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462B1 -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462B1
KR101529462B1 KR1020140182629A KR20140182629A KR101529462B1 KR 101529462 B1 KR101529462 B1 KR 101529462B1 KR 1020140182629 A KR1020140182629 A KR 1020140182629A KR 20140182629 A KR20140182629 A KR 20140182629A KR 101529462 B1 KR101529462 B1 KR 101529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recipient
dangerous situation
situ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정현
정태문
Original Assignee
(주)리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감 filed Critical (주)리감
Priority to KR102014018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4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4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monitoring mobile safety comprises: a dangerous situation data acquiring unit to acquire dangerous situation data for determining a dangerous situation; a dangerous situation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a dangerous situation exists based on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a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o generat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if the dangerous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dangerous situation determining unit; a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o transmit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 recipient selecting unit to select a recipient receiving a support request; and a support requesting unit to request a support by transmitting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mobile safety have an effect of establishing a private safety management platform capable of quickly and efficiently corresponding in all management steps of a safety management public institution by quickly performing the initial reaction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location, a video, or the like to SNS acquaintances in a short distance if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a wearable device.

Description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0001]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한 경우 자동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SNS 지인들에게 위치, 동영상 등을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n which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a wearable device, To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최근 각종 사회 범죄가 증가하고 또한 예기치 않은 재난,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이러한 범죄, 재난, 사고 등 위험 상황에 대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러한 위험 상황에 대한 공공 관리 체계는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신속한 초기 대응이 어렵고 안전관리 공공기관(예를 들어, 경찰서, 소방서 등)의 업무 과중에 따른 부담 및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관리 공공기관의 관리 전 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민간 안전관리 플랫폼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As the number of social crimes increases and unexpected disasters and accidents occur more frequent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afety for such crimes, disasters and accidents. In addition, although there is a public management system for such a risk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respond promptly to initial response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burden and cost increase due to the work load of safety management public institutions (for example, police station, fire station, etc.).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ivil safety management platform that can respond promptly and efficiently at all stages of management of such safety management public institutions.

이러한 민간 안전관리 플랫폼의 확립을 위하여 안전관리 공공기관의 관리 전 단계에서 지인들에게 위험 상황을 통보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시스템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기존의 지인에 대한 도움 요청 방법은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사람에 국한되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지인들의 범위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In order to establish such a private safety management platform, a system that can notify the acquaintances about the risk situation and ask for help at the pre-management stage of the safety management public institution may be effective. However, There is a limited range of acquaintances who can ask for help limited to a known person.

한편,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이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온라인 상의 지인간의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교류 활동 및 이를 이용한 각종 마케팅 등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기존 오프라인상의 지인들 뿐만 아니라 SNS를 통한 온라인상의 지인들에게 위험 상황을 통보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그 범위면에 있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mobile environment using smart phones has developed, the population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has been increasing, And various kinds of marketing using them are being activated. Therefore, it can be very effective in the range of requesting the help of notifying the acquaintances of the existing offline as well as the on-line acquaintances through the SN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한 경우 자동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SNS 지인들에게 위치, 동영상 등을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관리 공공기관의 관리 전 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민간 안전관리 플랫폼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a wearable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transmits a location, a moving image, and the like to nearby SNS acquaintances automatically to enable quick initial respon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rivate safety management platform capable of promptly and efficiently responding at a pre-management stage of the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은, 위험상황의 판정을 위한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위험상황 데이터 획득부;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상황 여부를 판정하는 위험상황 판정부; 상기 위험상황 판정부에 의해 위험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위험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황정보 생성부; 상기 위험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위험상황정보 전송부;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을 선정하는 수신인 선정부; 상기 수신인에게 상기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하는 지원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risk situation data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risk situation data for determining a risk situation; A dangerous situa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angerous situation exists based on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A risk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risk situ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A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 recipi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recipient to request assistance; And a support request unit for sending the risk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to request support.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 획득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는, 뇌파 및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포함하는 신체신호를 감지하여 획득되는 신체신호 데이터; 카메라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상황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주변상황 데이터; 및 푸쉬 버튼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행동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행동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상황정보는, 위험의 종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험의 종류는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동영상은 스트리밍(streaming) 동영상일 수 있고, 상기 수신인 선정부는,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인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는 수신인을 선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은, 사용자의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지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지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risk-situation data obtaining unit may obtain the risk-status data using a wearable device, and the risk-situation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ody image obtained by sensing a body signal including a brain wave and a vital signal Signal data; Ambient condition data obtained by detecting a surrounding situation using a camera or a temperature sensor; And behavior data obtained by detecting a behavior of a body using a push button 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type of risk, a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and a video image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the type of the risk i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 Bluetooth beacon, streaming video, and the recipient selection unit acquir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and selects a recipi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And a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may select a recipient from the list stor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of the user It may include friends of friends or social network services (SN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은, 위험상황의 판정을 위한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상황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상황 판정부에 의해 위험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위험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험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인에게 상기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safety management method including: obtaining risk status data for determining a risk situation; Determining whether a risk situation is present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Generating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dangerous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ransmitting the risk status information to a server; Selecting a recipient to request assistance; And transmitting the risk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to request support.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는, 뇌파 및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포함하는 신체신호를 감지하여 획득되는 신체신호 데이터; 카메라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상황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주변상황 데이터; 및 푸쉬 버튼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행동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행동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상황정보는, 위험의 종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험의 종류는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동영상은 스트리밍(streaming) 동영상일 수 있으며, 상기 수신인을 선정하는 단계는,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인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는 수신인을 선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은, 사용자의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지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지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obtaining of the risk condition data may acquire the risk condition data using a wearable device, and the risk condition data may include a body signal including a brain wave and a vital signal Body signal data obtained; Ambient condition data obtained by detecting a surrounding situation using a camera or a temperature sensor; And behavior data obtained by detecting a behavior of a body using a push button 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type of risk, a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and a video image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the type of the risk i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 Bluetooth beacon, streaming video,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recipient may include acquir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and selecting the recipien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may select a recipient who is locat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of the user It may include friends of friends or social network services (SNS) registered in the book.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은 이를 프로그램 명령어로 구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mobile safe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command and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한 경우 자동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SNS 지인들에게 위치, 동영상 등을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관리 공공기관의 관리 전 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민간 안전관리 플랫폼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quick initial response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locations and moving images to nearby SNS acquirers automatically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a wear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civil safety management platform capable of quickly and efficiently responding at the pre-management stage of the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obile safety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100)은, 위험상황의 판정을 위한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위험상황 데이터 획득부(110),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상황 여부를 판정하는 위험상황 판정부(120), 위험상황 판정부(120)에 의해 위험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위험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황정보 생성부(130), 위험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위험상황정보 전송부(140),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을 선정하는 수신인 선정부(150), 및 수신인에게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하는 지원요청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sk situation data obtaining unit 110 for obtaining risk situation data for determining a risk situation, A risk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for generating risk situ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20 and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20, A recipient selection unit 150 for selecting a recipient to request support, and a support request unit 160 for requesting support by transmitting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감지하는 경우 가족, SNS 친구들과 같은 지인이나 경찰서, 소방서 등의 안전관리 공공기관에 비상호출을 하고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상황에 대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위험상황에 처한 경우 자동으로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user's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by the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call is made to a safety management public institution such as a family member or an SNS friend or a police station or a fire station, So that it can automatically request support when it is in a dangerous situation.

특히,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반경 내의 SNS 등록 인원을 대상으로 영상, 위치정보 등을 자동으로 전송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있는 지인들에 의한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3, as images,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NS registered persons within the setting radius,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requests by the acquaintances located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에서, 위험상황 데이터 획득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이용하여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에 이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계, 목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가능한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통신을 포함한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갖추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situation data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using a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used herein may include jewelry such as a watch, a necklace, a ring, and the like, and is wearable on the wearer's body. In recent years, wearabl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with various smart functions including communication, so that these smart wearable devices can be used.

위험상황 데이터는 위험상황 여부를 판정하고 그 위험종류를 결정하는데 판단 근거가 될 수 있는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 위험상황 데이터는, 뇌파 및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포함하는 신체신호를 감지하여 획득되는 신체신호 데이터, 카메라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상황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주변상황 데이터, 및 푸쉬 버튼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행동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행동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isk situation data is data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judging whether or not a risk situation exists and determining the type of risk. Specifically,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includes body signal data obtained by sensing a body signal including a brain wave and a vital signal, ambient condition data obtained by sensing a surrounding situation using a camera or a temperature sensor, Button or an acceleration sensor to detect the behavior of the body.

즉, 위험상황 데이터로서 뇌파와 체온, 호흡, 맥박, 혈압 등의 바이탈 신호를 포함하는 신체신호가 이용될 수 있는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러한 신체신호가 수집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호흡과 맥박이 빨라지고 체온이 상승하는 등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험상황에 처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at is, as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body signals including brain waves and vital signals such as body temperature, respiration, pulse, and blood pressure may be used. Such a body signal can be collected through wearable devices, , The body changes such as respiration and pulsing are accelerated and the body temperature is raised, so that the user can judge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a present danger state.

또한, 위험상황 데이터로서 주변상황을 카메라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주변상황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재 발생시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또는 강도 등의 범죄 발생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범죄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a temperature sensor to judge that the temperature rises at the time of fire occurrence, or to detect a temperature ris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 crime such as robber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a crime situation has occurred by analyz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wearable device at the time of occurrence.

이러한 센서에 의한 자동 감지 이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간단히 위험상황 판정부(120)가 위험상황으로 판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재나 범죄 발생 등의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이를 흔드는 행동을 하는 경우, 푸쉬 버튼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이러한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함으로써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utomatic detection by such a sensor, the user may directly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and may simply make the dangerous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20 judge it as a dangerous situation. For example, when a user recognizes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fire or an offense and presses a button of a wearable device or shakes it, the behavior of the user is detected by using a push button or an acceleration sensor,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has occurred.

상기와 같이 위험상황 데이터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상황 판정부(120)에 의해 위험상황 여부가 판정된다. 이 때, 위험상황 판정부(120)는 위험상황 데이터, 즉, 수집된 신체신호 데이터, 주변상황 데이터, 및 행동 데이터를 기 등록된 위험판정 기준에 부합하는지 결정함으로써 위험상황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 등록된 위험판정 기준은 사용자가 설정하여 둔 것일 수도 있고,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된 기준일 수도 있으며, 전문가에 의하여 정하여진 기준이 될 수도 있다. 수집된 신체신호 데이터, 주변상황 데이터, 및 행동 데이터가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지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위험상황 여부가 판정된다.The dangerous situation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angerous situation exists based on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obtained by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obtaining unit 110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dangerous situation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isk situation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that is, the collected body signal data, the surrounding situation data, and the behavior data meet the pre- Here, the previously registered risk criteria may be set by the user, analyzed using the big data, or may be a standard determined by an expert. The risk situation is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whether the collected body signal data, surrounding situation data, and behavior data meet these criteria.

만일 위험상황 판정부(120)에 의하여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위험상황정보 생성부(130)에서는 위험상황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위험상황정보는 위험의 종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포함하게 되는데, 여기서, 위험의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온도 센서에 의해 주변 온도가 상승하였음을 감지하는 경우, 이는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므로, 그 위험의 종류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있게 된다. If it is determined by the dangerous situation determining unit 120 that a dangerous situation exists,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generate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includes a kind of risk, 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moving picture of a dangerous situation. Here, the kind of risk i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has risen,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at kind of risk it is.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기본적으로 통상의 스마트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최근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활용한 비콘(beacon)에 의하여 보다 정밀한 측위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GPS를 이용하는 경우 오차가 수 미터에 달하는 반면,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하는 경우 수 센티미터 단위까지의 정밀한 측위가 가능한 이점이 있고, 통상의 스마트 기기에서는 이러한 GPS 및 블루투스 기능을 모두 지원하므로 이들을 활용하면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basically determined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included in an ordinary smart device, and a beacon using Bluetooth More precise positioning is possible. In general, when GPS is used, error is several meters. In case of using Bluetooth beacon, accurate positioning up to several centimeters can be advantageously performed. In general, since the smart device supports both GPS and Bluetooth functions, Can be determined.

한편,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은 스트리밍(streaming) 동영상이 될 수 있어, 개인의 단말기에 저장되는 대신 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이는 서버에서 지인들의 스마트폰으로 동시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RTSP, RTP 프로토콜을 이용한 다자간 스트리밍 영상 전송으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oving picture of a dangerous situation can be a streaming moving picture, and can be stored in a server instead of being stored in an individual terminal, and can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a smartphone of an acquaintance in real time. It can be implemented as multi-streaming video transmission using RTSP and RTP protocols.

위험상황정보 전송부(14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위험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즉, 위험의 종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이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사용자 주변의 비콘을 통해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직접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transmits the above-described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hat is, a moving picture of a kind of a risk, a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and a dangerous situ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server and stored in a server. In this case,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via the smartphone of the user or a beacon around the user, or may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server from the smart wearable device.

위험상황정보 전송부(140)에서 서버로 위험의 종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 등의 위험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수신인 선정부(150)에서는 이러한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을 선정하게 된다. 수신인 선정부(150)는,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수신인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는 수신인을 선정하게 되며, 여기서,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은, 사용자의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지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의 지인이 될 수 있다.When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transmits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kind of the danger,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oving picture of the dangerous situation to the server, the recipient selection unit 150 transmits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And select the recipient to whom the support is requested. The recipient selection unit 150 acquir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and selects recipien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Here,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may be an acquaintance register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stored in the user's telephone or an acquaintance of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수신인 선정부(150)는, 예를 들어, 현재 위험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범위 내에 있는 지인들에게만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가까운 곳의 지인들에 의해 신속한 초기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들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위치 추적을 통해 이들 수신인들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필요가 있으며, 수신인 목록에 포함될 수신인들을 먼저 등록하여 놓는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수신인들을 일일이 사용자가 등록하여 놓을 필요는 없으며 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업로드하거나 또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의 SNS와 연동하여 SNS 친구를 수신인으로 선정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The recipient selection unit 150 may send the risk status information to only those persons who are within a certain radius range, for example, centering on the position of the user who is currently in a dangerous situation, A quick initial response can be achieve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cqui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s through location tracking using the smartphone of the recipients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and it may be necessary to register the recipients to be included in the recipient list first. However,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s to register the recipients individually, and it is possible to upload the phone book stored in the smart phone, or to set the conditions for selecting the SNS friend as the recipient by linking with the SNS such as Facebook or Twitter .

이와 같이 수신인 선정부(150)에서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수신인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는 수신인을 선정하면, 지원요청부(160)에서는 선정된 수신인에게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한다. 이 때, 선정된 수신인은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위급상황 PUSH 알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험상황을 촬영한 영상을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스트리밍 영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인은 위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스트리밍 영상을 확인하고 지인이 처한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recipient selection unit 150 obtain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recipient list previously registered, and selects a recipi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recipien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The support request unit 160 sends the risk information to the selected recipient to request support. At this time, the selected recipient can receive the emergency situation PUSH notification from his / her smartphone, and can reproduce the ima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in the streaming image from his / her smartphone. Accordingly, the receiver can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message and the streaming image, recognize the danger situation of the acquaintance,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방법은, 위험상황의 판정을 위한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0),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상황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200), 위험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위험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00), 위험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00),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을 선정하는 단계(S500), 및 수신인에게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safety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safety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risk status data for determining a risk situation; (S100),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isk situ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S200), generating risk situation information (S300) when the risk situation is determined, transmitting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Selecting a recipient to be supported (S500), and requesting support (S600) by sending the risk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S600).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는, 뇌파 및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포함하는 신체신호를 감지하여 획득되는 신체신호 데이터; 카메라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상황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주변상황 데이터; 및 푸쉬 버튼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행동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행동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상황정보는, 위험의 종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험의 종류는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동영상은 스트리밍(streaming) 동영상일 수 있으며, 상기 수신인을 선정하는 단계는,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인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는 수신인을 선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은, 사용자의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지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지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obtaining of the risk condition data may acquire the risk condition data using a wearable device, and the risk condition data may include a body signal including a brain wave and a vital signal Body signal data obtained; Ambient condition data obtained by detecting a surrounding situation using a camera or a temperature sensor; And behavior data obtained by detecting a behavior of a body using a push button 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type of risk, a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and a video image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the type of the risk i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 Bluetooth beacon, streaming video,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recipient may include acquir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and selecting the recipien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may select a recipient who is locat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of the user It may include friends of friends or social network services (SNS) registered in the book.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과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obile safety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한 경우 자동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SNS 지인들에게 위치, 동영상 등을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관리 공공기관의 관리 전 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민간 안전관리 플랫폼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quick initial response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locations, moving images, and the like to nearby SNS acquirers automatically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a wearable device , It is effective to establish a private safety management platform capable of prompt and efficient response at all stages of management of safety management public institution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안전 감시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safety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i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nstructions are recorded includes, for example, a ROM, a RAM,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medi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may be distributed to a computer apparatus connected via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is case,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omputers may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send the results of the execution to one or more of the other distributed computers, The computer may als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provide the results to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s well.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뿐 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pplication as a program for driving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d can be used not only in a general PC such as a general desktop or a notebook computer but also in a smart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like,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ll devices capable of compu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can be includ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위험상황의 판정을 위한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위험상황 데이터 획득부;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상황 여부를 판정하는 위험상황 판정부;
상기 위험상황 판정부에 의해 위험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위험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황정보 생성부;
상기 위험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위험상황정보 전송부;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을 선정하는 수신인 선정부; 및
상기 수신인에게 상기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하는 지원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상황정보는, 위험의 종류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의 종류는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은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되고,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되는 수신인은, 사용자의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지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지인을 포함하며,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은 상기 전화번호부를 업로드하거나 또는 SNS와 연동하여 SNS의 지인을 수신인으로 선정하는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자동으로 작성되는, 모바일 안전 관리 시스템.
A risk situation data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risk situation data for determining a risk situation;
A dangerous situa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angerous situation exists based on the dangerous situation data;
A risk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risk situ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A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 recipi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recipient to request assistance; And
And a support request unit for sending the risk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to request support,
The risk information includes a type of risk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erein the type of the risk i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Bluetooth beacon,
The recipient for requesting the support is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includes an acquaintance register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stored in the telephone of the user or an acquaintanc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Where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is automatically created by uploading the telephone directory or by establishing a condition for selecting an acquaintance of the SNS as a recipient in cooperation with the S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 획득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모바일 안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sk status data obtaining unit obtains the risk status data using a wearab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는,
뇌파 및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포함하는 신체신호를 감지하여 획득되는 신체신호 데이터;
카메라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상황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주변상황 데이터; 및
푸쉬 버튼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행동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행동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안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sk condition data includes:
Body signal data obtained by sensing a body signal including an EEG and a vital signal;
Ambient condition data obtained by detecting a surrounding situation using a camera or a temperature sensor; And
Wherein the mobile safe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behavior data obtained by sensing a behavior of a body using a push button or an acceleration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정보는,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안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moving picture of a dangerous situ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스트리밍(streaming) 동영상인, 모바일 안전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ing picture is a streaming moving pi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인 선정부는,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인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는 수신인을 선정하는, 모바일 안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ipient selecting unit obtain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and selects a recipien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위험상황의 판정을 위한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상황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위험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위험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험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인에게 상기 위험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지원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상황정보는, 위험의 종류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의 종류는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지원을 요청할 수신인은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되고,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되는 수신인은, 사용자의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지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지인을 포함하며,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은 상기 전화번호부를 업로드하거나 또는 SNS와 연동하여 SNS의 지인을 수신인으로 선정하는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자동으로 작성되는,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
Obtaining risk situation data for determination of a risk situation;
Determining whether a risk situation is present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Generating, if it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risk status information to a server;
Selecting a recipient to request assistance; And
Sending the risk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and requesting support,
The risk information includes a type of risk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erein the type of the risk i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situation dat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Bluetooth beacon,
The recipient for requesting the support is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includes an acquaintance register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stored in the telephone of the user or an acquaintanc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Where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is automatically created by uploading the phone book, or in conjunction with the SNS, setting conditions for selecting the acquaintance of the SNS as the recipie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를 획득하는,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cquiring of the risk condition data acquires the risk condition data using a wearable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데이터는,
뇌파 및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포함하는 신체신호를 감지하여 획득되는 신체신호 데이터;
카메라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상황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주변상황 데이터; 및
푸쉬 버튼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행동을 감지하여 획득되는 행동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isk condition data includes:
Body signal data obtained by sensing a body signal including an EEG and a vital signal;
Ambient condition data obtained by detecting a surrounding situation using a camera or a temperature sensor; And
Wherein the action data is obtained by detecting a behavior of a body using a push button or an acceleration sens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정보는, 위험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moving picture of a dangerous situ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스트리밍(streaming) 동영상인,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ving picture is a streaming moving pictu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인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 등록된 수신인 목록에 포함된 수신인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인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는 수신인을 선정하는,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selecting the recipient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included in the pre-registered recipient list; selecting recipien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cipient , Mobile safety management method.
삭제delete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안전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a mobile safe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are recorded.
KR1020140182629A 2014-12-17 2014-12-17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5294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29A KR101529462B1 (en) 2014-12-17 2014-12-17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29A KR101529462B1 (en) 2014-12-17 2014-12-17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462B1 true KR101529462B1 (en) 2015-06-18

Family

ID=5351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629A KR101529462B1 (en) 2014-12-17 2014-12-17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462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97A (en) * 2017-12-14 2019-06-24 김근상 Portable IoT Device for Missing Child Preventing with mosquito eradication, Missing Child Preventing Ser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999377B1 (en) * 2019-02-08 2019-07-12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 Method for proceed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neighbors
KR101984190B1 (en) * 2018-05-04 2019-09-03 김근상 IoT Device for Missing Child Preventing with Mosquito Repelling Function, Missing Child Preventing Ser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Downloading a Frequency from a Wireless Terminal by the IoT Device for Missing Child Preventing with Mosquito Repelling Function
KR101993307B1 (en) * 2018-03-26 2019-09-26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 Method for proceed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neighbors
CN112270805A (en) * 2020-10-22 2021-01-26 新华网股份有限公司 Fatigue state early warning system and fatigue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20210047491A (en) * 2019-10-22 2021-04-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Determining the risk of fire situation system by analyzing fire record information on the fire situation and method thereof
WO2022039373A1 (en) * 2020-08-19 2022-02-24 백우민 Individual dangerous state detec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US11605145B2 (en) 2018-03-22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25B1 (en) * 2011-10-05 2013-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message spread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378564B1 (en) * 2012-12-31 2014-03-24 안헌일 A terminal for self-protection and a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25B1 (en) * 2011-10-05 2013-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message spread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378564B1 (en) * 2012-12-31 2014-03-24 안헌일 A terminal for self-protection and a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97A (en) * 2017-12-14 2019-06-24 김근상 Portable IoT Device for Missing Child Preventing with mosquito eradication, Missing Child Preventing Ser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993842B1 (en) * 2017-12-14 2019-06-27 김근상 Portable IoT Device for Missing Child Preventing with mosquito eradication, Missing Child Preventing Ser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605145B2 (en) 2018-03-22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KR101993307B1 (en) * 2018-03-26 2019-09-26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 Method for proceed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neighbors
WO2019189953A1 (en) * 2018-03-26 2019-10-03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 Method for handling dangerous situation of single person using neighbor
KR101984190B1 (en) * 2018-05-04 2019-09-03 김근상 IoT Device for Missing Child Preventing with Mosquito Repelling Function, Missing Child Preventing Ser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Downloading a Frequency from a Wireless Terminal by the IoT Device for Missing Child Preventing with Mosquito Repelling Function
KR101999377B1 (en) * 2019-02-08 2019-07-12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 Method for proceed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neighbors
KR20210047491A (en) * 2019-10-22 2021-04-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Determining the risk of fire situation system by analyzing fire record information on the fire situ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260019B1 (en) * 2019-10-22 2021-06-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Determining the risk of fire situation system by analyzing fire record information on the fire situation and method thereof
WO2022039373A1 (en) * 2020-08-19 2022-02-24 백우민 Individual dangerous state detec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CN112270805A (en) * 2020-10-22 2021-01-26 新华网股份有限公司 Fatigue state early warning system and fatigue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462B1 (en)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4098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 action to be taken in response to a user query as a function of pre-query context information
US9374698B2 (en) Personalized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CA3075301C (en) Method and device for responding to an audio inquiry
US97043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EP3762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query as a function of captured multi-party voice dialog and an electronically stored multi-party voice-interaction template
US1017821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ing a voice message
AU2018422609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an audio inquiry by gathering information distributed amongst users in real-time and providing a calculated result
US202002586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response data acquisition and retrieval
US20170330445A1 (en) Mobile safety platform
CA3065096C (en) Adaptation of the auditory output of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in accordance with an indication of the acoustic environment
KR102032427B1 (en) A system that automatically sends rescue request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a crime
US20170230786A1 (en) Tracking a plurality of associated registered users to communicate with a selected associated registered user within the vicinity of a person in distress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10311709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19018123A1 (en) Digital assistant response tailored based on pan devices present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KR101266320B1 (en) Method of informing emergency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11036742B2 (en) Query result allocation based on cognitive load
US20160022227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Audiovisual Alert to an Emergency Contact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US10178516B1 (en) Time-adaptive brevity code response assistant
Ronald et al. Personal security tracking based on android and web application
US2019009509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query status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567279B1 (en) Method of organizing emergency relief based on short distance group chatting
KR101605746B1 (en) Report system based on application
US11477616B2 (en) Safety detection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