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63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637B1
KR101512637B1 KR1020130118176A KR20130118176A KR101512637B1 KR 101512637 B1 KR101512637 B1 KR 101512637B1 KR 1020130118176 A KR1020130118176 A KR 1020130118176A KR 20130118176 A KR20130118176 A KR 20130118176A KR 101512637 B1 KR101512637 B1 KR 10151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management
management entity
terminal
data packet
chang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9517A (en
Inventor
서동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637B1/en
Publication of KR2015003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단말기 유휴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한다. 이후,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 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idle state, when receiving the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ereafter, whether or not a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ecked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and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based on whether or not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to be retransmitted is changed

Description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 전송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whether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anged,

본 실시예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based on whether or not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has been changed.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단말기가 LTE 네트워크에 최초 접속(Attach)하는 경우 단말기로부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간 EPS 세션이 설정되며, 단말기는 설정된 EPS 세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 한편, 단말기는 액티브(Active) 상태에서 유휴(Idle)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무선 기지국과의 세션을 해제하며,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 Gateway) 또한 무선 기지국과의 세션을 해제한다. 이후,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기는 무선 기지국과의 세션을 재설정하고, 서빙 게이트웨이 또한 무선 기지국과 세션을 재설정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을 전달한다.When a terminal first accesses an LTE network, an EPS session between packet data networks is established from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data packets using the established EPS sess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is switched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idle state, the terminal releases the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and the serving gateway (SGW) also releases the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Thereafter, when the terminal transitions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the terminal reestablishes a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and the serving gateway also transfers the data packet by reestablishing a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한편, 서빙 게이트웨이는 단말기가 유휴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며,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여 단말기를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서빙 게이트웨이가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고, 페이징 응답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가 경계지역을 이동하게 되는 경우 서빙 게이트웨이로 새로운 데이터 패킷이 도달되기 전까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버퍼링되어 있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Meanwhile, when a terminal operates in an idle state, the serving gateway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when there is a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performs paging for the terminal, Switch from idle to active state. At this time, if the serving gateway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the terminal is moving in the border area in a state of waiting for a paging response, the serving gateway is buffered in the serving gateway until a new data packet arrives at the serving gateway There is a problem that a data packet can not be transmitted.

본 실시예는 단말기 유휴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한다. 이후,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함으로써,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동작시켜 데이터 패킷 전송 서비스의 보다 빠른 재개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 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idle state, when receiving the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ereafter, whether or not a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ecked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and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may be operable to correctly perform paging for the terminal so that a faster resumption of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service can be performed even if a change occurs i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by re-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본 실시예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DDN: Downlink Data Notification)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 확인부;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receiving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a packet data network (PDN) to an idle terminal,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DDN: Downlink Data) is transmitted to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A Notification; A reception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And a transmission controller for retransmitting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based on the status change message when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서빙 게이트웨이가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전송과정;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과정; 및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하는 재전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의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 전송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based on whether a serving gateway changes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comprising: transmitting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a packet data network (PDN) Transmitting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when receiving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Confirming whether or not a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is received; And a retransmission process of retransmitting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based on the status change message when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to provi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 유휴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한다. 이후,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함으로써,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동작시켜 데이터 패킷 전송 서비스의 보다 빠른 재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idle state, when receiving the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ereafter, whether or not a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ecked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and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By this retransmission, even if a change occurs i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operates to correctly perform the paging for the terminal, thereby enabling the quick resumption of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servic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빙 게이트웨이(SGW)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각 노들 간의 베어러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based on whether or not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rving gateway SGW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arer setup among the respective nodes of the LT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whether or not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based on whether or not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장애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은 단말기(UE: User Equipment)(110), 무선 기지국(eNB: Evolved Node B)(120),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 Gateway)(130),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MME Pool: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140),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160), 패킷 게이트웨이(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170), 정책 제공 장치(PCRF: 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180), 가입자 프로파일 저장 장치(SPR: Subscriber Profile Repository)(190)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Packet Data Network)(192)를 포함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system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a failure of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UE 110, a Evolved Node B (eNB) 120, A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SGW) 130,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MME Pool) 140, a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a Home Subscriber Server (HSS) A 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170, a 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PCRF) 180, a 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SPR) 190, And a packet data network (PDN) 192.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based on whether or not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ange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terminal 110 is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a network according to a key operation of a user. The terminal 110 may be a tablet PC, a laptop, a personal computer (PC)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다시 말해, 단말기(11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단말기(110)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단말기(110)는 'LTE-Uu'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지국(120)과 접속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erminal 110 is a terminal that performs voice or data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 and i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or a protocol for communicating with the packet data network 192, And the like. The terminal 110 may be any terminal capable of server-client communication with the packet data network 192, and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all communication computing devices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DA. The terminal 110 can access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using the 'LTE-Uu' wireless interface.

한편, 단말기(110)가 LTE 네트워크에 최초 접속(Attach)하는 경우 단말기(110)로부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 간 EPS 세션이 설정되며, 단말기(110)는 설정된 EPS 세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 이때, 단말기(110)는 LTE 네트워크에 접속 해제(Detach)될 때까지 동일한 IP와 세션 예컨대, 이동성 관리 엔티티(이하,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예시한다),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패킷 게이트웨이(170)를 변경 없이 사용한다. 한편, 단말기(110)는 액티브(Active) 상태에서 유휴(Idle)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을 해제하며, 서빙 게이트웨이(130) 또한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을 해제한다. 이후, 단말기(110)가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을 재설정하고, 서빙 게이트웨이(130) 또한 무선 기지국(120)과 세션을 재설정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을 전달한다.Meanwhile, when the terminal 110 first accesses the LTE network, an EPS session is established from the terminal 110 to the packet data network 192, and the terminal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packets using the established EPS session. do. At this time, the terminal 110 can access the same IP and session, for example,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a serving gateway 130 and a packet The gateway 170 is used without modification. Meanwhile, when the terminal 110 is switched from an active state to an idle state, the terminal 110 releases a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and the serving gateway 130 also disconnects a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Release. Thereafter, when the terminal 110 is switched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the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is resumed, and the serving gateway 130 also transmits the data packet by resetting the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

한편, 단말기(110)는 유휴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110)는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셀(Cell) 단위가 아닌 TA(Tracking Area) 단위로 전송한다. 한편, 이동통신 사업자는 여러 개의 근접한 무선 기지국을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TA로 정의하며, 각 무선 기지국은 자신이 어떤 TA 속해 있는지를 미리 인지하고 있다. 즉, 단말기(110)는 유휴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주기 또는 단말기(110)의 위치 예컨대, TA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전송하고,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는 수신한 TA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110)에 대한 이동성 관리를 수행한다. 한편, 단말기(110)는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가 포함된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을 벗어나는 경우 다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이하,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로 명시한다.) 내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이하,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명시한다.)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 해당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한다.Meanwhile, when the terminal 110 operates in an idle state, the terminal 110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erminal 110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in units of a predetermined period. At this time, the terminal 11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in units of TA (Tracking Area) instead of a cell. On the other h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defines a plurality of adjacent wireless base stations as a single TA by grouping them, and each wireless base station recognizes in advance which TA it belongs to. That is, when the terminal 110 operates in the idle state, if a change occurs in a predetermined period or a position of the terminal 110, for example, TA,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management entity 142 performs mobility management for the terminal 110 based on the received TA information. Meanwhile, the terminal 110 specifies another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when it leaves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including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i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In this case,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110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한편, 단말기(110)는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110)로 향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이 존재한다고 인지하여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고, 해제된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을 재설정하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단말기(110)가 해체된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을 재설정한다고 명시하였지만, 이는 단말기(110)가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무선 기지국과의 세션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는 단말기(110)가 이동한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과의 세션을 재설정한다.Meanwhile, when receiving the paging signal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terminal 110 recognizes that there is a downlink data packet destined for the corresponding terminal 110, switches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And resets the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to receive the data packet. 1, the terminal 110 specifies to reset the session with the disassociated radio base station 120. However, when the terminal 110 is switched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the process of resetting the session with the radio base station And substantially resets a session with a wireless base station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terminal 110 has moved.

무선 기지국(120)은 LTE를 지원하는 장비로서, 전송 신호의 RF화, 송수신, 신호세기,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및 채널 카드(Channel Card)(채널 카드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무선 기지국(120)과 EPC(Evolved Packet Core)(즉,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패킷 게이트웨이(170))를 합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칭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120)은 LTE 네트워크 내의 전송기를 말하며, 네트워크 내에서 위치 등록, 무선 채널 할당,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무선 기지국(120)은 LTE 네트워크 내에서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는 장치이다.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supports LTE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RF transmission,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strength, quality measurement, baseband signal processing, and channel card (channel card resource management) Device.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and the Evolved Packet Core (EPC) (i.e.,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serving gateway 130, and the packet gateway 17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evolved packet system (EPS).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refers to a transmitter in an LTE network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necessary for wireless call processing such as location registration, radio channel assignment, and handoff in the network.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is a device for receiving a call request signal from the terminal 110 through a traffic channel among the signal channels in the LTE network and performing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 / wireless conversion, and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또한, 무선 기지국(120)은 단말기(110)에게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무선 베어러(Bearer) 제어, 무선 수락 제어, 동적 무선 자원 할당, 부하 분산(Load Balancing) 및 셀 간 간섭제어(ICIC)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RM)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120)은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로 확장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20)은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가 포함된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을 벗어나는 경우 현재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새롭게 변경된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내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에 제공한다.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also provides a wireless interface to the terminal 110 and provides a radio bearer control, a radio admission control, a dynamic radio resource allocation, a load balancing and an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ICIC) And provides the same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function. Here,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may be extended to an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Meanwhile, when the UE 110 moves out of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including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110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in the newly modified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e.g.,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호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컨트롤(Session Control) 및 사용자 플레인(User Plane) 노드로서 무선 기지국(120)와 연동하며 인터(Inter)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패킷 게이트웨이(170)와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Context)를 설정하고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한다. 서빙 게이트웨이(130)와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 152)의 분리 구현을 통해 트래픽 증가 또는 제어 신호 증가에 따른 확장이 가능하다.The serving gateway 130 performs a traffic processing function for call traffic. The serving gateway 13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20 as a session control and a user plane node for handling payload traffic according to a set session and performs an inter handover Support. The serving gateway 130 establishes a packet data protocol (PDP) context with the packet gateway 170 and delivers PDU (Packet Data Unit) using tunnel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ffic or increase the control signal through separate implementation of the serving gateway 130 and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ies 142 and 152.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무선 기지국(120)와 연동하며, LTE망 내 또는 LTE망/3GPP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고, 패킷 게이트웨이(170)와 EPS 베어러(Bearer)를 설정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하고,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 152)로부터 전달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MBR: Modify Bearer Request)를 패킷 게이트웨이(17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가 등록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변경되더라 서빙 게이트웨이(130)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하였다.The serving gateway 130 interworks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supports handover between the LTE network and the LTE network / 3GPP, and can configure the packet gateway 170 and the EPS bearer. The serving gateway 130 delivers a Packet Data Unit (PDU) using tunneling and transmits a Modify Bearer Request (MBR)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ies 142 and 152 to the packet gateway 170 ).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gistered with the terminal 110 is changed and the serving gateway 130 is not changed is illustrat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빙 게이트웨이(1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의 이동에 따라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을 벗어나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에 진입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도 1에서는 단말기(110)의 이동성 관리를 기 수행하던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을 벗어나는 경우 새롭게 변경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예시하였다.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DDN: Downlink Data Notification)를 전송한다. 즉,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10)의 이동성 관리를 기 수행하던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rving gatewa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110 moves out of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and enters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10. 1 illustrates a case where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at has performed mobility management of a terminal 110 is a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and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at is newly changed when a terminal 110 moves out of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And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illustrated by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 When the serving gateway 130 receives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packet data network 192 to the idle terminal 110, the serving gateway 130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DDN)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10 ). That is, when the serving gateway 130 receives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packet data network 192 to the idle terminal 110,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which has performed the mobility management of the terminal 110, And transmits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o the base station.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서빙 게이트웨이(13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전송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즉,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부터 전송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의 영역을 벗어나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의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단말기(110)가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의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에 근거하여 판단한다.The serving gateway 130 may transmit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example, a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ransmitted by the serving gateway 130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is received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rver 152. That is, when the terminal 110 is waiting for reception of the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serving gateway 130 transmits the paging response signal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 And enters the area of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At this time, the serving gateway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110 enters the area of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tate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example,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

한편, 서빙 게이트웨이(130)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수신하는 상태 변경 메시지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MBR: Modify Bearer Request)이며, 해당 상태 변경 메시지에는 단말기(110)에 대한 가입자 식별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정보(TA: Tracking Area)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는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에 단말기(110)가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상태 변경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정보는 단말기(110)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에 새롭게 등록되는 과정에서 단말기(110)가 접속된 무선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단말기(110)의 TA 정보를 의미한다.Meanwhile, the state chang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by the serving gateway 130 is a bearer modification request message (MBR: Modify Bearer Request), and the corresponding state change message includes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and location information (TA) for the terminal 110. Th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s some or all of the terminal information. Meanwhile, when the terminal 110 is newly registered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ransmits a status change message including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serving gateway 130.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to which the terminal 110 is connected in the process of newly registering the terminal 110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And TA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한다. 즉,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가 포함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의 영역을 벗어나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내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고,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재전송한다. 이후,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는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110)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함으로써, 단말기(110)가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어 세션을 재설정하도록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서빙 게이트웨이(130)에 버퍼링되어 있는 데이터 패킷이 오류 없이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한편,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의 영역을 벗어나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내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에 새롭게 등록된 경우에는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에서 수행하는 단말기(110)의 페이징이 실패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 패킷에 VoLTE(Voice Over LTE)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실패 확률이 더 높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전송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한다. 이를 통해,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동작시켜 데이터 패킷 전송 서비스의 보다 빠른 재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serving gateway 130 retransmits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based on the status change message. That is, when the state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serving gateway 13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10 is in the area of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including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and retransmits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reafter,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receives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and performs paging on the terminal 110 to cause the terminal 110 to transition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to reset the session, So that the data packet buffered in the serving gateway 130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without error. After the terminal 110 transmits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terminal 110 moves out of the area of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When newly registered i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paging of the terminal 110 performed by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fails. At this time, if VoLTE (Voice Over LT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packet, the probability of failure is higher. Accordingly, the serving gatewa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transmit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example, a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is received Confirms receipt of the status change message from the entity 152 and retransmits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when a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 In this way, the serving gateway 130 enables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to correctly perform paging for the terminal even if a change occurs i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ereby enabling a faster resumption of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service.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은 서로 동일한 특정 지역(Pool Area)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의 집합이며,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이 관리하는 특정 지역과 다른 지역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즉,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 및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은 각각의 풀이 관리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 그룹들에 대한 위치 정보 예컨대, 다수의 TA 리스트(List)를 공유하며 이를 통해, 단말기(110)에 대한 이동성 관리를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이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만을 포함하고,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이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각각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에는 다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가 이동되기 전에 등록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단말기(110)가 이동하여 새롭게 등록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예시하였다.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is a collection of mobility management entities that manage the same Pool Area and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is a collection of mobility management entities managed by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Refers to a collection of mobility management entities that manage a particular region and other regions.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mobility management entities included in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and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base station groups located in the areas managed by the respective pools, And performs mobility management for the terminal 110 through the TA list.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includes only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and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includes only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each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bility management entities.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before the terminal 110 is moved, the registered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moved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and the newly registered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moved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152).

이동성 관리 엔티티 즉,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 및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44)는 기본적으로 단말기(110)에 대한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수행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위치등록 및 페이징(Paging), 인증 등의 호 제어를 담당하고, 호 트래픽에 대한 데이터 호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노드로서 세션(Session)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 기능 등을 담당한다.The mobility management entities, i.e.,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and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4, perform mobility management for the terminal 110 basically.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responsible for call control such as location registration, paging, and authentication, and performs data call control on call traffic. In additio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anages session management, idle subscriber management, pag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the like as a node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and mobility of the terminal 110.

또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E-UTRAN 제어 엔터티로서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프로파일 다운로드를 위하여 홈 가입자 서버(150)와 통신하고, NAS(Non- Access Stratum)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110)에게 EPS 이동성 관리(EMM) 및 EPS 세션 관리(ESM)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NAS 시그널링(EMM, ESM, 보안)을 수행하며, 홈 가입자 서버(150)와 'S6a'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 및 로밍 기능 제공, ECM 및 EMM 상태 관리, EPS 베어러 관리 등을 수행한다.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lso communicates with the home subscriber server 150 for user authentication and user profile download as an E-UTRAN control entity and communicates with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110 to the terminal 110 using non-access stratum (NAS) EMM) and EPS session management (ESM). That is,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performs NAS signaling (EMM, ESM, security) and provides user authentication and roaming functions through the 'S6a' interface with the home subscriber server 150, ECM and EMM state management, EPS bearer management, .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는 단말기(110)의 이동성 관리를 기 수행하던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서 서빙 게이트웨이(130)로부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에 기 저장된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정보 예컨대, TA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TA에 포함된 모든 무선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페이징 신호에는 단말기(110)가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여 세션을 재설정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이 포함되어 있다.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at has performed mobility management of the terminal 110. When receiving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serving gateway 130, And transmits the paging signal to all the wireless basestations included in the T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previously stored in the TA, for example, TA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paging signal includes a control command for causing the terminal 110 to change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to reset the sess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는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의 영역을 벗어나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내 진입한 경우, 새롭게 등록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의미한다. 한편,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는 단말기(110)가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단말기(110)에 대한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상태 변경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 이후,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는 서빙 게이트웨이(130)로부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110)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단말기(110)가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어 세션을 재설정하도록 동작시킨다.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terminal 110 enters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out of the area of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Management entity. Meanwhile, when the terminal 110 is newly registered,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ransmits a status change message including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110 to the serving gateway 130. Thereafter,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receives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from the serving gateway 130 and performs paging on the terminal 110, thereby switching the terminal 110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And operates to reset the session.

홈 가입자 서버(16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갖는 중앙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 152)에게 사용자 인증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공한다.The home subscriber server 160 provides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user profile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152 as a central database with a user profile.

패킷 게이트웨이(17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인터넷 등 PDN(Packet Data Network)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 Non-3GPP망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하며, 정책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유해 패킷 차단 등을 담당한다. 또한, 패킷 게이트웨이(170)는 단말기(110)의 IP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Non-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컨트롤 및 사용자 플랜으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외부망과 라우팅(Routing)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또한, 패킷 게이트웨이(170)는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한다. 또한, 패킷 게이트웨이(170)는 단말기(110)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와 연결해주며 패킷 필터링(Filtering)을 제공한다. The packet gateway 170 manages the mobility of the non-3GPP network as a gateway to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and the Internet, such as PDN (Packet Data Network), performs billing according to policies, . The packet gateway 170 is a session control and user plan for assigning IP of the terminal 110 and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Internet network and a non-3GPP network. The packet gateway 170 includes a serving gateway 130, an external network, and a routing ) Information and has tunneling and IP routing functions. In addition, the packet gateway 170 delivers PDUs to the serving gateway 130 and the external network. In addition, the packet gateway 170 connects the terminal 110 to the packet data network 192 and provides packet filtering.

정책 제공 장치(180)는 기 설정된 룰(Rule)을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패킷을 감지하고, 인가된 QoS(Quality of Service)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제공 장치(180)는 결정된 정책과 과금 게이트웨이(미도시)에 의한 과금 제어 기능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즉, 정책 제공 장치(180)는 과금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데이터를 감지하고, QoS 등의 네트워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제공 장치(180)는 정책 및 과금 제어 엔터티로 정책 제어 결정과 과금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정책 제공 장치(180)는 생성한 정책 정보를 패킷 게이트웨이(170)로 전송한다.The policy providing apparatus 180 may detect a packet included in the service data using a preset rule and apply an applied QoS (Quality of Service). In addition, the policy providing device 180 operates based on the determined policy and the charging control function by the charging gateway (not shown). That is, the policy providing device 180 can detect the service data of the charging gateway and perform network control such as QoS. In addition, policy provision device 180 provides policy control decisions and billing control functions with policy and billing control entities. The policy providing apparatus 180 transmits the generated policy information to the packet gateway 170. [

가입자 프로파일 저장 장치(190)는 정책 제공 장치(180)로 가입자 및 가입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정책 제공 장치(180)는 가입자 및 가입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 기반 정책 정보를 생성하거나 과금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는 사업자 외부 또는 내부 IP 망으로서 인터넷이나 IMS와 같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The subscriber profile storage device 190 transmits subscriber and subscription related information to the policy providing device 180. The policy providing device 180 may then receive subscriber and subscription related information to generate subscriber based policy information or create a charging rule. The packet data network 192 serves as an external IP network or an internal IP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IMS.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빙 게이트웨이(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rving gatewa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전송부(210), 수신 확인부(220) 및 전송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서빙 게이트웨이(13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에서는 단말기(110)의 이동에 따라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을 벗어나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에 진입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도 2에서는 단말기(110)의 이동성 관리를 기 수행하던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을 벗어나는 경우 새롭게 변경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예시하였다. The serving gatewa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210, a receiving confirmation unit 220,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230. The constituent elements included in the serving gateway 130 are not limited thereto. 2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terminal 110 moves out of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and enters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10. [ 2,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at has performed mobility management of the UE 110 is referred to as a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When the UE 110 moves out of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And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illustrated by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

전송부(210)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DDN: Downlink Data Notification)를 전송한다. 즉, 전송부(210)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10)의 이동성 관리를 기 수행하던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한다.The transmission unit 210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DDN (Downlink Data Notification)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10 when receiving the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packet data network 192 to the idle terminal 110 ). That is, when receiving the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packet data network 192 to the idle terminal 110, the transmitter 210 transmits the data packet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which has performed the mobility management of the terminal 110, And transmits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o the base station.

수신 확인부(220)는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전송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즉, 수신 확인부(220)는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부터 전송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의 영역을 벗어나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의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단말기(110)가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의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에 근거하여 판단한다.The acknowledgment unit 220 receives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and transmits the paging response signal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Check whether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That is, when the terminal 110 waits for the reception of the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reception confirmation unit 220 transmits the paging response signal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and enters the area of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At this time, the serving gateway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110 enters the area of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tate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example,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

한편, 수신 확인부(220)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수신하는 상태 변경 메시지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MBR: Modify Bearer Request)이며, 해당 상태 변경 메시지에는 단말기(110)에 대한 가입자 식별정보 및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정보(TA: Tracking Area)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정보는 단말기(110)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에 새롭게 등록되는 과정에서 단말기(110)가 접속된 무선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단말기(110)의 TA 정보를 의미한다.Meanwhile, the state chang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by the reception confirmation unit 220 is a bearer modification request message (MBR), and the corresponding state change message include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of some or all of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A: Tracking Area) for the terminal 110.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to which the terminal 110 is connected in the process of newly registering the terminal 110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And TA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전송 제어부(230)는 수신 확인부(220)를 이용하여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한다. 즉, 전송 제어부(230)는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가 포함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의 영역을 벗어나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내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고,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재전송한다. 이후,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는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110)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함으로써, 단말기(110)가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어 세션을 재설정하도록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서빙 게이트웨이(130)에 버퍼링되어 있는 데이터 패킷이 오류 없이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When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using the reception acknowledgment unit 220,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0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based on the status change message And retransmits the signal. That is, when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10 is in the area of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including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and retransmits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reafter,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receives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and performs paging on the terminal 110 to cause the terminal 110 to transition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to reset the session, So that the data packet buffered in the serving gateway 130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without error.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각 노들 간의 베어러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arer setup among the respective nodes of the LT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에 연결될 때 생성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 연결은 다른 이름으로 'EPS 세션'이라고 한다. EPS 세션은 하나 이상의 EPS 베어러를 가지며 정책 제공 장치(180)로부터 서비스 품질(QoS) 정책 정보를 적용받아 EPS 베어러에 적용한다. 3, the packet data network 192 connection that is created when the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packet data network 192 is referred to as an 'EPS session' by another name. The EPS session has one or more EPS bearers, and applies quality of service (QoS) policy information from the policy providing device 180 to the EPS bearer.

하나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에 대하여 EPS 세션이 갖는 최소한의 기본 베어러를 디폴트(Default) 'EPS 베어러'라 한다. 세션 식별자는 EPS 베어러 설정과 관련된 식별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EPS 베어러는 EPS 세션 중 단말기(110)에서 패킷 게이트웨이(160)까지의 트래픽 구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구간으로 형성되고 사용자 트래픽은 각 구간에서 구간별 베어러를 통하여 전달된다.The minimum basic bearer of an EPS session for one packet data network 192 is referred to as a default EPS bearer. The session identifier is intended for identifiers associated with the EPS bearer establishment. The EPS bearer is formed as a traffic interval from the terminal 110 to the packet gateway 160 during the EPS session as shown in FIG. 3, and the user traffic is transmitted through each bearer in each interval.

① 단말기(110)와 무선 기지국(120) 구간: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Data Radio Bearer)(1) Period between the terminal 110 and the radio base station 120: 'Data Radio Bearer' (DRB)

무선 구간인 LTE-Uu 인터페이스 구간으로 사용자 IP 트래픽은 DRB를 통하여 전송된다.The user IP traffic is transmitted through the DRB to the LTE-Uu interface section in the wireless section.

② 무선 기지국(120)과 서빙 게이트웨이(130) 구간: 'S1 베어러'(2) The interval between the radio base station 120 and the serving gateway 130: 'S1 Bearer'

S1-U 인터페이스 구간으로 사용자 IP 트래픽은 GTP 터널을 통하여 전송된다.In the S1-U interface interval, user IP traffic is transmitted through the GTP tunnel.

③ 서빙 게이트웨이(130)와 패킷 게이트웨이(170) 구간: 'S5 베어러'(3) The interval between the serving gateway 130 and the packet gateway 170: 'S5 bearer'

S5 인터페이스 구간으로 사용자 IP 트래픽은 GTP 터널을 통하여 전송된다.In the S5 interface interval, the user IP traffic is transmitted through the GTP tunnel.

EPS 베어러는 단말기(110)와 패킷 게이트웨이(170)가 종단점이 되는 베어러로 <DRB - S1 베어러 - S5 베어러>로 형성되고,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는 단말기(110)와 서빙 게이트웨이(130)가 종단점이 되는 베어러로 <DRB - S1 베어러>로 형성된다. The EPS bearer is formed as a bearer for which the terminal 110 and the packet gateway 170 are end points, and the E-RAB (E-UTRAN Radio Access Bearer) The gateway 130 is formed as a bearer serving as an end point with < DRB-S1 bearer >.

사용자가 LTE 네트워크에 초기 접속할 때 디폴트 EPS 베어러가 설정된 후에 추가로 EPS 베어러가 설정될 경우 이를 데디케이티드(Dedicated) EPS 베어러라 칭하고 데디케이티드 EPS 베어러들은 LBI(Linked EPS Bearer Identity)에 의해 디폴트 EPS 베어러와 결합되어있다.When the user initially connects to the LTE network and the EPS bearer is set up after the default EPS bearer is set, it is referred to as a dedicated EPS bearer, and the decoded EPS bearer is referred to as the default EPS (Link Bearer Identity) It is combined with the bearer.

한편, 단말기(110)가 액티브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기(110)는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 예컨대 DRB를 해제하며, 서빙 게이트웨이(130) 또한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 예컨대, S1 베어러를 해제한다. 이후, 단말기(110)는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유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고,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 예컨대 DRB를 재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서빙 게이트웨이(130) 또한 무선 기지국(120)과의 세션 예컨대, S1 베어러를 재설정함으로써 단말기(110)에서 패킷 게이트웨이(170)까지의 EPS 세션을 재설정한다. 단말기(110)는 재설정된 EPS 세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When the UE 110 is switched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idle state, the UE 110 releases the session with the radio base station 120, for example, the DRB, and the serving gateway 130 also transmits a session with the radio base station 120 For example, the S1 bearer is released. If there is a dat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the terminal 110 switches from the idle state to the active state and resets the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for example, the DRB. Similarly, the serving gateway 130 also resets the EPS session from the terminal 110 to the packet gateway 170 by resetting the session with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e.g., the S1 bearer. The terminal 110 receives the data packet using the reset EPS session.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whether or not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S410)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DDN: Downlink Data Notification)를 전송한다(S420). 즉, 단계 S420에서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92)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10)의 이동성 관리를 기 수행하던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한다.When receiving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packet data network 192 to the idle terminal 110 in operation S410, the serving gateway 130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DDN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10, Downlink Data Notification) (S420). That is, in step S420, when the serving gateway 130 receives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packet data network 192 to the idle terminal 110,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which has performed the mobility management of the terminal 110, (142).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는 서빙 게이트웨이(130)로부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에 기 저장된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정보 예컨대, TA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TA에 포함된 모든 무선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고,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페이징이 성공하는 경우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부터 전달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S43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의 이동에 따라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을 벗어나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에 진입하고,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내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에 새롭게 등록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에,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에서 수행하는 단말기(110)에 대한 페이징은 실패하게 되어 페이징 응답신호가 서빙 게이트웨이(130)로 미전송된다.When receiving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serving gateway 130,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ransmits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previously stored in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serving gateway 130 waits for reception of the paging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when the paging is successful (S430).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110 moves out of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to enter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10, and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are newly registered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 Therefore, the paging of the terminal 110 performed by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fails, and the paging response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serving gateway 130.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서빙 게이트웨이(13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 전송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S440). 즉,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로부터 전송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의 영역을 벗어나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의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단말기(110)가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의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의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한편, 서빙 게이트웨이(130)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수신하는 상태 변경 메시지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MBR: Modify Bearer Request)이며, 해당 상태 변경 메시지에는 단말기(110)에 대한 가입자 식별정보 및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는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에 단말기(110)가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상태 변경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정보는 단말기(110)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에 새롭게 등록되는 과정에서 단말기(110)가 접속된 무선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단말기(110)의 TA 정보를 의미한다.The serving gateway 130 may transmit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example, a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ransmitted by the serving gateway 130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is received (S440) whether or not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tatus change message receiving unit 152 (S440). That is, when the terminal 110 is waiting for reception of the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the serving gateway 130 transmits the paging response signal to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 And enters the area of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At this time, the serving gateway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110 enters the area of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tate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example,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 Meanwhile, the state chang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by the serving gateway 130 is a bearer modification request message (MBR: Modify Bearer Request), and the corresponding state change message includes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on some or al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erminal 110. [ Meanwhile, when the terminal 110 is newly registered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ransmits a status change message including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serving gateway 130.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base station 120 to which the terminal 110 is connected in the process of newly registering the terminal 110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And TA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단계 S440을 이용하여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상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한다(S450). 단계 S450에서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부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110)가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142)가 포함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40)의 영역을 벗어나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150) 내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고,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로 재전송한다.When receiving the status change message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using step S440, the serving gateway 130 retransmits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based on the status change message (S450). In step S450, when the state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he serving gateway 13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10 is in a state of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0 including the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42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moved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e.g.,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in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0, and retransmits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to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152)는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110)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고 페이징이 성공하는 경우, 페이징 응답신호를 서빙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460).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receives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and performs paging of the terminal 110. If the paging is successful, the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2 transmits a paging response signal to the serving gateway 130 (S460).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it is described in Fig. 4 that steps S410 to S460 are sequentially execu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FIG. 4 is not limited to the time-series order, since it may be applicable to changing or executing the steps described in FIG. 3 or executing one or more steps in parallel.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단말기 120: 무선 기지국
130: 서빙 게이트웨이 140: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
142: 제1 이동성 관리 엔티티 150: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
152: 제2 이동성 관리 엔티티 160: 홈 가입자 서버
170: 패킷 게이트웨이 180: 정책 제공 장치
190: 가입자 프로파일 저장 장치 192: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210: 전송부 220: 수신 확인부
230: 전송 제어부
110: terminal 120: wireless base station
130: Serving gateway 140: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42: First mobility management entity 150: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152: seco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160: home subscriber server
170: Packet gateway 180: Policy provider
190: Subscriber profile storage device 192: Packet data network
210: Transmitting unit 220:
230:

Claims (9)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DDN: Downlink Data Notification)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여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등록되는 경우에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 확인부;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하는 전송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When receiving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a packet data network (PDN) to an idle terminal, transmits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DDN: Downlink Data Notification) to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When the terminal is moved and registered in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is received, a state change message includ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A reception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data;
When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based on the status change message,
And a serving gate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는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MBR: Modify Bearer Reque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a Modify Bearer Request (MBR) mess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식별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TA: Tracking Area)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us change message includes:
A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IMSI) for the mobile terminal, and a tracking area (TA) for the mobile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인부는,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 상기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상기 단말기가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를 상기 수신 확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ption confirmation unit,
Receiving the status change message including th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Wherein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sends the status change message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when the terminal is newly registe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아닌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하며,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f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determine that the terminal has moved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rather tha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retransmit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Wherein the serving gateway is operative to perform paging for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포함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과 구분되는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 풀 내 포함되는 엔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an entity included in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that is distinct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in which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is contained.
서빙 게이트웨이가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로부터 유휴 상태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전송과정;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여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등록되는 경우에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변경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과정; 및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하는 재전송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의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 전송방법.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based on whether a serving gateway changes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Transmitting a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when receiving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a packet data network (PDN) to an idl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moved and registered in a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gardless of whether a pag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packet announcement signal is received, a status change message includ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A confirming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data; And
And a retransmission process of retransmitting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based on the status change message when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And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serving gatewa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상기 단말기가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정보를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에 포함하여 서빙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의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 전송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atus change message includes: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of some or al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Wherein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includes the terminal information in the status change message and transmits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serving gateway when the terminal is newly registered in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과정은,
상기 상태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아닌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상기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를 재전송하며, 상기 새로운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게이트웨이의 데이터 패킷 알림신호 전송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transmission process includes:
If the status change message is received, determine that the terminal has moved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rather tha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retransmit the data packet notification signal to the new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to perform paging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0130118176A 2013-10-02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 KR101512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176A KR101512637B1 (en) 2013-10-02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176A KR101512637B1 (en) 2013-10-02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517A KR20150039517A (en) 2015-04-10
KR101512637B1 true KR101512637B1 (en) 2015-04-16

Family

ID=5302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176A KR101512637B1 (en) 2013-10-02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63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517A (en)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2767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for communication setup/response
US11729854B2 (en) Network assisted connection
US9585178B2 (en) Method for handling proximity-based service discovery an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591679B2 (en) Initiation of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50004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12204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detach procedure
CN103621123A (en) Traffic offload via local network
KR20150032524A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43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us transition
WO20141660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gestion control
KR102127780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145575A1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WO2014044211A1 (en) Session switching method and device for directly connected communication devices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3813402A (en)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method, device, processing device and system
CN115735371A (en) Network slice specific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KR101651962B1 (en) Method for enhanced access selection by a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system for enhanced access selection of a user equipment
EP30189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dn messag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KR1020840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Processing Important Data Packet
KR1015126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
KR1014497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earer Setup Time
KR101817267B1 (en) Paging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service on heterogeneous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2362560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500401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Data Notification
KR1018908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verlapped paging signal on epc network
KR101613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dn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