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238B1 -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238B1
KR101485238B1 KR20130013246A KR20130013246A KR101485238B1 KR 101485238 B1 KR101485238 B1 KR 101485238B1 KR 20130013246 A KR20130013246 A KR 20130013246A KR 20130013246 A KR20130013246 A KR 20130013246A KR 101485238 B1 KR101485238 B1 KR 10148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ed person
unit
state
voic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3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0209A (en
Inventor
안봉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함께하는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함께하는사람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함께하는사람들
Priority to KR2013001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238B1/en
Publication of KR2014010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2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피보호자의 소리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검출부와,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결정하고, 이를 보호자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의 어느 하나로 인식가능하게 출력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한다. A protected state provision system is disclose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ound of a protected person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the information in a recognizable manner.

Description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0001]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0002]

본 발명은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ed state provision system.

유아 또는 동물과 같이, 생각의 전달이 어려운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There is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objects that are difficult to convey thoughts, such as infants or animals.

도 1은 종래 유아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child in the related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아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유아의 곁에 배치하여, 유아의 울음소리를 감지하는 마스터부(100)와, 보호자가 휴대하여, 마스터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부(2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system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child in the related art includes a master unit 100 disposed at the side of an infant and sensing a cry of the infant, And a slave unit 200 for receiving a received signal.

마스터부(100)는 유아의 소리를 증폭하여 슬레이브부(200)로 전달하고, 슬레이브부(200)는 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단순 멜로디 또는 진동으로 보호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된다.The master unit 100 amplifies the sound of the infant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ound to the slave unit 200. The slave unit 200 outputs the amplified sound through the speaker or notifies the protector through simple melody or vibration.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시스템은, 별도의 송수신 디바이스(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가 필요하며,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이 불가능하여, 그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은, 보호자가 청각장애를 가진 경우에는 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ystem, a separate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master unit and slave unit) is requir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is a certain distance or mor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can not be performed, .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ystem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if the guardian has a hearing impairm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아의 상태정보를 보호자의 이동단말에 전송하여, 보호자가 손쉽게 유아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ed state providing system for transmitting a state information of a child to a mobile terminal of a guardian so that the guardian can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chil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아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유아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e-of-care-for-delivering system that makes it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state of a child by conver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hild into a databas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피보호자의 소리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검출부;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결정하고, 이를 보호자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의 어느 하나로 인식가능하게 출력하는 이동단말; 및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detecting a sound of a person to be protected,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ing a status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status information such that the parent can recognize the detected person as one of visual, auditory, or tactil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in a databas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동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피보호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피보호자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피보호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피보호자의 상태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게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the protected person;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a first controller for analyzing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to determin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nd controlling the stat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부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피보호자의 음성을 수신한 시각정보를 검출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상태정보와 함께 환경정보 및 시각정보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unit; And a timer for detecting time information of a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an control to transmit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에 의해, 피보호자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state of the protected by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서 결정하는 제2제어부; 피보호자의 상태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의 어느 하나로 인식가능하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second controller for determining, in the storage unit, the state of the protecte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tector;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so that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an be recognized visually, audibly or tactual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rol unit may store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피보호자의 상태정보로부터 피보호자의 상태를 DB에서 결정할 수 있으므로, 피보호자의 상태를 쉽게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an be determined from the DB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an be easily grasped.

또한, 본 발명은 피보호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피보호자의 상태를 보호자가 용이하게 저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guardian to easily store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피보호자의 소리만을 수집하여 분석하므로, 피보호자의 소리가 아닌 다른 소리에 의한 오류를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ound of the protected person is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ereby reducing errors caused by sounds other than the sound of the protected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을 통해 피보호자의 상태를 알려, 별도의 디바이스가 요구되지 않으며, 항상 소지하는 이동단말을 통해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보호자에게 피보호자의 상태를 알리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ls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forming the status of the protected by the mobile terminal, not requiring a separate device, and notifying the status of the protected by the mobile terminal that is always present.

도 1은 종래 유아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리검출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단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출력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child in the related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sta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ound detection unit of FIG.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station output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ta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소리검출부(10), 보호자의 이동단말(20) 및 데이터베이스(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detection unit 10, a guardian's mobile terminal 20 and a database 30. [

소리검출부(10)와 이동단말(2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이동단말(20)과 DB(30) 역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잇다.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무선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ound detection unit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DB 30 may also b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 wireless network may be, for example, Wi-Fi,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wireless schemes may be applied.

소리검출부(10)는 피보호자의 소리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이 소리로부터 피보호자의 상태정보를 결정하여 이를 이동단말(20)에 전송하고, 이동단말(20)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소정 색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추후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ound detection unit 10 detects the sound of the protected person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determin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from the sound,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 A sound can be output, or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can be output. Mor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동단말(20)은, 소리검출부(10)로부터 피보호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DB(3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태정보에 따른 피보호자의 상태를 결정하고, 보호자가 열람가능하게 현재 피보호자의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동단말(20)의 상세한 기능 역시, 추후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2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from the sound detection unit 10, searches the database stored in the DB 30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protected person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The status can be output visually or audibly.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20 will also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ater drawings.

DB(30)는 이동단말(20)의 제어에 의해, 상태정보에 따른 피보호자의 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DB 30 can store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database under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20.

도 3은 도 2의 소리검출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ound detection unit of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리검출부(10)는, 제어부(11), 인체감지센서(12), 음성수신부(13),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부(14), 음향출력부(15) 및 통신부(16)를 포함한다.The sound det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2, a sound receiving unit 13, a light emitting diode (LED) unit 14, An output unit 15 and a communication unit 16.

인체감지센서(12)는 음성수신부(13)가 피보호자가 발생하는 음성 외의 다른 신호를 제어부(11)가 분석하여 전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보호자의 존재를 감지하여,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즉, 제어부(11)는 인체감지센서(12)에 의해 피보호자가 소리검출부(10)의 소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음성수신부(13)가 수신한 음성을 피보호자의 소리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11)는 TV 출력 등 기타 외부소리와 피보호자의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2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ntrol unit 11 from analyz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other than voice generated by the protected person to the voice receiving unit 13. The human body detecting sensor 12 detects the presence of the protected person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11 do. That is, the control unit 11 may determine that the voice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unit 13 is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only when the person to be protected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voice detection unit 10 b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2 . Thereby, the control unit 11 can distinguish the sound of the other person from the sound of the other person, such as TV output.

음성수신부(13)는 피보호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1)에 전달한다. 음성수신부(13)는 실시간으로 피보호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주기적으로 피보호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도 있다. The voice receiving unit 13 receives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and transmits the voice to the control unit 11. The voice receiving unit 13 may receive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in real time or may periodically receive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제어부(11)는 인체감지센서(12)와 음성수신부(1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피보호자의 소리를 분석한다. 즉, 피보호자의 소리의 주파수와 진폭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결정하여, 이를 통신부(16)를 통해 이동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어부(11)가 피보호자의 소리로부터 상태정보로써 주파수와 진폭을 결정하여 이를 이동단말(20)로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겠으나, 제어부(11)가 결정하는 상태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상태정보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unit 11 receives a signal from the human body sensor 12 and the voice receiving unit 13 and analyzes the sound of the protected person. That i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frequency and the amplitude of the sound of the protected person may be determin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 However, the stat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1 is limited to the above case. [0050]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e frequency and amplitude as state information from the sound of the protected person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frequency and amplitude to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status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또한, 제어부(11)는 이동단말(20)로부터 피보호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음향출력부(15)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색을 발광하도록 LED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의 상태가 '배고픔'인 것으로 결정되어, LED부(14)가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4)는 LED부(14)가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arty from the mobile terminal 20 and controls the sound output unit 15 to output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LED unit 14 can be controlled to emit color.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is 'hungry' and the control unit 14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ED unit 14 to emit red light, the controller 14 controls the LED unit 14 to emit red light Can be controlled.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리검출부(1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태정보와 함께 현재온도 또는 현재습도 등의 환경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시각정보도 동시에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the sound detection unit 1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to simultaneously transmit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current temperature or current humidity, together with status information, , And tim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도 4는 도 2의 이동단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동단말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패드(smart pad) 등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이동단말일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 smart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mobile terminal of various types capable of using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smart pa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은, 제어부(21), 통신부(22), 디스플레이부(23), 음향출력부(24) 및 진동부(25)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20)은 이외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과 무관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1, a communication unit 22, a display unit 23, an acoustic output unit 24, and a vibration unit 25. In general, the mobile terminal 20 includes a number of other components, but componen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통신부(22)는 소리검출부(1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피보호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통신망 등 다른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리검출부(10)와 통신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통신부(22)는 DB(30)로부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21)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receiv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from the sound detecting unit 1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use, for example, a Wi-Fi wireless network. However, the communication unit 22 may communicate with the sound detection unit 10 through another type of wireless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is is obvious in the technical field. 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22 may receive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from the DB 30, and provide the state to the control unit 21.

제어부(21)는, 통신부(22)를 통해 피보호자의 상태정보(주파수 및 진폭을 포함함)를 수신한 경우, 해당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DB(3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하여, 피보호자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3)가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음향출력부(24)가 청각적으로 출력하고, 진동부(25)가 촉각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frequency and amplitude) of the protected person is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unit 22, the control unit 21 determines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the DB 30, Can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audibly output by the sound output unit 24, and tactile output by the vibration unit 25. [

제어부(21)는 이때, 소리검출부(10)로부터 수신한 환경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 unit 21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23 to display the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detection unit 10 at this time.

제어부(21)는 만약, DB(30)의 데이터베이스에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를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 음향출력부(24) 및 진동부(25)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DB(3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 상태를 저장하는 경우, 시각정보 또는 환경정보 중 어느 하나가 더 고려될 수 있다. If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can not be determined in the database of the DB 30, the control unit 21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3, The sound output unit 24 and the vibration unit 25 can be controlled and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an be checked and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DB 30. [ In the case of storing the protected state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either the time information or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further considered.

또한, 제어부(21)는, 피보호자의 상태에 따라, 소리검출부(10)가 출력할 음향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통신부(22)를 통해 소리검출부(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소리검출부(10)는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 음향출력부(15)가 음향을 출력하거나 또는 LED부(14)가 소정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1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ound and color to be output by the sound detection unit 10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sound detection unit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 The sound detection unit 1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can cause the sound output unit 15 to output sound or the LED unit 14 to emit light in a predetermined col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DB(30)는, 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해, 피보호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가 고음이고 진폭이 매우 큰 경우(이를 수치화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1)는 이를 '배고픔'에 해당하는 것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 주파수 및 소정 진폭에 해당하는 상태를 임의의 상태로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 the DB 30 can store the state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in a database. For example, when the frequency is high and the amplitude is very larg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it in numerical values), the controller 21 can store it as corresponding to 'hunger'. In this manner,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frequency and the predetermined amplitude can be analyzed and stored in an arbitrary state, which can be stor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단말(20)과 DB(30)를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단말(20)의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DB 30 have been described as separate structur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atabase may be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of the mobile terminal 20 It is obvious.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출력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station output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단말(20)의 제어부(21)가 DB(30)로부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가 '배고픔'인 것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21)는 도 5와 같이 피보호자의 상태(A)를 디스플레이부(23)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면서, 피보호자의 환경에 대한 환경정보(B)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21 of the mobile terminal 20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is 'hungry' from the DB 30, the control unit 21 displays the state A of the protected person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 for the environment of the protected person while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23 to display the information.

또한, 제어부(22)는 음향출력부(24)를 제어하여, 청각적인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진동부(25)를 제어하여, 이동단말(20)이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 may control the sound output unit 24 to generate an audible alarm and may control the vibration unit 25 to cause the mobile terminal 20 to vibrate.

한편, 이동단말(20)의 제어부(21)가 DB(30)로부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21)는 도 6과 같이 피보호자의 상태(C)를 디스플레이부(23)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면서, 피보호자의 환경에 대한 환경정보(D)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추후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한 경우, 보호자는 해당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DB(3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피보호자의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사용자가 지정(√는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선택한 것임을 나타냄)하여, 이를 DB(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정보에 대해서는, '더움'에 해당하는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21)가 결정할 수 있다. 6, when the control unit 21 of the mobile terminal 20 fails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from the DB 30, the control unit 21 displays the state C of the protected pers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environment information D for the environment of the protected person while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23 to display the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is confirmed later, the guardian can save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in the DB 30.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is designated by the user (√ indicates that the input device is selected), and can be stored in the DB 30.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1 can determine that the substantially same state information corresponds to 'hot'.

도 5와 같은 경우, 이동단말(20)의 제어부(21)는 배고픔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결정하여, 이를 소리검출부(10)에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소리검출부(10)는 제어신호에 따라 LED부(14)를 발광하게 하거나, 또는 음향출력부(15)가 소리를 출력하게 한다. 예를 들어, LED부(14)는 적색광을 발광하여, 가까운 곳에 있는 보호자는 이동단말(20)을 통해서 뿐 아니라, LED부(14)를 통해서도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5, the control unit 21 of the mobile terminal 20 determines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hunger,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sound detection unit 10. The sound detecting unit 1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causes the LED unit 14 to emit light or the sound output unit 15 to output sound. For example, the LED unit 14 emits red light so that a nearby person can check the status of the protected person not only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but also through the LED unit 14.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소리검출부 11: 제어부
12: 인체감지센서 13: 음성수신부
14: LED부 14: 음향출력부
15: 통신부 20: 이동단말
21: 제어부 22: 통신부
23: 디스플레이부 24: 음향출력부
25: 진동부
10: sound detecting unit 11:
12: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3: Voice receiving unit
14: LED section 14: sound output section
15: communication unit 20: mobile terminal
21: control unit 22:
23: display unit 24: sound output unit
25:

Claims (7)

피보호자의 음성을 검출하여, 이를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검출부;
상기 피보호자의 음성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결정하고, 이를 보호자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의 어느 하나로 인식가능하게 출력하는 이동단말; 및
상기 피보호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피보호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피보호자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피보호자의 음성을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게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에 의해, 피보호자의 상태를 보호자가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하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피보호자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
A detector for detecting a voice of a protected person and transmitting the voice to the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person to be protected, and outputting the voice so that the parent can recognize it visually, audibly or tactually; And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in a database,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tected person;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 fir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under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guardian visually recognizes it,
Wherein the output unit emits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states of the protected persons determined by the first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동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unit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부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피보호자의 음성을 수신한 시각정보를 검출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피보호자의 음성과 함께 환경정보 및 시각정보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게 제어하는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unit for det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timer for detecting time information upon receiving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o transmi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to the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피보호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서 결정하는 제2제어부; 및
피보호자의 상태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의 어느 하나로 인식가능하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A second controller for determining, in the storage unit,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received from the detecting unit;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so that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an be recognized visually, audibly or tactual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피보호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stores the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of the protected person in the storage unit.
KR20130013246A 2013-02-06 2013-02-06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KR1014852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3246A KR101485238B1 (en) 2013-02-06 2013-02-06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3246A KR101485238B1 (en) 2013-02-06 2013-02-06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209A KR20140100209A (en) 2014-08-14
KR101485238B1 true KR101485238B1 (en) 2015-01-22

Family

ID=5174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3246A KR101485238B1 (en) 2013-02-06 2013-02-06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2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289B1 (en) * 2015-02-16 2015-09-14 이동환 System for take care of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900A (en) * 2004-02-27 2005-09-01 (주)인트로모바일 Method for providing conversion service of outside sound by using mobile phone
KR20080114142A (en) * 2007-06-27 2008-12-31 전자부품연구원 Cocoon-type baby-care device and baby-care system using the same
KR20100080730A (en) * 2009-01-02 2010-07-12 강재민 Sleeping bed with safety management for infant
KR20130007079A (en) * 2011-06-29 2013-0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animal status remote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900A (en) * 2004-02-27 2005-09-01 (주)인트로모바일 Method for providing conversion service of outside sound by using mobile phone
KR20080114142A (en) * 2007-06-27 2008-12-31 전자부품연구원 Cocoon-type baby-care device and baby-care system using the same
KR20100080730A (en) * 2009-01-02 2010-07-12 강재민 Sleeping bed with safety management for infant
KR20130007079A (en) * 2011-06-29 2013-0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animal status remote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209A (en)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342B2 (en) Sound event detec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006953B2 (en) Personal wearable system that detects hazardous voltages and indicates direction of the source
US20050238194A1 (en) Ear associated machine-human interface
EP3314589B1 (en) An alert system and method
RU2016100440A (en) DETERMINATION OF REMOTE DEVICES INTERACTING WITH MEDIA DEVICES
CN102625219A (en)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n alerting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EP3430817B1 (en) Wireless body worn personal device with loss detection functionality
WO2009138955A2 (en) Indoor child monitoring system
US9794526B2 (en) Non-disruptive monitor system
CN103383802A (en) Sitting posture reminding system
KR101637378B1 (en) Missing child preventing system using wearable Bluetooth device
US9712895B2 (en) Distributed wireless sensing system
KR20110125557A (en)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KR101549931B1 (en) Method,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displaying alrams in cooperat mobile device with an accessorie
KR101328865B1 (en) Wrist watch for deaf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85238B1 (en)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WO2017134681A3 (en) Sleep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4160372A1 (e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KR20170037753A (en) Notification device for the deaf person
KR101758057B1 (en)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 hearing-impaired parents
KR20120107382A (en) Device for analyzing crying of infants
KR20160050633A (en) Method for preventing loss using bluetooth of broadcasting and system for the same
KR20130002101U (en) Wireless fire sens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for the deaf
KR101624457B1 (en) Alarm system and alarm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IT202000011665A1 (en) DEVICE TO MONITOR THE DISTANCE BETWEEN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