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380B1 - Locking Equipment Of Automatic glass doors - Google Patents

Locking Equipment Of Automatic glass d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380B1
KR101521380B1 KR1020140004379A KR20140004379A KR101521380B1 KR 101521380 B1 KR101521380 B1 KR 101521380B1 KR 1020140004379 A KR1020140004379 A KR 1020140004379A KR 20140004379 A KR20140004379 A KR 20140004379A KR 101521380 B1 KR101521380 B1 KR 10152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glass door
main body
lock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준 filed Critical 김동준
Priority to KR102014000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3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4Fastening of lock cylinders, plugs or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equipment to lock and release automatic glass doors (D) which comprises: a body (10) fixat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glass door (D); a bundle of keys (20) having a key insertion unit (21); a control lever (30) installed in an internal direction on a rotational unit (31) capable of being controlled; and a locking means (40) having a first protrusion unit (41) locking the doors (D) and a second protrusion unit (42) releasing the doors (D).

Description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Locking Equipment Of Automatic glass door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utomatic glass doors,

본 발명은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에 있어 현장사항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시공성과 편리성이 향상되고, 사용에 있어 구조의 간결화로 인해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편의성과 작업성이 향상되며, 유리문에 노출되지 않아 전면 개방이 가능함과 함께 보다 안전성을 보장하는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which can be easily changed in install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in instal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which is easy to repair and which improves convenience and workability and is not exposed to a glass door to allow a front door to be opened,

통상적으로, 자동 유리도어는 대형건물의 현관이나 상가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이를 록킹/언록킹하기 위해 잠금 장치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무거운 유리도어 상에 장착됨에 따라 그 록킹 능력은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복잡한 구조의 로킹 장치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구조의 복잡성에 의해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Typically, the automatic glass door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large building or at the entrance of a commercial building, and is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 unlocking it. As this locking device is mounted on a heavy glass door, its locking ability must be strengthened. However, although a locking device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is generally adopted,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and repair are difficult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23496호에 따르면, '강화유리도어에 도어록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로서, 일면에 형성된 이동안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돌출되어 도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이동안내면을 가압하도록 이동하는 가압부재가 구비된 도어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고정장치.'를 제시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123496 discloses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door lock to a tempered glass door, comprising: a contact member protruded by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a moving guide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 And a door fixing part having a pressing member which moves to press the moving guide surface of the tightening member.

하지만, 이러한 유리도어의 로킹장치는 복잡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우면서 고장 시 사용자의 수리는 실질적으로 어려워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locking device of the glass door ha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it, so that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pair the device in case of failure.

그러나 유리문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로킹장치는 출입문의 두께변화에 대응되지 못하여 설치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유리문에 로킹장치가 노출되어 완전히 개방이 되지 않아 안전성과 미관상으로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더구나, 대부분의 로킹장치는 좌우로 실내와 실외측이 구분되고 변경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편리성과 조립성 및 작업성 증대를 기대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locking devic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glass door, is not suitable for the change of the thickness of the door so that the workability at installation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e locking device is exposed to the glass door, .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locking device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door and the outdoor sid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left unchang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convenience, assembly, and workability increase.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23496호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고정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23496 "Door Lock Fixing Device of Tempered Glass Door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ㆍ 설치에 있어 현장사항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시공성과 편리성이 향상되고, 사용에 있어 구조의 간결화로 인해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편의성과 작업성이 향상되며, 유리문에 노출되지 않아 전면 개방이 가능함과 함께 보다 안전성을 보장하는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apparatu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and which improves convenience and workability and is not exposed to a glass door so that the front door can be opened and safety is further assur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 유리도어를 괘ㆍ해정하는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고, 개폐가 가능한 커버에 서로 대향되게 장착공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커버 상 연결공의 키에 의해 회동하게 키삽입부를 구비하는 키뭉치; 상기 본체의 장착공 상에 삽설하여 체결볼트를 통해 키뭉치와 함께 회동되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 상에 내부방향에서 조절 가능하게 구비하는 조절레버;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키뭉치 또는 조절레버에 의해 회동하는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의 회전에 의해 잠금핀을 이동시켜 키뭉치 또는 조절레버를 괘ㆍ해정하되, 상기 회전구는 키뭉치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핀을 가압함으로 유리도어를 괘정하는 제1돌부와 판스프링을 가압하여 탄성력에 의해 유리도어를 해정하는 제2돌부를 구비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king device for hanging and unlocking an automatic glass do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mounting hole fixed to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glass door, A key bundle having a key insertion portion for rotating by a key of a cover-side connection hole of the main body; A control lever provided on the mounting hol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key bundle through a fastening bolt, the control lever being adjustable inwardly on the rotating portion; And an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pivoted by a key bundle or an adjusting lever. The lock pin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tool so that the key bundle or the adjustment lever is pivoted, And a locking means having a first protrusion for rotating the glass door by pressing the lock pin by pivot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ey bundle, and a second protrusion for pressing the leaf spring to release the glass door by elastic force .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회전구는 조절레버의 체결볼트를 수용하여 키뭉치 및 조절레버와 함께 회동하면서 회동반경을 제한하게 한 쌍의 가이드홈 또는 한 쌍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ry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one of a pair of guide grooves or a pair of engaging jaws for receiving a fastening bolt of the adjusting lever and rotating with the key bundle and the adjusting lever to limit the turning radius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회전구는 본체로부터 좌우이동이 가능하여 키뭉치와 조절레버의 설치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otary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able from the main body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key bundle and the adjustment lever can be freely changed.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는 설치에 있어 현장사항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시공성과 편리성이 향상되고, 사용에 있어 구조의 간결화로 인해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편의성과 작업성이 향상되며, 유리문에 노출되지 않아 전면 개방이 가능함과 함께 보다 안전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device for the automatic glass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hanged in install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in the installa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And maintenance are easy, convenience and workability are improved, and the door is not exposed to the glass door, thereby allowing the front door to be opened and to provide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전ㆍ후방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가 설치된 유리도어의 개폐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측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and FIG.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and FIG. 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glass door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equenti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glass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자동 유리도어(D)를 괘ㆍ해정하는 로킹 장치에 관련되며, 본체(10), 키뭉치(20), 조절레버(30), 잠금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hanging and unlocking an automatic glass door (D), and comprises a main body (10), a key bundle (20), an adjusting lever (30) and a locking means (40).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상기 유리도어(D)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고, 개폐가 가능한 커버(11)를 구비하면서 서로 대향되게 장착공(10a)을 구비한다. 본체(10)는 후술하는 키뭉치(20), 조절레버(30), 잠금수단(40)을 수용한 상태로 커버(11)를 장착하여 유리도어(D)의 상부 또는 하부에 삽입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본체(10)에는 커버(11)와 서로 대향되도록 장착공(10a)이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는 바, 이러한 장착공(10a)에는 후술하는 키뭉치(20)와 조절레버(30)가 삽설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hole 10a which is fix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glass door D and has a cover 11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facing each other. The main body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ver 11 is mounted in a state of accommodating a key bundle 20, an adjusting lever 30 and a locking means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serted in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glass door D to be.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10a so as to be opposed to the cover 11. The mounting hole 10a is provided with a key bundle 20 and an adjusting lever 30 .

이때, 미설명된 도면부호 11a는 커버(11) 상에 형성된 연결공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결공(11a)은 본체(10)의 장착공(10a)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공(11a)은 후술하는 키뭉치(20)가 삽설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Reference numeral 11a denotes a connection hole formed on the cover 11 and the connection hole 11a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mounting hole 10a of the main body 10. [ Accordingly, the connection hole 11a is configured to insert a key bundle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 본 발명에 따른 키뭉치(20)는 상기 본체(10)의 장착공(10a) 상에 키(K)에 의해 회동하게 키삽입부(21)를 구비한다. 키뭉치(20)는 내부에 다수의 괘정핀(미도시)이 삽설되어 키(K)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키뭉치(20)는 전방에 키삽입부(2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후술하는 조절레버(30)의 체결볼트(32)와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본체(10)의 장착공(10a) 상에 삽설하여 장착된다.The key bundl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key insertion portion 21 on the mounting hole 10a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rotated by the key K. A plurality of hanging pins (not shown) are inserted into the key bundle 20 so that the key bundle 20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key K. The key bundle 20 has a key insertion portion 21 formed at the front and a fastening hole (not shown) formed at the rear thereof for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32 of the adjusting lever 30 And is inserted and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10a of the main body 10.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레버(30)는 상기 본체(10)의 장착공(10a) 상에 삽설하여 체결볼트(32)를 통해 키뭉치(20)와 함께 회동되는 회전부(3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31) 상에 내부방향에서 조절 가능하게 구비한다. 조절레버(30)는 상술한 키뭉치(20)와 대응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본체(10)의 장착공(10a)에 삽설되는 바, 상술한 키뭉치(20)가 외부(밖)에서 키(K)를 통해 후술하는 잠금수단(40)을 작동한다면, 이러한 조절레버(30)는 상기 키뭉치(20)와 연동하여 내부(안)에서 잠금수단(40)을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절레버(30)에는 본체(1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턱(30a)이 상술한 회전부(31)의 중앙공(31a) 상에 삽설하여 고정되는 바, 이러한 작동상태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The control lev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art 31 inserted on the mounting hol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key bundle 20 through the fastening bolt 32 , And is adjustable in the inner direction on the rotary part (31). The control lever 30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10a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key bundle 20 described above and the key bundle 20 is mounted on the key K The adjusting lever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rate the locking means 40 in the interlocking operation with the key bundle 20, if the locking means 40 described below is operated. A protrusion 30a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entral hole 31a of the rotation unit 31.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lev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 will explain.

또,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키뭉치(20) 또는 조절레버(30)에 의해 회동하는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43)에 의해 잠금핀(45)을 이동시켜 괘ㆍ해정한다. 잠금수단(40)은 본체(10)의 내부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잠금핀(45)을 상, 하 이동하여 괘ㆍ해정을 시행하는 것으로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와, 키뭉치(20) 및 조절레버(30)가 함께 연동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바, 먼저 키뭉치(20)는 회전부(31)에 장착되는 체결볼트(32)가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를 관통한 상태로 키뭉치(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체결됨으로 회전하게 되고, 조절레버(30)의 돌턱(30a)이 회전부(31)의 중앙공(31a) 상에 삽설된 상태로 돌턱(30a)이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의 걸림공(43a)과 서로 맞물려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The locking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and rotated by the key blade 20 or the control lever 30, And the lock pin 45 is moved by the rotation tool 43 to be separated and removed. The locking means 40 is configured to move the locking pin 45 protruding downward in the main body 10 upward and downward to perform hanging and unlocking, The key bolt 20 and the control lever 30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key bolt 20. The key bolt 20 is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bolt 32 mounted on the rotation part 31 penetrates through the rotary orifice 43 And the protrusion 30a of the control lever 3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31a of the rotation part 31 and the protrusion 30a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31a of the rotation part 31. [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le 43a of the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잠금수단(40)의 회전구(43)는 키뭉치(20)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핀(45)을 가압함으로 유리도어(D)를 괘정하는 제1돌부(41)와 판스프링(46)을 가압하여 탄성력에 의해 유리도어(D)를 해정하는 제2돌부(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에는 외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부(41)와 제2돌부(42)를 구비하는데, 키(K)에 의한 키뭉치(20) 또는 조절레버(30)의 회전을 통해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잠금핀(45) 상에 형성된 요홈(45a)에 제1돌부(41)가 삽설한 상태로 잠금핀(45)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 후, 반대측의 제2돌부(42)가 판스프링(46)에 의해 가압되어 해정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시 키(K)에 의한 키뭉치(20) 또는 조절레버(30)의 회전을 통해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제2돌부(42)를 가압하던 판스프링(46)은 탄성력에 의해 절곡됨으로 제1돌부(41)는 잠금핀(45)의 요홈(45a)에 삽설되어 상기 잠금핀(45)이 하부로 이동시켜 유리도어(D)에 삽설하게 됨으로 괘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shaft 43 of the locking means 40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ey bundle 20 to press the locking pin 45 to press the glass door D And a second projecting portion 42 for pressing the projecting portion 41 and the leaf spring 46 to unfold the glass door D by an elastic force. The rotary member 43 has a first protrusion 41 and a second protrusion 42 protruding outwardly. The key bar 20 or the control lever 30 When the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lock pin 45 is inserted into the recess 45a formed on the lock pin 45 in a state where the first protrusion 41 is inserted As shown in FIG. Thereafter,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42 on the opposite side is pressed by the leaf spring 46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Then, through the rotation of the key bundle 20 or the adjustment lever 30 by the key K, When the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leaf spring 46, which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protrusion 42, is bent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41 is engaged with the groove The locking pin 45 is inserted into the door 45a so that the locking pin 45 is moved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glass door D, thereby maintaining the normal state.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구(43)는 조절레버(30)의 체결볼트(32)를 수용하여 키뭉치(20) 및 조절레버(30)와 함께 회동하면서 회동반경을 제한하게 한 쌍의 가이드홈(47) 또는 한 쌍의 걸림턱(48)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에는 도 2a 내지 도 3b처럼 가이드홈(47) 또는 걸림턱(48)으로 형성하는 바, 상술한 체결볼트(32)가 삽설하여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가이드홈(47) 또는 걸림턱(48)을 통해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tool 43 receives the fastening bolt 32 of the adjusting lever 3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key knob 20 and the adjusting lever 30 to limit the turning radius And either one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47 or the pair of latching jaws 48 is selectively provided. As shown in FIGS. 2A to 3B, the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47 or a stopping jaw 48.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bolt 32 is inserted into a rotary orifice 43 through a guide groove 47 or a locking protrusion 48 formed in a pair.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구(43)는 본체(10)로부터 좌우이동이 가능하여 키뭉치(20)와 조절레버(30)의 설치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필요에 따라 유리도어(D)로부터 키뭉치(20)와 조절레버(30)의 방향전환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를 도 7(a), (b)처럼 본체(10)로부터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에 따라 키뭉치(20)와 조절레버(30)의 이동방향을 간편하게 설치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tool 43 is movable from the main body 10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key bundle 20 and the adjustment lever 30 can be freely changed. This is because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key bundle 20 and the control lever 30 from the glass door D as necessar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key bundle 20 and the adjustment lever 30 can be easily changed by sliding the key bundle 20 and the adjustment lever 30 from side to sid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합 및 사용에 있어서, 유리도어(D)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본체(10)가 삽설 고정되어 유리도어(D)의 괘ㆍ해정하게 되는 바, 키뭉치(20) 또는 조절레버(30)가 회전하여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요홈(45a)에 제1돌부(41)가 삽설하여 잠금핀(45)을 상부로 이동시킴으로 잠금핀(45)은 유리도어(D)로부터 이탈하여 해정하게 되고, 키뭉치(20) 또는 조절레버(30)를 통해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제2돌부(42)를 가압하던 판스프링(46)은 탄성력에 의해 절곡됨으로 제1돌부(41)는 잠금핀(45)의 요홈(45a)에 삽설되어 잠금핀(45)이 유리도어(D)에 삽설하여 괘정하게 된다.1 to 6, in the combination and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and fix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glass door D so that the glass door D is opened and closed.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4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5a and the lock pin 45 is moved upwardly when the rotary lever 20 or the control lever 30 is rotated to rotate the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clockwise The locking pin 45 is disengaged from the glass door D and unlocked so that when the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rotates counterclockwise through the key bundle 20 or the adjusting lever 30,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4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5a of the lock pin 45 so that the lock pin 45 is pressed against the glass door D It is inserted and fixed.

더구나, 도 7처럼 유리도어(D)상에서 키뭉치(20)와 조절레버(30)의 설치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를 본체(10)로부터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에 따라 키뭉치(20)와 조절레버(30)의 이동방향을 간편하게 설치 변경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7, whe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key bundle 20 and the control lever 30 needs to be freely changed on the glass door D, the integral or detachable rotary tool 43 is moved from the main body 10 to the left and righ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key bundle 20 and the control lever 30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킹장치는 설치에 있어 현장사항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시공성과 편리성이 향상되고, 사용에 있어 구조의 간결화로 인해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편의성과 작업성이 향상되며, 유리문에 노출되지 않아 전면 개방이 가능함과 함께 보다 안전성을 보장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in the installa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convenience, and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due to the simplified structure in use, And is not exposed to the glass door, thereby allowing the front door to be opened and to further ensure safety.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10a: 장착공
11: 커버 11a: 연결공
20: 키뭉치 21: 키삽입부
22: 체결볼트 30: 조절레버
30a: 돌턱 31: 회전부
31a: 중앙공 32: 체결볼트
40: 잠금수단 41: 제1돌부
42: 제2돌부 43: 회전구
43a: 걸림공 45: 잠금핀
45a: 요홈 46: 판스프링
47: 가이드홈 48: 걸림턱
D: 유리도어 K: 키
10: Main body 10a: Mounting hole
11: Cover 11a: Connection hole
20: key bundle 21: key insertion portion
22: fastening bolt 30: adjusting lever
30a: rim 31:
31a: central hole 32: fastening bolt
40: locking means 41: first projection
42: second projecting portion 43:
43a: latching hole 45: locking pin
45a: groove 46: leaf spring
47: guide groove 48: latching jaw
D: Glass door K: Key

Claims (4)

자동 유리도어(D)를 괘ㆍ해정하는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도어(D)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고, 개폐가 가능한 커버(11)에 서로 대향되게 장착공(10a)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커버(11)상 연결공(11a)의 키(K)에 의해 회동하게 키삽입부(21)를 구비하는 키뭉치(20);
상기 본체(10)의 장착공(10a) 상에 삽설하여 체결볼트(32)를 통해 키뭉치(20)와 함께 회동되는 회전부(3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31) 상에 조절 가능하게 구비하는 조절레버(30);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키뭉치(20) 또는 조절레버(30)에 의해 회동하는 일체 또는 분리형의 회전구(43)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43)의 회전에 의해 잠금핀(45)을 이동시켜 키뭉치(20) 또는 조절레버(30)를 괘ㆍ해정하되, 상기 회전구(43)는 키뭉치(20)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핀(45)을 가압함으로 유리도어(D)를 괘정하는 제1돌부(41)와 판스프링(46)을 가압하여 탄성력에 의해 유리도어(D)를 해정하는 제2돌부(42)를 구비하는 잠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
CLAIMS 1. A locking device for hanging and unlocking an automatic glass door (D), comprising:
A main body 10 fix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glass door D and having a mounting hole 10a opposed to the cover 11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 key bundle (20) having a key insertion portion (21) rotated by a key (K) of a connection hole (11a) on a cover (11) of the main body (10);
And a rotation unit 31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key bundle 20 through a fastening bolt 32. The rotation unit 31 is adjustably provided on the rotation unit 31, An adjustment lever 30; And
And a rotatable shaft 43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ivoted by the key assembly 20 or the control lever 30, The lock pin 45 is pivo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ey bundle 20 to move the key pin 20 or the control lever 30 to the open position And a locking means 40 having a first protrusion 41 for locking the door D and a second protrusion 42 for releasing the glass door D by an elastic force by pressing the leaf spring 46 And a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the do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43)는 조절레버(30)의 체결볼트(32)를 수용하여 키뭉치(20) 및 조절레버(30)와 함께 회동하면서 회동반경을 제한하게 한 쌍의 가이드홈(47) 또는 한 쌍의 걸림턱(48)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ry tool 43 includes a pair of guide grooves 47 or a pair of guide grooves 47 for receiving the fastening bolts 32 of the adjustment lever 30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key assembly 20 and the adjustment lever 30, And one of the pair of latching jaws (48) is selectively used.
제1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43)는 본체(10)에서 좌우변환이 가능하여 키뭉치(20)와 조절레버(30)의 설치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otary shaft (43) is capable of being laterally shifted in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key bundle (20) and the adjustment lever (30) can be changed freely.
KR1020140004379A 2014-01-14 2014-01-14 Locking Equipment Of Automatic glass doors KR101521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79A KR101521380B1 (en) 2014-01-14 2014-01-14 Locking Equipment Of Automatic glass d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79A KR101521380B1 (en) 2014-01-14 2014-01-14 Locking Equipment Of Automatic glass do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380B1 true KR101521380B1 (en) 2015-05-19

Family

ID=5339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379A KR101521380B1 (en) 2014-01-14 2014-01-14 Locking Equipment Of Automatic glass d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38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30Y1 (en) * 2005-12-21 2006-03-27 김재식 Door locking apparatus
KR200459082Y1 (en) * 2009-04-28 2012-03-19 이석민 A lock structure of front do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30Y1 (en) * 2005-12-21 2006-03-27 김재식 Door locking apparatus
KR200459082Y1 (en) * 2009-04-28 2012-03-19 이석민 A lock structure of front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7268B2 (en) Lever-handle lock
KR101868469B1 (en) Push-Pull Door Locks
KR101916103B1 (en) Grip handle for for windows and doors with locking system
KR20160000788A (en) A push & pull door lock assembly
KR20170081886A (en) Open auxiliary device for sliding window
CN110520584B (en) Push rod lock for a switchgear cabinet, correspond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100043426A (en) Auto locking device of window
CN107690503B (en) Opening aid for sliding window
GB2595992A (en) Poly-axial closure hinge mechanism
KR101521380B1 (en) Locking Equipment Of Automatic glass doors
CA260964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KR101331895B1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ype door
KR20100011513A (en) A self-acting catch for a door
KR101524775B1 (en) Multi lock device and position install selection device for thereof
US20190218819A1 (en) unknown
KR101333324B1 (en) Automatic locking apparatus of windows
KR20160104226A (en) Mortise lock of digital door lock
KR20110002241U (en) Emergency exit door locker
JP2016053291A (en) Latch lock
KR200484451Y1 (en) Fire door automatic closing device
KR101401653B1 (en) Lock device for a windoew
KR20180004547A (en) Automatic locking apparatus of windows
KR101941589B1 (en) Lever typed handle for direct locking system
JP2016041892A (en) Locking device
KR101732967B1 (en) Door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