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349B1 -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erver in content delivery network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erver in content delivery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349B1
KR101508349B1 KR20140007848A KR20140007848A KR101508349B1 KR 101508349 B1 KR101508349 B1 KR 101508349B1 KR 20140007848 A KR20140007848 A KR 20140007848A KR 20140007848 A KR20140007848 A KR 20140007848A KR 101508349 B1 KR101508349 B1 KR 10150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che server
server
node
calculat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구
임경천
방용환
성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4000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349B1/en
Priority to PCT/KR2014/000806 priority patent/WO201511178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Abstract

A method for managing a server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for receiving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a step for calculating a cache server disposition coefficient of each node from the network informat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user terminal requests or cooperation among neighboring nodes; and a step for selecting a node for a new cache server using the calculated cache server disposition coefficient.

Description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 및 서버 관리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ERVER IN CONTENT DELIVERY NETWORK}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nd a server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본 발명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 및 서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nd a server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전달망이 존재하기 이전의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 단말이 콘텐츠를 요청할 경우, 원본 서버로부터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이는 사용자들의 요청이 콘텐츠 원본 서버로 몰리는 현상을 유발하여 콘텐츠 전달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크게 감소 시키는 원인이 되었다.In a network before a content delivery network exists, when a user terminal requests content, it is received from a source server. Therefore, this causes a phenomenon in which users' requests are pushed to a content source server, thereby causing a serious reduction in quality of service for content delivery.

따라서, 최근에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 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콘텐츠 전달하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서버를 사용자 단말과 가까운 네트워크의 엣지에 위치시킨다.Therefore, recently,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for delivering contents, a plurality of servers storing contents are positioned at an edge of a network close to a user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서버들은 저장 공간의 제한 및 무수히 많은 콘텐츠의 양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콘텐츠를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각 캐시 서버는 제한된 콘텐츠를 가지고 서비스를 해야 하며, 서버가 가지고 있지 않은 콘텐츠는 그 콘텐츠의 원본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해야만 해서 서비스 시간 지연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03920호(2007년01월05일 공개)의 '캐시 서버 네트워크 및 콘텐츠 파일의 분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이 있다.
However, these servers are generally unable to store all the content that exists in the network due to storage limitations and the amount of myriad content. Therefore, each cache server has to provide services with restricted contents, and the content that the server does not have has to be served from the original server of the contents, which causes the service time delay.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re is a method of scheduling distribution of a cache server network and a content fil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0003920 (published on Jan. 5, 2007).

본 발명은 주변 노드와의 관계를 고려해 캐시 서버를 배치할 수 있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 및 서버 관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nd a server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in which a cache server can be placed in consideration of a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nodes.

본 발명의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에서 서버를 관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 또는 주변 노드들과의 협력 관계를 고려하여 각 노드들의 캐시(cache)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된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이용해 캐시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aging a server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Calculating a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of each node in consideration of the 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r peripheral nodes, and determining the node to which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using the calculated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를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기반으로 홉 카운트(hop count)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eiving the network information may include receiving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of an area in which the server is to be located and calculating hop cou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는, 노드 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 및 상기 홉 카운트 정보를 이용해서 산출될 수 있다.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may be calculated using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requesting content for each node and the hop count information.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에서 상기 캐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step may include calculating the casser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at all nodes present in the network.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가 높은 노드에 우선적으로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to preferentially place a cache server on a node with a high cache server placement factor.

본 발명의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에서 서버를 관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서버의 추가 배치에 따른 비용 또는 콘텐츠의 전송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된 상기 비용을 이용해 캐시(cache)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aging a server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comprising the steps of: checking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Calculating a cost according to the placement or the cost of transferring the content, and determining the node to which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using the calculated cost.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노드 간의 홉 카운트(hop count) 정보를 산출하거나, 각 노드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rming may include calculating hop count information between the nodes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or checking the number of requests of the user terminals of each node.

상기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홉 카운트 정보를 이용해 캐시 서버를 배치할 때 발생되는 분산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홉 카운트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를 이용해 서버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를 전달할 때 발생되는 전송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st may include calculating a distribution cost generated when the cache server is arranged using the hop cou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between the servers using the hop count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requests of the user terminal, And calculating a transmission cost incurred when the content is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전송 비용은,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 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캐시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이 원본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ost may be the same as in the case where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associated cache server,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cache server in cooperation with the associated cache server, or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source server And may include any one of them.

상기 결정된 노드에 배치된 캐시 서버에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되, 전송 비용이 낮은 콘텐츠부터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cache server disposed at the determined node, and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having a low transmission cost.

본 발명의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캐시(cache)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거나, 캐시 서버 배치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는 산출부, 그리고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 또는 상기 비용을 이용해 캐시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erver management apparatus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network information of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a cache server batch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cache server batch coefficient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or the cost to determine a node to which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상기 산출부는, 노드간 홉 카운트(hop count) 및 각 노드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를 이용해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는 계수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unit may include a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that calculates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using a hop count between nodes and a request number of a user terminal of each node.

상기 계수 산출부는, 노드간 홉 카운트(hop count)에 반비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수에 비례하여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efficient calculator may calculate the cache server batch coefficient in proportion to a hop count between nodes an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requests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산출부는, 캐시 서버를 배치할 때 발생되는 분산 비용을 산출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된 캐시 서버에서 콘텐츠를 전달할 때 발생되는 전송 비용을 산출하는 비용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st calculating unit that calculates a distribution cost generated when the cache server is disposed or a transmission cost generated when the content is delivered from the further arranged cache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가 높은 노드에 우선적으로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o preferentially arrange the cache server in the node having the high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가 많고, 주변 노드들과의 홉 카운트가 적은 노드에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ache server to be disposed in a node having a high number of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mall hop count from neighboring node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와 홉 카운트를 고려해서 캐시 서버를 배치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che server can be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a number of requests and a hop count of a user terminal, thereby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vision.

도 1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이 연계된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캐시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또 다른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원본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들의 캐서 서버 배치 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terminal receives content from an associated cache server.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eiving content from another cache server in cooperation with a cache server.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eiving contents from an original server.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sser server placement coefficients of nodes for a content delivery network.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이제 도 1 내지 도 8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 및 서버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nd a server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ent delivery network.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10)에는 콘텐츠 원본을 저장한 원본 서버(12)가 존재하고, 사용자 단말(20)에게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캐시 서버(14)가 존재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10 includes a source server 12 storing a content source, a plurality of cache servers 14) exists.

그리고,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는 캐시 서버(14) 사이의 협력 관계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지연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 캐시 서버(14)를 포설(deployment)함에 있어서 캐시 서버간 협력을 고려한다. And,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can greatly reduce the delay for the content service through the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ache servers 14. Thu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cooperation between cache servers in deploying the cache server 14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즉,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장치(100)는 캐시 서버가 포설될 노드의 사용자 요청 수 및 주변 노드와의 관계를 반영한 캐시 서버를 배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That is,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 cache server that reflects the number of user requests of a node to which a cache server is to be installed and a relationship with a neighboring node is arranged.

따라서 원본 서버가 서비스를 처리하는 경우를 최대한 줄이고, 캐시 서버간 협력을 통해 특정 캐시 서버가 콘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해당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주변 캐시 서버로부터 얻어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협력을 하지 않을 때와 대비해서 캐시 서버간 협력은 더 많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을 캐시 서버들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 of the source server as much as possible and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user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the cache servers, even when the specific cache server does not have the content, from the neighboring cache server having the content. Thus, as opposed to not cooperating, cooperation between cache servers allows the cache servers to handle more user terminal requests.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때, 서버 관리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only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necessary for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에서 캐시(cache) 서버들의 협력 관계를 고려하여 캐시 서버를 추가하거나, 비용을 고려해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장치(100)는 수신부(110), 산출부(120), 결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a cache server in consideration of cooperation relationships of cache servers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And transmits the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110, a calculating unit 120, a determining unit 130, and a controlling unit 140.

수신부(110)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110)는 서버를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40)가 이를 통해 홉 카운트(hop count) 정보를 파악한다.Th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Th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server is to be placed, and the controller 140 grasps the hop count information.

수신부(110)는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노드 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를 파악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he user terminals requesting contents for each node from the received network information, and may provide the control unit 140 with the number of the user terminals.

산출부(120)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캐시(cache)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거나, 캐시 서버 배치에 따른 비용을 산출한다. 여기서, 캐시 서버 배치 계수는 캐시 서버를 배치하고자 하는 경향을 수치로 나타낸 값으로서, 특정 노드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가 많거나, 노드 간의 홉 카운트가 작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낸다.The calculation unit 120 calculates a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or calculates a cost based on the placement of the cache server. Here,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is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a tendency to place the cache server.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indicates a higher value as the number of requests from a user terminal in a specific node or the hop count between nodes is smaller.

그리고, 산출부(12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비용 산출부(122) 및 계수 산출부(124)를 포함한다.The calculating unit 120 includes a cost calculating unit 122 and a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1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비용 산출부(122)는 캐시 서버를 배치할 때 발생되는 분산 비용(Dissemination cost)을 산출하거나, 배치된 캐시 서버에서 콘텐츠를 전달할 때 발생되는 전송 비용(Transmission cost)을 산출한다.The cost calculation unit 122 calculates a dissemination cost generated when the cache server is disposed or calculates a transmission cost generated when the content is delivered from the arranged cache servers.

이때, 캐시 서버를 추가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발생되는 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목적함수(P)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At this time, the objective function P for optimizing the cost generated by additionally arranging the cache server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1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1

여기서, N은 노드의 집합, K는 콘텐츠의 집합, Sj는 j번째 캐시 노드의 총 저장 크기이며, λi는 i번째 노드에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수이다. 그리고, pik는 사용자 단말이 i번째 노드에서 k번째 콘텐츠를 요청할 확률이며, bk는 k번째 콘텐츠의 크기이고, cij는 노드 j에서 노드 i까지 콘텐츠를 전달하는 홉 카운트 비용을 나타낸다. Here, N is a set of nodes, K is a set of contents, S j is a total storage size of the jth cache node, and λ i is a request number of the user terminal in the i th node. P ik is the probability that the user terminal will request the k th content in the ith node, b k is the size of the k th content, and c ij is the hop count cost for delivering the content from node j to node i.

또한, cj0은 원본 서버로부터 j번째 캐시 노드까지 콘텐츠를 전달하는 홉 카운트 비용이며, T는 캐시 노드의 허용 가능한 수이고, Uj는 j번째 캐시 노드가 제공 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서비스들의 수를 나타낸다.C j0 is the hop count cos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the source server to the jth cache node, T is the allowable number of cache nodes, Uj is the number of services per unit time that the jth cache node can provide .

분산 비용은 캐시 서버를 포설할 때 소모되는 비용이며, 특정 노드에 캐시 서버가 배치된다는 것은 캐시 서버에 저장될 콘텐츠들을 원본 서버부터 캐시 서버가 배치될 노드까지 홉 카운트 코스트를 소모하여 전달함을 의미한다.The distribution cost is the cost of installing the cache server. The placement of the cache server in a specific node means that the contents to be stored in the cache server are consumed by consuming the hop count cost from the source server to the node where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do.

그리고, 전송 비용은 사용자 단말에게 콘텐츠를 전달할 때 발생하는 홉 카운트 비용이다. 이러한, 전송 비용은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 받는 경우(local),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캐시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경우(Cooperation) 또는 사용자 단말이 원본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경우(origi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And, the transmission cost is the hop count cost that occurs when the content is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This transmission cost may be related to the case where the user terminal receives content from the associated cache server (local),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cache server in cooperation with the associated cache server (Cooperation) Or the origin of the content.

도 3은 사용자 단말(20)이 연계된 캐시 서버(14)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캐시 서버(14a)와 협력 관계에 있는 또 다른 캐시 서버(14b)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원본 서버(12)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terminal 20 receives contents from an associated cache server 14 and FIG. 4 shows an example of contents (contents) from another cache server 14b cooperating with the cache server 14a.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eiving content from the source server 12. As shown in FIG.

계수 산출부(124)는 노드간 홉 카운트 및 각 노드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를 이용해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한다. 이때, 캐시 서버 배치 계수(ρj)는 다음의 수학식 2에서와 같이 노드간 홉 카운트에 반비례하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수에 비례한다.The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124 calculates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using the inter-node hop count and the number of requests of the user terminal of each node. At this time,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J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op count between node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and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2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3
은 노드의 집합이고,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4
는 노드 j에서의 요청 수이며,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5
는 노드 i에서 노드 j까지의 홉카운트 이다.here,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3
Is a set of nodes,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4
Is the number of requests at node j,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5
Is the hop count from node i to node j.

따라서, 캐시 서버 배치 계수(ρj)는 특정 노드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가 많거나, 노드 간의 홉 카운트가 적어 주변 노드들과 가까이 모여 있을 수록 높은 값을 나타낸다.Therefore,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ρ j ) shows a higher value as the number of requests of the user terminal at a specific node is small or the hop count between nodes is small, so that the cache server deployment coefficient is closer to neighboring nodes.

결정부(130)는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이용해 캐시 서버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노드를 결정하거나, 캐시 서버의 추가에 따른 각종 비용을 고려해 캐시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unit 130 may determine a node to which the cache server is additionally arranged using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or may determine a node to which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considering various costs associated with addition of the cache server.

제어부(140)는 결정부(130)가 캐시 서버의 추가 배치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하고, 추가로 배치된 캐시 서버에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캐시 서버 배치 계수가 높은 노드에 우선적으로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etermination unit 13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che server is additionally disposed, and controls the content to be stored in the cache serv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o preferentially arrange the cache server in the node having the high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가 많고, 주변 노드들과의 홉 카운트가 적은 노드에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cache server to be disposed in a node having a large number of user terminals and a small hop count with neighboring nodes.

이제 도 6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가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해 서버를 추가하도록 관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now to FIG. 6, a process for managing a server management device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alculate a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and add a ser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5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following flowchar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conjunction with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to 5.

도 6을 참조하면, 서버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홉 카운트(hop count) 정보를 산출한다(S100, S110).Referring to FIG. 6,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receives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and calculates hop cou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network information (S100, S110).

이때, 서버 관리 장치(100)는 서버를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기반으로 홉 카운트(hop count) 정보를 산출한다. At this time,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receives the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of the region in which the server is to be located, and calculates the hop cou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그리고, 서버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 및 홉 카운트 정보를 이용해 각 노드들의 캐시(cache)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한다(S120).Then,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of each node using the number of requests and the hop 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120).

여기서, 서버 관리 장치(100)는 노드 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 및 상기 홉 카운트 정보를 이용해서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고 캐시 서버로 동작 가능한 모든 노드에 대해서 산출한다.Here,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a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by using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requesting content for each node and the hop count information, and for each node that exists on the network and is operable as a cache server .

또한, 서버 관리 장치(100)는 산출된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이용해 캐시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하며, 캐시 서버 배치 계수가 높은 노드에 우선적으로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결정한다(S130).In addition,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node to which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using the calculated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and determines to place the cache server preferentially in the node having the high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S130).

도 7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들의 캐서 서버 배치 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sser server placement coefficients of nodes for a content delivery network.

도 7을 참조하면, 서버 관리 장치(100)는 각각의 노드들이 캐시 서버 배치 계수(ρ1 내지 ρ9)를 산출한다. 그리고, 특정 노드(30)의 캐시 서버 배치 계수(ρ5)가 가장 큰 경우에, 서버 관리 장치(100)는 해당 특정 노드(30)에 캐시 서버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도록 결정한다. 따라서, 서버 관리 장치(100)는 높은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갖는 노드부터 캐시 서버를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s rho 1 to rho 9 by each of the nodes. When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5 of the specific node 30 is the largest,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determines to preferentially arrange the cache server in the specific node 30. Therefore,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install a cache server from a node having a high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이제 도 8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가 비용을 고려해 서버를 추가하도록 관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now to FIG. 8, a process for managing a server management apparatus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d a server in consideration of cos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5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following flowchar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conjunction with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to 5.

우선, 서버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다(S200).First,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receives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S200).

그리고, 서버 관리 장치(100)는 노드 간의 홉 카운트(hop count) 정보를 이용해 캐시 서버를 배치할 때 발생되는 분산 비용을 산출하고, 홉 카운트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를 이용해 서버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를 전달할 때 발생되는 전송 비용을 산출한다(S210, S220).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distribution cost generated when the cache server is arranged using the hop count information between the nodes and uses the hop count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 to calculate the content (S210, S220). The transmission cost is calculated when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전송 비용은,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 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캐시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이 원본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Here, the transmission cost may be a value obtained when the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cache server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associated,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cache server cooperating with the associated cache server, or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source server Or the like.

그리고, 서버 관리 장치(100)는 캐시 서버배치 계수를 이용해 캐시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한다(S230).Then,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determines a node where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using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S230).

그리고 나서, 캐시 서버가 해당 위치에 배치되고 나면, 서버 관리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배치된 배치된 캐시 서버에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이때 전송 비용이 낮은 콘텐츠부터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240).Then, when the cache server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controls to store the content in the arranged cache server, and controls to store contents having a low transmission cost at step S240.

서버 관리 장치(100)는 포설한 캐시 서버에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해 각 콘텐츠가 캐시 서버에 저장되었을 때의 전송 비용(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6
)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전송 비용(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7
)이 제일 낮은 콘텐츠부터 캐시 서버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100 stores the transmission cost when each content is stored in the cache server to store the content in the installed cache server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6
) Is calculated, and the transmission cost (
Figure 112014006753066-pat00007
) From the lowest content to the cache serv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장치 및 서버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와 주변 노드와의 관계를 고려해서 캐시 서버를 배치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serv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rrangement of the cache server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ing nodes, And the lik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장치는 캐시 서버를 추가할 노드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수와 주변 노드와의 홉 카운트를 함께 고려한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사용한다.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ache server batch coefficient that considers both the number of users and the hop count of neighboring nodes in selecting a node to which a cache server is to be added.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관리 장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 캐시 서버간 협력을 고려해 캐시 서버를 배치하고, 각종 비용을 고려해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계산 복잡도가 낮아 실제 환경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a cache server in consideration of cooperation between cache servers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and control contents to be stor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sts.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in the environ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10: 수신부 120: 산출부
130: 결정부 140: 제어부
110: Receiving unit 120:
130: Decision section 140:

Claims (16)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에서 서버를 관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 또는 주변 노드들과의 협력 관계를 고려하여 각 노드들의 캐시(cache)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된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이용해 캐시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노드간 홉 카운트(hop count)에 반비례하고, 각 노드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에 비례하여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In a method for managing a server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Receiving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Calculating a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of each nod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 or 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nodes from the network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node to which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using the calculated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 RTI >
Wherein the calculating step comprises: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a hop count between nodes and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f each node
A server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제1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를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기반으로 홉 카운트(hop count)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the network information comprises:
Receiving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of an area in which the server is to be located, and calculating hop cou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Wherein the server management method comprises:
제2항에서,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는,
노드 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 및 상기 홉 카운트 정보를 이용해서 산출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comprises:
The number of the user terminals requesting content for each node, and the hop count information.
제3항에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에서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lculating step comprises:
Computing the cache server placement factor at every node in the network
Wherein the server management method comprises:
제4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가 높은 노드에 우선적으로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Determining to place a cache server preferentially on a node having a higher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Wherein the server management method comprises: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에서 서버를 관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노드 간의 홉 카운트(hop count) 정보를 산출하거나, 각 노드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서버의 추가 배치에 따른 비용 또는 콘텐츠의 전송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된 상기 비용을 이용해 캐시(cache)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홉 카운트 정보를 이용해 캐시 서버를 배치할 때 발생되는 분산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홉 카운트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를 이용해 서버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를 전달할 때 발생되는 전송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In a method for managing a server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Confirming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etwork, calculating hop count information between nodes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or confirming the number of requests of user terminals of each node,
Calculating a cost according to the additional arrangement of the server or a cost of transmitting the content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node to which a cache server is to be allocated using the calculated cost
/ RTI >
Wherein the calculating the cost comprises:
Calculating a distribution cost generated when the cache server is arranged using the hop count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 transmission cost generated when the content is delivered between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using the hop count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requests of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server management method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6항에서,
상기 전송 비용은,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 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캐시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캐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이 원본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mission cost,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associated cache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cache server in cooperation with the associated cache server, or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source server A server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제9항에서,
상기 결정된 노드에 배치된 캐시 서버에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되, 전송 비용이 낮은 콘텐츠부터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cache server disposed at the determined no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캐시(cache)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거나, 캐시 서버 배치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는 산출부, 그리고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 또는 상기 비용을 이용해 캐시 서버가 배치될 노드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부는,
노드간 홉 카운트(hop count) 및 각 노드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를 이용해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는 계수 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계수 산출부는,
노드간 홉 카운트(hop count)에 반비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수에 비례하여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를 산출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network information of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by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or calculating a cost based on the placement of the cache server,
A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or the cost to determine a node to which the cache server is to be placed,
/ RTI >
The calculating unit calculates,
A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using a hop count between nodes and a request number of a user terminal of each node,
Lt; / RTI >
Wherein the coefficient calculating section calculates,
The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a hop count between nodes and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quests of the user terminal
A server management device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서,
상기 산출부는,
캐시 서버를 배치할 때 발생되는 분산 비용을 산출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된 캐시 서버에서 콘텐츠를 전달할 때 발생되는 전송 비용을 산출하는 비용 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alculating unit calculates,
A cos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distribution cost generated when a cache server is disposed or a transmission cost generated when a content is delivered from a further arranged cache server,
The server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제1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시 서버 배치 계수가 높은 노드에 우선적으로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rein the cache server preferentially places the cache server in a node having a higher cache server placement coefficient.
제1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수가 많고, 주변 노드들과의 홉 카운트가 적은 노드에 캐시 서버를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관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the cache server is arranged in a node having a large number of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mall hop count with neighboring nodes.
KR20140007848A 2014-01-22 2014-01-22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erver in content delivery network KR101508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848A KR101508349B1 (en) 2014-01-22 2014-01-22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erver in content delivery network
PCT/KR2014/000806 WO2015111782A1 (en) 2014-01-22 2014-01-28 Server management device and server management method in content delivery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848A KR101508349B1 (en) 2014-01-22 2014-01-22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erver in content delivery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349B1 true KR101508349B1 (en) 2015-04-07

Family

ID=5303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848A KR101508349B1 (en) 2014-01-22 2014-01-22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erver in content delivery networ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8349B1 (en)
WO (1) WO2015111782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776A1 (en) * 2019-10-29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087218A (en) * 2021-12-09 2023-06-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aching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in content-centric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7107A (en) 2008-08-29 2010-03-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erver disposition method, server disposition method in carrier type cdn, server disposition system, carrier type cdn system, and program
KR20130095202A (en) * 2012-02-17 2013-08-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cache considering network cos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199B2 (en) * 2002-03-29 2006-1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ommunication method considering cost and terminal executing the same
JP2012247877A (en) * 2011-05-26 2012-12-13 Hitachi Lt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arrangement selection method, and distribution cente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7107A (en) 2008-08-29 2010-03-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erver disposition method, server disposition method in carrier type cdn, server disposition system, carrier type cdn system, and program
KR20130095202A (en) * 2012-02-17 2013-08-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cache considering network cos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776A1 (en) * 2019-10-29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087218A (en) * 2021-12-09 2023-06-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aching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in content-centric network
KR102602371B1 (en) * 2021-12-09 2023-11-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aching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in content-centric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1782A1 (en)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49130B (en) Service deployment and task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edge computing
US20190182340A1 (en) Selecting a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EP3108644B1 (en) Content delivery network architecture with edge proxy
US8880636B2 (en) Caching in mobile networks
US20160142477A1 (en) Connection control device,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40237071A1 (en) Caching in Mobile Networks
CN113472852B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returning source of CDN node and storage medium
JPWO2004084085A1 (en) Load balancing system by inter-site cooperation
JP2018156606A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40143427A1 (en) Providing Resources in a Cloud
CN110830565A (en) Resource downloading method, device,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508349B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erver in content delivery network
JP4714661B2 (en) BAND CONTROL SYSTEM, BAND CONTROL METHOD, AND BAND CONTROL PROGRAM
US20050144280A1 (en) Load distribution system by inter-site cooperation
CN109951540B (en) Data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content timeliness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21000694A1 (en) Method for deploying services and scheduling apparatus
CN112737806B (en) Network traffic migration method and device
JP5351839B2 (en) Order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network system
CN105516223A (en) Virtual storage system, realization method and server thereof, and virtual machine monitor
US105545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801146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importance degrees for resources
GB0612529D0 (en) Distributed streaming server
US9678881B2 (en) Data distribution device and data distribution method
CN111756652A (en) Message transmission and message queu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2000256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