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539B1 - Key switch - Google Patents

Key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539B1
KR101524539B1 KR1020130123926A KR20130123926A KR101524539B1 KR 101524539 B1 KR101524539 B1 KR 101524539B1 KR 1020130123926 A KR1020130123926 A KR 1020130123926A KR 20130123926 A KR20130123926 A KR 20130123926A KR 101524539 B1 KR101524539 B1 KR 10152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lock
back side
doo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3405A (en
Inventor
슌스케 카노
?스케 카노
마사후미 코다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86Locks with panic function, e.g. allowing opening from the inside without a ley even when locked from the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8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in connection with the locking of doors, covers, guards, or like members giving access to moving machin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20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herein an auxiliary movement thereof, or of an attachment thereto, is necessary before the main movement is possible or effective, e.g. for unlatching, for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트랩 키 타입의 키 스위치에 있어서,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가 안쪽에서 락을 해제할 수 있는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자(電磁) 솔레노이드(25)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47A),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지는 제2 슬라이드 부재(48A),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하는 락 부재(49), 그리고 도어의 바깥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2 슬라이드 부재를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락 언락 조작 수단들(4, 50)을 갖는 키 스위치(1A)에 있어서,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를 설치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 switch of a trap key type in which a worker trapped in a dangerous area can release a lock from the inside. The first slide member 47A which is moved by the driving of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and the first slide member can not move due to the movement in one direction and can be moved by the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A locking member 49 that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 member to move to the lock position and the unlock position and a second slide member which is provided to be operable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And a lock unlock operation means (4, 50) for moving the lock member to an unlock position, the key switch (1A) being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from the inside of the door,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 lock releasing member 51A for moving the second slide member to the unlock position by the second operation step is provided.

Description

키 스위치{KEY SWITCH} Key switch {KEY SWITCH}

본 발명은 안전 펜스로 둘러싸여 도어의 안쪽에서 작업 로봇 등이 가동되고 있는 위험 지역의 출입구 도어에 설치되는 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switch installed in a doorway of a dangerous area surrounded by a safety fence and operated by a work robot or the like from the inside of the door.

작업자가 작업 로봇의 점검 등을 위해 위험 지역에 들어갈 경우, 작업자가 로봇 등의 기계에 말려들어 부상을 입는 것을 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키 스위치가 위험 지역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을 때에 로봇 등의 기계를 정지시킨다. When a worker enters a dangerous area for inspection or the like of a work robot,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worker from being injured by a machine such as a robot. To this end, a key switch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is installed in a door in a dangerous area, and the machine such as a robot is stopped when th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이러한 종류의 키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들어가 있는데 작업자가 없다고 판단하여 바깥쪽에서 도어가 잠긴 것과 같은 경우, 작업자가 위험 지역의 내부에 갇히는 것을 방지하는 여러 종류의 키 스위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키 스위치에는 배면 릴리즈 버튼 타입과 트랩 키(trapped key) 타입이 있다. Various kinds of key switches are proposed to prevent a worker from being trapped inside a dangerous area when the operator enters the dangerous area and judges that there is no worker and the door is locked from the outside even if this kind of key switch is installed have. These key switches have a rear release button type and a trapped key type.

배면 릴리즈 버튼 타입은, 특허 문헌 3 및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키 스위치의 배면에 위험 지역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한 배면 릴리즈 버튼이 마련되어, 키 스위치가 락 상태에 있더라도 위험 지역의 안쪽에서 배면 릴리즈 버튼을 누름으로써, 키 스위치를 언락(unlock) 상태로 해서 도어를 개방하여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3 and Patent Document 4, the rear surface release button type is provided with a rear surface release button which can be operated from the inside of a dangerous area on the back surface of the key switch. Even if the key switch is in the locked state,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the key switch can be unlocked to open the door and escape to the outside.

트랩 키(trapped key) 타입으로서는,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동부에 의해 작동체가 언락(unlock) 위치에 있을 때에, 전환부를 락 및 언락 위치로 회전 운동시키는 조작체(트랩 키)를 설치하는 것이나, 특허 문헌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연결 피스가 언락 위치에 있을 때에, 슬라이드 부재를 피스 락 부재를 통해 락 및 언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트랩 키를 설치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키 스위치로는 트랩 키로 언락 조작하여 트랩 키를 가지고 위험 지역으로 들어간 후, 잘못하여 도어가 닫혔다고 하더라도, 트랩 키가 꽂혀 있지 않으면 락 상태로 되지 않아 도어를 열 수 있어 위험 지역에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trapped key type, there is provided an operating body (trap key) for rotating the switching unit to the locked and unlocked positions when the operating unit is in the unlocked position by the driving unit,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5 And a trap key for sliding the slide member in the locking and unlocking directions through the piece-locking member when the connecting piece is in the unlocked position by the solenoid,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6. With this type of key switch, even if the door is accidentally closed after entering the danger zone with the trap key unlocked with the trap key, if the trap key is not inserted, the door can not be locked and the door can be ope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finement.

선행 기술 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 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6-76675호Patent Document 1: JP-A-6-76675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0-334772호 Patent Document 2: JP-A-10-334772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0-302580호Patent Document 3: JP-A-10-302580

특허 문헌 4: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2007-066803호Patent Document 4: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2007-066803

특허 문헌 5: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207979호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07979

특허 문헌 6: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6-228616호Patent Document 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28616

그러나 트랩 키 타입에서는, 복수의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들어가 그 중 트랩 키를 소지하고 있던 작업자가 위험 지역 밖에 나와 전원이 밖으로 나갔다고 오인하여 도어를 락 했을 경우, 위험 지역에 남은 작업자는 위험 지역에 갇혀버리는 일이 있다. 이로 인하여,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가 안쪽에서 락을 해제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키 스위치가 요구되고 있다. However, in the trap key type, when a plurality of workers enter a dangerous area and the operator who holds the trap key out of the danger area and locks the door by mistaking that the power is out, the worker remaining in the dangerous area is trapped in a dangerous area Something to throw away. This requires a key switch such that an operator locked in a hazardous area can release the lock from the inside.

이에 따라, 트랩 키 타입에 있어서도, 배면 릴리즈 버튼 타입과 같이 키 스위치의 배면에 위험 지역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한 레버나 버튼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트랩 키 타입에서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부재와 트랩 키에 의해 조작되는 부재, 이들 두 부재들을 가지며, 이들의 이동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배면 릴리즈 버튼을 설치하여 이들 두 부재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했었다. Accordingly, in the trap key type, it is conceivable to provide a lever or a button that can be op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dangerous area on the back surface of the key switch as in the case of the rear surface release button type. In the trap key type, It has been difficult to move these two members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the rear release button because they have these two members and their moving directions are different.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랩 키 타입의 키 스위치에 있어서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가 안쪽에서 락을 해제할 수 있는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switch of a trap key type type in which a worker trapped in a dangerous area can release a lock from the insi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폐쇄 시에 도어에 설치된 도어 개폐 부재를 리시브하고, 도어 개방 시에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해방하는 래치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제1 스위치와,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door, which receives a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provided on a door at the time of door closing and detects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in cooperation with an operation of a latch mechanism for releasing the door opening / 1 switch,

도어 열림 신호 또는 도어 닫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구동 수단에 의한 락(lock) 및 언락(unlock)을 검출하는 제2 스위치와, A second switch for detecting lock and unlock by the driving means driven on the basis of the door opening signal or the door closing signal,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A first slide member which is moved by driving of the drive means,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지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A second slide member which becomes unable to move due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 member in one direction and is movable by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하는 락 부재와, A lock member that moves to a lock position and an unlock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 member,

도어의 바깥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락 언락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키 스위치로서, And a lock unlocking operation means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to move the second slide member to the lock position and the unlock position,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면 락 해제 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Wherein the first slide member is moved to the unlock position by an operation first step and the second slide member is moved to the unlock position by the operation second step, Member.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제1 축을 따라 제1 방향과 해당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Specifically, the first slide member is form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first axis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driving the driving means,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축에 수직하는 제2 축을 따라 제3 방향과 해당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며, The second slide member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in the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movable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 기구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리시브한 상태로 상기 래치 기구를 락 하는 락 위치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 기구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해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언락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Wherein the lock member is in a locked position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so that the latch mechanism locks the latch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latch mechanism is receiving the door open / Is moved in the fourth direction so that the latch mechanism is moved to an unlock position for releas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상기 락 언락 조작 수단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며, The lock unlock operation means is formed to move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is formed so as to move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operation step and simultaneously move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by the operation second step.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도어의 안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락 되었을 경우, 작업자가 배면 락 해제 부재를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하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한 결과, 락 부재가 언락 위치로 이동하여 언락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하여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locks the door even though the operator is inside the door,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back side release member from the inside of the door, the first slide member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s a result of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by the second operation step, the lock member moves to the unlock position and becomes unlocked, so that the operator can open the door and escape to the outside.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a push operation.

이 경우,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 또는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경사면을 설치하고,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for moving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operation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 또는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경사면을 설치할 수 있다.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 moving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by at least one of the second slide member and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by the operation second step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배면 락 해제 부재를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하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배면 락 해제 부재와 제1 슬라이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설치된 제1 경사면 위를 다른 쪽 부재가 슬라이드되어 제1 슬라이드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배면 락 해제 부재와 제1 슬라이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설치된 제2 경사면 위를 다른 쪽 부재가 슬라이드되어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한 결과, 락 부재가 언락 위치로 이동하여 언락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하여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back side release member from the inside of the door, the other side member is sli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ack side lock release member and the first slide member by the operation first step The first slide memb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the other member is slid over the second slop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and the first slide member by the second operation step, As a result, the locking member moves to the unlock position and becomes unlocked, so that the operator can open the door and escape to the outside.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가압부를 설치하고,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is case, a first pressing portion for moving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to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by the first op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가압부를 설치할 수 있다.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cond slide member and moving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by the second step of the operation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배면 락 해제 부재를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하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설치한 제1 가압부가 제1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설치한 제2 가압부가 제2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한 결과, 락 부재가 언락 위치로 이동하여 언락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해서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back side release member from the inside of the door, the first pressing section provided on the back side lock release member presses the first slide member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presses the second slide member to move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lock member moves to the unlock position The operator can open the door and escape to the outside.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해도 좋다. And an operation lever for operating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may be provided.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갇힌 작업자는 조작 레버로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trapped operator can quickly operate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with the operation lever.

본 발명에 따른 키 스위치에 의하면, 트랩 키 타입의 키 스위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도어의 안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락 되었을 경우, 작업자가 배면 락 해제 부재를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하면, 조작 제1 단계, 제2 단계 등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한 결과, 언락 상태가 되므로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가 안쪽에서 락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여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ke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locked despite the fact that the operator is inside the door in the key switch of the trap key type,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back unlocking member from the inside of the door, As a result of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by the step, the second step or the like, the worker locked in the dangerous area releases the lock from the inside by opening the door to escape to the outside,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스위치의 정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 스위치의 배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키 스위치 락 언락 조작 키, 커버, 안커버 및 헤드 커버를 벗겨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키 스위치 정면도이다.
도 5는 래치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락 언락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 및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 및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락 부재의 일 방향 및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락 언락 조작 레버의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락 언락 조작 레버에 의한 락 언락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의한 락 언락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키 스위치의 배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키 스위치의 락 언락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도 18은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의한 락 언락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키 스위치의 배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키 스위치 조작 레버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bliquely viewed from above the front face of the key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bliquely viewed from above the backside of the key switch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ey switch lock unlocking key, the cover, the inner cover, and the head cover of Fig.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key switch of Fig. 1;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tch mechanism.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een from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rst slide member.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seen from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second slide member.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seen from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lock member.
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lock unlock operation lever.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12A, 12B and 12C are front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unlock mechanism by the lock unlock operation lever.
13A, 13B and 13C are front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by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14 is a perspective view obliquely viewed from the top of the back surface of the key switc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unlock mechanism of the key switch of Fig. 14;
16A and 16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first slide member.
17A and 17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econd slide member.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19A, 19B and 19C are front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by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20 is a perspective view obliquely viewed from above the back surface of the key swit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ectional view of the key switch operation lever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키 스위치(1A)의 외관을 나타낸다. 키 스위치(1A)는 생산 공장에서 안전 펜스에 둘러싸여 작업 로봇 등이 배치된 위험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키 스위치(1A)는 스위치 케이스(2), 도어 개폐 부재(3), 그리고 락 언락 조작 수단의 일부인 락 언락 조작 키(4)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락 언락 조작 키(4)가 장착되는 면을 전면(前面)으로 하고, 이러한 전면에 대하여 상하, 좌우 및 뒤쪽 각 측의 면들을, 상면, 저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이라고 하며,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는 방향을 X 방향이라 하고,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Y 방향이라 하며, 저면에서 상면을 향하는 방향을 Z방향으로 하여, 이들 방향들에 X축, Y축 및 Z축을 설정한다. Fig. 1 and Fig. 2 show an appearance of the key switch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switch 1A is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hazardous area in which the work robots are disposed, surrounded by the safety fence in the production factory. The key switch 1A is provided with a switch case 2, a door open / close member 3, and a lock unlock operation key 4 which is a part of the lock unlock operation mea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ace on which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front face, and the upper, lower, left, right, and rear sides of the face are referred to as an upper face, a lower face,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back surface is referred to as the X direction, the direction from the left surface to the right surface is referred to as the Y directio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is defined as the Z direction, and the X axis, Y axis, Set the Z axis.

스위치 케이스(2)는 도어의 가동 단부에 인접하는 안전 펜스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 케이스(2)는 케이스 본체(5), 커버(6) 및 헤드 커버(7)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부(8)를 갖는 상자 형상이다. 케이스 본체(5)의 배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 홀(9)이 형성되며, 이러한 원형 홀(9)에 후술하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가 설치되는 슬리브(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의 개구부(8)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6)의 거의 중앙에는 락 언락 조작 키(4)가 착탈 가능한 키 홀더(11)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키 홀더(11)는 너트(20)에 의해 커버(6)에 고정되어 있다. 헤드 커버(7)는 저면 및 좌측면이 개구되어, 케이스 본체(5)의 상방 우측 모서리부를 덮는 상자 형상이다. 헤드 커버(7)의 전면 및 상면에는 도어 개폐 부재(3)가 삽입되는 삽입구들(12a, 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 개폐 부재(3)의 설치 방향에 따라 삽입구들(12a, 12b)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switch case 2 is provided outside the safety fence adjacent to the movable end of the door. The switch case 2 is composed of a case body 5, a cover 6 and a head cover 7. As shown in Fig. 3, the case body 5 has a box-like shape having an opening 8 on its front surface. 2, a circular hole 9 is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5 and a sleeve 10 to which a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Respectively. The cover 6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8 of the case body 5 as shown in Fig. A key holder 11, into which a lock unlock operation key 4 is detachable, is insert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cover 6. [ The key holder 11 is fixed to the cover 6 by means of the nut 20. The head cover 7 has a box shape that covers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case body 5 with its bottom and left side open. On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head cover 7, insertion openings 12a and 12b into whic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mber 3 is inserted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select any one of the insertion ports 12a and 12b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3. [

도어 개폐 부재(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펜스 도어에 설치되는 설치부(13) 및 이러한 설치부(13)에 대하여 90˚ 굴곡되어 헤드 커버(7)의 삽입구들(12a, 12b)에 삽입되는 삽입부(14)를 갖는다. 삽입부(14)에는 후술하는 래치 기구(24)의 래치부(37)와 래치되는 직사각형의 래치 홀(15)이 형성되어 있다. 1, the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3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3 provided on the safety fence door and a mounting portion 13 which is ben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13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12a, 12b, respectively. The insertion portion 14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latch hole 15 to be latched by the latch portion 37 of the latch mechanism 24 to be described later.

락 언락 조작 키(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래치 돌기(16)를 갖는 원통 형상의 키 본체(17) 및 후단에 마련된 그립(18)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키이다. As shown in Fig. 3,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is a well-known key comprising a cylindrical key body 17 having a latch projection 16 at its tip and a grip 18 provided at the rear end.

스위치 케이스(2)의 안쪽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6)에 중첩되도록 안커버(19)가 케이스 본체(5)에 마련되어 있다. On the inside of the switch case 2, an inner cover 19 is provided on the case body 5 so as to overlap the cover 6, as shown in Fig.

케이스 본체(5)의 안쪽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치(21), 제2 스위치(22), 터미널 기판(23), 래치 기구(24), 구동 수단으로서의 전자(電磁) 솔레노이드(25), 락 언락 기구(26) 등이 설치되어 있다. 4, a first switch 21, a second switch 22, a terminal board 23, a latch mechanism 24, and an electromagnetic solenoid (not shown) as a drive means are provided inside the case body 5, (25), a lock / unlock mechanism (26), and the like.

제1 스위치(21)는 케이스 본체(5)의 정면에서 보면 하부 우측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조작체(27)가 하방으로 눌리면 내부의 접점이 닫히거나 또는 열리고, 조작체(27)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하여 접점이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스위치(21)는 3쌍의 접점들을 가지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쌍의 접점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용도에 따라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접점이 사용된다. The first switch 21 is provided on the lower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se body 5. When the operating body 27 protruding upward is pushed downwardly, the inner contacts of the first switch 21 are closed or opene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return spring (not shown) returns to the upper position and the contact is opened or closed. The first switch 21 has three pairs of contacts. In this embodiment, two pairs of contacts are used, but at least some of them are us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제2 스위치(22)는 케이스 본체(5)의 정면에서 보면 하부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위치(22)는 제1 스위치(21)와 동일하게 상방으로 돌출된 조작체(28)가 하방으로 눌리면 내부의 접점이 닫히거나 또는 열리고, 조작체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하여 접점이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스위치(22)는 3쌍의 접점들을 갖지만, 용도에 따라 적어도 이들 중에서 어느 접점이 사용된다. 제2 스위치(22)의 접점은 버스 바들(29a, 29b)에 의해 제1 스위치(21)의 접점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The second switch 22 is disposed on the lower left side in the front view of the case body 5. When the operating body 28 protruding upwar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witch 21 is pushed downward, the second switch 22 is closed or opened, and when the pressing of the operating body is released, a return spring (Not shown) so that the contact is opened or closed. The second switch 22 has three pairs of contacts, but at least one of them is us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contact of the second switch 22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ontact of the first switch 21 by the bus bars 29a and 29b.

터미널 기판(23)은 케이스 본체의 정면에서 보면 상부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터미널 기판(23)은 도시하지 않은 표시등, 전자 솔레노이드(25)로의 통전 단자들(30a 내지 30d) 등을 구비하고 있다. The terminal board 23 is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in the front view of the case body. The terminal substrate 23 is provided with an indicator lamp (not shown), energizing terminals 30a to 30d for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and the like.

래치 기구(24)는 케이스 본체(5)의 상부 우측에 설치되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커버(7)에 의해 덮여 있다. 래치 기구(24)는 대략 베이스 부재(31), 캠체(32) 및 플런저(33)로 구성되어 있다. The latch mechanism 24 is provid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ase body 5 and is covered by a head cover 7 as shown in Fig. The latch mechanism 24 is substantially constituted by a base member 31, a cam body 32 and a plunger 33.

베이스 부재(31)는 양측에 돌출부(34)를 가지며, 케이스 본체(5)의 정면에서 보면 U자 형상이 되도록 케이스 본체(5)에 설치되어 있다. 양측 돌출부(34) 사이에는 샤프트(35)가 Y 방향으로 걸쳐져 있다. The base member 31 has projections 34 on both sides and is provided on the case body 5 so as to have a U-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se body 5. Between the both side projections 34, the shaft 35 extends in the Y direction.

캠체(32)는 베이스 부재(31)의 돌출부(34) 사이에 위치하도록 샤프트(35)에 설치되며, Y축 둘레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캠체(3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반 부분의 가장자리에 헤드 커버(7)의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되는 도어 개폐 부재(3)의 삽입부(14)가 삽입되는 2개의 오목부(36)와 이러한 오목부(36)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도어 개폐 부재(3)의 래치 홀(15)에 래치되는 2개의 래치부(37)들이 형성되고, 하반 부분에는 샤프트(35)를 둘러싸도록 거의 U자 형상의 캠 홈(38)이 형성되며, 캠 홈(38)의 바닥벽이 캠 면으로 되어 있다. 캠 홈(38)의 양측 벽에는 캠 면을 따라 거의 U자 형상의 가이드 홀(39)이 형성되어 있다. The cam body 32 is provided on the shaft 35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rojecting portions 34 of the base member 31 and is rotatable around the Y axis. 5, the cam body 32 is provided with two recesses (not shown)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14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3 inserted from the insertion opening 12a of the head cover 7 is inserted into the edge of the upper half portion, Two latch portions 37 which are located adjacent to the recess 36 and which are latched in the latch hole 15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mber 3 are formed and a shaft 35 A substantially U-shaped cam groove 38 is formed to surround the cam groove 38, and a bottom wall of the cam groove 38 serves as a cam surface. Guide holes 39 are formed in both side walls of the cam groove 38 along the cam surface.

플런저(33)는 상반 부분에 대경부(大徑部)(40) 및 하반 부분에 소경부(小徑部)(41)를 가진다. 플런저(33)의 상단, 다시 말해 대경부(40)의 상단은 캠체(32)의 캠 면에 활접(滑接)하는 활접부(42) 및 캠체(32)의 가이드 홀(39)에 래치되는 슬라이드 핀(43)을 갖는다. 플런저(33)의 하단, 다시 말해 소경부(41)의 하단은 제1 스위치(21)의 조작체(27)에 래치되는 래치부(44)가 형성되어 있다.The plunger 33 has a large-diameter portion 40 at the upper half portion and a small-diameter portion 41 at the lower half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33,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40 is latched in the guide hole 39 of the cam body 32 and the sliding contact portion 42 slidingly contacting the cam surface of the cam body 32 And has a slide pin (43).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33,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41, is formed with a latch portion 44 which is latched on the operating body 27 of the first switch 21.

구동 수단으로서의 전자 솔레노이드(2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의 상부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25)는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플런저(45)를 가진다. 플런저(45)의 하단에는 래치부(46)가 형성되어 있다.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as the driving means is provid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case body 5 as shown in Fig.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has a plunger 45 movable in the Z-axis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45, a latch portion 46 is formed.

락 언락 기구(2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 제2 슬라이드 부재(48A) 및 락 부재(49)로 구성되며, 또한 락 언락 조작 수단으로서의 락 언락 조작 레버(50)와 배면 락 해제 부재(51A)를 가진다. 6, the lock unlock mechanism 26 includes a first slide member 47A, a second slide member 48A, and a lock member 49. The lock unlock mechanism 26 also includes a lock unlock operation lever (50) and a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25)와 제2 스위치(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상단에는 전자 솔레노이드(25)의 플런저(45)의 래치부(46)가 래치되는 플런저 래치 홈(5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제2 스위치(22)의 조작체(28)에 래치되는 스위치 래치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배면에는 래치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우측면 하부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5)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연장부(55)의 배면에는 Y축에 평행한 상측 모서리부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45˚ 경사지는 경사면(56)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경사면(56)은 Y축에 평행하고 X축 및 Z축에 대하여 45˚를 이룬다.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전자 솔레노이드(25)의 구동에 의해 Y 방향 및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first slide member 47A is provided betwe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and the second switch 22 as shown in Fig. 7A and 7B, a plunger latch groove 52 for latching the latch portion 46 of the plunger 45 of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ide member 47A, A switch latch groove 53 latching on the operating body 28 of the second switch 22 is formed. A latch projection 54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lide member 47A. An extended portion 55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right surface of the first slide member 47A. An obliquely downward inclined angle of 45 DEG is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55 at an upper corner parallel to the Y- An inclined surface 56 is formed. In other words, this inclined surface 56 is parallel to the Y axis and forms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Z axis. The first slide member 47A is slidabl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by the drive of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배후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47A)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슬라이드 홀(57)이 형성되고, 우측에 핀 삽입 홀(58)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홀(57)은 정면에서 보면 L자 형상으로,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슬라이드부(57a) 및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슬라이드부(57b)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전면의 중간에는 X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59)의 정면에는 래치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59)의 우측면 하부에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가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부(61)의 하면에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래치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 돌출부(62)의 배면에는 Z축에 평행한 우측 모서리부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45˚로 경사지는 경사면(63)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경사면(63)은 Z축에 평행하고 X축 및 Y축에 대하여 45˚를 이룬다. The second slide member 48A is disposed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first slide member 47A behind the first slide member 47A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8A and 8B, a slide hole 57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A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pin insertion hole 58 is formed on the right side. The slide hole 57 is L-shaped in the front view, and includes a longitudinal slide portion 57a extending in the Z direction and a lateral slide portion 57b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A protrusion 59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X direction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A. A latch concave portion 6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sion 59 as described above. An extension 61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right surface of the protrusion 59 and a latch protrusion 62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Z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61 . On the rear surface of the latch projection 62, an inclined surface 63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rees is formed obliquely rearward at the right corner parallel to the Z axis. In other words, the inclined surface 63 is parallel to the Z axis and forms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Y axis.

락 부재(4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 기구(24)와 제1 스위치(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부재(49)는 우측 단부에 노치부(64)가 형성되고, 좌측 단부에는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굴곡되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64)는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대경부(40)가 래치되는 대노치부(64a)와 이 대노치부(64a)에 연속하여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소경부(41)가 래치되는 소노치부(64b)로 이루어져 있다. 암 부(65)의 선단에는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핀 삽입 홀(58)에 삽입되는 래치 핀(66)이 형성되어 있다. The lock member 49 is provided between the latch mechanism 24 and the first switch 21 as shown in Fig. 9A and 9B, the lock member 49 is provided with a notch portion 64 at the right end portion, and a lock portion 65 exten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direction at the left end portion and bent in the X direction Is formed. The notch portion 64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64a to which the large diameter portion 40 of the plunger 33 of the latch mechanism 24 is latched and a plunger 33 of the latch mechanism 24 continuously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 64a. And a small-diameter portion 64b to which the small-diameter portion 41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41 is latched. A latch pin 66 protruding in the X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58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A is formed at the tip of the arm portion 65. [

언락 조작 수단으로서의 락 언락 조작 레버(50)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홀더(11)에 삽입되어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축(67) 및 이러한 지지축(67)의 선단에 나사(68)에 의해 고정된 회전 운동 플레이트(69)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67)은 락 언락 조작 키(4)의 래치 돌기(16)에 래치되는 래치 오목부(70)를 가진다. 회전 운동 플레이트(69)는 지지축(67)의 축 방향, 다시 말하면 X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손가락부(71)를 가지며, 이와 같은 손가락부(71)의 선단에는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래치 오목부(60)에 래치되는 래치부(72)가 형성되어 있다.  10A and 10B, the lock unlocking operation lever 50 as the unlocking operation means includes a support shaft 67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11 and rotatably supported, And a rotary motion plate 69 fixed to the tip of the screw shaft 68 by a screw 68. The support shaft 67 has a latch recess 70 which is latched on the latch projection 16 of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 The rotary motion plate 69 has a finger portion 71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67, that is, in parallel with the X direction. A second slide member 48A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finger portion 71, The latch portion 72 is latched in the latch concave portion 60 of the latch portion 72. [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봉 형상의 본체부(73)를 가진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X 방향의 선단에 사람이 눌러서 조작이 가능한 버튼부(74)와 키(75)가 형성되며, X 방향과 반대 방향의 선단부에 제1 가압부(76)와 제2 가압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부(76)는 본체부(73)의 상하 부분을 노치 작업하여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부(77)는 제1 가압부(76)보다 X 방향 후측의 본체부(73)의 둘레 4분의 1 부분을 노치 작업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의 배면에 형성된 슬리브(10)에 X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또한 키(75)에 의해 X축 둘레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X방향으로 부세(附勢)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제1 가압부(76)는 X축과 반대 방향의 선단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경사면(56)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제2 가압부(77)는 Z축에 평행한 모서리부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경사면(63)을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has a bar-shaped main body portion 73 of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back lock releasing member 51A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74 and a key 75 capable of being pressed by a person at the front end in the X direction and has a first pressing portion 76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2 pressing portion 77 is formed. The first pressing portion 76 is formed in a plate shape by notch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73. The second pressing portion 77 is formed by notchi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73 on the rear side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ssing portion 76. 2,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is movable in the X direction to the sleeve 10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5 and is rotated about the X axis by the key 75 Is im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is urged in the X direction by a spring member (not shown). The tip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76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X axis is formed to press the inclined surface 56 of the first slide member 47A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77, Is formed such that a corner portion parallel to the Z axis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63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A.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키 스위치(1A)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key switch 1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현재, 안전 펜스 도어가 닫혀 락 언락 조작 키(4)에 의해 락 언락 조작 레버(50)가 락 위치로 이동하여, 전자 솔레노이드(25)가 구동하지 않는 락 상태에 있다고 상정한다.It is now assumed that the safety fence door is closed and the lock unlock operation lever 50 is moved to the lock position by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and the electronic solenoid 25 is in the locked state in which it is not driven.

안전 펜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에 있어서, 도어 개폐 부재(3)가 래치 기구(24)의 캠체(32)의 오목부(36)에 삽입되어 캠체(32)가 샤프트(35)의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래치부(37)가 도어 개폐 부재(3)의 래치 홀(15)에 래치되는 한편, 플런저(33)의 슬라이드 핀(43)이 가이드 홀(39)을 따라 이동한 결과, 플런저(33)가 Z방향으로 끌려올라가 대경부(40)와 소경부(41) 사이의 단부(40a)가 락 부재(49)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락 부재(49)의 소노치부(64b)와 래치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33)가 Z 방향으로 끌려올라감에 의해 제1 스위치(21)의 조작체(27)가 끌려올라가서 제1 스위치(21)는 닫히게 된다. 5, the door open / close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36 of the cam body 32 of the latch mechanism 24 so that the cam body 32 rotates about the circumference of the shaft 35 The latch portion 37 is latched in the latch hole 15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mber 3 while the slide pin 43 of the plunger 33 is moved along the guide hole 39 As a result, the plunger 33 is pulled up in the Z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40a between the large-diameter portion 40 and the small-diameter portion 41 is located above the lock member 49, And is in a latchable state with the latch 64b. Further, as the plunger 33 is pulled up in the Z direction, the operating body 27 of the first switch 21 is pulled up and the first switch 21 is closed.

락 언락 조작 키(4)에 의해 락 언락 조작 레버(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락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Y 방향(도 12a, 도 12b 및 도 12c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에 따른 락 부재(49)도 Y 방향(도 12a, 도 12b 및 도 12c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노치부(64b)가 플런저(33)의 소경부(41)에 래치된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그 래치 돌기(54)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세로 슬라이드부(57a)에 위치하여, Z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스위치(22)는 그 조작체(28)가 복귀 스프링에 의한 부세력으로 밀려올라가서 닫힌다. 또한, 제2 스위치(22)의 조작체(28)가 밀려올라감으로써,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세로 슬라이드부(57a)의 상단에 위치한다. 그 결과,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Y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는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이에 따른 래치 기구(24)의 캠체(32)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이 저지된다. 그 결과, 도어 개폐 부재(3)는 뽑을 수가 없게 되어 락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스위치(21)와 제2 스위치(22)가 닫힘으로써, 로봇 등의 전원 회로가 온 되어 안전 펜스 내에 배치된 로봇 등이 구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unlocking operation lever 50 is rotated clockwise by the unlocking operation key 4 and is moved to the lock position, the second slide member 48A is moved in the Y direction (Figs. 12A, 12B, 12c, and 12c), and the corresponding locking member 49 also moves in the Y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in Figs. 12A, 12B and 12C), and the sonorous portion 64b moves in the Y direction And is latched on the neck portion 41. The latch projection 54 of the first slide member 47A is positioned on the longitudinal slide portion 57a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A and is slidable in the Z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The second switch 22 is pushed up by the bias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and the operating body 28 is closed. The operating member 28 of the second switch 22 is pushed up so that the first slide member 47A moves in the Z axis direction and is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longitudinal slide portion 57a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A Located. As a result, the second slide member 48A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Y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In addition, the plunger 33 of the latch mechanism 24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Z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cam body 32 of the latch mechanism 24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a result, the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3 can not be pulled out and is locked. When the first switch 21 and the second switch 22 are closed, a power supply circuit such as a robot is turned on, and a robot or the like arranged in the safety fence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driven.

안전 펜스 내에서 로봇 등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점검 등을 위해 도어를 열 경우, 외부로부터의 도어 열림 신호 또는 기계 정지 신호에 근거하여 전자 솔레노이드(25)가 통전된다. 전자 솔레노이드(25)로의 통전에 의해 도 12a에 있어서의 플런저(45)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 슬라이드 부재(47A)를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내려누른다. 이에 의해,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래치 돌기(54)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슬라이드 홀(57)의 세로 슬라이드부(57a)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가로 슬라이드부(57b) 내를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 스위치(22)의 조작체(28)가 눌려져 제2 스위치(22)가 열린다. 그 결과, 전원 회로가 오프되어 로봇 등이 정지 상태가 된다. When the door is opened for inspection or the like while the robot or the like is being driven in the safety fence,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is energized based on a door opening signal or a machine stop signal from the outside. The plunger 45 in Fig. 12A is projected downward by energization of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to push down the first slide member 47A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Z direction. 12B, the latch projection 54 of the first slide member 47A moves the longitudinal slide portion 57a of the slide hole 57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A downward, The second slide member 48A can move in the lateral slide portion 57b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direction. Further,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slide member 47A, the operating body 28 of the second switch 22 is pushed and the second switch 22 is opened.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circuit is turned off and the robot or the like is stopped.

다음으로, 락 언락 조작 키(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 락 언락 조작 레버(50)를 언락 위치로 회전 운동시키면,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래치 오목부(60)에 래치되어 있는 락 언락 조작 레버(50)의 래치부(72)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를 Y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른 락 부재(49)도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져, 락 부재(49)의 소노치부(64b)가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소경부(41)에서 이탈되어 플런저(33)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언락 상태가 된다. Next, when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lock unlock operation lever 50 to the unlock position, as shown in Fig. 12C, the latch concave The latch portion 72 of the lock unlocking operation lever 50 latched in the portion 60 moves the second slide member 48A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direction, The leaning portion 64b of the lock member 49 is released from the small diameter portion 41 of the plunger 33 of the latch mechanism 24 so that the plunger 33 can move up and down It becomes an unlock sta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락 언락 조작 키(4)를 키 스위치(1A)에서 뽑아서 소지하고 도어를 열면, 도어 개폐 부재(3)의 래치 홀(15)의 가장자리가 캠체(32)의 래치부(37)를 눌러서 도어 개폐 부재(3)가 래치 기구(24)의 캠체(32)의 오목부(36)로부터 이탈하고 캠체(32)가 샤프트(35)의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한편, 플런저(33)의 슬라이드 핀(43)이 가이드 홀(39)을 따라 이동한 결과, 플런저(33)가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내려눌리게 되어 대경부(40)와 소경부(41) 사이의 단부(40a)가 락 부재(49)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락 부재(49)의 대노치부(64a)와 래치된다. 또한, 플런저(33)의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내려눌림에 의해, 제1 스위치(21)의 조작체(27)가 내려눌리게 되어 제1 스위치(21)는 열린다. 한편, 도어 개폐 부재(3)가 오목부(36)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면, 캠체(32)는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에 의해 도 5의 상태가 유지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pulls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from the key switch 1A to hold it and open the door, the edge of the latch hole 15 of the door opening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mber 3 is disengaged from the concave portion 36 of the cam body 32 of the latch mechanism 24 by pressing the cam member 37 and the cam body 32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shaft 35 On the other hand, as the slide pin 43 of the plunger 33 moves along the guide hole 39, the plunger 33 is press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Z direction, The end portion 40a between the locking member 49 and the locking member 49 is located below the locking member 49 and is latched by the innermost portion 64a of the locking member 49. [ In additio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lunger 3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Z direction causes the operating body 27 of the first switch 21 to be pressed down, so that the first switch 21 is ope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3 completely disengages from the concave portion 36, the state of FIG. 5 is maintained by the return spring (not shown).

락 언락 조작 키(4)가 언락 상태에서 뽑혀 있는 한, 도어가 닫히더라고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언락 위치 그대로이다. 따라서 안전 펜스의 위험 지역에 들어간 작업자는 락 언락 조작 키(4)를 소지하고 있으면 로봇 등의 기계가 구동되는 일은 없으며 위험 지역에 갇히는 일도 없다. As long as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is pulled out from the unlocked state, the door is closed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8A remains unlocked. Therefore, a worker entering the dangerous area of the safety fence does not operate the robot or other machine when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is held and does not get trapped in a dangerous area.

그러나 복수의 작업자들이 위험 지역으로 들어가고, 그들 중에서 락 언락 조작 키(4)를 소지한 1명의 작업자가 용무를 마친 후 위험 지역에서 나오고, 다른 작업자가 아직 위험 지역에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지 않거나, 혹은 전원 모두 밖으로 나왔다고 착각하여 락 언락 조작 키(4)를 키 스위치(1A)에 꽂아 넣어서 락 위치로 조작했을 경우, 다른 작업자는 위험 지역에 갇힌다. 또한, 계속해서 도어 폐쇄 신호가 발생하여 전자 솔레노이드(25)가 오프되어 버리면, 전원 회로가 온 되어 안전 펜스 내에 배치된 로봇 등이 구동되어 작업자가 지극히 위험한 상태에 노출된다. However, if more than one worker enters the hazardous area and one of them leaves the hazardous area after the worker with the unlocking key (4) has left work and does not confirm that the other worker is still in the danger zone, or When the lock unlock operation key (4) is inserted into the key switch (1A) and operated to the lock position, the other operator is trapped in a dangerous area. Further, when the door closing signal is subsequently generated and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5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circuit is turned on, and the robot or the like disposed in the safety fence is driven to expose the operator to an extremely dangerous state.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키 스위치(1A)에 배면 락 해제 부재(51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단히 위험 지역에서 탈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key switch 1A has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easily escape from the dangerous area. The operation of the back lock release member 51A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A)가 락 위치에 있으며, 제1 슬라이드 부재(47A)도 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위험 지역의 내부에 남겨진 작업자가 키 스위치(1A)의 배면에 있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를 누르면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X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13A,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48A is in the lock position and the first slide member 47A is also in the lock position, an operator left inside the dangerous area moves the back side of the key switch 1A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X direction whe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is pressed.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누름 조작 제1 단계에서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제1 가압부(76)가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경사면(56)을 가압하기 때문에,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내려눌리게 되어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Since the first pressing portion 76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56 of the first slide member 47A in the first pressing operation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The first slide member 47A is pressed down and moves to the unlock posi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Z direction as shown in Fig.

이어서,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누름 조작 제2 단계에서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제2 가압부(77)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경사면(63)을 가압하기 때문에,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밀려서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락 부재(49)도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Next, in the second pressing operation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the second pressing portion 77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presses the inclined side 63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A, The first slide member 47A is pushed and moved to the unlock posi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direction as shown in Fig. 13C. Therefore, the lock member 49 also moves to the unlock posi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direction.

이에 따라, 락 부재(49)의 소노치부(64b)가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소경부(41)에서 이탈되어 플런저(33)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는 안쪽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mall size portion 64b of the lock member 49 is disengaged from the small-diameter portion 41 of the plunger 33 of the latch mechanism 24, so that the plunger 33 can move up and down. As a result, workers trapped in hazardous areas can escape by opening the door from the inside.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키 스위치(1B)의 배면에서 바라본 외관을 나타낸다. 이러한 키 스위치(1B)는 제1 실시 형태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A)가 누름 버튼형인 것에 비하여, 회전 노브형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B)로 하여 이에 따라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B)와 제2 슬라이드 부재(48B)의 형상을 변경한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Fig. 14 shows the appearance of the key switch 1B viewed from the back of the key switch 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key switch 1B is a push-button type back-lock releasing member 51A of the first embodiment. In contrast to this, the key switch 1B is a rotary knob-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shapes of the slide member 47B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8B are changed, and corresponding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47B)에는,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55)의 배면에 제1 실시 형태의 제1 슬라이드 부재(47A)에 있는 것과 같은 경사면(56)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16A and 16B, the first slide member 47B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irst slide member 47A of the first embodime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55, The inclined surface 56 is not provided.

제2 슬라이드 부재(48B)에는,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62)에 제1 실시 형태의 제2 슬라이드 부재(48A)에 있는 것과 같은 경사면(63)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As shown in Figs. 17A and 17B, the second slide member 48B is not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 63 as in the second slide member 48A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rojecting portion 62. Fig.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봉 형상의 본체부(78)를 가진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X 방향의 선단에 사람이 회전 운동 조작할 수 있는 노브부(79)와 스토퍼(80)가 형성되고, X 방향과 반대 방향의 선단부에 제1 가압부(81)와 제2 가압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부(81)는 본체부(78)의 도 18에 있어서 상반 부분을 노치 작업하여 반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부(82)는 제1 가압부(81)보다 X 방향 후측의 본체부(78)의 도 18에 있어서 하반 부분을 노치 작업하여 반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케이스(2)의 배면에 형성된 슬리브(10)에 삽입되어 슬리브(10)의 내면에 설치한 단부(도시되지 않음)에 스토퍼(80)가 래치됨으로써, X축 둘레로 180˚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X축 둘레로 일 방향으로 부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제1 가압부(81)는 반원주의 일측 단부 및 둘레면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B)의 연장부(55)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제2 가압부(82)는 반원주의 일측 단부 및 둘레면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B)의 래치 돌출부(62)를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8,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has a bar-shaped main body portion 78 of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is provided with a knob portion 79 and a stopper 80 capable of rotating operation of a person at the tip in the X direction and has a first pressing portion 81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82 are formed. The first pressing portion 8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by notching the upper half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78 in Fig. The second pressing portion 82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by notching the lower half portion of the body portion 78 on the rear side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ssing portion 81 in Fig. 14,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is inserted into the sleeve 10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witch case 2 and is inserted into an end portion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10, 80 are latch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180 degrees around the X axis.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is biased in one direction around the X axis by a spring member (not shown). The first pressing portion 81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is formed so that one end portion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micircular member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55 of the first slide member 47B, (82) is formed so that one end portion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micircular member press the latch projection (62)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B).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키 스위치(1B)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B)에 의해 위험 지역에 남겨진 작업자는 간단히 위험 지역에서 탈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an operator left in a dangerous area by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of the key switch 1B can easily escape from the dangerous area. The operation of the back side lock release member 51B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B)가 락 위치에 있고 제1 슬라이드 부재(47B)도 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위험 지역 내부에 남겨진 작업자가 키 스위치(1B)의 배면에 있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B)를 회전 운동시키면,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X축 둘레로 회전 운동한다. 19A,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48B is in the lock position and the first slide member 47B is also in the lock position, the operator left inside the dangerous area is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key switch 1B Whe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is rotated,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rotates around the X axis.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회전 운동 조작 제1 단계에서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제1 가압부(81)가 제1 슬라이드 부재(47B)의 연장부(55)의 상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B)는 내려눌리기 때문에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The first pressing portion 81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55 of the first slide member 47B in the first step of rotating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Therefore, as shown in Fig. 19B, the first slide member 47B is moved down to the unlock posi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Z direction because it is pressed down.

이어서, 배면 락 해제부재(51B)의 회전 운동 조작 제2 단계에서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제2 가압부(82)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B)의 래치 돌출부(62)의 측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B)는 밀려서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락 부재(49)도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The second pressing portion 82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is engag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atch projecting portion 62 of the second slide member 48B in the second rotational phase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The second slide member 48B is pushed and moves to the unlock posi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direction as shown in Fig. 19C. Therefore, the lock member 49 also moves to the unlock posi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direction.

이에 따라, 락 부재(49)의 소노치부(64b)가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소경부(41)로부터 이탈되어 플런저(33)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는 안쪽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mall-size portion 64b of the lock member 49 is disengaged from the small-diameter portion 41 of the plunger 33 of the latch mechanism 24, so that the plunger 33 can move up and down. As a result, workers trapped in hazardous areas can escape by opening the door from the inside.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키 스위치(1C)의 배면에서 바라본 외관을 나타낸다. 이러한 키 스위치(1C)는 제1 실시 형태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A)에 조작 레버(83)를 설치한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Fig. 20 shows the appearance of the key switch 1C as seen from the back of the key switch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switch 1C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operation lever 83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omitted.

조작 레버(83)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케이스(2)의 슬리브(10)의 선단에 설치된 케이스(84), 이러한 케이스(84)의 내부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케이스(84)의 양 측벽에 지지된 작동 축(85), 그리고 이와 같은 작동 축(85)의 케이스(84)에서 돌출되는 일단에 설치된 핸들(86)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 축(85)의 중앙에는 둘레의 반이 노치된 반원주 형상의 압동부(押動部)(87)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86)은 90˚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반원주 형상의 압동부(87)의 평면부(87a)가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선단에 맞닿는 초기 위치와 반원주 형상의 압동부(87)의 둘레면부(87b)의 일단이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선단에 맞닿는 락 해제 위치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부세된다. 21, the operation lever 83 includes a case 84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leeve 10 of the switch case 2, An operating shaft 85 supported on both side walls of the operating shaft 84 and a handle 86 provided at one end protruding from the case 84 of the operating shaft 85 as described above. A semicircular pushing portion 87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peration shaft 85 and has a half round notch. The handle 86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by 90 占 and the initial position where the flat surface portion 87a of the semicircular pressing portion 87 abuts the tip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and the initial position where the semicircular pressing portion 87 can be rotated to a lock releasing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87b abuts against the tip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and is biased to an initial position by a spring (not shown).

위험 지역에 남겨진 작업자가 조작 레버(83)를 초기 위치에서 락 해제 위치로 내려누르면, 작동 축(85)의 압동부(87)가 회전 운동하여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선단이 압동(押動)된다. 이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락 언락 기구(26)가 작동되어 안쪽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or left in the dangerous area pushes down the operation lever 83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lock release position, the pressing portion 87 of the operation shaft 85 rotates and the tip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A is pressed . Thereby, as described above, the lock and unlock mechanism 26 is operated to open the door from the inside and to escape.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조작 레버(83)는 제2 실시 형태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B)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조작 레버(83)는 제2 실시 형태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B)를 X축 둘레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배면 락 해제 부재(51B)에 X축 둘레로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하면 좋다.The operation lever 83 of the third embodiment is also applicable to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of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case, however, the operation lever 83 is the same as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To be rotated about the X-axis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X-axis to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51B.

1A, 1B, 1C:키 스위치 2:스위치 케이스
3:도어 개폐 부재 4:락 언락 조작 키
21:제1 스위치 22:제2 스위치
25:전자 솔레노이드 47A, 47B:제1 슬라이드 부재
48A, 48B:제2 슬라이드 부재 49:락 부재
50:락 언락 조작 레버 51A, 51B:배면 락 해제 부재
56:경사면 63:경사면
76:제1 가압부 77:제2 가압부
81:제1 가압부 82:제2 가압부
83:조작 레버
1A, 1B, 1C: Key switch 2: Switch case
3: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4: lock unlock operation key
21: first switch 22: second switch
25: electromagnetic solenoids 47A, 47B: first slide member
48A, 48B: second slide member 49: locking member
50: Lock unlocking operation lever 51A, 51B:
56: inclined plane 63: inclined plane
76: first pressing portion 77: second pressing portion
81: first pressing portion 82: second pressing portion
83: Operation lever

Claims (7)

도어 폐쇄 시에 도어에 설치된 도어 개폐 부재를 리시브하고, 도어 개방 시에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해방하는 래치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제1 스위치;
도어 열림 신호 또는 도어 닫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구동 수단에 의한 락(lock) 및 언락(unlock)을 검출하는 제2 스위치;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지는 제2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하는 락 부재; 및
상기 도어의 바깥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락 언락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키 스위치로서,
상기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면 락 해제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A first switch for receiv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provided on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and detecting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atch mechanism for releas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member when the door is opened;
A second switch for detecting lock and unlock by a drive means driven based on a door open signal or a door close signal;
A first slide member that moves by driving of the driving means;
A second slide member which becomes unable to move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 member in one direction and which is movable by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A lock member moving to a lock position and an unlock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 member; And
And a lock unlocking operation means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to move the second slide member to the lock position and the unlock position,
Wherein the first slide member is moved to the unlock position and the second slide member is moved to the unlock position by the operation second step, Wherein a release member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제1 축을 따라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따라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 기구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리시브한 상태로 상기 래치 기구를 락 하는 락 위치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 기구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해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언락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락 언락 조작 수단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상기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lide member is form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first axis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driving of the driving means,
Wherein the second slide member is moved in a third direction along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in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by movement of the first slide member in a first direction And is movable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lock member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so that the lock member is locked at a lock position where the latch mechanism locks the latch mechanism in a state of receiving the door open / Wherein the latch mechanism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in the fourth direction so as to move to an unlocked position in which the door open /
The lock unlock operation means is formed to move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is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operation step and simultaneously move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by the operation second step And the key switch.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The key switch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a push oper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 또는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경사면을 마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 또는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경사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The slide fastener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for moving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by an operation first step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an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econd slide member and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 moving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by an operation second step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3. The key switch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가압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가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6. The backlash relea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first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first slide member and moving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to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by the first step of the operation of the back side lock releasing member,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cond slide member and moving the member in the third direction by a second op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back side lock releas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eration lever for operating the back side lock release member is provided.
KR1020130123926A 2012-11-15 2013-10-17 Key switch KR1015245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1087 2012-11-15
JP2012251087A JP5974845B2 (en) 2012-11-15 2012-11-15 Key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405A KR20140063405A (en) 2014-05-27
KR101524539B1 true KR101524539B1 (en) 2015-06-01

Family

ID=5075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926A KR101524539B1 (en) 2012-11-15 2013-10-17 Key switch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74845B2 (en)
KR (1) KR101524539B1 (en)
CN (2) CN203769454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4845B2 (en) * 2012-11-15 2016-08-23 オムロン株式会社 Key switch
KR102148676B1 (en) * 2019-01-02 2020-08-27 엘에스일렉트릭(주) Drawin and out apparatus with interlock module
KR102605323B1 (en) * 2022-11-01 2023-11-23 주식회사 세펙트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580A (en) * 1997-04-30 1998-11-13 Idec Izumi Corp Safety switch
JP2006228616A (en) * 2005-02-18 2006-08-31 Omron Corp Key switch
WO2007066803A1 (en) * 2005-12-09 2007-06-14 Idec Corporation Safety switch
JP2009016060A (en) * 2007-06-29 2009-01-22 Sunx Ltd Safety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622B2 (en) * 1992-08-31 1998-03-04 和泉電気株式会社 Safety switch device
JPH10334772A (en) * 1997-03-31 1998-12-18 Idec Izumi Corp Safety switch
JP4047994B2 (en) * 1999-01-14 2008-02-13 Idec株式会社 Safety switch
JP4003390B2 (en) * 2000-11-17 2007-11-07 オムロン株式会社 Key switch
JP4710648B2 (en) * 2006-02-23 2011-06-29 オムロン株式会社 Safety switch
JP2008277291A (en) * 2007-04-06 2008-11-13 Idec Corp Safety switch
US8017880B2 (en) * 2008-06-26 2011-09-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afety switch
JP5974845B2 (en) * 2012-11-15 2016-08-23 オムロン株式会社 Key swi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580A (en) * 1997-04-30 1998-11-13 Idec Izumi Corp Safety switch
JP2006228616A (en) * 2005-02-18 2006-08-31 Omron Corp Key switch
WO2007066803A1 (en) * 2005-12-09 2007-06-14 Idec Corporation Safety switch
JP2009016060A (en) * 2007-06-29 2009-01-22 Sunx Ltd Safety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1411A (en) 2014-05-28
JP2014099350A (en) 2014-05-29
CN103821411B (en) 2016-09-28
CN203769454U (en) 2014-08-13
KR20140063405A (en) 2014-05-27
JP5974845B2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837B2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JP2008077972A (en) External operation handle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1524539B1 (en) Key switch
JP6618861B2 (en) Door lock device
US20070095641A1 (en) Locking mechanism for a safety switch
JP4823874B2 (en) Electric lock
KR200438979Y1 (en) Digital door lock
JP5616118B2 (en) Mode conversion mechanism in electric lock
JP2020051138A (en) Locking/unlocking device
KR101520856B1 (en) Selector switch
JP2003272468A (en) Operation switch
WO2019235339A1 (en) Actuator unit and safety switch
KR101322308B1 (en) Clutch assembly for thumbturn
JP5479217B2 (en)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in article storage fixture
JP2009242076A (en) Opening-closing type operation panel of elevator
JP2009228310A (en) Lock device for door
JP3781383B2 (en) Lid lock device
US9257871B1 (en) Transfer switch
JP640758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7459374B2 (en) door latch device
JP2013100718A (en)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JP4823871B2 (en) Electric lock
JPH047534Y2 (en)
JP6112674B2 (en) Lock
JPS6321663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