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265B1 -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 Google Patents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265B1
KR101486265B1 KR20100028566A KR20100028566A KR101486265B1 KR 101486265 B1 KR101486265 B1 KR 101486265B1 KR 20100028566 A KR20100028566 A KR 20100028566A KR 20100028566 A KR20100028566 A KR 20100028566A KR 101486265 B1 KR101486265 B1 KR 101486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theme park
displayed
collections
inform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8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9026A (en
Inventor
최승환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최승환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환, 김경태 filed Critical 최승환
Priority to KR2010002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265B1/en
Publication of KR2011010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2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수집 컬렉션들을 다양한 테마별로 분류하고, 컬렉션들을 순회하여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은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 받은 하나 이상의 컬렉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절차를 거쳐 상기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컬렉션 중 테마파크- 상기 테마파크는 컬렉션들이 테마별로 분류되고 다수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오프라인으로 전시되는 장소 임-에 전시될 컬렉션을 선정하는 전시품 선정 모듈; 상기 테마파크의 관람객 중 구매 의사를 표시하여 구매 희망자로 등록된 관람객과 상기 전시된 컬렉션의 제공자 사이의 거래를 중개하는 컬렉션 거래 중개부; 상기 관람객으로부터 컬렉션 구매의사, 구매 희망가격, 사용의사 및 사용 희망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실시간 또는 일정기간 동안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컬렉션 제공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이를 조회할 수 있는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 실시간으로 카운팅된 관람객의 수를 저장하는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의 전시 상황 및 상기 카운팅된 관람객의 수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컬렉션의 소유자는 전시를 위한 전시장 확보 및 운영 경비 등에 대한 경제적인 비용 부담이 없이 자신의 소중한 컬렉션을 다수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테마파크에 전시할 수 있는 동시에 관람객은 보다 다양한 테마의 컬렉션들을 테마파크에서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 컬렉션의 전시효과와 관람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me park management system for sorting various collection collections according to various themes and exhibiting collections through circulation.
To this end, a theme 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collections input through a terminal of a collection provider; A theme park of a collection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the theme park being a place where collec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mes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in a plurality of individual exhibition spaces and displayed offline; Exhibition selection module; A collection transaction mediator for mediating a transaction between a spectator who is registered as a purchaser and a provider of the displayed collection by displaying a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visitors of the theme park; A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a collection purchase intention, a purchase intention price, a use intention, and a use intention price from the spectator for real time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storing the collection intention through the terminal; A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the number of visitors counted in real time; And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display status of the collection displayed on the theme park to the terminal and the number of the counted spectators in real tim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owner of the collection can exhibit his or her precious collections in a plurality of divided theme parks in a plurality of individual exhibition spaces, without incurring an economic cost for securing the exhibition hall for the exhibition and operating expenses, Can provide the opportunity to view more various themed collections in the theme park, thereby enhancing the exhibition effect and viewing effect of the collection.

Figure R1020100028566
Figure R1020100028566

Description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본 발명은 다양한 수집 컬렉션들을 다양한 테마별로 분류하고, 컬렉션들을 순환하여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컬렉션 소유자가 경제적인 비용 부담 없이 자신의 컬렉션을 전시할 수 있고, 전시할 컬렉션을 객관적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또한, 테마파크에서 전시할 컬렉션을 사이버 전시관을 통해 사전에 관람객의 호응과 관심도를 파악하며, 컬렉션 제공자가 테마파크에 전시된 본인의 컬렉션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시효과와 관람효과를 높일 수 있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me park management system that categorizes various collection collections according to various themes and displays the collections in a circulating manner. It enables a collection owner to exhibit his / her own collections without incurring an economic cost, In addition, the collection to be exhibited at the theme park can be grasped in advance through the cyber exhibition hall, and the exhibition and the exhibition effect that the collection provider can confirm the collection of his or her own exhibition displayed in the theme park in real time from the remote pl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me park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a theme park.

현재 박물관 및 미술관 등에 전시되는 전시품은 역사, 고고, 인류, 민속, 예술, 동물, 식물, 광물, 과학, 기술, 산업 등에 관한 인간과 환경의 유형적 및 무형적 증거물로써, 사회 및 문화적으로 박물관 및 미술관 전시가 인정된 전시품들만 엄격히 선별되어 전시되고 있다. 반면, 창작성 및 역사적, 학문적, 예술적 가치는 낮더라도 전문수집가에 의해 수십 년간 수집되어 온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 가치가 있는 다양한 수집 컬렉션(우표, 화폐, 장난감, 도서, 자연 채취물, 취미 수집품 등을 포함한 컬렉션, collection)들은 박물관 및 미술관 등 전시장의 전시대상이 되지 않아 많은 대중에게 선 보일 기회가 없는 상황이다.Currently exhibit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are tangible and intangible evidence of human and environment related to history, archeology, humanity, folklore, art, animals, plants, minerals,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Are strictly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other hand, a collection of diverse collection of social and cultural values (stamps, currencies, toys, books, natural harvests, hobbies, etc.) that have been collected by professional collectors for decades, even if their creativity and historical, Collection, collection) are not exhibit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so there is no opportunity for many people to present them.

개인이나 단체가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컬렉션들은 컬렉션 자체의 의미, 특성, 희귀성, 사회성, 문화성, 보존상태 등에 따라 사회, 문화 및 경제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전시될 기회가 없고, 수집가의 수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컬렉션의 종류와 수량이 늘어나 개별적인 보관장소가 좁아져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보관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컬렉션의 보존상태가 악화되고 훼손되어 컬렉션으로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The various collections held by an individual or organization have no opportunity to be exhibited in museums or galleries despite their high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value due to the meaning, characteristics, rarity, sociality, culturality and preservation status of the collection itself, As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collection becomes longer, the kinds and quantity of the collection are increased, and the separate storage space becomes narrower, and a separate space for storage is needed. As the storage time elapses, the preservation state of the collection deteriorates and is damaged, Is falling.

일부 소규모 상설 전시장들이 각기 상이한 원격지에 운영되고 특정 컬렉션들이 전시되고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으나, 이곳에 전시되는 전시품은 소규모 전시장 운영자가 소유한 컬렉션 등 상설 전시장 소유자와 특정한 관계에 있는 특정 컬렉션으로 한정되어 고정적으로 전시되고 있으며, 다른 테마의 컬렉션이 순환되며 전시될 수 있는 기회는 전혀 없다.Some small-scale permanent exhibitions are operated at different remote locations, and certain collections are displayed and visitors are visiting. However, the exhibits displayed here are limited to specific collections that have a specific relationship with the owner of a permanent exhibition hall, such as a collection owned by a small- And there is no opportunity for the collection of other themes to circulate and be exhibited.

이러한 전시장 운영상황에서 수집 전문가의 컬렉션을 전시하여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개별 전시장을 마련하거나, 또는 관람객이 많이 집결되는 전시장소에 고액의 전시장 임차비를 지급하여야 하는 등 경제적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In order to notify the public of the collection of collection specialists in such exhibition hall operation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dividual exhibition hall or to pay an economic expense such as paying a large exhibition hall rental fee to an exhibition place where a lot of visitors gather.

또한, 각각의 소규모 상설 전시장들은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연관성이 전혀 없고, 각각의 전시장에는 특정 컬렉션들이 고정 전시되고 있어 전시장간의 상호 관련성도 없는 상태이며, 관람객의 입장에서도 테마별로 연관성이 높은 컬렉션들을 상호 연관하여 관람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Also, since each small-scale permanent exhibition hall is far away locally, there is no relation, and specific collections are fixedly displayed in each exhibition hall, so there is no mutual relation between exhibitions. Also, It is impossible to visit and see.

또한, 컬렉션 소유자들은 전시장 확보 및 전시 홍보나 광고를 위해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전시 기회를 갖지 못해 자신이 보유한 컬렉션으로부터 관람객 수입, 판매 수입 등 경제적 이득을 확보할 기회가 없어 수익창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llection owners do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xhibit due to the financial burden of securing the exhibition hall, promoting the exhibition, or advertising, there is no opportunity to secure economic benefits such as viewer income and sales income from the collection There is a problem.

그리고 수집가의 수집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컬렉션의 종류와 개수가 증가하고, 컬렉션을 체계적으로 보관 또는 전시할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하기 어렵고, 전시 기회가 적어 다양한 컬렉션에 관심이 있는 일반 대중에게 전시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며, 컬렉션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는 지극히 일부의 사례에 지나지 않는 실정이다.It is difficult to obtain a place where the collection can be stored or exhibited systematically, and it is difficult to exhibit it to the general public who is interested in various collections due to the small exhibition opportunity as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collector becomes longer, In fact, the case of generating revenue from a collection is nothing but an example.

또한, 컬렉션 소유자가 자신의 다양한 컬렉션 중 전시할 컬렉션을 선택할 때, 소유자 본인의 주관적 중요도 및 관점에서 전시품을 선택하고 전시하는 경우에 전시된 컬렉션이 관람객의 관심 및 관람이 적어 전시효과 및 관람효과가 적을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collection owner selects a collection to be exhibited among his or her various collections, when the user selects and exhibits the exhibit in terms of subjective importance and viewpoint of the owner, the collection displayed is less interested in the viewer, There is a problem that a phenomenon that can be reduced can occur.

한편, 테마파크(theme park)는 특정 주제(theme)를 정하여 그 주제에 맞는 오락시설과 놀이공원(amusement park), 건축, 조경 등의 연출이 이루어지는 공원으로 테마공원이라고도 불리며, 놀이동산이나 놀이공원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며, 넓게는 특정 주제에 연관된 컬렉션의 전시 장소의 의미도 지닌다. 또한 기존의 어뮤즈먼트파크(amusement Park, 놀이공원)들이 대부분 비슷한 유기시설 및 오락기구를 영구적으로 고정 설치하고 관람객들을 유인하고 있으며, 각 테마파크는 정해진 개별 주제(테마)를 가지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작적 장치를 설치하고 다양한 전시품을 전시하여 관람객들에게 오락적, 문화적 체험과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테마파크는 자연적 배경 또는 놀이설비(attraction 포함) 중심의 시설중심, 이벤트 쇼 등 놀이공원(water park, marine park 등)이 대부분이며, 관람객들이 테마파크 운영자에 의해 정해지고 고정된 주제에 따라 고정 장치되어 있는 놀이기구, 자연적 배경 등을 통해 경험 및 체험을 하고 있으나, 테마파크 유기시설에서 관람객 체험이라는 일방적 체험이며, 테마파크 운영자와 관람객간의 상호 쌍방향적인 의사전달 및 정보교류가 불가하며, 테마파크 주제(테마)에 대한 관람객의 관심 및 호응도를 사이버 전시관 또는 오프라인 테마파크에서 사전 조사하는 것이 불가하고, 관람객의 호응도 및 사전 조사내용에 따라 영구적으로 고정설치된 테마를 다른 테마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하여 다른 테마를 신규로 도입하거나 다양한 테마파크의 신규 참여가 불가한 상황이다. 또한, 관람객의 관심도 및 체류시간을 측정하여 테마파트의 호응도나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하며, 테마파크의 관람객 및 방문효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On the other hand, a theme park is a theme park, and it is a theme park. It is a park where amusement parks, amusement parks, architecture, It is used in a similar sense and broadly has the meaning of the exhibition place of a collection related to a specific topic. In addition, the existing amusement parks (amusement parks) mostly permanently fixed and installed similar organic facilities and amusement facilities, attracting visitors, and each theme park has various individual operations The museum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exhibits and exhibits entertainment and cultural experiences and time for visitors. The various theme parks that are currently being operated are mostly in the natural backgrounds, facilities centered on amusement facilities (attraction), and amusement parks such as event shows (water park, marine park, etc.) It is a one - sided experience that visitors experience in the theme park organic facility.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me park operators and viewers interactively, It is not possible to pre-investigate the interest and response of visitors to the theme (theme) at cyber exhibition hall or offline theme park, and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the permanently installed theme to another theme according to the audience response and prior investigation contents. Newly introduced or various theme parks New participation is impossible.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interest and residence time of visitors, and it is not possible to grasp the receptiveness and interest of the theme part,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visitors and the visit effect of theme park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수집 전문가에 의해 수십 년간 수집되어 온 컬렉션들을 다양한 테마별로 구분되어 또는 상호 연관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me park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collections that have been collected for decades by various collection experts by various themes or correlated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컬렉션들을 다양한 테마로 분류하여 다른 컬렉션들과 동시에 또는 순환 전시하여 전시효과와 관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테마파크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eme park management system that can classify collections into various themes and simultaneously or circularly display them with other collections to enhance the display effect and the view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컬렉션 소유자가 경제적인 비용 부담 없이 컬렉션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테마파크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eme park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a collection owner to display a collection without incurring an economic cost.

또한, 본 발명은 테마파크에서 전시할 컬렉션을 객관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eme park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objectively selecting a collection to be displayed in a theme park.

또한, 본 발명은 테마파크에서 전시할 컬렉션에 대하여 사이버 전시관을 통해 사전에 관람객의 호응과 관심도를 파악함으로써, 전시효과와 관람효과를 높은 컬렉션을 선정하여 전시할 수 있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heme park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nd displaying a collection having a high exhibition effect and a viewing effect by grasping the reception and interest of a visitor in advance through a cyber exhibition hall with respect to a collection to be displayed in a theme park, .

또한, 본 발명은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의 기본적인 정보를 관람객에게 제공하며, 추가적인 질의나 상세정보에 대하여는 컬렉션 제공자가 실시간 또는 이메일로 추가로 전달하여 관람객의 호응도와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me park operation system that provides basic information of a collection displayed on a theme park to a visitor, and provides additional query or detailed information to a collection provider in real time or via e-mail,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을 관람객이 관람 또는 매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컬렉션 제공자에게 경제적 수입 창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컬렉션 제공자가 보다 다양한 컬렉션을 전시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an economic income generation to a collection provider by enabling viewers to view or sell the collection displayed in a theme park, and at the same time to induce a collection provider to display a wider variety of collections.

또한, 본 발명은 컬렉션 제공자가 테마파크에 전시된 본인의 컬렉션을 주거지 등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 collection provider to check his or her collection displayed on a theme park in real time from a remote place such as a residen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 받은 하나 이상의 컬렉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절차를 거쳐 상기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컬렉션 중 테마파크-상기 테마파크는 컬렉션들이 테마별로 분류되고 다수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오프라인으로 전시되는 장소 임-에 전시될 컬렉션을 선정하는 전시품 선정 모듈; 상기 테마파크의 관람객 중 구매 의사를 표시하여 구매 희망자로 등록된 관람객과 상기 전시된 컬렉션의 제공자 사이의 거래를 중개하는 컬렉션 거래 중개부; 상기 관람객으로부터 컬렉션 구매의사, 구매 희망가격, 사용의사 및 사용 희망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실시간 또는 일정기간 동안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컬렉션 제공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이를 조회할 수 있는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 실시간으로 카운팅된 관람객의 수를 저장하는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의 전시 상황 및 상기 카운팅된 관람객의 수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collections input through a terminal of a collection provider; A theme park of a collection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the theme park being a place where collec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mes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in a plurality of individual exhibition spaces and displayed offline; Exhibition selection module; A collection transaction mediator for mediating a transaction between a spectator who is registered as a purchaser and a provider of the displayed collection by displaying a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visitors of the theme park; A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a collection purchase intention, a purchase intention price, a use intention, and a use intention price from the spectator for real time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storing the collection intention through the terminal; A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the number of visitors counted in real time;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isplay status of the collection displayed on the theme park to the terminal and the number of the counted spectators in real time.

이때, 상기 소정의 절차는 사전에 사이버 전시관 또는 오프라인 전시관에 전시된 컬렉션의 선호도 조사 또는 상기 테마파크 운영자의 평가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등급이 결정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테마파크에 전시될 컬렉션이 선정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procedure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a preference survey of a collection displayed in a cyber exhibition hall or an offline exhibition hall or an evaluation system of the theme park operator, and a collection to be displayed in the theme park according to the rating And a selected procedure.

또한, 상기 테마파크의 관람객이 상기 컬렉션에 관해 문의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문의를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문의에 대한 답변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컬렉션의 제공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테마파크의 관람객과 실시간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문의에 대한 답변을 신속하게 전송하여 상기 관람객의 관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visitor of the theme park requests an inquiry about the collection, the transceiver transmits the inquiry to the terminal in real time, and the answer to the inquiry is transmitted to the transceiver through the terminal . The provider of the collection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of the theme park through the terminal in real time, and quickly respond to the inquiry to quickly respond to the interest of the viewer.

또, 상기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 희망가격 또는 사용 희망가격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거래 중개부는 각각의 최고가격을 낙찰가격으로 선정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낙찰된 최고가격 및 낙찰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re is a plurality of desired purchase price or desired use price stored in the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the transaction brokerage unit selects the highest price as the winning price, and the transceiver uni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best price and the winning bidder to the terminal To the mobile station.

또, 상기 테마파크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된 각 구역에 위치정보가 부여되면, 상기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관람객이 소지한 출입카드를 통해 추적된 상기 관람객의 위치로 상기 컬렉션이 전시되는 구역에 상기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to each zon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individual exhibition space of the theme park, the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displays the coll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viewer tracked through the access card held by the visitor And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viewer stays in the area.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컬렉션의 소유자는 전시를 위한 전시장 확보 및 운영 경비 등에 대한 경제적인 비용 부담이 없이 자신의 소중한 컬렉션을 다수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테마파크에 전시할 수 있는 동시에 관람객은 보다 다양한 테마의 컬렉션들을 테마파크에서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 컬렉션의 전시효과와 관람효과를 높일 수 있다.First, the owner of the collection can exhibit his or her precious collections in multiple theme park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an individual exhibition space, without incurring an economic burden of securing the exhibition hall for the exhibition and operating expenses. At the same time, The collection of themes can be given an opportunity to be seen in the theme park, and the exhibition effect and the viewing effect of the collection can be enhanced.

둘째, 컬렉션을 종류나 다양한 테마별로 구분하여 전시할 수 있음에 따라 컬렉션을 체계적으로 전시할 수 있고, 다양한 컬렉션들이 동시에 또는 순환되며 전시되어 전시효과와 관람효과가 상승한다.Second, the collection can be divided into categories and various themes. Therefore, the collection can be displayed systematically, and various collections can be simultaneously or circulated and displayed, thereby increasing the display effect and the viewing effect.

셋째, 테마파크에 전시될 컬렉션을 선정하는데 사전에 사이버 전시관 또는 오프라인 전시관에 전시된 관람객의 관심도를 사전에 확인하거나 테마파크 운영자의 평가시스템 등 다양한 평가항목을 반영함에 따라, 수 많은 컬렉션 중 객관적으로 가치 있는 컬렉션을 전시할 수 있고, 이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이 적으며, 자신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컬렉션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Third, the selection of the collection to be displayed in the theme park is preliminarily confirmed in advance, and the various evaluation items such as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theme park operator are reflected in the cyber exhibition hall or the offline exhibition hall. Therefore, You can exhibit collections, spend less time and effort on them, and expand your opportunities to promote your own diverse and professional collections.

넷째, 컬렉션의 전시를 통한 관람료 또는 경매방식의 사용허가 및 판매는 컬렉션 제공자에게 경제적 수입 창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컬렉션 제공자가 보다 다양한 컬렉션을 전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Fourth, the permission and sale of the exhibition fee or the auction method through the exhibition of the collection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collection provider to generate economic income, and at the same time, induce the collection provider to display a wider collection.

다섯째,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의 제공자는 자신의 거주지 등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본인소유의 컬렉션을 감상 또는 전시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Fifth, the provider of the collection displayed in the theme park can view the collection of the user's own collec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network at the remote place such as his / her residence, or can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exhibition.

여섯째,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을 관람하는 관람객이 컬렉션의 상세정보를 문의하는 경우, 관람자에게 상세정보를 제공하며 추가적인 정보나 질의응답을 컬렉션 제공자가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컬렉션을 관람하는 관람객과 컬렉션 제공자 간에 쌍방향으로 의사 소통 및 의견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기존의 일방적 정보 제공에 국한하지 않는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Sixth, when a visitor viewing the collection displayed in the theme park inquires about the details of the collection,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pectator, and additional information or a question and answer can be provided by the collection provider in real time. As a result, the two-way communication and the exchange of opinions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spectators who view the collection and the collection provid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not limited to the conventional one-sided information providing.

일곱째, 컬렉션 제공자는 테마파크에 자신의 컬렉션이 전시되기 전에 컬렉션의 특징에 적절하게 미리 컬렉션이 전시된 공간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하거나 조정하여 관람객의 호응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전 디스플레이 없이 실제 컬렉션이 테마파크에 전시되는 경우에 비해 관람객 호응도와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다.
Seventh, since the collection provider can select the display method of the space in which the collection has been display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before the collection of the collection is displayed on the theme park, or adjust the display metho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udience response and the exhibition effec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2는 테마파크의 평면도이다.
도3은 컬렉션의 전시 상황 및 관람객의 출입현황이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관람객이 컬렉션에 대한 문의를 요청하면, 이를 컬렉션 제공자에게 알리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heme 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theme park.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n exhibition status of a collection and an access status of a visitor are displayed on a terminal of a collection provider.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forming a collection provider when a visitor requests an inquiry about the collection.
5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 theme park for displaying 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heme 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2는 테마파크의 평면도이며, 도3은 컬렉션의 전시 상황 및 관람객의 출입현황이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4는 관람객이 문의를 요청하면, 이를 컬렉션 제공자에게 알리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n exhibition situation of a collection and an access status of a visitor are displayed on a terminal of a collection provider.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visitor requests an inquiry, To the user.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은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10), 전시품 선정 모듈(120), 컬렉션 거래 중개부(130),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140), 송수신부(150) 및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for displaying 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an exhibition selection module 120, a collection transaction intermediation unit 130, (140), a transceiver (150), and a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160).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를 통하여 입력받은 하나 이상의 컬렉션(우표, 화폐, 장난감, 도서, 자연 채취물, 취미 수집품 등)에 관한 주제, 종류, 수량, 사진, 동영상, 컬렉션에 부여된 식별번호, 사용 또는 판매가격, 소유현황 등의 상세정보를 저장하며, 테마파크의 관람객의 요청에 따라 컬렉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일 예로, 테마파크의 관람객이 전시된 컬렉션에 대한 상세정보를 문의하는 경우, 컬렉션의 식별번호를 통해 관람객에게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stores information such as a subject, a kind, a quantity, a photograph, a moving picture, a photograph, a picture, a picture, Store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h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collection, use or sale price, and ownership status, and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 at the request of the visitors of the theme park. For example, when a visitor of a theme park inquir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ed collection, the user can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to the viewer throug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ollection.

또한, 관람객이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세정보 외에 추가적인 상세정보를 요청하면,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은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해당 문의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고, 컬렉션 제공자는 문의에 대한 답변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관람객과 컬렉션 소유자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이나 컬렉션 제공자는 관람객의 이메일이나 단말기 등으로 보다 세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visitor requests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detailed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can deliver the inquiry to the terminal 30 of the collection provider in real time, Can be provided in real time, allowing viewers and the collection owner to share information in real time. Further,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or the collection provider may further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to an e-mail or a terminal of a visitor.

전시품 선정 모듈(120)은 소정의 절차를 거쳐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컬렉션 중 테마파크-상기 테마파크는 컬렉션들이 테마별로 분류되고 다수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오프라인으로 전시되는 장소-에 전시될 컬렉션을 선정한다. 즉, 테마파크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수집가의 컬렉션을 한 곳에 모아 전시하고 관람객이 관람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장소로, 테마파크에는 다양한 컬렉션이 테마별로 구분되어 전시되며, 각 컬렉션들은 종류 또는 테마별로 동시 또는 순환하여 전시될 수 있다.The exhibition selection module 120 receives a theme park of a collection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and the theme park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a plurality of individual exhibition spaces, - Select the collection to be displayed in the exhibition. In other words, the theme park is a collection of diverse and professional collectors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which is displayed in one place and is provided for visitors to view. In the theme park, various collections are displayed divided into themes. Each collection is divided into categories or themes It can be displayed simultaneously or in cycles.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의 제공자는 전시에 따른 전시장 확보 및 운영 경비 등에 대한 경제적인 비용 부담이 없이 자신의 소중한 컬렉션을 전시할 수 있는 동시에 관람객은 보다 다양한 컬렉션을 종류와 주제별로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컬렉션을 테마별로 구분하여 전시할 수 있음에 따라 컬렉션을 체계적으로 전시할 수 있고, 전시효과가 상승하는 이점이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rovider of the collection displayed in the theme park can exhibit his / her precious collections without the costly expense of securing and operating the exhibition hall due to the exhibition, and at the same time, You can be given an opportunity to see. Also, since the collection can be displayed separately by themes, the collection can be exhibited systematicall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hibition effect increases.

여기서, 소정의 절차는 사전에 사이버 전시관 또는 오프라인 전시관에 전시된 컬렉션의 선호도 조사, 또는 테마파크의 운영자에 의한 평가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등급이 결정되고, 등급에 따라 테마파크에 전시될 컬렉션이 선택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의 선호도 조사는 관람객이 작성한 품평을 통해 파악될 수도 있지만, 투표 수나 관심도 평점과 같이 수치적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procedure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a preference survey of a collection displayed in a cyber exhibition hall or an offline exhibition hall or an evaluation system by an operator of a theme park in advance, and a collection to be displayed on the theme park according to the rating is selected The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Online or offline preference surveys can be seen through the reviews made by visitors, but they can also be numerically identified, such as the number of votes or interest ratings.

전술한 평가시스템은 사이버 전시관의 관람객의 선호도, 관심도, 현장 방문의사, 사용 및 구매의사, 사용 및 구매 희망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미리 파악하여 컬렉션의 전시효과를 사전에 평가하는 지표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컬렉션을 다른 컬렉션과 비교하여 주제, 종류, 수량, 희귀성, 가치, 보존상태, 전시기간, 관람객의 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가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described evaluation system may be constituted of an index for evaluating the exhibition effect of the collection in advance by grasping at least one of the preference, interest, site visiting intention, use and purchase intention, use and purchase price of the viewer of the cyber exhibition hall in advance, And an index for comprehensively evaluating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of the subject, the kind, the quantity, the rarity, the value, the preservation status, the exhibition period, and the reaction of the viewer by comparing one collection with another collection.

상기와 같이 테마파크에 전시될 컬렉션을 선정하는데 다양한 평가항목을 반영함에 따라, 수 많은 컬렉션 중 객관적으로 가치 있는 컬렉션을 선택하여 전시할 수 있고, 이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이 적으며, 자신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컬렉션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시품 선정 절차가 공정하고, 관람객의 의견과 관심도가 종래 보다 많이 반영될 수 있어 관람객의 관심 및 호응을 효율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election of the collection to be displayed in the theme park reflects various evaluation items,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display objectively valuable collections among a large number of collections, Opportunities to promote professional collections can be expanded.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exhibits is fair and the opinions and interests of the visitors can be more reflected than before, so that the interest and the response of the visitors can be drawn efficiently.

한편, 컬렉션 거래 중개부(130)는 테마파마의 관람객 중 구매 의사를 표시하여 구매 희망자로 등록된 관람객과 전시된 컬렉션의 제공자 사이의 거래를 중개하며, 이를 위해,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140)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collection transaction mediator 130 mediates a transaction between a visitor who is registered as a buyer and a provider of the displayed collection by displaying a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visitors of the theme perm, and for this purpose, a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140 do.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140)는 관람객으로부터 컬렉션에 대한 관람객의 구매의사 및 구매 희망가격, 사용의사 및 사용 희망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실시간 또는 일정기간 동안 수신하여 저장하며, 컬렉션 제공자는 단말기(30)를 통해 이를 조회할 수 있다.The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140 receives and stor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urchasing intention, purchase intention, use intention, and use intention price of the visitor for the collection in real time 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visitor and the collection provider stores the terminal 30 It can be inquired through.

그리고 컬렉션 거래 중개부(130)는 경매방식으로,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구매 및 사용 희망가격 중 최고가격을 낙찰가격으로 선정하고, 낙찰가격 및 낙찰자에 관한 정보는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며, 송수신부(150)를 통해 단말기(30)로 전송된다. 이러한 경매방식의 사용허가 및 판매 또는 컬렉션의 전시를 통한 관람료는 컬렉션 제공자에게 경제적 수입 창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컬렉션 제공자가 보다 다양한 컬렉션을 전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transaction mediating unit 130 selects the best price among the purchase and use price stored in the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140 as the auction price and the information on the winning price and the successful bidder is stored in the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140, An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150. [ The use of these auctions and the cost of viewing through sale or exhibition of collections can provide the collection provider with an opportunity to create an economic income,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collection provider to display more diverse collections.

송수신부(150)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과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 간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로,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의 전시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의 제공자는 자신의 거주지 등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신의 컬렉션을 감상 또는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5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and the terminal 30 of the collection provider and transmits the display status of the collection displayed on the theme park in real time to the terminal 30 of the collection provider. Therefore, the provider of the collection displayed in the theme park can view the collection or 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collec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network from the remote place such as the residence.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는 테마파크의 관람객에게 제공된 출입카드(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카운팅된 관람객의 수를 저장하고, 송수신부(150)는 이를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전송한다.The spectator information database 160 stores the number of spectators counted in real time through the access card 10 provided to the spectators of the theme park and the transceiver unit 150 transmits the number of spectators to the terminal 30 of the collection provider.

이러한 구성으로 컬렉션 제공자는 자신의 컬렉션을 찾는 관람객의 출입현황이나 관람객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관람객에게 컬렉션의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llection provider can check the access status of visitors who are searching for his / her collection or the reaction of the viewer in real time, and can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llection to the viewer.

한편, 더 나아가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은 컬렉션 제공자에게 3차원 가상의 테마파크 공간을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하면, 컬렉션 제공자는 테마파크에 자신의 컬렉션이 전시되기 전에 컬렉션의 특징에 적절하게 미리 컬렉션이 전시된 공간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하거나 조정하여 관람객의 호응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전 디스플레이 없이 실제 컬렉션이 테마파크에 전시되는 경우에 비해 관람객의 호응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editing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theme park space to the collection provider. With this, the collection provider can grasp the audience response in advance by selecting or adjusting the display method of the space in which the collection is displayed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before the collection is displayed in the theme park,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the response of the audience compared to the case that it is displayed in the theme park, and the exhibition effect can be enhanced.

컬렉션에 대한 관람객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가능하다.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ference of the audience for the collectio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possible.

먼저, 테마파크가 테마별로 분류되고 다수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오프라인으로 전시되는 복수의 부스(booth) 설치를 통해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되어 각 구역에 위치정보가 부여되면,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는 출입카드(10)를 통해 추적된 관람객의 위치로 컬렉션이 전시되는 구역에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을 저장한다.First, if the theme park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ooths classified into themes and displayed offline in a plurality of individual exhibition space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given to each zone, the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160 stores And stores the time the viewer stays in the area where the collection is displayed by the position of the viewer tracked through the card 10. [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관람객의 체류 시간은 컬렉션의 전시기간 연장이나 단축 또는 수익 배분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컬렉션 상호간의 관람 관심도 및 호응도 등을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를 이용하면, 관람객이 오래 머무는 구역의 컬렉션 제공자에게 더 많은 관람 수익이 배분되도록 하거나 전시 기간을 더 늘릴 수도 있고, 반대로 관람객의 호응도가 낮은 구역에 전시된 컬렉션은 전시 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The residence time of the viewer stored in the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160 can be used as data for extending or shortening the exhibition period of the collection, or for distributing the profit, and is used as data for comparing the interest and response of the visitors to each other. Using this data,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more viewing revenue to the collection provider in the area where the viewer is long-standing, or to increase the exhibition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displayed in the low- have.

이에 따라, 컬렉션 제공자에게 관람객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는 컬렉션을 전시하도록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tivate the collection provider to exhibit a collection that can attract the viewer's attention.

이때, 테마파크의 각 구역에는 관람객의 출입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또는 관람객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20)가 설치되어 인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와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전송한다.At this time, in each zone of the theme park, an RFID reader capable of grasping the entrance / exit status of visitors or a terminal 20 capable of recognizing the visi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stalled, and the recognized information is displayed in real time in the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160, (30).

하기에서는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전술한 바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먼저, 컬렉션들(컬렉션1-1, 컬렉션1-2, 컬렉션1-3…)이 전시된 테마파크는 다수의 개별 전시관내 복수의 부스(50)를 통해 여러 구역으로 나뉘고, 각각의 구역에는 카메라(40)가 복수개 설치된다.First, the theme parks in which the collections (collection 1-1, collection 1-2, collection 1-3 ...) are displaye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hrough a plurality of booths 50 in a plurality of individual exhibition halls, 40 are provided.

그리고 RFID 리더기 또는 관람객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20)가 각각의 구역에 설치된다.And a terminal 20 capable of recognizing the RFID reader or the visi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stalled in each zone.

컬렉션1-1을 예로 들면, 컬렉션1-1이 전시된 구역에 관람객(A) 4명이 위치하고 있고, 단말기(20)는 관람객(A)이 소지한 출입카드(10)를 통해 관람객(A)의 위치를 인식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llection 1-1, four visitors A are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collection 1-1 is displayed, and the terminal 20 is connected to the visitor A through the access card 10 owned by the visitor A. Recognize the location.

그러면,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의 송수신부(150)는 단말기(A)에서 인식된 정보를 수신하고,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정보는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제공된다.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50 of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terminal A and the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160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 ).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컬렉션 제공자는 자신의 컬렉션1-1을 관람하고 있는 관람객(A)의 수, 체류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collection provider can grasp the number of viewers (A) who are viewing their own collection 1-1 and their stay time.

또한, 카메라(40)로 영상이 입력되면, 이미지를 프로세싱하고, 파일을 압축하여 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When an image is input to the camera 40, the image is processed and the file is compressed to output image data.

그리고 이를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이 수신하여 저장하며, 컬렉션 제공자는 단말기(30)를 통해 카메라(40)의 영상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렉션 제공자는 카메라(40)가 생성한 영상정보를 보고 싶은 경우에 웹 페이지의 주소 창에 소정의 주소를 입력하면,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전시 기간 동안의 누적 관람객 수, 사용 희망자, 구매 희망자 수 및 최고가격 등을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receives and stores the received image data, and the collection provider receives image data of the camera 40 through the terminal 30.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wants to view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amera 40, the collection provider can confirm the image information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address into the address window of the web page, The number of cumulative visitors, the number of users to be used, the number of customers to purchase, and the highest pr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영상데이터가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으로 전송된 후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기술하였지만, 카메라(40)에서 영상데이터를 직접 제공, 즉 피어 투 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중간에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을 거치지 않고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직접 연결 방식을 제공하여 영상데이터를 보다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 of the collection provider. However, the camera 40 may directly provide the image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video data at a higher speed by providing a direct connection method to the terminal 30 of the collection provider without going through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in the middle in a peer-to-peer manner.

이때, 카메라(40)는 마이크를 함께 구비하여 영상데이터 외에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컬렉션 제공자와 관람객(A)은 컬렉션1-1에 관하여 실시간으로 의견과 질문답변을 상호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컬렉션 제공자는 카메라(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을 단말기(30)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음성을 청취할 수 있어 이를 차후 자신의 컬렉션을 전시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amera 40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so as to generate and output audio data in addition to the video data, the collection provider and the viewer A can exchange opinions and question answers in real- have. In addition, the collection provider can listen to the voice while confirming the image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40 to the terminal 30, which is advantageous in reference to his / her own collection.

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렉션 제공자가 문의에 대한 답변을 관람객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문의 및 문의 도착 후 경과시간 등은 팝업 창(60)으로 컬렉션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inquiry and the elapsed time after arrival of the inquiry are provided to the collection provider in the pop-up window 60 so that the collection provider can promptly transmit the answer to the inquiry to the visitor.

그리고 본 발명의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을 통해서 산정된 관람객의 입장 수입, 사용 및 구매 낙찰금액은 테마파크의 운영자와 컬렉션 제공자 간에 분배된다. 즉, 컬렉션 제공자는 인터넷을 통해 테마파크의 운영자에게 자신의 컬렉션에 대한 사진, 동영상 등을 사이버 전시관에 제시하고 사전에 컬렉션에 관심 있는 관람객의 호응과 관심도를 확인하고, 테마파크 전시를 위해 테마파크 운영자의 평가를 받아 일정등급 이상인 경우 테마파크에 컬렉션을 전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으며, 운영자와 전시 및 관람에 따른 경제적 수익을 배분하는 계약을 체결한다.The entrance income, usage and purchase price of the visitor calculated through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tributed between the operator of the theme park and the collection provider. In other words, the collection provider presents the photographers and videos of their collections to the theme park administrators through the Internet in the cyber exhibition hall, confirms the reception and interest of the visitors who are interested in the collection in advance, and evaluates the theme park operators If the rating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museum will be given the right to display the collection on the theme park and conclude a contract to distribute the economic profit from the exhibitor and the exhibitor.

그리고 테마파크의 관람객 중 사용이나 구매를 원하는 관람객과 컬렉션 제공자간 가격을 흥정하는 절차를 거쳐 컬렉션의 사용허가 또는 판매가 완료되면, 테마파크 운영자와 컬렉션 제공자 간의 수익을 배분한다. 일예로, 테마파크의 운영시스템(100)이 관람객에게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에 대하여 컬렉션 제공자와 협의한 최소 사용 또는 판매금액을 공지하고,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1인 이상의 사용 또는 구매 희망자가 제시한 사용 희망가격 또는 구매 희망가격이 등록되면, 송수신부(150)가 이를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실시간 또는 일정 기간 이내에 전송한다. 그러면, 컬렉션 제공자는 실시간 또는 정해진 기간 내에 경매방식으로 사용 또는 구매 희망자와 가격을 협상할 수 있고, 가장 높은 금액을 낙찰가로 정해 컬렉션을 사용하도록 허가 또는 판매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에 사용 또는 구매 희망자로 등록된 관람객에게 컬렉션에 대한 사용 또는 구매가 허락되면, 관람객은 현장 또는 차후에 사용요금 또는 구매대금을 결제하면 되고, 컬렉션에 대한 판매가 실제로 이루어진 경우 테마파크의 운영자와 컬렉션 제공자에게 사용 또는 판매금액이 배분된다.And, after the process of negotiating the prices between the visitors who want to use or purchase among the visitors of the theme park and the collection providers, the distribution of the profit between the theme park operator and the collection provider is completed when the permission or sale of the collection is completed. For example, the operation system 100 of a theme park notifies a visitor of a minimum use or sale amount negotiated with a collection provider for a collection displayed in a theme park, and the use of at least one person or a purchaser is presented to the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140 When a desired use price or a desired purchase price is registere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50 transmits the desired usage price or the desired purchase price to the terminal 30 of the collection provider in real time o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llection provider can then negotiate the price with the buyer or purchaser in real time o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allow the highest price to be used as a winning price to authorize or sell the collection. Finally, if the use or purchase of the collection is permitted to the spectators who are registered in the spectator information database 160 for use or purchase, the spectator can pay the fee or purchase price on-site or in the future, The amount of use or sale will be distributed to the theme park operator and the collection provid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방법에 대해서 도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테마파크 운영시스템에서 전술한 바와 유사한 구성 및 효과 등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operating a theme park for displaying a personal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but the structure, effects and the like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will be omitted.

먼저, 컬렉션 제공자가 단말기(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컬렉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S501), 송수신부(150)는 단말기(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S502). 그러면, 전시품 선정 모듈(120)은 소정의 절차를 거쳐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컬렉션 중 테마파크에 전시될 컬렉션을 선정한다(S503).First, when the collection provider inputs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collections through the terminal 30 (S501),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5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30, and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S502). Then, the exhibition selection module 120 selects a collection to be displayed on the theme park among the collections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S503).

소정의 절차는 상기에서 기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Since a predetermined procedure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소정의 절차를 거쳐 선정된 컬렉션은 테마파크에 전시되고(S504), 테마파크의 관람객은 테마파크에 입장하면서 출입카드를 배분 받는다(S505). 그리고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은 출입카드(10)와 RF리더기(2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관람객의 수를 카운팅하고, 각 전시관의 부스마다 관람객이 머무는 시간을 체크하여 이를 저장하며, 컬렉션의 전시 상황 등을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30)로 전송한다(S506). 이에 따라, 컬렉션 제공자는 테마파크에 전시된 자신의 컬렉션의 전시 상황과 관람객의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S507).The selected collection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is displayed on the theme park (S504), and the visitor of the theme park receives the access card while entering the theme park (S505). The theme park operation system 100 counts the number of viewers in real time through the access card 10 and the RF reader 20, checks the time at which visitors stay in each booth, stores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terminal 30 of the collection provider (S506). Accordingly, the collection provider receives the exhibition status of his / her own collection displayed on the theme park and the entrance / exit status of the visitor in real time (S507).

테마파크의 관람객이 전시된 컬렉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100)이나 컬렉션 제공자로부터 실시간으로 답변을 제공받는다(S508).When a visitor of the theme park request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ed collection, a reply is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theme park operating system 100 or the collection provider (S508).

만약, 테마파크의 관람객 중 사용 또는 구매 의사를 표시하면, 관람객은 사용또는 구매 희망자로 등록되고(S509), 컬렉션 거래 중개부(130)는 전시된 컬렉션의 제공자 사이의 거래를 중개한다(S510). 그리고 거래가 성사되면, 테마파크의 운영자와 컬렉션 제공자는 관람 및 전시에 따른 수익을 배분한다(S511).
If the user intends to use or purchase one of the visitors of the theme park, the visitor is registered as a user or a purchaser (S509), and the collection transaction mediating unit 130 mediates a transaction between providers of the displayed collection (S510). Then, when the transaction is concluded, the theme park operator and the collection provider distribute the revenue from the viewing and exhibition (S511).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테마파크 운영시스템
110: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전시품 선정 모듈
130: 컬렉션 거래 중개부 140: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
150: 송수신부 160: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100: Theme park operation system
110: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120: Exhibition selection module
130: Collection transaction broker 140: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150: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60: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Claims (5)

컬렉션 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 받은 하나 이상의 컬렉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테마파크 -상기 테마파크는 컬렉션들이 테마별로 분류되고 다수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오프라인으로 전시되는 장소 임- 운영자의 평가시스템에서 상기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컬렉션을 서로 비교하여 주제, 종류, 수량, 희귀성, 가치, 보존상태, 전시기간, 관람객의 반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가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컬렉션의 등급이 결정되며, 상기 결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컬렉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컬렉션 중 상기 테마파크에 전시될 컬렉션을 선정하는 전시품 선정 모듈
상기 테마파크의 관람객 중 구매 의사를 표시하여 구매 희망자로 등록된 관람객과 상기 전시된 컬렉션의 제공자 사이의 거래를 중개하는 컬렉션 거래 중개부
상기 관람객으로부터 컬렉션 구매의사, 구매 희망가격, 사용의사 및 사용 희망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실시간 또는 일정기간 동안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컬렉션 제공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이를 조회할 수 있는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
실시간으로 카운팅된 관람객의 수를 저장하는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테마파크에 전시된 컬렉션의 전시 상황 및 상기 카운팅된 관람객의 수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렉션 제공자의 컬렉션이 전시될 테마파크 공간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상기 컬렉션 제공자의 컬렉션의 특징에 맞게 선택하거나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테마파크 공간에 대응하는 3차원의 가상 테마파크 공간을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컬렉션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
A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collections inputted through a terminal of the collection provider
The theme park is a place where collec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mes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in a plurality of individual exhibition spaces and displayed offline. - The compares the collections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in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operator, A rank of the collection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configured index, and the rating of the collection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dex that comprehensively evaluates at least one of evaluation items such as quantity, rarity, value, preservation status, exhibition period, A selection module for selecting a collection to be displayed in the theme park among the collections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determined grade,
A collection transaction brokerage unit for brokering a transaction between an observer registered as a purchaser and a provider of the displayed collection by displaying a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visitors of the theme park,
The collection provider receives and stores at least one or more of a collection purchase intention, a desired purchase price, a use intention, and a desired use price from the spectator for a real time 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collection provider stores a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A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the number of visitors counted in real time, and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isplay status of the collection displayed on the theme park to the terminal and the number of the counted spectators in real time,
An interface for edit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theme park space corresponding to the theme park space so that the display method of the theme park space on which the collection of the collection providers is to be displayed can be selected or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of the collection provider, To < RTI ID = 0.0 >
Theme park operation system displaying the coll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파크의 관람객이 상기 컬렉션에 관해 문의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문의를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문의에 대한 답변이 상기 컬렉션 제공자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답변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visitor of the theme park inquires about the collection, the transceiver transmits the inquiry to the terminal in real time, and if the answer to the inquiry is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by the collection provider,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heme park operation system displaying the col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 희망가격 또는 사용 희망가격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거래 중개부는 각각의 최고가격을 낙찰가격으로 선정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낙찰가격 및 낙찰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purchase intention price or the use hope price stored in the transaction information database is plural, the transaction mediator selects the highest price as the winning bid price, and the transmitter / receiv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winning bidder and the successful bidder to the terminal Featured
Theme park operation system displaying the col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파크의 개별적 전시공간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된 각 구역에 위치정보가 부여되면, 상기 관람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관람객이 소지한 출입카드를 통해 추적된 상기 관람객의 위치로 상기 컬렉션이 전시되는 구역에 상기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렉션을 전시하는 테마파크 운영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to each zon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individual exhibition space of the theme park, the visitor information database is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collection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viewer tracked through the access card held by the visitor And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viewer stays
Theme park operation system displaying the collection.
KR20100028566A 2010-03-30 2010-03-30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KR101486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8566A KR101486265B1 (en) 2010-03-30 2010-03-30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8566A KR101486265B1 (en) 2010-03-30 2010-03-30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888A Division KR20140063538A (en) 2014-03-24 2014-03-24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026A KR20110109026A (en) 2011-10-06
KR101486265B1 true KR101486265B1 (en) 2015-01-28

Family

ID=4502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8566A KR101486265B1 (en) 2010-03-30 2010-03-30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2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32A (en) * 2000-07-27 2000-11-06 이문식 electronic commercial trading method having procedures of providing buyer with real-time image of product and negotiating price of product
KR20080029064A (en) * 2006-09-28 2008-04-03 주식회사 디앤샵 Method and system for bargaining about price of interested goods of custom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32A (en) * 2000-07-27 2000-11-06 이문식 electronic commercial trading method having procedures of providing buyer with real-time image of product and negotiating price of product
KR20080029064A (en) * 2006-09-28 2008-04-03 주식회사 디앤샵 Method and system for bargaining about price of interested goods of custo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026A (en)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dler The sharing economy: what is it and where is it going?
KR101058663B1 (en) System that provides story map service that users make together
JP6373980B2 (en) Trading information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US20180025371A1 (en) Event spectator connection tool
US20080235113A1 (en) Enhanced control of on-line auction
CN104021422A (en) System and method for listing items for purchase based on revenue per impressions
US104552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ance based video advertisement reward system with instant dynamic price generation for digital media propagation
US200201289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n internet enabled telephone to conduct business
KR101982624B1 (en) Advertising system for one-stop building sale, and building sale and advertising server for the same
Hrobath et al. 12 Drivers of Price in City Destinations: Vienna
KR101058738B1 (en)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KR101486265B1 (en)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JP2021043731A (en) Auction management system, auction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U2012101126A4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ospitality Information and Services
KR20140063538A (en) Theme-park operating system for displaying collections
KR101071703B1 (en) Method for Operating Event Place Booth Arrangement
Van der Merwe Marketing communication methods used by tour operators in Gauteng
Solo-Anaeto et al. Evaluation of Social Media as Promotional Tool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in Yaba, Lagos State, Nigeria
KR102659480B1 (en) E-commerce platform system based on metabus to share online/offline shopping experience
KR101105484B1 (en) System for Operating Event Ser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0832831B1 (en) System for Operating Event Place Booth Arrangement
Khaddafi et al.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at the South Sulawesi Culture and Tourism Service to Increase Tourist Visits in the New Normal Era
CA28953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advertising, endorsement and marketing orders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Bence-Kiss et al. Krishna consciousness in Europe: The way farming communities became the focal points of marketing
KR20210128595A (en) The system for advertisement for the apartment house s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