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633B1 - 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633B1
KR101513633B1 KR1020080115383A KR20080115383A KR101513633B1 KR 101513633 B1 KR101513633 B1 KR 101513633B1 KR 1020080115383 A KR1020080115383 A KR 1020080115383A KR 20080115383 A KR20080115383 A KR 20080115383A KR 101513633 B1 KR101513633 B1 KR 10151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telema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7732A (en
Inventor
최성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633B1/en
Publication of KR2010005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를 통해 통화 중일 때 통화가 끊기지 않은 상태로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계속 할 수 있는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telematics terminal capable of continuing a call through handsfree of a telematics terminal in a state that a call is not disconnected when a user is in a call via a mobile phone. To this end, a call control method of a telematic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onnecting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텔레매틱스 단말기, 통화, 핸즈프리 Telematics terminal, call, hands-free

Description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0001] 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0002]

본 발명은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telematics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 특히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적용된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및 지도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particularly a telematics terminal,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and map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a user.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센터(3)와; 차량 내에 장착되고, 무선 통신망(2)을 통해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인공위성(1)을 통해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교통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3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And a telematics terminal 4 mounted in the vehicle,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 and providing a guidance service based on the GP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atellite 1 and the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를 통해 통화 중일 때 통화가 끊기지 않은 상태로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계속 할 수 있는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telramatic terminal that can continue a call through handsfree of a telramatic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call is not disconnected when a user is in a call via a mobile ph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를 통해 통화 중일 때 통화가 끊기지 않은 상태로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는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control method of a telramatic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safe driving by continuously maintaining a call through handsfree of a telramatic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call is not disconnected when a user is in a call via a mobile phone .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control method for a telematic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망을 통해 페어링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elematic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pairing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luetooth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a hands- . ≪ / RTI >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턴-온되었을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망을 통해 자동으로 페어링하고, 상기 이 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ll of a telematic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utomatically pairing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luetooth network when the telematics terminal is turned on; And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미리 저장된 핸즈프리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자동으로 페어링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ll in a telematic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utomatically pair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in a hands-free user list stored in advance with the telematics terminal, And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핸즈프리 모듈을 통해 상기 통화 중 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s, a call control method of a telematics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utomatically maintaining a busy state through a hands-free module of a telematics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control method for a telematic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ques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busy stat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stat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control method for a telematics terminal, the telematics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stat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근거리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통화중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elematic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is switched to a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And automatically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to maintain the busy stat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control apparatus for a telematics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망을 통해 페어링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control apparatus for a telematics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pairing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luetooth network;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턴-온되었을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망을 통해 자동으로 페어링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control apparatus for a telematics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pairing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luetooth network when the telematics terminal is turned on;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는, 미리 저장된 핸즈프리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 말기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자동으로 페어링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control apparatus for a telematics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pair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in a hands-free user list stored in advance with the telematics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핸즈프리 모듈을 통해 상기 통화 중 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telematics terminal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busy state through a hands-free module of a telematics terminal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lematics terminal call control apparatus for requesting status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stat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telematics terminal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ler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telematics terminal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 hands-free mod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근거리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통화중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ll control apparatus for a telematics terminal, the telematics terminal comprising: a Bluetooth handsfree module for connecting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ach other via a local area network; Wherein the telematics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is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state, and displays the telematics terminal in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And maintains the busy st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화 중일 때 통화가 끊기지 않은 상태로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계속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telematic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telematics terminal is connected to a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Thereby, when the user is in the middle of a call through the mobile ph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all can be continued through the hands-free operation of the telematics terminal without interrupting the cal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화하다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자동으로 텔래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하므로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lematics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witch a telematics terminal to a hands-free mode when a user is talking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boarding a vehicl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safe driving can be carried out by making a call.

이하에서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화 중일 때 통화가 끊기지 않은 상태로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계속 할 수 있는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의 실시예를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the telematics terminal is switched to a hands-free mode, A call control method of a telramatic terminal capable of continuing a call through a handsfree of a telramatic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call is not disconne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이동 전화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plaining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No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hown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by a larger number of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by a component.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network o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 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be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Only Digital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related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and /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externally.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a wireless LAN (WLAN), a Wi-Fi,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iMAX, and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Can be used.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ean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 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ne example is the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The GPS module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For example, the GPS module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triangle method by measuring the precise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measuring three different distances.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by one satellite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can acquire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as well as three-dimensional velocity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A Wi-Fi Positioning System and / or a Hybrid Positioning System may be appli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A / V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 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In the call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open / close stat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presence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The sensing unit 140 senses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 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having the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May be included.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outputs th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displayed image or the UI or GUI is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51 is connected to a touch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creen') in which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a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 unit 180. Thus,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or the like.

상기 근접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thereof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141 has a longer lifetim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the contact-type sensor.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l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vertically when the pointer is touched.

또한,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Further, the proximity sensor 141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d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 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receiving a call signal, receiving a message, and inputting a key signal.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or the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can vibrate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vibration means to inform it.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vib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vibration means with the feedback of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vibra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f cours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ation of the finger or arm. At least two haptic modules 1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lematics terminal.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provided in a place where frequent contact with a user is frequent in the vehicle. For example, a steering wheel, a shift gear lever, a seat, and the like.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hav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 / RTI >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 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evice having the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s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ted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 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an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 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In accordance with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a unit 180.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The navigation session 300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generates the navig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p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Notif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telematics terminal 200 to which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lematics terminal 200 to which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2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211)와, LCD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214)를 내장한 메인 보드(210)로 구성된다.3, the telematics terminal 20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12 for controlling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s a whole, a memory 213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 main board 210 incorporating an LCD control unit 214 for controlling the LCD.

상기 메모리(2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213 stores map information (map data) for display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the digital map. In addition, the memory 213 stores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control algorithms for allowing the vehicle to input traf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road conditions, 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lgorithms.

상기 메인 보드(210)는 고유의 기기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인 CDMA 모듈(2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CD Deck)(208), 자이로 센서(2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CDMA 모듈(206), GPS 모듈(207)은 안테나(204, 205)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수신한다. The main board 210 is provided with a CDMA module 206,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ilt in a vehicle to which a unique device number is assigned. The main board 210 receives a GPS signal for locating a vehicle, tracking a traveling route from a starting place to a destination, A CD deck 208 for reproducing a signal recorded on a compact disc (CD), a gyro sensor 209, and the like (not shown) . The CDMA module 206 and the GPS module 207 transmit / receive signals through the antennas 204 and 205, respectively.

또한, TV 모듈(222)은 상기 메인 보드(210)에 연결되고, TV 안테나(223)를 통해서 TV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2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203)를 통해서 상기 LCD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LCD(201)와,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202)가 연결된다. 상기 LCD(2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210)에 제공한다.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교통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TV module 222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210 and receives a TV signal through the TV antenna 223. The main board 210 is connected to the LCD 201 through the interface board 203 under the control of the LCD controller 214 and the front board 202 under the control of the key controller 211. The LCD 201 displays various video signals and character signals. The front board 202 includes buttons for inputting various key signals. The key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buttons selected by the user are input to the main board 210 ). The front board 202 may have a menu key for directly inputting traffic information, and the menu key may be controlled by the key controller 211.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메인 보드(2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오디오 보드(2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로 구성된다.The audio board 217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210 and processes various audio signals. The audio board 217 includes a microcomputer 219 for controlling the audio board 217, a tuner 218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a power source 216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219,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215 for processing a signal.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20)와,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데크(2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오디오 보드(2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2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The audio board 217 includes a radio antenna 220 for receiving radio signals and a tape deck 221 for reproducing audio tapes. The audio board 217 may further comprise a voice output unit (for example, an amplifier) 226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audio board 217.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226)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217)와 메인 보드(21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2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2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2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2)에 제공한다. The audio output unit (amplifier) 226 is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face 224. That is, the audio board 217 and the main board 210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face 224. The vehicle interface 224 may be connected to a handsfree 225a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n air bag 225b for occupant safety, a speed sensor 225c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like. The speed sensor 225c calculates the vehicle speed and provides the calculated vehicle speed information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2. [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300)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The navigation session 300 applied to the telematics terminal 200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 data and the current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genera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통화 제어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근거리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핸즈프리 모듈(225a)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중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가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부(201)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통화중 상태를 유지하는 CPU(제어부)(212)로 구성된. 여기서, 상기 핸즈프리 모듈(225a)은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핸즈프리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ll control device of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s-free module 225a connecting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each other via a loc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The telematics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state and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200 is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on the display unit 201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And a CPU (control unit) 212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o the hands-free mode and maintaining the busy stat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busy. Here, the hands-free module 225a may be configured as a hands-free module having a Bluetooth modul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세션(300)의 기능은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CPU(제어부)(21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Here, the function of the navigation session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PU (controller) 212 of the telematics terminal 20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를 상기 텔레매틱스 단 말기(200)의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apparatus)에 적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독립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navigation apparatus of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he navigation device may be applied to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ut may be independently configured.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가 적용된 내비게이션 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device 400 to which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가 적용된 내비게이션 장치(40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근거로 내비게이션 장치(텔레매틱스 단말기(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동일한 위치인 것으로 간주함)의 제1 차량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GPS 모듈(401)과;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속도를 근거로 제2 차량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DR(Dead-Reckoning) 센서(402)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또는 저장부)(404)와; 상기 제1 차량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차량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차량 추정 위치와 상기 저장부(404)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내의 링크(지도 정합 링크 또는 지도 정합 도로)를 정합(matching)하고,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출력하는 지도 정합부(403)와; 무선 통신망(500)을 통해,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근거리 통신 망(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페어링하는 통신부(408)와;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중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 말기(100)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제어부(407)와; 상기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길 안내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405)와; 상기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길 안내 음성 정보(길 안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4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408)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블루투스 통신망(201)가 될 수 있으며, 통신부(408)는 도3의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핸즈프리(225a)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407)는 도3의 CPU(212)가 될 수도 있다.4, a navigation apparatus 400 to which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ceiv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received from a satellite, and transmits the GPS signal to a navigation device A GPS module (401) for generating first vehicle position data of the telematics terminal (2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dead-reckoning (DR) sensor 402 for generating second vehicle position data based o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A memory (or storage unit) 404 for storing map data; Generates a vehicle estimated position based on the first vehicle position data and the second vehicle position data, and generates a link in the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4 (the map matching link or the map matching road And outputs the matched map information (map matching result); A communication unit 408 for receiv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0 and for pairing the telematics terminal 200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Wow; Generates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matched map information (map matching result),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state, and transmits th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telematics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busy 200) to the hands-free mode automatically; A display unit (405) for displaying a route guidance map included i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a voice output unit 406 for outputting voice guidance voice information (voice guidance voice message) included in the voice guidance information.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201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8 may be a handsfree 225a having the Bluetooth module of FIG. And the control unit 407 may be the CPU 212 of FIG.

상기 길 안내 정보는, 지도 데이터뿐만 아니라, 차선 정보, 주행 제한 속도 정보, 턴바이턴 정보, 교통 안전 정보, 교통 안내 정보, 차량 정보, 길 찾기 정보 등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map data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such as lane information, traveling speed limit information, turn-by-turn information, traffic safety information, traffic guidance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

상기 GPS 모듈(40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제안한 무선 LAN 및 일부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LAN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 규격인 802.11과, 블루투스,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하는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5과, 도시 광대역 네트워크(Fixed Wireless Access : FWA)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Broadband Wireless Access : BWA)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6과,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무선MAN(MBWA :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에 대한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20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400)에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GPS module 401 include 802.11 which is a standard of a wireless network for a wireless LAN including a wireless LAN and some infrared communication proposed by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Bluetooth, UWB A wireless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BWA) including 802.15, which is a standard for a wireless PAN (Personal Area Network) including a wireless LAN (WLAN) and ZigBee, and a city wideband network And 802.20, which is a standard for the mobile Internet for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MBWA) including WiBro, WiMAX, etc., And to provide the navigation device 400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400)에 입력부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받으며,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그셔틀, 마이크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navigation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and the input unit may be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keypad, a touch screen, a jog shuttle, and a microphone.

상기 지도 정합부(403)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고, 상기 저장부(404)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독출한다.The map matching unit 403 generates a vehicle estimated posi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 data and the second position data, and reads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path from the storage unit 404.

상기 지도 정합부(403)는, 상기 차량 추정 위치와 상기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도로)를 정합(matching)하고,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상기 제어부(407)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도 정합부(403)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차량 추정 위치와 상기 저장부(404)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내의 링크들을 링크 순번에 따라 정합하고,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제어부(407)에 출력한다. 상기 지도 정합부(403)는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에 포함된 단층 도로 또는 복층 도로 등과 같은 도로 속성 정보를 상기 제어부(407)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도 정합부(403)의 기능은 상기 제어부(407)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map matching unit 403 matches the vehicle estimated position with the link (road) included in the map data, and outputs the matched map information (map matching result) to the control unit 407 . For example, the map matching unit 403 generates a vehicle estimated posi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 data and the second position data, and outputs the generated vehicle estimated position and the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4 , And outputs the matched map information (map matching result) to the control unit 407 The map matching unit 403 may output the road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a single-storey road or a multi-storey road included in the matched map information (map matching result) to the control unit 407. [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map matching unit 403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407.

상기 저장부(404)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는, 도분초 단위(DMS 단위 : Degree/Minute/Second)로 위도 및 경도를 표시하는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 또는, 경위도 좌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는 상기 지리 좌표 이외에도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 UPS(Universal Polar System) 좌표, TM(Transverse Mercator) 좌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404 stores map data. At this time, the stored map data includes geographic coordinates (geographic coordinates or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indicating latitude and longitude in units of minutes (DMS unit: Degree / Minute / Second). In addition to the geographical coordinates,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s, UPS (Universal Polar System) coordinates, and TM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s may be used as the stored map data.

상기 저장부(404)는, 각종 메뉴 화면, 관심 지점(POI : Point Of Interest, 이하 'POI' 라 한다),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따른 기능 특성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404 stor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point of interest (POI),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p data.

상기 저장부(404)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404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 (UI) and / or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상기 저장부(404)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4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404 store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navigation apparatus 400 to operate.

상기 저장부(404)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 또는 출발지와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4 stores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t this tim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either a destination or a source and a destination.

상기 표시부(405)는, 상기 제어부(407)에 의해 발생된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화상 정보(또는, 길 안내 지도)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405)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길 안내 정보에는, 지도 데이터뿐만 아니라, 차선 정보, 주행 제한 속도 정보, 턴바이턴 정보, 교통 안전 정보, 교통 안내 정보, 차량 정보, 길 찾기 정보 등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5 displays image information (or a route guidance map) included i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7. Here, the display unit 405 may be a touch scree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map data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such as lane information, traveling speed limit information, turn-by-turn information, traffic safety information, traffic guidance information, have.

상기 표시부(405)는, 상기 화상 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 저장부(404)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과 길 안내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 시부(405)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지도 데이터나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When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405 can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user interface and / or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404 hav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5 includes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map data and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a menu screen including data such as an icon, a list menu, and a combo box.

상기 음성 출력부(406)는, 상기 제어부(407)에 의해 발생된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음성 정보(또는, 상기 길 안내 정보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406)는, 앰프 또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The voice output unit 406 outputs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7 (or a voice message for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Here, the audio output unit 406 may be an amplifier or a speaker.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상기 표시부(405) 및 음성 출력부(406)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405)는 상기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407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matched map information and outputs the genera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405 and the voice output unit 406.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405 display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407), 상기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실시간 교통 정보는 길 안내 정보 발생 시 이용된다.The controller 407 receive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e receive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s used whe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generated.

상기 제어부(407)는, 콜 센터와 통신부(408)를 통해 연결되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400)와 상기 콜 센터 간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408)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모듈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407 is connected to the call cent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408 to perform a telephone conversation or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between the navigation device 400 and the call center. Here, the communication unit 408 includes a hands-free module having a Bluetooth function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한편, 상기 통신부(408)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저장부((404)에 미리 저장된 핸즈프리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를 자동으로 페어링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408)는 실시간으로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를 자동으로 페어링하거나,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를 자동으로 페어링하도록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408 automatically pai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hands-free user list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404 with the telematics terminal 200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408 automatically pai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ransmits the pairing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telematics terminal 200 200) to be automatically paired.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통신부(408)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현재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중인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ler 407 request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8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함"을 알리는 팝업(Pop-Up) 창을 발생하고, 상기 팝업 창을 상기 표시부(405)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405)는 상기 팝업 창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407 generates a pop-up window informing the user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200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state,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405. The display unit 405 displays the pop-up window on the screen.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래매틱스 단말기(200)의 핸즈프리 모듈을 통해 통화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7 automatically switches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inue the call through the hands-free module of the telematics terminal 20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통신부(408)는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한다. 예를 들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가 턴-온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407)의 제어 하에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저장부(404)에 미리 저장된 핸즈프리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를 자동으로 페어링한다(S11). First, the communication unit 408 connec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telematics terminal 200 is turn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hands-free user list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404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7, The telematics terminal 200 is automatically paired (S11).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상기 통신부(408)를 통해 연결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12). 여기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통화 상태 정보, 대기 상태 정보, 아이들(Idle) 상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통신부(408)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8, the control unit 407 requests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step S12.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either the call state informatio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or the idle state information to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8.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통신부(408)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3).The control unit 407 receive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8. [ The control unit 407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state based on the received current state information (S13).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상태로 차량 내에 탑승했을 때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when a user is boarded in a vehicle in a call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통화상태로 차량 내에 탑승했을 때 또는 차량 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통화할 때, 상기 통신부(408)는 상기 제어부(407)의 제어 하에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저장부(404)에 미리 저장된 핸즈프리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를 자동으로 페어링한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6, when the user is boarding the vehicle in the communication state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when talking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unit 408 transmits, After automatically pai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hands-free user list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404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telematics terminal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7, And receives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상태(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표시부(405)에 출력한다(S14). 상기 표시부(405)는 상기 알림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S15).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state (during a call), the control unit 407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200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405 (S14). The display unit 405 display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S15).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회면 상에 표시된 팝업창을 나타낸 도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p-up window displayed on a face of a telematic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상태(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시겠습니까?"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가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7-1)를 발생하고, 상기 알림 정보(7-1)를 상기 표시부(405)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7,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call state (during a call), the control unit 407 transmits a message "Would you like to switch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o the hands-free mode? Or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1 indicating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200 is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and display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1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405. [

이후,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알림 정보(7-1)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한다(S16). 여기서,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알림 정보(7-1) 상에서 확인 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407 display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1 and automatically switches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o the hands-free mode (S16). Here, the control unit 407 may switch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selected by the user 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통화하다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자동으로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는 통화를 끊지 않고도 핸즈프리 모드를 통해 통화를 계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하므로 안전 운전을 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switch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user makes a cal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call through the hands-free mode without interrupting the call, and the user can make a safe call because the call is made through the hands-fre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통화하다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자동으로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는 통화를 끊지 않고도 핸즈프리 모드를 통해 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transmit the telematics terminal 200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user cal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user can continue the call through the hands-free mode without interrupting the cal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통화하다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자동으로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하므로 안전 운전을 할 수도 있다.The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witch the telramatics terminal 200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user is on the vehicle while talking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o that safe driving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plaining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lematics terminal to which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가 적용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apparatus to which a cal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상태로 차량 내에 탑승했을 때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when a user is boarded in a vehicle in a call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회면 상에 표시된 팝업창을 나타낸 도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p-up window displayed on a face of a telematic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401: GPS 모듈 402: DR 센서401: GPS module 402: DR sensor

403: 지도 정합부 404: 저장부403: map matching unit 404:

405: 표시부 406: 음성 출력부405: Display section 406: Audio output section

407: 제어부 408: 통신부407: Control section 408:

500: 무선 통신망50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20)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와;Connecting a telematics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And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sy,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The step of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Reques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busy stat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And automatically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onnecting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망을 통해 페어링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And the pairing of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Bluetooth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onnecting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턴-온되었을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망을 통해 자동으로 페어링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And automatically pairing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Bluetooth network when the telematics terminal is turned 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 는 단계는,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onnecting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미리 저장된 핸즈프리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자동으로 페어링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And automatically pai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in the hands-free user list stored in advance with the telematics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a hands-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핸즈프리 모듈을 통해 상기 통화 중 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And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busy state through a hands-free module of the telematics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a hands-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sta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제1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Receiv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and generating first position data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GPS signal;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속도를 근거로 제2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Generating second position data based o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상기 제1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는 단계와;Generating a vehicle estimated posi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 data and the second position data;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a destination; 상기 차량 추정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 traveling route from the vehicle estimated position to the set destin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connecting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telematics terminal to a hands-free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requests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stat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switches the terminal to the hands-free m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12.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망을 통해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Wherein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aired via a Bluetooth network.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12.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턴-온되었을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망을 통해 자동으로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Wherein the telematics terminal automatically pairs the telematic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luetooth network when the telematics terminal is turned 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12.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미리 저장된 핸즈프리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자동으로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Wherein the telematics terminal automatically pai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in the hands-free user list stored in advance with the telematics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통화 중 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And automatically maintains the busy stat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sta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 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상기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Wherein the telematics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telematics terminal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mmunication.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제1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GPS 모듈과;A GPS module for receiv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and for generating first position data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GPS signal;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속도를 근거로 제2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DR(Dead-Reckoning) 센서와;A dead-reckoning (DR) sensor for generating second position data based o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상기 제1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는 지도 정합부와;A map matching unit for generating a vehicle estimated posi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 data and the second position data; 목적지를 설정하고, 상기 차량 추정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장치.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setting a destination and provi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 traveling route from the vehicle estimated position to the set destin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15383A 2008-11-19 2008-11-19 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513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83A KR101513633B1 (en) 2008-11-19 2008-11-19 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83A KR101513633B1 (en) 2008-11-19 2008-11-19 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732A KR20100057732A (en) 2010-06-01
KR101513633B1 true KR101513633B1 (en) 2015-04-20

Family

ID=4235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383A KR101513633B1 (en) 2008-11-19 2008-11-19 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6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05B1 (en) * 2011-12-18 2019-08-29 인포뱅크 주식회사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01397B1 (en) 2014-03-13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elematics system for wifi direct communicat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732A (en) 201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913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622637B1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646139B1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495166B1 (en) Mobile vehicl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100124591A (en) Mobile termin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30483A (en) Mobile vehicl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562581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004706A (en) Emergency handl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542495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553952B1 (en)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513633B1 (en) Call control method for telematic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537695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75047B1 (en) Mobile vehicl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763226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677628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055267A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695686B1 (en) Mobile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553948B1 (en) Method for providing poi information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587105B1 (en) Mobile vehicl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729578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516638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592316B1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587103B1 (en)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855835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00083649A (en)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