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246B1 -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46B1
KR101496246B1 KR20140005068A KR20140005068A KR101496246B1 KR 101496246 B1 KR101496246 B1 KR 101496246B1 KR 20140005068 A KR20140005068 A KR 20140005068A KR 20140005068 A KR20140005068 A KR 20140005068A KR 101496246 B1 KR101496246 B1 KR 101496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transparent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정주현
송영진
노수천
한원희
이성림
허용
장성욱
서초란
Original Assignee
(주)티메이
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메이, 박준영 filed Critical (주)티메이
Priority to PCT/KR2014/00832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3429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Touch Panel Us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를 구현하여 접착제층을 사용하지 않고 바텀(Bottom) 전극과 탑(Top) 전극을 합지하는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버튼을 손가락으로 접촉하여 컴퓨터 등을 대화적, 직감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접촉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저항막 방식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향후 내구성 및 경박 단소한 특성에 유리한 정전용량 방식의 사용이 증가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 특히 터치스크린은 그 구조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나 유리 등의 투명한 절연체 필름 상에 투광 도전체로 이루어진 ITO(Indium Tin Oxide)와, ITO의 테두리에 실버 페이스트 등의 리드선으로 이루어진 패드를 접착제층이나 절연체층을 부가하여 상하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ITO는 X축의 X축 정전전극을 등 간격으로 형성한 X축 ITO와 Y축의 Y축 정전전극을 등 간격으로 형성한 Y축 ITO로 구성하여 적층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형성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터치 신호를 컨트롤러가 입력 받아서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X축 또는 Y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정전전극은 리드선으로부터 각각 다른 이격거리를 가지고 배치된다. 이들 사이에는 다른 정전전극이 배치되므로 리드선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바라보면 각각의 정전전극은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터치 패널의 종래 기술에 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 X축 정전전극의 바텀(Bottom) 전극과 Y축 정전전극의 탑(Top) 전극을 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X축 정전전극을 갖는 바텀 전극(10)과 Y축 정전전극을 갖는 탑 전극(20)을 각각 제작한후 OCA(Optical Clear Adhesive)(30)를 이용하여 합지한 후 윈도우를 부착하여 터치 패널을 제조한다.
바텀 전극(10)과 탑 전극(20)은 절연체층(4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정전전극을 ITO(50)로 형성하고 각각의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을 제외한 가장자리 영역의 금속 도선을 나타내는 배선전극을 금속층(60)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정전방식 터치 패널은 바텀 전극(10)과 탑 전극(20)을 각각 제작하므로 바텀 전극(10)과 탑 전극(20)에 사용되는 ITO 필름이 2장 필요하였다.
바텀 전극(10)과 탑 전극(20)은 합지할 때 OCA(Optical Clear Adhesive)(30)가 필수적으로 부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터치 패널은 하나의 터치 패널 제품을 만들기위해 ITO 필름과 OCA(30)가 각각 두 장이 사용되기 때문에 가격적으로 비싼 단점이 있다.
종래의 터치 패널은 바텀 전극(10)과 탑 전극(20)의 제조시 ITO와 메탈 증착 가공 공정이 구현되어야 하므로 높은 원자재 비용과 공정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를 구현하여 접착제층을 사용하지 않고 바텀(Bottom) 전극과 탑(Top) 전극을 합지하는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금속층을 형성한 후,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과,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하나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미세 패턴의 메탈 메쉬 구조로 형성하는 단계; 및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한 재질의 제1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금속층을 형성한 후,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체층과, 절연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도전층과,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바텀(Bottom) 전극; 및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하는 탑(Top) 전극을 포함하고,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바텀 전극의 상부면에 탑 전극을 투명 감광성 수지층에 의해 합지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체층과, 절연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도전층과,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바텀(Bottom) 전극; 및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과,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탑(Top) 전극을 포함하고,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투명 도전층의 상부면에 탑 전극을 투명 감광성 수지층에 의해 합지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체층과, 절연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과,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하나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미세 패턴의 메탈 메쉬 구조로 형성하는 바텀(Bottom) 전극; 및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하는 탑(Top) 전극을 포함하고,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바텀 전극의 상부면에 탑 전극을 투명 감광성 수지층에 의해 합지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한 재질의 제1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과,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바텀(Bottom) 전극; 및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한 재질의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탑(Top) 전극을 포함하고, 제1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과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바텀 전극의 상부면에 탑 전극을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의 투명 감광성 수지층에 의해 합지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를 구현하여 원자재 비용과 공정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텀 전극과 탑 전극의 합지시 투광 감광성 수지층으로 합지되기 때문에 OCA가 사용되지 않고 5㎛ 정도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의 사용을 통한 전극을 슬림(Slim)화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터치 패널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 X축 정전전극의 바텀(Bottom) 전극과 Y축 정전전극의 탑(Top) 전극을 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측면에서의 층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의 패턴닝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측면에서의 층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측면에서의 층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절연체층(110)의 상면에 인덱스 매칭층(Index-Matching)(112)을 형성하고, 그 위에 투명 도전층(120)을 형성하며, 투명 도전층(120)의 상면에 금속층(1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절연체층(110)은 투명한 재질의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형성되고, 유기 절연체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크릴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며 무기 절연체는 글라스(Glass) 소재, 광학 처리된 글라스 소재로 이루어진다.
인덱스 매칭층(Index-Matching)(112)은 투명 도전층(120)과의 굴절율 차이가 있는 절연 소재를 이용하여 절연막층을 형성하고, ITO(120) 패턴후 ITO 유무가 확인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코팅이다,
인덱스 매칭층(112)은 투명 도전층(120) 상에 패턴을 형성한 후 투명 도전층(120)이 있고 없는 부분의 반사율 차이로 인해 시인 현상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인덱스 매칭층(112)은 투명 도전층(120) 상에 패턴이 형성된 경우, 투명 도전층(120)의 회로가 보이는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굴절율을 가진 절연막층이다.
인덱스 매칭층(112)은 정전 용량의 ITO 필름 제작시 ITO가 존재하는 부분과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눈에서 감지하지 못하도록 ITO(120)의 하부층에 광학 처리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덱스 매칭층(112)은 건식 방식(증착)으로 SiO2,TiO2, Ceo2 등을 올리는 경우도 있고, 습식 방식으로 약품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인덱스 매칭층(112)은 투명 도전층(120)의 높이를 보상할 수 있는 굴절율을 보유하고 있는 SiO2,TiO2, Ceo2, Nb2O5 등의 절연막층을 단독 또는 복수개의 층 구조로 형성한다.
투명 도전층(120)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와 같은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ITO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포함하거나 ITO, IZO, SnO2, AZO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층(ITO 필름 등)(120)은 하부면에 인덱스 매칭층(절연막층)(112)을 포함하고 있다.
금속층(130)은 Cu, Cu alloy, Ag, Ag alloy, Ni+Cr, Ni+Ni alloy, Mo/Ag, Mo/Al/Mo, Ni+Cr/Cu/Ni+Cr, Ni alloy/Cu, Ni alloy/Cu/Ni alloy, Mo/APC, Cu/Ni+Cu+Ti, Ni+Cu+Ti/Cu/Ni+Cu+Ti, APC(은, 팔라듐, 구리 합금), 카본 등 전도성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고 인쇄, 증착, 페이스트 및 도포의 공지된 기술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금속층(130)은 Ag 페이스트로 형성할 수 있고, 구리를 증착시킬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금속층(130)은 다양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의 용이성 및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여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130)을 형성하는 방법은 라미네이팅이나 기상 증착, 코팅과 같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b),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층(130)의 상부면에 제1 감광성 소재(140)를 형성하고, 패턴이 형성된 제1 아트워크 필름(142)을 이용하여 UV 조사하면, 제1 감광성 소재(140)에 패턴을 형성하며(노광), 약한 알칼리 용액을 이용하여 제1 감광성 소재(140)에 개방 패턴을 형성한다(현상).
본 발명은 패턴이 형성된 제1 아트워크 필름(142)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패턴이 형성된 패턴 툴(Tool)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며, 패턴 툴 없이 직접적으로 패턴을 구현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노광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감광성 소재(140)를 형성하는 공정은 액상 포토 레지스트를 코팅하거나 드라이필름을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한다. 이외에 액상 타입의 실리콘, 에폭시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코팅 공정을, SiO2, TiO2의 절연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증착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도 3의 (e),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패턴이 형성된 제1 감광성 소재(140)에 산성 약품을 이용하여 투명 도전층(120)과 금속층(130)을 선택 또는 동시에 에칭하고 강알칼리 약품을 이용하여 제1 감광성 소재(140)를 제거하여 정전전극 패턴(122)과 배선전극 패턴(132)을 형성한다(에칭 공정, 박리 공정). 여기서, 도 3의 (e), (f)는 1차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의 공정에 의해 라미네이팅, 노광, 현상, 에칭, 박리 과정을 거친다.
정전전극 패턴(122)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정전전극을 나타내는 바(Bar) 패턴을 나타내며, 사용자의 터치 패턴 영역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정전전극 패턴(122)은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과, 각각의 X축 정전전극(122b)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을 포함한다.
배선전극 패턴(132)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을 제외한 가장 자리 영역의 금속 도선을 나타내는 회로로서, 각각의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감지 및 제어하는 리드선 전극과 리드선 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과 결합되는 FPCB 본딩 영역의 금속 전극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선전극 패턴(132)은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패턴(132a)과,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각 방향으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a)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패턴(132b)을 선택 에칭을 통해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의 (g)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차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에 의해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인 정전전극 패턴(122)에 형성된 금속층(13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투명 도전층(120)을 남긴다.
따라서, 도 5의 (a)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을 투명 도전층(120)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X축 정전전극(122b)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132b)을 금속층(130)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2차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은 전술한 1차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과 동일한 공정인 라미네이팅, 노광, 현상, 에칭, 박리 과정을 거친다.
이하에서의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은 라미네이팅, 노광, 현상, 에칭, 박리 과정을 거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4의 (h)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 도전층(12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과 금속층(130)으로 이루어진 배선전극 패턴(132b)을 형성한 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을 형성한다(라미네이팅, 코팅 또는 증착 공정). 여기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은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물질(164)를 포함한다.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2.5-5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양산성 및 비용 감소를 위해 2.5-1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탑 전극(200)은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구성할 수 있어 두께를 슬림화 할 수 있다.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은 투명 절연 물질로서 투명 드라이 필름, 투명한 재질의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를 포함한다.
투명 전도성 물질(164)은 전도성과 감광성이 있는 투명한 재질의 물질로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라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s, AGNW), Hybrid AGNW(CNT+AGNW), Hybrid 그라핀(AGNW+그라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하며, 전도성 고분자, Cu, Cu alloy, Ag, Ag alloy, Ni+Cr, Ni+Ni alloy, Mo/Ag, Mo/Al/Mo, Ni+Cr/Cu/Ni+Cr, Ni alloy/Cu, Ni alloy/Cu/Ni alloy, Mo/APC, Cu/Ni+Cu+Ti, Ni+Cu+Ti/Cu/Ni+Cu+Ti, 카본,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 등 전도성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음으로, 도 4의 (i), (j)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의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물질(16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Y축 정전전극(122a, 164)과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 164)의 일측 끝단과 연결된 배선전극 패턴(132a, 164)을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패턴이 형성된 제2 아트워크 필름(154)을 이용하여 UV 조사하면,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에 패턴을 형성하고(노광), 약한 알칼리 용액을 이용하여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에 패턴을 형성한다(현상). 여기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에 형성된 패턴은 도 4의 (j)와 도 5의 (c)와 같이, 복수개의 Y축 정전전극(122a, 164)과 배선전극 패턴(132a, 164)이 해당하지 않는 영역이 개방된 패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패턴이 형성된 제2 아트워크 필름(154)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패턴이 형성된 패턴 툴(Tool)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며, 패턴 툴 없이 직접적으로 패턴을 구현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노광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X축 정전전극과 Y축 정전전극을 바(Bar) 패턴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 원형, 다이아몬드, 다각형 및 무작위 패턴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전극(100)은 절연체층(11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을 ITO(120)로 형성하고 각각의 X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을 제외한 가장 자리 영역의 배선전극 패턴(132b, 130)을 금속층(130)으로 형성한다.
탑 전극(200)은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과 투명 전도성 물질(164)를 포함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Y축 정전전극(122a, 164)과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 164)의 일측 끝단과 연결된 배선전극 패턴(132a, 164)을 형성한다.
바텀 전극(100)과 탑 전극(200)의 합지는 탑 전극(200)의 투광 감광성 수지층(162)으로 합지되기 때문에 OCA가 사용되지 않아 OCA 가공 비용이나 재료비 공정이 감소하여 원가 절감과 가공 공정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투광 감광성 수지층(162)은 탑 전극(200)과 바텀 전극(100)의 절연과 접촉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ITO 필름과 메탈 필름을 한 장만 사용하고(바텀 전극(100)), 탑 전극(200)의 경우, 메탈 트레이스가 짧기 때문에 메탈 없이 투명 전도성 물질(164)로 투명전극과 금속전극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의 패턴닝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절연체층(110)의 상면에 인덱스 매칭층(Index-Matching)(112)을 형성하고, 그 위에 투명 도전층(120)을 형성한 후, 투명 도전층(120)의 상면에 금속층(13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에 의해 투명 도전층(12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 120)과, 금속층(130)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X축 정전전극(122b, 12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배선전극 패턴(132b, 1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과, 그 위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투명 전도성 물질(164)을 포함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을 형성한다.
전도성 고분자(164)는 유기계 화합물로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아닐린계, 폴리아세틸렌계, 폴리페닐렌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폴리티오펜계 중에서도 PEDOT/PSS 화합물의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고, 전술한 유기계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유기계 화합물에 카본 나노튜브 등을 더 혼합하는 경우 전도성을 높일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164)는 2중 결합 벤젠고리의 구조에 의해 전도성을 유지한다.
전도성 고분자(164)는 습식 공정에 의해 전도성을 없앨 수 있는데 습식 공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액(ETCHANT)(170)과 반응시켜 2중 결합 벤젠고리의 구조를 끓어 단일 결합으로 만들면 전도성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고분자(164)를 비전도성 고분자(166)로 만들면 고분자층을 그대로 유지하되 전도성을 잃게 되며 특별한 촉매제 없이 다시 2중 결합으로 복원되지 않으므로 전도성이 원상 복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을 형성한 후, 습식 공정에 의해 복수개의 Y축 정전전극(122a, 164)에 해당하는 부분과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 164)의 일측 끝단과 연결된 배선전극 패턴(132a, 164)의 전도성 고분자(164)의 전도성을 유지하고, 패턴이 아닌 영역의 전도성 고분자(164)의 전도성을 잃게 하여 비전도성 고분자(166)로 만든다(전도성 고분자 패턴닝 공정).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FPCB 본딩 영역을 전도성 고분자로 커버하여 산화 발생 구역의 부식을 방지하고 외부의 압력으로 금속 균열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FPCB 본딩시 완충 역할을 수행하며 별도의 실링, 발수 코팅 공정이 생략되어 공정 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를 구현함으로써 시인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이로 인하여 인덱스 매칭층 공정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의 코팅 속도가 ITO 또는 메탈 증착 속도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에 생산성 및 단가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측면에서의 층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도 9의 (a)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층(110)의 상면에 인덱스 매칭층(Index-Matching)(112)을 형성하고, 그 위에 투명 도전층(120)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에 의해 투명 도전층(120)으로 형성한 층에서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 12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의 (b)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 도전층(12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을 형성한 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의 (b)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의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물질(16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Y축 정전전극(122a, 16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의 (c)와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금속층(130)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에 의해 금속층(13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각각의 X축 정전전극(122b, 120)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패턴(132b)과,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 160))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패턴(132a)을 동시에 형성한다.
바텀 전극(100)의 배선전극 패턴(132b)과 탑 전극(200)의 배선전극 패턴(132a)은 금속층(1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실버 페이스트 인쇄 또는 실버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패턴을 구현하는 감광성 실버 페이스트 인쇄 등 한 번의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칩(Chip) 성능이 좋거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탑 전극(200)의 배선전극 패턴(132a)이 바텀 전극(100)의 배선전극 패턴(132b)보다 구간 길이가 짧은 경우, 제1 실시예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가지며, 칩 설계가 난해하거나 메탈 구간이 길어지는 경우, 제3 실시예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절연체층(110)의 상면에 금속층(130)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에 의해 금속층(13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과, 각각의 X축 정전전극(122b)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배선전극 패턴(132b)을 형성한다. 즉,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은 드라이필름 라미네이팅, 노광, 현상, 메탈 에칭, 박리 공정을 수행한다.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시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은 복수개의 제1 선형 전극부들과 각각의 제1 선형 전극부들과 상호 교차하는 복수개의 제2 선형 전극부들을 통해 미세 패턴의 메탈 메쉬 구조를 형성한다.
미세 패턴의 메탈 메쉬 구조는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Wet 공정)을 수행하여 정전전극 패턴(122b)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층(130)을 제거하여 직접 메쉬 구조로 패터닝하거나 금속층(130)을 증착한 후 레이저 에칭 방법을 이용하여 메쉬 구조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그라비아 옵셋 인쇄, 리버스 인쇄, Nano Imprinting 등)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의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물질(16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Y축 정전전극(122a, 164)과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 164)의 일측 끝단과 연결된 배선전극 패턴(132a, 164)을 형성한다.
바텀 전극(100)은 금속층(130)으로 이루어진 미세 패턴의 메탈 메쉬 구조로 형성하고, 탑 전극(200)은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포토리소그래피의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물질(16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 12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122b)을 형성한 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의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160)으로 형성된 층에서 투명 감광성 수지층(162)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물질(16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Y축 정전전극(122a, 16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금속층(130)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에 의해 금속층(13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각각의 X축 정전전극(122b, 120)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패턴(132b)과, 각각의 Y축 정전전극(122a, 160))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패턴(132a)을 동시에 형성한다.
바텀 전극(100)의 배선전극 패턴(132b)과 탑 전극(200)의 배선전극 패턴(132a)은 금속층(1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실버 페이스트 인쇄 또는 실버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패턴을 구현하는 감광성 실버 페이스트 인쇄 등 한 번의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같이, 투명 전도성 물질(164)을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하여 패턴 영역을 전도성 고분자(164)의 전도성을 유지하고, 패턴이 아닌 영역의 전도성 고분자(164)의 전도성을 잃게 하여 비전도성 고분자(166)로 만들 수 있다(전도성 고분자 패턴닝 공정).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절연체층 112: 인덱스 매칭층
120: 투명 도전층 122: 정전전극 패턴
122a: Y축 정전전극 122b: X축 정전전극
130: 금속층 132: 배선전극 패턴
132a: 제1 배선전극 패턴 132b: 제2 배선전극 패턴
140: 제1 감광성 소재 142: 제1 아트워크 필름
154: 제2 아트워크 필름 160: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
162: 투명 감광성 수지층 166: 비전도성 고분자
164: 투명 전도성 물질, 전도성 고분자 170: 부식액

Claims (13)

  1.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금속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3.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과,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하나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미세 패턴의 메탈 메쉬 구조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4.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한 재질의 제1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한 재질의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상기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금속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 상기 제1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 상기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되고 전도성과 감광성이 있는 투명한 재질의 물질로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라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s, AGNW), Hybrid AGNW(CNT+AGNW), Hybrid 그라핀(AGNW+그라핀), 전도성 고분자, Cu, Cu alloy, Ag, Ag alloy, Ni+Cr, Ni+Ni alloy, Mo/Ag, Mo/Al/Mo, Ni+Cr/Cu/Ni+Cr, Ni alloy/Cu, Ni alloy/Cu/Ni alloy, Mo/APC, Cu/Ni+Cu+Ti, Ni+Cu+Ti/Cu/Ni+Cu+Ti, 카본,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ide) 중 하나의 물질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부식액과 반응시켜 2중 결합 벤젠고리의 구조를 끓어 단일 결합으로 만들어 전도성을 없애는 습식 공정에 의해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된 층에서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의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을 유지하고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에 해당하지 않는 부분의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을 잃게 하여 비전도성 고분자로 만드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은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보다 구간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8. 터치 패널에 있어서,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체층과, 상기 절연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도전층과, 상기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바텀(Bottom) 전극; 및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상기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하는 탑(Top)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텀 전극의 상부면에 상기 탑 전극을 상기 투명 감광성 수지층에 의해 합지되는 터치 패널.
  9. 터치 패널에 있어서,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체층과, 상기 절연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도전층과, 상기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바텀(Bottom) 전극;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과, 상기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탑(Top)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도전층의 상부면에 상기 탑 전극을 상기 투명 감광성 수지층에 의해 합지하는 터치 패널.
  10. 터치 패널에 있어서,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체층과, 상기 절연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과,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하나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미세 패턴의 메탈 메쉬 구조로 형성하는 바텀(Bottom) 전극; 및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상기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배선전극을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으로 형성하는 탑(Top)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텀 전극의 상부면에 상기 탑 전극을 상기 투명 감광성 수지층에 의해 합지되는 터치 패널.
  11.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한 재질의 제1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과,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바텀(Bottom) 전극;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한 재질의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탑(Top)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과 상기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감광성 수지층과, 그 위에 적층된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텀 전극의 상부면에 상기 탑 전극을 상기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의 투명 감광성 수지층에 의해 합지되는 터치 패널.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 상기 제1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 상기 제2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은 전도성과 감광성이 있는 투명한 재질의 물질로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라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s, AGNW), Hybrid AGNW(CNT+AGNW), Hybrid 그라핀(AGNW+그라핀), 전도성 고분자, Cu, Cu alloy, Ag, Ag alloy, Ni+Cr, Ni+Ni alloy, Mo/Ag, Mo/Al/Mo, Ni+Cr/Cu/Ni+Cr, Ni alloy/Cu, Ni alloy/Cu/Ni alloy, Mo/APC, Cu/Ni+Cu+Ti, Ni+Cu+Ti/Cu/Ni+Cu+Ti, 카본,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ide) 중 하나의 물질인 터치 패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이 전도성 고분자인 경우, 상기 제2축 정전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을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을 유지하고 나머지 영역의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을 잃게 하여 비전도성 고분자로 만드는 터치 패널.
KR20140005068A 2013-09-06 2014-01-15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1496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329 WO2015034291A1 (ko) 2013-09-06 2014-09-04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460 2013-09-06
KR20130107460 2013-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246B1 true KR101496246B1 (ko) 2015-02-26

Family

ID=5259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5068A KR101496246B1 (ko) 2013-09-06 2014-01-15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6246B1 (ko)
WO (1) WO2015034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2086A (zh) * 2017-03-28 2017-09-01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显示设备及触控面板的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53A (ko) * 2009-07-20 2011-01-27 (주) 월드비젼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6055A (ko) * 2010-10-29 2012-05-09 (주)티메이 터치패널용 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패널용 패드
KR20130015304A (ko) * 2011-08-03 2013-02-14 (주)티메이 터치 패널용 패드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327B1 (ko) * 2008-10-10 2010-11-29 강점돌 윈도우 시트 일체형 터치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53A (ko) * 2009-07-20 2011-01-27 (주) 월드비젼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6055A (ko) * 2010-10-29 2012-05-09 (주)티메이 터치패널용 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패널용 패드
KR20130015304A (ko) * 2011-08-03 2013-02-14 (주)티메이 터치 패널용 패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4291A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340B1 (ko) 터치 윈도우
US9092102B2 (en) Touch switch
JP5730991B2 (ja) 金属薄膜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17591B1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KR101956086B1 (ko)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09075A (zh) 数字化仪及其制备方法
CN104423711B (zh) 触摸面板和制造用于触摸面板的导电层的方法
US20150193066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509095A (zh) 数字化仪及其制备方法
JP2013214173A (ja) 静電容量方式のフィルムセンサーとこれを用いたセンサーモジュール及びカバーモジュール
CN102279677B (zh) 触控面板的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469146B1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1496250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079169A (ja) 検出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96246B1 (ko)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1496256B1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07682A (ko) 터치 패널
KR20140078881A (ko) 결정질 ito와 비정질 ito를 사용하는 터치패널
US10503333B2 (en) Touch panel
TWI612448B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KR101428009B1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1496254B1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1469149B1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20150120169A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1510810B1 (ko)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를 구현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