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219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219B1
KR101521219B1 KR1020080111152A KR20080111152A KR101521219B1 KR 101521219 B1 KR101521219 B1 KR 101521219B1 KR 1020080111152 A KR1020080111152 A KR 1020080111152A KR 20080111152 A KR20080111152 A KR 20080111152A KR 101521219 B1 KR101521219 B1 KR 10152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ensitivity
touch
displa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227A (ko
Inventor
조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219B1/ko
Priority to EP09013422.2A priority patent/EP2192750B1/en
Priority to US12/606,105 priority patent/US8502788B2/en
Priority to CN2009101744234A priority patent/CN101739171B/zh
Publication of KR2010005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5/223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플렉서블하며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감도를 제1 감도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휘어진 영역이 감지되면,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제2 감도로 설정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제1 감도로 재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에 대응하여 터치 감도 등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u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에 따라 터치 감도 등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 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도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말 그대로 유연한 형태로서 궁극적으로는 구부리거나 둘둘 말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휘어진 영역, 휘어진 방향, 휘어진 정도 등을 검출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결합한 방식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는 경우, 터치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과 같은 형태의 변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감도나 터치입력된 위치에 대해 보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과 같은 형태 변경에 따라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감도나 터치입력된 위치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플렉서블하며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디스 플레이부의 터치 감도를 제1 감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휘어진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제2 감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상기 제1 감도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플렉서블하고 터치입력이 가능하며, 제1 감도로 초기 감도가 설정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휘어진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제2 감도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상기 제1 감도로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과 같은 형태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감도나 터치입력된 위치를 적응적으로 보정하면서 터치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경과 무관하게 터치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 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압력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는 휴대 단말기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 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센싱부(140)에는 이외에도, 움직임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장력 센서, 전류 센서, 촉각 센서, 기울기 센서, RF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부(151)로 사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휘어진 영역, 휘어진 방향, 및 휘어진 정도 등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 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 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 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사용자 입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접거나 펼 수 있는 유연 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에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의 입력이나.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 등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미도시)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어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구부려진 경우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 유지형을 이용하거나, 구부려도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형태 복귀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125)과 플래쉬(12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형태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변화가 가능하다. 즉, 바디의 형태나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위치 등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변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크게 일체형과 접이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체형은 원형이나 타원형, 각형, 자유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접이형은 폴딩(folding) 형, 롤링(rolling) 형, 폴딩과 롤링이 결합된 복합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일체형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타원형이나 원형 휴대 단말기 중 전면 표시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타원기둥 형태의 바디(201)의 외주면을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3)가 감싸고 있는 형태이거나, 혹은 원기둥 형태의 바디(205)의 외주면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7)가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즉,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3, 207)의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을 이용하여 타원기둥이나 원기둥 형태의 바디(201, 205)의 외주면을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203, 207)의 360도 전체면을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부(203. 207)를 일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동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바디(201, 205)가 회전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203, 207)의 특정 부분에 표시되는 내용은 바디(201, 205)의 위치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타원형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3)의 특정 영역을 고정적으로 터치 키패드 입력창(211)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캐패드 입력창(211)의 특정 영역은 필기인식 입력창 영역(213)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201)상에 돔키패드(dom keypad)(217) 등을 설치하거나, 기타 터치센서나 촉각센서 등을 적용하여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타원형이나 원형 휴대 단말기 중 전면 표시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타원형이나 원형 휴대 단말기에는, 타원기둥이나 원기둥 형태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에도, 원통이나 반구의 외주면을 따라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23, 225, 227)가 설치된다.
도 9는 타원형이나 원형 휴대 단말기 중 일부 표시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타원기둥 형태의 바디(231)의 일부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33)가 적용되거나, 혹은 원기둥 형태의 바디(235)의 일부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37)가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유형의 휴대 단말기는, 바디(231, 235)의 굴곡을 따라 디스플레이부(233, 237)에도 자연스러운 굴곡을 형성한다.
또한, 바디(231, 235)의 굴곡이나 경사면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제어가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7)의 기울기가 급한곳(241, 243)은 커서가 빨리 움직이고, 완만한 곳(245)은 천천히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7)의 기울기가 급한 곳(241, 243)은 스크롤시 빠른 속도로 스크롤되고, 기울기가 완만한 곳(245)은 스크롤시 느린 속도로 스크롤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타원형 휴대 단말기 중 일부 표시형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3)상의 특정 영역을 고정적으로 터치 키패드 입력창(251)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캐패드 입력창(251)의 특정 부분은 필기인식 입력창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231)상에 돔키패드(257) 등을 배치하거나, 기타 터치센서나 촉각센서 등을 적용하여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타원형이나 원형 휴대 단말기 중 일부 표시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타원형이나 원형 중 일부 표시형 휴대 단말기에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형태외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에도, 원통이나 반구의 외주면의 일부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61, 263, 265)가 설치된다.
도 14는 각형 휴대 단말기 중에서 전면 표시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삼각, 사각, 다각 형태의 바디(271)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73)가 띠를 두르듯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즉, 디 스플레이부(273)가 모서리 부분의 에지(Edge)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외곽의 전면부를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 각기둥 모양의 바디(271)의 각각의 면에 서로 다른 동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일부면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73)의 면적을 일정 기준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동작 화면을 표시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부(273)의 전체면에 하나의 동작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바디(271)가 회전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273)상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내용은 바디(271)의 위치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각형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에서도, 디스플레이부(273)의 특정 영역을 고정적으로 터치 키패드 입력창(281)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터치 캐패드 입력창(281)의 특정 부분을 필기인식 입력창 영역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271)상에 돔키패드(287) 등을 설치하거나, 기타 터치센서 및 촉각센서 등을 적용하여 입력장치로 활용가능하다.
도 17은 각형 휴대 단말기 중 전면 표시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각형 휴대 단말기 중 전면 표시형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에도 각형의 외면을 따라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91, 292, 293, 294, 295, 296)가 설치된다.
도 18은 각형 휴대 단말기 중에서 일부 표시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각기둥 형태의 바디(301, 305)의 일부의 면에만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303, 307)가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도,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부(303, 307)의 특정 영역을 고정적으로 터치 키패드 입력창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캐패드 입력창의 특정 부분을 필기인식 입력창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305)에 돔캐패드(317) 등을 배치하거나, 기타 터치센서나 촉각센서 등을 적용하여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0은 각형 휴대 단말기 중 일부 표시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각형 휴대 단말기 중 일부 표시형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에도 각형의 일부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21, 322, 323, 324, 325, 326, 327)가 설치된다.
도 21은 자유형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331)와 제2 바디(333)를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335)로 연결한 형태이다.
디스플레이부(335)는 휘거나 구부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35)가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물(341, 343)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휴대 단말기의 형태를 바꿀 수 있으며, 바꾸어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335) 부위를 말아서 손목에 차는 시계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35)와 외곽의 구조물(341, 343)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35)를 휘거나 구부리는 등과 연동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335)와 구조물(341, 343)의 탄성을 이용하여 휘거나 구부린 경우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부(353)는 유연성이 있으므로, 원래의 평평한 상태로 돌아오려는 탄성을 가진 구조물(341, 343)을 사용하면, 디스플레이부(353)를 휘거나 구부리는 동작을 취해도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3)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화면이 파르르 떨리거나 촉각 효과 등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형태 복귀를 인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원형이나 타원형, 각형, 자유형 등과 같은 일체형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접이형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폴딩형 휴대 단말기 중 밖으로 접히는 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각 형태의 바디(361)의 각면을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363)가 감싸고 있으며, 바디(361)의 각면 중에서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65)는 바디(361)에서 분리되어 확장할 수 있는 형태이다. 즉, 전체 면을 감싸고 있는 디스플레이부(363) 중에서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65)를 접었다 폈다를 할 수 있는 형태로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65)를 펼쳐서 표시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65)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활용할 수 있으며,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65)를 펼칠 경우, 특정 기능이나 메뉴를 자동 실행하고,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65)를 닫을 경우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 컨대, 잠금 화면 상태인 경우,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65)를 펼치면 비밀번호 해제팝업을 자동으로 표시하고, 접으면 비밀번호 해제팝업 닫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보호 상태에서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65)를 펼치면 자동으로 화면 보호 해제되고, 다시 접으면 화면 보호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분리된 디스플레이부(353)와 나머지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별개로 이용하여, 듀얼 네비게이션 화면, 네비게이션 화면과 DMB 화면, 듀얼 E-book 화면, 사진편집 화면과 원본사진 표시 화면, 네비게이션 화면과 브라우저화면, 듀얼 웹페이지 화면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4는 폴딩형 휴대 단말기 중 안으로 접히는 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각 형태의 바디(371)의 한쪽면 안으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373)의 일부가 접히게 되는 형태이다. 즉, 디스플레이부(373)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바디(371)의 한면을 덮도록 하고, 접고 펴는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디스플레이부(373)가 바디(371)에 접힌 상태에서는 화면 표시가 불가능할 수 있으나,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는 경우, 접은 상태에서도 화면 표시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373)를 바디(371)에 완전히 덥지 않고 일부만 덥도록 하여 보조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73)를 접고 펴는 동작에 따라, 화면 모드 변화 또는 표시 내용 변화가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5는 폴딩형 휴대 단말기 중 내부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인 폴 더(Folder) 구조의 바디(401)에서, 내부에 플렉서블한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를 삽입한 형태이다. LCD 등을 이용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403)를 메인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고, 내부 힌지(409)에 일측이 고정된 플렉서블한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를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활용하여, 전체 디스플레이면을 확장할 수도 있고, 듀얼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다른 동작 제어와 연계가 가능하며, 기타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부(403)에 전체화면을 표시하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에 팝업화면, 옵션메뉴 화면, 옵션선택 화면, 팝업피드백 화면, 드랍박스 화면, 팝업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403)에 특정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에 추가정보나 부가정보와 같은 세부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403)에 전체 리스트나 아이콘을 표시하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에 선택된 리스트나 선택된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403)에 특정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에 서브 메뉴나 하위 메뉴 등과 같이 특정 리스트에서 실행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403)에 IDLE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에 핫키 아이콘, 특정 객체, 단축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403)에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에 Tab, 설정 아이콘, 인디케이터 아이콘, 소프트메뉴, 미 니맵, 지도 정보, 지리정보, 미리보기 화면, 진행상태 등과 같은 동작 화면과 관련된 사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부(403)에는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부(405, 407)에는 입력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405)와 제3 디스플레이부(407)도 사용환경에 따라 관련된 화면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폴딩형 중에서 병풍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433)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병풍형태로 접어 바디(431)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풍 형태의 디스플레이부(433)의 각 면에는 서로 다른 동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동작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33)를 접었을때 각각의 면에 다른 동작 화면을 표시하고, 펼쳤을때는 접힌 면 중에서 어느 한 동작 화면이 전체면으로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33)를 전체로 펴지않고, 접혀있는 상태에서 살짝 열어봄으로 각 면에 표시된 동작 화면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33)의 특정 면을 터치한 후, 펼쳤을때는 터치된 면에 표시된 동작 화면이 전체면으로 확장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8은 롤링형 휴대 단말기 중에서 밖으로 롤링되는 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내부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453)를 말거나 풀 수 있는 롤러(457)를 내장하고 있는 형태이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일부만 표시되다가, 디스플레이부(453) 를 잡아 당길 경우 디스플레이면을 확장할 수 있는 형태이다. 즉, 단말기 외부로 디스플레이부(453)가 보이며, 롤러(457)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453)을 말거나 풀 수 있는 형태이다. 디스플레이부(453)가 말거나 풀리는 순간 다른 동작 제어와 연계되어, 화면이 늘어지거나 작아지는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53)가 펼쳐진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 제어와 연계된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453)의 끝부분을 살짝 구부리는 동작 등으로 세부 또는 상세 정보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30은 롤링형 휴대 단말기 중에서 좌우로 롤링되는 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부(473)를 구비하지만, 디스플레이부(473)가 롤러(475)의 조작에 따라 좌우로 롤링이 가능한 형태이다. 즉, 디스플레이부(473)의 중앙에 롤러(475)를 위치시켜, 디스플레이부(473)를 좌/우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면을 확장 가능한 형태이다. 좌/우로 분리된 디스플레이부(473)에는 각각 다른 동작 화면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동작 화면이 펼쳐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473)이지만 롤러를 기준으로 좌/우 두개로 구분이 되며, 왼쪽으로 당길경우는 왼쪽면만 확장이 되고, 오른쪽으로 당길경우는 오른쪽만 확장이 될 수 있다. 특정 면이 모두 펼쳐지는 경우, 해당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좌우로 분리된 화면에서 하나는 메인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보조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 있어, 메인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을 표시하고, 보조 디스플레이에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등, 도 2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다 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31은 롤링형 휴대 단말기 중에서 두루마리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원기둥이나 각기둥 모양의 바디(501)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503)가 두루마기 형태로 말려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는, 평소에 말려 있는 상태에서는 보여지는 면을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다가, 두루마리를 풀듯이 디스플레이부(503)를 펼쳐서 디스플레이면을 확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3)의 전체 면적을 일정 구간으로 나눠, 펼친 상태에 따라 중요 정보 순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면적마다 다른 동작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03)의 전체 면적을 일정 구간으로 나눠, 펼친 상태에 따라 메인 객체와 서브 객체를 나눠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503)를 말아서 닫을 경우, 원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2는 폴딩형 휴대 단말기 중에서 양쪽 롤링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원기둥이나 각형 형태의 제1 및 제2 바디(511, 513)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515)를 연결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515)를 말거나 펼 수 있는 형태이다. 디스플레이부(515)는 동일한 비율로 제1 및 제2 바디(511, 513)에 말리게 할 수도 있고, 그 비율을 달리하여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소에는 디스플레이부(515)의 일부분에만 화면을 표시하다가, 디스플레이부(515)를 펼치는 경우, 이에 따라 대응하여 화면의 표 시도 확장할 수 있다. 제1 바디(511)에 더 많은 양의 디스플레이부(515)가 말려있는 경우, 좌측 영역은 메인 화면의 확장, 우측 영역은 서브 화면의 확장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다. 전체 면적을 일정 구간으로 나눠, 펼친 상태에 따라 중요 정보 순으로 표시 가능하거나, 해당 면적마다 다른 동작 화면들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15)의 좌우측 중 어느 쪽으로 펼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왼쪽으로 펼치면 일반전화모드, 오른쪽으로 펼치면 멀티미디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4는 복합형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유형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는, 폴딩(Folding) 형태와 롤링(Rolling) 형태가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단말기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533)가 바디(531)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외부에서 표시된 내용을 알 수 없는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폴딩 구조로 보완한 형태이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33)를 접히는 것과, 마는 것이 동시에 가능한 형태이다. 말려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말려 있을 수 있으며, 접히는 구조를 이용해서 일부분은 항상 노출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33)를 모두 펼칠 경우, 넓은 디스플레이면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폴링과 롤링의 모든 기능을 수용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41은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진 상태에 따라 터치 파라미 터(touch parameter)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전면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600)과 후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610)를 결합시켜, 터치입력이 가능하며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600)에서 터치된 중심 좌표(615)와 주위 좌표(620)의 압력 변화 등을 확인하여 터치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에서 어느 한 영역이 휘어지는 경우, 휘어진 영역은 원래의 터치 감도나 터치입력된 위치가 휘어지기전 상태와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보정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즉, 터치스크린(600)상에서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터치된 지점의 압력 등과 관계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터치 파라미터에 대해 보정이 필요하다.
예컨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접힐 경우, 상하 주변부는 가까와져서 터치 감도(touch sensitive)가 높아지고, 좌우 주변부는 변형이 적어 터치 감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가 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접힐 경우, 이에 대응하여 터치 파라미터를 보정해야 한다.
도 4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가 가운데가 볼록하게 된 경우, 주변부 좌표가 멀어지는 효과가 발행하여 터치 감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이 볼록하게 휘어진 영역은, 터치 감도가 높아지도록 터치 파라미터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가 가운데가 오목하게 될 경우 주변부 좌표 가 가까워지는 효과가 발행하여 주변부 좌표의 터치 감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이 오목하게 변형된 영역은 터치 감도를 낮추어지도록 터치 파라미터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휘어짐에 따라 터치 감도를 조절해야 하며, 터치스크린에서 터치된 지점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터치되는 점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초기값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700). 터치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터치된 지점의 압력 등과 관계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터치를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휘어짐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705).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휘어졌는지 여부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휘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휘어짐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휘어진 방향 및 휘어진 정도 등에 따라 휘어진 영역의 터치 파라미터를 조절한다(S71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상태에 따라 터치 감도를 높이거나 낮추고, 터치입력된 위치를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에 따라 보정하 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감도를 높인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 등에 대응하는 신호의 발생주기나 짧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도가 높아지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가볍게 디스플레이부(151) 표면을 긋는 동작과 같은 터치 플릭(touch flick) 입력 등을 인식할 수 있지만, 제어부(180)에서 단위시간당 처리해야 할 작업량은 증가하게 된다.
조절된 터치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진 영역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때 까지 유지되며, 휘어진 영역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 휘어진 영역의 터치 파라미터는 초기 설정값으로 재설정된다(S715, S720).
만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S725), 제어부(180)는 터치된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730). 이때,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가 휘어지는 경우에도 휘어지기 전 상태와 동일하게 터치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 내지 도 8은 타원형이나 원형 휴대 단말기 중 전면 표시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9 내지 도 13은 타원형이나 원형 휴대 단말기 중 일부 표시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7은 각형 휴대 단말기 중 전면 표시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18 내지 도 20은 각형 휴대 단말기 중 일부 표시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21은 자유형 휴대 단말기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22 내지 도 27은 폴딩형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28 내지 도 33은 롤링형 휴대 단말기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34 및 도 35는 복합형 휴대 단말기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36 내지 도 41은 터치 파라미터의 보정 과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그 리고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2)

  1. 플렉서블하며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감도를 제1 감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휘어진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제2 감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상기 제1 감도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도는 상기 휘어진 영역이 휘어진 방향 및 휘어진 정도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동작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메뉴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동작 메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터치입력이 검출된 경우,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이 상기 휘어진 영역에서 검출되는 경우,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입력된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에 따른 동작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칭입력에 대응하는 촉각 효과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7. 플렉서블하고 터치입력이 가능하며, 제1 감도로 초기 감도가 설정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휘어진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제2 감도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한 터치 감도를 상기 제1 감도로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어진 영역이 휘어진 방향 및 휘어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동작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메뉴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동작 메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터치입력이 검출된 경우,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상기 휘어진 영역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입력된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에 따른 동작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상기 햅틱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111152A 2008-11-10 2008-1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52A KR101521219B1 (ko) 2008-11-10 2008-1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09013422.2A EP2192750B1 (en) 2008-11-10 2009-10-23 Mobile terminal u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12/606,105 US8502788B2 (en) 2008-11-10 2009-10-26 Mobile terminal u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CN2009101744234A CN101739171B (zh) 2008-11-10 2009-11-09 使用柔性显示器的移动终端和控制该移动终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52A KR101521219B1 (ko) 2008-11-10 2008-1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227A KR20100052227A (ko) 2010-05-19
KR101521219B1 true KR101521219B1 (ko) 2015-05-18

Family

ID=4209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152A KR101521219B1 (ko) 2008-11-10 2008-1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02788B2 (ko)
EP (1) EP2192750B1 (ko)
KR (1) KR101521219B1 (ko)
CN (1) CN10173917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929A (ko) * 2020-04-29 202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2050627A1 (ko) * 2020-09-01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2114646A1 (ko) * 2020-11-30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타입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19361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분리 구조를 갖는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및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의 터치 구동 방법
WO2022119320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019311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외부 객체의 접촉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5705A1 (en) * 2006-03-30 2010-02-25 Roel Vertega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CN101924816B (zh) * 2009-06-12 2013-03-20 清华大学 柔性手机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US8442600B1 (en) * 2009-12-02 2013-05-14 Google Inc. Mobile electronic device wrapped in electronic display
KR101097332B1 (ko) * 2010-02-10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햅틱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모듈
CN102804942B (zh) 2010-03-18 2015-12-16 诺基亚公司 用于便携电子设备的壳
US20110261002A1 (en) * 2010-04-27 2011-10-2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images on solid surfaces
WO2011140518A1 (en) * 2010-05-06 2011-11-10 West Wireless Health Institute Multipurpose, modular platform for mobile medical instrumentation
JP5551970B2 (ja) * 2010-05-27 2014-07-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TWM391664U (en) * 2010-05-28 2010-11-01 Qiao-Yu Tong Application device of E-paper software
KR101649156B1 (ko) * 2010-06-07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474146B2 (en) 2010-06-22 2013-07-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color change portion and method of changing color
US8769836B2 (en) 2010-06-22 2014-07-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color change portion and method of changing color
US9301569B2 (en) 2010-06-22 2016-04-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color change portion and method of changing color
WO2012009335A1 (en) * 2010-07-14 2012-01-19 Dynavox Systems Llc A wearable speech generation device
US20120068940A1 (en) * 2010-09-20 2012-03-22 Pixart Imaging Inc. Electronic device
US9678572B2 (en) * 2010-10-01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EP2437151B1 (en) 2010-10-01 202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KR101743632B1 (ko) 2010-10-01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책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
KR101664418B1 (ko) * 2010-11-25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DE102010054605A1 (de) * 2010-12-15 2012-06-21 Witold Gantzke Anzeigevorrichtung mit einem durch Bewegung steuerbaren Display
US8866735B2 (en) * 2010-12-16 2014-10-21 Motor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20169609A1 (en) * 2010-12-29 2012-07-05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navigation
EP3203713A1 (en) 2010-12-30 2017-08-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KR20120083804A (ko) *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팬택 팔찌 형태로 변형 가능한 휴대 단말기
US8587539B2 (en) * 2011-01-21 2013-11-19 Blackberry Limited Multi-bend display activation adaptation
US9335793B2 (en) 2011-01-31 2016-05-10 Apple Inc.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US9117384B2 (en) 2011-03-18 2015-08-2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bendable display
US9812074B2 (en) 2011-03-18 2017-11-07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US8934228B2 (en)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9178970B2 (en) 2011-03-21 2015-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nvex displays
US8816977B2 (en) 2011-03-21 2014-08-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CN102693682B (zh) * 2011-03-21 2014-02-12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显示器及具有显示器的电子装置
WO2012129247A2 (en) * 2011-03-21 2012-09-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9866660B2 (en) 2011-03-21 2018-01-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ncave displays
TWI438740B (zh) * 2011-04-13 2014-05-21 Wistron Corp 可撓式電子裝置
US10969833B2 (en) * 2011-04-19 2021-04-0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data navigation and manipulation interface
US9176535B2 (en)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US8804324B2 (en) 2011-06-03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WO2012169254A1 (ja) * 2011-06-07 2012-12-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9223343B2 (en) * 2011-06-23 2015-12-2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599158B2 (en) * 2011-06-29 2013-12-03 Nokia Corporation Multi-surface touch sensitive apparatus and method
KR101294569B1 (ko) 2011-06-29 2013-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591296B2 (en) * 2011-07-04 2017-03-07 Nec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that links three-dimensional protrusion intensity setting value and user interface spatial recognition sensitivity setting value
US9400576B2 (en) 2011-07-19 2016-07-26 Apple Inc. Touch sensor arrangement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US9110580B2 (en) *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811032B2 (en) 2011-08-05 2014-08-19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S9007350B2 (en) * 2011-08-10 2015-04-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dundant display assembly
US9176530B2 (en) 2011-08-17 2015-11-03 Apple Inc. Bi-stable spring with flexible display
KR101881865B1 (ko) * 2011-08-30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US8665236B2 (en) * 2011-09-26 2014-03-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US8723824B2 (en)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9495012B2 (en) * 2011-09-27 2016-11-15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activation
US10245776B2 (en) * 2011-09-30 2019-04-02 Apple Inc. Methods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s with bent display edges
US8929085B2 (en) *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US20130129310A1 (en) * 2011-11-22 2013-05-23 Pleiades Publishing Limited Inc. Electronic book
CN102522049B (zh) * 2011-11-22 2013-10-3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可挠显示装置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20130059233A (ko) * 2011-11-28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장치 및 방법
US9864403B2 (en) 2011-12-02 2018-01-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tructural glass members
KR102148717B1 (ko) *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87452B1 (ko) * 2011-12-15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69066A (ko)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H705918A2 (de) * 2011-12-19 2013-06-28 Ralf Trachte Feld-Analysen für flexible Computer-Eingabe.
KR20130071143A (ko) * 2011-12-20 2013-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30073621A (ko) 2011-12-23 2013-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8669956B2 (en) 2011-12-30 2014-03-11 Lg Electronics Inc. Bending threshold and releas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8610663B2 (en) 2012-02-06 2013-12-17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11423B2 (en) * 2012-02-08 2016-08-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US9672796B2 (en)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N103295510B (zh) * 2012-03-05 2016-08-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调整分辨率的方法及电子设备
CN105955402B (zh) * 2012-02-20 2019-04-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US9851811B2 (en) 2012-02-20 2017-12-2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294369B (zh) * 2012-03-05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2611790B (zh) * 2012-02-21 2014-08-20 华为终端有限公司 提示用户未读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921941B1 (ko) * 2012-02-22 201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오인식을 방지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US20150015573A1 (en) * 2012-02-23 2015-01-15 Robert Burtzlaff Visually adaptive surfaces
US9767605B2 (en) 2012-02-24 2017-09-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multi-dimensional representations of an image dependent upon the shape of a display
US9804734B2 (en) * 2012-02-24 2017-10-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content
CN105979034B (zh) * 2012-03-05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CN106445396B (zh) * 2012-03-12 2019-09-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触摸屏输入方法及电子设备
KR101357292B1 (ko) 2012-03-12 201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014791B1 (ko) 2012-03-27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확장된 길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최적화 방법
KR101692252B1 (ko) * 2012-04-08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AU2016238947B2 (en) * 2012-04-08 2018-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3225052A (ja) 2012-04-23 2013-10-31 Sony Corp 表示装置
KR101905789B1 (ko) 2012-05-10 2018-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40045365A (ko) * 2012-05-11 2024-04-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기기, 기억 매체, 프로그램, 및 표시 방법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375335B1 (ko) * 2012-05-15 201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9008B1 (ko) * 2012-06-11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429997B2 (en) 2012-06-12 2016-08-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ped display
KR102052370B1 (ko) * 2012-06-14 202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포터블 디바이스
KR101971200B1 (ko) * 2012-06-19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KR101978206B1 (ko) *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907231B2 (en) * 2012-07-18 2014-12-09 Nokia Corporation Display arrangement
EP2698686B1 (en) * 2012-07-27 2018-10-10 LG Electronics Inc. Wrist-wear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9348B1 (ko) * 2012-07-30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212172B1 (ko) * 2012-07-31 2012-12-13 한국기계연구원 표시 장치
KR102070244B1 (ko) * 2012-08-01 2020-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1900A (ko) * 2012-08-13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휴대 단말에서 터치스크린의 벤딩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KR102043810B1 (ko) 2012-08-20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2959B1 (ko) * 2012-08-22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48665B1 (ko) 2012-08-23 201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9848B1 (ko) * 2012-08-23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4409B1 (ko) * 2012-08-23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GB2505440B (en) * 2012-08-30 2018-05-30 Flexenable Ltd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KR102135616B1 (ko) * 2012-09-12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215080B1 (ko) 2012-09-17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36499A (ko)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8717B1 (ko) * 2012-09-18 201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45533B1 (ko) * 2012-10-04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46839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2915151B (zh) * 2012-10-17 2016-12-2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屏灵敏度的调节方法及便携式电子设备
CN103777853B (zh) * 2012-10-22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USD795854S1 (en) * 2012-11-09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20140132481A1 (en) * 2012-11-09 2014-05-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s with plural displays
USD736752S1 (en) * 2012-11-09 2015-08-18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KR102107134B1 (ko) * 2012-11-14 2020-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목록을 배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77316B1 (ko) * 2012-11-14 2020-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14106837A (ja) * 2012-11-29 2014-06-09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140152631A1 (en) * 2012-12-05 2014-06-05 Braeburn Systems Llc Climate control panel with non-planar display
US20140162729A1 (en) * 2012-12-10 2014-06-12 Bensussen Deutsch & Associates, Inc Mobile device accessory having a low power drain electronic display
US20140173471A1 (en) * 2012-12-19 2014-06-1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curved user interface
CN103885667A (zh) * 2012-12-20 2014-06-25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在屏幕特定区域呈现特定数据的方法
KR102047690B1 (ko) * 2013-01-24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97361B1 (ko) *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65442B1 (ko) * 2013-02-01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47692B1 (ko) 2013-02-05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WO2013076710A2 (en) * 2013-02-20 2013-05-30 Wasfi Alshdaifat Motorized flexible display tri-phone (moto-phone)
WO2014129565A1 (ja) * 2013-02-21 2014-08-28 京セラ株式会社 装置
JP1518029S (ko) * 2013-02-23 2015-02-23
JP6230241B2 (ja) * 2013-02-26 2017-11-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機器
USD736171S1 (en) * 2013-03-04 2015-08-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2105958B1 (ko) * 2013-03-04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익스펜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2중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08971A (ko) * 2013-03-04 2014-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91662B2 (en) * 2013-03-04 2018-02-13 Lg Electronics Inc. Double unlocking apparatus of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n expan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473021B (zh) 2013-03-15 2018-01-19 智能专利有限责任公司 可穿戴设备及相关系统
KR102131825B1 (ko) *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0776B1 (ko) 2013-03-21 202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0101B1 (ko) *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85503B2 (en) * 2013-04-05 2020-03-10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user interface device
GB2512840B (en) * 2013-04-08 2017-06-14 Seager Jacqui Wearable alert device for the deaf or hard of hearing
KR102095013B1 (ko) * 2013-04-11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KR102082779B1 (ko) * 2013-04-16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424790B2 (en) 2013-04-18 2016-08-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860656B1 (en) 2013-04-18 2014-10-14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139530B1 (ko) * 2013-04-18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71179A1 (ja) * 2013-04-19 2014-10-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KR20140126492A (ko) * 2013-04-23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덱스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3031A (ko) * 2013-04-26 2016-01-08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셀들의 어레이를 이용한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들 및 제스처들의 시뮬레이션
US9524030B2 (en) * 2013-04-26 2016-12-20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interactions with foldable-bendable displays
US9939900B2 (en) 2013-04-26 2018-04-10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KR102143746B1 (ko) 2013-05-14 2020-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40135404A (ko) * 2013-05-16 201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195332B2 (en) * 2013-05-23 2015-11-2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with deformable flexible user interface area and adjustable hover input region and associated methods
KR102145504B1 (ko) 2013-05-23 2020-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전자 장치의 주밍 및 토글링 제어 방법
KR101473312B1 (ko) * 2013-05-31 2014-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터치스크린패널과 그것을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1602B1 (ko) * 2013-06-10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D732499S1 (en) * 2013-06-14 2015-06-2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1308S1 (en) * 2013-06-14 2015-10-20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4990S1 (en) * 2013-06-14 2015-12-0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8082S1 (en) * 2013-06-14 2016-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7302S1 (en) * 2013-06-14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7301S1 (en) * 2013-06-14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2034584B1 (ko) 2013-06-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927840B2 (en) * 2013-06-21 2018-03-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 processor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on a bendable display unit
KR102086507B1 (ko) * 2013-07-02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01554B1 (ko) * 2013-07-11 201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384872B1 (ko) * 2013-07-18 2022-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DE112014007319B4 (de) * 2013-08-02 2023-09-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zeigevorrichtung
US10324580B2 (en) 2013-08-02 2019-06-18 Nokia Technologies Oy Causing display of a notification
KR102158843B1 (ko) 2013-08-0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TWI688850B (zh) 2013-08-13 2020-03-21 飛利斯有限公司 具有電子顯示器之物品
KR102110183B1 (ko) 2013-08-19 2020-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의 감도 보정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터치 입력 장치
US9377817B2 (en) * 2013-08-20 2016-06-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20150024139A (ko) 2013-08-26 2015-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031426A1 (en) 2013-08-27 2015-03-05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and detection of flex state
KR20150024572A (ko) * 2013-08-27 2015-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TWI655807B (zh) 2013-08-27 2019-04-01 飛利斯有限公司 具有可撓曲電子構件之可附接裝置
CN103488818B (zh) * 2013-09-02 2016-01-0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热变形大型双反射面天线的副反射面位置补偿方法
WO2015038684A1 (en) 2013-09-10 2015-03-19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article with signaling, split display and messaging features
CN103501383A (zh) * 2013-09-17 2014-01-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柔性屏幕的工作模式的切换方法及其移动终端
TWI671657B (zh) * 2013-09-18 2019-09-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顯示裝置的驅動方法、程式以及儲存介質
CN105830145B (zh) * 2013-10-10 2018-08-10 日本电气株式会社 显示装置、图像变形方法以及存储介质
GB2520050A (en) * 2013-11-08 2015-05-13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KR102297287B1 (ko) * 2013-11-15 2021-09-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데이터 처리 장치
US9430180B2 (en)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DE102014114048A1 (de) * 2013-11-19 2015-05-21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ktronisches Gerät und Halterungselement
CN104850176B (zh) * 2014-02-19 2018-07-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连接部件和电子设备组件
DE102014116954B4 (de) 2013-11-21 2018-04-26 Sabine Braunschweig Elektronischer Notizblock
KR102073379B1 (ko) * 2013-11-26 2020-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TWI676119B (zh) * 2013-11-28 2019-11-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以及其驅動方法
TWI696103B (zh) 2013-11-29 2020-06-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裝置及資料處理裝置的驅動方法
JP2015129917A (ja) 2013-12-02 2015-07-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装置
US9367086B2 (en) * 2013-12-10 2016-06-14 Atmel Corporation Smart watch with adaptive touch screen
KR102102314B1 (ko) * 2013-12-16 2020-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 및 그를 이용한 휘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조방법
WO2015100224A1 (en)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isplay with user interface based on sensed movements
KR20160103083A (ko) 2013-12-24 2016-08-31 폴리에라 코퍼레이션 탈부착형 2차원 플렉서블 전자 기기용 지지 구조물
WO2015100404A1 (en)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s for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KR20160103073A (ko) 2013-12-24 2016-08-31 폴리에라 코퍼레이션 가요성 전자 부품용 지지대 구조물
KR102176575B1 (ko) 2013-12-30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81110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터치 압력 감지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싱 장치
JP2015141526A (ja) * 2014-01-28 2015-08-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43876B2 (en) 2014-02-05 2016-09-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module
US20150227164A1 (en) * 2014-02-07 2015-08-13 Larry R. Laycock Display and sensing systems
KR102331956B1 (ko) 2014-02-10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50227245A1 (en) 2014-02-10 2015-08-13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EP3105666B1 (en) 2014-02-10 202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119843B1 (ko)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77785B1 (ko) 2014-02-10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20745A (ko) 2014-02-13 2016-10-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패널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2127930B1 (ko) * 2014-02-14 202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462300B (zh) * 2014-02-24 2018-07-17 谱瑞科技有限公司 用于触控界面的虚拟按钮
US10168732B2 (en) 2014-02-27 2019-01-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and sensing method thereof
KR102384830B1 (ko) * 2014-03-12 2022-04-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2224478B1 (ko) * 2014-04-15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75512B2 (en) * 2014-04-15 2017-02-21 Lg Electronics Inc.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32008B1 (ko) * 2014-04-30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6201A (ko) * 2014-05-02 2015-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리젝션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I679624B (zh) * 2014-05-02 2019-12-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JP2015228207A (ja) * 2014-05-02 2015-12-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及び記録媒体
US9958829B2 (en) 2014-05-07 2018-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nsory holograms
KR102262721B1 (ko) 2014-05-12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094587A (zh) * 2014-05-20 2015-11-25 联想移动通信软件(武汉)有限公司 一种终端以及终端的界面显示方法及装置
WO2015184045A2 (en) 2014-05-28 2015-12-03 Polyera Corporation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s on multiple surfaces
JP2016027464A (ja) * 2014-05-30 2016-02-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
KR102210632B1 (ko) 2014-06-09 2021-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딩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D767526S1 (en) * 2014-06-09 2016-09-27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MX357098B (es) 2014-06-16 2018-06-26 Braeburn Systems Llc Realce luminoso para programar un control.
KR102246554B1 (ko) 2014-06-18 2021-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2733B1 (ko) * 2014-06-24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D763849S1 (en) * 2014-07-08 2016-08-1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USD763848S1 (en) * 2014-07-08 2016-08-1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KR102365159B1 (ko) * 2014-07-15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브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543129B (zh) *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1659032B1 (ko)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13748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69989B1 (ko) * 2014-08-13 2021-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의 구동장치
TWI505232B (zh) * 2014-08-15 2015-10-21 Inventec Corp 配戴式撓曲顯示裝置
KR102243655B1 (ko) 2014-09-02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64220B1 (ko) * 2014-09-02 2021-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97729B1 (ko) * 2014-09-03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7852B1 (ko) * 2014-09-05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전자 노트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60034135A (ko) * 2014-09-19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4298351B (zh) * 2014-09-28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穿戴式电子设备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275618B2 (ja) * 2014-10-15 2018-02-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及び導電性フィルムの配線パターンの評価方法
WO2016059514A1 (en) 2014-10-17 2016-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MX2015014860A (es) 2014-10-22 2017-03-13 Braeburn Systems Llc Sistema de entrada del codigo de termostato y metodo para el mismo que utiliza el identificador del conjunto de servicios.
WO2016065542A1 (zh) * 2014-10-28 2016-05-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具有柔性屏幕的电子装置
US10430056B2 (en) 2014-10-30 2019-10-01 Braeburn Systems Llc Quick edit system for programming a thermostat
US10055323B2 (en) 2014-10-30 2018-08-21 Braeburn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uilding environmental data
CN104461127B (zh) * 2014-11-12 2017-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工作方法
EP3220242A4 (en) 2014-11-13 2018-07-04 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flexible display device
CN105677006B (zh) * 2014-11-20 2019-01-1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操作控制方法
CN105677007B (zh) * 2014-11-21 2019-03-1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操作控制方法
KR102186843B1 (ko) * 2014-11-24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535550B2 (en) 2014-11-25 2017-01-03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formation-based haptic effects
CN104407465B (zh) * 2014-12-12 2019-03-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面显示器件
CN104460088A (zh) * 2014-12-12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面显示器件
CN104378467A (zh) * 2014-12-15 2015-02-25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US10254863B2 (en) 2014-12-19 2019-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4516675B (zh) * 2014-12-25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可折叠屏幕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358749B1 (ko) * 2014-12-26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8472B1 (ko) * 2014-12-29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0851A (ko) 2014-12-29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864410B2 (en)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77260B1 (ko) 2014-12-29 202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235037B2 (en) * 2014-12-30 2019-03-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255481B2 (en) 2015-01-07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ith adjustments display
KR102137543B1 (ko) * 2015-01-07 202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941918B2 (en) * 2015-01-07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CN204406298U (zh) * 2015-02-02 2015-06-17 北京京东方茶谷电子有限公司 便携台式机
KR102309164B1 (ko) * 2015-02-03 202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04571534B (zh) 2015-02-10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震动提示方法及电子设备
CA2920281C (en) 2015-02-10 2021-08-03 Daniel S. Poplawski Thermostat configuration duplication system
JP6584084B2 (ja) * 2015-02-16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D771628S1 (en) * 2015-02-17 2016-11-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776112S1 (en) * 2015-02-17 2017-0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P3262487A1 (en) * 2015-02-25 2018-01-03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with a curved display
WO2016138356A1 (en) 2015-02-26 2016-09-01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having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KR102309091B1 (ko) 2015-03-02 2021-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오토모티브 표시 장치
US20160299531A1 (en) * 2015-03-17 2016-10-13 Roel Vertegaal Cylindrical Comput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10175806B2 (en) * 2015-03-20 2019-01-08 Intel Corporation Touchscreen for use with flexible display
US10263982B2 (en) * 2015-03-31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848083B (zh) 2015-04-07 2017-07-2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
KR102414855B1 (ko) * 2015-04-30 2022-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전자 장치
KR102320207B1 (ko) * 2015-05-06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WO2016186258A1 (ko) * 2015-05-15 2016-11-24 신진철 복수 화면을 가지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KR101695206B1 (ko) * 2015-05-15 2017-01-11 신진철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KR20160138748A (ko) * 2015-05-26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장치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133428B2 (en) * 2015-05-29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exible substrate having a bending part and a conductive pattern at least partially disposed on the bending part
US10983626B2 (en) 2015-06-05 2021-04-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 and touch sensor structures
KR102378570B1 (ko) * 2015-06-08 2022-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KR102319684B1 (ko) * 2015-06-22 202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325367B (zh) * 2015-06-25 2023-08-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设备
USD789925S1 (en) * 2015-06-26 2017-06-20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panels
USD783603S1 (en) * 2015-06-29 2017-04-11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N105100450B (zh) * 2015-06-30 2019-10-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智能终端控制网络速率的方法及装置
CN106325728B (zh) * 2015-06-30 2024-05-2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325373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102357378B1 (ko) 2015-07-07 2022-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790821B (zh) * 2015-07-13 2020-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分离滑动的柔性屏移动终端
US9936138B2 (en)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07213B2 (en) * 2015-07-31 2017-10-31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form factor and orientation modality control
USD835596S1 (en) * 2015-08-31 2018-12-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36076S1 (en) * 2015-08-31 2018-12-1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03178S1 (en) * 2015-08-31 2017-1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36077S1 (en) * 2015-08-31 2018-12-1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02554S1 (en) * 2015-08-31 2017-11-14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34549S1 (en) * 2015-08-31 2018-1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2425835B1 (ko) * 2015-09-02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US9720445B2 (en) * 2015-09-03 2017-08-0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display having multiple partitions
US10013060B2 (en) 2015-09-18 2018-07-03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aptic effects in response to deformation of a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714902B1 (ko) * 2015-10-01 2017-03-09 고영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KR102404370B1 (ko) * 2015-10-02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317947B2 (en) 2015-10-12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gesture thereof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061346B2 (en) * 2015-10-22 2018-08-28 Dell Products L.P. Folded continuous multielement touch display
CN105223703B (zh) * 2015-10-28 2018-06-29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具有触控与三次元影像显示功能的装置
KR102424860B1 (ko) 2015-11-04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88461B1 (ko) 2015-11-24 2023-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10748B1 (ko) * 2015-11-27 2022-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터치 스크린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장치의 구동 방법
US10078347B2 (en) 2015-11-30 2018-09-18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olded display assembly
CN106873814B (zh) * 2015-12-14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5487734B (zh) * 2015-12-15 2019-04-1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电容触控式柔性显示面板及其柔性显示器
WO2017104860A1 (ko) * 2015-12-16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KR20170073149A (ko) * 2015-12-18 201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스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427750A (zh) * 2015-12-19 2016-03-23 深圳爱易瑞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CN105611004B (zh) * 2015-12-19 2019-10-01 深圳爱易瑞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5450803B (zh) * 2015-12-19 2019-07-23 深圳爱易瑞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屏手机
EP3396492A4 (en) * 2015-12-25 2019-07-31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ISPLAY SCREEN SYSTEM
US10061424B2 (en) 2015-12-26 2018-08-28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dynamic display with a transformable display
KR20170077637A (ko) * 2015-12-28 201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
KR102459831B1 (ko) * 2015-12-28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516411B (zh) * 2015-12-29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的移动终端
US10545345B2 (en) 2015-12-30 2020-01-28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function of touch input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JP6689987B2 (ja) * 2015-12-31 2020-04-28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フレキシブル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KR102168648B1 (ko) * 2016-01-07 2020-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3276A (ko) * 2016-01-08 201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84586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2542963B1 (ko) * 2016-02-04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249863B (zh) * 2016-02-04 2019-02-12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CN106249862B (zh) * 2016-02-04 2019-02-1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JP6639254B2 (ja) * 2016-02-08 2020-02-05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端末
US10317867B2 (en) 2016-02-26 2019-06-11 Braeburn Systems Llc Thermostat update and copy methods and systems
CN105786108A (zh) * 2016-02-29 2016-07-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移动终端
US10498380B2 (en) * 2016-03-03 2019-12-03 Motorola Mobility Llc Determin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s of a mobile device
KR102498502B1 (ko) * 2016-04-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83675B2 (en) * 2016-06-10 2018-05-29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insulation integrity for electrostatic friction
US10317919B2 (en) 2016-06-15 2019-06-11 Braeburn Systems Llc Tamper resistant thermostat having hidden limit adjustment capabilities
KR102581141B1 (ko) * 2016-06-22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법
DE102016007995A1 (de) 2016-06-30 2018-01-04 Audi Ag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CN106210298A (zh) * 2016-07-01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与控制装置
MX2017011987A (es) 2016-09-19 2018-09-26 Braeburn Systems Llc Sistema de gestion de control que tiene calendario perpetuo con excepciones.
CN106231017B (zh) * 2016-09-20 2018-10-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
GB2557894B (en) * 2016-10-01 2019-12-11 Peratech Holdco Ltd Flexible sensor
JP7091601B2 (ja) * 2016-11-07 2022-06-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657459B (zh) * 2016-11-09 2023-03-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显示屏、移动终端及组合式终端设备
JP2018084908A (ja) * 2016-11-22 2018-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92054B1 (ko) * 2016-12-23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995961B (zh) * 2016-12-29 2020-10-2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80079904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US10664014B2 (en) * 2017-01-05 2020-05-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6611592B (zh) * 2017-02-21 2019-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柔性显示屏的显示方法、装置和系统
CN106959117B (zh) * 2017-03-20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指示方法及装置
KR20180118470A (ko) * 2017-04-21 2018-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인식 장치 및 음성 인식 방법
US10396272B2 (en) * 2017-05-04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distortion for alignment with a user gaze direction
CN107291294B (zh) * 2017-06-21 2021-01-29 滁州学院 一种触控屏灵敏度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421518B1 (ko) * 2017-06-27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D850537S1 (en) 2017-09-05 2019-06-04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machine
CN107613196A (zh) * 2017-09-05 2018-0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拍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
CN107807752B (zh) * 2017-10-27 2021-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柔性屏及其防误触控装置和方法
CN111433835B (zh) * 2017-12-13 2022-03-29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触摸显示装置及触摸补偿方法
KR102455559B1 (ko) * 2017-12-26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8255376A (zh) * 2018-01-29 2018-07-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文档编辑方法、柔性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60471B1 (ko) * 2018-03-27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445900B (zh) * 2018-05-04 2024-05-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538208B (zh) * 2018-05-31 2021-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机构及折叠显示装置
US10921008B1 (en) 2018-06-11 2021-02-16 Braeburn Systems Llc Indoor comfort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multi-party access
USD897302S1 (en) * 2018-09-06 2020-09-29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N109547591B (zh) * 2018-10-16 2023-08-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折叠终端、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JP2020087207A (ja) * 2018-11-29 2020-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
CN109961694B (zh) * 2019-02-28 2023-02-28 重庆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20200107019A (ko) * 2019-03-05 2020-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2596817B1 (ko) 2019-04-11 202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US10802513B1 (en) 2019-05-09 2020-10-13 Braeburn Systems Llc Comfort control system with hierarchical switching mechanisms
CN110489045B (zh) * 2019-07-18 2021-06-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显示方法及终端设备
USD1023156S1 (en) 2019-08-29 2024-04-16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machine with stepper reel and display screen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40019901A1 (en) * 2019-09-03 2024-01-18 Michael J Ure Spring-loaded, unfolding-display mobile electronic device
CN112698684B (zh) * 2019-10-22 2024-05-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显示装置、屏幕显示控制方法、屏幕显示控制装置及存储介质
USD973679S1 (en) * 2019-10-28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1100932A1 (ko) * 2019-11-22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65579A (ko) 2019-11-27 2021-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00695A (ko) * 2019-12-03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14807B2 (en) * 2019-12-30 2024-02-27 Shanghai Harvest Intelligence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biometric recognition
US11079879B1 (en) 2020-01-22 2021-08-0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touch display device
CN111290661B (zh) * 2020-01-22 2021-04-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触控显示装置
KR102331960B1 (ko) * 2020-02-13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2115361B1 (ko) * 2020-02-13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JP7472262B2 (ja) 2020-03-04 2024-04-22 株式会社ワコム 入出力モデルを設定可能なペン状態検出回路
CN111475047B (zh) * 2020-04-07 2021-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基板、触控显示装置及显示控制方法
KR102203888B1 (ko) * 2020-04-20 2021-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513604B2 (en) 2020-06-17 2022-11-29 Motorola Mobility Llc Selectable response options displayed based-on device grip position
US11543860B2 (en) 2020-07-30 2023-01-03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grip suppression tuning
US11595511B2 (en) 2020-07-30 2023-02-28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grip suppression within curved display edges
US11287972B1 (en) * 2020-09-18 2022-03-29 Motorola Mobility Llc Selectable element selection within a curved display edge
US11508276B2 (en) 2020-09-18 2022-11-22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user interface display size for curved display edges
USD973711S1 (en) * 2020-09-22 2022-12-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73710S1 (en) * 2020-09-22 2022-12-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254597B1 (ko) * 2020-10-15 2021-05-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운영 방법
CN114442829A (zh) * 2020-10-30 2022-05-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EP4209861A4 (en) * 2020-11-12 2024-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ROLL-UP DISPLAY
CN115311939A (zh) * 2021-05-08 2022-11-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组件以及显示屏组件生产工艺
CN113209615A (zh) * 2021-05-28 2021-08-06 宝宝巴士股份有限公司 一种游戏适配折叠屏的方法
US11790820B2 (en) * 2021-06-14 202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rolled into circle
US11940841B2 (en) * 2021-06-18 2024-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culated display of flexible display device dividable into separate units
US11925260B1 (en) 2021-10-19 2024-03-12 Braeburn Systems Llc Thermostat housing assembly and methods
WO2023075150A1 (ko) * 2021-10-28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26734B2 (en) 2022-01-13 2023-08-15 Motorola Mobility Llc Configuring an external presentation device based on an impairment of a user
US20240008585A1 (en) 2022-07-08 2024-01-1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display system
WO2024014669A1 (ko) * 2022-07-15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를 이용하여 햅틱 액추에이터와 관련된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032642A1 (en) 2022-08-01 2024-02-0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display system
US20240041155A1 (en) 2022-08-02 2024-02-08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display system
WO2024089606A1 (en) 2022-10-24 2024-05-02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display system powered by mo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956A (ko) * 2006-05-12 2007-11-15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방현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9424B1 (en) * 1999-08-10 2002-10-01 Hewlett-Packard Company Touch-sensitive input screen having regional sensitivity and resolution properties
US6577496B1 (en) * 2001-01-18 2003-06-10 Palm, Inc. Non-rigid mounting of a foldable display
KR100769783B1 (ko) * 2002-03-29 2007-10-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입력 장치 및 표시 입력 시스템
US20060227114A1 (en) * 2005-03-30 2006-10-12 Geaghan Bernard O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with error correction for sensor movement
US8018440B2 (en) *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CN101063917A (zh) * 2006-04-28 2007-10-31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可携式装置的触控屏幕灵敏度的调整方法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9423995B2 (en) * 2007-05-23 2016-08-2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an active area of a flexible display
US9823833B2 (en) *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KR101405928B1 (ko) * 2007-06-07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키 신호 발생 방법 및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956A (ko) * 2006-05-12 2007-11-15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방현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929A (ko) * 2020-04-29 202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37296B1 (ko) 2020-04-29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2050627A1 (ko) * 2020-09-01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2114646A1 (ko) * 2020-11-30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타입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19361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분리 구조를 갖는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및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의 터치 구동 방법
WO2022119320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019311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외부 객체의 접촉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2750A3 (en) 2016-03-02
US20100117975A1 (en) 2010-05-13
EP2192750B1 (en) 2017-09-06
CN101739171B (zh) 2012-07-04
CN101739171A (zh) 2010-06-16
US8502788B2 (en) 2013-08-06
KR20100052227A (ko) 2010-05-19
EP2192750A2 (en)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21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915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25160B1 (ko)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2882B1 (ko)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54677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7295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539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812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70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5651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618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977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2011003556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4452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 방법
KR20100027502A (ko) 플렉서블 디스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86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KR201100456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60428A (ko)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손떨림 보정 방법
KR10176937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811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1903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13622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46886A (ko) 휴대용 단말기
KR10168971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