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721B1 - 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 - Google Patents

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721B1
KR101504721B1 KR1020130097903A KR20130097903A KR101504721B1 KR 101504721 B1 KR101504721 B1 KR 101504721B1 KR 1020130097903 A KR1020130097903 A KR 1020130097903A KR 20130097903 A KR20130097903 A KR 20130097903A KR 101504721 B1 KR101504721 B1 KR 101504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signal
unit
auxiliary devic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0874A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13009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721B1/en
Publication of KR2015002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9Aspects relating to automatic logging of sound environment paramete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hearing aid during use, e.g. histogram logging, or of user selected programs or settings in the hearing aid, e.g. usage lo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보청기로 양쪽 귀에 대한 보청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마이크로폰(12a), 디지털 신호 처리기(11a), 동기화 유닛(14a) 및 전송 유닛(15a)으로 이루어진 보청기 모듈(10a); 및 상기 전송 유닛(15a)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1b) 및 수신 유닛(11b)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리시버(13b)로 이루어진 보조 기기(10b)를 포함하고, 상기 보청기 모듈(10a) 및 보조 기기(10b)는 동기화 유닛(14a)에 의하여 동기화가 되고 그리고 전송 거리에 따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신호를 사용자의 서로 다른 귀로 전달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aid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such that a hearing aid function for both ears is enabled by a single hearing aid. The hearing aid comprises a hearing aid module 10a consisting of a microphone 12a, a digital signal processor 11a, a synchronization unit 14a and a transmission unit 15a; And an auxiliary device 10b including a receiving unit 11b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15a and a receiver 13b f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11b to a user,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are synchronized by the synchronization unit 14a and transmit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istance to the different ears of the user.

Description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 "

본 발명은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보청기로 양쪽 귀에 대한 보청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aid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such that a hearing aid function for both ears is enabled by a single hearing aid.

일반적으로 난청은 양쪽 귀에 동시에 발생하므로 양쪽 귀에 보청기가 사용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한쪽 귀 또는 난청이 심한 귀에 대해서만 보청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소리의 방향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게 되고, 청취력이 감소되고, 소음 환경에서 청력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고 가청 범위가 좁아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In general, hearing aids occur in both ears at the same time, so hearing aids are used in both ears, but hearing aids are used only for one ear or for a hearing-impaired ear for a variety of reasons.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know the direction of the sound, the listening power is reduced, the hearing ability can be remarkably reduced in a noisy environment, and the audible range can be narrowed.

양이 보청 기술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4-0066765호 ‘지향성 조절을 향상시킨 양이 귓속형 디지털 보청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한쪽 귀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의 양이에 귓속형 디지털 보청기를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보청기의 주 지향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디지털 보청기의 시간 지연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한쪽 귀 청각 장애자의 보청기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향성 조절을 향상시킨 양이 귓속형 디지털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Prior art relating to hearing aid technolog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66765, entitled " Amount of ear-type digital hearing aid which improves directivity control ".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can adjust the main directivity of the hearing aid while adjusting the time delay parameter of the digital hearing aid while wearing the ear-type digital hearing aid on the amount of the one ear hearing-impaired person, Ear type digital hearing aid which improves directivity control so that it can be easily worn.

양이 보청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1209126호 ‘액티브 지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선된 무선 양이 보청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제1 마이크로폰, 증폭기 및 무선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1 보청기; 제2 마이크로폰, 증폭기, 무선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전송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2 마이크로폰에서 획득한 신호와 동기화를 하기 위한 액티브 지연 회로와, 상기 지연된 신호를 동기화하는 뉴럴 네트워크 회로와, 상기 동기화 신호를 음신신호로 전환하는 스피커를 가진 무선 양이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As a prior art related to a hearing aid, Patent Registration No. 1209126 entitled " Active Delay Method and Improved Radio Amplitude Hearing Aid Using It. &Quot; The prior art includes a first hearing aid comprising a first microphone, an amplifier and a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 active delay circuit for synchronizing the received signal with a signal obtained from the second microphone; and an active delay circuit for synchronizing the received signal with a signal obtained from the second microphone, A wireless amount with a neural network circuit for synchronizing a signal and a speaker for conver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to an incoming signal is disclosed for a hearing aid.

상기 선행기술은 양쪽 귀에 보청기가 착용된 상태에서 소리 신호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방법에 기초하고 하나의 보청기로 양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hearing aid that is based on a method for effective transmission of a sound signal in a state where a hearing aid is worn on both ears and can realize the function of a volume with one hearing aid.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보청기로 양이 기능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진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such that a single hearing aid can realize the function of the hearing aid.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는 마이크로폰, 디지털 신호 처리기, 동기화 유닛 및 전송 유닛으로 이루어진 보청기 모듈; 및 상기 전송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수신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리시버로 이루어진 보조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청기 모듈 및 보조 기기는 동기화 유닛에 의하여 동기화가 되고 그리고 전송 거리에 따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신호를 사용자의 서로 다른 귀로 전달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ring aid whose amount has a hearing aid function includes a hearing aid module consisting of a microphone,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synchroniz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And an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nd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to the user, wherein the hearing aid module and the auxiliary device are synchronized by the synchronizing unit, And transmits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to the different ears of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청기 모듈은 방향 탐지 유닛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module further comprises a direction detec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조 기기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equipment further comprises a microph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청기에서 요구되는 기능이 실현되도록 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작동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보청기 내에 장착되어 일련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일련의 동작은 서로 다른 귀에 착용된 보청을 위한 기기를 동기화를 하는 단계; 전달된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의 적어도 일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신호가 일치하면 수신된 지연 시간에 따라 신호를 처리하여 지연 시간을 가진 신호를 생성하고, 만약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추산 거리에 따라 지연 시간을 가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지연 시간을 가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um for stor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a hardware or software that enables a function required by a hearing aid to be realized and for being mounted in a hearing aid to cause a series of operations to be executed, Synchronizing devices for hearing worn on different ears; Receiving a transmitted voice or acoustic signal and verifying whe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ignal is matched; Processing the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elay time to generate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when the signals match;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according to the estimated distance if the signals do not match; And transmitting the signal with the generated delay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추산 거리는 전달된 음성 또는 음향 신호의 방향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timated distan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ed voice or sound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하나의 보청기로 양이 기능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감소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하나의 보청기만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양이 보청기에서 발생되는 양이 기능의 조절에 따른 불편함에 감소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하나의 보청기에서 양이 기능이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장치 전체의 구성이 간단해지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economic burden on the user of the hearing aid can be reduced by making it possible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hearing aid with one hearing aid.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the hearing aid can be reduced in the inconvenience due to the control of the function by using only one hearing aid. In addition,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device can be simplified by allowing a single hearing aid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quantity in software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전달되는 소리 신호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n operating structure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different directions in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n operating structure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는 마이크로폰(12a), 디지털 신호 처리기(11a), 동기화 유닛(14a) 및 전송 유닛(15a)으로 이루어진 보청기 모듈(10a); 및 상기 전송 유닛(15a)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1b) 및 수신 유닛(11b)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리시버(13b)로 이루어진 보조 기기(10b)를 포함하고, 상기 보청기 모듈(10a) 및 보조 기기(10b)는 동기화 유닛(14a)에 의하여 동기화가 되고 그리고 전송 거리에 따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신호를 사용자의 서로 다른 귀로 전달한다. 1, a hear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ring aid module 10a composed of a microphone 12a, a digital signal processor 11a, a synchronization unit 14a and a transmission unit 15a; And an auxiliary device 10b including a receiving unit 11b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15a and a receiver 13b f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11b to a user,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are synchronized by the synchronization unit 14a and transmit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istance to the different ears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는 고막형(Compact In the Canal), 외이도형(In the Canal) 또는 외이형(In the Ear)과 같은 귓속형 보청기 및 소형 귀걸이형(Receiver In the Canal) 또는 귀걸이 형(Behind the Ear)과 같은 귀걸이형 보청기에 모두 적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에서 보청기 모듈(10a)와 보조 기기(10b) 사이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r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an ear-type hearing aid such as a compact in the canal, an in-canal or an in-ear, a receiver in the canal, It can be applied to ear-type hearing aids such as Behind the Ear. Also, in the hear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of signals or data between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ancillary devices 10b may be performed by wire or wireless.

보청기 모듈(10a)이 하나의 귀에 착용이 되고 보조 기기(10b)가 나머지 귀에 착용이 될 수 있다. 보청기 모듈(10a)이 난청이 심하지 않은 귀에 착용될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보조 기기(10b)가 반드시 보청기의 외형을 가질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보조 기기(10b)는 이어폰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 기기(10b)의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hearing aid module 10a may be worn on one ear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may be worn on the other ear. Although the hearing aid module 10a can be worn on the ear with less hearing loss,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have the external shape of the hearing aid. For example, the auxiliary device 10b may have an earphone-lik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device 10b.

마이크로폰(12a)은 공지된 보청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1a)는 공지된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디지털 신호 처리기(11a)는 추가로 방향 탐지 유닛(111a) 또는 신호 분리 유닛(112a)을 가질 수 있다. 방향 탐지 유닛(111a)은 소리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을 탐지하고 이를 기초로 지연 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방향 탐지 유닛(111a)은 아래에서 설명이 되는 것처럼 음원으로부터 양쪽 귀에 이르는 정확한 거리를 탐지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평균적인 거리에 기초하여 거리 차를 산출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a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e known hearing aid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a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s the known device. However,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a may further have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111a or the signal separation unit 112a.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11a det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and calculates a delay time based on the detected direction.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111a can detect the correct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to both ears as described below, or can calculate the distance difference based on a predetermined average distance.

거리 차가 산출되면 신호 분리 유닛(112a)에 의하여 마이크로폰(12a)을 통하여 보청기 모듈(10a)에 설치된 리시버(13b)와 보조 기기(10b)에 설치된 리시버로 전송된 신호가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신호 분리 유닛(112a)이 별도로 설치되지 않고 전송 경로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가 각각의 리시버로 전송될 수 있다.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is calculated, the signal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13b provided in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receiver installed in the auxiliary device 10b can be separated by the signal separation unit 112a through the microphone 12a. However, a signal processed by the transmission path can be transmitted to each receiver without separately installing the signal separation unit 112a.

보조 기기(10b)의 리시버로 전송되는 신호는 시간 지연이 될 필요가 있다. 시간 지연은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방향에 따라 양의 지연, 제로 지연 및 음의 지연을 가질 수 있다. 음의 지연은 보청기 모듈(10a)의 리시버로 전송되는 신호가 지연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지연 유닛(13a)은 지연 회로가 되거나 또는 프로그램 방식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시간 지연이 처리될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er of the auxiliary device 10b needs to be time delayed. The time delay may have a positive delay, a zero delay and a negative dela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The negative delay means that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er of the hearing aid module 10a is delayed. The delay unit 13a may be a delay circuit or programmable. Specifically, time delay can be handled by software.

시간 지연이 된 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보청기 모듈(10a)과 보조 기기(10b)는 동기화가 될 필요가 있다. 동기화 유닛(14a)에 의하여 보청기 모듈(10a)과 보조 기기(10b)가 동기화가 될 수 있고 동기화는 미리 되거나 또는 일정 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need to be synchronized in order to transmit the signal delayed by time.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can be synchronized by the synchronization unit 14a and the synchronization can be performed beforehand or at regular intervals.

시간 지연이 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 유닛(15a)에 의하여 보조 기기(10b)로 전송될 수 있다. 보조 기기(10b)는 마이크로폰(12b)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필터(121b)를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폰(12b)을 가지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실질적으로 마이크로폰(12b)을 통하여 유입된 신호는 리시버(13b)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필터(121b)는 마이크로폰(121b)을 통하여 유입된 소리로부터 일정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수신 유닛(11b)은 전송 유닛(15a)을 통하여 전송된 신호를 리시버(13b)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time-delayed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evice 10b by the transmission unit 15a by wire or wirelessly. The auxiliary device 10b may or may not have the microphone 12b. And may have a filter 121b as required. Even if the microphone 12b is provided, a signal substantially introduced through the microphone 12b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13b. The filter 121b may have a function of block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from the sound introduced through the microphone 121b. The receiving unit 11b may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ing unit 15a to the receiver 13b.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기기(10b)는 수신 유닛(11b) 및 리시버(13b)로 이루어지거나, 마이크로폰(12b)을 추가로 가지거나 또는 필터(121b)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보조 기기(10b)는 별도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 또는 증폭기와 같은 것을 가지지 않는다. 보조 기기(10b)는 기본적으로 보청기 모듈(10a)에서 처리된 신호를 시간 지연이 된 상태로 리시버(13b)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조 기기(10b)는 보청기(10)의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하면서 양이 기능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evice 10b may be composed of the receiving unit 11b and the receiver 13b, or may further have the microphone 12b or further have the filter 121b. However, the auxiliary device 10b does not have a separate digital signal processor or amplifier. The auxiliary device 10b basically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gnal processed by the hearing aid module 10a to the receiver 13b in a time delayed state. The auxiliary device 10b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amount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hearing aid.

아래에서 이와 같은 양이 기능이 실현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이 된다. An embodiment in which such an amount of function is realize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보청기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전달되는 소리 신호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different directions in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음원(S)으로부터 발생된 음이 보청기 모듈(10a)의 마이크로폰(21a)과 보조 기기(10b)의 마이크로폰(21b)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보조 기기에 마이크로폰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 수신기에 도달될 수 있다. 필터에 의하여 수신기에 도달된 음으로부터 일정 대역의 소리 예를 들어 난청 대역에 속하는 음은 차단이 될 수 있다. 보청기 모듈(10a)과 보조 기기(10b)는 미리 동기화가 되고 보조 기기의 마이크로폰 또는 수신기로 전달된 소리의 일부 또는 앞부분의 소리가 디지털 신호 처리기(23a)로 전달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3a)는 보조 기기(10b)로부터 전달된 소리의 일부로부터 동일 음원에서 발생된 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지연 시간을 산출한다. 지연 시간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방향 탐지 유닛에 의하여 산출하거나 또는 보조 기기(10b)로부터 음의 일부가 전달된 시간을 기초로 산정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3a)는 양쪽 귀에 대한 난청 대역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양쪽 귀 각각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달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의 귀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에 따라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처리된 신호는 분리 유닛(24a)에 의하여 분리가 될 수 있다. 분리 유닛(24a)은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전송 경로와 같은 신호가 될 수 있고 반드시 별도의 회로 또는 소자 형태가 될 필요가 없다. 지연 회로 또는 프로그램 형태와 같은 지연 유닛(25)에 의하여 분리된 신호의 하나에 대하여 시간 지연이 주어지고 하나의 신호는 보조 기기의 수신기(24b)로 전달이 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신호는 보청기 모듈(10a)의 제1 리시버(26a)로 전송이 될 수 있다. 2,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S can be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21a of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microphone 21b of the auxiliary device 10b, respectively. If the microphone is not installed in the auxiliary equipment, it may reach the receiver. The sound of a certain band, for example, the sound belonging to the hearing loss band, may be blocked from the sound reached by the filter to the receiver.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are synchronized in advance and a part or the sound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or receiver of the auxiliary de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3a.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3a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ound is generated from the same sound source from a part of sound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device 10b, and calculates a delay time. The delay time may be calculat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estimated based on the time at which a portion of the sound is delivered from auxiliary equipment 10b.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3a has information on the hearing band for both ears and has fitting parameters for both ears. Then, each transmitted voice signal is separat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a fitting parameter for each ear. And the processed signal can be separated by the separation unit 24a. The separation unit 24a may be, for example, a signal such as a different transmission path, and need not necessarily be a separate circuit or device form. A time delay is given for one of the signals separated by the delay unit 25 such as a delay circuit or a program type and on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4b of the ancillary equipment and the other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module 10a to the first receiver 26a.

수신기(24b)에 의하여 전달된 신호는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음성 신호 전체가 되거나 또는 난청 대역에 속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음성 신호 전체가 되는 경우 수신된 신호는 제2 리시버(26b)로 전송이 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난청 대역에 속하는 신호만이 수신 유닛(24b)에 의하여 수신이 된다면 조합 유닛(27b)에 의하여 가청 영역의 주파수 대역의 소리와 합쳐지게 된다. 필터에 의하여 미리 난청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의 소리는 제거되어 있고 그리고 마이크로폰(21b)을 통하여 유입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는 조합 유닛(27b)으로 전송이 된다. 조합 유닛(27b)은 수신된 음과 전달된 음을 합성하여 시간 지연 효과가 부여된 형태로 제2 리시버(26b)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보청기 모듈(10a)과 보조 기기(10b)를 이용하여 양이 기능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receiver 24b may be the entire voice signal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or may be a part belonging to the hearing loss band. If the entire voice signal is received, the receive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receiver 26b. On the other hand, if only the signal belonging to the hearing loss band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4b, it is combined with the sound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audible area by the combining unit 27b. The sound of the frequency band belonging to the hearing loss band is removed by the filter in advance and the sound of the audio frequency band introduced through the microphone 21b is transmitted to the combination unit 27b. The combining unit 27b may combine the received sound and the transmitted sound to transmit the synthesized sound to the second receiver 26b in a form in which the time delay effect is give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amount by using on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보조 기기(10b)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마이크로폰(21a)을 통하여 유입된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보청기 모듈(10a)은 보조 기기(10b)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무시하고 탐지된 방향에 따라 거리 차이를 산출하게 된다. 거리 차이는 일반적으로 음원으로부터 거리를 미리 결정하고 그리고 방향에 따라 삼각형을 형성하여 거리 차이를 산출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시간 지연을 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보조 기기(24b)의 수신기(24b)로 마이크로폰(21a)을 통하여 유입된 소리 전체가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된 음성은 별도로 조합 유닛(27b)을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제2 리시버(26b)로 전송될 수 있다.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device 10b does not coincide with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1a, the hearing aid module 10a ignor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device 10b and outputs the dist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tected direction Respectively. Generally, the distance difference is determined by predetermining the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and then forming a triangle according to the direction to calculate the distance difference and then calculate the time delay. In this case, the entire sound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21a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4b of the auxiliary device 24b. Then, the transmitted voic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cond receiver 26b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mbination unit 27b separately.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을 가지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와 같은 기능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보청기에 배치된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하여 읽혀지고 그에 따라 일련의 단계가 실현이 되도록 기록 매체 또는 저장 매체, 소자 또는 회로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위에서 설명이 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실현되는 기능을 위한 단계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고 매체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는 단계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매체는 아래의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진행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a combination of steps having a series of functions, and such functions can be realized in hardware or software form. And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or storage medium, device or circuit, for example, rea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isposed in a hearing aid, such that a series of steps is realized. Such a medium may be in the form of hardware or software, and may be followed by steps for functions realized by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uch a medium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eps that can be realized by the medium are described below. The medium allows some or all of the following steps to proce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보청기 모듈과 보조 기기는 동기화가 될 수 있다(S31). 이후 보청기 모듈과 보조 기기로 음원으로부터 음성 또는 음향이 전달될 수 있다(S32). 전달된 음향은 보청기 모듈 또는 보조 기기로 수신이 될 수 있고(S33), 보조 기기에서 전달된 신호의 일부는 보청기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보청기 모듈은 신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4). 만약 보조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보청기 모듈로 유입된 신호와 일치한다면(S35),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에 따라 지연 시간을 산출하고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S35). 처리된 신호는 분리되고(S36) 어느 하나의 신호에 지연 효과가 부여되어(S37) 보조 기기의 리시버 및 보청기 모듈의 리시버로 전송될 수 있다(S38). Referring to FIG. The hearing aid module and the ancillary equipment can be synchronized (S31). Thereafter, voice or sound can be transmitted from the sound source to the hearing aid module and the auxiliary device (S32). The transmitted sound can be received by the hearing aid module or the auxiliary device (S33), and a part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de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module. The hearing aid module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signals match (S34).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device coincides with the signal input to the hearing aid module (S35), the delay tim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and the signal is processed (S35). The processed signal is separated (S36), and a delay effect is given to any one of the signals (S37)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er of the auxiliary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hearing aid module (S38).

다른 한편으로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NO), 예를 들어 방향 탐지 유닛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음원의 방향을 탐지하게 되고 그리그 미리 결정된 음원의 거리에 기초하여 지연 시간을 산출하게 된다(S341). 미리 결정된 음원의 거리는 실제 음원의 거리가 되거나 또는 추정 거리가 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추정 거리가 결정될 수 있고 추정 거리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음원의 거리에 의하여 지연 시간이 결정되면 그에 따라 신호 처리(S35)가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ignal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NO), the direction of the sound source is detected using, for example, a direction detecting unit, and the delay tim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stance of the predetermined sound source (S341). The distance of the predetermined sound source may be the distance of the actual sound source or the estimated distance. The estimated distance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and the estimated distance can be predetermined. If the delay time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of the predetermined sound source, the signal processing (S35)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실현되는 기능을 다양한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unctions realized by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through various series of step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하나의 보청기로 양이 기능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감소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하나의 보청기만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양이 보청기에서 발생되는 양이 기능의 조절에 따른 불편함에 감소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하나의 보청기에서 양이 기능이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장치 전체의 구성이 간단해지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economic burden on the user of the hearing aid can be reduced by making it possible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hearing aid with one hearing aid.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the hearing aid can be reduced in the inconvenience due to the control of the function by using only one hearing aid. In addition,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device can be simplified by allowing a single hearing aid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quantity in software form.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보청기 10a: 보청기 모듈
10b: 보조 기기 11a: 디지털 신호 처리기
12a, 12b: 마이크로폰 13a: 지연 유닛
14a: 동기화 유닛 13b: 리시버
21a, 21b: 마이크로 폰 23a: 디지털 신호 처리기
24a: 분리 유닛 24b: 수신기
26a, 26b: 리시버 27b: 조합 유닛
111a: 방향 탐지 유닛 112a: 신호 분리 유닛
121b: 필터
10: Hearing aid module 10a: Hearing aid module
10b: auxiliary equipment 11a: digital signal processor
12a, 12b: microphone 13a: delay unit
14a: synchronization unit 13b: receiver
21a and 21b: a microphone 23a: a digital signal processor
24a: separation unit 24b: receiver
26a, 26b: receiver 27b: combination unit
111a: direction detection unit 112a: signal separation unit
121b: filter

Claims (5)

마이크로폰(12a), 디지털 신호 처리기(11a), 동기화 유닛(14a) 및 전송 유닛(15a)으로 이루어진 보청기 모듈(10a); 및
상기 전송 유닛(15a)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1b) 및 수신 유닛(11b)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리시버(13b)로 이루어진 보조 기기(10b)를 포함하고,
상기 보청기 모듈(10a) 및 보조 기기(10b)는 각각 서로 다른 귀에 착용되고, 상기 보청기 모듈(10a)은 보조 기기(10b)와 동기화 유닛(14a)에 의하여 동기화가 되어 음원으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귀에 이르는 전송 거리에 따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신호를 보조 기기(10b)로 전송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A hearing aid module 10a composed of a microphone 12a, a digital signal processor 11a, a synchronization unit 14a and a transmission unit 15a; And
An auxiliary unit 10b including a receiving unit 11b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15a and a receiver 13b f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11b to a user,
The hearing aid module 10a and the auxiliary device 10b are respectively worn on different ears and the hearing aid module 10a is synchronized by the auxiliary device 10b and the synchronization unit 14a, And transmits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istance to the auxiliary device (10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모듈(10a)은 방향 탐지 유닛(111a)을 더 포함하는 보청기.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ring aid module (10a) further comprises a direction detection unit (111a).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조 기기(10b)는 마이크로폰(12b)을 더 포함하는 보청기.The hearing a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device (10b) further comprises a microphone (12b). 보청기에서 요구되는 기능이 실현되도록 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작동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보청기 내에 장착되어 일련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동작은 서로 다른 귀에 착용된 보청을 위한 기기를 동기화를 하는 단계;
서로 다른 귀로 전달된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또는 음향 신호의 적어도 일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로 다른 귀에 착용된 보청을 위한 기기 중 하나에서 상기 전달된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처리하고, 만약 신호가 일치하면 수신된 지연 시간에 따라 신호를 처리하여 지연 시간을 가진 신호를 생성하고, 만약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추산 거리에 따라 지연 시간을 가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신호를 다른 보청을 위한 기기에게 지연 시간을 가진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귀에 착용되는 보청을 위한 기기는 보청기 모듈과 보조기기가 되고, 상기 보조 기기는 보청기 모듈에서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There is provided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at can be rea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that stores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for realizing a function required in a hearing aid and is mounted in a hearing aid to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The series of operations comprising: synchronizing a device for hearing worn on different ears;
Receiving voice or acoustic signals transmitted to different ears to check whether at least a part of the voice or acoustic signals are matched;
Processing the delivered voice or acoustic signal at one of the devices for hearing aids worn on different ears and if the signals match, processing the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elay time to generate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in accordance with the estimated distance if the estimated distance does not match;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ignal to a device for other hearing aid as a signal having a delay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for hearing aids worn on different ears is a hearing aid module and an auxiliary device and the auxiliary device receives signals processed by the hearing aid module.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산 거리는 전달된 음성 또는 음향 신호의 방향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5. The mediu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estimated distance is calculated based on a direction of a transmitted voice or an acoustic signal.
KR1020130097903A 2013-08-19 2013-08-19 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 KR1015047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903A KR101504721B1 (en) 2013-08-19 2013-08-19 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903A KR101504721B1 (en) 2013-08-19 2013-08-19 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874A KR20150020874A (en) 2015-02-27
KR101504721B1 true KR101504721B1 (en) 2015-03-20

Family

ID=5257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903A KR101504721B1 (en) 2013-08-19 2013-08-19 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7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411B1 (en) 2016-10-17 2018-08-10 소리노리닷컴(주) Binaural hearing aid with multi fun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426A (en) * 2011-12-30 2013-08-08 Gn Resound As Hearing aid with signal enhancement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426A (en) * 2011-12-30 2013-08-08 Gn Resound As Hearing aid with signal enhancement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874A (en) 201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8985B1 (en) Binaural hearing device system with binaural active occlusion cancellation
US104033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recognition of a hearing device user's own voice, and hearing aid
US8081787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189804B2 (en) Sound provider adapter to cancel out noise
US9338565B2 (en) Listening system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in an audio stream
US7688991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771905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microphone adapted to be located at or in the ear canal of a user
US20080123866A1 (en) Hearing instrument with acoustic blocker, in-the-ear microphone and speaker
US201100698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rectionality of sound detected by a hearing aid
US8126153B2 (en) Hearing system with partial band signal exchange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180262847A1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wireless receiver of sound
US9253571B2 (en) Hearing apparatus for binaural supply and method for providing a binaural supply
US90312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frequency compression with selective frequency shifting
JP619876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with reduced wind noise with reduced waiting time
EP2826262B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US20150117688A1 (en) Hybrid hearing device
DK2822300T3 (en) Determination of hearing situations with different signal sources
US8116491B2 (en) Method for the dynamic range compression of an audio signal and corresponding hearing device
KR101504721B1 (en) Hearing Aid with Binaural Function
CN217064005U (en) Hearing device
JP4774475B2 (en) hearing aid
US8824668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telephone and a listening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US9565499B2 (en) Binaural hearing aid system for compensation of microphone deviations based on the wearer's own voice
EP3955594B1 (en) Feedback control using a correlation measure
US20230396936A1 (en) Hearing device with own-voic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