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502B1 -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 Google Patents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502B1
KR101485502B1 KR20130044635A KR20130044635A KR101485502B1 KR 101485502 B1 KR101485502 B1 KR 101485502B1 KR 20130044635 A KR20130044635 A KR 20130044635A KR 20130044635 A KR20130044635 A KR 20130044635A KR 101485502 B1 KR101485502 B1 KR 10148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support plate
us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6462A (en
Inventor
기 석 우
Original Assignee
기 석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석 우 filed Critical 기 석 우
Priority to KR2013004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502B1/en
Publication of KR2014012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이완부가 구비된 등지지판과 상기 등지지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등지지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프레임과 상기 등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등지지판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1모터실린더와 사용자의 발을 홀딩 및 해제시키는 발거치수단 및 상기 척추이완부와 상기 제1모터실린더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키 성장 촉진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승모근을 진동에 의해 풀어주어 디스크를 이완시킴으로써 척추 측만증, 척추 협착증 및 골반 비대칭 등의 증상을 호전시킴은 물론, 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키(신장)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발목을 홀딩시키는 구조를 탄성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홀딩개폐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전기 연결없이 사용자가 자신의 발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홀딩 및 해제시킬 수 있으며, 하부지지프레임의 구조를 종래의 구조에 비해 간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부피 및 무게를 줄이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면서도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키 성장 촉진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back support plate and a lower support frame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back support plate and to which the back support plate is rotatably engag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pine relief unit and the first motor cylinder.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motor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motor cylinders, By loosening the disk by loosening by vibration, the symptoms such as scoliosis, spinal stenosis and pelvic asymmetry can be improved, the blood can be smoothly conveyed to improve concentration, the growth of the height (height) can be promoted, By using an elastic spr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holding opening /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hold and release his / her foot, and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support fra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duce the volume and weight, And to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capable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area.

Description

키 성장 촉진 기구{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0001]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0002]

본 발명은 키(신장) 성장 촉진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척추, 특히, 승모근을 풀어주고, 진동으로 디스크 사이를 이완시켜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협착증을 완화시켜주는 키 성장 촉진 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growth) growth promoting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that relaxes a user's spine, especially a trapezius, loosens discs by vibration, smoothes blood circulation, .

최근들어 부모들은 자녀의 키(신장)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한방 및 양방 병원을 찾아다니며 자녀의 키를 성장시키기 위해 성장판과 관련된 다양한 처방을 받고, 경우에 따라 성장을 위한 수술까지도 감행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parents have been very interested in the height of their children. They have been seeking oriental and oriental hospitals to receive various prescriptions for growth plates to grow their children's heights, In fac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처방과 수술은 많은 비용이 들어가며, 무리하게 감행할 경우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하게 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escription and surgery costs a lot, and if it is forcibly carried out, it causes adverse effects.

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재 키 성장과 관련해서는 기능성 신발 등이 소개되고 있다.As interest in keys has increased, functional shoes have been introduced in relation to current key growth.

한편,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팔을 지면에 대고 다리를 하늘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치우친 장기나 척추 관절의 하중을 정반대로 함으로써, 혈액 순환, 키 성장 및 신체 내장의 원활한 운동에 많은 도움을 준다.On the other hand, the wrestler's standing motion makes the arm point to the ground and the legs to the sky. By doing so, the weight of the organs or spinal joints, which are biased toward the ground by gravity in the usual way, is reversed and the blood circulation, It helps a lot.

또한,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위한 기구는 발목을 홀딩시키기 위해서 대부분 전기를 이용한 발목 개폐구조를 사용하였으나, 사용 중 전기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 홀딩된 발목을 해제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수반되었을 뿐만 아니라, 안전문제에 대한 우려도 높아졌다.
한편, 물구나무 운동기구는 공개번호 20-2012-0000405호에 소개된 바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 holding the ankle, an ank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using electricity is mostly used for holding the ankle. However, when the electric power is interrupted during use, Not only did it increase awareness, but also raised concerns about safety issues.
On the other hand, water gym exercise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publication No. 20-2012-00004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목을 홀딩시키는 구조를 탄성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홀딩개폐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전기 연결없이 사용자가 자신의 발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홀딩 및 해제시킬 수 있는 키 성장 촉진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holding and releasing a user's foot without an electrical connection by constructing an ankle holding structure using an elastic spr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부프레임 구조를 종래의 구조에 비해 간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부피 및 무게를 줄이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면적이 줄어들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갖는 키 성장 촉진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er frame structure which is simplifi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structure, thereby reducing costs, reducing volume and weight, facilitat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having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진동에 의해 이완시켜 줌으로써, 척추 측만증, 척추 협착증 및 골반 비대칭 등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척추사이의 간격을 늘려주어 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수축되었던 디스크를 이완시켜주는 키 성장 촉진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ymptoms such as scoliosis, spinal stenosis and pelvic asymmetry by increasing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ebrae by relaxing the user's back region by vibration, And to provide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that relaxes the shrunk dis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키 성장 촉진 기구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해주며, 진동 또는 가압력에 의해 사용자의 등을 이완시켜주는 척추이완부가 구비된 등지지판; 상기 등지지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등지지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프레임; 상기 등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등지지판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1모터실린더; 사용자의 발을 거치하여 안착지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등지지판의 일단부에 슬라이딩되어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거치수단; 및 상기 척추이완부와 상기 제1모터실린더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ck plate provided with a spinal relaxation unit for supporting a user's back and relaxing a user's back by a vibration or a pressing force; A lower support frame positioned below the back support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 support plate; A first motor cylinder coupled between the back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pport frame to control a rotation angle of the back support plate; A foot rest means for slidingly supporting one end of the back support plate to allow the foot to be seated and support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pinal relief unit and the first motor cylinder.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승모근을 진동에 의해 풀어주어 디스크를 이완시킴으로써 척추 측만증, 척추 협착증 및 골반 비대칭 등의 증상을 호전시킴은 물론, 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키(신장)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oosening the disk by loosening the trapezius of the user by vibr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ymptoms such as scoliosis, spinal stenosis and pelvic asymmetry, The growth of the key (kidney) can be promoted.

또한, 발목을 홀딩시키는 구조를 탄성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홀딩개폐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전기 연결없이 사용자가 자신의 발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홀딩 및 해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for holding the ankle is formed in an automatic holding open / close structure using an elastic spring,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hold and release his / her foot without electrical connection.

또한, 하부지지프레임의 구조를 종래의 구조에 비해 간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부피 및 무게를 줄이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면서도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lower support frame is simplifi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reby reducing costs,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being easy to store and move, as well as being robust and reducing the installation area.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척추이완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척추이완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모터실린더의 연결 및 동작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거치수단의 동작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격조절수단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FIG. 1 and FIG.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ntire structure of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pinal relax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spinal relax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and operation structure of a first motor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foot res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FIG. 1 and FIG.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verall structure of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눕거나 기댔을 경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해주며, 진동 또는 가압력에 의해 사용자의 등을 이완시켜주는 척추이완부(110)가 구비된 등지지판(100); 등지지판(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등지지판(10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프레임(200); 등지지판(100) 및 하부지지프레임(200) 사이에 결합되어 등지지판(100)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1모터실린더(300); 사용자의 발을 거치하여 안착지지시키는 것으로, 등지지판(100)의 일단부에 슬라이딩되어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거치수단(400); 및 척추이완부(110)와 제1모터실린더(30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support plate (100) provided with a spinal relaxation part (110) for supporting a back of a user when the user lies down or leaning and relaxing the user's back by vibration or pressing force; A lower support frame 200 positioned below the backing plate 10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ing plate 100; A first motor cylinder 300 coupled between the backing plate 100 and the lower support frame 200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ing plate 100; (400) slidably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backrest plate (100) to be able to adjust the gap by seating and supporting the user's foot;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spine relief unit 110 and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하부지지프레임(200)은 사용자가 눕는 길이 방향으로 상부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하부지지프레임(210); 및 제1하부지지프레임(210)의 상하단부에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하부지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다.The lower support frame 200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 frame 210 formed in a '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user lies down; And a second lower support frame 220 extending leftward and rightward from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lower support frame 210, respectively.

도시되진 않았으나, 발거치수단(400)의 간격조절프레임(410)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고, 길이조절나사(700)를 하부로 당긴 상태에서 간격조절프레임(410)을 등지지판(100)의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삽입 및 분리한 뒤 길이조절나사(700)를 이용해 고정시키게 되며, 길이조절나사(700)를 이용한 고정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ap adjusting frame 410 of the foot fixing means 400. In the state where the length adjusting screw 700 is pulled down, The fixing structure using the length adjusting screw 700 is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도 1 및 도 2는 제1모터실린더(300)를 정회전시켜 발거치수단(400)이 결합되는 등지지판(100)의 타단부(도 1을 기준으로 오른쪽)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1모터실린더(300)를 역회전시키면 등지지판(100)의 타단부가 하부로 이동하여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위치된다.1 and 2 show a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the right side in FIG. 1) of the backing plate 100, to which the foot fixing means 400 is coupled, When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is reversely rotated, the other end of the backing plate 100 moves downward and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종래의 일반적인 운동 기구에 사용되는 지지프레임(미도시)은 운동기구의 하부에 운동기구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사각 틀과 이를 보조하는 보조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져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였으며, 무게도 상당하여 이동 및 설치공간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 support frame (not shown) used in a conventional exercise machine is composed of a square fram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exercise device at the lower part of the exercise device and an auxiliary frame for supporting the sa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for movement and installation is limited.

또한, 부피증가와 함께 기초 자재의 사용량이 많아 비용 상승의 문제점도 수반되었다.In addition, the increase of the volume and the use of the base material were large, which led to a problem of cost increase.

그러나, 본 발명은 일자형 제1하부지지프레임(210)의 양단부에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제2하부지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져 하부지지프레임(200)의 구조가 매우 간소하면서도 견고성을 함께 갖추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second lower support frame 220 for balancing the right and left sides of both ends of the straight lower first support frame 210,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lower support frame 200 is very simple and robust.

제2하부지지프레임(220)은 제1하부지지프레임(210)의 양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것으로써, 등지지판(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그 연장길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 및 연장방향 등을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The second lower support frame 220 is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lower support frame 210 to both sides of the first lower support frame 210. The length of the second lower support frame 22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acking plate 100, It is not preferable to limit the extension direction or the like.

또한, 하부지지프레임(200)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무게도 경량이므로, 사용자가 한손으로 등지지판(100)의 일단부나 타단부 중 어느 한 부위를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lower support frame 200 is simplified and the weight of the lower support frame 200 is light, the user can lift and move either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backing plate 100 with one hand.

한편, 제1하부지지프레임(210)의 일단부(도1을 기준으로 왼쪽)는 상부로 라운딩지게 또는 굴곡지게 형성시키고, 양측으로 조립패널 등을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형성된 내부공간에 제어부(500)를 장착한다.Meanwhile, one end of the first lower support frame 210 (on the left with reference to FIG. 1) is formed to be rounded or curved upwardly, and an assembly space is formed by joining assembly panels or the like on both sides, The control unit 500 is mounted.

도면상에는 위치상태만으로 제어부(500)를 도시하였다.The control unit 500 is shown only in the position state on the drawing.

미도시 되었으나, 제어부(50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제1모터실린더(300) 및 척추이완부(110)를 작동시키게 된다.However, the control unit 5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d the user operates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and the spinal relief unit 11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또한, 상부로 라운딩지거나 굴곡진 제1하부지지프레임(210)에는 등지지판(100)의 타측 하부에 연결된 회동링크가 연결된다.
Further, a pivotal link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side plate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upport frame 210 which is rounded or curved upwar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척추이완부(1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척추이완부(1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pinal relax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pinal relaxation unit 110, Then,

등지지판(100)에 사용자가 눕게 되면, 사용자의 등이 위치되는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척추이완부(110)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허리디스크를 이완시키게 된다.When the user lies on the backrest plate 100, a spinal relaxation unit 110 that generates vibration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user's back is located, thereby loosening the user's waist disk.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이완부(110)는 하부면과 전후좌우면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11); 제1케이스(111)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12); 구동수단(112)과 연동되는 회전축(113); 회전축(1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진동조절캡(114); 제1케이스(111)의 상부에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115); 및 진동조절캡(114)과 제2케이스(115)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는 회동전달체(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vertebrae relaxing part 110 includes a first case 111 forming a lower surface and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A driving means 112 installed in the first case 111; A rotating shaft 113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means 112; A vibration control cap 114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13; A second case 115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ase 111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se 111 to form an upper surface; And a pivotal carrier 116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se 115 and the vibration control cap 114.

또한, 제1케이스(111) 및 제2케이스(115)는 인체의 등라인에 따라 일측 하부에서 타측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인체 역학적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자세한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the first case 111 and the second case 115 are curved from one lower side to the other upper side along the back line of the human body, and have a human body mechanical structure.

척추이완부(110)는 제어부(500)에 의해 구동수단(112)이 회전하게 되며, 구동수단(112)과 회전축(113)은 벨트풀리로 연결되나, 벨트풀리의 구조를 생략하고 회전축(113)을 구동수단(112)에 다이렉트로 축결합시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112 is rotated by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driving unit 112 and the rotary shaft 1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pulley.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belt pulley is omitted,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driving means 112 so as to be rotated.

회전축(113)에는 진동조절캡(114)이 결합되며, 회전축(113)과 진동조절캡(114) 사이에는 베어링이 결합된다.A vibration adjusting cap 114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13 and a bearing is coupl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113 and the vibration adjusting cap 114.

진동조절캡(114)에는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회동전달체(116)의 수나사부가 형성된 하단부가 체결된다.The vibration control cap 114 is formed with a hole having an internal thread formed therein, and a lower end portion having a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rotation transmitting body 116 is coupled to the hole.

제2케이스(115)의 일단부(도 3을 기준으로 좌측 하부)는 제1케이스(111)의 일단부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케이스(115)의 타단부(도 3을 기준으로 우측 상부)의 하부 중심은 회동전달체(116)의 수나사부가 형성된 상단부와 체결된다.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one end of the first case 1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e 115 (the left lower side with reference to Fig. 3) )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portion formed with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pivotal transmission member 116.

회동전달체(116)는 무두볼트를 사용하며,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The pivotal carrier 116 uses a tundra bolt, and it is not preferable to limit the shape thereof.

회동전달체(116)가 제1케이스(111) 및 제2케이스(115)와 수직상태가 되면 제2케이스(115)의 타단부는 제1케이스(111)의 상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며, 회동전달체(116)가 진동조절캡(114)의 회전시 최하단으로 이동되면 제2케이스(115)의 타단부가 제1케이스(111)와 밀착된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e 115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pivoting carrier 116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case 111 and the second case 115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e 11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ase 111 when the rotation transmitting body 116 is moved to the lowermost position when the vibration control cap 114 rotates.

즉, 구동수단(112)의 작동시 회전축(113)이 회전하면서 회전력에 의해 진동조절캡(114)도 함께 회전하고,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제2케이스(115)의 타단부가 상하부로 이동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킨다.That is, when the driving means 112 is operated, the vibration control cap 114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1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e 115 is mov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while repeating the above- And generates vibration.

한편, 척추이완부(110)의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흔히 사용되는 전기솔(전기솔레노이드 진동단자)을 이용한 진동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pine relief portion 110, a vibration device using an electric brush (electric solenoid vibration terminal), which is commonly used, may be used to generate vibration.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이완부(110)는, 래크기어(121); 래크기어(121)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몸체(122); 몸체(122)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123); 몸체(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사지부재(124); 및 래크기어(12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구비되며, 몸체(122)의 이동시 몸체(122)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리미트스위치(125)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4, the vertebility relief portion 110 includes a lumbar ridge 121; A body 122 including a pinion gear that moves along the rail 121; A motor 123 coupled to the body 122 to rotate the pinion gear; A massage member (124)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22); And a limit switch 125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121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dy 122 when the body 122 is moved.

피니언기어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래크기어(121) 및 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의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pinion gear is not shown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pinion gear 121 and the pinion gear to be coupled therewith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마사지부재(124)의 회전운동은 정회전 또는 정회전과 역회전운동이 모두 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모터(123)와 연동되도록 구성된 기어의 연결을 통해 실시하거나 마사지부재(124)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The massaging member 124 may be rotated to perform either a forward rotation or a forward rotation and a reverse rotation. The massaging member 124 may be connected through gears connected to the motor 123, A separate drive mot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한편, 모터(123), 래크기어(121) 및 피니언기어의 연결구조도 공지된 기술에 따라 당업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motor 123, the pinion gear 121, and the pinion gear may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known techniques,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래크기어(121)를 따라 몸체(122)는 왕복운동을 하며, 이는 모터(123)의 정역회전에 의해 수행된다.The body 122 is reciprocated along the rail 121, which is performed by the normal rotation of the motor 123.

또한, 몸체(122)는 래크기어(121)를 따른 왕복운동 뿐만 아니라 정지된 위치에서 마사지부재(124)의 회전운동만 일어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정지된 위치에서 마사지부재(124)의 회전운동만 일어나도록 구성시에는 마사지부재(124)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통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122 can also be configured to cause onl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assaging member 124 in a stationary position as well as the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railing 121,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operation through a separate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massage member 124 when the massage is performed.

마사지부재(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부분을 라운딩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사지부재(124)의 위치, 구조, 형상 및 그 개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massage member 124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ound a portion of the user's back, as shown, and the position, structure, shape, and number of the massage member 124 can be of various known types .

또한, 몸체(122)의 왕복운동시에는 래크기어(121)를 따라 래크기어(121)의 일단부로 이동한 몸체(122)가 래크기어(121)의 일단부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125)에 접촉되면 몸체(122)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래크기어(121)의 타단부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125)에 접촉되면 몸체(122)가 다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body 122 is reciprocated, a body 122 moved to one end of the raiser 121 along the raiser 121 is moved by a limit switch (not shown) provided at one end of the raiser 121 The body 122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contacts the limit switch 125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aiser 121 to move the body 122 back .

이때,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피니언기어(미도시), 모터(123), 마사지부재(124), 리미트스위치(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컨트롤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래크기어(121), 몸체(122), 모터(123), 마사지부재(124) 및 리미트스위치(125) 등은 모두 수납케이스(126)의 내부에 수납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a separate control un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not shown), the motor 123, the massage member 124, and the limit switch 125 is provided, 121, the body 122, the motor 123, the massage member 124, the limit switch 125, and the like are housed inside the storage case 126.

수납케이스(126)의 형상은 도 4에는 기본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등라인의 형태에 맞춰 제작하거나, 등지지판(100)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등지지판(100)과 사용자의 등라인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ape of the storage case 126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4, and it is generally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back line of the user or coupled to the backing plate 100, so that the backing plate 100 and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back lin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모터실린더(300)의 연결 및 동작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FIG.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and operation structure of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모터실린더(30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1모터(310)에 제1-1웜기어(320)가 축결합된다.In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the first worm gear 320 is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motor 310 rotated by the control unit 50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제1-1웜기어(320)에는 제2-1웜기어(330)가 연동되도록 치합되어 회전하고, 제2-1웜기어(330)에는 외측 테두리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샤프트(340)가 축결합된다.The second worm gear 330 rotates while being coupled to the first worm gear 320. The second worm gear 330 is rotatably coupled with a rotation shaft 340 having a male screw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또한, 회전샤프트(340)의 수나사부에 대응되어 내측 테두리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승강샤프트(350)가 회전샤프트(340)에 결합되고, 회전샤프트(340)와 승강샤프트(350)를 내측에 두고 외측 프레임을 형성하는 승강가이드 프레임(360)으로 구성된다.A lifting shaft 350 having a femal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40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40 and the rotating shaft 340 and the lifting shaft 350 are disposed inside And an elevation guide frame 360 which forms an outer frame.

승강가이드 프레임(360)은 도 1 및 도 2의 외측에 노출된 부분이며, 승강가이드 프레임(360)의 내측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샤프트(340)와, 회전샤프트(340)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승강샤프트(350)가 결합된다.The elevating guide frame 360 is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FIGS. 1 and 2 and includes a rotating shaft 340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levating guide frame 360 so as to be rotatable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The lifting shaft 35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도면상에는 제1모터실린더(300)의 연결 상태를 알기 쉽게 보여주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제1모터실린더(300)의 구조도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is schematically shown to clearly show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The structure of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거치수단(400)의 동작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ructure of the foot restoring mean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ring to FIG.

발거치수단(400)은 등지지판(100)의 일단부에 그 일측이 결합되어 등지지판(100)의 일단부로부터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가 빈 관 형태의 간격조절프레임(410); 간격조절프레임(410)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지지해주는 제1지지바(420); 간격조절프레임(41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등 부위를 지지해주며, 그 하부가 간격조절프레임(4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지지바(430); 제1지지바(420)와 제2지지바(430)의 사이에 결합되며, 그 하부가 간격조절프레임(4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동지지수단(440); 및 제2지지바(430)의 하부와 회동지지수단(440)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동스프링(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oot fixing means 4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late 100 so as to be adjustable in spacing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backrest plate 100 and has a hollow tube- ); A first support bar 4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gap adjusting frame 410 to support a user's ankle part; A second support bar 430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ap adjusting frame 410 to support a user's foot portion and having a lower portion positioned inside the gap adjusting frame 410; A rotation supporting means 440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bar 420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430 and having a lower portion positioned inside the space adjusting frame 410; And a rotation spring 45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430 and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ans 440.

발거치수단(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스프링(45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제2지지바(430)를 회동가능한 구조로 제작한 것으로써, 전기를 사용한 모터에 의한 자동개폐구조는 아니지만 사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이면서도, 회동스프링(450)만 주기적으로 교체해주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회동구조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oot fixing means 400 is constructed so that the second support bar 430 can be rotated so that the user's feet can be mounted using the rotation spring 45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structure by the user but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user's feet, and the automatic turning structure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hen the rotating spring 450 is periodically replaced.

즉, 최초 도 6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을 거치하여 발목을 사용자의 몸쪽으로 당겨주면 도 6의 (b)에 도시된 상태로 제2지지바(430)가 제1지지바(420)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사용자의 발목을 홀딩시켜준다.6 (a), when the user lifts his / her foot and pulls the ankle toward the user's body, the second support bar 430 is moved in the state shown in FIG. 6 (b) And holds the user's ankle while tilting toward the bar 420.

또한, 사용 후에 발거치수단(400)으로부터 사용자의 발을 분리하면 회동스프링(450)이 본디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도 6의 (a)와 같은 상태가 되며, 사용자의 발목은 해제된다.When the user's foot is separated from the foot mounting means 400 after use, the rotation spring 450 returns to the original shape and the state shown in FIG. 6A is reached, and the ankle of the user is released.

한편, 등지지판(10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한 손잡이(600)는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사용하거나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600 loca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acking plate 100 is formed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t can be used by being sli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depending on the body of the us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 기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격조절수단(800)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gap adjusting means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발거치수단(400)의 간격조절시, 자동 또는 수동 중 선택적으로 운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수단(800)이 더 구비되며, 간격조절수단(800)은 등지지판(10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그 일측에 상기 발거치수단(400)의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하부지지프레임(200)과 연결되는 중심축프레임(810); 중심축프레임(81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모터실린더(820); 중심축프레임(810)에 내설되어 제2모터실린더(820)와 연동되고, 내설된 타측 테두리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작동샤프트(830); 일단부 내측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작동샤프트(830)의 수나사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발거치수단(4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이동샤프트(840); 및 이동샤프트(840)의 타단부와 발거치수단(400)의 일측을 고정 및 분리시키는 탈착부재(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tance adjusting means 80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ing plate 100 so as to be able to selectively operate the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of the foot fixing means 400 A center axis frame 8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ot support means 400 and movably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frame 200; A second motor cylinder 82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shaft frame 810; A working shaft 830 inserted in the central shaft frame 810 and interlocked with the second motor cylinder 820 and having a mal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A moving shaft 840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formed inside the one end thereof and coupl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operating shaft 8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ot holding means 400; And a detachable member 850 for fixing and separating the other end of the moving shaft 840 and one side of the foot fixing means 400.

제2모터실린더(82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2모터(821)에 제1-2웜기어(822)가 축결합된다.The second motor cylinder 820 is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motor 821 rotated by the control unit 50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제1-2웜기어(822)에는 제2-2웜기어(823)가 연동되도록 치합되어 회전하고, 제2-2웜기어(823)에는 외측 테두리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작동샤프트(830)가 축결합되며, 도면상에는 제2모터실린더(820)의 연결 상태를 알기 쉽게 보여주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제2모터실린더(820)의 동작 구조는 제1모터실린더(300)의 동작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The second worm gear 823 is engaged with the second worm gear 822 and rotates while the second worm gear 823 is axially coupled with the operation shaft 830 having a male screw part on the outer rim surface,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econd motor cylinder 820 refers to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econd motor cylinder 820 is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motor cylinder 820, .

또한, 작동샤프트(830)의 수나사부에 대응되어 내측 테두리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이동샤프트(840)가 작동샤프트(830)에 결합되고, 작동샤프트(830)와 이동샤프트(840)를 내측에 두고 외측 프레임을 형성하는 중심축프레임(810)으로 구성된다.A moving shaft 840 having a femal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is coupled to the operating shaft 830 and the operating shaft 830 and the moving shaft 840 are dispos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operating shaft 830 And a central axis frame 810 forming an outer frame.

또한, 발거치수단(400)의 일측, 즉, 간격조절프레임(410)의 일측과 이동샤프트(840)는 탈착부재(850)에 의해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이다.One side of the foot fixing means 400, that is, one side of the gap adjusting frame 410 and the moving shaft 840 are fastened and separated by the detachable member 850.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샤프트(840)의 타측이 간격조절프레임(41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어 볼트 및 너트 등으로 구성된 탈착부재(850)에 의해 고정 및 분리되며, 고정시 이동샤프트(840)와 간격조절프레임(410)은 연동되며, 분리시 간격조절프레임(410)만 수동으로 간격 조절하여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shaft 84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gap adjusting frame 410 and fixed and separated by a detachable member 850 composed of a bolt and a nut, 840 and the gap adjusting frame 41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only the gap adjusting frame 410 is manually adjusted in spacing.

도면상에는 탈착부재(850)를 볼트 및 너트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탈착부재(850) 및 탈착부재(850)가 결합되는 이동샤프트(840)와 간격조절프레임(41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체결 및 분리가능한 구조라면 모두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chable member 850 is shown in the form of a bolt and a nut in the drawing, the structure of the moving shaft 840 and the gap adjusting frame 410, to which the detachable member 850 and the detachable member 850 are coupled, It is possible that both of them are fastened and detachable.

따라서, 간격조절수단(800)의 자동 운전시에는 제2모터실린더(820)를 작동시켜 간격조절프레임(4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길이조절나사(700)는 분리한 상태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during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gap adjusting means 800, the gap of the gap adjusting frame 410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second motor cylinder 820. 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ing screw 700 is operated .

또한, 간격조절수단(800)의 수동 운전시에는 이동샤프트 및 간격조절프레임 상호 간에 체결된 탈착부재(850)를 제거한다.Further, at the time of the manual operation of the gap adjusting means 800, the moving member and the slit member 850 fastened to each other are removed.

이후,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 간격조절프레임(410)을 손으로 파지하여 간격을 조절한 뒤 길이조절나사(700)를 통해 간격조절프레임(410)을 고정시킨다.Thereafter, the gap adjusting frame 41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gripped by hand, and the gap adjusting frame 410 is fixed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screw 700.

수동 사용시 사용되는 길이조절나사(700)는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중심축프레임(810)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며, 미도시 하였으나 내부에 스프링이 내설되어 스프링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핀이 간격조절프레임(410)의 홀에 끼워져 간격조절프레임(41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간격조절프레임(410)의 이동시에는 길이조절나사(700)를 외측(하부)으로 잡아당겨 간격조절프레임(410)의 홀에 끼워진 핀을 제거한 뒤, 간격조절 후 파지한 길이조절나사(700)를 놓으면 스프링의 팽창에 의해 핀이 상부(내측)로 이동하면서 간격조절프레임(410)의 홀에 고정된다.A length adjusting screw 700 used for manual use is fastened to be fixed to the center shaft frame 810 by forming a screw thread on the outer side. Although not shown, a spring is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screw 700,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10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gap adjusting frame 410 to fix the gap adjusting frame 410 so that the length adjusting screw 700 is pulled outward The pin is fixed to the hole of the gap adjusting frame 410 while the pin is moved to the top (insid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spring.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간격조절수단(800)은 자동 및 수동 운전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interval adjusting unit 800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and manually, and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The out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최초, 등지지판(100)은 지면과 수평상태가 된다.1) At first, the backing plate 100 becomes horizontal with the ground.

2) 길이조절나사(7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의 위치에 맞게 간격조절프레임(410)을 슬라이딩시켜 고정시킨다.2) Using the length adjusting screw 700, the gap adjusting frame 410 is slid and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foot position.

3) 사용자는 등지지판(100)에 누워 발거치수단(400)에 발을 거치한 후 발목을 이용하여 제2지지바(430)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겨 발목을 고정한다.3) The user lies on the backrest plate 100 and places his / her foot on the foot fixing means 400, and then pulls the second support bar 430 toward the user's body using the ankle to fix the ankle.

4) 제어부(500)를 이용하여 제1모터실린더(300)를 정회전시킨다.(최대 45도까지 작동)4)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is rotated forward by using the control unit 500 (up to 45 degrees)

5) 등지지판(100)이 일정한 각도로 위치되면, 제어부(500)를 이용하여 척추이완부(110)를 작동시킨다.5) When the backing plate 100 is positioned at a certain angle, the control unit 500 is operated to operate the vertebrae relaxation unit 110.

6) 일정시간 사용 후에 척추이완부(11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1모터실린더(300)를 역회전시켜 등지지판(100)을 다시 지면과 수평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킨다.6) After the lapse of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of the vertebrae relaxation unit 110 is stopped, and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backrest plate 100 is positioned so as to be horizontal with the ground again.

7) 간격조절수단(800)의 사용은 제1모터실린더(300)의 작동전이나 작동후 또는 작동중에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7) The use of the interval adjusting means 80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user's elongation before, during or 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cylinder 300.

100 : 등지지판 110 : 척추이완부
111 : 제1케이스 112 : 구동수단
113 : 회전축 114 : 진동조절캡
115 : 제2케이스 116 : 회동전달체
121 : 래크기어 122 : 몸체
123 : 모터 124 : 마사지부재
125 : 리미트스위치 126 : 수납케이스
200 : 하부지지프레임 210 : 제1하부지지프레임
220 : 제2하부지지프레임
300 : 제1모터실린더 310 : 제1모터
320 : 제1-1웜기어 330 : 제2-1웜기어
340 : 회전샤프트 350 : 승강샤프트
360 : 승강가이드 프레임
400 : 발거치수단 410 : 간격조절프레임
420 : 제1지지바 430 : 제2지지바
440 : 회동지지수단 450 : 회동스프링
500 : 제어부
600 : 손잡이
700 : 길이조절나사
800 : 간격조절수단 810 : 중심축프레임
820 : 제2모터실린더 821 : 제2모터
822 : 제1-2웜기어 823 : 제2-2웜기어
830 : 작동샤프트 840 : 이동샤프트
850 : 탈착부재
100: back plate 110: spinal relaxation part
111: first case 112: driving means
113: rotation shaft 114: vibration control cap
115: second case 116:
121: Rae-size fish 122: Body
123: motor 124: massage member
125: Limit switch 126: Storage case
200: lower support frame 210: first lower support frame
220: second lower support frame
300: first motor cylinder 310: first motor
320: 1-1 worm gear 330: 2-1 worm gear
340: rotating shaft 350: lifting shaft
360: lifting guide frame
400: Foot rest means 410: Spacing frame
420: first support bar 430: second support bar
440: rotation support means 450: rotation spring
500:
600: Handle
700: Length adjusting screw
800: space adjusting means 810: central axis frame
820: second motor cylinder 821: second motor
822: 1-2 worm gear 823: 2-2 worm gear
830: operating shaft 840: moving shaft
850: Desorption member

Claims (7)

사용자의 등을 지지해주며, 진동 또는 가압력에 의해 사용자의 등을 이완시켜주는 척추이완부가 구비된 등지지판;
상기 등지지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등지지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프레임;
상기 등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등지지판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1모터실린더;
사용자의 발을 거치하여 안착지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등지지판의 일단부에 슬라이딩되어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거치수단;
상기 척추이완부와 상기 제1모터실린더를 컨트롤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발거치수단의 간격조절시, 자동 또는 수동 중 선택적으로 운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등지지판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그 일측에 상기 발거치수단의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하부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중심축프레임;
상기 중심축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모터실린더;
상기 중심축프레임에 내설되어 상기 제2모터실린더와 연동되고, 내설된 타측 테두리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작동샤프트;
일단부 내측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샤프트의 수나사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발거치수단의 일측에 연결되는 이동샤프트; 및
상기 이동샤프트의 타단부와 상기 발거치수단의 일측을 고정 및 분리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는 키 성장 촉진 기구.
A back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provided with a spinal relaxation unit for relaxing the user's back by vibration or pressing force;
A lower support frame positioned below the back support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 support plate;
A first motor cylinder coupled between the back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pport frame to control a rotation angle of the back support plate;
A foot rest means for slidingly supporting one end of the back support plate to allow the foot to be seated and support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pinal relaxation unit and the first motor cylinder; And
And spacing adjusting means formed at the time of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foot fixing means so as to be capable of selectively operat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Wherein the interval adjusting means comprises:
A center shaft fram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ck support plate and having one side of the foot support means movably installed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frame;
A second motor cylind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shaft frame;
A working shaft interposed in the central shaft frame and interlocked with the second motor cylinder, and having a male screw portion on the other end surface;
A moving shaft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formed at one end inside thereof and 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operating shaf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otstool; And
And a detachment member for fixing and separating the other end of the moving shaft and one side of the foot fix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이완부는,
하부면과 전후좌우면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연동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진동조절캡;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에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진동조절캡과 상기 제2케이스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는 회동전달체를 포함하는 키 성장 촉진 기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ase which forms a lower surface and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case;
A rotating shaft cooperating with the driving means;
A vibration control cap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 second cas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so as to be pivotable about one side thereof, And
And a pivotal carrier coupled to the vibration control cap and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는 인체의 등라인을 따라 일측 하부에서 타측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formed to be curved from one lower side to the other upper side along the back line of the huma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이완부는,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사지부재; 및
상기 래크기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이동시 상기 몸체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키 성장 촉진 기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Size;
A body including a pinion gear moving along the raceway;
A motor coupled to the body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A massage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And a limit switch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ean body for shif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dy when the body is 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거치수단은,
상기 등지지판의 일단부에 그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등지지판의 일단부로부터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가 빈 관 형태의 간격조절프레임;
상기 간격조절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지지해주는 제1지지바;
상기 간격조절프레임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등 부위를 지지해주며, 그 하부가 상기 간격조절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지지바;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의 사이에 결합되며, 그 하부가 상기 간격조절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동지지수단; 및
상기 제2지지바의 하부와 상기 회동지지수단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동스프링을 포함하는 키 성장 촉진 기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gap regulating frame having an inner hollow shape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back support plate so as to be adjustable in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back support plate;
A first support ba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gap adjusting frame to support a user's ankle part;
A second support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ap adjusting frame to support a user's foot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reof positioned inside the gap adjusting frame;
A rotation support means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nd having a lower portion located inside the interval adjusting frame; And
And a rotation spr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and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ans.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은,
사용자가 눕는 길이 방향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하부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하부지지프레임의 상하단부에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하부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키 성장 촉진 기구.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first lower support frame formed in an " l " shape in a length direction in which the user lies down; And
And a second lower support frame extending leftward and rightward from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lower support frame, respectively.
KR20130044635A 2013-04-23 2013-04-23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KR101485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635A KR101485502B1 (en) 2013-04-23 2013-04-23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635A KR101485502B1 (en) 2013-04-23 2013-04-23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462A KR20140126462A (en) 2014-10-31
KR101485502B1 true KR101485502B1 (en) 2015-01-23

Family

ID=5199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635A KR101485502B1 (en) 2013-04-23 2013-04-23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5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889Y1 (en) * 2016-01-26 2017-07-05 박만순 Complex Health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452U (en) * 1997-11-19 1999-06-15 우기석 Physical therapy
KR100388130B1 (en) * 2002-05-17 2003-06-18 권구범 Hand-standing machine
KR20050044081A (en) * 2003-11-07 2005-05-12 (주)비겐의료기 Physical therapy bed
KR20100115035A (en) * 2009-04-17 2010-10-27 우경식 Extension head over heels b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452U (en) * 1997-11-19 1999-06-15 우기석 Physical therapy
KR100388130B1 (en) * 2002-05-17 2003-06-18 권구범 Hand-standing machine
KR20050044081A (en) * 2003-11-07 2005-05-12 (주)비겐의료기 Physical therapy bed
KR20100115035A (en) * 2009-04-17 2010-10-27 우경식 Extension head over heels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889Y1 (en) * 2016-01-26 2017-07-05 박만순 Complex Health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462A (en)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50216U (en) A kind of critical patient body-building chair
KR101528562B1 (en) Remedial exercise device for rotator cuff
KR101490323B1 (en) Apparatus for ankle joint exercise
KR101099453B1 (en) Waist reinforcement sporting goods
CN104548499A (en) Multifunctional body builder
CN111803324A (en) Shank rehabilitation training is with supplementary device of taking exercise
CN112618318A (en) Medical treatment is recovered with diversified massage armchair
US20070007808A1 (en) Sitting support and method for ergonomically supporting a sitting person
KR101485502B1 (en)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CN104382726A (en) Multifunctional tensioning health apparatus
US2950715A (en) Orthopedic bed
US20070232460A1 (en) Exercise chai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22174B1 (en) Appartu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KR101677528B1 (en) Electric powered hand standing machine
KR20210092955A (en) Health apparatus for multi core exercise
KR101380237B1 (en) A multi-purposed health sporting equipment
US2790439A (en) Exercising apparatus
KR20100118797A (en) Machine for whole body stretching
KR20160033374A (en) desk reform high and low adjustor for the prevention for adult chronic disease
CN209996713U (en) department of neurolog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08989407U (en) A kind of wheelchair having function of stretcher
CN209004569U (en) Back recovery chair
CN104546374B (en) Lifting rotation stretcher
JP2003000661A (en)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17658851U (en) Chair and leg massag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