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089B1 - 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 Google Patents

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089B1
KR101499089B1 KR1020130066916A KR20130066916A KR101499089B1 KR 101499089 B1 KR101499089 B1 KR 101499089B1 KR 1020130066916 A KR1020130066916 A KR 1020130066916A KR 20130066916 A KR20130066916 A KR 20130066916A KR 101499089 B1 KR101499089 B1 KR 101499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micro
microcurrent
current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4841A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13006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089B1/en
Publication of KR2014014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8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3Interference currents, i.e. treatment by several currents summed in the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6External connectors, e.g. plug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미세전류 유도 전극을 통하여 인체에 미세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여 생체신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보청기의 자체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인체에 접촉되는 보청기의 인체 접촉 부분에 전극이 형성된 미세전류 모듈(12); 외부 유입 음과 모바일 기기(M) 유입 음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 및 모바일(M)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전류 모듈(12)은 모바일 기기(M)에 의하여 제어가 되고 그리고 인체 접촉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조절 가능한 공급 전원을 가진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having a function of treating a biological signal by a microcurrent flow,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hearing aid capable of treating a biological signal by inducing a flow of a microcurrent to a human body through a microcurrent induction electr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having a function of treating a biological signal by a micro current flow. The hearing aid comprises a micro current module (12) in which an electrode is formed at a human body contact portion of a hearing aid in contact with a human body; A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for independently processing the external inflow sound and the inflow sound of the mobile device (M) separately;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M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and wherein the micro current module 12 is controlled by the mobile device M and comprises at least one electrode And an adjustable supply voltage.

Description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본 발명은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미세전류 유도 전극을 통하여 인체에 미세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여 생체신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보청기의 자체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having a function of treating a biological signal by a microcurrent flow,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hearing aid capable of treating a biological signal by inducing a flow of a microcurrent to a human body through a microcurrent induction electr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having a function of treating a biological signal by a micro current flow.

보청기는 난청으로 진단된 환자의 귀에 장착되어 난청인의 주파수별 청력에 맞추어 유입되는 소리가 증폭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마이크로폰, 증폭기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 자체의 기능이 향상되는 한편 다른 유용한 기능이 추가된 보청기가 나타나고 있다.A hearing aid is a device installed in the ear of a patient diagnosed with hearing loss and functioning to amplify the incoming sound according to the hearing power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In general, a hearing aid consists of a microphone, an amplifier, and a speaker. However, as technology advances, the hearing aid improves its functions while adding other useful functions.

보청기와 다른 기능이 통합된 형태의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0654543호 ‘보청기 호환 이동통신단말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보이스 코일에 인가되는 음성 신호와 T-코일에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음성 신호의 특성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보청기 호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선행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압축하는 보코더; 상기 보코더 내에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의 보이스 코일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제1 FIR 필터; 상기 보코더로부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디지털 음성 신호로 전환하여 리시버의 보이스 코일에 해당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코덱; 상기 보코더로부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디지털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전환하여 리시버의 T-코일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디지털 오디오 앰프; 상기 디지털 오디오 앰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보코더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의 T-코일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제2 FIR 필터를 포함하는 보청기 호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Patent No. 0654543 'Hearing aid compati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rior art type in which hearing aid and other functions are integrated.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provides a hearing aid-compati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a voice signal applied to a voice coil and a voice signal applied to a T-coil to selectively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signal. For this purpose, the prior art includes a vocoder for compressing a voice signal inpu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digital voice signal; A first FIR filter provided in the vocoder for selectively varying a voice coil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voice signal; A codec for receiving a digital voice signal from the vocoder and converting the digital voice signal to a corresponding voice coil of the receiver; A digital audio amplifier that receives a digital audio signal from the vocoder and amplifies the digital audio signal, converts the amplified digital audio signal to an analog audio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og audio signal to a T-coil of the receiver; And a second FIR filter provided in the digital audio amplifier for selectively changing a T-coil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a digital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coder.

기능 통합형 보청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0-0026299호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난청 환자를 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면서도 보청기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보청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운드 프로세서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된 보청기 메인 보디와, 일단이 상기 보청기 메인 보디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전선이 내장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이어피스 연결부가 있고, 보청기용 리시버 및 무선통신용 마이크가 내장되는 보청기 서브 보디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겸용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function integrated hearing aids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26299,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mbined Hearing Aid'. The prior art includes a main body of a hearing aid having a sound processor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 therei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hearing aid capable of performing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and effectively performing a hearing aid function,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nnection tube, and a ear piec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tube. A receiver for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sub-body having a built-in microphone for wireless communication.

보청기의 기능 확장은 보청기에 새로운 기능을 가진 유닛을 추가하거나 또는 보청기를 다른 기능을 가진 장치와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청기에 대하여 추가될 수 있는 기능을 예를 들어 치료 기능을 가진 칩의 설치에 따른 인체 치료와 같은 것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보청기와 다른 장치와 연결은 에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보청기의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보청기 자체의 기능이 완전히 실현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The function expansion of a hearing aid can be done by adding a unit with a new function to the hearing aid or by connecting the hearing aid to a device with a different function. Some of the functions that can be added to a hearing aid include, for example, the treatment of human body by installing a chip having a therapeutic function. On the other hand, hearing aids and other devices and connections are connected to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lthough the prior art discloses a mobile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 hearing aid, it ha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hearing aid itself is not fully realized.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having a function of treating a biological signal by micro current flow.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ring aid functionally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청기는 인체에 접촉되는 보청기의 인체 접촉 부분에 전극이 형성된 미세전류 모듈; 외부 유입 음과 모바일 기기의 유입 음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신호 통합 처리 유닛; 및 모바일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전류 모듈은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제어가 되고 그리고 인체 접촉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조절 가능한 공급 전원을 가진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comprises: a micro current module in which an electrode is formed on a human body contact portion of a hearing aid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for independently processing the external inflow sound and the inflow sound of the mobile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being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the mobile, wherein the microcurrent module has at least one electrode and an adjustable supply voltage that are controlled by the mobile device and are formed in the body-contact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호 통합 처리 유닛은 통신 모듈을 경유하여 모바일 기기의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streaming signal of the mobile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펄스 형태의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일정한 주기로 흐르는 자극 전류를 제어한다. According to yet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cro-currents in the form of pulses are generated and the stimulation current flowing in a constant period is controlled.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세전류 발생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미세전류는 미세전류의 흐름과 관련된 정보를 가진 미세전류 인식 코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urrent determined by the microcurrent generator comprises a microcurrent recognition code ha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ow of microcurr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세전류 모듈(과 연결되고 별도로 형성되어 접촉 부위의 변경이 가능한 제3 전극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electrode connected to the microcurrent module (separately formed and capable of changing the contact portion)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착용이 된 상태에서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모세혈관의 혈류의 양의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인체의 미세 순환이 증가가 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미세전류의 이와 같은 효과는 혈액 순환이 개선이 되도록 하면서, 체중 감소 또는 체지방이 감소되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우울증, 불면증, 스트레스의 과다 또는 두통과 같은 신경 불안으로 유발되는 질환이 치료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이 되어 제어가 용이하면서 보청기 자체의 기능 및 추가 기능의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미세전류의 흐름이 스마트 폰에 의하여 간단하게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스마트 폰에 저장된 스트리밍을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blood flow of the capillary blood vessel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a minute current to flow in a state of being worn. And the microcirculation of the human body is increased. This effect of microcurrent allows the blood circulation to be improved, while reducing body weight or body fat.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diseases caused by nervous anxiety such as depression, insomnia, excessive stress or headache can be treated. In addition,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is easily controlled, and can be utilized as various functions of the hearing aid itself and additional functions. For exampl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flow of the minute current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smartphone while at the same time the streaming stored in the smartphone can be directly u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 적용될 수 있는 미세전류 모듈(12)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모듈(12)에 적용될 수 있는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스마트 폰에 의하여 제어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스마트 폰에서 제어되는 메뉴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hows an embodiment of a micro current module 12 that may be applied to a hearing ai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that may be applied to the microcurrent modul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a smartphone.
4A to 4C show an embodiment of a menu screen in which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a smartphone.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a hear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는 인체에 접촉되는 보청기의 인체 접촉 부분에 전극이 형성된 미세전류 모듈(12); 외부 유입 음과 모바일 기기(M) 유입 음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 및 모바일(M)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전류 모듈(12)은 모바일 기기(M)에 의하여 제어가 되고 그리고 인체 접촉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조절 가능한 공급 전원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1, a hear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 current module 12 having an electrode formed on a human body contacting portion of a hearing aid in contact with a human body; A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for independently processing the external inflow sound and the inflow sound of the mobile device (M) separately;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M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and wherein the micro current module 12 is controlled by the mobile device M and comprises at least one electrode And an adjustable supply voltage.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보청기의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적어도 모바일 기기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모바일 기기의 음성이 전달될 수 있는 이어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미세전류에 의한 치료 효과는 미세전류가 흐르는 위치 또는 양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마세전류는 1000 ㎂ 이하의 전류를 말하고 모세혈관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미세 순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모세혈관의 혈류량의 증가로 인하여 혈액순환 개선, 근육피로 회복, 통증 완화, 말초신경 개선, 상처 치유 촉진, 발육 촉진 , 세포 활성 촉진 또는 뼈 형성 촉진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순환 증가로 인하여 지방세포 분해, 콜라겐 합성 증가, 대사 증진, 내분비 호르몬 활성화 또는 부종 감소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미세전류의 인체 흐름으로 인한 다른 효과는 체중 감소, 체지방 감소 또는 신경불안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치료와 같은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신경불안으로 야기되는 질환은 우울증, 불면증, 스트레스 과다 또는 두통과 같은 것이 있다. The hear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ny hearing aid structure known in the art, but at least it can have an earphone function where the mobile device can b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and the voice of the mobile device can be delivered . Therapeutic effects by microcurrents can be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location or amount of microcurrents flowing. It is reported that the maximal current is less than 1000 ㎂ and increases the microcirculation while increasing the capillary blood flow. Increased blood flow of capillary blood vessels may result in improved blood circulation, muscle fatigue recovery, pain relief, peripheral nerve improvement, wound healing, promotion, cell activation, or bone formation. Increased microcirculation can lead to the effects of fat cell degradation, increased collagen synthesis, metabolic enhancement, endocrine hormone activation or edema reduction. Other effects due to human flow of microcurrents include the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weight loss, body fat loss or nerve anxiety. For example, diseases caused by nervous anxiety include depression, insomnia, stressfulness, or headache.

사용자에 따라 미세전류의 크기가 다르게 조정이 되어야 하고 그리고 치료 기간이 통계 자료에 기초하여 결정이 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청기는 이와 같은 미세전류의 크기 조절 또는 치료 기간의 결정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기기와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 공급 전류 또는 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공급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전극이 별도로 형성이 될 수 있다. 보청기(10)는 고막 형태(Compact In the Canal: CIC), 외이도 형태(In the Canal: ITC) 또는 외이 형태(In the Ear)와 같은 귓속형 보청기 또는 귀걸이형 보청기가 될 수 있고 신체 또는 귀와 접촉부분을 가질 수 있다. Depending on the user, the magnitude of the microcurrent needs to be adjusted differently and the treatment period needs to be determined based on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may include a power supply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and adjust the supply current or voltage so that the magnitude of such microcurrent can be adjusted or the treatment period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electrodes may be formed separately if necessary. The hearing aid 10 can be an ear-type hearing aid such as a Compact In the Canal (CIC), In the Canal (ITC) or In the Ear, or an ear-type hearing aid, Section.

셀(11)은 마이크로폰, 증폭기 및 스피커를 가질 수 있고 보청기(10)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셀(11)은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내부에 보청 기능을 위한 다양한 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셀(11)을 통하여 인체로 미세전류가 흐를 수 있다. The cell 11 may have a microphone, an amplifier, and a speaker, and may be of a suitable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earing aid 10. The cell 11 may be at least one, and various devices for hearing aid function may be installed therein. A minute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cell 11 to the human body.

미세전류 모듈(12)은 인체에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미세전류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전류는 셀(11)을 경유하여 인체로 흐를 수 있다. 미세전류 모듈(12)은 셀(11)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고 그리고 셀(11)의 특정 부분을 통하여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미세전류 모듈(12)에 대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The micro-current module 12 may include a micro-current generator having a function of inducing micro-current flow to the human body.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micro-current generating device can flow to the human body via the cell 11. [ The micro-current module 12 can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ell 11 and induce a microcurrent to flow through a particular portion of the cell 11. [ The micro-current module 12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은 셀(11)로 유입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 신호는 외부 공급원(14)을 통하여 유입이 되거나 또는 모바일 기기(M)로부터 유입될 수 있다.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은 외부 공급원(14)으로부터 유입되는 소리와 모바일 기기(M)를 통하여 예를 들어 이어폰(16)과 같은 장치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리를 처리하여 셀(11)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은 외부 공급원(14)으로부터 유입되는 소리와 모바일 기기(M)로부터 유입되는 소리를 구분하고 그리고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한 우선 결정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우선 결정 유닛(131)은 서로 다른 음원에 대하여 우선권을 결정하거나 또는 시간별로 분할하여 셀(11)로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에 연결된 이어폰(16)을 통하여 음악을 듣는 과정에서 외부 공급원(14)으로부터 일정 데시벨(dB) 이상의 음성이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우선 결정 유닛(131)은 이어폰(16)으로부터 유입되는 소리를 중단시키거나 볼륨을 낮추고 음성을 셀(11)로 전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음성과 음향의 구분을 위하여 우선 결정 유닛(131)은 음성 필터를 가질 수 있다. 음성 필터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면서 일정 데시벨(dB) 이상의 음성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can process the signal input to the cell 11.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ignal can be input through the external source 14 or from the mobile device M. [ The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can process the sound input from the external source 14 and the sound introduced through the device such as the earphone 16 through the mobile device M and transmit it to the cell 11 have. The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may have a priority determination unit for distinguishing and appropriately processing the sound input from the external source 14 and the sound input from the mobile device M. [ First, the determination unit 131 may have a function of determining a priority for different sound sources or dividing the sound sources according to time and providing them to the cell 11.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listening to music through the earphone 16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M, a voice of a certain decibel (dB) or more may be input from the external source 14.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131 may stop the sound coming from the earphone 16 or lower the volume and deliver the voice to the cell 11. [ The decision unit 131 may have a voice filter for distinguishing between voice and sound as required. The audio filter blocks external noise and allows only audio of a certain decibel (dB) or more to be input.

모바일 기기(M)와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칩과 같은 통신 모듈(15)에 의하여 연결이 될 수 있다. 다만 별로로 유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정이 될 수 있다. 통신 모듈(15)은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모바일 기기(M)로부터 이어폰(16)을 통하여 전달되는 다양한 신호를 무선으로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mobile device M and the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may be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module 15, for example, a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However, it can be set up to enable wired connection as well. The communication module 15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variou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through the earphone 16 to the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 ≪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셀(11)에 대한 제어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M)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미세전류 모듈(12)이 모바일 기기(M)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셀(11)에 대한 제어는 예를 들어 보청기(10)의 피팅과 같은 것을 말하고 그리고 마세전류 모듈(12)에 대한 제어는 예를 들어 미세전류 발생기의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 전극의 선택, 미세전류 치료의 시간 또는 미세전류 치료에 대한 치료 내역 데이터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모바일 기기(M)에 의하여 무선으로 또는 유선으로 제어 명령이 전달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for the cell 11 can take place in a mobile device M such as a smart phone and the micro current module 12 can be controlled by a mobile device M. [ Control for the cell 11 refers to, for example, the fitting of the hearing aid 10 and control for the mA current module 12 may be controlled by,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or voltage of the microcurrent generator, Such as time of current treatment or treatment history data for micro current treatment. A control command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or wired by the mobile device M an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thereto.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M)는 외부 서버(17)와 연결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외부 서버(17)에서 얻어진 자료는 미세전류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미세치료의 효과 또는 결과는 모바일 기기(M)를 경유하여 외부 서버(17)로 전달되어 저장이 될 수 있다. 외부 서버(17)는 예를 들어 의료 기관, 미세전류 치료 포럼 또는 인터넷을 경유하는 임의의 사이트가 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M such as a smart phone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17 and the data obtained from the external server 17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micro current. The effect or result of the fine treatment on the user can be transferred to the external server 17 via the mobile device M and stored. The external server 17 may be, for example, a medical institution, a microcurrent therapy forum, or any site via the Internet.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에 적용될 수 있는 미세전류 모듈(12)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이 된다. An embodiment of a micro current module 12 which can be applied to the hear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 적용될 수 있는 미세전류 모듈(12)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A shows an embodiment of a micro current module 12 that may be applied to a hearing ai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미세전류 모듈(12)은 제어 유닛(21), 적어도 하나의 미세전류 발생기(22), 입력 전극 유닛(23a) 및 출력 전극 유닛(2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2A, the micro-current module 12 may comprise a control unit 21, at least one micro-current generator 22, an input electrode unit 23a and an output electrode unit 23b.

제어 유닛(21)은 미세전류 모듈(12)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통신 모듈과 연결이 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22)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유닛(211, 212, 213)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전원 유닛(211, 212, 213)은 서로 다른 크기의 미세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각각의 전원 유닛(211, 212, 213)은 제어 유닛(21)의 제어에 의하여 서로 다른 입력 전극 유닛(23a)의 입력 단자(231a, 232a, 233a) 또는 출력 전극 유닛(23b)의 출력 단자(231b, 232b, 233b)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전극 유닛(23a)과 미세전류 발생기(22) 사이 및 출력 전극 유닛(23b)과 미세전류 발생기(22) 사이에 입력 조절 유닛(24a) 및 출력 조절 유닛(24b)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조절 유닛(24a)과 출력 조절 유닛(24b)은 제어 유닛(21)의 제어에 의하여 각각의 단자(231a 내지 233b)의 미세전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입력 조절 유닛(24a) 또는 출력 조절 유닛(24b)은 예를 들어 스위치 또는 가변 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단자(231a 내지 233b)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1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of the micro-current module 12. [ The micro-current generator 22 may include at least one power source unit 211, 212, and 213, and each of the power source units 211, 212, and 213 may supply micro-currents of different sizes. Each of the power source units 211, 212 and 21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s 231a, 232a and 233a of the different input electrode units 23a or the output terminals 231b, 232b, and 233b. An input regulating unit 24a and an output regulating unit 24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put electrode unit 23a and the fine current generator 22 and between the output electrode unit 23b and the fine current generator 22, respectively. The input regulating unit 24a and the output regulating unit 24b may hav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microcurrent of each of the terminals 231a to 233b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 [ The input regulating unit 24a or the output regulating unit 24b may include, for example, a switch or a variable resistor and may adjust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pecific terminals 231a to 233b.

입력 단자(231a, 232a, 233a) 또는 출력 단자(231b, 232b, 233b)는 보청기의 셀에 설치되거나 또는 이어폰에 설치될 수 있다. 보청기의 셀에 단자(231a 내지 233b)가 설치되는 경우 셀에 전도성 금속이 코팅이 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의 셀에서 인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스트립 형태로 연속적으로 입력 단자(231a, 232a, 233a) 또는 출력 단자(231b, 232b, 233b)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구조로 입력 단자(231a, 232a, 233a) 또는 출력 단자(231b, 232b, 233b)가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input terminals 231a, 232a, and 233a or the output terminals 231b, 232b, and 233b may be installed in a cell of a hearing aid or may be installed in an earphone. When the terminals 231a to 233b are provided in the cells of the hearing aid, the conductive metal may be coated on the cells. For example, the input terminals 231a, 232a, 233a or the output terminals 231b, 232b, 233b may be continuously formed in the form of a strip on a portion of the cell of the hearing ai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nput terminals 231a, 232a, and 233a or output terminals 231b, 232b, and 233b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전류 모듈(12)은 자극 전극(25a, 25b)을 가질 수 있고 자극 전극(25a, 25b)은 서로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된 전류 회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자극 전극(25a, 25b)은 예를 들어 입력 단자(231a, 232a, 233a) 또는 출력 단자(231b, 232b, 233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전류를 흐르도록 하거나, 인체의 새로운 부위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거나 또는 전류 방향을 변경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극 전극(25a, 25b)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urrent module 12 may have stimulating electrodes 25a and 25b, and the stimulating electrodes 25a and 25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 separately formed current circuit. The stimulating electrodes 25a and 25b are configured to allow a relatively large current to flow compared to the input terminals 231a and 232a and 233a or the output terminals 231b and 232b and 233b, Or by changing the current direction. The stimulating electrodes 25a and 25b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전류 모듈(12)은 온도 센서(26) 또는 초음파 발생 소자(27)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6)는 미세전류 모듈(12)에 의한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면서 이와 동시에 신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이상 유무의 판단을 곧바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미세전류의 치료 과정 또는 보청기의 착용 과정에서 일정한 주기로 탐지된 온도 값이 제어 유닛(21)으로 전달이 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 소자(27)에 의한 인체 자극의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26)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온도 센서(26)로부터 전달된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미세전류의 흐름 또는 초음파 발생기로 인한 치료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시킬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urrent module 12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26 or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element 27. The temperature sensor 26 measures the effect of the treatment by the micro-current module 12, and at the same time, immediately judg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body. For example, the temperature value detected at a certain period in the course of the treatment of the microcurrent or the process of wearing the hearing aid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 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26 may be used to measure the result of human stimulation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element 27. The control unit 21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6 is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on the other hand it can accumulate data on the flow of minute current or the temperature change due to the treatment due to the ultrasonic generator .

초음파 발생 소자(27)는 보청기로부터 예를 들어 장초음파와 같은 초음파를 인체로 전송하기 위한 치료 장치에 해당된다. 장초음파란 예를 들어 1 M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가 될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element 27 corresponds to a therapeutic apparatus for transmitting ultrasound waves, such as ultrasound waves, from the hearing aid to the human body. The ultrasound can be, for example, an ultrasound having a frequency of 1 MHz or less and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user.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모듈(12)은 별도의 인체 부위로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제3 전극(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극(28)은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미세전류 발생기(22)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이어폰과 유선으로 연결이 될 수 있다. 제3 전극(28)은 예를 들어 얼굴의 특정 부위 또는 목의 특정 부위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미세전류 발생기(22)로부터 미세전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전극(28)은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위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전극(28)의 형성을 통한 특정 인체 부위의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의 치료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 current modul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ird electrode 28 for allowing a micro current to flow to a separate body part. The third electrode 28 may be at least one, connected to the micro current generator 22 by wire, or may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by wire. The third electrode 28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a specific part of the face or a specific part of the neck, for example, and supply of the micro current from the micro-current generator 22 may be made. The third electrode 28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repositioned so as to be attached at various positions. The treatment effect of the micro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enhanced by inducing the flow of the minute current in the specific body part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third electrode 28.

아래에서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The structure of the input terminal or the output terminal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모듈(12)에 적용될 수 있는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B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that may be applied to the microcurrent modul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의 (가)를 참조하면, 입력 단자(231a)는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인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다수 개의 접촉 단자(P)가 형성될 수 있다. 판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형이 될 수 있고 접촉 단자(P)의 수는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인체에 쉽게 접촉될 수 있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입력 단자(231a)는 적절한 배선(CA)을 통하여 미세전류 발생기에 연결될 수 있다. 2B, the input terminal 231a may have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P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ntacting the human body. The plate shape may be, for exampl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the number of the contact terminals P may be plural and may be a shape that can be easily contacted to the human body. The input terminal 231a may be connected to the micro-current generator through a suitable wiring CA.

도 2b의 (나)를 참조하면, 입력 단자(231a, 232a, 233a)는 셀(11)에 스트립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트립은 예를 들어 전도성 테이프 또는 전도성 분말로 코팅을 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트립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인체 또는 귀와 접촉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input terminals 231a, 232a, and 233a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in the cell 11. The strip may be made by, for example, coating with a conductive tape or conductive powder. The strip can be made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nd can be formed on the basis of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or the ear. The strip may be at least one and may have any shape.

도 2b의 (다)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모듈(12)에 의하여 미세전류가 인체에 인가되는 파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미세전류는 펄스 형태로 가해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일정 주기로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자극 전류(SI)가 가해질 수 있다. 미세전류 모듈(12)은 일정 주기로 펄스 형태로 흐르는 것이 유리하고 정해진 시간 동안 흐르도록 조절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b), there is shown an embodiment of a waveform in which a minute current is applied to a human body by the micro current modul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crocurrents can be applied in pulses an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a stimulation current (SI) having a relatively large value can be applied at regular intervals. The micro-current module 12 is advantageously allowed to flow in a pulsed manner at regular intervals and can be adjusted to flow for a predetermined time.

다양한 형태의 미세전류가 미세전류 모듈(12)에 의하여 가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Various types of microcurrents may be applied by the microcurrent module 12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모바일 기기와 같은 스마트 폰에 의하여 제어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An embodiment in which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a smart phone such as a mobile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스마트 폰에 의하여 제어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a smartphone.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에 의하여 미세전류의 인가가 가능한 보청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먼저 스마트 폰과 보청기가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연결이 될 수 있다(S31).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필요에 보청기와 스마트 폰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스마트 폰과 보청기가 연결이 되면 보청기에 대한 피팅 데이터가 선택이 될 수 있다(S32). 보청기는 자체적으로 이미 피팅이 된 상태가 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피팅 데이터를 스마트 폰에 저장하고 그리고 적절한 피팅 데이터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S32). 피팅 데이터가 선택이 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적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33). 만약 사용자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면(NO) 다른 피팅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S32), 다른 한편으로 적합하다고 판단이 되면 미세전류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선택이 될 수 있다(S34). 미세전류의 선택을 위하여 먼저 사용자에게 적합한 치료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35). 외부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와 관련된 치료 데이터가 저장된 외부 서버 또는 스마트 폰 자체에 저장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만약 외부 데이터가 있다면(YES) 외부 데이터가 연결이 되고(S351) 그리고 그에 따라 미세전류 조절이 선택될 수 있다(S34). 이에 비하여 외부 데이터가 없다면(NO) 적절한 방법으로 또는 미리 결정된 선택 데이터에 따라 미세전류가 선택이 될 수 있다. 미세전류가 선택되면 미세전류의 파형, 크기 또는 자극 전류의 주기가 결정되고 그리고 그에 따른 미세전류 인식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세전류 인식 코드는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미세전류 인식 코드를 가진 미세전류 흐름은 파형, 크기 또는 자극 전류의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미세전류 인식 코드는 차후 사용자에 대한 미세전류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되거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미세전류 인식 코드는 또한 미세전류의 선택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세전류 인식 코드는 스마트 폰에 저장이 되거나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이 될 수 있다. 미세전류 인식 코드에 따라 미세전류가 선택되면 이후 부가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S36). 부가 기능이란 예를 들어 이어폰을 통한 음악 감상, 메신저 기능의 사용 또는 인터넷 접속과 같이 스마트 폰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미세전류에 의한 치료가 종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료의 종료는 미리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order to control a hearing aid capable of applying a minute current by a smartphone, a smartphone and a hearing aid may be connected by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 (S31). As described above, hearing aids and smartphones may be connected wirelessly if needed. When the smartphone and the hearing aid are connected, the fitting data for the hearing aid can be selected (S32). The hearing aid may be already fitted to itself, but the user may save the fitting data suitable for the use environment of the smartphone to the smartphone and select and apply appropriate fitting data (S32). When the fitting data is selected, it can be judged by the user whether it is fit (S3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suitable (NO), other fitting data may be selected (S32).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tting is appropriate, a fine current may be selected through the smartphone (S34). In order to select the microcurrent,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there is therapy data suitable for the user (S35). The external data may be, for example, data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or the smart phone itself in which therapy data related to the user is stored. If there is external data (YES), the external data is connected (S351) and the micro current control can be selected accordingly (S34).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external data (NO), the microcurrent can be selected in an appropriate manner or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selection data. If a microcurrent is selected, the waveform, magnitude, or period of the microcurrent may be determined and a microcurrent recognition code accordingly may be given. Such a fine current recognition code may be associated with data associated with a user. The fine current flow with different micro current recognition codes may have different waveforms, magnitudes, or periods of stimulation currents. The microcurrent recognition code may be the basis for microcurrent therapy for future users or may be the basis for other users. The microcurrent recognition code can also be the basis for selection of the microcurrent. Such a microcurrent recognition code can be stored in a smart phone or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If the micro curr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micro current recognition code, the additional function may be selected at a later time (S36). An add-on can be, for examp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an earphone, using a messenger function, or utilizing the functions of a smartphone such as an Internet connectio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reatment by the microcurrent may be terminated. The termination of such treatment may be predetermined or may be selected by the user.

도 3에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아래에서 보청기의 미세전류가 스마트 폰에서 제어되는 실제 과정에 대한 실시 예가 제시된다. Below is an embodiment of the actual process in which the microcurrent of the hearing aid is controlled in a smartphon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스마트 폰에서 제어되는 메뉴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4A to 4C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menu screen in which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a smartphone.

도 4a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에서 보청기의 제어와 관련된 화면이 나타나고 블루투스 연결이 스마트 폰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전류의 치료를 위한 모드가 선택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미세전류의 파형, 치료 시간 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장초음파의 발생과 같은 것이 선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기능으로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음악은 예를 들어 이어폰은 통하여 보청기로 연결이 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음악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직접 보청기로 연결이 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블루투스 칩 자체가 이어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도 4a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미세전류 치료가 예를 들어 한 시간 동안 진행이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음악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미세전류의 치료 과정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면 SNS 서비스가 선택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페이스 북과 네트워킹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미세전류 치료가 계속 진행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음악 감상이 진행이 되거나 또는 중단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a screen related to control of a hearing aid appears in a smartphone, and a Bluetooth connection can be determined in a smartphone. And a mode for the treatment of microcurrent can be selected. On the other hand, the waveform of the microcurrent, the treatment time, or the occurrence of the intestinal ultrasound as described above can be selected. And music can be selected as an add-on. Music can be connected to a hearing aid, for example, through an earphone. Alternatively, the music can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hearing aid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 Bluetooth chip itself can have an earphone function. As shown in FIG. 4B, the microcurrent treatment may be performed for one hou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menu selected in FIG. 4A, and music appreciation may be performed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4C, if the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needs to be us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micro current, the SNS service can be selected and Facebook and networking services can be used, for example. In this process, microcurrent therapy can continue and music appreciation may proceed or be interrupted.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미세전류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 폰에 의하여 제어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스마트 폰의 다양한 기능이 미세전류 치료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A-4C is exemplary and the microcurrent can be controlled by the smartphone in various ways,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smartphone can be used in the microcurrent treatment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착용이 된 상태에서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모세혈관의 혈류의 양의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인체의 미세 순환이 증가가 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미세전류의 이와 같은 효과는 혈액 순환이 개선이 되도록 하면서, 체중 감소 또는 체지방이 감소되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우울증, 불면증, 스트레스의 과다 또는 두통과 같은 신경 불안으로 유발되는 질환이 치료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이 되어 제어가 용이하면서 보청기 자체의 기능 및 추가 기능의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미세전류의 흐름이 스마트 폰에 의하여 간단하게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스마트 폰에 저장된 스트리밍을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blood flow of the capillary blood vessel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a minute current to flow in a state of being worn. And the microcirculation of the human body is increased. This effect of microcurrent allows the blood circulation to be improved, while reducing body weight or body fat.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diseases caused by nervous anxiety such as depression, insomnia, excessive stress or headache can be treated. In addition,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is easily controlled, and can be utilized as various functions of the hearing aid itself and additional functions. For exampl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flow of the minute current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smartphone while at the same time the streaming stored in the smartphone can be directly used.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보청기 11: 셀
12: 미세전류 모듈 13: 신호 통합 처리 모듈
14: 외부 공급원 15: 통신 모듈
21: 제어 유닛 22: 미세전류 발생기
23a: 입력 전극 유닛 23b: 출력 전극 유닛
24a: 입력 조절 유닛 24b: 출력 조절 유닛
26: 온도 센서 27: 초음파 발생 소자
28: 제3 전극
211, 212, 213: 전원 유닛
10: hearing aid 11: cell
12: Micro current module 13: Signal integrated processing module
14: external source 15: communication module
21: control unit 22: fine current generator
23a: input electrode unit 23b: output electrode unit
24a: Input control unit 24b: Output control unit
26: temperature sensor 27: ultrasonic wave generating element
28: Third electrode
211, 212, 213: power supply unit

Claims (6)

인체에 접촉되는 보청기의 인체 접촉 부분에 전극이 형성된 미세전류 모듈(12);
외부 유입 음과 모바일 기기(M)의 유입 음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 및
모바일(M)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전류 모듈(12)은 모바일 기기(M)에 의하여 제어가 되고 그리고 인체 접촉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조절 가능한 공급 전원을 가지고, 상기 미세전류 모듈(12)과 연결되고 별도로 형성되어 접촉 부위의 변경이 가능한 제3 전극(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
A micro current module (12) having an electrode formed on a human body contacting portion of a hearing aid in contact with a human body;
A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for separately processing the external inflow sound and the inflow sound of the mobile device M and processing them separately; And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M) wirelessly or by wire,
The micro-current module 12 is controlled by the mobile device M and has at least one electrode and an adjustable supply voltage formed in the body-contact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and separately formed from the micro-current module 12, And a third electrode (28) capable of changing a part of the living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 모듈(15)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15) is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신호 통합 처리 유닛(13)은 통신 모듈(15)을 경유하여 모바일 기기(M)의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integration processing unit (13) processes the streaming signal of the mobile device (M)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세전류 모듈(12)은 펄스 형태의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일정한 주기로 흐르는 자극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The hearing a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current module (12) generates micro-currents in the form of pulses and controls a stimulating current flowing in a constant period.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세전류 발생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미세전류는 미세전류의 흐름과 관련된 정보를 가진 미세전류 인식 코드를 포함하는 미세전류 흐름에 의한 생체신호 치료 기능을 가진 보청기.The hearing ai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current determined by the microcurrent generator includes a microcurrent recognition code ha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ow of microcurrents. 삭제delete
KR1020130066916A 2013-06-12 2013-06-12 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KR101499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916A KR101499089B1 (en) 2013-06-12 2013-06-12 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916A KR101499089B1 (en) 2013-06-12 2013-06-12 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41A KR20140144841A (en) 2014-12-22
KR101499089B1 true KR101499089B1 (en) 2015-03-05

Family

ID=5267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916A KR101499089B1 (en) 2013-06-12 2013-06-12 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08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2376A1 (en) * 2016-06-08 2017-12-14 Cochlear Limited Electro-acoustic adaption in a hearing prosthesis
WO2019116186A1 (en) * 2017-12-14 2019-06-20 Cochlear Limited Electro-acoustic interaction control in auditory prosthe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09Y1 (en) * 1999-10-27 2000-04-15 김봉준 Transmit/receive apparatus of cellular telephone
JP3401217B2 (en) * 1999-11-15 2003-04-28 株式会社アテック Low frequency stimulator
KR20050079269A (en) * 2004-02-05 2005-08-10 박석영 Earphone for treating disease using non-audible frequency wave of a functional digital file or data
KR20140011605A (en) * 2012-07-18 2014-01-29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The hearing adjusting method of hearing aid of user by using web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09Y1 (en) * 1999-10-27 2000-04-15 김봉준 Transmit/receive apparatus of cellular telephone
JP3401217B2 (en) * 1999-11-15 2003-04-28 株式会社アテック Low frequency stimulator
KR20050079269A (en) * 2004-02-05 2005-08-10 박석영 Earphone for treating disease using non-audible frequency wave of a functional digital file or data
KR20140011605A (en) * 2012-07-18 2014-01-29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The hearing adjusting method of hearing aid of user by using web appl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2376A1 (en) * 2016-06-08 2017-12-14 Cochlear Limited Electro-acoustic adaption in a hearing prosthesis
US10091591B2 (en) 2016-06-08 2018-10-02 Cochlear Limited Electro-acoustic adaption in a hearing prosthesis
WO2019116186A1 (en) * 2017-12-14 2019-06-20 Cochlear Limited Electro-acoustic interaction control in auditory prosthe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41A (en)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4127B2 (en) Fitting bilateral hearing prostheses
KR102245009B1 (en) Control for hearing prosthesis fitting
Yip et al. A fully-implantable cochlear implant SoC with piezoelectric middle-ear sensor and arbitrary waveform neural stimulation
US7561920B2 (en) Electric and acoustic stimulation fitting systems and methods
CN104284288B (en) Signal processor for a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US92721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simplified user interface for hearing prosthesis fitting
JPH0412141B2 (en)
EP2082779A2 (en) Recipient-controlled fitting of a hearing prosthesis
US10779096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automatic power switching
EP2880874B1 (en) Hearing prosthesis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f
US11691000B2 (en) Bone conduction apparatus having tens therapy function
US11813460B2 (en) Individualized adaptation of medical prosthesis settings
KR101499089B1 (en) Hearing Aid Having Function Capable of Treating Bio-Signal Using Micro-Current
US20230226351A1 (en) Surgical healing monitoring
US20220369050A1 (en) Advanced assistance for prosthesis assisted communication
KR20230037538A (en) wireless earphones
WO2024052781A1 (en) Smooth switching between medical device settings
WO2024023676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stimulus for tinnitus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