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105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105B1
KR101482105B1 KR20080023954A KR20080023954A KR101482105B1 KR 101482105 B1 KR101482105 B1 KR 101482105B1 KR 20080023954 A KR20080023954 A KR 20080023954A KR 20080023954 A KR20080023954 A KR 20080023954A KR 101482105 B1 KR101482105 B1 KR 10148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groove
unit
front cover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3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8516A (en
Inventor
박희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105B1/en
Publication of KR2009009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광이 조사되면 외부에서 보이는 모양이 가변되는 장식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장식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설치된 발광부를 포함하여, 발광부의 온과 오프시 외부에서 보이는 장식부의 모양이 변화되므로, 장식부가 다양한 장식미를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고급화되는 이점이 있다.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sucking indoor air, air-conditioning it, and discharging it; And a front panel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wherein the front panel includes a front cover on which a decorative part is formed, the appearance of which is changed from outside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Since the shape of the ornamental portion visible from the outside is changed wh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turned on and off by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to irradiate the light to the ornamental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rnamental portion can express various kinds of ornaments,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enhanced.

공기조화기, 공조부, 프론트 패널, 장식부, 프론트 커버, 발광부 An air conditioner, an air conditioning unit, a front panel, a decoration unit, a front cover,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 전면부의 장식부 모양이 발광부의 온/오프에 따라 변화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hape of a decorative part of an air conditioner front part changes with on / off of a light emitting par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공조시키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감 향상이나 고급화 등을 위해 장식 커버 등을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배치시키는 추세이다.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room air conditioner. Recently, a decorative cover or the like has been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an air conditioner in order to improve the overall beauty of the air conditioner and to improve the quality.

등록특허 공보 10-0457980호에는 전면에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개폐부재에 장착되는 장식커버와, 개폐부재의 전면과 장식커버의 이면이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457980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indoor air on its front surfac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a decorative cover mount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n adhesive member for allowing the adhesive member to adhere.

그러나, 등록특허 공보 10-0457980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장식 커버가 개폐부재의 전면을 단순히 덮고 장식 커버 외면의 색상이나 디자인이 일정하므로, 장식 커버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감 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ir conditioner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0457980, since the decorative cover simply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color or desig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rative cover is constant, there is a limit to improvement in the overall beauty of the air conditioner by the decorative cover There is a problem.

또한, 공개특허공보 특1997-0047290호에는 실내기에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페인트 층을 도장하여 온도에 따라 실내 기에 도장된 페인트 도장 색깔이 변하도록 구성되어, 온도에 따라 색상과 문양이 변하는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고, 실내 온도에 따라 실내기의 색상이나 특정한 무늬 등이 변화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실내 온도는 물론 실내기의 불필요한 냉, 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온도에 따라 색상과 문양이 변하는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JP-A-1997-0047290, a paint layer containing a substance having a property of changing color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is coated on an indoor unit, and the color of the paint paint painted on the indoor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he color and pattern of the indoor unit are changed and the color or the specific pattern of the indoor un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ct the unnecessary cooling and heating of the indoor unit as well as the room temperature In which the color and the pattern chan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indoor units.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특1997-0047290호 개시된 실내기는 실내 온도에 따라 실내기의 색상이나 특정한 무늬 등이 변화되므로, 실내 온도가 일정할 경우 실내기의 색상이나 무늬 등이 고정되고, 실내기의 외관을 다양하게 변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indoor unit disclosed in JP-A-1997-0047290, the color or the specific pattern of the indoor unit changes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so that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constant, the color or pattern of the indoor unit is fix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chang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전방에서 보이는 장식부의 모양이 발광부의 온/오프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hape of a decorative part seen from the front of an air conditioner changes according to on / off of a light emitting p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부에 음영을 형성하여 장식부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hanges the shape of a decorative part by forming a shade in a decorative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등의 조작에 따라 장식부의 모양이 변화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hape of a decorative pa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or the lik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광이 조사되면 외부에서 보이는 모양이 가변되는 장식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장식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설치된 발광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sucking indoor air, And a front panel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wherein the front panel includes a front cover on which a decorative part is formed, the appearance of which is changed from outside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provided behind the front cover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decorative portion.

상기 장식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의 주변에 형성된 색상층을 포함한다.The decorat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a color layer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groove and the groove.

상기 프론트 커버는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색상층은 백색이다.The front cover is formed transparent, and the color layer is white.

상기 발광부는 상기 그루브 주변에 의해 생긴 음영이 상기 그루브에 위치되도록 상기 그루브의 후방 상,하,좌,우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rear,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roove such that a shadow produced by the periphery of the groove is located in the groove.

상기 그루브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가로 혹은 세로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so as to be long or long,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장식부의 장식 모드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a decorative mode of the decorativ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방에 배치된 금속판을 더 포함한다.The front panel further includes a metal plate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cover.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레스 재질이다.The metal plate is made of stainless steel.

상기 금속판은 전면에 요철 형상의 헤어라인이 형성된다.The metal plate has a concavo-convex hairline on its entire surface.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방에 배치된 가죽을 더 포함한다.The front panel further includes a leather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cov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발광부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을 때의 장식부 모양과 발광부에서 광이 조사될 때의 장식부 모양이 상위하여, 발광부의 온/오프에 따라 장식부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가 실내 온도 등과 무관하게 사용자 등에게 다양한 장식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decorative part when light is not irradiated by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shape of the decorative part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by the light emitting part are different, The shape of the portion can be changed,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n provide various decorations to users and the like irrespective of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like,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capable of upgra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장식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와,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의 주변에 형성된 색상층을 포함하여, 그루브 주변에 의해 형성된 음영이 그루브에 위치되면서 장식부의 모양이 가변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Further,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ove formed with a concave recess portion, a groove formed between the groove and the color layer formed around the groove, and a shape formed by the periphery of the groove is positioned in the groove,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imple and inexpens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가 투명하게 형성되고, 색상층은 백색으로 이루어져, 음영에 의한 모양이 프론트 패널의 전방에서 선명하게 보이는 이점이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ront cover is formed transparent and the color layer is made of white so that the shape due to the shade can be clearly seen in front of the front pan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부가 조작부에 조작에 따라 발광부를 제어하므로, 사용자 등이 실내 온도 등과 무관하게 장식부의 장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or the like can select the decoration of the decoration unit regardless of the room temperature or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공조부(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6)가 형성되고, 공조부(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된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된다.1,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air intake portion 6 through which air in the room is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ing portion 2 forming an outer appearance, The air discharge portion 10 in which the air-conditioning air heated, cooled, or purified is discharged is formed.

공조부(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air conditioning unit 2 can be applied to any of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but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공조부(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어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고,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흡입 패널(40)과, 토출 패널(50)을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ing unit 2 has an air suction unit 6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air discharge unit 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suck air through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ir- And includes a base 12, a cabinet 20, a suction panel 40, and a discharge panel 50. As shown in Fig.

베이스(12)는 캐비닛(20)과 흡입 패널(40)을 지지한다.The base 12 supports the cabinet 20 and the suction panel 40.

캐비닛(20)은 공조부(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The cabinet 2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a rear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part 2 and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12.

흡입 패널(40)은 캐비닛(20)의 하부 전방 좌,우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우 상측에 각각 배치되게 설치된다. The suction panel 40 is dispos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upper sides of the base 12, which are the lower front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cabinet 20, respectively.

토출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공기 토출부(10)가 각각 형성된다.  The discharge panel 50 is disposed at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20, and the air discharge portions 10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공조부(2)는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공조부(2)의 내측 상부에서 공조부(2)의 위로 상승되고, 공조부(2)의 위에서 공조부(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air conditioning unit 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unit 80 formed with the air discharge port 78 is raised above the air conditioning unit 2 from the upper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2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2 is installed above the air conditioning unit 2. [ As shown in FIG.

토출구 유닛(80)은 공조부(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78)가 개방/노출되거나 공조부(2)의 내부로 하강되어 공조부(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78)가 밀폐/은닉된다.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raised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2 to open / expose the air discharge port 78 or to descend into the air conditioning unit 2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2, 78 are sealed / concealed.

공조부(2)에는 공기 흡입부(6)와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90)(100)이 설치된다.The air conditioning unit 2 is provided with a vane 90 (100) for closing the air suction unit 6 and the air discharge unit 10 together and guiding the air.

이하, 베인(90)(100)은 공기 흡입부(6)와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vanes 90 and 100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air suction unit 6 and the air discharge unit 10 and guide both the suction air and the discharge air.

즉, 베인(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베인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베인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at is, the vanes 90 and 100 serve as a suction door and a suction vane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to the air suction part 6 as well as closing the air suction part 6 by the lower part, And serves as a discharge door and a discharge van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ion 10, and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공조부(2)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특히 전면측의 외관를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150)이 배치된다.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2, a front panel 150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the exterior of the front side, is disposed.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공조부(2)의 전면 하부 전방에 배치되거나, 공조부(2)의 전면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이하 공조부(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조부(2)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front panel 15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2 or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2 or in fron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2, 2 and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part 2. [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옆으로 회전되도록 공조부(2)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조부(2)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후술하는 발광부 등의 서비스를 위해 공조부(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The front panel 150 can be fixedly installed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2 and can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2 so as to be rotated sideways centering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2, and is described as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2 for a service of a light emitting unit or the like to be described below.

프론트 패널(150)은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프레임(152)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커버(160)를 프론트 프레임(150)과 고정시키는 프론트 홀더(170)를 포함하고,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홀더(170) 중 하나에는 공조부(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The front panel 150 includes a front frame 152, a front cover 160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152 and a front holder 170 for fixing the front cover 160 to the front frame 150 And one of the front frame 152, the front cover 160 and the front holder 170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2. [

프론트 패널(150)은 전면부가 표시부(162)와 불투명부(164)를 갖는다.The front panel 150 has a front surface portion 162 and a non-transparent portion 164.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부가 오프일 때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부가 온일 때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부가 오프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부가 온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is off,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ront panel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ff,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front panel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ff, FIG.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프론트 커버(160)는 투명하게 형성된 강화유리로 이루어지거나 투명하게 형성된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커버(160)의 전면과 후면 중 일면의 일부에는 프론트 패널(160)의 장식미를 높이는 장식물(168)이 배치된다.The front cover 160 is made of transparent glass or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plate and a decorative article 168 for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front panel 160 is formed on a part of one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 .

장식물(168)은 프론트 커버(160) 중 후술하는 장식부(190)의 전방에 형성되 지 않고, 장식부(190)의 전방 이외에만 형성된다.The ornament 168 is not formed in front of the decorative part 190 of the front cove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s formed only in front of the decorative part 190.

즉, 프론트 패널(150)은 장식물(168)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표시부(162)가 되고, 장식물(168)이 형성된 부분이 불투명부(164)가 된다.That is, the portion of the front panel 150 where the ornament 168 is not formed becomes the display portion 162, and the portion where the ornament 168 is formed becomes the opaque portion 164.

장식물(168)은 프론트 커버(160)에 부착되고 특정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장식시트나 장식판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코팅, 프린트, 도포 등에 의해 프론트 커버(160)의 일면에 형성된 장식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ornament 168 may be formed of a decorative sheet or a decorative plate attached to the front cover 160 and having a specific color or pattern or may be formed of a decorat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by coating, It is possible.

장식물(168)은 프론트 커버(160)의 배면에 배치될 경우 비용 저감 등을 위해 장식시트나 장식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론트 커버(160)의 전면에 배치될 경우 촉감이나 손상을 고려하여 금속재나 가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외관의 고급화 및 촉감 등을 위해 금속재(172)와 가죽(174)이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When the decorative article 168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it is preferable that the decorative article 168 or the decorative layer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to reduce the cost.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material 172 and the leather 174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touch.

장식물(168)은 금속재(172)가 부착되는 영역과 가죽(174)이 부착되는 영역이 구분되어 금속재(172)와 가죽(174)이 프론트 커버(160)의 전면에 분할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가죽(174)이 프론트 커버(160)의 전면에 배치되고 금속재(172)가 가죽(174)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rnament 168 may be divided into a region where the metal material 172 is attached and a region where the leather 174 is attached so that the metal material 172 and the leather 174 are divided and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eather 174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and the metal material 17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ather 174. [

장식물(168)은 금속재(172)와 가죽(174)이 분할 배치될 경우 재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금속재(172)가 가죽(174)의 전면에 겹치게 배치될 경우 그 부착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The ornamental material 168 can minimize the material cost when the metal material 172 and the leather material 174 are disposed in a partly divided manner and can easily be attached when the metal material 17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ather material 174 .

장식물(168)은 금속재(172)의 질감이나 미감을 위해 금속재(172)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ornamental piece 168 is made of stainless steel in order to provide a texture or an aesthetics of the metal piece 172.

장식물(168)은 금속재(172)에 의한 질감이나 미감 향상을 위해 금속재(172)의 전면에 세로 혹은 가로 방향으로 헤어라인이 돌출부와 함몰부가 교대로 연속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ornamental article 168 is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hair line are alternately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member 172 in order to improve the texture and aesthetics of the metallic member 172.

장식물(168)에는 공기조화기 혹은 프론트 패널(150)의 미관을 디자인한 작가의 이름이나 로고 등을 표식하는 표식부(169)가 형성될 수 있고, 표식부(169)는 금속재(172)의 일부에 에칭 등의 공법으로 형성된다.The marking part 169 may be formed on the ornament 168 to mark the name or logo of the artist who designed the aesthetics of the air conditioner or the front panel 150. The marking part 169 may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172 A part of which is formed by a method such as etching.

장식물(168)은 금속재(172)가 표시부(162) 및 후술하는 장식부(190)와 함께 특정 디자인을 표현하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스텐드형 전등의 디자인을 표현할 경우, 금속재(172)는 표시부(162) 및 장식부(190)의 하측 위치에 상하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표시부(162) 및 장식부(190) 보다 좌우 폭이 짧게 형성되고, 표시부(162) 및 장식부(190)는 통상적인 전등의 갓과 같은 원 형상이나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ornamental material 168 is formed so as to express a specific design together with the display portion 162 and the decorative portion 19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hen the design of the stand type electric lamp is represented, The display unit 162 and the decorative unit 190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play unit 162 and the decorative unit 190, Like shape or a rhomboid shape.

한편, 프론트 패널(150)은 표시부(162) 후방에 배치되어 표시부(162)를 통해 보이는 장식부(190)와, 장식부(190)를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프론트 커버(160)의 후방에 배치된 발광부(200)를 더 포함한다.The front panel 150 includes a decorative part 190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rt 162 and visible through the display part 162 and a rear part 160 disposed behind the front cover 160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decorative part 190 And a light emitting unit 200 that emits light.

즉, 프론트 패널(150)은, 그 전방에서 볼 때 장식물(168)이 보이면서 표시부(162)를 통해 장식부(190)가 보인다.That is, in the front panel 150, the ornamental part 190 is seen through the display part 162 while the ornamental part 168 is seen from the front.

한편, 장식부(190)는 발광부(200)에서 장식부(190)로 광이 조사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특히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보이는 모양이 변화된다.3 and 4, when the decorative part 190 is irradiated with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200, the shape of the decorative part 190, which is visible from the front of the exterior, in particular, the front panel 150, do.

장식부(190)는 발광부(200)에서 광이 조사되면, 일부(A)가 다른 부분(B) 보다 어둡게 보이거나 색상 등이 바뀌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보이는 모양이 전체적으로 변화된다.When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200, the decorative portion 190 is seen to be darker than the other portion B, or the color or the like is changed.

이하, 장식부(190)는 발광부(200)의 온시 일부(A)가 다른 부분(B) 보다 어둡게 보이는 것에 의해 외부 특히,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보이는 모양이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decorative portion 190 will be described as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200 that is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150 as a whole because the on portion A is darker than the other portion B .

장식부(190)는 표시부(162)를 통해 보이는 색상층(192)을 포함하고, 색상층(192)은 일부(A)가 다른 부분(B) 보다 어둡게 되었을 때 외부에서 식별이 용이한 색상인 백색 계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색상층(192)은 백색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The decorative part 190 includes a color layer 192 that is visible through the display part 162. The color layer 192 is a color that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 outside when the part A is darker than the other part B It is preferable to have a white color, and the color layer 192 will be described below as being white.

장식부(190)는 발광부(200)의 온시 색상층(192)의 일부(A)에 음영(S)을 형성하기 위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된 음영 형성수단을 포함하고, 이하, 음영 형성수단은 프론트 커버(16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194)인 것으로 설명한다.The decorative part 190 includes a convex or concave formed shading means for forming a shade S in a part A of the on-state hue layer 192 of the light emitting part 200, And a groove 194 formed concavely i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색상층(192)은 그루브(194) 및 그 주변(195)에 코팅,인쇄,도포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The color layer 192 is formed on the groove 194 and its periphery 195 by coating, printing, coating or the like.

그루브(194)는 프론트 커버(160)의 배면에 가로 혹은 세로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grooves 194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so as to be elonga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the grooves 19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즉, 장식부(190)는 프론트 커버(16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194)와, 그루브(194)와 그루브(194)의 주변에 형성된 색상층(192)을 포함하여, 그루 브(194)의 주변(195)에 의해 생긴 음영(S)이 그루브(194)에 위치하게 되고, 프론트 커버(160)의 전방에서 장식부(190)를 볼 때 그루브(194)측은 음영(S)에 의해 어둡게 보이는 반면에 그루브 주변(195)은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며, 장식부(190)는 상기와 같은 음영(S)의 유무에 따라 외부에서 보이는 모양이 변화된다.That is, the decorative part 190 includes a groove 194 recess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60, and a color layer 192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groove 194 and the groove 194, The shade S formed by the periphery 195 of the front cover 160 is located in the groove 194 and the side of the groove 194 is viewed in the shade S when the decorative portion 190 i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160 While the periphery 195 of the groove is relatively bright, and the shape of the ornamental part 19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hadow S as described above.

한편, 발광부(200)는 음영(S)의 형성을 위해, 그루브 주변(195)이 그루브(194)에 음영(S)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장식부(190)의 후방 주변인 그루브(194) 후방 공간의 상,하,좌,우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다. The light emitting portion 20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groove periphery 195 can form a shadow S on the groove 194 for forming the shadow S, The groove 194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pace.

발광부(200)는 그루브(194)가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될 경우, 그루브(194)와 프론트 프레임(152) 사이 공간의 상,하에 설치되고, 그루브(194)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좌우 이격되게 형성될 경우, 그루브(194)와 프론트 프레임(152) 사이 공간의 좌,우에 설치된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200 is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194 and the front frame 152 when the groove 194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groove 194 are vertically spaced, The front frame 152 and the groove 194 are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194 and the front frame 152, respectively.

이하, 프론트 패널(150)은 발광부(200)가 오프일 때 장식부(190)가 마름모 모양으로 보이고, 발광부(200)가 온일 때 장식부(190)가 전체적으로 마름모 모양으로 보이되 마름모에 가로로 긴 스트라이프가 복수개 보이는 것으로 설명한다.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turned off, the decorating unit 190 is seen as a rhombus, and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on, the decorating unit 190 is seen as a rhombus, Explain that a plurality of long stripes are seen horizontally.

상기와 같은 가로로 긴 스트라이프를 위해, 그루브(194)는 복수개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됨과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그루브(194)는 최하측의 그루브에서 최상측의 그루브로 갈수록 그 좌우 길이가 점차 짧게 형성되며, 발광부(200)는 그루브(194)와 프론트 프레임(152) 사이 공간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 상측 발광부(210)와, 그루브(194)와 프론트 프레임(152) 사이 공간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된 하측 발광부(220)를 포함한다.The grooves 194 are formed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grooves 194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lowermost groove to the uppermost groove,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ncludes an upper light emitting unit 210 disposed above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194 and the front frame 152 and a lower light emitting unit 210 disposed between the groove 194 and the front frame 152. [ And a lower light emitting unit 220 disposed below the lower light emitting unit 220.

상측 발광부(210)와 하측 발광부(220)는 피시비(204)와, 피시비에 설치된 엘이디 등의 발광부재(206)를 포함하고, 상측 발광부(210)는 발광부재(206)가 광을 하향 조사하도록 배치되며, 하측 발광부(220)는 발광부재(206)가 광을 상향 조사하도록 배치된다.The upper light emitting portion 210 and the lower light emitting portion 220 include a light emitting member 206 such as a LED mounted on a PCB 200 and a PCB 200. The upper light emitting portion 210 includes a light emitting member 206, And the lower light emitting portion 220 is dispos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mber 206 irradiates light upward.

상측 발광부(210)와 하측 발광부(220)는 프론트 프레임(152)에 설치되고, 프론트 프레임(152)에는 상측 발광부(210)가 설치되는 상측 발광부 설치부(154)가 장식부(190)의 후방 상측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 발광부(220)가 설치되는 하측 발광부 설치부(156)가 장식부(190)의 후방 하측 위치에 형성된다.The upper light emitting part 210 and the lower light emitting part 220 are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152 and the upper light emitting part installing part 154 on which the upper light emitting part 210 is installed is provided on the front frame 152, 190 and the lower light emitting part mounting part 156 provided with the lower light emitting part 220 are formed at the rear lower position of the decorative part 190. [

상측 발광부(210)와 하측 발광부(220)는 피시비(204)가 직접 상측 발광부 설치부(154)와 하측 발광부 설치부(156)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으로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발광부 커버(208)에 설치되고, 발광부 커버(208)가 상측 발광부 설치부(154)와 하측 발광부 설치부(154)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으로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upper light emitting portion 210 and the lower light emitting portion 2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light emitting portion mounting portion 154 and the lower light emitting portion mounting portion 156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or hooking means such as a hook And the light emitting unit cover 208 is attached to the upper light emitting unit mounting unit 154 and the lower light emitting unit mounting unit 154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It may be installed directly by a hooking means such as a hook.

한편, 장식부(190)는 그루브(194)와 발광부(210)(220)의 거리에 따라 음영(S)의 크기가 상위하게 되는데, 장식부(190)가 동일 높이의 스프라이트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루브(194)는 발광부(210)(220)와 가까울수록 깊이가 높게 형성되고, 발광부(210)(220)와 멀수록 깊이가 낮게 형성된다.The size of the shade 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groove 194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s 210 and 220. The decorative portion 19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prite The depth of the groove 194 is increased toward the light emitting portions 210 and 220 and the depth of the groove 194 is decreased toward the light emitting portions 210 and 220.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송풍/제습/청정 등의 운전 명령이나 장식부(190)의 장식 모드를 조작하는 조작부(240)와, 조작부(240)의 조작 등에 따라 공기조화기 특히 공조부(2)를 제어하고, 발광부(200) 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더 포함한다.7,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peration unit 240 for operating operation commands such as cooling / blowing / dehumidifying / cleaning, a decoration mode of the decoration unit 190, And a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the air conditioning unit 2 and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like.

여기서, 제어부(250)는 조작부(240)에 조작된 장식 모드에 따라 발광부(200)의 온/오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발광부(200)를 온시키고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발광부(200)를 오프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냉방/송풍/제습/청정 등의 각종 운전 중 일부 운전 예를 들면, 냉방/제습과 같이 온도/습도 조절과 관련된 운전시 발광부(200)를 온시키고, 다른 운전 예를 들면, 송풍/청정과 같은 온도/습도 조절과 무관한 운전시 발광부(200)를 오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250 can control the on / off control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decoration mode operated by the operation unit 240. The control unit 250 turns o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t is possible to turn of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t the time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during operation related to temperature / humidity control such as cooling / It is also possible to turn of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during other operations such as ventilation / cleaning and the like, irrespective of temperature / humidity control.

또한, 제어부(250)는 상기와 같은 발광부(200)의 제어 이외에, 토출 공기의 온도나 송풍 세기나 실내 조도이나 현재 시각 등에 따라 발광부(200)를 온/오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하 조작부(240)에 조작된 조명 모드에 따라 발광부(2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control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50 can turn on / of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the wind intensity, the indoor illumination, the current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illumination mode operated by the operation unit 240. [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조작부(240)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식미가 표현되는 제 1 모드(예를 들면, 스프라이트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50)는 발광부(250)를 온시킨다.First, when a first mode (for example, a sprite mode) in which an ornamen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 is selec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240, the controller 250 turns on the light emitting unit 250.

발광부(250)의 온시, 발광부(250)의 광은 장식부(190)로 조사되고, 그루브(194)에는 그루브 주변(195)에 의해 생성된 음영(S)이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음영(S)의 생성된 경우, 장식부(190)는 음영(S)이 위치한 어두운 부분(A)과 음영(S)이 위치하지 않는 밝은 부분(B)이 함께 보이고, 전면 패널(150)이 전방에서 볼 때 음영(S)이 위치하지 않는 밝은 부분(B)에 의한 모양이 보이게 된다.Wh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250 is turned on,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250 is irradiated to the decorative portion 190, and the groove 194 is positioned with the shadow S generated by the groove periphery 195. When the shade S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decorative portion 190 has the dark portion A where the shadow S is located and the bright portion B where the shadow S is not seen together, 150 are seen from the front, the shape of the bright portion B where the shadow S is not seen is seen.

반면에, 조작부(240)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식미가 표현되는 제 2 모드(예를 들면, 비 스트라이프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50)는 발광부(250)을 오프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mode (e.g., non-stripe mode) in which the ornaments shown in FIG. 3 are express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240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250 turns off the light emitting unit 250.

발광부(250)의 오프시, 장식부(190)의 일부에는 음영이 형성되지 않고, 장식부(190)는 전면 패널(150)이 전방에서 볼 때 색상층(192)의 전체적인 모양이 보이게 된다.The shade is not formed in a part of the decorative part 190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color layer 192 is seen when the front panel 150 i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decorative part 190 when the light emitting part 250 is turned off .

즉, 사용자 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가 표현된 장식부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가 표현되지 않는 장식부를 선택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ser or the like can selectively see the decorative part in which the stripe is expressed as shown in FIG. 4 and the decorative part in which the stripe is not expressed as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발광부가 오프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발광부가 온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ront panel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ff,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front panel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190′)가 프론트 커버(160)에 일체 형성되지 않고, 프론트 커버(160)와 별도 형성되고, 장식부(19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8 and 9, the decorative unit 190 'is no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cover 160 bu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ront cover 160, and the decorative unit 190' (190 ')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장식부(190′)는 음영 형성수단이 형성된 투명판체(198)와, 투명판체(198)의 전면 혹은 배면에 형성된 색상층(192)을 포함한다.The decorative part 190 'includes a transparent plate 198 formed with shading means and a color layer 192 form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198.

투명판체(198)는 음영 형성수단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은 그루브(194)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체(198)의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리브 등의 돌출부(194′)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nsparent plate body 198 may have a groove 194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plate body 198 may have a rib 194 project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198,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a protruding portion 194 '.

상기와 같은 장식부(190′)는 발광부(200)가 온되어 발광부(200)에서 광이 조사되면, 돌출부(194′)에 의해 음영(S)이 형성되고, 장식부(190′)는 음영(S)이 형성된 부분이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면서 장식부(190′) 전방에서 보이는 모양이 변화된다.When the light emitting part 200 is turned on and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200, the decorative part 190 'is formed with the protrusion 194', and the decorative part 190 ' The portion where the shadow S is formed is seen to be relatively darker than the surrounding portion, and the shape seen from the front of the decorative portion 190 'is chang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ront panel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190″)가 색상층(192)과, 색상층(190)의 배면에 형성되고 발광부(200)에서 광이 조사되면 어두운 색상으로 변화되는 물질로 이루어진 색상가변층(194″)을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ative portion 190 "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lor layer 192 and the color layer 190 and the light is irradiated And a hue variable layer 194 " made of a material which changes to a dark hue.

상기와 같은 장식부(190″)는 발광부(200)에서 색상가변층(194″)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을 경우 색상가변층(194″)이 색상층(192)과 같거나 유사한 백색이고, 발광부(200)에서 색상가변층(194″)으로 광이 조사되면 색상가변층(194″)이 색상층(192) 보다 어두운 회색이나 흑색으로 변화하며, 상기와 같은 색상가변층(194″)의 색상 변화시, 장식부(190″)는 색상가변층(194″)이 위치하는 부분이 어둡게 보이면서 장식부(190″) 전방에서 보이는 모양이 변화된다.When the light is not irradiated to the hue variable layer 194 ''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200, the hue variable layer 194 'is white or the like similar to the hue layer 192,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hue variable layer 194 ''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200, the hue variable layer 194 '' changes to gray or black that is darker than the hue layer 192, and the hue variable layer 194 ' The portion where the hue variable layer 194 " is located is darkened and the shape seen from the front of the decorative portion 190 " is chan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부가 오프일 때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is off,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부가 온일 때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is 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부가 오프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ront panel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ff,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부가 온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ront panel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FIG.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발광부가 오프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ront panel wh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ff,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발광부가 온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ront panel wh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front panel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2: 본체 150: 프론트 패널2: main body 150: front panel

160: 프론트 커버 162: 표시부160: front cover 162: display portion

164: 불투명부 168: 장식물164: Opaque part 168: Ornament

174: 금속재 174: 가죽174: metal material 174: leather

190: 장식부 192: 색상층190: decorative part 192: colored layer

194: 그루브 194′: 돌출부194: groove 194 ': protrusion

195; 그루브의 주변 198: 투명판체195; The periphery of the groove 198:

200: 발광부 204: 피시비200: light emitting unit 204:

206: 발광부재 208: 발광부 커버206: light emitting member 208: light emitting portion cover

210: 상측 발광부 220: 하측 발광부210: upper light emitting portion 220: lower light emitting portion

240: 조작부 250: 제어부240: operating part 250:

Claims (10)

삭제delete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An air conditioning unit that sucks indoor air and cools it and discharges the indoor air; And a front panel provided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상기 프론트 패널은, 광이 조사되면 외부에서 보이는 모양이 가변되는 장식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The front panel includes a front cover on which a decorative part is formed, the shape of which is visible from outside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상기 장식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설치된 발광부를 포함하고,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provided behind the front cover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decorative portion, 상기 장식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의 주변에 형성된 색상층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decorating portion comprises a groove formed concavely i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a color layer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groove and the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론트 커버는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색상층은 백색인 공기조화기.Wherein the front cover is transparent and the color layer is white. 제 2 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발광부는 상기 그루브 주변에 의해 생긴 음영이 상기 그루브에 위치되도록 상기 그루브의 후방 상,하,좌,우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공기조화기.Where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 rear side, a lowe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the groove such that a shadow produced by the periphery of the groove is located in the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그루브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가로 혹은 세로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so as to be elonga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장식부의 장식 모드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n operation section for operating a decoration mode of the decorative section;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ection.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방에 배치된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front panel further comprises a metal plate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cover.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레스 재질(SUS)인 공기조화기.Wherein the metal plate is stainless steel (SUS).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금속판은 전면에 요철 형상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공기조화기.Wherein the metal plate has a concave-convex hairline on its front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방에 배치된 가죽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front panel further comprises leather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cover.
KR20080023954A 2008-03-14 2008-03-14 Air conditioner KR101482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3954A KR101482105B1 (en) 2008-03-14 2008-03-14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3954A KR101482105B1 (en) 2008-03-14 2008-03-14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16A KR20090098516A (en) 2009-09-17
KR101482105B1 true KR101482105B1 (en) 2015-01-13

Family

ID=4135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3954A KR101482105B1 (en) 2008-03-14 2008-03-14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1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5659B (en) * 2011-07-05 2014-1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conditioner panel and air-conditioner
US10684036B2 (en) 2016-07-22 202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1808480B2 (en) * 2018-11-28 2023-1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ecorative panel and indoor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466A (en) * 2000-12-21 2004-01-13 모리 드루프바 Method and a device for illumination
KR20060057361A (en)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seperate type air conditioner with la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466A (en) * 2000-12-21 2004-01-13 모리 드루프바 Method and a device for illumination
KR20060057361A (en)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seperate type air conditioner with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16A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05033B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KR20140039703A (en) An air conditioner
KR101482105B1 (en) Air conditioner
KR20100055910A (en) Back lighting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365216B1 (en) Air conditioner
KR101466296B1 (en) Air conditioner
KR20180126725A (en) Lighting Mirrors
JP4045147B2 (en) Air conditioner
KR101482106B1 (en) Air conditioner
JP2009243737A (en) Air conditioner
KR100942549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13100939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611325B1 (en) Air conditioner
KR101476296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KR20130142483A (en) An display device and a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CN206973716U (en)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JP2005209444A (en) Lighting device for range hood fan
GB2486507A (en) Kitchen extractor hood with flue illumination
CN205119395U (en) Air -out subassembly of air conditioner and have its air conditioner
KR100958394B1 (en) Air conditioner
KR20070002536A (en) Air cleaner
KR100906184B1 (en) Air conditioner
JP2017161178A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JP5187637B2 (en) Electrical equipment
KR20110038401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