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804B1 -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 Google Patents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804B1
KR101515804B1 KR1020130146776A KR20130146776A KR101515804B1 KR 101515804 B1 KR101515804 B1 KR 101515804B1 KR 1020130146776 A KR1020130146776 A KR 1020130146776A KR 20130146776 A KR20130146776 A KR 20130146776A KR 101515804 B1 KR101515804 B1 KR 10151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nfrared
light source
filter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아이엔에이치
Priority to KR102013014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8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8View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A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ra-red light source of emitting an infra-red ray to a bill; an ultraviolet ray light source of emitting an ultraviolet ray to the bill; a camera which obtains a bill image to which the infra-red ray and the ultraviolet ray are emitted; and a display which displays the bill image. By this, an ordinary person having no expertise can treat the discriminator. Thereby, he can discriminate counterfeit bill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hile he carries it if he possesses knowledge of bill.

Description

휴대용 위폐감별장치{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0001]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0002]

본 발명은 위폐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행객 등을 포함한 일반인들도 위폐 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고, 소형으로 구현되어 휴대가 간편한 위폐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which can easily detect whether a counterfeit person including a traveler is counterfeit and is compact and portable.

최근 화폐 단위가 높아지면서 위폐로 인한 피해가 더욱 증대하고 있으며, 인쇄기술의 발달로 지폐를 위조하는 방법이나 그 수준이 점차 지능화되고 있어 지폐 위조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Recently, as the currency unit has increased, the damage caused by counterfeiting has been increasing more and more. Due to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counterfeiting of paper money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because the method of counterfeiting paper money has become more and more intelligent.

위와 같은 지폐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국가에서는 지폐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처리를 하고 있다. 예컨대, 형광색사, 형광잉크를 비롯한 형광물질의 도포를 비롯하여, 홀로그램, 요철인쇄 등의 기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기법의 발달과 더불어 위 처리들이 지폐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위폐를 감별하기 위한 위폐감별장치도 함께 발달되어 왔다. 종래의 위폐감별장치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5-0107001호에 개시된 위폐감별장치를 들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forgery of the above-mentioned bills, various countries handle various processe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banknotes. For example, techniques such as application of fluorescent materials such as fluorescent color yarns and fluorescent inks, holograms, concavo-convex printing, and the like have been applied in a complex manner.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bove technique,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for discriminating counterfeit by checking whether the treatments exist in the banknote has been developed.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is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107001.

위폐의 80%이상이 컬러프린터, 스캐너 등 간단한 장비를 활용하여 제조되고 있고, 복잡한 기기를 활용하여 정교하게 제조되는 위폐, 일명 수퍼 노트(super note)는 10%에 불과한 실정이므로, 일반인들도 조금만 주의를 기울인다면 간단한 장비를 활용하여 대부분의 위폐를 어렵지 않게 분별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일반 상점에서도 위폐감별을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곳이 많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은행과 같이 화폐를 직접 다루는 금융기관에만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소상공인, 일반인들은 위폐의 위험성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점 등에서 일상적으로 유통되는 화폐의 위폐 여부는 취득한 즉시 감별될 수 있어야 위폐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국내 화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해외 여행객들은 피해 사례가 더욱 증대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금융기관 외의 일반인들이 취급할 수 있는 위폐감별장치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More than 80% of counterfeiters are manufactured using simple devices such as color printers and scanners, and counterfeiters, which are manufactured using sophisticated equipment, are a mere 10% of super notes. If you are careful, you can easily identify most counterfeits by using simple equipment. There are many places where counterfeit discrimination is provided in general shops in foreign countries. However, in Korea, it is common that banks are provided only in financial institutions that handle money directly. Therefore, small businesses and ordinary people are exposed to the risk of counterfeiting.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 counterfeit money which is routinely circulated in shops and so on can be discriminated immediately upon acquisition, effectively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counterfeiting, and considering that the foreigner who lacks knowledge about domestic currency can increase the damage cas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s that can be handled by ordinary people other than financial institutions.

그러나, 전술된 한국공개특허 제2005-0107001호의 위폐감별장치를 비롯하여 금융기관에 마련된 위폐감별장치는 전문적으로 위조된 위폐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신뢰도가 높지만, 장비가 고가이고 감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점에서나 일반인들이 이용하기 어렵고, 지폐의 투입/배출구, 이송 통로 등을 포함하는 대형장비로서 상점에 설치하거나 일반인들이 휴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provided in a financial institution including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5-0107001 described above is highly reliable enough to discriminate professionally forged counterfeit, but it takes a lot of ti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se in shops or the general public, and it is a large equipment including a bill input / discharge port, a transfer passage, etc., and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shop or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carry.

따라서, 금융기관에서만 제한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위폐감별장치 외에 상점에서나 일반인들도 간이하게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위폐 감별 능력이 우수한 위폐감별장치의 고안이 요구된다.
Therefore, besides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which can be used only by the financial i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discrimination ability of counterfeit and at the same time that it can be easily used in shops or the general public.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점에서나 일반인들도 간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위폐 감별 능력이 우수한 위폐감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which can be easily used at shops or the general public,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지폐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광원;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 상기 적외선 광원 또는 상기 자외선 광원이 조사된 지폐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지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감별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rare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on a bill; An ultraviole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banknote with ultraviolet light; A camera for acquiring the infrared light source or the paper currency image irradiated with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banknote images.

또한, 지폐로부터 반사되는 광 중에서 적외선 성분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 지폐로부터 반사되는 광 중에서 상기 자외선 광원을 통해 조사된 자외선으로 인하여 반사되는 미리 결정된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을 통과시키는 가시광선 통과 필터; 및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와 상기 가시광선 통과 필터 중 지폐에 조사된 광원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의 렌즈 전단에서 필터링을 수행할 필터를 택일하는 필터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외선 패턴과 자외선 패턴 인식을 통한 위폐 감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n infrared ray pass filter for passing an infrared ray component amo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ill; A visible ray pass filter for passing a visible light ray region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reflected by the ultraviolet ray irradiated through the ultraviolet ray light source amo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ill; And a filter switch unit for selecting a filter for performing filtering in front of the lens of the camera in correspondence with the light source irradiated on the paper money among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and the visible light ray passing fil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unterfeit discriminating function through pattern recognition.

한편,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와 상기 가시광선 통과 필터는 횡 또는 종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필터 스위치부의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전단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and the visible ray passing filter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or horizontally, and the position of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is selectively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mera lens by the control of the filter switch section to perform filtering.

그리고, 사용자의 지폐 스캐닝 움직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폐의 자성패턴을 판독하는 자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자기센서를 통해 판독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는 지폐에서 판독되는 자성패턴을 기초로 도출되는 그래프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성패턴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magnetic sensor further includes a magnetic sensor for collecting data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corresponding to a user's paper currency scanning motion and reading the magnetic pattern of the paper money. The display can display a result read through the magnetic sensor, In particular,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in a graph form derived from a magnetic pattern read from the bil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magnetic pattern.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모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모드와 상기 자기센서를 이용하는 자기센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de switching unit selectively activating one of an infrared mode for irradiating the infrared ray in accordance with a user's selection, an ultraviolet ray mode for irradiating the ultraviolet ray, and a magnetic sensor mode using the magnetic sensor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장치를 취급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간단한 화폐 지식만 숙지하고 있으면 장비를 휴대하면서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위폐를 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eneral public who does not have expert knowledge can handle the apparatu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ounterfeit without any time, plac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의 개략적인 외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의 블록도; 및
도 4는 필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움직임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ovement in which a filter exchange is performed.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의 개략적인 외부 구성도, 도 2는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는 적외선 광원(10), 자외선 광원(20), 카메라(30), 디스플레이(40), 적외선 통과 필터(50), 가시광선 통과 필터(60), 필터 스위치부(70), 자기센서(80) 및 모드 전환부(90)를 포함한다.1 to 3, a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rared light source 10, an ultraviolet light source 20, a camera 30, a display 40, an infrared ray pass filter 50, Pass filter 60, a filter switch portion 70, a magnetic sensor 80, and a mode switching portion 90. The light-

적외선 광원(10)은 위폐 판단 대상이 되는 지폐(M) 표면에 적외선을 조사한다. 적외선 광원의 개수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지폐(M)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표면에 적용된 적외선 패턴이 충분히 반응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와 위치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The infrared light source 10 irradiates infrared rays on the surface of the banknote M to be subjected to counterfeit judgment.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infrared light sourc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appropriate number and position so that the infrared pattern applied to the surface can sufficiently reac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anknote M and the like.

자외선 광원(20)은 지폐(M)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지폐(M) 표면에 적용된 자외선 패턴의 반응 유무를 통하여 위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 또한 적외선 광원(10)과 유사하게 광원의 개수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자외선에 대한 패턴의 반응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와 위치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The ultraviolet light source 20 irradiates the surface of the banknote M with ultraviolet rays.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counterfeit money is paid through the reaction of the ultraviolet ray patter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nknote M. Similarly to the infrared light source 10,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light sourc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number and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ponse of the pattern to ultraviolet light.

카메라(30)는 적외선 광원(10)과 자외선 광원(20)이 조사된 지폐(M)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가 획득된 영상을 통해 위폐 여부를 가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카메라(30)의 위치는 광원(10,20)이 조사된 곳을 획득할 수 있도록 광원(10,20)과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참고로, 도 1과 도 2에서는 카메라(30) 양쪽에 광원(10,20)이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한편, 카메라(30)는 CCD 카메라, CMOS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가 활용될 수 있다.The camera 30 acquires the image of the paper money M irradiated with the infrared light source 10 and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20 so that the user can check whether or not the image is counterfeit through the acquired image.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camera 30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light sources 10 and 20 so as to acquire a place where the light sources 10 and 20 are irradiated. For reference, in FIGS. 1 and 2, the light sources 10 and 2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mera 30. The camera 30 may be a variety of cameras such as a CCD camera and a CMOS camera.

디스플레이(40)는 카메라(30)를 통해 획득된 지폐(M) 영상을 비롯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로서,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된 화면은 사용자가 지폐(M)의 위폐 여부를 판별하는 기초가 된다. 디스플레이(40)는 표시기능뿐 아니라 입력기능을 갖춘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40 is a panel for displaying various screens to the user including the images of the banknotes M obtained through the camera 30.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40 allows the user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banknotes M are counterfeit . The display 4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with an input function as well as a display function.

한편, 광원(10,20)에 의한 광 조사에 의하여 지폐(M)에서 반사되는 적외선과 가시광선은 광학적 파장이 서로 다르므로 원칙적으로 하나의 카메라(30)를 이용하여 볼 수 없다. 그러나, 하나의 장치에 두 개의 카메라(30)를 채용하는 것은 경제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는 카메라 수를 늘리지 않으면서 적외선과 자외선을 통한 위폐 감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조사하는 광원(10,20)에 의하여 결정되는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필터(50,60)를 적용하였다. 이하,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필터(50,6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infrared rays and visible rays reflected by the banknote M by light irradiation by the light sources 10 and 20 have different optical wavelengths, they can not be viewed using one camera 30 in principle. However, since it is economically inefficient to employ two cameras 30 in one apparatus,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both discrimination of counterfeit through infrared rays and ultraviolet rays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cameras A plurality of filters 50, 60 selectivel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mode determined by the illuminating light source 10, 20 is applied. Hereinafter, the filters 50 and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적외선 통과 필터(50)는 도 2와 같이 카메라(30) 렌즈 전단에 위치하여 지폐(M)로부터 반사되는 광 중에서 적외선 성분을 통과시킨다. 적외선 광원(10)에 의하여 조사된 적외선은 적외선 패턴이 적용된 지폐(M) 표면에서 반사된다. 이와 같이 반사되는 적외선 광은 적외선 통과 필터(50)를 거쳐 카메라(30)를 통해 입사되고, 적외선 이외의 광은 차단된다. 디스플레이(40)는 카메라(30)를 통해 획득된 지폐(M)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검사대상 지폐(M)가 위폐에 해당하면, 적정 위치에 적외선 패턴에 의한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40)에 지폐(M)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대상 지폐(M)가 위폐에 해당하지 않으면 반사된 광이 적외선 통과 필터(50)를 통과하여 카메라(30)에 결상되고, 디스플레이(40)에는 적외선에 의한 지폐(M) 영상이 표시될 것이다. 2,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50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lens of the camera 30 and allows infrared rays to pass through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anknote M. Infrared rays irradiated by the infrared light source 10 are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banknote M to which the infrared pattern is applied. The reflected infrared light is incident through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50 through the camera 30, and light other than infrared rays is blocked. The display 40 displays the image of the banknote M obtained through the camera 30. [ At this time, if the banknote M to be inspected corresponds to a counterfeit, the banknote M image will no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40 because reflection by the infrared pattern is not performed at the proper position. However, if the target bill M does not correspond to a counterfeit, the reflected light passes through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50 and forms an image on the camera 30. On the display 40, a bill image M by infrared rays is displayed will be.

가시광선 통과 필터(60)는 카메라(30) 렌즈 전단에서 지폐(M)로부터 반사되는 광 중에서 자외선 광원(20)의 자외선으로 인하여 반사되는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을 통과시킨다. 지폐(M)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지폐(M) 표면에 적용된 자외선 패턴은 자외선에 반응하여 재료에 따라 미리 결정된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을 반사한다. 가시광선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지만, 지폐(M)에서 반사되는 가시광선의 조도가 외부 환경의 빛보다 낮은 이유 등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The visible light transmission filter 60 passes a visible light region of a wavelength reflected by the ultraviolet light of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20 among lights reflected from the banknote M at the front end of the camera 30. [ When the banknote M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the ultraviolet light patter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nknote M reflects visible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ccording to the material in response to the ultraviolet light. Although visible light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visible light because the illuminance of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banknote M is lower than that of the external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는 가시광선 통과 필터(60)를 채용함으로써 자외선으로 인하여 반사되는 가시광선 영역을 강조하여 사용자가 위폐 여부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하여, 가시광선 통과 필터(60)는 지폐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만을 카메라(30)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도록 하고, 이 특정 파장을 제외한 다른 광을 차단한다. 검사대상 지폐(M)가 위폐에 해당하면, 디스플레이(40)에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이 나타난 지폐(M)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에 의하여 반사된 가시광선 영역만 입사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40)에는 입사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파장의 가시광선을 반사하는 지폐 부분은 나타나지 않게 될 것이다. 한편, 가시광선 통과 필터(60)의 통과 대역은 지폐(M)에 인쇄된 자외선 패턴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visibility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phasizes the visible ray region reflected by the ultraviolet ray by employing the visible ray passing filter 60, so that the user can reliably judge whether or not the counterfeit check is made. To this end, the visible light transmission filter 60 allows only visible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reflected from the banknote to be incident through the lens of the camera 30, and blocks other light excluding the specific wavelength. If the bill M to be inspected corresponds to a counterfeit, the image of the bill M showing a visible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on the display 40 will not be displayed. Also, since only the visible light region reflected by the ultraviolet light is incident, the display 40 will not show the bill portion reflecting the visible light of other wavelength except for the incident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pass band of the visible light transmission filter 60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pattern printed on the banknote M.

필터 스위치부(70)는 지폐(M)에 조사된 광원(10,20)에 대응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필터(50,60)를 선택한다. 즉, 적외선이 지폐(M)에 조사될 때에는 적외선 통과 필터(50)가 활성화되도록, 자외선이 조사될 때에는 가시광선 통과 필터(60)가 활성화되도록 각 필터(50,60)의 위치를 카메라(30) 렌즈 전단으로 전환한다.The filter switch unit 70 selects the filters 50 and 60 to perform filtering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s 10 and 20 irradiated on the banknote M, respectively. That is, the position of each of the filters 50 and 60 is controlled so that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50 is activated when the infrared rays are irradiated on the banknote M, and the visible light ray passing filter 60 is activated when th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the camera 30 ) Switch to the lens front end.

도 4는 필터 스위치부(70)에 의하여 필터(50,60) 교환이 이루어지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다.4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n example in which the filters 50 and 60 are exchanged by the filter switch unit 70. FIG.

도 4를 참조하면, 적외선 통과 필터(50)와 가시광선 통과 필터(60)는 상호 횡 또는 종으로 연결되어, 필터 스위치부(7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카메라(30) 렌즈 전단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필터링을 수행한다. 즉, 필터 스위치부(70)는 적외선 광원(10)이 활성화될 때에는 적외선 통과 필터(50)가 카메라(30) 렌즈 전단으로 위치가 이동하도록 하고, 자외선 광원(20)이 활성화될 때에는 가시광선 통과 필터(60)를 카메라(30) 렌즈 전단으로 이동시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4와 같이 양 필터(50, 60)가 횡으로 연결된 경우, 조사되는 광원(10,20)에 따라 필터 스위치부(70)는 필터(50,6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와는 달리 종으로 연결된 경우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카메라(30) 전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4,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50 and the visible ray passing filter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are selectively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mera 3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lter switch unit 70 And performs filtering. That is, when the infrared light source 10 is activated, the filter switch unit 70 moves the position of the infrared light passing filter 50 to the front side of the lens of the camera 30. When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20 is activated, The filter 60 is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mera 30 so that filtering can be performed. 4, when the two filters 50 and 60 are transversely connected, the filter switch unit 70 moves the filters 50 and 6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irradiated light sources 10 and 20, Otherwise, it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camera 30.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는 자기센서(80)를 더 포함한다. 자기센서(80)는 사용자의 지폐 스캐닝 움직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폐(M)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자성재료를 판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자기센서(80)는 위폐감별장치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으나, 상단, 측면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지폐(M)의 표면을 센싱할 수 있도록 외부에 마련되면 족하며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지폐(M)를 스캐닝하듯이 횡 또는 종 방향으로 움직이면, 자기센서(80)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폐(M)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성인쇄에 의한 결과치를 취득한다. 이때,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기는 지폐의 크기, 움직임의 빠르기, 자성인쇄의 조밀도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가 주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선택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Next,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agnetic sensor 80. [ The magnetic sensor 80 reads data from the banknote M in accordance with a preset cycle in response to the user's paper currency scanning movement and reads the magnetic material. Referring to FIG. 1, the magnetic sensor 8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However, the magnetic sensor 80 may be provided outside to allow the user to sense the surface of the banknote M, It does not. When the user move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s if the user scans the banknote M, the magnetic sensor 80 collects data from the banknote M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eriod, and obtains the result of the magnetic printing. At this time,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may be experimental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bills, the speed of motion, the density of magnetic printing, etc., and the user may provide an option to change the cycle.

디스플레이(40)는 자성인쇄에 의한 결과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지폐(M) 표면의 자성인쇄의 패터닝 형태를 지폐(M)의 위치에 따른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위폐감별장치는 자기센서(80)로부터 취득된 결과를 저장하고, 노이즈 제거, 그래프 생성을 위한 신호처리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된 그래프 형태를 통하여 지폐 위치에 따른 자성패턴의 존재를 인식하고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The display 40 can display the result of magnetic printing. For example, the patterning pattern of the magnetic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banknote M may be displayed in a grap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nknote M. To this end,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may include a signal processing processor (not shown) for storing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magnetic sensor 80 and for removing noise and generating a graph. The user can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magnetic patter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nknote through the graph form displayed on the display 40 and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money is counterfe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자기센서(80)를 통해 자성패턴이 센싱되는 위치에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not shown) to output sound at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pattern is sensed through the magnetic sensor 80.

모드 전환부(9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적외선 조사를 통해 위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적외선 모드, 자외선 모드를 통한 자외선 모드, 자기센서(80)를 통한 자기센서 모드 중 모드를 전환하여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한다. 예컨대, 위폐감별장치에 스위치, 버튼 등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위 수단을 통해 특정 모드를 선택하면 모드 전환부(90)는 선택 모드를 활성시킨다. 예컨대, 사용자가 적외선 모드를 선택하면, 적외선 광원(10)을 작동시켜 지폐(M)에 적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30)를 작동시켜 지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유사하게 자외선 모드가 선택되면, 자외선 광원(20)을 작동시켜 지폐(M)에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30)를 작동시킨다. 사용자가 자기센서 모드를 선택하면, 자기센서(8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데이터 취득이 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전환부(90)는 모드 활성화와 함께 현재 어떠한 모드가 작동중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모드에 따라 LED를 마련하고, 활성화되는 모드에 따라 대응되는 LED의 점멸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the mode switching unit 90 switches between the infrared mod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counterfeit is detected through the infrared ray, the ultraviolet ray mode through the ultraviolet ray mode, and the magnetic sensor mode through the magnetic sensor 80, To be selectively activa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mode through the above means, the mode switching unit 90 activates the selection mod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infrared ray mode, the infrared light source 10 is operated to allow the infrared rays to be irradiated on the banknote M, and the camera 30 can be operated to acquire the banknote image. Similarly, when the ultraviolet mode is selected,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20 is operated so that the banknote M can b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nd the camera 30 is opera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magnetic sensor mode, the magnetic sensor 80 is activated so that the data acquisition can be starte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mode switching unit 90 may control the display for informing which mode is currently being operated together with the mode activation. For example, an LED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each mode, and a corresponding flashing operation of the LE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activated mod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폐감별장치는 필터(50,60)의 전환으로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외선, 자외선 패턴 확인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소형제작이 가능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지폐의 자성패턴 형태 및 특정 파장 이외의 가시광선이 차단된 지폐의 영상을 제공하여 일반인들도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위폐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의 편의성을 높였다.As described above,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frared ray and an ultraviolet ray pattern checking function by using one camera by switching the filters 50 and 60,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image of the magnetic pattern of the paper money and the image of the paper money in which visible light other than the specific wavelength is blocked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identify whether or not the money is counterfeit throug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40 .

지금까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possible.

예컨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의 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되는 지폐 영상의 조도를 자동/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 function of enlarging or reducing a part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4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can be given, and the illuminance of the banknot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40 can be automatically / It is also possible to add an additional function that can be manually adjusted.

한편, 전술된 예에서는 필터 스위치부(70)가 광을 조사하는 광원(10,20)에 대응하여 적절한 필터(50,60)를 택일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사용자가 적외선 모드또는 자외선 모드를 선택하면 모드 전환부(90)가 이에 따라 필터 스위치부(70)를 제어하여 적절한 필터(50,60)가 택일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filter switch unit 70 selects the appropriate filters 50 and 60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s 10 and 20 that emit light. However, if the user selects the infrared mode or the ultraviolet mode, The switch portion 90 may be controlled so as to control the filter switch portion 70 so that the appropriate filters 50 and 60 are selected.

또한, 위폐감별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는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 가능한 충전용 배터리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 접속 단자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Also,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may be realized as a disposable battery or a rechargeable rechargeable battery, thereby providing a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정의되고, 그 보호범위는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only, an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the scope of protection is to be applied to the equivalents.

10 : 적외선 광원 20 : 자외선 광원
30 : 카메라 40 : 디스플레이
50 : 적외선 통과 필터 60 : 가시광선 통과 필터
70 : 필터 스위치부 80 : 자기센서
90 : 모드 전환부
10: Infrared light source 20: Ultraviolet light source
30: camera 40: display
50: Infrared pass filter 60: Visible light pass filter
70: Filter switch part 80: Magnetic sensor
90:

Claims (6)

지폐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광원;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
상기 적외선 광원 또는 상기 자외선 광원이 조사된 지폐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사용자의 지폐 스캐닝 움직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폐의 자성패턴을 판독하는 자기센서;
상기 지폐 영상과 상기 자기센서를 통해 판독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지폐로부터 반사되는 광 중에서 적외선 성분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
지폐로부터 반사되는 광 중에서 상기 자외선 광원을 통해 조사된 자외선으로 인하여 반사되는 미리 결정된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을 통과시키는 가시광선 통과 필터; 및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와 상기 가시광선 통과 필터 중 지폐에 조사된 광원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의 렌즈 전단에서 필터링을 수행할 필터를 택일하는 필터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광원과 상기 자외선 광원은 상기 카메라와 일평면상에서 상기 카메라의 양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감별장치.
An infrare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banknote with infrared light;
An ultraviole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banknote with ultraviolet light;
A camera for acquiring the infrared light source or the paper currency image irradiated with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A magnetic sensor for collecting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set cycle corresponding to a user's paper currency scanning motion and reading a magnetic pattern of the banknote;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bill image and the result read through the magnetic sensor;
An infrared ray pass filter for passing an infrared ray component amo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ill;
A visible ray pass filter for passing a visible light ray region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reflected by the ultraviolet ray irradiated through the ultraviolet ray light source amo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ill; And
And a filter switch unit for selecting a filter for performing filtering at a front end of the lens of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irradiated on the paper money among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and the visible light ray passing filter,
Wherein the infrared light source and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mera on one plane with the camer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와 상기 가시광선 통과 필터는 횡 또는 종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필터 스위치부의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전단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감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rared ray passing filter and the visible ray passing filt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ransversely or longitudinally and the filter is selectively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mera lens by the control of the filter switch part to perform filter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지폐에서 판독되는 자성패턴을 기초로 도출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감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displays a graph derived based on a magnetic pattern read from the bill.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모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모드와 상기 자기센서를 이용하는 자기센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감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de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activating one of an infrared mode for irradiating the infrared ray in accordance with a user's selection, an ultraviolet ray mode for irradiating the ultraviolet ray, and a magnetic sensor mode using the magnetic sensor Counterfeit discrimination device.
KR1020130146776A 2013-11-29 2013-11-29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KR101515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76A KR101515804B1 (en) 2013-11-29 2013-11-29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76A KR101515804B1 (en) 2013-11-29 2013-11-29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804B1 true KR101515804B1 (en) 2015-05-04

Family

ID=5339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776A KR101515804B1 (en) 2013-11-29 2013-11-29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80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661A (en)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청호컴넷 Forged check discriminator
KR20060033945A (en) * 2004-10-18 2006-04-21 이-뱅킹텍 Identifying method of note
KR101062315B1 (en) * 2011-03-07 2011-09-05 이한우 Apparatus for checking counterfeit bill and method thereof
KR20130014920A (en) * 2011-08-01 201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fferentiation forgery by portable ter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661A (en)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청호컴넷 Forged check discriminator
KR20060033945A (en) * 2004-10-18 2006-04-21 이-뱅킹텍 Identifying method of note
KR101062315B1 (en) * 2011-03-07 2011-09-05 이한우 Apparatus for checking counterfeit bill and method thereof
KR20130014920A (en) * 2011-08-01 201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fferentiation forgery by portable termin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4333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 validation
JP5314419B2 (en) Bill authenticity judging method and bill authenticity judging device
JP5329543B2 (en) Game system
US20100144387A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RU2562758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ference data set of class for classification of valuable documents
JP2006258808A (en) Portable type fluorescence detector fitted to protection of eye
KR101707218B1 (en) Smartphone linked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515804B1 (en)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KR100871774B1 (en) A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 counterfeit bank bill using computer programs
KR20010076926A (en) Discrimination method for money and discriminator thereof
KR100866922B1 (en) Counterfeit bill detector
KR101812206B1 (en) Counterfeit discrimnation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CN2914516Y (en) Image viewfinding unit
KR101244424B1 (en) The device for determining the paper money
CN101807323B (e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KR101163591B1 (en) The device for determining the paper money
JP6751569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document identification device, the document processor, the image sensor unit, and the optical variable element region
CN2639962Y (en) CCD imaging false checking device
CN201166875Y (en) Bank note valuator with combination false-discriminating function
CN214587072U (en) Supplementary false system of distinguishing of bank note
CN201166873Y (en) Bank-note identifier with double magnifying glasses
KR20160113878A (en) Recognition apparatus for face value of bill and detection apparatus for counterfiet bill
WO2005076742A2 (en) Optical handheld device and method for banknotes
JP2605362Y2 (en) Handy type bill validity judgment device
CN113379959A (en) Metho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bank no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