled to a socket portion of a bio-sign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cross- FIG.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 7 실시예에서, 몸체(212)에 형성되는 지지부(219'')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17 and 18,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219 '' formed on the body 212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That is, the bio-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100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a lead adapter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00.

그리고 리드어댑터(200)는 전극부(100)가 결합되는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며, 연결선(230)의 일측은 커넥터(210)를 통하여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선(230)의 타측은 외부의 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lead adapter 200 includes a connector 210 to which the electrode unit 100 is coupled and a connection line 23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0. One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s connected to the sensor 210 through the connector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커텍터는 몸체(212)와 소켓부(216)와 전선부(218)를 포함한다. 몸체(212)는 센서전극(220)을 수용하도록 하부에 수용부(214)가 형성되며, 상부에 인체와 수직하게 지지부(219'')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19'')의 내부에는 수용부(214) 방향으로 관통부(219a'')가 형성된다. 소켓부(216)는 지지부(219'')의 관통부(219a'')에 삽입되고, 전선부(218)는 소켓부(216)의 연장부(216b)와 수용부(214)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The connector includes a body 212, a socket portion 216, and a wire portion 218. The body 212 has a receiving portion 214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receive the sensor electrode 220 and a supporting portion 219 '' protruded vertically from the body. A through portion 219a ''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219 ''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14. [ The socket portion 216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219a "of the support portion 219" and the electric wire portion 218 is inserted into the extended portion 216b of the socket portion 216 and the sensor The electrodes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연결선(230)은 전기가 통전되는 전선 등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켓부(216)의 소켓홀(216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돌출부(232)가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에 위치한 상기 표시기기와 유선 등으로 연결된다.
The protrusion 232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line 230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socket hole 216a of the socket unit 21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electrode 2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outside by wire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전극부 110: 제 1 라이너
120: 베이스필름 120a: 관통공
122: 돌출부 122a: 삽입홀
123: 날개부 125: 절취선
130: 전도성피막층 140: 제 2 라이너
200: 리드어댑터 210: 커넥터
212: 몸체 214: 수용부
215: 고정부 216: 소켓부
216a: 소켓홀 216b: 연장부
218: 전선부 219, 219', 219'': 지지부
219a, 219a'': 관통부 220: 센서전극
222: 걸림부 230: 연결선
232: 돌출부 234, 235: 결합부
240: 집게부재 242: 제 1 집게부
244: 제 2 집게부 245: 탭
246: 탄성부 250: 보조연결선
252, 254: 보조결합부
100: electrode unit 110: first liner
120: base film 120a: through-hole
122: protrusion 122a: insertion hole
123: wing portion 125: perforated line
130: Conductive coating layer 140: Second liner
200: Lead adapter 210: Connector
212: body 214:
215: fixing part 216: socket part
216a: socket hole 216b: extension part
218: Wire section 219, 219 ', 219'': Support section
219a, 219a '': penetrating part 220: sensor electrode
222: engaging portion 230: connecting line
232: protrusions 234, 235:
240: clip member 242: first clip member
244: second clamping unit 245: tab
246: elastic portion 250: auxiliary connection line
252, 254: auxiliary coupling portion

Claims (12)

관통공을 갖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관통공을 덮도록 상기 관통공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상면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도성 피막층을 구비하는 전극부; 및
상기 피막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센서전극과,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수용된 상기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구비하는 리드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의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측부 방향으로 구비되는 집게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의 측부에는 상기 집게부재에 물리도록 돌출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집게부재에 물릴때, 상기 돌출부의 상기 삽입홀에 상기 집게부재에 형성되는 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And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having an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base film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through hole so as to cover the through hole, ; And
And a lead adapter having a sensor electrod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a connector accommodating the sensor electrode, and a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connector,
And a clamping member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line in a side direction of the base film,
The base film may have a protrusion formed on a side of the base film to be held by the clamping member. An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Wherein a tab formed on the clamp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held by the clamp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라이너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liner detachably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 second liner detachably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피막층은 하이드로겔(Hydrog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comprises a hydrogel.
제 1 항에 있이서,
상기 센서전극의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측에는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In paragraph 1,
A latching portion is formed on a side of the sensor electrode,
Wherein 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to receive the sensor electrode, and a fix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old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방에서 상기 연결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선이 내삽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센서전극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in a direction of the connection line and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line,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protruded to be inclined upward as it is away from the sensor electrod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재는,
상기 커넥터에서 상기 연결선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1 집게부의 하방에 대향 위치되며, 상기 제 1 집게부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집게부와,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 방향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타측이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집게부 또는 제 2 집게부의 일측에는 상기 탭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일측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물릴 때, 상기 탭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mp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lamp unit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to a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A second clamping unit positioned below the first clamping unit and coupled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clamping uni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ortions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cla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when one side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connector direction, And an elastic portion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ab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clamping unit,
Wherein the ta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hel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측에는 그 외측 방향으로 날개부가 더 구비되되,
인체와 대향되는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는 점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in an outward direction thereof,
And a tacky portion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facing the huma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lin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측에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부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은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삽입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타측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센서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 재질의 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관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or comprising:
A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to receive the sensor electrode and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A socket port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and having one side thereof located inside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nd a conductive wir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portion and the sensor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Wherein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line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ocke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의 일측은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선의 타측은 결합부가 구비되며,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이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electrode through the connector,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다수 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시트로 구성되되, 서로 인접한 상기 베이스필름은 절취선에 의하여 상호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라이너 및 상기 제 2 라이너는 하나의 상기 시트에 부착되도록 각각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se film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base films are arranged so as to be connected to one another in parallel or in series so that the base film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ut by the perforated lines,
Wherein the first liner and the second liner are each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one sheet.
KR1020130047547A 2013-04-29 2013-04-29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KR101530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47A KR101530002B1 (en) 2013-04-29 2013-04-29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PCT/KR2013/004001 WO2014178467A1 (en) 2013-04-29 2013-05-08 Apparatus for detecting bio-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47A KR101530002B1 (en) 2013-04-29 2013-04-29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36A KR20140128736A (en) 2014-11-06
KR101530002B1 true KR101530002B1 (en) 2015-06-19

Family

ID=5184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547A KR101530002B1 (en) 2013-04-29 2013-04-29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0002B1 (en)
WO (1) WO2014178467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404A (en) * 2009-03-17 2010-09-29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Ecg electrode having motion artifact electrode
KR101028584B1 (en) * 2008-08-27 2011-04-12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Tab electrode and wire leading to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142A (en) * 1996-12-17 1999-07-27 Ndm, Inc. Biomedical electrode having a disposable electrode and a reusable leadwire adapter that interfaces with a standard leadwire connector
KR200278492Y1 (en) * 2002-03-23 2002-06-20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A bioelectrode
JP4709672B2 (en) * 2006-03-22 2011-06-22 株式会社メッツ Electrocardiograph electro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84B1 (en) * 2008-08-27 2011-04-12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Tab electrode and wire leading to the same
KR20100104404A (en) * 2009-03-17 2010-09-29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Ecg electrode having motion artifact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8467A1 (en) 2014-11-06
KR20140128736A (en)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4029B1 (en) Electrode system
US5626135A (en) Medical electrode
KR101028584B1 (en) Tab electrode and wire leading to the same
KR101747858B1 (en)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measuring living body signal
JP2015534495A (en) Monitoring device
JP2012508619A5 (en)
KR101674579B1 (en)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JP2002325740A (en) Electrocardiogram electrode patch
WO2011038103A1 (en) Electrode system with rigid-flex circuit
EP3164064A1 (en) Medical electrode
CN110536633B (en) Electrocardiogram sensor
EP3348189B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WO2012026638A1 (en) Biomedical electrode having spuit
KR101530002B1 (en)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US20180008160A1 (en) Adjustable ecg sensor and related method
JP2023022298A (en)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US11278243B2 (en) Repositionable surface electrodes
KR101966516B1 (en) Wearable interface and apparatus measuring biological signal
CN216854692U (en) Wireless electrocardio blood oxygen collection patch for children and electrocardio blood oxygen monitoring system
AU2015200129B2 (en) Electrode system
CN215503050U (en) Health parameter monitoring connecting band and monitoring facilities
CN210355678U (en) Portable three-conductive electrode paste
CN215191644U (en) Electrocardiogram electrode fixing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repeatedly
CN211658145U (en) Detection instrument
CN211962042U (en) Electrode paste, brain electricity collection system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