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754B1 - Apparatus for sensing touch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nsing to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754B1
KR101489754B1 KR20130119942A KR20130119942A KR101489754B1 KR 101489754 B1 KR101489754 B1 KR 101489754B1 KR 20130119942 A KR20130119942 A KR 20130119942A KR 20130119942 A KR20130119942 A KR 20130119942A KR 101489754 B1 KR101489754 B1 KR 10148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
sensing
pattern
pattern por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찬혁
김기업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KR2013011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7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Provided is a touch sensing apparatus which can enhance a touch recognition rate even though low capacitance is generated by a touch from a user. The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ing electrode part arranged on one side of a substrate; and a sensing electrode part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part. The sensing electrode part includes a first sensing electrode; a second sensing electrode arrang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 plurality of first assistant sensing electrode part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fac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each of which includes a first patter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second assistant sensing electrode part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facing the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each which includes a second patter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wherein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arrang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접촉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TOUCH}[0001] APPARATUS FOR SENSING TOUCH [0002]

본 발명은 접촉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sensing device.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휴대폰이 널리 보급되고,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폰이 대중화되면서 접촉 감지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As mobile phones equipped with touch screens are widely used and various types of smart phones are popularized, researches on touch sensing technology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대표적인 접촉 감지 장치인 터치스크린은 그 동작 방식에 따라 저항막, 정전용량, 초음파, 적외선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내구성 및 수명이 뛰어나고 멀티터치 기능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적용 분야를 넓혀가고 있다.The touch screen, which is a typical touch sensing device, can be classified into a resistance film, a capacitance, an ultrasonic wave, and an infrared ray according to its operation method. Among these, the capacitive touch screen has advantages of durability and long life, Recently, the field of application is expanding.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윈도우 전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캐패시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접촉 위치를 검출하며, 높은 내구성과 슬라이딩 형태의 입력에의 적합성 등으로 인해 그 적용 범위가 차츰 늘어나고 있다.The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detects the contact position based on the capacitance chang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user appli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window and gradually increases its application range due to high durability and compatibility with the sliding type input have.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스크린 전면부가 압력에 의해 변형될 필요가 없으므로 반영구적인 형태로 만들 수 있고 터치를 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이 직접 터치를 하지 않아도 근거리에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The capacitive touchscreen does not need to be deformed by the pressure on the front of the screen, so it can be made semi-permanent, and the touchable material, such as hand or stylus pen, can do.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캐패시턴스 변화에 기초하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는 경우 캐패시턴스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Since the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is based on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the touch of a user, when a stylus pen or the like is used,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capacitance, so that the touch may not be recognized.

따라서,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캐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전극 구조가 중요하며, 캐패시턴스 변화가 적은 부위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a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an electrode structure for sensing a capacitance change is important, and an electrode structure for sensing a touch in a region where capacitance change is small is need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낮은 캐패시턴스에도 접촉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 sens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a contact recognition rate even with a low capacitance caused by a user's cont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배치된 전극 채널 수에 비해 실질적인 감지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접촉 감지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ensing which can increase a substantial sensing area compared to the number of arranged electrode channel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접촉 입력의 선형성(Linearity)을 증가시킨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ct sensing device with increased linearity of contact inpu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전극부; 상기 구동전극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센싱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전극부는, 제1센싱전극; 상기 제1센싱전극과 인접 배치된 제2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1센싱전극과 연결된 제1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보조센싱전극부;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2센싱전극의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2센싱전극과 연결된 제2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보조센싱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패턴부에 형성된 제2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패턴부에 형성된 제1절개부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substrate; A driving electrode port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ensing electrode portion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electrode; A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fac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each including a first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each including a second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disposed in a second cut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is disposed in the first cut portion, And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incision portion formed in the pattern por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제1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축과 상이한 제2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센싱전극;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의 일측에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1패턴부 및 상기 제1패턴부에 형성된 제1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의 타측에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2패턴부 및 상기 제2패턴부에 형성된 제2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축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2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1절개부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spaced apart along a first axis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second axis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An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s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at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having a first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a first cut portion formed at the first pattern portion,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having a second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a second cut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pattern portion, Wherei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adjacent to the second pattern portion along the second axi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s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cutout along the second axis.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접촉 인식률을 향상시킨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act sensing device with improved contact recognition rate.

또한, 배치된 전극 개수에 비해 실질적인 접촉 감지 영역을 증가시킨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act sensing device in which a substantial contact sensing area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number of arranged electrodes.

또한, 접촉 인식의 선형성을 향상시킨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act sensing device with improved linearity of contact recognition.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적층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센싱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에서 센싱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종래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에 접촉 발생 시 접촉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에 접촉 발생 시 접촉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electrode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ing electrode unit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FIG.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hown in FIGS. 3 and 5. FIG.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ing electrode unit in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iving electrode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1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16 is a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when a contact occurs with a driving electrode of a conventional touch sensing apparatus.
17 is a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when a contact occurs with a driving electrode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s. 13 and 14. Fig.
19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 또는 동작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하나의 동작을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다른 동작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operatio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or one operation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 on "of another element or layer, All inclu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동전극(201)을 포함하는 구동전극부(200), 복수의 구동전극(20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전극(301)을 포함하는 센싱전극부(300)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11)을 포함하며, 구동전극(201) 및 센싱전극(301)의 교차점에는 복수의 감지셀들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touch sen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electrode unit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01 arranged in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01, And a touch panel 11 including a sensing electrode unit 300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1 that are arranged in a row and a plurality of sensing cells 301. At the intersec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201 and the sensing electrode 301, .

또한, 구동전극(201)에 순차적으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6a), 구동전극(201) 및 센싱전극(301)이 교차하는 부분(또는 감지셀) 로부터 감지된 상호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16b), 감지부(16b)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접촉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 판별부(1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동부(16a), 감지부(16b) 및 위치 판별부(16c)는 각각이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하나의 제어부(16) 내에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구동부(16a), 감지부(16b) 및 위치 판별부(16c)가 하나의 제어부(16) 내에 구현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The mutual capacitance change sensed from the intersection (or sensing cell) of the driving unit 16a, the driving electrode 201 and the sensing electrode 301 that sequentially apply driving signals to the driving electrode 201 is detected A sensing unit 16b for generating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a position determining unit 16c for sensing a touch position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16b. The driving unit 16a, the sensing unit 16b, and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16c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or may be implemented in one controller 16. FIG. Hereinafter, the driving unit 16a, the sensing unit 16b, and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16c are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in one controller 16,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구동전극(201)과 센싱전극(301)의 배열에 의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서는 구동전극(201)과 센싱전극(301) 간의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이 형성되며, 상호 정전용량이 형성된 각 교차점은 터치 인식을 구현하는 각각의 감지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A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201 and the sensing electrode 301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201 and the sensing electrode 301, Serves as each sensing cell that implements touch recognition.

즉, 구동 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201)과 교차되는 복수의 센싱전극(301)에 의한 복수의 교차점 즉, 감지셀에는 각각의 상호 정전용량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각 감지셀에 손가락 등 인체가 접촉되는 경우 감지셀에서 이에 대응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되어 인체의 접촉 또는 근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mutual capacitance is formed in each of a plurality of intersection points, that is, a sensing cell, by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1 crossing the driving electrode 201 to which a driving signal is applied, A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sensing cell occurs, so that the contact or proximity of the human body can be recogniz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mination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절연기판(100) 상에는 구동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절연기판(400)상에는 센싱전극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절연기판(100)과 상부 절연기판(400)은 센싱전극부(300)와 구동전극부(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접합될 수 있다. 1 and 2,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 may be formed on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100,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400.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 face each other.

하부 절연기판(100)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Metal Foil, FRP(Fiber Reinforced Plastic)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 기판, 또는 석영 기판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100 may be made of polyimide (PI),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ersulfone (PES), polystyrene terephthalate (PEN), metal foil or fiber reinforced plastic A glass substrate, a quartz substrate, or the like may be applied.

한편, 센싱전극부(300)가 형성되는 상부 절연기판(400)은 투명 윈도우일 수 있으며, 센싱전극부(300)는 투명 윈도우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윈도우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입력부의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도전성 물체의 의한 접촉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접촉에 따른 투명 윈도우의 손상 또는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층(미도시)을 선택적으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 윈도우는 박막유리,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또는 석영 기판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박막유리,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Metal Foil,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400 on which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is formed may be a transparent window,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The transparent window serves to maintain the contour of the input portion of the touch screen panel and at least some of the region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accommodate contact input by a conductive object, such as the user's body or stylu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dd a protective layer (not shown) to prevent damage or destruc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due to the contact. The transparent window may be a thin glass, a plastic substrate, a glass substrate, a quartz substrate, or the like. The transparent window may be formed of a thin film glass, a polyimide (PI), a polycarbonate (Pc),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polyethersulfone (PES) Foil,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or the like.

센싱전극부(300)는 상기 투명 윈도우의 일면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윈도우 상에 직접 센싱전극부(300)을 패터닝하고 배선부와 연결하여 터치 패널(도 1의 11)을 제조함으로써, 센싱전극부(300)을 별개의 기판에 형성하고 이를 OCA 등의 접착 물질을 매개로 투명 윈도우에 부착하는 부착 공정, 예컨대 라미네이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착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 요인을 제거하고, 공정의 수율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일체형으로 또는 일체로서라는 표현은, OCA 등과 같은 별도의 접착 물질을 매개로 하지 않고 센싱전극부(300)를 투명 윈도우의 일면 상에 바로 형성된다는 의미를 갖는다.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In this case,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is directly patterned on the transparent window and is connected to the wiring unit to manufacture the touch panel (11 of FIG. 1), so that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is formed on a separat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omit the adhering process of adhering to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the adhesive material, for example, the lamination process, thereby eliminating the defects that may occur in the adhering process and greatly improving the yield of the process. Therefore, the expression "integrally or integrally"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is direct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without mediating a separate adhesive substance such as OCA or the like.

즉, 그 형성 과정에 있어서 투명 윈도우에의 부착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일체의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센싱전극부(300)를 투명 윈도우에 '직접' 형성한다는 것은 투명 윈도우의 노출된 일면에 센싱전극부(300)를 직접 패터닝하는 것뿐만 아니라, 비산 방지 필름, 투명 수지 등과 같은 별도의 층이 코팅된 투명 윈도우의 면 위에 센싱 전극(300)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That is, it means any method that does not include a step of adhering to a transparent window in its formation process. The forma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directly' in the transparent window means that not only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is directly patterned on one exposed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but also a separate layer such as a scattering- And the sensing electrode 30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ated transparent window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또한, 일 실시예로, ITO가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ITO 코팅 유리(ITO coated glass)를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도 1의 11)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 기판에 코팅된 ITO를 패터닝하여 센싱전극부(30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유리 기판을 투명 윈도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도 1의 11)의 제조 공정의 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터치 패널(도 1의 11)의 두께를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O coated glass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ITO can be applied to a touch panel (11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may be formed by patterning ITO coated on the glass substrate. In this case, the glass substrate may be used as a transparent window. Accordingly, the yield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uch panel (11 of FIG. 1) can be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touch panel (11 of FIG. 1) can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센싱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electrode unit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ing electrode unit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또는 하부 절연기판)(100)의 일면에 복수의 감지영역(111)이 이차원으로 배열된 접촉 검출 영역(110) 및 접촉 검출 영역(110)의 외곽에 마련된 배선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3 to 5, a touch sensing apparatus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or example, The sensing region 111 may include a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arranged in two dimensions and a wiring region 130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

접촉 검출 영역(110)에는 구동전극부(200a) 및 감지전극부(300a)가 위치할 수 있다.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200a and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300a may be positioned in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

구동전극부(200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전극부(300a)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a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see FIG. 3) And 218.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a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0a spaced along a second axis direction (or an X axis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xis, as shown in FIGS. 3 and 5,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과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는 표현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상호 직접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사이에는 절연층(도면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and 317 can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Herein, the expression "electrically disconnected" may include the meaning that they are not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n insulating layer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May be disposed.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로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O(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재료, 또는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ine), 실버 나노 와이어(Silver Nano Wire), 메탈 메쉬(Metal Mesh)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and 317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ZO (Zinc Oxide), or the like, or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arbon nanotube, graphine, silver nanowire Nano wire, metal mesh, or the lik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and 317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may be made of materials different from each other.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그 일부에 굴곡이 형성된 구조,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구조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의 형상은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라면 그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may extend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X 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S. For example, the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tructure. That is, as long as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is extended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X axis direction)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라면 그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and 317 are formed in a stripe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axis direction (or Y axis direction) (Or Y axis direction)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described above, If the structure is formed, there is no limit.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을 제외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각각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는 제1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각각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제1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접촉 검출 영역(110)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의 경우, 일측에만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타측에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센싱전극 및 하나의 센싱전극과 연결된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상호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일체로 형성된 구조는 하나의 센싱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2, 313, 314, 315, and 316 except the sensing electrodes 311 and 317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may be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2, 313, 314, 315, and 316 on which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is formed. And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may be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nsing electrode 311 located at the left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The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may be further formed. Here,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which are connected to one sensing electrode and one sensing electrode, may have a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one another, A sensing channel can be configured.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은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제2보조센싱전극부(350, 360) 또한 구동전극부(200)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and 317,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are all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nd 360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또는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둘 이상의 구동전극과 오버랩될 수 있다. 도 3에는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또는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두개의 구동전극과 오버랩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각 보조센싱전극부(350, 360)의 형상 변화를 통해 3개 이상의 구동전극과 오버랩 될 수도 있다.Each of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or each of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may overlap with two or more of the driving electrodes. 3,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nd 360 is overlapped with two driving electrode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eac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350, and 360 may be overlapped with three or more driving electrodes.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을 제외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중 어느 하나(312)를 제1센싱전극으로 지칭하고, 제1센싱전극(312),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1센싱전극(312)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를 제1그룹이라고 지칭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a)는 제2축(또는 X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On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2, 313, 314, 315, and 316 excluding the sensing electrodes 311 and 317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is referred to as a first sensing electrode,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s 350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s 350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If the electrode unit 360 is referred to as a first group,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groups spaced along the second axis (or X axis) have.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a)는, 일측에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된 제1센싱전극(312)이 제2축(또는 X축)을 따라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일측에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된 제1센싱전극(312)은 하나의 센싱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formed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may be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second axis (or the X axis).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formed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on the other side may constitute one sensing channel.

배선 영역(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과 연결된 복수의 배선 패턴(131)이 배치되며, 각각의 배선 패턴(131)은 제어부(또는 컨트롤러)(160)과 연결되어 접촉 검출 영역(120)으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The wiring region 130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and 317 are connected to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20. Each of the wiring patterns 131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60 to detect a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20 160).

제어부(160)는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과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사이에서 생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를 획득하여 접촉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접촉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applies a driving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and 218, 215, 216, 217 and 218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and 317 to detect the contact inpu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ccurrence poi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상호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감지영역(11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와 하나의 구동전극은 상호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제1중첩감지영역(1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와 두개의 구동전극은 상호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제2중첩감지영역(11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영역이란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판단할 수 있는 일정한 단위 영역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The sensing region 111 can be formed at the overlapped portion.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and one driving electrode may form a first overlapping sensing region 113 at a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and the two driving electrodes overlap each other to form the second overlapping sensing area 115. Here, the sensing area means a certain unit area i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영역(111), 제1중첩감지영역(113) 및 제2중첩감지영역(115)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각 감지영역(111, 113, 115) 들은 상호 중첩영역을 공유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영역(111) 의 경계에서 발생 하는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미인식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접촉 입력에 대한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센싱전극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스타일러스와 같이 접촉 면적이 작은 입력의 경우에도 정확하게 접촉 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이점, 접촉 입력의 선형성(linearity)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area 111, the first overlapping sensing area 113, and the second overlapping sensing area 115 can be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nsing areas 111 and 113 , 115 share the overlapping area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unrecognized user's touch input occurring at the boundary of the sensing region 111.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sensing electrodes capable of acquiring a sensing signal for a single touch input, thereby advantageously recognizing the contact point accurately even in the case of an input having a small contact area such as a stylus, linearity can be greatly improved.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P1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5, more specifically,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P1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을 제외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중 어느 하나의 센싱전극(312, 또는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1센싱전극(312)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싱전극(312)과 인접 배치된 센싱전극(313, 또는 '제2센싱전극')의 일측에도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2, 313, 314, 315, and 316 excluding the sensing electrodes 311 and 317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or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Can be forme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ing electrode 313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ing electrode 313,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350)는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에 연결되고 제1절개부(353)가 형성된 제1패턴부(3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51)과 각 센싱전극(312, 313) 사이에는 제1공간부(357)가 형성될 수 있다.Each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may include a first pattern unit 351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and having a first cutout 353 formed therein And a first space portion 357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each of the sensing electrodes 312 and 313.

제1패턴부(351)는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의 일측으로부터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패턴부(3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first pattern unit 351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X axis direction), and may have a geometric structure . For example, the first pattern unit 351 may have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6,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a polygonal shape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or a pentagon shape.

제1패턴부(351)에는 제1절개부(3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절개부(353)에 의해 제1패턴부(351)와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은 개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cutout portion 353 may be form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first cutout portion 353 may be formed by the first cutout portion 353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53, (313) may form an open loop.

제1절개부(353)로부터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에 위치하는 제1절개부(351)로부터 제1센싱전극(31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절개부(351)로부터 제2센싱전극(313)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절개부(353)는 각 센싱전극들(312, 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distances from the first cutout portion 353 to the two adjacent sensing electrodes may be the same.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ut-off portion 351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located at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a distance from the first cut-out portion 351 to the second cut- The distance to the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the same. In other words, the first cutout portion 353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L1 bisecting a spa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s 312 and 313.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에 연결되고 제2절개부(363)가 형성된제2패턴부(3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패턴부(361)과 각 센싱전극(312, 313) 사이에는 제2공간부(357)가 형성될 수 있다.Each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may include a second pattern unit 361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and having a second cutout 363 formed therein. And a second space portion 357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and each of the sensing electrodes 312 and 313.

제2패턴부(361)는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의 타측으로부터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패턴부(3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econd pattern unit 361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X axis direction), and may have a geometric structure . For example, the second pattern unit 361 may have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6. However, the second pattern unit 361 may be a semi-circular, rectangular, or polygonal shape.

제2패턴부(361)에는 제2절개부(36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패턴부(361)와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은 제2절개부(363)에 의해 개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pattern unit 361 may have a second cutout 363 formed therein and the second pattern unit 36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utout 361, And an open loop can be formed by the opening 363.

한편, 제1패턴부(351)의 형상과 제2패턴부(361)의 형상을 비교하면, 제2패턴부(361)의 형상은 제1패턴부(35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돌출부(361)의 형상은 제1패턴부(351)를 제1축(또는 Y축)을 기준으로 대칭이동한 후, 이를 제2축(또는 X축)을 기준으로 한번 더 대칭이동한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패턴부(351)의 형상과 제2패턴부(361)의 형상의 관계를 제1축 또는 제2축에 대하여 상호 역대칭인 관계라고 정의한다.When the shape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hape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shape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is chang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It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rotated by 180 °. 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361 is obtained by symmetrically moving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or the Y-axis), and then symmetrically moving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It can be the same as the shape that has been moved. Herein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hape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is defined as a mutually symmetric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or the second axis.

제2절개부(361)로부터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에 위치하는 제2절개부(361)로부터 제1센싱전극(31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절개부(361)로부터 제2센싱전극(313)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절개부(361)는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절개부(351)와 제2절개부(361)는 서로 동일한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직선(L)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할 수 있다.The distances from the second cutout 361 to the two adjacent sensing electrodes may be the same.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utout 361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located at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a distance from the second cutout 361 to the second cutout 361, The distance to the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the same. In other words, the second cutout 361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L bisect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As a result, the first cutout portion 351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361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L, and the straight line L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can be bisected.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로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O(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재료, 또는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ine), 실버 나노 와이어(Silver Nano Wire), 메탈 메쉬(Metal Mesh)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센싱전극(312), 제2센싱전극(313),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ZO (Zinc Oxide), or the like, or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arbon nanotube, graphine, silver nanowire Nano wire, metal mesh, or the lik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the first pattern unit 351, and the second pattern unit 36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패턴부(351)는,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 형성된 제2패턴부(361)과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패턴부(351)의 일부는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 형성된 제2절개부(363) 및 제2공간부(365)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 형성된 제2패턴부(361)의 일부는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절개부(353) 및 제1공간부(355)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may be disposed to be interdigitated with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 6, a por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may include a second cutout portion 36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A portion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365 and may be located in the first cutout portion 353 And the first space portion 355. [0154]

즉,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는, 상호 교차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가 교차된 부분에 형성된 제1절개부(353) 및 제2절개부(363)에 의해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al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can be dispos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The pattern section 361 can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cutout section 353 and the second cutout section 363 formed at the intersection. Accordingly, the first pattern unit 351 and the second pattern unit 361 may be arranged to be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센싱전극부를 A1-A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의 (b)는 도 6에 도시된 센싱전극부를 B1-B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6, more specifically, FIG. 7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1-A2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6 taken along the line B1-B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패턴부(351)의 일부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개부(365)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는 제2절개부(363)에 의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을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제2절개부(363)의 폭(W1)은 제1패턴부(35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a por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cutout portion 365 as shown in FIG. 7A,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unit 36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econd cutout 363. The width W1 of the second cutout portion 363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atterned portion 351 to physically separate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from each other have.

제2패턴부(361)의 일부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개부(353)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는 제1절개부(361)에 의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을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제1절개부(353)의 폭(W3)은 제2패턴부(36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may be located in the first cutout portion 353 as shown in Figure 7B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cutout 361. [ The width W3 of the first cutout portion 353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to physically separate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from each other have.

또한,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동일한 층, 예컨대 절연층(40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싱전극도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may be located on the same layer,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400, as shown in Figs. 7A and 7B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may be located i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pattern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도 8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hown in FIGS. 3 and 5. FIG.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b)는 하나의 센싱전극에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센싱전극부(360)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는 점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300a)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8,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nd 360 is formed on one sensing electrode 3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a shown in FIG. 5,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예컨대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중 어느 하나를 제3센싱전극(311) 이라 지칭하고, 제3센싱전극(311)과 인접 배치된 센싱전극을 제4센싱전극(312)라고 지칭하면, 제3센싱전극(311)의 일측에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4센싱전극(312)의 타측에는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센싱전극(311)의 타측 및 제4센싱전극(312)의 일측에는 추가적인 보조센싱전극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센싱전극(311), 제3센싱전극(3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제3센싱전극(311)과 인접 배치되고, 제3센싱전극(311)의 일측을 바라보는 제4센싱전극(312) 및 제3센싱전극(311)의 일측과 대향하는 제4센싱전극(312)의 타측에 형성된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를 제2그룹이라 지칭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b)는 상기 제2그룹이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그룹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센싱전극부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and 317 is referred to as a third sensing electrode 311 and the sens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third sensing electrode 311 4 sensing electrode 312. A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sensing electrode 311 and a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sensing electrode 312. [ 360 may be formed. Further, an auxiliary sensing electrode may not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ensing electrode 311 and the fourth sensing electrode 312. That is, the third sensing electrode 311,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350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sensing electrode 311, and the third sensing electrode 311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sensing electrode 311, And a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sensing electrode 312 opposite to one side of the third sensing electrode 311 are referred to as a second group In other words,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group is repeatedly disposed, and a separate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may not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groups.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에서 센싱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ing electrode unit in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2)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제3보조센싱전극부(370),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사이에 위치하는 제4보조센싱전극부(38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10-1)와는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동일하다.9 and 10, the touch sensing apparatus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7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nd the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80 position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s 360.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touch sensing apparatus 10-1 shown in FIG.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c)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사이에 제3보조센싱전극부(370)가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사이에 제4보조센싱전극부(380)가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8 and 10,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70 (see FIG. 8) between each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the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8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X axis direction) Direction (or X-axis direction).

복수의 제3보조센싱전극부(370) 및 복수의 제4보조센싱전극부(380)는,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3, 제4보조센싱전극부(370, 380) 또한 구동전극부(200)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70 and the plurality of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8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1, 312, 313, 314, 315, 316, 317, The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may all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a plurality of third and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70 and 380 may also be disposed on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 respectively.

이에 따르면, 감지영역(111), 제1중첩감지영역(113) 및 제2중첩감지영역(115) 내에 위치하는 센싱 가능 구성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스타일러스와 같이 접촉 면적이 작은 입력에 대하여 인식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sensible configuration located in the sensing area 111, the first overlapping sensing area 113 and the second overlapping sensing area 115,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recognition accurac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P2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10, more specifically,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P2 in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을 제외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중 어느 하나의 센싱전극(312, 이하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1센싱전극(312)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싱전극(312)과 인접 배치된 센싱전극(313, 이하 '제2센싱전극')의 일측에도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12, 313, 314, 315, and 316 excluding the sensing electrodes 311 and 317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Can be forme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ing electrode 313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ing electrode 313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사이에는 제3보조센싱전극부(3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사이에는 제4보조센싱전극부(380)가 형성될 수 있다. A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70 may be formed between each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a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80 may be form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

각 제3보조센싱전극부(370)는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특히 제1패턴부(도 6의 351)에 연결되고 제3절개부(373)가 형성된 제3패턴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과 제3패턴부(371) 사이에는 제3공간부(375)가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70 is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or the Y axis direction), particularly to the first pattern unit (351 in FIG. 6) And a third pattern portion 371 having a third cut portion 373 formed therein. A third space 375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the third pattern unit 371.

제3패턴부(371)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로부터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과 제3패턴부(371)는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조센싱전극부(350)와 제3패턴부(37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The third pattern unit 371 may protrude from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X axis direction), and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The portion 371 may have a geometric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the third pattern unit 371 may form a rhombic shape as shown in FIG. 11,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제3패턴부(371)에는 제3절개부(37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절개부(373)에 의해 제3패턴부(371)와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는 개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제3절개부(373)로부터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에 위치하는 제3절개부(373)로부터 제1센싱전극(31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3절개부(373)로부터 제2센싱전극(313)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절개부(373)는 각 센싱전극들(312, 313) 사이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A third cutout portion 373 may be formed in the third patterned portion 371. The second cutout portion 373 may be formed by the third cutout portion 373 and two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350 may form an open loop. The distances from the third cutout portion 373 to the two adjacent sensing electrodes may be the same.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third cutout 373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located at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a distance from the third cutout 373 to the second The distance to the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the same. In other words, the third cutout portion 373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L bisecting a spa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s 312 and 313.

각 제4보조센싱전극부(360)는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특히 제2패턴부(도 5의 361)에 연결되고 제4절개부(383)가 형성된 제4패턴부(3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과 제4패턴부(381) 사이에는 제4공간부(385)가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or the Y axis direction), particularly to the second pattern unit 361 of FIG. 5 And a fourth pattern portion 381 having a fourth cut portion 383 formed therein. A fourth space portion 385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 360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제4패턴부(371)는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로부터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과 제4패턴부(371)는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와 제4패턴부(38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The fourth pattern unit 371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and may include a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and a fourth pattern The portion 371 may have a geometric structure. For example,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and the fourth pattern unit 381 may form a rhombic shape as shown in FIG. 10,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제4패턴부(381)에는 제4절개부(38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패턴부(361)와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은 제2절개부(363)에 의해 개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may include a fourth cut portion 383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36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ut portion And an open loop can be formed by the opening 363.

한편, 제4패턴부(381)의 형상과 제3패턴부(371)의 형상을 비교하면, 제4패턴부(381)의 형상은 제3패턴부(37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4패턴부(381)의 형상과 제3패턴부(371)의 형상은 상호 역대칭 관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4패턴부(381)의 형상 및 제3패턴부(37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of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is compared with the shape of the third pattern portion 371, the shape of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is chang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third pattern portion 371 It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rotated by 180 °. 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and the shape of the third pattern portion 371 may be reciprocally symmetrical. The shape of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and the shape of the third pattern portion 371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제4절개부(383)로부터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에 위치하는 제4절개부(383)로부터 제1센싱전극(31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4절개부(383)로부터 제2센싱전극(313)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4절개부(383)는 각 센싱전극들(312, 313) 사이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distances from the fourth incision portion 383 to the two adjacent sensing electrodes may be the same.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fourth cut-off portion 383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located at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a distance from the fourth cut- The distance to the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the same. In other words, the fourth cutout portion 383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L bisecting the spa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s 312 and 313.

결과적으로 제3절개부(375)와 제4절개부(385)는 서로 동일한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직선(L)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hird cutout 375 and the fourth cutout 385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L, and the straight line L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can be bisected.

또한, 제1절개부(도 6의 353) 및 제2절개부(도 6의 363)도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는 바, 최종적으로 제1절개부(도 6의 353), 제2절개부(도 6의 363), 제3절개부(373), 제4절개부(383)은 모두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utout portion 353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363 of FIG. 6 are also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bisect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6), the third incision portion 373, and the fourth incision portion 383 are all dispose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the first incision portion 353, the second incision portion 363, the third incision portion 373, Or in the Y-axis direction).

제3패턴부(371)는 제2축(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4패턴부(381)와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3패턴부(371)의 일부는 제2축(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제4절개부(383) 및 제4공간부(385)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4패턴부(381)의 일부는 제2축(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제3절개부(373) 및 제3공간부(375)에 위치할 수 있다.The third pattern units 371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fourth pattern units 381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s (or X axis) direction. 11, a portion of the third pattern portion 371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2 may include a fourth cutout portion 383 (see FIG. 11) And a part of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may be located in the fourth space portion 385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13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And may be located in the third incision portion 373 and the third space portion 375 facing each other.

즉,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제3패턴부(371) 및 제4패턴부(381)는, 상호 교차 배치될 수 있으며, 제3패턴부(371) 및 제4패턴부(381)가 교차된 부분에 형성된 제3절개부(373) 및 제4절개부(383)에 의해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패턴부(371)와 제4패턴부(381)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pattern portion 371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al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may be dispos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pattern portion 371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The pattern section 381 can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third cut section 373 and the fourth cut section 383 formed at the intersection. Accordingly, the third pattern portion 371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381 may be arranged to be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3보조센싱전극부(370) 및 제4보조센싱전극부(380)는 도 8에 도시된 센싱전극부(300b)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c)는 도 8에 도시된 센싱전극부(300b)에 제3보조센싱전극부(370) 및 제4보조센싱전극부(380)를 추가 형성한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70 and the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8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b shown in FIG. That is,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70 and a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80 in addit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b shown in FIG. Lt; / RTI >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touch s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3)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10-1)와는 센싱전극부의 구조가 상이하며, 이외 구성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3)는 센싱전극부(300d)에 포함된 복수의 센싱전극(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이 두개 이상의 선으로 분리 및 재결합이 반복되는 병렬구조를 갖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10-1)의 센싱전극부(300a)와는 일부 상이하다.The touch sensing apparatus 10-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touch sensing apparatus 10-1 shown in Fig. 3 in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touch sensing apparatus 10-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included in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d are connected to two or more lines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is partially different from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a of the touch sensing device 10-1 shown in FIG. 3 in that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 has a parallel structure in which separation and recombination are repeated.

복수의 센싱전극(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들의 일측 및 타측에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 검지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의 경우에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50 and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 360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21, 322, 323, 324, 325, 326, 327, . In the case of the sensing electrodes 311 and 317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units 350 and 360 may be formed.

복수의 센싱전극(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21, 322, 323, 324, 325, 326, 327, and 328,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복수의 센싱전극(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을 두 개 이상의 선으로 분리 및 재결합이 반복되는 병렬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센싱전극을 이루는 도전성 물질의 저항성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접촉 감지 장치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영역(111), 제1중첩감지영역(113) 및 제2중첩감지영역(115) 내에 위치하는 센싱 가능 구성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스타일러스와 같이 접촉 면적이 작은 입력에 대하여 인식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When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are formed in a parallel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lines are separated and recombined, a resistance compon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constituting the sensing electrod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realize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speed of the touch sensing device can be improv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sensible configuration located in the sensing area 111, the first superimposed sensing area 113 and the second superimposed sensing area 115, so that the recogni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for an input having a small contact area such as a stylu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electrode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도 2의 10-1)와는 구동전극부의 구조가 상이하며, 이외 구성은 동일하다.13 and 14, the touch sensing device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touch sensing device 10-1 shown in Fig. 3 in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Are the sam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4)의 구동전극부(200b)는,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231),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251)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b of the touch sensing device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1, 222, 223, 224, 225, 226, 227,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31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1, 222, 223, 224, 225, 226, 227, and 228.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은 제2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1, 222, 223, 224, 225, 226, 227, and 228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along the second axis direction.

복수의 제1돌출부(231)는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의 일측에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돌출부(231)는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along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X axis direction)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31 may be regularly arranged.

복수의 제2돌출부(251)은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의 타측에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돌출부(251)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may be formed along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X axis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1, 222, 223, 224, 225, 226, 227,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may be regularly arranged.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은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과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1, 222, 223, 224, 225, 226, 227 and 228, .

아울러,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은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과 서로 동일한 층, 예컨대 기판(10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센싱전극부(300a)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1, 222, 223, 224, 225, 226, 227, and 228, And can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a.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구동전극(221, 228)을 제외한 복수의 구동전극(222, 223, 224, 225, 226, 227) 중 어느 하나의 구동전극(222)을 제1구동전극으로 지칭하고, 제1구동전극(222), 제1구동전극(222)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 및 제1구동전극(222)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를 제3그룹이라고 지칭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극부(200b)는 제1축(또는 Y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3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그룹 각각, 즉 제1구동전극(222)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 및 제1구동전극(222)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는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3그룹은 각각이 하나의 구동채널을 이룰 수 있다.The driving electrodes 222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2, 223, 224, 225, 226, and 227 excluding the driving electrodes 221 and 228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are driven And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ng portions 231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ng portions 231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If the protrusion 251 is referred to as a third group,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groups spaced along the first axis (or the Y axi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31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re disposed in the third group, And the third group may each be a single drive channel.

한편, 도면을 기준으로 접촉 검출 영역(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구동전극(221)의 경우, 도 13 및 14에는 타측에 복수의 제2돌출부(251)가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의 제1돌출부(231)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즉, 구동전극(221)의 경우 타측에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riving electrode 221 located at the upper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on the basis of the drawing,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251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FIGS. 13 and 14, 1 projections 231 are formed,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That is, in the case of the driving electrode 221,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may not be formed on the other side.

유사하게 도면을 기준으로 접촉 검출 영역(110)의 하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구동전극(228)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일측에는 제1돌출부(231)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Similarly, in the case of the driving electrode 228 located at the lower edge of the contact detection region 110 on the basis of the drawing, the first protrusion 231 may not be formed on one side, unlike the one shown in the drawing.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1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축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 및 복수의 제2돌출부(251)은 서로 이격 배치되되,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돌출부(231)는 제2돌출부(25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돌출부(251)는 제1돌출부(23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5 and 16,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31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facing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to be meshed with each other.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protrusion 231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protrusions 25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s 251, 1 projections 231,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복수의 구동전극(222, 223, 224, 225, 226, 227) 중 어느 하나의 구동전극(222, 또는 제1구동전극)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이 형성되고, 제1구동전극(222)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전극(222)와 제1축 방향을 따라 인접 배치된 구동전극(223, 또는 제2구동전극)의 일측에도 복수의 제1돌출부(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구동전극(223)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ng portions 231 are formed on one 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2, 223, 224, 225, 226, and 227 (driving electrode 222 or first driving electrod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nd the driving electrode 223 or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rotrusions 223.

제1구동전극(222)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231)는, 제2구동전극(223)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251)과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31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re arranged to be interdigitat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223 .

즉,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는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rotrusions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s 251 facing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or the Y axis direction) can be arranged to be meshed with each other in a physically separated state.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상호 맞물려 배치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그 형상의 제한이 없다. 예컨대 도 13 및 도 14에는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가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 등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231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51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231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51 can be arranged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13 and 14 illustrate that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have a triangular shape. However,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may be semicircular, rectangular, pentagonal, And may have various geometric shapes.

아울러, 도 14 및 도 15에는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의 형상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배치만이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14 and 15, the shapes of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each other and only the arrangement thereof is shown as being different.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25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제1돌출부(231)의 형상과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상호 역대칭인 관계일 수도 있다. 즉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제1돌출부(2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251 may be reciprocally symmetrical. That is,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251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231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180 degree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동전극(222) 및 제2구동전극(223) 사이에서 접촉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접촉 입력에 의해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는 동시에 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접촉 입력에 대하여 적어도 두개의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접촉 입력의 좌표계산이 정확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a contact input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nd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223,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are simultaneously touched . Th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t least two sensing signals for one touch input, and consequently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ordinate calculation of the touch input is correct.

또한 제1구동전극(222)과 제2구동전극(223)의 경계부분의 면적은, 상호 이격된 제1돌출패턴(231) 및 제2돌출패턴(251)에 의해 증가되며, 이에 따라 상호 정전용량 변화 측정의 기초가 되는 전기장이 보다 조밀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한 상호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시키는 접촉 입력(예컨대 스타일러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접촉 입력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area of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nd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223 is increased by the first protruding pattern 231 and the second protruding pattern 251 spaced from each other, The electric field serving as a basis of the capacitance change measurement becomes more densely generated. Therefore, even when a contact input (for example, a stylus) that generates a fine mutual capacitance change is gene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act input recognition degree can be improved.

한편, 상술한 도 13에는 접촉 감지 장치의 센싱전극부로서,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300a)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즉, 구동전극부(200b)와 함께 접촉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센싱전극부로서,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센싱전극부도 적용될 수 있다.In FIG. 13, the sensing electrode unit 300a shown in FIG. 5 is applied as the sensing electrode unit of the touch sensing device,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That is, the sensing electrode unit shown in Figs. 8, 10, and 12 may also be applied as the sensing electrode unit constituting the touch sensing device together with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b.

도 16은 종래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에 접촉 발생 시 접촉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에 접촉 발생 시 접촉 부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when a contact occurs with a driving electrode of a convention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FIG. 17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contact portion when a contact occurs to the touch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ing device shown in FIG.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구동전극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접촉 감지 장치의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T1)이 발생한 경우, 하나의 구동채널(CH2)를 기초로 하여 접촉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경우, 이웃하는 구동전극이 상호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는 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T1)이 발생한 경우 두개의 구동채널(CH1, CH2)를 기초로 접촉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접촉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Referring to FIGS. 16 and 17,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ouch sensing device in which no protrusion is formed on the driving electrode, as shown in FIG. 16, when a first contact T1 is generated, And the contact position is detect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ouch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interval in which neighboring driving electrodes overlap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tact T1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17, The contact position is detected. There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accurate contact position can be detected.

아울러, 도 16에 도시된 각 구동전극의 Y축 방향 폭과 도 17에 도시된 각 구동전극의 Y축 방향 평균 폭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종래의 접촉 감지 장치는 하나의 구동채널(CH2)이 제1접촉(T1)의 검출에만 기여할 수 있으며, 제2접촉(T2)의 검출에는 기여를 할 수 없다. 반면,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하나의 구동채널(CH2)이 제1접촉(T1) 뿐만 아니라 제2접촉(T2)의 검출에도 기여를 하게 된다. 16 is the same as the Y-axis direction width of each drive electrode shown in FIG. 17, the conventional touch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16 has one The drive channel CH2 can only contribute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contact T1 and can not contribute to the detection of the second contact T2. On the other hand, in the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one drive channel CH2 contributes to detection of the second contact T2 as well as the first contact T1.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채널 간격(pitch)에서 하나의 구동전극이 기여하는 접촉 감지 범위가 더 넓어지는 이점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접촉 감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채널 간격(pitch)을 종래 구조에 비해 넓히더라도 더 정확한 감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보다 적은 채널 수의 구동전극으로 기존과 비슷한 수준의 감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톱니 모양 구동 전극으로 구현된 6mm 채널 간격의 구동 전극은 기존의 직사각형 형태의 4.5mm 채널 간격의 구동 전극과 유사한 접촉 감지 성능을 보인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ontact sensing range contributed by one driving electrode in the same channel pitch is wider, thereby enabling more accurate contact sensing. Further, even if the pitch of the channel is wid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more accurate detection performance can be realized, and a sensing performance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can be realized with a driving electrode with a smaller number of channels. The driving electrode of 6 mm channel spacing implemented with another serrated driving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similar contact sensing performance as a driving electrode of 4.5 mm channel spacing in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shape.

한편, 상기 돌출부의 Y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길이는 구동 전극의 Y축 방향 폭의 20~50% 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의 양측에 돌출부가 모두 형성된 경우, 각 돌출부의 Y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구동 전극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의 20~40%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구동전극의 일측에만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각 돌출부의 Y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구동 전극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의 30~50% 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전극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의 1/3 이 되도록 돌출부의 Y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기존의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된 구동전극에 비해 채널 수를 1/3로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length of the proj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set to 20 to 50% of the width of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Y-axis direction. 13 and 14, when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electrode, the maximum length of the protrusions in the Y-axis direction is 20 to 40% of the width of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set.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trusion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driving electrode, the maximum length of each protrusion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set to 30 to 50% of the width of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Y- Further, the maximum length of the projecting portion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set to be 1/3 of the width of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Y-axis direction. In this case, the number of channels is 1/3 Can be reduced.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13, and FIG. 19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driv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극부(200c)는 두개의 그룹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점에서 하나의 그룹(예컨대 상술한 제3그룹)이 반복 배치되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구동전극부(200b)와는 차이점이 존재한다.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b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in which one group (for example, the third group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arranged in that two groups are repeatedly arranged, There is a difference.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복수의 구동전극(222, 223, 224, 225, 226, 227) 중 어느 하나의 구동전극(222, 또는 제1구동전극)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이 형성되고, 제1구동전극(222)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3돌출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전극(222)와 제1축 방향을 따라 인접 배치된 구동전극(223, 또는 제2구동전극)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구동전극(223)의 일측에는 제4돌출부(26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8 and 19, specifically, on one 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222, 223, 224, 225, 226, and 227, A plurality of third protrusions 24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nd the driving electrode 223 or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 fourth protrusion 26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223.

제1구동전극(222), 제1돌출부(231) 및 제3돌출부(241)를 제4그룹이라 지칭하고, 제2구동전극(223), 제2돌출부(251) 및 제4돌출부(261)를 제5그룹이라 지칭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극부(200c)는 상기 제4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이 반복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그룹 각각 및 상기 제5그룹 각각은 구동채널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the first projection 231 and the third projection 241 are referred to as a fourth group and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223, the second projection 251 and the fourth projection 261, The driving electrode unit 200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th group and the fifth group are repeatedly arranged. And each of the fourth group and the fifth group may be a driving channel.

제1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돌출부(231)는 제2돌출부(25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돌출부(251)는 제1돌출부(23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facing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may be arranged to be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protrusion 231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protrusions 251, 1 projections 231, respectively.

예컨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전극(222)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231)는, 제1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돌출부인, 제2구동전극(223)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251)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ng portions 231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222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223, which is a protruding portion facing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can be disposed to be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the second protrusions 251 formed therebetween.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1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제3돌출부(241) 및 제4돌출부(261)도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돌출부(241) 및 제4돌출부(261)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3돌출부(241)는 제4돌출부(26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4돌출부(261)는 제3돌출부(24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third protrusion 241 and the fourth protrusion 261 facing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may be arranged to be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third projection 241 and the fourth projection 26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hird projection 241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fourth projections 261, and the fourth projection 261 is arranged between the third projection 241 and the fourth projection 261, 3 protrusions 241, respectively.

한편, 도면에는 제1돌출부(231), 제2돌출부(251), 제3돌출부(241) 및 제4돌출부(261)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 등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각 돌출부(231, 241, 251, 261)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first protrusion 231, the second protrusion 251, the third protrusion 241 and the fourth protrusion 261 are shown as having a triangular shape in the figure, this is only one example, In addition, it may have various geometric shapes such as a semicirc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a polygonal shape larger than a pentagon, or a combination of these shapes. Each of the protrusions 231, 241, 251 and 261 may have the same shape, and at least one of them may have a different shape.

또한 제3돌출부(241)의 형상과 제1돌출부(231)의 형상은, 제2축(또는 X축)에 대하여 상호 대칭일 수 있으며, 제4돌출부(261)의 형상과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제2축(또는 X축)에 대하여 상호 대칭일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third protrusion 241 and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231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or the X axis), and the shape of the fourth protrusion 261 and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251 May be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or the X axi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10-1, 10-2, 10-3, 10-4 : 접촉 감지 장치
100: 절연기판
131: 배선패턴
160: 제어부
200, 200a, 200b, 200c: 구동전극부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구동전극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구동전극
231: 제1돌출부
251: 제2돌출부
241: 제3돌출부
261; 제4돌출부
300, 300a, 300b, 300c, 300d: 센싱전극부
311, 312, 313, 314, 315, 316, 317: 센싱전극
350: 제1보조센싱전극부
360: 제2보조센싱전극부
370: 제3보조센싱전극부
380: 제4보조센싱전극부
400: 절연층
10, 10-1, 10-2, 10-3, 10-4: Contact sensing device
100: insulating substrate
131: wiring pattern
160:
200, 200a, 200b, and 200c: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31: first protrusion
251: second projection
241: Third protrusion
261; The fourth protrusion
300, 300a, 300b, 300c, 300d: sensing electrode unit
311, 312, 313, 314, 315, 316, 317: sensing electrodes
350: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
360: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
370: a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
380: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
400: insulating layer

Claims (37)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전극부;
상기 구동전극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센싱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전극부는,
제1센싱전극;
상기 제1센싱전극과 인접 배치된 제2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1센싱전극과 연결된 제1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보조센싱전극부;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2센싱전극의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2센싱전극과 연결된 제2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보조센싱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패턴부에 형성된 제2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패턴부에 형성된 제1절개부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An insulating substrate;
A driving electrode port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A sensing electrode unit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Lt; / RTI >
The sensing electrode unit,
A first sensing electrode;
A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fac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each including a first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facing one sid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each including a second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Lt; / RTI >
Wherei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attern part is disposed in a second cut part formed in the second pattern part,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is disposed in a first cut portion form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제1센싱전극과 상기 제2센싱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 상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ncision portion and the second incision portion comprise:
Wherein the touch sensing device is located o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으로부터 상기 제1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상기 직선으로부터 상기 제2센싱전극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접촉 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tance from the straight line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distance from the straight line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1센싱전극 사이에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상기 제2센싱전극 사이에는 제2공간부가 형성된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공간부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attern part is located in the second space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attern part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 상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The contact sensing device being located on the same lay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연결된 제3패턴부 및 상기 제3패턴부에 형성된 제3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3보조센싱전극부;
상기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연결된 제4패턴부 및 상기 제4패턴부에 형성된 제4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4보조센싱전극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패턴부와 상기 제4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접한 제4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4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접한 제3절개부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and having a third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a third cut portion formed in the third pattern portion;
A plurality of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and having a fourth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a fourth cut portion formed in the fourth pattern porti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third pattern portion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pattern part is disposed in the adjacent fourth incision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fourth pattern parts is disposed in the adjacent third incision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3패턴부 사이에는 제3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상기 제4패턴부 사이에는 제4공간부가 형성된 접촉 감지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third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third pattern portion,
And a fourth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4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4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공간부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pattern part is located in the fourth space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fourth pattern part is located in the third space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상기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 상기 복수의 제3보조센싱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4보조센싱전극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the plurality of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s In addition,
The contact sensing device being located on the same lay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전극 및 상기 제2센싱전극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touch sensing device in the form of a str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전극 및 상기 제2센싱전극은,
2개 이상의 선으로 분리와 재결합이 반복되는 병렬구조형태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tact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parallel structure in which separation and recombination are repeated with two or more l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극부는,
제1구동전극;
상기 제1구동전극과 인접 배치된 제2구동전극;
상기 제2구동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제1구동전극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
상기 제1구동전극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2구동전극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electrode unit
A first driving electrode;
A second driving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facing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facing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 RTI >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meshing engagement with each oth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반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touch sensing device comprising a semicircular or polygonal shap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각각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구동전극의 폭의 20% 내지 50%이고,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 각각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구동전극의 폭의 20% 내지 50%인 접촉 감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 maximum leng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is 20% to 50% of a width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Wherein a maximum leng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is 20% to 50% of a width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제2돌출부를 180°회전한 형상과 동일한 접촉 감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hape of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rotated by 180 DE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전극, 상기 제2구동전극,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The contact sensing device being located on the same lay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극부와 상기 센싱전극부는,
서로 상이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electrode unit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may include:
Wherein the contact sensing devices are located in different layers.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물체에 의해 상기 구동전극부와 상기 센싱전극부 사이에서 생성되는 상호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상호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unit sensing a change in mutual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unit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by a contact object and generating contact information based on the mutual capacitance change; Further comprising: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의 일면 상에 제1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축과 상이한 제2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센싱전극;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의 일측에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1패턴부 및 상기 제1패턴부에 형성된 제1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의 타측에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2패턴부 및 상기 제2패턴부에 형성된 제2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축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2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1절개부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An insulating substrat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spaced apart along a first axis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second axis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An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s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at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having a first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a first cut portion formed at the first pattern portion,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having a second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a second cut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pattern portion, part; Lt; / RTI >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disposed in a second cutout adjacent to the second axis,
And at least some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s are disposed in a first cutout along the second axi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제1축과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al direction,
And is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first axi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각각의 상기 센싱전극 사이에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각각의 상기 센싱전극 사이에는 제2공간부가 형성된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A first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each of the sensing electrodes,
And a second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each of the sensing electrode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상기 제2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상기 제1공간부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axis,
And at least some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s are located in the first spatial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axi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상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The contact sensing device being located on the same lay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연결된 제3패턴부 및 상기 제3패턴부에 형성된 제3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3보조센싱전극부;
상기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연결된 제4패턴부 및 상기 제4패턴부에 형성된 제4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4보조센싱전극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3패턴부와 상기 제4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4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4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3절개부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A plurality of thir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and having a third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a third cut portion formed in the third pattern portion;
A plurality of fourth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sensing electrode portions and having a fourth patter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a fourth cut portion formed in the fourth pattern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third pattern portion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neighboring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s direc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pattern portions is disposed in a fourth cut along the second axial direction,
And at least some of the fourth pattern portions are disposed in a third cutout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cutout portion along the second axial direction.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3패턴부 사이에는 제3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상기 제4패턴부 사이에는 제4공간부가 형성된 접촉 감지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A third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third pattern portion,
And a fourth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the fourth pattern portion.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4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4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3공간부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pattern portion is located in a fourth space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axis
And at least a part of the fourth pattern parts is located in a third spatial part adjacent to the second axis.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제2, 제3, 제4보조센싱전극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first, second, third,
The contact sensing device being located on the same lay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중 하나 이상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is in the form of a strip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중 하나 이상은,
2개 이상의 선으로 분리와 재결합이 반복되는 병렬구조형태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comprises:
The contact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parallel structure in which separation and recombination are repeated with two or more line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drive electrodes; / RTI >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neighboring along the first axi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be meshed with each other.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반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touch sensing device comprising a semicircular or polygonal shape.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 각각의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상기 구동전극의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폭의 20% 내지 40%인 접촉 감지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Is 20% to 40% of the width of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제2돌출부를 180°회전한 형상과 동일한 접촉 감지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shape of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rotated by 180 DEG.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plurality of drive electrodes, the first projections and the second projections,
The contact sensing device being located on the same lay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comprise:
A touch sensing device located on a different layer.
제20항에 있어서,
접촉 물체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사이에서 생성되는 상호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상호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sensing a change in mutual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by a contact object and generating contact information based on the mutual capacitance change.
KR20130119942A 2013-10-08 2013-10-08 Apparatus for sensing touch KR101489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942A KR101489754B1 (en) 2013-10-08 2013-10-08 Apparatus for sensing t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942A KR101489754B1 (en) 2013-10-08 2013-10-08 Apparatus for sensing to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754B1 true KR101489754B1 (en) 2015-02-04

Family

ID=5259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942A KR101489754B1 (en) 2013-10-08 2013-10-08 Apparatus for sensing tou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7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8838A1 (en) 2009-07-22 2011-01-27 Ritdisplay Corporatio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130074380A (en) * 2011-12-26 2013-07-04 (주) 태양기전 Touch screen panel
KR20130074489A (en) * 2011-12-26 201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Sensing electrode patten
KR20130102024A (en) * 2013-07-30 2013-09-16 주식회사 지니틱스 Driving electrode pattern, touch panel, touch panel module,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8838A1 (en) 2009-07-22 2011-01-27 Ritdisplay Corporatio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130074380A (en) * 2011-12-26 2013-07-04 (주) 태양기전 Touch screen panel
KR20130074489A (en) * 2011-12-26 201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Sensing electrode patten
KR20130102024A (en) * 2013-07-30 2013-09-16 주식회사 지니틱스 Driving electrode pattern, touch panel, touch panel module,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1877B2 (en) Electrode pattern of touch panel
KR200481136Y1 (en) Touch electrode device
KR102119791B1 (en) Touch panel
KR101363361B1 (en) Panel for sensing touch input
US9851855B2 (en)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touch sensor
US20120206401A1 (en) Hybrid touch panel device
US9753595B2 (en) Touch screen panel
KR101679622B1 (en) Touch input device
US20160139727A1 (en) Touch screen panel
US20170205957A1 (en) Curve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140347579A1 (en) Electrode pattern of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01072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sensing function and conductive layer structure thereof
KR101618653B1 (en) Touch input device and touch detecting method
US20140152915A1 (en) Touch panel
KR102175045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489754B1 (en) Apparatus for sensing touch
US10712859B2 (en) Touch-sensitive control device
KR20160080069A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612123B2 (en) Capacitive input device
KR101293165B1 (en) Panel for sensing touch input
KR101363877B1 (en) Touch screen panel
KR20130044248A (en) Panel for sensing touch input
TWI459448B (en) Touch pad
KR102558365B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81791B1 (en) Touch input device and touch detec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