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233B1 - Apparatus for channel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annel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233B1
KR101521233B1 KR1020130141205A KR20130141205A KR101521233B1 KR 101521233 B1 KR101521233 B1 KR 101521233B1 KR 1020130141205 A KR1020130141205 A KR 1020130141205A KR 20130141205 A KR20130141205 A KR 20130141205A KR 101521233 B1 KR101521233 B1 KR 10152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ge
congestion
dbm
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2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장석
윤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3014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2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2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hannel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a method thereof, wherein the apparatus enables to minimize the failure of data transmission caused by the channel congestion and to set the channel which allows to perform stable data communications. The apparatus comprises: an operator terminal which determines the channel congestion through the sensed data traffic, selects the changed channel during the channel congestion, and avoids the channel congestion automatically through the change of the channel; and a client terminal which performs data communications with the operator terminal and changes the channel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change of the channel transmitted from the operator terminal.

Description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hannel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nel set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혼잡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채널을 설정하도록 한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nel setting of a radio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nnel set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in a radio device period in which a data transmission failure due to channel congestion is minimized and a channel capable of stable data communication is set.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승객의 카드를 판독하는 승하차 단말기(통상, 승차 단말기는 버스 승차하는 곳에 위치하고, 하차 단말기는 버스 하차하는 곳에 위치함), 상기 승하차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고, 관리 서버와 무선 통신을 통해 버스 운행 정보를 전송하거나 실시간으로 승객의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가 탑재된다. 여기서 운전자 단말기에는 승하차 단말기 이외에 승객이 사용하는 무선 기기의 접속이 가능하다. 이 경우 운전자 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무선 기기의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기지국 같은 역할을 한다.Generally, a bus is equipped with a boarding and landing terminal for reading a card of a passenger (usually, the boarding terminal is located at a bus riding position and the getting-off terminal is located at a bus riding position) A driver terminal for transferring bus driving information via a bus or transmitting card information of a passenger in real time. Here, the driver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device used by the passenger in addition to the boarding and landing terminal. In this case, the driver terminal acts as an access point and serves as a base station for relaying data of the wireless device.

버스에 탑재된 운전자 단말기는 승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요금을 징수할 때마다 그 거래 내용을 저장하며, 이를 무선랜 또는 램팩 등을 통해 정산 서버(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산 서버는 취합한 거래내용들을 각 버스별 및 운수회사별로 정산을 수행한다.The driver terminal mounted on the bus stores the contents of the transaction every time a fee is collected from the transportation card of the passenger, and transmits the transaction contents to the settlement server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less LAN or a RAM pack. The contents are settled by each bus and transportation company.

아울러 운전자 단말기는 버스 운행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관리 서버와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무선 통신을 하여, 버스 운행 정보를 전송하고, 버스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운전자 단말기는 통상 2.4G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다.In addition, the driver terminal records bus operation information,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transmits bus oper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bus operation. Here, the driver terminal usually use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2.4G band.

버스에서 무선 통신의 사용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이 항상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은 감도를 나타내는 신호 세기가 -60dBM이상, 무선 속도 24Mbps, 데이터 전송 속도 10Mbps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on the bus is that high-speed data transmission should always be done in real time. Here, th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means that 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sensitivity is -60 dBm or more, the wireless speed is 24 Mbps, and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10 Mbps.

이를 위해 일반적인 운전자 단말기에서는 점유 채널의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수신 신호 세기가 정해진 세기 이하이면 즉시 다른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게 된다. 이때 채널 변경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채널 변경시에는 통신이 두절된다.To this end, in a general driver terminal, the RSSI of the occupied channel is searched in real time, and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intensity, the channel is immediately changed to another channel. At this time,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change the channel, and communication is interrupted when the channel is changed.

차량에 장착된 버스 단말기에 대한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33941호(2007.03.27. 공개)에 개시되었다.A conventional technique for a bus terminal mounted on a vehicle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33941 (published on Mar. 27, 2007).

<특허문헌 1>은 소정의 통신 영역에 진입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거래 내용을 취합한 파일을 암호화 및 이진화하여 정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정산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의 버전과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버전을 비교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버스 단말기를 관리하게 된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ystem for encrypting and binarizing a file that has collected transaction content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bus terminal that has entered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area and transmitting the encrypted and binarized file to a settlement system and storing a version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settlement system, The bus terminal is managed by comparing the versions of the information and upda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with the latest inform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33941호(2007.03.27.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3941 (published on Mar. 27, 2007)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운전자 단말기는 승하차 단말기와의 데이터 중계는 할 수 있으나,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사용하는 무선 기기(클라이언트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해주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general driver terminal can relate data to / from the landing / landing terminal, but it is impossible to relay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device (client terminal) used by the passenger on the bus.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버스 단말기 역시 승객이 사용하는 다른 무선기기의 데이터 중계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Also, the conventional bus terminal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relay data of other wireless devices used by passenger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운전자 단말기 및 종래기술의 버스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채널 혼잡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채널을 설정하도록 한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a general driver terminal and a conventional bus terminal,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dio terminal, A channel setting apparatus for a period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널 혼잡을 회피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채널을 찾아 채널 변경을 수행하도록 한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nnel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radio station in which channel congestion is avoided and a channel capable of stable data communication is searched for channel chang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는 데이터 트래픽 감지를 통해 채널 혼잡을 판단하고, 채널 혼잡시 변경 채널을 선정한 후 채널 변경을 통해 자동으로 채널 혼잡을 회피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운전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며,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채널 변경 정보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channel setting device of the radio peri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channel congestion through data traffic detection, selects a change channel for channel congestion, and automatically avoids channel congestion A driver terminal; And a client terminal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river terminal and changing a channel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er terminal.

상기에서 운전자 단말기는 다수의 하위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driver terminal relays data of a plurality of sub-client terminals.

상기에서 운전자 단말기는 채널 변경 후 일정 시간 지연을 갖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채널 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driver terminal transmits the channel change information to the client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time delay after changing the channel.

상기에서 운전자 단말기는 소정 시간 단위로 소정 량의 데이터를 현재 점유 채널로 전송하고, 되돌아온 데이터량과 평균 전송속도를 기초로 채널 혼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r terminal transmits a predetermined amount of data on a current occupancy channel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nnel is congested based on the amount of data returned and the average transmission rate.

상기에서 운전자 단말기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채널 혼잡시 채널 변경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 감시부; 상기 데이터 트래픽 감시부로부터 발생하는 채널 변경 요청신호에 따라 변경할 채널을 탐색 및 선정하고, 변경할 채널 정보 및 채널 변경 명령을 출력하는 채널 혼잡 감시부; 상기 채널 혼잡 감시부에서 출력되는 채널 변경 명령에 따라 상기 채널 정보를 기초로 채널을 변경하는 무선채널 환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r terminal monitors a data traffic and generates a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in case of channel congestion. A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for searching for and selecting a channel to be changed according to a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generated from the data traffic monitoring unit, and outputting changed channel information and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a radio channel environment controller for changing a channe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nel change command output from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상기에서 채널 혼잡 감시부는 변경 채널 선정시, 탐색 채널의 수신 강도와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채널 사용 여부와 탐색 채널 전·후 채널의 사용 여부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변경 채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is characterized by selecting a change channel by setting priorities according to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search channel, whether or not the channel is used at another access point, and whether or not the search channel is used before and after the change channel is selected .

상기에서 채널 혼잡 감시부는 수신 강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도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제1순위로 선정하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은 사용되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2순위로 선정하고, 선택 채널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일 경우 제3순위로 선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고, 전·후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4순위로 선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이고 전·후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5순위로 선정하고, 탐색 채널 중 가장 낮은 수신 강도를 가지는 채널을 제6순위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selects a channel whose reception intensity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s not used by other access points, and is not used before and after the channel, and is not used by other access points. Channel is used but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is selected as the second rank and a selection channel is selected as a third rank when the channel is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and the receiving strength is -80 dBm or less,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is selected as the fourth rank,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and a reception strength of any one of the before and after channels is -80 dBm or less is selected as the fifth rank, The channel having the lowest reception intensity among the channels is selected as the sixth order.

상기에서 무선채널 환경 제어부는 채널 변경 후 일정 시간 지연을 갖고 채널 변경 명령과 채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radio channel environment control unit transmits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channel information to the client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time delay after changing the channe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방법은 (a) 특정 채널로 통신을 하는 도중에 트래픽을 감시하는 단계; (b) 감시한 트래픽을 기초로 채널 혼잡을 판단하는 단계; (c) 채널 혼잡으로 판단될 경우, 채널 혼잡을 회피하고 데이터 전송 실패가 없는 변경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설정한 변경 채널로 채널 변경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nnel setting method for a radio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monitoring traffic during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channel; (b) determining channel congestion based on the monitored traffic; (c) setting a change channel that avoids channel congestion and has no data transmission failure when it is determined to be channel congestion; (d) executing the channel change with the set change chann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방법은 (e) 상기 채널 변경 후, 일정 시간 지연을 갖은 후 채널 변경 명령 및 변경할 채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method for setting a channel period of a radio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 transmitting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a changed channel information hav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to the client terminal after changing the channel.

상기에서 (c)단계는 수신 강도가 임계치 이상이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도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제1순위로 설정하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은 사용되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2순위로 설정하고, 선택 채널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일 경우 제3순위로 설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고, 전·후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4순위로 설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이고 전·후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5순위로 설정하고, 탐색 채널 중 가장 낮은 수신 강도를 가지는 채널을 제6순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 step (c), a channel whose reception strength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which is not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and neither a pre- or post-channel is used is set as a first rank, Channel is set to the second rank and the reception channel is set to the third rank when the channel is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and the reception strength is -80 dBm or less,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is set as a fourth rank,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and a reception strength of any one of the before and after channels is -80 dBm or less is set as the fifth rank, The channel having the lowest received signal strength is set to the sixth order.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기기간의 채널 혼잡을 회피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채널을 찾아 채널 변경을 자동으로 수행해줌으로써, 항상 최적의 데이터 통신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nel congestion during a radio period is avoided and a channel capable of stable data communication is searched for and a channel change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reby providing optimum data communication at all tim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에서 운전자 단말기가 승하차 단말기 이외에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사용하는 무선기기(스마트폰, 노트북, 기타)의 액세스 포인트 역할도 해주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terminal serves as an access point of a wireless device (smart phone, notebook, etc.) used by passengers aboard a bus other than a bu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운전자 단말기의 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nnel setting device in a radio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driver terminal of FIG. 1;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nnel setting method in a ra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의 구성도로서, 안테나(10), 운전자 단말기(20)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30)를 포함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hannel setting device in a radio st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n antenna 10, a driver terminal 20, and a client terminal 30.

상기 안테나(10)는 기지국 등을 통해 관리 서버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antenna 10 transmits / receives wireless data to / from a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ase station or the like.

상기 운전자 단말기(20)는 데이터 트래픽 감지를 통해 채널 혼잡을 판단하고, 채널 혼잡시 변경 채널을 선정한 후 채널 변경을 통해 자동으로 채널 혼잡을 회피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운전자 단말기(20)는 통상의 액세스 포인트(AP)와 같이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driver terminal 20 determines channel congestion through data traffic detection, selects a change channel for channel congestion, and automatically avoids channel congestion through channel change. The driver terminal 20 plays a role of relaying data like an ordinary access point (AP).

이러한 운전자 단말기(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에 위치한 관리 서버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통신하거나 클라이언트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21),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채널 혼잡시 채널 변경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 감시부(22), 상기 데이터 트래픽 감시부(22)로부터 발생하는 채널 변경 요청신호에 따라 변경할 채널을 탐색 및 선정하고, 변경할 채널 정보 및 채널 변경 명령을 출력하는 채널 혼잡 감시부(23), 상기 채널 혼잡 감시부(23)에서 출력되는 채널 변경 명령에 따라 상기 채널 정보를 기초로 채널을 변경하는 무선채널 환경 제어부(24)를 포함한다.2, the driver terminal 2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for communicating data wirelessly with a management server located remotely 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lient, monitoring data traffic, A data traffic monitoring unit 22 for generating a signal, a data traffic monitoring unit 22 for detecting and selecting a channel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a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And a radio channel environment control unit 24 for changing a channe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nel change command output from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23. [

상기 채널 혼잡 감시부(23)는 변경 채널 선정시, 탐색 채널의 수신 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사용 여부와 탐색 채널의 전,후 채널도 사용 여부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변경 채널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2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earch chann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whether or not other access points are used and whether the pre- It is desirable to select a channel.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20)와 데이터 통신을 하며, 상기 운전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채널 변경 정보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버스에 탑재되는 승하차 단말기이거나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과 같은 무선기기를 의미한다.The client terminal 3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river terminal 20 and changes the channel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er terminal 20. The client terminal 30 is a boarding and landing terminal mounted on a bus or a wireless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notebook used by a passenger on a bu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hannel setting device in the radio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버스에 탑재된 운전자 단말기(20)는 특정 채널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관리 서버 등과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한다. 그리고 하위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와는 무선 또는 TCP/IP 통신 소켓으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First, the driver terminal 20 mounted on the bus wirelessly communicates data with a management server or the like located remotely via a specific channel. And communicates with the lower client terminal 30 through a wireless or TCP / IP communication socket.

여기서 운전자 단말기(20)는 최적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수신 감도(수신 강도)를 -60dBm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Here, the driver terminal 20 must maintain the reception sensitivity (reception strength) at -60 dBm or more in order to maintain optimum wireless data communication.

무선 채널로 통신이 이루어지면, 데이터 트래픽 감시부(22)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고, 그 감시 결과 채널 혼잡으로 판단이 되면 채널 변경 요청신호를 채널 혼잡 감시부(23)에 전달한다.When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over the wireless channel, the data traffic monitoring unit 22 monitors the data traffic,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nitoring result is channel congestion, the data traffic monitoring unit 22 transmits a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to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23.

여기서 채널 혼잡 판단은, 1초 단위로 1Mbyte의 데이터를 15초간 전송한 후, 리턴된 데이터의 총량과 평균전송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의 총량 15Mbyte, 평균 전송속도 1Mbps 대비 70%를 판단 기준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70%라 하면 데이터의 총량은 10.5Mbyte, 평균 전송 속도는 700Kbps가 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기준인 70% 미만이 3회 이상 반복할 경우, 채널 변경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채널 혼잡 감시부(23)에 전달한다.In this case, the channel congestion is determined by transmitting 1 Mbyte of data for 15 seconds in 1 second, measuring the total amount of data returned and the average transmission rate, and determining the total amount of measured data to be 15 Mbytes and 70% . Assuming 70% here, the total amount of data is 10.5 Mbytes and the average transmission speed is 700 Kbps. When the determination criterion is less than 70%, the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23 when the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repeats three times or more.

상기 채널 혼잡 감시부(23)는 채널 변경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15초 간격으로 무선 채널(특히, 와이파이 채널)을 탐색하고,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채널 탐색 후에는 각 채널의 신호 강도(RSSI)를 탐색 채널에 대응시켜 저장한다.When the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is generated,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23 searches for a wireless channel (in particular, a Wi-Fi channel) at intervals of 15 seconds and acquires channel information of a neighbor access point. After the channel search, the signal strength (RSSI) of each channel is stored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hannel.

이후, 변경할 채널에 대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채널 리스트는 우선 순위가 있으며, 이러한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이 선정한다.Thereafter, a channel list for the channel to be changed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channel list has priority, and the priority is selected as follows.

즉, 탐색 채널의 수신 강도가 상기 임계치(-60dBm) 이상이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상기 탐색 채널의 전·후 채널도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제1순위로 선정한다. 그리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은 사용되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2순위로 선정한다. 아울러 신호 강도가 좋아 선택한 채널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일 경우 제3순위로 선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고, 전·후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4순위로 선정한다. 또한,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이고 전·후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5순위로 선정하며, 탐색 채널 중 가장 낮은 수신 강도를 가지는 채널을 제6순위로 선정한다.That is, a channel whose reception intensity of the search chann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value (-60 dBm), other access points are not used, and the channels before and after the search channel are not used is selected as the first rank. Then, the other access points are not used, and the front and rear channels are used but the channel hav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is selected as the second rank. In addition, if the selected channel is a channel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it is selected as the third rank. If the received strength is less than -80 dBm and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fore and after channels is less than -80 dBm, do. In addition,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and a reception strength of any of the front and rear channels is -80 dBm or less is selected as the fifth rank, and a channel having the lowest reception strength among the search channels is selected as the sixth rank do.

이와 같은 과정으로 변경할 채널에 대한 채널 리스트를 설정하고, 설정한 채널 리스트의 최상위 순위(제1순위에 해당)에 해당하는 채널 정보와 채널 변경 명령을 무선 채널 환경 제어부(24)에 전달한다.In this process, the channel list for the channel to be changed is set, and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channel chang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p rank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k) of the set channel list are transmitted to the radio channel environment control unit 24.

상기 무선 채널 환경 제어부(24)는 전달되는 채널 변경 명령에 따라 무선 통신부(21)의 와이파이 통신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채널 정보를 기초로 무선 채널을 변경하게 된다. 채널을 변경한 후에는 변경된 채널로 통신을 재개하게 된다.The radio channel environment control unit 24 suspends the WiFi communication operation of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channel change command and changes the radio channe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fter changing the channel, communication is resumed to the changed channel.

그리고 무선 채널을 변경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초) 지연을 갖은 후, 채널 변경 명령과 채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 전송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서 상기 제1순위로 채널을 변경하여, 액세스 포인트인 운전자 단말기(20)와 채널을 일치시키게 된다.After changing the wireless channel, the mobile terminal 30 transmits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channel information to the client terminal 30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Then, the client terminal 30 changes the channel to the first rank, thereby matching the channel with the driver terminal 20, which is the access point.

여기서 운전자 단말기(20)에서 먼저 채널을 변경한 후, 일정 시간 지연을 갖고 클라이언트 단말기(30)의 채널을 변경하는 이유는, 운전자 단말기(20)가 채널을 변경한 후, 통신 재개 준비를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driver terminal 20 first changes the channel and then changes the channel of the client terminal 30 with a predetermined time delay is that after the driver terminal 20 changes the channel, .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channel in a radio peri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S represents a step.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특정 채널로 통신을 하는 도중에 트래픽을 감시하는 단계(S101 ~ S102); (b) 감시한 트래픽을 기초로 채널 혼잡을 판단하는 단계(S103); (c) 채널 혼잡으로 판단될 경우, 채널 혼잡을 회피하고 데이터 전송 실패가 없는 변경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S104); (d) 상기 설정한 변경 채널로 채널 변경을 실행하는 단계(S105); (e) 상기 채널 변경 후, 일정 시간 지연을 갖은 후 채널 변경 명령 및 변경할 채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해주는 단계(S106 ~ S10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a) monitoring a traffic during a communication on a specific channel (S101 to S102); (b) determining channel congestion based on the monitored traffic (S103); (c) a step (S104) of avoiding channel congestion and setting a change channel in which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failure when it is judged as channel congestion; (d) executing a channel change with the set change channel (S105); (e) transmitting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a changed channel information hav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to the client terminal after changing the channel (S106 to S107).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 방법은, 먼저 단계 S101에서 특정 채널로 통신을 하는 도중에 단계 S102에서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트래픽을 감시한다. 여기서 트래픽 감시는 소정 시간 단위(1초)로 소정 량의 데이터(1Mbyte)를 일정 횟수 전송한 후, 리턴되는 데이터 총량과 평균 전송 속도를 측정하여 트래픽을 감시한다.In the method for setting a channel for a radio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raffic is periodically or real-time monitored in step S102 during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channel in step S101. Here, the traffic monitoring monitors a traffic by measuring a total amount of data to be returned and an average transmission rate afte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data (1 Mbyt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1 second).

그리고 단계 S103에서는 상기 트래픽 감시 결과를 기초로 채널 혼잡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채널 혼잡 여부는 측정된 데이터의 총량 15Mbyte, 평균 전송속도 1Mbps 대비 70%를 판단 기준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70%라 하면 데이터의 총량은 10.5Mbyte, 평균 전송 속도는 700Kbps가 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기준인 70% 미만이 3회 이상 반복할 경우, 채널 혼잡으로 판단한다.In step S103, a channel conges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traffic monitoring result. Here, the determination of channel congestion is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measured data of 15 Mbytes and the average transmission rate of 1 Mbps as 70%. Assuming 70% here, the total amount of data is 10.5 Mbytes and the average transmission speed is 700 Kbps. If the criterion is less than 70% and repeats more than 3 times, it is judged as channel congestion.

채널 혼잡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04에서는 채널 혼잡을 회피하고 데이터 전송 실패가 없는 변경 채널을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변경 채널은 수신 강도가 임계치 이상이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도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제1순위로 설정하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은 사용되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2순위로 설정한다. 아울러 선택 채널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일 경우 제3순위로 설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고, 전·후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4순위로 설정한다. 또한,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이고 전·후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5순위로 설정하고, 탐색 채널 중 가장 낮은 수신 강도를 가지는 채널을 제6순위로 설정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nel is congested, the channel is avoided and a change channel in which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failure is set in step S104. Here, the change channel sets a channel whose reception intensity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other access point does not use, and the pre / post channel is also not used as the first rank, the other access point does not use, However,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is set as the second rank. If the selected channel is a channel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it is set to the third rank, and the channel hav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and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fore and after channels of -80 dBm or less is set as the fourth rank. In addition,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and a reception strength of any one of the before and after channels is -80 dBm or less is set as the fifth rank, and a channel having the lowest reception strength among the search channels is set as the sixth rank .

상기와 같이 변경할 채널을 설정한 경우에는 단계 S105로 이동하여 상기 설정한 변경 채널 중 최상위순위에 해당하는 제1순위 채널로 채널 변경을 실행하게 된다.If the channel to be changed as described above is set, the process moves to step S105 and the channel change is performed to the first rank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rank among the set change channels.

상기 채널 변경 후에는 단계 S106에서와 같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초) 지연을 갖은 후, 단계 S107에서 채널 변경 명령 및 변경할 채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해주어, 클라이언트 단말기도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무선 채널과 채널을 일치하도록 한다.After the change of the channe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changed channel information to the client terminal in step S107 after hav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for example, 5 seconds) as in step S106, Ensure that the channel matches the channel.

이와 같이 트래픽 감시를 통해 항상 최적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 채널을 설정함으로써, 운전자 단말기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실패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손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by setting a wireless channel capable of always performing the optimum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traffic monitor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ta transmission failure of the driver terminal and the client terminal, thereby preventing data loss.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버스에 탑재된 운전자 단말기에 적용된다. 특히, 운전자 단말기와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채널 변경을 하는 기술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river terminal mounted on a bu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ly applied to a technique of changing a channel between a driver terminal and a client terminal.

10; 안테나
20; 운전자 단말기
22; 데이터 트래픽 감시부
23; 채널 혼잡 감시부
24; 무선 채널 환경 제어부
30; 클라이언트 단말기
10; antenna
20; Driver's terminal
22; The data traffic monitoring unit
23;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24; The wireless channel environment control unit
30; Client terminal

Claims (11)

데이터 트래픽 감지를 통해 채널 혼잡을 판단하고, 채널 혼잡시 변경 채널을 선정한 후 채널 변경을 통해 자동으로 채널 혼잡을 회피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운전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며,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채널 변경 정보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채널 혼잡시 채널 변경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 감시부; 상기 데이터 트래픽 감시부로부터 발생하는 채널 변경 요청신호에 따라 변경할 채널을 탐색 및 선정하고, 변경할 채널 정보 및 채널 변경 명령을 출력하는 채널 혼잡 감시부; 상기 채널 혼잡 감시부에서 출력되는 채널 변경 명령에 따라 상기 채널 정보를 기초로 채널을 변경하는 무선채널 환경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혼잡 감시부는 수신 강도가 임계치 이상이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도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제1순위로 선정하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은 사용되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2순위로 선정하고, 선택 채널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일 경우 제3순위로 선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고, 전·후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4순위로 선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이고 전·후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5순위로 선정하고, 탐색 채널 중 가장 낮은 수신 강도를 가지는 채널을 제6순위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A driver terminal for determining channel congestion through data traffic detection, automatically selecting a change channel for channel congestion and avoiding channel congestion through channel change;
And a client terminal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river terminal and changing a channel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er terminal,
Wherein the driver terminal monitors a data traffic and generates a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upon channel congestion; A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for searching for and selecting a channel to be changed according to a channel change request signal generated from the data traffic monitoring unit, and outputting changed channel information and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a radio channel environment controller for changing a channe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nel change command output from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selects a channel whose reception strength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which is not used by any other access point and which does not use the pre- and post-channels as a first rank, and is not used by other access points,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is selected as the second rank, a third rank is selected when the selected channel is a channel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a reception strength is -80 dBm or less, A channel having a strength of -80 dBm or less is selected as the fourth rank,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and a reception strength of any one of the before and after channels is -80 dBm or less is selected as the fifth rank, And a channel having a low reception strength is selected as the sixth order chann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다수의 하위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river terminal relays data of a plurality of sub-client termina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채널 변경 후 일정 시간 지연을 갖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채널 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river terminal transmits channel change information to the client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time delay after channel ch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소정 시간 단위로 소정 량의 데이터를 현재 점유 채널로 전송하고, 되돌아온 데이터량과 평균 전송속도를 기초로 채널 혼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er terminal transmits a predetermined amount of data on a current occupied channel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nnel is congested based on the amount of data returned and the average transmission rate.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혼잡 감시부는 변경 채널 선정시, 탐색 채널의 수신 강도와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사용 여부와 탐색 채널 전·후 채널의 사용 여부와 탐색 채널 전·후 채널의 수신 강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변경 채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nnel congestion monitoring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change channel based on a reception strength of a search channel, whether or not a channel of another access point is used, whether to use a channel before and after a search channel, And selecting a change channel by setting a priority ord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 환경 제어부는 채널 변경 후 일정 시간 지연을 갖고 채널 변경 명령과 채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adio channel environment control unit transmits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channel information to the client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time delay after the channel change.
(a) 특정 채널로 통신을 하는 도중에 트래픽을 감시하는 단계;
(b) 감시한 트래픽을 기초로 채널 혼잡을 판단하는 단계;
(c) 채널 혼잡으로 판단될 경우, 채널 혼잡을 회피하고 데이터 전송 실패가 없는 변경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설정한 변경 채널로 채널 변경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수신 강도가 임계치 이상이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도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제1순위로 설정하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으며, 전·후 채널은 사용되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2순위로 설정하고, 선택 채널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일 경우 제3순위로 설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고, 전·후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4순위로 설정하고,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이고 전·후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수신 강도가 -80dBm이하인 채널을 제5순위로 설정하고, 탐색 채널 중 가장 낮은 수신 강도를 가지는 채널을 제6순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방법.
(a) monitoring traffic during communication on a specific channel;
(b) determining channel congestion based on the monitored traffic;
(c) setting a change channel that avoids channel congestion and has no data transmission failure when it is determined to be channel congestion;
(d) executing a channel change with the set change channel,
The step (c) sets a channel whose reception intensity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which is not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and which does not use a pre- and post-channel, to a first rank, Is set to the second order when the selected channel is a channel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and is set to the third order when the selected channel is used by another access point and the receiving strength is set to be lower than -80 dBm,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is set as the fourth rank, a channel having a reception strength of -80 dBm or less and a reception strength of any one of the before and after channels is -80 dBm or less is set as the fifth rank, And setting the channel having the lowest reception intensity to the sixth order.
청구항 9에 있어서, (e) 상기 채널 변경 후, 일정 시간 지연을 갖은 후 채널 변경 명령 및 변경할 채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간의 채널 설정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e) transmitting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a changed channel information hav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to the client terminal after the channel change.
삭제delete
KR1020130141205A 2013-11-20 2013-11-20 Apparatus for channel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method thereof KR1015212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205A KR101521233B1 (en) 2013-11-20 2013-11-20 Apparatus for channel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205A KR101521233B1 (en) 2013-11-20 2013-11-20 Apparatus for channel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233B1 true KR101521233B1 (en) 2015-06-16

Family

ID=5351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205A KR101521233B1 (en) 2013-11-20 2013-11-20 Apparatus for channel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2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951A (en) * 2017-08-04 2019-02-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982A (en) * 2004-04-08 2005-10-12 차명근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and content service inside a public transportation
KR20060086943A (en) * 2003-09-25 2006-08-01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Mitigating access point data rate degrad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943A (en) * 2003-09-25 2006-08-01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Mitigating access point data rate degradation
KR20050098982A (en) * 2004-04-08 2005-10-12 차명근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and content service inside a public transport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ngsuk Park 외 1명. "Resource-Aware Routing Algorithms for Multi-hop Cellular Networks." IEEE, 200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951A (en) * 2017-08-04 2019-02-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KR101970767B1 (en) * 2017-08-04 2019-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251B2 (en) Accurate mobile traffic information acquisition with minimal transmission cost and optional V2V extension
EP2676479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CA2656432C (en) Method for radio bearer selection in radio transmission systems
KR101620205B1 (en) V2x 2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ttance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60096188A (en) Communic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method
US10446032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254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access point,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39311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network 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KR102432429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12714419A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00226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y server
KR1009196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data based sensor network
KR101521233B1 (en) Apparatus for channel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method thereof
JP2022094215A (en) Radio map providing device and radio map acquisition utilization device
KR101556663B1 (en) 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56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iding-together service
JP7125364B2 (en) Vehicles and in-vehicle equipment
KR101588195B1 (en) Apparatus for channel congestion avoidance of device driver and method thereof
WO2021020070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JP2007317117A (en) On-vehicle equipment for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JP660569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6228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ing v2x message
JP645689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4168077A1 (en) Content delivery control method
US20220338103A1 (en) Wireless terminal station device, management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