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972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executing services between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for thi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executing services between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for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72B1
KR101501972B1 KR1020120151874A KR20120151874A KR101501972B1 KR 101501972 B1 KR101501972 B1 KR 101501972B1 KR 1020120151874 A KR1020120151874 A KR 1020120151874A KR 20120151874 A KR20120151874 A KR 20120151874A KR 101501972 B1 KR101501972 B1 KR 10150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terminal
communication path
request sig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4144A (en
Inventor
이길수
최도연
박인영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3012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통신 경로 설정부; 상기 통신 경로 설정부에 의해 형성된 통신 경로를 관리하며,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중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인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경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between user terminals, and a user terminal for the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The system includes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for receiving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and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s;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pplication operation request signal from a first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application operation reques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A second us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application activation request signal, and a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activ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second user terminal driv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pon receiving the application activation request signal, Terminal.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EXECUTING SERVICES BETWEEN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FOR THI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between user terminal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경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구동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between user termin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driven service between user terminal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capable of mutual drive and a user terminal therefor.

최근 이른바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단순히 통화를 위주로 하는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 환경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 위주로 전환되고 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열람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 즉,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어디서나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 With the rapid spread of so-called smart phones in recent years,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nvironment, which mainly focuses on calls, has been shifting to data communication services, and various types of services based on data communication have been proposed.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 is changing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web page is browsed or an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using the Internet to allow a user to receive a desired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 smart phone.

이와 같이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실행(구동)시킬 수 있는데, 예컨대 두 사용자가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채팅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두 사용자간에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 할 경우가 있다. 예컨대,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지도상에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고 해당 위치를 상대방 사용자에게 알려서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지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위치를 표시하도록 할 경우가 있다. 또한, 전자 칠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데이터를 공유해야 할 경우도 있다. In such a smartphone environment,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can be executed by a user. For example, when two users perform a chat service through a messaging service, there is a case where the same application is executed between two users. Fo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map service is executed to display its position on a map, notify the other user of the position,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a map servic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terminal of the other user. In addition, there may be cases where data such as images, texts, and the like are shared by executing an application providing the electronic board service.

그러나, 이러한 경우 종래 제공되고 있는 방식에 의하면 양 사용자가 각자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 기능 등과 같은 상호 연동 서비스가 필요하기도 하다.However, in such a case, according to a conventionally provided method, both users must separately run the application. To this end, interworking services such as push notification function are required.

즉,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양 사용자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 하는 경우 각자 별도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는 별도의 채널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 limit in that when both users have to execute the same application, they must separately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check wheth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a separate channel.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양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user terminals and enabling the same applications to be operated by both user terminals.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통신 경로 설정부; 및 상기 통신 경로 설정부에 의해 형성된 통신 경로를 관리하며,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중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인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경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lication run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running servi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the application run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that form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s; And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And a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second user terminal driv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pon receiving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여기에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부에서 수신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상응하여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Here,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an event occurring in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통신 경로 설정부는, 사용자 단말기 중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먼저 전송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된 이후,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있다가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until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fter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may form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e standby state.

또한, 상기 통신 경로 관리부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응답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may receive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 application driving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application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may transmit the application driving response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can transmit data generated in the driven applic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형정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형성된 통신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중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인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n application running service between user terminals in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in combination with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user terminals, A first step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path in the first network; And a second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from a first user terminal transmitting an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path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to a second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driv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pon receiving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신 경로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경로를 관리하는 통신 경로 처리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호 구동이 필요한지를 조회하기 위한 상호 구동 설정 확인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로부터 상호 구동 설정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그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경로 처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로부터 상호 구동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수신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대방 단말기는, 해당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to a user terminal that forms a communication path with a partn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A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to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partner terminal and manage the formed communication path; An application driver for driv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n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mutual driving setting confirmation signal for inquiring whether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application driving unit requires mutual driving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application driving setting unit and receiving the result; And an application drive setting unit for receiving an inter-drive setting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application driv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application drive control unit, wherein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when receiving the mutual drive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application drive control unit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transmits the received interworking message request sig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receiving the interworking message request signal transmits the interworking message request signal to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 application is driven by the drive message request signal.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양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user terminals and enabling the same application to be operated in both user terminals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고 그에 따라 상호 구동 여부가 결정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사용자의 관여 없이 양 단말기 사이에서 간편하게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to be activated in advanc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is to be operated or not, thereby enabling the same application to be easily executed between both terminals without involving additional users have.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채팅, 메시징 서비스, 전자 칠판, 지도 서비스 등과 같이 사용자간에 데이터의 공유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pplications requiring sharing of data among users, such as games, chatting, messaging services, electronic blackboards, and map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기(200,3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200,300)와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사이에서 통신 경로가 설정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기(200,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200,30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상호 구동 서비스를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user terminals 200 and 300 between user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s shown i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betwe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nd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s shown i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an application interworking service with a partn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by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illustrated in FIG.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기(200,3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user terminals 200 and 300 between user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이하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 한다)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300)와 결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user terminals is coupled with user terminals 200 and 300 through a network.

여기에서 네트워크라 함은, 공지의 유/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200,300)는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Here, the term " network " includes a well-known wired / wireless Internet,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network connection means, a computer, a tablet PC,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기(200,300)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300)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신망은 공중 전화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종래의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실제 통신망은 교환기 및 HLR 등의 통신망의 자원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200,300)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러한 통신망을 통해 종래의 기술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Wh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r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can receive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Although not shown, a communication network means a conventional network that performs a communication service by any one of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Internet network or a combination thereof. Actually, a communication network uses resources of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exchange and an HLR . Wh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re communication terminals, a call service as known by the related art is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200,30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이른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200,300)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300)는 내부에 사용자 단말기(200,300)의 전체적인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 OS)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re so-called "smart phones ",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pplications and having internet connection means.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a touch screen type input and output function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include an operating system (OS) that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사용자 단말기(200,300)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통신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 때 도 1에서의 네트워크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과는 별도의 데이터 패킷망을 의미한다. 즉, 도 1의 네트워크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망과는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망, 인터넷 등을 의미한다. Wh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re communication terminals, a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network in FIG. 1 means a data packet network separate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That is, the network shown in FIG. 1 refers to a data packet network, the Internet, or the like, which can transmit data independently of a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ing a call service.

사용자 단말기(200,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300) 사이에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300) 사이에서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경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송수신 및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0,300)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s connected betwe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through a network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nd transmits /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for driving the applications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path. So that the same applications can be mutually driven i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도 2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 경로 설정부(110)와 통신 경로 관리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110 and a communication path managing unit 120.

통신 경로 설정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300)들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300)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110 receives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nd form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통신 경로 설정부(110)에서 수신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200,3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상응하여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200,300)로부터 전송된다.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110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vent occurring i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

여기에서 이벤트(event)라 함은, 예컨대 통화 서비스 이벤트일 수 있다.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기(200,300)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인 경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상태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 착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태인 통화 연결 중 이벤트 및 착신 단말과 통화가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통화 종료 이벤트와 같은 이벤트로서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이벤트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200,300)가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인 경우에는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받는 상태(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인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 발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태인 통화 연결 중 이벤트 및 발신 단말과 통화가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통화 종료 이벤트와 같은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기(200,300)에 탑재되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에 포함되는 이벤트 검출부에서 검출될 수 있다. Here, an event may be, for example, a call service event. The call service event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event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or 300 is a calling terminal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a called terminal, a call connecting event in a call connection state with the called terminal, And an event such as a call termination event indicating that the call is terminated. When the user terminal 200 or 300 is the destination terminal receiving th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call response request event in which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quested from the calling terminal (state receiving th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An incoming call connection event, and a call termination event indicating a call termination state with the calling terminal. Such a call service event may be detected by an event detection unit included in an operating system (O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

또한, 이벤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이벤트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예컨대 터치 스크린으로 된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이를 이벤트로 검출할 수도 있다. The event may be a driving event input from the user. That is, when a user inputs a command for operating a specific application by operating, for example, a touch-screen input means, the command may be detected as an event.

또한,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기(200,300) 내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센서 이벤트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300)내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GPS 센서, 모션 센서, 적외선 센서, 열 센서, 배터리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 또는 이러한 센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의 입력을 이벤트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GPS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 사용자 단말기(200,300)가 위치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체크하는 센서에 의하여 배터리가 일정 용량 이하로 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300)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로 특정한 동작(예컨대 단말기를 뒤집는 등)을 수행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vent may be a sensor event generated from a sensor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300. [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 GPS sensor, a mo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 thermal sensor, a battery sensor, or the like as well known in the art. . For example, an event may be generated when the user terminal 200 or 300 is located in a specific area using the GPS sensor. In addition, an event may be generated when the battery is below a predetermined capacity by a sensor for check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In addition, an event may be generated when a user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e.g., reversing the terminal)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

이러한 이벤트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기(200,300) 내에서 운영 시스템이나 하드웨어적인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통신 경로 설정부(110)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se events, when various events occur in the user terminal 200 or 300 due to an operating system or a hardware configura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0 detects a communication event such as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Unit 110, as shown in FIG.

도 3은 사용자 단말기(200,300)와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사이에서 통신 경로가 설정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betwe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nd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도 3에서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먼저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부르고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나중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라고 한다. In FIG. 3, a user terminal that first transmits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is referred to as a first user terminal 200, and a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later is referred to as a second user terminal 300.

우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은 단말기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310),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통신 경로 설정부(110)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310). 3,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to the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when an event set in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occurs (S310) And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110 of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receives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S310).

이 때,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 즉,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전화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may include an identifier such as a phone number of the counterpart terminal, that is,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for which a communication path is to be formed.

통신 경로 설정부(110)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330),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를 알리고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S340,S350).Upon receiving the communication route setting request signal, the communication route setting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mmunication route setting request signal for setting a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 (S330)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route setting request signal, notifies the first user terminal 200 of the existence of the communication route setting request signal and waits for the communication route setting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t steps S340 and S350.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360),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370). 앞서의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어 있으므로 통신 경로 설정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서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S380).If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n step S360, the first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S370). Since the path setting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received in the previous step,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S380).

이후, 통신 경로 설정부(110)는 통신 경로 관리부(120)로 설정된 통신 경로를 관리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S390)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각각 통신 경로가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S400, S410).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110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o manage the communication path set in the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120 in step S39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path has been set is transmitted (S400, S410).

통신 경로 관리부(120)는 별도의 경로 폐쇄 요청이 있거나 기타 설정된 조건에 의해 경로가 폐쇄될 때까지 사용자 단말기(200,300)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유지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120 maintain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until a path close request is made or the path is closed according to other set conditions, And transmits the driving request sig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driv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즉, 통신 경로 관리부(120)는 통신 경로 설정부(110)에 의해 형성된 통신 경로를 관리하며, 통신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중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at is, the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120 manages a communication path formed by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110, receives an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from a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an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To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path.

도 4는 사용자 단말기(200,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As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300)는 통신 경로 처리부(21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20),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240)를 포함한다. 4,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include a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210, an application driving unit 220, an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230, and an application driving setting unit 240.

통신 경로 처리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0,300)에서 발생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경로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 경로 처리부(21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경로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경로 처리부(2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로부터 상호 구동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대방 단말기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210 transmits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to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other terminal and manage a communication path formed do. That is,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210 forms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manages a communication path formed.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inter-operating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230,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210 transmits a mutual driving message request sig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thereto And the other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of mutually driving the same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20)는, 사용자 단말기(200,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은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호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2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그 사실을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The application driving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driv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can be done by a user's command or by calling another application as is well known. The application driving unit 220 transmits the fact to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230 when the specific application is driven.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20)로부터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20)에 의해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호 구동이 필요한지를 조회하기 위한 상호 구동 설정 확인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240)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240)로부터 수신한다.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는 수신된 결과를 통신 경로 처리부(210)로 다시 전달한다. When the application driving unit 220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a specific application has been driven from the application driving unit 220,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230 performs mutual driving to inquire whether the application driven by the application driving unit 220 requires mutual driving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transmits a setting confirmation signal to the application driving setting unit 240 and receives the result from the application driving setting unit 240.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230 transmits the received result to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210 again.

통신 경로 처리부(210)는 수신된 결과가 상호 구동이 필요하다는 상호 구동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통신 경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210 receives the mutual driving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result is mutual driving, transmits the mutual driving message to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formed as described above, Request signal.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24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로부터 상호 구동 설정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구동이 필요한 것인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pplication drive setting unit 240 receives a mutual drive setting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application drive control unit 230, confirms whether the application requires mutual driv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application drive control unit 230 do.

한편, 통신 경로 처리부(210)로부터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대방 단말기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통신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receiving the inter-driving message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210 transmits a mutual driving message request sig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formed with the counter party terminal .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대방 단말기는 해당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에 의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게 된다. The recipient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inter-driving message request signal driv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by the corresponding inter-driving message request signal.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200,30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상호 구동 서비스를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an application interworking service with a partn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by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illustrated in FIG.

도 5에서는,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라 하고,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라 한다. 도 5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 In FIG. 5,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mutual drive message request signal is referred to as a first user terminal 200, and a user terminal receiving a mutual drive message request signal is referred to as a second user terminal 300. In FIG. 5,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s described above.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20)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S510), 그 사실을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로 알리고(S520),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구동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상호 구동 설정 확인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240)로 전송한다(S530).5, the application driving unit 2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notifies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230 of an arbitrary application (S510) The control unit 230 transmits a mutual drive setting confirmation signal to the application drive setting unit 240 to inquire whethe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requires mutual drive (S530).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24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구동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로 전달하고(S230), 그 결과가 상호 구동이 필요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30)는 통신 처리부(210)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550).The application drive setting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application needs to be mutually driven and transfers the result to the application drive control unit 230 in step S230. And transmits a mutual drive message request signal to the processing unit 210 (S550).

통신 처리부(210)는, 통신 경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통신 경로 관리부(120)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560),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통신 경로 관리부(120)는 수신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달한다(S570).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0 transmits a mutual drive message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120 of the application driv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in operation S560, The management unit 120 transmits the received interworking message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S570).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통신 경로 처리부(310)는, 수신된 상호 구동 메시지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330)로 전달하고(S580),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33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340)로 상호 구동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S590).The communication path processing unit 310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ransmits the received interworking message request signal to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330 in step S580 and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330 transmits the interworking driving request message to the application driving setting unit 340 (Step S590). In step S590, a signal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mutual drive is required is transmitted.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부(340)는 상호 구동이 필요한지에 대한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330)로 전송하고(S600)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330)는 수신된 결과가 상호 구동이 필요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20)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610).The application driving setting unit 340 transmits a result of the mutual driving to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330 (S600), and the application driving control unit 330 controls the application driving unit 320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o start the application (S61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게 된다(S620).The application driver 320 receives a signal requesting to drive the application and drives the application (S620).

이러한 절차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신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신 경로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동일하게 상호 구동시킬 수 있게 되며, 양 단말기에는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구동되므로 양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procedure, the first user terminal 200 can simultaneously drive the applications driven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and since the same applications are simultaneously operated on both terminals,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data for various service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Points should be noted.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300)는 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아니면서 유선 전화 단말기이거나 m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로서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도 본 발명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는 유선 단말인 경우에도 단말 내부의 운영 시스템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For example, although the user terminals 200 and 300 in the above embodiment are mainly smart phone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to a terminal providing a function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as a terminal for providing a mVoIP service or a wired telephone terminal.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wired terminal to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can not be installed,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te it into an operating system in the terminal or to implement it in a separate hardware configuration.

100...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0,300...사용자 단말기.
100 ...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200,300 ... user terminal.

Claims (7)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하는 통신 경로 설정부-여기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상응하여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됨-;
상기 통신 경로 설정부에 의해 형성된 통신 경로를 관리하며,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중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인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경로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n application-running servi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for receiving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us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and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us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pplication operation request signal from a first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application operation reques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2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Lt; / RTI >
The second user terminal driv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pon receiving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Wherei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transmit data generated in the driven applic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부는, 사용자 단말기 중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먼저 전송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된 이후,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있다가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sets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Wherein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unit form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경로 관리부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응답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unit,
Receives an application driving response signal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indicating that the application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application driving response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삭제delete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통신 경로를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하는 제1 단계-여기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상응하여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됨-; 및
상기 형성된 통신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중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인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between user terminals in an application-driven service providing system in combination with a user terminal via a network,
A first step of receiving a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us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and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request signal includes an event 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from a first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an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path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to a second user terminal,
Lt; / RTI >
The second user terminal driv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pon receiving the application driving request signal,
Wherei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transmit data generated in the driven applic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삭제delete
KR1020120151874A 2012-05-03 2012-12-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executing services between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for this KR1015019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116 2012-05-03
KR20120047116 2012-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44A KR20130124144A (en) 2013-11-13
KR101501972B1 true KR101501972B1 (en) 2015-03-12

Family

ID=4985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874A KR101501972B1 (en) 2012-05-03 2012-12-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executing services between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for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97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202A (en) * 2003-08-14 2005-03-10 Sony Corp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program, and service transferring method for network system
JP2005166011A (en) * 2003-11-13 2005-06-23 Vodafone Kk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12252451A (en) * 2011-06-01 2012-12-20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202A (en) * 2003-08-14 2005-03-10 Sony Corp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program, and service transferring method for network system
JP2005166011A (en) * 2003-11-13 2005-06-23 Vodafone Kk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12252451A (en) * 2011-06-01 2012-12-20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44A (en)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2458B2 (en)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KR20140034279A (en) Context awareness proximity-based wireless connection establishment
EP3046352B1 (en) Method by which portable device displays information through wearable device, and device therefor
US9258672B2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WI737227B (en) Event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41850B1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91406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connection and terminal
CN108833585A (en) Information interact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8049970A1 (en) Hotspot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WO2021190373A1 (en) Interaction method, interac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WO2019214706A1 (en) Access control method, message broadcast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1148081B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20103146A (en) Multicast service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US10924529B2 (e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using widget window
WO2018049969A1 (en) Hotspot establish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1475323B1 (en) Supplementary services executio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included in user terminal
KR1015019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executing services between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for this
WO20150671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changing data between processes
EP3499857B1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596801B1 (en) PC5 link establishment methods, equipment and systems
KR1014655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upplementary services during call services included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9423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tergrated message
KR101455750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during call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WO2022142884A1 (en) Network data group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4808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bulletin board services during call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