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898B1 - Portable Terminal Enabling Control of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Enabling Control of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898B1
KR101491898B1 KR20130019404A KR20130019404A KR101491898B1 KR 101491898 B1 KR101491898 B1 KR 101491898B1 KR 20130019404 A KR20130019404 A KR 20130019404A KR 20130019404 A KR20130019404 A KR 20130019404A KR 101491898 B1 KR101491898 B1 KR 10149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terminal
counterpart terminal
messag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9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5305A (en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1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898B1/en
Priority to PCT/KR2014/001399 priority patent/WO2014129830A1/en
Publication of KR2014010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심 카드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단말기는, SIM 카드; 상기 SIM 카드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상태 체크부; 및 상기 상대 단말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SIM 카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들의 SIM 카드 제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개입 없이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동일 번호로 관리하고 동일 번호로 과금 가능한 장점이 있다.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im card contro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disclosed terminal comprises: a SIM card; A status check unit for checking the status of the counterpart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SIM card; And a SIM card activation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the SIM card based on the mating terminal status.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can be managed with the same number and the same number can be charged without intervention of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SIM card control of the terminals.

Description

심 카드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Portable Terminal Enabling Control of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SIM car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SIM 카드를 통해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SIM card.

근래에 들어 휴대폰 시장은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음성 통화 이외에도 다양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이 휴대폰의 주류로 자리잡게 되었다. In recent years, the mobile phone market is rapidly changing, and besides voice calls, various types of data communication are possible, and smart phones that can use various applications have become mainstream of mobile phones.

스마트폰의 성장과 함께 태블릿 PC 역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경우도 급속히 늘고 있다. With the growth of smartphones, tablet PCs are also growing rapidly, and the number of smartphone or tablet PCs with one user is rapidly increasing.

또한, 스마트폰의 새로운 모델 출시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새로운 모델의 스마트폰을 구입하면서 하나의 사용자가 둘 이상의 스마트폰을 소지하게 되는 경우 역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Also, as a new model release cycle of a smartphone becomes shorter, a case where a single user has two or more smartphones while purchasing a new model smartphone is also rapidly increasing.

이와 같이 하나의 사용자가 다수의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나 각 스마트폰들마다 다른 전화 번호가 부여되기에 소지한 스마트폰을 모두 적절히 활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기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다양한 크기 및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소지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In this way, a single user has many smart phones, but a different phone number is assigned to each smart phone, so that it is difficult to appropriately utilize all the smart phones possessed. Especially, there are many cases where smart phones having various sizes and functions are carried by device upgrades.

한편,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전화기에는 SIM 카드라는 카드가 내장되는데, SIM 카드는 가입자를 식별하고 과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카드이다. On the other hand, all kinds of wireless telephones including a smart phone have a card called a SIM card, which is a card that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ubscriber and generating billing information.

종래에는 각 스마트폰마다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가지는 SIM 카드가 내장되기에 각 스마트폰은 다른 전화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다수의 스마트폰을 관리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한 관리를 할 수 없도록 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Conventionally, a SIM card having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mbedded in each smart phone, so that each smart phone uses a different phone number. This is a major factor that prevents a user who manages a plurality of smart phones from easily managing .

다수의 스마트폰에 대해 같은 전화번호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제안된 기술들은 기지국에서 특정한 처리를 해야 구현될 수 있는 기술로서 서비스 제공자의 개입 없이는 실현되기 어려운 기술이었다. Although technologies capable of using the same telephone number for a plurality of smartphones have been proposed, the proposed technologies are technologies that can be realized only by performing specific processing at the base station, which is a technology that can not be realiz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service provider.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동일 번호로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enable a user having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to use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with the same number.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들의 SIM 카드 제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개입 없이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동일 번호로 관리하고 동일 번호로 과금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anaging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with the same number and charging the same number through the SIM card control of the terminals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service provid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SIM 카드; 상기 SIM 카드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상태 체크부; 상기 상대 단말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SIM 카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M card, A status check unit for checking the status of the counterpart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SIM card; And a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the SIM card based on the mating terminal status.

상기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상기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  The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activates the SIM card when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inactivated.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상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단말기는 저장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부가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가 활성화 상태일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상태 체크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 비활성화를 확인한 후 상기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IM card deactivation control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in an active state and the state check unit activates the SIM card after confirming the deactivation of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에 상태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If the status of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not be confirme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부가 정보 송신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원 또는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상대 단말기의 전원 또는 SIM 카드가 활성화될 때 상기 상대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부가 정보 송신 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전송되지 않은 부가 정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부가 정보를 전송한다.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power of the terminal or the SIM card is deactivated and the power of the counterpart terminal or the SIM card is activated, stor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history, Selec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has not been transmitted, and transmits the selected additional information.

상기 통신부는 SIM 카드 비활성화 또는 전원 오프 제어 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기 상대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한다. When the SIM card deactivation or power off control command is receive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tatus message for deactivating the SIM car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에 메시지 중계가 가능한 서버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메시지가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달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message to a server capable of relaying a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by the server.

상기 SIM 카드는 리라이터블(Rewritable) SIM 카드이고, 전달받은 특정 식별 정보가 상기 리라이터블(Rewritable) SIM 카드에 기록된다. The SIM card is a rewritable SIM card, and the received 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rewritable SIM card.

상기 단말기는 SIM 카드 식별번호를 읽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terminal reads the SIM card identification number and transmits i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구비된 SIM 카드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a); 및 상기 상대 단말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SIM 카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hecking status of a counterpart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SIM card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controlling (b) controlling activation of the SIM card based on the counterpart terminal st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and a program readable by the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SIM 카드를 구비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2 SIM 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말기의 제1 SIM 카드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SIM 카드를 활성화 시키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세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terminal having a first SIM card; And a second terminal that has a second SIM card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terminal and activates the second SIM card based on the state of the first SIM card of the first terminal do.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들의 SIM 카드 제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개입 없이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동일 번호로 관리하고 동일 번호로 과금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can be managed with the same number and the same number can be charg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SIM card control of th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간 메시지 송수신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간 메시지 송수신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SIM 카드가 활성화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SIM 카드가 활성화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SIM 카드가 활성화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가 정보가 상대 단말로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이 상대 단말과 기지국 무선 링크를 이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structure dur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modul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 SIM card is activa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a SIM card is activa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a SIM card is activa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counterp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unterpart terminal and a base station wireless link.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두 개의 휴대용 단말기(100, 102)가 도시되어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 102)는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는 단말기이고 동일한 식별 번호를 가지는 심카드가 구비된 단말기이다. 즉, 제1 휴대용 단말기(100)와 제2 휴대용 단말기(102)는 동일한 SIM 카드를 가지는 단말기인 것이고 따라서 동일한 전화 번호가 사용되며 과금 역시 사용하는 동일한 전화 번호에 대해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two portable terminals 100 and 102 are illust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s 100 and 102, a user is a terminal and a SIM card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is provided by the same user. That is,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are terminals having the same SIM card, so that the same telephone number is used, and charging is also performed for the same telephone number to be used.

동일한 식별 번호를 갖는 심카드는 처음부터 동일한 식별 번호를 갖는 심카드를 복수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 방법은 휴대폰에 읽고 쓰기가 가능한 SIM 카드 (rewritable SIM) 및 심카드 읽기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복제하고자 하는 심카드를 심카드 읽기 장치에 삽입하면 이를 읽어 상기 읽고 쓰기가 가능한 SIM 카드에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IM cards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can be manufactured from the beginning. Another implementation includes a SIM card (rewritable SIM) and a SIM card reader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on the mobile phone. When a SIM card to be copied is inserted into a SIM card reader, the SIM card is read and written to the SIM card It can be recorded.

여기서 읽고 쓰기가 가능한 SIM 카드는 단말기 메모리의 일부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SIM 카드 식별정보를 읽거나 전달받아 단말기 메모리에 저장하여 통신사와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IM card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can be configured as a part of the terminal memory. That is, the SIM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ad or received and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to be used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ompany.

제1 휴대용 단말기(100) 및 제2 휴대용 단말기(102)는 3G, LTE, 4G 등과 같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휴대용 단말기 등에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are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to receiv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3G, LTE, and 4G, and smart 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can be included in portable terminals and the like.

SIM 카드는 사용자 단말기를 식별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 카드로서,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는 모두 다른 SIM 카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IM card is a card on whic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charging is recorded, and each portable terminal generally has a different SIM card.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두 개의 단말이 서로 다른 SIM 카드를 구비할 경우 각 사용자 단말기는 별개의 전화기로 인식되고 과금 역시 별개로 이루어진다. When two terminals used by the same user have different SIM cards, each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s a separate telephone and charging is also performed separately.

사용자 입장에서 두 개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바,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전화번호로 두 개의 휴대용 단말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안한다. It is not easy to manage two phone numbers from a user's point of view.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two portable terminals with one phone number is proposed.

다만, 두 개의 휴대용 단말기가 동일한 SIM 카드를 구비하므로 각 단말기의 SIM 카드가 동시에 활성화되어서는 안되므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SIM 카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조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 However, since the two portable terminals have the same SIM card, the SIM card of each terminal should not be activ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onfirms whether or not the condition for enabling the SIM card is activated and activates the SIM car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두 개의 휴대용 단말기(100, 102) 중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만이 활성화되며 어느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가 활성화될 때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여야 한다. As shown in FIG. 1, only the SIM card of one of the two portable terminals 100 and 102 used by the same user is activated, and when the SIM card of one of the portable terminals is activated, The SIM card must be inactive.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용 단말기(100)의 심카드가 활성화될 때 제2 휴대용 단말기(102)의 심카드는 비활성화되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휴대용 단말기(102)의 SIM 카드가 활성화될 때 제1 휴대용 단말기(100)의 SIM 카드는 비활성화된다. 1 (a), when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is activated,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is inactivated, and as shown in FIG. 1 (b) Similarly, when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is activated,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is inactivated.

SIM 카드의 비활성화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유지되더라도 SIM 카드만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통신사의 기지국에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달 후 통신회사와 모든 통신을 종료하게 할 수 있다. 통신회사와 모든 통신을 종료하여도 인터넷 등에는 연결될 수 있다.The deactivation of the SIM card may be performed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activating the SIM card even if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aintained. At this time, after the power off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all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ompany can be terminated. Even if all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ompany is terminated,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the like.

제1 휴대용 단말기(100)와 제2 휴대용 단말기(102)는 각각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한 후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 즉,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확인한 후 SIM 카드가 활성화된다.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respectively activate the SIM card after checking the status of the counterpart terminal. That is, after confirming that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inactivated, the SIM card is activated.

도 1의 (a)와 같이 제1 휴대용 단말기(100)의 SIM 카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2 휴대용 단말기(102)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확인하고 제1 휴대용 단말기(100)의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도 1의 (b)와 같이, 제2 휴대용 단말기(102)의 SIM 카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2 휴대용 단말기(102)는 제1 휴대용 단말기(100)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확인하고 제2 휴대용 단말기(102)의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 1 (a), when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is activate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confirms that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is inactivated, The SIM card of the terminal 100 is activated. 1 (b), when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is activate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confirms that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is inactivated Thereby activating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도 1과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더라도 두 개의 휴대용 단말기를 동일한 번호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shown in FIG. 1 can use two portable terminals with the same number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service from the base station.

제1 휴대용 단말기(100) 및 제2 휴대용 단말기(102) 중 적어도 하나는 리라이터블(re-writable) 심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may use a re-writable SIM car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간 메시지 송수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간 메시지 송수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llustrates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structure dur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패어는 서로의 상태를 확인한 후 심카드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상태 메시지 및 제어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SIM card after checking the status of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tatus message and the control message to each other.

도 2를 참조하면, 제1 휴대용 단말기(100) 및 제2 휴대용 단말기(102)가 직접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휴대용 단말기(100) 및 제2 휴대용 단말기(102)는 직접 상대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때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등과 같은 통신 수단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경우 다이렉트 와이파이 또는 인터넷, 인트라넷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is show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directly transmit a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t this tim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can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through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NFC, WiFi, and the like. When using Wi-Fi,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direct Wi-Fi, Internet, and intranet.

두 개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이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하기에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간 상태 메시지 및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는 어렵다. Since only one of the two terminals can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it is difficult to transmit and receive the terminal status message and the control message through the base station.

예를 들어, 제1 휴대용 단말기(100)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될 때 제1 휴대용 단말기(100)는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상태 메시지를 제2 단말기(102)에 전송하며, 와이파이 통신 방식 등에 의해 제2 단말기로 해당 상태 메시지를 전송한다. For example, when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is deactivate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a status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IM card is deactivated to the second terminal 102, 2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tatus message to the terminal.

도 3을 참조하면, 제1 휴대용 단말기(100) 및 제2 휴대용 단말기(102)는 서버(300)를 경유하여 상태 메시지 및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may transmit and receive a status message and a control message via the server 300.

제1 휴대용 단말기(100)가 상태 메시지를 제2 휴대용 단말기(102)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버(300)에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버(300)가 제2 휴대용 단말기(102)에 해당 상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은 이메일, 인터넷 기반 문자서비스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Wh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wants to transmit a status message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a status message to the server 300, and when the server 300 transmits the status message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And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status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102.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messages through these servers can be accomplish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e-mail and Internet-based text service.

도 3과 같이 서버를 경유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식은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102)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없을 경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FIG. 3,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via a server may be utilized wh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102 can not perform close-range communication.

1차적으로 도 2와 같이 단말기간 직접 통신에 의해 상태 메시지 및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직접 통신에 의해 메시지 송수신이 어려울 경우 2차적으로 도 3과 같이 서버(300)를 경유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블루투스, NFC, 다이렉트 와이파이 등와 같은 통신 수단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tatus message and the control message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direct communication in the terminal period, and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difficult by direct communication, the messag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rver 300 as shown in FIG. 3 There will be. That is, message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NFC, direct WiFi and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SIM 카드(400),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402), 상태 체크부(404), 부가 정보 송신부(406) 및 통신부(408)를 포함한다. 4,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M card 400, a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402, a status check unit 404, a s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406, and a communication unit 408 .

SIM 카드(400)는 단말기 식별을 위한 카드로 식별을 위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SIM 카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리라이터블(re-writable) SIM 카드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IM card 400 is a card for terminal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is recorded. As described above, a general SIM card may be used and a re-writable SIM card may be used.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402)는 SIM 카드가 활성화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402)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SIM 카드 활성화(또는 전원 온)가 요청될 경우 상대 단말기의 심카드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402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IM card is in an activated state and activates the SIM card. The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402 determines whether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in the inactivated state when the SIM card activation (or power-on) is requested via the terminal interface.

상대 단말의 심카드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402)는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지 않으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 상태인 점이 확인될 경우 단말기의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 The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402 does not activate the SIM card and activates the SIM card of the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in the deactivated state .

물론 상대 단말의 심카드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라도 강제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집에 제 휴대용 1단말기를 두고 제2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한 상황에서 제1휴대용 단말기가 활성화 상태이면, 유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제1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여 달라고 요청 후 제2 휴대용 단말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IM card can be forcibly activated even if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not in the inactive state. That is, i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in an active state wit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t home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carrie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requested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by using wired communication or the like, Can be activated.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402)는 상태 체크부(404)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SIM 카드를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The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402 us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atus check unit 404 to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SIM card.

상태 체크부(404)는 상대 단말기의 상태 정보가 저장되며, 단말기의 상태 정보는 "OFF","ON" 및 "Unknown"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status checker 404 stor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artner terminal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one of "OFF "," ON ", and "Unknown ".

"OFF"는 비활성화 상태를 의미하고, "ON"은 활성화 상태를 의미하며, "Unknown"은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OFF" means inactive state, "ON" means active state, and "Unknown" means state in which it can not be confirmed whether it is in the active state or in the inactive state.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402)는 상태 체크부(404)로부터 확인되는 상대 단말기의 상태가 "OFF"일 경우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며 상대 단말기의 상태가 "ON" 및 "Unknown"일 경우에는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물론, "Unknown"일 경우에도 다른 수단을 통하여 상대 단말기의 상태가 "OFF"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면, SIM 카드를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이다.The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402 activates the SIM card when the state of the partner terminal identified by the state check unit 404 is "OFF ", and when the state of the partner terminal is" ON " Do not activate. Of course, even if it is "Unknown ",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SIM card if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other means that the state of the other terminal is" OFF ".

상태 체크부(404)는 상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메시지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상태 체크부(404)는 상대 단말기와의 통신이 두절되어 상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Unknown"으로 설정한다. The status check unit 404 stor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status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state checking unit 404 sets the stat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to "Unknown" when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broken and the state message can not be received.

부가 정보 송신부(406)는 상대 단말기로 단말기에 저장된 부가 정보를 전송한다. 일례로, 부가 정보 송신부(406)는 단말기의 전원(또는 SIM 카드)이 비활성화되고 상대 단말기의 전원(또는 SIM 카드)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단말기간 부가 정보 동기화를 위해 상대 단말기에 부가 정보를 전송한다.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406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For examp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406 transmits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for synchroniza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at a time point when the power of the terminal (or the SIM card) is deactivated and the power of the counterpart terminal (or the SIM card) is activated .

여기서 부가 정보는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 정보, 연락처 정보 및 통화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부가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에 저장되는 다양한 정보가 부가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message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and call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bu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부가 정보의 송신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두 개의 단말기가 동일한 정보를 저장하면서 사용하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두 개의 단말기는 같은 통화 내역, 같은 메시지 및 같은 연락처 정보 등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각 단말기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저장된 부가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한다.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order to use while the two terminals used by the user store the same information. The two terminals used by the user preferably store the same call history, the same message, and the same contact information, and therefore each terminal transmits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부가 정보 송신부(406)는 이전 부가 정보의 송신 후 업데이트된 부가 정보만을 선택하여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 단말기로 전송한 부가 정보 내역이 저장되며, 상대 단말기로 전송되지 않은 부가 정보만을 선택하여 상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물론 이와 달리 모든 부가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406 selects only the updated additional information after transmission of the additional add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lected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ementary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is stored, and only the supplementary information not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is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Of course, all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통신부(408)는 상대 단말기와 상태 요청 메시지, 상태 메시지 및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통신부(408)는 와이파이, NFC,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08 transmits and receives a status request message, a status message, and a control messag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408 can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NFC, and Bluetooth.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408)는 직접 상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서버를 경유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408 may directly transmit / receive a message to / from a counterpart terminal, or may transmit / receive a message via a server.

상태 요청 메시지는 상대 단말기의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이고, 상태 메시지는 단말기 자신의 상태를 전송하는 메시지이며, 제어 메시지는 상대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The status request message is a message requesting the status check of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status message is a message for transmitting the status of the terminal itself, and the control message is a message for controlling the status chang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일례로, 제어 메시지는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고자 할 때 제2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제2 휴대용 단말기에 제2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message may be a message that controls the deactivation of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activated when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activate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requests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o deactivate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a control message.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SIM 카드를 비활성화시킨 제2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휴대용 단말기에 SIM 카드가 "OFF" 상태라는 상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비활성화되는 제2 휴대용 단말기는 부가 정보를 활성화되는 제1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at has deactivated the SIM card at the request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status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IM card is "OFF "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t this time, the inactivated second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activated first portable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SIM 카드가 활성화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 SIM card is activa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를 활성화시킬 때 제2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 상태라는 점을 알고 있는 경우의 SIM 활성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shows the SIM activation process when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in a deactivated state when activating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도 5를 참조하면, 제2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다른 종류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거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된다(단계 500).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powered off or deactivated by a user's operation or other kind of control (step 500).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제2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휴대용 단말기로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어 되었다는 상태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502). 상태 메시지 전송 시 비활성화되는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부가 정보가 제1 휴대용 단말기로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I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powered off or the SIM card is deactivate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status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IM card is deactivated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step 502).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at is inactivated when the status message is transmitted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체크부는 상대 단말기인 제2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저장한다(504). 이때, 제2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부가 정보가 별도의 저장 영역에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The status check unit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stores information that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which is the other terminal, is inactivated (504). At this time,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may be stored together in a separate storage area.

사용자 조작 및 기타의 제어를 통해 제1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 활성화가 요청되는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제2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상태 체크부의 정보를 통해 제2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 상태라는 점을 확인한다(단계 506).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inactivated and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inactivated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state checking unit. It is inactivated (step 506).

제2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 상태라는 점을 확인한 제1 휴대용 단말기는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고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한다(단계 508). Having confirmed that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in the inactive stat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ctivates the SIM card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step 508).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SIM 카드가 활성화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a SIM card is activa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SIM 카드를 활성화하려는 제1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의 SIM 카드 활성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 card activation procedure when the status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can not be confirmed i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o activate the SIM card.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타의 제어를 통해 제1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 활성화 또는 전원을 온시키는 동작이 요청된다(단계 600). Referring to FIG. 6, an operation of activating or turning on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requested through a user operation or other control (step 600).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태 체크부의 정보를 통해 상대 단말기인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알 수 없다는 정보를 확인한다(단계 602). 상대 단말기의 상태가 "Unknown"인 경우는 제2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상태 메시지를 송신하였으나 통신 사정으로 인해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가 이에 속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portable terminal confirm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which is the other terminal, is unknown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status checker (step 602). When the status of the partner terminal is "Unknown ", the status message may not be received from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status message but the status message is not received due to a communication condition may be included.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제2 휴대용 단말기에 상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604).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status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step 604).

제2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단계 606), 상태가 "ON" 또는 "OFF"에 따라 도 5 또는 도 7과 같은 절차가 수행된다(단계 608). 제2 단말기의 상태가 "ON"인 경우 도 7과 같은 절차에 따라 SIM 카드 활성화가 수행되고, 제2 단말기의 상태가 "OFF"인 경우 도 7과 같은 절차에 따라 SIM 카드 활성화가 수행된다. When the status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step 606), the procedure as shown in FIG. 5 or 7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tus "ON" or "OFF" (step 608). When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is "ON ", the SIM card activ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hown in FIG. 7, and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is" OFF "

제2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SIM 카드를 활성화할 수 없다는 활성화 불가 메시지를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단계 610). If the status request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e first portable terminal displays an activation disabled message on the terminal display that the SIM card can not be activated (step 610).

제2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중 하나는 제2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가 활성화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가 이와 같은 상태를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휴대용 단말기를 강제적으로 활성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강제 활성화 인터페이스가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of the cases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not possible may be when the power of the second terminal is turned off, and in this case,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may be activa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aware of such a stat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may be forcibly activated, and the forced activation interface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terminal.

예를 들어, 집에 제2 휴대용 단말기를 두고 제1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한 상황이라면, 유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가족에게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여 달라고 요청 후, 제1 휴대용 단말기를 활성화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in the home an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carrie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requested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wired communication or the like, It is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SIM 카드가 활성화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a SIM card is activa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대 단말기인 제2 단말기의 상태가 "ON"일 경우의 SIM 카드 활성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IM card activation procedure when the status of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the other terminal, is "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타의 제어를 통해 제1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 활성화 또는 전원을 온시키는 동작이 요청된다(단계 700). Referring to FIG. 7, an operation to activate or turn on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requested through a user operation or other control (step 700).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태 체크부의 정보를 통해 상대 단말기인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가 "ON" 상태라는 점을 확인한다(단계 702). The first portable terminal confirms that the status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which is the other terminal, is "ON"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status checker (step 702).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대 단말기인 제2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704).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control message requesting deactivation of the SIM card to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the other terminal (step 704).

제2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따라 SIM 카드를 비활성화시키고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상태 메시지를 제1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다(단계 706).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deactivates the SIM car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message and transmits a status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IM card is deactivated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step 706).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의 SIM 카드를 활성화시킨다(단계 708). Upon receiving the status message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ctivates its SIM card (step 708).

만약, 갑작스런 사정 변경에 의해 제2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통신 불가 상태로 상태가 변경되면서 제반 사정으로 단말기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단계 706에서 제2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SIM 카드 비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If the status is changed from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possible due to a sudden change of status, and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due to various reasons, .

만일 단계 706에서 SIM 카드 비활성화 메시지를 제2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를 강제로 활성화 시킬 지 또는 활성화를 포기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706 that the SIM card deactivation message can not be received from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e first portable terminal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selecting whether to force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o be activated or to abandon the activation have.

도 10은 SIM 카드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2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 후 제2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SIM 카드 비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provided when the SIM card deactivation request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fter transmitting the SIM card deactiva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가 정보가 상대 단말로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counterp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타의 제어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오프 또는 SIM 카드 비활성화가 요청된다(단계 800). Referring to FIG. 8, power off or SIM card deactiv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equested by a user operation or other control (step 800).

SIM 카드 비활성화가 요청되면, 상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802). When the SIM card deactivation is requested, it is determined whether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possible (step 802).

상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할 경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부가 정보를 선택한다(단계 804).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부가 정보 송신 내역을 저장하고 있으며, 마지막 송신 후 새롭게 저장된 부가 정보만을 선택한다. If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possib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is selected (step 804).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stor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history and selects on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newly stored after the last transmission.

부가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부가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한다(단계 806). If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selected, the selected additi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artner terminal (step 806).

물론,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백업 등의 이유로 모든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all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or reasons such as backup.

부가 정보의 송수신은 무선 통신 링크뿐 아니라 별도의 매개 장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제1 휴대용 단말기와 제2 휴대용 단말기가 모두 충전 장치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 해당 충전 장치를 통하여 부가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as well as a separate intermediate apparatus. For example, if bot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re coupled to the charging devic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exchang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도 11은 제1 휴대용 단말기가 제2 휴대용 단말기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가 제2 휴대용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과정에 대한 개념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requests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o deactivate the SIM card wh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can not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FI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휴대용 단말기와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 않고 제2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를 비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또 다른 단말기인 제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2 휴대용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1100). 11 and 12, wh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can not communicate directly and the SIM card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needs to be deactivated, the third portable terminal, which is another terminal, is used Transmits a SIM card deactiva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message using the text message (step 11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휴대용 단말기에서 SIM 카드 비활성화를 위해 제2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암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hird portable terminal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for deactivating the SIM card preferably includes a preset password.

제2 휴대용 단말기는 제3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암호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며 해당 문자 메시지를 통해 SIM 카드 비활성화 요청이 있었다는 점을 확인한다. 제2 휴대용 단말기는 SIM 카드 비활성화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제3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고 SIM 카드를 비활성화시킨다(단계 1102). 제2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3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 역시 미리 설정된 암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receives a text message including a preset password from the third portable terminal and confirms that there is a SIM card deactivation request through the corresponding text message.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for confirming the deactivation of the SIM card to the third port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and deactivates the SIM card (step 1102).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o the third portable terminal may also include a preset password.

제3 휴대용 단말기에서 SIM 카드 비활성화 메시지가 수신된 점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제1 휴대용 단말기의 SIM 카드를 활성화 시킨다(단계 1104).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IM card deactivation message is received in the third portable terminal, the user activates the SIM car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step 1104).

도 11에서는 또 다른 휴대용 단말기인 제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통해 SIM 카드 활성화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휴대용 단말기가 아닌 컴퓨터, 노트북 등을 이용하여 SIM 카드 활성화를 제어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FIG. 11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activation of the SIM card is controlled through a text message using the third portable terminal, which is another portable terminal, activation of the SIM card may be controlled using a computer, a notebook, or the like instead of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이 상대 단말과 기지국 무선 링크를 이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unterpart terminal and a base station wireless link.

도 9에 도시된 두 개의 단말기에서, 제1 휴대용 단말기(100)는 SIM 카드가 활성화되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제2 휴대용 단말기(102)는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어 기지국과는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단말기이다. 9,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is a terminal in which the SIM card is activa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102 is in a state in which the SIM card is inactivated, It is a terminal that can not be performed.

제1 휴대용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이고 제2 휴대용 단말기가 태블릿 PC일 경우 태블릿 PC인 제2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휴대용 단말기(100)인 스마트폰의 무선 링크를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is a smart phone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a tablet PC,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which is a tablet PC, may be configured to use the wireless link of the smartphone as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

태블릿 PC는 제1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다이렉트 통신(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tablet PC can use a wireless link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direct communication using Wi-Fi or Bluetooth) wit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

도 9와 같이 동작되는 단말기 패어(Pair)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세트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상대 단말기와의 무선 링크 공유가 가능하도록 설정되며, 동일한 SIM 카드를 가지는 두 개의 단말기 세트가 하나의 상품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The terminal pair operated as shown in FIG. 9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s a set of two terminals. That is, it is set to enable wireless link sharing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two sets of terminals having the same SIM car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s one commodity.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두 개의 단말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대 단말기의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를 공유함으로써 SIM 카드가 비활성화된 단말기로도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다.The user can selectively use one of the two terminals as needed, and can share the wireless link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other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als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with the SIM card disabled.

위에서는 SIM 카드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제조 시부터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며, 설명된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단말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SIM car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escribed above and a portable terminal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to operate as described from the time of manufacturing a mobile phone,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Accordingly,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terminal control method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23)

SIM 카드;
상기 SIM 카드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상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상태 체크부;
상기 상대 단말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SIM 카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SIM car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o and from a counterpart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SIM card;
A status check unit for checking the status of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the SIM card based on the mating terminal st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M 카드 활성화 제어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상기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M card activation control unit activates the SIM card when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deactiva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저장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부가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가 활성화 상태일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상태 체크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 비활성화를 확인한 후 상기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IM card deactivation control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in an active state and the state check unit activates the SIM card after confirming the deactivation of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에 상태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status of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not be confirme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송신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원 또는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상대 단말기의 전원 또는 SIM 카드가 활성화될 때 상기 상대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부가 정보 송신 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전송되지 않은 부가 정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power of the terminal or the SIM card is deactivated and the power of the counterpart terminal or the SIM card is activated, stor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history, Selects additional information that has not been transmitted, and transmits the selected additiona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SIM 카드 비활성화 또는 전원 오프 제어 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기 상대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tatus message for deactivation of the SIM car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a SIM card deactivation or power off control command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에 메시지 중계가 가능한 서버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메시지가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message to a server capable of relaying a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by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M 카드는 리라이터블(Rewritable) SIM 카드이고, 전달받은 특정 SIM 카드 식별 정보가 상기 리라이터블(Rewritable) SIM 카드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M card is a rewritable SIM card and the specific SIM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s recorded in the rewritable SIM c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SIM 카드 식별번호를 읽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reads the SIM card identification number and transmits the SIM card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counterpart terminal.
단말기에 구비된 SIM 카드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상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a);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b); 및
상기 상대 단말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SIM 카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o and from a counterpart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SIM card provided in the terminal;
(B) checking status of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C) controlling activation of the SIM card based on the counterpart terminal st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상기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c) activates the SIM card when the SIM card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deactivated.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unterpart terminal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SIM 카드가 활성화 상태일 경우 상기 상대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 SIM card disable control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counterpart terminal's SIM card is in an active s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상대 단말기에 상태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transmission of status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stat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not be confirm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지 않은 부가 정보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in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counterpart terminal selects and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not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SIM 카드 비활성화 또는 전원 오프 제어 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기 상대 단말기에 SIM 카드 비활성화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o an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 status message for deactivation of the SIM car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a SIM card deactivation or power off control command is received.
제12항, 제13항 및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13 and 15 to 19 is recorded and a program readable by the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제1 SIM 카드를 구비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2 SIM 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말기의 제1 SIM 카드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SIM 카드를 활성화 시키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의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제1 단말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SIM 카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세트.
A first terminal having a first SIM card; And
And a second terminal that has a second SIM card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terminal and activates the second SIM card based on the state of the first SIM card of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second terminal checks the status of the first terminal through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first terminal, and activates the second SIM card based on the status of the first terminal.
삭제delet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의 SIM 카드가 활성화 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말기의 SIM 카드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를 경유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세트.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second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via the first terminal when the SIM card of the first terminal is active and the SIM card of the second terminal is inactive.
KR20130019404A 2013-02-22 2013-02-22 Portable Terminal Enabling Control of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KR101491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9404A KR101491898B1 (en) 2013-02-22 2013-02-22 Portable Terminal Enabling Control of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PCT/KR2014/001399 WO2014129830A1 (en) 2013-02-22 2014-02-21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9404A KR101491898B1 (en) 2013-02-22 2013-02-22 Portable Terminal Enabling Control of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05A KR20140105305A (en) 2014-09-01
KR101491898B1 true KR101491898B1 (en) 2015-02-11

Family

ID=5139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9404A KR101491898B1 (en) 2013-02-22 2013-02-22 Portable Terminal Enabling Control of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1898B1 (en)
WO (1) WO201412983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6777B1 (en) * 1996-11-27 2002-04-02 Nokia Telecommunications Oy Using two SIM cards with same MSISDN numb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202847L (en) * 1992-10-01 1993-10-25 Nordictel Ab Digital mobile telephone system in which each subscription is assigned a subscriber number and multiple subscriber cards (SIM)
KR101065341B1 (en) * 2008-07-11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Dual standbay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reof
DE102008037725A1 (en) * 2008-08-14 2010-02-18 Deutsche Telekom Ag Method for the multiple physical use of a single identification in TK networks
KR101585467B1 (en) * 2009-06-05 2016-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Dual sim mobile terminal using single chipse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6777B1 (en) * 1996-11-27 2002-04-02 Nokia Telecommunications Oy Using two SIM cards with same MSISDN nu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9830A1 (en) 2014-08-28
KR20140105305A (en)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3723B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upgrading system
US10165613B2 (en) Control method for bluetooth communication and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S20150004959A1 (en) Mobile device activation
CN105393471B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airing of different servers and accessories and intelligent electronic equipment
US9860738B2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pieces of SIM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323389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fferent mobile devices sharing same phone number and method
WO2016193417A1 (en)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CN1032970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y using NFC
KR20140017656A (en) Mobile terminal application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10334428B1 (en) Power on pulling for M2M SIM profile downloads
CN104426583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equipment
CN105556492A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ata transfer
US201403334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multiple applications to a single nfc tag
CN104104699A (en) Handset remote configuration system and configuration method for the same
AU2014397683A1 (en) Mechanisms for controlling tag personalization
CN113923067A (en) Method for connecting household appliance to product server
US20150245197A1 (en) Portable terminal enabling control of sim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KR20190086325A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JP2021002793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5407455A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ng information between mobile equipment
KR20080070391A (en) Method and system of remoting control for portable device
US20110014870A1 (en) Method, system and adapte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devices
CN105391753A (en) System architecture for closed-loop mobile lockscreen display state control
CN104850873A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13239096A (en) Application providing terminal,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