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603B1 -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603B1
KR101492603B1 KR20120081395A KR20120081395A KR101492603B1 KR 101492603 B1 KR101492603 B1 KR 101492603B1 KR 20120081395 A KR20120081395 A KR 20120081395A KR 20120081395 A KR20120081395 A KR 20120081395A KR 101492603 B1 KR101492603 B1 KR 10149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ibute
trigger
electronic document
attribute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707A (ko
Inventor
김태우
김남수
Original Assignee
모글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글루(주) filed Critical 모글루(주)
Priority to KR2012008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603B1/ko
Priority to US13/950,796 priority patent/US20140033048A1/en
Publication of KR2014001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전자문서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나아가 이와 같은 전자문서의 제작 과정에서 미리보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System for creating interactive electronic docum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전자문서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나아가 이와 같은 전자문서의 제작 과정에서 미리보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책(electronic book, e-book)은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를 지칭한다. 즉, 도서로 간행되었거나 간행될 수 있는 저작물의 내용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해 전자 기록매체 또는 저장장치에 수록된 뒤,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나 휴대단말기로 그 내용을 읽고 보고들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서를 총칭한다.
일본 NEC(Nippon Electric Company)가 전자책을 최초로 상용화한 이후, 전자책 산업은 빠르게 발전해, 향상된 스크린 해상도, 다양한 편집기능 등을 갖추어 클릭만으로도 페이지를 넘길 수 있고, 메모는 물론 텍스트의 확대 및 축소, 인터넷 서점이나 도서관의 문서 검색 및 내용 다운로드 등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종이책에 비해 가격이 훨씬 저렴하고, 온라인 구매를 통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만 별도로 구입할 수도 있다. 독서를 하면서 동영상 자료를 보거나 배경음악을 들을 수도 있고, PDA나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저장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원하는 책을 찾아볼 수도 있다. 출판사의 입장에서는 인쇄나 제본 등의 제작비와 유통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재고 부담이 적으며 책 내용을 업데이트 하기도 쉽다는 장점이 있다. 독자의 입장에서는 종이책에 비하여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서점에 가지 않고 온라인을 통하여 구매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 독서를 하면서 동영상 자료를 보거나 배경음악을 들을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원하는 책을 찾아볼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5217호(공개일 2012년 6월 20일) "전자문서 제작 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과, 전자문서 리딩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등에는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는 전자책 제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전자문서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을 제어하여 전자문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캔버스 상에 객체가 추가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하나 이상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이 부여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부여된 상기 동작 속성에 소정의 트리거 속성이 부여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상기 동작 속성, 상태 속성 및 트리거 속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태 속성은 상기 각 객체에 부여된 동작 속성의 실행 순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동작 속성 별로 별도의 트리거 속성이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캔버스 상에 상기 소정의 객체가 추가되면, 추가된 상기 객체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소정의 동작 속성 및 상태속성이 부여되는 단계는, 상기 캔버스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작 속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수신되는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신호 또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 신호에 의해 상기 동작 슬롯으로 이동되어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에 상기 소정의 동작 속성이 부여되면, 부여된 상기 동작 속성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객체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들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은 동작의 실행 순서, 즉 상태 속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line)에 배치된 동작 속성은 동일한 상태에서 실행되는 동작 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line)에 배치된 동작 속성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트리거 속성을 가질 경우, 상기 동일한 트리거 속성을 가진 동작 속성들은, 상기 트리거가 실행되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동작 속성 별로, 이후에 실행될 상태 속성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캔버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 개의 객체 중 어느 일 측은 타겟 객체, 타 측은 트리거 객체로 지정되고, 상기 트리거 객체의 동작이 수행되면, 이에 따라 상기 타겟 객체의 동작이 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캔버스 상에 객체를 생성, 변경 및 삭제하는 객체 제어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하나 이상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을 부여, 변경 및 삭제하는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제어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부여된 상기 동작 속성에 소정의 트리거 속성 을 부여, 변경 및 삭제하는 트리거 속성 제어부; 및 상기 객체 제어부, 상기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제어부 및 상기 트리거 속성 제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객체, 상기 동작 속성, 상태 속성 및 트리거 속성 중 하나 이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전자문서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전자문서 제작 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3의 전자문서 제작 단계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문서 제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 하나 이상의 전자문서 리더(reader)(200), 상기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 및 상기 전자문서 리더(reader)(200)와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 및 상기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와 상기 전자문서 리더(reader)(200)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들 및 전자문서 리더(200)들은 전자문서를 제작하고 리딩(reading)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 및 전자문서 리더(200)는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mobile tele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전화(telephone),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퍼스널 디지털 보조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와 같은 클라이언트 컴퓨팅 환경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이고 전자문서 리더(2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문서를 제작하고 리딩(reading)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가 상정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통신망(400)은 복수 개의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들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 및/또는 복수 개의 전자문서 리더(200)들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들 및 전자문서 리더(200)들이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즉, 도 1의 통신망(400)은 고정 또는 무선 LAN, WAN,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개인 간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 가상 개인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 인터넷 또는 기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 및 전자문서 리더(200)와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되며,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에 전자문서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전자문서 리더(200)에 전자문서 리딩(reading)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로부터 전자문서 제작 과정에서의 사용자 입력 로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전자문서 리더(200)로부터 전자문서 리딩(reading) 과정에서의 사용자 입력 로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은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캔버스 상에 소정의 객체를 추가하고, 상기 객체에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을 부여하며, 상기 동작 속성에 트리거 속성을 부여하는 일련의 제작 과정이 간편하고 직관적인 조작에 의해 가능해짐으로써, 전자문서의 제작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제어부(130), 전자문서 제작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문서 제작부(140)는 페이지 제어부(141), 객체 제어부(143),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제어부(145), 트리거 제어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도 1의 400 참조)을 통해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연결하며, 전자문서 제작 장치(1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의 터치 스크린 등일 수도 있다.
페이지 제어부(141)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제작중인 전자문서에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책 등의 전자문서는 다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지 제어부(141)는 전자문서에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제어부(130)가 페이지 별로 전자문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페이지 제어부(141)에 의해 생성된 페이지는 데이터베이스(150)의 페이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생성된 페이지의 일련번호 및 전후 페이지, 페이지에 포함되는 객체 정보, 페이지에 포함되는 객체에 할당된 동작 및 상태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객체 제어부(143)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제작중인 전자문서에 새로운 객체를 생성, 변경 및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객체는 전자책에 등장하는 다수의 등장인물 등일 수도 있고, 또는 객체는 전자책에 등장하는 다수의 배경(예를 들어, 나무, 바위, 동식물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객체 제어부(143)가 추가하는 객체는 데이터베이스(150)의 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불러들인(import) 객체일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불러들인(import) 객체는 포토샵 문서(photoshop document: PSD)와 같은 패키지 내에 포함된 객체일 수 있다.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제어부(145)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제작중인 전자문서의 객체에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을 부여, 변경 및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동작(action) 속성이란 각 객체가 수행하는 소정의 동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동작 속성은 기본적으로 소정의 상태 속성 및 소정의 트리거 속성을 만족시킬 때 수행되나, 예외적으로 상태 속성과는 무관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동작 속성의 예시로는, 점프(jump), 이동(move), 뒤뚱뒤뚱 걷기(waddle), 흔들리기(swing), 떠다니기(float), 회전(flip), 기울어지기(shear), 빛나기(blink), 사라지기(fade), 확대/축소(scale), 페이지 이동 등의 동작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속성을 객체에 부여하면, 전자문서 내에서 객체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태(status) 속성이란 각 객체에 부여된 복수 개의 동작 속성의 실행 순서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태 속성은 숫자 또는 문자열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태 속성이 1인 동작 속성이 첫 번째로 실행되고, 상태 속성이 2인 동작 속성이 두 번째로 실행되고, 상태 속성이 3인 동작 속성이 세 번째로 실행되는 등과 같이 각 동작 속성에 대해 상태 속성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 속성은, 각각의 객체에 동작 속성이 부여되는 위치(후술할 동작 슬롯)에 따라 자동으로 부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객체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동작 속성이 부여 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동작 속성은 특정한 상태 속성 (하나 혹은 다수를 조합 할 수 있음)과 특정한 트리거 속성을 만족하였을 때 수행된다.  또는 예외적인 경우를 설정하여 상태 속성 값과 무관하게 특정 트리거 속성만을 만족하였을 때 동작 속성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 속성은 객체에만 부여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와 책에도 부여될 수 있다. 즉, 특정 객체에 부여된 동작 속성이 작동하기 위해서 임의의 객체, 페이지, 또는 책 전체가 가지는 상태 속성을 참조하여 트리거 속성을 만족시켰을 때 특정한 동작 속성을 동작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제어부(145)가 추가하는 객체는 데이터베이스(150)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불러들인(import)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일 수도 있다.
트리거 속성 제어부(147)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제작중인 전자문서의 각 동작 속성에 트리거 속성을 부여, 변경 및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트리거(trigger) 속성이란 각각의 동작 속성이 작동하기 위한 동작 실행 조건을 의미한다. 여기서, 트리거 속성의 예시로는, 화면 터치, 드래그 앤 무브(Drag and move), 흔들기(shake), 판독기에 긁기(swipe), 페이지 로딩 시, 상태 속성 변경 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리거 속성을 동작 속성에 부여하면, 트리거 속성을 만족하는 동작 실행 조건이 수행되었을 때, 해당 동작 속성이 실행되는 것이다. 즉, 어떤 동작 속성의 트리거 속성으로써 '화면 터치'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화면이 터치되면 해당 동작 속성이 실행되며, 다른 어떤 동작 속성의 트리거 속성으로써 '페이지 로딩 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해당 페이지가 로딩되면 해당 동작 속성이 실행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문서 제작부(140)는 로그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로그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전자문서 제작 로그를 로그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자문서 제작 로그란 전자문서의 제작 과정 중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입력 신호들의 기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페이지 개수, 각 페이지별 제작 시간, 각각의 객체 및 각각의 동작 및 상태정보가 선택된 횟수, 각각의 객체 및 각각의 동작 및 상태정보의 추가 방식(예를 들어, 더블클릭 또는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또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 등이 전자문서 제작 로그로써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로그 저장부에 의해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문서 제작 로그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서는 상기 수신한 로그를 분석하여 소정의 통계를 분석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객체 데이터베이스,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데이터베이스 및 로그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데이터베이스는 생성된 페이지의 일련번호 및 전후 페이지, 페이지에 포함되는 객체 정보, 페이지에 포함되는 객체에 할당된 동작 및 상태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객체 데이터베이스는 전자책에 등장하는 등장인물 또는 배경 등과 같은 객체(object)를 저장할 수 있다.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객체에 부여되는 동작 및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로그 데이터베이스는 전자문서의 제작 과정 중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입력 신호들의 기록인 전자문서 제작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문서 제작 로그는 생성된 페이지 개수, 각 페이지별 제작 시간, 각각의 객체 및 각각의 동작 및 상태정보가 선택된 횟수, 각각의 객체 및 각각의 동작 및 상태정보의 추가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전자문서상에서의 상기 객체 추가와 상기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의 부여와 상기 트리거 속성의 부여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전자문서의 제작 과정에서 미리보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전자문서 제작 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도 3의 전자문서 제작 단계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문서 제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캔버스 상에 소정의 객체가 추가되는 단계(S110 단계), 캔버스 상에 추가된 객체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이 형성되는 단계(S120 단계),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객체에 하나 이상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이 부여되는 단계(S130 단계), 상기 부여된 동작 속성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이 형성되는 단계(S140 단계),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객체에 부여된 동작 속성에 소정의 트리거 속성이 부여되는 단계(S150 단계) 및 상기 객체, 상기 동작 속성, 상태 속성 및 트리거 속성이 저장되는 단계(S160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텅 빈 캔버스 상에서 전자문서 제작을 시작한다. 상세히, 전자문서 제작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화면은 캔버스(910), 객체 표시부(920), 동작 속성 표시부(930), 페이지 리스트 표시부(940) 및 속성 표시부(9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캔버스(910)에는 현재 편집중인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객체 표시부(920)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다수 개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동작 속성 표시부(930)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다수 개의 동작 속성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페이지 리스트 표시부(940)에는 생성된 각각의 페이지의 미리보기 화면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속성 표시부(950)에는 현재 선택된 객체 또는 동작 속성에 대한 구체적인 속성값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여기서 속성 표시부(950)는 트리거 속성 표시부(도 8의 951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트리거 속성 표시부(도 8의 951 참조)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다수 개의 트리거 속성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캔버스 상에 소정의 제1 객체(O1)가 추가되며(S110 단계), 이때 캔버스 상에 추가된 객체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AS)이 형성 (S120 단계) 된다.
즉,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객체 표시부(920)에 표시된 객체를 드래그(drag)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버스(9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객체를 드롭(drop)하는 방식으로, 제1 객체(O1)를 캔버스(9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하여, 캔버스(9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제1 객체(O1)가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객체의 배치를 위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신호 또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 신호 등 다양한 사용자 입력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캔버스(910) 상에 제1 객체(O1)가 생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제1 객체(O1)의 적어도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AS1, AS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동작 슬롯(AS)은 해당 객체에 소정의 동작 속성들이 추가될 위치 및 순서를 가이드해주는 것으로써, 하나의 객체에 대해 동작 슬롯들은 제1 방향(도 5에서 Y 방향) 및 제2 방향(도 5에서 X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은 동작의 실행 순서, 즉 상태 속성을 나타내고,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line)에 배치된 동작 속성은 동일한 상태에서 실행되는 동작 속성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제1 동작 슬롯(AS1)과 제2 동작 슬롯(AS2)는 서로 다른 행(行)에 배치되므로 서로 다른 상태 속성을 가지며, 따라서 제1 동작 슬롯(AS1)에 배치된 동작 속성과 제2 동작 슬롯(AS2)에 배치된 동작 속성은 서로 상이한 상태 속성을 가지게 되어, 그 실행 순서 또한 서로 상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각 동작 슬롯의 위치에 따라, 그 동작 슬롯에 배치되는 동작 속성의 상태 속성이 결정된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제1 객체(O1)에 하나 이상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이 부여(S130 단계)되며, 상기 부여된 동작 속성의 일 측에는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이 더 형성(S140 단계)된다.
즉,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작 속성 표시부(920)에 표시된 동작 속성을 드래그(drag)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버스(910) 상의 원하는 동작 슬롯에 동작 속성을 드롭(drop)하는 방식으로, 동작 속성(A1)을 캔버스(910) 상의 원하는 동작 슬롯(AS1)에 배치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하여, 제1 객체(O1)에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이 부여되었다. 이와 같은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이 부여를 위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신호 또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 신호 등 다양한 사용자 입력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 객체(O1)에 동작 속성이 부여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제1 객체(O1)의 적어도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AS3, AS4)이 더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동작 슬롯들의 배치는 본 발명의 일 예로써, 첫 번째 행에 배치된 동작 슬롯(AS1)에는 상태 속성이 -1이 부여되어 상태와 무관하게 실행되는 동작 속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행에 배치된 동작 슬롯(AS2, AS3)들에는 상태 속성 1이 부여되어 첫 번째로 실행될 동작 속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세 번째 행에 배치된 동작 슬롯(AS4)에는 상태 속성 2가 부여되어 두 번째로 실행될 동작 속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동작 속성이 드래그 앤 드롭되는 동작 슬롯의 위치에 따라, 그 동작 속성의 상태 속성이 자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1 객체(O1)에 동작 속성이 부여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제1 객체(O1)의 적어도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AS3, AS4)이 더 형성된다. 즉, 제1 동작 속성(A1)이 제2 동작 슬롯(AS2)에 부여되자, 제2 동작 슬롯(AS2)의 우측 및 하측으로 각각 하나씩의 동작 슬롯(AS3, AS4)이 새롭게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객체(O1)에는 네 개의 동작 속성(A1, A2, A3, A4)이 부여되어 있다. 이 중, 상태 속성이 -1이 부여된 첫 번째 행의 동작 슬롯에는 어떤 동작 속성도 배치되지 않았다. 그리고, 상태 속성이 1이 부여된 두 번째 행의 동작 슬롯에는 제1 동작 속성(A1)과 제2 동작 속성(A2)의 두 개의 동작 속성이 부여되었다. 이때 동일한 행에 배치된 동작 속성들은 그 상태 속성이 동일하므로, 제1 동작 속성(A1)과 제2 동작 속성(A2)의 동작은 동일한 동작 순서를 갖는다. (물론 각 동작 속성에 부여된 트리거 속성에 따라, 제1 동작 속성(A1)과 제2 동작 속성(A2)의 실제 작동 시기가 정해진다.)
그리고, 상태 속성이 2가 부여된 세 번째 행의 동작 슬롯에는 제3 동작 속성(A3)과 제4 동작 속성(A4)의 두 개의 동작 속성이 부여되었다. 이때 동일한 행에 배치된 동작 속성들은 그 상태 속성이 동일하므로, 제3 동작 속성(A3)과 제4 동작 속성(A4)의 동작은 동일한 동작 순서를 갖는다. (물론 각 동작 속성에 부여된 트리거 속성에 따라, 제3 동작 속성(A3)과 제4 동작 속성(A4)의 실제 작동 시기가 정해진다.)
다음으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객체에 부여된 동작 속성에 소정의 트리거 속성이 부여 (S150 단계)된다.
즉,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소정이 동작 속성의 선택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동작 속성에서 선택할 수 있는 트리거 속성들이 드롭 다운 형태로 속성 표시부(950)의 트리거 속성 표시부(951)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중 해당 동작 속성의 작동 조건이 되기 위한 트리거 속성이 선택되는 것이다. 여기서, 트리거 속성의 예시로는, 화면 터치, 드래그 앤 무브(Drag and move), 흔들기(shake), 판독기에 긁기(swipe), 페이지 로딩 시, 상태 속성 변경 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리거 속성을 동작 속성에 부여하면, 트리거 속성을 만족하는 동작 실행 조건이 수행되었을 때, 해당 동작 속성이 실행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객체, 상기 동작 속성, 상태 속성 및 트리거 속성이 데이터베이스(도 2의 150 참조)에 저장(S160 단계)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페이지 상에는 복수 개의 객체(O1, O2)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객체(O1, O2)마다 별도의 동작 속성이 부여될 수 있다. 즉, 제1 객체(O1)에는 제1 동작 속성(A1)과 제2 동작 속성(A2)과 제3 동작 속성(A3)과 제4 동작 속성(A4)의 네 개의 동작 속성이 부여되고, 제2 객체(O2)에는 제5 동작 속성(A5)의 하나의 동작 속성이 부여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객체들 중 어느 일 측은 타겟 객체로 설정되고, 다른 일 측은 트리거 객체로 설정되어, 트리거 객체의 동작이 수행되면, 이에 따라 타겟 객체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제1 객체(O1)을 트리거 객체로 설정하고, 제2 객체(O2)를 타겟 객체로 설정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2 객체(O2)에 부여된 제5 동작 속성(A5)을 제1 객체(O1)에 부여된 제2 동작 속성(A2)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제1 객체(O1)을 트리거 객체로 설정하고, 제2 객체(O2)를 타겟 객체로 설정된다. 이 경우, 제1 객체(O1)에 부여된 제2 동작 속성(A2)이 작동하면, 이에 따라 제2 객체(O2)에 부여된 제5 동작 속성(A5)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복수 개의 객체들을 인과 관계로 연결하여, 특정한 객체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면, 다른 객체가 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문서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더욱 다양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타겟 객체의 동작 속성의 작동 조건은 트리거 객체의 상태 속성과 타겟 객체의 상태 속성이 특정 상태이고, 트리거 객체의 트리거 속성을 만족하였을 때, 타겟 객체의 동작 속성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트리거 객체의 상태 속성을 무시하거나, 타겟 객체의 상태 속성을 무시하거나, 또는 트리거 객체와 타겟 객체의 속성을 모두 무시하고 소정의 트리거 속성의 만족만으로 동작 속성이 작동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애플리케이션 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300: 관리자 단말기
400: 통신망

Claims (20)

  1.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을 제어하여 전자문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캔버스 상에 객체가 추가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하나 이상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이 부여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부여된 상기 동작 속성에 소정의 트리거 속성이 부여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상기 동작 속성, 상태 속성 및 트리거 속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객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들이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은 동작의 실행 순서, 즉 상태 속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line)에 배치된 동작 속성은 동일한 상태 속성에서 실행되는 동작 속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속성은 상기 각 객체에 부여된 동작 속성의 실행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동작 속성 별로 별도의 트리거 속성이 부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 상에 상기 소정의 객체가 추가되면,
    추가된 상기 객체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상기 동작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소정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이 부여되는 단계는,
    상기 캔버스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작 속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수신되는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신호 또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 신호에 의해 상기 동작 슬롯으로 이동되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상기 소정의 동작 속성이 부여되면,
    부여된 상기 동작 속성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상기 동작 슬롯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line)에 배치된 동작 속성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트리거 속성을 가질 경우,
    상기 동일한 트리거 속성을 가진 동작 속성들은, 상기 트리거가 실행되면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동작 속성 별로, 이후에 실행될 상태 속성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캔버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 개의 객체 중 어느 일 측은 타겟 객체, 타 측은 트리거 객체로 지정되고,
    상기 트리거 객체의 동작이 수행되면, 이에 따라 상기 타겟 객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캔버스 상에 객체를 생성, 변경 및 삭제하는 객체 제어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하나 이상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을 부여, 변경 및 삭제하는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제어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객체에 부여된 상기 동작 속성에 소정의 트리거 속성 을 부여, 변경 및 삭제하는 트리거 속성 제어부; 및
    상기 객체 제어부, 상기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 제어부 및 상기 트리거 속성 제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객체, 상기 동작 속성, 상태 속성 및 트리거 속성 중 하나 이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객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동작 슬롯들이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은 동작의 실행 순서, 즉 상태 속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line)에 배치된 동작 속성은 동일한 상태 속성에서 실행되는 동작 속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속성은 상기 각 객체에 부여된 동작 속성의 실행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동작 속성 별로 별도의 트리거 속성이 부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 상에 상기 소정의 객체가 추가되면,
    추가된 상기 객체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상기 동작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작 속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수신되는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신호 또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 신호에 의해 상기 동작 슬롯으로 이동되어, 상기 객체에 소정의 동작 속성 및 상태 속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상기 소정의 동작 속성이 부여되면,
    부여된 상기 동작 속성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상기 동작 슬롯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17. 삭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line)에 배치된 동작 속성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트리거 속성을 가질 경우,
    상기 동일한 트리거 속성을 가진 동작 속성들은, 상기 트리거가 실행되면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동작 속성 별로, 이후에 실행될 상태 속성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캔버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 개의 객체 중 어느 일 측은 타겟 객체, 타 측은 트리거 객체로 지정되고,
    상기 트리거 객체의 동작이 수행되면, 이에 따라 상기 타겟 객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
KR20120081395A 2012-07-25 2012-07-25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KR10149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1395A KR101492603B1 (ko) 2012-07-25 2012-07-25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US13/950,796 US20140033048A1 (en) 2012-07-25 2013-07-25 System for creating interactive electronic docum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1395A KR101492603B1 (ko) 2012-07-25 2012-07-25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07A KR20140014707A (ko) 2014-02-06
KR101492603B1 true KR101492603B1 (ko) 2015-02-12

Family

ID=4999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1395A KR101492603B1 (ko) 2012-07-25 2012-07-25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33048A1 (ko)
KR (1) KR101492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6138B2 (ja) * 2013-06-19 2016-06-1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操作手順書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US10303324B2 (en) * 2014-02-10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three dimensional (3D) virtual spa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KR102320203B1 (ko) * 2014-02-10 2021-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82601B2 (en) * 2015-01-20 2023-10-10 Ultrata, Llc Object memory instruction set
US11755201B2 (en) 2015-01-20 2023-09-12 Ultrata, Llc Implementation of an object memory centric cloud
US10698628B2 (en) 2015-06-09 2020-06-30 Ultrata, Llc Infinite memory fabric hardware implementation with memory
US9971542B2 (en) 2015-06-09 2018-05-15 Ultrata, Llc Infinite memory fabric streams and APIs
US9886210B2 (en) 2015-06-09 2018-02-06 Ultrata, Llc Infinite memory fabric hardware implementation with router
US10241676B2 (en) 2015-12-08 2019-03-26 Ultrata, Llc Memory fabric software implementation
CA3006773A1 (en) 2015-12-08 2017-06-15 Ultrata, Llc Memory fabric software implementation
CA3006776A1 (en) 2015-12-08 2017-06-15 Ultrata, Llc. Memory fabric operations and coherency using fault tolerant objects
US10248337B2 (en) 2015-12-08 2019-04-02 Ultrata, Llc Object memory interfaces across shared links
CN107644019A (zh) * 2016-07-20 2018-01-30 江苏云媒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超媒体电子书内容制作系统
EP4041030B1 (en) * 2019-10-10 2024-02-07 Colebrook Bosson & Saunders (Products) Limited Desktop ri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333A (ko) * 2005-03-10 2008-01-07 내셔날유니버서티오브싱가폴 저작 도구 및 전자 문서의 작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432B1 (en) * 1996-09-30 2001-01-23 Informative Graph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interactive web page objects
US6549935B1 (en) * 1999-05-25 2003-04-1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distributing documents having common components to a plurality of destinations
US10388626B2 (en) * 2000-03-10 2019-08-20 STATS ChipPAC Pte.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flipchip interconnect structure
US7895578B2 (en) * 2005-06-13 2011-02-22 Business Objects Softwa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onnector components to provide connectivity to interactive graphics representative of input and output data
US9098179B2 (en) * 2006-04-17 2015-08-04 Smart Technologies Ulc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 content object for use on an interactive surface
US20090254455A1 (en) * 2008-04-04 2009-10-08 Whereoware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canvas generation, product catalog searching, and result presentation
US8918758B2 (en) * 2008-04-11 2014-12-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object and action data during media content development
US8665274B2 (en) * 2008-10-01 2014-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interactive dynamic view of bi-directional impact analysis results for multiply connected objects
US8869051B2 (en) * 2009-10-02 2014-10-21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eparate editing applications from within electronic content creation applications while preventing data loss
US9547840B2 (en) * 2009-12-28 2017-0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for associating objects on a touch screen using input gestures
US20120066577A1 (en) * 2010-09-09 2012-03-15 Microsoft Corporation Concurrent Editing of Online Drawings
US20120066573A1 (en) * 2010-09-15 2012-03-15 Kelly Berger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hoto story books
US20120094768A1 (en) * 2010-10-14 2012-04-19 FlixMaster Web-based interactive game utilizing video components
US8881037B2 (en) * 2010-12-03 2014-11-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ransform points and effects in multi-state electronic content
US20120229391A1 (en) * 2011-01-10 2012-09-13 Andrew Skinner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interactive digital books
US9317496B2 (en) * 2011-07-12 2016-04-19 Inkling Systems, Inc. Workflow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distributing and publishing content
WO2013033664A2 (en) * 2011-09-01 2013-03-07 Websistant, L.L.C. Server-based electronic publication management
US20130085961A1 (en) * 2011-09-29 2013-04-0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Enterprise context visualization
US20130124980A1 (en) * 2011-11-16 2013-05-16 Future IP Limited Framework for creating interactive digital content
US20130145240A1 (en) * 2011-12-05 2013-06-06 Thomas G. Anderson Customizable System for Storytelling
US20130322707A1 (en) * 2012-06-05 2013-12-05 Jonathan Blair Phillips Producing personalized team photo boo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333A (ko) * 2005-03-10 2008-01-07 내셔날유니버서티오브싱가폴 저작 도구 및 전자 문서의 작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07A (ko) 2014-02-06
US20140033048A1 (en)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03B1 (ko) 전자문서 제작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CN103425390B (zh) 信息交互方法和装置
CN102915328B (zh) 编辑富文本的方法及富文本编辑器
US9600803B2 (en) Mobile-first authoring tool for the authoring of wrap packages
US20220004705A1 (en) Personalization of content suggestions for document creation
US93423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ultimedia container
CN108573516B (zh) 绘本文件的生成方法、计算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AU2012338567A1 (en) Framework for creating interactive digital content
WO2013122714A2 (en) Implementing website themes in a website under construction
KR20150040914A (ko) e-리더 시스템
CN108027701A (zh) 用于呈现媒体的触摸屏用户界面
US2012022939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interactive digital books
US9990102B2 (en) Creating and editing digital content works
WO20170201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ysiwyg web content generation
US201403517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home multimedia container
CN105302834A (zh) 一种信息聚合显示的方法及装置
CN109074209B (zh) 用户界面的细节窗格
CN114185465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4350455A (zh) 使元素被显示
CN106354378A (zh) 一种快速选中多个目标的方法和装置
WO2013138242A1 (en) Dynamic content presentations
CN105373560A (zh) 出版物页面在线展现的方法
CN117093796A (zh) 内容创造性web浏览器
US201502776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US201501212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nd navigating bookmarks in a set of electronic read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