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280B1 - 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anti-vibration - Google Patents

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anti-vib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280B1
KR101528280B1 KR1020130165259A KR20130165259A KR101528280B1 KR 101528280 B1 KR101528280 B1 KR 101528280B1 KR 1020130165259 A KR1020130165259 A KR 1020130165259A KR 20130165259 A KR20130165259 A KR 20130165259A KR 101528280 B1 KR101528280 B1 KR 10152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vibration
fuel tank
pum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렬
문덕수
정용학
Original Assignee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2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vibration structure and a bracket connection structure type fuel supply apparatus. A fuel pump module comprises a mounting part and an operating part for transferring fuel to an engine. The present invention has effects of having a simple combination structure wherein only the upper surface is hanging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fuel tank and fixed while the bottom surface of a fuel pump module is not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fuel tank; and not directly transferring vibrations of the operating part to the fuel tank and a vehicle when the fuel pump module is operated by applying an anti-vibration member to a connecting part between the mounting part and the operating part.

Description

방진구조 및 브라켓 연결구조형 연료공급장치{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ANTI-VIBR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엔진으로 연료를 이송시킴에 있어서, 장착부와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연료펌프모듈을 연료탱크의 내부 상단에 매달리는 브라켓 연결구조로 체결하고, 장착부와 작동부의 상호간 체결구조에 방진부재를 적용하여, 작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량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A fuel pump module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and an operating portion is fastened by a bracket connection structure that hangs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fuel tank and a vibration proof member is applied to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operation portion, To prevent a vibr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ehicle.

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과 같이 액체 연료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차량에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에는 채워져 있는 연료를 강제적으로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펌프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펌프는 브러쉬(BRUSH)의 유무에 따라 DC 연료펌프와 BLDC 연료펌프로 구분된다.A fuel tank for storing fuel is provided in a vehicle such as a gasoline engine or a diesel engine and the fuel tank is provided with a fuel pump for forcibly supplying fuel to the engine, The fuel pump is divided into a DC fuel pump and a BLDC fuel pump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rush (BRUSH).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BLDC 연료펌프는 차량의 엔진 시동스위치를 온(ON) 시에 TERMINAL & CONNECTOR를 통하여 STATOR(고정자)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전원 공급에 의해서 STATOR(고정자)에 전자장이 형성되어 로터(ROTOR; 회전자)가 회전하며, 로터에 연결된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어 BLDC 연료펌프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토출 할 수 있게 되며, BLDC 연료펌프를 통해 토출된 연료는 일정한 압력으로 엔진에 공급된다.Generally, the BLDC fuel pump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STATOR (stator) through the terminal & connector when the engine start switch of the vehicle is ON, and when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STATOR The BLDC fuel pump is capable of discharging the fuel in the fuel tank and the fuel discharged through the BLDC fuel pump is supplied to the engine at a constant pressure. do.

차량에 사용되는 연료펌프에 관련된 기술로는 첨부된 특허문헌 1 내지 4 외에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어 있다.Various technique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patent documents 1 to 4 attached to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fuel pump used in the vehicle.

특허문헌 1인 등록특허 제10-1075795호의 차량용 BLDC 연료펌프 모듈에서는 연료펌프 모듈의 사양에 따라 적정한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 로드를 가짐으로써 채산성이 좋고, 재고 확보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가중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In the BLDC fuel pump module for a vehicle of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No. 10-1075795, a guide rod can be cut to an appropriate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fuel pump module so that profitability is good and the economical burden due to the securing of the stock is not increased Technology.

특허문헌 2인 등록특허 제10-0993665호의 차량용 BLDC 연료펌프에서는 정류자를 통해 아마추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본브러쉬의 정류자 접촉면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연료 유막층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료펌프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In the BLDC fuel pump for vehicle of Patent Publication No. 10-0993665 of Patent Document 2, the pressur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mmutator of the carbon brush that supplies the power to the armature through the commutator can be always kept constant, so that the generation of the fuel oil film layer can be suppressed And provides a technique for stably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fuel pump.

특허문헌 3인 등록특허 제10-0953409호의 차량용 BLDC 연료펌프에서는 임펠러의 회전수를 높이지 않고도 토출성능(토출압과 토출량)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출력 엔진에 적합하며, 또한 회전수를 높이지 아니하므로 내구성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In the BLDC fuel pump for vehicles of Patent Publication No. 10-0953409 of Patent Document 3, the discharge performance (discharge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can be improved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impeller, which is suitable for a high output engine, So that the durability is increased and thus the life of the product can be prolonged.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공된 특허문헌 4인 등록특허 제10-0773370호의 차량용 연료공급모듈의 연료펌프 고정구조에서는 연료펌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진동에 대한 방음/방진효율이 향상되고, 연료펌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등의 구성 단순화가 구현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In the fuel pump fixing structure of the fuel supply module for a vehicle of Patent Publication No. 10-0773370 of Patent Document 4 provid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proof / dustproof efficiency against noise / vibration generated by driving the fuel pump is improv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for fixing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료펌프는 제작시,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성들을 상호간 결합하거나 조립시, 결합/접촉부분을 모두 용접으로 처리하여 제작하였지만, 이러한 용접작업은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도중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조품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한다는 문제점과 함께, 상호간의 결합/접촉부분을 정확하게 용접하기 또한 어려워, 연료펌프의 제작 및 조립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uel pump is manufactured by welding all of the coupling / contacting portions when assembling or assembl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However, such a welding operation requires a long time for the weld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weld the joints / contact portions of the products, and it is inconvenient to manufacture and assemble the fuel pump.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료펌프는 제작시, 모터펌프가 삽입되는 케이스와, 필터가 삽입되는 케이스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결합하여 사용하였기에, 이러한 제작은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도중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fuel pump is manufactured by separately manufacturing a case into which a motor pump is inserted and a case into which a filter is insert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it takes a lot of time to manufacture such a fuel pump,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often occurs.

또한, 기존의 이러한 연료펌프는 연료펌프모듈 저면이 연료탱크의 내부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과 더불어, 레귤레이터에서 기계적으로 압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이 그대로 연료펌프모듈에 전달되고, 차량의 조건이나 상태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하게 정해진 압력과 연료를 공급하는 고정유량 공급형태였기에, 차량의 소모전력 및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fuel pump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pump module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and mechanically controls the pressure in the regulator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fuel pump module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ed electric power and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are lowered because it was a fixed flow rate supply mode that supplies constant pressure and fuel constantly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r state of the vehicle.

더불어, 연료펌프모듈이 연료를 흡입하기 위해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경우, 연료펌프모듈과 연결되어 있는 연료탱크 및 차량에 그대로 전달된다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when the fuel pump module is driven to suck fu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el pump modul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uel tank and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uel pump modu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으로 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연료펌프모듈에 있어서, 연료탱크에 내설되는 연료펌프모듈의 저면이 연료탱크의 저면에 밀착되지 않고, 연료펌프모듈의 상부면만이 연료탱크에 매달리며 고정되는 브라켓 연결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연료펌프모듈의 작동부(모터펌프)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차량측으로 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료펌프모듈을 이루는 장착부와 작동부 상호간의 제 1, 2연결부에 방진부재를 적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방진구조 및 브라켓 연결구조형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pump module for transferring fuel to an engine, in which a bottom surface of a fuel pump module installed in a fuel tank is closely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a fuel tank And a bracket connecting structure in which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pump module is fixed and fixed to the fuel tank.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motor pump) of the fuel pump modul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side And a fuel supply device of a bracket-connected structure type that can solve the problem by applying anti-vibration members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between the mounting part and the operation part of the fuel pump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the combination shown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료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엔진으로 연료를 이송시키는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0)에 내설되되, 상부면이 연료탱크(1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엔진과 연통되는 장착부(30);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에서 장착부(30) 하단에 대응체결되어 일체를 이루되, 하부면은 연료탱크(10)의 저면과 이격되며 브라켓 결합구조를 가지며, 모터펌프(60)와 필터부(70)로 이루어져, 상기 연료탱크(10) 내 연료를 흡입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엔진으로 이송시키는 작동부(50); 상기 장착부(30)를 모터펌프(60)에 상호간 연결시키는 제 1연결부(31); 상기 장착부(30)를 필터부(70)에 상호간 연결시키는 제 2연결부(41); 상기 제 1, 2연결부(31, 41)에 설치되어, 작동부(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량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제 1, 2방진부재(35, 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supply device installed inside a fuel tank (10) for feeding fuel to an engine, the fuel supply device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30 installed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engine; The lower surface of the fuel tank 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10 and has a bracket coupling structure. The motor pump 60, (50) which comprises a fuel tank (70) for sucking fuel in the fuel tank (10) and removing foreign matter and transferring the fuel to the engine; A first connection part 31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30 to the motor pump 60; A second connection part 41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30 to the filter part 70; First and second vibration preventing members (35, 45)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 41) to prevent vibration generated in the operating portion (5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탱크에 결합되는 연료펌프모듈의 저면이 연료탱크 내부 저면에 밀착되지 않고, 상부면만이 연료탱크에 매달리는 간단한 브라켓 연결구조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bracket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pump module coupled to the fuel tank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and only the top surface is suspended from the fuel tan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료펌프모듈을 이루는 장착부와 작동부 상호간의 제 1, 2연결부에 방진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연료펌프모듈에서 모터펌프가 설치되어 구동되는 작동부의 진동이 연료탱크 및 차량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fuel pump module in which vibration of an operating portion, in which a motor pump is installed and driven by a fuel pump module, is applied directly to a fuel tank and a vehicle by applying a vibration preventing member to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between a mounting portion and an operat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not to be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은 연료펌프모듈을 일체형 케이스로 사출제작한 후, 내부에 모터펌프와 필터부를 설치함으로서, 모터펌프와 필터부 각각의 케이스를 제작하여 조립하는 경우에 비해 제작공정이 감축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motor pump and the filter unit are provided inside the case after the fuel pump module is injection-molded as an integrated cas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ase of each of the motor pump and the filter unit is manufactured and assembled, There is an effect of saving.

또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를 메인과 서브로 이루어지는 듀얼형태로 사용함으로써, 단일탱크의 연료만을 가지는 경우에 비해 안정적인 연료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tank is used in a dual form consisting of main and sub,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fuel more stably than when only a single tank of fuel is u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 및 브라켓 연결구조형 연료공급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 및 브라켓 연결구조형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 및 브라켓 연결구조형 연료공급장치가 연료탱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stproof structure and a bracket-connected structural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dustproof structure and a bracket-connected structural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ustproof structure and a bracket-connected structural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fuel tank.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것이기에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Before describing in detail severa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back,""up,""down,""top,""bottom,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for terms such as "left,"" right, "" lateral, " and the like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the element has to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Furthermore,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in the appended claim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연료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엔진으로 연료를 이송시키는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0)에 내설되되, 상부면이 연료탱크(1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엔진과 연통되는 장착부(30);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에서 장착부(30) 하단에 대응체결되어 일체를 이루되, 하부면은 연료탱크(10)의 저면과 이격되며 브라켓 결합구조를 가지며, 모터펌프(60)와 필터부(70)로 이루어져, 상기 연료탱크(10) 내 연료를 흡입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엔진으로 이송시키는 작동부(50); 상기 장착부(30)를 모터펌프(60)에 상호간 연결시키는 제 1연결부(31); 상기 장착부(30)를 필터부(70)에 상호간 연결시키는 제 2연결부(41); 상기 제 1, 2연결부(31, 41)에 설치되어, 작동부(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량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제 1, 2방진부재(35, 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el supply device installed in a fuel tank (10) for transferring fuel to an engine is provided with a fuel tank (10) A mounting portion 30 which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engine 30 and communicates with the engine; The lower surface of the fuel tank 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10 and has a bracket coupling structure. The motor pump 60, (50) which comprises a fuel tank (70) for sucking fuel in the fuel tank (10) and removing foreign matter and transferring the fuel to the engine; A first connection part 31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30 to the motor pump 60; A second connection part 41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30 to the filter part 70; First and second vibration preventing members (35, 45)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 41) to prevent vibration generated in the operating portion (5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 1연결부(31)는 상기 장착부(30)의 저면 및 모터펌프(60)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2끼움돌기(32, 33); 상기 제 1, 2끼움돌기(32, 33)에 양단이 대응되며 끼워고정되는 고정 파이프(34); 상기 고정 파이프(34)의 외주연을 감싸는 가이드 파이프(34a); 상기 가이드 파이프(34a)의 양단에서 고정 파이프(34)에 각각 끼움고정됨으로써, 작동부(50)의 진동이 장착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제 1방진부재(35); 상기 제 2끼움돌기(33)를 관통한 고정 파이프(34)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 파이프(34)가 제 2끼움돌기(33)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링부재(3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includes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32 and 3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0 and the motor pump 60, respectively. A fixed pipe (34)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32, 33) are fitted and fixed; A guide pipe 34a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pipe 34; A first anti-vibration member 35 fitted and fixed to the fixed pipe 34 at both ends of the guide pipe 34a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unting unit 30; A ring member 37 fastened to an end of the fixing pipe 34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33 so as not to detach the fixing pipe 34 from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33;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 2연결부(41)는 상기 장착부(30)의 저면에서 필터부(70)로 하향연장형성되되, 체결홈(43)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체결편(42); 상기 체결홈(43)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필터부(7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47); 상기 체결돌기(47)의 양측에서 상기 체결편(42)이 면접촉되는 필터부(70)의 외주연 부분에 필터부(7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방진 안착부(44); 상기 방진 안착부(44)에 대응설치되어, 체결홈(43)이 체결돌기(47)와 체결시, 작동부(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장착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체결편(42)과 접촉되는 제 2방진부재(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1 may include a fastening piece 4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0 to the filter portion 70 and having a fastening groove 43 formed therein; A fastening protrusion 47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unit 70 so as to be fitted to the fastening groove 43; A dustproof mount part 4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art of the filter part 70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7 and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piece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part 70; The fastening piece 42 is provided to the vibration-proof seating part 44 so that when the fastening groove 43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47,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actuating part 50 is not transmitted to the mounting part 30. [ A second anti-vibration member 4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nti-vibration member 45;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연료탱크(10)는 내부가 구획되어 메인탱크(11)와 서브탱크(13)의 복수개 연료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부(30) 및 작동부(50)로 이루어지는 연료펌프모듈(20)은 메인탱크에 설치되어, 메인탱크(11)의 연료를 엔진으로 이송시켜 토출시키되, 연료의 고속분사로 인한 부압으로 서브탱크(13)로부터 동시에 연료를 흡입하여 메인탱크(11)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uel tank 10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uel storage spaces of the main tank 11 and the sub tank 13. The fuel pump 10 includes a fuel pump module including the mounting portion 30 and the operation portion 50, The main tank 11 is provided with a main tank 11 for supplying fuel to the main tank 11 and discharging fuel from the sub tank 13 at a negative pressure due to the high- Is filled.

또한, 상기 작동부(50)는 상기 연료탱크(10)로부터 연료를 흡입하기 위해 모터펌프(60)가 삽입되는 모터펌프 케이스(A) 및 모터펌프(60)에서 흡입된 연료를 여과하는 필터부(70)의 필터부 케이스(B)가 일체형 케이스(C)로 사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unit 50 includes a motor pump case A in which a motor pump 60 is inserted to suck fuel from the fuel tank 10 and a filter unit 60 for filtering the fuel sucked in the motor pump 60. [ (B) of the filter case (70) is injected into the integrated case (C).

또한, 상기 연료펌프모듈(20)은 상기 연료펌프모듈(20)의 내부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상태에 따라 압력 및 공급되는 연료량이 상이해지도록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연비가 개선되도록 하는 압력센서부(39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uel pump module 20 sens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pump module 20 in real time, and controls driving of the motor pump 60 so that the pressure and the amount of supplied fuel diff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a pressure sensor 39a for improving fuel economy of the vehicle.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조 및 브라켓 연결구조형 연료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ustproof structure and a bracket-connected structural fuel supply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본 발명의 방진구조 및 브라켓 연결구조형 연료공급장치는 연료탱크(10), 연료펌프모듈(20), 장착부(30), 작동부(50), 제 1연결부(31), 제 2연결부(41), 제 1, 2방진부재(35, 45)를 포함한다.
The dustproof structure and the bracket-connected structural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uel tank 10, the fuel pump module 20, the mounting portion 30, the operation portion 5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1, , And first and second anti-vibration members (35, 45).

상기 연료탱크(10)는 차량에 설치되어 내부에 연료(F)가 채워지는 곳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연료탱크(10)의 중단이 구획되어 메인탱크(11)와 서브탱크(13)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연료저장공간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The fuel tank 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is filled with fuel F.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ruption of the fuel tank 10 is divided into a main tank 11 and a sub tank 13 And has a plurality of fuel storage spaces.

이를 위해 상기 연료탱크(10)는 내부 저면 중단이 상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연료탱크(10) 내부가 구획되는 안장형 형태의 구조를 하되, 완전히 구획되지 않고 상부측은 개구되어, 메인탱크(11)와 서브탱크(13) 상호간의 연료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For this, the fuel tank 10 has a saddle-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10 is protruded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but the fuel tank 10 is not completely divided, And the sub tanks (13).

상기 연료펌프모듈(20)은 전술된 연료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료탱크(10) 내의 연료를 흡입하여 엔진(E, Engine)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연료펌프모듈(20)는 장착부(30)와 작동부(50)로 이루어진다.The fuel pump module 20 is installed inside the fuel tank 10 to take in the fuel in the fuel tank 10 and transfer it to the engine E. [ The fuel pump module 20 for this purpose comprises a mounting portion 30 and an operating portion 50.

우선, 본 발명에서의 연료펌프모듈(20)은 모터펌프(60)가 장착되는 모터펌프 케이스(A)와, 모터펌프(60)의 일측에 위치되어 필터부(70)가 장착되는 필터부 케이스(B)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상호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모터펌프 케이스(A)와 필터부 케이스(B)가 일체가 되도록, 연료펌프모듈(20)의 일체형 케이스(C)를 하나로 사출한 다음, 이러한 연료펌프모듈(20)에 모터펌프(60)와 필터부(70)를 삽입장착하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모터펌프(60)와 필터부(70)가 삽입되는 개별 케이스를 각각 제작하여 일체형으로 조립하는 경우보다,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가 감소하고, 제조공정수 또한 감소되며, 결합시 및 제조시 발생되는 불량률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 fuel pump modul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pump case A in which a motor pump 60 is mounted and a filter case 70 in which a filter unit 7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tor pump 60, (C) of the fuel pump module 20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motor pump case A and the filter part case B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motor pump 60 and the filter unit 70 are inserted into the fuel pump module 20. As a result,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are reduced, and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individual cases into which the motor pump 60 and the filter unit 70 are inserted are assembled and assembled integr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ective rate to be generated.

더불어, 이러한 상기 연료펌프모듈(2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되는 장착부(30)와 상기 장착부(30)의 하단에 대응되어 체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작동부(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연료펌프모듈(20)가 기존처럼 저면이 연료탱크(10) 내부 저면에 밀착되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연료펌프모듈(20) 중 상단에 위치되는 장착부(30)가 연료탱크(10)에 내설되되, 장착부(30)의 상부면은 연료탱크(1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호간 대응되어 체결고정되도록 하고, 이렇게 고정된 장착부(30)의 하단에 장착된 작동부(50)의 하부면은 연료탱크(10) 내부에서 연료탱크(10) 저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결국, 연료펌프모듈(20) 전체가 연료탱크(10) 내부에서 상부면만(장착부(30)만)이 고정되어 매달려 있는 간단한 브라켓 연결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연료탱크(10)로부터 전달되는 연료탱크(10)(또는 엔진)의 진동을 덜 받게 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uel pump module 2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0 positioned at the upper end and an operating portion 50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0 so as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pump modul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10 as in the prior art, but a mounting portion 30 positioned at an uppermost one of the fuel pump modules 20, 10,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0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10 and is fastened and fix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operation portion (not shown)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0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fuel pump module 2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10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10, It is possible to receive less vibration of the fuel tank 10 (or the engine) transmitted from the fuel tank 10 by having a simple bracket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fuel tank 10 is fixed and suspended.

또한, 이러한 연료펌프모듈(20)의 경우, 작동부(50)가 구동시 모터펌프(6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연료펌프모듈(20)의 상부면이 결합되어 있는 연료탱크(10)(또는 차량)에 바로 전달되지 않도록, 장착부(30)와 작동부(50) 상호간의 제 1, 2연결부(31, 41)에 제 1, 2방진부재(35, 45)를 설치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is fuel pump module 20,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motor pump 60 during operation of the actuating part 50 is transmitted to the fuel tank 10 The first and second vibration preventing members 35 and 45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 and 41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30 and the operating portion 5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 and 41 are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상기 제 1연결부(31)는 장착부(30)를 작동부(50)의 구성 중 모터펌프(60)(더욱 자세히는 모퍼펌프 케이스(A))에 상호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2끼움돌기(32, 33), 고정 파이프(34), 가이드 파이프(34a), 제 1방진부재(35), 링부재(37)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is for connecting the mounting portion 30 to the motor pump 60 (more specifically, the motor pump case A) of the structure of the operating portion 50, A guide pipe 34a, a first anti-vibration member 35, and a ring member 37. The first and second anti-vibration members 32 and 33, the fixed pipe 34, the guide pipe 34a,

상기 장착부(30)의 저면에는 하단부를 향해 제 1끼움돌기(32)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향되는 작동부(50)의 모터펌프(60) 외주연 측에 제 2끼움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A first fitting protrusion 32 protrude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0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3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motor pump 60 of the opposed operating portion 50 Respectively.

상기 고정 파이프(34)는 직립으로 세워져 이러한 제 1, 2끼움돌기(32, 33)에 양단이 끼워지되, 이때 상기 고정 파이프(34)의 상단은 제 1끼움돌기(32)에 내설되어 끼워지되, 하단은 제 2끼움돌기(33)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The fixing pipe 34 is erected upright and both ends of the fixing pipe 34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32 and 33.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pe 34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32 And the lower end thereof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33.

상기 가이드 파이프(34a)는 전술된 고정 파이프(34)가 내설되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체 형상을 가진다.The guide pipe 34a has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longitudinally penetrat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fixed pipe 34 is inserted therein.

상기 제 1방진부재(35)는 가이드 파이프(34a)의 양단에서 고정 파이프(34)에 각각 끼움고정되어 작동부(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제 1연결부(31)를 통해 상부로 전달되어, 결국 연료탱크(10) 및 차량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first vibration preventing member 35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guide pipe 34a and fixed to the fixed pipe 34 so that vibration generated in the actuating part 50 is transmitted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art 31, Thereby preventing the fuel from being delivered to the fuel tank 10 and the vehicle.

이를 위한 상기 제 1방진부재(35)는 중단부의 두께보다 양단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얇게 형성되어, 가이드 파이프(34a)의 상단에 위치되는 제 1방진부재(35)의 경우에는 양단(중단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양단부)이 제 1끼움돌기(32) 및 가이드 파이프(34a)에 끼워져 확실히 고정되며 방진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가이드 파이프(34a)의 하단에 위치되는 제 1방진부재(35)의 경우에도, 양단이 가이드 파이프(34a) 및 제 2끼움돌기(33)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방진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first anti-vibration member 35 for this purpose is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anti-vibration member 35 ar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anti-vibration member 35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pe 34a, A first anti-vibration member 35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34a is provided so as to be securely fixed to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32 and the guide pipe 34a, Both ends thereof are fitted and fixed in the guide pipe 34a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33 and serve as dust prevention.

상기 링부재(37)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고정 파이프(34)는 상단이 제 1끼움돌기(32)에 내설되는 형태이지만, 하단은 제 2끼움돌기(33)를 관통하여 하단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더불어, 이렇게 돌출되는 고정 파이프(34)의 하단 외주연에는 링 형태로 링홈(36)이 파여져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링홈(36)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링부재(37)(ex: E-RING)를 끼워, 상기 제 2끼움돌기(33)에 끼워진 고정 파이프(34)가 상부로 들리며 외부로 탈거되려고 해도, 제 2끼움돌기(33)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고정 파이프(34) 단부의 링 홈에 끼워진 링부재(37)가 제 2끼움돌기(33) 하단에 걸리면서 고정 파이프(34)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ring member 37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pe 34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32 while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ipe 34 is protruded to the lower end through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33, . In addition, a ring groove 36 is formed in a ring-shaped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fixed pipe 34 projecting in this manne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member 37 (ex: E-RING) fit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ing groove 36 is inserted, the fixing pipe 34 fitted to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33 is lifted upward, The ring member 37 inserted into the ring groove of the end portion of the fixed pipe 34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fitting projection 33 is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tting projection 33, ) Is not removed.

상기 제 2연결부(41)는 전술된 제 1연결부(31)와 함께 장착부(30)와 작동부(50) 상호간 체결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편(42), 체결돌기(47), 방진 안착부(44), 제 2방진부재(45)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1 is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mounting portion 30 and the operating portion 50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fastening piece 42, a fastening protrusion 47, (44) and a second anti-vibration member (45).

이를 위해 상기 장착부(30)는 저면을 향해 수직으로 체결편(42)을 하향연장형성하고, 이러한 체결편(42)에는 체결홈(43)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To this end, the mounting portion 30 vertically extends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a fastening groove 43 is formed in the fastening piece 42.

상기 체결홈(43)에 대응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50) 중 필터부가 설치된 필터부 케이스(B) 외주연에 체결돌기(47)를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장착부(30)가 하강하며 체결홈(43)에 체결돌기(47)가 끼워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체결편(42)과 체결돌기(47)는 각각 복수개가 상호간 이격되며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The fastening protrusion 47 is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unit case B provided with the filter unit of the operating unit 50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47 can be fitted to the fastening groove 4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s 47 are fitted in the fastening grooves 43.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fastening pieces 42 and the fastening protrusions 47 shoul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방진 안착부(44)는 전술된 체결돌기(47)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필터부(70)의 외주연 중, 체결홈(43)에 체결돌기(47)가 대응되며 끼워질시 체결돌기(47) 양측에서 체결편(42)이 면접촉되는 필터부(70)의 외주연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될 제 2방진부재(45)가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필터부(70)의 길이방향)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dustproof seating part 4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47. The coupling protrusion 47 corresponds to the coupling groove 43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part 70, The second vibration preventing member 45 to be described later correspond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lter portion 70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ngaging piece 42 on both sides of the projection 4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방진 안착부(44)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단은 밀폐되어 있으며 내부에 사각형의 안착공간(46)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돌출되되, 이러한 방진 안착부(44)는 전면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The dustproof seating part 44 is open at the upper part and closed at the lower end and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seating space 4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s. To have a shape.

상기 제 2방진부재(45)는 전술된 방진 안착부(44)에 대응설치되는 것으로서, 'I'자 단면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방진 안착부(44)의 개구된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끼워 삽입고정하는것이다.The second anti-vibration member 45 is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bove-described anti-vibration seat 44, and is formed to have an I-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e second anti-vibration member 45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anti- It is to insert and fix.

이에, 제 2방진부재(45)는 후면이 방진 안착부(44)에 삽입되고, 저면은 방진 안착부(44) 전면에 위치되어, 체결편(42)의 체결홈(43)을 작동부(50)의 체결돌기(47)에 대응시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편(42)이 일면이 제 2방진부재(45)와 접촉하게 되어, 작동부(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장착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ibration preventing member 45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ustproof seating portion 44 so that the engaging groove 43 of the fastening piece 42 is engaged with the operation portion The vibration of the actuating part 50 is transmitted to the mounting part 30 by the vibration of the actuating part 50 due to the fact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ece 4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vibration- As shown in FIG.

더불어, 전술된 장착부(30)와 작동부(50)로 이루어진 연료펌프모듈(20)은 모터펌프(60), 필터부(70), 연료량 측정부(80), 외부 필터부(90), 압력센서부(39a)를 포함한다.The fuel pump module 20 including the mounting portion 30 and the operation portion 50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motor pump 60, the filter portion 70, the fuel amount measuring portion 80, the external filter portion 90, And a sensor unit 39a.

상기 모터펌프(ex: BLDC 펌프, 60)는 전술된 연료펌프모듈(20)(더욱 자세히는 작동부(50))의 일체형 케이스(C)(모터펌프 케이스(A) 및 필터부 케이스(B))에 직립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이러한 모터펌프(60)는 메인탱크(11)(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탱크(13)에 설치될 수도 있음이다.)에 설치된 작동부(50)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탱크(11)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흡입한 후, 모터펌프(60)의 일측면에 함께 설치되어 있는 필터부(70)로 이송시킨 후, 상기 필터부(70)를 거친 연료가, 작동부(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장착부(30)에서 엔진과 연결호스 등으로 있는 연료토출구(38)로 연료를 토출하여 엔진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motor pump (ex: BLDC pump) 60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ase C (motor pump case A and filter case B) of the fuel pump module 20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part 50) More specifically, the motor pump 60 includes an operating portion 50 provided in the main tank 11 (which may be provided in the sub tank 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user) So that the fuel stored in the main tank 11 is suck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filter unit 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tor pump 60. Thereafter, Fuel is discharged from the mounting portion 30,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50, to the fuel discharge port 38, which is an engine, a connecting hose, or the like, and is delivered to the engine.

또한, 상기 모터펌프(60)의 이러한 엔진으로의 연료이송을 위한 연료토출시, 연료의 고속분사로 인한 부압으로 인하여, 서브탱크(13)로부터 연료가 흡입되어져 메인탱크(11) 내부에 연료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caused by the high-speed injection of the fuel, the motor pump 60 releases fuel to the fuel tank, and the fuel is sucked from the sub tank 13, To be filled.

이를 위해 상기 모터펌프(60)에는 양단이 개구되되, 일단에는 복수개의 제 1, 2유입출구(62, 6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배출구(64)가 형성된 서브연료 공급부재(61)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 1유입출구(62)는 작동부(50)의 모터펌프(60)와 연결되고, 제 2유입출구(63)는 장착부(30)에서 서브탱크(13)에 일단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와 연통되는 연료흡입구(39)에 호스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구(64)는 제 1유입출구(62)의 하단에서 제 1, 2유입출구(62, 63)와 모두 연통되어 메인탱크(11) 내부에 개구된 상태로 위치된다.To this end, the motor pump 60 is provided with a sub fuel supply member 61 having both ends opene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inflow outlets 62 and 63 formed at one end and a discharge port 64 formed at the other end The first inflow outlet 62 is connected to the motor pump 60 of the operation part 50 and the second inflow outflow 63 is connected to the sub tank 13 at one time from the mounting part 30 The outlet 6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nd second inflow outlets 62 and 63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flow outlet 62 and is connected to the fuel inlet 39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ng hose, (Not shown).

이로써, 모터펌프(60)가 메인탱크(11) 내 연료를 저면에서 흡입한 연료를 고속분사하여 엔진으로 이송시키게 되면(메인탱크(11)의 연료는 우선 필터부(70)로 거쳐 엔진으로 이송된다.), 상기 모터펌프(60)의 연료분사시 발생되는 부압이 모터펌프(60)와 연결된 서브연료 공급부재(61)의 제 1유입출구(62)로 전달되고, 이러한 제 1유입출구(62)의 일측에 연통되어 있는 제 2유입출구(63)를 통해 서브탱크(13)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흡입되어 배출구(64)를 통해 메인탱크(11)의 연료와 섞이는(공급되는) 것이다.
Thus, when the motor pump 60 injects the fuel in the main tank 11 at a high speed into the engine at high speed (the fuel in the main tank 11 is first fed to the engine via the filter unit 70)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fuel injection of the motor pump 6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inlet outlet 62 of the sub fuel supply member 61 connected to the motor pump 60, The fuel stored in the sub tank 13 is sucked through the second inflow outlet 63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main tank 11 and is mixed with the fuel of the main tank 11 through the discharge port 64 .

상기 필터부(70)는 작동부(50)의 내부에서 모터펌프(6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술된 모터펌프(60)를 통해 메인탱크(11)의 연료가 분사됨과 동시에, 메인탱크(11) 내에 서브탱크(13)의 연료가 유입될 시, 상기 메인탱크(11)에서 분사되는 연료는 곧바로 엔진으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필터부(70)를 우선 거치며 내부의 이물질이 여과된 후, 장착부(30)에 위치한 연료토출구(38)를 통해 엔진으로 이송된다.
The filter unit 7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otor pump 60 inside the operation unit 50 and injects fuel of the main tank 11 through the motor pump 60 described above, The fuel injected from the main tank 11 is not directly transferred to the engine when the fuel of the sub tank 13 flows into the main tank 11, And is then transferred to the engine through the fuel discharge port 38 located in the mounting portion 30. [

상기 연료량 측정부(80)는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탱크(11)에 잠기며 내설되는 작동부(5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메인탱크(11) 내의 연료 수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The fuel amount measuring unit 8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peration unit 50 immersed in the main tank 11 in which the fuel is stored and measures the fuel level in the main tank 11.

이러한 연료량 측정부(80)는 가변저항 표시부, 플로우트로 이루어지는데, 연료탱크(10)(메인탱크(11)) 내 연료의 유면에 플로우트가 부유되고, 유면 높이에 따라 상, 하로 이동되어 플로우트 로드의 일단에 형성된 게이지가 작동부(50)의 외주연에 형성된 가변저항 표시부에 대응접촉되며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화되는 가변저항값을 통해 남아있는 연료량을 송출하는 구조로, 이러한 연료량 측정부(80)는 연료펌프모듈(20)에서 공지된 기술로써, 작동원리에 대한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uel amount measuring unit 80 includes a variable resistance display unit and a float. The float floats on the oil level of the fuel in the fuel tank 10 (main tank 11)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oil level, The gauge formed at one end of the actuating portion 50 is in contact with and rotatable with the variable resistance display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ctuating portion 50, whereby the remaining amount of fuel is delivered through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80 are known in the fuel pump module 20,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principle will be omitted.

상기 외부 필터부(90)는 작동부(50)(연료펌프모듈(2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작동부(50) 내부에서 연료를 흡입하는 모터펌프(60)와 대응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펌프(60)에 의해 메인탱크(11) 내 연료가 흡입될 시, 망 형태를 가지는 상기 외부 필터부(90)를 거치며 1차적으로 이물질이 여과되어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분사되는 연료는 작동부(50) 내부에 설치된 필터부(70)를 통해 2차로 이물질이 여과된다.
The external filter unit 9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50 (the fuel pump module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tor pump 60 that sucks the fuel in the operation unit 50, When the fuel in the main tank 11 is sucked by the motor pump 60, foreign substances are primarily filtered and sucked through the net-shaped external filter unit 90. Then, The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70 installed in the operation unit 50. [

상기 압력센서부(39a)는 본 발명의 장착부(3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엔진과 연결호스 등으로 있는 장착부(30) 상부면의 연료토출구(38)에 설치되는 것이다.The pressure sensor portion 39a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stalled in the fuel discharge port 38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0 having the engine and the connecting hose.

상기 압력센서부(39a)는 연료가 엔진으로 이송시, 연료펌프모듈(20)의 내부압력(연료토출구(38)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을 연료펌프모듈(20)과 연결되어 있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신호를 전달하며, ECU는 전달받은 압력을 통해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여, 연료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연압 제어)The pressure sensor portion 39a measu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pump module 20 (the pressure of the fuel discharge port 38) when the fuel is transferred to the engine, and the measured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fuel pump module 20 The ECU transmits a signal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the vehicle, and the ECU grasps the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the received pressur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pump 60 that sucks and injects the fuel. )

즉, 차량의 종류 및 각 차량의 다양한 조건(운행시, 정지시, 다양한 압력수치에 따른 공급연료량 등)에 따라 최적의 압력과 연료량을 사전지정하고, 압력센서부(39a)가 감지한 압력수치에 따라 필요한 압력과 연료만이 엔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물론,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20)의 하단에는 엔진 측으로 유동되는 연료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연료압력조절기(100)가 더 설치되어 있음이다.)That is, the optimum pressure and the fuel amount are pre-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vehicle and various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vehicles (such as the amount of the fuel supplied to the vehicle at the time of stopping, stopping, and various pressure values) The fuel pressure regulator 100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uel flowing to the engine sid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uel pump modu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more.)

이로써, 기존에 레귤레이터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며, 항시 고정된 연료 유량만을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펌프모듈(20)이 장착된 차량에 비해, 소모 전력을 저감시켜 연비가 개선되는 것이다.
This reduces power consumption and improves fuel economy compared to a vehicle equipped with a fuel pump module 20 that is conventionally regulated in pressure by a regulator and supplies only a fixed fuel flow rate to the engine at all times.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연료펌프모듈(20)이 설치되는 메인탱크(11)의 내부 저면에는 컵 형태의 보조 연료컵(12)이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연료펌프모듈(20)의 저면이 보조 연료컵(12) 내부에 일정길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조 연료컵(12) 내부의 메인탱크(11) 연료를 연료펌프모듈(20)이 흡입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up-shaped auxiliary fuel cup 12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tank 11 on which the fuel pump module 2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installed,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module 20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auxiliary fuel cup 12 for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uel pump module 20 sucks fuel in the main tank 11 inside the auxiliary fuel cup 12 .

물론, 이러한 보조 연료컵(12)은 메인탱크(11)와 연통되는 구조(ex: 외주연 등이 연통 등)를 가져야 함이며, 이러한 보조 연료컵(12)은 메인 탱크 내에 연료펌프모듈(20) 주변에 격벽을 형성하여 연료탱크(10)의 진동에 의한 연료의 유동을 감소시켜, 연료펌프모듈(20)의 연료흡입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Of course, the auxiliary fuel cup 12 must have a structure (e.g., an outer periphery or the lik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tank 11) communicating with the main tank 11 and the auxiliary fuel cup 12 is provided in the main tank with a fuel pump module 20 ) To reduce the flow of the fuel due to the vibration of the fuel tank 10 and to prevent the problem of fuel suction of the fuel pump module 20 from occurring.

또한, 엔진으로 이송되어 사용 후, 리턴되어 다시 연료펌프모듈(20)을 통해 메인탱크(11)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연료펌프모듈(20)과 엔진(E) 사이에 회수라인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Further, a recovery lin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uel pump module 20 and the engine E so that the fuel can be returned to the engine, returned to the engine, and then returned to the main tank 11 through the fuel pump module 2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연료탱크 11: 메인탱크
12: 보조 연료컵 13: 서브탱크
20: 연료펌프모듈 30: 장착부
31: 제 2연결부 32: 제 1끼움돌기
33: 제 2끼움돌기 34: 고정 파이프
35: 제 1방전부재 36: 링홈
37: 링부재 38: 연료토출구
39: 연료흡입구 39a: 압력센서부
41: 제 2연결부 42: 체결편
43: 체결홈 44: 방진 안착부
45: 제 2방진부재 46: 안착공간
47: 체결돌기 50: 작동부
60: 모터펌프 61: 서브 연료공급부재
62: 제 1유입출구 63: 제 2유입출구
64: 배출구 70: 필터부
80: 연료량 측정부 90: 외부 필터부
100: 연료압력게이지
A: 모터펌프 케이스 B: 필터부 케이스
C: 케이스
10: fuel tank 11: main tank
12: auxiliary fuel cup 13: sub tank
20: fuel pump module 30: mounting part
31: second connecting portion 32: first fitting projection
33: second fitting projection 34: fixed pipe
35: first discharge member 36: ring groove
37: ring member 38: fuel outlet
39: Fuel intake port 39a: Pressure sensor section
41: second connecting portion 42: fastening piece
43: fastening groove 44: dustproof seat
45: second anti-vibration member 46: seat space
47: fastening protrusion 50: operating part
60: motor pump 61: sub fuel supply member
62: first inlet outlet 63: second inlet outlet
64: exhaust port 70: filter portion
80: fuel amount measuring part 90: external filter part
100: Fuel pressure gauge
A: Motor pump case B: Filter case
C: Case

Claims (5)

연료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엔진으로 연료를 이송시키는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 저면 중단이 상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내부가 구획되는 안장형 형태의 상기 연료탱크(10)에 내설되되, 상부면이 연료탱크(1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엔진과 연통되는 장착부(30);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에서 장착부(30) 하단에 대응체결되어 일체를 이루되, 하부면은 연료탱크(10)의 저면과 이격되며 브라켓 결합구조를 가지며, 모터펌프(60)와 필터부(70)로 이루어져, 상기 연료탱크(10) 내 연료를 흡입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엔진으로 이송시키는 작동부(50);
상기 장착부(30)를 모터펌프(60)에 상호간 연결시키는 제 1연결부(31);
상기 장착부(30)를 필터부(70)에 상호간 연결시키는 제 2연결부(41);
상기 제 1, 2연결부(31, 41)에 설치되어, 작동부(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량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제 1, 2방진부재(35, 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연결부(31)는 장착부(30)의 저면 및 모터펌프(60)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2끼움돌기(32, 33)와, 상기 제 1, 2끼움돌기(32, 33)에 양단이 대응되며 끼워고정되는 고정 파이프(34)와, 상기 고정 파이프(34)의 외주연을 감싸는 가이드 파이프(34a)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34a)의 양단에서 고정 파이프(34)에 각각 끼움고정됨으로써, 작동부(50)의 진동이 장착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제 1방진부재(35)와, 상기 제 2끼움돌기(33)를 관통한 고정 파이프(34)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 파이프(34)가 제 2끼움돌기(33)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링부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연결부(41)는 장착부(30)의 저면에서 필터부(70)로 하향연장형성되되, 체결홈(43)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체결편(42)과, 상기 체결홈(43)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필터부(7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47)와, 상기 체결돌기(47)의 양측에서 상기 체결편(42)이 면접촉되는 필터부(70)의 외주연 부분에 필터부(7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방진 안착부(44)와, 상기 방진 안착부(44)에 대응설치되어, 체결홈(43)이 체결돌기(47)와 체결시, 작동부(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장착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체결편(42)과 접촉되는 제 2방진부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료탱크(10)는 내부가 구획되어 메인탱크(11)와 서브탱크(13)의 복수개 연료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부(30) 및 작동부(50)로 이루어지는 연료펌프모듈(20)은 메인탱크에 설치되어, 메인탱크(11)의 연료를 엔진으로 이송시켜 토출시키되, 연료의 고속분사로 인한 부압으로 서브탱크(13)로부터 동시에 연료를 흡입하여 메인탱크(11)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하고,
상기 작동부(50)는 연료탱크(10)로부터 연료를 흡입하기 위해 모터펌프(60)가 삽입되는 모터펌프 케이스(A) 및 모터펌프(60)에서 흡입된 연료를 여과하는 필터부(70)의 필터부 케이스(B)가 일체형 케이스(C)로 사출되어 구성되고,
상기 메인탱크(11)는 연료펌프모듈(20)의 하단부와 대향되는 내부 저면에, 상기 메인탱크(11)의 연료가 채워지는 보조 연료컵(12)이 형성되어, 상기 연료펌프모듈(20)의 저면이 보조 연료컵(12) 내부에 일정길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메인탱크(11) 내 연료펌프모듈(20) 주변에 격벽을 형성하여 연료탱크(10)의 진동에 의한 연료의 유동을 감소시켜, 연료펌프모듈(20)의 연료흡입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조 및 브라켓 연결구조형 연료공급장치.
1. A fuel supply device installed inside a fuel tank (10) for transferring fuel to an engine,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10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10, (30);
The lower surface of the fuel tank 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tank 10 and has a bracket coupling structure. The motor pump 60, (50) which comprises a fuel tank (70) for sucking fuel in the fuel tank (10) and removing foreign matter and transferring the fuel to the engine;
A first connection part 31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30 to the motor pump 60;
A second connection part 41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30 to the filter part 70;
And first and second vibration preventing members 35 and 45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 and 41 to prevent vibration generated in the operating portion 5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ehicle,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includes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32 and 3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30 and the motor pump 60 and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32 and 33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32 and 33 A guide pipe 34a which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pipe 34 and a fixing pipe 34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fixing pipe 34 at both ends of the guide pipe 34a, A first anti-vibration member 35 for preventing the vib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5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30, and a second anti-vibration member 35 fasten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xing pipe 34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tting projection 33, And a ring member (37) for preventing the fixing pipe (34)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cond fitting projection (33)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1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0 downward to the filter portion 70 and includes a fastening piece 42 having a fastening groove 43 formed therein, A fastening protrusion 47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unit 70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47 can be fitted to the filter unit 70 and a filter unit 70 in which the fastening unit 42 is in surface contact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7. [ A dustproof seating portion 44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lter portion 7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dustproof seat portion 44 provided in the dustproof seating portion 44. When the coupling groove 43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47, And a second anti-vibration member (4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piece (42) so that vibration generated in the operation part (50) is not transmitted to the mounting part (30)
The inside of the fuel tank 10 is partitioned to form a plurality of fuel storage spaces of the main tank 11 and the sub tank 13. A fuel pump module 20 composed of the mounting portion 30 and the operation portion 50, Fuel in the main tank 11 is discharged from the sub tank 13 at a negative pressure due to the high-speed injection of the fuel, However,
The operation unit 50 includes a motor pump case A in which a motor pump 60 is inserted to suck fuel from the fuel tank 10 and a filter unit 70 that filters the fuel sucked in the motor pump 60. [ The filter case B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being injected into the integral case C,
The main tank 11 is formed with an auxiliary fuel cup 12 filled with the fuel of the main tank 11 on an inner bottom surface op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fuel pump module 20, And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around the fuel pump module 20 in the main tank 11 so that the flow of the fuel due to the vibration of the fuel tank 10 can be suppressed So as to prevent the problem of fuel suction of the fuel pump module (20) from occur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65259A 2013-12-27 2013-12-27 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anti-vibration KR101528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259A KR101528280B1 (en) 2013-12-27 2013-12-27 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anti-vib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259A KR101528280B1 (en) 2013-12-27 2013-12-27 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anti-vib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280B1 true KR101528280B1 (en) 2015-06-11

Family

ID=5350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259A KR101528280B1 (en) 2013-12-27 2013-12-27 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anti-vib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28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817A (en) * 1999-07-06 2001-01-23 Aisan Ind Co Ltd Fuel supply system
JP2005220877A (en) * 2004-02-09 2005-08-18 Denso Corp Fuel supply device
KR20090127884A (en) * 2007-02-14 2009-12-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Delivery unit
KR101075794B1 (en) * 2011-08-30 2011-10-24 주식회사 코아비스 Fuel pump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817A (en) * 1999-07-06 2001-01-23 Aisan Ind Co Ltd Fuel supply system
JP2005220877A (en) * 2004-02-09 2005-08-18 Denso Corp Fuel supply device
KR20090127884A (en) * 2007-02-14 2009-12-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Delivery unit
KR101075794B1 (en) * 2011-08-30 2011-10-24 주식회사 코아비스 Fuel pump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6526B1 (en) Filter device
JP5571366B2 (en) Filter device
US6719539B1 (en) Fuel feeder
US20110126808A1 (en) Fuel supply equipment
JP4248075B2 (en) Fuel supply device
JP2009236006A (en) Fuel supply device
KR101528280B1 (en) 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anti-vibration
WO2006120899A1 (en) Fuel feeder
JP4143852B2 (en) Fuel supply device
ITMI970461A1 (en) FUEL INTAKE AND DELIVERY UNIT TO AN ENGIN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KR20150076724A (en) F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JPH09226389A (en) Fuel supply device for vehicle
KR20150076725A (en) Uel supply apparatus using connection structure of braket and fixed outside filter
JP2009228653A (en) Fuel supply apparatus
KR101173893B1 (en) Fuel pump module
JP4143850B2 (en) Fuel supply device
CN201696191U (en) Fuel oil supply device of light-duty truck
JP2011153603A (en) Fuel supply device
JP2618474B2 (en) In-tank fuel pump mounting structure
JP5012517B2 (en) Fuel supply device
KR100999610B1 (en) Fuel system for liquefied petroleum injection engine
JP5810938B2 (en) Fuel tank structure
JP2011157874A (en) Fuel supply device
JP5902240B2 (en) Filter device
JP4923926B2 (en) Fuel pump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