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372B1 - 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 - Google Patents

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372B1
KR101513372B1 KR1020130168757A KR20130168757A KR101513372B1 KR 101513372 B1 KR101513372 B1 KR 101513372B1 KR 1020130168757 A KR1020130168757 A KR 1020130168757A KR 20130168757 A KR20130168757 A KR 20130168757A KR 101513372 B1 KR101513372 B1 KR 101513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amplifier
overcurrent
node
transconduc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태열
박문수
이지영
박준영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3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9Electr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04B10/693Arrangements for optimizing the preamplifier in the receiver
    • H04B10/6931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preamplif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optical communications receiver including a circuit, which adjusts gain or transconductance of a preamplifier. The optical communications receiver includes: an optical signal reception device; an amplifier into which photocurrent,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ption device, is input; and a gain adjustment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and adjusts gain of the amplifier. A resistance value of the gain adjustment unit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unit is in an overcurrent condition or a normal condition.

Description

이득 또는 트랜스컨덕턴스를 조절하는 광통신 수신기{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0001] 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 [0002]

본 발명은 광통신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광통신 수신기는 광통신 송신기로부터 광 신호를 제공받아 광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receives the optical signal from the optical communication transmitter, converts it into a photocurrent, and outputs it.

종래의 광통신 수신기는 높은 동적 범위를 설계하기 위하여 포토 다이오드로부터 과부하 전류가 입력시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교류 신호를 바이패스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기생 캐패시터를 발생시켜서 광통신 수신기의 대역폭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Conventional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s bypass the AC signal using a capacitor when an overload current is input from the photodiode to design a high dynamic range. However, this method can degrade the bandwidth performance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by generating parasitic capacitor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13899호 (공개일 : 2006년 2월 14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13899 (Published on February 14, 2006)

본 발명은 전치 증폭기의 이득 또는 트랜스컨덕턴스를 조절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광통신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including a circuit for regulating the gain or transconductance of the preamplifi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수신기는 광신호 수신 소자; 상기 광신호 수신 소자로부터 출력된 광 전류가 입력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득 조절부의 저항의 값은 과전류 상태일 때와 정상 상태일 때가 다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including: an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An amplifier for receiving the optical current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And a gain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amplifier, the gain adjusting unit adjusting a gain of the amplifier. Here, the value of the resistance of the gain control unit is different between the overcurrent state and the normal st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수신기는 광신호 수신 소자; 상기 광신호 수신 소자로부터 출력된 광 전류가 입력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의 트랜스컨덕턴스를 조절하는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including: an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An amplifier for receiving the optical current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And a transconductance adjuster connected to the amplifier to adjust the transconductance of the amplif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피드백 저항; 및 상기 피드백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증폭기로 과전류 입력시 상기 스위치가 턴-온되어 상기 피드백 저항이 비활성화된다.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mplifier; A feedback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amplifier; And a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eedback resistor. Here, when the overcurrent is input to the amplifi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feedback resistor is inactiv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연결된 스위치; 및 과전류 보상 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증폭기로 과전류 입력시 상기 과전류 보상 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 내에서 흐르는 전류가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방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eiver including: an amplifier; A switch coupled to the amplifier; And an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Here, when an overcurrent is input to the amplifier, a current flowing in the amplifi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witch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 수신기는 과전류 입력시 전치 증폭기의 피드백 저항의 값을 가변시켜 상기 전치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gain of the preamplifier by varying the value of the feedback resistance of the preamplifier when the overcurrent is input.

또한, 상기 광통신 수신기는 과전류 입력시 상기 전치 증폭기 내부의 전류 중 적어도 일부를 방출시켜 상기 전치 증폭기의 트랜스컨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may regulate the transconductance of the preamplifier by discharging at least a part of the current in the preamplifier when an overcurrent is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광통신 수신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광통신 수신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광통신 수신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과전류 입력시 전치 증폭기(Transimpedance amplifier, TIA)의 이득을 조절하고 트랜스컨덕턴스(gm)를 조절할 수 있는 광통신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과전류는 과부하 전류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capable of adjusting a gain of a transimpedance amplifier (TIA) and adjusting a transconductance (g m ) in an overcurrent input. Here, the overcurrent is a concept including an overload current.

예를 들어, 과전류가 전치 증폭기(TIA)로 입력될 때, 본 발명은 전치 증폭기(TIA)의 피드백 저항을 가변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전치 증폭기(TIA)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overcurrent is input to a preamplifier (TIA),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gain of the preamplifier (TIA) by varying the feedback resistance of the preamplifier (TIA).

또한, 본 발명은 과전류 입력시 전치 증폭기(TIA)의 트랜스컨덕턴스(gm)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광대역 및 넓은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가지는 광통신 수신기를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ransconductance (g m) of the preamplifier (TIA) when the input over-current,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ide-band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having a wide dynamic range (dynamic range).

물론, 기본적으로, 상기 광통신 수신기는 광신호 수신 소자,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PD)로부터 출력된 광 전류가 기설정값 이상의 과전류인 경우, 전치 증폭기(TIA)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지 않도록 전치 증폭기(TIA)로 입력되는 광 전류의 일부를 접지로 방전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Of course, basically, when the optical current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device, for example, a photodiode (PD) is an overcurrent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fined value,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does not reach the saturation state of the preamplifier A portion of the photocurrent input to the preamplifier (TIA) may be discharged to the ground.

이하, 본 발명의 광통신 수신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통신 수신기는 포토 다이오드(PD), 증폭기(100), 예를 들어 전치 증폭기, 과전류 보상 회로(102) 및 이득 조절부(10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hotodiode PD, an amplifier 100, for example, a preamplifier, an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and a gain controller 104.

포토 다이오드(PD)는 광통신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광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photodiode PD receives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communication transmitter, converts the receiv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photocurrent), and outputs the electric signal.

증폭기(100)는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제공된 미약한 광 전류를 충분한 이득을 가지고 증폭시켜 출력시킨다. The amplifier 100 amplifies and outputs the weak photocurrent supplied from the photodiode PD with a sufficient gain.

과전류 보상 회로(102)는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출력된 광 전류가 기설정값 이상인 과전류인 경우 과전류로 인하여 증폭기(100)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지 않도록 과전류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류 보상 회로(102)는 과전류인 경우 증폭기(100)로 입력되는 전류의 양이 감소하도록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출력된 광 전류의 적어도 일부를 접지를 통하여 방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증폭기(100)로 입력되는 전류의 양이 작아진다.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can compensate the overcurrent so that the amplifier 100 does not reach the saturation state due to the overcurrent when the photocurrent output from the photodiode PD is an overcurrent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may discharge at least a portion of the photocurrent output from the photodiode PD through the ground to reduce the amount of current input to the amplifier 100 in the case of an overcurrent, The amount of current input to the resultant amplifier 100 becomes small.

이득 조절부(104)는 증폭기(1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즉 피드백 회로이다. 예를 들어, 이득 조절부(104)는 과전류 입력시 과전류 보상 회로(102)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저항의 값을 가변시켜 증폭기(100)의 이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이득 조절부(104)는 과전류 보상 회로(102)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아닌 다른 회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저항의 값을 가변시킬 수 있다. The gain control unit 104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amplifier 100, that is, it is a feedback circuit. For example, the gain adjuster 104 may vary the value of the resistance according to a signal provided from the overcurrent compensating circuit 102 when the overcurrent is inputted, thereby reducing the gain of the amplifier 100. [ Of course, the gain control unit 104 may vary the value of the resistance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a circuit other tha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전류 상태일 때의 이득 조절부(104)의 저항의 값은 정상 상태일 때의 이득 조절부(104)의 저항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alue of the resistance of the gain control unit 104 when in the overcurrent state may be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resistance of the gain control unit 104 in the steady stat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광통신 수신기는 과전류시 이득 조절부(104)의 저항의 값을 가변시켜 전치 증폭기(100)의 이득을 가변시킬 수 있다. In summary,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vary the gain of the preamplifier 100 by varying the value of the resistance of the gain controller 104 in the overcurrent state.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광통신 수신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통신 수신기는 포토 다이오드(PD), 전치 증폭기(100), 과전류 보상 회로(102) 및 이득 보상부(104)를 포함한다. 2,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hotodiode (PD), a preamplifier 100, an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and a gain compensation unit 104.

과전류 보상 회로(102)는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기설정값 이상인 과전류인 경우 과전류를 보상한다.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compensates the overcurrent when the current output from the photodiode PD is an overcurr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전류 보상 회로(102)는 제 1 미러 회로인 제 1 트랜지스터(M1) 및 제 2 트랜지스터(M2), 제 2 미러 회로인 제 3 트랜지스터(M3) 및 제 4 트랜지스터(M4)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트랜지스터(M1)와 전압원(VDD) 사이, 제 2 트랜지스터(M2)와 전압원(VDD) 사이, 제 3 트랜지스터(M3)와 접지 사이 및 제 4 트랜지스터(M4)와 접지 사이에 각기 제 1 저항, 제 2 저항, 제 3 저항 및 제 4 저항이 형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includes a first transistor M1 and a second transistor M2 as first mirror circuits, a third transistor M3 and a fourth transistor M4 as second mirror circuits, . ≪ / RTI >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transistor M1 and the fourth transistor M4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ransistor M1 and the voltage source V DD , between the second transistor M2 and the voltage source V DD , between the third transistor M3 and ground, A first resistor, a second resistor, a third resistor, and a fourth resistor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ground.

전압원(VDD)은 과전류 보상 회로(102)에 기설정 전압, 예를 들어 5V의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voltage source V DD serves to supply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5 V, to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상기 제 1 미러 회로는 미러 구조의 트랜지스터들(M1 및 M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스 트랜지스터들(M1 및 M2)은 각기 피-모스 트랜지스터(P-MOS transistor)일 수 있다. The first mirror circuit may include transistors M1 and M2 of a mirror structure and each of the MOS transistors M1 and M2 may be a p-MOS transistor.

제 1 트랜지스터(M1)는 전압원(Vs)과 포토 다이오드(PD) 사이에 연결되며, 전압원(VDD)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이 경우, 제 1 트랜지스터(M1)를 통하여 전류(i)가 흐른다. 예를 들어, 제 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가 드레인에 연결되고, 소스가 제 1 저항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transistor M1 is connected between the voltage source Vs and the photodiode PD and operates in response to a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source V DD . In this case, the current i flows through the first transistor M1. For example, the gate of the first transistor M1 may be coupled to the drain, and the sourc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esistor.

제 2 트랜지스터(M2)는 제 1 트랜지스터(M1)와 미러 구조를 형성하며, 게이트는 제 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와 연결되고, 소스는 제 2 저항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transistor M2 forms a mirror structure with the first transistor M1, the gat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first transistor M1, and the sourc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M1.

상기 제 1 미러 회로가 미러 구조이므로, 제 1 트랜지스터(M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i) 또는 전류(i)에 비례하는 전류가 제 2 트랜지스터(M2)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M2)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트랜지스터들(M1 및 M2)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mirror circuit is a mirror structure, a current proportional to the current (i) or the current (i) flowing through the first transistor (M1) can flow through the second transistor (M2).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transistors M1 and M2.

상기 제 2 미러 회로는 미러 구조의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을 포함하고,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출력되는 광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전류를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따라서 과전류 보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모스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은 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N-MOS transistor)일 수 있다. The second mirror circuit includes transistors M3 and M4 having a mirror structure and emits a current when the photocurrent output from the photodiode PD is an overcurrent. Accordingly, the second mirror circuit can be named as an overcurrent compensator have. Each of the MOS transistors M3 and M4 may be an N-MOS transistor.

제 3 트랜지스터(M3)의 소스는 제 3 저항을 통하여 접지에 연결될 수 있고, 드레인은 포토 다이오드(PD) 및 전치 증폭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출력된 전류 중 일부가 제 3 트랜지스터(M3)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The source of the third transistor M3 may be coupled to ground through a third resistor and the drain may be coupled to the photodiode PD and the preamplifier 100. As a result, a part of the current output from the photodiode PD can flow through the third transistor M3.

제 4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는 제 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와 연결되며, 게이트는 드레인과 연결되고, 소스는 제 4 저항을 통하여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트랜지스터(M2)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제 4 트랜지스터(M4)를 통하여 접지로 흐를 수 있다. The gate of the fourth transistor M4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third transistor M3, the gate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and the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ourth resistor. As a resul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transistor M2 can flow to the ground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M4.

여기서, 제 3 트랜지스터(M3)와 제 4 트랜지스터(M4)의 사이즈 비율에 따라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의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제 3 트랜지스터(M3)의 사이즈가 제 4 트랜지스터(M4)의 사이즈보다 크면 제 3 트랜지스터(M3)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 4 트랜지스터(M4)에 흐르는 전류의 양보다 많고, 제 3 트랜지스터(M3)의 사이즈가 제 4 트랜지스터(M4)의 사이즈보다 작으면 제 3 트랜지스터(M3)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 4 트랜지스터(M4)에 흐르는 전류의 양보다 적다. NMOS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폭과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구체적으로는 게이트의 폭에 비례하고, 게이트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한편, 상기 제 2 미러 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의 게이트들의 폭과 길이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transistors M3 and M4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ratio of the third transistor M3 and the fourth transistor M4. That is, if the size of the third transistor M3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ourth transistor M4,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third transistor M3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fourth transistor M4, If the size of the third transistor M3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ourth transistor M4, the amount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transistor M3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M4. The size of the NMOS transistor is determined by the width and length of the gate of the NMOS transistor. Specifically, it is proportional to the width of the gate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gate. Meanwhile, the widths and lengths of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3 and M4 included in the second mirror circuit may have the same value.

제 3 저항은 제 3 트랜지스터(M3)의 소스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제 3 트랜지스터(M3)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조절한다. 여기서, 제 3 저항의 저항값이 크면 전류는 감소하고, 제 3 저항의 저항값이 작으면 제 3 트랜지스터(M3)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한다.The third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of the third transistor M3 and the ground to adjus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transistor M3. Here, i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ird resistor is large, the current decreases, and i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ird resistor is small, the current flowing in the third transistor M3 increases.

제 4 저항은 제 4 트랜지스터(M4)의 소스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제 4 트랜지스터(M4)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조절한다. The fourth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of the fourth transistor M4 and the ground to control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M4.

이하, 과전류 보상 회로(102)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will be described.

전압원(VDD)으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면 제 1 미러 회로 및 제 2 미러 회로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When a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voltage source (V DD ), the first mirror circuit and the second mirror circuit start to operate.

제 1 미러 회로가 미러 구조를 가지므로,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출력되는 전류(i)가 제 2 트랜지스터(M2)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Since the first mirror circuit has a mirror structure, the current i output from the photodiode PD flows through the second transistor M2.

이 때, 제 4 저항에 의해 조절된 전류가 제 4 트랜지스터(M4)를 통하여 흐르며, 제 2 미러 회로가 미러 구조를 가지므로 제 3 트랜지스터(M3)를 통하여 제 4 트랜지스터(M4)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동일하거나 비례하는 전류가 흐른다. Since the current controlled by the fourth resistor flows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M4 and the second mirror circuit has the mirror structur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M4 through the third transistor M3 The current flows in the same or proportional manner.

이러한 과전류 보상 회로(102)에서,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제 4 트랜지스터(M4)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제 4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에 해당하는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며, 그 결과 제 4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의 전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M3)로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전치 증폭기(100)로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과전류의 경우에도 전치 증폭기(100)는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In this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when the current output from the photodiode PD is an overcurrent,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M4 increases. As a result, the voltage of the node corresponding to the gate of the fourth transistor M4 rises, and as a result, the voltage of the gate of the fourth transistor M4 rises. Therefore, the current flowing to the third transistor M3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put to the preamplifier 100 is reduced.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the overcurrent, the preamplifier 100 can operate stably.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이득 조절부(104)는 피드백 저항(R) 및 스위치, 예를 들어 제 5 트랜지스터(M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gain adjustment unit 104 may include a feedback resistor R and a switch, for example, a fifth transistor M5.

피드백 저항(R)은 전치 증폭기(1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The feedback resistor R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preamplifier 100.

제 5 트랜지스터(M5)는 피드백 저항(R)에 병렬로 연결되며, 예를 들어 N-모스 트랜지스터이다. The fifth transistor M5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eedback resistor R, for example, an N-MOS transistor.

이득 조절부(104)의 동작을 살펴보면,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의 게이트들이 만나는 노드의 전압이 낮으므로, 즉 로우 로직(Low logic)이므로, 제 5 트랜지스터(M5)가 턴-온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전치 증폭기(1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피드백 저항(R)이 활성화된다. The operation of the gain control unit 104 is as follows. In the normal state, since the voltage of the node where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3 and M4 meet is low, that is, low logic, It is not turned on. As a result, the feedback resistor R connect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preamplifier 100 is activated.

반면에, 과전류 상태인 경우에는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의 게이트들이 만나는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므로, 즉 하이 로직(High logic)으로 변화되므로, 제 5 트랜지스터(M5)가 턴-온된다. 결과적으로, 전치 증폭기(1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가 단락되어 피드백 저항(R)이 비활성화된다. 즉, 전류 상태에 따라 피드백 저항(R)이 가변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vercurrent state, the voltage at the node where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3 and M4 meet increases, that is, changes to High logic, so that the fifth transistor M5 is turned on. As a result, the input and output stages of the preamplifier 100 are short-circuited, and the feedback resistor R is inactivated. That is, the feedback resistor R varies depending on the current state.

전치 증폭기(100)의 이득은 피드백 저항(R)에 비례하므로, 과전류 상태인 경우에는 전치 증폭기(100)의 이득이 감소하게 된다. Since the gain of the preamplifier 100 is proportional to the feedback resistance R, the gain of the preamplifier 100 is reduced in the overcurrent state.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광통신 수신기에서, 이득 조절부(104)는 과전류시 과전류 보상 회로(10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전치 증폭기(1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를 단락시켜 전치 증폭기(100)의 이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넓은 동적 범위의 광통신 수신기의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In summary, in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in adjuster 104 short-circuits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preamplifier 100 according to the signals output from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2 during the overcurrent, The gain can be reduced. Thus, the performance of a wide dynamic rang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can be realized.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광통신 수신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통신 수신기는 포토 다이오드(PD), 전치 증폭기(TIA), 과전류 보상 회로 및 이득 조절부(1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hotodiode PD, a preamplifier (TIA), an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and a gain controller 104.

이득 조절부(10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gain adjusting unit 104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득 조절부(104)는 제 1 피드백 저항(R1), 제 2 피드백 저항(R2) 및 제 5 트랜지스터(M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ain control unit 104 may include a first feedback resistor R1, a second feedback resistor R2, and a fifth transistor M5.

피드백 저항들(R1 및 R2)은 전치 증폭기(TIA)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Feedback resistors R1 and R2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preamplifier (TIA).

제 5 트랜지스터(M5)는 제 1 피드백 저항(R1)에 병렬로 연결된다. The fifth transistor M5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feedback resistor R1.

정상 상태인 경우, 제 5 트랜지스터(M5)는 오프 상태이므로 피드백 저항들(R1 및 R2)이 모두 활성화된다. In the steady state, since the fifth transistor M5 is in the off state, both the feedback resistors R1 and R2 are activated.

반면에, 과전류 상태인 경우, 제 5 트랜지스터(M5)가 턴-온되므로 제 1 피드백 저항(R1)은 비활성화되고 제 2 피드백 저항(R2)만이 활성화된다. 결과적으로, 과전류 상태일 때의 피드백 저항의 값이 정상 상태일 때의 피드백 저항의 값보다 작아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vercurrent state, the fifth transistor M5 is turned on, so that the first feedback resistor R1 is inactivated and only the second feedback resistor R2 is activated. As a result, the value of the feedback resistance in the overcurrent state becomes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feedback resistance in the steady state.

도 2 및 도 3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정상 상태일 때와 과전류 상태일 때 전치 증폭기(TIA)의 피드백 저항의 값이 달라지며, 그 결과 전치 증폭기(TIA)의 이득이 조절된다. 2 and 3, the value of the feedback resistance of the preamplifier (TIA) changes in the steady state and the overcurrent state, and as a result, the gain of the preamplifier (TIA) is adjus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통신 수신기는 포토 다이오드(PD), 전치 증폭기(400), 과전류 보상 회로(402), 이득 조절부(404) 및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406)를 포함한다. 4,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hotodiode PD, a preamplifier 400, an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402, a gain controller 404, and a transconductance controller 406.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40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transconductance adjuster 406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406)는 전치 증폭기(400) 내부의 전류를 조절하여 전치 증폭기(400)의 트랜스컨덕턴스(gm)를 조절한다 Transconductance control unit 406 controls the transconductance (g m) of the pre-amplifier 400 to adjust the current within the preamplifier 4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406)는 과전류시 과전류 보상 회로(402)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전치 증폭기(400) 내부로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일부를 접지로 방출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치 증폭기(400)의 트랜스컨덕턴스(gm)가 조절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nsconductance adjuster 406 may discharge at least a part of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preamplifier 400 to the ground according to a signal provided from the overcurrent compensating circuit 402 at the time of an overcurrent. As a result, the transconductance (g m ) of the preamplifier 400 is adjusted.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광통신 수신기는 전치 증폭기(400)의 이득 및 트랜스컨덕턴스(gm)를 조절하는 회로를 구현한다.In summary,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this embodiment implements a circuit that regulates the gain and transconductance (g m ) of the preamplifier 4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광통신 수신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f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406)는 전압원(VDD)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스위치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들(M6 및 M7)을 포함할 수 있다. 5, the transconductance adjuster 406 may include two switches, for example, transistors M6 and M7, connected in series to a voltage source V DD .

제 6 트랜지스터(M6)은 P-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제 7 트랜지스터(M7)는 N-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들(M6 및 M7)은 스위칭한다. The sixth transistor M6 may be a P-MOS transistor, and the seventh transistor M7 may be an NMOS transistor. That is, the transistors M6 and M7 switch.

트랜지스터들(M6 및 M7)의 게이트들이 만나는 노드는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의 게이트들이 만나는 노드에 연결된다. The node where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6 and M7 meet is connected to the node where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3 and M4 meet.

또한, 트랜지스터들(M6 및 M7)의 드레인들이 만나는 노드는 전치 증폭기(400)의 첫번째 단,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T)의 이미터에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node where the drains of the transistors M6 and M7 mee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stage of the preamplifier 400, for example, to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T. [

이하,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406)의 동작을 살펴보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ransconductance adjuster 406 will be described.

정상 상태인 경우,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의 게이트들이 만나는 노드의 전압이 낮으므로, 즉 로우 로직이므로, 제 6 트랜지스터(M6)는 턴-온되고 제 7 트랜지스터(M7)는 오프 상태이다. 다만, 전압원(VDD)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에 의해 제 6 트랜지스터(M6)를 통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전류가 전치 증폭기(400)로 흐르지 않도록 제 6 트랜지스터(M6)의 사이즈를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In the steady state, the voltage at the node where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3 and M4 meet is low, i.e., low logic, so that the sixth transistor M6 is turned on and the seventh transistor M7 is off. However, a voltage source (V DD), but the current to flow through the sixth transistor (M6) by the supply voltage from,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ze of the sixth transistor (M6) is the electric current does not flow in the pre-amplifier 400, It can be designed properly.

과전류 상태인 경우, 트랜지스터들(M3 및 M4)의 게이트들이 만나는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므로, 즉 하이 로직으로 변화되므로, 제 6 트랜지스터(M6)는 턴-오프되고 제 7 트랜지스터(M7)는 턴-온된다. 결과적으로, 전치 증폭기(400)의 전류가 제 7 트랜지스터(M7)를 통하여 접지로 방출된다. 결과적으로, 전치 증폭기(400)의 트랜스컨덕턴스(gm)가 조절된다. The sixth transistor M6 is turned off and the seventh transistor M7 is turned on because the voltage at the node where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3 and M4 rises, Is turned on. As a result, the current of the preamplifier 400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seventh transistor M7. As a result, the transconductance (g m ) of the preamplifier 400 is adjusted.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광통신 수신기는 과전류시 전치 증폭기(400)의 전류를 방출시켜 전치 증폭기(400)의 트랜스컨덕턴스(gm)를 조절한다. In short, the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example of this embodiment controls the transconductance (g m) of the excess current when the pre-amplifier to release a current of 400, a preamplifier 400.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PD : 포토 다이오드 100, 400 : 전치 증폭기
102, 402 : 과전류 보상 회로 104, 404 : 이득 조절부
406 :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
PD: photodiode 100, 400: preamplifier
102, 402: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104, 404: gain control section
406: transconductance adjuster

Claims (15)

광신호 수신 소자;
상기 광신호 수신 소자로부터 출력된 광 전류가 입력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조절부; 및
과전류 상태일 때 상기 증폭기로 입력되는 광 전류의 적어도 일부를 접지를 통하여 방출시키는 과전류 보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이득 조절부의 저항의 값은 상기 과전류 상태일 때와 정상 상태일 때가 다르며, 상기 과전류 상태일 때 상기 이득 조절부에 연결된 상기 과전류 보상 회로의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여 상기 이득 조절부의 저항 값이 상기 정상 상태일 때의 상기 이득 조절부의 저항 값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수신기.
An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An amplifier for receiving the optical current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A gain controller connected to the amplifier, the gain controller adjusting a gain of the amplifier; And
And an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that discharges at least a part of a photocurrent input to the amplifier through an earth when the overcurrent state is present,
Wherein a value of a resistance of the gain control unit is different between the overcurrent state and the steady state, and when a voltage of a node of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gain control unit increases in the overcurrent state, And is smaller than a resistance value of the gain adjusting section when the gain control section is in the steady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조절부는,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피드백 저항; 및
상기 피드백 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과전류 상태로 인하여 상기 노드의 전압이 상승할 때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피드백 저항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가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수신기.
The apparatus of claim 1,
A feedback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amplifier; And
And a transistor coupled in parallel to the feedback resistor,
The gate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node, and when the voltage of the node rises due to the overcurrent state, the transistor is turned on, the feedback resistor is inactivated, and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amplifier are short-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조절부는,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피드백 저항 및 제 2 피드백 저항; 및
상기 제 1 피드백 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과전류 상태로 인하여 상기 노드의 전압이 상승할 때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 1 피드백 저항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수신기.
The apparatus of claim 1,
A first feedback resistor and a second feedback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amplifier; And
And a transistor coupled in parallel to the first feedback resistor,
Wherein the gate of the transistor is coupled to the node and when the voltage of the node rises due to the overcurrent condition the transistor is turned on to deactivate the first feedback re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기의 트랜스컨덕턴스를 조절하는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과전류 상태일 때 상기 과전류 보상 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 내에서 흐르는 전류가 상기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를 통하여 접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수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ransconductance adjuster connected to the amplifier for adjusting a transconductance of the amplifier,
And a current flowing in the amplifier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transconductance controller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overcurrent compensating circuit when the current is in the overcurrent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는,
전압원에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동작하고, 상기 과전류 상태일 때 상기 과전류 보상 회로의 특정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며,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이 만나는 노드는 상기 특정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상태로 인하여 상기 특정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면 상기 증폭기 내에서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접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수신기.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transconductance adjuster comprises:
A first transistor coupled to the voltage source; And
And a second transistor coupled to the first transistor,
Wherein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second transistor are switched and when a voltage of the specific node of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rises when the overcurrent state is reached, a node where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eet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node, Wherein when the voltage of the specific node rises, a current flowing in the amplifier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second transistor.
광신호 수신 소자;
상기 광신호 수신 소자로부터 출력된 광 전류가 입력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의 트랜스컨덕턴스를 조절하는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를 포함하되,
과전류 상태일 때 상기 증폭기 내부로 흐르는 전류가 상기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를 통하여 접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수신기.
An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An amplifier for receiving the optical current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And
And a transconductance adjuster coupled to the amplifier to adjust the transconductance of the amplifier,
And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amplifier when the current is in an overcurrent state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transconductance adjus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수신 소자는 포토 다이오드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치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수신기.9. The optical receiver of claim 8, wherein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element is a photodiode and the amplifier is a preamplifi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컨덕턴스 조절부는,
전압원에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동작하고, 상기 과전류 상태일 때 과전류 보상 회로의 특정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며,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이 만나는 노드는 상기 특정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상태로 인하여 상기 특정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면 상기 증폭기 내에서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상기 접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수신기.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transconductance adjuster comprises:
A first transistor coupled to the voltage source; And
And a second transistor coupled to the first transistor,
Wherein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second transistor are operated in a switching operation and the voltage of a specific node of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rises when the overcurrent state is established, a node where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eet are connected to the specific node, When the voltage of the specific node rises, a current flowing in the amplifier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second transis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연결된 스위치; 및
과전류 보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증폭기로 과전류 입력시 상기 과전류 보상 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로 흐르는 전류가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접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amplifier;
A switch coupled to the amplifier; And
An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And a current flowing to the amplifier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switch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when an overcurrent is input to the amplifi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보상 회로는,
미러 구조를 가지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 및
미러 구조를 가지는 제 3 트랜지스터 및 제 4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과전류 보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만나는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입력시 상기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며, 상기 과전류 입력으로 인하여 상기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면 상기 스위치가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5. The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according to claim 14,
A first transistor and a second transistor having a mirror structure; And
And an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having a third transistor and a fourth transistor having a mirror structure,
The switch is connected to a node where the gate of the third transistor and the gate of the fourth transistor meet, the voltage of the node rises upon the overcurrent input, and when the voltage of the node rises due to the overcurrent input, And the receiver is turned on.
KR1020130168757A 2013-12-31 2013-12-31 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 KR1015133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57A KR101513372B1 (en) 2013-12-31 2013-12-31 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57A KR101513372B1 (en) 2013-12-31 2013-12-31 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372B1 true KR101513372B1 (en) 2015-04-20

Family

ID=5305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757A KR101513372B1 (en) 2013-12-31 2013-12-31 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3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61B1 (en) 2018-12-18 2019-03-05 (주)자람테크놀로지 Optical receiv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receiving performance for multilevel optical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953859B1 (en) 2018-12-18 2019-03-05 (주)자람테크놀로지 Avalanche photodiode optimizing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level optical signal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160A (en) * 2007-08-22 200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Optical transimpedance amplifier for optical receiver in a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160A (en) * 2007-08-22 200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Optical transimpedance amplifier for optical receiver in a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61B1 (en) 2018-12-18 2019-03-05 (주)자람테크놀로지 Optical receiv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receiving performance for multilevel optical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953859B1 (en) 2018-12-18 2019-03-05 (주)자람테크놀로지 Avalanche photodiode optimizing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level optical signal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2783B2 (en) Constant-voltage power supply circuit
KR101513373B1 (en) Optical receiver for compensating dc offset
KR101912490B1 (en) Integrated start-up bias boost for dynamic error vector magnitude enhancement
US7560990B2 (en) Low noise amplifier and low noise amplifying method
EP1766489A2 (en) Voltage regulator with adaptive frequency compensation
TWI451691B (en) Amplifier and optical module for gain control
KR101070031B1 (en) Circuit for generating reference current
US9178474B2 (en) Feedback amplifier
US20050248331A1 (en) Fast low drop out (LDO) PFET regulator circuit
US71766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current regulation and limitation for a power supply
TW201935168A (en) Overcurrent limiting circuit, overcurrent limiting method, and power supply circuit
US10164594B2 (en) High-frequency semiconductor amplifier
KR101513372B1 (en) Optical receiver for adjusting gain or transconductance
KR20170134420A (en) Programmable high-speed equalizer and related method
KR101541975B1 (e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and chip employed in the same
US7154330B2 (en) Stability compensation for adjustable gain amplifier
US8395447B2 (en) Low-noise amplifier
US20050259375A1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US7221229B2 (en) Receiver circuit having an optical reception device
US20120193518A1 (en) Photoreceptor circuit and photocoupler
US7454190B2 (en) Receiver circuit for a receiving element
KR101208179B1 (en) Power amplification device with dual current control mode
KR101541972B1 (en) Optical communication receiver, over-current compensation circuit and chip employed in the same
JP7368148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US11539332B2 (en) Amplification circuit with over power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