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714B1 -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714B1
KR101484714B1 KR20120024884A KR20120024884A KR101484714B1 KR 101484714 B1 KR101484714 B1 KR 101484714B1 KR 20120024884 A KR20120024884 A KR 20120024884A KR 20120024884 A KR20120024884 A KR 20120024884A KR 101484714 B1 KR101484714 B1 KR 101484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indoor heat
compress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24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3887A (en
Inventor
김진국
김용상
김진욱
최태혁
이용흥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2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714B1/en
Publication of KR2013010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8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7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60H2001/3272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to control the revolving speed of a compressor

Abstract

템프도어를 삭제하고 내부 열교환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공조장치의 패키지를 최소화하면서도 최대 냉방 및 제습 모드를 원활히 작동하도록 구현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이 개시된다.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순환라인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및 공조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실내 열교환기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공조케이스 내부의 토출 공기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템프도어를 생략 가능하여 공조 패키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설치 공간상의 제약을 줄이며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실내 열교환기의 후면 온도와 설정 온도 간의 편차를 연산하여 실내 열교환기의 냉매 유량 제어 및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최대 냉방 및 제습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Disclosed is a vehicular heat pump system which is configured to smoothly operate the maximum cooling and dehumidifying mode while minimizing the package of the air conditioner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ternal heat exchanger by deleting the tempdoor. 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includes a compressor installed in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for compressing and discharging a refrigerant, an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 evaporato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nd outdoor air,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mit the tempo door, thereby minimizing the air conditioning package, thereby reducing the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vehicle and facilitating space securing, and calculating the devia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By controlling the refrigerant flow rate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mpressor,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maximum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mode.

Description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HEAT PUMP SYSTEM FOR VEHICLE}[0001]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열교환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heat pump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ular heat pump system including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refrigerant flowing into an internal heat exchanger.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냉방시스템은 냉매사이클의 증발기 측에서 증발기의 외부를 거치는 공기를 증발기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기로 바꾸어 차량 실내를 냉방한다. 아울러, 난방시스템은 냉각수 사이클의 히터코어 측에서 히터코어 외부를 거치는 공기를 히터코어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온기로 바꾸어 차량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the cooling system, air passing through the outside of the evaporator at the evaporator side of the refrigerant cycle is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evaporator, and the refrigerant is cooled to cool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heating system is configured to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chang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from the heater core side of the cooling water cycle to the heat 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flowing inside the heater core.

한편, 전술한 차량용 공조장치와는 다른 것으로, 하나의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냉방과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은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기와, 공조케이스 외부에서 열교환하기 위한 실외 열교환기 및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방향조절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방향조절밸브에 의한 냉매의 유동방향에 따라 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실내 열교환기가 냉방용 열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실내 열교환기가 난방용 열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heat pump system which can selectively perform cooling and heating by switching the flow direction of refrigerant by using one refrigerant cycle is applied, unlike the above-described vehicle air conditioner. The heat pump system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blown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out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a direction control valve for switch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o. Therefore, when the cooling mod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by the direction control valve, the indoor heat exchanger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cooling heat exchanger. When the heating mode is activated, the indoor heat exchanger functions as the heating heat exchanger .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ular heat pump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30)와, 고압측 열교환기(32)와, 제1 팽창밸브(34) 및 제1 바이패스 밸브(36)와, 실외 열교환기(48)와, 저압측 열교환기(60)와, 어큐뮬레이터(62)와, 내부 열교환기(50)와, 제2 팽창밸브(56) 및 제2 바이패스 밸브(58)를 포함한다.1, a conventional vehicular heat pump system includes a compressor 30, a high-pressure side heat exchanger 32, a first expansion valve 34 and a first bypass valve 36, an outdoor heat exchange A low pressure side heat exchanger 60, an accumulator 62, an internal heat exchanger 50, a second expansion valve 56, and a second bypass valve 58.

압축기(30)는 냉매를 압축하고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고압측 열교환기(32)는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방열시킨다. 제1 팽창밸브(34) 및 제1 바이패스 밸브(36)는 병렬구조로 설치되어 고압측 열교환기(32)를 통과한 냉매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실외 열교환기(48)는 제1 팽창밸브(34) 또는 제1 바이패스 밸브(36)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에서 열교환시킨다. 아울러, 저압측 열교환기(60)는 실외 실외 열교환기(48)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며, 어큐뮬레이터(62)는 저압측 열교환기(60)를 통과한 냉매를 기상과 액상의 냉매로 분리한다. 또한, 내부 열교환기(50)는 저압측 열교환기(60)로 공급되는 냉매와 압축기(30)로 복귀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고, 제2 팽창밸브(56)는 저압측 열교환기(60)로 공급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키며, 제2 바이패스 밸브(58)는 제2 팽창밸브(56)와 병렬로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48)의 출구 측과 어큐뮬레이터(62)의 입구 측을 선택적으로 연결한다.The compressor (30) compresses and discharges the refrigerant, and the high-pressure side heat exchanger (32) dissipat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0). The first expansion valve 34 and the first bypass valve 36 are installed in a parallel structure to selectively pass the refrigerant passed through the high pressure side heat exchanger 32. The outdoor heat exchanger 48 is connected to the first expansion valve (34) or the first bypass valve (36). The low pressure side heat exchanger 60 evaporates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outdoor heat exchanger 48 and the accumulator 62 separates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w pressure side heat exchanger 60 into the gas phase and the liquid phase refrigerant . The internal heat exchanger 50 exchanges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low pressure side heat exchanger 60 and the refrigerant returning to the compressor 30 and the second expansion valve 56 is supplied to the low pressure side heat exchanger 60 And the second bypass valve 58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expansion valve 56 so as to selectively connect the outlet sid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48 and the inlet side of the accumulator 62 do.

이 경우,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0은 고압측 열교환기(32)와 저압측 열교환기(60)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이고, 도면부호 12는 냉기와 온기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템프도어이며, 도면부호 20은 공조케이스(10)의 입구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각각 나타낸다.In this cas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a high-pressure side heat exchanger 32 and a low-pressure side heat exchanger 60 are incorporated,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tempo do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ixture of cold air and warm air, And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blow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0, respectively.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히트펌프 모드(난방모드)일 때, 제1 바이패스 밸브(36) 및 제2 팽창밸브(56)가 폐쇄되고, 제1 팽창밸브(34) 및 제2 바이패스 밸브(58)가 개방된다. 또한, 템프도어(12)는 도 1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고압측 열교환기(32), 제1 팽창밸브(34), 실외 열교환기(48), 내부 열교환기(50)의 고압부(52), 제2 바이패스 밸브(58), 어큐뮬레이터(62) 및 내부 열교환기(50)의 저압부(54)를 차례로 거쳐 압축기(30)로 복귀한다. 즉, 고압측 열교환기(32)가 난방기의 역할을 하게 되고, 실외 열교환기(48)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bypass valve 36 and the second expansion valve 56 are closed and the first expansion valve 34 and the second expansion valve 34 are closed when the heat pump mode (heating mode) 2 bypass valve 58 is opened. In addition, the tempo door 12 operates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0 flows through the high-pressure side heat exchanger 32, the first expansion valve 34, the outdoor heat exchanger 48, the high-pressure portion 52 of the internal heat exchanger 50, The valve 58, the accumulator 62 and the low-pressure portion 54 of the internal heat exchanger 50 in this order. That is, the high-pressure side heat exchanger 32 serves as a radiato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48 serves as an evaporator.

한편, 에어컨 모드(냉방모드)일 때, 제1 바이패스 밸브(36) 및 제2 팽창밸브(56)는 개방되고, 제1 팽창밸브(34) 및 제2 바이패스 밸브(58)는 폐쇄된다. 또한, 템프도어(12)는 고압측 열교환기(32)의 통로를 폐쇄한다. 따라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고압측 열교환기(32), 제1 바이패스 밸브(36), 실외 열교환기(48), 내부 열교환기(50)의 고압부(52), 제2 팽창밸브(56), 저압측 열교환기(60), 어큐뮬레이터(62) 및 내부 열교환기(50)의 저압부(54)를 차례로 거쳐 압축기(30)로 복귀한다. 즉, 저압측 열교환기(60)가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되고, 템프도어(12)에 의해 폐쇄된 고압측 열교환기(32)는 히트펌프 모드와 동일하게 난방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cooling mode), the first bypass valve 36 and the second expansion valve 56 are opened, and the first expansion valve 34 and the second bypass valve 58 are closed . In addition, the tempdoor 12 closes the passage of the high-pressure-side heat exchanger 32. Therefor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0 flows through the high-pressure side heat exchanger 32, the first bypass valve 36, the outdoor heat exchanger 48, the high-pressure portion 52 of the internal heat exchanger 50, And returns to the compressor 30 through the valve 56, the low-pressure side heat exchanger 60, the accumulator 62, and the low-pressure portion 54 of the internal heat exchanger 50 in this order. That is, the low-pressure side heat exchanger 60 functions as an evaporator, and the high-pressure side heat exchanger 32 closed by the tempdoor 12 functions as a heater in the same manner as the heat pump mode.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난방 모드 시 템프도어(12)를 통해 냉방, 제습, 제상 및 난방 모드를 구현하였기 때문에, 템프도어(12) 및 내부 열교환기(50)의 차지 공간이 커져 전체적인 공조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공조장치가 차량 내부 설치물 등에 제약을 주어 전체적인 패키지의 최소화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vehicle heat pump system implements the cooling, dehumidifying, defrosting and heating modes through the temp door 12 in the cooling / heating mode, the charge space of the temp door 12 and the internal heat exchanger 50 So that the volume of the overall air conditioner becomes large.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air conditioner restricts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ike, thereby minimizing the overall package.

아울러, 공조장치의 패키지 최소화를 위해 템프도어(12)를 삭제하는 경우,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증발기를 통과하는 유로의 구조로 인해 최대 냉방 및 제습 모드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EMP door 12 is removed for minimizing the package of the air conditio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realize the maximum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mode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n the heat pump system.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템프도어를 삭제하고 내부 열교환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공조장치의 패키지를 최소화하면서도 최대 냉방 및 제습 모드를 원활히 작동하도록 구현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tempdoor and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internal heat exchanger, thereby minimizing the package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순환라인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및 공조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실내 열교환기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공조케이스 내부의 토출 공기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pressor installed in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for compressing and discharging a refrigerant, an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 evaporator provided inside the case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provid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nd outdoor air,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gasifi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템프도어를 생략 가능하여 공조 패키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설치 공간상의 제약을 줄이며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the tempo door, thereby minimizing the air conditioning package, thereby reducing the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vehicle and facilitating space securing.

또한, 실내 열교환기의 후면 온도와 설정 온도 간의 편차를 연산하여 실내 열교환기의 냉매 유량 제어 및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최대 냉방 및 제습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ximum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modes can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mpressor by calculating the devia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모드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 모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2 shows a heating mode configuration of a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ooling mode configuration of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control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4,
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using a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heat pump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모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heating mode configuration of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냉매순환라인(R) 상에 설치되는 압축기(110)와, 실내 열교환기(130)와, 제2 팽창수단(194)과, 실외 열교환기(150)와, 제1 팽창수단(183) 및 증발기(140)가 순차로 구비된다. 아울러, 아울러, 증발기(140) 및 실내 열교환기(130)는 공조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된다.2, the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or the like, and includes a compressor 110 installed on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A second expansion means 194, an outdoor heat exchanger 150, a first expansion means 183 and an evaporator 140 are sequentially provided. In addition, the evaporator 14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re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20.

또한, 냉매순환라인(R) 상에는 제1 팽창수단(183) 및 증발기(140)를 바이패스하는 제1 바이패스라인(R1)과, 제2 팽창수단(194)이 설치되는 팽창라인(R2)이 각각 병렬로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바이패스라인(R1)의 분기 지점에는 제1 방향전환밸브(191)가 설치되며, 팽창라인(R2)의 분기 지점에는 제2 방향전환밸브(193)가 설치된다. 아울러,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실내 열교환기(130) 하류 측에는 난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 가열식 히터(180)가 설치될 수 있다.A first bypass line R1 for bypassing the first expansion means 183 and the evaporator 140 and an expansion line R2 for installing the second expansion means 194 are provid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Are connected in parallel. A first direction switching valve 191 is provided at a branch point of the first bypass line R1 and a second direction switching valve 193 is provided at a branch point of the expansion line R2. In addition, an electric heater 180 may be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to improve the heating performance.

압축기(110)는 냉매순환라인(R)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실내 열교환기(130)는 공조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공기와 압축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킨다. 이 경우, 압축기(110)의 입구 측 냉매순환라인(R) 상에는 어큐뮬레이터(192)가 설치된다. 어큐뮬레이터(192)는 압축기(110)로 공급되는 냉매 중에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여 압축기(110)로 기상 냉매만 공급되도록 한다.The compressor 11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and compresses and discharges the refrigerant.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20, Exchanges the air wit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10). In this case, an accumulator 192 is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on the inlet side of the compressor 110. The accumulator 192 separates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110 so that only the gaseous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compressor 110.

또한, 증발기(140)는 공조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공기와 압축기(110)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며, 실외 열교환기(150)는 공조케이스(120)의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vaporator 140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ai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110. The outdoor heat exchanger 150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and outdoor air.

도 2를 참조하면, 냉방 모드 시, 압축기(11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130), 실외 열교환기(150), 제1 팽창수단(183), 증발기(140) 및 압축기(110)를 순차로 순환한다. 이 경우, 실내 열교환기(13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증발기(16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실외 열교환기(150)는 실내 열교환기(130)와 동일하게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2, in the cooling mod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10 flow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the outdoor heat exchanger 150, the first expansion means 183, the evaporator 140, and the compressor 11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functions as a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160 functions as an evaporator. In addi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50 functions as a condenser in the same manner as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 모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3 illustrates a cooling mode configuration of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난방 모드 시, 압축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30), 제2 팽창수단(194), 실외 열교환기(150), 제1 바이패스라인(R1) 및 압축기(110)를 순차로 순환한다. 이 경우, 실내 열교환기(13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실외 열교환기(15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1 팽창수단(183) 및 증발기(160)로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3, in the heating mod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10 flow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the second expansion means 194, the outdoor heat exchanger 150, the first bypass line R1, And the compressor 110 are sequentially circulated. In this case,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functions as a condens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50 functions as an evaporator. In addition, no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first expansion means 183 and the evaporator 160.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제어수단은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토출 공기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토출 공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템프 도어를 구비하지 않는다.In particular, the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eans.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sid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20. That is, 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tempo do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공조케이스(120)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템프 도어가 생략됨과 아울러, 생략된 템프 도어의 기능을 제어수단이 대신 수행하게 되며, 템프 도어의 삭제에 따른 최대 냉방 모드 및 제습 모드의 구현 불가능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어수단의 더욱 구체적인 구조 및 구동 메커니즘을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a result, in 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rmal tem- per door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is omitted, and the function of the omitted tem- per door is performed instead of the control means. The detailed structure and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control mea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m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maximum cooling mode and the dehumidif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letion of the control mean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configuration of control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바이패스 유로(210) 및 유량 조절 밸브를 포함한다. 바이패스 유로(210)는 냉매순환라인(R)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를 바이패스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바이패스 유로(210)의 일 측은 압축기(110)와 실내 열교환기(130) 사이의 냉매순환라인(R)에서 연결되고, 타 측은 실내 열교환기(130)와 실외 열교환기(150) 사이의 냉매순환라인(R)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4, the apparatus includes a bypass passage 210 and a flow control valve. The bypass flow path 210 is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and functions to bypass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One side of the bypass passage 210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between the compressor 11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50, To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유량 조절 밸브는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과 바이패스 유로(210)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이 경우, 유량 조절 밸브는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유량 조절 밸브는 제1 개폐밸브(221) 및 제2 개폐밸브(2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개폐밸브(221)는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순환라인(R) 상에 설치되며, 제2 개폐밸브(222)는 바이패스 유로(210)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압축기(1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제1 개폐밸브(221)와 제2 개폐밸브(222) 각각의 제어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과 실내 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는 냉매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flow rate control valve selectively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10). In this case, the flow control valve can be implemented in two forms. First, the flow rate control valve may include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221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222. The first on-off valve 221 is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cond on-off valve 222 is installed on the bypass flow path 210.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10 flow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through the control of the first on-off valve 221 and the second on-off valve 222,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bypassing the refrigerant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한편,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량 조절 밸브는 삼방향 밸브(223)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삼방향 밸브(223)는 바이패스 유로(210)의 분기 지점에 설치되어,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와 바이패스 유로(210)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압축기(1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하나의 삼방향 밸브(223)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과 실내 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는 냉매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Referring to FIG. 5,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low control valve is composed of a three-way valve 223. The three-way valve 223 is provided at a branch point of the bypass flow path 210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10 . Therefor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10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by the one-way valve 223 an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bypass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

이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실외 열교환기(150) 측으로 향하는 냉매순환라인(R) 상에는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의 냉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22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and 5, a check valve 224 is provid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towar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50 to prevent refrigerant from flowing back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side .

또한, 제어수단은 압축기(110)의 회전수(RPM)를 조절하여,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줄일 수 있고,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밸브를 추가하지 않고도 실내 열교환기(130)로의 냉매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means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compressor (110). Whe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mpressor 110 is reduce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side can be reduced. If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mpressor 110 is increase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side Can increase. Therefore, the refrigerant inflow amoun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can be controlled without adding a separate valve.

결국, 제어수단은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또는 압축기(110) 회전수의 제어를 통해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공기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control means can control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through the control of the flow control valve or the control of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compressor 11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미도시)는 공조케이스(120)의 내부 중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 경우, 제어수단은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편차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130)로의 냉매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Further, a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A senso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n the air flowing direction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Detec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refrigerant flow rate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n accordance with the devi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130)를 통과한 후단의 공기 온도와 목표로 하는 설정온도와의 연산에 의해 최대 냉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차이가 제1 기준온도(T1)보다 큰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 또는 상기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차이가 제2 기준온도(T2)보다 작은 경우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 또는 상기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Therefore, maximum cooling can be realized by calculating the air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target set temperature.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or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110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or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110 ) Is increased.

즉, 제어수단은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의 편차가 제1 기준온도(T1) 이상인 경우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또는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아울러, 제어수단은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의 편차가 제2 기준온도(T2) 이하인 경우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 또는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 제2 기준온도(T2)는 제1 기준온도(T1) 보다 작은 T2 < T1 을 만족한다.That is, when the devi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Decrease the number. If the devi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 In this case,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satisfies T2 < T1, which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최적화 및 최소화하게 되고, 목표로 하는 설정온도에 대응되게 적절한 공기의 토출 온도를 제어 가능하며, 압축기(110)의 부하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공조 성능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ptimize and minimize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to control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air appropriately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et temperature, minimize the load of the compressor 110, Maximizing performance and efficiency.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A control method of 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using a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지 비교하여,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온도 편차를 연산한다.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온도 편차를 제1 기준온도(T1)와 비교한다. 이 경우, 제1 기준온도(T1)은 15℃로 설정한다.6, if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compared with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In this cas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is set to 15 占 폚.

만약,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온도 편차가 제1 기준온도(T1) 보다 작은 경우, 다시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지 여부를 비교한다. 만약,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온도 편차가 제1 기준온도(T1)보다 큰 경우,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낮추거나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If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downstream sid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it is again checked whether or not the downstream sid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ownstream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is And reduc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mpressor 110. [

이후에,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온도 편차를 제2 기준온도(T2)와 비교한다. 이 경우, 제2 기준온도(T2)는 5℃로 설정한다. 만약,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온도 편차가 제2 기준온도(T2)보다 큰 경우,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낮추거나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만약,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온도 편차가 제2 기준온도(T2)보다 작은 경우,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높이거나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Thereafter,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compared with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In this case,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is set at 5 占 폚.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ownstream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reduc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mpressor 110. [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ownstream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Or increas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mpressor 110.

통상적으로, 공조장치의 토출 온도는 외기온 5℃ 기준으로 10℃ 내지 12℃ 내외이며, 설정온도는 17℃로 형성된다. 결국, 실내 열교환기(130)의 후면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연산에 의해 최대 냉방 구현이 가능해지게 된다.Normally,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about 10 to 12 占 폚 on the basis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5 占 폚, and the set temperature is set to 17 占 폚. As a result, the maximum cooling can be realized by the calcu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 압축기 120 : 공조케이스
130 : 실내 열교환기 140 : 증발기
150 : 실외 열교환기 180 : 전기 가열식 히터
191 : 제1 방향전환밸브 192 : 어큐뮬레이터
193 : 제2 방향전환밸브 183 : 제1 팽창수단
194 : 제2 팽창수단 210 : 바이패스 유로
221 : 제1 개폐밸브 222 : 제2 개폐밸브
223 : 삼방향 밸브
110: compressor 120: air conditioning case
130: indoor heat exchanger 140: evaporator
150: outdoor heat exchanger 180: electric heater
191: first direction switching valve 192: accumulator
193: second direction switching valve 183: first expansion means
194: second expansion means 210: bypass passage
221: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222: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223: Three way valve

Claims (7)

냉매순환라인(R)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110)와, 공조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공기와 상기 압축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130)와, 상기 공조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공기와 상기 압축기(110)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140) 및 상기 공조케이스(1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150)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토출 공기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공조케이스(120)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편차에 따라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로의 냉매 유량을 제어하되,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차이가 제1 기준온도(T1)보다 큰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 또는 상기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 온도와 설정온도 간의 차이가 제1 기준온도(T1)보다 작은 제2 기준온도(T2)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 또는 상기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A compressor 110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for compressing and discharging the refrigerant and a condenser 110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20 for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20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10 An evaporator 140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20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20 and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110,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150) provid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20)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and outdoor air,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20;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 exchanger (130)
Wherein,
And controls a flow rate of refrigeran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ccording to a deviation between a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a set temperatur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or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10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Or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mpressor (110) is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냉매순환라인(R)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210);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과 상기 바이패스 유로(210)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comprises:
A bypass flow path 210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for bypassing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And a flow rate control valv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a flow rate of a refrigerant flowing to the bypass flow path (2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순환라인(R) 상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221);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210) 상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low control valve comprises:
A first on-off valve 221 installed on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R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And a second on-off valve (222) provided on the bypass passage (2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10)의 분기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되는 냉매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210)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삼방향 밸브(2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low control valve includes:
And a three-way valve (223) installed at a branch point of the bypass passage (210) for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a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bypass passage (210) Wherein the heat pump system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1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20024884A 2012-03-12 2012-03-12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14847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4884A KR101484714B1 (en) 2012-03-12 2012-03-12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4884A KR101484714B1 (en) 2012-03-12 2012-03-12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887A KR20130103887A (en) 2013-09-25
KR101484714B1 true KR101484714B1 (en) 2015-01-21

Family

ID=4945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24884A KR101484714B1 (en) 2012-03-12 2012-03-12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7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899A (en) 2015-09-24 2017-04-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Both direction orifice and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5335B (en) * 2013-10-08 2017-09-26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Vehicle heat pump
KR20210059276A (en) * 2019-11-15 2021-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CN111503758B (en) * 2020-05-12 2024-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Electrical box with high heat exchange efficiency,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CN115183404A (en) * 2022-07-11 2022-10-14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553A (en) * 1996-10-14 1998-05-12 Calsonic Corp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JP2001246930A (en) 2000-03-06 2001-09-11 Denso Corp Heat pump device for vehicle
KR20070075119A (en) * 2006-01-12 2007-07-18 한라공조주식회사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JP2011255733A (en) * 2010-06-07 2011-12-22 Japan Climate Systems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553A (en) * 1996-10-14 1998-05-12 Calsonic Corp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JP2001246930A (en) 2000-03-06 2001-09-11 Denso Corp Heat pump device for vehicle
KR20070075119A (en) * 2006-01-12 2007-07-18 한라공조주식회사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JP2011255733A (en) * 2010-06-07 2011-12-22 Japan Climate Systems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899A (en) 2015-09-24 2017-04-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Both direction orifice and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887A (en)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0903B2 (en)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JP6323489B2 (en) Heat pump system
JP619243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342385B1 (en) Air conditioner for electric vehicle
JP2013217631A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KR101669826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JP600436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511508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JP6075058B2 (en)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KR101484714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US1104614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111322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CN112424006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5510374B2 (en) Heat exchange system
JP604738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576259B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KR10260349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46477B1 (en) Heat Pump System for Car
KR101418854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1418858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20200061460A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TWI779590B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950750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190032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30005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