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577B1 -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577B1
KR101504577B1 KR20140008067A KR20140008067A KR101504577B1 KR 101504577 B1 KR101504577 B1 KR 101504577B1 KR 20140008067 A KR20140008067 A KR 20140008067A KR 20140008067 A KR20140008067 A KR 20140008067A KR 101504577 B1 KR101504577 B1 KR 10150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electronic record
electron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호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0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577B1/ko
Priority to PCT/KR2015/000679 priority patent/WO20151119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06F21/645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us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4Database migratio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에서 실행되며 전자기록으로부터 장기 보존할 보존 객체를 생성하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록으로부터, 상기 전자 기록에서 불변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전자기록에서 관리중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에 대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부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부 보존 객체는 외부 증명 시스템에 공탁되어 WORM 스토리지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외부 증명 시스템의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기록의 출처를 증명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최초 생산 당시의 WORM 스토리지로써 전자기록을 장기 보존할 수 있으며, WORM 스토리지의 교체에 따라 필요했던 인증 정보의 누적과 인증서 유효 기간 연장의 문제가 없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LONG TERM VALIDATION METHOD AND SYSTEM OF ELECTRONIC RECORDS}
본 발명은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자기록을 고정부 및 변동부로 각각 구분하여 추출하고 고정부 보존 객체 및 변동부 보존 객체를 별개의 시스템에 의해 보존·관리하는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록이 전자적인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관리되는 것을 전자기록 또는 디지털 기록이라고 한다. 20세기 후반 전자기록이 출현하여 현재 공공분야는 물론이고 기업활동, 국민 생활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어서 사용하기 싫다고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필수기반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전자기록은 진본성(출처), 무결성(훼손없음), 신뢰성(충분하고 정확한 정보), 가용성(사용자의 이용편이성)이라는 기록의 4대 요건 입장에서 볼 때 신뢰성과 가용성 측면에서는 월등한 이점이 있는 것이 분명하며, 진본성과 무결성 측면에서는 종래의 종이기록보다 못 미더운 상황이므로 적절한 관리와 보장을 통하여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자기록은 유체물이 아니므로 고정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고, 품질저하 없이 위변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위변조 사실을 파악하기 어렵고, 격리된 곳에 보관하지 않고 보통 시스템에 탑재하는데 그렇게 되면 여러 사람이 접근할 수 있으므로 위변조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장치를 통하여 표현되어야만 사람이 육안 판독할 수 있으므로 위변조, 유실, 훼손, 뒤바뀌기 등의 사고를 알아채기 어렵다.
전자기록은 물리적 실체가 없으므로 보존매체가 필요하며, 보존매체는 내용 보호를 위하여 한번 기록하고는 다시는 변경시킬 수 없는 WORM( Write-Once, Read-Many)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이기록은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전자기록은 그대로 보존하면 보존되지 않는다"는 아이러니가 성립하며, 이는 기록관리업무가 메타데이터에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보존처리를 위하여 변환되기 때문이기도 하고, 긴 세월 속에서 계속 변화·발전하는 기술과 환경, 기록관리 방법에 맞추려면 마이그레이션이 일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기록 자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는, 생산일시, 생산자, 물리적, 기술적 속성에 대한 기본정보, 기록의 위치, 집합계층, 관련자 및 업무프로세스, 주제·분류에 대한 정보 및 접근제한 사항에 대한 정보 등이 있으며, 기록관리 과정에 관한 메타데이터로서 특정한 기록관리 활동 수행을 위한 사람 및 조직 인가에 대한 정보, 기록과 기록계층, 기록과 기록 생산에 관여한 사람 및 조직의 연계에 대한 정보, 장기보존을 위한 필요사항에 대한 정보, 기록 처분에 대한 정보 등이 있다.
특히, 전자기록의 이관이나 전자기록의 재분류 등에 의해 메타데이터는 전자기록의 보존기간을 통하여 수정·변환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긴 세월 속에서 전자기록의 포맷과 사용되는 프로그램도 계속 변화·발전하는 바, 이러한 포맷 및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해서도 전자기록은 수정·변환될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이 전자기록의 수정·변환이 이루어지면 기존 WORM 매체로서는 더 이상 수정·변환을 반영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WORM 매체에 기록되어야 한다. 전자기록은 최초 생산 당시의 WORM 매체로써 보존할 수 없으므로, 전자기록에 대한 진본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매체에 수록된 개별 전자기록 객체에 적용되는 전자서명 인증 체인과는 별도로 변환 생산 이력을 증명하는 전자서명 인증체인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전자기록의 재분류 등이 있게 되면 지금까지 누적된 WORM 매체의 전면적인 교체가 필요한 바, 현실적으로는 장기간 보존되는 전자기록에 대해서도 WORM 매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전자기록의 위변조 가능성 등이 더욱 증가하므로, 진본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더욱 치밀한 기술적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전자기록에 대한 진본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통상 전자서명이 이용되고 있다. 전자서명 기술은 비대칭 암호법, 즉 PKI 기술을 거꾸로 이용하는 것이다. 암호화를 하는 키(생성키)와 이를 복호화해서 해독하는 키(검증키)를 별개로 만들며 각 서명자에게 한쌍씩 제공한다. 서명자는 생성키(비밀키)를 자기만 알도록 가지고 있고, 자신이 암호화하는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는 검증키(공개키)는 모든 사람에게 공개한다.
그리고, 호주 VERS에서 사용되고 한국 표준에서 인용된 "양파모델(onion model)"과 같이 종전 객체에 수정·변환 정보를 덧씌우는 방식으로 "수정된 전자기록 객체"를 만듦으로써 껍질을 생성하며, 그 수정·변환 작업이 적법한 양태, 적법한 담당자, 적법한 시기에 이루어졌음을 증명하기 위해서 각 껍질에 대해서 전자서명을 누적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전자서명은 생산·수정·변환 이력을 발생시킨 각 당사자의 명의로 된 여러 전자서명의 연속이라는 정보 체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증정보 누적문제를 가중화시키는 또다른 요인은 전자서명의 유효기간 문제이다. 전자서명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서는 1년(민간 공인인증서 전자서명)이나 2년 3개월(행정 전자서명)과 같이 유효기간 제한이 있다. 보존이 장기화되면 시간경과에 따라 생산·수정·변환 이력 단계별 누적 전자서명과, 그 각각에 대한 유효기간 연장용 주기적 재서명값이라는 식으로 누적된 인증정보가 산처럼 쌓여, 정작 진본성 및 무결성의 증명이 필요할 경우가 되었을 때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 너무나 많아지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IETF(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 3126에 따르면, 최초의 기록물 전자서명에 타임스탬프를 누적시켜서 기록물 전자서명의 유효기간을 늘리는 방법을 구사한다. 그런데 이 방법을 적용하면 모든 보존 기록물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양파껍질형태로 타임스탬프를 누적하여야 하고, 그에 필요한 전자기록 객체의 건수와 크기가 막대하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가 기록원 표준 NAK-TS 401 '전자기록물 전자서명 인증서 장기검증 기술규격'이 있으나, 이에 따르면, 기록물 건별로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 인증기관에서 매일 공시하는 인증서 폐기목록을 계속 수집하여 장기보존한다. 검증할 때에는 전자기록의 전자서명에 해당하는 인증서가 서명당시 유효기간 안에 있으면서 당시 인증서 폐기목록에 없었으면, 유효한 전자서명으로 인정한다. 기록물 건수보다 수집되는 인증서 폐기목록이 훨씬 수량이 적기 때문에 효율적이라고 본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서명 당시의 인증서가 유효함을 인증할 뿐이고 전자기록의 유효성을 인정할 수는 없는 바, 훗날 해킹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기록을 위변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록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있더라도 적어도 전자기록의 진본성(출처)을 용이하게 증명할 수 있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및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기록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있더라도 WORM 매체를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및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서버에서 실행되며 전자기록으로부터 장기 보존할 보존 객체를 생성하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록으로부터, 상기 전자 기록에서 불변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전자기록에서 관리중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에 대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부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부 보존 객체는 외부 증명 시스템에 공탁되어 WORM 스토리지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외부 증명 시스템의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기록의 출처를 증명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변동부를 인증하는 초기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초기 인증 정보와 상기 변동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 보존 객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상기 변동부 보존 객체는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수정, 변환 또는 추가된 후의 상기 변동부 보존 객체를 인증하는 누적 인증 정보가 생성되어 삽입되며, 기 초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누적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 기록의 무결성을 증명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보존 객체는 상기 WORM 스토리지의 타입인 컨테이너에 저장되되, 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생산 맥락 정보와, 상기 컨테이너에 저장되는 정보를 인증하는 컨테이너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고정부 보존 객체의 연도별로 기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서버에서 실행되며 전자기록을 보존한 보존 객체를 검증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으로서, 상기 보존 객체는, (i) 상기 전자 기록에서 불변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고정부에 대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부 인증 정보를 포함하며, 외부 증명 시스템에 공탁되어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고정부 보존 객체;와 (ii) 상기 전자기록에서 관리중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를 인증하는 초기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초기 인증 정보와 상기 변동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기록 관리 시스템에 저장되는 변동부 보존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록 장기 검증 방법은, 적어도 상기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록의 출처를 증명하는 출처 증명 과정과, 어도 상기 초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록의 무결성을 증명하는 무결성 증명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는 기록 관리 시스템에도 저장되며, 상기 출처 증명 과정은, 적어도 상기 외부 증명 시스템에 공탁되어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와 상기 기록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고정부 인증 정보 사이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외부 증명 시스템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외부 증명 시스템에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가 동일하게 저장되며, 상기 출처 증명 과정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외부 증명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 사이의 동일성을 교차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출처 증명 과정은,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기록의 출처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상기 변동부 보존 객체는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수정, 변환 또는 추가된 후의 상기 변동부 보존 객체를 인증하는 누적 인증 정보가 생성되어 삽입되며, 상기 초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누적 인증 정보는 상기 무결성 증명 과정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보존 객체는 상기 WORM 스토리지의 타입인 컨테이너에 저장되되, 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생산 맥락 정보와, 상기 컨테이너에 저장되는 정보를 인증하는 컨테이너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최초 생산 당시의 WORM 스토리지로써 전자기록을 장기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최초 생산 당시의 WORM 스토리지를 장기 보존할 수 있으므로, 생산 당시 연도별, 기관별 및 분류별 등의 기준으로 순차 기록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특히 연도별 기준으로 복수의 장기 보존 객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생산 년도를 증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WORM 스토리지에 대한 변경이 필요없으므로 WORM 스토리지에 대한 물리적 접근 제한 장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WORM 스토리지의 교체에 따라 필요했던 인증 정보의 누적과 인증서 유효 기간 연장의 문제가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외부 증명 시스템의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고정부 인증 정보는 전자기록의 생산 당시를 직접 증명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전자기록의 진본성(출처)를 완벽하게 증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자서명의 유효기간 만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진보성(출처)에 대해서는 계속 증명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증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보존중 전자기록의 보존 포맷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고정부 보존 객체만으로도 진보성(출처) 및 무결성을 모두 증명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변동부 보존 객체(200)에 있어서 인증 실패에 따른 부담은 대폭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출처 확인을 위한 인증정보를 구분함으로써 인정 정보의 반복 적용에 따른 과다한 정보용량이라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록 장기 보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기 보존 객체의 생성 방법에서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초기 인증 정보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외부 증명 시스템(30)에 공탁되는 고정부 보존 객체(100)가 기록된 컨테이너(14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록 관리 시스템(20)의 제 1 스토리지(22)에 저장되는 변동부 보존 객체(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및 보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록 장기 검증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로서 도 6(a)는 고정부 인증 정보를 이용한 출처 증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변동부의 인증 정보를 이용한 무결성 증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록 장기 보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기록 장기 보존 시스템은 기록 관리 시스템(2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증명 시스템(30)을 포함하며, 기록 관리 시스템(20)은 기록 관리 서버(21) 및 제 1 스토리지 시스템(22)를 포함하고 외부 증명 시스템(30)은 외부 증명 서버(31) 및 제 2 스토리지 시스템(32)를 포함한다. 외부 증명 시스템(30)은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외부 증명 시스템(30)을 이용하여 외부 증명 시스템(30) 사이의 교차 증명을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기록 관리 서버(21)는 전자기록으로부터 장기 보존할 보존 객체를 생성하며 생성된 장기 보존 객체를 외부 증명 시스템(30)(들)로 제공하고 자체의 제 1 스토로리지 시스템(22)에 저장하며, 외부 증명 시스템(30)과 협조하여 장기 보존 중인 전자기록의 보존 객체를 검증하는 장치로서 전자기록의 출처 및 무결성을 증명한다.
외부 증명 서버(31)는 기록 관리 서버(21)에서 생성된 후술할 고정부 보존 객체를 기록 관리 서버(21)로부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받고 제공받은 고정부 보존 객체를 제 2 스토리지 시스템(32)에 컨테이너 단위로 기록하며, 추후 검증을 위하여 제 2 스토리지 시스템(32)에 기록된 고정부 보존 객체를 읽고 자체적으로 고정부 보존 객체를 검증하거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기록 관리 시스템(20)에게 제공한다.
제 1 스토리지 시스템(22)은 R/W(Read Write) 스토리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변동부 보존 객체 및 고정부 보존 객체를 저장한다.
제 2 스토리지 시스템(32)은 외부 증명 서버(31)와 연결되거나 외부 증명 서버(31)와 연계되며, 제 2 스토리지 시스템(32)에는 고정부 보존 객체가 기록된다. 제 2 스토리지 시스템(32)은 WORM(Write Once Reae Many) 스토리지로 구성되어 한번 기록후에는 그 내용의 소거 또는 갱신이 불가능하며, 주로 CD 또는 DVD와 같은 광디스크로 구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기 보존 객체의 생성 방법에서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초기 인증 정보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록(10)을 고정부(11) 및 변동부(12)로 구획하며, 전자 기록에서 불변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부분은 고정부(11)로 하고, 전자기록에서 관리중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부분은 변동부(12)로 한다. 전자기록의 고정부(11)는 전자문서 원본과, 문서의 생산일시, 작성자 및 생산 기관 등과 같은 생산 맥락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문서의 보존중 변동될 수 없는 정보이다.
기록 관리 서버(21)는 전자기록으로부터 고정부(11) 및 변동부(12)를 추출하며, 고정부(11)에 대한 인증 정보로서 고정부 인증 정보(110)를 생성하고, 변동부(12)에 인증 정보로서 변동부 인증 정보(120)를 생성한다. 인증을 위하여 인증서 소유자(기관)의 인증서와 비밀키(k1,k2)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인증정보는 고정부(11) 또는 변동부(12)에 대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외부 증명 시스템(30)에 공탁되는 고정부 보존 객체(100)가 기록된 컨테이너(14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부 보존 객체(100)는 WORM 스토리지 타입인 컨테이너(140)에 기록되되, 고정부 보존 객체(100)는 고정부 인증 정보(110)와, 고정부(11)를 구성하는 전자문서 원본 및 생산 맥락 정보(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보존객체(100)는 연도, 기관 및 문서 분류 등의 기준에 따라 분류되고, 연도별/기관별/문서 분류별로 복수의 고정부 보존객체(100)가 컨테이너(140)에 기록되며, 아울러 컨테이너(140)에 기록 저장되는 내용을 인증하는 컨테이너 인증정보(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 보존 객체(100)는 추후 기록 관리 시스템과의 교차 증명을 위하여 기록 관리 시스템의 제 1 스토리지(22)에 더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외부 증명 시스템(30)에는 고정부 보존객체(100)를 동일하게 기록 저장하게 하여, 복수의 외부 증명 시스템(30) 사이에도 교차 증명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기록 관리 시스템(20)의 제 1 스토리지(22)에 저장되는 변동부 보존 객체(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변동부 보존 객체(200)는 최초 제 1 차 변동부 보존 객체(200-1)로부터 출발하여,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나 전자기록의 포맷 변경 등이 발생될 때마다 제 2 차 변동부 보존 객체(200-2), 제 3 차 변동부 보존 객체(200-3) 등과 같이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기록 관리 시스템(20)은, 변동부를 인증하는 초기 인증 정보(210)를 생성하고 초기 인증 정보(210)와 변동부(12)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 1 차 변동부 보존 객체(200-1)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 1 차 변동부 보존 객체(200-1)은 예를 들어 기록 관리 시스템(20)의 제 1 스토리지 시스템(22)에 저장된다.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새로운 메타데이터 또는 수정된 메타데이터를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하거나, 기존 메타데이터를 변경하며, 추가 또는 변경된 후의 변동부 보존 객체(200-2 ~ 200-n)를 인증하는 누적 인증 정보가 생성되어 삽입된다.
변동부 보존 객체(200)에 포함된 초기 인증 정보 및 누적 인증 정보는 전자 기록의 무결성을 증명하는데 이용된다. 전자기록에서 변동부의 특성상 변동부 보존 객체(200)는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으며, 갱신 전후의 무결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가 누적될 수 있다.
하지만 진보성(출처) 증명 기능을 고정부 보존 객체로 넘겼으며, 나아가 보존중 전자기록의 보존 포맷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고정부 보존 객체만으로도 진보성(출처) 및 무결성을 모두 증명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변동부 보존 객체(200)에 있어서 인증 실패에 따른 부담은 대폭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및 보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기록 관리 서버(21)는, 전자 기록을 입력받으며(S10), 전자 기록에서 불변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전자기록에서 관리중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를 추출한다(S12).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고정부 및 변동부는 각각 다른 처리 및 보존 과정을 따른다.
고정부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면, 기록 관리 서버(21)에서는 고정부에 대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부 인증 정보를 생성하며(S22), 고정부 인증 정보와 고정부를 구성하는 전자 문서 원본 및 생산 맥락 정보 등을 포함하여 고정부 보존 객체를 구성한다(S22). 그리고, 기록 관리 서버(21)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고정부 보존 객체를 각 외부 증명 시스템(30)으로 공탁한다(S24).
그리고, 외부 증명 시스템(30)은 연도별, 기관별 및 분류별 등의 기준 중 선택되는 기준에 따라 복수의 고정부 보존 객체을 컨테이너 단위로 구성하며(S42), 구성된 컨테이너를 보존한다(S44).
컨테이너에는 고정부 인증 정보 및 고정부를 구성하는 전자문서 원본, 생산 맥락 정보 등과, 컨테이너에 저장되는 정보를 인증하는 컨테이너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온라인 접속이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보존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에 대한 물리적 접근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단계 S42는 외부 증명 시스템(30)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기록 관리 시스템(20)에서 컨테이너 구성을 마친 후 외부 증명 시스템(30)으로 이관하여도 상관없다.
컨테이너는 WORM 스토리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최초 기록후에는 변경 또는 삭제가 불가능하며,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고정부 인증 정보는 적어도 전자기록의 출처를 증명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변동부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면, 기록 관리 서버(21)에서는 변동부를 인증하는 초기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S30), 초기 인증 정보와 변동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 보존 객체를 구성한다(S32). 그리고, 도5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변동부 보존 객체는 기록 관리 시스템(20)의 제 1 스토리지 시스템(22) 등에 저장되어 보존된다.
그리고, 변동부 보존 객체는 보존중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거나 또는 전자 기록의 포맷 등이 변경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변동부 보존 객체는 갱신된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34),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있으면, 갱신되는 변동부 보본 객체를 인증하는 새로운 누적 인증 정보가 생성되며(S36), 종전 변동부 보존 객체에 새로운 메타 데이터와 위 누적 인증 정보 등이 삽입되어 새로운 변동부 보존 객체를 구성하게 되며(S38), 새로운 변동부 보존 객체는 제 1 스토리지 시스템(22) 등에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록 장기 검증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로서 도 6(a)는 고정부 인증 정보를 이용한 출처 증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변동부의 인증 정보를 이용한 무결성 증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록 장기 검증 방법은 출처 증명 과정과 무결성 증명 과정을 구비하며, 출처 증명 과정은 외부 증명 시스템의 WORM 스토리지에 기록 저장된 고정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서, 전자기록의 보존 포맷이 변경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전자 문서의 원본을 직접 읽을 수 있는 경우에는 무결성 증명까지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무결성 증명 과정은 기록 관리 시스템의 제 1 스토리지 시스템 등에 저장된 변동부의 인증 정보(초기 인증 정보 및 누적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증명 시스템(30)은 먼저 검증하기를 원하는 전자기록이 기록된 컨테이너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를 검증한다(S40).
그리고 외부 증명 시스템(30) 또는/및 기록 관리 시스템(20)은 기록 관리 시스템(20)의 제 1 스토리지 시스템에 저장된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생산 맥락 정보와 외부 증명 시스템(30)의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된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생산 맥락 정보 사이의 동일성을 검증하거나 또는 복수의 외부 증명 시스템(30)의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된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생산 맥락 정보 사이의 동일성을 교차 검증한다(S42). 동일성 검증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는 한 쪽 시스템에서 다른 쪽 시스템으로 보안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전송되거나 오프라인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단계 S42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증명 시스템(30) 또는/및 기록 관리 시스템(20)은 고정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전자기록의 출처를 검증한다(S44).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관리 시스템(20)은 변동부의 인증정보인 초기 인증정보 및 누적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변동부를 검증하되, 누적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변동부 보존 객체의 갱신 과정을 검증하며(S50), 초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변동부 보존 객체의 생성 과정을 검증한다(S52).
기록 관리 시스템(20)은, 초기 인증 정보 및 누적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기록의 무결성을 증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외부 증명 시스템(30)의 컨테이너(140)에 기록되는 고정부 인증정보(110)와 고정부(11)를 구성하는 생산 맥락 정보(120)등은 불변하는 정보이므로, 전자기록을 보존하는 동안 전자기록의 재분류 등에 따른 메타 데이터의 변경, 전자기록의 이관, 전자기록의 포맷변환 등이 있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WORM 스토리지에 기록된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기존 WORM 스토리지를 대체하여 새로운 WORM 스토리지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최초 생산 당시의 WORM 스토리지로써 전자기록을 장기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초 생산 당시의 WORM 스토리지를 장기 보존할 수 있으므로, 생산 당시 연도별, 기관별 및 분류별 등의 기준으로 순차 기록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연도별 기준으로 복수의 장기 보존 객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생산 년도를 증명할 수 있으며, 나아가 WORM 스토리지에 대한 방사성 동위 원소 분석 등을 활용하면 생산 년도에 대한 부가적인 증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WORM 스토리지에 대한 변경이 필요없으므로 WORM 스토리지에 대한 물리적 접근 제한 장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WORM 스토리지의 교체에 따라 필요했던 인증 정보의 누적과 인증서 유효 기간 연장의 문제가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증명 시스템의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고정부 인증 정보는 전자기록의 생산 당시를 직접 증명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전자기록의 진본성(출처)를 완벽하게 증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전자 기록 보존 방법에 따르면 정보의 계속적인 변동으로 인해서 WORM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했던 반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고정부 보존 객체는 변동성이 없으므로 외부 증명 시스템에 WORM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전자서명의 유효기간 만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진보성(출처)에 대해서는 계속 증명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증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1 : 고정부 12 : 변동부
20 : 기록 관리 시스템 21 : 기록 관리 서버
22 : 제 1 스토리지 시스템 30 : 외부 증명 시스템
31 : 외부 증명 서버 32 : 제 2 스토리지 시스템
100 : 고정부 보존 객체 110 : 고정부 인증정보
120 : 생산 맥락 정보 130 : 컨테이너 인증정보
140 : 컨테이너 200 : 변동부 보존 객체

Claims (12)

  1. 서버에서 실행되며 전자기록으로부터 장기 보존할 보존 객체를 생성하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록으로부터, 상기 전자 기록에서 불변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전자기록에서 관리중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에 대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부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부 보존 객체는 외부 증명 시스템에 공탁되어 WORM 스토리지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외부 증명 시스템의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기록의 출처를 증명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동부를 인증하는 초기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초기 인증 정보와 상기 변동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 보존 객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상기 변동부 보존 객체는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수정, 변환 또는 추가된 후의 상기 변동부 보존 객체를 인증하는 누적 인증 정보가 생성되어 삽입되며,
    상기 초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누적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 기록의 무결성을 증명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보존 객체는 상기 WORM 스토리지의 타입인 컨테이너에 저장되되,
    상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생산 맥락 정보와, 상기 컨테이너에 저장되는 정보를 인증하는 컨테이너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고정부 보존 객체가 연도별로 기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의 장기 보존 객체 생성 방법.
  6. 서버에서 실행되며 전자기록을 보존한 보존 객체를 검증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으로서,
    상기 보존 객체는,
    (i) 상기 전자 기록에서 불변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고정부에 대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부 인증 정보를 포함하며, 외부 증명 시스템에 공탁되어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고정부 보존 객체;와 (ii) 상기 전자기록에서 관리중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변동부를 인증하는 초기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초기 인증 정보와 상기 변동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기록 관리 시스템에 저장되는 변동부 보존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록 장기 검증 방법은,
    적어도 상기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록의 출처를 증명하는 출처 증명 과정과,
    적어도 상기 초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록의 무결성을 증명하는 무결성 증명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는 기록 관리 시스템에도 저장되며,
    상기 출처 증명 과정은,
    적어도 상기 외부 증명 시스템에 공탁되어 WORM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와 상기 기록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고정부 인증 정보 사이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부 증명 시스템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외부 증명 시스템에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가 동일하게 저장되며,
    상기 출처 증명 과정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외부 증명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 사이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처 증명 과정은,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서명값 및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기록의 출처를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상기 변동부 보존 객체는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의 수정, 변환 또는 추가가 발생되면 수정, 변환 또는 추가된 후의 상기 변동부 보존 객체를 인증하는 누적 인증 정보가 생성되어 삽입되며,
    상기 초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누적 인증 정보는 상기 무결성 증명 과정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보존 객체는 상기 WORM 스토리지의 타입인 컨테이너에 저장되되,
    상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고정부 인증 정보 및 생산 맥락 정보와, 상기 컨테이너에 저장되는 정보를 인증하는 컨테이너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록 장기 검증 방법.
KR20140008067A 2014-01-23 2014-01-23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50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067A KR101504577B1 (ko) 2014-01-23 2014-01-23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5/000679 WO2015111934A1 (ko) 2014-01-23 2015-01-22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067A KR101504577B1 (ko) 2014-01-23 2014-01-23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577B1 true KR101504577B1 (ko) 2015-03-20

Family

ID=5302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8067A KR101504577B1 (ko) 2014-01-23 2014-01-23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4577B1 (ko)
WO (1) WO20151119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339A (ko) 2021-02-08 2022-08-17 대한민국(국가기록원) 전자기록물 공개재분류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049A (ko) * 2005-11-22 2007-05-28 주식회사 드림시큐리티 전자서명 인증서의 장기검증방법 및 시스템
KR20070111595A (ko) * 2006-05-18 2007-11-22 (주)씨오엑스시스템 공인전자문서의 진본성 보장 및 위변조 방지방법
KR20070112091A (ko) * 2002-10-15 200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
KR20080014194A (ko) * 2006-08-10 2008-02-14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전자문서의 불변경성과 사실증명을 수행하는전자문서보관소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전자문서 등록방법, 열람방법, 발급방법, 이관방법, 증명서발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648B2 (ja) * 2003-02-03 2011-02-0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データ保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5094244A (ja) * 2003-09-16 2005-04-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時刻証明書延長方法、時刻証明装置、時刻証明書延長プログラム、延長用時刻証明書検証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105291B2 (ja) * 2009-11-13 2012-12-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長期署名用サーバ、長期署名用端末、長期署名用端末プログラム
JP5700422B2 (ja) * 2011-02-23 2015-04-1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長期署名用端末、長期署名用サーバ、長期署名用端末プログラム、及び長期署名用サーバ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091A (ko) * 2002-10-15 200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
KR20070054049A (ko) * 2005-11-22 2007-05-28 주식회사 드림시큐리티 전자서명 인증서의 장기검증방법 및 시스템
KR20070111595A (ko) * 2006-05-18 2007-11-22 (주)씨오엑스시스템 공인전자문서의 진본성 보장 및 위변조 방지방법
KR20080014194A (ko) * 2006-08-10 2008-02-14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전자문서의 불변경성과 사실증명을 수행하는전자문서보관소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전자문서 등록방법, 열람방법, 발급방법, 이관방법, 증명서발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339A (ko) 2021-02-08 2022-08-17 대한민국(국가기록원) 전자기록물 공개재분류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1934A1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30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checking the validity of device certificates
EP3590223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mémoriser et partager des données intégrés
US11526631B2 (en) Distributed blockchain-based method for maintaining the validity of a file
JP5028884B2 (ja) 電子文書管理システム、電子文書管理方法、電子文書管理プログラム
CN110535662B (zh) 基于区块链数据存证服务实现用户操作记录的方法及系统
JP4844281B2 (ja) ドキュメント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298902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recording creation of a cancelable biometric reference template in a biometric event journal record
US20040003239A1 (en)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method
WO2018114587A1 (en) Distributed blockchain-based method for maintaining the validity of a file
JP2007110180A (ja) 署名履歴保管装置、署名履歴保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IL281671B2 (en) Computer-based system and methods for authorizing and publishing documents
KR20200015266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시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958703B2 (ja) データ証明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証明サーバ
CN109447809A (zh) 一种结合区块链的视频主动识别方法
JP4631398B2 (ja) 文書管理装置、および文書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04577B1 (ko) 전자기록에 대한 장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JP4124936B2 (ja) 電子申請システム及び書類保存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445331B2 (ja) データベース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1337600A (ja) 電子データ保管システム、履歴検証装置、電子データ保管方法及び記録媒体
WO2022103782A9 (en) Centralized ledger system for device authentication
JP2004320494A (ja) 電子署名付き文書検証装置、電子署名付き文書検証方法、電子署名付き文書検証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76168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9509095A (zh) 一种结合区块链的视频主动识别方法
JP7127922B1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FR3073111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memoriser et partager des donnees integ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