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306B1 - Ommited - Google Patents

Ommit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306B1
KR101494306B1 KR20130098145A KR20130098145A KR101494306B1 KR 101494306 B1 KR101494306 B1 KR 101494306B1 KR 20130098145 A KR20130098145 A KR 20130098145A KR 20130098145 A KR20130098145 A KR 20130098145A KR 101494306 B1 KR101494306 B1 KR 101494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earphone
exter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서
Original Assignee
김영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서 filed Critical 김영서
Priority to KR2013009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3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3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listening to external sound information, which can rapidly cope with an external environment even in a state of wearing an earphone by using the earphone in a sound output mode, an external sound output mode, and a simultaneous output mode through a mode selection switch. The earphon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listening to external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arphon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providing sound information; an external sound detect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arphone and including a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ou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 microphone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sound, a sound output unit for receiving the soun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n external soun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external sound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unit to transmit the converted external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an adjustment member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the external sound detection unit and including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t least one among a sound output mode for receiving only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n external sound output mode for receiving only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microphone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nd a simultaneous output mod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Description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OMMITED}An earphone system (OMMITED) capable of selectively listening to external sound information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드 선택스위치를 통하여 이어폰을 음향 출력모드, 외부 소리 출력모드, 동시 출력모드로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이어폰의 착용 상태에서도 외부 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receiving external sound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system capable of using an earphone as an acoustic output mode, an external sound output mode, and a simultaneous output mode through a mode selection swit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receiving external sound information so as to quickly respond to an external environment.

디지털 기술혁신에 따른 현대적 문화생활의 발달로, 최근에는 PMP , MP3플레이어·DMB 수신기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거나 동영상을 시청하는 이들을 언제 어디서건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cultural life due to digital technology innovation, it is possible to see those who listen to music or watch videos using portable terminals such as PMP, MP3 player, DMB receiver or mobile phone.

이러한 휴대 단말기들은, 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와 더불어 공공장소에서의 에티켓문화 정착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음향을 출력하는 외부스피커가 생략된 기종들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In order to meet the policy of etiquette culture settlement in public places along with the trend of downsizing and lightening of the devices, these portable terminals are mainstream of models in which external speakers for outputting sound are omitted.

예컨대, 지하철·영화관·도서관 등과 같이 국민 모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타인에게 해를 줄 수 있는 소음발생의 원인 차단을 위해, 휴대폰의 벨소리를 진동으로 전환토록 권고함과 아울러 음향출력이 가능한 각종 단말기에는 소유자 자신만의 단독청취를 위한 이어폰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For example, in public places such as subways, cinemas, libraries, etc., it is recommended to convert ringtones of mobile phones into vibrations in order to block the cause of noise that could harm others. In addition, The terminal is obliged to wear earphones for listening alone by the owner himself.

그러나, 상술한 이어폰을 귓속에 착용할 시, 소음에 따른 타인의 피해발생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음향을 집중해서 듣는데 더할 나위 없이 용이한 반면, 귓구멍을 차단함에 따라 주변인의 말소리나 생활소음을 알아듣지 못할 수밖에 없다. However, when the above-described earphone is worn in the e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other person due to the noise, but it is easy to concentrate the sound, and it is easy to hear the sound. I can not help but hear.

이 때문에, 동행인이나 차량 동승자와의 대화내용을 듣지 못하는 의사소통 불가의 문제점과 더불어 상대 차량의 경적소리와 같은 교통상황에 따른 발생 소음의 미 인식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빈번할 수밖에 없다. 또한, 타인과의 대화내용 및 상황별 주변음 경청을 위해 휴대 단말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을 잠시 꺼놓거나 이어폰을 귀에서 빼고 꼽는 등의 행동을 의식적으로 반복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 For this reason, communication problems that can not be heard with the companion or the vehicle passenger can not be solved, and traffic accidents due to unrecognized noise due to traffic conditions such as the horn sound of the other vehicle frequently occur frequently. In addition, in order to listen to a conversation with another person and listen to ambient sounds according to situations, it has been troublesome to consciously repeat actions such as turning off the music play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for a while or pulling the earphone out of the ea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드 선택스위치를 통하여 이어폰을 음향 출력모드, 외부 소리 출력모드, 동시 출력모드로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이어폰의 착용 상태에서도 외부 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rphone can be used as an acoustic output mode, an external sound output mode, and a simultaneous output mode through a mode selection switch, thereby selectively responding to an external environment even when the earphone is worn. And to provide an earphone system capable of listening to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은, 음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기기에 연결된 이어폰;과, 상기 외부기기와 이어폰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와,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상기 음향 입력부와 마이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소리 출력부와, 상기 마이크부에서 전달된 외부 소리를 변환하여 상기 소리 출력부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변환부와, 상기 음향 입력부와 마이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소리 출력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부 소리 감지유닛;과, 상기 외부 소리 감지유닛과 물리적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음향 입력부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 출력모드와, 상기 마이크부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출력모드와, 상기 음향 입력부와 마이크부의 소리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시 출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arphon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receiving external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arphon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providing sound information, an earphone connected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arphone, A sound output unit fo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and transmit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an external sound detection unit So that only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is received, An external sound output mode for receiving only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microphone unit and transmit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nd a simultaneous output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and deliver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nd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상기 외부 소리 변환부는, 상기 마이크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력되는 전기 신호 중에서 필요한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터링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ternal sound converting unit may include a filter for filtering only necessary signals among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microphone to be energized and connected to the microphone, and an amplifier connected to the filter to amplify the filtered electrical signal. .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로터리 타입의 볼륨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type volume switch provided adjacent to the mode selection switch.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은, 모드 선택스위치를 통하여 이어폰을 음향 출력모드, 외부 소리 출력모드, 동시 출력모드로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각종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등의 청취가 용이함은 물론 귓속으로부터 이어폰을 빼내지 않고도 주변인들과의 의사소통이나 자동차 경적음 등과 같은 상황별 생활소음에 신속히 대처 가능함에 따라, 이어폰 착용시의 교통사고 발생 위험으로부터 안전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earphon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receiving external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use the earphone as an acoustic output mode, an external sound output mode, and a simultaneous output mode through a mode selection switch, It is easy to listen to the music to be output,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the daily living noise such as communication with surrounding people and automobile honorific sound without removing the earphone from the ear. Therefore, There is a possi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소리 감지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절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arphon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receiving external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sound sensing unit shown in FIG. 1. FIG.
Figure 3 is a view of the adjustment member shown in Figure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소리 감지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절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arphon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receiving external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sound sensing unit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10)은, 음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기기(20)에 연결된 이어폰(100);과, 상기 외부기기(20)와 이어폰(10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기기(20)로부터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210)와,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부(220)와, 상기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소리 출력부(230)와, 상기 마이크부(220)에서 전달된 외부 소리를 변환하여 상기 소리 출력부(230)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변환부(240)와, 상기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소리 출력부(2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부(260)를 포함하는 외부 소리 감지유닛(200);과, 상기 외부 소리 감지유닛(200)과 물리적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음향 입력부(210)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 출력모드와, 상기 마이크부(220)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출력모드와, 상기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의 소리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시 출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스위치(320)를 구비한 조절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to 3, an earphone system 10 capable of selectively receiving external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arphone 100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20 for providing sound information, A sound input unit 210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 and the earphone 100 fo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20, a microphone 220 for receiving external sound, A sound output unit 230 fo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and transmit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n external sound converting unit 240 for transmitting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230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to the sound output unit 230 An external sound detection unit (200) A sound output mode for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the external sound sensing unit 200 and receiving only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ransmit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ound output mode for delivering to the earphone 100 and a simultaneous output mod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and deliver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100 (300) having a mode selection switch (320) for selecting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이어폰(100)은, 외부기기(20)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110)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음성출력을 수행하는 이어폰 부재(120)와, 커넥터(110)와 이어폰 부재(120)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케이블(130)을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이어폰(100)은, 일반적인 이어폰뿐만 아니라, 이어폰 기능을 갖는 헤드셋, 이어셋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arphone 100 includes a connector 110 for coupling with the external device 20, an earphone member 120 that is worn on the ear of the user and performs audio output, And a cable 130 for coupling. However, such an earphone 100 may include not only a general earphone but also a headset, an earset, etc. having an earphone function.

외부기기(20)는 음향 정보를 이어폰(10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오디오 기기뿐만 아니라 오디오 기능을 내장한 휴대폰, PC, MP3, PDA, PMP, PSP, DMB, 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20 is for providing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100 and may include not only a general audio device but also a mobile phone, a PC, an MP3, a PDA, a PMP, a PSP, a DMB,

이어폰(100)과 외부기기(20)의 사이에는 외부 소리 감지유닛(2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외부 소리 감지유닛(200)은, 외부기기(20)로부터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210)와,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부(220)와,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소리 출력부(230)와, 마이크부(220)에서 전달된 외부 소리를 변환하여 소리 출력부(230)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변환부(240)와,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소리 출력부(2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릴레이 스위치(250)와, 후술하는 모드 선택스위치(320)의 신호에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250)를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 external sound sensing unit 200 is provided between the earphon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 [ The external sound detection unit 200 includes an acoustic input unit 210 for receiving acoustic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20, a microphone unit 220 for receiving external sound, a sound input unit 210 and a microphone unit 220 A sound output unit 230 for receiving at least any one of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100 and a sound output unit 230 for converting the external sound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unit 220 and transmitting the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230 A relay switch 250 for selective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to the sound output unit 230 and a mode selection switch And a controller 260 for controlling the relay switch 250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320.

음향 입력부(210)는 외부기기(20)로부터 음향 정보를 입력받으며, 마이크부(220)는 외부 소리 정보를 입력받는다. The sound input unit 210 receives sou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2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receives external sound information.

그리고, 소리 출력부(230)는, 음향 입력부(210) 또는 마이크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음향 정보 또는 외부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한다. The sound output unit 230 receives the sound information or external sound information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or the external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100.

외부 소리 변환부(240)는, 마이크부(22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력되는 전기 신호 중에서 필요한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필터(241)와, 필터(241)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터링된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external sound converting unit 240 includes a filter 241 for filtering only required signals among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microphone 220 to be energized and connected to the microphone 242, And an amplifier 242 for amplifying the amplified signal.

필터(241)는, 마이크부(220)에서 감지된 상기 외부 소리 중에서 가청주파수에 해당하는 소리를 필터링한다. The filter 241 filters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audio frequency among the external sounds detected by the microphone unit 220.

앰프(242)는, 필터(241)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터링된 전기 신호를 증폭시킨다. Amplifier 242 is energized to filter 241 to amplify the filtered electrical signal.

릴레이 스위치(250)는 제어부(260)의 제어 명령에 의해 음향 입력부(210)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 출력모드"와, 마이크부(220)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출력모드"와,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의 소리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시 출력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리 출력부(230)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The relay switch 250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100 through a sound output mode for receiving only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60 and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microphone unit 220 Simultaneous output mod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external sound output mode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o the earphone 100 and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and delivering it to the earphone 100 And selectively connects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to the sound output unit 230 in order to perform the operation.

외부 소리 감지유닛(200)은, 외부 소리 감지유닛(200)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부(27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부(27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형의 일회용 배터리, 충전가능한 배터리가 사용된다. 또한,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이어폰이 사용되는 경우, 외부 소리 감지유닛(200)은 상기의 블루투스형 이어폰(100) 내부의 충전 배터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xternal sound sensing unit 200 further includes a battery unit 270 for providing power to the external sound sensing unit 200. [ As the battery unit 270, a commonly used small-sized disposable battery, a rechargeable battery is used. Also, when the earphone with the built-in Bluetooth function is used, the external sound detection unit 200 can share the rechargeable battery inside the Bluetooth-type earphone 100 and use it.

또한, 배터리부(270)는, 음향 정보가 이어폰(100)으로 전달되는 동안, 음향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정보의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attery unit 270 may perform charging using the electric signal of the soun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210 while the sou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arphone 100.

제어부(260)는, 조절 부재(300) 모드 선택스위치(320)의 신호에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25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relay switch 250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of the adjustment member 300.

외부 소리 감지유닛(200)과 물리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조절 부재(300)를 구비한다. And an adjusting member 300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the external sound sensing unit 200.

조절 부재(300)는 사용자가 다단으로 회전 조작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스위치(310)와, 누름 횟수에 따라서 모드 상태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trol member 300 includes a volume switch 310 tha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volume by rotating the multi-step operation, and a mode selection switch 320 that can sequentially select the mo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볼륨 스위치(310)는, 사용자가 다단으로 회전 조작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로타리 타입의 볼륨 스위치(3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olume switch 310 may include a rotary type volume switch 310 that allows the user to rotate and operate the multi-stepped volume.

모드 선택스위치(320)는, 음향 입력부(210)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 출력모드'와, 마이크부(220)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출력모드'와,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의 소리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시 출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320)이다.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receives only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100 and the sound output mode of the earphone 100 And a 'simultaneous output mod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and transmit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 switch 320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simultaneous output mode' to be.

모드 선택스위치(320)는, 조절 부재(300)의 전면에 설치되며, 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드 선택스위치(320)는, 누름 횟수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250)의 모드상태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djustment member 300 and is formed of a button switch.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enables the mode of the relay switch 250 to be sequenti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예를 들어, 한번 누르면 "음향 출력모드"가 선택되도록 구성되고, 두 번 누르면 "외부 소리 출력모드"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세 번 누르면 "동시 출력모드"가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릴레이 스위치(250)의 모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드 선택스위치(320)는, 로터리식 릴레이 스위치(250)의 전면 내부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mode"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by pressing once, the "external sound output mode" is selected by pressing twice, and the "simultaneous output mode" is selected by the third press. Thus, the user can select the mode state of the relay switch 250.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may be installed in a front surface area of the rotary relay switch 250.

모드 선택스위치(320)의 신호에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250)를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구비한다. And a control unit 260 for controlling the relay switch 250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제어부(2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춘 것으로, 모드 선택스위치(320)에 의해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면,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스위치(250)를 해당 모드로 전환시킨다. The control unit 260 is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selects one of the modes, the control unit 260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switch the relay switch 250 to the corresponding mode.

예를 들면, 모드 선택스위치(320)를 눌러서 "음향 출력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스위치(250)를 "음향 출력모드"로 제어한다. 즉, "음향 출력모드"에서 릴레이 스위치(250)는 음향 입력부(210)와 소리 출력부(230)를 연결하여 음향 입력부(210)에서 입력되는 음향 정보가 소리 출력부(230)를 통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is pressed to select the "sound output mode ",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 to control the relay switch 250 to be the" sound output mode ". That is, in the "acoustic output mode ", the relay switch 250 connects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sound output unit 230 so that the sound information input from the sound input unit 210 is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30 to the earphone 100).

그리고, 모드 선택스위치(320)를 통해 "외부 소리 출력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스위치(250)를 "외부 소리 출력모드"로 제어한다. 즉, "외부 소리 출력모드"에서 릴레이 스위치(250)는 마이크부와 소리 출력부를 연결하여 마이크부(220)에서 입력되는 외부 소리 정보가 소리 출력부(230)를 통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When the "external sound output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output to control the relay switch 250 to the "external sound output mode". That is, in the "external sound output mode", the relay switch 250 connects the microphone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so that external sound information input from the microphone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earphone 100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30 do.

그리고 모드 선택스위치(320)를 통해 "동시 출력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스위치(250)를 "동시 출력모드"로 제어한다. 즉, "동시 출력모드"에서 릴레이 스위치(250)는 음향 입력부(210) 및 마이크부(220)를 동시에 소리 출력부(230)를 연결하여 음향 입력부(210)와 마이크부(220)에서 입력되는 음향 정보 및 외부 소리 정보가 소리 출력부(230)를 통하여 이어폰(10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When the "simultaneous output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switch 320,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ted to control the relay switch 250 to be the "simultaneous output mode ". That is, in the "simultaneous output mode", the relay switch 250 connects the sound output unit 230 to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at the same time and inputs them to the sound input unit 210 and the microphone unit 220 So that the sound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sound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earphone 100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의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은 모드 선택스위치를 통하여 이어폰을 음향 출력모드, 외부 소리 출력모드, 동시 출력모드로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이어폰의 착용 상태에서도 외부 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arphone capable of selectively listening to the external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use the earphone as the sound output mode, the external sound output mode, and the simultaneous output mode through the mode selection switch, It is understood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be able to cop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promptly even in the wearing state. Therefore,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 100...이어폰
110...커넥터 120...이어폰 부재
130...케이블 200...외부 소리 감지유닛
210...음향 입력부 220...마이크부
230...소리 출력부 240...외부 소리 변환부
250...릴레이 스위치 260...제어부
270...배터리부 300...조절 부재
310...볼륨 스위치 320...모드 선택 스위치
10 ... earphone system 100 that can selectively listen to external sound information ... earphone
110 ... connector 120 ... earphone member
130 ... Cable 200 ... External sound detection unit
210 ... sound input unit 220 ... microphone unit
230 sound output unit 240 external sound conversion unit
250 ... relay switch 260 ... control unit
270 ... battery part 300 ... regulating member
310 ... volume switch 320 ... mode select switch

Claims (3)

음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기기에 연결된 이어폰;과,
상기 외부기기와 이어폰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와,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상기 음향 입력부와 마이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소리 출력부와, 상기 마이크부에서 전달된 외부 소리를 변환하여 상기 소리 출력부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변환부와, 상기 음향 입력부와 마이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소리 출력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부 소리 감지유닛;과,
상기 외부 소리 감지유닛과 물리적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음향 입력부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 출력모드와, 상기 마이크부의 소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소리 출력모드와, 상기 음향 입력부와 마이크부의 소리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시 출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소리 변환부는,
상기 마이크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력되는 전기 신호 중에서 필요한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터링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로터리 타입의 볼륨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
An earphon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providing acoustic information;
A microphone unit fo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arphone, an audio input unit fo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 microphone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sound, and a microphone unit fo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An external sound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the external sound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unit and transmitting the external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a sound output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to the sound output unit. An external sound detection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sound source,
An external sound output mode for receiving only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microphone unit and transmit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And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simultaneous output modes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and transmit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earphone,
Including,
Wherein the external sound conversion unit comprises:
A filter for filtering only necessary signals from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microphone,
And an amplifi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lter to amplify the filtered electric signal,
Wherein the adjustment member comprises:
The earphon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otary type volume switch provided adjacent to the mode selection switch.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098145A 2013-08-19 2013-08-19 Ommited KR1014943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145A KR101494306B1 (en) 2013-08-19 2013-08-19 Ommi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145A KR101494306B1 (en) 2013-08-19 2013-08-19 Ommit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306B1 true KR101494306B1 (en) 2015-02-26

Family

ID=5259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145A KR101494306B1 (en) 2013-08-19 2013-08-19 Ommit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30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7201A (en) * 2017-04-27 2017-07-07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The device and method of dynamic control earphone
KR101760753B1 (en) * 2016-07-04 2017-07-24 주식회사 이엠텍 Hearing assistant device for informing state of wearer
KR101821671B1 (en) 2016-07-12 2018-01-24 주식회사 이엠텍 Bluetooth sound device with music listening function and surroundings hearing function
KR102082393B1 (en) * 2019-04-30 2020-02-27 유한회사 청텍 Multifunctional wireless earphone
KR102238890B1 (en) * 2020-01-29 2021-04-12 염종훈 Gender proving external sound and system providing external sound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446A (en) * 1999-11-12 2001-06-1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a sound
KR200357328Y1 (en) * 2004-04-30 2004-07-23 (주)건융아이비씨 Combination hearing aid system
KR20110014878A (en) * 2009-08-06 2011-02-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earphone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446A (en) * 1999-11-12 2001-06-1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a sound
KR200357328Y1 (en) * 2004-04-30 2004-07-23 (주)건융아이비씨 Combination hearing aid system
KR20110014878A (en) * 2009-08-06 2011-02-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earphone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753B1 (en) * 2016-07-04 2017-07-24 주식회사 이엠텍 Hearing assistant device for informing state of wearer
KR101821671B1 (en) 2016-07-12 2018-01-24 주식회사 이엠텍 Bluetooth sound device with music listening function and surroundings hearing function
CN106937201A (en) * 2017-04-27 2017-07-07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The device and method of dynamic control earphone
KR102082393B1 (en) * 2019-04-30 2020-02-27 유한회사 청텍 Multifunctional wireless earphone
KR102238890B1 (en) * 2020-01-29 2021-04-12 염종훈 Gender proving external sound and system providing external sound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2530B2 (en) Headset that outputs ambient sound
US7548617B2 (en) Bluetooth earphone
US20050288057A1 (en) Portable phone capable of being switched into hearing aid function
KR101494306B1 (en) Ommited
US7574239B2 (en) Handsfree car mounting kit
JP2010527541A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function
KR101382553B1 (en) Receiver for recognizing external environment
WO2016004996A1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pplica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earing aid
KR20160100648A (en) Active Noise Cancellation in Audio Output Device
CN109644302A (en) Wireless earphone system
KR101093847B1 (en) Safety earphone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0809549B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CN203968327U (en) A kind of exempt from extract carry out low coverage dialogue earphone
US5850439A (en) Hands-free phone converter
KR101600429B1 (en)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KR20110080306A (en)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KR101861357B1 (en)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US9161121B2 (en) Device, headphones and audio player with environmental sound mixing function
KR20170033750A (en) bone conduction helmet for wireless calls with a sensor
KR101808253B1 (en) Wireless headphone and sound ampl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080013608A (en) Bluetooth headset with loud speaker
KR102530150B1 (en) A mobile hearing aid comprising foldable ear set and circuits to prevent howling
JP6049359B2 (en) Amplifier with speaker and audio device
KR102327235B1 (en) Mobile plug-in hearing aid
WO2023233816A1 (en) Hearing device, hear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