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709B1 - 무선 링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 - Google Patents

무선 링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709B1
KR101514709B1 KR1020127034101A KR20127034101A KR101514709B1 KR 101514709 B1 KR101514709 B1 KR 101514709B1 KR 1020127034101 A KR1020127034101 A KR 1020127034101A KR 20127034101 A KR20127034101 A KR 20127034101A KR 101514709 B1 KR101514709 B1 KR 10151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data
subset
stat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837A (ko
Inventor
딜립 크리시나스와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4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4Enhancement of application control based on intercepted appli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6Grouping or aggregating service requests, e.g. for unifie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9Providing operational support to end devices by off-loading in the network or by emulation, e.g. when they are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이 개시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은 에너지 및 리소스들을 절약하도록 구성되고 통신 환경에서의 지연들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은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데이터의 딜리버리가 얼마나 오래 지연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기준을 사용할 수 있는 코어스-그레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펨토 셀과 같은 무선 노드와 연관될 수 있다. 펨토 셀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을 실행하는 파인-그레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록시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포워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는 모바일 디바이스 대신 네트워크에 응답할 수 있다. 프록시는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중요한 이벤트의 도달 시 모바일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링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APPLICATION-PROXY SUPPORT OVER A WIRELESS LINK}
다음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사용하는 통신 환경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비디오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예를 들어,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 및 사용자가 정지해 있는지 또는 이동 중(예를 들어, 차량 안, 도보)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롱 텀 에벌루션(LTE) 시스템들 및 다른 것들을 포함한다.
최근에, 사용자들은 고정식 회선의 통신들을 이동식 통신들로 교체하기 시작하였고 개선된 음성 품질,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및 효율적인 디바이스들을 점점 더 요구하고 있다. 현재 가동중인(in place)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들 이외에도, 작은 기지국들의 새로운 분류가 부상하고 있으며, 이 작은 기지국들은 사용자의 가정 또는 다른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존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들을 이용하여 모바일 유닛들에 실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인의 미니어쳐 기지국들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들, 또는 대안적으로 HNB(Home Node B), 또는 펨토 셀들로 알려진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미니어쳐 기지국들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라우터 또는 케이블 모뎀을 통해 모바일 운영자의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 연결된다.
펨토 셀들은 작은 양의 전력을 전송하고 넓은 커버리지 영역들을 갖는 매크로 셀들과 비교하여 훨씬 더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다. 펨토 셀들은, 매크로 셀 커버리지 내에서 보이드일 수 있고/있거나 추가 용량이 요구되는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 추가된다. 매크로 셀들 및 펨토 셀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이러한 새로운 타입의 네트워크 디플로이먼트 토폴로지는 더욱 흔해지고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효율 및 전력(배터리 수명)의 보존은 디바이스 사용자들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사용 중에 있지 않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에 있고 적어도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착신(incoming) 통신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착신 통신이 없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로 리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의 완료 후, 디바이스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시도로 더 낮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슬립 모드로부터/로의 전환 및 다른 모드들 간의 전환은 전력을 불필요하게 소모하고 지연들을 도입시킬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양상들의 간략화된 개요가 이하 제공된다. 이 개요는, 모든 고찰된 양상들 모두의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고, 모든 양상들의 중요하거나 중대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또는 임의의 양상 또는 모든 양상의 범위를 기술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 개요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 제공되는 더욱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몇몇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 및 이 실시형태들의 대응하는 개시물에 따르면, 이용가능한 측파대 데이터 경로들 및 측파대들이 제공하는 선택들을 알게 되도록 네트워크 상태를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프록시 및 모바일 디바이스는, 어느 측파대를 사용할지를,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요구되는 대역폭 및/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지연 톨러런스의 함수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사용할 측파대는 데이터의 분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 분류는 또한, 사용되어야 하는 측파대 및 지연 톨러런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분류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어야 하는 시간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은 무선 노드에서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과 관련된다.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무선 노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노드는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가능하다.
일 양상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메모리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다. 메모리는 통신 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명령들을 보유한다. 통신 장치는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가능하다.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 내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상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또한, 통신 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제공하기 위한 수단은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통신 장치는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가능한 지연 이후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통신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이는 제 1 상태를 예비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상태를 예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통신 장치는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통신 장치는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버퍼링하기 위한 수단, 및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가능한 지연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delivering)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는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게 하는 코드들의 제 1 세트가 포함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게 하는 코드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일 양상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관련된다. 프로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는 제 1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제 2 모듈 및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에는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처리하는 제 4 모듈이 포함된다.
전술한 목적 및 관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또 그 초과의 양상들이 이후 완전하게 설명되고 청구항들에서 특별히 지적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특정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 소수를 나타낸다.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경우 다른 이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고 개시된 양상들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개시된 양상들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와 통신 중에 있을 수 있는 상태들의 개략적인 표현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른, 휴면 상태들을 비롯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와 통신 중에 있을 수 있는 상태들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양상에 따른, 프록시(예를 들어, 펨토-프록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최적화된 무선 광역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양상에 따른,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양상에 따른,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양상에 따른,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을 위해 통신들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본원에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프록시 지원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양상에 따라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제, 다양한 양상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다음 설명에서,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많은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이들 양상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개시된 양상들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환경(10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환경(100)에는 홈 노드 B 유닛 또는 펨토 셀(104)과 통신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2)이 포함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 펨토 셀(104)은 무선 링크(106)로 도시된 무선 링크 또는 유선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펨토 셀들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거주지들 또는 기타 환경들과 같은 작은 스케일의 네트워크 환경에 설치될 수 있다. 펨토 셀들은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계획되지 않은 방식으로 디플로이될 수 있는) 이질적인(alien)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서빙하도록 구성된다. 펨토 셀(104)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110)를 통해 (광대역 네트워크(WWAN(108)) 인프라스트럭쳐 네트워크일 수 있는) 인프라스트럭쳐 네트워크에 결합된다. 펨토 셀(104)과 RNC(110) 사이의 연결은 터널(112)(예를 들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을 통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터널은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한다.
개시된 양상들은, 펨토 셀(104)에 의해 서빙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2) 대신 펨토 셀(104)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을 사용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들(공격적인 최적화들일 수 있음)을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전화 애플리케이션들,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들, 이메일 애플리케이션들,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들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전화 애플리케이션들은 또한, 실제 데이터와 관련 없는 여러 가지 작업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들은 정기적으로 프레즌스(presence) 업데이트들, 사용자-개시형 스테이터스 업데이트들, 및 원격 사용자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프레즌스 프로브들을 지원해야 한다. 킵-얼라이브들(keep-alives)은 라우터들/미들박스들에서 "연결 상태' 타이머들을 리셋하도록 유지된다. 음성 애플리케이션들은, 반드시 피어와의 음성 호에 참여하지 않고도, 피어들의 이용가능성에 관하여 피어들과 지속적인(constant)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실제 애플리케이션 트래픽 없이도 패킷들을 통신 또는 수신한다. 따라서, 펨토 셀에서 실시간 오프로드를 위해 펨토 셀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처리할 필요가 있는 실제 이벤트가 존재할 때까지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는 펨토 셀에서 구현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펨토 셀 사이의 무선 링크를 통해 관리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원하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펨토 프록시로부터 웨이크업을 대기하고 있는 슬립 상태로 진행할 수 있는 프록시 지원으로, 펨토 셀을 구성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적절한 포트 수들에서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패킷들을 단지 필터링하는 패킷 필터링 접근법이 펨토 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공격적인 접근법은, 펨토 셀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스터브들(stubs)을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들, 음성, 이메일 및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들에(모바일 디바이스 대신에 이들 애플리케이션 스터브들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하고, 그리고 동기화 또는 정보에 대한 가끔식의 웨이크업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 환경과 코어스(coarse) 동기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빈번하게 웨이크업하거나 정보를 통신할 필요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동기화는, 이용가능하고 원하는 경우, 대안적인 낮은 에너지 링크, 이를 테면, 장거리 낮은 에너지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26
링크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펨토 셀에 대한 가상화된 구현은 상이한 가상 분할에 있어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 프록시를 지원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가상화 솔루션들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가상화 지원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WWAN(108)과 통신하고 있을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WWAN 프로토콜 상태와 연관된 다양한 상태들 중 하나에 있을 수 있다.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이를 테면, WWAN 네트워크)와 통신 중에 있을 수 있는, WWAN 상태들(200)일 수 있는 상태들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또는 통신(예를 들어, 전화 호, 텍스트 메시지, 비디오, 데이터 등)을 위해 대기 중인 동안 유휴 상태(202)에 있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착신 통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할 수 있고, 착신 통신이 없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유휴 상태(202)로 다시 바뀐다(transfer).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호출을 처리하고 있을 경우, 페이징 채널(PCH) 상태 또는 Cell_PCH 상태(204)에 있을 수 있다. Cell_PCH 상태(204)는 저 전력 모드이다. Cell_PCH 상태(204)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물리적 채널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능동적으로 통신(예를 들어, 통신의 전송, 통신의 수신)하고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순방향 액세스 채널(FACH) 상태 또는 Cell_FACH 상태(206)에 있을 수 있다. Cell_FACH 상태(206)(또는 FACH 모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전용 물리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업링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공유 전송 채널(예를 들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이 채널을 이용하고 있음)이 할당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에서 FACH(기지국이 또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해 사용함)를 사용한다.
채널들이 RACH 및 FACH(예를 들어, 공유된 채널 모드)인 경우, (예를 들어, 통신될 작은 양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확립된 전용 베어러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통신될 많은 양의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 다운로드할 대용량(large)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용 채널(DCH) 모드 또는 Cell_DCH 상태(208)로 전환하고, 전용 베어러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다.
일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바뀌는 것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지연을 도입시키는데, 이는 추가적인 트래픽을 대기하는 동안의 지연을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휴 상태(202)로부터 Cell_DCH 상태(208)로의 전환은 약 5초 걸릴 수 있다. 다른 예에서, Cell-PCH 상태(204)로부터 Cell_FACH 상태(206) 또는 Cell_DCH 상태(208)로 바뀌는 것은 약 2초 걸릴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Cell_DCH 상태(208)로부터 다른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약 2초 내지 대략 15초 걸릴 수 있다. 지연 시간은 구성가능하고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존할 수 있다.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예시된 지연 시간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들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수반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연들로 인해, 상이한 운영자들(또는 서비스 제공자들)은 상태들 사이에서의 전환을 위해 상이한 지연 타이밍들을 확립할 수 있다. 이 타이밍이 에너지를 절약(예를 들어, 더 낮은 에너지 모드로의 전환)하기 위해서 공격적인 경우,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지만, 사용자 경험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 리소스들이 이용가능해지기 전에 사용자가 더 높은 전력 상태로의 전환을 대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Cell_DCH 상태(208)로부터 Cell_FACH 상태(206)로의 전환 시간은 상대적으로 빠를 수 있다(예를 들어, 2초). 그러나, 3초에, 즉 전환이 완료되었던 직후, 많은 양의 데이터가 교환될 것을 요구하는 이벤트가 존재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Cell_FACH 상태(206)로부터 Cell_DCH 상태(208)로 다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전환하기 위해서, FACH 및 RACH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Cell_DCH 상태(208)로 전환할 수 있기 전에 확립되는, 전용 베어러들에 대한 요청이 존재한다. Cell_DCH 상태(208)(및 연관된 지연 및 에너지 소모)로 전환한 후에만 모바일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수신/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모드로 남아 있는 모드 절들(verses)을 변경하는 동안 소모된 시간/에너지 간에 트래이드오프 (및 시간은 절약하지만 더 낮은 전력 모드로의 전환과 관련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가 존재한다.
개시된 양상들은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데이터의 딜리버리를 얼마나 오래 지연시키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프록시를 사용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프록시는 펨토 셀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데이터의 딜리버리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지연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연은 데이터 분류(classification)의 함수일 수 있다. 분류는 헤더에 포함되고 데이터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는 분류들에 따라 펨토 셀을 구성한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하는 구성가능한 분류들을 프록시로 통신한다). 프록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시도로 분류의 함수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상태 전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는 다수의 분류들을 가진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트하고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를 버스트로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한다.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를 딜리버리한 후, 프록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시 낮은 에너지 모드로 보낸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측파대(sideband) 제어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이용한 2차 WWAN 상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에너지 절약들의 제공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펨토 셀은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활성인 애플리케이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셋에 대해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을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하고 구성가능한 지연의 함수로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한다. 더 높은 지연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더 많은 양의 에너지 절약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짧은 지연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더 작은 양의 에너지 절약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에너지 소모 비용들의 예들은 전환들 동안 소모된 에너지 및 더 높은 에너지 상태들에 남아있는 동안 소모된 에너지를 포함한다. 에너지 상태 전환들(Cell_DCH에서 Cell_FACH로 Cell_PCH로 유휴 상태로의 전환을 포함)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에너지 소모는 프록시(또는 펨토 셀)로 오프로딩될 수 있다. 더 빠른 응답이 필요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더 높은 에너지 상태(예를 들어, 약 0.09㎃보다 더 높은 에너지 상태)에 있어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들은 거의 2 Kbyte이고 약 매 5분마다 도달할 수 있다. 트래픽 업데이트들 또는 다른 웹 액세스에 관한 질의들과 같은 인터넷 액세스들은 약 10 Kbyte 액세스일 수 있다. TCP(예를 들어, 이메일, 웹) 세션들을 위한 킵 얼라이브들은 드물게 있을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약 매 15분 마다 있을 수 있다. UDP 세션들들(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킵 얼라이브들은 보다 빈번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약 매 40초 마다 있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동기화(예를 들어, 채팅,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들)는 또한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펨토 셀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들 대신 네트워크로의 메시지들을 킵-얼라이브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는 또한, 메시지들을 동기화하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들을 업데이트하는 것에 응답할 수 있다.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예는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케이스에서, 펨토 셀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록시가 주기적인 킵-얼라이브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원격 피어들로부터 존재하는 업데이트들을 수신하고,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원격 피어들에게 주기적으로 프레즌스 업데이트들을 제공하고 프레즌스 프로브들을 취급하는 동안 모바일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예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애플리케이션 프록시일 수 있다.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VoIP 애플리케이션 피어들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와 동기화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슬립 상태와 웨이크업 상태가 되게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클라이언트에서의 VoIP 애플리케이션은, 펨토 셀에서의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무선 VoIP 애플리케이션 프록시와 매 1분에 한 번 (또는 다른 시간들로) 동기화할 수 있다.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애플리케이션 프록시와의 동기화 이벤트 후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프록시와의 다음 동기화 이벤트 전에 슬립 인터벌 동안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슬립 기간 동안, VoIP 프록시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에서의 VoIP 애플리케이션 대신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고, 관심있는 피어들에 관한 업데이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업데이트들을 피어들로 제공하고, 킵-얼라이브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네트워크 동기화 요청들에 응답하는 식일 수 있다. VoIP 프록시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와의 다음 동기화 이벤트에서 콜렉티브(collective) 업데이트를 모바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해 모든 업데이트된 정보를 어그리게이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옵션으로, 이 콜렉티브 업데이트는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른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의 콜렉티브 업데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착신 음성 호와 같은 중요한 이벤트가 존재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VoIP 애플리케이션 프록시가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으므로,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는 음성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런 때에, VoIP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는 휴면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인스턴트-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원하는 경우, 펨토 셀에서 계속해서 프록시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록시 지원은,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동작을 취하기 원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이를 테면, 음성 호를 개시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이메일을 전송하기 원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활동에 기초하여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펨토 셀로부터의 선택적(optional) 데이터 지연은 데이터 딜리버리를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측파대 데이터 경로들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에너지 절약들을 제공할 수 있다. 웹, 이메일, 및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들뿐만 아니라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지원이 제공될 수 있다. WWAN 통신들을 위한 책임은 프록시(또는 펨토 셀)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측파대들 중 하나는 거의 30 ㎃의 활성 모드 전류를 가질 수 있는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27
를 위한 것일 수 있다. WWAN 데이터 통신들이 평균 150㎃라는 것을 가정하고 플랫폼 상에서 처리되는 로컬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X ㎃를 가정한다. 데이터 처리 시간이 T초 걸리는 경우(그리고 WWAN 링크 및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28
링크들이 비슷한 대역폭을 가졌다고 가정하면), 상대적인 에너지 절약들은 ((X + 150 ㎃)-(X + 30 ㎃))T=120T ㎃s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펨토 셀에서의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을 위한 시스템(300)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도달 속도들, 지연 특징들, 및 대역폭 요건들을 갖는 다양한 타입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 에너지-상태 전환들 시에 많은 양의 에너지 손실이 존재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더 낮은 에너지 상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기 위해 WWAN을 대기하는 동안 많은 양의 에너지가 또한 손실될 수 있다. 시스템(300)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데이터의 전달이 얼마나 오래 지연되는지 (또는 지연되지 않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한 분류를 포함할 수 있는, 펨토 셀에 관한 코어스-그레인(coarse-grain)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에너지 절약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 측파대 제어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이용한 2차 WWAN 상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시스템(300)은, 펨토 셀에서의 파인 그레인(fine grain) 프록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펨토 셀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대해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을 실행한다.
일 양상에 따라, 펨토-프록시와 같은 프록시(302)일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가 시스템(300)에 포함된다. 프록시(302)는 모바일 디바이스(304)와 통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304)에서의 에너지 보존을 시도하도록 구성된다. 프록시(302)는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이용가능하다.
프록시(302)는 정보를 버퍼링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전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304) 상태 전환들을 관리할 수 있는 코어스-그레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는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활성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가진 시스템에서)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도 2를 참고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상태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WWAN 스택을 실행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프록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모바일 디바이스(304)에서의 에너지 보존을 시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측파대 경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록시(302) 및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측파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병렬 연결 및 일반적인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라, 휴면 상태들을 포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와 통신 중에 있을 수 있는 상태들(400)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유휴 상태(202), Cell_PCH 상태(204), Cell_FACH 상태(206), 및 Cell_DCH 상태(208)를 포함하는, WWAN 스택을 위한 WWAN 상태들(200)이 예시된다. 추가적으로, 측파대 경로(402)에 있는 상태들이 존재한다. 단지 하나의 측파대 경로(402)가 도시되었지만, 2 이상의 측파대 경로, 이를 테면, 펨토 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상이한 무선 링크들(예를 들어,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29
,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WAN, UWB(Ultra-Wide Band), 피어-투-피어, 등)을 지원하기 위한 상이한 측파대 경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측파대 경로(402)는 WWAN 상태들(200) 각각의 휴면 버전을 제공하고 DormantIdle-SBCtrl 상태(404), DormantPCH-SBCtrl 상태(406), DormantFACH-SBCntrl 상태(408), 및 DormantDCH-SBCntrl 상태(410)를 포함한다. 측파대 경로(402)는 (도 3의) 프록시(302)와 모바일 디바이스(304)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는 측파대 경로(402)에 의해 제어되고 이동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DCH 상태에 있을 수 있지만, WWAN 링크에 관한 한 휴면 상태이며 측파대 경로에 관한 한 활성이다.
도 3을 계속 참고하면, 프록시(302)는 제 1 상태(S1 상태(306)) 및 제 2 상태(S2 상태(308))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S1 상태(306)는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대해 WWAN 제안된 상태(예를 들어, WWAN 상태들(200))일 수 있고 WWAN(310)과의 프록시(302) 상호작용을 위해 유지될 수 있다. S2 상태(308)는 모바일 디바이스(304)(예를 들어, 측대역 경로(402))와의 프록시(302) 상호작용을 위해 유지되는 프록시(302) 최적화 상태이다. 다양한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05
,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 각각에 대한 상이한 상태와 같은 다수의 S2 상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S2 상태(308)는 S1 상태(306)의 에너지 레벨에 비교하면 더 낮은 에너지 레벨(예를 들어, 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함)일 수 있다. 데이터 속도들 또는 다른 기준(예를 들어, 분류)의 함수로서, 프록시(302)는 S1 상태(306) 또는 S2 상태(308)를 사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높은 데이터 속도를 요구하고 S1 상태(306)가 대역폭에 관하여 낮은 용량을 갖는 경우, 프록시(302)는 S1 상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전달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된 상태와 무관하게, WWAN(310)은,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S1 상태에 있고 S2 상태(308)를 인식할 필요가 없다고 간주(또는 가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4)를 위해 의도되는 WWAN(310)으로부터의 데이터는 프록시(302)의 수신기 컴포넌트(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컴포넌트(312)는 모바일 디바이스(304)를 위해 의도되는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WWAN(3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수신기 컴포넌트(312)는, 모바일 디바이스(304)로부터, WWAN(310)을 위해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컴포넌트(312)는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그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304), WWAN(310),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다.
WWAN(310)으로부터, 프록시(302)에 의해 중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전송된 데이터는 프록시(302)에 의해 처리된다. 프록시(302)는 WWAN(310)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는 모바일 디바이스(304) 대신에 WWAN(310)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프록시(302)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의 제 1 세트는 버퍼 컴포넌트(314)에 의해 버퍼링될 수 있다. 버퍼 컴포넌트(314)는 모바일 디바이스(304)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버퍼링한다. 데이터는 다양한 지속기간들, 즉 단기 지속기간 및 장기 지속기간 둘 모두 동안 버퍼링될 수 있다.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은 전송 컴포넌트(316)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전송된다.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후에,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이 전송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이 지연은 동적으로 구성가능하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데이터는 버퍼링되지 않지만 즉시, 또는 실질적으로 즉시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전송되는데, 이는 분류의 함수로서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제 1 서브셋에 대한 통과 지점(pass-through)으로서 그리고 애플리케이션들의 제 2 서브셋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에 의한 처리는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전송할지 여부의 결정을 포함하고 제 1 서브셋은 그 결정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선택적으로 전송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버퍼 컴포넌트(314)는 수신된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트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허용가능한 지연 시간, 분류, 서비스의 품질, 애플리케이션 타입, 구성가능한 선정,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트될 수 있다.
각각의 분류에 대한 허용가능한 지연 시간들은 범주화 컴포넌트(318)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데이터/애플리케이션의 지연 톨러런스에 기초할 수 있다. 범주화 컴포넌트(318)는, 각각의 분류에 대해 어느 경로(예를 들어, WWAN 경로, 측파대 경로)를 사용할 지와 관련된 정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어느 경로를 사용할지는 데이터/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필요로 되는 대역폭에 기초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각각의 분류의 레벨들(예를 들어, 허용가능한 지연 시간들, 필요로 되는 대역폭, 등)은 구성가능하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서빙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다수의 클래스들로 분할될 수 있다. 주어진 시간에 활성인 애플리케이션들이 지연 톨러런트인 경우, (데이터의 어그리게이트일 수 있는) 데이터가 버퍼링될 수 있고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프록시(302)에서 수신된 시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전송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가 웨이크업되었을 때마다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활성 음성 호가 없거나 또는 스트리밍 비디오가 없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매 20 밀리초마다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음성 호 또는 스트리밍 비디오 활성이 있었던 경우 웨이크업 했었을 것이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이 도달하고 있는 이메일인 경우, 그 이메일은 지연 톨러런트일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지, 약 매 2분마다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예를 들어, 이메일은 즉시 전송될 필요가 없다).
데이터의 분류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WWAN(310))가 정보를 프록시(302)로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이 분류는 약 3 비트의 데이터를 점유할 것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프록시(302)를 원하는 유효(최고) 클래스에 제공할 수 있는 분류 컴포넌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품질(QoS)의 함수로서 분류될 수 있고 8개의 QoS 클래스들로 소분할될 수 있다. 이 예에서 8개의 QoS 클래스들은 클래스 7, 클래스 6, 클래스 5, 클래스 4, 클래스 3, 클래스 2, 클래스 1 및 클래스 0이다. 클래스 7은 즉시, 또는 실질적으로 즉시 딜리버리되어야 하는 지연 임계 정보를 위해 예비된다. 클래스 7 데이터의 예는 착신 음성 호이다. 클래스 6은 높은 데이터 속도로 전송되어야 하는 지연 민감성 데이터/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것이다. 클래스 5는 낮은 데이터 속도로 전송될 수 있는 지연 민감성 데이터/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것이다. 클래스 4는 일정한 높은 데이터 속도로 전송되어야 하는 지연 톨러런트(delay-tolerant) 데이터/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것이다. 클래스 3은 높은 버스티 데이터 속도(bursty high data rate)로 전송되어야 하는 지연 톨러런트 데이터/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것이다. 클래스 2는 일정한 낮은 데이터 속도로 전송되어야하는 지연 톨러런트 데이터/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것이다. 낮은 버스티 데이터 속도로 전송될 수 있는 지연 톨러런트 데이터/애플리케이션들은 클래스 1로 범주화된다. 한가할 때에 딜리버리될 수 있는 광고들과 같은 지연 비-임계적인 데이터는 가장 낮은 레벨, 또는 클래스 0으로 범주화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분류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분류 컴포넌트(320)는 모바일 디바이스(3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키패드 등)와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호작용하고 분류 컴포넌트(320)에 의해 보유되고 통신되는 (분류를 포함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분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활상 상태에 있는 그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 지연 톨러런스 및 대역폭은 필요하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데이터 수신 또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전에 슬립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는 시간의 길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는 수신하게 될 데이터 트래픽을 인식하고 범주화 컴포넌트(318) 및/또는 버퍼 컴포넌트(314)는, 모바일 디바이스(304)와 연관된 데이터의 분류에 의해, 도달하는 트래픽에 대응하는 내부 맵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주화 컴포넌트(318)는, 클래스 4 애플리케이션이 도달하고 있고 그 애플리케이션이, 클래스 4 애플리케이션들이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딜리버리되기 전에 90 초 동안 유지될 수 있는 구성에 대응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될 수 있다. 이 케이스에서, 착신 데이터가 90초 내에 버퍼링되고 전달된다. 또한 클래스 4 애플리케이션인 다른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되었던 경우, 양자 모두의(both) 데이터는 어그리게이트되고 이전에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남은 시간(예를 들어, 90초 미만의 시간)에 전송될 수 있다. 프록시(302) 및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이전에 배열된 셋팅들, 허용가능한(tolerable) 지연들, 및 각각의 분류에 대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분류들에 기초하여, 프록시(302) 및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낮은 데이터 속도 링크(S2 상태) 또는 높은 데이터 속도 링크(S1 상태)를 사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30
를 위한 측파대, WWAN을 위한 측파대, 및 WLAN을 위한 측파대 등과 같은) 다수의 측파대 경로들이 존재한다. 사용할 특정 측파대 경로는 프록시(302)와 모바일 디바이스(304) 사이에 확립된 선호도의 함수로서 결정되며, 이는 데이터의 분류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사용될 측파대 경로는 데이터/애플리케이션의 타입 또는 다른 기준의 함수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반하는(per application basis) 분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래스 1의 3개의 애플리케이션들 및 클래스 6의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클래스 6 애플리케이션이 도달하는지 또는 클래스 1 애플리케이션이 도달하는지 여부에 따라, 프록시는 상이하게 실시될 것이다. 또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이 프록시에서 수신된 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되도록 프록시가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클래스로 콜랩스(collapse)하게 될 수 있고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 간에 구분이 필요 없다.
프록시(302)는, 상태 S2(308)를 사용할 경우 상태 S1(306)을 인지하게 된다. 프록시(302)에는, S2(308)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관측 컴포넌트(322)가 포함된다. 때로는, 상태 S2(308)와 연관된 제어-측파대는 이용불가능해질 수 있거나 또는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관측 컴포넌트(322)에 의한 모니터링이 상태 S2(308)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통지 컴포넌트(324)는 상태 S1(306)으로 전환할 것을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데이터 분류들은 서비스 품질(QoS) 레벨에 기초할 수 있다. QoS 레벨(또는 다른 분류)의 함수로서, 수신된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셋은 모바일 디바이스(304)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버퍼 컴포넌트(314)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QoS 레벨(또는 다른 분류)에 기초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최소 서브셋은 즉시, 또는 실질적으로 즉시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전달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의 서브셋이 즉시, 또는 실질적으로 즉시 전달되게 될 경우, 통지 컴포넌트(324)는 무선 링크(air link), 이를 테면 측파대 경로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04)를 웨이크업시키도록 구성된다.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데이터를 웨이크업시키는 것은 얼마나 빨리 WWAN(310)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프록시에 의해 더 빨리 실시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는, 네트워크가 모바일 디바이스(304)를 FACH 또는 Idle 상태들로 전송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르게 모바일 디바이스(304)를 FACH 또는 Idle 상태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는 상이한 분류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트하고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트로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딜리버리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트의 송신 이후, 프록시(302)는 낮은 에너지 모드로 다시 전환할 것을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지시할 수 있다. 버퍼 컴포넌트(314)에서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트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오랜 지속기간들 동안 슬립 상태에 있게 (또는 유휴 모드에 머물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리소스들을 절약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프록시(302)에 의해 취급될 수 있고 이용가능한 중요한 데이터가 있을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웨이크업되는데, 이는 사용자 구성에 기초하여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데이터 타입, 애플리케이션 타입, 또는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이를 테면 호출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04)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 및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주기적인 웨이크업 상태에 있고, 여기서 1분에 한번 정도, 디바이스들은 데이터를 교환한다. 그러나, 데이터 통신하는 다른 방식들도 또한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예의 클래스들을 이용하여, 클래스 0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되고 버퍼링되고 있다. 클래스 7로부터의 데이터가 도달하고 즉시 딜리버리되어야 한다. 클래스 7이 도달했다는 표시가 측파대 경로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클래스 7 데이터가 딜리버리되는 경우, 버퍼링되는 클래스 0 데이터가 피기백(piggyback)될 수 있고 그 클래스 7 데이터가 딜리버리된 후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클래스 0 데이터가 계속 버퍼링되고 있고 상이한 시각에 전송될 수 있다.
다음은 일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DCH-모드 애플리케이션이다. 매 분 마다 한번 도달하고 있는 50 Kbytes 또는 400 Kbits의 버스티 데이터(예를 들어, 일분에 한번 도달하고 있는 이메일)가 존재한다. 400 Kbps WWAN 링크는 이 데이터를 1 초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예에서, DCH 내지 FACH 유휴 시간은 15초라는 것을 가정한다. 펨토-모바일 디바이스 상호작용이 상태 S2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더 많은 데이터를 대기하는 추가 15 초 (에너지 낭비) 동안 DCH 모드에 계속 있어야 하고, 이 더 많은 데이터는 그 15초 이내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펨토-모바일 디바이스 상호작용이 상태 S2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Y초 동안 DCH 모드에 머물 수 있고, 여기서, Y는 15초 미만이고(Y>15초), 이후 dormantDCH 모드로 전환한다.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31
제어(Cntrl) 측파대는 휴면 DCH 모드에서 활성 상태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32
스니프 모드에 머무를 수 있고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한다. DCH 모드에서 평균 201㎃가 소모된다고 가정하고, BTCntrlSideband에 의해 휴면 DCH 모드에서 1㎃ 평균 전류가 소모된다. Y=2초가 (((201-1)(15-Y)) = (200 *13) = 2600 mAs로부터 유도된) 2600㎃s인 경우 DCH 모드 종료에 앞서 15초 동안 에너지가 절약된다. 각각의 상태 머신에서 전환된 상태들에 의존하여 다음 데이터 도달 시까지 추가적인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록시(302)는 파인-그레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록시(302)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활성인 이들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326)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록시(302)는,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304)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330)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터스 컴포넌트(328)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326)는 활성 애플리케이션들(330)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에 대해 동작된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326)는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된다. 버퍼링된 데이터는 구성가능한 지연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된다. 파인-그레인 무선 애플릭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위한 구성은 애플리케이션들의 프록시로의 명시적인 포팅(porting)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버퍼링하며 구성가능한 지연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한다. 지연이 더 높을수록,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절약될 수 있는 에너지가 더 많다. 예를 들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다. 이메일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 프록시에 의해 수신되고 나중 시간에 모바일 디바이스와 동기화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펨토-프록시 상에서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펨토-프록시가 설치되어있는 하우스로부터 떨어져 있는) 펨토-프록시와 통신 중에 있지 않은 경우, 펨토-프록시가 작동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펨토-프록시와의 연결을 획득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가 펨토-프록시에 의해 버퍼링되었던 데이터를 수신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펨토-프록시의 범위 내에 있다는 의미에서 볼 때 능동적으로 활성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펨토-프록시의 범위 내에 있지 않다 하더라도, 애플리케이션 프록시가 활성일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펨토-프록시를 셋업하고, 예를 들어, 오버 디 에어로 전송된 광고들이 펨토-프록시에 의해 수신되고 버퍼링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후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하는 경우 펨토-프록시로부터 광고들을 리트리브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프록시(326)는 모바일 디바이스(304)와 연관된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들, VoIP 애플리케이션들 등) 대신 네트워크로 메시지들을 킵-얼라이브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326)는 또한 동기화 메시지들에 응답하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이 모바일 디바이스(304) 대신 네트워크(및 다른 디바이스들)와 통신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슬립 상태일 수 있다. 332에서 도시된,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중요한 이벤트(예를 들어, 음성 호)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록시(326)는 웨이크-업 메시지(334)를 모바일 디바이스(304)와 프록시(302)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전송할 수 있다. 웨이크-업 메시지(334)는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웨이크업되도록 허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4)의 사용자가 음성 호 또는 다른 중요한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 최적화된 상태는 펨토-프록시에서 지원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특정 데이터는 펨토-프록시에서 버퍼링될 수 있다. 펨토-프록시는 단지 소수의(a few) 클라이언트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들)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펨토-프록시는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WWAN 전력 상태 최적화를 위해 추가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디바이스 최적화된 상태 전환 지연들은 음성 전용, 이메일 및 음성, 웹 및 음성, 이메일 및 인스턴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들 그리고 웹 및 음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필요들(needs)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펨토-프록시는,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33
제어 시그널링 측파대를 이용할 경우, 펨토 프록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최적화된 더 낮은 에너지 상태(예를 들어, S2 상태)를 지원할 수 있다. 펨토-프록시는, 현재 활용도, 펨토-프록시에서의 버퍼링 능력들, 펨토-프록시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인식,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34
-제어-시그널링-측파대 경로를 통한 응답 시간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기초하여 S2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펨토-프록시는, 나머지 네트워크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더 높은 에너지/데이터-속도의 상태 S1에 대한 리소스들을 유지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태 S2로 공격적으로 파워 다운할 수 있다.
메모리(336)는 프록시(302)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336)는 프록시(302) 외부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프록시(302)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메모리(336)는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들과 관련된 정보 및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되고 수신된 신호들과 관련된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6)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는 것 및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할 수 있다. 메모리(336)는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는 것,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는 것, 및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이후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명령들을 보유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메모리(336)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명령들을 보유한다. 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들은 통신 장치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에 대해 제 1 상태를 예비하는 것 및 통신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에 대해 제 2 상태를 예비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메모리(336)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는 것, 활성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동작시키는 것, 각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 및 구성가능한 지연의 만료 후 버퍼링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명령들을 보유한다.
메모리(336)는, 프록시(302)와 모바일 디바이스(304)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 등의 조치를 위하여, 펨토 셀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과 연관된 프로토콜들을 저장할 수 있어서, 프록시(302)가 저장된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사용하여 시스템(300)에서 개선된 통신들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데이터 저장 (예를 들어, 메모리들) 컴포넌트들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머블 ROM(PROM), 전기적 프로그래머블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동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DRAM(SDRAM), 더블 데이터 속도 SDRAM(DDR SDRAM), 인핸스드 SDRAM(E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및 다이렉트 Rambus RAM(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들에서 이용가능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된 양상들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적절한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의도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38)는 통신 네트워크의 펨토 셀에서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프록시(302)(및/또는 메모리(336))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38)는, 프록시(302) 및/또는 프록시(302)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그리고/또는 생성하도록 전용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38)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하는 제 1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8)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338)에는,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는 제 3 모듈 및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처리하는 제 4 모듈이 포함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38)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는 제 5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384)는 또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이후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 6 모듈을 포함한다. 이 지연은 동적으로 구성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양상에 따른, 프록시(예를 들어, 펨토-프록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최적화된 WWAN 상태에 대한 예시적인 시스템(500)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502)는 WWAN 프로토콜 링크(504)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링크들(506), 예컨대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35
링크 또는 대안적인 단거리 프로토콜 링크 또는 다른 프로토콜 링크(예를 들어, 측파대 경로)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록시(508)는 터널(510)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록시(508)는 모바일 디바이스(502)의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한 시도로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502)로 딜리버리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WWAN 프로토콜 링크(504) 상에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지만, 다른 링크들(506)(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UWB,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36
등) 중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프록시(508)는, 상이한 상태들, 이를 테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일반적 WWAN 네트워크 상태(512),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데이터 버퍼링 상태(514),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프록시-최적화된 WWAN 상태(516)에 있을 수 있다. 프록시(508)와 모바일 디바이스(502) 사이에 데이터의 전송 시기와 관련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되고 설명되어진 예시적인 시스템들을 고려하여, 개시된 주제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방법론들은 다양한 흐름도들을 참고로 하여 더욱 잘 인식될 것이다.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법론들은 일련의 블록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일부 블록들이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는 상이한 순서들로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다른 블록들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구된 주제는 블록들의 개수 또는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시된 블록들 모두가 본원에 설명된 방법론들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하지는 않을 수 있다. 블록들과 연관된 기능성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예를 들어, 디바이스, 시스템, 프로세스,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방법론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로 전송하고 이동시키는 이러한 방법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조 물품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해야 한다. 당업자는, 방법론은 대안적으로, 일련의 서로 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 이를 테면, 상태도 내에서와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도 6은 일 양상에 따른,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서 사용되는 방법(600)을 도시한다. 방법(600)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와의 통신들이 지원되는, 602에서 시작한다. 무선 노드는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 가능하다. 604에서, 무선 노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이 제공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은, 무선 노드에 의해 제 2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된다. 제 1 무선 링크 및/또는 제 2 무선 링크는 무선 노드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노드 간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가 암호화된다.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은 제 2 무선 링크의 이용가능성에 의존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무선 노드는 펨토 셀이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방법(600)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활성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방법(600)은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중요한 이벤트(예를 들어, 음성 호, 비상 호, 긴급한 문자 메시지)의 도달 시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노드 간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은 일 양상에 따른,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서 사용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602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WWAN과의 통신들을 지원하고, 604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702에서, WWAN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는 것, 및 704에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704에서, 처리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은 구성가능한 선택, 허용가능한 지연 시간, 분류, 서비스 품질, 애플리케이션 타입 또는 이들의 조합들의 함수로서 버퍼링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제 1 서브셋은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버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셋은 지연 톨러런트인 데이터일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이 분류는 데이터의 헤더에서 수신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분류는, 데이터의 수신 전에(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다. 예를 들면, 분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구성되고 펨토 셀로 통신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은 상이한 분류들로부터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이한 분류들은 상이한 데이터 속도들로 전송(예를 들어, 한가한 때에, 낮은 버스티 데이터 속도, 일정한 낮은 데이터 속도, 높은 버스티 데이터 속도 등으로 딜리버리)될 수 있는 지연 톨러런트 데이터에 대한 분류들일 수 있다.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트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선택된 시간의 기간(예를 들어, 5분) 동안 어그리게이트될 수 있다. 인터벌의 만료 후, 어그리게이트되었던 데이터가 전송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의 수신 이후 낮은 에너지 모드로 진입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708에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은,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데이터의 만료 이후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된다. 지연은 동적으로 구성가능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처리는 또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전달하는 것은 그 결정에 기초하여 실시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704에서의, 처리하는 것은, 7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 대신에 WWAN으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방법(700)은,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이 수신되는 712로 계속 이어진다. 714에서,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이 버퍼링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714에서의 버퍼링하는 것은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트하는 것을 포함하고 전달하는 것은,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트로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700)은 또한,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의 수신 이후 낮은 에너지 모드로 진입할 것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트하는 것은 분류, 서비스 품질, 애플리케이션 타입, 구성가능한 선택, 허용가능한 지연 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기초할 수 있다.
716에서,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은,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이 전송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된다.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이, 버퍼링될 수 있고 제 2 서브셋과 연관된 구성가능한 지연의 만료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이 60초의 지연 톨러런스를 갖는 경우, 60초의 만료 이후, 제 2 서브셋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일 양상에 따른,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을 위한 통신 환경에서 사용되는 방법(800)을 도시한다. 방법(800)은 허용가능한 지연 이후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 에너지 및 다른 리소스들을 절약하도록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법(800)은 무선 노드에 의해 실시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적어도 2가지 상태들을 유지하는 802에서 시작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 무선 노드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노드는 사용자의 가정 내에 설치되는 펨토 셀로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및 가족 구성원들)에 의해 사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펨토 셀에 알려질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펨토 셀의 범위 내로 이동되었던 디바이스이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계획되지 않은 방식으로 디플로이되는) 펨토 셀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친구가 가족을 방문 중일 수 있고 친구가 그 집에 있는 동안 펨토 셀을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 1 상태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 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802에서, 유지하는 것은 무선 노드와 WWAN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 1 상태를 예비하는 것 및 무선 노드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 2 상태를 예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제 2 상태는 제 1 상태의 에너지 레벨과 비교하여 더 낮은 에너지 레벨로 유지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제 1 상태는 펨토 셀과 무선 광역 네트워크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해 예비되고 제 2 상태는 펨토 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예비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방법(800)은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링하는 804로 계속 이어진다. 806에서, 모니터링이 제 2 상태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상태로부터 제 1 상태로 전환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은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에 의존한다.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은 제 1 상태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은 제 1 상태 동안 또는 제 2 상태 동안 전달될 수 있다.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위해 어느 상태를 사용할 지의 결정은 그 데이터를 위해 필요한 대역폭의 양, 서비스 품질에 기초되거나,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에 기초될 수 있다.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은 지연 민감성인 데이터일 수 있고 즉시, 또는 실질적으로 즉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실시된다. 모니터링하는 것은, 데이터가 제 2 상태 동안 또는 다른 때에 전송되고 있는 동안 발생할 수 있다. 모니터링하는 것이, 제 2 상태가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상태로부터 제 1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데이터는 제 1 상태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및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3 세트 및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4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후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5 세트가 포함된다.
도 9는 본원에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펨토 셀에서 프록시 지원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900)의 도시이다. 시스템(900)은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90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902)은 수신 안테나(906)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디바이스들(904)(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고, 전송 안테나(908)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디바이스들(904)로 전송한다.
기지국(902)은, 수신 안테나(9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910)를 포함하고 수신기(910)는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912)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다. 변조된 심볼들은, 유니캐스트 파형으로 임베딩되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파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916)에 결합되는 프로세서(914)에 의해 분석된다. 변조기(918)는, 전송 안테나(908)를 통해 송신기(920)에 의한 통신 디바이스들(904)로의 송신을 위해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914)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록시(922)에 추가로 결합된다. 수신된 데이터가 버퍼링되고 구성가능한 지연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수신된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와 어그리게이트될 수 있고 구성가능한 지연 이후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록시(922)에서 수신된 때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데이터를 버퍼링할지,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트할지,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즉시 전송할지 여부의 결정, 및 구성가능한 지연은 데이터의 분류에 기초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록시(922)는 분류 및/또는 데이터 경로의 이용가능성의 함수로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데이터 경로(예를 들어, WWAN, 측파대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일 양상에 따라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000)이 도시된다. 시스템(1000)은 펨토 셀 범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시스템(1000)은 기능적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어지고, 이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된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들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시스템(1000)은 별개로 또는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핑(1002)을 포함한다. 논리 그룹핑(1002)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4)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 그룹핑(1002)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6)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전기 컴포넌트(1006)는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8) 및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처리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10)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논리 그룹핑(1002)은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12)를 포함한다. 또한, 논리 그룹핑(1002)에는,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후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14)가 포함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논리 그룹핑(1002)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유지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16)를 포함한다. 전기 컴포넌트(1016)는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해 제 1 상태를 예비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18)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 2 상태를 예비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논리 그룹핑(1002)은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22)를 포함한다. 또한, 논리 그룹핑(1002)에는, 전기 컴포넌트(1022)가 제 2 상태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상태로부터 제 1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24)가 포함된다. 전기 컴포넌트(1014)는 제 1 상태에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전송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논리 그룹핑(1002)은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26),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버퍼링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28), 및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전송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30)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논리 그룹핑(1002)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32)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실행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34)를 포함한다. 또한, 논리 그룹핑(1002)에는 구성가능한 지연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리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36)가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000)은 전기 컴포넌트들(1004-1036)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03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3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004-1036)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메모리(1038)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을 도시한다. 명료함을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은 하나의 기지국(1102) 및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104)를 도시한다. 하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은 하나 초과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초과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며, 여기서 추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이하 설명되는 예시적인 기지국(1102) 및 모바일 디바이스(1104)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추가로, 기지국(1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4)는 그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기지국(1102)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106)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1108)로 제공된다. 일 예에 따르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개별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08)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그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되거나(FDM), 시 분할 멀티플렉싱되거나(TD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기지의 방식으로 처리되는 기지의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104)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변조 방식(예컨대, 이진 위상-쉬프트 키잉(BPSK), 쿼드라쳐 위상-쉬프트 키잉(QPSK), M-위상-쉬프트 키잉(M-PSK), M-쿼드라쳐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하여 변조(예컨대, 심볼 매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속도, 코딩 및 변조가 프로세서(1110)에 의해서 수행 또는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이 TX MIMO 프로세서(1112)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TX MIMO 프로세서는 (예컨대, OFDM에 대해) 상기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1112)는 그 후에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1114a 내지 1114t)로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112)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상기 심볼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1114)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고, 그리고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추가로 컨디셔닝(예컨대,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한다. 추가로, 송신기들(1114a 내지 1114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NT개의 안테나들(1116a 내지 1116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4)에서, 전송되는 변조된 신호들이 NR개의 안테나들(1118a 내지 1118r)에 의해 수신되고 그리고 각각의 안테나(1118)로부터의 수신된 신호가 각각의 수신기(RCVR)(1120a 내지 1120r)로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1120)는 각각의 신호를 컨디셔닝(예컨대,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그리고 샘플들을 추가로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22)는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수신기 처리 기술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기들(1120)로부터의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22)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22)에 의한 처리는 기지국(1102)에서 TX MIMO 프로세서(1112)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108)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124)는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어느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1124)는 행렬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포뮬레이팅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126)에 의해 처리될 수 있고, 변조기(113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1132a 내지 1132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기지국(1102)으로 다시 전송될 수 있으며, TX 데이터 프로세서(1126)는 또한 데이터 소스(1128)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한다.
기지국(110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4)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들(1116)에 의해서 수신되고, 수신기들(1134a 내지 1134t)에 의해서 컨디셔닝되고, 복조기(1136)에 의해서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138)에 의해 처리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104)에 의해 전송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추가로, 프로세서(1110)는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느 프리코딩 행렬이 이용될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110 및 1124)은 기지국(1102) 및 모바일 디바이스(1104) 각각에서의 동작을 지시(예컨대,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110 및 1124)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40 및 1142)와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110 및 1124)은 각각, 또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들을 유도하기 위해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수단(connection)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위의 것들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계들 및/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고,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 유닛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들은 종종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셜 지상 라디오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또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이볼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Figure 112013000599641-pct00013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유니버셜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벌루션(LTE)은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이며, 이는 다운링크 상에서 OFDMA를 그리고 업링크 상에서 SC-FDMA를 사용한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되는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추가적으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되는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또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비쌍형 비승인 스펙트럼(unpaired unlicensed spectrum)들, 802.xx 무선 LAN, BlueTooth
Figure 112013000599641-pct00014
및 임의의 다른 단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종종 사용하여 피어-투-피어(예를 들어, 모바일-투-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일 반송파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등화를 이용하는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는, 개시되는 양상들을 사용하여 이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SC-FDMA는 OFDMA 시스템의 것들과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유사한 전반적인 복잡도를 가진다. SC-FDMA 신호는 자신의 고유한 단일 반송파 구조로 인한 더 낮은 피크-대-평균 전력 비(PAPR)를 가진다. SC-FDMA는, 낮은 PAPR이 전송 전력 효율성 측면에서 모바일 단말에 유리할 수 있는 업링크 통신들에서 활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하여 방법, 장치 또는 제조 물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제조 물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반송파, 또는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등), 광 디스크들(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등),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기계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이들로 제한하지 않고,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터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removable)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ASIC는 사용자 단말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양상들에서,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포함될 수 있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의,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의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상기 개시는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논의하지만, 다양한 변화들 및 변경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설명되는 양상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이러한 모든 변화들, 변경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설명되는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은 단수형으로 설명되거나 또는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형으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표기되지 않는 한 복수형이 참작된다. 추가적으로,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이용될 수 있다.
"포함하다(include)"라는 용어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용어는, 청구항에서 전이어로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하는(comprising)"이 해석되는 것처럼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인 "또는"이라기보다는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또는 문맥상으로 명백하지않다면, "X는 A 또는 B를 사용한다"라는 문구는 본래의 포괄적인 순열들 중 임의의 순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는 A 또는 B를 사용한다"라는 문구는 다음의 경우들: X가 A를 사용한다; X가 B를 사용한다;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사용한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충족된다. 추가적으로, 단수 형태에 관한 것으로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또는 문맥상으로 명백하지 않다면,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관사('a' 및 'an')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및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인 컴퓨터-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로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둘 모두가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되는 다양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이를테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가지는 신호(이를테면, 로컬 시스템에서, 분산 시스템에서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한 다른 시스템들과의 네트워크(이를테면, 인터넷)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무선 단말, 노드, 디바이스,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 등이라 칭해질 수 있으며, 이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IP) 전화, 스마트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랩탑,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무선 모뎀 카드 및/또는 무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양상들은 기지국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 통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Node B, e-NodeB, e-NB 또는 일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라 칭해질 수 있으며, 이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에 대하여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이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추가적인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 및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들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설명에서, "예시적인"(및 이의 변형들)이라는 용어는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하는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예시적인"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는 반드시 다른 양상들 또는 설계들보다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예시적인"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7)

  1.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노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노드는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가능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이후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상기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은 동적으로 구성가능한,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실시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 대신 상기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하는 단계는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데이터 버스트 내에서 딜리버링(deliver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어그리게이트된 데이터의 수신 이후 낮은 에너지 모드로 진입할 것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게이트하는 단계는 분류(classification), 서비스 품질, 애플리케이션 타입, 구성가능한 선정, 허용가능한 지연 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기초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노드와 상기 무선 광역 네트워크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해 제 1 상태를 예비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노드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해 제 2 상태를 예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1 상태와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더 낮은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상기 제 2 상태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상기 제 1 상태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은 제 2 무선 링크의 이용가능성에 의존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은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제 2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링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링크 또는 상기 제 2 무선 링크는 상기 무선 노드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택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은 상기 제 2 무선 링크의 이용가능성에 의존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활성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프록시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중요한 이벤트(significant event)의 도달 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노드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웨이크업(wake up)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노드 간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가 암호화되는,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는 펨토 셀인, 무선 노드에서의 통신 환경에 사용되는 방법.
  23. 통신 장치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는 것 및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에 보유된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가능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는 것,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는 것, 및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이후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상기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명령들을 보유하는,
    통신 장치.
  24. 삭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명령들을 보유하고,
    상기 유지하는 것과 관련되는 명령들은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무선 광역 네트워크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해 제 1 상태를 예비하는 것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해 제 2 상태를 예비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는 것, 상기 활성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동작시키는 것, 각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 및 구성가능한 지연의 만료 이후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링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명령들을 보유하는, 통신 장치.
  27.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28. 삭제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이후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무선 광역 네트워크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해 제 1 상태를 예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을 위해 제 2 상태를 예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제 2 상태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상기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상기 제 1 상태에서 전송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32. 제 27 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버퍼링하기 위한 수단; 및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데이터의 제 2 서브셋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해 상기 활성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록시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가능한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딜리버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34.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3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4 세트;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이후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5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5. 삭제
  36.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을 지원하는 제 1 모듈;
    애플리케이션 프록시 지원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에 제공하는 제 2 모듈;
    상기 무선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수신하는 제 3 모듈; 및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처리하는 제 4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나중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버퍼링하는 제 5 모듈; 및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과 연관된 지연의 만료 이후 상기 데이터의 제 1 서브셋을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 6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연은 동적으로 구성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록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KR1020127034101A 2010-06-02 2011-06-02 무선 링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 KR101514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92,433 2010-06-02
US12/792,433 US9521621B2 (en) 2010-06-02 2010-06-02 Application-proxy support over a wireless link
PCT/US2011/038876 WO2011153313A1 (en) 2010-06-02 2011-06-02 Application-proxy support over a wireless l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837A KR20130041837A (ko) 2013-04-25
KR101514709B1 true KR101514709B1 (ko) 2015-04-23

Family

ID=4434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101A KR101514709B1 (ko) 2010-06-02 2011-06-02 무선 링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21621B2 (ko)
EP (1) EP2578024A1 (ko)
JP (1) JP5670554B2 (ko)
KR (1) KR101514709B1 (ko)
CN (1) CN102939782B (ko)
WO (1) WO2011153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6261B1 (en) 2002-01-08 2018-03-07 Seven Networks, LLC Connection architecture for a mobile network
US8438633B1 (en) 2005-04-21 2013-05-07 Seven Networks, Inc. Flexible real-time inbox access
WO2006136660A1 (en) 2005-06-21 2006-12-28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Maintain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KR100926941B1 (ko) * 2007-01-05 2009-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805425B2 (en) 2007-06-01 2014-08-12 Seven Networks, Inc. Integrated messaging
US9002828B2 (en) 2007-12-13 2015-04-07 Seven Networks, Inc. Predictive content delivery
US8862657B2 (en) 2008-01-25 2014-10-14 Seven Networks, Inc. Policy based content service
US20090193338A1 (en) 2008-01-28 2009-07-30 Trevor Fiatal Reducing network and battery consumption during content delivery and playback
US9456054B2 (en) 2008-05-16 2016-09-2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ntrolling the spread of interests and content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8909759B2 (en) 2008-10-10 2014-12-09 Seven Networks, Inc. Bandwidth measurement
US20100316150A1 (en) * 2009-06-05 2010-12-16 Broadcom Corporation Mixed mode operations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8923293B2 (en) 2009-10-21 2014-12-3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Adaptive multi-interface use for content networking
CA2806527A1 (en) 2010-07-26 2012-02-09 Seven Networks, Inc.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US8838783B2 (en) 2010-07-26 2014-09-16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caching for resource and mobile network traffic management
US11595901B2 (en) 2010-07-26 2023-02-28 Seven Networks, Llc Optimizing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running on a mobile device
US9143386B1 (en) * 2010-09-27 2015-09-2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Remote keep-alive messag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2060995A2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US8843153B2 (en) 2010-11-01 2014-09-23 Seven Networks, Inc. Mobile traffic categorization and policy for network use optimization while preserving user experience
US9178917B2 (en) * 2010-12-16 2015-11-0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ustodian routing with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n content-centric networks
US9264459B2 (en) * 2010-12-16 2016-02-1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IP-based custodian routing in content-centric networks
GB2504037B (en) 2011-04-27 2014-12-24 Seven Networks Inc Mobile device which offloads requests made by a mobile application to a remote entity for conservation of mobile device and network resources
KR101796532B1 (ko) * 2011-06-22 2017-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모드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8934414B2 (en) 2011-12-06 2015-01-13 Seven Networks, Inc. Cellular or WiFi mobile traffic optimization based on public or private network destination
EP2789137A4 (en) 2011-12-06 2015-12-02 Seven Networks Inc SYSTEM OF REDUNDANTLY CLUSTERED MACHINES FOR PROVIDING TILTING MECHANISMS IN MOBILE TRAFFIC MANAGEMENT AND NETWORK RESOURCE PRESERVATION
WO2013086455A1 (en) 2011-12-07 2013-06-13 Seven Networks, Inc. Flexible and dynamic integration schemas of a traffic management system with various network operators for network traffic alleviation
FR2985050A1 (fr) * 2011-12-21 2013-06-28 France Telecom Procede de reveil d'un ordinateur, et systeme de reveil correspondant
US9749435B2 (en) * 2012-01-20 2017-08-29 Apple Inc. Proxy-based push service
US10163064B2 (en) 2012-04-03 2018-12-25 Sears Brand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ed sales associate services
US20190287068A1 (en) * 2012-04-03 2019-09-19 Transform Sr Brand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ed sales associate services
US10242343B2 (en) * 2012-04-03 2019-03-26 Sears Brand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ed sales associate services
US8812695B2 (en) 2012-04-09 2014-08-19 Seven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virtual network connection without heartbeat messages
WO2013176591A1 (en) * 2012-05-25 2013-1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in a radio access network to transi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tates
WO2013181017A2 (en) * 2012-06-01 2013-12-05 Sears Brand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ed sales associate services
US8989070B2 (en) 2012-07-02 2015-03-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WO2014011216A1 (en) 2012-07-13 2014-01-16 Seven Networks, Inc.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for browsing or streaming activity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prediction of user behavior when interacting with mobile applications
US8989092B2 (en) * 2012-10-04 2015-03-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ignaling control for reduced signaling storm and improved user equipment battery life
US9280546B2 (en) 2012-10-31 2016-03-0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digital content using a location-independent name
US9400800B2 (en) 2012-11-19 2016-07-2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Data transport by named content synchronization
US10136355B2 (en) 2012-11-26 2018-11-20 Vasona Networks, Inc. Reducing signaling load on a mobile network
US9584411B2 (en) 2012-12-06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mechanism for low-power network devices
US10430839B2 (en) 2012-12-12 2019-10-01 Cisco Technology, Inc. Distributed advertisement insertion in content-centric networks
KR20140093088A (ko) 2013-01-17 2014-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US8874761B2 (en) 2013-01-25 2014-10-28 Seven Networks, Inc. Signaling optim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traffic utilizing proprietary and non-proprietary protocols
US9326185B2 (en) 2013-03-11 2016-04-26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congestion recognition for optimization of mobile traffic
US9978025B2 (en) 2013-03-20 2018-05-22 Cisco Technology, Inc. Ordered-element naming for name-based packet forwarding
US9935791B2 (en) 2013-05-20 2018-04-0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name resolution across heterogeneous architectures
US9185120B2 (en) 2013-05-23 2015-11-1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interest flooding attacks in content-centric networks
GB2516511B (en) * 2013-07-22 2016-02-17 Seven Networks Llc A proxy server associated with a mobile carrier for enhancing mobile traffic management in a mobile network
US9065765B2 (en) 2013-07-22 2015-06-23 Seven Networks, Inc. Proxy server associated with a mobile carrier for enhancing mobile traffic management in a mobile network
US9444722B2 (en) 2013-08-01 2016-09-1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outing paths in a custodian-based routing architecture
KR20150044330A (ko) * 2013-10-16 2015-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가 AP(Access Point)로 동작하는 방법,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US9407549B2 (en) 2013-10-29 2016-08-0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ash-based forwarding of packets with hierarchically structured variable-length identifiers
US9282050B2 (en) 2013-10-30 2016-03-0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inimum path MTU discovery in content centric networks
US9276840B2 (en) 2013-10-30 2016-03-0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Interest messages with a payload for a named data network
US9401864B2 (en) 2013-10-31 2016-07-2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Express header for packets with hierarchically structured variable-length identifiers
US10039028B2 (en) 2013-11-12 2018-07-31 Vasona Networks Inc.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0341881B2 (en) 2013-11-12 2019-07-02 Vasona Networks, Inc. Supervision of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9311377B2 (en) 2013-11-13 2016-04-1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rver handoff in a name-bas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10129365B2 (en) 2013-11-13 2018-11-1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remote content based on static and dynamic recommendations
US10101801B2 (en) 2013-11-13 2018-10-16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content in a data stream
US10089655B2 (en) 2013-11-27 2018-10-0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e data broadcasting
US9503358B2 (en) 2013-12-05 2016-11-2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Distance-based routing in an information-centric network
WO2015084380A1 (en) * 2013-12-05 2015-06-11 Nokia Technologies Oy Dynamic ungrouping of ip packets before cellular transmission
US9379979B2 (en) 2014-01-14 2016-06-2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virtual interface for a set of mutual-listener devices
US10098051B2 (en) 2014-01-22 2018-10-09 Cisco Technology, Inc. Gateways and routing in software-defined manets
US10172068B2 (en) 2014-01-22 2019-01-01 Cisco Technology, Inc. Service-oriented routing in software-defined MANETs
US9374304B2 (en) 2014-01-24 2016-06-2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End-to end route tracing over a named-data network
US9954678B2 (en) 2014-02-06 2018-04-24 Cisco Technology, Inc. Content-based transport security
US9531679B2 (en) 2014-02-06 2016-12-2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ntent-based transport security for distributed producers
US9678998B2 (en) 2014-02-28 2017-06-13 Cisco Technology, Inc. Content name resolution for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US10089651B2 (en) 2014-03-03 2018-10-0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advertisements in a scalable data broadcasting system
US9836540B2 (en) 2014-03-04 2017-12-0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storage access in a content-centric network
US9626413B2 (en) 2014-03-10 2017-04-18 Cisco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ranking content popularity in a content-centric network
US9391896B2 (en) 2014-03-10 2016-07-1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forwarding using a conjunctive normal form strategy in a content-centric network
US9473405B2 (en) 2014-03-10 2016-10-1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ncurrent hashes and sub-hashes on data streams
EP2919418B1 (en) * 2014-03-13 2017-03-01 Alcatel Lucent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for a mobile transceiver
US9407432B2 (en) 2014-03-19 2016-08-0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and secur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US9916601B2 (en) 2014-03-21 2018-03-13 Cisco Technology, Inc. Marketplace for presenting advertisements in a scalable data broadcasting system
US9363179B2 (en) 2014-03-26 2016-06-0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ulti-publisher routing protocol for named data networks
US9363086B2 (en) 2014-03-31 2016-06-0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Aggregate signing of data in content centric networking
US9716622B2 (en) 2014-04-01 2017-07-2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name configuration in content-centric networks
US9473576B2 (en) 2014-04-07 2016-10-1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ervice discovery using collection synchronization with exact names
US9390289B2 (en) 2014-04-07 2016-07-1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ecure collection synchronization using matched network names
US10075521B2 (en) 2014-04-07 2018-09-11 Cisco Technology, Inc. Collection synchronization using equality matched network names
US9451032B2 (en) 2014-04-10 2016-09-2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imple service discovery in content-centric networks
US9961131B2 (en) * 2014-04-25 2018-05-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reliability for client-based web services
US20170188273A1 (en) * 2014-04-25 2017-06-29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handover initiation
US9203885B2 (en) 2014-04-28 2015-12-0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bidirectional streams over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992281B2 (en) 2014-05-01 2018-06-05 Cisco Technology, Inc. Accountable content stores for information centric networks
US9609014B2 (en) 2014-05-22 2017-03-28 Cisco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nsertion of malicious content at a named data network router
US9455835B2 (en) 2014-05-23 2016-09-2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ircular link resolution with hash-based names in content-centric networks
US9276751B2 (en) 2014-05-28 2016-03-0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ircular link resolution with computable hash-based names in content-centric networks
US9537719B2 (en) 2014-06-19 2017-01-0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 minimal-cost CCN topology
US9516144B2 (en) 2014-06-19 2016-12-0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ut-through forwarding of CCNx message fragments with IP encapsulation
US9467377B2 (en) 2014-06-19 2016-10-1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Associating consumer states with interests in a content-centric network
US9426113B2 (en) 2014-06-30 2016-08-2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over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699198B2 (en) 2014-07-07 2017-07-0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arallel secure content bootstrapping in content-centric networks
US9959156B2 (en) 2014-07-17 2018-05-01 Cisco Technology, Inc. Interest return control message
US9621354B2 (en) 2014-07-17 2017-04-11 Cisco Systems, Inc. Reconstructable content objects
US9590887B2 (en) 2014-07-18 2017-03-07 Cisco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keeping interest alive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729616B2 (en) 2014-07-18 2017-08-08 Cisco Technology, Inc. Reputation-based strategy for forwarding and responding to interests over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535968B2 (en) 2014-07-21 2017-01-0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for distributing nameless objects using self-certifying names
US9882964B2 (en) 2014-08-08 2018-01-30 Cisco Technology, Inc. Explicit strategy feedback in name-based forwarding
US9503365B2 (en) 2014-08-11 2016-11-2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Reputation-based instruction processing over a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US9729662B2 (en) 2014-08-11 2017-08-08 Cisco Technology, Inc. Probabilistic lazy-forwarding technique without validation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391777B2 (en) 2014-08-15 2016-07-1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key resolution over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800637B2 (en) 2014-08-19 2017-10-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in-one content stream in content-centric networks
US9467492B2 (en) 2014-08-19 2016-10-1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constructable all-in-one content stream
US9497282B2 (en) 2014-08-27 2016-11-15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Network coding for content-centric network
US10204013B2 (en) 2014-09-03 2019-02-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distributed and fault-tolerant state over a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US9553812B2 (en) 2014-09-09 2017-01-24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Interest keep alives at intermediate routers in a CCN
US10069933B2 (en) 2014-10-23 2018-09-0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rtual interfaces based on network characteristics
US9590948B2 (en) 2014-12-15 2017-03-07 Cisco Systems, Inc. CCN routing using hardware-assisted hash tables
US9536059B2 (en) 2014-12-15 2017-01-0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renamed content using manifest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237189B2 (en) 2014-12-16 2019-03-1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ance-based interest forwarding
US9846881B2 (en) 2014-12-19 2017-12-1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Frugal user engagement help systems
US10003520B2 (en) 2014-12-22 2018-06-1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name-based content routing using link-state information in information-centric networks
US9473475B2 (en) 2014-12-22 2016-10-1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Low-cost authenticated signing delegation in content centric networking
US9660825B2 (en) 2014-12-24 2017-05-2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source multicasting in content-centric networks
US9832291B2 (en) 2015-01-12 2017-11-28 Cisco Technology, Inc. Auto-configurable transport stack
US9954795B2 (en) 2015-01-12 2018-04-24 Cisco Technology, Inc. Resource allocation using CCN manifests
US9946743B2 (en) 2015-01-12 2018-04-17 Cisco Technology, Inc. Order encoded manifest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602596B2 (en) 2015-01-12 2017-03-21 Cisco Systems, Inc. Peer-to-peer sharing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916457B2 (en) 2015-01-12 2018-03-13 Cisco Technology, Inc. Decoupled name security binding for CCN objects
US9462006B2 (en) 2015-01-21 2016-10-04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Network-layer application-specific trust model
US9552493B2 (en) 2015-02-03 2017-01-24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Access control framework for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FR3032579B1 (fr) * 2015-02-05 2017-03-10 Dassault Aviat Procede et dispositif d'echange de donnees avec un dispositif de stockage d'un aeronef
US10333840B2 (en) 2015-02-06 2019-06-2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content exchange with adaptive naming in information-centric networks
US10075401B2 (en) 2015-03-18 2018-09-11 Cisco Technology, Inc. Pending interest table behavior
WO2016155953A1 (en) 2015-03-27 2016-10-06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methods and base station
CN104968037B (zh) * 2015-05-29 2018-07-06 乐鑫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代理设备的低功耗物联网实现方法
US10116605B2 (en) 2015-06-22 2018-10-30 Cisco Technology, Inc. Transport stack name scheme and identity management
US10075402B2 (en) 2015-06-24 2018-09-11 Cisco Technology, Inc. Flexible command and control in content centric networks
US10701038B2 (en) 2015-07-27 2020-06-30 Cisco Technology, Inc. Content negotiation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986034B2 (en) 2015-08-03 2018-05-29 Cisco Technology, Inc. Transferring state in content centric network stacks
US10610144B2 (en) 2015-08-19 2020-04-0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Interactive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condition management intervention system
US9832123B2 (en) 2015-09-11 2017-11-28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named fragment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355999B2 (en) 2015-09-23 2019-07-16 Cisco Technology, Inc. Flow control with network named fragments
US10313227B2 (en) 2015-09-24 2019-06-0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undetected interest looping in information-centric networks
US9977809B2 (en) 2015-09-24 2018-05-22 Cisco Technology, Inc. Information and data framework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454820B2 (en) 2015-09-29 2019-10-2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tateless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US10263965B2 (en) 2015-10-16 2019-04-16 Cisco Technology, Inc. Encrypted CCNx
US10375670B2 (en) 2016-03-30 2019-08-06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monitoring and receipt of a paging signal
US9794238B2 (en) 2015-10-29 2017-10-1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for key exchange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09446B2 (en) 2015-11-02 2018-06-26 Cisco Technology, Inc. Header compression for CCN messages using dictionary learning
US9807205B2 (en) 2015-11-02 2017-10-31 Cisco Technology, Inc. Header compression for CCN messages using dictionary
US10021222B2 (en) 2015-11-04 2018-07-10 Cisco Technology, Inc. Bit-aligned header compression for CCN messages using dictionary
US10097521B2 (en) 2015-11-20 2018-10-09 Cisco Technology, Inc. Transparent encryption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912776B2 (en) 2015-12-02 2018-03-06 Cisco Technology, Inc. Explicit content deletion command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97346B2 (en) 2015-12-09 2018-10-09 Cisco Technology, Inc. Key catalog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78062B2 (en) 2015-12-15 2018-09-1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Device health estimation by combining contextual information with sensor data
US10257271B2 (en) 2016-01-11 2019-04-09 Cisco Technology, Inc. Chandra-Toueg consensu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949301B2 (en) 2016-01-20 2018-04-1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s for fast, secure and privacy-friendly internet connection discovery in wireless networks
US10305864B2 (en) 2016-01-25 2019-05-28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est encryption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43016B2 (en) 2016-02-29 2018-08-0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name encryption agreement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51071B2 (en) 2016-03-04 2018-08-1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historical network information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03507B2 (en) 2016-03-04 2018-06-19 Cisco Technology, Inc. Transport session state protocol
US10038633B2 (en) 2016-03-04 2018-07-31 Cisco Technology, Inc. Protocol to query for historical network information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742596B2 (en) 2016-03-04 2020-08-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 collision probability of hash-based names using a publisher identifier
US9832116B2 (en) 2016-03-14 2017-11-28 Cisco Technology, Inc. Adjusting entries in a forwarding information base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212196B2 (en) 2016-03-16 2019-02-19 Cisco Technology, Inc. Interface discovery and authentication in a name-based network
US11436656B2 (en) 2016-03-18 2022-09-0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 real-time egocentric collaborative filter on large datasets
US10067948B2 (en) 2016-03-18 2018-09-04 Cisco Technology, Inc. Data deduping in content centric networking manifests
US10091330B2 (en) 2016-03-23 2018-10-02 Cisco Technology, Inc. Interest scheduling by an information and data framework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33639B2 (en) 2016-03-25 2018-07-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packet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ing anonymous datagrams
US10320760B2 (en) 2016-04-01 2019-06-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mutating and caching content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930146B2 (en) 2016-04-04 2018-03-2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ing content centric networking messages
US10425503B2 (en) 2016-04-07 2019-09-24 Cisco Technology, Inc. Shared pending interest table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27578B2 (en) 2016-04-11 2018-07-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routable prefix querie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404450B2 (en) 2016-05-02 2019-09-03 Cisco Technology, Inc. Schematized access control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320675B2 (en) 2016-05-04 2019-06-1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packets in a stateless content centric network
US10547589B2 (en) 2016-05-09 2020-01-2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for implementing a 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 protocol over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84764B2 (en) 2016-05-13 2018-09-2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for a secure encryption proxy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63414B2 (en) 2016-05-13 2018-08-28 Cisco Technology, Inc. Updating a transport stack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103989B2 (en) 2016-06-13 2018-10-16 Cisco Technology, Inc. Content object return message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305865B2 (en) 2016-06-21 2019-05-28 Cisco Technology, Inc. Permutation-based content encryption with manifest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CN109156022B (zh) 2016-06-22 2022-08-09 英特尔公司 用于全双工调度的通信设备和方法
US10148572B2 (en) 2016-06-27 2018-12-0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est group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09266B2 (en) 2016-07-05 2018-06-26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ference counted pending interest table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9992097B2 (en) 2016-07-11 2018-06-0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iggybacking routing information in interest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122624B2 (en) 2016-07-25 2018-11-0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phemeral entries in a forwarding information base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69729B2 (en) 2016-08-08 2018-09-0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throttling traffic based on a forwarding information base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956412B2 (en) 2016-08-09 2021-03-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junctive normal form attribute matching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033642B2 (en) 2016-09-19 2018-07-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optimal routing decisions based on device-specific parameter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212248B2 (en) 2016-10-03 2019-02-19 Cisco Technology, Inc. Cache management on high availability router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447805B2 (en) 2016-10-10 2019-10-15 Cisco Technology, Inc. Distributed consensu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135948B2 (en) 2016-10-31 2018-11-20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 migration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243851B2 (en) 2016-11-21 2019-03-2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er connection information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10813169B2 (en) 2018-03-22 2020-10-20 GoTenna, Inc. Mesh network deployment kit
CN110557263B (zh) * 2018-05-31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待机控制方法、系统、终端设备和中继设备
WO2020159891A1 (en) * 2019-01-28 2020-08-06 Lecamus Russell Custom generated real-time media on deman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4858A (ja) 2000-03-27 2001-10-05 Seiko Epson Corp ストリームデータ先読込装置及びストリームデータ先読込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A (en) * 1845-04-26 Improvement in electrographic printing
US5005A (en) * 1847-03-06 Iien ry
FI990601A0 (fi) * 1999-03-17 1999-03-17 Sonera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6968219B2 (en) * 2001-08-15 2005-1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bluetooth and CDMA modes of operation
US20040229052A1 (en) 2003-01-29 2004-11-18 Elkcorp Composite material
US7269629B2 (en) * 2002-12-30 2007-09-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notification among cooperating devices and device channels
US20050009537A1 (en) 2003-07-11 2005-01-13 Crocker Ronald T.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wireless presence-based services
KR100830164B1 (ko) * 2003-09-04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와 어웨이크 모드간 천이 방법
US7809386B2 (en) 2005-06-29 2010-10-05 Nokia Corporation Local network proxy for a remotely connected mobile device operating in reduced power mode
JP4664780B2 (ja) 2005-09-12 2011-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lanシステム
US20070124386A1 (en) 2005-11-21 2007-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regulating instant messaging traffic
ES2388469T3 (es) 2007-02-21 2012-10-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Transmisión eficiente de información de actualización de presencia a clientes de servicio de presencia
US8295860B2 (en) 2007-03-13 2012-10-2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paging of an idle mobile device
US7860469B2 (en) 2007-03-19 2010-12-28 Intel Corporation Sleep optimization for mobile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CN101217508B (zh) 2007-12-29 2010-06-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即时通信平台的网络代理系统及其实现方法
US20090258672A1 (en) 2008-04-15 2009-10-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Gateway with adaptive air interfaces
TW201008234A (en) 2008-08-12 2010-02-16 Acer Inc Energy-saving method for handheld Internet accessing device, the handheld Internet accessing device, and the real-time message system
EP2356860A4 (en) 2008-10-03 2014-01-29 Mimos Berhad METHOD FOR INCREASING BATTERY LIFE ON A WIRELESS DEVICE
US8831566B2 (en) 2008-11-21 2014-09-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emtocell local breakout management services
US9210569B2 (en) 2008-12-31 2015-12-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Femto personal proxy application cli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4858A (ja) 2000-03-27 2001-10-05 Seiko Epson Corp ストリームデータ先読込装置及びストリームデータ先読込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0554B2 (ja) 2015-02-18
CN102939782B (zh) 2016-08-03
KR20130041837A (ko) 2013-04-25
CN102939782A (zh) 2013-02-20
WO2011153313A1 (en) 2011-12-08
EP2578024A1 (en) 2013-04-10
US20110299454A1 (en) 2011-12-08
US9521621B2 (en) 2016-12-13
JP2013535130A (ja) 201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709B1 (ko) 무선 링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프록시 지원
US11064559B2 (en) Method of sharing a UE receiver between D2D and cellular operations based on activity
US112908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user equipment (UE) over side link in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CN103270794B (zh) 用于移动设备功率节省的数据恢复指示符
CN108702307B (zh) 用户设备状态配置的系统和方法
EP2474184B1 (en)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shared wireless wide area network modems
US8755848B2 (en)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US8385242B2 (en) Optimised messaging patterns
JP5147946B2 (ja) 不連続送受信
Kim et al. Advanced power management techniques in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s [Topic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00184443A1 (en) Explicit layer two signaling for discontinuous reception
US20080232310A1 (en) Flexible user equipment-specified discontinuous reception
WO2008111684A1 (en) Flexible user equipment-specified discontinuous reception
KR20140041954A (ko) 무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TW2009478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in a converge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O2009123358A1 (en) Control of user equipment discontinuous reception setting via mac lcid
US20110158115A1 (en) Power Efficiency and Packet Delivery Ratio Through Micro Rate Control at Access Point Functionality Enabled Devices
Lim et al. POEM: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for WiFi tethering service
KR20210005209A (ko) 불연속 수신(drx)의 조기 활성화
US20220322227A1 (en) A Technique for Skip Signal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