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677B1 -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677B1
KR101497677B1 KR1020120144460A KR20120144460A KR101497677B1 KR 101497677 B1 KR101497677 B1 KR 101497677B1 KR 1020120144460 A KR1020120144460 A KR 1020120144460A KR 20120144460 A KR20120144460 A KR 20120144460A KR 101497677 B1 KR101497677 B1 KR 10149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locking member
snow
ho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186A (ko
Inventor
오대석
Original Assignee
(주)송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현 filed Critical (주)송현
Priority to KR102012014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6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01H5/062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by scraper blades displace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 E01H5/066Snow-plough blade accessories, e.g. deflector plates, skid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시 유동을 최소화함은 물론, 노면의 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제설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수단의 전방에 직접 또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그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는 연결유닛과 그 연결유닛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마련된 제설삽으로 구성된 제설판;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유닛 간의 상하부에 양단이 각각 힌지결합되는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설삽을 상승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이 이동수단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탈부착되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각각 걸림고리와 록킹부재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가 걸려지도록 상부걸림봉이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로 록킹부재끼움홀이 형성되고, 하부 외측벽에는 일부분이 상기 록킹부재끼움홀과 연통되고 나머지 부분이 외측벽에 접하도록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끼움봉안내홀이 형성된 안내판이 설치된 연결수단본체; 상기 록킹부재끼움홀과 록킹부재관통홀에 끼워지는 끼움봉과, 상기 끼움봉이 일면 일측에 형성되고 타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연결판과, 그 연결판의 일면 타측에 상기 끼움봉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본체에 끼워지는 가이드봉과, 그 가이드봉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가이드봉 및 끼움봉을 록킹방향으로 안내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과, 그 실린더브라켓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 일측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부링크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 일측과 실린더브라켓에 양단이 결합되게 마련되어 상기 상부링크를 승하강동작시키는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하부링크 사이에는 상기 제설판이 항상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된 하부링크의 일단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일측 또는 승하강수단을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설장치{Snow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시 유동을 최소화함은 물론, 노면의 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제설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에는 예측하지 못한 폭설, 압설, 한파로 인해 도로와 인도에 대량의 눈이 쌓이거나 결빙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며, 이에 따라 결빙된 도로를 제설하기 위해서는 인력이나 제설장치가 구비된 제설차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도로의 제설을 위해 사용되는 제설장치는 일반적으로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의 차제 전면에 눈을 치울 수 있도록 형성된 눈바켓과,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노면에 염화칼슘을 분사하는 염화칼슘분사기와, 염화칼슘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염화칼슘탱크 및 상기 염화칼슘분사기를 통해 정량의 염화칼슘을 분사해주기 위한 제반분사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설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제설작업에 사용되는데, 제설작업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노면에 밀착상태로 진행하는 눈바켓이 도로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대량의 눈을 밀어 치우고, 상기 눈바켓에 의해 눈이 치워진 노면을 향해 염화칼슘분사기가 염화칼슘을 분사함으로써 잔설을 제설함과 동시에 노면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이외에도 종래에는 적설과 결빙을 해소하기 위한 장비로 다양한 형태의 제설기와 염화칼슘, 모래살포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종래의 제설차로서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119396호가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119396호의 제설기는 제설차량의 전면에 주제설판을 설치하고, 주제설판의 일측면에는 주제설판과의 중첩되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보조제설판을 설치하여 제설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주제설판과 보조제설판의 중첩 상태를 조정하여 제설되는 눈의 량(폭)을 단순하게 조절하도록 된 것에 불과하고, 다른 특징적인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한 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제설차는 도로용에 국한되는 것이었으며, 눈바켓이 분리되지 않은 채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도로 여건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으며, 제설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람의 보행이 잦은 인도나 골목길 등에 쌓인 눈과 결빙은 대부분 무방비 상태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제설장비는 전무하다시피 하여 인력에 의존한 수작업에 의해서만 제설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고, 인력의 부족과 늑장대처로 인해 제설 및 결빙의 해소가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아 보행시 미끄러져 부상을 입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공보 제1182272호(제설장치, 2012.09.06)와 같이 도로의 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제설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제설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한편, 제설장치를 차량 등의 이동수단에 장착한 채로 이동하는 경우, 제설장치의 흔들림이나 상방으로의 들림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고, 또한, 이동수단과의 탈부착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하강수단 및 탄성부재로 인해 이동시 제설판의 상하이동 및 좌우스윙동작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 혼자서도 차량을 포함하는 이동수단의 전면에 제설장치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 단축 등 탈부착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동수단의 전방에 직접 또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그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는 연결유닛과 그 연결유닛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마련된 제설삽으로 구성된 제설판;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유닛 간의 상하부에 양단이 각각 힌지결합되는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설삽을 상승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이 이동수단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탈부착되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각각 걸림고리와 록킹부재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가 걸려지도록 상부걸림봉이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로 록킹부재끼움홀이 형성되고, 하부 외측벽에는 일부분이 상기 록킹부재끼움홀과 연통되고 나머지 부분이 외측벽에 접하도록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끼움봉안내홀이 형성된 안내판이 설치된 연결수단본체; 상기 록킹부재끼움홀과 록킹부재관통홀에 끼워지는 끼움봉과, 상기 끼움봉이 일면 일측에 형성되고 타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연결판과, 그 연결판의 일면 타측에 상기 끼움봉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본체에 끼워지는 가이드봉과, 그 가이드봉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가이드봉 및 끼움봉을 록킹방향으로 안내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과, 그 실린더브라켓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 일측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부링크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 일측과 실린더브라켓에 양단이 결합되게 마련되어 상기 상부링크를 승하강동작시키는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하부링크 사이에는 상기 제설판이 항상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된 하부링크의 일단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일측 또는 승하강수단을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설장치에 따르면, 제설판의 유동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노면 및 작업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제설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 혼자서도 제설장치의 탈부착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의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에서 제설삽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에서 승하강수단에 의해 제설삽이 상승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에서 연결수단을 보인 상태도,
도 7은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면에서 록킹부재를 록킹해제한 상태도,
도 8은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면에서 록킹부재를 록킹해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를 이동수단에 장착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에서 제설삽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에서 승하강수단에 의해 제설삽이 상승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에서 연결수단을 보인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면에서 록킹부재를 록킹해제한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면에서 록킹부재를 록킹해제한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를 이동수단에 장착한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는 이동수단(100)과 연결되는 메인프레임(200)과, 그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설판(300)과, 제설판(300)과 메인프레임(200) 간을 연결하는 상부링크(400) 및 하부링크(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단(100)은 차량이나 로더 또는 트랙터 등 이동가능한 것은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설장치는 이동수단의 전방에 직접 또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진다.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첨부의 도면과 같이 수평프레임(201)과 그 수평프레임(201)의 중앙에 상방으로 수직프레임(202)이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상기 상부링크(400)와 하부링크(41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설판(300)이 연결되어 있고, 후방에는 상기 이동수단(1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커플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00)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걸림고리(210)와 록킹부재관통홀(220)이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진다.
상기 제설판(300)은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연결되는 연결유닛(310)과, 그 연결유닛(3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마련된 제설삽(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유닛(310)에는 메인프레임(200)과 연결되는 상기 상부링크(400)와 하부링크(410)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링크(400)와 하부링크(410)가 연결됨과 아울러 그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설삽(320)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이면 되므로, 그 형상에 제한이 없다.
상기 제설삽(320)은 통상의 제설삽 형상과 같이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도로의 노면에 접한 채 눈을 밀어 치우도록 탄력재의 스크레퍼(32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설삽(320)은 각도조절실린더(315)에 의해 어느 일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도로의 여건이나 현장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눈을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315)는 일측이 상기 연결유닛(31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설삽(320)의 일측에 연결되어져 제설삽(320)을 회동동작시키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제설삽(320)을 일자형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제설작업을 하게 되고, 우측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눈을 밀어내야 하는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제설삽(320)을 우측방향으로 기울려 제설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링크(400)와 하부링크(410)는 상기 메인프레임(200)과 연결유닛(3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링크(400)는 메임프레임(200)의 수직프레임(202) 상부와 연결유닛(31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부링크(410)는 메임프레임(200)의 수평프레임(201) 양측과 연결유닛(310)의 하부 양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부링크와 두 개의 하부링크에 의해 3점 연결되어 짐으로써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설판(300)과 연결되는 상기 상부링크(400)와 하부링크(410)의 일단에는 제설판(300)의 좌우 스윙동작시 원활히 스윙동작되어져 제설판 또는 브라켓 등의 부품파손을 방지하도록 지구베어링(42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제설장치는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제설작업 준비 및 제설작업을 마친 후 이동을 위해서 제설판을 상승동작시키기 위한 승하강수단(500)과, 제설판의 상하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550)가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수단(500)은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링크(400)를 받쳐 지지함과 아울러 상부링크(400)를 밀어올려 상기 제설삽(32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수단(500)은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510)과, 그 실린더브라켓(5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링크(400)의 하부 일측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봉(5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하부 일측과 실린더브라켓(510)에 양단이 결합되게 마련되어 상기 상부링크(400)를 승하강동작시키는 승하강실린더(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실린더(530)의 로드 인출시 상기 실린더브라켓(510)의 타측이 일측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지지봉(520)에 접해 있는 상부링크(400)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제설판(300)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설판(300)은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봉(520)을 매개로 하여 승하강실린더(53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이동시 이동수단의 상하흔들림으로 인해 제설판(300)이 상방으로 상승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성부재(55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550)는 상기 메인프레임(200)과 하부링크(4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힌지결합된 하부링크(410)의 일단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부 일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첨부의 도면과 같이 하부링크(410)와 승하강수단(500)을 이루는 실린더브라켓(5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50)의 설치로 인해 상기 제설판(300)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외부압력발생 등으로 인해 일시적인 상승이 일어나더라도 탄성부재에 의해 즉시 하강되어짐으로써 안정적으로 제설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링크(400)의 하부에는 상기 실린더브라켓(510)과 고정되는 브라켓(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제설삽(320)을 상승시킨 후 상기 실린더브라켓(510)과 볼트나 핀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동 중 제설판(300)이 상방으로 출렁이는 것을 완전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설장치는 작업자 혼자서도 이동수단에 탈부착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설장치를 지지함은 물론 이동가능하도록 캐스터(340)와 지지프레임(360)이 설치된다.
상기 캐스터(340)는 일정길이의 캐스터프레임(342)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캐스터프레임(342)는 상기 제설삽(320)의 후면에 설치된 캐스터브라켓(330)에 고정수단(350)을 매개로 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350)은 캐스터브라켓(330)의 일측에 형성된 핀고정관(352)과, 그 핀고정관(352)에 끼워져 상기 캐스터브라켓(330)을 관통하여 상기 캐스터프레임(342)에 끼워지는 고정핀(354)과, 상기 고정핀(354)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캐스터프레임(34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핀스프링(3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60)은 상기 캐스터프레임(342)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면 일측이 지면에 접하도록 캐스터프레임(342)의 단부에서 어느 일방향을 향하여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되어 진다.
따라서, 캐스터(340)만이 지면에 접촉되게 하여 그 캐스터(340)를 통해 제설장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고, 캐스터(340)와 지지프레임(360)을 지면에 접촉되게 하여 제설장치를 지면에 세워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캐스터(340) 및 지지프레임(360)의 미사용시에는 도 2(왼쪽 캐스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프레임(342)를 캐스터브라켓(33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캐스터브라켓(330)의 상방에서 끼워넣어 거꾸로 고정시켜 놓으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설장치를 이동수단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하여 탈부착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각각 걸림고리(210)와 록킹부재관통홀(220)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수단(100)에 결합되는 연결수단본체(250)와, 연결수단본체(250)에 메인프레임(200)을 록킹시키는 록킹부재(27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연결수단본체(25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걸림고리(210)가 걸려지도록 상부걸림봉(25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관통홀(220)과 대응되는 위치로 록킹부재끼움홀(2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본체(250)는 제설장치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은 물론, 상기 상부걸림봉(252)은 제설장치의 하중에도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형성되어 지며, 상기 연결수단본체(250)에는 록킹부재끼움홀(254)과 록킹부재관통홀(220)이 서로 연통되도록 그 위치를 맞춰주기 위해 스토퍼(2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끼움홀(254)과 록킹부재관통홀(220)에 끼워져 상기 메인프레임(200)을 연결수단본체(250)에 록킹시키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끼움홀(254)과 록킹부재관통홀(220)에 끼워지는 끼움봉(272)과, 상기 끼움봉(272)이 일면 일측에 형성되고 타면에 손잡이(275)가 형성된 연결판(274)과, 그 연결판(274)의 일면 타측에 상기 끼움봉(272)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본체(250)에 끼워지는 가이드봉(276)과, 그 가이드봉(276)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가이드봉(276) 및 끼움봉(272)을 록킹방향으로 안내하는 스프링(27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75)를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끼움봉(272)이 록킹부재끼움홀(254)과 록킹부재관통홀(220)에서 빠져나와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스프링(278)이 수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잡아당긴 손잡이(275)를 놓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끼움봉(272)이 록킹부재끼움홀(254)과 록킹부재관통홀(220)로 끼워져 록킹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275)를 잡아당겨 록킹해제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연결수단본체(250)에는 일부분이 상기 록킹부재끼움홀(254)과 연통되고 나머지 부분이 연결수단본체(250)의 측벽에 접하도록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끼움봉안내홀(262)이 형성된 안내판(26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끼움홀(254)과 연통되지 않는 끼움봉안내홀(262)의 일측에 가이드봉(276)을 위치시키도록 하여 그 가이드봉(276)의 단부가 연결수단본체(250)의 측벽에 간섭되게 함으로써 록킹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록킹해제상태를 해제하여 록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275)의 일측을 가압 또는 이동시켜 가이드봉(276)을 끼움봉안내홀(26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스프링(278)의 탄성력으로 가이드봉(276)이 이동되고, 그와 함께 이동되는 끼움봉(272)이 록킹부재끼움홀(254)과 록킹부재관통홀(220)로 끼워져 록킹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설장치를 이용하여 제설작업을 하는 경우, 각도조절실린더(315)를 이용하여 제설하고자 하는 도로의 여건이나 현장상황에 적합하게 제설삽(320)의 각도를 조절한 후 제설작업을 하면 된다.
제설작업 도중 불규칙한 노면이나 결빙이 발생된 구간에서는 제설삽(320)이 상하 유동하거나 좌우 스윙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부재(550)에 의해 단시간내에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제설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제설작업 준비 또는 제설작업을 마친 후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설삽(320)을 상승시켜 지면에서 이격시킴과 아울러 탄성부재(55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100: 이동수단 200: 메인프레임
201: 수평프레임 202: 수직프레임
210: 걸림고리 220: 록킹부재관통홀
250: 연결수단본체 252: 상부걸림봉
254: 록킹부재끼움홀 256: 스토퍼
260: 안내판 262: 끼움봉안내홀
270: 록킹부재 272: 끼움봉
274: 연결판 275: 손잡이
276: 가이드봉 278: 스프링
300: 제설판 310: 연결유닛
315: 각도조절실린더 320: 제설삽
322: 스크레퍼 330: 캐스터브라켓
340: 캐스터 342: 캐스터프레임
350: 고정수단 352: 핀고정관
354: 고정핀 356: 고정핀스프링
360: 지지프레임 400: 상부링크
410: 하부링크 420: 지구베어링
500: 승하강수단 510: 실린더브라켓
520: 지지봉 530: 승하강실린더
550: 탄성부재

Claims (5)

  1. 이동수단(100)의 전방에 직접 또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메인프레임(200); 그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연결되는 연결유닛(310)과 그 연결유닛(3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마련된 제설삽(320)으로 구성된 제설판(300); 상기 메인프레임(200)과 연결유닛(310) 간의 상하부에 양단이 각각 힌지결합되는 상부링크(400) 및 하부링크(410)와,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상기 제설삽(320)을 상승시키는 승하강수단(500)을 포함하는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0)이 이동수단(100)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탈부착되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각각 걸림고리(210)와 록킹부재관통홀(22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수단(100)에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210)가 걸려지도록 상부걸림봉(252)이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관통홀(220)과 대응되는 위치로 록킹부재끼움홀(254)이 형성되고, 하부 외측벽에는 일부분이 상기 록킹부재끼움홀(254)과 연통되고 나머지 부분이 외측벽에 접하도록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끼움봉안내홀(262)이 형성된 안내판(260)이 설치된 연결수단본체(250); 상기 록킹부재끼움홀(254)과 록킹부재관통홀(220)에 끼워지는 끼움봉(272)과, 상기 끼움봉(272)이 일면 일측에 형성되고 타면에 손잡이(275)가 형성된 연결판(274)과, 그 연결판(274)의 일면 타측에 상기 끼움봉(272)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본체(250)에 끼워지는 가이드봉(276)과, 그 가이드봉(276)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가이드봉(276) 및 끼움봉(272)을 록킹방향으로 안내하는 스프링(278)을 포함하는 록킹부재(270);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수단(500)은,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510)과, 그 실린더브라켓(5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링크(400)의 하부 일측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부링크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봉(5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하부 일측과 실린더브라켓(510)에 양단이 결합되게 마련되어 상기 상부링크(400)를 승하강동작시키는 승하강실린더(53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200)과 하부링크(410) 사이에는 상기 제설판(300)이 항상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힌지결합된 하부링크(410)의 일단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부 일측 또는 승하강수단(500)을 연결하는 탄성부재(5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44460A 2012-12-12 2012-12-12 제설장치 KR101497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60A KR101497677B1 (ko) 2012-12-12 2012-12-12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60A KR101497677B1 (ko) 2012-12-12 2012-12-12 제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86A KR20140076186A (ko) 2014-06-20
KR101497677B1 true KR101497677B1 (ko) 2015-03-03

Family

ID=5112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460A KR101497677B1 (ko) 2012-12-12 2012-12-12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568B1 (ko) * 2018-10-10 2020-08-26 세화자동차주식회사 제설차량
CN109763444A (zh) * 2019-03-20 2019-05-17 海盐宝文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铲雪机用雪铲
KR102443080B1 (ko) * 2022-03-30 2022-09-14 최재석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79B1 (ko) * 2002-08-27 2005-01-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100917788B1 (ko) * 2009-01-09 2009-09-21 김용주 트랙터용 제설장치
KR20100044365A (ko) * 2008-10-22 2010-04-30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
KR101008575B1 (ko) * 2010-09-27 2011-01-17 한상섭 제설삽용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79B1 (ko) * 2002-08-27 2005-01-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삽날장치
KR20100044365A (ko) * 2008-10-22 2010-04-30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
KR100917788B1 (ko) * 2009-01-09 2009-09-21 김용주 트랙터용 제설장치
KR101008575B1 (ko) * 2010-09-27 2011-01-17 한상섭 제설삽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86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5733B (zh) 可释放门铰链
US7331749B2 (en) Backhoe for all-terrain vehicles
US5289880A (en) Towable road tender
KR101497677B1 (ko) 제설장치
US20090050340A1 (en) Scarifier
JP2015509472A (ja) クレーンマットキャリア
US9587370B2 (en) Folding parking stand
US9840824B2 (en) Multi-position tool coupler
US6098321A (en) Bucket converter for an excavation bucket
US83533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utility vehicle 3-point hitch to an implement bracket
US8578542B2 (en) Portable vehicle roof snow and ice removal apparatus
CA2742573A1 (en) Earth shaping apparatus for ditching and levelling
US9085860B2 (en) Wing plow post
KR101068130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US3043375A (en) Removable hoisting attachment for tractors
KR101449416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CA2423429C (en) Plate low ground pressure transport system
US8033526B2 (en) Land clearing device
KR20170059821A (ko) 제설장치
KR101639046B1 (ko) 제설장치
CN104372746A (zh) 铁路桥梁预制后张法简支t梁注砼模板支架及其安装工艺
KR101126148B1 (ko)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
US9752293B2 (en) Wing plow post
DE4327663A1 (de) Vakuum-Hebeeinrichtung für Steinelemente
US20200056344A1 (en) Rear attachment assembly for skid loa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