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172B1 -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4 wheel drive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4 wheel driv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172B1
KR101500172B1 KR20130124848A KR20130124848A KR101500172B1 KR 101500172 B1 KR101500172 B1 KR 101500172B1 KR 20130124848 A KR20130124848 A KR 20130124848A KR 20130124848 A KR20130124848 A KR 20130124848A KR 101500172 B1 KR101500172 B1 KR 10150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interval
wheel
difference valu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근
박재일
강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1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ifferentials
    • B60W10/14Central differential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front and rear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a four-wheel drive vehicle. The method comprises: a wheel speed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each of the wheels of the vehicle; an averag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front wheel average value as the average wheel speed value of two front wheels and a rear wheel average value as the average wheel speed value of two rear wheels; a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wo calculated average values; a difference value distinguishing step of determining to which section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belongs among multiple predetermined difference value sections; and a control step of applying a predetermined torque value to rear axle shafts when the predetermined torque value corresponds to the section determined in the difference value distinguishing step.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etermining the current attachment of a different kind of a tire in the vehicle through the divided steps, and is capable of differently controlling a torque input to the rear wheels according to the steps, thereby preventing the component of a driving system from being damaged when excessive torque is applied to the rear wheels.

Description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4 WHEEL DRIVE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r-wheel drive vehicle,

본 발명은 4륜구동(4 WHEEL DRIVE, 4WD) 차량에 동 반경이 다른 타이어가 장착 되었을 경우 이를 판단하여 후륜 출력을 제어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in which a tire having a different radius is mounted on a four-wheel drive (4WD) vehicle.

4륜구동 차량은 일반적으로 전륜 휠 또는 후륜 휠만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2륜구동 차량과 다르게 4개의 휠이 모두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차량을 말한다. 2륜구동 차량과 비교하여 볼 때 4개의 휠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이므로 추진력이 월등하고, 비포장도로와 같은 험로, 경사가 아주 급한 도로 및 노면이 미끄러운 도로에 대한 주행성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A four-wheel drive vehicle generally refers to a vehicle that is capable of driving all four wheels unlike a two-wheel drive vehicle that drives only a front wheel or a rear wheel. Compared to a two-wheel drive vehicle, four wheels are driven at the same time, which means that the driving performance is superior, and the driving performance is excellent for rough roads such as unpaved roads, roads where slopes are very urgent, and slippery roads.

하지만 상기 4륜구동 차량은 일반 주행시, 즉 주행에 있어서 많은 부하가 걸리지 않는 일반 도로를 주행할 시에는 연비의 악화 및 높은 소음 발생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4륜구동 차량은 일반 주행시에는 2륜으로 구동되다가 험로, 미끄러운 노면, 및 높은 추진력이 필요로 하는 구간에 있어서는 4륜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연비의 향상과 소음 및 진동의 감소를 꾀하고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four-wheel-drive vehicle may caus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fuel efficiency and generation of high nois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general road, that is, on a road which does not take much load in running. Therefore, in general, a four-wheel drive vehicle is driven by two wheels during normal driving, and is driven by four wheels in a section requiring a rough road, a slippery road surface, and a high thrust,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and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이처럼 종래에는 상기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분배라고 하면 4륜구동에서 2륜구동으로의 전환이 전부였었고 이 또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루어져 왔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ast, when the driving force distribution of the four-wheel-drive vehicle is considered, all four-wheel-drive to two-wheel-drive conversions have been performed mechanically by the driver's operation.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분배가 전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단순히 4륜구동에서 2륜구동으로의 전환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른 전륜 및 후륜의 구동력 분배 비율을 변화시킬 수도 있고, 특히 휠에 슬립이 발생할 경우 슬립되는 정도에 따라 구동력 분배가 달라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driving force distribution of such a four-wheel drive vehicle is electronically performed, and it is possible not only to switch from the four-wheel drive to the two-wheel drive but also to vary the driving force distribution ratio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driving force distribution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slip.

이에 대해 종래의 KR10-2012-0103938A "4륜구동차량의 토크분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는 "시내주행모드에서 스트로틀개도가 50% 이하이지만 휠슬립이 허용치 이상인 경우에 즉 시내에서 급가속을 하지 않지만 앞바퀴와 뒷바퀴의 회전수차가 허용치보다 큰 경우에, 4륜구동 컨트롤러는 전후륜 구동력분배 결정부에서 액츄에이터부를 제어하여 4륜구동모드중에서 전륜과 후륜의 토크를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분배를 하는 오토(AUTO) 모드로서 구동력을 분배한다. 상기한 오토(AUTO) 모드는 전륜과 후륜의 구동력을 최대 50:50까지 분배되도록 제어하되, 엔진토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엔진토크와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등을 고려하여 구동력을 분배하는 모드이다."라고 설명함으로써 실제 휠의 슬립되는 정도에 따라 구동력 분배가 바뀔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Conventional KR10-2012-0103938A "Torque distribu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four-wheel drive vehicle" describes "a torque distribution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 in which the stall opening degree is less than 50% in the city driving mode, However, when the rotational aberrations of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are larger than the allowable values, the four-wheel drive controller controls the actuator unit in the front and rear wheel driving force distribution determining unit to automatically change the torque of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in the four- The AUTO mode controls the driving force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o be distributed to a maximum of 50:50, and the engine torque and the NVH (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input from the engine torque sensor are distributed, And so on. "It is suggested that the driving force distribu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lip of the actual wheel .

하지만, 이러한 4륜구동 제어방식에는 문제점이 있는데, 전륜 및 후륜 중 어느 한쪽에 타이어의 반경이 다른 이종타이어가 설치된 경우에는 이종타이어가 설치된 휠보다 다른 휠들의 회전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되고,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속도와 후륜 액슬축의 회전속도가 상이하게 되어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후륜 액슬축으로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커플링의 내부에 있는 클러치에 슬립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with such a four-wheel drive control system. In the case where a heterogeneous tire having a different tire radius is provided on either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the rotation speed of the other wheel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wheel provided with the differen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axle shaft is different from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axle shaft, thereby causing a slip in the clutch inside the coupling which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from the propeller shaft to the rear axle shaft.

차량이 2륜구동 상태로 주행시에는 클러치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므로 커플링에 과열이 발생하지 않으나, 차량에 이종타이어가 설치되어 전륜과 후륜의 휠 속도가 상이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현재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슬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4륜구동 모드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클러치가 마찰접촉되고, 프로펠러 샤프트와 후륜 액슬축간의 상이한 회전속도로 인해 마찰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의 슬립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The coupling does not overheat because the clutch maintains the noncontact stat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 two-wheel drive state. However, when a different type of tire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wheel speeds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becom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lip of the clutch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clutch is frictionally contacted and frictionally contacted due to the different rotational speeds between the propeller shaft and the rear axle shaft.

만약 4륜구동 모드로 진입한 상태, 즉 상기 커플링의 내부에 있는 상기 클러치가 마찰접촉되어 후륜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가 짧은 시간동안만 이루어 진다면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나, 고속도로에서의 주행과 같은 장시간 정속주행 상태, 예컨데 60~100kph 사이의 정속주행 상태일 경우에는 계속해서 클러치가 마찰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써 장시간 동안 클러치에 슬립이 발생하여 클러치가 과열되고, 결국 커플링 및 주변 구동 부품들이 과열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있어왔던 것이다.
If the state in which the four-wheel drive mode is entered,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clutch in the coupling is frictionally contacted and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is performed for a short time, a large problem may not occur. However, The clutch is kept in a frictional contact state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for example, in a constant speed running state of 60 to 100 kph. As a result, the clutch slips for a long time and the clutch is overheat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parts are overheated and damaged.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10-2012-0103938AKR10-2012-0103938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이 현재 이종타이어가 부착된 상태인지를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단계에 따라서 후륜에 입력되는 토크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후륜에 과도한 토크가 가해짐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구동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whether a vehicle is currently attached with a different kind of tire by dividing it into a plurality of steps and control the torque inputted to the rear whee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ep,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that prevents damage to a driveline component that may be generated as a result of being appli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은 차량 휠 각각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검출단계; 전륜에 구비된 두 휠의 평균 휠 속도값인 전륜 평균값과 후륜에 구비된 두 휠의 평균 휠 속도값인 후륜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단계; 산출된 두 평균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단계; 산출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차이값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차이값 구분단계; 및 상기 차이값 구분단계에서 판단된 구간에 해당되는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including: a wheel speed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rotation speed of each vehicle wheel; An averag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front wheel average value which is the average wheel speed value of the two wheels provided on the front wheel and an average rear wheel value which is the average wheel speed value of the two wheels provided on the rear wheel; A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calculated average values; A difference value classifying step of determining in which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 intervals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belongs to; And a control step of applying a set torque value corresponding to an interval determined in the difference value dividing step to a rear wheel axle shaft.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 이전에 차속이 설정 차속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속 판단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An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included in the set vehicle speed range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 이전에 가속 페달 개도량이 상기 설정 차속 범위 내에서 차속별로 미리 마련된 한계 개도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엑셀 개도량 판단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And determining whether the accelerator pedal opening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opening amount for each vehicle speed within the set vehicle speed range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ng step.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 이전에 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킹 판단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And a braking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rake is operated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ng step.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 이전에 조향각이 설정 조향각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향각 판단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And a steering angl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eering angle is included in the set steering angle range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상기 차이값은 식 (전륜 평균값-후륜 평균값)/후륜 평균값 * 100으로 산출될 수 있다.The difference value may be calculated as an equation (front wheel average value - rear wheel average value) / rear wheel average value * 100.

상기 구분단계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차이값 구간 중 어느 한 차이값 구간에 포함된 상태를 설정 시간동안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정시간 유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time hold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is included in a difference value interval of the difference value interval for a set time period.

상기 차이값 구간은 제1구간,제2구간 및 제3구간으로 구성되되, 각 차이값 구간은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제3구간이 제1구간보다 더 큰 차이값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fference value interval may include a first interval, a second interval, and a third interval, and each difference value interval may be continuous, and the third interval may include a larger difference value than the first interval.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제2구간의 설정 토크값보다 크고, 제2구간의 설정토크값은 제3구간의 설정 토크값보다 클 수 있다.The set torque value of the first s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set torqu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and the set torqu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set torque value of the third section.

상기 제3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0일 수 있다.The set torque value of the third section may be zero.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프로펠러 샤프트에 마련된 커플링의 클러치 슬립률을 제어하여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step, the clutch slip ratio of the coupling provided on the propeller shaft may be controlled to apply the set torque value to the rear axle shaft.

한편, 본 발명은 차량 휠 각각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검출단계; 검출된 휠 속도값 중 어느 두 값을 서로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하는 오차값 산출단계; 산출된 오차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오차값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오차값 구분단계; 및 상기 오차값 구분단계에서 판단된 구간에 해당되는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heel speed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wheel speed of each vehicle wheel; An error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n error value by comparing any two values among the detected wheel speed values; An error value classifying step of determining in which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error value intervals the calculated error value belongs; And a control step of applying a set torque value corresponding to an interval determined in the error value dividing step to a rear wheel axle shaft.

상기 어느 두 값은 검출된 휠 속도값 중 최대 휠 속도값과 최소 휠 속도값일 수 있다.Either of the two values may be a maximum wheel speed value and a minimum wheel speed value among the detected wheel speed values.

상기 차이값은 식 (최대 휠 속도값-최소 휠 속도값)/최소 휠 속도값 * 100으로 산출될 수 있다.
The difference value can be calculated as an equation (maximum wheel speed value-minimum wheel speed value) / minimum wheel speed value * 1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에 이종타이어가 장착될 시 차량이 슬립 상태로 인식하여 반복적으로 커플링에 강한 마찰력을 인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커플링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of the four-wheel drive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a different type of tire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slip state and repeatedly applied with strong frictional force to the coupling, .

제어를 수행하기 전에 복수개의 이종타이어 장착 여부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커플링 보호를 위한 제어가 커플링에 손상이 발생할 조건에서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어로 인한 운전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The control for the coupling protection can be performed on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upling is damaged by performing the condition search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ires are mounted before performing the control,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의 흐름도.
1 is a flowchart of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of a four-wheel drive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of a four-wheel drive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Hereinafter,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써, 차량 휠 각각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검출단계(S200); 전륜에 구비된 두 휠의 평균 휠 속도값인 전륜 평균값과 후륜에 구비된 두 휠의 평균 휠 속도값인 후륜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단계(S210); 산출된 두 평균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단계(S220); 산출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차이값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차이값 구분단계(S230); 및 상기 차이값 구분단계(S230)에서 판단된 구간에 해당되는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하는 제어단계(S310);를 포함한다.FIG. 1 is a flowchart of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of a four-wheel drive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a wheel speed detecting step (S200) of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each vehicle wheel; An average value calculation step (S210) of calculating a front wheel average value, which is an average wheel speed value of the two wheels provided on the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average value, which is an average wheel speed value of the two wheels provided on the rear wheel; A difference value calculation step (S220)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calculated two average values; A difference value classifying step (S230) of determining in which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 intervals that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belongs to; And a control step (S310) of applying a set torqu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determined in the difference value sorting step S230 to a rear wheel axle axis.

여기서 상기 차이값은 식 (전륜 평균값-후륜 평균값)/후륜 평균값 * 100으로 산출될 수 있는데, 후륜 평균값 대비 % 로 산출됨으로써 후륜 평균값을 기준으로 전륜과 후륜 사이에 어느 정도나 휠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Here, the difference value may be calculated as a formula (front wheel average value-rear wheel average value) / rear wheel average value * 100, which is calculated as% relative to the rear wheel average value, so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wheel speed to some extent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Can be calculated.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를 수행하기 이전에, 현재 차량에서 발생하는 상기 차이값이 오로지 이종타이어에 의해 발생한 차이값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차이값은 이종타이어 뿐만 아니라 차량이 회전한다든지, 급가속 및 급정거시와 같은 다양한 주행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차량의 주행상태가 차량의 전륜 및 후륜 간에 휠 속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 즉 휠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을 조건인지 여부를 우선 판단함이 필요하다. 휠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을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슬립이 발생하는 것과 같이 전륜과 후륜 간에 휠 속도 차이가 발생한다면(상기 차이값이 0%이상의 어떠한 값이 나온다면) 현재 슬립으로 판단되는 상황이 실제 슬립에 의한 것이 아니라 현재 차량에 이종타이어가 장착되어 휠 속도에 변화가 생긴 것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후륜 액슬축에 인가되는 토크를 제어함으로써 커플링의 클러치가 지속적으로 마찰접촉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크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occurring in the current vehicle is a difference value caused solely by the heterogeneous tire before performing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This is because the difference value can be influenced not only by the heterogeneous tire but also by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such as a vehicle turning, rapid acceleration and sudden stopp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rst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a condition in which the wheel speed dif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that is, a condition in which the wheel will not slip. If a wheel speed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e., if th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0%) as in the case where a slip occurs even though the wheel does not slip, It can be judged that the change in the wheel speed is caused by the attachment of the different kind of tire to the present vehicle and the torque applied to the rear axle shaft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clutch of the coupling from being continuously brought into frictional contact state can do.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orque will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이를 위해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 이전에, 차속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속이 설정 차속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속 판단단계(S1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Therefore, a vehicle speed determination step (S100) for detecting the vehicle spe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vehicle speed is included in the set vehicle speed range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can be further performed.

차속이 낮아지게 되면 전륜 평균값과 후륜 평균값의 절대적인 값 또한 낮아지게 되고, 자연스레 전륜 평균값과 후륜 평균값의 차이도 감소하게 된다.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ered, the absolute value of the average value of the front whee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ar wheel are lower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of the front whee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ar wheel naturally decreases.

예컨데, 이종타이어가 후륜에 설치되고, 상기 휠 속도가 휠의 초당 회전수이며, 차량이 1초 동안 주행한다고 했을 때, 낮은 차속으로 주행한 경우에는 1초 동안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초당 회전수도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전륜 평균값과 후륜 평균값의 차이는 크지 않게 된다.For example, when a different kind of tire is installed on the rear wheel, the wheel speed is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second of the wheel, the vehicle is traveling for one second, and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low vehicle speed, The rotation speed per second is lowered,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of the front whee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ar wheel is not large.

하지만, 차속이 증가하는 경우는 1초 동안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길기 때문에 초당 회전수도 높아지게 되고, 따라서 전륜 평균값과 후륜 평균값의 차이는 크게 된다.However, when the vehicle speed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per second increases because the distance that the vehicle can move for one second is long, and th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of the front wheel and the value of the rear wheel becomes large.

따라서 상기 차이값이 이종타이어에 의한 휠 속도 차이를 감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발생할 때에만 이종타이어 판단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 차속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set vehicle speed must be provided to perform the discrimination of the heterogeneous tire only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ufficient to detect the wheel speed difference by the heterogeneous tire.

상기 설정 차속 또한 실험을 통해 차종 및 주행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이다. 보통 차속이 10kph 이상이고 120kph 이하가 됨이 바람직하다.
The set vehicle speed is also a preset value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driving environment through experime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vehicle speed is usually 10 kph or more and 120 kph or less.

한편,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 이전에 엑셀 개도량이 상기 설정 차속 범위 내에서 차속별로 미리 마련된 한계 개도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엑셀 개도량 판단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ECU may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vehicle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opening amount for each vehicle speed within the set vehicle speed range.

상기 엑셀 개도량은 엑셀 페달 옆에 페달이 밟히는 깊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될 수 있고, 설정 차속 범위 내의 어느 한 차속에 해당되는 한계 개도량을 넘는 개도량이 검출되는 경우 현재 차량이 급가속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한계 개도량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차량이 급가속 상태일 때는 전륜구동 차량의 경우 전륜의 휠 속도가 더 빨라 전륜과 후륜의 휠 속도가 상기하기 때문에 상기 차이값 산출단계(S220) 수행시 이종타이어에 의한 차이값이 아닌 급가속에 의한 차이값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opening amount exceeding the limit opening amount corresponding to a vehicle speed within the set vehicle speed range is detected, the present vehicle acceleration is detected by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depth at which the pedal is depressed by the pedal next to the accelerator pedal. It is preferable to set the limit opening amount so that it can be judged as the state. When the vehicle is in a rapid acceleration state, the wheel speeds of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of the all-wheel drive vehicle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different tires in the difference value calculation step (S220) The difference value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따라서 급가속시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가 수행되지 않도록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써 상기 한계 개도량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limit opening amount as an index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rapidly accelerated so that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is not performed at the time of a rapid acceleration.

상기 한계 개도량은 차속별로 다르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차속이 증가될 수록 점점 한계 개도량 또한 증가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limit opening amount is differently set for each vehicle speed, and the limit opening amount is preferably increased as the vehicle speed is increased.

또한, 상기 한계 개도량은 실험을 통해 차종 및 주행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이 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mit opening amount is a preset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and the driving environment through experiments.

한편,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 이전에 브레이크 페달 작동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작동신호에 따라 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킹 판단단계(S120);를 더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브레이크 작동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이 상이하므로 이로 인해 전륜 평균값과 후륜 평균값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 작동신호 검출시에는 상기 이종타이어에 의한 차이값이 정확히 산출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가 수행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 braking determination step (S120) may be performed to detect a brake pedal operation signal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and determine whether the brak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brake pedal operation sign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of the front whee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ar wheel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braking force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during the braking operation. Therefor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difference value by the different type of tires may not be accurately calculated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brake pedal operation signal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is not performed.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 이전에 조향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조향각이 설정 조향각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향각 판단단계(S130)가 수행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향각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를 의미한다.Preferably, the steering angle determining step S130 is performed to detect the steering angle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ng step S200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steering angle is within the set steering angle range, it means.

조향각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차량이 회전하면서 각 휠 간의 회전 반경에 차이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각 휠 간의 회전 속도 차이를 증가시키며, 발생된 휠 간의 휠 속도 차이가 상기 차이값의 산출에 반영되어 상기 차이값 구분단계(S230)에서 구간의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바, 이는 오로지 이종타이어에 의한 구간의 선택이 아니므로 이때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향각 판단단계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As the steering angle increases, the difference in the turning radius between the wheels increases as the vehicle rotates, which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wheels and the wheel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ed wheels is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difference value In the difference value sorting step S230, it is possible to influence the selection of the interval, which is not a selection of the interval by the different kind of tire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from being per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judgment step.

상기 설정 조향각 범위는 실차 실험등을 통해 차종 및 주행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이며,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조향각 범위를 가지게 될 때 조향각 변화에 따른 오차 없이 이종타이어에 의해 발생된 상기 차이값에 의해 구간 선택이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set steering angle range is a value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the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 actual vehicle test or the like. When the steering angle range is larger than 0 degrees and smaller than 90 degrees, the difference value A segment selection can be made.

상기한 바와 같이 차속이 설정 차속 범위 내에 포함되고, 엑셀 개도량이 상기 설정 차속 범위 내에서 차속별로 미리 마련된 한계 개도량 이하이며,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조향각이 설정 조향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차이값이 이종타이어에 의해 발생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vehicle speed is included in the set vehicle speed range as described above and the amount of excav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imit opening amount preset for the vehicle speed within the set vehicle speed range and the brakes are operated and the steering angle is within the set steering angle range, Is considered to have been generated by the different kind of tir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한편, 상기 차이값 구간은 제1구간,제2구간 및 제3구간으로 구성되되, 각 차이값 구간은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제3구간이 제1구간보다 더 큰 차이값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fference value interval may include a first interval, a second interval, and a third interval, and each difference value interval may be consecutively connected, and the third interval may be set to include a larger difference value than the first interval .

예를 들어, 상기 제1구간이 1.5% 이상 2.5% 미만의 차이값 구간을 가진다고 할 때, 상기 제2구간은 2.5% 이상 4.5% 미만이 되고, 제3구간은 4.5% 이상의 차이값을 모두 포함하는 차이값 구간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first section has a difference value interval of 1.5% or more and less than 2.5%, the second section is 2.5% or more and less than 4.5%, and the third section is 4.5% And a difference value interval.

만약 상기 차이값이 제1구간에 포함되지 못할 정도로 낮은 차이값을 보이는 경우에는 현재 차량에 이종타이어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단계(S310)는 수행되지 않는다.If the difference value is low enough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t tire is not mounted on the current vehicle, and the control step S310 is not performed.

또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차이값 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 포함된 상태를 설정 시간동안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정시간 유지단계(S300)를 더 수행하여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구간 내지 제3구간 중 어느 한 구간내에 포함되는 경우라 할 지라도 설정시간 동안 구간내에 포함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이값이 이종타이어에 의해 발생된 차이값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기 제어단계(S310)는 수행되지 않는다.Furth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value is included in one of the difference value intervals for a set time period so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stored in the first to third The control unit 310 determines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not the difference value generated by the heterogeneous tire, and the control step S310 is performed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not the difference value generated by the heterogeneous tire It does not.

상기 설정시간 유지단계(S300)를 수행하는 이유는 차량이 주행중이라도 순간적으로 슬립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S200)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정속주행상황, 예컨데 시속 60~100kph의 주행상황에서도 노면의 불균일과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순간적으로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여 순간적으로 휠 속도가 상승할 수 있는바, 상기 설정시간 유지단계(S300)를 수행하지 않는다면 상기와 같은 순간적인 노면의 변화시에도 상기 차이값 구간의 선택이 변경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설정시간 유지단계(S300)는 필요하다.The reason why the setup time holding step (S300) is performed is that there may occur a situation in which a slip may instantaneously occur eve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at is, even in a constant-speed running condition that satisfies all the conditions for performing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for example, a running condition of 60 to 100 kph per hour, an external factor such as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instantaneously causes slip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surface The wheel speed may instantaneously be increased. If the set time holding step S300 is not performed, the selection of the difference value interval may be changed even when the instantaneous road surface changes as described above The set time holding step S300 is necessary.

또한, 상기 설정시간 유지단계(S300)가 필요한 이유로, 현재 차량이 정속주행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함이 있다.Also, for the reason that the set time holding step (S300) is necessary, it is for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vehicle is in the constant speed running state.

즉, 커플링이 과열되어 커플링이 손상되는 경우는 커플링 내에 마련된 클러치가 마찰접촉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동력전달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 정속주행 상태에서 차량에 이종타이어가 장착된 경우 실제로 슬립은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전륜 및 후륜의 휠 속도 차이로 인해 차량이 슬립이 발생하고 판단하게 되어 정속주행하는 장시간 동안 계속 클러치가 마찰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정속주행 상태에서 상기 커플링이 과열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coupling is overheated and the coupling is damaged, the clutch provided in the coupling is maintained in a frictional contact state for a long time to continuously transmit power. In a case where a heterogeneous tire is mounted on the vehicle in a constant- The slip does not actually occur but the slip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wheel speeds of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Therefore, the clutch is maintained in the frictional contact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at constant speed, Which may be overheated and damaged.

반면, 짧은 시간 동안만 클러치가 마찰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접촉과 비접촉이 반복되기 때문에 커플링이 손상될 정도로 과열되는 일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lutch is kept in friction contact only for a short time, there is almost no occurrence of overheating to such an extent that the coupling is damaged because contact and non-contact are repeated.

따라서, 상기 설정시간 유지단계(S300)를 수행함으로써 현재 차량이 정속주행 상태인지를, 즉 차량에 이종타이어의 장착될 시 커플링이 손상될 정도로 과열될 수 있는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한 경우에만 상기 제어단계(S310)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vehicle is in the constant-speed running state,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can be overheat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coupling is damaged when the different-type tire is mounted on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tep (S310) can be performed only in one case.

상기 차이값에 의해 해당되는 차이값 구간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면, 상기 제어단계(S310)를 수행하게 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각 구간별로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제2구간의 설정 토크값보다 크고, 제2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제3구간의 설정 토크값보다 크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f the corresponding difference value interva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valu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tep S310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set torque value of the first section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set torqu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And the set torqu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set torque value of the third section.

또한, 상기 제어단계(S310)에서는 프로펠러 샤프트에 마련된 커플링의 클러치 슬립률을 제어하여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하게 된다.Also, in the control step S310, the clutch slip ratio of the coupling provided on the propeller shaft is controlled to apply the set torque value to the rear axle shaft.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예를들어 상기 제1구간이 선택된 상태라면 차량의 전륜과 후륜 간의 휠 속도 차이가 제2구간 및 제3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일 것이므로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속도와 후륜 액슬축의 회전속도의 차이가 크지 않아 커플링의 내부에 있는 클러치의 슬립 발생이 제2구간 및 제3구간 내에 상기 차이값이 위치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프로펠러 샤프트에서부터 전달되는 입력토크의 일부, 예컨데 70% 만이 후륜 액슬축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을 설정하고 70%의 입력토크 전달만 가능하도록 클러치 슬립률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f the first section is selected, the wheel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 shaft, Th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haft is not large and the occurrence of the slip of the clutch in the coupling is relatively less than in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value is located in the second and third sections. In this case, therefore, the clutch slip ratio is controlled so that only a part of the input torque transmitted from the propeller shaft, for example, 70%, is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axle shaft, and the input torque is only 70% .

여기서 클러치 슬립률은 클러치가 완전히 접합한 상태일 경우를 0%로 하고 클러치가 완전히 떨어진 상태를 100%로 하였을 때 클러치가 슬립되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슬립률이 낮을수록 후륜 액슬축에 가해지는 토크는 상기 입력토크에 근접해진다. 즉, 동력 전달률이 100%에 가까워진다. 물론 클러치 슬립률이 감소할 수록 클러치가 강하게 접촉되는 것이므로 클러치에 가해지는 부하는 증가하게 되며 부하에 의한 발열량 또한 증가하게 된다.
Here, the clutch slip ratio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clutch slips when the clutch is in a fully engaged state and 0% when the clutch is completely separated. When the slip ratio is low, the torque applied to the rear axle shaft is And approaches the input torque.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rate approaches 100%. Of course, as the clutch slip ratio decreases, the clutch is strongly contacted,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clutch increases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load also increases.

현재 이종타이어에 의해 클러치의 슬립이 이미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클러치 슬립률을 제어하여 계속 슬립상태가 되도록 하는 이유는 최대한 차량이 4륜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종타이어를 장착하였다고 하여 바로 2륜구동모드로 들어가도록 한다면 만약의 4륜구동이 필요한 상황, 예를들어 가속할 때나 일부 빙판길에 진입하게 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때, 4륜구동 차량의 강점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clutch slip ratio is controlled to keep the slip state in a state where the clutch slip has already been generated by the different kind of tires is to keep the vehicle in the four-wheel drive state as much as possible. If you enter into the wheel drive mode, you may not be able to use the strengths of a four-wheel drive vehicle if you are faced with situations where you need four-wheel drive, for example when you are accelerating or entering some ice roads to be.

즉, 상기 차이값이 제1구간에 속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속도와 후륜 액슬축의 회전속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일부 슬립이 발생하더라도 과열에 의해 클러치 및 커플링이 소손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을 설정함으로써 차량이 커플링이 소손되지 않으면서도 4륜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difference value belongs to the first s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 shaf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axle shaft is not relatively larg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some slip occurs, By setting the set torque value of the first section to such an extent that the vehicle is not burned, the vehicle can maintain the four-wheel drive state without burn-out of the coupling.

따라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상기 차이값이 제1구간에 속하게 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커플링이 소손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set torque value of the first section to such an extent that the coupling of the vehicle is not burned even when the difference value belongs to the first section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상기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70%이상 90%이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set torque value of the first section is set to have a value between 70% and 90%.

한편, 상기 차이값이 제2구간에 속하게 되는 경우에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속도와 후륜 액슬축의 회전속도 차이가 상기 차이값이 제1구간에 속하게 되는 경우에 비해 더 크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므로, 회전속도 차에 따른 클러치의 슬립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클러치의 슬립률을 증가시켜 클러치의 마찰되는 정도가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에 해당되는 클러치 슬립률 보다 감소되게 제어되도록 상기 설정 토크값을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보다 낮게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ifference value belongs to the second s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 shaf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axle shaft is larger than that of the difference value belonging to the first section, The slip rate of the clutch is increased and the set torque value is controlled so as to be controlled to be lower than the clutch slip rate corresponding to the set torque value of the first section by increasing the slip ratio of the clutch, 1 is set to be lower than the set torque value.

제2구간의 경우 클러치 슬립률의 증가로 동력전달률은 감소하게 되고, 이로인해 입력토크 중 후륜 액슬축으로 전달되는 토크의 양은 상기 차이값이 제1구간에 속하게 될 때보다 감소하게 되지만, 클러치 슬립률을 증가시켜 클러치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비록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속도와 후륜 액슬축의 회전속도 차에 따른 클러치의 슬립이 더 많이 발생하여 상기 차이값이 제1구간에 속하게 될 때보다 발열량이 증가될 수 있는 상황에서도 커플링과 클러치가 과열에 의해 소손되지 않으면서 4륜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second section, the power transmission rate de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clutch slip ratio. As a result, the amount of torque transmitted to the rear axle shaft of the input torque decreases as compared with when the difference value belongs to the first s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clutch due to the slippage of the clutch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 shaf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axle shaf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our-wheel drive state without burn-out of the coupling and the clutch due to overheating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vehicle can be increased.

따라서, 제2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상기 차이값이 제2구간에 속하게 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커플링과 클러치가 과열에 의해 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값을 가지게 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torqu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has such a value that the coupling and the clutch are not damaged by the overheat even if the difference value belongs to the second section.

예컨데, 제2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30%이상 70%미만 중 어느 하나의 값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set torqu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may be any value between 30% and less than 70%.

한편, 상기 차이값이 제3구간에 속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제3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0이 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difference value belongs to the third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torque value of the third section is set to be zero.

구체적으로는, 상기 차이값이 제3구간에 속하게 되는 경우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속도와 후륜 액슬축의 회전속도 차에 따른 클러치의 슬립이 매우 크게 발생하게 되어 클러치가 접촉되어 마찰될 때 발열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커플링과 클러치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로써, 이 경우에는 클러치 슬립률을 100%로, 즉 클러치가 완전히 접촉 해제상태가 되어 차량이 2륜구동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과열에 따른 커플링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difference value falls within the third section, the slip of the clutch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 shaf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axle shaft is very large, so that when the clutch is contacted and rubbed, In this case, the clutch slip ratio is set to 100%, that is, the clutch is completely released from contact and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be in the two-wheel drive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burn-out.

상기한 바와 같은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의 범위와 각 차이값 구간별 설정 토크값은 전륜과 후륜간의 상기 차이값이 발생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차이값에서 어느 정도의 설정 토크값이 되어야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동안에 설정 토크값이 후륜 액슬축으로 가해지는 상태를 유지해도 커플링이 과열되어 소손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The range of 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and the set torque value of each difference value section as described above are set such that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ccurs, Value should be set so that the coupling is overheated even if the set torque value is applied to the rear axle axis during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does not occur is maintained.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써, 차량 휠 각각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검출단계(S200); 검출된 휠 속도값 중 어느 두 값을 서로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하는 오차값 산출단계(S211); 산출된 오차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오차값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오차값 구분단계(S212); 및 상기 오차값 구분단계에서 판단된 구간에 해당되는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하는 제어단계(S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IG. 2 is a flowchart of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of a four-wheel drive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00) of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each vehicle wheel; An error value calculation step (S211) of calculating an error value by comparing any two values among the detected wheel speed values; An error value classifying step (S212) of determining in which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error value intervals the calculated error value belongs to; And a control step (S311) of applying a set torque value corresponding to an interval determined in the error value dividing step to a rear wheel axle axis.

상기 오차값은 식 (최대 휠 속도값-최소 휠 속도값)/최소 휠 속도값 * 100으로 산출될 수 있고, 각각의 구간은 상기 차이값 범위를 가짐과 같이 오차값 범위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오차값 구간의 범위는 차이값 구간의 범위와는 다를 수 있는데, 예컨데, 상기 오차값 구간 중 제 1 오차값 구간은 2.4%이상 4.5%미만의 범위를 가지고, 제 2 오차값 구간은 4.5%이상 7%미만의 범위를 가지며, 제 3 오차값 구간은 7%이상의 범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e error value may be calculated as an equation (maximum wheel speed value-minimum wheel speed value) / minimum wheel speed value * 100, and each section has an error value range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the range of the error value interval may be different from the range of the difference value interval. For example, the first error value interval of the error value interval may range from 2.4% to less than 4.5% A range of 4.5% or more to less than 7%, and a third error value range of 7% or more.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 휠 속도값과 최소 휠 속도값을 비교함으로써 전륜과 후륜의 휠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고, 어느 정도로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륜의 우측 또는 좌측 휠 속도에서 최대 휠 속도값이 검출되고, 후륜의 우측 또는 좌측 휠 속도에서 최소 휠 속도값이 검출되는 경우나 반대로 후륜의 우측 또는 좌측 휠 속도에서 최대 휠 속도값이 검출되고, 전륜의 우측 또는 좌측 휠 속도에서 최소 휠 속도값이 검출되는 경우, 오차값을 산출함으로써 전륜과 후륜의 평균 휠 속도에 서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오차값에 따른 필요한 설정 토크값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오차값 구간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by comparing the maximum wheel speed value and the minimum wheel speed valu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wheel speeds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how much the difference occurs. For example, The maximum wheel speed value is detected at the wheel speed, the minimum wheel speed value is detected at the right wheel speed or the left wheel speed of the rear wheel, or the maximum wheel speed value is detected at the right wheel speed or the left wheel speed of the rear wheel, When the minimum wheel speed value is detected at the wheel spee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average wheel speeds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by calculating the error value, so that a necessary set torque value according to the error value is determined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And thus the range of the error value interval can be determined.

하지만 전륜 또는 후륜의 좌우측에서 최대 휠 속도값과 최소 휠 속도값이 모두 나오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그렇게 된다 하더라도 전륜과 후륜의 평균 휠 속도에 서로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오차값이 증가할수록 전륜과 후륜의 평균 휠 속도 차이도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오차값 구간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전륜 또는 후륜의 좌우측에서 최대 휠 속도값과 최소 휠 속도값이 모두 나오게 되어도 오차값에 따른 필요한 설정 토크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오차값 구간의 범위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maximum wheel speed value and the minimum wheel speed value are both output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Even if this happens,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average wheel speeds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wheel speed of the rear wheels and the average wheel speed of the rear wheels also increases. Therefore, even when the maximum wheel speed value and the minimum wheel speed value are both outputted from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ont wheel or rear wheel, It is desirable to set the range of the error value interval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한편, 상기 오차값 산출단계(S211)를 제외한 나머지 단계들에 대하여는 모두 제 1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The remaining steps except for the error value calculation step (S211) are all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즉, 상기 오차값 구분단계(S212)는 상기 차이값 구간과 각 구간별 범위만 다를 뿐 동일한 구간 개수를 가지며, 상기 오차값 구분단계(S212) 이후에 제 1 실시예의 설정시간 유지단계(S300)와 동일한 설정시간을 가지는 설정시간 유지단계(S301)를 수행하며, 상기 제어단계(S311)는 제 1 실시예의 제어단계(S310)와 동일하게 각 구간별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error value dividing step S212 has the same interval number as the difference value interval and the interval of each interval, and after the error value dividing step S212, in the setting time holding step S300 of the first embodiment, (S301) having the same set time as the control time (S301), and the control step (S311) performs the control for each s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rol step (S310) of the first embodiment.

제 2 실시예의 효과 및 방법이 모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 2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effects and method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에 이종타이어가 장착될 시 차량이 슬립 상태로 인식하여 반복적으로 커플링에 강한 마찰력을 인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커플링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of the four-wheel drive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a different type of tire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slip state and repeatedly applied with strong frictional force to the coupling, .

제어를 수행하기 전에 복수개의 이종타이어 장착 여부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커플링 보호를 위한 제어가 커플링에 손상이 발생할 조건에서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어로 인한 운전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The control for the coupling protection can be performed on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upling is damaged by performing the condition search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ires are mounted before performing the control,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100 : 조향각 판단단계 S110 : 엑셀 개도량 판단단계
S120 : 브레이킹 판단단계 S130 : 조향각 판단단계
S200 : 휠 속도 검출단계 S210 : 평균값 산출단계
S211 : 오차값 산출단계 S212 : 오차값 구분단계
S220 : 차이값 산출단계 S230 : 차이값 구분단계
S300,S301 : 설정시간 유지단계 S310,S311 : 제어단계
S100: Steering angle determination step S110: Excel opening amount determination step
S120: Break determination step S130: Steering angle determination step
S200: Wheel speed detection step S210: Average value calculation step
S211: Error value calculation step S212: Error value classification step
S220: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S230: Difference value dividing step
S300, S301: Preset time holding step S310, S311: Control step

Claims (14)

차량 휠 각각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검출단계;
전륜에 구비된 두 휠의 평균 휠 속도값인 전륜 평균값과 후륜에 구비된 두 휠의 평균 휠 속도값인 후륜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단계;
산출된 두 평균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단계;
산출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차이값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차이값 구분단계; 및
상기 차이값 구분단계에서 판단된 구간에 해당되는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값 구간은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으로 구성되되, 각 차이값 구간은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제3구간이 제1구간보다 더 큰 차이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A wheel speed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rotational speed of each of the vehicle wheels;
An averag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front wheel average value which is the average wheel speed value of the two wheels provided on the front wheel and an average rear wheel value which is the average wheel speed value of the two wheels provided on the rear wheel;
A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calculated average values;
A difference value classifying step of determining in which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 intervals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belongs to; And
And a control step of applying a set torque value corresponding to an interval determined in the difference value dividing step to a rear wheel axle shaft,
Wherein the difference value interval comprises a first interval, a second interval and a third interval, each difference value interval continuing, and the third interval including a larger difference value than the first interval.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 이전에 차속이 설정 차속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속 판단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within a set vehicle speed range prior to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 이전에 엑셀 개도량이 설정 차속 범위 내에서 차속별로 미리 마련된 한계 개도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엑셀 개도량 판단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accelerato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opening amount for each vehicle speed within the set vehicle speed range prior to the wheel speed detecting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 이전에 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킹 판단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aking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rake is operated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ng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검출단계 이전에 조향각이 설정 조향각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향각 판단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eering angl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eering angle is included in the set steering angle range before the wheel speed detection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은 식 (전륜 평균값-후륜 평균값)/후륜 평균값 * 100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as an equation (front wheel average value - rear wheel average value) / rear wheel average value *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분단계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차이값 구간 중 어느 한 차이값 구간에 포함된 상태를 설정 시간동안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정시간 유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viding step further comprises a setting time hold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is included in a difference value interval of the difference value interval for a preset time period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제2구간의 설정 토크값보다 크고, 제2구간의 설정토크값은 제3구간의 설정 토크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 torque value of the first section is greater than the set torqu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and the set torqu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is greater than the set torque value of the third sec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구간의 설정 토크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t torque value of the third section is zer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프로펠러 샤프트에 마련된 커플링의 클러치 슬립률을 제어하여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tep controls the clutch slip ratio of the coupling provided on the propeller shaft to apply the set torque value to the rear wheel axle shaft.
차량 휠 각각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검출단계;
검출된 휠 속도값 중 어느 두 값을 서로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하는 오차값 산출단계;
산출된 오차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오차값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오차값 구분단계; 및
상기 오차값 구분단계에서 판단된 구간에 해당되는 설정 토크값을 후륜 액슬축에 인가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차값 구간은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으로 구성되되, 각 오차값 구간은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제3구간이 제1구간보다 더 큰 오차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A wheel speed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rotational speed of each of the vehicle wheels;
An error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n error value by comparing any two values among the detected wheel speed values;
An error value classifying step of determining in which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error value intervals the calculated error value belongs; And
And a control step of applying a set torque value corresponding to an interval determined in the error value dividing step to a rear wheel axle shaft,
Wherein the error value interval is comprised of a first interval, a second interval and a third interval, each error value interval continuing continuously, and the third interval including a larger error value than the first interval. A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어느 두 값은 검출된 휠 속도값 중 최대 휠 속도값과 최소 휠 속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wo values are the maximum wheel speed value and the minimum wheel speed value among the detected wheel speed values.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오차값은 식 (최대 휠 속도값-최소 휠 속도값)/최소 휠 속도값 * 100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차량의 구동력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rror value is calculated as an expression (maximum wheel speed value - minimum wheel speed value) / minimum wheel speed value * 100.
KR20130124848A 2013-10-18 2013-10-18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4 wheel drive vehicle KR101500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848A KR101500172B1 (en) 2013-10-18 2013-10-18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4 wheel driv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848A KR101500172B1 (en) 2013-10-18 2013-10-18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4 wheel drive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172B1 true KR101500172B1 (en) 2015-03-06

Family

ID=5302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4848A KR101500172B1 (en) 2013-10-18 2013-10-18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4 wheel driv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17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853A (en) * 2016-11-03 2018-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ehicle
US10532768B2 (en) 2016-06-30 2020-01-1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ehicle
KR102202442B1 (en) * 2019-11-25 2021-01-13 현대위아 주식회사 Torque control Method of 4WD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36B1 (en) * 2002-10-14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lectronic 4WD control method
KR100579925B1 (en) * 2004-06-29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slip control system for 4 wheel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20017190A (en) * 2010-08-18 2012-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upling control logic for four wheel drive vehicle
KR20130059202A (en) * 2011-11-28 2013-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orque control system for fulltime 4 wheel drive green car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36B1 (en) * 2002-10-14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lectronic 4WD control method
KR100579925B1 (en) * 2004-06-29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slip control system for 4 wheel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20017190A (en) * 2010-08-18 2012-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upling control logic for four wheel drive vehicle
KR20130059202A (en) * 2011-11-28 2013-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orque control system for fulltime 4 wheel drive green car and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2768B2 (en) 2016-06-30 2020-01-1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ehicle
KR20180049853A (en) * 2016-11-03 2018-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ehicle
KR102660350B1 (en) * 2016-11-03 2024-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ehicle
KR102202442B1 (en) * 2019-11-25 2021-01-13 현대위아 주식회사 Torque control Method of 4W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6994B1 (en) Drivel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riveline
JP3525879B2 (en) Front and rear wheel torque distribution control device for four-wheel drive vehicle
EP2591937B1 (en) Torque-distribution control device for a four-wheel-drive vehicle
JP5406385B2 (en)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for four-wheel drive vehicle
CN111086500B (en) Vehicle slip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and vehicle
CN108312846B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with selectable all-wheel drive
JPH09109716A (en) Four-wheel drive controller of vehicle
US9758167B1 (en) Hill detection and grade percent estimation logic for an all-wheel drive system
US10052948B2 (en) Drivel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riveline
JPH0790715B2 (en) Differential limiting force controller
KR10150017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4 wheel drive vehicle
US60295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ehicle driving stability during deceleration
EP2591941A1 (en) Device for controlling torque distribution to left and right wheels on a vehicle
RU2240934C2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rotection of vehicle differentials
US6845838B2 (en) Four-wheel drive vehicle
JP2006528568A (en)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driven at least part-time in four wheels
US7434646B2 (en) On-demand four wheel drive system
JP4706235B2 (en) Wheel speed sensor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equipped with the same
KR20190115961A (en) Starting control method for 4wd vehicle
KR101787261B1 (en) Power transfer disconnecting control apparatus for four wheel driv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2202442B1 (en) Torque control Method of 4WD Vehicle
KR102453787B1 (en) Control method of vehicle to escape from adverse environments
US729063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drive force of four-wheel drive car
JP2008149794A (en) Driving force distribution device
KR20160038415A (en) Control system for 4wd vehicle using infrared senso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