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649B1 -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649B1
KR101496649B1 KR1020090077874A KR20090077874A KR101496649B1 KR 101496649 B1 KR101496649 B1 KR 101496649B1 KR 1020090077874 A KR1020090077874 A KR 1020090077874A KR 20090077874 A KR20090077874 A KR 20090077874A KR 101496649 B1 KR101496649 B1 KR 10149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function
devices
sharing
net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137A (ko
Inventor
유승동
장우용
박세준
문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649B1/ko
Priority to RU2012106126/08A priority patent/RU2502234C2/ru
Priority to BR112012003434-0A priority patent/BR112012003434B1/pt
Priority to CN201080037006.6A priority patent/CN102474910B/zh
Priority to PCT/KR2010/005531 priority patent/WO2011021885A2/en
Priority to MX2012000852A priority patent/MX2012000852A/es
Priority to CA2769179A priority patent/CA2769179C/en
Priority to AU2010284794A priority patent/AU2010284794B2/en
Priority to CA2884016A priority patent/CA2884016C/en
Priority to MYPI2012000406A priority patent/MY163837A/en
Priority to EP20159429.8A priority patent/EP3675595B1/en
Priority to EP18200761.7A priority patent/EP3451789B1/en
Priority to US12/861,587 priority patent/US20110047266A1/en
Priority to TW104119674A priority patent/TWI549002B/zh
Priority to JP2010186288A priority patent/JP5916284B2/ja
Priority to EP10173739.3A priority patent/EP2288227B1/en
Priority to TW099128111A priority patent/TWI493359B/zh
Publication of KR2011002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137A/ko
Priority to ZA2012/01159A priority patent/ZA201201159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649B1/ko
Priority to AU2015201793A priority patent/AU2015201793B2/en
Priority to JP2015207791A priority patent/JP6261551B2/ja
Priority to US16/161,917 priority patent/US1117823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고,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 및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를 연동하여,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가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는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이 개시된다.
복합 네트워크 망, 근거리 네트워크, 장거리 네트워크

Description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ction of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디바이스 간 통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들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가 있는 반면, 제한된 네트워크 방식만이 가능한 디바이스도 있다.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의 성능이 향상되고 있지만, 이종 네트워크를 거친 통신은 여전히 불편하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기기의 휴대화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지만, 휴대용 전자기기에 모든 기능을 탑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사용 목적에 부합되는 대표적인 기능만이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망을 통한 디바이스들 간의 기능 공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 중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속한 제 1 네트워크 망 이외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활용하는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직접 수행할 수 없는 기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의 상기 제 3 디바이스 기능 활용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입력을 위한 선택 메뉴를 도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메뉴 중 기존 기능을 위한 선택 메뉴 이외에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새로운 선택 메뉴를 더 도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은, 근거리 네트워크 망 및 장거리 네트워크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의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연동할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의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연동할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의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연동할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의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각각이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 한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의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제 3 디바이스에게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의 활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한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가 연동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제 3 디바이스가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소정 기능의 활용 요청에 따라 상기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연동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의 디바이스 중 상기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연동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은, 각각의 네트워크 망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 연동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는 과정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현재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디바이스 감지 제어부;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제어하는 외부 디바이스 연동 제어부;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도록 제어하는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현재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한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연동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연동 요청 처리부;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현재 디바이스의 소정 기능의 활용 요청에 따라, 상기 소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요청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는, 각각의 네트워크 망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현재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구축하도록 제어하는 복수 네트워크 망 구축 제어부; 및 상기 현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 연동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는 동작을 중계하는 디바이스 기능 공유 중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에 걸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복합 네트워크 망 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통하여 디바이스들 간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들의 구조가 상술된다.
도 1, 2 및 3를 각각 참조하여,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에 걸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의 구조,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의 구조 및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의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되어 중계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의 구조가 상술된다.
이하 설명에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의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되어 중계 역할을 하는 중계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로 지칭되고,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로 지칭되며,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제 3 디바이스로 지칭되기도 한다.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은 근거리 네트워크, 장거리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에 다른 무선 프로토콜, 와이파이(Wi-Fi)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 와이브로(WiBro) 방식에 따른 무선 광대역 인터넷 방식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 중,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 스(100)는 외부 디바이스 감지 제어부(110), 외부 디바이스 연동 제어부(120) 및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역할에 따라 구별하여 지칭한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제 3 디바이스 중 제 2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외부 디바이스 감지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제 2 디바이스(100)를 포함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망들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한다.
제 2 디바이스(100)와 제 1 디바이스와 제 1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 감지 제어부(110)는 제 1 네트워크 망이 아닌 다른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고 있는 다른 디바이스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이종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가 감지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들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 2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100)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만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100)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2 디바이스(100)가 연동하고자 하 는 대상인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 2 디바이스(100)가 소정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망들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100)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디바이스(100)의 외부 디바이스 감지 제어부(110)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100)에게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임의로 추천받을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감지 제어부(110)는,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연동할 제 3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100)가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100)는 직접적으로 제 3 디바이스에게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제 3 디바이스의 응답에 따라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의 활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외부 디바이스 연동 제어부(120)는 제 1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 2 디바이스(100)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제어한다.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제어부(130)는,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100)가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도록 제어한다.
제 2 디바이스(100)가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3 디바이스에 연동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00)가 직접 수행할 수 없지만 제 3 디바이스는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주체는 제 3 디바이스이지만, 제 2 디바이스(100)가 그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공유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생성된 결과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들은, 중계 주체인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100) 및 제 3 디바이스 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0)는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사용자 입력을 위한 선택 메뉴를 도시한다. 선택 메뉴 중 기존 기능을 위한 선택 메뉴 이외에 제 3 디바이스와 공유된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새로운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더 도시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 중,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 연동 요청 처리부(210) 및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요청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역할에 따라 구별하여 지칭한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제 3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디바이스 연동 요청 처리부(210)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연동 요청을 수신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을 감지하고, 제 3 디바이스(200)에 대해 연동을 요청한 것이다. 디바이스 연동 요청 처리부(210)는, 제 2 디바이스로부터의 디바이스 연동 요청을 처리한다.
제 3 디바이스(200)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 선택되어 연동이 요청될 수도 있다. 또한, 제 3 디바이스(200)의 수행 가능 기능을 보고 제 2 디바이스 또는 제 1 디바이스가 제 3 디바이스(200)를 연동 대상으로서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디바이스(200)의 수행 가능 기능에 관한 정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에 대해 미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제 3 디바이스(200)가 수행 가능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도 있다.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요청 처리부(220)는,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 3 디바이스(200)의 소정 기능의 활용 요청에 따라, 제 3 디바이스(200)가 소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200)의 소정 기능의 활용 요청에 상응하는 소정 기능은, 제 2 디바이스가 직접 수행할 수 없지만 제 3 디바이스(200)는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일 수 있다. 이때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공유된 제 3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작동하 는 주체는 제 3 디바이스(200)이지만,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요청 처리부(220)는 생성된 결과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들을 중계 주체인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200)에 의해 공유 기능이 수행된 결과 데이터는 제 2 디바이스가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의 변환되어 제 2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디바이스(200)에 결과 데이터가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할 수 없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제 3 디바이스(200)는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 1 디바이스로 출력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200)의 기능 수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대해 제공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3 디바이스(200)의 기능 수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현재 수행 상태에 관한 알림창 또는 경고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별개의 디바이스로 구별되어 설명되었지만,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디바이스들은 외부 디바이스 기능 공유 요청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 기능 공유 제공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디바이스로서, 외부 디바이스 기능 공유 요청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 기능 공유 제공 디바이스(200)의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 중, 중계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디바이스(300)는 복수 네트워크 망 구축 제어부(310) 및 디바이스 기능 공유 중계부(320)를 포함한다. 중계 디바이스(300)는, 전술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역할에 따라 구별하여 지칭한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제 3 디바이스 중 제 1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복수 네트워크 망 구축 제어부(310)는, 각각의 네트워크 망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300)를 연결하도록 하여,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300)의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구축한다.
디바이스 기능 공유 중계부(320)는, 제 1 디바이스(300)와 각각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된 제 2 디바이스 및 제 3 디바이스 간의 기능 공유를 중계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복수 네트워크 망 구축 제어부(310)에 의해 구축된 네트워크 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한다. 디바이스 기능 공유 중계부(320)는, 제 2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중계부(320)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중계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 및 제 3 디바이스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 1 네트워크 망을 통한 제 1 디바이스(300) 및 제 2 디바이스와의 통신과, 제 2 네트워크 망을 통한 제 1 디바이스(300)와 제 3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연결해 줄 수 있다.
중계 디바이스(300)의 다른 실시예는,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네트워크 망의 디바이스들과의 연동 및 기능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에, 다른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제 1 디바이스(300)와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들을 제 2 디바이스에 연결시켜 줄 수 있으며, 제 2 디바이스가 찾는 특정 기능의 디바이스만을 제 2 디바이스에 연결시켜줄 수도 있다.
또한, 제 3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 결과 데이터가 제 2 디바이스에서 인식할 수 없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제 1 디바이스(300)는 제 2 디바이스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의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1 디바이스(300), 제 2 디바이스(100), 제 3 디바이스(200)는, 중계 디바이스(300)를 중심으로 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100) 및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 간의 기능 공유가 가능하다.
특히,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100) 및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는 중계 디바이스(300)와 각각 이종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100) 및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 간의 직접적인 네트워킹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계 디바이스(300)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100) 및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 간의 기능 공유는 대단히 유용하다.
이에 따라,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호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확장함으로써 네트워킹 방식이 달라 상호 연결할 수 없었던 디바이스들 간의 연동이 가능 해지므로, 사용자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이 다양해진다. 또한, 현재 디바이스에서는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지만 중계 디바이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이종 네트워크 망에 속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 가능하지만, 현재 디바이스에서 전혀 이용할 수 없었던 소정 기능이 있는 경우, 현재 디바이스가 중계 디바이스를 거쳐 이종 네트워크 망의 디바이스의 소정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계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간에 구축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도시한다.
휴대폰(410)은 제 1 네트워크 망(420)을 통해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와 연결되고, 제 2 네트워크 망(430)을 통해 디지털 카메라(435)와 연결되며, 제 3 네트워크 망(440)을 통해 인터넷(445)와 연결되어 있다.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 및 디지털 카메라(435)는 각각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이며, 제 1 네트워크 망(420) 및 제 2 네트워크 망(430) 각각은 근거리 네트워크 방식에 따르고, 제 3 네트워크 망(440)은 장거리 네트워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근거리 네트워크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망을 통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 및 디지털 카메라(435)는, 장거리 네트워크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망을 통한 인터넷(445)과의 직접적인 연결이 불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 및 디지털 카메라(435)는 각각 휴대폰(410)과 근거리 네트워크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하지만, 제 1 네트워크 망(420) 및 제 2 네트워크 망(430)이 이종 네트워크 방식인 경우,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 및 디지털 카메라(435) 간의 직접적인 연결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의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100),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 및 중계 디바이스(300)를 도 4의 복합 네트워크 망(400)에 도입하는 경우, 휴대폰(410)은 중계 디바이스(3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 및 디지털 카메라(435)는 각각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100) 또는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복합 네트워크 망(400)은 일 실시예일 뿐이므로 휴대폰(410)이 반드시 다른 디바이스들 간의 기능 공유를 위한 중계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다. 휴대폰(410)이 다른 중계 디바이스와 다른 네트워크 망에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다른 중계 디바이스를 통해 또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의 기능을 공유할 수도 있다.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디바이스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휴대폰(410)이 중계 디바이스(100)의 역할을 수행하고,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가 제 2 디바이스로서 휴대폰(41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망의 디지털 카메라(435)를 감지한 경우, 휴대폰(410)을 통한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와 디지털 카메라(435) 간이 연동이 가능하다.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에 의해 감지된 모든 디바이스와 항상 연동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연산 처리량 및 네트워크 통신량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휴대폰(410)은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가 원하는 시점에 디지털 카메라(435)와의 연동을 중계해 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가 제 2 디바이스로서 휴대폰(41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망의 디바이스들을 감지하는 동작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휴대폰(410)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만을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가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휴대폰(410)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들 간 기능 공유 중계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들 간 기능 공유의 중계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제 1 중계 메뉴(510)는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에 의해 이미 감지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435)와의 연동을 중계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설명 메뉴이며, 제 2 중계 메뉴(520)는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가 '사진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원하는 경우, 휴대폰(410)이 복합 네트워크 망(400) 중 '사진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검색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도 5a 및 도 5b의 디바이스들 간 기능 공유의 중계 메뉴들은 설명 상 편의를 위한 실시예들일 뿐이므로, 휴대폰(4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중계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 6b, 6c 및 6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의 활용례(1)를 도시한다.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휴대폰(410)과 근거리 네트워킹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음원 파일을 재생하고 영상 파일을 렌더링할 수 있다. 특히,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음원 파일을 재생하면서, 해당 영상 파일을 백그라운드 영상으로 도시할 수 있다.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의 재생 화면(610)의 경우에는, 'track 1' 음악은 재생 중임을 표시하고 있지만, 해당 앨범 재킷의 영상 파일은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 앨범 재킷 영상을 도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앨범 재킷을 위한 영상 파일의 검색 및 다운로드에 관한 메뉴가 없다.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제 1 네트워크 망(420)을 통해 휴대폰(410)과 연결되어 있다. 휴대폰(410)은 제 3 네트워크 망(440)을 통해 인터넷(445)과 연결되어 있다.
제 1 네트워크 망(420)은 근거리 네트워크 망이며 제 3 네트워크 망(440)은 장거리 네트워크 망으로써, 근거리 네트워크 망을 통해 휴대폰(410)과 연결된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 및 장거리 네트워크 망을 통해 휴대폰(410)과 연결된 인터넷(445) 간의 직접적인 네트워크 연결은 불가능하다.
다만, 휴대폰(410)을 통해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이 인터넷(445)을 감지하고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인터넷(445)으로부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원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메뉴이지만, 인터넷(445)과의 연동으로 인해 인터넷(445)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새로이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도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메뉴(620)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새로이 추가하여, 사용자가 인터넷(445)을 이용한 영상 파일 검색 및 다운로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넷(445)을 이용한 영상 파일 검색 및 다운로드 기능을 선택하면,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휴대폰(410)을 통해 인터넷(445)에 대해 영상 파일 검색 및 다운로드 기능을 실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인터넷(445)을 이용하여 영상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된다면, 휴대폰(410)을 통해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로 다운로드된 영상 파일이 전송되고,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외부 디바이스 공유 기능의 완료를 알리는 알림창(630)을 도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는 'track 1' 음악을 재생하면서, 인터넷(445)을 이용하여 다운로드받아 저장한 앨범 재킷 영상(640)을 백그라운드 영상으로 도시할 수 있다.
도 7a, 7b, 7c 및 7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의 활용례(2)를 도시한다.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휴대폰(410)과 근거리 네트워킹이 가능 한 디바이스로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다만,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확장자가 'mpg'인 동영상 파일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확장자가 'mpg'인 동영상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재생할 수 없는 파일 형식임을 알리는 경고창(710)을 표시한다.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동영상 파일의 트랜스코딩 기능은 갖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동영상 트랜스코딩에 관한 메뉴를 도시하지는 않는다.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제 1 근거리 네트워크 망을 통해 휴대폰(410)과 연결되어 있다. 휴대폰(410)은 제 2 근거리 네트워크 망을 통해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근거리 네트워크 망 및 제 2 근거리 네트워크 망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방식을 따르고 있으므로, 제 1 근거리 네트워크 망을 통해 휴대폰(410)과 연결된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 및 제 2 근거리 네트워크 망을 통해 휴대폰(410)과 연결된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 간의 직접적인 네트워크 연결은 불가능하다.
다만, 휴대폰(410)을 통해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가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를 감지하고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의 트랜스코딩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원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메뉴이지만,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와의 연동으로 인해 새로이 수행 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새로이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도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를 이용한 동영상 트랜스코딩 메뉴(712)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새로이 추가하여, 사용자가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를 이용한 동영상 트랜스코딩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를 이용한 동영상 트랜스코딩 기능을 선택하면,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휴대폰(410)을 통해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에 대해 동영상 트랜스코딩 기능을 실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트랜스코딩 디바이스(720)에 의한 동영상 트랜스코딩 기능이 완료된다면, 휴대폰(410)을 통해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로 트랜스코딩된 동영상 파일이 전송되고,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외부 디바이스 공유 기능의 완료를 알리는 알림창(714)을 도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는 재생 가능한 데이터 포맷인 'TRANSFORMER.avi'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상 도 6a, 6b, 6c 및 6d를 참조하여 휴대폰(410)을 통한 모바일 MP3 플레이어(425) 및 인터넷(445)이 연결되는 실시예가 기술되고, 도 7a, 7b, 7c 및 7d를 참조하여 휴대폰(410)을 통한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700) 및 트랜스코딩 기기(720)가 연결되는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하며, 일 실시예에 따 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제 3 디바이스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로서 복합 네트워크 망에 대한 전용 중계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 2 디바이스인 포터블 모바일 플레이어(700)가 제 1 디바이스를 거쳐 제 3 디바이스인 디지털 카메라에 연동된다면,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 촬영 기능, 사진 편집 기능, 동영상 촬영 기능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모바일 플레이어(700)가 제 1 디바이스를 거쳐 인터넷과 연동된다면, 포터블 모바일 플레이어(700)가 인터넷을 이용한 화면 캡쳐 기능, 가사 검색 기능, 쇼핑 기능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포터블 모바일 플레이어(700)가 제 1 디바이스를 거쳐 디지털 TV 또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과 연동된다면, 포터블 모바일 플레이어(700)가 제 1 디바이스를 거쳐 디지털 TV 또는 PVR의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및 기존 녹화 방송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모바일 플레이어(700)가 제 1 디바이스를 거쳐 다른 휴대폰와 연결될 수 있다. 포터블 모바일 플레이어(700)이 제 1 디바이스를 거쳐 다른 휴대폰으로 전화 통화를 하거나, 휴대폰에 탑재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중,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810에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감지된다.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는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연결된 네트워크 망과 다른 네트워크 망일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들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제 2 디바이스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단계 820에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 및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가 연동된다.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 및 제 3 디바이스 간의 연동 및 연결에 의한 모든 정보 교환이 중계될 수 있다.
단계 830에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가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스스로 수행할 수 없으나 제 3 디바이스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스스로 제 3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제 3 디바이스의 수행 결과, 생성된 데이터가 제 1 디바이스를 거쳐 제 2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를 이용한 공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새로이 생성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중,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910에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한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가 연동 요청이 입력된다.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연결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해, 제 2 디바이스와 의 연동이 요청될 수 있으며, 제한된 환경에서는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해서만 제 2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요청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3 디바이스가 수행 가능한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받을 수도 있다.
단계 920에서, 제 2 디바이스와 제 3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연동된다.
단계 930에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 3 디바이스의 소정 기능의 활용 요청에 따라 소정 기능이 수행된다. 제 3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대해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중, 중계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010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망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의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이 구축된다.
단계 1020에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여, 제 2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 연동하고, 제 2 디바이스가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는 디바이스 간 기능 공유 과정이 중계된다.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호 연결할 수 없었던 디바이스들 간의 연동이 가 능해지므로, 사용자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을 다양해진다. 또한, 현재 디바이스에서 전혀 이용할 수 없었던 소정 기능의 경우에도, 현재 디바이스가 중계 디바이스를 거쳐 이종 네트워크 망의 디바이스의 소정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간 기능 공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네트워크 방식이 변환된 것과 같은 결과가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 중,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 중,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들 중, 중계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계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간에 구축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도시한다.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디바이스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6a, 6b, 6c 및 6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의 활용례(1)를 도시한다.
도 7a, 7b, 7c 및 7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공유의 활용례(2)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중,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공유를 요청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중, 디바이스 간의 공유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중, 중계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Claims (20)

  1.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연동할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 중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속한 제 1 네트워크 망 이외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활용하는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은, 상기 제 2 디 바이스가 직접 수행할 수 없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디바이스 기능 활용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입력을 위한 선택 메뉴를 도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메뉴 중 기존 기능을 위한 선택 메뉴 이외에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새로운 선택 메뉴를 더 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은, 근거리 네트워크 망 및 장거리 네트워크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연동할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8. 삭제
  9.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한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가 연동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제 3 디바이스가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소정 기능의 활용 요청에 따라 상기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연동할 상기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 중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속한 제 1 네트워크 망 이외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활용할 것을 요청받는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소정 기능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 없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은, 근거리 네트워크 망 및 장거리 네트워크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13. 각각의 네트워크 망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 연동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는 과정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연동할 상기 제 3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 중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속한 제 1 네트워크 망 이외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
  15.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현재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 의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디바이스 감지 제어부;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제어하는 외부 디바이스 연동 제어부;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도록 제어하는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
  16.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거쳐 현재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한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연동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연동 요청 처리부;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현재 디바이스의 소정 기능의 활용 요청에 따라, 상기 소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외부 디바이스 기능 활용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기능의 공유가 가능한 디바이스.
  17. 각각의 네트워크 망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현재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구축하도록 제어하는 복수 네트워크 망 구축 제어부; 및
    상기 현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감지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제 3 디바이스와 연동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용하는 동작을 중계하는 디바이스 기능 공유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중계 디바이스.
  1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0.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복수 개의 네트워크 망들을 통한 디바이스 기능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077874A 2009-08-21 2009-08-21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149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74A KR101496649B1 (ko) 2009-08-21 2009-08-21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BR112012003434-0A BR112012003434B1 (pt) 2009-08-21 2010-08-20 Método, segundo aparelho, terceiro aparelho, e primeiro aparelho
CN201080037006.6A CN102474910B (zh) 2009-08-21 2010-08-20 通过复杂网络共享外部设备的功能的方法和装置
PCT/KR2010/005531 WO2011021885A2 (en) 2009-08-21 2010-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MX2012000852A MX2012000852A (es) 2009-08-21 2010-08-20 Metodo y aparato de compartimiento de funcion de dispositivo externo a traves de red compleja.
CA2769179A CA2769179C (en) 2009-08-21 2010-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AU2010284794A AU2010284794B2 (en) 2009-08-21 2010-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CA2884016A CA2884016C (en) 2009-08-21 2010-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MYPI2012000406A MY163837A (en) 2009-08-21 2010-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RU2012106126/08A RU2502234C2 (ru) 2009-08-21 2010-08-20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функции внешнего устройства через сложную сеть
EP20159429.8A EP3675595B1 (en) 2009-08-21 2010-08-2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US12/861,587 US20110047266A1 (en) 2009-08-21 2010-08-2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TW104119674A TWI549002B (zh) 2009-08-21 2010-08-23 功能執行方法、功能共享方法、功能請求元件、中繼元件、功能執行元件以及非暫時電腦可讀記錄媒體
JP2010186288A JP5916284B2 (ja) 2009-08-21 2010-08-23 複合ネットワーク網を介した外部デバイスの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装置
EP10173739.3A EP2288227B1 (en) 2009-08-21 2010-08-23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TW099128111A TWI493359B (zh) 2009-08-21 2010-08-23 經由複雜網路共享外部元件代碼轉換功能的方法與裝置
EP18200761.7A EP3451789B1 (en) 2009-08-21 2010-08-23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ZA2012/01159A ZA201201159B (en) 2009-08-21 2012-02-16 Meht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AU2015201793A AU2015201793B2 (en) 2009-08-21 2015-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JP2015207791A JP6261551B2 (ja) 2009-08-21 2015-10-22 複合ネットワーク網を介した外部デバイスの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装置
US16/161,917 US11178232B2 (en) 2009-08-21 2018-10-16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74A KR101496649B1 (ko) 2009-08-21 2009-08-21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137A KR20110020137A (ko) 2011-03-02
KR101496649B1 true KR101496649B1 (ko) 2015-03-02

Family

ID=4303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874A KR101496649B1 (ko) 2009-08-21 2009-08-21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20110047266A1 (ko)
EP (3) EP3675595B1 (ko)
JP (2) JP5916284B2 (ko)
KR (1) KR101496649B1 (ko)
CN (1) CN102474910B (ko)
AU (1) AU2010284794B2 (ko)
BR (1) BR112012003434B1 (ko)
CA (2) CA2769179C (ko)
MX (1) MX2012000852A (ko)
MY (1) MY163837A (ko)
RU (1) RU2502234C2 (ko)
TW (2) TWI549002B (ko)
WO (1) WO2011021885A2 (ko)
ZA (1) ZA2012011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10002189B2 (en) 2007-12-20 2018-06-19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using an active ontology
US9330720B2 (en) 2008-01-03 2016-05-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276170B2 (en) 2010-01-18 2019-04-3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682667B2 (en) 2010-02-25 2014-03-25 Apple Inc.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US9262612B2 (en) 2011-03-21 2016-02-16 Apple Inc.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US8650543B1 (en) * 2011-03-23 2014-02-11 Intuit Inc. Software compatibility checking
US10057736B2 (en) 2011-06-03 2018-08-21 Apple Inc.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US10134385B2 (en) 2012-03-02 2018-11-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pronunciation
KR101895905B1 (ko) * 2012-03-14 2018-09-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확장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수록한 저장 매체
US8909826B2 (en) 2012-03-14 2014-12-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user-interfa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KR101461446B1 (ko) * 2012-06-27 2014-11-14 에스코어 주식회사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KR102001221B1 (ko) * 2012-12-24 2019-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938734B1 (ko) * 2013-01-22 2019-01-16 주식회사 케이티 게이트웨이 기반의 m2m 디바이스들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KR101522648B1 (ko) 2013-02-26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20140375828A1 (en) * 2013-03-15 2014-12-25 AmigoBooth,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an image
WO2014197335A1 (en) 2013-06-08 2014-12-11 Apple Inc.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commands that involve sharing information with remote devices
KR101922663B1 (ko) 2013-06-09 2018-11-28 애플 인크.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걸친 대화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KR102109051B1 (ko) 2013-08-06 202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확장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207298B2 (ja) * 2013-08-19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296160B2 (en) 2013-12-06 2019-05-21 Apple Inc. Method for extracting salient dialog usage from live data
CN104714923B (zh) 2013-12-17 2018-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设备共享的方法和装置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430463B2 (en) 2014-05-30 2016-08-30 Apple Inc.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9633004B2 (en) 2014-05-30 2017-04-25 Apple Inc. Better resolution when referencing to concepts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818400B2 (en) 2014-09-11 2017-11-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rending terms in speech requests
US9668121B2 (en) 2014-09-30 2017-05-30 Apple Inc. Social reminders
US10127911B2 (en) 2014-09-30 2018-11-13 Apple Inc.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US10074360B2 (en) 2014-09-30 2018-09-11 Apple Inc.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US10152299B2 (en) 2015-03-06 2018-12-11 Apple Inc. Reducing response latency of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10460227B2 (en) 2015-05-15 2019-10-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10083688B2 (en) 2015-05-27 2018-09-25 Apple Inc.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US9578173B2 (en) 2015-06-05 2017-02-21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331312B2 (en) *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049668B2 (en) 2015-12-02 2018-08-14 Apple Inc. Applying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to weight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1227589B2 (en) 2016-06-06 2022-01-18 Apple Inc. Intelligent list reading
US10049663B2 (en) 2016-06-08 2018-08-14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US10474753B2 (en) 2016-09-07 2019-11-12 Apple Inc. Language identifica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US10043516B2 (en) 2016-09-23 2018-08-07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201770383A1 (en) 2017-05-09 2018-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ORRECTING RECOGNITION ERRORS
US10417266B2 (en) 2017-05-09 2019-09-17 Apple Inc. Context-aware ranking of intelligent response suggestions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US10395654B2 (en) 2017-05-11 2019-08-27 Apple Inc. Text normalization based on a data-driven learning network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US11301477B2 (en) 2017-05-12 2022-04-12 Apple Inc. Feedback analysis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US10311144B2 (en) 2017-05-16 2019-06-04 Apple Inc. Emoji word sense disambiguation
US10403278B2 (en) 2017-05-16 2019-09-03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honetic matching in digital assistant services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US10636424B2 (en) 2017-11-30 2020-04-28 Apple Inc. Multi-turn canned dialog
US10733982B2 (en) 2018-01-08 2020-08-04 Apple Inc. Multi-directional dialog
US10733375B2 (en) 2018-01-31 2020-08-04 Apple Inc. Knowledge-based framework for improving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US10789959B2 (en) 2018-03-02 2020-09-29 Apple Inc. Training speaker recognition models for digital assistants
US10592604B2 (en) 2018-03-12 2020-03-17 Apple Inc. Inverse text normaliz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0909331B2 (en) 2018-03-30 2021-02-02 Apple Inc. Implicit identification of translation payload with neural machine translation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US10984780B2 (en) 2018-05-21 2021-04-20 Apple Inc. Global semantic word embeddings using bi-direc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s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US11386266B2 (en) 2018-06-01 2022-07-12 Apple Inc. Text correction
DK201870355A1 (en) 2018-06-01 2019-12-1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OPERATION IN MULTI-DEVICE ENVIRONMENTS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US10496705B1 (en) 2018-06-03 2019-12-03 Apple Inc. Accelerated task performance
US11010561B2 (en) 2018-09-27 2021-05-18 Apple Inc. Sentiment prediction from textual data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0839159B2 (en) 2018-09-28 2020-11-17 Apple Inc. Named entity normalization in a spoken dialog system
US11170166B2 (en) 2018-09-28 2021-11-09 Apple Inc. Neural typographical error modeling vi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US11475898B2 (en) 2018-10-26 2022-10-18 Apple Inc.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US11638059B2 (en) 2019-01-04 2023-04-25 Apple Inc. Content playback on multiple devices
KR20200094819A (ko) * 2019-01-17 2020-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23908B2 (en) 2019-05-06 2022-08-23 Apple Inc.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475884B2 (en)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96600B2 (en) 2019-05-31 2022-11-08 Apple Inc.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US11289073B2 (en) 2019-05-31 2022-03-29 Apple Inc. Device text to speech
US11360641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CN112312367A (zh) * 2019-08-01 2021-02-02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及通信设备
WO2021056255A1 (en) 2019-09-25 2021-04-01 Apple Inc.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CN111970188B (zh) * 2020-07-28 2022-09-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能力转发方法及装置
CN115884444A (zh) * 2022-10-27 2023-03-31 张春帅 一种多个智能设备建立即时性无线通信交互网络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907A (ja) * 1999-08-23 2001-03-06 Casio Comput Co Ltd 信号中継装置
US6601093B1 (en) * 1999-12-01 2003-07-29 Ibm Corporation Address resolution in ad-hoc networking
AUPQ724700A0 (en) * 2000-05-02 2000-05-2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using secure pickup
US7512667B2 (en) * 2001-01-15 2009-03-31 Sharp Kabushuki Kaisha Control system
US8069254B2 (en) * 2001-02-28 2011-11-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mmunication period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24482B2 (en) * 2001-02-28 2006-04-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Pseudo-random dynamic scheduler for scheduling communication periods between electronic devices
WO2003021978A1 (en) * 2001-08-10 2003-03-13 Strix Systems, Inc. Virtual linking using a wireless device
JP4655439B2 (ja) * 2001-09-13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263351B2 (en) * 2002-07-01 2007-08-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optimization through remote device data
CA2490994A1 (en) * 2002-07-01 2004-01-08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interaction with a wireless device resident diagnostic interface across a wireless network
US20040040023A1 (en) * 2002-08-22 2004-02-26 Ellis David G. Remote identification loader
KR100545901B1 (ko) 2003-06-13 2006-02-09 (주)엠아이유 멀티미디어 데이터 무료 송수신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US7747596B2 (en) * 2005-06-17 2010-06-29 Fotonation Vision Ltd. Server device, user interface appliance, and media processing network
WO2005025137A1 (en) * 2003-09-05 2005-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mobile device detection
KR100640327B1 (ko) * 2003-11-24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개인용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브릿지 동작을 위한새로운 프레임 구조와 데이터 전송 방법
US7327981B2 (en) * 2004-03-03 2008-02-05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landline telephone systems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US20050235336A1 (en) * 2004-04-15 2005-10-20 Kenneth Ma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that supports personal video recorder functionality
CN101010950A (zh) * 2004-08-30 2007-08-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装置
JP2006129468A (ja) * 2004-09-30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変換装置、および再生クライアント装置
GB0427643D0 (en) * 2004-12-17 2005-01-19 Carnall Murat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events
JP2006295586A (ja) * 2005-04-12 2006-10-26 Hitachi Ltd コンテンツ変換装置及びトランスコードシステム
US8117340B2 (en) * 2005-04-25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Trans-network roaming and resolution with web services for devices
JP4772375B2 (ja) * 2005-04-28 2011-09-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2006339855A (ja) * 2005-05-31 2006-12-14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符号化方式変換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システム
US8150416B2 (en) * 2005-08-08 2012-04-03 Jamb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to mobile device users incorporating proximity determination
WO2007046101A2 (en) * 2005-10-19 2007-04-26 Netbarrage Lt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among mobile devices and purchasing online
JP2007148828A (ja) * 2005-11-28 2007-06-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7064880A2 (en) * 2005-12-01 2007-06-07 Firestar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among exchange applications
KR20070071159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장치 연동시스템 및 연동서비스제공방법
ATE509462T1 (de) * 2006-06-06 2011-05-15 Koninkl Kpn Nv Proxy-brücke zum verbinden von verschiedenen gerätetypen
JP2007336369A (ja) * 2006-06-16 2007-12-27 Canon Inc リモート操作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577559B2 (en) * 2006-08-15 2009-08-18 Nero Ag Apparatus for transcoding encoded content
CN101175111B (zh) * 2006-10-31 2012-06-06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一种终端查询功能共享的方法和装置
TWM324351U (en) * 2007-03-19 2007-12-21 Halfa Entpr Co Ltd Infrared remote controller structure with built-in bluetooth wireless transmission
KR20080090790A (ko) * 2007-04-06 2008-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JP5055004B2 (ja) * 2007-04-09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管理装置、画像データ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US20080287100A1 (en) * 2007-05-18 2008-11-20 Aol Llc Mobile account access through a data processing system
US8553623B2 (en) * 2007-07-20 2013-10-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standardized interface in a wireless device to discover and use local and remote resources
US8782527B2 (en) * 2007-06-27 2014-07-15 Microsoft Corp. Collaborative phone-based file exchange
US20090047948A1 (en) * 2007-08-16 2009-02-19 Tcm Mobile Llc Mobile networking method and system
US8145727B2 (en) 2007-10-10 2012-03-27 Yahoo! Inc. Network accessible media object index
KR20090037061A (ko) * 2007-10-11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장치 및 방법
US8094597B1 (en) * 2007-10-30 2012-01-10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nection during a bluetooth inquiry phase or a bluetooth paging phase
US8154608B2 (en) * 2007-11-13 2012-04-10 Olympus Corporation Digital camera security
WO2009151452A1 (en) * 2008-06-12 2009-1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ell phone wlan access point
US8078230B2 (en) * 2008-06-27 2011-12-1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ioritized list of display devices for display of a media file
US8116749B2 (en) * 2008-09-08 2012-02-14 Proctor Jr James Arthur Protocol for anonymous wireless communication
JP2012099869A (ja) * 2009-02-26 2012-05-24 Panasonic Corp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10404740B2 (en) * 2016-10-03 2019-09-03 Telepathy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provision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LPHINANTO A et al,"Proxying UPnP service discovery and access to a non-IP bluetooth network on a mobile phone", IEEE, 2007.11.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84794A1 (en) 2012-01-19
CA2769179C (en) 2015-06-02
EP3675595A1 (en) 2020-07-01
TWI549002B (zh) 2016-09-11
JP2011048824A (ja) 2011-03-10
CA2884016C (en) 2018-04-03
JP5916284B2 (ja) 2016-05-11
CA2769179A1 (en) 2011-02-24
US20190052715A1 (en) 2019-02-14
EP2288227B1 (en) 2018-10-17
EP3675595B1 (en) 2022-03-16
RU2012106126A (ru) 2013-08-27
CA2884016A1 (en) 2011-02-24
AU2010284794B2 (en) 2015-01-22
BR112012003434A2 (pt) 2016-02-23
JP6261551B2 (ja) 2018-01-17
RU2502234C2 (ru) 2013-12-20
TWI493359B (zh) 2015-07-21
BR112012003434B1 (pt) 2022-04-19
EP2288227A1 (en) 2011-02-23
CN102474910A (zh) 2012-05-23
KR20110020137A (ko) 2011-03-02
WO2011021885A2 (en) 2011-02-24
MY163837A (en) 2017-10-31
JP2016042365A (ja) 2016-03-31
US11178232B2 (en) 2021-11-16
ZA201201159B (en) 2019-08-28
MX2012000852A (es) 2012-03-21
TW201118591A (en) 2011-06-01
EP3451789B1 (en) 2020-02-26
US20110047266A1 (en) 2011-02-24
TW201541264A (zh) 2015-11-01
WO2011021885A3 (en) 2011-07-07
CN102474910B (zh) 2017-04-12
EP3451789A1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649B1 (ko)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US104841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s between devices via a network
KR101511881B1 (ko) 원격 장치 상에서의 적응성 미디어 콘텐츠 스크러빙
CN101529867B (zh) 在对等配置中共享多媒体内容
JP6169563B2 (ja) 携帯端末で周辺デバイスのデータを保存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36273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between devices
JP201203954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567568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62437A (ja) 通信端末及び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7044076B2 (ja) 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75452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AU20152017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 of external device through complex network
JP2019204277A (ja) 電子装置および電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