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46B1 -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46B1
KR101528146B1 KR1020080128469A KR20080128469A KR101528146B1 KR 101528146 B1 KR101528146 B1 KR 101528146B1 KR 1020080128469 A KR1020080128469 A KR 1020080128469A KR 20080128469 A KR20080128469 A KR 20080128469A KR 101528146 B1 KR101528146 B1 KR 10152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aturation
coefficient
image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9915A (en
Inventor
김수형
김성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146B1/en
Publication of KR2010006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ant on signal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색상 변화율에 따라 표시 영상의 채도 개선 정도를 가변시켜 적용함으로써 채도의 개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화소 영역을 구비하여 형성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채도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에 따라 게인 계수를 설정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영상 변환 처리부; 및 상기 채도 데이터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함과 아울러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28469

채도 데이터(U,V), 휘도 데이터(Y), 보정 계수, 게인 계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pparatus for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improving the chroma saturation improvement efficiency by varying the saturation improvement degree of the display image according to the hue change rate of the video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 display panel formed with the pixel region of the pixel; A gate and data for driving a plurality of gates and data lines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An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saturation data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detect a saturation correction coefficient and setting a gai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setting coefficient from the user to convert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And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ate and the data driver by generating a gate and a data control signal by supplying the converted data obtained by converting the saturation data to the data driver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panel, do.

Figure R1020080128469

The saturation data (U, V), luminance data (Y), correction coefficient, gain coefficient

Description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pparatus for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색상 변화율에 따라 표시 영상의 색상 개선 정도를 가변시켜 적용함으로써 색상의 개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display apparatus and a video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color improvement efficiency by varying the degree of color improvement of a display image according to a color change rate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최근, 대두되고 있는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flat panel display devices that have emerged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a plasma display panel, and a light emitting display.

상기의 평판 표시장치들은 해상도, 컬러표시 및 화질 등이 우수하여 노트북, 데스크 탑 모니터 및 모바일용 단말기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ve excellent resolution, color display, and image quality, and are actively applied to notebook computers, desktop monitors, and mobile terminals.

이러한 영상 표시장치에서는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시 영상의 채도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변화시켜 영상을 구현하기도 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채도 데이터의 변화율을 미리 설정해두고, 설정된 변화율에 따라 영상의 채도를 일괄적으로 가변시켜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었다. 하 지만, 종래와 같이 채도 데이터의 변화율을 미리 설정해두고 변화시키게 되면 채도가 낮은 영상들을 표시할 때 오히려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 전체적으로 채도가 낮은 영상이나 순색이 많이 포함된 영상의 채도를 미리 설정된 변화율로 변화시키게 되면 그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이 번져보이고 선명도가 더욱 떨어져 역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In this image display apparatus, in order to improve the sharpness of the displayed image, the saturation data of the display image is collectively changed to implement the image. Specifically, conventionally, the rate of change of the saturation data is set in advance, and the saturation of the image is changed in a batch manner according to the set change rate, so that the image can be more clearly implemented. However, if the rate of change of the saturation data is previously set and changed as in the prior art,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sharpness is lowered when displaying the low saturation images. In other words, if the saturation of a low-saturation image or a high saturation-rich image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rate of change, the image is blur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nd the sharpness is further decreased to cause adverse eff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색상 변화율에 따라 표시 영상의 색상 개선 정도를 가변시켜 적용함으로써 색상의 개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lor improvement efficiency by varying the degree of color improvement of a display image according to a color change rate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구비하여 형성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채도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에 따라 게인 계수를 설정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영상 변환 처리부; 및 상기 채도 데이터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함과 아울러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 gate and data for driving a plurality of gates and data lines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An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saturation data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detect a saturation correction coefficient and setting a gai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setting coefficient from the user to convert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And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ate and the data driver by generating a gate and a data control signal by supplying the converted data obtained by converting the saturation data to the data driver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panel, do.

상기 영상 변환 처리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들의 휘도 및 채도 데이터들을 검출 및 분리하는 휘도/색차 분리부, 상기 검출된 채도 데이터들을 히스토그램화 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의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의 설정 계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게인 계수를 생성함과 아울 러 상기 생성된 게인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의 채도 데이터들을 보정하는 색차 보정부, 상기 휘도/색차 분리부로부터의 휘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휘도 지연부, 및 상기 색차 보정부로부터 보정된 채도 데이터와 상기 지연된 휘도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채도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변환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comprises a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for detecting and separating luminance and chroma data of the image data, histograms of the detected chroma data, detect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A chrominance correction unit that compares the set coefficients and generates the gain coefficien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corrects the chroma data using the generated gain coefficient, And a conversion dat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ata in which the saturation is converted by combining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and the delayed luminance data from the color difference correcting unit .

상기 색차 보정부는 상기 채도 데이터의 채도 정도를 비트 변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변조하고 변조된 채도 값을 출력하는 UV 보정부, 상기 변조된 채도 값들을 비교 분석하여 계조별 최대 채도 값을 검출하는 최대 값 산출부,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최대 채도 값들을 각 계조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히스토그램화 하고 히스토그램의 정보들을 생성 및 출력하는 히스토그램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히스토그램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최대 채도 값들이 분포된 계조들 중 최대 레벨에 해당하는 계조 값을 상기 보정 계수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보정 계수 산출부, 상기 산출된 보정 계수와 상기 설정 계수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계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게인 계수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게인 계수 생성부, 상기 휘도/색차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채도 데이터들을 상기 게인 계수가 생성될 때까지 지연시켜 출력하는 UV 지연부, 및 상기 지연되어 입력되는 채도 데이터들과 상기 게인 계수를 연산하여 상기 보정된 채도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의 데이터 변환 데이터 생성부에 공급하는 UV 변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게인 계수 생성부는 영상의 표시하는 전체 계조 수에서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설정 계수 중 더 낮은 계수를 나눈 값을 상기 게인 계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roma correcting unit may include a UV correcting unit for modulating the chroma saturation degree of the saturation data so as to grasp the degree of chroma saturation through bit conversion and outputting a modulated chroma saturation value,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modulated chroma saturation values with a maximum value A histogram generator for generating histogram information by arranging the maximum chroma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gray level in at least one frame unit and generating histogram information and outputting information of the histogram; A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correc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a maximum level among the distributed gradations and outputt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as the correction coefficient and selecting a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correction coefficient with the setting coefficient, To generate a gain coefficien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gain coefficient A UV delay unit for delaying and outputting the chroma data separated from the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until the gain coefficient is generated, and a UV delay unit for computing the gain coefficient with the delayed input chroma data, And a UV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data and supplying the generated data to the data conversion data generation unit. Further, the gain coefficient generator may set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and the lower coefficient among the set coefficients by the gain coefficient in the total number of gradations displayed in the imag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화소 영역을 구비하여 형성된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채도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에 따라 게인 계수를 설정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채도 데이터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display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Driving a plurality of gates and data lines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detecting saturation correction coefficients by analyzing chroma data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detecting a gai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setting coefficient from the user; And converting the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And displaying the image by arranging the converted data in which the saturation data is converted to be suitable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상기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들의 휘도 및 채도 데이터들을 검출 및 분리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채도 데이터들을 히스토그램화 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의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의 설정 계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게인 계수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생성된 게인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의 채도 데이터들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휘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채도 데이터와 상기 지연된 휘도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채도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step of converting the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includes detecting and separating luminance and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histogramming the detected saturation data to detect the correction coefficient, Comparing the inputted setting coefficients, generating the gain coefficien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correcting the chroma data using the generated gain coefficient, and outputting the separated luminance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ata in which the saturation is converted by combining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and the delayed luminance data.

상기 채도 데이터들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도 데이터의 채도 정도를 비트 변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변조하고 변조된 채도 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변조된 채도 값들을 비교 분석하여 계조별 최대 채도 값을 검출하는 단계,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최대 채도 값들을 각 계조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히스토그램화 하고 히스토그램의 정보들을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히스토그램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최대 채도 값들이 분포된 계조들 중 최대 레벨에 해당하는 계조 값을 상기 보정 계수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보정 계수와 상기 설정 계수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계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게인 계수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 상기 휘도/색차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채도 데이터들을 상기 게인 계수가 생성될 때까지 지연시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되어 입력되는 채도 데이터들과 상기 게인 계수를 연산하여 상기 보정된 채도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게인 계수 생성단계는 영상의 표시하는 전체 계조 수에서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설정 계수 중 더 낮은 계수를 나눈 값을 상기 게인 계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of correcting the saturation data may include modulating the saturation degree of the saturation data so as to grasp the degree of saturation through bit conversion and outputting a modulated saturation value, comparing the modulated saturation values, and detecting a maximum saturation valu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of a histogram by arranging the maximum chroma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gradation in at least one frame unit and histograms, analyzing histogram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rame, Selecting a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correction coefficient with the setting coefficient, and outputting the gain coefficient < RTI ID = 0.0 > And a luminance / chrominance division unit Ridoen outputting by delaying until the gain coefficient generating saturation data, and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of creating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by calculating the gain factor and the saturation data input to the delay mentioned above. The gain coefficient generat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and the lower coefficient among the set coefficients by the total number of gradations displayed in the image is set as the gain coefficient.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색상 변화율과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에 따라 표시 영상의 채도 개선 정도를 가변시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표시 영상의 채도 개선 정도를 각 표시 영상들의 특성들에 알맞게 설정함으로써 채도의 개선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varying the saturation improvement degree of a display image according to a color change rate of input image data and a setting coefficient from a user, hav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chroma improvement efficiency by setting the degree of chroma improvement of the display image to b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play image.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의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영상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발광 표시장치 등이 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액정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만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riving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like,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y way of example only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apparatu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구비하여 형성된 액정패널(2);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4);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6);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의 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채도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에 따라 게인 계수를 설정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영상 변환 처리부(10); 및 상기 채도 데이터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M_RGB)를 액정패널(2)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함과 아울러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신호(GCS,DCS)를 생성하여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6,4)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8)를 구비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2 formed with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 data driver 4 for driv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A gate driver 6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n image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saturation correction coefficients by analyzing saturation data of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setting gai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s and a setting coefficient from the user, A processing unit 10; And the conversion data (M_RGB) in which the saturation data is converted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liquid crystal panel (2) and supplied to the data driver (4), and gate and data control signals (GCS, DCS) And a timing controller 8 for controlling the switches 6 and 4.

액정패널(2)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에 의해 정의되는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및 TFT와 접속된 액정 커패시터(Clc)를 구비한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TFT와 접속된 화소 전극, 화소 전극과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공통전극으로 구성된다. TFT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으로부터의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각각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화소 전극에 공급한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화소 전극에 공급된 영상신호와 공통전극에 공급된 공통전압의 차전압을 충전하고, 그 차전압에 따라 액정 분자들의 배열을 가변시켜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한다. 그리고, 액정 커패시터(Clc)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병렬로 접속되어 액정 커패시터(Clc)에 충전된 전압이 다음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까지 유지되게 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 전극이 이전 게이트 라인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 전극이 스토리지 라인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The liquid crystal panel 2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TFT) formed in each pixel region defined by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and a liquid crystal capacitor (Clc). The liquid crystal capacitor Clc is composed of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TFT, and a common electrode facing the pixel electrode and the liquid crystal. The TFT supplies a video signal from each of the data lines DL1 to DLm to the pixel electrode in response to a scan pulse from each of the gate lines GL1 to GLn. The liquid crystal capacitor Clc charges the difference voltage between the video signal su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voltage su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and adjusts the light transmittance by varying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voltage.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iquid crystal capacitor Clc so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liquid crystal capacitor Clc is maintained until the next data signal is supplied.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pixel electrode with the previous gate line and the insulating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lternatively,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the pixel electrode with the storage line and the insulating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데이터 드라이버(4)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CS) 예를 들어,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쉬프트 클럭(SSC; Source Shift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 Source Output Enable) 신호 등을 이용하여,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 정렬된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전압 즉,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드라이버(4)는 SSC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8)를 통해 감마 변환되어 정렬된 데이터(Data)를 래치한 후, SOE 신호에 응답하여 각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스캔 펄스가 공급되는 1수평 주기마다 1수평 라인 분의 영상신호를 각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에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드라이버(4)는 정렬된 데이터(Data)의 계조 값에 따라 소정 레벨을 가지는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감마전압을 선택하고 선택된 감마전압을 영상신호로 각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에 공급한다. The data driver 4 receives a data control signal DCS from the timing controller 8, for example,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hift clock SSC, a source output enable SO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from the timing controller 8 to an analog voltage, that is, a video signal. Specifically, the data driver 4 latches the data (Data) subjected to the gamma conversion through the timing controller 8 in accordance with the SSC, and supplies a scan pulse to each of the gate lines GL1 to GLn in response to the SOE signal And supplies a video signal for one horizontal line to each of the data lines DL1 to DLm for every one horizontal period to be supplied. At this time, the data driver 4 selects a positive or negative gamm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gradation value of the aligned data Data, and outputs the selected gamma voltage to each of the data lines DL1 to DLm Supply.

게이트 드라이버(6)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GCS) 예를 들어,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GOE; Gate Output Enable) 신호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발생하고, 이를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다시 말하여, 게이트 드라이버(6)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의 GSP를 GSC에 따라 쉬프트 시켜서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에 스캔 펄스 예를 들어, 게이트 온 전압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에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기간에는 게이트 오프 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게이트 드라이버(6)는 스캔 펄스의 펄스 폭을 GOE 신호에 따라 제어한다. The gate driver 6 outputs a gate control signal GCS from the timing controller 8, for example,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 gate output enable Sequentially generates a scan pulse in response to a Gate Output Enable (GOE) signal, and sequentially supplies the scan pulse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In other words, the gate driver 6 shifts the GSP from the timing controller 8 according to the GSC to sequentially supply a scan pulse, for example, a gate-on voltage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Then, the gate-off voltage is suppli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gate-on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Here, the gate driver 6 controls the pulse width of the scan pulse in accordance with the GOE signal.

영상 변환 처리부(10)는 외부 예를 들어, 그래픽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RGB)의 채도 데이터들을 검출하고 히스토그램화 하여 영상의 채도를 변환시키기 위한 보정 계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 계수(Gset)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계수를 선택 및 이용하여 채도 변환 게인 값을 생성하게 된다. 영상 변환 처리부(10)는 이렇게 생성된 게인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 데이터(RGB)의 채도 데이터들을 보정함으로써 채도가 변환된 영상 데이터(M_RGB, 이하;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영상 변환 처리부(10)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후에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10 detects the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 graphics system (not shown), and histograms the detected saturation data to detect a correction coefficient for converting the saturation of the image.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is compared with a setting coefficient Gset input from the user, and a saturation conversion gain value is generated by selecting and using one of the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10 generates the chroma-converted image data M_RGB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rsion data) by correcting the chroma data of the input image data RGB using the gain value thus generated.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타이밍 컨트롤러(8)는 영상 변환 처리부(10)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데이 터(M_RGB)를 액정패널(2)의 구동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8)는 영상 변환 처리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동기신호 즉, 도트클럭(D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Vsyn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신호(GCS,DCS)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6,4)에 각각 공급함으로써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6,4)를 제어한다. The timing controller 8 arranges the conversion data M_RGB inputted from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section 10 so as to be suitable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panel 2 and supplies the data to the data driver 4. [ The timing controller 8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synchronizing signals input through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10, that is, the dot clock DCLK, the data enable signal D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s Hsync and Vsync To control the gate and data drivers 6 and 4 by generating gate and data control signals GCS and DCS and supplying them to the gate and data drivers 6 and 4, respectively.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변환 처리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영상 변환 처리부(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RGB)들의 휘도(Y) 및 채도(U,V) 데이터들을 검출 및 분리하는 휘도/색차 분리부(12), 상기 검출된 채도 데이터(U,V)들을 히스토그램화 하여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 계수(Gset)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게인 계수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생성된 게인 계수를 이용하여 채도 데이터(U,V)를 보정하는 색차 보정부(14), 상기 휘도/색차 분리부(12)로부터의 휘도 데이터(Y)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휘도 지연부(16), 및 상기 게인 계수에 따라 보정된 채도 데이터(UI,VI)와 상기 지연된 휘도 데이터(DY)를 조합하여 상기 채도가 보정된 변환 데이터(M_RGB)를 생성 및 출력하는 변환 데이터 생성부(18)를 구비한다.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10 shown in FIG. 2 includes a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12 for detecting and separating luminance (Y) and chroma (U, V) data of externally input image data (RGB) The gain coeffici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by comparing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with a setting coefficient (Gset) input from the user. A chrominance correction unit 14 for correcting the chroma data U and V by using the luminance data Y and the luminance data Y and a luminance delay unit 16 for delaying and outputting luminance data Y from the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12, ) And a conversion data generation unit (18)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chroma corrected conversion data (M_RGB) by combining the chroma data (UI, VI) corrected with the gain coefficient and the delayed luminance data (DY) Respectively.

이와 같은 영상 변환 처리부(10)의 구성 요소들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동기신호(DCLK,Hsync,Vsync,DE)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동작들을 수행하게되며, 동기신호(DCLK,Hsync,Vsync,DE)들은 타이밍 컨트롤러(8)에도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The components of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10 perform the respective operations using at least one of the synchronizing signals DCLK, Hsync, Vsync and DE input from the outside. The synchronizing signals DCLK and Hsync , Vsync, DE can also be supplied to the timing controller 8 at the same time.

휘도/색차 분리부(12)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RGB)를 휘도(Y) 및 채도 데이터(U,V)들로 분리한다. 여기서, 채도 데이터(U,V)들은 색차 성분(U,V)을 의미하기도 하며, 상기의 휘도 데이터(Y) 및 색차 데이터(U,V)들 각각은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3에 의하여 구해질 수 있다. The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12 separates the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into luminance (Y) and chroma data (U, V). The luminance data (Y) and the color difference data (U, V) are respectively converted into the luminance data (U, V) by the following equations (1) .

Y=0.229×R + 0.587×G + 0.114×BY = 0.229 x R + 0.587 x G + 0.114 x B

U=0.493×(B-Y)U = 0.493 x (B-Y)

V=0.887×(R-Y)V = 0.887 x (R-Y)

색차 보정부(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된 채도 데이터(U,V)들을 히스토그램화 하여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Gset)를 비교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된 결과에 따라 게인 계수를 생성하여 상기의 채도 데이터(U,V)들을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색차 보정부(14)에 대해서는 이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difference corrector 14 histograms the detected saturation data U and V to detect a correction coefficient, and compares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with a setting coefficient Gset from the user. Then, a gain coeffici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correct the saturation data (U, V). The color difference corrector 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휘도 지연부(16)는 휘도/색차 분리부(12)로부터의 휘도 데이터(Y)를 미리 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상기의 색차 보정부(14)에서 채도 데이터(U,V)를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까지 걸리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기간 동안 지연시킨다. 그리고, 휘도 지연부(16)는 보정된 채도 데이터(UI,VI)의 출력 시점과 동기되도록 지연된 휘도 데이터(DY)를 변환 데이터 생성부(18)에 공급한다. The luminance delay unit 16 corrects the luminance data Y from the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12 by correcting the chroma data U and V in the color difference correction unit 14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At least one frame period. The luminance delay unit 16 supplies the converted data generation unit 18 with the luminance data DY delayed so as to be synchronized with the output timing of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UI and VI.

변환 데이터 생성부(18)는 게인 계수에 따라 보정된 상기의 채도 데이터(UI,VI)들과 휘도 지연부(16)에서 지연되었던 휘도 데이터(DY)를 입력받아 채도가 보정된 변환 데이터(M_RGB)를 생성 및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변환 데이터(M_RGB)는 다음의 수학식 4 내지 6에 의하여 구해진다. The conversion data generation unit 18 receives the chroma data UI and VI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the gain coefficient and the luminance data DY delayed by the luminance delay unit 16 and converts the chroma data M_RGB ). Here, the conversion data M_RGB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4) to (6).

M_R = DY + 0.000×UI + 1.140×VIM_R = DY + 0.000 x UI + 1.140 x VI

M_G = DY - 0.396×UI - 0.581×VIM_G = DY - 0.396 x UI - 0.581 x VI

M_B = DY + 2.029×UI + 0.000×VIM_B = DY + 2.029 x UI + 0.000 x VI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색차 보정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lor difference correction unit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도 3에 도시된 색차 보정부(14)는 휘도/색차 분리부(12)로부터 분리된 채도 데이터(U,V)의 채도 정도를 비트 변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변조하고 변조된 채도 값(UL,VL)을 출력하는 UV 보정부(21), 상기 변조된 채도 값(UL,VL)들을 비교 분석하여 계조별 최대 채도 값(UM,VM)을 검출하는 최대 값 산출부(22),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최대 채도 값(UM,VM)들을 각 계조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히스토그램화 하고 히스토그램의 정보(HSI)들을 생성 및 출력하는 히스토그램 생성부(23),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히스토그램 정보(HSI)들을 분석하여 상기 최대 채도 값(UM,VM)들이 분포된 계조들 중 최대 레벨에 해당하는 계조 값을 보정 계 수(Tset)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보정 계수 산출부(24), 상기 산출된 보정 계수(Tset)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 계수(Gset)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계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계수를 이용하여 게인 계수(g_k)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게인 계수 생성부(25), 휘도/색차 분리부(12)로부터 분리된 채도 데이터(U,V)들을 상기 게인 계수(g_k)가 생성될 때까지 지연시켜 출력하는 UV 지연부(26), 및 상기 지연되어 입력되는 채도 데이터(DU,DV)들과 상기 게인 계수 생성부(25)로부터의 게인 계수(g_k)를 연산하여 보정된 채도 데이터(UI,VI)들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의 변환 데이터 생성부(18)에 공급하는 UV 변환부(2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lor difference corrector 14 shown in FIG. 3 modulates the saturation degree of the chroma data (U, V) separated from the luminance / color difference separator 12 so that it can be grasped through bit conversion and outputs the modulated chroma saturation values UL, A maximum value calculator 22 for comparing the modulated chroma saturation values UL and VL with each other to detect a maximum chroma saturation value UM and VM for each gradation, A histogram generator (HSI) 23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histogram information (HSI) by arranging the maximum chroma values (UM, VM) A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or 24 for outputting a tone value corresponding to a maximum level among the tonalities in which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UM and VM are distributed by setting a correction coefficient Tset, (Tset) and a preset coefficient (Gset) preset by the user A gain coefficient generation unit 25 for selecting a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gain coefficient g_k using the selected coefficient, V) delayed until the gain coefficient g_k is generated and outputs the delayed chroma data DU and DV from the gain coefficient generator 25 And a UV converting unit 27 for calculating the gain coefficient g_k to generate corrected saturation data UI and VI and supplying the generated saturation data UI and VI to the converted data generating unit 18. [

UV 보정부(21)는 휘도/색차 분리부(12)로부터 분리된 채도 데이터(U,V)의 채도 정도를 비트 변환을 통해 분석하기 위해, 다음의 수학식 7을 이용하여 채도 값(UL,VL)으로 수치 변조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 각각이 0 내지 255 계조를 구현하도록 8비트로 설정된 경우, 휘도/색차 분리부(12)로부터 분리된 채도 데이터(U,V)들은 0 내지 1023의 범위를 가지는 10비트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된 채도 데이터(U,V)의 채도 정도를 비트 변환을 통해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수학식 7을 이용하여 채도 값(UL,VL)으로 수치 변조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조된 채도 값(UL,VL)는 최대 값 산출부(22)에 공급된다. The UV correcting unit 21 calculates the saturation values UL and V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7 to analyze the degree of saturation of the chroma data U and V separated from the brightness / VL). More specifically, when each of the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is set to 8 bits so as to realize 0 to 255 gradations, the chroma data U and V separated from the luminance / 10 < / RTI > Accordingly, in order to analyze the degree of saturation of the separated chroma data U, V through bit conversion, it may be necessary to numerically modulate chroma saturation values (UL, VL)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7). The saturation values (UL, VL) thus modulated are supplied to the maximum value calculating section 22. [

UL = |U-512|UL = | U-512 |

VL = |V-512|VL = | V-512 |

최대 값 산출부(22)는 상기 UV 보정부(21)로부터 보정된 상기의 채도 값(UL,VL)들을 적어도 한 화소 단위로 비교 분석하여 각 계조 별 최대(Max)의 채도 값(UM,VM)들을 검출한다. The maximum value calculator 22 compares and analyzes the saturation values (UL, VL) corrected by the UV correcting unit 21 in units of at least one pixel and calculates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UM, VM .

히스토그램 생성부(23)는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최대 채도 값(UM,VM)들을 프레임 단위의 계조로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히스토그램 생성부(23)는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최대 채도 값(UM,VM)들을 각각의 계조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히스토그램 정보(HSI)들을 얻는다. 이때, 히스토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채도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그램이 오른쪽(높은 계조)으로 치우치면 채도가 높은 밝은 영상이나 순색이 많이 포함된 화면으로 판단하고, 히스토그램이 왼쪽(낮은 계조)으로 치우치면 채도가 낮은 어두운 화면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The histogram generator 23 divides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UM, VM) in units of frames at least in units of frames. Specifically, the histogram generator 23 arranges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UM, VM) in units of at least one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gradations to obtain histogram information (HSI) as shown in FIG. 4 or FIG. At this time, by analyzing the histogram, the satur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can be grasped. For example, if the histogram is shifted to the right (high grayscale), it is judged that the screen has a high saturation brightness image or a lot of pure color, and if the histogram is shifted to the left (low grayscale), it can be judged as a low saturation dark screen.

보정 계수 산출부(24)는 히스토그램 생성부(23)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히스토그램 정보(HSI)들을 분석하여 상기 최대 채도 값(UM,VM)들이 분포된 계조들 중 최대 레벨에 해당하는 계조 값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계조 값 200을 보정 계수(Tset)로 설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만일, 히스토그램 정보(HSI)가 도 5와 같이 생성된 경우에는 최대 채도 값(UM,VM)들이 분포된 계조들 중 최대 레벨에 해당하는 계조 값이 255가 되어, 계조 값 255를 보정 계수(Tset)로 설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The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or 24 analyzes the histogram information (HSI) of at least one frame supplied from the histogram generator 23 and calculates a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grada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level among the gradations in which the maximum chroma values (UM, VM)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4, the tone value 200 is set to the correction coefficient Tset and output. If the histogram information HSI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5, the ton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level among the tonalities in which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UM and VM are distributed is 255, and the tone value 255 is set as the correction coefficient Tset ) And outputs it.

게인 계수 생성부(25)는 보정 계수 산출부(24)로부터 산출된 보정 계 수(Tset)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 계수(Gset)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계수를 선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히스토그램 정보(HSI)가 생성된 경우, 산출된 보정 계수(Tset)는 180이 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Gset)는 200 계조를 지칭하는 20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인 계수 생성부(25)는 더 작을 값은 보정 계수(Tset) 180을 선택한 다음, 다음의 수학식 8을 이용하여 게인 계수(g_k)를 생성한다. The gain coefficient generation unit 25 compares the correction coefficient Tset calculated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24 with a preset coefficient Gset set by the user and selects a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Specifically, when the histogram information (HSI)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4, the calculated correction coefficient Tset becomes 180, and the setting coefficient Gset from the user can be 200, which indicates 200 gradations. In this case, the gain coefficient generation unit 25 selects the correction coefficient (Tset) 180 that is a smaller value, and then generates the gain coefficient g_k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8).

g_k = 전체 계조 수 / min(보정 계수(Tset) 또는 설정 계수(Gset))g_k = total number of gradations / min (correction coefficient (Tset) or setting coefficient (Gset))

다시 말해, 도 4와 같이 히스토그램 정보(HSI)가 생성된 경우에는 산출된 보정 계수(Tset) 180이 사용자의 설정 계수(Gset) 200 보다 작기 때문에, 게인 계수(g_k)는 전체 계조 수인 256에서 보정 계수(Tset) 180을 나눈 값이 될 수 있다. 만일, 도 5와 같이 히스토그램 정보(HSI)가 생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 계수(Gset) 200이 산출된 보정 계수(Tset) 255 보다 작기 때문에, 게인 계수(g_k)는 전체 계조 수인 256에서 설정 계수(Gset) 200을 나눈 값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 및 설정된 게인 계수(g_k)는 UV 변환부(27)에 공급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histogram information (HSI)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4, since the calculated correction coefficient Tset 180 is smaller than the user's setting coefficient Gset 200, the gain coefficient g_k is corrected And may b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oefficient (Tset) 180 by a factor. If the histogram information HSI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5, since the user's setting coefficient Gset 200 is smaller than the calculated correction coefficient Tset 255, the gain coefficient g_k is set to 256, which is the total number of gradations, (Gset) divided by 200. The gain coefficient g_k thus generated and set is supplied to the UV conversion unit 27. [

한편, UV 지연부(26)는 상기의 휘도/색차 분리부(12)로부터 분리된 채도 데이터(U,V)들을 상기 게인 계수(g_k)가 생성될 때까지 지연시킨다. 그리고 지연된 채도 데이터(U,V)들을 상기의 게인 계수(g_k)가 UV 변환부(27)에 공급되는 시점에 동기되도록 UV 변환부(27)에 공급한다. Meanwhile, the UV delay unit 26 delays the chroma data (U, V) separated from the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12 until the gain coefficient g_k is generated. And supplies the delayed chroma data U and V to the UV converting unit 27 so that the gain coefficient g_k is synchronized with the timing at which the gain coefficient g_k is supplied to the UV converting unit 27. [

UV 변환부(27)는 상기 지연되어 입력되는 채도 데이터(DU,DV)들과 상기 게인 계수 생성부(25)로부터의 게인 계수(g_k)를 연산하여 보정된 채도 데이터(UI,VI)들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의 데이터 변환 데이터 생성부(18)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보정된 채도 데이터(UI,VI)들은 채도 데이터(DU,DV)들과 게인 계수(g_k)의 곱셈 연산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The UV converting unit 27 computes the saturation data DU and DV inputted with the delay and the gain coefficient g_k from the gain coefficient generating unit 25 to generate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UI and VI And supplies it to the data conversion data generation unit 18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UI and VI can be generated by multiplying the saturation data DU and DV with the gain coefficient g_k.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 계수(Tset)가 사용자 설정 계수(Gset) 보다 낮게 산출된 경우에는, 영상의 채도 분포 특성에 알맞는 최적의 게인 계수(g_k)가 산출되기 때문에 채도가 변환된 영상 데이터(M_RGB)에 의해 채도가 향상된 최적의 영상 즉, 더욱 선명한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게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the correction coefficient Tset is calculated to be lower than the user setting coefficient Gset, since the optimum gain coefficient g_k suitable for the satu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image is calculated,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optimal image with improved saturation, that is, a clearer image, on the screen by the converted image data M_RGB.

하지만,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 계수(Gset)가 보정 계수(Tset)보다 낮게 산출된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 계수(Gset)에 따른 계조보다 더 높은 계조를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들이 채도 변환 과정에서 다소 손실을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 설정 계수(Gset)에 따른 계조보다 낮은 계조를 표시하는 대다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보다 향상된 최적의 영상 즉, 더욱 선명한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게되므로 영상의 실질적인 표시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user set coefficient Gset is calculated to be lower than the correction coefficient Tse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image data representing a higher gradation than the gradation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coefficient Gset is converted into chroma You may see some loss in the conversion process.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display a large number of image data representing grayscales lower than the grayscal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coefficient Gset as a more optimized optimal image, that is, a clearer image, the actual display efficiency of the image can be further improved.

만일, 사용자 설정 계수(Gset)가 설정되지 않는다면, 보정 계수(Tset)가 최대 레벨인 255일 때는 게인 계수가 1(즉, 255/255)이 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RGB)의 채도는 변화될 수 없게 된다. If the user setting coefficient Gset is not set, since the gain coefficient is 1 (i.e., 255/255) when the correction coefficient Tset is 255, which is the maximum level, the saturation of the image data RGB can be changed I will not.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보정 계수(Tset)를 통해 산출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채도 변화율과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Gset)에 의해 표시 영상의 채도 개선 정도를 가 변시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표시 영상의 채도 개선 정도를 각 표시 영상들의 특성들에 알맞게 설정함으로써 채도의 개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saturation change rate of the input image data calculated through the correction coefficient Tset and the setting coefficient Gset from the user The degree of saturation improvement of the display image can be changed and appli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chroma improvement efficiency by setting the degree of chroma improvement of the display image to b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play imag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apparatu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변환 처리부를 나타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색차 보정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lor difference correcting unit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도 4는 도 3의 히스토그램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FIG. 4 illustrates a histogram generated by the histogram generator of FIG. 3. FIG.

도 5는 도 3의 히스토그램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다른 도면. FIG. 5 is another diagram showing a histogram generated through the histogram generator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 액정패널 4 : 데이터 드라이버 2: liquid crystal panel 4: data driver

6 : 게이트 드라이버 8 : 타이밍 컨트롤러 6: Gate driver 8: Timing controller

10 : 영상 변환 처리부 12 : 휘도/색차 분리부10: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12: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14 : 색차 보정부 16 : 휘도 지연부 14: chrominance correction unit 16: luminance delay unit

18 : 변환 데이터 생성부 21 : UV 보정부18: conversion data generating unit 21: UV correction unit

22 : 최대 값 산출부 23 : 히스토그램 생성부22: maximum value calculating unit 23: histogram generating unit

24 : 보정 계수 산출부 25 : 게인 계수 생성부24: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ing section 25: gain coefficient generating section

26 : UV 지연부 27 : UV 변환부26: UV delay unit 27: UV conversion unit

Claims (8)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상기 표시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 A gate and a data driver for driving a plurality of gates and data lines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채도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에 따라 게인 계수를 설정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영상 변환 처리부; 및 An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saturation data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detect a saturation correction coefficient and setting a gai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setting coefficient from the user to convert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And 상기 채도 데이터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함과 아울러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And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ate and the data driver by generating the gate and data control signal while supplying the converted data, which is obtained by converting the chroma data, to the data driver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panel A driving device for a video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영상 변환 처리부는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상기 영상 데이터들의 휘도 및 채도 데이터들을 검출 및 분리하는 휘도/색차 분리부,A luminance / color difference separator for detecting and separating luminance and chroma data of the image data, 상기 검출된 채도 데이터들을 히스토그램화 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의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의 설정 계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게인 계수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생성된 게인 계수를 이 용하여 상기의 채도 데이터들을 보정하는 색차 보정부, The detected saturation data is histogrammed to detect the correction coefficient,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is compared with the setting coefficient input from the user, the gain coeffici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generated gain A color difference corrector for correcting the saturation data using the coefficient, 상기 휘도/색차 분리부로부터의 휘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휘도 지연부, 및 A luminance delay unit for delaying and outputting the luminance data from the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 색차 보정부로부터 보정된 채도 데이터와 상기 지연된 휘도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채도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변환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And a conversion dat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ata in which the saturation is converted by combining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and the delayed luminance data from the color difference correct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색차 보정부는 The color- 상기 채도 데이터의 채도 정도를 비트 변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변조하고 변조된 채도 값을 출력하는 UV 보정부, A UV correction unit for modulating the saturation degree of the saturation data so as to grasp the degree of saturation through bit conversion and outputting a modulated saturation value, 상기 변조된 채도 값들을 비교 분석하여 계조별 최대 채도 값을 검출하는 최대 값 산출부, A maximum value calculator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odulated saturation values to detect a maximum saturation value for each gradation,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최대 채도 값들을 각 계조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히스토그램화 하고 히스토그램의 정보들을 생성 및 출력하는 히스토그램 생성부,A histogram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histogram by arranging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gradation in units of at least one fram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of the histogram,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히스토그램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최대 채도 값들이 분포된 계조들 중 최대 레벨에 해당하는 계조 값을 상기 보정 계수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보정 계수 산출부, A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or for analyzing histogram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rame to set a tone value corresponding to a maximum level among the tone values in which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are distributed to the correction coefficient, 상기 산출된 보정 계수와 상기 설정 계수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계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게인 계수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게인 계수 생성부, A gain coefficient generation unit for selecting a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correction coefficient with the setting coefficient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gain coefficient using the selected coefficient, 상기 휘도/색차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채도 데이터들을 상기 게인 계수가 생성될 때까지 지연시켜 출력하는 UV 지연부, 및 A UV delay unit for delaying and outputting the chroma data separated from the luminance / chrominance separation unit until the gain coefficient is generated, and 상기 지연되어 입력되는 채도 데이터들과 상기 게인 계수를 연산하여 상기 보정된 채도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의 데이터 변환 데이터 생성부에 공급하는 UV 변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And a UV converting unit operable to calculate the chroma data and the gain coefficient, which are input in the delayed manner, to generate the corrected chroma data and supply the generated chroma data to the data conversion data generat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게인 계수 생성부는The gain coefficient generator 영상의 표시하는 전체 계조 수에서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설정 계수 중 더 낮은 계수를 나눈 값을 상기 게인 계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Wherei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lower coefficient among the setting coefficients in the total number of gradations displayed by the image is set to the gain coefficient. 복수의 화소 영역을 구비하여 형성된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driv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display panel formed with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단계,Driving a plurality of gates and data lines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채도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계수에 따라 게인 계수를 설정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단계; 및 Detecting saturation correction coefficients by analyzing saturation data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nd converting the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by setting a gai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s and a setting coefficient from the user; And 상기 채도 데이터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nd displaying the image by arranging the converted data in which the saturation data is converted to be suitable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제 5 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상 데이터의 채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단계는The step of converting the saturation data of the image data 상기 영상 데이터들의 휘도 및 채도 데이터들을 검출 및 분리하는 단계,Detecting and separating luminance and chroma data of the image data, 상기 검출된 채도 데이터들을 히스토그램화 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의 보정 계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의 설정 계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게인 계수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생성된 게인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의 채도 데이터들을 보정하는 단계, The detected saturation data is histogrammed to detect the correction coefficient, the detected correction coefficient is compared with the setting coefficient input from the user, the gain coeffici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generated gain Correcting the saturation data using a coefficient, 상기 분리된 휘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단계, Delaying the separated luminance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outputting the separated luminance data, 상기 보정된 채도 데이터와 상기 지연된 휘도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채도가 변환된 변환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ata in which the saturation is converted by combining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and the delayed luminance data.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채도 데이터들을 보정하는 단계는 The step of correcting the saturation data 상기 채도 데이터의 채도 정도를 비트 변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변조하고 변조된 채도 값을 출력하는 단계,Modulating the saturation degree of the saturation data so as to grasp the degree of saturation through bit conversion and outputting the modulated saturation value, 상기 변조된 채도 값들을 비교 분석하여 계조별 최대 채도 값을 검출하는 단계,Comparing the modulated saturation values with each other to detect a maximum saturation value for each group,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최대 채도 값들을 각 계조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히스토그램화 하고 히스토그램의 정보들을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Arranging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to correspond to each gradation in at least one frame unit, and histogramming and generating information of the histogram,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히스토그램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최대 채도 값들이 분포된 계조들 중 최대 레벨에 해당하는 계조 값을 상기 보정 계수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단계, Analyzing histogram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rame to output a gray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a maximum level among the gray levels in which the maximum saturation values are distributed, 상기 산출된 보정 계수와 상기 설정 계수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계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게인 계수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 Selecting a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correction coefficient with the setting coefficient,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gain coefficient using the selected coefficient, 상기 채도 데이터들을 상기 게인 계수가 생성 될 때까지 지연시켜 출력하는 단계, 및 Delaying and outputting the saturation data until the gain coefficient is generated, and 상기 지연되어 입력되는 채도 데이터들과 상기 게인 계수를 연산하여 상기 보정된 채도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nd generating the corrected saturation data by calculating the delayed input saturation data and the gain coefficient. 제 7 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게인 계수 생성단계는 The gain coefficient generation step 영상의 표시하는 전체 계조 수에서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설정 계수 중 더 낮은 계수를 나눈 값을 상기 게인 계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Wherei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lower coefficient among the setting coefficients in the total number of gradations displayed by the image is set to the gain coefficient.
KR1020080128469A 2008-12-17 2008-12-17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5281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469A KR101528146B1 (en) 2008-12-17 2008-12-17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469A KR101528146B1 (en) 2008-12-17 2008-12-17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915A KR20100069915A (en) 2010-06-25
KR101528146B1 true KR101528146B1 (en) 2015-06-11

Family

ID=4236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469A KR101528146B1 (en) 2008-12-17 2008-12-17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1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1165B2 (en) 2017-02-08 2019-10-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380B1 (en) * 2011-12-01 2018-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display device
KR102403008B1 (en) * 2014-11-10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ver driv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2437816B1 (en) * 2015-12-31 2022-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for Compensating the color temperatur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9902A (en) * 2006-05-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KR20080013295A (en) * 2006-08-08 2008-02-1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072253A (en) * 2006-09-12 2008-03-27 Canon Inc Image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KR20080061772A (en) *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9902A (en) * 2006-05-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KR20080013295A (en) * 2006-08-08 2008-02-1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072253A (en) * 2006-09-12 2008-03-27 Canon Inc Image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KR20080061772A (en) *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1165B2 (en) 2017-02-08 2019-10-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915A (en)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8477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7375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05880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198678B2 (en) Driving method and driv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0049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2891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JP4532441B2 (e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6882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30396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ast Enhancement Method Thereof
US8237753B2 (en) Display device with gradation conversion, and method thereof
JP52806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87836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295881B1 (en) Method of correcting preferred colo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410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olor of display device
KR101528146B1 (en)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675257B1 (en) Gamma correction device and gamma correction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f display using the same
KR102511039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519913B1 (en) System of data correction i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0202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05450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61413B1 (en) Image quality enhancement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9805480B2 (en) Method of correcting color brightness of image, of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olor brightness in the display of image
KR101055192B1 (en) Driving Method and Driving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01747717B1 (en)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