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778B1 - 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osing screen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osing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778B1
KR101508778B1 KR20080091077A KR20080091077A KR101508778B1 KR 101508778 B1 KR101508778 B1 KR 101508778B1 KR 20080091077 A KR20080091077 A KR 20080091077A KR 20080091077 A KR20080091077 A KR 20080091077A KR 101508778 B1 KR101508778 B1 KR 10150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ser
keyword
input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1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2100A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08009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778B1/en
Publication of KR2010003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1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7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 접속하여 브라우저를 구동시키는 브라우저 구동부,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키는 키보드 입력기 구동부,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브라우저 UI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wser driver for connecting to a web server in response to a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a keyboard driver for driving a keyboard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And a browser UI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rough a browser UI,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o the input window of the browser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이동통신단말기, 화면 처리, 브라우저, 키보드 입력기, 키워드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processing, Browser, Keyboard input device, Keyword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화면 처리 방법{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OSING SCREE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cree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별도의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브라우저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영역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화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rives a browser according to a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drives a keyboard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displays the input screen on a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creen processing method which allow an user to easily select an area to be selected on a browser by provid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input keywords through a separate browser UI.

오늘날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이동통신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켰고,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Today,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rapidly promoted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devices), and now most of ordinary people ha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제공되었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게임, 무선 인터넷 등)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PC 없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을 할 수 있게 되었다.A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use of users have increased, services provided in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expanded to a variety of services (for example, games, wireless Internet, etc.) apart from the voice call service and text service that were basically provided .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PC to access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creen proc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브라우저 및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키고,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가,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 "X"와 연관되는 자동 완성 리스트(xnote, x5, xtm, sbox360)를 브라우저 상에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rives a browser and a keyboard input device according to a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and controls a keyword input through a keyboard input device to be input 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rovide an autocomplete list (xnote, x5, xtm, sbox 360) associated with the keyword "X " input through the keyboard input device on the browser.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이 작기 때문에, 브라우저와 키보드 입력기를 모두 화면에 표시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제공할 때에는, 자동 완성 리스트의 일부분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mall, it is difficult to display both the browser and the keyboard input device on the screen. Particularly, when provid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a part of the autocomplete list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user can not select it.

즉, 자동 완성 리스트의 하단 부분에 표시된 키워드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고, 그래도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한다면, 매우 섬세하고 정확하게 스크롤을 선택해야만 자동 완성 리스트의 하단 부분에 표시된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not select the keyword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auto-complete list, and if the user wishes to select the keyword, the user can select the keyword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auto-complete list only by selecting very precise and accurate scrolling.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별도의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브라우저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영역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browser is driven according to a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a keyboard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is driven and displayed on a screen, A new technique for providing an automatic completion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in a window through a separate browser UI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an area to be selected on the brow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별도의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브라우저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영역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화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browser in response to a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and driving a keyboard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creen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select an area to be selected on the browser by provid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ted to the input window of the browser through the keyboard input device through a separate browser UI And a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스크롤 방식으로 별도의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고, 이때, 상기 브라우저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에 의해 상기 브라우저 UI가 화면 상에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스크롤을 통해 화면에서 벗어나는 키워드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화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completion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o a browser input window through a keyboard input device through a separate browser UI by a scroll meth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creen processing method which allow a user to easily select a keyword that is out of the screen through scrolling by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screen.

또한, 본 발명은 URL history 정보를 정보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 저장소를 참조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주소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URL history 정보를,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브라우저 UI를 통해 URL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화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URL history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repository, and provides URL histo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o an address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through the browser UI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repository,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creen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easily inputting a UR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 접속하여 브라우저를 구동시키는 브라우저 구동부,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키는 키보드 입력기 구동부,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브라우저 UI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browser driver for connecting to a web server and activating a browser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for internet connection, A keyboard input unit driver for driving a keyboard input unit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and a browser UI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ted to the input window of the browser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through a browser UI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 접속하여 브라우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cessing a web server in response to a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to start a browse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And provid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through a browser UI.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별도의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브라우저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영역을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a browser is driven, a keyboard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is driven and displayed on a screen,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an area to b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browser by providing the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the keyword input in the window through the separate browser UI.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스크롤 방식으로 별도의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고, 이때, 상기 브라우저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에 의해 상기 브라우저 UI가 화면 상에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스크롤을 통해 화면에서 벗어나는 키워드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completion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o an input window of a browser through a keyboard input device, through a separate browser UI by a scroll method, By controlling so that the UI does not deviate from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elect a keyword that is out of the screen through scrol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URL history 정보를 정보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 저장소를 참조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주소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URL history 정보를,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브라우저 UI를 통해 URL도 쉽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RL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in an information repository, URL histo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in an address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is referred to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repository through a browser UI, So that the URL can be easily inp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및 화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cree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컴퓨터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 terminal,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terminal, a VoIP,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 Megaco,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cellular phone, Handheld PCs, CDMA-2000 (1X, 3X) phones, WCDMA (Wideband CDMA) phones, dual band / dual mode phones, GSM (Global Standard for Mobile) An MBS (Mobile Broadband System) phone, or a satellite / terrestrial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 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브라우저 구동부(210), 키보드 입력기 구동부(220), 브라우저 UI 제공부(230) 및 정보 저장소(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include a browser driving unit 210, a keyboard input unit driving unit 220, a browser UI providing unit 230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40.

브라우저 구동부(210)는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 접속하여 브라우저를 구동시킨다. 브라우저 구동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시작 페이지로 설정된 웹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browser driving unit 210 connects to the web server and drives the browser according to the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The browser driving unit 210 can access the web server set as the start pag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and display the web browser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y driving the corresponding browser.

이와 동시에, 키보드 입력기 구동부(220)는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킨다. 상기 키보드 입력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성상, 키패드로 제공되지 못하는 기능들을 브라우저에 키워드 입력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keyboard input device driver 220 drives a keyboard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The keyboard input device may provide functions that can not be provided by a keypad for inputting a keyword in a browser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예를 들어, 상기 키보드 입력기는 무선 인터넷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http://", ".co.kr", ".com" 등의 키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브라우저 상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키보드 입력기 구동부(220)는 상기 키보드 입력기로 Qwerty 방식의 입력기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keyboard input device may provide a key button such as "http: // "," To input the desired keyword. For example, the keyboard input device driver 220 may provide a Qwerty type input device with the keyboard input device.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브라우저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가 화면 상에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면, 브라우저 구동부(210)는 상기 입력되는 키워드가 상기 브라우저의 입 력창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llows both the browser and the keyboard input uni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user inputs a keyword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the browser driving unit 210 displays the input keyword So that it can be entered into the browser's input window.

브라우저 UI 제공부(230)는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한다.The browser UI providing unit 230 provides an automatic completion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to the input window of the browser through the browser UI.

브라우저 구동부(210)는 상기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browser driving unit 210 may transmit the input keyword to the web server and receive the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the keyword from the web server.

여기서,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는 상기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가능성이 있는 몇 개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키워드가 입력되었을 때, "auction", "abc마트", "a3" 등의 키워드들이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autocomplete list includes a number of keywords that the user may input in association with the input keyword. For example, when the keyword "a" is input, keywords such as " auction ", "abcart ", and" a3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reen proc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브라우저와 키보드 입력기 사이에 브라우저 UI를 위치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워드 "ㄱ"과 연관하여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자동 완성 리스트(구글, 국민은행)를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places a browser UI between a browser and a keyboard input unit, and associates an auto-completion list (Google, Kookmin Bank) with the keyword " .

이때, 브라우저 UI 제공부(230)는 상기 수신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스크롤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 UI는 상기 브라우저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것이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At this time, the browser UI providing unit 230 may provide the received automatic completion list in a scroll manner. The browser UI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rowser, and is configur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즉,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브라우저 및 키보드 입력기를 모두 한 화면에 표시할 경우, 브라우저에서 제공되는 자동 완성 리스트 일부분이 화면에서 이탈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도 1 참조). 따라서, 자동 완성 리스트 하단 부분에 포함된 키워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when a browser and a keyboard input device are all displayed on one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art of the auto-complete list provided in the browser is deviated from the screen (refer to FIG. 1).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select the keyword included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utocomplete li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UI 제공부(230)는 상기 브라우저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에 의해 상기 브라우저 UI가 화면 상에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스크롤 방식으로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rowser UI providing unit 230 controls the browser UI and the keyboard input unit so that the browser UI does not deviate from the screen, and can provide the automatic completion list in a scroll manner.

즉, 브라우저 UI 제공부(230)는 상기 브라우저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에 의해 상기 브라우저 UI가 가려지거나,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화면 상에 이탈되지 않고, 사용자가 손쉽게 브라우저 UI의 스크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의 브라우저 UI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browser UI providing unit 230 may allow the user to easily select the scroll of the browser UI without the user having to hide the browser UI by the browser and the keyboard input unit, or to leave the scree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ropriately sized browser UI.

이 경우, 사용자는 스크롤을 통해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의 상단 또는 하단 부분에 포함된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a keyword includ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autocomplete list through scrolling.

또한, 정보 저장소(240)는 URL history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URL history 정보는 사용자가 한번이라도 방문하였던 웹페이지에 대한 URL 정보이다. 브라우저 UI 제공부(230)는 정보 저장소(240)를 참조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주소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URL history 정보를,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e 240 stores URL history information. The URL history information is URL information about a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at least once. The browser UI providing unit 230 can refer to the information storage 240 and provide the URL histo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keyword input to the address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through the browser UI.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reen proc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정보 저장소(240)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 관된 URL history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inputs a keyword into the address bar of the brow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refer to the information storage 240 and provide URL histo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nput keyword.

즉, 상기 사용자가 "www.lg"라는 키워드를 입력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www.lgtelecom.com", "www.lgtelecom.com/jsp/cc/priceplan" 등의 URL history 정보를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keyword "www.lg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URL history information such as" www.lgtelecom.com ", "www.lgtelecom.com/jsp/cc/priceplan & Can be provided through the browser UI.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롤을 이동하여 상기 브라우저 UI에 제공된 URL history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게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원하는 웹페이지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Thus, the user can conveniently enter the address of the desired web page in the address bar of the browser by scrolling and selecting one of the URL history information provided in the browser UI.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면 처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screen process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화면 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2를 참조하여 도 5를 설명함으로써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The screen process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the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Fig. 5 with reference to Fig. 2 described above.

단계 S510에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 접속하여 브라우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시작 페이지로 설정된 웹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5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n connect to the web server and start the browser according to the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n access the web server set as the start pag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and can display the web browser on the screen.

단계 S520에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입력기는 브라우저에 입력되는 키워드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5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drive a keyboard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The keyboard input device is provided to easily input a keyword input to the browser, and can provide the same function as a keyboard of a computer.

단계 S530에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입력되는 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상기 수신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53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n provide an automatic completion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to the input window of the browser through the browser UI.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input keyword to the web server, receive the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the keyword from the web server, and provide the received autocomplete list through the browser UI have.

일례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브라우저와 별도로 상기 브라우저 UI를 구성하여, 스크롤 방식으로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브라우저 및 상기 키보드 입력기에 의해 상기 브라우저 UI가 화면 상에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configure the browser UI separately from the browser and provide the auto-completion list in a scroll manner.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n control the browser UI and the keyboard input unit so that the browser UI does not deviate from the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URL history 정보를 정보 저장소(240)에 저장하고, 정보 저장소(240)를 참조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주소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URL history 정보를,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tores URL history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240, refers to the information storage 240, and stores the URL histor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browser UI.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 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program instruction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optical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creen proc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reen proc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처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reen proc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면 처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screen process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200: 이동통신단말기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브라우저 구동부210:

220: 키보드 입력기 구동부220: keyboard input unit driving unit

230: 브라우저 UI 제공부230: Browser UI Offering

240: 정보 저장소240: Information Store

Claims (11)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 접속하여 브라우저를 구동시키는 브라우저 구동부;A browser driver for connecting to a web server and driving the browser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o connect to the Internet;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키는 키보드 입력기 구동부; 및A keyboard input unit driver for driving a keyboard input unit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And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상기 브라우저와 별도로 구성되는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브라우저 UI 제공부A browser UI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o the input window of the browser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through a browser UI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browser, 를 포함하고,Lt; / RTI &gt; 상기 브라우저 UI 제공부는,The browser UI providing unit, 상기 브라우저와 상기 키보드 입력기 사이에서, 상기 브라우저 UI가 화면 상에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위치시켜,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를 제공하는Between the browser and the keyboard input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and positions the browser UI so that the browser UI does not deviate from the screen,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브라우저 UI 제공부는,The browser UI providing unit, 스크롤 방식으로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를 제공하는Providing the auto-complete list in a scrollable manner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브라우저 구동부는,The browser- 상기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수신하는Transmitting the input keyword to the web server, receiv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the keyword from the web server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URL history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소An information store that stores URL history information 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상기 브라우저 UI 제공부는,The browser UI providing unit, 상기 정보 저장소를 참조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주소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URL history 정보를,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Refers to the information store, and provides URL histo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o an address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through the browser UI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 접속하여 브라우저를 구동시키는 단계;Connecting the web server to the browser in response to the user'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입력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기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Driving a keyboard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keyword into an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And 상기 키보드 입력기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상기 브라우저와 별도로 구성되는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to the input window of the browser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through a browser UI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browser 를 포함하고,Lt; / RTI &gt;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는,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through the browser UI comprises: 상기 브라우저와 상기 키보드 입력기 사이에서, 상기 브라우저 UI가 화면 상에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위치시켜,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Controlling and positioning the browser UI between the browser and the keyboard input device so that the browser UI does not deviate from the screen, 를 포함하는 화면 처리 방법.And a screen processing metho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는,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through the browser UI comprises: 스크롤 방식으로 상기 자동 완성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the autocomplete list in a scroll manner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처리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는,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through the browser UI comprises: 상기 입력되는 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the input keyword to the web server; And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자동 완성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n autocomplete list associated with the keyword from the web server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처리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화면 처리 방법은,The screen processing method includes: URL history 정보를 정보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및Storing URL history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repository; And 상기 정보 저장소를 참조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포함된 주소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URL history 정보를, 상기 브라우저 UI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URL histo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keyword input in an address window included in the browser, through the browser UI,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store;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처리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6항, 제7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7, 9, and 10.
KR20080091077A 2008-09-17 2008-09-17 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osing screen KR1015087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1077A KR101508778B1 (en) 2008-09-17 2008-09-17 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osing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1077A KR101508778B1 (en) 2008-09-17 2008-09-17 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osing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100A KR20100032100A (en) 2010-03-25
KR101508778B1 true KR101508778B1 (en) 2015-04-03

Family

ID=4218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1077A KR101508778B1 (en) 2008-09-17 2008-09-17 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osing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77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807A (en) * 2002-04-23 2003-11-07 Communication Research Laboratory Information retriev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ith information retrieving software stored thereon
US20080094368A1 (en) * 2006-09-06 2008-04-24 Bas Or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tructured Electronic Docu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807A (en) * 2002-04-23 2003-11-07 Communication Research Laboratory Information retriev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ith information retrieving software stored thereon
US20080094368A1 (en) * 2006-09-06 2008-04-24 Bas Or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tructured Electronic Doc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100A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792B2 (en) Reusable multimodal application
US88246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ction on a phone in response to a user initiating an outbound call to one or more select phone numbers
RU2408153C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 selection in communication devices
US8731609B2 (en) Extendable voice commands
US2009017256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hyperlink targets for improved mobile web browsing
KR100713503B1 (en) Method for running appl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JP47092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by call
KR101489194B1 (en) Deleting method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KR101137567B1 (en) Wireless portable terminal for enabling automatic completion of character strings and method thereof
US2007002937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ssisted entry of contact information, and associated method
KR100811598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on Idle Screen
KR101508778B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osing screen
US200701064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20030083896A (en) Method for setting up a screen of stand-by mode in cellular phone
KR20100072849A (en) Method for connecting cal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8055654B2 (en) List search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070068552A (en) Method of operating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ing function action key by inputting phoneme un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
KR20050027591A (en) Method for managing received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4727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KR20040026716A (en) Searching method for phon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9681B1 (en) Potable terminal able to control internal function using character string and control method
KR100692215B1 (en) Method for interne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70059580A (en) Method of blocking spam wap push message i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
KR100653211B1 (en) Communication device offering keypad image data and operating method of the device
KR20050113467A (en) Web site connection method of wireless internet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