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475B1 - Car body combine with Sensor Module for Air bag - Google Patents

Car body combine with Sensor Module for Air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475B1
KR101515475B1 KR1020130016529A KR20130016529A KR101515475B1 KR 101515475 B1 KR101515475 B1 KR 101515475B1 KR 1020130016529 A KR1020130016529 A KR 1020130016529A KR 20130016529 A KR20130016529 A KR 20130016529A KR 101515475 B1 KR101515475 B1 KR 101515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sensor module
airbag
uni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2961A (en
Inventor
김준기
이창우
유세훈
방정환
고용호
김정한
서종덕
김종훈
원광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475B1/en
Priority to PCT/KR2013/008480 priority patent/WO2014046500A1/en
Priority to US14/429,591 priority patent/US9539970B2/en
Priority to CN201380049185.9A priority patent/CN104703846B/en
Priority to JP2015532969A priority patent/JP2015529174A/en
Priority to DE112013004598.2T priority patent/DE112013004598B4/en
Publication of KR2014010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4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충돌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체의 변형량을 감지하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차체에 통합된 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차체 및 상기 차체에 접착방식으로 부착되는 메인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상에 형성되며 차체의 충돌에 따른 차체의 변형에 따라 변형되어 그 변형량을 측정하는 스트레인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체의 충돌여부를 감지하는 충돌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가 개시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in which an airbag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 deformation amount of a vehicle body to detect a collision when a vehicle collision is incorporated in a vehicle body, And a strain sensor formed on the main board and deformed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body and measur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thereof so as to detect a collision of the vehicle body, This integrated body can be initiated.

Description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Car body combine with Sensor Module for Air ba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incorporating an air bag sensor module,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충돌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체의 변형량을 감지하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차체에 통합된 차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in which an airbag sensor module for sensing a deformation amount of a vehicle body in order to detect a collision during a vehicle collision is integrated in the vehicle body.

최근에 들어 차량의 충돌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어백시스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interest in collision safety of vehicles has increased, the application of airbag systems is expanding.

상기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 충돌시 전개되어 차량내부의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치이다.The airbag system described above is an apparatus that is deployed upon collision of a vehicle to protect a passenger inside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신호의 강도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bag system includes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 collision of a vehicle,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modu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irbag is deployed according to a signal intensity, an airbag deployed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

상기 센서모듈은 일반적으로 충돌센서로 이루어지며 차체의 주요 충돌 예상부위에 센서모듈을 장착하며, 승객이 탑승하는 공간 내측의 주요 부위에 에어백을 구비한다.The sensor module is generally made up of a collision sensor, and is equipped with a sensor module at a predicable part of the body of the vehicle, and has an airbag in a main part inside the space on which the passenger boarding.

따라서,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충격이 상기 센서모듈에 전해지고,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충격량을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여 에어백 전개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에어백을 전개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modul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mount of impact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airbag is deployed, and deploys the airbag.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bag system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센서모듈은 기 출원된 공개실용신안20-1999-002443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으로 차체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고정방법은 차체 조립에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여 생산공정을 복잡화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 sensor module of the conventional airbag system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with a bolt or the like as disclosed in the published Utility Model No. 20-1999-0024432, which requires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 for assembling the vehicle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complicated.

둘째,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센서모듈은 볼트 등으로 차체에 고정되므로, 차량 주행에 따른 지속적인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볼트의 조임이 느슨해졌을 경우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Secondly, since the sensor module of the conventional airbag system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with bolts or the lik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malfunction may occur when the bolt is tightened due to continuous vibration or external force due to running of the vehicle.

셋째,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센서모듈은 에어백 전개여부를 충돌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하는데, 이러한 충돌센서는 에어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당히 큰 충격이 직접 작용되어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충돌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충격량은 작은데 차체의 변형량이 큰 경우 등 에어백이 전개되어야 할 때에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hird, the sensor module of the conventional airbag system detects whether or not the airbag deployment is detected by using a collision sensor. Such a collision sensor is configured such that a considerably large impact is directly applied to detect malfunction of the airbag. Therefor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impact sensor is not provided, or when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is small due to a small amount of impact, the airbag may not be detected when the airbag is deployed.

넷째,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센서와 차체의 ECU를 유선으로 연결하는데, 이러한 연결작업에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차량 노후화에 따라 배선에 불량이 생길 경우 오작동의 위험이 있다.Fourth, the conventional airbag system connects the collision sensor and the ECU of the vehicle by wire. This connection operation may require additional processing. If the wiring is defective due to aging of the vehicle, there is a risk of malfunction.

공개실용신안 20-1999-0024432Public utility model 20-1999-0024432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생산공정이 단순화되며, 고정이 느슨해질 우려가 없고, 충돌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외에도 차체의 변형량을 측정하여 보다 향상된 탑승객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having a simplified manufacturing process and an improved passenger protection effect by measuring a deformation amount of a vehicle bod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vehicle body incorporating an airbag sensor module that can provide the airbag sensor modu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차체 및 상기 차체에 접착방식으로 부착되는 메인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상에 형성되며 차체의 충돌에 따른 차체의 변형에 따라 변형되어 그 변형량을 측정하는 스트레인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체의 충돌여부를 감지하는 충돌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가 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main board attached to a vehicle body and the vehicle body in an adhesive manner; And a strain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nd detect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body. The vehicle body incorporating the airbag sensor module may be disclosed.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는, 차체의 천정을 차체의 바닥부로부터 지지하거나 차체의 윈드쉴드 글래스를 지지하는 필러부에 부착될 수 있다.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may be attached to a pillar portion that supports the ceiling of the vehicle body from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or supports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body.

상기 필러부는 복수장의 부재가 서로 겹쳐져 형성되며,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는 상기 필러부를 이루는 복수장의 부재 중 내측에 위치되는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The pillar portion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members, and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portion may be attached to a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plurality of members constituting the pillar portion.

상기 필러부의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가 부착되는 부분에는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A groove for receiving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where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is attached.

상기 메인기판은 가요성을 가진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 보오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ard may be mad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flexibility.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차체의 에어백 전개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에 송신하는 통신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data from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to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ir bag is deployed in the vehicle body.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으로서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as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 및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llision sens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전원부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battery that stores power.

또는,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차체의 진동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진동발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 power by 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as the vehicle travels.

그리고,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는,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llision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mpact sensor for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vehicle body incorporating the airbag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 없이 차체 생상공정에 단순하게 통합될 수 있어 생산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다.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because it can be simply integrated into the car body production process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둘째, 에어백 센서모듈을 장착하는데 볼트 결합 대신 접착방식을 사용하므로 장시간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져도 에어백 센서모듈의 고정이 느슨해질 우려가 없다.Second, since the airbag sensor module is mounted using a bonding method instead of a bolt connection,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fixing of the airbag sensor module is loosen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vibration is applied for a long time.

셋째, 차체의 에어백 전개여부를 결정하는데 충격량과 변형량을 함께 고려하므로 충격이 에어백 센서모듈을 정확하게 타격하지 않아도 일정변형량 이상 감지되면 에어백을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에어백 전개 여부 결정을 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impact amount and the deformation amount are considered together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body deploys the air bag,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air bag to be operated when a certain amount of deformation is detected even if the impact sensor does not accurately hit the sensor module, can do.

넷째, 에어백 센서모듈과 에어백 전개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가 무선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어 추가적인 배선이 필요없으므로, 상기 배선하는 작업이 필요없어 생산공정이 단축될 수 있으며, 배선의 노후화에 따른 오작동의 염려 또한 없다.Fourth, since the airbag sensor module and th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irbag is deployed can be made to communicate wirelessly, no additional wiring is required, so that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shortened because the wiring operation is unnecessary, none.

다섯째, 에어백 센서모듈이 필러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부재 중 내측에 위치되므로, 전착공정이나 도장 또는 열처리 등 추후공정시에도 에어백 센서모듈이 보호될 수 있으며, 출고 후에도 비, 바람 또는 염화칼슘 등에 의한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Fifth, since the airbag sensor module is located inside the plurality of members constituting the pillar portion, the airbag sensor module can be protected even in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an electrodeposition process, a coating process, or a heat treatment process. Can be protec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센서모듈이 장착되는 차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비필러(B-Pillar)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부착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센서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스트레인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스트레인 센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5의 전원부의 전원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to which an airbag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pillar of Fig. 1;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portion to which the airbag sensor module is attached;
5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bag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ain sensor of FIG. 5;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ain sensor of FIG. 5; FIG. And,
8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body incorporating an airbag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에어백 센서모듈은 차체의 충돌에 따른 차체의 변형량을 측정하여 차체의 충돌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차량이 충돌할 대 일반적으로 제일 큰 충격과 변형을 받는 프런트 레인포스먼트(20) 및 필러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airbag sensor module measures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caused by a collision of the vehicle body, and detects whether the vehicle body is collided. The sensor detects a collision of the vehicle body with the front rain reinforcement 20 and the pillar portion, Can be mounted.

일반적으로, 차체에는 복수개의 필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승용차에는 일반적으로 에이필러(A-pillar: 70)와 비필러(B-pillar: 80) 및 씨필러(C-pillar: 90)가 구비되는데, 상기 에이필러(70)는 캐빈(cabin)의 전면에 배치되며 윈드실드 글래스(60)를 지지하고 동시에 차체의 천정(50)을 바닥부(30)로부터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필러(80)는 캐빈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며 차체의 천정(50)을 바닥부(30)로부터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씨필러(90)는 캐빈의 후측에 배치되어 차체의 후면 글래스(미도시) 및 천정(5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Generally,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vehicle body. Particularly, a passenger car is generally provided with an A-pillar 70, a B-pillar 80 and a C-pillar 90,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windshield glass 60 and simultaneously support the ceiling 50 of the vehicle body from the bottom portion 30. The non-filler 80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abin, (Not show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ceiling 50. The seed pillars 90 ar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abin to support the rear glass (not shown) and the ceiling 50 of the cabin.

물론, 상기와 같이 에이필러(70)와 비필러(80) 및 씨필러(90)로 이루어지는 형태는 필러부는 차량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Of course, the shape of the filler 70, the non-filler 80, and the filler 9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hape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면 충돌시에는 상기 프런트 레인포스먼트(20)에 가장 큰 충격 및 변형이 가해지며, 측면 충돌시에는 상기 비필러(80)에 가장 큰 충격 및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비스듬히 충돌하는 오프셋(off-set)충돌시에도 상기 비필러(80)에 충격 및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front collision occurs in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front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reinforcement 20 and the impact and deformation are applied to the non-pillar 80 at the side collision. Also, impact and deformation may be applied to the non-pillar 80 even in an off-set collision where the vehicle is obliquely impact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센서모듈(100)은 차체의 비필러(80)에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unted on the non-pillar 80 of the vehicle body.

물론, 본 발명의 에어백 센서모듈(100)이 통합된 차체(10)에서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의 장착지점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에이필러(70)나 씨필러(90)에도 장착될 수 있고 또는 그 외 다른 지점에 장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Of course, in the vehicle body 10 incorporating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int of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unted on the ap filler 70 or the seed filler 90 Or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such as at other locations.

다만,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차체의 비필러(80)에 에어백 센서모듈(100)이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is mounted on the non-pillar 80 of the vehicle body.

도 2는 차체의 비필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2 is an enlarged view of the non-filler of the vehicle body.

한편, 상기 비필러(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강성을 달성하고자 복수장의 부재가 절곡되어 상호 겹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2 and 3, the non-pillar 80 may be formed by folding and folding a plurality of members to achieve high rigidity.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필러(80)가 차체(10)의 바깥쪽을 향하는 외부패널(81)과 차체(10)의 캐빈을 향하는 내부패널(87) 및 상기 외부패널(81)과 내부패널(87) 사이에 구비되는 제1보강 브라켓(83) 및 제2보강 브라켓(8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non-pillar 80 includes an outer panel 81 fac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10, an inner panel 87 facing the cabin of the vehicle body 10, And a first reinforcing bracket 83 and a second reinforcing bracket 85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rackets 87 and 87.

이때,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은 상기 복수장의 부재 중 상기 제1보강 브라켓(83) 또는 제2보강 브라켓(85) 등 비필러(80)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may be attached to a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non-pillar 80 such as the first reinforcing bracket 83 or the second reinforcing bracket 85 among the plurality of members.

따라서,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은 차체(10)가 생산될 때 부착되어 차체(10)에 통합되며, 차체 생산 후의 차량제작공정에서 전착공정이나 열처리 공정 등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차량이 생산된 후 마주치게 되는 비바람이나 염화칼슘 등의 환경적인 요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is attached when the vehicle body 10 is manufactured and integrated into the vehicle body 10, and can be protected from the effects of 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and the heat treatment process in the vehicle manufacturing process after the vehicle body is manufactured, Can be protected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and rainfall and calcium chloride encountered after production.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이 부착되는 제1보강 브라켓(83) 또는 제2보강 브라켓(85)의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이 부착되는 지점에는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을 수용하는 홈(89)이 형성될 수 있다.4, at a point where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of the first reinforcing bracket 83 or the second reinforcing bracket 85 to which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is attached is attached to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A groove 89 may be formed to receive the module 100.

따라서,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은 상기 홈(89)의 내부에 접착제(200)로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89)은,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이 부착된 상태에서 홈(89)의 외부면과 에어백 센서모듈(100)이 동일평면을 이루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may be attached as an adhesive 200 inside the groove 89. [ Also, the groove 89 may be formed at a depth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groove 89 and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are flush with each other when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is attached.

이 때,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200)는 초고강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반 영구적으로 접착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200 used for bonding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may be semi-permanently adhered using an ultra-rigid adhesive.

또한, 일반적으로 양 단이 지지되는 어떠한 부재에 충격이 가해질 때 변형량이 가장 큰 부분은 양 단부 사이의 중앙부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필러(80) 또한 양 단이 차체(10)의 바닥부(30)와 천정(50)에 각각 지지되는 부재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은 상기 비필러(80)의 바닥부(30)와 천정(50)과 각각 접하는 양 단 사이의 중앙지점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비필러(80)의 변형량을 보다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Further, in general,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any member supported at both ends, the portion with the largest deformation amount may be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he both ends. The non-pillar 80 is in the form of a member whose both ends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30 of the vehicle body 10 and the ceiling 50. Therefore,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is attached to the center point between the bottom portion 30 of the non-pillar 80 and the ceiling 50, Can be measured sensitively.

따라서,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을 차체(10)에 장착할 때 별도의 볼트 체결 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장착 공정이 매우 단순화 될 수 있고,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의 장착공정이 별도의 공정으로 분리되지 아니하고 상기 차체 생산공정에 통합될 수 있는 등 생산공정이 매우 단순화 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is not required when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10, the mounting process can be greatly simplified, and the mounting process of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can be performed in a separate process So that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greatly simplified.

이하, 본 실시예의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에 부착되는 에어백 센서모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irbag sensor module to which an airbag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ttached to a vehicle body will be described.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판(110) 및 충돌감지 센서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다.The airbag sensor module may include a main board 110 and a collision sensing unit 120, as shown in FIG.

상기 메인기판(110)은 차체(10)에 접착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120)는 상기 메인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ard 110 may be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10 in an adhesive manner and the collision sensing unit 12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ard 110.

이 때, 상기 메인기판(110)은 접착제로서 전술한 차체의 비필러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진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 보오드(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ard 110 may be mad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ving flexibility so as to be adhered to the non-filler of the vehicle body as an adhesive.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120)는 충돌 또는 충격에 따른 차체(10)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센서(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strain sensor 122 for measuring a deformation amount of the vehicle body 10 in response to a collision or an impact.

상기 스트레인 센서(122)는 차체(10)에 밀착되어 차체(10)의 변형에 따라 같이 변형되며, 그 변형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rain sensor 122 is closely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10 and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10, and the strain sensor 122 can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amount of deformation thereof.

상기와 같은 스트레인 센서(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상기 메인기판(110)에 부가되거나 또는 메인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스트레인 센서(12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면, 서로 다른 방향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strain sensor 122 may be added to the main substrate 110 or may be formed on the main substrate 110 as shown in FIG. If the strain sensors 122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as shown in FIG. 7, the strain amount in different directions can be measured.

즉, 상기 스트레인 센서(122)가 형성된 상기 메인기판(110)이 차체(10)에 접착방식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메인기판(110)이 상기 차체(10)에 부착된 지점의 변형에 따라 변형되며, 상기 스트레인 센서(122)는 상기 차체의 변형량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main substrate 110 on which the strain sensor 122 is formed adheres to the vehicle body 10 in an adhesive manner, the main substrate 11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point where the main body 110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10 , The strain sensor 122 can more accurately measure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vehicle body.

일반적으로, 상기 스트레인 센서(122)는 변형량에 따라 다른 저항값 또는 전압이나 전류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렇게 출력된 데이터를 차체에 구비된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40)에 송신하는 통신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Generally, the strain sensor 122 is configured to output a resistance value or voltage or current data according to the amount of deformation,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4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irbag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is deployed or not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further provided.

이 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스트레인 센서(12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로서 차체의 변형량을 계산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지며, 칩(chip)의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메인기판(110)상에 실장되거나 상기 메인기판(110)과 배선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 calculates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s data output from the strain sensor 122 to determine whether to deploy the airbag,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hip, Or may be wired with the main board 110.

또는, 차체에 장착된 각 에어백 마다 해당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차량의 엔진 또는 변속기 등을 제어하는 ECU(Electric Control Unit: 40 도 1참조)에 통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ECU와는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each of the airbag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airbag is deployed or integrated into an ECU (Electric Control Unit: see FIG. 1) for controlling an engine or a transmission of the vehicle , And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CU.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짧은 시간에 큰 변형량이 일어날수록 탑승자의 위험이 커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스트레인 센서(122)에서 측정되는 변형량을 단위시간당 변형량으로 계산하여 에어백 전개의 유무 결정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단위시간당 또는 일정시간에 설정된 수치보다 큰 수치의 변형량이 측정되는 경우 에어백을 전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the amount of deformation increases in a short time, the risk of the occupant may increase. Therefore, the control unit 4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deformation measured by the strain sensor 122 as a deformation amount per unit time, . That is, the airbag can be deployed when the amount of deformation greater than the value set per unit time or at a predetermined time is measured.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제어부(40)와 유선으로 배선되어 송신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30)가 무선통신으로서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에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wirelessly communicate data measured by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120 to the control unit 40. In this case, 4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통신부(130)는 RF 통신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40)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130)의 구성이 반드시 RF통신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타 다른 방식의 통신회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n RF communication circuit and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not limited to an RF communication circu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composed of any other type of communication circuit.

그리고,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120) 및 통신부(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pow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1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전원부(140)는 전력을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을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 및 통신부에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wer unit 140 may be a battery that stores power and supplies the stored power to the collision sens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또는, 상기 전원부(140)는 전력을 발전하여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120) 및 통신부(130)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전력을 발전하기 위하여 차량의 주행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generate power to supply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1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power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by using vibrations inevitably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to generate electric power.

따라서, 상기 발전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원부(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에너지로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피에조 소자(142) 및 상기 피에조 소자(142)에서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는 커패시터(144: capaci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에조 소자(142) 및 커패시터(144) 외에도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8, the power supply unit 140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142 capable of generating power as vibration energy, and a capacitor 144 (not shown) for storing the power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142. [ : capacitor). Of course, the piezo element 142 and the capacitor 144 may have other configurations.

따라서, 상기 에어백 센서모듈(100)은 차체의 제어부(40)와 무선통신하며, 작동에 필요한 전력 또한 자체발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선이 필요 없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bag sensor module 100 is wirelessly communicated with the control unit 40 of the vehicle body, and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can also be developed by itself, so that no separate wiring is required.

물론, 상기 전원부(140)가 전력을 저장하거나 발전하는 것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o storing or generating electric power.

한편,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120)는 차체의 변형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센서(122)뿐만 아니라, 차체의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1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충격감지 센서(124)는 상기 메인기판(110)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기판(110)에 배선될 수 있다.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strain sensor 122 for measuring a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n impact sensor 124 for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body. The impact sensor 124 may be formed on the main board 110 or may be a separate module and may be wired to the main board 110.

즉, 차체(10)의 변형량뿐만 아니라 가해지는 충격량도 같이 측정함으로써 측정된 변형량 데이터와 충격량 데이터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에어백의 전개여부 결정을 보다 정확하게 이룰 수 있다.That is, not only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10, but also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body 10 can b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차체 20: 프론트 레인포스먼트
30: 바닥부 40: 제어부
50: 천정 60: 윈드실드 글래스
70: 에이필러 80: 비필러
81: 외부패널 83: 제1보강 브라켓
85: 제2보강 브라켓 87: 내부패널
90: 씨필러 100: 에어백 센서모듈
110: 메인기판 120: 충돌감지센서부
122: 스트레인 센서 124: 충격감지 센서
130: 통신부 140: 전원부
142: 피에조 소자 144: 커패시터
10: Body 20: Front Reinforcement
30: bottom part 40: control part
50: Ceiling 60: Windshield glass
70: A-filler 80: non-filler
81: outer panel 83: first reinforcing bracket
85: second reinforcing bracket 87: inner panel
90: Seal filler 100: Airbag sensor module
110: main board 120: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122: strain sensor 124: shock sensor
130: communication unit 140:
142: Piezo element 144: Capacitor

Claims (11)

캐빈의 전면에 배치되며 윈드실드 글래스를 지지하고, 동시에 차체의 천정을 바닥부로부터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에이필러;, 상기 캐빈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며 차체의 천정을 바닥부로부터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차체의 바깥쪽을 향하는 외부패널과 차체의 캐빈을 향하는 내부패널 및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강 브라켓을 포함하는 비필러, 상기 캐빈의 후측에 배치되어 차체의 후면 글래스 및 천정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씨필러를 포함하는 차체;
상기 비필러의 복수 개의 보강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홈에 상기 차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접착방식으로 부착되는 메인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상에 형성되며 차체의 충돌에 따른 차체의 변형에 따라 변형되어 그 변형량을 측정하는 스트레인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체의 충돌여부를 감지하는 충돌감지 센서부;
를 포함하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
An airfoil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bin and configured to support a windshield glass and to simultaneously support a ceiling of a vehicle body from a bottom portion of the cabin; A non-pillar comprising an outer panel facing the outside, an inner panel facing the cabin of the vehicle body,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rackets provided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 rear pillar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abin, A body including a seed filler formed so as to form a body;
A main board mounted on the main board in an adhesive mann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in a groove formed in one of a plurality of reinforcing brackets of the non-pillar;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including a strain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airbag sensor module is integrated with the airbag sensor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은 가요성을 가진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 보오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ard include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flexi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차체의 에어백 전개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에 송신하는 통신부가 더 구비되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measured by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to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ir bag is deployed in the vehicle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으로서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airbag sensor module as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 및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더 구비되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supply unit,
A vehicle body incorporating an airbag sensor module comprising a battery for storing electric pow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차체의 진동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진동발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supply unit,
A vehicle body incorporating an airbag sensor module comprising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 power by vibration of a vehicle body in accordance with traveling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감지 센서부는,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에어백 센서모듈이 통합된 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mpact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body.
KR1020130016529A 2012-09-20 2013-02-15 Car body combine with Sensor Module for Air bag KR1015154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529A KR101515475B1 (en) 2013-02-15 2013-02-15 Car body combine with Sensor Module for Air bag
PCT/KR2013/008480 WO2014046500A1 (en) 2012-09-20 2013-09-23 Airbag sensor module and car body integrated with airbag sensor module
US14/429,591 US9539970B2 (en) 2012-09-20 2013-09-23 Airbag sensor module and car body integrated with airbag sensor module
CN201380049185.9A CN104703846B (en) 2012-09-20 2013-09-23 The car body of integrated air bag sensor module
JP2015532969A JP2015529174A (en) 2012-09-20 2013-09-23 Airbag sensor module and body integrated with airbag sensor module
DE112013004598.2T DE112013004598B4 (en) 2012-09-20 2013-09-23 Airbag sensor module and vehicle body with an integrated airbag senso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529A KR101515475B1 (en) 2013-02-15 2013-02-15 Car body combine with Sensor Module for Air 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961A KR20140102961A (en) 2014-08-25
KR101515475B1 true KR101515475B1 (en) 2015-05-04

Family

ID=5174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529A KR101515475B1 (en) 2012-09-20 2013-02-15 Car body combine with Sensor Module for Air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47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216A (en) 1999-09-27 2003-03-18 ビステオン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Vehicle impact sensor system
JP2006266878A (en) 2005-03-24 2006-10-05 Hitachi Ltd Sensor node for detecting sh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216A (en) 1999-09-27 2003-03-18 ビステオン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Vehicle impact sensor system
JP2006266878A (en) 2005-03-24 2006-10-05 Hitachi Ltd Sensor node for detecting sh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961A (en)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2116B2 (en) Pressure and acceleration based pedestrian impact sens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4905372B2 (en) Mounting structure of impact sensor for vehicle
US9127968B2 (en) Flexible optical impact detection sensor for front rail mounted airbag
KR101020549B1 (en) Exterior air-bag for vehicles
US7854453B2 (en) System for detecting objects colliding with automotive vehicle
US9539970B2 (en) Airbag sensor module and car body integrated with airbag sensor module
JP2009504500A (en) Fastener integrated sensor
US201402007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iggering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means, triggering system and vehicle
US9776664B2 (en) Impact transmission structure
WO2017169675A1 (en)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device
JP3930004B2 (en) Sensor arrangement structure
US20190054957A1 (en) Vehicle frame mounted deployable metal bag to mitigate side impact crash intrusions
KR101515475B1 (en) Car body combine with Sensor Module for Air bag
JP2009220784A (en) Airbag control device and airbag control method
JP5888313B2 (en) Vehicle side collision detection device
KR20140005177U (en) Air Bag Sensor Module Installed by Adhesive Method
US7516981B2 (en) Door mounted vehicle sensor
KR20140038187A (en) Air bag sensor module installed by adhesive method
JP5206857B2 (en) Mounting structure of impact sensor for vehicle
KR102113768B1 (en)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KR101729505B1 (en) Air bag sensor assembly
KR100590969B1 (en) Air bag system for automobile
JPH06115406A (en) Side collisio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JP2010036750A (en) Collision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JP2008529870A (en) In-vehicle airba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