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794B1 - Composite polarizing plat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 Google Patents

Composite polarizing plat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794B1
KR101501794B1 KR1020107002787A KR20107002787A KR101501794B1 KR 101501794 B1 KR101501794 B1 KR 101501794B1 KR 1020107002787 A KR1020107002787 A KR 1020107002787A KR 20107002787 A KR20107002787 A KR 20107002787A KR 101501794 B1 KR101501794 B1 KR 101501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layer
light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8462A (en
Inventor
다카히토 가와무라
아츠시 구로카와
다다시 마타노
마모루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7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편광자와 위상차판과 감압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복합 편광판을 박형 경량화하는 동시에 그것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의 밝기를 확보하여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여 더욱 양호한 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을 배치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적어도 1매의 위상차판(5)을 적층하고, 편광자(1)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하여 복합 편광판(11)으로 한다. 제1 감압 접착제층(6)과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며, 23℃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한다. 이 복합 편광판(11)을 액정 셀(30) 등의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하여 화상 표시 장치로 한다.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er, a retard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ade thin and lightweight, and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olarizer is applied is ensured, making it difficult to cause blurring or unclearness on the display.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polarizer 1 made of a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and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located farthest from the polarizer 1 to form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11. [ At least on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existing betwee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contains a light-diffusing agent and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Sensi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is composite polarizing plate 11 is combined with an image display element such as the liquid crystal cell 30 to form an image display apparatus.

Description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COMPOSITE POLARIZING PLAT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a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자와 위상차판과 감압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그 복합 편광판을 다른 광학층에 적층한 적층 광학 부재 및 그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한 화상 표시 장치에도 관계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olarizer comprising a polarizer, a retard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aminated optical member in which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laminated on another optical layer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 which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laminated optical member is combined with an image display element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액정 표시 장치는 종래부터 탁상계산기나 전자시계 등에 사용되어 왔지만, 근래 그 용도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즉,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대형 TV까지, 화면 크기를 불문하고 액정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 액정 표시 장치 이외에 유기 전계발광(유기 EL) 표시 장치도 모바일 용도를 중심으로 증가 경향에 있다. 이들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도 수요가 증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용도에 적합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ve heretofore been used in desk calculators, electronic timepieces, and the like, but their applications are rapidly expanding in recent years. Tha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used regardless of the screen size from a mobile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to a large-sized TV. In additio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organic EL)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ends to increase mainly in mobile applications. The demand for polarizers used in these image display devices is increasing, and performance suitable for each application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널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의 양면에 액상 접착제를 통하여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대표되는 투명 보호층을 적층한 구성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혹은 필요에 따라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통하여 소정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판이나 광학 보상판 등의 여러 가지의 광학층을 첩합(貼合)한 형태로 액정 셀이나 유기 EL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하여 이용된다.The polarizing plate widely used in such an image display apparatus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typified by a triacetylcellulose film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polariz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 . In this state, or in accordance with necessity, various optical layers such as a retardation plate or an optical compensation plate exhibiting predetermined optical characteristics are bonded through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n image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or an organic EL element And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display element.

도 9에 이와 같은 종래의 편광판 및 거기에 위상차판을 적층한 복합 편광판의 일반적인 예를 단면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즉, 편광자(1)의 양면에 투명 보호층(2, 3)이 설치되어 편광판(40)이 구성되고 있다. 또, 그 한쪽의 투명 보호층(3) 측에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위상차판(5)이 첩합되고, 또한 그 외측에는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하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되어 복합 편광판(41)이 구성되고 있다. 감압 접착제층(7)의 외측에는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할 때까지 그 표면을 가착(假着) 보호하는 박리 필름(9)이 설치되는 것이 통례이다.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ypical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in which a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thereon. That i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s 2 and 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1 to constitute the polarizing plate 40. [ The retardation plate 5 is bonded to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3 side via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for bonding to image display elements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thereof A complex polarizing plate 41 is constituted. A release film 9 is usu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until it is adher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or the like.

근래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용도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디자인 면이나 휴대성 면에서 모듈 전체를 얇게 하여 슬림화하는 것이 진행되고 있다. 당연한 일이지만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에 대해서도 한층 더 박형경량화가 요망되고 있다. 또, 모바일화에 의해 사용 장소가 각종에 이르기 때문에 박형 경량 구성이면서 종래 이상의 내구성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및 경사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가 확보되고, 또한 표시상(display image)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박형 구성의 복합 편광판이 요망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in an image display device for mobile use such as a mobile phone, slimming down the entire module in terms of design and portability has been progress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further reduction in thickness and weight of polarizing plates used therefor is desired. In addition, due to the mobile use, various places are used, so that it is required to have a thin and lightweight structure and a durability high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In addition,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a thin configuration is desired which is less likely to cause blurring or unclearness of the display image, while ensuring the brightness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from the oblique view.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편광자(1)의 양면에 투명 보호층(2, 3)을 설치하는 구성을 대신하여 위상차판(5) 등의 다른 광학 필름에 첩합되는 측의 투명 보호층(3)을 생략하고 편광자(1)에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통하여 직접 위상차판(5) 등의 다른 광학 필름을 적층하여 편광판의 얇은 두께화를 도모하는 시도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특히 고온 환경하에 놓여졌을 때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에 편광자(1)의 신축에 수반되는 치수 변화가 커져서 충분한 내구성을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instead of provid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s 2 and 3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1 as shown in Fig. 9,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3 ) Is omitted and other optical films such as the retardation plate 5 are directly laminated to the polarizer 1 through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sufficient durability because the dimensional change accompanied by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polarizer 1 becomes large especially when it is placed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r whe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re repeated.

한편, 투명 보호층으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다른 수지로 치환하는 제안도 종래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0-199819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친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그 필름을 용해하지 않는 용제에 의한 수지 용액을 도공(塗工)하고 투명 박막층 부착의 편광판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어 그 투명 박막층의 위에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배치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0-321430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와 2액형 접착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통하여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막을 적층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 2001-305345호 공보(특허 문헌 3)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시트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를 통하여 노르보넨계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t has also been proposed to replace the triacetylcellulose film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with another res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99819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coating a resin solution by a solvent which does not dissolve the film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er made of a hydrophilic polymer, And a protective layer made of a transparent film is disposed on the transparent thin film lay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21430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rotective film made of a cyclic olefin resin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composed of a mixture of a polyvinyl alcohol adhesive and a two-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05345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rotective film made of a norbornene resin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sheet through an aqueous polymer-isocyanate adhesive. .

이들 특허문헌 1~3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 내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노르보넨계 수지 필름도 거의 동의(同義))을 위상차판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하면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되는 부재를 삭감하여 박형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편광자와 투명 고분자 필름의 적층에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 접착제를 편광자에 도공하고 고분자 필름을 적층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이 되기 때문에 필름의 광학축을 편광자의 축에 대해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적층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특히 모바일 용도의 화상 표시 장치에 유용한 타원 또는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또, 투명한 접착제를 통하여 편광자와 투명 고분자 필름을 첩합하는 것만으로는 그것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과형에서는 백라이트의 그림자나 화상 표시 소자의 얼룩짐이 발생하고, 반투과형에서는 반사판 표면의 요철에 의해 빛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표시상에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시인성(視認性)을 높이는데도 한계가 있었다.When the transparent film or the cycloolefin based resin film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the synonymous of the norbornene resin film is almost synonymous) is configured to have the function of the retardation plate, the member to be adhered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is reduced A thin polarizing plate can be used. However, when an adhesive is used for the lamination of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olymer film, since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polarizer and the polymer film is laminated and cured, it is difficult to laminate the optical axis of the film so as to have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polariz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forming an elliptic or circular polarization mode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eful for an image display device for mobile use. In addition,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olymer film are bonded through the transparent adhesive, the shadow of the backlight and the image display element are uneven in the transmission type, and in the transflective typ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lurring or unclearness may occur on the display due to occurrence of interference phenomenon, which has limitations in increasing the visibility.

또한, 점착제(감압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노르보넨계 수지 필름을 편광자에 첩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 평6-51117호 공보(특허 문헌 4)에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열가소성 포화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을 보호층으로서 적층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 평8-43812호 공보(특허 문헌 5)에는 편광자의 양측에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에 있어서, 그 보호 필름의 적어도 한쪽을 동시에 위상차판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어 위상차판의 기능을 가지는 보호 필름의 예로서 열가소성 노르보넨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특허 문헌 4 및 5에는 편광자와 노르보넨계 수지 필름의 적층에 이용하는 점착제(감압 접착제)로서 천연 고무, 합성 고무·엘라스토머,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It is also known to us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dhere a norbornene resin film to a polariz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6-51117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hermoplastic saturated norbornene resin film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er as a protective layer. JP-A-8-43812 (Patent Document 5)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polarizer, and at least one of the protective films has a function of a retardation plate at the same time, An example of a protective film having a plate function is a thermoplastic norbornene resin. In these Patent Documents 4 and 5,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ed for lamination of a polarizer and a norbornene resin film,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 elastomer, vinyl chloride / vinyl acetate copolymer, polyvinyl alkyl ether, polyacrylate, Polyolefin-based resin-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을 없애고 시인성을 개량하기 위해 점착제에 광 확산제를 배합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점착제에 광 확산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서는 베이스가 되는 점착제의 응집력 부족에서 기인하여 내구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It is conceivable to provide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a light-diffusing agent is blend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by eliminating the blur and lack of sharpness on the display. However, in the case of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by mixing a light-diffusing agent with a gener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re is a case where the durability is caused by the lack of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

그렇기 때문에 구성 부재의 저감에 의한 박형화 및 경량화가 요망되는 모바일 용도의 편광판에 있어서는 얇고 양호한 내구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시인성도 뛰어난 편광판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광학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 또는 다른 광학층과의 적층 공정에 있어서도 그 제조 자유도가 높은 감압 접착제를 이용한 박형 편광판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polarizing plates for mobile applications, which are required to be thin and lightweight due to the reduction of constituent members, there is a demand for a polarizing plate that maintains thin and good durability and also has good visibility. On the other hand, development of a thin polarizing plate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high degree of manufacturing freedom has also been demanded in a lamination process with a polymer film having optical properties or another optical layer.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19981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99819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0-32143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21430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1-305345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05345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평6-51117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51117

특허 문헌 5: 일본 특개 평8-43812호 공보Patent Document 5: JP-A-8-43812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자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을 배치하고, 다른 면에는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위상차판을 적층함으로써 부재의 저감에 의한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한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감압 접착제층으로부터 위상차판의 외측에 설치된 감압 접착제층에 이를 때까지(이것들을 포함함)의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을 광 확산제가 배합된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그것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및 경사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를 확보하여,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렵게 함과 아울러, 이러한 광 확산제가 배합된 감압 접착제층에 추가로 개량을 가함으로써 고온 환경하에 놓여졌을 때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에도 양호한 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는 박형 구성의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on the other side throug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to reduce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polarizing plate, At least on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existing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hase difference plate (inclu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brightness when the display device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from the oblique view to make it less likely to cause blurring or unclearness on the display and further improve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such a light diffusion agent, When it is placed under the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when the low temperature environment is repeated,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a thin configuration capable of exhibiting a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이러한 복합 편광판을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과 조합하여 내구성 및 시인성이 뛰어난 적층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또 하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inated optical member excellent in durability and visibility by combining such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with an optical layer exhibiting another optical function.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by combining such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a laminated optical member with an image display element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이 배치되고, 편광자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적어도 1매의 위상차판이 적층되고,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지며,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의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a polariz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at least one retarda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eing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located farthest from the polarizer, At least one of the layers is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and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DEG C, preferably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DEG C and 80 DEG C. And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이와 같이 편광자의 한쪽 면에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위상차판을 적층함으로써 부재 매수의 저감에 의해 박형 경량화된 복합 편광판으로 하고 있다. 또,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을 광 확산제가 배합된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복합 편광판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및 경사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를 확보하여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렵게 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해당 광 확산제가 배합된 감압 접착제층을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라고 하는 비교적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온 환경하에 놓여졌을 때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에 감압 접착제층의 응집력 부족에 따른 내구성의 문제를 억제하고 있다.Thus, the retarder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ereby the composite polarizer is made thin and lightweight by reducing the number of members. When at least on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existing between the two layers includ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composed of a compounded light diffusing agen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compound polarizer is applied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brightness when viewed from the oblique direction is ensured, making it less likely to cause blurring or unclearness on the display, thereby enhancing the visibilit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light-diffusing agent is composed of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relatively high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 C of 0.15 to 10 MPa, preferably at 23 ° C and 80 ° C, of 0.15 to 10 MPa The problem of durability due to lack of co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suppress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laced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or whe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nd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are repeated.

상기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적어도 2층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은 그 중 적어도 1층이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되면 되며, 통상은 그 1층이 이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또,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헤이즈값이 5% 이상이다. 헤이즈값이 5% 이상이면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내구성 및 점착 물성의 점으로부터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헤이즈값은 20~9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7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두께가 1~4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 미만이면 점착 물성이나 내구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 40㎛를 넘으면 잔류 용제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는 3~25㎛가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은 광 확산제의 유무에 관계없이 그 저장 탄성률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사이의 값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15MPa 이상이면 편광자의 한쪽 면에밖에 투명 보호층을 가지지 않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도 고온 환경하에서의 뛰어난 치수 안정성을 얻을 수 있으며, 또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하이면 편광자나 위상차판과의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least two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present 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nclude at least one layer thereof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15 to 10 MPa at 23 캜, preferably 0.15 to 10 MPa at 23 캜 and 80 캜 And a light 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howing a storage modulus of elasticity. Normally, one layer satisfies this condition. The haze value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 or more. When the haze value is 5% or more, the visibility is good. Further, from the viewpoints of durability and adhesive property, it is preferably 90% or less. From the above points, the haze valu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90%, particularly preferably 30 to 75%.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40 탆.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1 占 퐉,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perties and durability may be insufficient. If the thickness exceeds 40 占 퐉, problems such as residual solvent may occur. From such a viewpoint,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3 to 25 mu m.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retarder to each other preferably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DEG C, preferably 0.15 to 10 MPa at 23 DEG C and 80 DEG C, Is preferably taken.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is 0.15 MPa or more,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can be obtained even 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only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If it is 10 MPa or less, sufficient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retarder can be exhibited.

상기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위상차판이 1매인 경우 편광자와 위상차판 사이에 존재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 중 어느 한쪽이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면 되지만, 어느 쪽인가 하면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또한 그 감압 접착제층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mposite polarizing plate, when the retarder has one sheet, either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isting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retarder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utside the retarder contain the light-diffusing agent, and 23 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5 to 10 MPa at 0.1 to 10 MPa, preferably 23 to 80 MPa, preferably at 23 and 80 DEG C. In either cas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 C of 0.15 to 10 MPa, preferably at 23 ° C and 80 ° C of 0.15 to 10 MPa Do.

한편, 상기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위상차판을 2매 이용하는 경우 이들 2매의 위상차판은 제3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편광자와 위상차판 사이에 존재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 편광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 및 2매의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제층 중 어느 하나가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면 되지만, 어느 쪽인가 하면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 또는 2매의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제층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또한 그 감압 접착제층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composite polarizing plate, when two retardation plates are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se two retardation plates are laminated through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isting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retarder,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located farther from the polarizer, and the third pressure- Any one of them may be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and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 C of 0.15 to 10 MPa, preferably at 23 ° C and 80 ° C, of 0.15 to 10 MPa. Sensitiv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retarder to the retarder, or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two retarders to each oth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0.15 to 10 MPa, It is preferable to exhibit a storage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占 폚 and 80 占 폚.

이러한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은 피착체에 첩합될 때까지 취급이 편리한 점에서 그 노출면에 실리콘계 등의 박리제로 처리되어 있는 박리 필름을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located farthest from the polarizer is treated with a releasing agent such as a silicone material on the exposed surface in view of convenience in handling until the object adheres to the adherend It is preferable that a release film is present.

본 발명의 적층 광학 부재는 위에서 특정한 복합 편광판의 어느 하나와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의 예로서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안티글래어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 또 반사층, 반투과 반사층,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The laminated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laminate of any one of the above specific composite polarizing plates and an optical layer exhibiting different optical functions. Examples of the optical layer exhibiting other optical functions include a surface treatment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antiglare layer, and a reflective layer, a transflective layer, and a luminance enhancement film.

예를 들어 상기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층의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에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안티글래어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층의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에 반사층 또는 반투과 반사층을 형성하여 반사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 복합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층의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에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통하여 휘도 향상 필름을 첩합시켜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재이용이 가능한 복합 편광판으로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 surface treatment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antiglar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in contact with the polarizer. 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described above, a reflective layer or a transflect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in contact with the polarizer to form a reflective polarizer or a transflective polarizer. Further, in the above-mention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capable of reu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by bonding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with an adhesive or a pressure- You may.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와, 액정 셀이나 유기 EL 소자와 같은 화상 표시 소자를 구비하는 것이다. 화상 표시 소자의 적어도 한측에, 상기한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가 배치된다. 통상은 상기한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에서의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된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이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가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된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the image display element such as the liquid crystal cell or the organic EL element. The above-mention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laminated optical member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Normally,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is bonded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through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utside the retarder located farthest from the polarizer 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laminated optical member.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의 한쪽 면에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위상차판을 적층하고 있기 때문에 부재 매수가 저감되어 박형 경량화되고 있다. 또, 이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에는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또한 그 광 확산제가 들어간 감압 접착제층을 23℃,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소정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시인성도 뛰어난 것이 된다.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tarder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number of members is reduced and the thickness is reduce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existing betwee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olarizer includes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light-diffusing agent is composed of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predetermined storage modulus at 23 占 폚, preferably 23 占 폚 and 80 占 폚, so that it has high durability and excellent visibility .

또한, 본 발명의 적층 광학 부재는 상기의 복합 편광판에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서 역시 박형 경량인 구성이며, 또한 내구성 및 시인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는 두께가 얇고 내구성 및 시인성도 뛰어난 화상 표시 장치를 공급한다.Further,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laminating an optical layer exhibiting another optical function on the above-mention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is also a thin and lightweight structure,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visibility. Such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laminated optical member provides an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thin in thickness and excellent in durability and visi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4-11 및 비교예 4-5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에서 (A)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또 (B)는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각각 히트 쇼크 시험 후의 샘플을 편광자의 투명 보호층 측에서 본 확대 사진이다.
도 9는 종래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produc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constitution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produced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produced in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3.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constitution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produced in Example 4-11 and Comparative Example 4-5.
8 (A)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btained in Example 2, and (B) is an enlarged image of a sample after heat shock test for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2, as viewed from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side of the polarizer.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mposite polarizing plate.

이하, 적절히 첨부의 도면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ppropriate.

[복합 편광판][Composite Polarizer]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을 배치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위상차판(5)을 적층하고, 또한 위상차판(5)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하여 복합 편광판(11)으로 한다. 위상차판(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의 외측에는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될 때까지 그 표면을 가착 보호하는 박리 필름(9)이 설치되는 것이 통례이다. 위상차판(5)을 복수 매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그런 경우에도 편광자(1)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한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 and a retarde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through a first pressure- 5 is lamin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5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5 to form the composite polarizer 11. The release film 9 is usu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5 to adhere and protect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until it is adher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Although the retardation plate 5 can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s,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is disposed outside the retardation plate located farthest from the polarizer 1 in this case.

그리고 편광자(1)와 위상차판(5)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위상차판(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한다. 저장 탄성률은 통상,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점감(漸減)되므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모두 상기 범위에 들어가 있으면 이 범위의 온도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joining the polarizer 1 and the retardation plate 5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located outside the retardation plate 5, At least one layer of the adhesive layer is composed of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and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DEG C and 0.15 to 10 MPa, preferably 23 DEG C and 80 DEG C. Sinc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generally decreases (gradually de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deg. C and 80 deg. C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can be regarded a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the temperature within this rang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5)이 1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제2 감압 접착제층(7)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와 같이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면 된다. 이 경우 가장 광 확산 효율을 올려 시인성이 좋은 복합 편광판을 얻는 관점에서는 편광자(1)의 투명 보호층(2)과 접하는 면과 반대측 면에 배치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그 감압 접착제층(6)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중에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고,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는 관점에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을 0.1~20㎛로 하고, 이 층의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상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것은 위상차판(5)을 통하여 설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즉, 액정 셀은 고가이기 때문에 복합 편광판을 붙여 손상시켰을 경우에는 박리하여 액정 셀을 재이용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 이 경우에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구성의 복합 편광판이면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재박리성의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어 복합 편광판의 시인성과 재박리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 박형의 화상 표시 장치가 요망되고 있기 때문에 액정 셀의 유리 표면을 연삭하여 박형화를 도모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유리 표면이 조면화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조면화한 유리면에 첩부(貼付)하는 경우에도 제1 감압 접착제층(6)의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을 방지하면서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조면(粗面)을 매입하는 것이 가능한 추종성이 높은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위상차판(5)의 외측에 배치되고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되는 측의 제2 감압 접착제층(7)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그 감압 접착제층(7)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해당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은 첩합했을 경우에 양호한 내구성을 나타내어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중에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으며, 또한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을 수 있는 관점에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을 0.1~20㎛로 하고, 이 층의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1,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contains a light-diffusing agent as described above, 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0.15 to 10 MPa, preferably at 23 ° C and 80 ° C, of 0.15 to 10 MPa. In this cas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best visibility by increasing the light diffusion efficiency most, a light diffusing agent is applied to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olarizer 1 opposite to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preferably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 C of 0.15 to 10 MPa, preferably at 23 ° C and 80 ° C, of 0.15 to 10 MPa.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uniform brightness for a long time with no luminance unevenness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no foaming occurs in the adhesive layer even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light-diffusing press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0.1 to 20 탆,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of the layer is 0.3 to 10 MPa and the haze value is 5% or more,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and 80 캜 i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3 to 10 MPa.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made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o that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provided through the retarder 5 can be freely designed. That is, since the liquid crystal cell is expensive, there is a desire to reuse the liquid crystal cell by peeling whe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damaged. In this case, i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can be a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eelability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ince a thi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is desired, there is a case where the glass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ground to reduce the thickness, but in this case, the glass surface becomes roughene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is prevented from being blurred or unclear due to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is adhered to such a roughened glass surfac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high followability capable of embed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e., the roughened surface).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the light-diffusing agent is contained in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tardation plate 5 and adhered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or the like, 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0.15 to 10 MPa, preferably at 23 DEG C and 80 DEG C, of 0.15 to 10 MPa. In additio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s good durability in the case of bonding, so that no foaming occurs in the adhesive layer even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brightness for a long time,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such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diffusing agent in this layer is 0.1 to 20 μm,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 C. is 0.3 to 10 MPa, Value is preferably 5% or more,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占 폚 and 80 占 폚 is 0.3 to 10 MPa.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위상차판(4)과 제2 위상차판(5)이 이용되고 있으며, 양 위상차판은 제3 감압 접착제층(8)을 통하여 적층되고 있다. 즉 이 예에서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을 배치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제1 위상차판(4)을 적층하고, 그 외 측에 제3 감압 접착제층(8) 및 제2 위상차판(5)을 순서대로 적층하며, 또한 제2 위상차판(5)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하여, 복합 편광판(12)으로 하고 있다. 위상차판을 3매 이상 적층하는 경우도 각각의 위상차판은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위상차판(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의 외측에는 통상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시킬 때까지 그 표면을 가착 보호하는 박리 필름(9)이 설치되는 것은 도 1에 나타낸 예와 같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drawing, the first retardation plate 4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5 are used, and both of the retardation plates are laminated via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That is, in this example,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 and the first retarder 4 is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via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5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outer side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5 ,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12). Even when three or more phase difference plates are lamin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pective retardation plates are laminated through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located outside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5 is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9 for adhering and protecting the surface thereof until it is usually adhered to an image display element or the like. It is the same as the example shown.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편광자(1)와 제1 위상차판(4)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 제2 위상차판(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 및 제1 위상차판(4)과 제2 위상차판(5)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제층(8)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한다. 이 경우, 가장 광 확산 효율을 올려 시인성이 좋은 복합 편광판을 얻는 관점에서는 차례대로 투명 보호층(2), 편광자(1), 제1 감압 접착제층(6), 위상차판(4), 제3 감압 접착제층(8), 위상차판(5), 제2 감압 접착제층(7), 박리 필름(9)으로 적층된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제1 감압 접착제층(6), 또는 제3 감압 접착제층(8) 중 어느 하나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이 감압 접착제층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중에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고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는 관점에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을 0.1~20㎛로 하고, 이 층의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제1 감압 접착제층(6) 또는 제3 감압 접착제층(8)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것은 액정 셀 등에 첩합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즉, 액정 셀은 고가이기 때문에 복합 편광판을 붙여 손상시켰을 경우에는 박리하여 액정 셀을 재이용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 이 경우에 제1 감압 접착제층(6) 또는 제3 감압 접착제층(8) 중 어느 하나를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구성의 복합 편광판이면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재박리성의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어 복합 편광판의 시인성과 재박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박형 화상 표시 장치가 요망되고 있는 것으로 인하여 액정 셀의 유리 표면을 연삭하여 박형화를 도모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유리 표면이 조면화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조면화한 유리면에 첩부하는 경우에도 제1 감압 접착제층(6) 또는 제3 감압 접착제층(8)의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을 방지하면서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조면을 매입하는 것이 가능한 추종성이 높은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편광자(1)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5)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 또는 2매의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제층(8)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켜 그 감압 접착제층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해당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은 첩합했을 경우에 양호한 내구성을 나타내어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안에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는 관점에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을 0.1~20㎛로 하고,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고, 또한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2,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for bonding the polarizer 1 and the first retardation plate 4,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located outside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5, , And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for bonding the first retardation plate (4)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5) contain a light-diffusing agent and have a thickness of 0.15 to 10 MPa 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storage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占 폚 and 80 占 폚.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the polarizer 1,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the retarder 4,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third pressure- 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aminated with the adhesive layer 8, the retarder 5,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and the release film 9,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s a light-diffusing agent in any one of the adhesive layers (8),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light diffusing property which exhibit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 C of 0.15 to 10 MPa, preferably at 23 ° C and 80 ° 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uniform brightness without a brightness unevenness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us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占 폚 is preferably 0.3 to 10 MPa and the haze value is preferably 5% or more,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占 폚 and 80 占 폚 is preferably 0.3 to 20 占 퐉, 10 MPa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use of any one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or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as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freely design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It is also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That is, since the liquid crystal cell is expensive, there is a desire to reuse the liquid crystal cell by peeling whe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damaged. In this case, if any of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or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 is a light diffus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It is possible to make both the visibility and re-peelability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n addition, thin-film image display apparatuses are demanded to grind the glass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o achieve thinness. In this case, however, the glass surface is roughened. Sensitive adhesive layer (6) or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is prevented from being blurred or unclear due to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high followability capable of embedding the roughened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5 located farther from the polarizer 1 or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is preferably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and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 C at 0.15 to 10 MPa, preferably 23 ° C and 80 ° C . In additio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s good durability in the case of bonding, so that no foaming occurs in the adhesive layer even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In the image display devic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brightness for a long time,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ferably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diffusing agent in this layer of 0.1 to 20 탆,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of 0.3 to 10 MPa, a haze value of 5% ,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se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占 폚 and 80 占 폚 to 0.3 to 10 MPa.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배치되고, 위상차판(5 또는 4)과 접합하기 위한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편광자(1)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5)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포함하여 양 위상차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에는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있다. 광 확산제를 함유하는 감압 접착제를 배치함으로써 그 복합 편광판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및 경사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가 확보되고 또한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그 광 확산제가 들어간 감압 접착제층을,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라고 하는 비교적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그 복합 편광판 혹은 그것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고온 환경에 노출되거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거나 했을 때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해당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은 첩합했을 경우에 양호한 내구성을 나타내고,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중으로부터의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으며, 또한 해당 복합 편광판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는 휘도 불균일이 없고,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를 평균 입경 0.1~20㎛인 것으로 하고,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이 층의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1 for bonding with the retarder 5 or 4, and the retarder plate located farthest from the polarizer 1 Sensitive adhesive layer (7)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 and at least on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existing between the two retardation plates contains a light-diffusing agent. By dispo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the light-diffusing agent, the brightness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applied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from the oblique direction is ensured, and blurring or unclearness on the display becomes less likely to occu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light-diffusing agent is composed of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a relatively high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 C and 0.15 to 10 MPa, preferably 23 ° C and 80 ° C have. This makes it possible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hen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r repeatedly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s good durability in the case of bonding, does not cause foaming from occurring in the adhesive layer even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that there is no luminance unevenness and uniform brightness can be obtained for a long time,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light diffusing agent in this lay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20 μm and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 C. of 0.3 To 10 MPa, and the haze value of this layer is preferably 5% or more, more preferably 0.3 to 10 MPa at 23 占 폚 and 80 占 폚.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1)의 한쪽 면에 직접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배치하고, 거기에 위상차판(5 또는 4)을 첩합한다. 그 때문에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층이 첩착되어 있는 종래의 편광판에 비해 고온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의 편광자(1)의 신축을 억제하는 힘이 작다. 따라서, 편광자(1)와 위상차판(5 또는 4)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은 광 확산제의 유무에 관계없이 그 저장 탄성률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사이의 값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감압 접착제층(6)을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경우는 이 층의 광 확산제를 평균 입경 0.1~20㎛로 하고,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이 층의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편광자(1)와 위상차판(5 또는 4)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저장 탄성률의 높은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복합 편광판 또는 그것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의 혹은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의 편광자(1)의 신축에 수반하는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direct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 and the retarder 5 or 4 is bonded thereto.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is adhered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the force to suppres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larizer 1 when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s small. Therefor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which bonds the polarizer 1 and the retarder 5 or 4,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占 폚 of 0.15 to 10 MPa, preferably 23 Deg.] C and 80 [deg.] C, respectively.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light diffusing agent of this lay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20 μm,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 C. of 0.3 to 10 MPa, The haze value of this layer is preferably 5% or more,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and 80 캜 is particularly preferably 0.3 to 10 MPa.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for bonding the polarizer 1 and the retarder 5 or 4 is made to have a high storage elastic modulus, when the composite polarizer or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mensional change accompanying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polarizer 1 when the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low-temperature environment are repeated.

이하,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편광자][Polarizer]

편광자(1)는 입사하는 자연광으로부터 직선편광을 꺼내는 기능을 가지는 필름이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편광자(1)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외, 아세트산 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아세트산 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추가로 변성되어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5,000 정도이다.The polarizer 1 is a film having a function of extrac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from incident natural light. Specifically,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used.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er (1) can be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and the like. Other monomers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include, for exampl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further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may be use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1,000 to 10,000, preferably about 1,500 to 5,000.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자(1)의 원반(原反) 필름으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150㎛ 정도이다. 연신의 용이함 등도 고려하면, 그 막 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 film of su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ed as a raw film of the polarizer 1. The method of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film formation can be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The thickness of the original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about 1 to 150 mu m. Considering ease of stretching, etc.,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10 占 퐉 or more.

편광자(1)는 이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이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물 세정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2색성 색소로는 요오드나 2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The polarizer 1 is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 step of s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to adsorb the dichroic dye, a step of dying the polyvinyl alcohol- A step of treating the alcoholic resin film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a step of washing the aqueous solution with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s the dichromatic dy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is used.

[투명 보호층][Transparent protective layer]

편광자(1)의 한쪽 면에는 투명 보호층(2)이 배치된다. 이 투명 보호층(2)에는 적절한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성이나 균일한 광학 특성, 기계 강도, 열 안정성 등이 뛰어난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나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필름, 폴리술폰계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노르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1)와 투명 보호층(2)의 접착에는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disposed. A suitable resin film may be used fo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Specifically, a film made of a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uniform optical characteristics,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etc. is preferably used. For example, cellulose-based resin films such as triacetylcellulose and diacetyl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 film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 [m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a polycarbonate resin film, a polyether sulfone resin film, a polysulfone resin film, a polyimide resin film, a polyolefin resin film, a norbornene, And cyclic olefin based resin films made of monomers.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used for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1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투명 보호층(2)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防眩層) 등의 표면 처리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편광판 표면의 손상 방지를 위해서 형성되는 것이며 주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계나 실리콘계 등의 수지로부터 투명 보호층(2)과의 밀착성이나 경도가 뛰어난 것이 적절히 선정되어 투명 보호층(2)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편광판의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방현층은 편광판의 표면에 외광이 비쳐 발생하는 시인성의 저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샌드 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 등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투명 미립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식 등에 의해 투명 보호층(4)의 표면에 요철 구성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 surface treatment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antiglare layer (antiglar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as necessary.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from being damaged. The hard coat layer is appropriately selected from a resin such as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type resin, for example, acrylic or silicone resin having excellent adhesion and hardness to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2 can be formed. The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can be formed by a known method. In addition, the antiglare layer is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from being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the antiglare layer may be formed by a roughening method such as a sand blast method or an embossing method, It is generally formed to have a concavo-convex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4 by a method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위상차판][Retardation plate]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설치하고 거기에 적어도 1매의 위상차판(5 및/또는 4)를 첩착한다. 위상차판(4, 5)은 먼저 투명 보호층(2)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각종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위상차판으로서 요구되는 특성, 즉 그 복굴절이 광학적으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게 선택되어 편광자(1)의 보호 기능 및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의 보상(시야각 보상의 의미도 포함함) 등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된다. 그 예로서 종래부터 화상 표시 장치에 채용되어 온 것을 한정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 투명 수지의 연신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굴절성 필름, 디스코틱(Discotic) 액정이나 네마틱(Nematic) 액정이 배향 고정된 필름, 기재 필름 상에 이와 같은 액정층이 형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 위에 액정층을 고정하는 경우, 배향 액정층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nd at least one retardation plate 5 and / or 4 is attached thereto. The retardation plates 4 and 5 may be first made of various transparent resin films as exemplified as the resin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and in particular, the retardation films 4 and 5 may have properties required as retardation plates, Is preferably selected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polarizer 1 and compensating the phase difference due to the liquid crystal cell (including the meaning of the viewing angle compensation). As examples thereof,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a birefringent film made of stretched films of various transparent resins, a discotic liquid crystal, a film in which a nematic liquid crystal is aligned and fixed , And those in which such a liquid crystal layer is formed on a base film. When a liquid crystal layer is fixed on a base film, a cellulose resin film such as triacetyl cellulose is preferably used as a base film for supporting the aligned liquid crystal layer.

복굴절성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알릴레이트계, 폴리아미드계, 노르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필름은 1축이나 2축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한 것이어도 된다. 또, 열수축성 필름과의 접착하에 수축력 및/또는 연신력을 가함으로써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굴절성 필름도 이용할 수 있다.As the resin for forming the birefringent film, for example, a resin such as a polycarbonate-based resi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 polystyrene-based resin, a polymethylmethacrylate-based resin and a polypropylene- And cyclic polyolefins based on the same cyclic olefin as the monomer. The stretched film may be processed in a suitable manner such as a single-axis or a double-axi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irefringent film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s controlled by applying a shrinking force and / or a stretching force under adhering to the heat-shrinkable film.

위상차판으로는 특히 모바일 용도의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는 파장판(λ/2판 또는λ/4판)이 유효하게 이용된다.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은 입사하는 편광이 직선편광인 경우는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으로, 입사하는 편광이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인 경우는 직선편광으로 바꾸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을 직선편광으로, 직선편광을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으로 바꿀 수 있는 위상차판으로서, 가시광의 어떤 파장 λ에 대해 1/4 파장의 면내 위상차를 부여하는 λ/4판으로 불리는 것이 사용된다. 또, 가시광의 어떤 파장 λ에 대해 1/2 파장의 면내 위상차를 부여하는 λ/2판은 직선편광의 방향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λ/4판으로는 예를 들어 면내 위상차가 90~160㎚ 정도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λ/2판으로는 예를 들어 면내 위상차가 200~300㎚ 정도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As the retarder, a wavelength plate (lambda / 2 plate or lambda / 4 plate) capable of forming a compound polarizing plate of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mode, which is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mobile use, is effectively used. The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s a function of converting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when incident polarized light is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changing it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when incident polarized light is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A retardation plate capable of changing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to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linearly polarized light to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which is called a? / 4 plate which gives an in-plane retardation of 1/4 wavelength to a certain wavelength? Is used. The? / 2 plate which gives an in-plane retardation of 1/2 wavelength to a certain wavelength? Of visible light has a function of rotating the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As the? / 4 plate, for example, an in-plane retardation of about 90 to 160 nm can be used. As the? / 2 plate, for example, an in-plane retardation of about 200 to 300 nm can be used.

또한, 상기의 타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의 복굴절에 의해 생기는 착색 현상을 방지하는 경우 등에도 유효하고,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은 반사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휘도 향상의 목적 등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은 반사 방지 기능도 갖는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lliptically polariz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a coloring phenomenon caused by birefringence of a liquid crystal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n a circularly polarized light mode is effective for a reflection type or transflective type image displa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uminance in the display device. The composite polarizer in the circularly polarized mode also has an antireflection function.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을 1매로 구성하는 경우, 바람직한 위상차판(5)으로서 λ/4판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자(1)와 λ/4판(5)은 전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후자의 지상축(遲相軸)이 약 45° 또는 약 135°가 되도록 적층함으로써 이 복합 편광판(11)은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한다.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constituting one retardation plate, a preferable retardation plate 5 is? / 4 plate. In this case, the polarizer 1 and the lambda / 4 plate 5 are laminated so that the latter slow axis is about 45 DEG or about 135 DEG with respect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former, And functions as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을 2매로 구성하는 경우, 바람직한 위상차판의 조합으로서 편광자(1)측에 배치되는 제1 위상차판(4)이 λ/2판이며, 편광자(1)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는 제2 위상차판(5)이 λ/4판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편광자(1)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제1 위상차판인 λ/2판(4)의 지상축이 약 15°, 그리고 제2 위상차판인 λ/4판(5)의 지상축이 약 75°가 되도록, 혹은 제1 위상차판인 λ/2판(4)의 지상축이 약 75°, 그리고 제2 위상차판인 λ/4판(5)의 지상축이 약 195°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 복합 편광판(12)은 넓은 파장역에 걸쳐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된다.2, the first retardation plate 4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olarizer 1 as a combination of the retardation plates is a lambda / 2 plate, and the polarizer 1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5 disposed on the far side is a? / 4 plate. In this case,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1, the slow axis of the? / 2 plate 4 as the first retardation plate is about 15 占 and the retardation axis of the? / 4 plate 5 Or the slow axis of the? / 4 plate 5 as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is about 75 占 and the slow axis of the? / 2 plate 4 as the first retardation plate is about 75 deg. 195 degrees,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2 functions as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over a wide wavelength range.

[감압 접착제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편광자(1)와 위상차판(5 또는 4)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5)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 또, 위상차판을 2매 이상 이용하는 경우에 각각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층(8)은 점착성 베이스 폴리머(점착성 수지라고도 함)를 가지는 점착성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은 점착성 수지와 광 확산제를 함유하는 점착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다. 또한, 점착성 재료로 이루어진 층(이하, 점착성 재료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그대로 감압 접착제층을 이루는 경우도 있으며, 점착성 재료층에 대해 열, 혹은 자외선,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을 인가함으로써 감압 접착제층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for bonding the polarizer 1 and the retarder 5 or 4,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5 located farthest from the polarizer, , And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to be bonded to each other when two or more retardation plates are used may be compos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polymer (also referred to as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he first layer is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f a viscous material containing a viscous resin and a light-diffusing agent.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 layer mad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lternatively, by applying heat or an energy ray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rays to the pressure- Layer.

점착성 베이스 폴리머(점착성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또,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 등이라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뛰어난 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 점착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점착성 수지로는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A)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양쪽 모두를 의미하며 다른 유사 용어도 이와 같다.Specific examples of the adhesive base polymer (adhesive resin) include base polymers such as acrylic, rubber, urethane, silicone, and polyvinyl ether. It may also be an energy line curing type, a thermosetting type or the like. Of these, a tacky resin having an acrylic resin as a base polymer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is preferable. Specifically, the tacky resin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acrylic copolymer (A) and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B) . (A) acrylic copolymers include (meth) acrylic acid ester copolymers. Here, (meth) acrylic acid means both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and other similar terms are also the same.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는 각종 가교 방법에 따라 가교가 가능한 가교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가교점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종래 점착제의 수지 성분으로서 관용되고 있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As the (meth) acrylic acid ester-based copolymer, those having crosslinking points capable of crosslinking according to various crosslinking methods are preferably used. The (meth) acrylic ester-based copolymer having such a crosslinking poi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of the (meth) acrylic ester-based copolymers conventionally used as the resin compon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이와 같은 가교점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는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원하는 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여기서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펜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데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메타)아크릴산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팔미틸, (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meth) acrylate-based copolymer having such a crosslinking point include (meth) acrylic acid esters in which the alkyl moiety of the ester moiety has 1 to 20 carbon atoms, monomers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 the molecule and other monomers Are preferably used.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in which the alkyl moiety of the ester moiety has 1 to 20 carbon atoms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dicyclohexyl (meth) acrylate, cyclohex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stear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한편,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관능기로서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모노알킬아미노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 the molecule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one of hydroxyl group, carboxyl group, amino group and amide group as a functional group,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ic acid such as hydroxypropyl,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3-hydroxybutyl Hydroxyalkyl esters; Acrylamides such as N-methyl (meth) acrylamide, N-methyl (meth) acrylamide and N-methylol (meth) acrylamide; (Meth) acrylic acid monoalkylamino esters such as mono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mono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monomethylaminopropyl (meth) acrylate and monoethylaminopropyl (meth) acrylate;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rotonic acid,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citraconic acid. These mono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해당 점착성 수지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그 공중합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랜덤, 블록,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 분자량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50만 이상인 것이 통상 이용된다.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이면 피착체와의 밀착성이나 접착 내구성이 충분해져서 들뜸이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밀착성 및 접착 내구성 등을 고려하면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만~22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만~2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값이다.In the adhesive resin, the copolymerization type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based copolymer used as the component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of random, block and graft copolymers. As the molecular weight,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0 or more is usually used. If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is 500,000 or more, adhesion with the adherend and adhesion durability are sufficient, so that lifting or peeling does not occur. In consideration of adhesion and adhesion durability,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preferably from 600,000 to 2,000,000, and more preferably from 700,000 to 2,000,000.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 polystyrene reduced value measured by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또한, 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0.01~1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0.01 중량% 이상이면 후술하는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가교가 충분해져서 내구성이 양호해진다. 한편, 10 중량% 이하이면 가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에 따른 액정 유리 셀이나 위상차판에 대한 첩합 적성의 저하가 없어 바람직하다. 내구성과 액정 유리 셀이나 위상차판에 대한 첩합 적성 등을 고려하면 이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단위의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05~7.0 중량%이며, 특히 0.2~6.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A) 성분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1종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In the (meth) acrylic ester-based copolymer,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 the molecul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10% by weight. When the content is 0.01% by weight or more, crosslinking is sufficient by reaction with a crosslinking agent described later, and durability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10% by weight or less, the degree of crosslinking is excessively high, so that the compatibility with the liquid crystal glass cell or the retarder is not deteriorated. In view of durability and compatibility with the liquid crystal glass cell or retardation plate,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more preferably 0.05 to 7.0%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ably 0.2 to 6.0% by we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of the component (A)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해당 점착성 수지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는 분자량 1000 미만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As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used as the component (B) in the adhesive resin,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mon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1,000 is preferably used.

이 분자량 1000 미만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의 2관능형;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 관능형;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1,000 include 1,4-butanediol di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adipate di (meth) acrylate, hydroxypivalic acid neopentyl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dicyclopentanyl di (meth) Caprolactone-modified dicyclopentenyl di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di (meth) acrylate, di (acryloxyethyl) isocyanurate, allylcyclohexyl di (meth) acrylate, dimethyloldicyclo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dihydroxy phthalic acid di (meth) 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modified trimethylene Propane di (meth) acrylate, adamantane di (meth) acrylate, 9,9-bis [4- (2-oxy-acrylic) phenyl] fluorene such as the bifunctional type; (Meth) acrylate, propylene oxide-modified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ropylene oxide-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 ) Acrylate, and tris (acryloxyethyl) isocyanurate; Tetrafunctional types such as diglycerin tetra (meth) 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Pentafunctional type such as propionic acid-modified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And hexafunctional types such as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nd caprolactone-modifie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되지만 이들 중에서 골격 구조에 환상 구조를 가지는 것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구조는 탄소환식 구조라도 되고 복소환식 구조라도 되며, 또 단환식 구조라도 되며 다환식 구조라도 된다. 이와 같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것,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 디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Among them, those containing a cyclic structure in the skeleton structure are preferred. The cyclic structure may be a carbon-cyclic structure, a heterocyclic structure, a monocyclic structure or a polycyclic structure. Examples of such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include those having an isocyanurate structure such as di (acryloxyethyl) isocyanurate and tris (acryloxyethyl) isocyanurate; Cyclopentane diacrylate, ethylene oxide-modified hexahydrophthalic acid di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acrylate, neopentyl glycol-modified trimethylolpropane diacrylate, and adamantane diacrylate.

또, (B) 성분으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As the component (B),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crylate oligomer can be used. Examples of such acrylate oligomers include polyester acrylate, epoxy acrylate, urethane acrylate, polyether acrylate, polybutadiene acrylate, and silicone acrylate.

여기서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시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 환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하여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이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부분적으로 2염기성 카르복시산 무수물로 변성한 카르복실 변성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도 이용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include a polyester oligomer obtained by esterifying a hydroxyl group of a polyester olig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t both ends with condensation of a polyhydric carboxylic acid and a polyhydric alcohol with (meth) acrylic acid, or by alkylating an alkylene oxide with a polyvalent carboxylic acid And esterifying the terminal hydroxyl group of the oligomer obtained in addition with (meth) acrylic acid. The epoxy acrylate oligome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reacting (meth) acrylic acid with an oxirane ring of a relatively low molecular weight bisphenol type epoxy resin or novolak type epoxy resin to effect esterification. A carboxyl modified epoxy acrylate oligomer obtained by partially modifying the epoxy acrylate oligomer with a dibasic carboxylic acid anhydride may also be used.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esterifying a polyurethane oligomer obtained by the reaction of a polyether polyol or a polyester polyol with a polyisocyanate with (meth) acrylic acid, and the polyol acrylate oligomer is obtained by reacting a polyether polyol Of (meth) acrylic acid.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법으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값으로 5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40,000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이들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ate oligomer is preferably 50,000 or less, more preferably 500 to 50,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3,000 to 40,000 in terms of standard polystyrene measured by the GPC method. These acrylate oligo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에 있어서는 (B) 성분으로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기가 측쇄에 도입된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는 전술의 (A) 성분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설명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이용하고, 이 공중합체의 가교성 관능기의 일부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통상 50만~200만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mponent (B), an adduct acrylate-based polymer having a group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introduced into the side chain may be used. Such an adduct acrylate-based polymer is obtained by using a copolymer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meth) acrylic ester-based copolymer of component (A) and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 the molecule, (Meth) acryloyl group and a compound having a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on a part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dduct acrylate polymer is usually 500,000 to 2,000,000 in terms of polystyrene.

본 발명에 있어서는 (B) 성분으로서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중에서 적당히 1종을 선택하여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선택하여 병용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mponent (B), one typ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the acrylate-based oligomer and the adduct acrylate-based polymer, or two or more types may be selected and used in combination.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A) 성분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B) 성분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의 함유 비율은 얻어지는 감압 접착제층의 성능 면에서 중량비로 100:1~100:1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5~10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0~100:40의 범위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acrylic copolymer of the component (A) and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of the component (B) is preferably from 100: 1 to 100: 100 in terms of the weight ratio of the pressure- Preferably 100: 5 to 100: 50, and more preferably 100: 10 to 100: 40.

[광 확산제][Light diffusing agent]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광 확산제는 감압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성 수지와는 굴절률이 상이한 미립자이면 되고,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미립자나 유기 화합물(폴리머)로 이루어진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성 수지와 광 확산제와의 굴절률차는 통상 0.01 이상이며,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의 밝기나 시인성을 고려하면 0.01 이상 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면 점착성 수지의 굴절률이 통상 1.4 전후이기 때문에 광 확산제로서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미립자로서 하기의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The light diffusing agent contained in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 fine particle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fine particles made of an inorganic compound or fine particles made of an organic compound (polymer) can be used.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viscous resin and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usually 0.01 or more, and it is preferably 0.01 or more and 0.5 or less in consideration of the brightness and visibility in the image display device. Considering this, the following are preferable as fine particles composed of an inorganic compound or an organic compound used as a light diffusing agent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hesive resin is usually around 1.4.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굴절률 1.76), 산화규소(굴절률 1.45)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fine particles made of an inorganic compound include aluminum oxide (refractive index: 1.76), silicon oxide (refractive index: 1.45), and the like.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멜라민 비드(굴절률 1.57),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비드(굴절률 1.49),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비드(굴절률 1.50~1.59), 폴리카보네이트 비드(굴절률 1.55), 폴리에틸렌 비드(굴절률 1.53), 폴리스티렌 비드(굴절률 1.6), 폴리염화비닐 비드(굴절률 1.46), 에폭시 수지 비드(굴절률 1.5~1.6), 실리콘 수지 비드(굴절률 1.46) 등을 들 수 있다.(Refractive index: 1.57), polymethyl methacrylate beads (refractive index: 1.49), methyl methacrylate / styrene copolymer resin beads (refractive index: 1.50 to 1.59), polycarbonate beads 1.55), polyethylene beads (refractive index 1.53), polystyrene beads (refractive index 1.6), polyvinyl chloride beads (refractive index 1.46), epoxy resin beads (refractive index 1.5-1.6) and silicone resin beads (refractive index 1.46).

또한 점착성 수지의 (A)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선택했을 때는 에폭시 수지 비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비드, 실리콘 수지 비드가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대한 분산성이 뛰어나서 균일하고 양호한 광 확산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광 확산제로서 바람직하다. 또, 광 확산제로는 광 확산이 균일한 구상 또한 단분산성의 것이 바람직하다.When an acrylic copolymer is selected as the component (A) of the adhesive resin, epoxy resin beads, polymethyl methacrylate beads, and silicone resin beads are excellent in dispersibility in the acrylic copolymer and uniform and good light diffusibility can be obtain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as a light diffusing agent.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preferably spherical or monodispersed with uniform light diffusion.

이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은 0.1~20㎛의 범위이다. 평균 입경이 0.1㎛ 미만이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했을 경우의 광 확산성이 저하되어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고 균일한 밝기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한편, 평균 입경이 20㎛를 넘으면 화상의 콘트라스트에 악영향을 주며 또한 디스플레이의 화상 피치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번쩍임이 발생한다. 이상의 점에서 이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은 0.5~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1~7㎛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은 원심침강 광투과법으로 측정한 값이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in the range of 0.1 to 20 占 퐉.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0.1 占 퐉,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ight diffusibility in the case of using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reduced and uniform brightness is obtained without application of an unevenness of brightness Can not. 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exceeds 20 mu m, the contrast of the image is adversely affected, and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image pitch of the display, flashing occur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1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7 mu m. He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a value measured by a centrifugal sedimentation optical transmission method.

광 확산제의 배합량은 그것이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 필요하게 되는 헤이즈값나 그것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밝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는 감압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성 수지에 대해 1~4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30 중량%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 중량% 이상이면 휘도 불균일이 없고 균일한 밝기를 얻는다고 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한편 미립자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하이면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을 필요 이상으로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aze value required for the light 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it is blended and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compound is applied. Generally speaking,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40 w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to 30 wt%.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fine particles is less than 40% by weight, the adhesive strength to the adherend may be lowered more than necessary if the content of the fine particles is less than 40% by weight There is no.

또, 본 발명의 점착성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C) 성분으로서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가교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종래 아크릴계 점착성 수지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디알데히드류, 메틸올 폴리머, 아지리딘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알콕시드, 금속염 등을 들 수 있으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as the component (C), if necessary.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of conventional cross-linking agents in the acrylic adhesive resi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Examples of such a crosslinking agent include polyisocyanate compounds, epoxy resins, melamine resins, urea resins, dialdehydes, methylol polymers, aziridine compounds, metal chelate compounds, metal alkoxides and metal salts, Compounds are preferably used.

여기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그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나아가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isocyanate compound include aromatic poly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xylylene diisocyanate, aliphatic polyisocyanate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and hydrogenated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licyclic polyisocyanate and the like, and adducts and the like which are reaction products of buret and isocyanurate compounds, and furthermore, low molecular active hydrogen-containing compounds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trimethylol propane, .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 그 사용량은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A) 성분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01~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부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rosslinking ag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The amount to be used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rosslinking agent, but is usually 0.01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1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of the component (A).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D) 성분으로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액정 유리 셀 등에 첩합하는 경우에 감압 접착제층과 유리 셀 사이의 밀착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이 실란 커플링제로는 분자 내에 알콕시시릴기를 적어도 1개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감압 접착제 성분과의 상용성이 좋고, 또한 광 투과성을 가지는 것, 예를 들어 실질상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란 커플링제의 첨가량은 상기 (A) 성분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0.001~1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0.005~5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The adhesiv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as the component (D), if necessary. By containing this silane coupling agent, adhesion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cell is improved, for example, when the liquid-crystal glass cell or the like is attached.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preferably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alkoxysilyl group in the molecule, which has good compatibility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 and has optical transparency, for example, substantially transparent. The amou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to be added is preferably 0.00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0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of the component (A).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예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가지는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Specific examples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nclude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containing silicon compound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and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 Silane, silicon compounds having an epoxy structure such as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 (2-aminoethyl) Amino group-containing silicon compounds such as methoxysilane and N- (2-aminoethyl) -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and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점착성 재료에는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성 수지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연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dditives commonly used in acrylic adhesive resins such as a tackifier, an antioxi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 softening agent and the like may be added .

본 발명의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점착성 수지로서 상기 (B)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성 재료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진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을 이용하여 가교를 실시함으로써 이 감압 접착제층 전체를 일그러짐없이 순식간에 또한 균질하게 가교할 수 있으며 또, 본 발명의 저장 탄성률을 얻는데 있어서도 바람직하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rradiating actinic energy rays to a sticky material containing the component (B) as a tacky resin. Crosslinking is carried out by using an active energy ray, so that the entir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crosslinked in an instant and homogeneously without distortion, and is also preferable in obtain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ent invention.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고압 수은 램프, 무전극 램프, 크세논 램프 등에서 얻어지며, 한편 전자선은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는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광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일 없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include ultraviolet rays and electron rays. The ultraviolet ray is obtained from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n electrodeless lamp, a xenon lamp, etc., while the electron beam can be obtained by an electron beam accelerator or the like. Of these active energy rays, ultraviolet ray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n the case of using an electron beam,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formed without adding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해당 점착성 재료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으로는 후에 상술하는 저장 탄성률, 무알칼리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선정되지만, 자외선의 경우는 조도 50~1000mW/㎠, 광량 50~1000mJ/㎠, 전자선의 경우는 10~1000krad의 범위가 바람직하다.The irradiation energy of the active energy ray for the adhesive material is suitably selected so as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and an adhesive force for alkali-free glass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ultraviolet rays, the light intensity is 50 to 1000 mW / Cm < 2 > for electron beams, and 10 to 1000 krad for electron beams.

광 확산제가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복합 편광판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의 밝기를 확보하는 동시에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그 헤이즈값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90%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5%이다. 헤이즈값은 JIS K7105에 규정되어(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100(%)으로 나타나는 값이다.The light 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light diffusing agent preferably has a haze value of 5%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applied and making it difficult to cause blurring or unclearness on the display,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90%,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75%. The haze value is a value expressed by JIS K7105 (diffuse transmittance / total light transmittance) x 100 (%).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겔 분율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기 용매로 추출될 정도의 저분자량 성분이 적은 경우는 가열하나 온열하의 환경에서 들뜸이나 벗겨짐, 피착체에 대한 오염이 적고, 겔 분율이 60% 이상인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내구성이나 안정성이 높다. 겔 분율은 또한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99.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액정 유리 셀에 접착시킴으로써 제작한 화상 표시 장치는 고온 고습 환경하에서도 광 누출이 발생하기 어려운데다가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상당히 억제되고 있는 점에서도 뛰어나다. 또, 겔 분율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ferably has a gel fraction of 60% or more. That is, when the amou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enough to be extracted with an organic solvent is small, the light 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el fraction of 60% or more is less likely to be lifted or peeled off, adhered to the adherend, Is high. The gel fraction is also preferably 85% or more, more preferably 90 to 99.9%.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adhering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such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glass cell is difficult to cause light leakage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It is also excellent in that the degree of uncertainty is considerably suppressed. The method of measuring the gel fra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무알칼리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0.2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력이 0.2N/25㎜ 이상이면 편광판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충분한 점착력으로 예를 들어 액정 유리 셀에 첩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점착력은 1.0~50N/25㎜이다.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n adhesive force of 0.2 N / 25 mm or more to alkali-free glass. When the adhesive force is 0.2 N / 25 mm or more, an optical functional film such as a polarizing plate can be bonded to,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glass cell with sufficient adhesive force. A more preferable adhesive force is 1.0 to 50 N / 25 mm.

또,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점착력이 5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력이 5N/25㎜ 이상이면 예를 들어 편광판을 충분한 점착력으로 위상차판에 첩합할 수 있다. 또, 상기 점착력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force to polycarbonate is 5 N / 25 mm or more. If the adhesive force is 5 N / 25 mm or more,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can be bonded to the retarder with sufficient adhesive force.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80℃에서의 유지력이 70000초 후의 어긋남양(量)으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어긋남양이 200㎛ 이하이면 편광판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예를 들어 액정 유리 셀에 첩합했을 경우에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첩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어긋남양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어긋남양(유지력)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rably a displacement amount (amount) after maintaining the holding force at 80 캜 after 70000 seconds of not more than 200 탆. When the amount of misalignment is 200 m or les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good bonding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an optical functional film such as a polarizing plate is stuck to,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glass cell. The amount of this misalignment is more preferably 100 mu m or less. A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misalignment (holding for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광 확산제가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는 그 접착력 등에 따라 결정되지만 통상은 1~4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인 박형 복합 편광판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공성이나 내구성 등의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얇게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는 3~25㎛로 하는 것이 양호한 가공성을 유지하고,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며, 또 화상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나 경사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를 유지하여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mixed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like, but is usually in the range of 1 to 40 mu m. In order to form a thin composite polarizer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thinl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roperties such as workability and durability.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3 to 25 占 퐉, good workability is maintained, high durability is exhibited, and the brightness when vie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from the front or from the oblique angle is maintaine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difficult to cause blurring and unclearness.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Storage elastic modulus of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또 본 발명에서는 광 확산제가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4~3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이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JIS K7244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통상의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그것용의 광학 필름에 이용되고 있는 감압 접착제층은 그 저장 탄성률이 23℃에 있어서 겨우 0.1MPa 정도이며, 그에 비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0.15~10MPa는 높은 값이 된다. 이러한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즉 딱딱한 감압 접착제층을 이용함으로써 고온 환경하에 놓여졌을 때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의 응집력 부족을 보충할 수 있어 그 때에 발생하는 편광자의 수축에 수반하는 치수 변화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양호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하이면 점착력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the light-diffusing agent is incorporated exhibits a storage modulus of 0.15 to 10 MPa at 23 ° C, preferably 0.15 to 10 MPa at 23 ° C and 80 ° C. More preferably, it exhibits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4 to 3 MPa at 23 占 폚 and 80 占 폚.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valu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24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sed in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or optical film for use therein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about 0.1 MPa at 23 캜 and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5 to 10 MPa of the pressure- It becomes a high value. The use of a ha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such a high storage modulus can compensate for a lack of cohesion when the film is placed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or whe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nd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are repeated, and the dimensional change accompanying the contraction of the polarizer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That is, good durability can be obtained.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is 10 MPa or less, it is prefe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adhesive strength.

본 발명에서는 광 확산제가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을 상기와 같이 높게 유지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높은 저장 탄성률로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가 되는 점착성 수지를 이와 같은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성하면 된다.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을 이와 같은 높은 값으로 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성 수지로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성 재료에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이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odulus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maintained as high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order to achieve such a high storage modulus, the adhesive resin serving as a base may be constituted to exhibit such a high storage modulus. The means for sett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such a high valu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comprising (A) an acrylic copolymer and (B) an active energy ray- Ray is irradiated to cure it is preferable because a high storage elastic modulus is exhibited.

또, 편광자(1)와 위상차판(5 또는 4)를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은 광 확산제의 유무에 관계없이 바람직하게는 23℃에 있어서 0.15~10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 확산제없이 이와 같은 높은 저장 탄성률로 하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취할 수 있다.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for bonding the polarizer 1 and the retarder 5 or 4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preferably 0.15 to 10 MPa, more preferably 23 ° C. and 80 ° C., but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method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case where such a high storage elastic modulus is achieved without a light diffusing agent.

[감압 접착제층의 형성과 복합 편광판의 제작][Forma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oduction of composite polarizer plate]

감압 접착제층 또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편광자(1)의 표면이나 위상차판(5 또는 4)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매에 점착성 재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켜 10~40 중량%의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감압 접착제층이 형성되어야 할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의 표면에 직접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실리콘계 등의 이형제에 의한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박리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이나 상기와 같은 박리 필름 위에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에 전사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감압 접착제층을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의 표면에 형성할 때 필요에 따라서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의 감압 접착제층 형성면 및 감압 접착제층의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에 첩합되는 면 중 한쪽 또는 쌍방에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The method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 or on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plate 5 or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or ethyl acetate, A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material in an amount of 10 to 40% by weight is directly applied on the surface of a polarizer or retarder to be form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llowed by drying, and then a resin film treated with a releasing agent such as silicone Or a method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above-mentioned release film and then transfer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to a polarizer or a retarder can be adopt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or the retard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forming surface of the polarizer or retarder and on the polarizer or retarder of the pressure- For example, a corona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도 1에 나타내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배치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위상차판(5)을 1매만 적층하며, 또한 그 위상차판(5)의 외측에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하는 경우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첩합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이 설치된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을 준비하며, 또, 위상차판(5)의 한쪽 면에 제2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된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을 준비하여 양자를 제1 감압 접착제층(6)과 위상차판(5)이 겹치도록 적층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외에 예를 들어 위상차판(5)의 양면에 각각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제2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된 양면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을 준비하고, 이것과 편광자(1)의 한 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첩합된 편광판을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편광자(1)가 겹치도록 적층할 수도 있다.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 shown in Fig. 1 and a retarder 5 is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is disposed outside the retardation plate 5,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 retardation plate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vided with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tardation plate 5 was prepared, 1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retarder 5 overlap. In addition, for example, a retardation plate with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vided with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on both surfaces of a retardation plate 5 is prepared, It is also possible to laminat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adhered on one side so that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polarizer 1 overlap.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배치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제1 위상차판(4), 제3 감압 접착제층(8), 제2 위상차판(5) 및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차례차례 적층하는 경우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첩합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이 설치된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을 준비하며, 또 제1 위상차판(4)의 한쪽 면에 제3 감압 접착제층(8)이 설치된 제1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5)의 한쪽 면에 제2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된 제2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을 준비하여 이것들을 차례차례 제1 감압 접착제층(6)과 제1 위상차판(4)이 겹치도록 또 제3 감압 접착제층(8)과 제2 위상차판(5)이 겹치도록 각각 적층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외에 예를 들어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첩합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이 설치된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을 준비하며, 또 제2 위상차판(5)의 양면에 각각 제3 감압 접착제층(8) 및 제2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된 양면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을 준비하여,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1 감압 접착제층(6)과 양면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의 제3 감압 접착제층(8) 사이에 제1 위상차판(4)을 사이에 두고 적층하는 등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1 as shown in Fig. 2 and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1 is covered with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When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the second retarder 5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are laminated in orde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 A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vided with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nd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4,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rovided with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7 on one side of the second retardation film 5 were prepared and sequentially laminated with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 It is advantageous to laminate the first retardation plate 4 so that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5 overlap each other. In addition, for example, a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pared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is bonded to one surface of a polarizer 1 and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vided with a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on both surfaces of a second retardation plate 5 was prepared, (6) and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laminated with the first retardation plate (4) sandwiched therebetween.

이와 같이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기술에 의해 적층하면 된다. 그 예로는 첩합 롤 등을 이용하여 편광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직교 또는 평행이 되도록 적층하는 방법이나 편광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소정 각도가 되도록 적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의 편광 투과축과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하여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모드로 하는데 유효하게 이용된다.The method of laminating the polarizer and the retarder in this wa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laminated by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Examples thereof include a method of laminating the retardation plate so that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plate is orthogonal to or parallel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using a conjugation roll or a method of stacking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plate with respect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t a predetermined angle Method. In particular,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ly used to form a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an elliptic polarization mode by stacking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er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적층 광학 부재][Laminated Optical Member]

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그 사용시에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적층하여 적층 광학 부재로 할 수 있다. 다른 광학층의 예로서 먼저 투명 보호층(2)의 표면에 설치할 수 있는 층으로서 예시한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등의 표면 처리층 외, 반사층, 반투과 반사층, 확산층, 휘도 향상 필름, 집광판 등을 들 수 있다.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ptical layers showing different optical functions may be laminated to form a laminated optical member when used. Examples of other optical layers include a surface treatment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antiglare layer, which are exemplified as layers that can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a reflective layer, a transflective layer, , A light collecting plate, and the like.

반사형의 복합 편광판은 시인 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어 백라이트 등의 광원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를 박형화하기 쉽다. 또 반투과 반사형의 복합 편광판은 밝은 곳에서는 반사형으로 하고 어두운 곳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을 이용하는 투과형으로 하여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반사형 복합 편광판으로 하기 위한 반사층은 예를 들어 편광자(1) 위의 투명 보호층(2)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箔)이나 증착막을 부설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반투과 반사형의 복합 편광판으로 하기 위한 반투과 반사층은 상기의 반사층을 하프미러로 하는 방법이나 펄 안료 등을 함유하여 광 투과성을 나타내는 반사판을 투명 보호층(2)에 접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확산형 복합 편광판은 입사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게 한 것이며, 예를 들어 투명 보호층(2)에 매트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미립자 함유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 미립자 함유 필름을 접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의 광 확산층을 형성한다.The reflective polariz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reflects incident light from the viewer side and displays the reflected light, so that a light source such as a backlight can be omitted, so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made thin. Further, the transflectiv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type that displays a transmissive type using a light source such as a backlight in a dark place in a reflective mode in a bright place. The reflective layer for forming the reflective composite polarizing plate can be formed by laying a foil or a vapor-deposited film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on the polarizer 1, for example. The transflective layer for forming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transflective type may be formed by a method of making the reflective layer as a half mirror or a method of attaching a reflective plate exhibiting light transmittance to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can do. On the other hand, the diffusion type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s a function of diffusing incident light. For example, a method of applying a matte treatment to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a method of applying a fine particle-containing resin, A light diffusing layer having a micro concavo-convex structure is formed on the surface.

또한 반사 확산 양용의 복합 편광판은 예를 들어 확산형 복합 편광판의 미세 요철 구조면에 그 요철 구조가 반영된 반사층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확산 반사층을 설치한 것이다.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지향성이나 번쩍임을 방지하고 명암이 고르지 못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을 갖는다. 또, 미립자를 함유한 수지층이나 필름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그 층을 투과할 때에 확산되어 명암이 고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등의 이점도 가지고 있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반사층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 이온 플레이팅, 스퍼터링 등의 증착이나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금속을 미세 요철 구조의 표면에 직접 부설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배합하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1~30㎛인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진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계 미립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for both reflection and diffusion is provided with a diffusing reflective layer by, for example, providing a reflective layer reflecting the concavo-convex structure on the fine concavo-convex structure surface of the diffusive composite polarizing plate. The reflective layer of the micro concavo-convex structur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diffuse the incident light by diffuse reflection to prevent directivity and glare, and to prevent the light and shade from becoming uneven. The resin layer or film containing fine particles also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at the incident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are diffused when they penetrate through the layer to prevent the light and shade from becoming uneven. The reflective layer reflecting the surface micro concavo-convex structure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laying the metal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micro concavo-convex structure by vapor deposition such as vacuum deposition, ion plating, sputtering, plating or the like. Examples of the fine particles to be blended for forming the surface micro concavo-convex structure include silica, aluminum oxide, titanium oxide, zirconium oxide, tin oxide, indium oxide, cadmium oxide, antimony oxide and the lik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30 탆 Based fine particles, crosslinked or uncrosslinked polymers, and the like can be used.

휘도 향상 필름은 입사하는 자연광의 일부를 직선편광 또는 원편광으로서 투과하고 나머지를 반사하여 재이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 휘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이용된다. 그 예로는 굴절률의 이방성이 서로 다른 박막 필름을 복수 매 적층하여 반사율에 이방성이 생기도록 설계된 반사형 직선편광 분리 시트,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기재 필름 위에 지지한 반사형 원편광 분리 시트 등을 들 수 있다.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part of incident natural light as linear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reflecting the remainder to be reused,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brightness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For example, a reflective linear polarized light separating sheet,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polymer oriented film, or an alignment liquid crystal layer thereof, which are designed so that a plurality of thin film films having different anisotropy of refractive index have different anisotropies, A supported reflection type circularly polarized light separation sheet, and the like.

집광판은 광로 제어 등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프리즘 어레이 시트(prism array sheet)나 렌즈 어레이 시트(lens array sheet) 혹은 도트 부설 시트 등으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light collecting plate is used for the purpose of optical path control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of a prism array sheet, a lens array sheet, a dot mounting sheet, or the like.

이상과 같은 각종 광학층의 일부는 도포나 증착 등에 의해 투명 보호층(2)의 표면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 필름상으로 준비되는 광학층은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합 편광판과 일체화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이용되는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접착 작업의 간편성이나 광학적 변형의 발생 방지 등의 관점에서는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 접착제의 예로는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감압 접착제층(6, 7, 8)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의 베이스 폴리머(점착성 수지)를 가지는 감압 접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뛰어나고 적당한 습윤성이나 응집력을 유지하여 기재와의 접착성도 뛰어나며 나아가서는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을 가져, 가열이나 가습 조건하에서 들뜸이나 벗겨짐 등의 박리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ome of the various optical layers as described above can be provid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by coating, vapor depositio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optical layer prepared as a film may be integrated with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be used for this purpo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suitable one may b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rom the viewpoints of simplicity of the bonding operation and prevention of occurrence of optical deformation. Exampl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e acrylic, rubber, urethane, silicone, polyvinyl ether, and other base polymers. Specifically, the same materials as those used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6, 7, 8) can be used first. In particular, it is excellent in optical transparency, such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n acrylic base polymer (adhesive resin), maintains appropriate wettability and cohesive force, and is also excellent in adhesion to a substrate. Further, it has weathe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use those which do not cause the peeling problem.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는 각종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하여 화상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셀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배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이용되는 액정 셀은 임의이며,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형으로 대표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인 것, 슈퍼 트위스티드 네마틱(Super Twisted Nematic)형으로 대표되는 단순 매트릭스 구동형인 것 등 여러 가지 액정 셀을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액정 셀의 양측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는 양면에 같은 것을 배치해도 되고 다른 것을 배치해도 된다.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image display elements to form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to form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quid crystal cell to be used may be any liquid crystal cell, for example, an active matrix driven type represented by a thin film transistor type, a simple matrix driven type represented by a super twisted nematic type, A display device can be formed. Whe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same or different one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1)으로부터 박리 필름(9)을 벗긴 상태의 것이 그 제2 감압 접착제층(7)측에서 액정 셀(30)의 한쪽 면(도면에서는 상측)에 첩착되고, 그리고 액정 셀(20)의 다른 면(도면의 하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위상차판(5)/제1 감압 접착제층(6)/편광자(1)/투명 보호층(2)의 순서로 적층되며(이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1)에 상당함), 또한 그 외측에 다른 광학층(18)이 적층된 적층 광학 부재(20)가 그 제2 감압 접착제층(7)측에서 첩착되어 있다. 이 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면의 상측이 시인 측이 되어 백라이트를 배치하는 경우는 도면의 하측에 백라이트가 설치된다. 이 경우의 다른 광학층(18)은 반사층, 반투과 반사층, 휘도 향상 필름, 집광판 등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1)을 액정 셀(30)과 조합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2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2)을 액정 셀과 조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로 하는 경우는 도 3에서의 복합 편광판(11)을 도 2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2)으로 바꿔놓으면 되는 것이 위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is example,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film 9 is peeled off from the composite polarizer 11 shown in Fig. 1 is adhered to one surface (upper side in the figure) of the liquid crystal cell 30 on the side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 Retardation plate 5 /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 polarizer 1 /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is state,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1 shown in Fig. 1), and the other optical layer 18 is lamin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20 is laminated on the second pressure- (7).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example, when the upper side of the drawing is the viewer side and the backlight is disposed, a backligh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In this case, the other optical layer 18 may be a reflection layer, a transflective layer,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 light collecting plate, or the like.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1 shown in Fig. 1 is combined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30. In the case where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2 shown in Fig. 2 is combined with a liquid crystal cell to form a liquid crystal display, It will be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1 of FIG. 2 is replaced with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2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평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반사 방지 기능을 가지는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모드에도 유효하게 이용된다. 물론,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가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는 여기에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urther,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ly used in a circular polarized light or an elliptic polarizing mode having an antireflection function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other than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n organic EL display apparatus. Of cours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herein.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 있어서 위상차값은 589㎚의 파장에서 측정한 값이며, 저장 탄성률, 점착력, 헤이즈값, 겔 분율, 유지력, 복합 편광판의 평가, 평균 입경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EXAMPLE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retardation value was a value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89 nm, and the storage modulus, adhesion, haze value, gel fraction, retentivity, evaluation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s Respectively.

(1) 저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1) Method of measuring storage elastic modulus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G')은 JIS K7244에 준거하여 8㎜φ×1㎜ 두께의 원기둥을 시험편으로 하고, REOMETRIC사제의 측정기 "DYNAMIC ANALYZER RDA Ⅱ"를 이용하여, 23℃ 및 80℃의 조건하에서 주파수 1Hz의 비틈 전단법으로 구하였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G ')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measured at a temperature of 23 deg. C and 80 deg. C using a measuring device "DYNAMIC ANALYZER RDA II" manufactured by REOMETRIC Co., Under the condition of a frequency of 1 Hz.

(2) 점착력(무알칼리 유리 및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점착력)(2) Adhesion (adhesion to alkali-free glass and polycarbonate)

복합 편광판(13)으로부터 25㎜ 폭, 100㎜ 길이의 샘플을 2개 잘라내고 박리 필름(9)을 벗겨(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 25㎛),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1737」]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판[데이진카세이사제 「퓨어 에이스 C110-100(상품명)」]에 첩부한 후, 쿠리하라 제작소제 오토클레이브에서 0.5MPa, 50℃, 20분간의 조건으로 가압하였다. 그 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하에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텍사제 텐시론)를 이용하여 박리 속도 300㎜/min,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을 점착력으로 하였다.Two samples of 25 mm wide and 100 mm long were cut out from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3 and the release film 9 was peeled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5 탆), alkali-free glass ("1737" Or a polycarbonate resin plate ("Pure Ace C110-100 (trade name)" manufactured by Daijin Kasei Co., Ltd.), and then pressed in an autoclave made by Kurihara Seisakusho under the conditions of 0.5 MPa and 50 ° C for 20 minutes. Thereafter, the sample was allowed to stand in an environment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for 24 hours, and then meas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using a tensile tester (Tensilon manufactured by Orientec Co., Ltd.) under the conditions of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 As an adhesive force.

(3)헤이즈값(3) Haze value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단독)상의 박리 필름을 박리 제거하고, JIS K7105에 준거하고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일본전색공업제 「NDH-2000」)를 이용하여 확산 투과율(Hd%)과 전광선 투과율(Ht%)을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The release film on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lone) was peeled off, and the diffuse transmittance (Hd%) and the total light ray (Hd%) were measured using an integral-dated light transmittance measuring device ("NDH- The transmittance (Ht%) was measured and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헤이즈값(%) = Hd/Ht×100Haze value (%) = Hd / Ht × 100

(4) 겔 분율(4) Gel fraction

두께 25㎛의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단독)을 80㎜×80㎜의 크기로 샘플링하여 박리 필름을 박리 제거한 후 폴리에스테르제 메쉬(메쉬 크기 200)에 싸서 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만의 무게를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였다. 이 때의 무게를 M1로 한다. 속슬렛(추출기)을 이용하여 아세트산에틸 용제에 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침지시키고 환류를 실시하여 16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꺼내어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 24시간 바람 건조시키고, 추가로 80℃의 오븐 중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만의 무게를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였다. 이때의 무게를 M2로 한다. (M2/M1)×100(%)으로 표시되는 값을 겔 분율로 한다.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lone) having a thickness of 25 占 퐉 was sampled at a size of 80 mm 占 80 mm to peel off the release film, wrapped in a polyester mesh (mesh size 200) Were weighed with a precision balance. The weight at this time is denoted by M1.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immersed in an ethyl acetate solvent using a Soxhlet (extractor) and refluxed for 16 hours. Thereafter,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taken out and air-dried for 24 hours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and further dried in an oven at 80 ° C for 12 hours. The weight of this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fter drying was weighed with a precision balance. The weight at this time is M2. (M2 / M1) x 100 (%) is defined as the gel fraction.

(5) 유지력(5) Retention force

복합 편광판으로부터 25㎜ 폭, 150㎜ 길이의 샘플을 잘라내고 박리 필름을 벗겨 25㎜×25㎜(면적)가 시험판에 접하도록 첩부한 후 샘플의 위로부터 2㎏의 롤러를 속도 300㎜/min로 한번 왕복시키고 이 복합 편광판을 시험판에 압착하였다. 그 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서 2시간 방치하고, 일본 특개 평11-23449호 공보에 기재된 유지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하중을 1000g으로 하고 80℃의 환경하에서 70000초 후에서의 어긋남양을 측정하였다. 시험판으로는 JIS-G-4305에 규정한 두께 1.5~2.0㎜의 SUS-304 강판을, JIS-R-6253에 규정한 360번의 내수성 연마지로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 유지력 측정 장치의 측정 센서로는 디지털 인디케이터(주식회사 미츠토요제 「DEGIMATIC INDICATOR」)를 사용하였다.A sample having a width of 25 mm and a length of 150 mm was cut out from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the peeled film was peeled off and attached to the test plate so that 25 mm x 25 mm (area) was contacted with the test plate. And the compound polarizer was pressed on a test plate. Thereafter, the sample was allowed to stand in an environment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for 2 hours. Using a holding force measuring apparatu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3449, the load was changed to 1000 g, Were measured. As a test plate, an SUS-304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5 to 2.0 mm specified in JIS-G-4305 was uniformly polis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water resistant abrasive paper No. 360 specified in JIS-R-6253. A digital indicator (" DEGIMATIC INDICATOR " manufactured by Mitsutoyo Co., Ltd.) was used as the measurement sensor of the holding force measuring apparatus.

(6) 복합 편광판의 평가(6) Evaluation of Composite Polarizer

복합 편광판을 재단 장치(오기노 정밀기계제작소사제 슈퍼 커터「PN1-600」)에 의해 233㎜×309㎜ 크기로 조정한 후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1737」]에 첩합 후 쿠리하라 제작소사제 오토클레이브에서 0.5MPa, 50℃, 20분간의 조건으로 가압하였다. 그 후, 하기의 각 내구 조건의 환경하에 투입하고 200 시간 후에 10배율 확대경을 이용하여 관찰을 하여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adjusted to a size of 233 mm x 309 mm by a cutting device (super cutter "PN1-600" manufactured by Ogino Precision Machinery Co., Ltd.) and then bonded to an alkali-free glass [Corning Inc. "1737"], At a pressure of 0.5 MPa at 50 DEG C for 20 minutes. Thereafter, the mixture was plac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following durability conditions, and after 200 hours, observ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10 magnification magnifying glass, and durabil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 4변에 있어서 외주 단부(端部)로부터 0.3㎜ 이상의 영역에 결점이 없는 것.A: No defects in the area of 0.3 mm or more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at four sides.

○: 4변에 있어서 외주 단부로부터 0.6㎜ 이상의 영역에 결점이 없는 것.A: No defects in the area of 0.6 mm or more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n the four sides.

×: 4변 중 어느 한 변에 외주 단부로부터 0.6㎜ 이상의 영역에 들뜸, 벗겨짐, 발포, 줄무늬 등의 0.1㎜ 이상의 복합 편광판의 외관 이상 결점이 있는 것.X: One of the four sides has a defect in appearance of the composite polarizer plate of 0.1 mm or more such as peeling, peeling, foaming, or streaking in an area of 0.6 mm or more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내구 조건>&Lt; Durability condition &

80℃, 90℃, 60℃·상대습도 90% 환경,80 ° C, 90 ° C, 60 ° C, 90% relative humidity,

-40℃⇔85℃의 각 30분의 히트 쇼크 시험, 50 사이클A heat shock test for 30 minutes at -40 ° C to 85 ° C, 50 cycles

(7) 평균 입경의 측정(7) Measurement of average particle diameter

광 확산제 1.2g과 이소프로필알코올 98.8g으로 이루어진 액을 충분히 교반한 것을 측정용 시료로 하여 원심식 자동입도분포 측정장치(호리바 제작소제 「CAPA-700」)를 이용하여 원심침강 광투과법에 의해 측정하였다.The solution consisting of 1.2 g of the light-diffusing agent and 98.8 g of isopropyl alcohol was thoroughly stirred, and the resultant wa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and subjected to a centrifugal sedimentation optical transmission method using a centrifugal automat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CAPA-700" .

(8)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8) Measurement of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 polystyrene reduced valu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GPC 측정 장치: 토소(주)사제 HLC-8020GPC measurement apparatus: HLC-8020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GPC 칼럼(이하의 순서로 통과): 토소(주)사제GPC column (passed in the following order): manufactured by Toso Co., Ltd.

TSK guard column HXL-H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TSK gel GMHXL (× 2)

TSK gel G2000HXL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Measurement solvent: tetrahydrofuran

측정 온도: 40℃Measuring temperature: 40 ° C

또 이하의 예에 있어서는 감압 접착제층으로서 다음의 것을 이용하였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were used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감압 접착제층 A: 아크릴산부틸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배합되고, 추가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첨가된 유기용제 용액을 이형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도공하고 건조하여, 25㎛의 두께로 형성된 시트상 점착제. 감압 접착제층 A의 저장 탄성률은 23℃에 있어서 0.41MPa, 80℃에 있어서 0.22MPa였다.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 organic solvent solution to which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was added to a copolymer of butyl acrylate and acrylic acid and to which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had been further added was applied to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release film) And dried to form a thickness of 25 占 퐉.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as 0.41 MPa at 23 占 폚 and 0.22 MPa at 80 占 폚.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 감압 접착제층 A와 같은 조성의 유기 용제 용액에 평균 입경 4.5㎛의 실리콘 수지 입자가 배합된 것을 이형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도공하고 건조하여, 25㎛의 두께로 형성된 시트상 점착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의 저장 탄성률은 23℃에 있어서 0.41MPa, 80℃에 있어서 0.22MPa였다. 또, 헤이즈값은 45%였다.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 organic solvent solution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as blended with silicone resin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5 占 퐉. The resultant w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release fil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a sheet formed on a release-treated surface and dried to a thickness of 25 탆. The storage modulus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as 0.41 MPa at 23 占 폚 and 0.22 MPa at 80 占 폚. The haze value was 45%.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B: 이형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에 배합되어 있는 것과 같은 실리콘 수지 입자가 배합되고, 25㎛의 두께로 형성된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어 있는 시판의 시트상 점착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배합되어 있지 않다.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광 확산제를 함유한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감압 접착제층을 말함. 이하 동일) B의 저장 탄성률은 23℃에 있어서 0.05MPa, 80℃에 있어서 0.04MPa였다. 또, 헤이즈값은 45%였다.Light-diffusing agent-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Silicone resin particles such as those blended in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ere compounded on the release-treated surfac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release film) , And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to a thickness of 25 占 퐉.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not blen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referred to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ich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hereinafter the same) had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05 MPa at 23 캜 and 0.04 MPa at 80 캜 . The haze value was 45%.

[실시예 1][Example 1]

(a)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a) a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두께 25㎛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에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 보호층이 에폭시계 접착제를 통하여 첩합된 편광판을 준비하였다. 그 편광자측에, 상기한 감압 접착제층 A를 첩합하여 투명 보호층/편광자/감압 접착제층 A/박리 필름의 구성인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made of a triacetyl cellulo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was bonded to one side of a polarizer made of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占 퐉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on polyvinyl alcohol via an epoxy adhesive was prepared. On the side of the polarizer, the abo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as laminat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a constitution of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 polarizer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 release film.

(b)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b) retardation plate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40㎛이고 면내 위상차가 140㎚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4판)의 한쪽 면에 상기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를 첩합하여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을 제작하였다.(? / 4 plate) made of a stretched film of norbornene resin and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and an in-plane retardation of 140 nm ("Essenafil"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The above-mentioned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as laminated to prepare a retarder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 복합 편광판의 제작(c) Fabrication of composite polarizer

상기 (a)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한 후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의 위상차판 측(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45°가 되도록 첩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도 4에 여기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단면 모식도로 나타낸다. 즉, 이 예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13)은 이하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After peeling off the releas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pared in (a) abo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so that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plate was 45 DEG with respect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to produc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produced here. That is,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3 produced in this example has the following layer structure.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6)(2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7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25㎛)/박리 필름(9).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25 占 퐉) / the retarder (? / 4 plate) 5 /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a Adhesive layer, 25 占 퐉) / peeling film (9).

또한, 도 4에서는 적층 순서를 알 수 있도록 감압 접착제층(6)과 λ/4판(5) 사이를 이간시켜 표시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실제로는 밀착해 있는 것이 위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도 5 및 도 6에서도 감압 접착제층과 거기에 첩합된 위창차판의 사이를 이간시켜 표시하고 있으나 도 4와 같은 취지이다.In FIG. 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and the? / 4 plate 5 are display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order of lamination can be understood.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se lay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5 and 6,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uperimposed panel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shown apart from each other, but the same effect as shown in Fig.

(d) 복합 편광판의 평가(d) Evaluation of composite polarizer

상기 (c)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13)으로부터 박리 필름(9)을 박리하고, 노출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7a)을 유리판에 첩부하고, 0.5MPa, 50℃에서 20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하여 복합 편광판을 유리판에 밀착시켰다. 이 상태에서 -40℃의 분위기에 30분 두고, 이어서 +85℃의 분위기로 옮겨 30분 두는 것을 1 사이클로 하고, 이것을 50 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 결함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The release film 9 was peeled off from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3 obtained in the step (c), and the exposed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a was attached to a glass plate and subjected to autoclave treatment at 0.5 MPa and 50 캜 for 20 minutes Was performed to bring the complex polarizer plat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plate. In this state, a heat shock test was performed in which one cycle was carried out in an atmosphere of -40 占 폚 for 30 minutes and then in an atmosphere of + 85 占 폚 for 30 minutes, and this cycle was repeated 50 times. No defect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fter the test, and a good state was maintained.

[실시예 2][Example 2]

(a)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a) a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실시예 1의 (a)와 동일하게 하여 투명 보호층/편광자/감압 접착제층 A/박리 필름의 구성인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A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stituted of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 polarizer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 release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b)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b) retardation plate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빛의 파장 λ에 대해 λ/2인 270㎚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며, 두께가 33㎛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2판)의 한쪽 면에 두께 15㎛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가 적층되어 있는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2판)을 준비하였다. 또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빛의 파장 λ에 대해 λ/4인 90㎚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며, 두께가 28㎛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4판)의 한쪽 면에 상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를 첩합하여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4판)을 제작하였다.(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of 270 nm, which is? / 2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light, of a stretched film of a norbornene resin and having a thickness of 33 占 퐉 (? / 2 plate) in which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15 占 퐉 was laminated on one side of a polarizing plate (? / 2 plate) (? / 4 plate) (? / 4 plate,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of 90 nm of? / 4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light and having a thickness of 28 占 퐉 Sensitive adhesive layer A wa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retarder (? / 4 plate).

(c) 복합 편광판의 제작(c) Fabrication of composite polarizer

상기 (a)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 한 후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준비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2판)의 λ/2판 측(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λ/2판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15°가 되도록 첩합하고, 추가로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4판)을 그 λ/4판 측(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λ/4판의 지상축이 λ/2판의 지상축에 대해 60°(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75°)가 되도록 첩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도 5에 여기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단면 모식도로 나타낸다. 즉, 이 예로 제작한 복합 편광판(14)은 이하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After peeling the releas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pared in the above (a), the? / 2 plate side (? / 2 plate) of the retarder (? / 2 plate) (The sid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not provided) was laminated so that the slow axis of the? / 2 plate was 15 ° with respect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further the pressure- The laminated retardation plate (? / 4 plate) was placed on the? / 4 plate side (the side where the light-diffu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not provided) (75 [deg.] With respect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to prepar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Fig.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produced here. That is,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4 produced in this example has the following layer structure.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6)(25㎛)/위상차판(λ/2판)(4)/제3 감압 접착제층(8)(1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7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25㎛)/박리 필름(9).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25 占 퐉) / the retardation plate (? / 2 plate) 4 /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15 占 퐉) / Retardation plate (? / 4 plate) 5 /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5 占 퐉) / release film (9)

(d) 복합 편광판의 평가(d) Evaluation of composite polarizer

상기 (c)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예에서도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 결함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The composite polarizer obtained in (c) above was subjected to the heat shock test as in Example 1 (d). In this example as well, no defect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fter the test and a satisfactory state was maintained.

[실시예 3][Example 3]

(a)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a) a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실시예 1의 (a)와 동일하게 하여 투명 보호층/편광자/감압 접착제층 A/박리 필름의 구성인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A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stituted of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 polarizer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 release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b)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b) retardation plate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빛의 파장 λ에 대해 λ/2인 270㎚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며, 두께가 33㎛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2판)의 한쪽 면에 상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를 첩합하여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2판)을 제작하였다. 또,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빛의 파장 λ에 대해 λ/4인 90㎚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는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4판)의 한쪽 면에 두께 15㎛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가 적층되어 있는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4판)을 준비하였다.(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of 270 nm, which is? / 2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light, of a stretched film of a norbornene resin and having a thickness of 33 占 퐉 (? / 2 plat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prepared by sticking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n one side of the laminate (? / 2 plate) (? / 4 plate) made by Sekisui Chemical Co., Ltd. (? / 4 plate)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of 90 nm, which is? / 4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light, Sensitive adhesive layer-laminated retardation plate (lambda / 4 plate) having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minated thereon was prepared.

(c) 복합 편광판의 제작(c) Fabrication of composite polarizer

상기 (a)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 한 후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2판)의 λ/2판 측(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λ/2판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15°가 되도록 첩합 하고, 또한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준비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4판)을 그 λ/4판 측(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λ/4판의 지상축이 λ/2판의 지상축에 대해 60°(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75°)가 되도록 첩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도 6에 여기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단면 모식도로 나타낸다. 즉, 이 예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15)은 이하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After peeling the releas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pared in the above (a), the? / 2 plate side (? / 2 plate) of the retardation plate (? / 2 plate) (The side on which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rovided) is bonded so that the slow axis of the? / 2 plate is 15 ° with respect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decompression pressure The retardation plate with an adhesive layer (? / 4 plate) was placed on the? / 4 plate side (the sid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not provided) so that the slow axis of the? / 4 plate was 60 degrees 75 ° with respect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to prepar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produced here. That is,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5 produced in this example has the following layer structure.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6)(25㎛)/위상차판(λ/2판)(4)/제3 감압 접착제층(8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2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8)(15㎛)/박리 필름(9).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25 占 퐉) / the retarder (? / 2 plate) 4 /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a Retardation plate (? / 4 plate) 5 /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15 占 퐉) / peeling film (9).

(d) 복합 편광판의 평가(d) Evaluation of composite polarizer

상기 (c)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예에서도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 결함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The composite polarizer obtained in (c) above was subjected to the heat shock test as in Example 1 (d). In this example as well, no defect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fter the test and a satisfactory state was maintain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의 (b)에 있어서, λ/4판의 한쪽 면에 첩합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를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B로 변경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는 기포가 관찰되었다.(B) of Example 1,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to b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 4 plate was changed to the light-diffusing-agent-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To prepare a polarizing plate. The obtain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subjected to the heat shock test as in (d) of Example 1. Bubble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e polarizer after the tes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2의 (b)에 있어서, λ/4판의 한쪽 면에 첩합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 A를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 B로 변경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는 기포가 관찰되었다.(B) of Example 2 was changed to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B containing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which was laminated on one side of a lambda / 4 plate,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Respectively. The obtain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subjected to the heat shock test as in (d) of Example 1. Bubble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e polarizer after the test.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3의 (b)에 있어서, λ/2판의 한쪽 면에 첩합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 A를,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 B로 변경하고, 그 결과 λ/2판과 λ/4판 사이에 저장 탄성률이 작은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 B가 배치되도록 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는 기포가 관찰되었다.(B) of Example 3,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to b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 2 plate was chang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 containing the light-diffusing agent, Sensitive adhesive B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having a small storage modulus of elasticity was disposed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pressure- The obtain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subjected to the heat shock test as in (d) of Example 1. Bubble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e polarizer after the test.

이상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주된 조건과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또,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히트 쇼크 시험 후의 샘플의 대표예로서 실시예 2의 샘플을 편광자의 투명 보호층 측에서 본 확대 사진을 도 8의 (A)에, 그리고 비교예 2의 샘플을 편광자의 투명 보호층 측에서 본 확대 사진을 도 8의 (B)에 각각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B)에 나타내는 비교예 2의 샘플에서는 타원 모양으로 비치고 있는 복수의 기포가 관찰되는데 비해 (A)에 나타난 실시예 2의 샘플에서는 이러한 기포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able 1 summarizes the main conditions and result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bov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ample after the heat shock test in thes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 enlarged picture of the sample of Example 2 viewed from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side of the polarizer is shown in Fig. 8 (A), and a sample of Comparative Example 2 And an enlarged view of the polarizer viewed from the sid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is shown in Fig. 8 (B). In FIG. 8, a plurality of bubbles appearing in the shape of an ellipse are observed in the sample of Comparative Example 2 shown in (B), while the bubbles are not observed in the sample of Example 2 shown in (A) .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C~L:The light-diffusing-agent-containing adhesive material layer C to L:

표 2에 나타낸 조성(고형분)의 점착성 재료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14 중량%)을 조제하고,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박리 필름[린텍사제 「SP-PET3811」]의 박리층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나이프식 도공기로 도포한 후 90℃에서 1분간 건조 처리하여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C~L을 형성하였다.An ethyl acetate solution (solid content: 14% by weight) of a viscous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solid content) shown in Table 2 was prepared and coated on a release layer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lease film (SP-PET3811, Coated with a knife coater to a thickness of 25 mu m, and dried at 90 DEG C for 1 minute to form a light-diffusing-agent-containing adhesive material layer C to L. [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C~L:Light-diffusing agent-free adhesive material layer C to L:

표 2에 나타난 조성(고형분)으로부터 실리콘 비드를 제외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점착성 재료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14 중량%)을 조제하고,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박리 필름[린텍사제 「SP-PET3811」]의 박리층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나이프식 도공기로 도포한 후 90℃에서 1분간 건조 처리하여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C~L을 형성하였다.An ethyl acetate solution (solid content 14% by weight) of a sticky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excluding the silicon beads was prepared from the composition (solid content) shown in Table 2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eling film (SP-PET3811, ] With a knife coating machine to a thickness of 25 mu m after drying, and then dried at 90 DEG C for 1 minute to form layers C to L of a light-diffusing agent-free adhesive material.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C~J 및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K~L: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C to J and the light-diffusing-agent-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K to L:

상기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C~L에 대해 하기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단독) C~J 및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단독) K~L을 얻었다. 또한, 이들 감압 접착제층은 표 3의 저장 탄성률, 헤이즈값, 겔 분율의 값의 산출에 이용하였다.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 J and the light-diffusing-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K) L were obtain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light- The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were used for calculat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haze value, and gel fraction values in Table 3.

<자외선 조사 조건><Ultraviolet irradiation condition>

· 퓨전사제 무전극 램픔 H 벌브 사용· Electrodeless luminescence H bulb used by Fusion

· 조도 600mW/㎠, 광량 150mJ/㎠Illumination 600 mW / cm 2, light quantity 150 mJ / cm 2

자외선 조도·광량계는 아이그랙픽스사제 「UVPF-36」을 사용하였다.The ultraviolet light intensity and the light amount were measured by "UVPF-36" manufactured by IGraphics.

(a')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편광판(a ') With a PSA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두께 25㎛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에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 보호층이 에폭시계 접착제를 통하여 첩합된 편광판을 준비하였다. 그 편광자측에 표 3에 따라 상기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을 첩합시켜 투명 보호층/편광자/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박리 필름의 구성인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편광판을 작성하였다.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made of a triacetyl cellulo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was bonded to one side of a polarizer made of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占 퐉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on polyvinyl alcohol via an epoxy adhesive was prepared. The above-mentioned PSA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was laminated on the polarizer side according to Table 3 to prepare a polarizing plate with a PSA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as a constituent of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 polarizer / light-diffusing agent- .

(b')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위상차판(b ') retarder having no adhesive agent layer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40㎛이며 면내 위상차가 140㎚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 “에스시나 필름")(λ/4판)의 한쪽 면에 상기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을 첩합시키고, 위상차판(λ/4판)/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박리 필름의 구성인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위상차판을 제작하였다.(? / 4 plate) made of a stretched film of a norbornene resin and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and an in-plane retardation of 140 nm (? / 4 plate,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A retardation plate with a light diffusing agent-fre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layer as a constituent of a retardation film (? / 4 plate) / light-diffusing agent-fre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layer / release film was prepared.

(c') 복합 편광판의 제작(c ') Production of composite polarizer

상기 (a')에서 제작한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한 후 그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측에 상기 (b')에서 제작한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위상차판의 위상차판 측(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45°가 되도록 첩합하였다.After peeling off the releas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with a PSA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prepared in the above (a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no light-diffusing agent- The retardation plate side (side not provided with the light-diffusing agent-containing viscous material layer) of the attached retardation plate was bonded so that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plate was a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다음으로 위상차판에 첩합되어 있는 박리 필름 측으로부터 하기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표 4의 실시예 4~11, 비교예 4~5에 대응하는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Next,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corresponding to Examples 4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4 to 5 in Table 4 was prepa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side of the release film adhering to the retardation plate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자외선 조사 조건><Ultraviolet irradiation condition>

· 퓨전사제 무전극 램프 H 벌브 사용· Electrodeless lamp H bulb manufactured by Fusion Co., Ltd.

· 조도 600 mW/㎠, 광량 150mJ/㎠Illumination 600 mW / cm 2, light quantity 150 mJ / cm 2

자외선 조도·광량계는 아이그래픽스사제 「UVPF-36」을 사용하였다.The ultraviolet light intensity and the light amount were measured using "UVPF-36" manufactured by IGraphics.

도 7에 여기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단면 모식도로 나타낸다. 즉, 이 예로 제작한 복합 편광판(13)은 이하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Fig. 7 shows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produced here a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hat is,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13 produced in this example has the following layer structure.

실시예 4~11Examples 4 to 11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7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2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6)(감압 접착제층, 25㎛)/박리 필름(9).Sensitive adhesive layer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5 占 퐉) / retarder (? / 4 plate) 5 /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 polarizer 1 / 6)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5 占 퐉) / release film (9).

비교예 4~5Comparative Examples 4 to 5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7a)(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2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6)(감압 접착제층, 25㎛)/박리 필름(9).Sensitive adhesive layer (2) / polarizer (1) /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light diffusing agent, 25 m) / retarder (? / 4 plate) (6)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5 m) / release film (9).

(d') 복합 편광판의 평가 결과(d ') Evaluation results of the composite polarizer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4~11의 복합 편광판은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4~5의 복합 편광판에 비해 매우 내구성이 뛰어나는 결과가 되었다.As shown in Table 4,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s of Examples 4 to 11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more durable tha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s of Comparative Examples 4 to 5, which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예 No.Yes No 층 구성Floor composition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또는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agent
히트 쇼크
시험 결과
Heat shock
Test result
종류Kinds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 23℃23 ℃ 80℃80 ℃ 실시예 1Example 1 도 44 AA 0.41 MPa0.41 MPa 0.22 MPa0.22 MPa 실시예 2Example 2 도 55 AA 0.41 MPa0.41 MPa 0.22 MPa0.22 MPa 실시예 3Example 3 도 66 AA 0.41 MPa0.41 MPa 0.22 MPa0.22 MPa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도 44 BB 0.08 MPa0.08 MPa 0.06 MPa0.06 MPa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도 55 BB 0.08 MPa0.08 MPa 0.06 MPa0.06 MPa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도 66 BB 0.08 MPa0.08 MPa 0.06 MPa0.06 MPa ××

점착성 재료의 조성 (중량부)Composition of the adhesive material (parts by weight)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또는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light- 아크릴계
공중합체1 )
(A)
Acrylic
Copolymer 1 )
(A)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2 )
(B)
Polyfunctional acrylate series
Monomers 2 )
(B)
광 중합
개시제3 )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3 )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4 )
(C)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4 )
(C)
실란 커플링제5 )
(D)
Silane coupling agent 5 )
(D)
실리콘
비드6 )
silicon
Bead 6 )
CC 100100 1515 1.51.5 0.30.3 0.20.2 4.7(3.86)4.7 (3.86) DD 100100 1515 1.51.5 0.30.3 0.20.2 9.3(7.36)9.3 (7.36) EE 100100 1515 1.51.5 0.30.3 0.20.2 14.0(10.7)14.0 (10.7) FF 100100 1515 1.51.5 0.30.3 0.20.2 18.6(13.7)18.6 (13.7) GG 100100 1515 1.51.5 0.30.3 0.20.2 37.3(24.2)37.3 (24.2) HH 100100 1515 1.51.5 0.30.3 0.20.2 3.0(2.5)3.0 (2.5) II 100100 1515 1.51.5 0.30.3 0.20.2 7.0(5.65)7.0 (5.65) JJ 100100 1515 1.51.5 0.30.3 0.20.2 21.0(15.2)21.0 (15.2) KK 100100 00 00 00 0.20.2 3.0(2.90)3.0 (2.90) LL 100100 00 00 00 0.20.2 7.0(6.51)7.0 (6.51)

(주)(week)

1) 아크릴계 공중합체: 아크릴산부틸 및 아크릴산을 중량비 95:5의 비율로 이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중합하여 이루어진 중량 평균 분자량 180만의 공중합체1) Acrylic copolymer: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800,000, obtained by polymerizing butyl acrylate and acrylic acid in a weight ratio of 95: 5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2)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분자량=423, 3 관능형(토아 합성사제, 상품명 「아로닉스 M-315」)2) polyfunctional acrylate monomer: tris (acryloxyethyl) isocyanurate, molecular weight = 423, trifunctional type (Aronix M-315,

3) 광 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의 중량비 1:1의 혼합물,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제 「이르가큐어 500」3)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mixture of benzophenone and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in a weight ratio of 1: 1, "Irgacure 500"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4)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일본폴리우레탄사제 「콜로네이트 L」)4)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Trimethylolpropane-modified tolylene diisocyanate ("Colonate L" manufactured by Japan Polyurethane Co., Ltd.)

5) 실란 커플링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화학공업사제 「KBM-403」)5) Silane coupling agent: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6) 실리콘 비드: 진구상 실리콘 미립자(GE 토시바 실리콘사제 「토스펄 145」, 평균 입경 4.5㎛)6) Silicone beads: Precursory silicon fine particles (TOUSPLE 145,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es, average particle diameter 4.5 占 퐉)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또는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light- 감압 접착제층의 성능The performan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저장 탄성률(MPa)Storage modulus (MPa) 점착력(N/25mm)Adhesive force (N / 25mm) 헤이즈값
(%)
Haze value
(%)
겔 분율
(%)
Gel fraction
(%)
유지력
(㎛)
retention
(탆)
23℃23 ℃ 80℃80 ℃ 대(對) 무알칼리 유리Non-alkali glass 대 폴리카보네이트Large polycarbonate CC 0.9450.945 0.4580.458 37.537.5 48.048.0 37.937.9 98.398.3 53.053.0 DD 0.9980.998 0.4950.495 35.535.5 46.046.0 58.758.7 98.698.6 48.048.0 EE 1.0501.050 0.5300.530 29.829.8 38.538.5 70.470.4 99.299.2 48.048.0 FF 1.1301.130 0.5780.578 29.029.0 37.537.5 78.578.5 98.998.9 35.035.0 GG 1.3701.370 0.7070.707 24.024.0 31.031.0 89.289.2 98.498.4 36.536.5 HH 1.0101.010 0.4800.480 19.019.0 24.524.5 23.923.9 96.696.6 54.554.5 II 0.8900.890 0.4600.460 16.516.5 21.521.5 43.943.9 96.996.9 52.052.0 JJ 1.0101.010 0.4900.490 14.014.0 18.218.2 75.075.0 98.398.3 37.537.5 KK 0.1400.140 0.0900.090 12.57) 12.5 7) 16.016.0 25.825.8 0.40.4 >25000> 25000 LL 0.1400.140 0.0900.090 13.07) 13.0 7) 17.017.0 47.047.0 0.30.3 >25000> 25000

(주)(week)

7) 접착제 잔류가 확인된다.7) Residue of adhesive is confirmed.

층 구성Floor composition 광 확산성 또는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light-diffusing or light-diffusing agent 감압 접착제층(광 확산제 비함유)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no light-diffusing agent) 복합 편광판의 평가Evaluation of Composite Polarizer 내구성durability 90℃90 ° C 80℃80 ℃ 60℃
90% RH
60 ° C
90% RH
히트 쇼크Heat shock
실시예 4Example 4 도 77 CC CC 실시예 5Example 5 도 77 DD DD 실시예 6Example 6 도 77 EE EE 실시예 7Example 7 도 77 FF FF 실시예 8Example 8 도 77 GG GG 실시예 9Example 9 도 77 HH HH 실시예 10Example 10 도 77 II II 실시예 11Example 11 도 77 JJ JJ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도 77 KK KK ×× ××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도 77 LL LL ×× ××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편광자와 위상차판과 감압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복합 편광판은 다른 광학층에 적층한 적층 광학 부재 및 그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한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er, a retard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obtained by laminating a laminated optical member laminated on another optical layer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obtained by combining the compound polarizing plate or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with an image display element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Can be applied.

1…편광자,
2, 3…투명 보호층,
4…위상차판(λ/2판일 수 있음),
5…위상차판(λ/4판일 수 있음),
6, 7, 8…감압 접착제층(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되는 경우도 있음),
7a, 8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9…박리 필름,
11~15…복합 편광판,
18…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
20…적층 광학 부재,
30…액정 셀,
40…편광판(종래),
41…복합 편광판(종래).
One… Polarizers,
2, 3 ...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4… Retardation plate (may be? / 2 plate),
5 ... Retardation plate (which may be? / 4 plate),
Six, seven, eight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ich may be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a, 8a ...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9 ... Peeling film,
11-15 ... Complex polarizer,
18 ... An optical layer showing other optical functions,
20 ... The laminated optical member,
30 ... Liquid crystal cell,
40 ... Polarizer (conventional),
41 ... Complex polarizing plate (conventional).

Claims (20)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이 배치되고, 편광자의 다른 면에는 직접 배치되는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적어도 1매의 위상차판이 적층되고,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복합 편광판으로서,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상기 제1 감압 접착제층이,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성 수지에 광 확산제를 분산시킨 점착성 재료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또한, 23℃에 있어서 0.3~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편광판.
At least one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through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a polariz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and directly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tarder plate,
Wherein at least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mo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existing betwee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A) an acrylic copolymer and (B)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ich is obtained by irradiating an active energy ray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in which a light-diffusing agent is dispersed in a resin, and exhibits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3 to 10 MPa at 23 占 폚.
청구항 1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s a storage modulus of 0.15 to 10 MPa at 80 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위상차판이 1매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tardation plate is one piec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위상차판이 2매이며, 양(兩) 위상차판이 제3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첩합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wo retardation plates are laminated, and both retardation plates are bonded through a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평균 입경 0.1~20㎛인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헤이즈값이 5% 이상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s a light-diffusing agent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20 占 퐉 and a haze value of 5% or mor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80℃에 있어서 0.3~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s a storage modulus of 0.3 to 10 MPa at 80 캜.
청구항 6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겔 분율이 60% 이상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el fraction of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60% or mor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이 분자량 1000 미만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B) a composite polarizer where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is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1,000.
청구항 8에 있어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환상 구조를 가지는 것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ulti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has a cyclic structure.
청구항 9에 있어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것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has an isocyanurate structur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중량비로 100:1~100:100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an acrylic copolymer and (B)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in a weight ratio of 100: 1 to 100: 10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점착성 재료가 (C)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dhesive material further comprises (C) a crosslinking agen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점착성 재료가 (D)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dhesive material further comprises (D) a silane coupling agen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헤이즈값이 20~90%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haze value of 20 to 9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두께가 1~40㎛인 복합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ght-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1 to 40 탆.
청구항 1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과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광학 부재.A laminated optical membe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laminat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tical layer exhibiting different optical functions. 화상 표시 소자와, 청구항 1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또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적층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mage display element,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the laminated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7002787A 2007-08-22 2008-08-22 Composite polarizing plat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KR1015017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15731 2007-08-22
JP2007215731 2007-08-22
PCT/JP2008/065021 WO2009025360A1 (en) 2007-08-22 2008-08-22 Composite polarizing plat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62A KR20100058462A (en) 2010-06-03
KR101501794B1 true KR101501794B1 (en) 2015-03-11

Family

ID=4037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787A KR101501794B1 (en) 2007-08-22 2008-08-22 Composite polarizing plat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71953B2 (en)
KR (1) KR101501794B1 (en)
CN (1) CN101784923B (en)
TW (1) TWI453472B (en)
WO (1) WO200902536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7942A1 (en) * 2008-01-08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arizer
JP2012503077A (en) * 2008-09-17 2012-02-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Optical adhesive with diffusion properties
JP5335483B2 (en) * 2009-02-27 2013-11-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layer
JP5529665B2 (en) * 2009-11-16 2014-06-25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604662B2 (en) * 2009-12-18 2014-10-08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JP5959799B2 (en) * 2010-02-25 2016-08-02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KR20110124717A (en) * 2010-05-11 2011-11-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atterned retarder laminated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5502023B2 (en) * 2010-09-03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laminate roll having polarizing film
KR101711213B1 (en) * 2010-10-28 2017-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120408B2 (en) 2010-11-10 2017-04-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Optical element
WO2012064144A2 (en)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element
WO2012064143A2 (en)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element
JP5682404B2 (en) * 2011-03-29 2015-03-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Adhesive filter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324651B2 (en) * 2011-03-29 2018-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5893256B2 (en) * 2011-03-29 2016-03-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6318481B2 (en) * 2013-06-25 2018-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transfer body,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JP6217171B2 (en) * 2013-06-25 2017-10-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Optical film transfer body,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6488125B2 (en) * 2013-12-26 2019-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Laminated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aminated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60333234A1 (en) * 2014-01-30 2016-11-17 Zeon Corporation Laminate and polarizing plate
JP2016014827A (en) * 2014-07-03 2016-01-28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dhesive for optical film,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JP2016122181A (en) * 2014-12-24 2016-07-07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27432B1 (en) * 2015-02-11 2018-12-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High durabl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JP6676325B2 (en) * 2015-10-01 2020-04-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dhesive sheet
JP6563373B2 (en) * 2016-07-28 2019-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6908379B2 (en) * 2016-12-27 2021-07-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dhesive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ember
JP6691091B2 (en) * 2017-11-30 2020-04-28 住友化学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7293602B2 (en) * 2018-01-11 2023-06-20 東洋紡株式会社 LAMINATED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JP7082022B2 (en) * 2018-09-28 2022-06-07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230168536A1 (en) * 2020-10-16 2023-06-01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3063806A1 (en) * 2021-10-15 2023-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and use thereof
KR20230054304A (en)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and uses thereof
CN113909051B (en) * 2021-11-20 2022-07-22 深圳恩泽瑞显示科技有限公司 Processing equipment for polaroid and polaroid thereof
CN114089462B (en) * 2021-12-10 2023-1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132A (en) * 1998-08-27 2000-03-14 Nitto Denko Corp Scattering elliptic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091836A (en) * 2004-08-26 2006-04-06 Nitto Denko Corp Retardation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ll using the retardation film
JP2006235568A (en) * 2005-01-27 2006-09-07 Lintec Corp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and its prod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7511B2 (en) * 1994-08-04 2006-08-09 Jsr株式会社 Polarized film
JP3783971B2 (en) * 1995-10-11 2006-06-07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177077B2 (en) * 2002-10-25 2008-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compensation plate,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using the same,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compens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m
JP3841306B2 (en) * 2004-08-05 2006-11-01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JP3874200B2 (en) * 2004-11-22 2007-01-3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TW200641387A (en) * 2005-02-21 2006-1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optical multilayer body
JP4784972B2 (en) * 2005-04-26 2011-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622765B2 (en) * 2005-09-15 2011-02-02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site retardation plate and composite optical member manufacturing method
JP4943696B2 (en) * 2005-11-24 2012-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Liquid crystal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976075B2 (en) * 2005-12-26 2012-07-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53717B2 (en) * 2006-05-19 2012-06-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Optical functional film bonding adhesive, optical function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082480B2 (en) * 2007-02-13 2012-11-28 住友化学株式会社 Thi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132A (en) * 1998-08-27 2000-03-14 Nitto Denko Corp Scattering elliptic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091836A (en) * 2004-08-26 2006-04-06 Nitto Denko Corp Retardation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ll using the retardation film
JP2006235568A (en) * 2005-01-27 2006-09-07 Lintec Corp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and its prod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25360A1 (en) 2010-11-25
WO2009025360A1 (en) 2009-02-26
CN101784923A (en) 2010-07-21
TWI453472B (en) 2014-09-21
TW200928463A (en) 2009-07-01
JP5571953B2 (en) 2014-08-13
CN101784923B (en) 2012-03-07
KR20100058462A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794B1 (en) Composite polarizing plat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JP5082480B2 (en) Thi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470048B2 (en) Polarizing plate having high modulus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0044211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99194B1 (en)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CN102181245B (en) Adhesive of optical film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application
US7038746B2 (en) Laminated polarizing film
KR102241901B1 (en)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90074227A (en) Laminate
JP2010277018A (en) Polarizing plate excellent in durabilit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727870B1 (en)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front plate-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2444987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20170003422A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34219A (en) Polarizing plate
JP2008197310A (en) Thin polarizing plat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KR20170004875A (en) Adhes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20170021755A (en) Convex plane side polarizing plate for curved image display panel
JP2010122487A (en) Polarizing plate having high elasticity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115765A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20080071503A (en) Process for producing a liquid crystal film and laminate film for optical device
JP2000199819A (en) Polarizing plate, its manufacture,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4240087A (en) Layered polarizing film
KR102392232B1 (en) Polarizing plate for curved image display panel
KR20090101763A (en) Ligth control ultra thi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4680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Laminate, And Oval Elliptic Polarization Plate, Circular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evice Consisting Of The Optical Lami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