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237B1 -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 - Google Patents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237B1
KR101501237B1 KR20140181524A KR20140181524A KR101501237B1 KR 101501237 B1 KR101501237 B1 KR 101501237B1 KR 20140181524 A KR20140181524 A KR 20140181524A KR 20140181524 A KR20140181524 A KR 20140181524A KR 101501237 B1 KR101501237 B1 KR 10150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efroster
opening hole
crash pad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81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18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2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2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a defr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a defroster includes a crash pad having a glass adjacent portion coming in contact with or placed nearby a windshield of a vehicle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a closely attached pa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adjacent portion to closely be attached to the windshield; a defroster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rash pad, and having a defrosting duct having air moved inside to prevent frost from forming on the windshield, extended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windshield, and having a defrosting opening hole formed at an end portion; and a fixing panel having a lower opening hole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defrosting opening hole, an upper opening hole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hole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rash pad, and a first coupling surface closely attached to the closely attached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st formed at a lower end of a side surface of the windshield may easily be removed by the defrosting duct having the defrosting opening hole, and the closely attached pad may firmly be coupled to the crash pad by the fixing panel, thereby efficiently discharging air through the defrosting opening hole.

Description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0001] A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 WITH A DEFROSTOR [0003]

본 발명은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드쉴드 중앙 및 측면 하단에 발생하는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디프로스터를 포함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sh pad assembly having a defro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a defroster capable of easily removing a property occurring at a center of a windshield and a bottom of a side surface.

디프로스터(defroster)는 차량에서는 운전석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여 서리나 빙설 등으로 시야가 흐리지 않게 이를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A defroster is a device that attaches to a front window of a driver's seat in a car and removes it by frost or icy snow so that the view is not blurred.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05263호는 "차량용 제상덕트의 유로구조"를 게시하며, 구체적으로 차량용 전면 글라스를 제상하는 전면덕트부를 제1전면덕트와 제2전면덕트로 구획하고, 측면 글라스를 제상하는 사이드 덕트부를 제2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로 구획하여 격자 형상으로 구획된 흡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제상덕트의 중앙부만 아니라 좌우측으로도 균일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됨을 기재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05263 discloses a " channel structure of a defrosting duct for a vehicle ", specifically, a front duct portion defrosting a front glass for a vehicle is divided into a first front duct and a second front duct, The side duct portion defrosting the side glass is divided into the second side duct and the second side duct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ion partitioned into the lattice shape is moved to each divided space, It is described that uniform blowing is performed not only in the center but also in the left and right sides.

이처럼 디프로스터 장치는 차량의 윈드쉴드에 성에 등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의 단부가 크래시패드를 통해 노출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05263호에서 게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윈드쉴드(전면 글라스)를 향하여 공기가 송풍되도록 함은 물론, 사이드 글라스를 향하여 공기가 송풍되도록 하여, 전면 글라스 및 사이드 글라스가 함께 제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defroster device is used to remove a windshield of a vehicle when a wind or the like is generated, and an end of a duct for discharging air is exposed through a crash pad. Also,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05263, not only air is blown toward the windshield (front glass) of the vehicle, but also air is blown toward the side glass, It is common to allow the glass to defrost together.

한편, 최근 헤드-업-디스플레이(Head-UP-Display, HUD)와 같은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는데,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가시영역 내에 가상 화상(virtual image)을 투영하도록 이루어진 장치로서,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정속주행, 능동정속주행, 네비게이션, 주행속도, 메시지 등)를 표시하고, 특히 이러한 정보가 윈드쉴드에 투영된 화상으로 표현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운전자가 계기판과 도로를 번갈아가며 주시하는 횟수를 줄여, 운전자의 피로경감 및 주행안전에 기여하도록 하고 있다.[0004] Recently, automobiles having devices such as a head-up display (HUD) have been introduced. The head-up display has been designed to project a virtual image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driver As the device, information (a constant speed cruise, an active cruise speed, a navigation, a traveling speed, a message, etc.) required by the driver is displayed, and in particular, this information is expressed by an image projected onto the windshield, And reduce the number of times to watch the road alternately, thereby contributing to driver's fatigue relief and driving safety.

이러한 HUD장치는, 운전석의 바로 앞쪽에서 크래시패드의 내부에 구비되어 크래시패드의 상부면을 통하여 영상을 조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크래시패드 상에 디프로스터 장치와 HUD 장치가 함께 구비되는 경우, 윈드쉴드 제상을 위한 종래의 디프로스터의 토출구(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05263호의 제1 전면토출구 및 제2 전면토출구)는 HUD 장치가 형성되는 지점(운전석의 바로 앞쪽 부분)에는 형성되기 곤란하며, 이러한 경우 운전석과 대응되는 지점에서 성에 제거가 안됨은 물론, HUD 장치에 의한 정보 전달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Such a HUD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crash pad immediately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so as to irradiate the image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rash pad. Accordingly, when the defroster device and the HUD device are provided together on the crash pad,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ventional defroster for defrosting the windshield (the first fron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front discharge port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05263) Is difficult to be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HUD device is formed (directly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In such a case, it is not possible to remove the property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seat, a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by the HUD device is hindered.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005263호(공개일: 2007.01.10)(0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5263 (published on January 10, 2007)

본 발명의 목적은, 윈드쉴드 중앙 및 측면 하단에 발생하는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하면서도 크래시패드 상부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아울러 디프로스터 및 밀착패드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froster capable of securing a space on the upper surface of a crash pad while reliably removing the force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windshield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shield, And to provide a crush pad assembly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은, 차량의 윈드쉴드에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글라스인접부가 앞쪽 단부에 형성되는 크래시패드; 상기 글라스인접부 상에 결합되어 상기 윈드쉴드에 밀착되는 밀착패드; 상기 크래시패드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윈드쉴드 상에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하고 상기 윈드쉴드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에 제상개구홀이 구비되는 제상덕트가 형성되는 디프로스터; 및 상기 제상개구홀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하측개구홀, 상기 하측개구홀과 연통되고 상기 크래시패드 상측과 연통되는 상측개구홀 및 상기 밀착패드에 밀착되는 제1 결합면이 형성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rash pad comprising: a crash pad having a front end adjacent to a glass contacting or approaching a windshield of a vehicle; A contact pad coupled to the windshield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windshield; A defroster formed under the crash pad and having a defrosting duct formed therein, the air moving through the inside to prevent the windshield from being caught on the windshield, extending toward a lower side of the windshield, and having a defroster opening hole at an end thereof; And a fixing panel having a lower sid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defroster opening hole, an upper sid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side opening hole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side of the crash pad, and a first engaging surface closely contacting the urging pad Wherein the defroster is provided with a defroster.

그리고 상기 글라스인접부에는 상기 상측개구홀이 삽입되는 개구홀삽입홈 및 상기 밀착패드가 결합되는 제2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제2 결합면의 연장선을 이룰 수 있다.In the vicinity of the glass, an opening hole inserting groove for inserting the upper opening hole and a second engaging surface for engaging with the urging pad may be formed, and the first engaging surface may be an extension of the second engaging surface.

또한 상기 고정패널은, 상기 디프로스터 상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크래시패드 저면에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ed panel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froster and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sh pad.

또한 상기 제상개구홀을 둘러싸며 상기 제상덕트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하측개구홀에 밀착결합되는 실링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nd a sealing pad which surrounds the defrost opening hole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defrost duct and tightly coupled to the lower opening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에는, 상기 제상개구홀이 다수 개로 구분되도록 구획하는 개구홀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sh pad assembly having the defr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hole rib that divides the defroster opening hole into a plurality of defroster opening ho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에서, 상기 디프로스터는, 상기 원드쉴드 중앙 쪽을 향하여 개구된 중앙개구부가 구비되는 중앙덕트; 및 상기 차량의 측면 쪽을 향하여 상기 중앙덕트에서 분기되는 분할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덕트는 상기 상기 분할덕트에서 분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in the crash pad assembly having the defr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roster may include a central duct having a central opening portion opened toward the center of the wedge shield; And a split duct that branches off from the central duct toward a side of the vehicle, and the defrost duct may be branched from the split duct.

여기서 상기 분할덕트의 단부에는 상기 크래시패드를 통해 노출되고 개구되는 측면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end of the split duct may be formed with a side opening that is exposed through the crash pad and opens.

그리고 상기 분할덕트는, 상기 중앙덕트와 연결되는 내측분할덕트; 및 상기 내측분할덕트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앙덕트와 멀어지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거나 굽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상기 측면개구부가 형성되는 외측분할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덕트는 상기 외측분할덕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vided duct includes an inner split duct connected to the central duct; And an outer split duct extending from the inner split duct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duct so as to be inclined or curv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and having the side opening formed at an end thereof, Lt; / RTI >

또한 상기 제상덕트는, 상기 제상개구홀 지점에서의 단면적이 상기 분할덕트에서 분기되는 지점에서의 단면적 보다 크고, 상기 제상덕트의 단면적은 상기 분할덕트의 단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defrost duct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at a point at which the defrost opening hole is diverged from the divided duct, and a sectional area of the defrost duct may be smaller than a sectional area of the divided duct.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개구홀이 구비되는 제상덕트를 통하여 윈드쉴드 측면 하단에 발생하는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고정패널에 의하여 밀착패드가 크래시패드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제상개구홀을 통한 공기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orce gener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windshield through the defrosting duct provided with the defroster opening hole, and to securely fix the fastening pad to the crash pad by the fastening pane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프로스터가 구비된 크래시패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시패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프로스터 및 고정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프로스터 및 고정패널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프로스터 및 고정패널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가 결합된 크래시패드 조립체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sh pad assembly having a defr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ash pad assembly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defroster and the fixing panel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froster and the fixing panel shown in FIG. 3,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defroster and the fixing panel shown in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rash pad assembly incorporating a defr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프로스터(2)가 구비된 크래시패드 조립체(1)(이하, '크래시패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시패드 조립체(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프로스터(2) 및 고정패널(30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프로스터(2) 및 고정패널(300)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프로스터(2) 및 고정패널(300)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가 결합된 크래시패드 조립체(1)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sh pad assembly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rash pad assembly') provided with a defrost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sh pa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defroster 2 and the fixing panel 300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froster 2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defroster 2 and the fixed panel 300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defroster 2 and the fixed panel 300 shown in FIG. Lt; RTI ID = 0.0 > 1 < / RTI >

본 발명에 따른 크래시패드 조립체(1)는 크래시패드(100), 밀착패드(200), 고정패널(300) 및 디프로스터(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rash pad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sh pad 100, a contact pad 200, a fixed panel 300, and a defroster 2.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2)는 차량의 윈드쉴드 상에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크래시패드(10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The defrost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prevent the windshield from being caught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rash pad 100. [

이러한 디프로스터(2)는 중앙덕트(10), 분할덕트(20) 및 제상덕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efroster 2 includes a central duct 10, a divided duct 20, and a defrost duct 30.

중앙덕트(10)는 디프로스터(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윈드쉴드 중앙 쪽을 향하여 위쪽으로 개구된 중앙개구부(12a, 12b)가 구비된다. 중앙덕트(10)는 제1 중앙덕트(10a)와 제2 중앙덕트(10b)로 구분될 수 있다.The central duct 10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efroster 2 and is provided with central openings 12a and 12b that open up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windshield. The central duct 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entral duct 10a and a second central duct 10b.

제1 중앙덕트(10a)가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치우쳐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제2 중앙덕트(10b)는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치우쳐 이루어진다.If the first central duct 10a is biased towar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he second central duct 10b is biased toward the passenger's seat of the vehicle.

제1 중앙덕트(10a)에는 제1 유입구(11a) 및 제1 중앙개구부(12a)가 형성된다. 제1 중앙덕트(10a)가 채널(관로)을 이룰 때, 제1 유입구(11a)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되고 제1 중앙개구부(12a)는 제1 유입구(11a)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된다. 제1 유입구(11a)는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가열된(또는 냉각된) 공기 등이 디프로스터(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1 중앙개구부(12a)는 크래시패드(100)의 상부면을 통해 노출되며, 제1 중앙개구부(12a)가 형성된 지점에서 크래시패드(100)와 결합된다.The first central duct 10a is formed with a first inlet 11a and a first central opening 12a. When the first central duct 10a forms a channel, the first inlet 11a become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the first central opening 12a connects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11a It becomes an exit to be discharged. The first inlet 11a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so that heated (or cooled) air or the like is introduced into the deep roaster 2. The first central opening 12a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rash pad 100 and is engaged with the crash pad 100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central opening 12a is formed.

제1 중앙덕트(10a)는 단일의 채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윈드쉴드 상의 균일한 공기 송풍을 위하여,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의 관로가 독립적으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여 윈드쉴드 중앙 부분의 넓은 영역에서 고른 공기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first central duct 10a may be formed in a single channel shap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side the first central duct 10a so as to uniformly blow air on the windshield so that a plurality of duc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n even air blowing can be performed in a wide area of the central part.

제2 중앙덕트(10b)에는 제2 유입구(11b) 및 제2 중앙개구부(12b)가 형성된다. 제2 중앙덕트(10b)가 채널을 이룰 때, 제2 유입구(11b)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되고 제2 중앙개구부(12b)는 제2 유입구(11b)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된다. 제2 유입구(11b)는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또는 냉각된 공기) 등이 디프로스터(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제2 중앙개구부(12b)는 크래시패드(100)의 상부면을 통해 노출되며, 제2 중앙개구부(12b)가 형성된 지점에서 크래시패드(100)와 결합된다. The second central duct 10b is formed with a second inlet 11b and a second central opening 12b. When the second central duct 10b forms a channel, the second inlet 11b become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the second central opening 12b is connected to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let 11b is discharged . The second inlet 11b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to allow the heated air (or cooled air) or the like to flow into the deep roaster 2 and the second central opening 12b to allow the air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is engaged with the crash pad 100 at the point where the second central opening 12b is formed.

제2 중앙덕트(10b) 또한 단일의 채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윈드쉴드 상의 균일한 공기 송풍을 위하여,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의 관로가 독립적으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entral duct 10b may be formed in a single channel shape. However, in order to uniformly blow air on the windshield, it is preferable that a partition wall is formed therein so that a plurality of duc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제1 중앙개구부(12a)와 제2 중앙개구부(12b)는 모두 중앙개구부에 해당된다.Both the first central opening 12a and the second central opening 12b correspond to the central opening.

분할덕트(20)는 중앙덕트(10)에서 분기되어 이루어지며, 그 단부에 측면개구부(23)가 형성된다. 측면개구부(23)는 크래시패드(100)를 통해 노출되며, 특히 사이드 윈도우와 인접한 지점에 형성된다.The divided duct 20 is branched from the central duct 10, and a side opening 23 is formed at an end thereof. The side openings 23 are exposed through the crash pad 100, particularly at the points adjacent the side windows.

분할덕트(20)는 중앙덕트(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중앙덕트(1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lit ducts 20 may be integral with the central duct 10, but are preferably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ociated with the central duct 10.

분할덕트(20)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이때 공기 유입을 위한 입구는 분할덕트(20) 자체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중앙덕트(10)에 형성된 입구를 공유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덕트(10)에는 분할격벽(40)이 형성되고, 분할격벽(40)은 중앙개구부를 향하는 유체(공기)와 분할덕트(20)를 통하여 이동하는 유체(공기)를 분리하여 양자가 개별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The split duct 20 is a means for mov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inlet for air inflow is not formed separately in the split duct 20 itself, Share the formed entrance. For this purpose, a partition wall 40 is formed in the central duct 10, and the partition wall 40 separates the fluid (air) flowing through the central opening and the fluid (air) moving through the divided duct 20, Let them move separately.

분할덕트(20)는 제1 분할덕트(20a)와 제2 분할덕트(20b)로 구분되며, 제1 중앙덕트(10a)에서 외측방향으로 분기되는 것이 제1 분할덕트(20a)이고 제2 중앙덕트(10b)에서 외측방향(제1 분할덕트(20a)와 반대방향)으로 분기되는 것이 제2 분할덕트(20b)이다.The divided duct 20 is divided into a first divided duct 20a and a second divided duct 20b. The first divided duct 20a branches outwardly from the first central duct 10a, The second divided duct 20b is branched outwardly from the duct 10b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vided duct 20a).

제1 분할덕트(20a)는 차량의 측면, 특히 운전석 쪽을 향하여 분기되고, 제1 분할덕트(20a)의 단부에는 제1 측면개구부(23)가 형성된다.The first divided duct 20a branches toward the side of the vehicle, particularly toward the driver's seat, and the first side opening 2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divided duct 20a.

제1 분할덕트(20a)는 내측분할덕트(21) 및 외측분할덕트(22)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분할덕트(20b) 또한 내측분할덕트(21) 및 외측분할덕트(22)로 구분되며, 제1 분할덕트(20a)와 대칭된 형태를 이룬다.(물리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특징적인 형상 및 구조가 서로 대칭된 형태를 이룬다.)The first divided duct 20a may be divided into an inner divided duct 21 and an outer divided duct 22. [ The second divided duct 20b is also divided into an inner divided duct 21 and an outer divided duct 22 and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divided duct 20a. Characteristic shapes and structure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내측분할덕트(21)는 중앙덕트(10)와 연결되는 부분이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inner split duct (21) is connected to the central duct (10) and extends toward the left or right direction.

또한 내측분할덕트(21)는 중앙덕트(10)와 멀어지면서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거나 굽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측분할덕트(21)는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경사지거나 굽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중앙덕트(10)를 기준으로 차량의 앞쪽을 향하여 꺾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inner split duct 21 may be inclined or curv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while being away from the central duct 10. That is, the inner split duct 21 is not form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ut is formed in an inclined or curved shape, and can be ben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duct 10.

외측분할덕트(22)는 내측분할덕트(21)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중앙덕트(10)와 멀어지면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거나 굽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외측분할덕트(22) 역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경사지거나 굽은 형태로 형성되는데, 내측분할덕트(21)에서 다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꺾인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outer split duct 22 extends from the end of the inner split duct 21 and is inclined or curv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away from the central duct 10. That is, the outer split duct 22 is also formed in an oblique or curved shape instead of being form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ut it is bent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from the inner split duct 21.

내측분할덕트(21)와 외측분할덕트(22)를 포함한 제1 분할덕트(20a)(및 제2 분할덕트(20b))의 전체적인 모양은 유연한 곡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verall shape of the first divided duct 20a (and the second divided duct 20b) including the inner divided duct 21 and the outer divided duct 22 is preferably a flexible curve.

분할덕트(20)가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크래쉬패드 상에(특히 운전석 쪽) 다수의 다른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제상덕트(30)의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By thus forming the split duct 20,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other devices on the crash pad (especially on the driver's side) and to shorten the overall length of the defrost duct 30 .

외측분할덕트(22)의 단부에 측면개구부(23)가 형성되고, 측면개구부(23)는 크래시패드(100)의 상부면을 통해 노출된다.A side opening 2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uter split duct 22 and the side opening 23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rash pad 100.

제상덕트(30)는 분할덕트(20)에서 분기되고, 단부에 제상개구홀(31)이 구비된다. 특히, 제상덕트(30)는 외측분할덕트(22) 상에서 분기되고 제상개구홀(31)은 윈드쉴드 하단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defrost duct (30) is branched from the divided duct (20), and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is provided at the end. Particularly, the defrost duct 30 is branched on the outer split duct 22 and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is open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windshield.

제상덕트(30)의 단면적은 분할덕트(20)의 단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분할덕트(20)를 통한 공기이동량이 제상덕트(30)를 통한 공기이동량보다 많도록 하며, 제상덕트(30)에 의한 분할덕트(20)의 공기이동량 감소량이 크지 않도록 한다.Sectional area of the defrosting duct 3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divided duct 20. [ The amount of air movement through the divided ducts 20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air moved through the defrosting ducts 30 so that the amount of air movement reduction of the divided ducts 20 by the defrosting ducts 30 is not large.

제상개구홀(31)을 통하여 공기는 크래시패드(100)의 상부면 앞쪽 모서리 쪽으로 토출되며, 이를 위하여 제상개구홀(31)은 윈드쉴드의 하단 중 좌측 및/또는 우측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며, 중앙개구부(12a, 12b)와 서로 이격된다. 즉, 중앙개구부(12a, 12b)와 제상개구홀(31)은 크래시패드(100) 상에서 서로 이격되며, 크래시패드(100)에서 중앙개구부(12a, 12b)와 제상개구홀(31) 사이의 공간에는 HUD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rash pad 100 through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For this purpose,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 or right side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windshield, (12a, 12b). That is, the center openings 12a and 12b and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rash pad 100 and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openings 12a and 12b and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in the crash pad 100 Such as a HUD devic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2)는, 중앙덕트(10)의 중앙개구부(12a, 12b)에 의하여 윈드쉴드 전체 면적의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아니고, 중앙개구부(12a, 12b)에 의하여 윈드쉴드 중앙 쪽의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분할덕트(20)에서 분기되는 제상개구홀(31)에 의하여 윈드쉴드 측면 하단쪽의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상의 효율을 높임은 물론, 크래시패드(100) 상부면 중 운전석(및 조수석) 전방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frost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frost the entire area of the windshield by the central openings 12a and 12b of the central duct 10, but by the central openings 12a and 12b The defrosting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windshield is performed by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that branches off from the split duct 20 so that defrosting at the center of the windshield is made, A space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passenger's seat) can be ensured in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2)에서 제상덕트(30)는 제상개구홀(31) 지점에서의 단면적이 분할덕트(20)에서 분기되는 지점에서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상덕트(30)는 분할덕트(20)에서 분기된 후 제상개구홀(31)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frosting duct 30 in the defrost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larger in cross sectional area at a point at which the defrosting hole 31 is branched from the divided duct 20. [ That is, the defrost duct 30 is formed such that the sectional area thereof increases as it is diverted from the divided duct 20 and then toward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제상덕트(30)가 분할덕트(20)에서 분기되는 지점에서부터 제상덕트(30) 내부에는 공기의 확산작용에 의하여 공기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작용은 제상덕트(3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유도하며 원활한 공기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윈드쉴드 측면 하단의 제상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moving speed of the air is increased from the point where the defrost duct 30 is branched from the divided duct 20 to the inside of the defrost duct 30 by the air diffusion action, 30) and induce airflow smoothly, so that the defrosting effect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windshield can be enhanced.

본 발명에 따른 크래시패드 조립체(1)에서 제상개구홀(31)은 다수 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때 제상개구홀(31) 각각을 구획하는 개구홀리브(3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홀리브(31a)에 의하여 제상개구홀(31)에서의 강성이 보강되고, 외력에 의한 제상개구홀(31)의 변형(직경 축소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상개구홀(31)을 통한 공기의 원활한 토출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In the crash pad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penings, and an opening hole 31a for defining each of the defroster opening holes 31 may be formed. This opening hole 31a reinforces the rigidity in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and can prevent deformation (reduction in diameter, etc.) of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due to external forc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mooth discharge of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크래시패드(100)에는, 디프로스터(2)를 통한 공기 배출을 위하여 중앙홀(110), 측면홀(120) 및 개구홀삽입홈(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크래시패드(100)에는, 앞쪽 단부에 차량의 윈드쉴드에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글라스인접부(140)가 형성된다.The crush pad 100 is formed with a center hole 110, a side hole 120 and an opening hole insertion groove 130 for discharging air through the defroster 2. The crash pad 100 is formed with a glass proximal portion 140 which is in contact with or near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t its front end.

중앙홀(110)은 디프로스터(2)의 중앙개구부(12a, 12b)에 대응(위치, 모양 및 크기 등)되는 것이며, 크래시패드(100) 상에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enter hole 110 corresponds to the center openings 12a and 12b of the defroster 2 and has a shape penetrating on the crash pad 100. [

측면홀(120)은 디프로스터(2)의 측면개구부(23)에 대응되는 것이며, 크래시패드(100) 상에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side holes 120 correspond to the side openings 23 of the defroster 2 and penetrate the crash pad 100.

개구홀삽입홈(130)은 후술하는 고정패널(300)의 상측개구홀(320)에 대응되는 것이며, 크래시패드(100)의 글라스인접부(140) 상에 형성된다.The opening hole insertion groove 130 corresponds to the upper opening hole 320 of the fixing panel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on the glass adjacent portion 140 of the crash pad 100.

이와 같이, 고정패널(300)의 상측개구홀(320)이 결합되는 개구홀삽입홈(130)을, 크래시패드(100)의 전방 모서리 부분(글라스인접부(140))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크래시패드(100)의 제조(사출성형)시 금형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개구홀삽입홈(130)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크래시패드(100)의 넓은 면적을 다른 장치의 설치를 위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By thus forming the opening hole insertion groove 130 to which the upper side opening hole 320 of the fixed panel 300 is coupled to the front edge portion (the glass adjacent portion 140) of the crash pad 100, It is possible to form the opening hole inserting groove 130 while minimizing the change of the mold during the production (injection molding) of the pad 100 and also to use the large area of the crash pad 100 for the installation of other devices do.

밀착패드(200)는 윈드쉴드와 크래시패드(100) 사이를 밀폐하여, 양자 사이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ntact pad 200 hermetically seals between the windshield and the crash pad 100 to prevent foreign matter or noise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two.

이러한 밀착패드(200)는 탄성고무, 발포고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글라스인접부(140) 상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대체로 좌우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ontact pad 2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 elastic rubber or a foamed rubber, and is coupled to the glass adjacent portion 140, and has a substantially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고정패널(300)은 디프로스터(2) 상측에 고정결합되어 크래시패드(100) 저면에 고정결합되며, 크래시패드(100)와 구분되어 이루어져 디프로스터(2)를 지지하면서 디프로스터(2)가 크래시패드(100)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패널(300)은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어 크래시패드(100) 저면에 조립될 수 있다.The fixed panel 300 is fixedly coupled to the top of the defroster 2 and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rash pad 100 and separated from the crash pad 100 to support the defroster 2, So as to be stably fixed to the crash pad 100. The fixed panel 30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nd assemb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sh pad 100.

고정패널(300)과 크래시패드(100)의 조립은 별도의 체결수단(볼트, 리벳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걸림, 억지끼움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panel 300 and the crash pad 100 may be assembled by separate fastening means (bolts, rivets, etc.), and may be formed by hooks, interference fit, or the like.

이러한 고정패널(300)에는 특히, 제상덕트(30) 및 밀착패드(200)와의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하측개구홀(310), 상측개구홀(320) 및 제1 결합면(330)이 형성된다.The fixed panel 300 is formed with a lower opening hole 310, an upper opening hole 320 and a first coupling surface 330 for stable coupling with the defrost duct 30 and the contact pad 200 .

그리고 하측개구홀(310), 상측개구홀(320) 및 제1 결합면(330)은 개구홀삽입홈(130)이 형성된 지점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특히 상측개구홀(320)과 제1 결합면(330)은 개구홀삽입홈(130)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1 결합면(330)이 제2 결합면의 연장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opening hole 310, the upper opening hole 320 and the first coupling surface 330 are formed adjacent to a point where the opening hole insertion groove 130 is formed. In particular, the upper opening hole 320, The surface 33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insertion groove 130 so that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330 can form an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하측개구홀(310)은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구멍이며, 제상개구홀(31)과 연통되는 형태로 결합된다.The lower side opening hole 310 is a hole that opens downward and is coupled to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in a communicating manner.

이때, 하측개구홀(310)과 제상개구홀(31)의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실링패드(4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패드(400)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상개구홀(31)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상덕트(30)에 고정결합되어 하측개구홀(310) 상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aling pad 400 may be formed for stable engagement between the lower opening hole 310 and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The sealing pad 400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defroster duct 30 and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opening hole 310.

상측개구홀(320)은 하측개구홀(310)과 연통되고 아울러 크래시패드(100) 상측과 연통되며, 제상개구홀(31)을 거친 공기가 크래시패드(100)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pper opening hole 320 communicates with the lower opening hole 310 an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ide of the crash pad 100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can b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rash pad 100.

이처럼 하측개구홀(310)과 상측개구홀(320)은 고정패널(30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여 제상덕트(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크래시패드(100) 상측으로 이동하여 윈드쉴드 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제상덕트(30)의 제상개구홀(31) 부분의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lower opening hole 310 and the upper opening hole 320 form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ixing panel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defrost duct 30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crash pad 100, So that the defrosting hole 30 of the defrosting hole 31 can be stably fixed.

제1 결합면(330)은 상측개구홀(320)에서 차량의 전방 쪽에 위치하며, 편평한 면을 이루면서 밀착패드(200)가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밀착패드(200)는 접착을 통하여 제1 결합면(33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surface 33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in the upper opening hole 320 and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ad 200 while making a flat surface. The adhesion pad 200 may be bonded onto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330 through adhesion.

한편 상술한 글라스인접부(140)에는 밀착패드(200)의 결합을 위한 제2 결합면(141)이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며, 밀착패드(200)는 접착을 통하여 제2 결합면(141) 상에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engagement surface 141 for engagement of the adhesion pad 200 is formed to be constant along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glass adjacent portion 140. The adhesion pad 200 is bonded to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141).

이처럼 밀착패드(200)는 크래시패드(100)와 고정패널(300)에 함께 결합된다.In this way, the contact pad 200 is coupled to the crash pad 100 and the fixed panel 300 together.

그리고 제1 결합면(330)은 제2 결합면(141)의 연장선을 이루며(제2 결합면(141)과 제1 결합면(330)은 일정한 평면 또는 일정한 곡면을 이룸), 밀착패드(200)가 크래시패드(100) 및 고정패널(300)에 결합됨에 있어서, 양자의 차이가 없이 균일한 형태로 결합되도록 한다.The first coupling surface 330 forms an extension of the second coupling surface 141 (the second coupling surface 141 and the first coupling surface 330 form a constant plane or a constant curved surface) Are coupled to the crash pad 100 and the fixed panel 300 so that they can be coupled in a uniform form without any difference between the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2) 및 크래시패드 조립체(1)에 의하면, 제상개구홀(31)이 구비되는 제상덕트(30)가 분할덕트(20)에서 분기되도록 하고 중앙개구부와 제상개구홀(31)이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크래시패드(100)의 측면 상측 공간을 확보하여 디프로스터(2) 이외의 수단이 크래시패드(100)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윈드쉴드 측면 하단에 발생하는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froster 2 and the crash pad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rost duct 30 having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is branched from the divided duct 20, The upper side space of the crash pad 100 is ensured so that the means other than the defroster 2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sh pad 100 while the defroster opening side holes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property that occurs in the case of FIG.

또한 고정패널(300)에 의하여 밀착패드(200)가 크래시패드(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제상개구홀(31)을 통한 공기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defroster opening hole 31 while allowing the fastening pad 200 to be firmly coupled to the crash pad 100 by the fixing panel 300.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크래시패드 조립체 2 : 디프로스터
10 : 중앙덕트 10a : 제1 중앙덕트
10b : 제2 중앙덕트 11a : 제1 유입구
11b : 제2 유입구 12a : 제1 중앙개구부
12b : 제2 중앙개구부
20 : 분할덕트 20a : 제1 분할덕트
20b : 제2 분할덕트 21 : 내측분할덕트
22 : 외측분할덕트 23 : 측면개구부
30 : 제상덕트 31 : 제상개구홀
31a : 개구홀리브
40 : 분할격벽 50 : 격벽
100 : 크래시패드 110 : 중앙홀
120 : 측면홀 130 : 개구홀삽입홈
140 : 글라스인접부 141 : 제2 결합면
200 : 밀착패드
300 : 고정패널 310 : 하측개구홀
320 : 상측개구홀 330 : 제1 결합면
400 : 실링패드
1: Crash Pad Assembly 2: Defroster
10: central duct 10a: first central duct
10b: second central duct 11a: first inlet
11b: second inlet port 12a: first central opening
12b: a second central opening
20: split duct 20a: first split duct
20b: second split duct 21: inner split duct
22: outer split duct 23: side opening
30: defrost duct 31: defrost opening hole
31a: opening Holibe
40: partition wall 50: partition wall
100: Crash pad 110: Center hole
120: side hole 130: opening hole insertion groove
140: glass adjacent portion 141: second coupling surface
200: Adhesive pad
300: fixed panel 310: lower opening hole
320: upper opening hole 330: first coupling surface
400: Sealing pads

Claims (9)

차량의 윈드쉴드에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글라스인접부가 앞쪽 단부에 형성되는 크래시패드;
상기 글라스인접부 상에 결합되어 상기 윈드쉴드에 밀착되는 밀착패드;
상기 크래시패드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윈드쉴드 상에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하고 상기 윈드쉴드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에 제상개구홀이 구비되는 제상덕트가 형성되는 디프로스터; 및
상기 제상개구홀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하측개구홀, 상기 하측개구홀과 연통되고 상기 크래시패드 상측과 연통되는 상측개구홀 및 상기 밀착패드에 밀착되는 제1 결합면이 형성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A crash pad in contact with or near a windshield of a vehicle, the crash pad being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adjacent to the glass;
A contact pad coupled to the windshield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windshield;
A defroster formed under the crash pad and having a defrosting duct formed therein, the air moving through the inside to prevent the windshield from being caught on the windshield, extending toward a lower side of the windshield, and having a defroster opening hole at an end thereof; And
And a fixed panel having a lower sid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defroster opening hole, an upper sid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side opening hole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side of the crash pad, and a first engaging surface closely contacting the urging pad Wherein the defroster comprises a defro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인접부에는 상기 상측개구홀이 삽입되는 개구홀삽입홈 및 상기 밀착패드가 결합되는 제2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제2 결합면의 연장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hol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upper opening hole is inserted and a second coupling surface with which the adhesion pad is coupled ar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glass,
Wherein the first coupling surface forms an extension of the second coupling surface. ≪ RTI ID = 0.0 > 15.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은, 상기 디프로스터 상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크래시패드 저면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panel is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efroster and fixed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rash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개구홀을 둘러싸며 상기 제상덕트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하측개구홀에 밀착결합되는 실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ling pad which surrounds the defroster opening hole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defrosting duct and tightly coupled to the lower open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개구홀이 다수 개로 구분되도록 구획하는 개구홀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pening hole rib is formed to divide the defroster opening hole into a plurality of defroster holes.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터는,
상기 원드쉴드 중앙 쪽을 향하여 개구된 중앙개구부가 구비되는 중앙덕트; 및
상기 차량의 측면 쪽을 향하여 상기 중앙덕트에서 분기되는 분할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덕트는 상기 상기 분할덕트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above-
A center duct having a center opening opened toward the center of the wedge shield; And
And a split duct branching from the central duct toward the side of the vehicle,
Wherein the defrost duct is branched from the split duct.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덕트의 단부에는 상기 크래시패드를 통해 노출되고 개구되는 측면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ide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split duct, the side opening being exposed through the crash pad. ≪ RTI ID = 0.0 > 8. < / RTI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덕트는,
상기 중앙덕트와 연결되는 내측분할덕트; 및
상기 내측분할덕트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앙덕트와 멀어지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거나 굽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상기 측면개구부가 형성되는 외측분할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덕트는 상기 외측분할덕트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plit duct,
An inner split duct connected to the central duct; And
And an outer split duct extending from the inner split duct and being inclined or curv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away from the central duct and having the side openings formed at ends thereof,
Wherein the defrost duct is formed on the outer split duct.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덕트는, 상기 제상개구홀 지점에서의 단면적이 상기 분할덕트에서 분기되는 지점에서의 단면적 보다 크고,
상기 제상덕트의 단면적은 상기 분할덕트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가 구비되는 크래시패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frost duct is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at a point where the defrosting hole is branched at the defrosting hole,
Wherei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defrost duct is small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lit duct.
KR20140181524A 2014-12-16 2014-12-16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 KR1015012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1524A KR101501237B1 (en) 2014-12-16 2014-12-16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1524A KR101501237B1 (en) 2014-12-16 2014-12-16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237B1 true KR101501237B1 (en) 2015-03-12

Family

ID=5302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81524A KR101501237B1 (en) 2014-12-16 2014-12-16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2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81B1 (en) * 2016-02-16 2017-07-24 덕양산업 주식회사 Modules with structures that guide assembly for dashboard
CN113859174A (en) * 2021-10-09 2021-12-3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Integrated side defrosting air pipe, defrosting air pipe and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75U (en) * 1998-09-25 2000-04-25 이관기 Easily removable car defroster grill.
JP2007161083A (en) * 2005-12-14 2007-06-28 Mazda Motor Corp Defroster device for vehicle
KR20130025240A (en) * 2011-09-01 2013-03-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 defroster grill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75U (en) * 1998-09-25 2000-04-25 이관기 Easily removable car defroster grill.
JP2007161083A (en) * 2005-12-14 2007-06-28 Mazda Motor Corp Defroster device for vehicle
KR20130025240A (en) * 2011-09-01 2013-03-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 defroster grill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81B1 (en) * 2016-02-16 2017-07-24 덕양산업 주식회사 Modules with structures that guide assembly for dashboard
CN113859174A (en) * 2021-10-09 2021-12-3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Integrated side defrosting air pipe, defrosting air pipe and vehicle
CN113859174B (en) * 2021-10-09 2023-09-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Integrated side defrosting air pipe, defrosting air pipe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591B1 (en) Defroster and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9963027B2 (en) Windshield glass peripheral structure
JP6636720B2 (en) Cowl structure
KR101501237B1 (en) Crash pad assembly including defroster
RU2456172C2 (en) Car with a-strut
CN107792018B (en) Windshield defroster with secondary duct delivery outlet
US20180111457A1 (en) Vehicle back door structure
JP2014031043A (en) Vehicular side defroster structure
JP5685566B2 (en) Vehicle pillar structure
JP6232330B2 (en) instrument panel
JP2008126973A (en) Vehicular head up display section structure
RU2632245C2 (en) Air-conducting device for wheel housing ventilation
JP6052021B2 (en) Duct structure
CN111516466A (en) Instrument panel structure for vehicle
KR102084046B1 (en) Defroster having air flow distribution structure
KR100543758B1 (en) Structure of defroster duct in air-conditioner
KR100577813B1 (en) Structure of defroster duct in air-conditioner
JP2015058723A (en) Vehicle defroster apparatus
JP2020040421A (en) Side defroster device
JP5819272B2 (en) Front pillar structure of the vehicle
KR102084049B1 (en) Defroster having air flow distribution structure
JP5783985B2 (en) Front pillar structure of the vehicle
JP6115385B2 (en) Defroster nozzle structure
KR20130025240A (en) A defroster grill apparatus
CN111516492B (en) Instrument panel structur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