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460B1 -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460B1
KR101514460B1 KR1020080112630A KR20080112630A KR101514460B1 KR 101514460 B1 KR101514460 B1 KR 101514460B1 KR 1020080112630 A KR1020080112630 A KR 1020080112630A KR 20080112630 A KR20080112630 A KR 20080112630A KR 101514460 B1 KR101514460 B1 KR 101514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ed
predetermined
portable terminal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3823A (en
Inventor
안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460B1/en
Publication of KR2010005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연동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이 개시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연동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단계와,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와,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 및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과 구분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파악 및 실행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A method of linking an appl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easily linking different applications. A method of interwork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display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at least one application displayed,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ed among at least one application displayed And a step of discriminating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judg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from the application not to be interlocked and displayed. Therefore,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n application executed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easily grasped and executed,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연동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 interlocking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necting an application to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terworking an appl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최근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포터블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프로세서 기술의 급속한 발전 및 메모리의 대용량화에 따라 점점 더 많은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portable game machines have been increasingly equipped with functions and ap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rapid development of processor technology and memory capacity.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메뉴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메뉴 구성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As the number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menus corresponding to each application increases, and the menu configuration becomes more complex.

그러나,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는 가시화면의 크기가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입력 키의 수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메뉴로 이 동해야 하기 때문에 메뉴 경로 이동으로 인한 시간 낭비와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a typical portable terminal has a display device with a small visible screen size and the number of input keys is small, in order for a user to execute a predetermined application, the user must move to a menu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to be executed through various steps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time-consuming and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menu path is moved.

또한,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하나 이상의 고성능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함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들이 재생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이 서로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공유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 범위가 극대화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recent portable terminals have one or more high performance processors and have a large capacity memory, various multimedia files can be reproduced 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aximized by sharing the multimedia files with each other have.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이미지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메시지에 첨부시켜 전송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에 첨부된 이미지를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거나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전화번호부에 수신된 이미지를 등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dit a photographed image through an image editing application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attach an edited image to a message and transmit the edited image, display an image attached to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an image viewer application,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and the received image can be register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인지하고 있어야 하고,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연동되는 경우에도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시에 수행되지 못하고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use different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user must be aware of the type of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even when different applications are interlocked,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runs sequentially.

한국 등록특허 제10-790078(발명의 명칭: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한 화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젯(widget) 형태로 배치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커서가 위치된 상태에서 줌인이 입력되는 경우에 확대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접근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790078 discloses a method and a device for quick access to an appl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applications are arranged in a widget form on a screen in which a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Discloses an application access method in which an enlarged display is performed when a zoom in is input while a cursor is positioned in an application.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10790078은 하나의 화면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배열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직접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을 뿐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서로 연동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790078, however, discloses a method of directl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by arranging different applications on a single screen, and a method of easily linking various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with each other Is not disclo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연동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linking an appl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can easily link different application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과 구분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는,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연동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과 구분되어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을 표시하는 그래픽 정보의 색깔, 모양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연동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정보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은,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소정의 그래픽 개체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개체가 드래그 앤 드랍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개체는 동영상, 이미지, 메모, 텍스트,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appl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application; Determining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discriminating an application that is not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application judg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displayed. The execution of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application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of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except for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application may include searching the database for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 list of applications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f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tored.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at least one application determin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ed separately from the application not interlocked comprises displaying each of at least one application judg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t least one of the color,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graphic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graphic information indicating the non-interlocking appl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lecting a predetermined graphic object included in the executed application; Dragging and dropping the selected graphic object into any one of at least one application judg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executing the dragged and dropped application . The graphic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ving image, an image, a memo, text, and music.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 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연동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은,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소정의 그래픽 개체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동시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개체가 드래그 앤 드랍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terworking an application in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determining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a step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The step of determining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may include searching the database for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 list of applications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can be stor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lecting a predetermined graphic object included in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dragging and dropping the selected graphic object to one of at least one application simultaneously displayed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dragging and dropping the graphic object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in which the graphic object is dragged and dropped.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및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분되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그래픽 정보를 연동 가능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앤 드랍하면 상기 그래픽 정보가 드래그 앤 드랍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interlocking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executed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 execution screen of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an application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re displayed separately . Thereafter, when the user drags and drops graph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into a linkable application, the linked application in which the graphic information is dragged and dropped is executed.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n application executed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연동가능한 것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그래픽 정보를 이동시킴으로써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an application capable of interlocking can be easily executed by moving graphic information such as a moving image, an image, text, and the like to an application displayed as interlockable,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 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re is no other elem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거나 생성되는 데이터가 다른 어플리 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영상, 이미지, 음악, 텍스트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another application in which data processed or generated in the executed application is applied, and two or more different applications are used for moving images, And the like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interlocking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된 후,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메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LCD 또는 OLED)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단계 101). Referring to FIG. 1, after a portable terminal is initialize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e.g., LCD or OLE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or a preset menu (step 101).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등과 같은 그래픽 개체가 표시될 수 있고 각각의 그래픽 개체에 대한 조작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시에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Here, a graphic object such as an icon, text, or the like representing each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executed when an operation event for each graphic object is generated. The type of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et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choice.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 실행되면(단계 103),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소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과 단계 10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실행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표시한다(단계 105).Thereafter, whe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executed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displayed by the user's selection (Step 103), the portable terminal simultaneously displays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an application that is not executed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Step 101 Step 105).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단계 107), 검 색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이 가능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과 구분하여 표시한다(단계 109).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searches the database for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application executed among the displayed plurality of applications (step 107), and displays the detected at least one interlocking application separately from the applications that can not be interlocked (Step 109).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개체 형태를 변환함으로써 연동이 가능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개체의 색깔, 모양 또는 크기를 연동이 가능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개체와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distinguished from an application that can not be linked by converting a graphic object type of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among a plurality of displayed applications.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may display the color, shape, or size of the graphical object of the interlocking application differently from the graphic object of the non-interlocking application.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application list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on applications that can be link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연동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111), 연동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연동 이벤트가 발생된 어플리케이션(즉,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단계 113).The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event instructing interworking between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the interlocked application has occurred (step 11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locking event has occurred, the interlocking event among the applications indicated as interlocking is generated (I.e., an interworking application) (step 113).

예를 들어, 상기 연동 이벤트는 사용자가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을 표시하는 그래픽 정보 중 소정 그래픽 정보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으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하거나, 메뉴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그래픽 정보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복사 또는 이동시킴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nked event may be dragged and dropped into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applications displayed in an application capable of interlocking predetermined graphic information among graphic information indicating text, images, moving pictures, music files, etc. included i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ed by a user or by copying or moving graph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into an operable application by using a menu or a ke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단계 113에서 연동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고,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표시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적으로 연동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만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linked application is executed in step 113, the portable terminal may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of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the execution screen of the linked application at the same time, or may execute the linked application internally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displaying the execution screen of the linked application .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hat only the execution screen of the linked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3에서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115),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가를 판단한다(단계 117).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ed in step 103 is terminated (step 11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termin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another application out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is executed (Step 117).

단계 117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3으로 실행단계를 이동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는, 단계 117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연동 과정을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7 that another application has been executed, the portable terminal moves to step 103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7 that no other application is executed, the interlock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연동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FIG. 2 shows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in the interlock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된 후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메뉴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2, after the portable terminal is initialize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or a preset menu operation.

도 2의 (a)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 리케이션으로 대기화면 편집(210), 메시지(220), 음성통화(230), 영상통화(240), 음악재생(250), 이미지 뷰어(260), 동영상 재생(270) 및 전화번호부(280)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2 (a), the idle screen editing 210, the message 220, the voice call 230, the video call 240, the music reproduction 250, and the voice mail 250 are displayed i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image viewer 260, a moving image playback 270, and a phone book 280 are displayed.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미지 뷰어(260)를 실행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뷰어(26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다른 어플리케이션들(210, 220, 230, 240, 250, 270 및 280)을 동시에 표시한다.When a user executes the image viewer 260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2 (a),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viewer 260 application The execution screen and other applications 210, 220, 230, 240, 250, 270, and 280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또한, 실행된 이미지 뷰어(220)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에 기초하여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정보를 변환한다.Also, applic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of the image viewer 220 is searched in a database, and graphic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is converted based on the searched result.

예를 들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된 이미지 뷰어(260)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대기화면 편집(210), 메시지(220) 및 전화번호부(280)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대기화면 편집(210), 메시지(220) 및 전화번호부(280) 어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그래픽 개체의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연동이 가능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230, 240 및 250)으로부터 구분되도록 한다. For example, if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image viewer 260 application executed as shown in FIG. 2 (b) is an idle screen editing 210, a message 220, and a phone book 280 application, The terminal changes the type of the graphic object representing the idle screen editing 210, the message 220 and the phone book 280 application so that the terminal is distinguished from the applications 230, 240 and 250 that can not be linked .

도 2의 (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210, 220 및 280)을 표시하는 그래픽 개체의 색깔을 변경하여 연동이 가능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240, 250 및 270)과 구분되도록 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In the user interface screen shown in FIG. 2B, the color of the graphic object displaying the interlinkable applications 210, 220, and 280 is changed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applications 240, 250, and 270 that can not be interlocked For example.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 뷰어(260)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소정의 그래픽 정보 중 이미지 1(261)을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대기화면 편집(210) 어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앤 드랍하게 되면 대기화면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이미지 1(261)이 대기화면으로 설정된다.2 (b), the user can drag and drop the image 1 261 among predetermined graphic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viewer 260 application into the idle screen editing 210 application, Upon dropping, the idle screen editing application is executed and the image 1 (261) is set as the idle screen.

또는, 사용자가 이미지 뷰어(26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소정 이미지를 메시지(220) 어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앤 드랍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래그 앤 드랍된 이미지가 메시지에 첨부된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drags and drops a predetermined image among the images included i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viewer 260 into the application 220, the dragged and dropped image is attached to the message.

또는, 사용자가 이미지 뷰어(26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소정 이미지를 전화번호부(280) 어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앤 드랍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부(280)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드래그 앤 드랍된 이미지가 전화번호부의 특정 사용자에게 등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drags and drops a predetermined image among the images included i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viewer 260 to the phone book 280 application, the phone book application 280 is executed and the drag- So that the image can be registered with a specific user of the telephone directory.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메뉴 조작을 통해 하나의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interlocking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a key operation or a menu operation of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된 후,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메뉴 조작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단계 301), 휴대용 단말기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단계 303).Referring to FIG. 3, after a portable terminal is initialized, whe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executed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or menu operation (step 301), the portable terminal is operated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that can be retrieved is retrieved from the database (step 303).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표시한다(단계 305).Then, the portable terminal simultaneously displays an execution screen of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operable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on the display device (step 305).

여기서, 상기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아이콘, 텍스트 등과 같은 그래픽 개체로 표시될 수 있고 각각의 그래픽 개체에 대한 조작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may be displayed as a graphic object such as an icon, text, or the like, which means each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executed when an operation event is generated for each graphic object.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연동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307), 연동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연동 이벤트가 발생된 어플리케이션(즉,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단계 309).T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event instructing interlocking between the application and the executed application is generated (step 30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locking event has occurred, the interlocking event among the applications indicated as interlocking is generated (I.e., an interworking application) (step 309).

예를 들어, 상기 연동 이벤트는 사용자가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을 표시하는 그래픽 정보 중 소정 그래픽 정보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으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하거나, 메뉴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그래픽 정보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복사 또는 이동시킴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nked event may be dragged and dropped into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applications displayed in an application capable of interlocking predetermined graphic information among graphic information indicating text, images, moving pictures, music files, etc. included i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ed by a user or by copying or moving graph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into an operable application by using a menu or a ke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단계 309에서 연동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고,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표시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적으로 연동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만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linked application is executed in step 309, the portable terminal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of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the execution screen of the linked application, or may execute the linked application internally in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displaying the execution screen of the linked application .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hat only the execution screen of the linked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301에서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311),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가를 판단한다(단계 315).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ed in step 301 is terminated (step 31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terminated, it is judged whether another application out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is executed (Step 315).

단계 315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301로 실행단계를 이동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는, 단계 315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연동 과정을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5 that another application is executed, the portable terminal moves to step 301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5 that no other application is executed, the interlock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FIG. 4 shows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interlock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된 후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메뉴의 조작에 따라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실행된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검색된 연동 가능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4, after the portable terminal is initialized, when the note creation 410 application is executed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or a preset menu opera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linked with the executed note creation 410 application After retrieving the application from the database, the memo 410 displays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and the retrieved interlocking application simultaneously on the display device.

도 4에서는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메시지(420), 전화번호부(430) 및 스케줄 작성(440)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된 것 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In FIG. 4, the message 420, the phone book 430, and the schedule creation 440 application are searched for as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note creation 410 applica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420, 430 및 440)이 동시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모 1(411)을 메시지(420) 어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앤 드랍하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메시지(420) 어플리케이션의 편집 내용에 상기 메모 1(411)이 추가된다.4,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of a note creation application 410 and a note creation application 410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in an application 420, 430, and 440 that can be linked to the application, When the note 1 (411) included in the execution screen is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message 420 application, the messag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the note 1 (411) is added to the edit content of the message 420 application.

또는, 사용자가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모 1(411)을 전화번호부(430) 어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앤 드랍하면, 전화번호부(430)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모 1(411)이 전화번호부의 특정 사용자에게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drags and drops the memo 1 411 included i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memo creating application 410 to the application of the phone book 430, the application of the phone book 430 is executed, (411) to be registered with a specific user of the telephone directory.

또는, 사용자가 메모 작성(41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모 1(411)을 스케줄(440) 어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앤 드랍하면, 스케줄(440)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메모 1(411)이 스케줄의 편집 내용에 추가될 수 있도록 한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drags and drops the memo 1 411 included i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memo creating application 410 to the application of the schedule 440, the application of the schedule 440 is executed, So that it can be added to the edit contents of the program.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interlocking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연동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FIG. 2 shows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in the interlock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interlock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FIG. 4 shows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interlock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Claims (9)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단계;Displaying at least one application;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application;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Determining at least one application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application; 상기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구분 되도록 상기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연동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정보가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단계;Displaying at least one interlocking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non-interlocking application graphic information differentl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nterlinkable at least one application is distinguishable from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is not interoperable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그래픽 개체가 선택되는 단계;Selecting a graphic object included in the executed application;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되는 단계; 및Dragging and dropping the selected graphic object to one of at least one application operable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상기 그래픽 개체가 드래그 앤 드랍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And executing an application in which the graphic object is dragged and dr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는,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execution of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application comprises: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Wherein at least one application except for the execution screen of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displayed at the same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at least one application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mo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application comprises: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Searching the database for at least one application operable in association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해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Wherein the database stores at least one application list that can be linked to each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연동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정보가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and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not be interlocked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을 표시하는 그래픽 정보의 색깔, 모양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연동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정보와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And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color, shape, and size of the graphic information indica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capable of interoperating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differently from the graphic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 least one non-interoperable application.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개체는The method of claim 1, 동영상, 이미지, 메모, 텍스트,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A mobile terminal,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an image, a memo, text, and music.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Determin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표시되는 단계;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operable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t the same time;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소정의 그래픽 개체가 선택되는 단계;Selecting a predetermined graphic object included in the executed application;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동시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되는 단계; 및Dragging and dropping the selected graphic object to one of at least one application simultaneously display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상기 그래픽 개체가 드래그 앤 드랍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Wherein the graphics object is executed by drag and drop application, 상기 연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구분 되도록 상기 연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연동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정보가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Wherein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capable of being interlocked comprises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not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that can not be interlocked with,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판단되는 단계는,8.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comprises: 상기 실행된 소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Searching the database for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executed pre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Wherein the database stores a list of applications that can be linked to each of the applica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삭제delete
KR1020080112630A 2008-11-13 2008-11-13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KR1015144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630A KR101514460B1 (en) 2008-11-13 2008-11-13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630A KR101514460B1 (en) 2008-11-13 2008-11-13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823A KR20100053823A (en) 2010-05-24
KR101514460B1 true KR101514460B1 (en) 2015-04-22

Family

ID=4227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630A KR101514460B1 (en) 2008-11-13 2008-11-13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4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639B1 (en) 2010-06-16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using A PORTABLE TERMINAL
KR101888457B1 (en) 2011-11-16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having a touch screen processing plurality of apl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054071A (en)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thereof
KR101905038B1 (en) 2011-11-16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having a touch screen under multiple applications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932718B1 (en) 2012-02-24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ize of display window on screen
KR101374385B1 (en) * 2012-03-07 2014-03-14 주식회사 팬택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ort-cut icon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apparatus
AU2013202944B2 (en) 2012-04-26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9898155B2 (en) 2012-05-11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960061B1 (en) 2012-05-21 2019-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d displaying between executing scree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a device
KR102016975B1 (en) 2012-07-27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984673B1 (en) 2012-07-27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ex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961860B1 (en) 2012-08-28 201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US10282088B2 (en) 2012-12-06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gh screen device
US10386992B2 (en) 2012-12-06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213001A1 (en) 2012-12-06 2023-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02438B1 (en) 2012-12-06 202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564792B2 (en) 2012-12-06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ilti-window display
KR102183071B1 (en) 2012-12-06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ex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585553B2 (en) 2012-12-06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04713A (en) * 2013-07-03 201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pplication in a user device
KR102107404B1 (en) 2013-10-30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70031537A1 (en) * 2015-07-27 2017-02-02 Beijing Lenovo Software Ltd.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530A (en) 2005-01-11 2008-07-24 リアルネットワークス・アジア・パシフ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Application linkage method and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530A (en) 2005-01-11 2008-07-24 リアルネットワークス・アジア・パシフ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Application linkage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823A (en)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460B1 (en)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JP5129755B2 (en) Command functio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90391730A1 (en) Computer application launching
KR101985291B1 (en) User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US81614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of mobile terminal
JP202210682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notifications received from multiple applications
EP2411904B1 (en) Method of dividing screen areas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KR102004553B1 (en) Managing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KR1008061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9395879B2 (en) Icon operation method and icon operation module
WO2010038985A2 (en) Function execu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operating with the same
US2009016492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WO2013085327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ethod thereof
US20060020904A1 (en) Stripe user interface
US201300611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programs
KR20160021267A (en) Filtering data with slicer-style filtering user interface
KR20110066203A (en) Intelligent input device lock
KR20090017626A (en) Improve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MX2007002314A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KR102017283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a device
WO200709453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trieving for mobile terminal
KR200435427Y1 (en) Apparatus of retrieving for mobile terminal
KR1007038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uitive menu on mobile digit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