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178B1 - 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178B1
KR101509178B1 KR20140119963A KR20140119963A KR101509178B1 KR 101509178 B1 KR101509178 B1 KR 101509178B1 KR 20140119963 A KR20140119963 A KR 20140119963A KR 20140119963 A KR20140119963 A KR 20140119963A KR 101509178 B1 KR101509178 B1 KR 10150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hipping
cargo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9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완순
박미연
Original Assignee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filed Critical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Priority to KR2014011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1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a method to process shipping information on cargo vessels and passenger ship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measuring instrument (10) equipped with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s functionality, and combined with a remote server or a mobile device (50) in an organic manner so that shipping information including cargo weight can be delivered quickly and efficiently.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the way shippers collect and process actually measured shipping information while increasing reliability of shipping supervisors by disclosing the information through mobile devices (50).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선적정보 관리방법{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0001] 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0002] USING INTERNET OF THINGS [

본 발명은 화물선 또는 화객선(貨客船) 등 화물 운송 선박의 선적정보(船積情報)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적 화물의 계근장치(10)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반 통신기능을 부여하고, 계근장치(10), 원격지의 서버 또는 모바일단말(50)을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실측 화물 중량 등 선적정보가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공개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cessing shipment information of a cargo ship such as a cargo ship or a cargo shi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shipper device (10) And the shim device 10, the remote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50 are organically connected so that the shipment information such as the actual shipment weight can be processed promptly, efficiently, and openly.

선박 운항에 있어서 적정 적재량을 초과하는 과적은 선박의 복원력 저하 등을 유발하여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화물과 여객을 동반 수송하는 화객선의 경우 대규모 인명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선적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Overloads exceed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load in ship operation may cause serious accident due to deterioration of the ship's resilience. Especially, in case of ferry ship carrying cargo and passenger, large-scale human accidents may occur, To be systematically managed.

선적정보는 선박에 선적되는 화물의 종류, 중량, 적재방식, 화주(貨主), 발착 및 경유지 등 화물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망라하는 정보로서, 운송료 과금, 출항편 배정, 선적 순위 결정 및 선박내 배치 등에 활용되는데, 이러한 선적정보의 전산 관리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438184호를 들 수 있다.
The shipm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overs all kinds of cargo related items such as cargo type, weight, loading type, shippers (freight forwarders), departure and arrival points, shipping charge, allocation of departure port,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computerization of such shipment information is patent No. 438184.

특허 제438184호를 비롯한 종래의 선적정보 관리방법은 수집된 선적정보를 주로 운송료 및 항만 사용료의 과금, 화물의 효율적인 항만내 야적 또는 선적 순위 및 위치 결정 등에 활용하는 것으로, 선적정보의 수집과정 전반이 화주 또는 운송업자의 신고내용에 의존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신고된 선적정보와 실제 화물간 일치 여부에 대한 확인 수단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shipp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s, including patent No. 438184, utilize the collected shipping information mainly for billing of freight charges and port charges, efficient port logistics of freight or shipping positions and positio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t enough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eclared shipment information and the actual shipment coincide with each other.

특히, 화객선의 경우 과적으로 인한 사고시 대규모 인명 피해가 수반됨에도 불구하고, 출항과정에서 여객의 탑승과 화물의 선적이 동시에 진행될 뿐 아니라, 제한된 시간내에 화물의 선적을 완료하여야 하는 바, 전체 화물에 대하여 신고된 선적정보에 대한 현장 확인을 수행하는 것이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ferry boat, despite the large-scale casualties caused by an accident, it is necessary to complete the loading of the cargo within the limited time as well as the passenger's boarding and cargo loading simultaneously during the departure proces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arry out on-site confirmation of the reported shipping information.

이러한 선적정보 수집 및 검증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점 외에도, 종래 선적정보 관리방법에는 선적 작업 전반에 대한 관리 감독 업무의 신뢰성 확보에 있어서 현실적인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선적 작업에 대한 감독주체의 인력 및 장비 부족으로 인한 검증능력 미비는 물론 감독주체의 공정성 및 단속 의지에 대한 불신에 기인한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techn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llection and verification of shipment information, there is a realistic limitation in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management supervision task for the entire shipment work in the conventional sh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is is because the manpower and equipment The lack of verification due to shortage can be attributed to the mistrust of the supervisor 's fairness and willingness to crack down.

즉, 화물과 여객이 혼재된 상태에서 제한된 시간내 제한된 인력과 장비를 활용하여 감독주체가 화물의 중량 등을 전수 검사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운 점은 차치하더라도, 최근 빈발하는 해난사고를 통하여 감독주체의 관리 감독 부실이 부각됨에 따라, 감독주체에 대한 화주(貨主) 및 승객 등 선박 운송 산업 최종 소비자의 불신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though it is technically difficult for the supervising entity to inspect the cargo's weight, etc., using limited manpower and equipment within a limited time with the cargo and passenger in a mixed state, As a result of the lack of supervision and supervision, the distrust of the final consumer of the shipping industry, such as shippers and passengers, is increasingly spreading to the supervisor.

이러한 선적정보 검증에 있어서의 기술적 한계 및 감독주체의 신뢰성 부족은 선박 운항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뿐 아니라, 결국 선박 운송에 대한 불신 및 기피를 야기하여 선박 운송 산업 전반의 발전을 저해할 수 밖에 없다.
The technical limitations in the verification of the shipment information and the lack of trust of the supervisor not only seriously threaten the safety of the ship, but also cause the distrust and avoidance of the ship transportation and hinder the development of the ship transportation industry as a whol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선박에 선적되는 화물의 중량을 선적 직전 측정하고 측정치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처리하여 실제 측정에 기초한 선적정보의 수립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측정치 또는 수립된 선적정보를 실시간으로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적 작업 관리 감독에 있어서의 감독주체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cargo loaded on a ship immediately before shipment and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measured values in real time to enable establishment of shipment information based on actual measurement, And to allow the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to share the established shipping information in real time,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supervising entity in the supervision of the shipping work management.

즉,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 운송 선박의 화물별 중량을 포함하는 선적정보(船積情報)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적전 화물의 중량을 계측하는 계근장치(10)에는 인터넷통신모듈(14)이 장착되고 인터넷통신모듈(14)은 인터넷에 연결되며, 인터넷과 연결된 관리서버(31) 및 관리서버(31)와 연결되고 선적정보가 수록되는 데이터베이스(35)가 구축되어, 선적 대상 화물의 중량이 계근장치(10)에 의하여 측정되면 인터넷통신모듈(14)이 실측정보와 해당 화물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31)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31)가 전송된 실측정보 및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35)에 수록하는 단계와, 관리서버(31)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35)를 조회함으로써 실측정보를 인출하고 합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선적정보 관리방법이다.That i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cessing shipping information including a weight per cargo of a cargo vessel, wherein the cargo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argo The communication module 14 is mounted and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database 35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management server 31 connected to the Internet, When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shipped is measured by the meandering device 10,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transmits the actual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rgo to the management server 31; Storing the actual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35 and extracting and summing the actual information by inquiring the database 35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management server 31, Internet of Things is based on sh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또한, 화물 운송 선박의 화물별 중량을 포함하는 선적정보(船積情報)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적전 화물의 중량을 계측하는 계근장치(10)에는 근거리무선모듈(15)이 장착되고, 상기 근거리무선모듈(15)과의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단말(50)이 구성되어,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선적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와, 선적 대상 화물의 중량이 계근장치(10)에 의하여 측정되면 근거리무선모듈(15)이 실측정보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단말(50)이 송출된 실측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선적프로그램이 수신된 실측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선적프로그램이 기억장치에 저장된 실측정보를 인출하고 합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선적정보 관리방법이다.In the method for processing shipp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eight of each cargo of a cargo carrying vessel, a short range radio module (15) is mounted on the cargo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shipped, A mobile terminal 5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adio module 15 is configured so that a loading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is executed and a step in which when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loaded is measured by the gauge apparatus 10 A step in which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15 transmits the actual information, and a step in which the actu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50 is received and the actual information in which the shipping program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50 is received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a step of extracting and summing actu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by the shipping program, and outputting the combined information.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되는 선적프로그램은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스캔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의 스캔프로그램이 광학마크를 촬상하여 화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의 스캔프로그램이 상기 화상정보로부터 접속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접속정보를 통하여 모바일단말(50)이 배포서버(32)에 접속하는 단계와, 배포서버(32)가 모바일단말(50)로 선적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에 선적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선적정보 관리방법이며, 상기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되는 선적프로그램은 관리서버(31)가 푸시서버(60)로 접속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푸시서버(60)가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50)로 접속정보를 송출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이 수신된 접속정보로 배포서버(32)에 접속하는 단계와, 배포서버(32)가 모바일단말(50)로 선적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에 선적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선적정보 관리방법이다.
The shipping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may include a step of executing a scan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and a step of acquiring image information by capturing an optical mark of the sca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50 A step in which the sca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50 extrac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information, the step of the mobile terminal 50 accessing the distribution server 32 through the extracted connection information, 32) is installed via a step of transmitting a shipping program to a mobile terminal (50) and a step of installing a shipping program in a mobile terminal (50), wherein the mobile terminal (50) ) Includes a step of the management server 31 transmitt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push server 60 and a step of push server 60 transmitt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50 via the push service , A step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50 accesses the distribution server 32 with the received connection information, the distribution server 32 transmits the shipping program to the mobile terminal 50, And the Internet is installed through the step of installing the Internet.

본 발명을 통하여, 실측기반 선적정보의 신속하고 안정적이며 체계적인 수집 및 처리가 가능하며,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을 통하여 신적정보를 공개함으로써 선적 작업 감독주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tably and systematically collect and process actual-shipment-based shipment information,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shipment-task supervisor by disclosing the new information through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선박에 선적되는 화물의 계근장치(10)에 통신모듈을 장착하고, 통신모듈이 측정된 화물 중량을 관리서버(31)로 실시간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35) 수록 등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실측기반 선적정보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해당 선박의 과적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선박의 운항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cargo apparatus 10 of the cargo loaded on the ship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carries out processing such as recording the weight of the cargo measured in real time to the management server 31 to record the database 35,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information,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whether the ship is overloaded, thus ensuring the safety of the ship.

또한, 계근장치(10)의 통신모듈에 사물인터넷 기반 통신 기능을 부여하고 이를 통하여 계근장치(10)의 측정치를 비롯한 선적정보를 승객 또는 화주 등 선적 작업 감독주체 이외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이 실시간으로 공유함과 동시에,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선적프로그램이 획득된 측정치를 처리하여 해당 선박의 과적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 운송 산업 최종 소비자의 선적 감독주체에 대한 불신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Internet-based communication function is give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goggle device 10 and the ship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goggle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other than the shipping work supervisor such as passenger or shipper, The shipping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can process the obtained measurement values and individually determine whether the ship is overloaded. In this way, Disbelief can be solved.

이렇듯, 계근장치(10), 원격지의 관리서버(31) 및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을 사물인터넷 기반 통신으로 유기적으로 연결한 본 발명을 통하여, 실측기반 선적정보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수집 및 관리가 가능하고, 선적정보의 실시간 공개를 통한 선적 업무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며, 이로써 선박 운항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박 운송 산업 전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선박 운송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goggle device 10,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object-based Internet communication, rapid and systematic collection and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reliability of shipping business through real-time disclosure of shipping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ship, as well as raising awareness of the ship shipping industry as a whole, and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shipping industry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선적 상황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넷통신모듈 적용 실시예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터넷통신모듈 적용 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마크 적용 실시예 인터넷 접속과정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푸시서비스 적용 실시예 인터넷 접속과정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푸시서비스 적용 실시예 웹페이지 접속 시퀀스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푸시서비스 적용 실시예 모바일단말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모듈 적용 실시예 시스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모듈 적용 실시예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푸시서비스 적용 실시예 배포서버 접속 시퀀스다이어그램
도 11은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모듈 적용 실시예 모바일단말 화면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hipping situation explanation diagra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 chart of an Internet access proced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sh servic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ush service application embodiment web page connection sequenc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screen of a push service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near field wireless modul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local wireless modul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ush service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screen of an embodiment of a near field wireless modul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선박의 선적 상황을 표현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화물과 승객을 동반 수송하는 화객선으로서 차량이 자주식으로 선적되는 카페리(car ferry)가 예시되어 있으며, 선박의 선체에는 후술할 광학마크가 표시되어 있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ipping situation of a ship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car ferry is illustrated in which a car is freely shipped as a ferry line carrying a cargo and a passenger, An optical mark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layed on the hul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선적되는 화물은 계근장치(10)를 경유하여 선적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8에서와 같이, 계근장치(10)에 인터넷통신모듈(14) 또는 근거리무선모듈(15) 등의 통신모듈을 장착하여, 계근장치(10)와 원격지의 관리서버(31) 또는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간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측정치를 신속하고, 정확하며 공개적으로 처리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argo to be shipped to the ship is shipped via the meander devic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8,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or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the short-range wireless module 15 is installed to create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etween the peripherals device 10 and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31 or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 And will process the measurements quickly, accurately, and openly.

우선 도 2는 계근장치(10)와 원격지의 관리서버(31)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실시예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계근장치(10)에 무선랜(wireless LAN)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14)이 적용되어 무선망(20)을 통하여 계근장치(10)가 인터넷에 접속되고 있으며, 동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유선랜 통신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eandering device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31 at a remote location perform TCP / IP-based communica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that performs wireless LAN communication is applied to the Internet and the Internet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wireless network 20.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the figure,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communication.

여기서 무선망(20)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의 이동통신망과 TCP/IP(Transport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Wi-Fi(Wireless-Fidelity) 및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무선랜을 망라하는 것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선망(20)을 구성하는 무선랜 및 이동통신망은 각각 게이트웨이서버(gateway server) 및 일종의 게이트웨이서버라 할 수 있는 통신사업자 서버 등을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된다.The wireless network 2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idelity) and WiBro (Wireless Broadband). Although not shown, the wireless LA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ituting the wireless network 20 may be respectively a gateway server and a gateway server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or the like.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근장치(10)는 계량되는 화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부(11)와, A/D변환부(12), MCU(microller controller unit)(13) 그리고 인터넷통신모듈(14) 또는 근거리무선모듈(15) 등으로 구성된다.2 and 8, the meander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1 for sensing the weight of a cargo to be weighed, an A / D converter 12, a microller controller unit (MCU) (13),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or a short-range wireless module (15).

A/D변환부(12)는 감지부(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CU(13)에 입력하게 되고, MCU(13)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수치화된 화물 중량, 화물의 식별정보 등이 포함된 가용의 선적정보를 생성한 후, 선적정보를 인터넷통신모듈(14) 또는 근거리무선모듈(15)로 입력하게 된다.The A / D conversion unit 12 converts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11 into a digital signal and in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MCU 13. The MCU 13 processes the input digital sig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rgo, and the like, and then inputs the shipment information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or the short-range wireless module 15.

이 밖에도 본 발명을 수행하는 시스템에는 관리서버(31) 및 관리서버(31)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35)와,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이 구성되는데, 여기서 관리서버(31)란 선적 업무를 관리 및 감독하는 행정관서 또는 공공기관 등의 감독주체가 운용하는 서버를 의미하며,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이란 화주(貨主) 및 승객 등 선박 운송 산업 최종 소비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태블릿PC등의 정보기기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yste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35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Here, the management server 31 refers to a shipping business The mobile terminal 50 is a server operated by a supervising entity such as an administrative office or a public agency that manages and supervises the mobile terminal 50, Means information devices such as tablet PCs.

도 3은 도 2에서와 같이 인터넷통신모듈(14)이 장착된 계근장치(10)가 적용된 본 발명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적정보 관리방법은 선적 대상 화물의 중량이 계근장치(10)에 의하여 측정되면 인터넷통신모듈(14)이 실측정보와 해당 화물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31)로 전송하는 단계로 개시된다.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Internet connection module 14 equipped wit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is applied, a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3, When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shipped is measured by the meandering device 10,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starts transmitting the actual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rgo to the management server 31. [

계근장치(10)로 계량된 화물의 식별정보는 화물의 화주(貨主), 운송업체, 발착 및 경유지 등 해당 화물과 타 화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일련번호 형식으로 부여될 수 있으며, 계근장치(10)의 MCU(13)는 감지부(11)로부터 입력된 중량 실측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조합 내지 병합하여 인터넷통신모듈(14)로 입력하게 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rgo quantified by the carousel device 10 can be given in the form of serial number a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argo and other cargoes such as the cargo owner, the carrier, the departure and arrival points of the cargo, The MCU 13 of the control unit 10 combines or merges the weight actu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ing unit 11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puts them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계근장치(10)에는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구성될 수 있는데, 계근장치(10)의 조작원이 식별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형식의 입력장치 또는 화물에 부착된 바코드 등을 독취(讀取)할 수 있는 스캐너가 입력장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meander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may be a keypad-type input device that allows the operator of the meandering device 10 to directly inp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scanner capable of reading a bar code or the like attached to a cargo can be applied as an input device.

또한, 계근장치(10)의 MCU(13)에는 전술한 실측정보 및 식별정보의 처리 또는 통신버퍼(通信 buffer) 등의 목적으로 기억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기억장치는 휘발성 여부 및 담당 영역에 따라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메모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플래시메모리의 예에서와 같이, 휘발성 여부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기억용량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메모리의 이용방식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물리적인 구분은 의미가 없는 바, 계근장치(10)에 구성되는 기억장치에 대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The MCU 13 of the meander device 10 can also be configured to store the actual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o store a communication buffer (communication buffer), etc.,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memory technology, the boundaries of the volatility are often ambiguous as in the case of the flash memory, and in addition, Since the use of the memory is variously modified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memory capacity, the physical division is not meaningful, and the claims for the memory device constituted in the meander device 10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계근장치(10)의 인터넷통신모듈(14)이 실측기반 선적정보 즉, 실측정보 및 식별정보를 관리서버(31)로 전송하면, 관리서버(31)가 전송된 실측정보 및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35)에 수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When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of the goggle device 10 transmits the actual-based shipping information, that is, the actual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1, the management server 31 transmits the actual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5) is per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31)는 선적 업무를 관리 및 감독하는 행정관서 또는 공공기관 등의 감독주체가 운용하는 서버로서, 다수의 계근장치(10)에서 전송된 선적정보가 하나의 서버로 수신되어 통합 관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server 31 is a server operated by a supervising entity such as an administrative office or a public agency that manages and supervises the shipping business, and the shipp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the meandering devices 10 is transmitted to one server And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관리서버(31)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35)는 화물의 식별정보 및 화물별 중량 실측정보 등 계근장치(10)에서 전송된 선적정보가 수록되는데, 도 2에서는 관리서버(31)와 데이터베이스(35)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 구성요소의 기능을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서버(31)의 기억장치에 데이터베이스(35)가 구축될 수도 있다.The database 35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1 stores the shipp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line device 10 such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rgo and the weight information of each cargo. In FIG. 2,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database 35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ly described, and the database 35 may be construct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management server 31. [

관리서버(31) 및 관리서버(31)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35)는 선적 업무의 감독주체에 의하여 운용되는 바, 데이터베이스(35)에는 전술한 실측기반 선적정보 외에도 신고된 선적정보가 동반 수록될 수 있다.The database 35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management server 31 is operated by the supervisor of the shipping business and the database 35 may be accompanied with the reported shipping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actual- have.

즉, 통상의 선적 업무는 화주, 운송업체 또는 선사(船社)가 선적 대상 화물의 종류 및 중량 등을 감독주체에 신고한 이후 실제 선적이 진행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바, 감독주체가 사전 신고된 선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35)에 우선 수록하면서, 화물별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실제 선적시 본 발명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식별정보와 실측정보로 구성된 실측기반 선적정보를 획득한 후, 이들 신고된 선적정보와 실측기반 선적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normal shipment business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actual shipment proceeds after the shippers, shipping companies or shipping companies report the type and weight of the cargo to be shipped to the supervising entity, Bas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iven to the database 35 while the shipp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35. In actual shipp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acquire actual-based shipping information composed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ctual information, Information and actual-based shipment information.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통신모듈(14)을 통하여 계근장치(10) 측정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신고 선적정보 및 실측기반 선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35)를 통하여 통합 관리함으로써, 신고된 화물 중량과 선적 직전 계근장치(10)로 측정된 실측 중량의 일치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인 선적 업무 관리 감독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d values of the peripherals device 10 are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declared shipment information and the actual shipment based shipment information are integratedly managed through the database 35, It is possible to confirm in real time whether or not the actual weight measured by the pre-shipment brick apparatus 10 is consistent, thereby enabling quick and effective management of shipment management.

또한, 해당 선박의 과적 여부도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한데, 이는 실측기반 선적정보가 데이터베이스(35)에 수록되면, 관리서버(31)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35)를 조회함으로써 실측정보를 선박별로 인출하고 합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행된다.It is also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 ship is overloaded. This is because when the actual-based shipme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35, the management server 31 inquires the database 35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etching, summing, and outputting.

즉, 계근장치(10)를 경유한 특정 선박 화물의 총 중량을 실시간으로 누적하고, 그 누적치를 해당 선박의 순재화중량(純載貨重量, net deadweight)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선박의 과적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선박별 선적 진행상황 내지 과적 여부는 도 2에서와 같이, 관리서버(31)와 연결된 웹페이지(40)를 통하여 출력됨으로써, 감독주체는 물론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다.That is, by accumulating the total weight of the specific ship cargo via the meander device 10 in real time and comparing the cumulative value with the net deadweight of the ship, As shown in FIG. 2, the shipping progress or overload of each ship is outputted through the web page 4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1, so that it can be view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have.

이러한 웹페이지(40)를 통한 실측정보의 합산 출력은, 도 3에서와 같이, 관리서버(31)가 데이터베이스(35)에서 인출된 실측정보를 선박별로 합산한 후 웹페이지(40)에 전송하여 웹페이지(40)를 갱신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의 브라우저가 실행된 후, 모바일단말(50)의 브라우저가 상기 웹페이지(40)에 접속하여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웹페이지(40)를 모바일단말(50)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행된다.As shown in FIG. 3, the sum output of the actual information through the web page 40 is obtained by summing the actu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base 35 by the management server 31 for each ship and then transmitting the sum to the web page 40 Updating the web page 40 after the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has been executed and updating the web page 40 so that the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accesses the web page 40 and is constantly updated And outputting it to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50.

이렇듯 관리서버(31)의 실측정보 웹페이지(40) 전송 및 갱신과 모바일단말(50) 브라우저의 갱신 웹페이지(40) 출력에 이르는 과정을 통하여, 감독주체는 물론 승객 및 화주 등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실측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선적 업무 감독이 공개적으로 수행되므로, 선적정보의 감독주체 독점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감독주체에 대한 불신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updating the actual information web page 40 of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outputting the updated web page 40 of the mobile terminal 50 browser,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such as a passenger and a shipper Can share the actual information so that the supervision of the shipment work is performed publicly, so that the distrust of the supervising entity which can be caused by the monopoly of the supervising subject of the shipment information can be solved.

특히, 스마트폰 등 모바일단말(50)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선박에 승선하는 승객 대부분이 무선망(20)을 경유한 웹페이지(40) 접속을 통하여 해당 선박의 선적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선적 작업 상황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웹페이지(40)에 등재된 정보를 대조할 수 있는 바, 일층 엄격한 선적 작업 감시가 가능하며 고의에 의한 과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Particularly, as the spread of the mobile terminal 50 such as a smart phone expands, most of the passengers aboard the ship can check the shipment status of the ship through the web page 40 via the wireless network 20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status of the shipment operation with the naked eye and to collate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web page 40.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hipment more strictly and effectively suppress the deliberate overload.

한편, 승객 및 화주 등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 사용자가 전술한 웹페이지(40)에 접속하여 선적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브라우저에 상기 웹페이지(4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등의 접속정보 입력하는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a user of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such as a passenger and a shipper to access the web page 40 and browse the shipment information, a browser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50 is executed, It is inconvenient to perform an operation of inputting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선체(船體), 계근장치(10) 또는 기타 항만 시설물 등에 광학마크를 표시하고, 이 광학마크를 모바일단말(50)이 촬상(撮像)함으로써 상기 웹페이지(4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an optical mark is displayed on a hull, a meander device 10 or other port facility, and the optical mark is captured by the mobile terminal 50, So that the web page 40 can be accessed.

이러한 광학마크를 이용한 모바일단말(50)의 웹페이지(40) 접속은 도 4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며, 동 도면 및 도 1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스캔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로 개시된다.The connection of the web page 40 of the mobile terminal 50 using the optical mark is performed through a process as shown in Fig. 4, and as shown in Fig. 1, a scan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is executed ≪ / RTI >

스캔프로그램은 모바일단말(50) 운영체계의 모듈 또는 응용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모바일단말(50)에 장착된 카메라 등 촬상장치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can program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module or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50 and performs a function of acquiring and processing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such as a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50.

스캔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해당 모바일단말(50)의 사용자가 전술한 광학마크를 시준(視準)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면, 모바일단말(50)의 스캔프로그램이 광학마크를 촬상하여 화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의 스캔프로그램이 상기 화상정보로부터 웹페이지(40) URL(Uniform Resource Locator)등의 접속정보를 추출하는 단계가 차례로 수행된다.When the scan program is executed an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collimating the optical mark described above, the sca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50 picks up the optical mark, And a step of extracting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web page 40 from the image information by the sca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50 are sequentially performed.

이후 스캔프로그램은 추출된 접속정보를 해당 모바일단말(50)의 운영체계 또는 브라우저에 입력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모바일단말(50)이 웹페이지(40)에 접속된 후, 모바일단말(50)의 브라우저가 웹페이지(40)를 출력함으로써, 승객 및 화주 등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단말(50)을 통하여 공간상 제약 없이 선적정보 및 그 갱신상황을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can program inputs the extracted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50 or the browser, and after the mobile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web page 40 on the basis thereof, the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A plurality of unspecified users such as a passenger and a shipper can view the shipment information and the update status thereof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50 without restriction on the space by outputting the web page 40. [

이러한, 본 발명의 광학마크 적용 실시예에 있어서 선체 또는 항만 시설물 등에 표시되는 광학마크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QR코드(Quick Response Code)외에도 바코드 등 다양한 형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optical mark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QR code (Quick Response Code) as shown in FIG. 1, various formats such as a barcode may be applied to the optical mark displayed on the hull or the harbor facilities.

이렇듯, 광학마크의 적용을 통하여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 사용자가 용이하게 웹페이지(4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선적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나, 이 역시 광확마크를 촬영하는 등의 해당 모바일단말(50) 사용자의 능동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는 바, 선적 업무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반 승객의 참여를 유도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다.In this wa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optical mark, a user of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can easily access the web page 40 and view the updated shipping information in real time. However, There may be a shortage in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assenger who is in need of active manipul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and whose interest in the shipping business is relatively low.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푸시서비스를 적용하여 승객 및 화주 등 불특정 다수 사용자의 모바일단말(50)로 푸시메시지를 송출하고, 이를 매개로 인터넷 및 웹페이지(40) 접속을 유도함으로써, 다수 사용자의 선적정보 열람 참여를 촉진한다.5 to 7, a push message is transmitted to a mobile terminal 50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such as a passenger and a shipper, and the push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50 via the Internet and the web page 40 Thereby promoting particip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in reading the shipp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또는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에 있어서 불특정 다수란 임의의 모바일단말(50) 사용자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행정관서 또는 공공기관 등 특정된 선적 업무 감독주체와 대별되는 일반 승객 또는 화주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unspecified number of unspecified users or the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e entire user of any mobile terminal 50 but refers to the user of the specified shipping business supervisor such as an administrative office or a public agency Which means a general passenger or shipper.

다만, 개별 모바일단말(50)의 사용자 내지 이동통신망의 이동국(移動局) 가입자의 구체적 신상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모바일단말(50) 사용자가 선박의 승객 또는 화주인지 여부를 구분하는 것은 기술적인 문제 뿐 아니라 개인정보 보호 등의 제약이 수반되므로, 불특정 다수 모바일단말(50)의 범주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선적 업무 처리시 해당 선박이 정박중인 항만내 소정 범위의 지역내 위치한 모바일단말(50)로 설정할 수 있다.However, it is only a technical problem to distinguish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is the passenger or the shipper of the ship based on the 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mobile terminal 50 user or the mobile station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ategory of the unspecified majority mobile terminal 50 is set to the mobile terminal 50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area in the port where the ship is anchored at the time of processing the shipping busines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즉,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망 이동국인 모바일단말(50)의 경우 해당 선박의 정박지역에 근접한 특정 기지국의 셀(cell) 내지 커버리지(coverage)내 모바일단말(50)로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50)이 설정될 수 있으며, 무선랜 수신 지역에서는 당해 무선랜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50)로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50)이 설정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50,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station such as a smart phone, the mobile terminal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50 within a cell or coverage of a specific base station, And in the wireless LAN receiving area, the mobile terminal 5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to the mobile terminal 50 capable of the wireless LAN connection.

푸시서비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적 범위로 한정된 불특정 다수 모바일단말(50)에 대한 통신에 있어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서, 도 2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푸시서버(60) 및 푸시서버(60)와 연결된 무선망(20)에 의하여 수행된다.The push service is connected to the push server 60 and the push server 60, shown in phantom in Figure 2, as a particularly advantageous way for communication to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Is performed by the wireless network (20).

무선망(20) 기반 푸시서비스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 무선망(20) 연결 기기가 인터넷상의 특정 서버에 클라이언트로서 접속하여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풀(pull) 방식 통신과 대별되는 통신방식으로서, 무선망(20) 연결 기기 즉, 본 발명 모바일단말(50)의 요청 유무는 물론 정보 제공자인 인터넷상의 특정 서버에 대한 접속 여부에 관계 없이 무선망(20)과 연결된 푸시서버(60)가 단순한 문자열 형태 등 비교적 소용량의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push service based on the wireless network 20 is a communication method paired with a pull method communication in which a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20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ccesses a specific server on the Internet as a client and requests specific information. The push server 60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2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20 regardless of whether the mobile terminal 50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or is connected to a specific server on the Internet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information, such as a form, is transmitted unilaterally.

무선망(20) 기반 푸시서비스는 통상 무선망(20) 연결 기기 운영체계 제작자 또는 통신사업자 등에 의하여 제공되는데, 그 대표적 예로서 iOS의 제작사인 애플에서 제공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및 Android의 제작사인 구글에서 제공하는 GCM(Google Cloud Messaging)을 들 수 있다.The push service based on the wireless network 20 is usually provided by the maker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20 or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Examples of the push service include an APNS (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provided by Apple, Google Cloud Messaging (GCM) from Google.

모바일단말(50)이 TCP/IP기반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풀방식 통신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직접 조작이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바,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되지 않을 뿐 아니라, 모바일단말(50)이 인터넷상 특정 웹페이지(40) 또는 서버에 주기적으로 클라이언트로서 접속하여야 하는 바, 막대한 전산 자원 및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무선망(20) 기반 푸시서비스는 일종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내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의 통신이라 할 수 있으므로, 무선망(20) 연결 기기인 모바일단말(50)의 자원 잠식 및 전력소모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ull-type communication, which is generally applied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50 performs TCP / IP-based communication, intentional and aggressive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is indispensably required. In order to minimize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And the mobile terminal 50 must periodically access the specific web page 40 or the server as a client so that huge computational resources and power are consum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network 20 push-based service is a kind of broadcast or multicast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dramatically reduce resource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20 Can be saved.

이러한, 본 발명의 푸시서비스 적용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단말(50)의 인터넷 접속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관리서버(31)가 푸시서버(60)로 접속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개시된다.5 and 6, the Internet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 in the push service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in which the management server 31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push server 60 do.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1)와 푸시서버(60)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이때 관리서버(31)는 푸시서버(60)의 푸시서비스 가입자로서, 관리서버(31)가 푸시서버(60)에 푸시서비스를 요청하면, 푸시서버(60)가 관리서버(31)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요청된 푸시서비스를 실행하게 된다.2,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push server 60 are connected via the Internet.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31 is a push service subscriber of the push server 60, 31 requests a push service to the push server 60, the push server 60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executes the requested push service.

관리서버(31)의 푸시서버(60)로의 푸시서비스 요청시 전송되는 정보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접속정보로서, 여기서 접속정보는 전술한 웹페이지(40)의 URL이 될 수 있으며, 동 도면에서와 같이, 접속정보를 수신한 푸시서버(60)는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로 접속정보를 송출하게 된다.The information transmitted when the push server 60 requests the push server 60 of the management server 31 is the connec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where the connection information may be the URL of the web page 40 described above , The push server 60 receiv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through the push service.

도 7은 푸시서버(60)의 접속정보 송출에 따른 모바일단말(50)의 화면 및 이후의 진행상황을 예시한 것으로,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접속정보를 수신한 모바일단말(50)의 운영체계는 동 도면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푸시메시지를 출력하게 되고, 사용자가 웹페이지(40) 접속을 선택함에 따라 동 도면의 우측 도면 및 도 6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50)이 웹페이지(40)에 접속되어 모바일단말(50)의 브라우저가 웹페이지(40)를 출력하게 된다.FIG. 7 illustrates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50 and subsequent progres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push server 60.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50, which has received the connection information via the push service, As shown in the left drawing of the drawing, a push message is output. As the user selects the connection of the web page 40, the mobile terminal 50 transmits the web page 40, And the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outputs the web page 40. [

이렇듯, 실측기반의 선적정보를 원격지의 관리서버(31)로 실시간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35)로 구축하며, 구축된 실측기반 선적정보를 웹페이지(40)를 통하여 공중(公衆)에 공개함으로써, 선적 업무 처리의 공정성, 투명성 및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를 수행하는 관리서버(31), 데이터베이스(35) 및 웹페이지(40)의 운용을 감독주체가 독점할 경우 상기 공정성 내지 신뢰성 확보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In this manner, the actual-shipment-based ship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1 at a remote place in real time and built into the database 35, and the constructed actual shipment-based shipment information is disclosed to the public through the web page 40, The fairness, the transparency, and the reliability of the business process can be greatly improved. However, when the supervisor monopolizes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31, the database 35, and the web page 40, There is a limit.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계근장치(10)에 근거리무선모듈(15)을 장착하고, 모바일단말(50)에는 상기 근거리무선모듈(15)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근거리무선모듈(15)을 통하여 계근장치(10)로부터 수신된 실측정보를 직접 처리하는 선적프로그램을 탑재하여, 불특정 다수 모바일단말(50)에 의한 독립적인 실측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감독주체의 선적정보 처리 독점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to 11, the near field wireless module 15 is mounted on the meandering device 10, the mobile terminal 50 is communicated with the near field wireless module 15, A shipping program for directly processing the act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ander device 10 through the wireless module 15 is mounted so that the independent actual information processing by the unspecified multiple mobile terminals 50 is enabled, And solves the problem of reliability degradation due to the monopoly of information processing.

도 8에서와 같이, 계근장치(10)의 MCU(13)와 연결되는 근거리무선모듈(15)은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로서, 표준화된 방식으로는 동 도면에 예시된 블루투스(Bluetooth)를 비롯하여,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아이비콘(iBeacon) 등을 들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15 connected to the MCU 13 of the meander device 10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low powe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standardized method, the Bluetooth ),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iBeacon.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되는 선적프로그램은 운영체계의 응용프로그램 형식으로 탑재되며, 계근장치(10)의 근거리무선모듈(15)에 상응하는 모바일단말(50)내 통신모듈을 활성화 및 구동하고, 계근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화물별 식별정보 또는 실측정보를 수신하여, 연산처리한 후 모바일단말(50)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모바일단말(50)의 기억장치에 수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hipping program to be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operating system and activates and drives th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mobile terminal 50 corresponding to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15 of the neighbors 10, And carries out the function of outputting to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50 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actual information of the cargo sent from the meandering device 10 to the storag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50 after the calculation processing.

이러한 근거리무선모듈(15) 통신에 의한 개별 모바일단말(50)별 선적정보 처리 방식의 본 발명 실시예는 도 9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선적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로 개시된다.The embodiment of the sh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each individual mobile terminal 50 by the short-range wireless module 15 communication starts with the step of executing the shipment program loaded in the mobile terminal 50 as shown in Fig. 9 .

즉, 도 9는 모바일단말(50)에 전술한 선적프로그램이 기 탑재된 상황을 상정한 것으로, 선적프로그램은 후술할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50)이 무선망(20) 및 인터넷을 통하여 배포서버(32)에 접속함으로써 배포 및 설치된다.9 and 10, the mobile terminal 50 is assumed to be installed in the wireless network 20, as shown in FIGS. 10 and 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distribution server 32 via the Internet.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선적 대상 화물의 중량이 계근장치(10)에 의하여 측정되면 근거리무선모듈(15)이 실측정보를 송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8 and 9, when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shipped is measured by the meandering device 10,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15 transmits the actual information.

여기서, 계근장치(10)내 감지부(11)의 화물 중량 측정, A/D변환부(12)의 아날로그 측정치 디지털화, MCU(13)에 의한 실측정보 및 식별정보 병합 처리 등의 일련의 과정은 전술한 도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수행되며, 다만 MCU(13)에 의하여 생성된 가용의 선적정보를 외부로 송출함에 있어서 인터넷통신모듈(14)이 아닌 근거리무선모듈(15)이 적용된다.Here,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the measurement of the cargo weight of the sensing unit 11 in the meandering device 10, the digitization of the analog measurement value of the A / D conversion unit 12, the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MCU 13, 2,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15 is applied instead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4 in transmitting the available shipp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CU 13 to the outside.

근거리무선모듈(15)에 의한 선적정보 송출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50)이 송출된 실측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선적프로그램이 수신된 실측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When the ship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the short-range wireless module 15, the mobile terminal 50 receives the actu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50, and stores the received real-ti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device Is performed.

블루투스 등 근거리무선모듈(15) 기반 통신에 있어서, 통신의 주체는 신호를 송출하는 마스터(master)와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slave)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로서 각각 계근장치(10)와 모바일단말(50)이 설정된다.In the short-range wireless module 15-based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can be divided into a master for sending a signal and a slave for receiving a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mobile terminal 50 are set.

블루투스 방식의 근거리무선 통신에서는 제한된 통신채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주파수호핑(Frequency Hopping)을 실시하며, 마스터와 슬레이브간 주파수호핑을 동기화하는 일종의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마스터 즉, 계근장치(10)에 불특정 다수의 슬레이브 즉, 모바일단말(50)이 연결되어야 하는 바, 각각의 모바일단말(50)을 별도의 슬레이브로 설정하는 통상의 방식을 탈피하여, 전체 모바일단말(50)을 가상의 단일 슬레이브로 취급하고 각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선적프로그램이 상기 주파수호핑의 주기를 단일화함으로써, 계근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바일단말(50) 수를 사실상 무제한으로 확대할 수 있다.In Bluetooth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frequency hopping is performe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a limited communication channel, and a time-sharing method for synchronizing frequency hopping between a master and a slave is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nect an unspecified number of slaves, that is, the mobile terminal 50 to the gimme apparatus 10, to move the entire mobile terminal 50 out of the usual way of setting each mobile terminal 50 as a separate slave, As a virtual single slave and the shipping program loaded on each mobile terminal 50 unifies the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eander device 10 by virtually unifying the frequency hopping period in a virtually unlimited manner .

선적정보의 수신 및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선적프로그램이 기억장치에 저장된 실측정보를 인출하고 합산하여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실측정보의 출력은 도 8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50)의 화면을 통한 시각적 방식으로 수행되거나, 해당 선박의 선적 화물이 적정량을 초과할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청각적 방식이 수행되는 등, 모바일단말(50)의 출력장치를 십분 활용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receiving and storing of the shipment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actu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s performed. The output of the actual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50 A variety of methods utilizing the outpu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50 can be applied, such as performing in a visual manner through the screen or performing an audible method of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cargo of the ship exceeds a proper amount have.

상기와 같은 모바일단말(50) 탑재 선적프로그램에 의한 선적정보의 개별 처리는 모바일단말(50)에 선적프로그램이 기 설치된 상황을 전제로 하는 것인 바, 동 실시예의 수행을 위해서는 선적프로그램의 모바일단말(50)내 설치가 선행될 필요가 있으나, 승객 또는 화주 등 불특정 다수의 일반 사용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선적프로그램은 선박 이용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한하여 활용되는 프로그램으로서, 다수 사용자의 모바일단말(50)에 선적프로그램이 사전 설치된 조건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individual processing of the shipping information by the shipping program with the mobile terminal 50 as described above is premised on the condition that the shipping program i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50. In order to carry out the embodiment, The shipping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ly to a special situation in which the ship is used, and the shipping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50 of a large number of use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pre-installed condition of the shipping program.

이에, 본 발명에서는 광학마크 또는 푸시서비스를 적용하여 불특정 다수 모바일단말(50)의 배포서버(32) 접속 및 선적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optical mark or push service is applied to induce connection of distribution server 32 of an unspecified multiple mobile terminal 50 and installation of a shipping program.

배포서버(32)는 선적프로그램 또는 선적프로그램의 설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도 8에서는 관리서버(31)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배포서버(32)와 관리서버(31)는 특정 하드웨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처리상 기능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하드웨어에 배포서버(32) 및 관리서버(31)가 구축될 수도 있다.The distribution server 32 is a server providing installation information of a shipping program or a shipping program and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1 in FIG. 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server 32 and the management The server 31 does not limit the specific hardware but specifi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The distribution server 32 and the management server 31 may be constructed on a single hardware.

광학마크를 이용한 배포서버(32) 접속은 도 9 및 도 4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스캔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로 개시된다.The connection to the distribution server 32 using the optical mark starts with the step of executing the scan program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50, as shown in Figs.

스캔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단말(50) 운영체계의 모듈 또는 응용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모바일단말(50)에 장착된 카메라 등 촬상장치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can program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module or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5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acquiring and processing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such as a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50.

스캔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해당 모바일단말(50)의 사용자가 전술한 광학마크를 시준(視準)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면, 모바일단말(50)의 스캔프로그램이 광학마크를 촬상하여 화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의 스캔프로그램이 상기 화상정보로부터 배포서버(32) URL(Uniform Resource Locator)등의 접속정보를 추출하는 단계가 차례로 수행된다.When the scan program is executed an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collimating the optical mark described above, the sca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50 picks up the optical mark, And a step of extracting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distribution server 32 from the image information by the sca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50 are sequentially performed.

이후 스캔프로그램은 추출된 접속정보를 해당 모바일단말(50)의 운영체계 또는 브라우저에 입력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모바일단말(50)이 인터넷을 통하여 배포서버(32)에 접속된 후, 배포서버(32)가 모바일단말(50)로 선적프로그램 또는 선적프로그램의 설치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모바일단말(50)에 선적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계가 차례로 수행된다.Thereafter, the scan program inputs the extracted access information to the operating system or browser of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50, and the mobile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server 32 via the Internet, Transmits the installation file of the shipping program or the shipping program to the mobile terminal 50 and the step of installing the shipping program in the mobile terminal 50 are performed in order.

배포서버(32) 접속에 이용되는 광학마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체 또는 항만 시설물 등에 표시될 수 있으며, 도 8에 예시된 QR코드(Quick Response Code)외에도 바코드 등 다양한 형식이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mark used for connection to the distribution server 32 may be displayed in a hull or a port facility, and various types such as a bar code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QR code (Quick Response Code) illustrated in FIG.

이렇듯, 광학마크의 적용을 통하여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포서버(32)에 접속하여, 선적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으나, 이 역시 광확마크를 촬영하는 등, 해당 모바일단말(50) 사용자의 능동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는 바, 선적 업무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반 승객의 참여를 유도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lication of the optical mark allows a user of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to easily access the distribution server 32 to receive a shipping program. However, 50) It may be necessary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assenger who is in need of active manipulation of the user and whose interest in the loading task is relatively low.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푸시서비스를 적용하여 승객 및 화주 등 불특정 다수 사용자의 모바일단말(50)로 푸시메시지를 송출하고, 이를 매개로 인터넷 및 배포서버(32) 접속을 유도함으로써, 다수 사용자의 선적프로그램 사용을 촉진한다.5, 10, and 11, a push message is transmitted to a mobile terminal 50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such as a passenger and a shipper, and the push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Internet and a distribution server 32), thereby facilitating the use of multiple users' shipping programs.

본 발명의 푸시서비스는 도 8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푸시서버(60) 및 푸시서버(60)와 연결된 무선망(20)에 의하여 수행되며, 동 도면의 하단부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서버(60)는 관리서버(31)와 연결되어 관리서버(31)의 요청에 따라 해당 푸시서비스를 수행한다.The push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the push server 60 and the wireless network 20 connected to the push server 60 shown in phantom in Fig. 8, The push server 6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performs the push ser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management server 31. [

또한, 도 8에 있어서 관리서버(31)는 선적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배포서버(3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관리서버(31)와 배포서버(32)는 특정 하드웨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처리상 기능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하드웨어에 관리서버(31) 및 배포서버(32)가 구축될 수도 있다.8, the management server 31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istribution server 32 distributing the shipping program.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distribution server 32, The management server 32 and the distribution server 32 are not limited to specific hardware but are for specify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distribution server 32 may be constructed on a single hardware.

이러한, 본 발명의 푸시서비스 적용 배포서버(32) 접속은 도 5 및 도 10에서와 같이, 관리서버(31)가 푸시서버(60)로 접속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개시된다.This connection of the push servic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32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the step of the management server 31 transmitt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push server 60, as in Figs. 5 and 10.

도 8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1)와 푸시서버(60)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이때 관리서버(31)는 푸시서버(60)의 푸시서비스 가입자로서, 관리서버(31)가 푸시서버(60)에 푸시서비스를 요청하면, 푸시서버(60)가 관리서버(31)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요청된 푸시서비스를 실행하게 된다.8,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the push server 60 are connected via the Internet.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31 is a push service subscriber of the push server 60, 31 requests a push service to the push server 60, the push server 60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management server 31 and executes the requested push service.

관리서버(31)의 푸시서버(60)로의 푸시서비스 요청시 전송되는 정보는 도 5 및 도 10에서와 같이, 접속정보로서, 여기서 접속정보는 배포서버(32)의 URL이 될 수 있으며, 동 도면에서와 같이, 접속정보를 수신한 푸시서버(60)는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로 접속정보를 송출하게 된다.The information transmitted when the push server 60 requests the push server 60 of the management server 31 is the contact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5 and 10, where the contact information may be the URL of the distribution server 32, As shown in the figure, the push server 60 receiv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through the push service.

도 11은 푸시서버(60)의 접속정보 송출에 따른 모바일단말(50)의 화면 및 이후의 진행상황을 예시한 것으로,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접속정보를 수신한 모바일단말(50)의 운영체계는 동 도면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푸시메시지를 출력하게 되고, 사용자가 선적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선택함에 따라 모바일단말(50)이 수신된 접속정보로 배포서버(32)에 접속한다.FIG. 11 illustrates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50 and subsequent progres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push server 60.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50, which has received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ush service, As in the left drawing of the drawing, a push message is output, and the mobile terminal 50 accesses the distribution server 32 with the received connection information as the user selects downloading of the shipping program.

이후, 배포서버(32)가 모바일단말(50)로 선적프로그램 또는 선적프로그램의 설치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모바일단말(50)에 선적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계가 차례로 수행된다.Thereafter, the distribution server 32 transfers the installation file of the shipping program or the shipping program to the mobile terminal 50 and the step of installing the shipping program in the mobile terminal 50 are performed in order.

이렇듯, 실측기반의 선적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50)이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처리하여, 선적정보 처리의 독점을 방지함으로써, 선적 업무 처리의 공정성, 투명성 및 신뢰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적 업무 감독주체에 대한 불신을 불식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airness,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of the shipping business processing by preventing the monopolization of the shipping information processing by sharing and processing the actual shipping information in real time by the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50 in real time, It can dispel distrust of the supervisor.

10 : 계근장치
11 : 감지부
12 : A/D변환부
13 : MCU
14 : 인터넷통신모듈
15 : 근거리무선모듈
20 : 무선망
31 : 관리서버
32 : 배포서버
35 : 데이터베이스
40 : 웹페이지
50 : 모바일단말
60 : 푸시서버
10: Meadows device
11:
12: A / D conversion section
13: MCU
14: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5: Short-range wireless module
20: Wireless network
31: management server
32: Distribution Server
35: Database
40: Web page
50: mobile terminal
60: Push server

Claims (4)

삭제delete 화물 운송 선박의 화물별 중량을 포함하는 선적정보(船積情報)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적전 화물의 중량을 계측하는 계근장치(10)에는 근거리무선모듈(15)이 장착되고, 상기 근거리무선모듈(15)과의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승객의 모바일단말(50)이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선적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와;
선적 대상 화물의 중량이 계근장치(10)에 의하여 측정되면 계근장치(10)의 근거리무선모듈(15)이 마스터(master)로서 실측정보를 송출하는 단계와;
선적프로그램이 실행중인 상기 모바일단말(50)이 송출된 실측정보를 슬레이브(slave)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실측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선적프로그램이 실행중인 상기 모바일단말(50)이 기억장치에 저장된 실측정보를 인출하고 합산하여 모바일단말(50)의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선적정보 관리방법.
A method of processing shipping information (shipping information) including a weight per cargo of a cargo shipping vessel,
A proximity wireless module (15) is mounted on a meander device (1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shipment cargo, and a plurality of passenger's mobile terminals (5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15)
Executing a shipping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When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shipped is measured by the meander device (10),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15) of the meander device (10) transmits the actual information as a master;
Receiving actu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50) in execution as a slave program as a slave and storing the received actual information in a storage device;
Wherein the mobile terminal (50) in which the shipping program is running fetches and sums the actu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outputs the sum to the outpu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50).
청구항 2에 있어서,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되는 선적프로그램은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된 스캔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의 스캔프로그램이 광학마크를 촬상하여 화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의 스캔프로그램이 상기 화상정보로부터 접속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접속정보를 통하여 모바일단말(50)이 배포서버(32)에 접속하는 단계와;
배포서버(32)가 모바일단말(50)로 선적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에 선적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선적정보 관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hipping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Executing a scan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The sca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50 capturing an optical mark to obtain image information;
Extract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information by a scan program of the mobile terminal (50);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50) to the distribution server (32) through the extracted connection information;
The distribution server 32 sending a shipping program to the mobile terminal 50;
And installing a shipping program on the mobile terminal (50).
청구항 2에 있어서, 모바일단말(50)에 탑재되는 선적프로그램은
관리서버(31)가 푸시서버(60)로 접속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푸시서버(60)가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50)로 접속정보를 송출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이 수신된 접속정보로 배포서버(32)에 접속하는 단계와;
배포서버(32)가 모바일단말(50)로 선적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50)에 선적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선적정보 관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hipping program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50)
The management server 31 transmitt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push server 60;
The push server 60 send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50 via the push service;
The mobile terminal 50 accesses the distribution server 32 with the received connection information;
The distribution server 32 sending a shipping program to the mobile terminal 50;
And installing a shipping program on the mobile terminal (50).
KR20140119963A 2014-09-11 2014-09-11 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 KR101509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9963A KR101509178B1 (en) 2014-09-11 2014-09-11 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9963A KR101509178B1 (en) 2014-09-11 2014-09-11 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178B1 true KR101509178B1 (en) 2015-04-08

Family

ID=5303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9963A KR101509178B1 (en) 2014-09-11 2014-09-11 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17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134A (en) * 2010-05-06 2011-11-14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에스 Apparatus for eco-friendly waste collection
KR20110123882A (en) * 2010-05-10 2011-11-16 자바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waste collection
KR20130091854A (en) * 2012-02-09 2013-08-20 최윤배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overloaded vehicles using lbs and weight measur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134A (en) * 2010-05-06 2011-11-14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에스 Apparatus for eco-friendly waste collection
KR20110123882A (en) * 2010-05-10 2011-11-16 자바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waste collection
KR20130091854A (en) * 2012-02-09 2013-08-20 최윤배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overloaded vehicles using lbs and weight measur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143B2 (en) Multiple application modules (MAMs) for monitoring signals in components in wireless distribution system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978251B2 (en) Wireless location-bas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hazardous and non-hazardous conditions
CN105303286A (en) Mobile card punching system and method and cloud system thereof
CN111143075B (en) Marine satellite data calibration inspec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255937B (en) Alarm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CN108875857B (en) Insp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695832B2 (en) Data search apparatus, and data search method and program thereof, and edge server and program thereof
US9915929B1 (en) Monitoring availability of facility equipment
CN114386896A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p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US20170299688A1 (en) Beacon transmitting device and beacon transmitting method
CN103942744A (en) Operation personnel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phone GPS positioning
KR20190066232A (en) Animal feeding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fodder residual quantity of the aninal feed system
KR101509178B1 (en) Vessel lo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
KR101807634B1 (en) Ambient vibration monitoring and processing method for building
CN109819026B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CN113393184A (en) Store arrival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JP6520280B2 (en)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CN107818262A (en) The security document management method of network security device
US20210049547A1 (en) Method for Gas Station-Based Parcel Delivery Ser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US20140122023A1 (en) Intelligent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anaging integrity of a field asset
CN109389306A (en) A kind of synchronous method and device of user's order
JP201902114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CN107786540B (en) Equipmen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EP3432593B1 (en) Data-flow control device and data-flow control method
Donati et al. A Cloud-Oriented Measurement System for Radiological Investigation and Traceability of St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