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45B1 -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45B1
KR101491045B1 KR20130114074A KR20130114074A KR101491045B1 KR 101491045 B1 KR101491045 B1 KR 101491045B1 KR 20130114074 A KR20130114074 A KR 20130114074A KR 20130114074 A KR20130114074 A KR 20130114074A KR 101491045 B1 KR101491045 B1 KR 101491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xternal device
transmission image
inpu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섭
김연배
손세훈
송문섭
유훈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to KR2013011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45B1/ko
Priority to JP2016517436A priority patent/JP6255488B2/ja
Priority to PCT/KR2014/008779 priority patent/WO2015046837A1/ko
Priority to CN201480064092.8A priority patent/CN105765518B/zh
Priority to EP14847138.6A priority patent/EP3051400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45B1/ko
Priority to US15/081,181 priority patent/US1076171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텐츠 공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컨텐츠를 공유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명령어에 따라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형성하고, 전송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명령어는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컨텐츠 중 제1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제1 컨텐츠를 디바이스 리스트 상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전송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DO FOR SHAR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고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성능상의 문제로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동시에 하나만을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소프트웨어로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식에서 하드웨어를 통해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식이 도입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한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어떤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어떤 컨텐츠를 공유할지 작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지시하기 위한 종래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공유를 지시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컨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적인 화면에서 사용자가 컨텐츠의 재생 및 공유를 지시할 수 있는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컨텐츠를 공유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명령어에 따라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중 제1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상기 제1 컨텐츠를 드래그(drag)하고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 상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drop)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명령어는 상기 컨텐츠 중 제2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미리 지정된 영역으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 가장자리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송 영상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타 디바이스와 연결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없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타 디바이스와 연결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장치가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중 제1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상기 제1 컨텐츠를 드래그(drag)하고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 상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drop)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공유 방법은 상기 컨텐츠 중 제2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미리 지정된 영역으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 가장자리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방법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송 영상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방법은 타 디바이스와 연결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없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방법은 타 디바이스와 미리 연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에 공유하기 위한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해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해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생성한 전송 영상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유 장치는 터치스크린(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10)은 프로세서(13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당해 터치스크린(110) 상에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펜 등을 통해 터치 입력을 받아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하는 입력, 손가락 또는 펜을 터치스크린(110) 상에서 때는 입력, 손가락 또는 펜을 터치스크린(110) 상을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입력(드래그(drag) 입력) 및 터치에 따른 압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정보는 상술한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터치스크린(110)은 입력 정보를 프로세서(130)로 전송한다.
메모리(12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컨텐츠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110)으로 전송한다. 이하 프로세서(130)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때, 유저 인터페이스는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를 섬네일 이미지로 표시하는 섬네일 이미지 영역, 컨텐츠가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 및 크기로 표시되는 주 영역을 포함한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섬네일 이미지로 표시된 컨텐츠를 터치 및 드래그하여 주 영역의 일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당해 컨텐츠 공유 장치와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 때, 디바이스 리스트는 당해 컨텐츠 공유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아이콘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진행하고,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전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컨텐츠(210)를 전체 화면으로 재생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송 영상을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텔레비전 등의 통신부(140)와 미리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어 전송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행하거나,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 영상을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4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컨텐츠를 메모리(120)에 저장하여 추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공지된 방식의 통신 모듈을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섬네일 이미지 영역(208)에서는 복수의 컨텐츠가 섬네일 이미지로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중 어느 하나(210)를 터치하여 주 영역(204)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드래그한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주 영역(204) 상에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컨텐츠(210)를 재생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프로세서(130)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사용자가 주 영역(204)에서 재생되고 있는 제1 컨텐츠(210)를 터치 및 드래그하여 디바이스 리스트 상에 표시된 각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영역(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디바이스 3에 해당하는 영역) 상에 드롭(drop)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 리스트는 디바이스 1, 디바이스 2, 디바이스 3 및 디바이스 4와 당해 컨텐츠 공유 장치가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각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을 표시하고 있음을 가정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컨텐츠를 드롭하는 입력에 따라 해당 컨텐츠가 드롭된 영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행하고, 해당 입력에 따라 제1 컨텐츠(210)를 미러링(mirroring)한 전송 영상을 생성하고, 전송 영상을 해당 영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 3)로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사용자가 섬네일 이미지 영역(208)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2 컨텐츠(220)를 터치 및 드래그하여 디바이스 리스트 상에 표시된 각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드롭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해당 입력에 따라 제2 컨텐츠(220)를 미러링한 전송 영상을 생성하고, 전송 영상을 컨텐츠가 드롭된 해당 영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로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유 장치는 미리 지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버튼을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당해 컨텐츠 공유 장치의 화면을 미러링하여 전송 화면을 생성하고, 전송 화면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 상 주 영역(204)의 이미지(예를 들어, 제1 컨텐츠(210))나 섬네일 이미지 영역(208) 상의 섬네일 이미지 하나(예를 들어, 제2 컨텐츠(220)의 섬네일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디바이스 리스트 상의 당해 컨텐츠 공유 장치의 화면을 미러링한 전송 화면이 전송되어지고 있는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특정 영역에 드롭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컨텐츠(210) 또는 제2 컨텐츠(220)를 전체 화면으로 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특정 영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디바이스 3)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전송 영상을 수신한 디바이스는 제1 컨텐츠(210) 또는 제2 컨텐츠(220)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는 주 영역(204) 상에 위치한 컨텐츠를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경우, 당해 컨텐츠 공유 장치의 화면을 미러링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컨텐츠 공유 장치는 섬네일 이미지 영역(208) 상에 위치한 컨텐츠를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경우, 섬네일 이미지 영역(208) 상에 위치한 해당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형의 터치스크린(110)을 통한 컨텐츠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통해서 간단하게 특정 컨텐츠를 미러링한 화면을 통한 표시를 요청하는 명령을 외부 디바이스로 보낼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메뉴 및 버튼을 통해 공유할 컨텐츠를 선택하고 전송 영상을 수신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은 PC와 달리 소형의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입력하는 것은 잘못된 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여러 메뉴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터치를 여러 번 하여야 하는 등의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피로도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는 소형의 터치스크린(110)을 통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입력을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사용자가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해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해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부(140)가 포함하는 통신 모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 중 하나만이 연결될 수 있거나, 동시에 복수의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120)는 특정 디바이스 간에는 동시에 연결을 할 수 없도록 미리 설정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해당 명령어에 따라 기존 연결이 유지된 디바이스와 신규로 연결이 형성되어야 할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될 수 없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기존 연결이 유지된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는 디바이스 1 내지 디바이스 3으로 동시에 전송 영상을 전송하지 못하고, 디바이스 1 내지 디바이스 3 중 어느 하나와 디바이스 4로 동시에 전송 영상을 전송할 수 있음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공유 장치의 터치스크린(110)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제3 컨텐츠(240)을 드래그하여 디바이스 1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리스트의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일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3 컨텐츠(240)를 미러링한 전송 화면을 생성하여 통신부(140)를 통해 디바이스 1으로 전송한다. 이후, 컨텐츠 공유 장치의 터치스크린(110)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제2 컨텐츠(220)를 드래그하여 디바이스 3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리스트의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일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3 컨텐츠(240)의 전송 영상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하고, 디바이스 1과의 연결을 종료한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 3와 연결을 진행한 후, 제2 컨텐츠(220)의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디바이스 3로 전송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 1 내지 디바이스 3 중 어느 하나와 디바이스 4로 동시에 전송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기존 연결이 형성되어 전송 영상이 전송되고 있는 디바이스와 새로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연결이 형성되어야 할 디바이스로 동시에 전송 영상을 전송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기존 연결을 통한 전송 영상의 전송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진행하고, 새로운 연결을 통해 신규 전송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며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공유 장치의 터치스크린(110)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제3 컨텐츠(240)을 드래그하여 디바이스 1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리스트의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일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3 컨텐츠(240)를 미러링한 전송 화면을 생성하여 통신부(140)를 통해 디바이스 1으로 전송한다. 이후, 컨텐츠 공유 장치의 터치스크린(110)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제2 컨텐츠(220)를 드래그하여 디바이스 4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리스트의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일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3 컨텐츠(240)의 전송 영상 생성 및 전송을 유지하면서 디바이스 3와 연결을 진행한 후, 제2 컨텐츠(220)의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디바이스 3로 전송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공유 장치의 프로세서(130)는 동시에 연결을 유지할 수 없는 디바이스들을 묶어서 표시하여 사용자가 컨텐츠의 드롭에 따라 기존 연결이 유지된 디바이스로의 전송 화면 전송이 중단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 1 내지 디바이스 3에 상응하는 모든 영역을 둘러싸는 단일폐곡선을 표시하여, 디바이스 1 내지 디바이스 3은 연결이 동시에 유지될 수 없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각 디바이스 중 현재 연결이 유지된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리스트 상의 영역의 색을 타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하거나 연결이 유지됨을 나타내는 표식을 해당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컨텐츠 공유 장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10)의 화면 상 표시하는 것을 유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평소에는 디바이스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특정 이벤트에 한정해서 디바이스 리스트가 표시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디바이스 리스트가 특정 이벤트인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도 6a와 같이 디바이스 리스트를 평소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제2 컨텐츠(220)를 선택하여 화면의 일측 가장자리(도 6a에서는 오른쪽 가장자리)로 드래그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화면의 일측 가장자리로 컨텐츠를 드래그하는 것인 경우, 디바이스 리스트(230)를 도 6와 같이 해당 일측 가장자리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바이스 리스트(230)가 표시됨에 따라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해당 컨텐츠를 드롭하여 해당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와 공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화면의 일측 가장자리로 드래그하였을 때,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영역 상에 컨텐츠를 드래그하였을 경우 디바이스 리스트가 해당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생성한 전송 영상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유 장치의 프로세서(130)는 전송 영상(510, 520)을 생성하여 각각의 외부 디바이스로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각 전송 영상(510, 520)을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표시하면서, 해당 전송 영상(510, 520)을 각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각 외부 디바이스가 해당 전송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각 전송 영상 상에 제어 인터페이스(530, 540)를 포함시켜 각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인터페이스는 전송 영상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재생, 재생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등의 일반적인 제어를 명령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각 외부 디바이스는 전송 영상을 표시하고, 전송 영상 상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니터인 경우, 외부 디바이스는 컨텐츠 공유 장치로부터 제어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전송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에 따른 입력 정보를 생성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한 것을 확인하고,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전송 영상에 상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동작 제어는, 프로세스(13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의 주 영역의 컨텐츠에 대한 제어와 독립적이고, 또한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일 컨텐츠 공유 장치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을 각 디바이스를 통해서 독립적이고,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섬네일 이미지 영역(203)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한다. 이 때, 각 컨텐츠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카메라(미도시)의 촬영을 통해 생성한 컨텐츠 등일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0) 상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 때, 터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해제(드롭) 등의 터치스크린(110) 상 사용자가 행할 수 있는 공지된 입력일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터치 입력 중 드래그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공유 장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컨텐츠를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화면의 가장자리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경우, 해당 컨텐츠가 드래그된 위치에 상응하는 가장자리에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한다.
단계 64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사용자의 드롭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공유를 위한 연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공유 장치는 사용자의 드롭 입력이 해당 컨텐츠가 디바이스 리스트에 표시된 어느 영역에 드롭되는 입력일 경우, 해당 영역에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행한다.
단계 65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드래그된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단계 66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67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단계 650에서 생성한 전송 영상에 제어 인터페이스를 삽입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단계 68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690에서 컨텐츠 공유 장치는 단계 680에서 수신한 입력 정보가 제어 인터페이스 상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의 터치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의 2배속 재생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2배속 버튼 터치에 따른 입력 정보를 컨텐츠 공유 장치로 전송한다. 컨텐츠 공유 장치는 입력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2배속 버튼을 터치함을 인식하고, 컨텐츠를 2배속으로 재생한다. 또한 컨텐츠 공유 장치는 2배속으로 재생되는 컨텐츠에 따라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540은 컨텐츠가 드롭된 영역에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와 당해 컨텐츠 공유 장치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수행되는 단계이다. 만약, 컨텐츠가 드롭된 영역에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와 당해 컨텐츠 공유 장치 간의 연결이 이전에 이루어져서 유지되고 있는 경우, 단계 540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공유 장치는 기존 연결이 형성된 디바이스와 동시에 전송 영상을 전송할 수 없는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컨텐츠가 드롭되는 경우, 기존 연결된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공유 장치는 기존 연결이 형성된 디바이스와 동시에 전송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컨텐츠가 드롭되는 경우, 기존 연결이 형성된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모바일 디바이스인 컨텐츠 공유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컨텐츠를 공유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명령어에 따라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 중 제1 컨텐츠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미리 지정된 영역으로 드래그(drag)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상기 제1 컨텐츠를 드래그하고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 상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drop)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컨텐츠 중 제2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 가장자리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송 영상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
    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타 디바이스와 연결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없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타 디바이스와 연결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
  8. 모바일 디바이스인 컨텐츠 공유 장치가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 중 제1 컨텐츠가 터치스크린의 미리 지정된 영역으로 드래그(drag)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상기 제1 컨텐츠를 드래그하고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 상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drop)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중 제2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영역에 드롭하는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0. 삭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 가장자리로 드래그(drag)할 경우,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송 영상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타 디바이스와 연결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없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타 디바이스와 연결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30114074A 2013-09-25 2013-09-25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149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074A KR101491045B1 (ko) 2013-09-25 2013-09-25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JP2016517436A JP6255488B2 (ja) 2013-09-25 2014-09-22 コンテンツ共有装置及び方法
PCT/KR2014/008779 WO2015046837A1 (ko) 2013-09-25 2014-09-22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CN201480064092.8A CN105765518B (zh) 2013-09-25 2014-09-22 用于共享内容的装置和方法
EP14847138.6A EP3051400A4 (en) 2013-09-25 2014-09-22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15/081,181 US10761715B2 (en) 2013-09-25 2016-03-25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074A KR101491045B1 (ko) 2013-09-25 2013-09-25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45B1 true KR101491045B1 (ko) 2015-02-10

Family

ID=5259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074A KR101491045B1 (ko) 2013-09-25 2013-09-25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1715B2 (ko)
EP (1) EP3051400A4 (ko)
JP (1) JP6255488B2 (ko)
KR (1) KR101491045B1 (ko)
CN (1) CN105765518B (ko)
WO (1) WO201504683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436A (ko) * 2015-09-23 2017-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176036A1 (ko) * 2016-04-05 2017-10-12 오성근 사용자 동작 기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0687A (ko) * 2018-02-21 2019-08-29 (주)형지엘리트 온라인 강의 기반의 화면 개인화 및 배분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90100739A (ko) * 2018-02-21 2019-08-29 (주)형지엘리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8089A (zh) * 2014-12-30 2016-07-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第一电子设备
US10102824B2 (en) * 2015-05-19 2018-10-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for task transfer
US10735557B2 (en) 2016-01-08 2020-08-04 Elo Touch Solutions, Inc. Device controller and viewer
KR102412283B1 (ko) * 2016-0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공유 제어 방법
EP3617869B1 (en) * 2017-06-13 2024-02-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9644181B (zh) * 2017-12-29 2021-02-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信息分享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CN110489044B (zh) * 2019-07-01 2021-02-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分享方法及终端
KR20210059177A (ko) 2019-11-15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93046B2 (en) * 2019-12-16 2021-08-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designation for remote content source device
CN112612435A (zh) * 2020-12-16 2021-04-0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487A (ko) *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347A (ja) * 1996-11-06 1998-05-29 Sharp Corp データ転送の表示および操作方法
JP4178697B2 (ja) * 1999-11-18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端末、情報入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出力方法
EP1414264B1 (en) * 2001-08-02 2016-10-26 Sony Corporation Remote operation system, remote operation method, apparatus for performing remote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aratus operated by remote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100781511B1 (ko) * 2005-06-29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US7783703B2 (en) * 2007-01-29 2010-08-24 Sony Corporation Shared home media platform to support multi-user control
US20080307324A1 (en) * 2007-06-08 2008-12-11 Apple Inc. Sharing content in a videoconference session
US9870130B2 (en) * 2008-05-13 2018-01-16 Apple Inc. Pushing a user interface to a remote device
JP4591567B2 (ja) * 2008-07-16 2010-1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00109686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JP2011090461A (ja) * 2009-10-21 2011-05-0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KR101750898B1 (ko) * 2010-12-06 2017-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8527B1 (ko) * 2010-12-07 2017-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2102416A1 (en) * 2011-01-24 2012-08-02 Lg Electronics Inc. Data sharing between smart devices
KR102023609B1 (ko) * 2011-09-26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834995B1 (ko) * 2011-10-21 201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522399B1 (ko) * 2011-12-23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1919008B1 (ko) * 2012-02-24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JP5263419B2 (ja) * 2012-03-08 2013-08-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US9582157B1 (en) * 2012-08-03 2017-02-28 I4VU1, Inc. User interface and program guide for a multi-program video viewing apparatus
US9961494B2 (en) * 2012-08-14 2018-05-01 Google Llc Sharing content with nearby devices
KR102011360B1 (ko) * 2012-09-10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2999251B (zh) * 2012-10-31 2016-02-10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设备连接管理方法
KR101919796B1 (ko) * 2013-01-1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487A (ko) *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436A (ko) * 2015-09-23 2017-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71683B1 (ko) * 2015-09-23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176036A1 (ko) * 2016-04-05 2017-10-12 오성근 사용자 동작 기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0687A (ko) * 2018-02-21 2019-08-29 (주)형지엘리트 온라인 강의 기반의 화면 개인화 및 배분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90100739A (ko) * 2018-02-21 2019-08-29 (주)형지엘리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67206B1 (ko) * 2018-02-21 2020-01-15 (주)형지엘리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10240B1 (ko) * 2018-02-21 2020-05-13 (주)형지엘리트 온라인 강의 기반의 화면 개인화 및 배분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61715B2 (en) 2020-09-01
EP3051400A1 (en) 2016-08-03
WO2015046837A1 (ko) 2015-04-02
US20160210016A1 (en) 2016-07-21
EP3051400A4 (en) 2017-05-17
JP6255488B2 (ja) 2017-12-27
JP2016533553A (ja) 2016-10-27
CN105765518B (zh) 2019-06-18
CN105765518A (zh)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045B1 (ko)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US10705727B2 (en) Flick to send or display content
US101758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1943987B1 (ko) 디바이스 간의 페이지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90814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6987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20140340344A1 (en) Display processor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KR10185030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렌더링 장치 제어 방법
US11061641B2 (en) Screen shar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4036974A1 (zh) 一种终端设备、同屏显示方法和系统
CN104238873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180020452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8919B1 (ko)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2015014464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01423A1 (zh) 交互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EP2667626A1 (en)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files, digital media controller,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files
TW202242631A (zh) 設備間目標傳輸方法及裝置、電子設備、電腦可讀儲存媒體以及電腦程式產品
JP650166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18453B1 (ko)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601763B1 (ko) 거치형 단말기에 대한 모션 제어 방법
JP5511023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