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620B1 - Wearable display apparatus for wri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earable display apparatus for wri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620B1
KR101489620B1 KR20140009547A KR20140009547A KR101489620B1 KR 101489620 B1 KR101489620 B1 KR 101489620B1 KR 20140009547 A KR20140009547 A KR 20140009547A KR 20140009547 A KR20140009547 A KR 20140009547A KR 101489620 B1 KR101489620 B1 KR 10148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unit
rotation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9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일
서병국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221,068 priority Critical patent/US99713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6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Disclosed are a wearable display apparatus for wris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disclosed wearable display apparatus for wrist includes a hidden display unit which is connected to a wearing unit to be combined with a wrist; a main display unit which is located on the hidden display unit; and a rotation unit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hidden display unit and the main display unit and rotates the main display unit.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in a default initial location, the main display unit is not exposed. When the main display unit rotates, at least a part of the hidden display unit is exposed.

Description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Wearable display apparatus for wri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손목에 착용 가능하며, 디스플레이의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and can change a display mode of a displa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에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 다양한 형태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워치는 일반 시계보다 향상된 기능들을 장착하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손목 시계를 의미한다. Recently, various types of wearable display devices such as a smart glass and a smart watch have been developed and released. In particular, smart watches are wristwatches of embedded systems equipped with more advanced functions than ordinary watches.

초기의 스마트 워치는 기본적인 계산 기능과 번역 기능, 및 게임 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현재의 스마트 워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을 구동하는 등 종래의 스마트 폰 내지 태블릿 PC와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다. Early SmartWatch had basic calculation, translation, and game functions. SmartWatch today is used in the same way as conventional smartphones or tablet PCs, such as driving mobile applications.

그런데, 스마트 워치 등의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스마트 폰 등과 같이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채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표시 모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However, since the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has a characteristic to be worn on the wrist of a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opt a large-sized display such as a smart phon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various display modes for a user using a relatively small display.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손목에 착용 가능하며, 디스플레이의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rist-wearable display device which can be worn on the wrist and can chang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여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rist-wearing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ovide a wider screen to a user by using two display por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손목과 결합된 착용부와 연결되는 히든 디스플레이부; 상기 히든 디스플레이부 상에 위치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디폴트된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히든 디스플레이부는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히든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rist-wear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hidden display part connected to a wear part coupled to a wrist; A main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hidden display unit; And a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main display unit.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at a default initial position, the hidden display unit is not exposed, and when the main display unit rotates,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hidden display unit is exposed A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손목 밴드에 결합된 히든 디스플레이부, 상기 히든 디스플레이부 상에 위치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히든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including a hidden display unit coupled to a wristband, a main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hidden display unit, and a rotation unit rotating the main display unit Detecting rota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by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hidden display unit and the main display unit using the sensed rotation.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모드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wrist-wearabl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vantageous in that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can be rotat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by using a small displa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2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여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wrist-wear-type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ider screen to a user by using two display uni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회전 가능한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표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able wrist-wor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otation unit of a wrist-wea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wea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information display of the wrist-wea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rist-wea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체부(110), 착용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to 3,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wearer 120, and a rotation unit 130. 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체부(11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부(111)를 포함하며, 오디오부, 표시 제어부, 통신부, 센서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내지 도 3 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착용부(120)는 손목과 결합되는 시계줄일 수 있으며, 본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11)를 고정시킨다.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11, and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unit, a display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unit, a sensor unit, and the like (not shown in FIGS. 1 to 3) ). The wearer 120 may be a wrist strap coupled to the wrist and fixes the body 110 and the display unit 11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11)의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11)의 단면은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10) 내지 디스플레이부(111)의 단면은 '직사각형'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display portion 111 may be rectangul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display unit 111 may have various shape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110 or the display unit 111 is 'rectangular'.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11)(일례로, 터치 디스플레이)는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고, 오디오부(일례로, 스피커)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한다. 일례로서, 디스플레이부(111) 및 오디오부에 의해 표현되는 시각적/청각적 정보는 시간 정보, 메시지, 동영상, 음성 정보 등일 수 있다. In detail, the display unit 111 (e.g., touch display) displays visual information, and the audio unit (e.g., a speaker) outputs auditory information. As an example, the visual / auditory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display unit 111 and the audio unit may be time information, messages, moving pictures, voice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통신부는 이동통신 망 또는 WIFI 망 등의 외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스마트 폰 내지 태블릿 PC 등과 페어링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근접 센서(일례로, 자기 센서 등)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directly receives data through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FI network, or receives data by pairing with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The sensor unit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 proximity sensor (e.g., a magnetic sensor, etc.), and the like.

그리고, 표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11)의 시각적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111 and displays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or 'vertical display mode' .

일례로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20)의 폭 방향(W1)과 디스플레이부(111)의 폭 방향(W2)이 동일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는 '세로 배치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며, 표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즉,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4 (a), when the width direction W 1 of the wearing portion 120 is equal to the width direction W 2 of the display portion 111, The display control unit can control (i.e., maintain or chang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to the " portrait display mode. &Quot;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20)의 폭 방향(W1)과 디스플레이부(111)의 길이 방향(L2)이 동일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는 '가로 배치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며, 표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of the worn portion 120 in the width direction (W 1) and the display unit 111 longitudinally when (L 2) is the same, the display section 111 of, as shown in Figure 4 (b) The display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to be the 'horizontal display mod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1)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여 가로 배치 상태 또는 세로 배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을 중심으로 한 평면도 상으로, 디스플레이부(111)는 왼쪽(

Figure 112014008253827-pat00001
) 또는 오른쪽(
Figure 112014008253827-pat00002
)으로 배치되며, 위쪽 방향(
Figure 112014008253827-pat00003
) 또는 아랫쪽 방향(
Figure 112014008253827-pat00004
)으로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1 may be in a horizontally arranged state or a vertically arranged state by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n a state where the wrist-wearing display apparatus 100 is worn by a user . In other words, on a plane view centered on the user's eyes while worn by the user, the display unit 111 displays the left (
Figure 112014008253827-pat00001
) Or right (
Figure 112014008253827-pat00002
), And the upper direction (
Figure 112014008253827-pat00003
) Or downward direction (
Figure 112014008253827-pat00004
As shown in Fig.

표시 제어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그리고, 회전부(130)는 본체부(110) 또는 디스플레이부(111)를 회전시켜서 배치 상태를 조절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전부(130)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부(111)"로 통칭해서 표시하기로 한다. The rotation unit 130 rotates the main body 110 or the display unit 111 to adjust the arrangement stat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constituent elements rotated by the rotation unit 130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isplay unit 111 ".

세부적으로, 회전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1)와 연결되는 제1 회전 제공부(131) 및 착용부(120)와 연결되는 제2 회전 제공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 제공부(131)는 제2 회전 제공부(132)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In detail, the rotation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support unit 131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11 and a second rotation support unit 132 connected to the wear unit 120. The first rotation providing portion 13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providing portion 132 to rotate the display portion 1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회전 제공부(132)는 착용부(1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 회전 제공부(131)는 제2 회전 제공부(132) 상에서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부(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각도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11)는 최초 도 4 (a)의 세로 배치 상태에서 ±90° 범위 내에서 회전되거나, 또는 방향에 관계없이 360°로 회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tation providing portion 132 is fixed to the wear portion 120, and the first rotation providing portion 131 rotates on the second rotation providing portion 132, (111) can be rotated. Here, the rotation angle can be designed variously. For example, the display portion 111 may be designed to be rotated within a range of ± 90 ° in the longitudinally arranged state of FIG. 4 (a), or rotated 360 ° regardless of th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전 제공부(131) 및 제2 회전 제공부(132)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톱니바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제공부(131)는 톱니바퀴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제2 회전 제공부(132)는 볼트(1321), 톱니바퀴 구조를 회전시키는 걸림부(1322) 및 걸림부(132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1323)(일례로, 스프링)을 포함한다. 즉, 걸림부(1322)는 탄성 부재(1323)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톱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 회전 제공부(132)는 톱니바퀴 구조의 제1 회전 제공부(131)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roviding portions 131 and 132 may have a gear wheel structure. 2, 3 and 5, the first rotation providing portion 131 has a gear structure, and the second rotation providing portion 132 includes a bolt 1321, a gear wheel structure And an elastic member 1323 (for example, a spring) for moving the latching portion 1322 and the latching portion 1322 up and down. That is, the engaging portion 1322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elastic member 1323 to the adjacent teeth, so that the second rotation supporting portion 132 rotates the first rotation supporting portion 131 of the gear- .

한편, 디스플레이부(111)가 직사각형이 아닌 다른 비 정방 형상을 가질 경우(예를 들어, 타원형, 마름모형 등)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 모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ode control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when the display unit 111 has a non-square shape other than a rectangular shape (e.g., elliptical shape, rhombus shape, etc.).

보다 상세하게, 정방 형상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직교하는 수직 길이 및 수평 길이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수직 길이로 정의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수평 거리라고 가정할 때, 수직 길이에 상응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정의하고, 수평 길이에 상응하는 방향을 폭방향으로 정의하면, 앞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배치 상태에 기초하여 표시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 vertical length and a horizontal length orthogon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square shape can be defined. If a relatively long length is defined as a vertical length and a relatively short length is defined as a horizontal distance,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is defined a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is defined as a width direction. The layout state of the display unit 111 can be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display mode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determined layout state.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회전부(130)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회전부(130)는 큐빅 퍼즐의 회전 구조, 90°로 회전 가능한 모니터에 적용되는 회전 구조 등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The rotation unit 130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unit 130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cubic puzzle rotation structure, a rotation structure applicable to a monitor rotatable at 90 degrees, and the like .

또한, 회전부(130)를 구성하는 제1 회전 제공부(131) 및 제2 회전 제공부(132)는 서로 탈부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1)와 착용부(120)는 분리되어 제조/판매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1)와 착용부(120)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다. The first rotating support portion 131 and the second rotation supporting portion 132 constituting the rotation portion 13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display portion 111 and the wearing portion 120 can be separated and manufactured / . Accordingly, various combinations of the display unit 111 and the wearing unit 120 may be possible.

한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1)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감지부(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감지부는 본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감지부가 본체부(110)에 포함되는 경우, 회전 감지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센서부를 포함하거나 센서부와 연결될 수 있다. The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ensing unit (not shown in FIGS. 1 to 3) for sensing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111. In this case, the rotation sensing unit may be included in the main body 110 or may be included as a separate component. When the rotation sensing unit is included in the main body 110, the rota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the sensor unit or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감지부는 회전부(130), 특히 제1 회전 제공부(131)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회전 감지부는 제1 회전 제공부(131)와 제2 회전 제공부(132)의 '회전 각도'를 이용하여 회전 감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ensing unit may sense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111 by sens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130, particularly, the first rotation providing unit 131. That is, the rotation sensing unit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rotation sensing u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roviding units 131 and 132.

일례로서, 회전부(130)가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회전 감지부는 걸림부(1322)가 인접한 톱니로 이동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회전 감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2, 3, and 5, the rotation sensing unit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rotation sensing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engagement portion 1322 moves to the adjacent teeth Can be generated.

이하,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A specific operation of the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to be the 'horizontal display mode' or the 'vertical display mode'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display unit 111.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제어부는 회전 감지부에서 측정된 회전 감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using information on the rotation sensed by the rotation sensing unit.

일례로서, 회전부(130)가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회전 감지부는 걸림부(1322)가 인접한 톱니로 이동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가 '가로 배치 상태'인지 '세로 배치 상태'인지를 파악하고, 표시 제어부는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2, 3, and 5, the rotation detecting unit may detect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111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latching unit 1322 moves to the adjacent teeth. In this case,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0 based on the information.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322)가 인접한 톱니로 이동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회전 감지부가 회전 각도를 0° 내지 180°로 측정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는 상기한 회전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가 '세로 배치 상태'임을 확인한 후,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4A, when the rotation sensing unit measures the rotation angle from 0 DEG to 180 DEG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engagement portion 1322 moves to the adjacent teeth,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11 to display the display mode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after confirming that the display unit 111 is in the vertical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322)가 인접한 톱니로 이동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회전 감지부가 회전 각도를 90° 내지 270°로 측정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는 상기한 회전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가 '가로 배치 상태'임을 확인한 후,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rotation sensing unit measures the rotation angle from 90 to 270 degree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engaging portion 1322 moves to the adjacent teeth as shown in Fig. 4 (b)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to be the 'horizontal display mode' after confirming that the display unit 111 is 'horizontally arranged' according to one rotation ang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감지부에 포함 또는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고, 표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or connected to the rotation sensing unit measures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display unit 111,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information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can be controlled using the information.

일례로서, 센서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가 '가로 배치 상태'인지 '세로 배치 상태'인지를 파악하고, 표시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display unit 111 is 'horizontally placed' or 'vertically arranged' through a gyroscope sensor, a proximity sensor, etc.,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can be controlled to be the 'horizontal display mode' or the 'vertical display mo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제어부는 회전부(130)의 회전 감지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arrangement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using both the rotation sensing information of the rotation unit 130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at least one sensor.

한편, 디스플레이부(111)는 90°단위(0°, 90°, 180°, 270°) 외에 애매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일례로, 69°, 155°), 표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11)의 배치 상태가 9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디스플레이부(111)가 90°단위로 회전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표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111 may be arranged in an obscure direction other than 90 ° units (0 °, 90 °, 180 °, 270 °) (for example, 69 ° and 155 °)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can be controlled to be the 'horizontal display mode' or the 'vertical display mode' whe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unit 111 is included in the preset range from 90 °.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11 is arranged to be rotated by 90 degrees, the display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to be a 'horizontal display mode' or a 'vertical display mode'.

요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1)가 '세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하고(예: 시간 정보), 디스플레이부(111)가 '가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제어함으로써(예: 동영상 재생 시, 텍스트 정보 확인 시), 정보 확인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display unit 111 is arranged in the 'vertically arranged state',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is changed to the 'vertical display mode' By controlling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11 to the 'horizontal display mode' (for example, when the moving picture is reproduced,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1) When confirming the information), the user's convenience for confirming th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rist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체부(610)는 디스플레이부(611), 표시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써,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와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체부(6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611)를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로 호칭하기로 한다. The main body unit 610 is a means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display unit 611 and a display control unit and is the same as the main body unit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611 included in the main body 610 will be referred to as "main display unit or second display unit ".

그리고, 본체부(610)에 포함되지 않는 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620)는, 경우에 따라 노출되거나 또는 노출되지 않는 숨겨진 디스플레이부로서, 하면은 착용부(630)와 결합 내지 연결되고, 상면에는 본체부(610)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위치한다. 한편, 본체부(610)에 포함되지 않는 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620)를 "히든(hidden) 디스플레이부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로 호칭하기로 한다. Another display portion 620 not included in the main body portion 610 is a hidden display portion that is exposed or unexposed in some cases.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or connected to the wearing portion 630, The main body portion 610 or the main display portion 611 is located. Meanwhile, another display unit 620 not included in the main body unit 610 will be referred to as a " hidden display unit or first display unit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610),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및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단면은 각각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직사각형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s of the main body 610, the main display 611 and the hidden display 620 may have various shapes, respectively.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 will explain.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본체부(610)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는 다양한 회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610 or a rotation part for rotating the main display part 611. Here, the rotating part may have various rotating structures.

그리고, 표시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및 히든 디스플레이부(620) 각각의 시각적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며,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배치 상태에 기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and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controls the display mod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Control is made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or the 'vertical display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디폴트된 초기 위치에 있으며 회전하지 않는 경우, 히든 디스플레이부(620)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in the default initial position and does not rotate, the hidden display unit 620 may not be exposed. In this case, the display control unit can control so that visual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o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디폴트된 초기 위치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 및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모두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display unit 611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efault initial position,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may be exposed. In this case, the display control unit can control to display visual information on at least a part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both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일례로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든 디스플레이부(620)가 '세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초기 위치 역시 '세로 배치 상태'인 경우, 평면도 상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611)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오버랩되어 있으므로, 히든 디스플레이부(620)는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하고,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A, whe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arranged in a vertically arranged state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also in a vertically arranged state, Since the main display unit 611 overlaps the hidden display unit 620 on the plan view,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not exposed. Accordingly,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mod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to be the 'vertical display mode', controls the hidden display unit 620 to not display the visual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visual informa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So that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반대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든 디스플레이부(620)가 '세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초기 위치 역시 '세로 배치 상태'인 경우에 있어, 평면도 상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가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910) 및 제2 영역(920)'이 노출된다. 따라서, 표시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제어하고,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제1 영역(910)/제2 영역(920)) 및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모두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9 (b), whe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arrangement state'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also 'vertically arranged' When the main display unit 611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arranged in a 'horizontally arranged state' on the floor plan, the first area 910 and the second area 910, which are at least a part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920) 'is exposed. Accordingly,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mod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the first area 910 / the second area 9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to display visual information.

한편, 도 9에서는, 일반 손목 시계와 같이, 착용부(630)가 본체부(610)의 양단에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9, the wearer 63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610 as in a general wristwatch.

다른 일례로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든 디스플레이부(620)가 '가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초기 위치 역시 '가로 배치 상태'인 경우, 평면도 상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611)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오버랩되어 있으므로, 히든 디스플레이부(620)는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제어하고,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arranged in a 'horizontally arranged state'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also 'horizontally arranged', as shown in FIG. 10 (a) The main display unit 611 overlaps with the hidden display unit 620 on the plan view so that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not exposed. Therefore,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mod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to be the 'horizontal display mode', controls the hidden display unit 620 so that the visual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and the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So that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반대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든 디스플레이부(620)가 '가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초기 위치 역시 '가로 배치 상태'인 경우에 있어, 평면도 상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세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3 영역(1010)/제4 영역(1020)'이 노출된다. 따라서, 표시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하고,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제3 영역(1010)/제4 영역(1020)) 및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모두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ly arranged state'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also 'horizontally arranged' as shown in FIG. 10 (b) A third area 1010 / fourth area 1010, which is an area of at least a part of the hidden display part 620, when the main display part 611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arranged in a 'vertical arrangement state' (1020) 'is exposed. Accordingly,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mod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to be the 'vertical display mo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the third area 1010 / the fourth area 10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to display visual information.

한편, 설계에 따라, 히든 디스플레이부(620)는 전체가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노출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 전체에만(일례로, 제1 영역(910) 및 제2 영역(920)에만) 디스플레이 패널이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the hidden display portion 620 may be entirely composed of the display panel, but only the entire at least a part of the exposed region (for example, only the first region 910 and the second region 920) The panel can be positioned.

또한,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되는 시각적 정보는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in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may be preset by the mounted program or may be set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 위치에 있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는 메인 정보(일례로, 메시지, 이메일, 동영상 등) 및 부가 정보(일례로, 현재 시간, 배터리 잔량, 자주쓰는 어플 목록 등)를 포함하되,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회전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메인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는 부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at the initial position includes main information (for example, message, e-mail,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display unit 611 to display the main information and displays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n the case where the main display unit 611 rotat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일례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든 디스플레이부(620)가 '세로 배치 상태'이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초기 위치에서 회전하여 '가로 배치 상태'로 되어 '가로 표시 모드'로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는 메인 정보인 '동영상'이 표시되고,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제1 영역(910) 및 제2 영역(920)에는 부가 정보인 '현재 시간, 배터리 잔량, 자주쓰는 어플 목록 등'이 표시될 수 있다. 9, whe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in the 'vertically arranged state', the main display unit 611 rotat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horizontally arranged state', and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and the first area 910 and the second area 920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display the additional information ' , Remaining battery level, list of frequently used applications, etc. 'may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회전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1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과 메인 디스플레이부(620)에 시각적 정보가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에 표시되는 시각적 정보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 스펙에 따른 형식으로 수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display unit 611 rotates, the display control unit divides the visual information into at least a part of the hidden display unit 611 and the main display unit 620, . At this time,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can be modified and displayed in a forma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한편, 상기에서는 회전부가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는 착용부(630)와 히든 디스플레이부(6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는 착용부(630)와 히든 디스플레이부(62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회전부 및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otation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unit includes the wear unit 630 and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first rotation part and a second rotation part positioned between the wearer's part 630 and the hidden display part 620 and a position between the hidden display part 620 and the main display part 611 And a second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part.

이 경우, 회전부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특히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모두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rotation unit may rotate at least one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and may rotate both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in particular.

따라서,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평면도 상에서 오버랩되어 있는 경우 히든 디스플레이부(620)는 노출되지 않으며,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평면도 상에서 오버랩되어 있지 않는 경우,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노출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및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 모두에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are overlapped on the floor plan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unit,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not exposed and the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And can control the hidden display unit 620 so that the visual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At least a part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exposed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exposed whe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are not overlapped on the planar view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at least a part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re display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2개의 디스플레이부(611, 620)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rist-wearing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provide a wider screen to a user by using two display units 611 and 620.

한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600) 역시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회전 감지부는 회전부의 회전 감지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배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st-wear-type display apparatus 6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rota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Similar to the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ensing unit uses the rotation sensing informa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와 연결되는 제1 회전 제공부 및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연결되는 제2 회전 제공부를 포함하되, 제1 회전 제공부와 제2 회전 제공부가 결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6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감지부는 제1 회전 제공부와 제2 회전 제공부의 회전 각도를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회전 감지부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first rotation provid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unit 611 and a second rotation providing unit connected to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can be rotated. In this case, the rotation sensing unit may sense the rota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using the rotation angles of the first rotation providing unit and the second rotation providing unit. This is the same as the rotation sensing unit of the wrist-wear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감지부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 및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가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제1 영역(910) 또는 제2 영역(920)에 위치하거나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위치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회전이 감지될 수 있다. 회전 감지부가 근접 센서를 통해 구현될 경우 회전 감지부의 구성은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install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at least on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For example, when the proximity sensor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910 or the second area 920 of the hidden display part 620 or located in the main display part 611, the rotation of the main display part 611 Can be detected. When the rotation sensing part is implemen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sensing part can be further simplified.

일례로서, 히든 디스플레이부(62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회전 감지부는 제1 영역(910) 및 제2 영역(920)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거나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위치하는 자기 센서(Magnetic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센서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자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9, the rotation sensing unit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910 and the second area 920, or may be mounted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And may include a magnetic sensor positioned thereon. And a magnetic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sensor.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배터리는 본체부(610)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구비되거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제2 배터리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에 구비되거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배터리는 메인 배터리이고, 제2 배터리는 보조 배터리일 수 있으며, 양 배터리 간의 전력 이동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that supply power. At this time, the first battery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610 or the main display unit 611, or may be installed in the adjacent position, and the second battery may be provided i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or adjacent thereto. In one example, the first battery may be the main battery, the second battery may be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power transfer between the both batteries may be wireless or wir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rist-wea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ontrol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wrist-wear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 performed in each step will be described.

단계(S1110)에서는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회전을 감지한다. In step S1110, the rota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and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sensed.

그리고, 단계(1120)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배치 상태에 기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로 제어한다. In step 1120, the display mod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controlled to be the horizontal display mode or the vertical display mode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in display unit 611. [

또한, 단계(1130)에서는 상기 감지된 회전을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611) 및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를 제어한다. Also, in step 1130,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and the hidden display unit 620 is controlled using the sensed ro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130)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디폴트된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 히든 디스플레이부(620)는 노출되지 않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만을 제어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611)가 회전하는 경우, 히든 디스플레이부(62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 및 메인 디스플레이부(611)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1130, when the main display unit 611 is in the default initial position, the hidden display unit 620 displays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611 without being exposed And can control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at least a part of the hidden display part 620 and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part 611 when the main display part 611 rotate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6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mbodiments of the method of controlling a wrist-wear-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rist-wear-type display apparatus 6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Do.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feature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9)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손목과 결합된 착용부와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 위치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디폴트된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노출되며,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는 메인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정보 및 부가 정보가 분할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메인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상기 부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a wrist-wear-type display device,
A first display unit connected to a wear part coupled to the wrist;
A second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e first display unit is not exposed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is in the default initial posi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is exposed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rotates,
Wherein the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t the initial position includes main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Wherein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information and the sub information to be divided so that the mai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rotates,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정보는 메시지, 이메일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현재 시간, 배터리 잔량 또는 자주쓰는 어플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information includes a message, an e-mail or a moving picture,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 current time, a remaining battery level, or a list of frequently used applica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로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display control unit further controls the display mode of the second display unit to be a horizontal display mode or a vertical display mode based on an arrangement state of the second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for supplying power,
Wherein the first battery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battery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unit.
손목 밴드에 결합된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 위치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적 정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디폴트된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메인 정보 및 부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정보 및 부가 정보가 분할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메인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상기 부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wristwatch-typ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unit coupled to a wristband, a second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rotation unit rotating the second display unit,
Sensing rot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by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And controlling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using the sensed rotation,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is in the default initial position, the first display unit is not exposed and the main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rotates, the main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 divided so that the mai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정보는 메시지, 이메일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현재 시간, 배터리 잔량 또는 자주쓰는 어플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in information includes a message, an e-mail or a moving picture,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 current time, a remaining battery level, or a list of frequently used applications.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9.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8.
KR20140009547A 2013-07-29 2014-01-27 Wearable display apparatus for wri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896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21,068 US9971381B2 (en) 2013-07-29 2014-03-20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9563 2013-07-29
KR1020130089563 2013-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620B1 true KR101489620B1 (en) 2015-02-06

Family

ID=5259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9547A KR101489620B1 (en) 2013-07-29 2014-01-27 Wearable display apparatus for wri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62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398B1 (en) * 2014-09-0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Band type terminal
WO2016159946A1 (en) * 2015-03-30 2016-10-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mart bag with integrated display
CN115236964A (en) * 2022-07-25 2022-10-25 歌尔科技有限公司 Wrist-wor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071Y1 (en) * 1999-08-14 2000-03-15 김근옥 A portable correspondence terminal possibility put on wrist
KR20060119589A (en) *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for dmb
KR20090013129A (en) * 2007-07-30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100007624A (en) * 2008-07-14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071Y1 (en) * 1999-08-14 2000-03-15 김근옥 A portable correspondence terminal possibility put on wrist
KR20060119589A (en) *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for dmb
KR20090013129A (en) * 2007-07-30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100007624A (en) * 2008-07-14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398B1 (en) * 2014-09-0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Band type terminal
WO2016159946A1 (en) * 2015-03-30 2016-10-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mart bag with integrated display
CN115236964A (en) * 2022-07-25 2022-10-25 歌尔科技有限公司 Wrist-wor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1381B2 (en)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22750B2 (en) Watch-type wearable device
KR10260316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wrapped display
US105657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object
CN106550106B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850938B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33351B2 (en) Providing haptic output based on a determined orient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60109953A1 (en) Holographic Wristband
US20160183046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KR20150122062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with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implenenting thereof
KR20150003625A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KR20160094114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isplay area in electronic device
ES2796352T3 (en) Device to independently control multiple viewing areas and procedure for it
KR20150063677A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KR101489620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for wri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24699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ipheral device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140089976A (en) Method for managing live box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18097683A (e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apparatus
JP2017102429A (en) Wear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CN106067833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70243A (en) Input apparatus i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171412A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70003710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CN111418197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49873A1 (en) Intelligent interactio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