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858B1 - 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 - Google Patents

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858B1
KR101529858B1 KR1020140013549A KR20140013549A KR101529858B1 KR 101529858 B1 KR101529858 B1 KR 101529858B1 KR 1020140013549 A KR1020140013549 A KR 1020140013549A KR 20140013549 A KR20140013549 A KR 20140013549A KR 101529858 B1 KR101529858 B1 KR 101529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operation
stylus
touch screen
functio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영민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오영민
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민, 김정태 filed Critical 오영민
Priority to KR102014001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8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having a wireless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lus having a wireless control function comprises: a main body capable of being grasped; a touch portion formed in an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roducing a signal by being contacted with a touch screen installed in an controlled apparatus; a wireless control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and wirelessly controlling the controlled apparatu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a data signal, produced in the wireless control portion, with the controlled apparatus. The wireless control portion includes one or more among a scroll rot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scroll rot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lus having a wireless control function enables to be conveniently used by wirelessly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0001] 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 WITH WIRELESS OPERATION [

본 발명은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폰,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게임기 등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ing various functions have been widely used. Such portable terminals include a mobile phone, a personal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game machine.

그리고,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제품을 소형화 하거나 심미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입력수단으로서 기존의 키패드(KEY PAD)를 대신하여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적용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에는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ICON)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이나 위치지정도구인 스타일러스(STYLUS)를 이용하여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miniaturize a product or enhance a sense of beauty, a touch screen is applied to such a portable terminal instead of a conventional keypad as an input means. An icon (ICON)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user can input a desired command by touching using a hand or a stylus (STYLUS) as a position designating tool.

여기서 스타일러스는 터치 스크린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표시를 할 때 사용되는 펜으로, 주로 필기구 형상을 갖는다.Here, the stylus is a pen used for displaying a touch screen, such as writing or drawing, and has a pen shape.

그러나 기존의 스타일러스는 단순히 터치 스크린을 클릭하는 수준에 불과하였으며, 스크롤 기능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스타일러스를 여러 번에 걸쳐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ylus is merely a click of the touch screen, and when the scroll function is used, the stylus has to be operated several times.

공개특허공보 10-2012-0135815 (2012.12.17)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35815 (December 17, 201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tylus capable of wirelessly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ylus capable of increas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클릭 이외에 스크롤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stylus having a scrolling function in addition to click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지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피 조작장치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터치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피 조작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는 무선조작부; 및 상기 무선조작부에서 발생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피 조작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조작부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크롤 및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크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comprising: a gripable body; A touch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generating a signal in contact with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operated device; A wireless operation unit formed o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wirelessly operating the operated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data signals generated by the wireless operation unit with the to-be-operated device, wherein the wireless operation unit includes a scroll that is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scroll that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including at least on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피 조작장치의 기능을 지정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실행부재를 포함하는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 stylus having a function executing member for specifying and executing a function of the operated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내용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도록 조작할 수 있는 스크린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operation s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including a screen moving member operable to move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p or down or from side to side.

또한,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커서가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도록 조작할 수 있는 스크린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operation s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including a screen moving member operable to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p or down or from side to side.

또한,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터치부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접촉할 때 상기 터치부가 접촉된 부분의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wireless operation s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including a switching member capable of switching a mode so that data of a portion where the touch section is touched when the touch section contacts the touch screen have.

또한,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무선조작부를 운전 또는 정지 상태로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operation s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including a switchable member capable of switching the mode of the wireless operation section to an operation mode or a stop mode.

또한, 상기 기능실행부재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3개 이상의 스크롤을 포함하고, 어느 하나의 스크롤은 빨간색 색상을 조절하고, 다른 하나의 스크롤은 녹색 색상을 조절하고, 또 다른 하나의 스크롤은 파란색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may include three or more scrolls capable of changing th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ne of the scrolls may control the red color, and the other of the scrolls may be the green color And the other one of the scrolls can be adjusted to the blue color.

또한, 상기 기능실행부재는, 상기 기능실행부재에 의해 설정된 색상을 기억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further including a button for memorizing a color set by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또한, 상기 기능실행부재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4개 이상의 스크롤을 포함하고, 어느 하나의 스크롤은 밝은 파랑 색상을 조절하고, 다른 하나의 스크롤은 밝은 자주 색상을 조절하고, 또 다른 하나의 스크롤은 노랑 색상을 조절하고, 또 다른 하나의 스크롤은 검정 상을 조절할 수 있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may include at least four scrolls capable of changing th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ne of the scrolls adjusting the bright blue color, A stylus may be provided that has a wireless manipulation function to adjust the color, adjust the color of the other one of the scrolls, and adjust the black image of the other one of the scroll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can be operated wirelessly and conveniently used.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실행에 있어서 터치부와 터치 스크린과의 접촉에만 의존하지 않고 별도의 기능실행부재를 사용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parate function execution member is used without depending only on the contact between the touch portion and the touch screen in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rrors can be reduced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터치부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을 여러 번 터치하지 않아도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r to move displayed contents without touching the touch screen through the touch part several times.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조작부의 형상을 변경한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무선조작부의 수량을 변경한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in which the shape of the wireless operation unit shown in Fig. 1 is chang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in which the number of wireless operation units shown in Fig. 1 is changed.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조작부의 형상을 변경한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무선조작부의 수량을 변경한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changing the shape of the wireless operation sec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ylus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10)는 크게 본체(100), 터치부(200), 무선조작부(300), 무선통신부(400) 그리고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stylus 10 having a wireless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touch unit 200, a wireless operation unit 30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500.

스타일러스(1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이하, "피 조작장치"라고 한다)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 예로 휴대폰, 태블릿 PC, 휴대용 게임기 등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타일러스(10)가 사용될 수 있는 피 조작장치로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tylus 10 is used for operating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rolled device"), and can be used, for example, for operating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portable game machine or the like. In this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operation device to which the stylus 10 can be used,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체(100)는 스타일러스(10)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0 acts as a frame of the stylus 10, and has a rod-like shape as a whole and can have a shape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이러한 본체(100)는 다수 개의 서브본체(미도시)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 시 서브본체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본체(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단축되거나 연장되게 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plurality of sub-bodies (not shown) connected thereto. In this case, the total length of the main body 100 may be shortened or extende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ub- .

전술된 본체(100)의 단부에는 터치부(200)가 형성된다.The touch portion 20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described above.

터치부(200)는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된 터치 스크린과 접촉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클릭할 수 있다. 터치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터치를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touch unit 200 has a function of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touch the touch screen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touch unit 200 can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a manner in which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s the touch.

일 예로, 감압식 터치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의 하부에 압력 센서가 설치되어 터치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 센서가 감지하여 터치 위치가 인식되는 방식이므로, 휴대용 단말기에 감압식 터치 스크린이 제공된 경우 터치부(200)는 위치 인식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단면적이 작은, 즉 단부가 날카로운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type touch screen is a type in which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touch screen, and a pressure sensor senses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and a touch position is recognized. The portion 200 may be made in a shape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i.e., a sharp edge, so as to increase the position recognition efficiency (to increase the pressure), and the material thereof is not limited.

반면에 정전식 터치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미세 전류가 인가되어 있어 전도체를 터치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접촉시키면 전류가 전도체를 타고 흐르게 됨으로써 터치 위치가 인식되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에 정전식 터치 스크린이 제공된 경우, 터치부(200)는 접촉 면적이 증대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 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apacitive touch screen uses a method in which a touch current is applied to a surface of a touch screen so that when a conducto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specific position of a touch screen, current flows through the conductor to recognize the touch pos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the electrostatic touch screen, the touch portion 200 can be made of a conductive rubber with which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and current can flow.

사용자는 본체(100)에 제공된 무선조작부(3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무선조작부(300)는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으로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체(100)에 장착된다. 무선조작부(300)는 기능실행부재(310), 스크린이동부재(320) 그리고 전환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has a function of wirelessly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may include a function executing member 310, a screen shifting member 320, and a switching member 330.

그 중 기능실행부재(310)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체(100)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수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unction executing member 310 has a function of executing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quantities in the main body 100.

하나의 기능실행부재(310)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과 연동되어 그 기능실행부재(310)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독립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스크린이동부재(320)가 지시하는 터치 스크린 상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실행되게 할 수도 있다.One function executing member 310 can independently execute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executing member 310 in conjunction with a specific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functions on the touch screen indicated by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described later may be integrally perform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타일러스(10)의 기능실행부재(310)는 제1기능실행부재(311), 제2기능실행부재(312), 제3기능실행부재(313)로 이루어져 있으나, 실행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수량의 기능실행부재(310)가 적용될 수 있다.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310 of the stylus 10 shown in Figs. 1 and 2 is composed of the first function execution member 311, the second function execution member 312, and the third function execution member 313, Various types of function execution members 310 may be applied according to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executed.

또한, 기능실행부재(310)는 도 1에서와 같이 휠 형태의 스크롤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버튼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executing member 310 may have a wheel-like scroll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nd may have a button shape as shown in FIG.

이러한 기능실행부재(310)의 일례로써, 기능실행부재(310)는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RGB 색상 조절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스크롤 또는 버튼이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을 기억하여 그 색상의 채도, 명도, 톤 등을 조절하게 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function executing member 310, the function executing member 310 may execute an RGB color adjusting function for adjusting th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at is, any one of the scrolls or buttons may store any one of the predetermined colors, thereby adjusting the saturation, brightness, tone, etc. of the color.

구체적으로, 제1기능실행부재(311)는 빨간색(RED) 색상을 조절하고, 제2기능실행부재(312)는 녹색(GREEN) 색상을 조절하고, 제3기능실행부재(313)는 파란색(BLUE)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타일러스(10)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유색의 이미지를 그리고자 할 때, 각각의 기능실행부재(310)를 조절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function executing member 311 adjusts the red color, the second function executing member 312 adjusts the GREEN color, and the third function executing member 313 adjusts the color BLUE) You can adjust the color. Accordingly, when the stylus 10 is used to display a colored image on the touch screen, the colors of the colors input on the touch scree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espective function execution members 310. [

이 때, 도 1에서와 같이 스크롤 구조의 기능실행부재(310)가 적용될 경우에는 스크롤을 본체(1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색상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회전하는 스크롤의 각도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RGB 색상 값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버튼 구조의 기능실행부재(310)가 적용될 경우에는 버튼을 누르는 시간에 비례하여 RGB 색상 값이 변화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unction implementing member 310 of the scroll structure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the color inputted to the touch screen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scrol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RGB color values input on the touch scree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rotating scroll. In addition, when the function implementing member 310 having the button structure is applied as shown in FIG. 2, the RGB color value may be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pressing time of the button.

그리고 기능실행부재(310)의 다른 예로써, 기능실행부재(310)는 도 3에서와 같이 4개의 기능실행부재(3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CMYK 색상 조절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기능실행부재(311)는 밝은 파랑(CYAN) 색상을 조절하고, 제2기능실행부재(312)는 밝은 자주(MAGENTA) 색상을 조절하고, 제3기능실행부재(313)은 노랑(YELLOW) 색상을 조절하고, 제4기능실행부재(314)는 검정(BLAK)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상에 유색의 이미지를 그리고자 할 때, 각각의 기능실행부재(310)를 조절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색상을 입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310,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310 may be composed of four function execution members 310 as shown in FIG. 3,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nction execution members 310 for adjusting th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MYK color adjustment function can be executed. The first function executing member 311 adjusts the bright blue color and the second function executing member 312 adjusts the bright MAGENTA color while the third function executing member 313 adjusts the YELLOW ), And the fourth function execution member 314 may adjust the BLAK color. Accordingly, when a user wants to display a colored image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colors to be input by controlling the respective function executing members 310. [

또한, 기능실행부재(310)를 이용하여 RGB 색상 조절 기능 및 CMYK 색상 조절 기능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경우,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유색의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할 경우 기존에 스크린 상에 표시되던 RGB의 색상값과 인쇄물에 표시되던 CMYK 색상값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GB color adjustment function and the CMYK color adjustment function are selectively used by using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310, when a colored image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using the stylus 10, And the CMYK color value displayed on the printout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스크린이동부재(320)는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내용이나 커서(CURSOR)의 위치가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도록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일반적인 마우스(MOUSE)에 적용되는 스크롤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린이동부재(320)는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하는 일차원적 회동을 할 수도 있으며, 트랙볼과 같이 상하 좌우로 이차원적 회동을 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Next,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has a function of operat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r the position of the curso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rsor moves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 same structure as the scroll applied to a general mouse Can be applied. Specifically,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may be one-dimensionally rotated in a top-down or left-and-right manner, or two-dimensionally rotated in a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 as in a trackball.

이러한 스크린이동부재(320)가 그 회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가 감지한 스크린이동부재(320)의 위치는 후술되는 제어부(500) 및 무선통신부(4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되어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이동시키거나, 커서(CURSOR)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The screen moving member 32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rotation of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The position of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sensed by the sensor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5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It is possible to mov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ursor.

또한, 스크린이동부재(320)가 본체(100) 상에 장착되는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스크린이동부재(320)는 사용자가 본체(100)를 파지할 때 검지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될 경우 스크린이동부재(320) 조작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Although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may be mounted 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position when the user holds the main body 100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can be improved.

무선조작부(300)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전환부재(330)는 터치부(200)의 입력모드를 삭제모드로 전환시키고, 무선조작부(300)의 운전모드를 정지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체(10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The switching member 330, which is another component of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ha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input mode of the touch unit 200 to the erasure mode an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to the stop mode And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전환부재(33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전환부재(330)를 지속적으로 누른 상태에서 터치부(200)를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시키면, 터치부(200)가 삭제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과 터치부(200)과 접촉되는 부분의 데이터는 삭제될 수 있다.The switching member 330 may have a button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case, when the touch member 200 is mov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switch member 330 is continuously pressed, . ≪ / RTI > And the data of the portion touching the touch screen and the touch unit 200 can be deleted.

그리고 이러한 전환부재(330)는 클릭 여부에 따라 무선조작부(300)의 운전 모드를 운전 또는 정지 상태로 전환되게 할 수도 있다.The switching member 33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to the operation mode or the stop mod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ser clicks the button.

전술된 무선조작부(300)의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는 본체(100) 내에 탑재된 제어부(500)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되며, 다시 무선통신부(4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된다. 무선통신부(400)는 휴대용 단말기와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하여 무선조작부(300)의 운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한다.The analog data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described above is converted into a digital data signal by the control unit 500 mounted in the main body 100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aga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transmits / receives a digital data signal to /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enables the portable terminal to be operated wireless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tylus having the wireless oper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인 스타일러스(10)의 본체(100) 상부를 파지한 후 터치부(200)로 터치 스크린을 클릭하거나,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한다. 터치부(200)는 터치 스크린의 종류에 따라 감압식 또는 정전식으로 접촉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4, the user hold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of the styl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clicks the touch screen with the touch unit 200 or inputs data to be input. The touch unit 200 may be in a pressure-sensitive or electrostatic mann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ouch screen.

터치부(200)에 의해 입력된 내용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전환부재(330)를 실행시키면 제어부(500)를 통해 터치부(200)의 접촉이 삭제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부(200)가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면 접촉된 부분의 내용이 삭제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contents inputted by the touch unit 200 are required to be corrected, the contact of the touch unit 200 can be switched to the deletion mode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when the switch member 330 is executed. Therefore, when the touch unit 200 touches the touch screen, the contents of the touch unit can be deleted.

그리고, 스크린이동부재(320)를 회동 시키면 센서에 의해 스크린이동부재(320)의 회동이 감지되어 스크린이동부재(320)의 위치가 제어부(500) 및 무선통신부(400)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고,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이 움직이거나 커서가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is rotated, the rotation of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is sensed by the sensor and the position of the screen moving member 320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an be moved or the cursor can be moved.

이 때, 커서가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 상의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할 경우, 기능실행부재(310)를 눌러 그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독립된 기능실행부재(310)를 클릭하여 커서가 지시하지 않는 별도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부(200)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을 여러 번 터치하지 않아도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 on the touch screen where the cursor is located, the function executing member 310 may be pressed to execute the function. Then, the user can click the independent function execution member 310 to execute a separate specific function not indicated by the cursor. Accordingly,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without touching the touch screen through the touch unit 200, and the displayed content can be moved on the touch screen.

그리고 터치부(200)의 접촉에 의존하지 않고 기능실행부재(310)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터치부(200)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executed by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310 without depending on the contact of the touch unit 200, the error caused by the contact failure of the touch unit 200 can be reduced.

또한, 무선조작부(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환부재(330)를 이용하여 무선조작부(3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무선조작부(300)와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의도치 않은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is not used,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can be stopped by using the switching member 330, so that the wireless operation unit 300 can be operated unintentionally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 된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be included in the described technical idea.

10: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 100: 본체
200: 터치부 300: 무선조작부
310: 기능실행부재 320: 스크롤부재
330: 전환부재 400: 무선통신부
500: 제어부
10: Stylus with wireless operation function 100: Body
200: touch part 300: wireless operation part
310: function execution member 320: scroll member
330: switching member 40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0:

Claims (9)

파지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피 조작장치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터치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피 조작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는 무선조작부; 및
상기 무선조작부에서 발생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피 조작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피 조작장치의 기능을 지정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실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실행부재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의 빨간색 색상을 조절하는 제1기능실행부재;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의 녹색 색상을 조절하는 제2기능실행부재;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의 파란색 색상을 조절하는 제3기능실행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
A gripable body;
A touch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generating a signal in contact with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operated device;
A wireless operation unit formed o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wirelessly operating the operated device;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a data signal generated by the wireless operation unit with the operated device,
The wireless operation unit includes:
And a function executing member for specifying and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operated device,
Wherein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comprises:
A first function execution member for adjusting a red color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second function execution member for adjusting the green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nd a third function execution member for adjusting the blu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Stylus with wireless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조작부는,
버튼 구조, 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이나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스크롤 구조를 갖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operation unit includes:
A button structure, or a scroll structure rotat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o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tylus with wireless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내용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도록 조작할 수 있는 스크린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operation unit includes:
And a screen moving member operable to move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Stylus with wireless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커서가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도록 조작할 수 있는 스크린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operation unit includes:
And a screen moving member operable to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p or down or left or right
Stylus with wireless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터치부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접촉할 때 상기 터치부가 접촉된 부분의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operation unit includes:
And a switching member capable of switching the mode so that data of a portion where the touch unit is contacted is deleted when the touch unit touches the touch screen
Stylus with wireless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조작부는,
상기 무선조작부를 운전 또는 정지 상태로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operation unit includes:
And a switching member capable of switching the mode of the wireless operation unit to an operation mode or a stop m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실행부재는,
상기 기능실행부재에 의해 설정된 색상을 기억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무선 조작 기능을 갖는 스타일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nction execution memb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button for storing a color set by said function execution member
Stylus with wireless operation.
삭제delete
KR1020140013549A 2014-02-06 2014-02-06 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 KR101529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549A KR101529858B1 (en) 2014-02-06 2014-02-06 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549A KR101529858B1 (en) 2014-02-06 2014-02-06 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858B1 true KR101529858B1 (en) 2015-06-19

Family

ID=5351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549A KR101529858B1 (en) 2014-02-06 2014-02-06 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85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90A (en) * 1999-10-25 2002-08-13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Electronically controllable pen
KR20120045272A (en) * 2010-10-29 2012-05-09 (주)더게이트테크놀러지스 Touch pen and touch screen apparatu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90A (en) * 1999-10-25 2002-08-13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Electronically controllable pen
KR20120045272A (en) * 2010-10-29 2012-05-09 (주)더게이트테크놀러지스 Touch pen and touch screen apparatu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22334B (en) The control method of touch screen and device
US10114485B2 (en) Keyboard and touchpad areas
US20090153527A1 (en)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plurality of parameters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plurality of parameters
US20140055384A1 (en) Touch panel and associated display method
JP5265433B2 (en) Display device and program
WO2012162932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left and right hands self-adaptive virtual keyboard
KR10133994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JP2014099214A (en) Touch screen
KR20100033214A (en) Automatic switching method of input-mode by input pattern
KR20160019762A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with one hand
US20190034070A1 (en) Flexible & customisable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device that combines the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keyboard and pointing device (mouse/touchpad) on a laptop & desktop computer
KR101332708B1 (en) Mobile terminal and case with rear side auxiliary touch input device
KR102259434B1 (en) Multi function touch pen
KR101529858B1 (en) Stylus with wireless control function
KR20110034137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thereof
US11054934B2 (en) Electronic device
KR20120107231A (en) Method for inputting in capacity touch screen terminal and device thereof
KR20150114332A (en) Smart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17117B1 (en) Input device of info-communication equipment
JP2005094595A (en) Electronic device
JP5928550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program
CN110914795A (en) Writing board, writing board assembly and writing method of writing board
JP3180086U (en) Touch panel type small terminal operation tool
TWI463351B (en) How to operate the display screen display mode
KR101339685B1 (en) Interface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