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633B1 - 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633B1
KR101528633B1 KR1020140055493A KR20140055493A KR101528633B1 KR 101528633 B1 KR101528633 B1 KR 101528633B1 KR 1020140055493 A KR1020140055493 A KR 1020140055493A KR 20140055493 A KR20140055493 A KR 20140055493A KR 101528633 B1 KR101528633 B1 KR 10152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list
user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형훈
Original Assignee
장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훈 filed Critical 장형훈
Priority to KR102014005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6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s is provided to display a call list variously by touch of a display or input to a display after classifying the call lists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unlike a method of displaying a call list simply.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unit including a guide are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uide blocks and configured to display a call list corresponding to a guide block selected by a user;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call list of the user; a data classification unit configured to classify the call lists and to provide the same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call list can be matched with the guide blocks;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but displaying the call lis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uide block in the display unit when at least one guide block is selected by a user, wherein the guide block further includes a search area which can search the call list with one of a date, a name, and a call number.

Description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for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0002] 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 [0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화 목록을 다양한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디스플레이의 터치 또는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통화 목록을 표시하는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for call list information that displays various call lists according to a touch or input of a display by classifying call lists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많은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들이 전화번호부 또는 기억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통화를 시도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통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Many portable terminal users attempt to make a phone call by directly inputting a phone book or a stored phone number. However,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t is common to use a method of displaying a "recent call" list.

즉, 단말기 사용자가 '최근 통화' 목록에서 자신이 발신한 또는 수신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특정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통화버튼으로 선택함으로써 통화연결을 할 수 있었다.That is, the terminal user can confirm the phone number transmitted or received by the user from the 'recent call' list, select a specific phone number, and select a call button to make a call connec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방식의 경우, 통화 목록 표시 방식은 단순한 디스플레이를 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활용도가 제한적이다. 왜냐하면 종래 방식의 통화 목록 표시는 단순 나열식으로 송수신된 통화 목록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사용자가 단말기 내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단계의 모드에 진입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the call list display method is limited in the level of simple display, and its utilization is limited. This is because the call list display of the conventional method displays a call list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simple sequence. In addition, when a user performs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terminal,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have inconvenience to enter various modes for execu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등록특허공보 제10-1156209호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Patent Registration No. 10-1156209 entitled " Method for inputting / searching data during a call in a mobile terminal "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1625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7-0001625 " Method of search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nd voice call histor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순한 통화 목록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벗어나 통화 목록을 다양한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디스플레이의 터치 또는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통화 목록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that can display various call lists according to a touch or input of a display by classifying the call list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Lt;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저장된 통화 목록 정보를 검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유도 블록으로 이루어진 유도 영역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수행한 통화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유도 블록과 매칭되도록 상기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데이터 분류부; 및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유도 블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블록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블록은 상기 통화 목록을 날짜 범위, 이름,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earching stored call list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induction area composed of a plurality of guidance block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all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list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list of calls performed by the user; A data classifier for classifying the call list to match the plurality of guide blocks and providing the call list to the display unit; And a call list sorting application are installed and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s controlled by execution of the call list sorting application, and when at least one guide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guide blocks is selected by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corresponding call list, and the guidance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earch area for searching the call list by a date range, a name, and a telephone number.

상기 검색 영역은 숫자, 기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검색 정보를 입력받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검색 정보와 매칭되도록 상기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통화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search region receives search information that is a number, a symbol,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the call list so as to match the search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classified search list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call lis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arch inform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 또는 메시지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통화 목록을 날짜 범위, 통화 시간, 통화 횟수, 메시지 횟수, 이름,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항목 정보별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유도 블록 또는 검색 정보에 대응되도록 분류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telephone or message connection request, and the data classifying unit may classify the call list into at least one call item information of a date range, a call duration, a call count, a message count, And then classify each piece of informa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guide blocks or search informa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유도 영역 또는 검색 영역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친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통화 목록을 날짜 범위, 통화 시간, 통화 횟수, 메시지 횟수, 이름,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항목 정보 별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산출된 친밀도값을 분류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친밀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소정의 친밀도 값을 가지는 상대방과의 통화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표시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timacy area formed adjacent to the guidance area or the search area, and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may classify the call list into at least one of a date range, a call duration, a call count, a message count, a name, The control unit classifies the intimacy value calculated by the preset program according to the item information,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intimacy area,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call list with the other party having the predetermined intimacy value on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message to the displayed par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목록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벗어나 통화 목록을 다양한 정렬 기준에 따라 분류한 다음, 디스플레이의 터치 또는 입력에 따라 상기 분류된 다양한 통화 목록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call list according to various sorting criteria out of the simple call list display method and then, Since the call list is displaye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a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도 2의 유도 영역을 이용한 통화 목록 검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e는 도 2의 검색 영역을 이용한 통화 목록 검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도 2의 유도 영역 중 친밀도 값을 나타내는 유도 블록을 이용한 통화 목록 검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of Fig. 1A.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unit of Fig. 1a.
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l list search using the guidance area of FIG.
4A to 4E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call list search using the search area of FIG.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l list search using an inductive block indicating an intimacy value among the inductive regions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 comprises, " and / or "comprising" ref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a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내지 3c는 도 2의 유도 영역을 이용한 통화 목록 검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내지 4e는 도 2의 검색 영역을 이용한 통화 목록 검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5b는 도 2의 유도 영역 중 친밀도 값을 나타내는 유도 블록을 이용한 통화 목록 검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of FIG. 1A, FIGS. 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l list search using the guidance area of FIG. 2. FIGS. 4A to 4E are views illustrating a call list using the search area of FIG. FIGS.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l list search using a guide block indicating an intimacy value among the guide regions of FIG. 2. FIG.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저장된 통화 목록 정보를 검색하는 단말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110), 저장부(120), 데이터 분류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pable of searching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data classification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전화 또는 메시지 연결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노트북,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단말기, HHT(Hand Held Terminal) 등의 다양한 종류의 단말 장치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 이외에 공지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smart 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Various types of terminal devices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hand held personal computer (HPC), a web pad, a notebook,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phone, a palm personal computer, an e-book terminal, and an HHT have.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and all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유도 블록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 블록은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형태로 생성된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도 블록은 복수의 블록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블록 중에서 일부 블록들(즉, 후술하는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및 친밀 영역(113))은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블록들은 형상이나, 컬러, 크기, 깊이감 등과 같은 표시 속성이 타 블록들과 차별화되어, 식별력이 부여될 수 있다. 그 밖에, 일부 블록에 대해서 하이라이트 효과나 점멸 효과 등이 부가되어 식별력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정렬 기준에 따라 통신부(140)를 통한 통화 목록(즉,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또는 메시지 통신 내역 등)을 사용자의 터치 또는 입력에 의하여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blocks and displays call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guide block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using a display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o. Here, the inductive block means an object generated in a form for guiding the user's manipulation. Specifically, the guidance block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ocks, and some of the blocks (i.e., the guidance area 111, the search area 112, and the intimacy area 113 described later) . ≪ / RTI > For example, in some blocks, the display attributes such as shape, color, size, depth, and the like may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blocks and discrimination may be given. In addition, a highlighting effect, a blinking effect, and the like may be added to some blocks to have discrimination power. The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call list (i.e., call history, call history, message communication history, and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by touching or inputting by the user according to various sorting criteria. The display unit 11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display unit 110.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유도 블록 중에 할당된,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친밀 영역(113) 및 표시 영역(1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친밀 영역(113) 및 표시 영역(114)은 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설계자에 의하여 그 위치 및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친밀 영역(113) 및 표시 영역(114)이외에, 전화, 메시지 확인, 인터넷 연결, 최신 통화 목록 확인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나, 디폴트로 정해진 기능 등에 대한 메뉴들을 표시하는 고정 메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n induction area 111, a search area 112, an intimacy area 113, and a display area 114 allotted to a plurality of guide blocks.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guidance area 111, the search area 112, the intimacy area 113 and the display area 114 may be changed by the design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display unit 110 may be used frequently by the user such as a telephone, a message confirmation, an Internet connection, a latest call list check, etc., in addition to the guidance area 111, the search area 112, the intimacy area 113 and the display area 114 And a fixed menu area for displaying menus for functions set by default and the like.

상기 유도 영역(111)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즉, 터치)된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유도 영역(111)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 영역에 종방향으로 배열된 유도 블록들일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유도 블록들은 별개의 통화 목록의 정렬 기준을 가진다.The guidance area 111 displays call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guidance block selected (i.e., touched) by the user. The guidance area 111 may be longitudinally arranged guidance blocks in the right area of the display part 110, wherein each guidance block has a separate call list sorting criterion.

상기 검색 영역(112)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유도 블록에 숫자, 기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검색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검색 영역(112)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 영역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유도 블록들일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유도 블록들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검색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하나의 검색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검색 영역(112)을 터치한 후 검색을 원하는 조건(즉, 날짜 범위, 이름, 단축 키 등)을 입력하여 조건에 대응되는 통화 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The search area 112 receives search information such as a number, a symbol, and a combination thereof in a guide block selected by the user. The search area 112 may be a plurality of guide block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area of the display unit 110. Each guide block may include one search area for receiving desired search information from a user Window. Accordingly, the user can touch a search area 112 and then search for a call list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by inputting a desired search condition (i.e., a date range, a name, a shortcut key, and the like).

상기 친밀 영역(113)은 유도 영역(111) 또는 검색 영역(112)에 인접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소정의 친밀도값을 가지는 상대방의 통화목록정보를 표시한다. The intimacy zone 113 is formed adjacent to the guidance area 111 or the search area 112 and displays counterpart call list information having a predetermined intimacy value corresponding to the guidance block selected by the user.

상기 표시 영역(114)은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또는 친밀 영역(113)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해당 영역의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114)은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 영역(112)의 유도 블록이 터치되는 경우 숫자, 기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검색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 보드를 표시한다.The display area 114 displays call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guide block of the guidance area 111, the search area 112, or the intimate area 113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114 displays a search board for inputting search information, which is any one of a number, a symbol, and a combination thereof, when a guidance block in the search area 112 is touched by a user.

상기 표시 영역(114)은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또는 친밀 영역(113)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해당 영역의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의 날짜, 시각 및 통화 시간 등의 정보가 해당 블록의 정렬 기준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므로 사용자가 통화 목록을 한 번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area 114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 date, a time, and a talk time of a call corresponding to a guide block of the area by the touch of the user to the guide area 111, the search area 112 or the intimate area 113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orting criterion of the block,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call list at a tim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 처리부(115), 구동부(116) 및 감지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GUI processing unit 115, a driver 116, and a sensing unit 117 as shown in FIG. 1B.

상기 GUI 처리부(115)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화면 구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부(116)는 GUI 처리부(115)에서 생성한 화면 구성 데이터에 따라, LED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구동시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감지부(117)는 구동부(116) 내에 마련된 터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좌표값을 제어부(150)로 제공한다.The GUI processing unit 115 generates various types of screen configuration data such as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the like using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 The driving unit 116 drives hardware such as an LED display panel, a backlight unit,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screen configuration data generated by the GUI processing unit 115 to display a screen. The sensing unit 117 provides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 touch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50 using a touch sensor or the like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116.

상기 저장부(120)는 사용자가 수행한 통화 목록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그 이외에도 O/S,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 위젯 프로그램 및 통화 목록 등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20)는 상술한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친밀 영역(113) 및 표시 영역(114) 각각을 이루는 유도 블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둘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20 stores an O / S, a call list sort application, a widget program, a call list,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guide blocks constituting each of the guide area 111, the search area 112, the intimacy area 113, and the display area 114 described above.

상기 저장부(120)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 시 데이터 버퍼(Buff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친밀 영역(113) 및 표시 영역(114) 등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수신되는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2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착신 내역과 발신 내역, 메시지 송수신 내역이 기 설정된 갯수까지 임시로 저장되어 있고, 착신 내역과 발신 내역, 메시지 송수신 내역이 기 설정된 갯수가 초과되면 먼저 저장된 순서대로 하나씩 삭제된다. 이는 먼저 삽입된 자료가 먼저 삭제되는(FIFO: First In First Out) 자료 구조인 대기열(Queue) 구조와 같은 원리이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친밀 영역(113) 및 표시 영역(114) 등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동작 상태를 상태 플래그(Flag)(0, 1, 2,...)로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20)는 제어부(15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 모드인지, 통화 목록 검색 모드인지, 저장 모드인지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 및 갱신한다.The storage unit 120 typically serves as a data buffer when an operation pro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executed and includes a guidance area 111, a search area 112, an intimate area 113, Area 114 or the like, or stores data such as characters and image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in the storage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ming call history, the call history, and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detai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re temporarily stored up to a predetermined number, and the call history, If the preset number of records is exceeded, they are deleted one by one in the order stored. This is the same principle as the queue structure, which is a first-in first-out (FIFO) data structure in which inserted data is first deleted. The storage unit 120 stores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elected by the guidance area 111, the search area 112, the intimacy area 113, the display area 114, ) (0, 1, 2, ...). That is, the storage unit 120 allocates a unique status flag to each mode to distinguish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a call mode, a call list search mode, or a save mode through the controller 150 And updates it.

이러한 저장부(120)는 RAM,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HDD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은 저장부(12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torage unit 120 may be a RAM, a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or an HDD. But is not limited to.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는 유도 영역(111)을 이루는 복수의 유도 블록과 매칭되도록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유도 블록은 각각의 유도 블록에 매칭되도록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유도 영역(111) 중 어느 하나(Ia, Ic)를 선택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4)에 유도 블록(Ia)과 매칭되도록 미리 설정된 최근 3일전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공하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4)에 유도 블록(Ic)과 매칭되도록 미리 설정된 통화 횟수별 목록(114a)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classifier 130 classifies the call list so as to match with a plurality of guide blocks constituting the guide area 111, and provides the classified call list to the display unit 110. The plurality of guide blocks classify the call list so as to be matched to each guide block, and provide the classified call list to the display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guiding regions 111 of the display unit 110 as shown in FIG. 3A, the display region 114 A call list of the last three days previously set to match with the guide block Ia may be classified and provid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or may be provided to the display area 114 by matching with a guide block Ic as shown in FIG. By-call list 114a may be classified and provid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0033] FIG.

또한,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는 검색 영역(112)을 이루는 검색 정보와 매칭되도록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 상기 검색 정보는, 복수의 유도 블록이 통화 목록과 매칭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키값과 매칭되도록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검색 영역(112) 중 Sa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4)에 키 버튼(114b)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을 원하는 기간(예를 들면, 20140304~20140307)이 입력된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분류부(130)는 입력된 기간에 매칭되는 통화 목록(114a)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 버튼(114b)은 통상적으로 12개의 숫자키(0 ~ 9, *, #),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커서(Cursor) 이동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검색 영역(112) 중 Se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4)에 키 버튼(114b)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 이름(예를 들면, 홍길동)이 입력된 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분류부(130)는 입력된 이름에 매칭되는 통화 목록(114a)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classifier 130 classifies the call list so as to match the search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search area 112, and provides the classified call list to the display unit 110. The search information classifies the call list so as to match the specific key value inputted by the user, such as matching a plurality of guide blocks with the call list, and provides the classified call list to the display unit 110. [ 4A, when the user selects the Sa area in the search area 112 of the display unit 110, the key button 114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114 as shown in FIG. 4B, 4C, the data classifying unit 130 classifies the call list 114a matching the input perio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for example, 20140304 to 20140307, May be display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Meanwhile, the key button 114b may include 12 numeric keys (0 to 9, *, #),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a plurality of cursor movement keys. 4A, when the user selects the Se area from the search area 112 of the display unit 110, the key button 114b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114 as shown in FIG. 4D 4E, the data classifying unit 130 classifies the call list 114a matched with the input name (e.g., the name of the user) And may be provid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즉,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는 구동 중인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으로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목록 중에서 유도 영역(111) 또는 검색 영역(112)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에 따라 통화 목록을 날짜 범위, 통화 시간, 통화 횟수, 메시지 횟수, 이름,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항목 정보별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정보를 유도 영역(111)을 이루는 복수의 유도 블록 또는 검색 정보에 대응되도록 통화 목록을 묶어서 분류하고, 분류된 통화 목록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선택 또는 입력 정보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114)을 통하여 한 번에 볼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통화 목록의 검색을 진행하는 도중 특정 통화 항목을 별도로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분류된 통화 목록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모드의 유도 블록에서 선택이 이루어지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다른 모드의 유도 블록에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진행 중인 모드를 해제한 후, 선택된 모드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드의 변경은 검색 영역(112)의 터치 및 입력에 의한 동작 중 유도 영역(111)의 터치에 의하여 동작이 전환되는 경우를 지칭한다.That is, the data classifying unit 130 may classify the user into an active call list classifying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r input of the user through the guidance area 111 or the search area 112 from the call li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The list is sorted by at least one of the category information of the date range, the call duration, the number of calls, the number of messages, the name, and the telephone number, and then each information is corresponded to a plurality of guidance blocks or search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guidance area 111 So that the classified call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the list of calls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selection or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area 114 of the display unit 110 at one time. Of course, the user may also save or delete a particular call item during the search of the call lis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continuously checks whether a selection is made in the guide blocks of different modes during the search by the user in the classified call list scree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selection is made in the guide blocks of the other mode After releasing the current mode, the selected mode is changed. For example, the change of the mode refers to a case where the operation is switched by the touch of the guidance area 111 during the operation by the touch and input of the search area 112.

또한,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는 친밀 영역(113)에 매칭되도록 통화 목록을 날짜 범위, 통화 시간, 통화 횟수, 메시지 횟수, 이름,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항목 정보 별로 미리 설정된 친밀도 산정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대방 친밀 점수를 산출한 후, 산출된 상대방 친밀 점수를 이용하여 구간별 친밀 점수를 친밀도값으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The data classifying unit 130 may classify the call list so as to be matched with the intimacy zone 113 by using an intimacy calculation program previously set for each at least one call item information among a date range, a talk time, a call count, a message count, The intimacy score for each section is classified into the intimacy score using the calculated intimacy intimacy score, and the intimacy score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가 친밀도 산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친밀도 산출을 위한 상대방 친밀 점수를 산출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ally,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130 calculates an opposite party intimacy score for calculating the intimacy using the affinity calculation program, as follows.

[수식 1][Equation 1]

Figure 112014043717393-pat00001
Figure 112014043717393-pat00001

여기서, i는 상대방의 통화 항목(i)을 의미한다. 그리고, n은 통화 항목(i)의 전체 수를 의미한다.Here, i means the call item (i) of the other party. And n denotes the total number of currency items (i).

또한, ai는 자동 가중치를 의미한다. 자동 가중치(ai)는 해당 항목의 상대방 활동 횟수가 전체 상대방 인원수에 대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한 가중치를 의미하며, 통화 수를 예로 들면, 통화 상대방수/전체 상대방 인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2회 이내로 통화를 수행한 상대방의 수는 제외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해 의미있는 상대방의 수로서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Also, a i denotes an automatic weight. The automatic weighting (a i ) means a weight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counterpart activity of the item in the total number of counterparts, and can be calculated as the number of counterparts / total number of counterparts, for example. Here, by excluding the number of the parties who performed the communication within two times,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weight as the number of the parties meaningful to the user.

한편, wi는 임의 가중치를 의미한다. 상기 임의 가중치(wi)는 사용자가 강제로 부여하는 가중치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중요도를 두는 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상대방의 활동 중 중요도가 높은 통화 항목에 대해 더 점수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사용자수의 임의 가중치(wi)는 200%로 산정하고, 문자 사용에 대해서는 25%로 산정함으로써 편차를 둘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 i means arbitrary weight. The arbitrary weight w i is a weight given by the user forcibly. By giv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the item for which the user is important, the arbitrary weight w i is given a higher score can do. For example, a random weight (w i ) of the number of call users may be calculated as 200%, and a character usage may be calculated as 25%.

또한, tj는 기간별 타임 가중치를 의미한다. 수식 1에서는 기간(j)을 5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마다 타임 가중치(tj)를 달리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1주일 이내 활동에 대해서는 타임 가중치(t1)를 5, 2주일 내지 4주일 전 활동에 대해서는 타임 가중치(t2)를 3, 1개월 내지 6개월 전의 활동에 대해서는 타임 가중치(t3)를 2, 6개월 내지 12개월 전의 활동에 대해서는 타임 가중치(t4)를 1, 12개월 이전의 활동에 대해서는 타임 가중치(t5)를 0.5로 산출하여, 최근에 활동한 내역일수록 가중치를 높게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t j means a time weight for each period. In Equation 1, the period (j)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and the score can be calculated by varying the time weight (t j ) for each section. For example, the time weight (t 1 ) is 5 for activity within the last 1 week, the time weight (t 2 ) is 3 for activities before 2 weeks to 4 weeks, t 3) 2, by calculating the six to 12 months activity time weight (t 4) the first, with respect to the previous Twelve months time weighting for the previous (t 5) of 0.5, a recent history the more weight activity in It is possible to set a high value.

또한, xij는 각 항목(i)의 각 타임별(j) 변수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화 상대방(x1)를 최근 1주일 이내(j=1) 수치(x11), 2주일 내지 4주일 전(j=2)의 수치(x12), 1개월 내지 6개월 전(j=3)의 수치(x13), 6개월 내지 12개월 전(j=4)의 수치(x14), 12개월 이전(j=5)의 수치(x15)로 구분하여 수식에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x ij denotes a variable value of each item (i) for each time (j). For example, the value (x 12), one to six months before the called party (x1) for the past one week than (j = 1) value (x 11), 2 weeks to 4 weeks before (j = 2) ( separated by a value (x 13), value (x 15 6 to 12 months ago (j = 4) value (x 14), 12 months old (j = 5) of a) the j = 3) to enter the formula .

또한,

Figure 112014043717393-pat00002
는 해당 사용자의 변수값을 의미한다. 또한, σ i 는 해당 상대방의 항목별 변수값들의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식 1을 통한 상대방의 최종 점수(즉, 친밀 점수)는 정규화될 수 있다.Also,
Figure 112014043717393-pat00002
Means the variable value of the corresponding user. Also, σ i mean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variabl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party. Thus, the other's final score (i.e., intimacy score) through Equation 1 can be normalized.

한편,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는 산출된 상대방의 최종 점수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그룹별로 분류한다. 그룹은 6위 그룹(1구간)에서 1위 그룹(6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점수별 그룹은 다음의 표 1에 표시된 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classifier 130 classifies the other party by group using the calculated final score of the other party. The group can be set as the first group (6 sections) in the 6th group (1 section). The score-based groups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1 below.

구간section 점수score 분포Distribution 친밀도Intimacy 6구간(1위 그룹)6 sections (1st group) 17이상17 or more 0.08%0.08% 91~9991 ~ 99 5구간(2위 그룹)5 sections (2nd group) 10~17미만Less than 10 ~ 17 0.15%0.15% 81~9081-90 4구간(3위 그룹)4 sections (3rd group) 2.6이상~10미만2.6 to less than 10 1.73%1.73% 66~8066 to 80 3구간(4위 그룹)3 sections (4th group) 0.5이상~2.6미만0.5 to less than 2.6 7.83%7.83% 41~6541 ~ 65 2구간(5위 그룹)2 sections (5th group) 0이상~0.5미만0 to less than 0.5 11.30%11.30% 21~4021 ~ 40 1구간(6위 그룹)1 section (6th group) 0미만Less than 0 79.39%79.39% 0~200 to 20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는 구간별로 친밀도를 온도 수치로 변환하여 배분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는 각 구간별로 친밀도를 온도 수치로 변환한 후, 각 구간별로 상대방의 통화 정보를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친밀 영역(113)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 상대방의 친밀도값에 대한 정보(114c)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분류부(130)는 상대방의 활동 내역을 온도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상대방의 친밀도를 온도 수치로서 보다 직감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Table 1, the data classifier 130 may convert the intimacy degree into the temperature value for each interval and distribute it. 5B, the data classifier 130 converts the intimacy degree into temperature values for each section, classifies the other party's call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and provides the classified call information to the display section 110, When the user selects the intimacy zone 113,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114c on the intimacy value of the other party. Accordingly,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130 can convert the activity details of the other party into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intimacy of the other person as a temperature value more intuitively.

상기 통신부(140)는 전화 또는 메시지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전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 망을 통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미도시)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When the telephone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communication unit 140 converts a voice input by the user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opposi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speaker 10 into a speaker (not shown).

상기 제어부(150)는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근거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대기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 목록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유도 영역(111), 검색 영역(112), 친밀 영역(113) 및 표시 영역(11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상세 통화 목록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110)에 구비된 각 하드웨어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by executing a call list classify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all list classifying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based on the status flag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10). In particular, if the user selects a call list search mode on the idl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0, the control unit 150 drives the call list sort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111, the search area 112, the intimacy area 113, and the display area 114 on the display unit 110. [0053] FIG.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50 executes an O / S (Operating Syste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or a user-selected currency list sorting applica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hardware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110, Various functions can be supported.

즉,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도 블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블록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통화 목록을 정렬하는 검색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통화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친밀 영역(113)을 선택하는 경우, 소정의 친밀도 값을 가지는 상대방과의 통화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표시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at least one guide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guide blocks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11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the call lis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uide block on the display unit 110 .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to display the call lis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arch information when the search information for sorting the call list is inputted by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intimacy zone 113,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a call list with the other party having a predetermined intimacy value on the display unit 110,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user Can be done.

이러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GUI 처리부(115) 및 구동부(116)를 제어한다. 그리고, 감지부(117)에서 제공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따라 정렬 기준을 결정한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GUI processing unit 115 and the driving unit 116 to output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display unit 110. Then, the touch point of the user is calculated using the coordinate value provided by the sensing unit 117, and the alignment refere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따르면, 단순한 통화 목록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벗어나 통화 목록을 다양한 정렬 기준에 따라 분류한 다음, 디스플레이로의 터치 또는 입력에 따라 상기 분류된 다양한 통화 목록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pable of searching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all list is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sorting criteria after leaving the simple call list display method,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because the various call lis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uch or the input of the user are display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이동통신 단말기 110: 디스플레이부
111: 유도 영역 112: 검색 영역
113: 친밀 영역 114: 표시 영역
115: GUI 처리부 116: 구동부
117: 감지부 120: 저장부
130: 데이터 분류부 140: 통신부
150: 제어부
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111: guidance area 112: search area
113: intimacy region 114: display region
115: GUI processing unit 116:
117: sensing unit 120: storage unit
130: data classifier 140:
150:

Claims (4)

저장된 통화 목록 정보를 검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유도 블록으로 이루어진 유도 영역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수행한 통화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유도 블록과 매칭되도록 상기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데이터 분류부; 및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통화 목록 분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유도 블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블록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유도 블록에 해당되는 통화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블록은 상기 통화 목록을 날짜 범위, 이름,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유도 영역 또는 검색 영역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친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통화 목록을 날짜 범위, 통화 시간, 통화 횟수, 메시지 횟수, 이름,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항목 정보별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유도 블록 또는 검색 정보에 대응되도록 분류하며,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통화 목록을 날짜 범위, 통화 시간, 통화 횟수, 메시지 횟수, 이름,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항목 정보 별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산출된 친밀도값을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친밀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소정의 친밀도 값을 가지는 상대방과의 통화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표시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친밀도값은 수식 1에 의하여 산출되는,
[수식 1]
Figure 112015031113100-pat00016

여기서, i는 상대방의 통화 항목(i)이고, n은 통화 항목(i)의 전체 수이며, ai는 자동 가중치로서 해당 항목의 상대방 활동 횟수가 전체 상대방 인원수에 대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한 가중치이고, wi는 임의 가중치로서 사용자가 중요도를 두는 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강제로 부여하는 가중치이며, tj는 기간별 타임 가중치이고, xij는 각 항목(i)의 각 타임별(j) 변수값이며,
Figure 112015031113100-pat00017
는 해당 사용자의 변수값이고, σ i 는 해당 상대방의 항목별 변수값들의 표준 편차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earching stored call list information,
A display unit having a guidance area made up of a plurality of guidance blocks and displaying call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guidance block selected by the us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list of calls performed by the user;
A data classifier for classifying the call list to match the plurality of guide blocks and providing the call list to the display unit; And
A call list sorting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operation of each constituent element is controlled by execution of the call list sorting application, and when at least one inductive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ve blocks is selected by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list of calls,
Wherein the guidance block further comprises a search area capable of searching the call list by one of a date range, a name, and a telephone number,
Wherein 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n intimacy region formed adjacent to the induction region or the search region,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the call list into at least one call item information of a date range, a call duration, a call count, a message count, a name, and a telephone number, and then stores each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guide blocks or search information However,
Wherein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the intimacy value calculated by a program preset for each of at least one call item information among a date range, a call duration, a call count, a message count, a name, and a telephone number,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call list with a partner having a predetermined intimacy valu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selects the intimacy zone so that the user can transmit a message to the displayed partner,
Wherein the intimacy value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Equation 1]
Figure 112015031113100-pat00016

Here, i is the call item (i) of the other party, n is the total number of the currency item (i), ai is a weight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counterpart activity count of the item as the automatic weight, w i is an arbitrary weight, which is a weight for forcibly assign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an item of importance by the user, t j is a time weight for each period, x ij is a variable value for each time (j) Lt;
Figure 112015031113100-pat00017
I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variabl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party,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capable of searching various call list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 영역은 숫자, 기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검색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검색 정보와 매칭되도록 상기 통화 목록을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통화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rch area receives search information that is one of a number, a symbol, and a combination thereof,
Wherein the data classifier classifies the call list to match the search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classified call list to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call lis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arch information when the search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전화 또는 메시지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telephone or message connection request.
삭제delete
KR1020140055493A 2014-05-09 2014-05-09 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 KR101528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93A KR101528633B1 (en) 2014-05-09 2014-05-09 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93A KR101528633B1 (en) 2014-05-09 2014-05-09 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633B1 true KR101528633B1 (en) 2015-06-17

Family

ID=5351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493A KR101528633B1 (en) 2014-05-09 2014-05-09 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6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299A1 (en) * 2016-02-24 2017-08-31 삼성전자(주)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454A (en) * 2005-10-12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all list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41911A (en) * 2005-10-17 2007-04-20 (주) 엘지텔레콤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lassifying familiarity level of caller and data deletion method using thereof
KR20120087291A (en) * 2010-12-29 2012-08-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ddress book application supporting social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454A (en) * 2005-10-12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all list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41911A (en) * 2005-10-17 2007-04-20 (주) 엘지텔레콤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lassifying familiarity level of caller and data deletion method using thereof
KR20120087291A (en) * 2010-12-29 2012-08-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ddress book application supporting social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299A1 (en) * 2016-02-24 2017-08-31 삼성전자(주)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3053B (en) Group message display methods and device
US11922518B2 (en) Managing contact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applications
US10757245B2 (en) Message display method, user terminal,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8023975B2 (en) Secondary status display for mobile device
EP3120227B1 (en) Determining user response to notifications based on a physiological parameter
US8117136B2 (en) Relationship management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11575636B2 (en) Method of managing processing progress of a message in a group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erminal
CN109769065B (en) Mess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52122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device
CN109814972A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15695632A (en) Telephone user interface
WO20111178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historical analysis chronicle information
CN109976606B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363524B (en) A kind of application icon display methods and mobile terminal
US11765114B2 (en) Voice communication method
CN110196667A (en) A kind of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of notification message
CN108897486A (en) A kind of display methods and terminal device
US20230081032A1 (en) Low-bandwidth and emergency communication user interfaces
US20240163358A1 (en) User interfaces for presenting indications of incoming calls
WO20230249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6332023A (en) Unrea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1528633B1 (en) Mobile terminal for searching various call list data
CN111131540B (en) Name set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19076375A1 (en) Short message interface display method, mobil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60090785A (en) A method and device for organizing a plurality of items on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