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313B1 -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313B1
KR101514313B1 KR1020130093154A KR20130093154A KR101514313B1 KR 101514313 B1 KR101514313 B1 KR 101514313B1 KR 1020130093154 A KR1020130093154 A KR 1020130093154A KR 20130093154 A KR20130093154 A KR 20130093154A KR 101514313 B1 KR101514313 B1 KR 10151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in terminal
photographed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7181A (en
Inventor
정익승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 (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to KR102013009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313B1/en
Publication of KR2015001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방법은, 메인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된 서비스 앱을 통해, 촬영 대상자들의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이 상기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메인 단말측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모두 접속을 완료하면, 메인 단말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지정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과, 메인 단말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측으로 전달하고 서버는 전달된 이미지에서 각 촬영 대상자의 상(像)을 소정의 오브젝트 세그멘테이션 기법에 따라 추출하는 과정과, 서버가 상기 추출된 각 상(像)들을 최종 이미지 상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시켜 이미지를 완성한 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완성된 이미지를 각 촬영 대상자의 단말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온라인의 가상공간에 원격지의 사용자들이 참여하도록 하여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가상 촬영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앱을 구현함으로써, 여행이나 모임에 참석못한 회원(or 친구, 가족 등) 끼워넣기,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기러기 아빠를 가족 사진에 끼워넣기, 온라인 모임에 참석한 회원들의 영상 기록물 남기기, 유명인(예: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등)과의 기념촬영 제공하기, 온라인 팬클럽에서 스타와의 사진촬영 서비스 제공하기와 같은 기능들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ain terminal executing a service app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and sending an invitation message to a terminal of the persons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executed service app,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each of the terminals receiving the invitation message completes the connection, the main terminal instructs the position of each photographing target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The main terminal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extracts an image of each photographed subje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bject segmentation technique from the transferred image. Inserting each extracted image at a designated position on a final image to complete and store the image; The image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ward the terminal of each shooting su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that photographs by allowing users at a remote location to participate in an online virtual spac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service app for a virtual photography service, so that members (or friends, family members, etc.) who can not attend a trip or a meeting are put in, a geese dad who is separated from his family is put in a family photograp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provide functions such as recording video clips of celebrities (for example, entertainers or sports stars), providing online photo services for fans in online fan clubs.

Figure R1020130093154
Figure R1020130093154

Description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photography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가상의 촬영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의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in which users at remote locations participate on-line.

최근, 수년간 급속도로 보급된 스마트폰은 모바일 통신과 개인 컴퓨터의 기능(운영체계 실장, 어플리케이션 구동, 인터넷접속 기능)을 결합하여 이제는 우리 실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In recent years, smartphones that have been rapidly spread over the years have become part of our daily lives by combining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functions of personal computers (operating system implementation, application running, and Internet access functions).

또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app)'이라 한다)은 그 수를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또 진화를 거듭하고 있어 실생활에 유용한 아이디어로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smartphone applic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s") have been developed in such a wide variety of ways that they can not be counted, and they are evolving so that they provide many convenience with useful ideas in real life .

스마트폰의 보급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은 계속 확대되고 있지만, 온라인 공간에서 촬영하고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하는 가상 촬영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은, 양(갯수)적으로나 질적으로 아직도 미비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s are continuing to expand, but the number of applications for virtual photography, which are shot online and engaged by users online, are still insufficient.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저장된 이미지나 가상의 이미지를 백그라운드로 하여, 원격지의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in which a user of a remote location photographs an image by taking an existing stored image or a virtual image in the background.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iv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the structure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본 발명은, 온라인의 가상공간에 원격지의 사용자들이 참여하도록 하여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that photographs by allowing users at a remote location to participate in an online virtual space.

본 발명은 가상 촬영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앱을 구현함으로써, 여행이나 모임에 참석못한 회원(or 친구, 가족 등) 끼워넣기,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기러기 아빠를 가족 사진에 끼워넣기, 온라인 모임에 참석한 회원들의 영상 기록물 남기기, 유명인(예: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등)과의 기념촬영 제공하기, 온라인 팬클럽에서 스타와의 사진촬영 서비스 제공하기와 같은 기능들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service app for a virtual photography service, so that members (or friends, family members, etc.) who can not attend a trip or a meeting are put in, a geese dad who is separated from his family is put in a family photograp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provide functions such as recording video clips of celebrities (for example, entertainers or sports stars), providing online photo services for fans in online fan club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설정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의 다른 설정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단말화면의 예시도.
도5a는 메인 단말 100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5b는 서브 단말 200a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5c는 서브 단말 200b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5d는 서브 단말 200c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단말과 단말 사용자를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photography service setting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llustrates another setting screen of the virtual shoo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a terminal screen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main terminal 100;
5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sub terminal 200a.
5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sub terminal 200b.
5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sub terminal 200c.
6 illustrates sub-terminals and terminal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방법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인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된 서비스 앱을 통해, 촬영 대상자들의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이 상기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메인 단말측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모두 접속을 완료하면, 메인 단말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지정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과, 메인 단말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측으로 전달하고 서버는 전달된 이미지에서 각 촬영 대상자의 상(像)을 소정의 오브젝트 세그멘테이션 기법에 따라 추출하는 과정과, 서버가 상기 추출된 각 상(像)들을 최종 이미지 상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시켜 이미지를 완성한 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완성된 이미지를 각 촬영 대상자의 단말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main terminal executing a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sending an invitation message to a terminal of the persons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executed service application; And connecting to the main terminal; and when the terminals having received the invitation message are all connected, the main terminal designates a position of each photographing subject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and performs photographing, The server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server side, and the server extracts images of the subjects to be photographed from the delivered imag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bject segmentation technique. The server extracts the extracted images from the final image A step of inserting the completed image into the designated position on the terminal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바람직하게,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이 메인 단말측에 접속하는 과정은, 상기 초대를 수락하고 메인 단말측에 접속하는 과정과,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동영상을 실시간 전송하거나 앨범의 저장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촬영에 참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terminals, which have received the invitation message, connect to the main terminal by accepting the invitation and connecting to the main terminal.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riving the camera module, And transferring the stored image of the album to participate in the photographing.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 촬영 서비스 방법은,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모두 접속을 완료하면, 메인 단말이 가상 촬영을 위한 백그라운드의 이미지 타입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백그라운드 이미지 상에,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정하는 과정과, 각기 지정된 위치의 영역에 해당 촬영 대상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by the main terminal, a background image type for virtual photographing when all the terminals receiving the invitation message complete connection; And displaying the image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n the area of the designated posi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소정의 서비스 앱을 통해, 촬영 대상자들의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모두 접속을 완료하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지정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메인 단말기와, 상기 메인 단말로부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실시간 영상을 메인 단말에 전송하며 메인 단말의 촬영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단말기와, 상기 메인단말로부터 촬영된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미지에서 각 촬영 대상자의 상(像)을 소정의 오브젝트 세그멘테이션 기법에 따라 추출하고 추출된 각 상(像)들을 최종 이미지 상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시켜 이미지를 완성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When a terminal sends an invitation message to a terminal of a person to be photographed through a predetermined service application and all the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the invitation message complete the connection, At least one sub-terminal for driving a camera module to transmit a real-time image to a main terminal and participating in shooting of the main terminal when an invit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And a server for extracting an image of each photographing subje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bject segmentation technique from the received image and inserting each extracted image at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final image to complete an ima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mentioned "module" and "part"

본 발명의 착안점은, 소정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갖는 가상의 공간에 원격지의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촬영기능과 통신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in which a remote user participates in a virtual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background image on-line and photographs using a smart device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은 메인(Main) 단말기(100), 서브(Sub) 단말기(200a, 200b, 200c), 서버(300)로 구성된다.1, the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terminal 100,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nd a server 300. As shown in FIG.

상기 메인(Main) 단말기(100)는,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 촬영을 위한 백그라운드의 이미지 타입(예: 실시간 영상(예: 정지영상 or 동영상), 앨범의 저장 이미지 등)을 설정한다. When the servic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ain terminal 100 drives the camera module and selects a background image type (e.g., real-time image (e.g., still image or video), album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서브(Sub) 단말기(200a, 200b, 200c) 즉, 촬영 대상자들의 단말(200A, 200B, 200C)로 초대 메시지를 발송하고,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초대를 수락하고 서비스에 접속하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지정하고 촬영을 수행한다. 이후,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서버(300)측으로 전달한다.Then, an invitation message is sent to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that is,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of the to-be-photographed persons through the service application, When the user accesses the service, the user designates the position of each person to be photographed and performs shooting. Thereafter, when the photographing is completed, the photograph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side.

상기 서버(300)는, 메인 단말(100)로부터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미지에서 각 촬영 대상자의 상(像)을 사물 추출기법에 따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사물 추출기법은 추출 대상물(object)을 대상물(object)의 윤곽선을 따라 그 배경 이미지와 분리하여 검출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사물 추출기법에는 오브젝트 세그멘테이션 기법 등이 있다.When the photographed image is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100, the server 300 extracts an image of each photographed subject in the received image according to the object extraction technique. In this case, the object extraction technique refers to a technique of detecting an object to be extracted separately from the background image along the outline of the object. Object extraction techniques include object segmentation techniques.

서버(300)는 상기 추출된 각 상(像)들을 사진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오버랩)시켜 최종 이미지를 완성한다. 그리고 완성된 최종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메인 단말기(100)와 각 촬영 대상자의 단말(200A, 200B, 200C)측으로 전송한다.The server 300 inserts (superimposes) each of the extracted images at a designated position of a photograph to complete a final image. Then, the final image is stored in the memory and transmitted to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of the photographing target.

상기 서브 단말기(200a, 200b, 200c)는 상기 메인(Main) 단말기(100)로부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초대를 수락한 후 서비스(or 메인 단말(1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 영상(예: 정지영상 or 동영상)이나 앨범의 저장 이미지를 메인 단말(100)에 전송하는 것으로 촬영에 참여한다. Upon receipt of the invitation message from the main terminal 100,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execute the service application and accept the invit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s, ). Then, the camera module is driven to participate in shooting by transmitting a real-time image (e.g.,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r a stored image of the album to the mai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서브 단말기(200a, 200b, 200c)는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메인 단말(100)과 실시간 연동하여 메인 단말(100)의 촬영화면을 각자의 단말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 하여, 각 단말(200a, 200b, 200c)의 사용자들이 각자 자신의 개성에 맞는 포즈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display the photographed images of the main terminal 100 on their respective terminal screens in real time in cooperation with the main terminal 100 during photographing, 200c allow users of the mobile terminal 200a to take pose corresponding to their own individuality.

상기 서브 단말기(200a, 200b, 200c)는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리 채팅의 종류(예: 문자채팅, 음성채팅 등)를 설정하여,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각 단말(100, 200a, 200b, 200c)의 사용자들이 서로 대화하고 의사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may also set a type of chat (for example, a character chat or a voice cha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200c to communicat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메인 단말(100)과 서브 단말(200a, 200b, 200c)은 촬영기능과 통신기능을 구비한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PDA,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may be a notebook computer, a desktop comput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PDA,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have.

상기 메인 단말(100)과 서브 단말(200a, 200b, 200c)은 카메라 모듈,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이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include a camera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 feeder, and the like. Not all of the above elements are necessary, and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메인 단말(100)과 서브 단말(200a, 200b, 200c)은 가상 촬영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앱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Application store)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서비스 앱(app)을 미리 다운로드하여, 스마트 사용자 단말기(100)에 인스톨(install)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은 단말 제조시 제어부(미도시, CPU)에 실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앱을 제어부로 본다.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may have a device or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or may store them in a memory. The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by an application purchasing place such as an Android market or an application store and the user can download the service app in advance and install install. The servic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ntroller (not shown) during manufacture of a terminal, in which case the service app is regarded as a control unit.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100)에 저장된 가상 촬영 서비스 앱(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을 실행하면(S110), 앱의 실행에 따라 상기 메인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도3a의 설정 화면(D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 촬영을 위한 백그라운드의 이미지 타입(예: 실시간 영상(예: 정지영상 or 동영상), 앨범의 저장 이미지 등)과, 촬영 이미지의 사이즈(예: 안면(顔面), 반신(半身), 전신(全身) 등)를 설정한다. 도3a는 촬영 이미지의 사이즈가 '안면'으로 설정된 예이다. 상기 설정 절차(예: 백그라운드 이미지 타입, 촬영 이미지의 사이즈 등)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기 과정 S150에서 처리될 수 있다.2, when a user executes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ice app') stored in the terminal 100 (S110), the main terminal 100 ) Drives the camera module and displays a background image type (e.g., a real-time image (e.g.,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 image of an album Stored image, etc.) and the size of the shot image (e.g., face, half body, whole body, etc.). 3A is an example in which the size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set to 'face'. The setting procedure (for example, the background image type, the size of the photographed image, etc.) may be processed in the following step S15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그리고 촬영 인원(촬영 대상자)의 수를 입력하고, 서비스 앱(or 단말의 OS(Operating System))에서 제공하는 폰북에서 촬영 대상자들(예: 친구, 가족, 회원, 회사 동료 등)을 선택한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 설정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촬영 인원(촬영 대상자)의 수는 4이며, 촬영 이미지의 사이즈는 '안면'으로 설정한 가상 촬영 서비스이다. 촬영 이미지의 사이즈가 '안면'으로 설정되는 경우, 기 촬영된 이미지(예: 앨범의 저장 이미지)에 촬영 대상자의 얼굴만을 추출하여 삽입한다. Then, the number of people to be photographed (persons to be photographed) is inputted, and the persons to be photographed (for example, friend, family, member, company colleague, etc.) are selected from the phone book provid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or OS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FIG. 3A illustrates a virtual photography service setting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number of photographed persons (persons to be photographed) is 4, and the size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set to 'face'. When the size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set to 'face', only the face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s extracted and inserted into the previously photographed image (for example, a stored image of the album).

상기 촬영 대상자들이 선택되면, 메인 단말(100)은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촬영 대상자들의 단말(200A, 200B, 200C)로 초대 메시지를 발송한다. (S120)When the to-be-photographed persons are selected, the main terminal 100 sends an invitation message to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of the selected to-be-photographed persons through the service application. (S120)

이후, 상기 초대 메시지가 각 촬영 대상자들의 단말(200A, 200B, 200C)에 전달되면,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200A, 200B, 200C)의 사용자는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초대에 응하고 가상 촬영 서비스(예: 메인 단말(100))에 접속한다. (S130~S140)When the invit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the user of each of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receiving the invitation message executes the service application and responds to the invitation And connects to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e.g., main terminal 100). (S130 to S140)

그리고, 각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도3b의 설정 화면(D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예: 정지영상 or 동영상)이나 앨범의 저장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메인 단말(100)에 전송하는 것으로서 촬영에 참여한다.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의 또 다른 설정화면을 예시한 것이다.Then, the camera module provided in each terminal is driven to selectively transmit a live image (e.g.,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f the user or a stored image of the album to the main terminal 100 To participate in the photographing. FIG. 3B illustrates another setting screen of the virtual shoo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서브 단말기(200a, 200b, 200c)는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메인 단말(100)과 실시간 연동하여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단말(100)의 촬영화면을 각자의 단말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단말 사용자들이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3B,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in real time interlock with the main terminal 100 during the photographing, display the photographed images of the main terminal 100 on their respective terminal screens as they are So that terminal users can view their own images.

상기 서브 단말기(200a, 200b, 200c)는 또한, 채팅 타입(예: 문자채팅, 음성채팅 등)을 설정하여,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들 간 대화(의사 소통)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may also set a chat type (e.g., a text chat, a voice chat, and the like) to en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이후, 이상의 서비스 설정이 완료되고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200A, 200B, 200C)이 모두 서비스 접속(or 메인 단말(100))을 완료하면, 메인 단말(100)은 각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지정하고 촬영을 수행한다. (S150) 상기 촬영 대상자의 위치 지정은 도3a의 설정 화면(D10)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진다.When the terminal 200A, 200B or 200C having received the invitation message completes the service connection (or the main terminal 100), the main terminal 100 sets the position of each photographing target And performs shooting. (S150)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specifi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setting screen D10 of Fig. 3A.

그리고, 촬영이 완료되면 메인 단말(100)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측(300)으로 전달한다. (S160)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측(300)으로 전달할 때, 메인 단말(100)은 각 촬영 대상자간의 앞뒤관계를 설정한 정보(이하, '앞뒤관계 설정정보'라 한다)를 함께 전달한다. 도3a의 경우, 각 촬영 대상자들(100, 200A, 200B, 200C)은 촬영 이미지의 사이즈가 '안면'으로 설정된 경우이고 촬영 대상자의 얼굴은 서로 겹치지 않으므로, 상기 앞뒤관계 설정정보는 별로 중요하지 않지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이미지의 사이즈가 '반신'으로 설정되고 촬영 대상자들(100, 200A, 200B, 200C)이 서로 겹치는 경우, 서로 간의 앞뒤관계는 설정되어야 하고, 앞뒤관계 설정정보는 서버(300)측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When the photographing is completed, the main terminal 100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server side 300. (S160) When deliver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server side 300, the main terminal 100 conveys th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ront-rear relationship setting information " In the case of FIG. 3A, since the images of the subjects 100, 200A, 200B, and 200C are set to 'face' and the faces of the persons to be imaged do not overlap each other, , If the size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set to 'half-duplex' and the subjects 100, 200A, 200B, and 200C overlap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the fore-to- Must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side.

이후,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서버측(300)으로 전달되면, 서버(300)는 전달된 이미지에서 각 촬영 대상자의 상(像)을 사물 추출기법에 따라 추출한다. (S170)Then, when the photograph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extracts an image of each person to b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object extraction technique. (S170)

이때, 상기 사물 추출기법은 추출 대상물(object)을 대상물(object)의 윤곽선을 따라 그 배경 이미지와 분리하여 검출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사물 추출기법에는 오브젝트 세그멘테이션 기법 등이 있다.In this case, the object extraction technique refers to a technique of detecting an object to be extracted separately from the background image along the outline of the object. Object extraction techniques include object segmentation techniques.

서버(300)는 상기 추출된 각 상(像)들을 사진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오버랩)시켜 최종 이미지를 완성한다. (S180) 서버(300)는 상기 앞뒤관계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각 상(像)들을 사진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한다.The server 300 inserts (superimposes) each of the extracted images at a designated position of a photograph to complete a final image. (S180) The server 300 refers to the fore / aft rel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inserts the extracted images into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photograph.

그리고 완성된 최종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메인 단말기(100)와 각 촬영 대상자의 단말(200A, 200B, 200C)측으로 전송한다. (S190)Then, the final image is stored in the memory and transmitted to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of the photographing target. (S190)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단말화면의 예시도로서,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들(200A, 200B, 200C)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a terminal screen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screens of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during photographing.

상기 과정 S150에서, 각 촬영 대상자의 위치가 지정되면, 메인 단말기(1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지정된 위치의 영역에 해당 촬영 대상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In step S150, when the position of each subject is designated, the main terminal 100 displays the image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n the area of the designated position, as shown in FIG.

메인 단말(100)의 사용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타입(예: 문자, 음성 등)을 음성으로 설정하여,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서브단말(200a, 200b, 200c)의 사용자들과 대화하고 의사 소통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main terminal 100 sets a chat type (e.g., character, voice, etc.) as a voice and displays the chat type with the users of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Communicate and communicate.

그리고, 서브 단말기들(200a, 200b, 200c)은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메인 단말(100)과 실시간 연동하여 메인 단말(100)의 촬영화면을 각자의 단말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 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말(200a, 200b, 200c)의 사용자들은 단말화면에 표시되는 자신의 영상을 볼 수 있으며, 적절한 포즈를 취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단말 200b와 포즈를 취하고 있는 단말 사용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sub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display the photographed images of the main terminal 100 on the respective terminal screens in real time while realizing the shooting with the main terminal 100 in real time. As shown in FIG. 6, users of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can view their own images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and can take appropriate pause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 terminal 200b and a terminal user pos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단말들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5a는 메인 단말 100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5b는 서브 단말 200a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5c는 서브 단말 200b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5d는 서브 단말 200c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main terminal 100, FIG. 5B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sub terminal 200a, and FIG. 5C FIG. 5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sub terminal 200c. FIG.

도5a 내지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는 촬영 이미지의 사이즈(예: 안면(顔面), 반신(半身), 전신(全身) 등)를 '반신'으로 설정하고 촬영 대상자들이 서로 겹치는 경우, 각 단말(100, 200A, 200B, 200C)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5A to 5D, in the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the size (e.g., face, half body, whole body, etc.)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set to " 200A, 200B, and 200C when the subjects overlap each other.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단말(100)은 단말(100) 사용자의 영상을 인물A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메인 단말(100)은 앞뒤관계 설정정보의 순위값에 상관없이 인물A 영역을 우선하여 표시함으로써 단말(100) 사용자가 촬영에 참여하는 자신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5A, the main terminal 100 displays an image of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in the person A area. The main terminal 100 allows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to check his or her own image participating in the photographing by displaying the person A area with priority regardless of the ranking value of the front-rear relation setting information.

메인 단말(100)의 경우, 사용자는 화면터치로서 원하는 인물 영역(예: 인물A 영역, 인물B 영역, 인물C 영역, 인물D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 사용자가 서브 단말 200a의 사용자의 포즈나 옷차림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인물B 영역(서브 단말 200a의 사용자)을 선택(터치)하는 것으로서 서브 단말 200a의 사용자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ain terminal 100, the user can activate a desired person area (e.g., a person A area, a person B area, a person C area, and a person D area) as a screen touch.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wants to check the pose or attire of the user of the sub terminal 200a, the user of the sub terminal 200a is checked by touching the person B area (user of the sub terminal 200a) .

그리고, 서브 단말 200a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a 사용자의 영상을 인물B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서브 단말 200a는 인물B 영역을 화면의 가장 앞쪽에 표시함으로써 단말200a 사용자가 촬영에 참여하는 자신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sub terminal 200a displays the image of the user of the terminal 200a in the person B area, as shown in FIG. 5B. The sub terminal 200a displays the person B area at the front of the screen so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200a can check his or her own image participating in the photographing.

그리고, 서브 단말 200b는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영상을 인물C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단말 200c는 사용자의 영상을 인물D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Then, the sub terminal 200b displays the user's image in the person C area, as shown in Fig. 5C. Then, as shown in FIG. 5D, the sub terminal 200c displays the user's image in the person D area.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작 예들이 제어부(or 서비스 앱(App)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a control unit (or a service application (App)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고, 제어부(or 서비스 앱(App))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and can be executed by a control unit (or a service application (App)).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라인의 가상공간에 원격지의 사용자들이 참여하도록 하여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that allows photographers to take photographs by allowing users at remote locations to participate in an online virtual space.

본 발명은 가상 촬영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앱을 구현함으로써, 여행이나 모임에 참석못한 회원(or 친구, 가족 등) 끼워넣기,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기러기 아빠를 가족 사진에 끼워넣기, 온라인 모임에 참석한 회원들의 영상 기록물 남기기, 유명인(예: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등)과의 기념촬영 제공하기, 온라인 팬클럽에서 스타와의 사진촬영 서비스 제공하기와 같은 기능들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service app for a virtual photography service, so that members (or friends, family members, etc.) who can not attend a trip or a meeting are put in, a geese dad who is separated from his family is put in a family photograp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provide functions such as recording video clips of celebrities (for example, entertainers or sports stars), providing online photo services for fans in online fan clubs.

100 : 메인(Main) 단말기 200a, 200b, 200c : 서브(Sub) 단말기
300 : 서버
100: Main terminal 200a, 200b, 200c: Sub terminal
300: server

Claims (8)

메인 단말(100)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된 서비스 앱을 통해, 촬영 대상자들의 단말(200A, 200B, 200C)로 초대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200A, 200B, 200C)이 상기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메인 단말(100)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접속을 완료하면, 메인 단말(100)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과;
메인 단말(100)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측으로 전달하고 서버(300)는 전달된 이미지에서 각 촬영 대상자의 상(像)을 소정의 오브젝트 세그멘테이션 기법에 따라 추출하는 과정과;
서버(300)가 상기 추출된 각 상(像)들을 최종 이미지 상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시켜 이미지를 완성한 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완성된 이미지를 각 촬영 대상자의 단말(200A, 200B, 200C)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이 메인 단말(100)에 접속하는 과정은
상기 초대를 수락하고 메인 단말(100)측에 접속하는 과정과;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동영상을 실시간 전송하거나 앨범의 저장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촬영에 참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모두 접속을 완료하면, 메인 단말(100)이 가상 촬영을 위한 백그라운드의 이미지 타입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백그라운드 이미지 상에,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정하는 과정과;
각기 지정된 위치의 영역에 해당 촬영 대상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방법.
The main terminal 100 executing a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ending an invitation message to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of the to-be-photographed persons through the executed service application;
A step in which each of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receiving the invitation message executes the service application and accesses the main terminal 100;
When the terminals having received the invitation message complete the connection, the main terminal 100 performs a photograph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 user's instruction;
The main terminal 100 deliver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server side, and the server 300 extracts an image of each person to be photograph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bject segmentation technique in the transferred image;
Inserting each extracted image into a designated position on a final image to complete and store the image;
And transmitting the completed image to the terminal 200A, 200B, or 200C of each photographing target,
The process of each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invitation message accesses the main terminal 100
Accepting the invitation and connecting to the main terminal 100;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riving the camera module and transmitting the user's moving image in real time or transmitting the stored image of the album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etting a background image type for virtual photographing by the main terminal (100) when all the terminals receiving the invitation message complete the connection;
Designating a position of a to-be-photographed person on the set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n image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n an area of each designated lo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자의 단말(200A, 200B, 200C)은
상기 메인 단말(100)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메인 단말(100)의 화면을 자신의 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방법.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s (200A, 200B, 200C)
And displays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as it is o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in cooperation with the main terminal (100) in real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이 메인 단말측(100)에 접속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인 단말(100)과의 문자채팅이나 음성채팅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each of the terminals, having received the invitation message, accesses the main terminal (100)
And setting a text chat or voice chat with the mai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소정의 서비스 앱을 통해, 촬영 대상자들의 단말(200A, 200B, 200C)로 초대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접속을 완료하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지정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메인 단말기(100)와;
상기 메인 단말(100)로부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실시간 영상을 메인 단말(100)에 전송하며 메인 단말(100)의 촬영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단말기(200a, 200b, 200c)와;
상기 메인단말(1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미지에서 각 촬영 대상자의 상(像)을 소정의 오브젝트 세그멘테이션 기법에 따라 추출하고 추출된 각 상(像)들을 최종 이미지 상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시켜 이미지를 완성하는 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단말기(100)는
상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이 모두 접속을 완료하면, 가상 촬영을 위한 백그라운드의 이미지 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백그라운드 이미지 상에,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정하고,
각기 지정된 위치의 영역에 해당 촬영 대상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
When an invitation message is sent to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of the to-be-photographed persons through a predetermined service application and the terminals receiving the invitation message complete the connection,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to-be-photographed persons ar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user A main terminal 100 for performing photographing;
When the invit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100, the camera module is driven to transmit a real time image to the main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sub terminal 200a, 200b, 200c )Wow;
When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main terminal 100 is received, an image of each person to be photographed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bject segmentation technique, and each extracted image is displayed at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final image And a server (300) for inserting and completing an image,
The main terminal 100
When all of the terminals receiving the invitation message complete the connection, an image type of the background for virtual photography is set,
Designates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on the set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And displays the image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n an area of each designated position.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단말기(200a, 200b, 200c)는
메인 단말(100)과 실시간 연동하여, 메인 단말(100)의 화면을 자신의 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t least one sub-terminal (200a, 200b, 200c)
And displays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on its own screen in real time in cooperation with the main terminal (100).
KR1020130093154A 2013-08-06 2013-08-06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514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54A KR101514313B1 (en) 2013-08-06 2013-08-06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54A KR101514313B1 (en) 2013-08-06 2013-08-06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81A KR20150017181A (en) 2015-02-16
KR101514313B1 true KR101514313B1 (en) 2015-04-22

Family

ID=5304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154A KR101514313B1 (en) 2013-08-06 2013-08-06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3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4475B2 (en) 2015-01-30 2018-01-24 ディーエスグローバ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Virtual shooting service method
WO2019139294A1 (en) * 2018-01-15 2019-07-18 Unito Entertainment, Inc Virtual photography system for producing virtual object by photographing real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81A (en)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1865B2 (en) Photo sharing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763481B2 (en) Mirror-bas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US9817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based on smart glasses
WO2016146060A1 (en) Sharing method and device for picture
US11822774B2 (en) Messaging system with battery level sharing
US11833427B2 (en) Graphical marker generation system for synchronizing users
CN105872252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230061559A1 (en) Cross-platform data management and integration
US20230308411A1 (en) Relationship-agnostic messaging system
KR101514313B1 (en) Virtual photograp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160094651A1 (en) Method of procuring integrating and sharing self potraits for a social network
US20240073373A1 (en) Sharing social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in video calls
JP6264475B2 (en) Virtual shooting service method
WO2024011181A1 (en)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rgb and ir capture
WO2023211688A1 (en) Shar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n video chat
US20240176470A1 (en) Automated tagging of content items
US20240004517A1 (en) Messaging application with conversation filtering
US20230353521A1 (en) Monitoring user activity on messaging platform
US20230216817A1 (en) Providing permissions for accessing shared content collections
US20230050068A1 (en) Displaying a profile from a content feed within a messaging system
US20240012930A1 (en) Obscuring elements based on user input
US20230214098A1 (en) Providing shared content collections within a messaging system
US20230063425A1 (en) Displaying content feeds within a messaging system
WO2024118314A1 (en) Automated tagging of content items
WO2024011125A1 (en) Managing content across multiple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