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990B1 - 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releasing function in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releasing function in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990B1
KR101481990B1 KR20130039504A KR20130039504A KR101481990B1 KR 101481990 B1 KR101481990 B1 KR 101481990B1 KR 20130039504 A KR20130039504 A KR 20130039504A KR 20130039504 A KR20130039504 A KR 20130039504A KR 101481990 B1 KR101481990 B1 KR 10148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nit
window
locking means
tou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4025A (en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정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선 filed Critical 정관선
Priority to KR2013003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990B1/en
Publication of KR2014012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0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잠금해제창이 표현되는 입력부와, 저장부, 프로그램 실행부, 잠금수단 구동부,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창에는 잠금수단과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활성화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활성화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잠금해제창의 잠금수단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해제창의 활성화영역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애플리케이션만 활성화시키고 그 외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스마트폰의 잠금해제창, 즉 터치스크린의 매우 한정된 면적만을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화 영역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검색어 입력 칸"을 배치함으로써 잠금수단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게 되어 개인 정보는 보호하면서도 신속한 인터넷 검색은 가능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lication execution device in a lock release window including an input unit in which an unlocked window having a locking means is represented, and a storage unit, a program executing unit, a lock unit driving unit, an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window is formed with an activation area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cking means, wherein at least one application icon is disposed in the activation area, and in the activation area of the unlocked window without unlocking the locking means of the unlocked window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activate only the touched application when the deployed application icon is touched and to keep the other applications locked, wherein the application execution device in the unlocking application is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alfunction of the touch screen by setting only a very limited area of the touch screen to be the activation area, and by disposing the "input word of search word" It is an extremely useful invention that has the effect of searching the Internet while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enabling quick search of the Internet.

Description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장치 및 방법{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RELEASING FUNCTION IN MOBILE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in a lock-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 해제 기능이 구현된 모바일기기의 잠금해제창에서 잠금해제를 하지 않은 상태로 애플리케이션, 특히 인터넷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in a unlocking window in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in a unlocking window of a mobile device,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n application to be executed.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과 스마트 패드(이하 "스마트폰"이라 통칭한다) 같은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개인 정보들이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nd a smart p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rt phone") are widely spread, so that a variety of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a smart phone.

상기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ce:PDA)의 장점을 통합시킨 것으로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의미하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스마트폰은 방대한 종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이하 "애플리케이션"이라 한다)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The smart phone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integrates the advantages of a mobile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and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to a mobile phone. Unlike existing mobile phones, which are used only for functions, smartphones are capable of installing, adding, or deleting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 progra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lications") as desired.

또한, 스마트폰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도 기존 휴대폰에 비해 큰 장점으로 꼽힌다.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onnect directly to the Internet using wireless Internet, the smartphone can access various ways by using various browsing programs, can also make the application that the user desires, and implement the appropriate interface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And the ability to share applications between smartphones with the same operating system (OS) is a big advantage over traditional phones.

최근에 안드로이드(Android)를 운영체제(OS)로 하는 스마트폰이 출시되었다. 안드로이드는 휴대전화기를 비롯하여 모바일 장치를 위한 운영체제와 미들웨어, 그리고 핵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기기용 소프트웨어 스택이다. 이러한 안드로이드는 개발자들이 자바(java)언어로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게 하였으며, 컴파일된 바이트코드를 구동할 수 있는 런타임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또한, 안드로이드 SDK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 및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한다.Recently, a smartphone with an Android operating system (OS) has been released. Android is a software stack for mobile devices that includes mobile phones, operating systems, middleware, and core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This Android allows developers to write applications in the Java language and provides a runtime library to run compiled bytecode. It also provides the necessary tools and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APIs) for developing applications through the Android SDK.

도 1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스마트폰에서의 실행 화면 예시도로써,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바탕화면(10)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고 삭제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바탕화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icon)을 터치하면 그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FIG. 1 is an example of an execution screen in a smartphone of an Android operating system. Various applications 11 may be installed on the desktop 10 of the Android smartphone. These applications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on smartphones by downloading various applications from the App Store. When a user touches an application icon displayed on the desktop,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그런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문자 및 이메일 정보, 신용카드 결제 기능 및 증권 거래 기능 등 보안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 개인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어 잠금 기능을 활용하여 개인 정보에 대한 타인의 접근을 제한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However, the application store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email information, a credit card payment function, and a securities transaction function, which should be more sensitive to security, as well as a telephone number. There is a need to do.

또한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에 잠금해제창이 필요한 이유로는 최근 스마트폰의 액정 표시부가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여서 전력의 상당 부분을 액정 표시부가 소모하고 있고 이로 인해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unlocking window is requir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of the smart phone has recently become larger and larger, so that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consumes a large portion of electric power and the device is not used, This is because the power must be cut off.

즉 종래에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 혹은 터치 센서의 기능을 통해서 스마트폰의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게 되는데, 별도의 제어 스위치 및 단순한 터치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경우 주머니나 가방 속에 넣어 보관하는 스마트폰의 특성상 불필요하게 스위치가 눌려져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the power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is controlled through the function of the control switch or the touch sensor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ing a separate control switch and simple touch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ccurs due to the unnecessary pushing of the switc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phone which is stored in a pocket or a bag.

따라서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에 형성되는 잠금해제창에는 잠금수단, 즉 잠금애플리케이션이 형성되어 지는데, 상기 잠금수단은 숫자 암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과 도 2에 도시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12779호 같이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 등에 의해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Accordingly, a locking means, that is, a locking application, is formed on the unlocking window form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smart phone. The locking means is a method of unlocking by inputting a numeric code, A method of releasing the lock by a method of inputting a pattern such as 1112779 is used.

그런데 종래의 스마트폰이 갖는 문제는 잠금해제창을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에 배치함으로 인해 상기 잠금해제창에서 잠금수단을 해제하지 않고서는 어떠한 애플리케이션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smart phone is that it can not use any application without releasing the locking means in the unlocking window by placing the unlocking window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smartphone.

즉 인터넷 검색과 같이 개인적인 보안과는 상관없이 신속한 작업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잠금해제창에서 잠금수단을 해제한 다음에서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신속한 정보 검색을 불가능하게 하는 단점을 갖는다.In other words, even when an application requiring rapid operation is required regardless of personal security such as Internet search, it can be used only after releasing the locking means in the lock-out window,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user, It disadvantageously disables searching.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잠금해제창에서 잠금수단이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n application to be used even when the locking means is not released from the unlocking window of a smartphone.

그러나 이는 단순히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잠금해제창으로 옮겨서 실행하는 차원의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잠금해제창의 경우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대개 정해진 시간 내에 스크린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고, 또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번호가 입력되는 부분 또는 패턴이 입력되는 버튼부분을 제외하고는 다른 부분은 모두 비활성상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However, this is not a simple matter of simply locking the application icon and moving it into the application.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unlocking window, the power of the screen is usually set to be turned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prevent waste of power, and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touch screen, All other parts are set to inactive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장치는 스마트폰의 잠금해제창의 임의 위치에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활성화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배치하되, 상기 활성화 영역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잠금수단을 해제하지 않더라도 터치만 이루어지면 실행되도록 활성화하면 터치된 애플리케이션만 실행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은 상태에서 인터넷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lication execution device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n activation area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n unlocked window of a smartphone, and displays an application icon Wherein the application icon disposed in the active area is configured to execute only the touched application by activating the touched application even if the touched application does not release the locking means, thereby enabling the Internet search in the Touched state.

또한 본 발명은 잠금해제창의 활성화 영역, 즉 검색어 입력칸에 터치가 발생하면 자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자판의 입력을 기다리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시간 내에 자판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 사용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keyboard, comprising: causing a keyboard application to be executed when a touch occurs in an activation area of an unlocked window, that is, a key word input field; waiting for input of a keypad for a preset time; And switching to an application using mode, wherei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in the unlocking window is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활성화 영역에서 터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다른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비활성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ausing all other applications to remain inactive when the touched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active area.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 사용모드라 함은 잠금해제창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스크린의 전원 오프시간과는 상관없이 사용자의 의지만 있으면 계속해서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을 의미한다.
Normal application usage mode means to keep the usable state of the unlocked window, regardless of the power-off time of the predetermined screen, if the user is willing to continu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스마트폰의 잠금해제창, 즉 터치스크린의 매우 한정된 면적만을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According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lfunctioning of the touch screen can be minimized by setting only a very limited area of the touch screen to be the activation area,

상기 활성화 영역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검색어 입력 칸"을 배치함으로써 잠금수단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게 되어 개인 정보는 보호하면서도 신속한 인터넷 검색은 가능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Internet without releasing the locking means by disposing a "search word entry box" as an application icon of the activation area.

도 1은 종래 잠금해제창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잠금해제창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잠금해제창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잠금수단 구동부의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흐름도.
1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a conventional lock release window.
2 is a view for showing a locking window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showing a locking window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locking means driv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 따른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장치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프로그램 실행부(130), 잠금수단 구동부(140), 타이머(150),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pplication executing apparatus in the unlocking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program executing unit 130, a lock unit driving unit 140, a timer 150, an output unit 160, (170).

상기 입력부(110)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비롯하여 다운로드, 이동, 삭제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나아가 문자의 입력 및 전송, 전화통화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스마트폰에서 예컨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및 도구를 이용하여 터치함으로써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터치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된다. The input unit 110 provides an interface for receiving various commands from a user in a smartphone. In particular, it receives user commands such as downloading, moving, and deleting as well as execution of applications, and further receives user commands such as input and transmission of characters and telephone conversations. The input unit 110 is implemented in a smart phon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so that a user can input various user commands by touching using a finger and a tool. For example, when an icon displayed on the desktop of the smartphone is touched, an execution command of the application is input.

특히 상기 입력부(110)는 잠금해제창(10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공지의 잠금수단(111)이 형성되고, 또한 터치에 의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인 활성화영역(101)과 터치되더라도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없는 비활성화영역(102)로 구분되어 형성되되, 이때 활성화영역(101)은 잠금수단(111)과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Particularly, in forming the lock release window 100, the input unit 110 is formed with a known lock means 111. Even if the input unit 110 is touched with the activation area 101, which is a part capable of inputting a user command by touch, And the active area 101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active area 10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cking unit 111. In this case,

상기 저장부(120)는 스마트폰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다수 및 다종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또는 앱 스토어(App store)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장부(120)는 하드디스크드라이버 및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120 stores variou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smartphone. In particular, it stores many and many applications running on smart phones. These applications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Internet or from the App store. The storage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rd disk driver and a flash memory.

상기 프로그램 실행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후술하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하며, 잠금수단 구동부(140)는 스마트폰의 잠금 및 그 잠금의 해제를 수행한다. The program executing unit 130 functions to execute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The locking unit driving unit 140 locks the smart phone, .

상기 잠금수단 구동부(140)는 비밀번호 입력 및 슬라이딩 해제타입 등 다양한 잠금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이나, 본 발명에서는 패턴타입의 잠금수단에 대한 구성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즉 패턴타입의 잠금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잠금수단 구동부(140)는 터치센서부(143), 패턴 인식부(144), 패턴 비교부(145), 전원부(141) 등으로 이루어져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되며, 스마트폰의 입력부(110)에 형성되는 터치센서부(143)는 입력부(110) 상에 터치 입력되는 소정의 패턴을 센싱하게 되고, 이를 패턴 인식부(144)로 전달하여 센싱된 입력 패턴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도록 한 다음, 패턴 비교부(145)에 의해 인식된 입력 패턴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설정패턴 정보를 비교하게 한다. 상기 전원부(141)는 입력부(110)에 구비되는 백라이트(142)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전원부(141a)와, 제 1전원부(141a)와 구분되어 터치센서부(143)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141b)로 이루어지는데, 제어부(170)에서 패턴 비교부(145)에서 입력된 패턴과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입력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The locking means driving unit 140 is a means for driving various locking means such as a password input type and a sliding type release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type locking means will be limited. That is, the locking means driving unit 140 for driving the pattern type locking means comprises a touch sensor unit 143, a pattern recognition unit 144, a pattern comparison unit 145, a power source unit 141, And the touch sensor unit 143 formed on the input unit 110 of the smartphone senses a predetermined pattern to be touched on the input unit 110 and transmits the sensed pattern to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144,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pattern comparing unit 145 is compared with the setting pattern information predetermined by the user. The power supply unit 141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unit 141a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backlight 142 provided in the input unit 110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141b for operating the touch sensor unit 143 The control unit 170 supplies power to the input unit 1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tern input from the pattern comparison unit 145 is the same as the setting pattern .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스마트폰에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입력부(1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데,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체크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송하는 타이머(150)의 구성을 필요로 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input unit 110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smartphone for a preset tim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may set a preset time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70. The timer 1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0,

이처럼 상기 제어부(170)는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함에 있어 입력부(110)로 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명령을 수신하고 프로그램 실행부(130)를 제어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중 그 실행명령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데 그 주기능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잠금해제창(100)의 잠금수단(111)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해제창(100)의 활성화영역(101)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0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애플리케이션만 활성화시키고 그 외의 다른 애플리케이션(활성화된 애플리케애션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은 제외)은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에 제어부(170)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할 것이다.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the execution command of the applic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110 and controls the program execution unit 13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and functions of the smartphon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lock means 111 of the lock release window 100 is not unlocked, the activation of the lock release window 100 When the application icon 101a disposed in the area 101 is touched, only the touched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the other application (except for the system program and application necessary for the activated application) (170).

다만 이때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반드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은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owever, an application or a system program that is necessary for use of the activated application at this time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예를 들면 인터넷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사용하고자 할 때 필수적으로 수단되어야 하는 자판 프로그램 등도 활성화되도록 하여야 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a keyboard program, which is an essential means to activate the Internet search application.

물론 상기와 같은 경우는 사용자가 잠금해제창(100)의 잠금수단(111)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활성화영역(101)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되며, 사용자가 잠금해제창(100)의 잠금수단(111)의 잠금을 해제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사용가능하게 됨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above-mentioned case is applicable only when the user uses the application placed in the active area 101 without unlocking the locking means 111 of the lock-release window 100, It is natural that all the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smart phone are activated and become available when the lock means 111 of the mobile phone 100 is unlocked.

상기 출력부(160)는 각종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내용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60)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음성출력부 및 영상출력부는 예컨대 스피커 및 LCD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출력부(16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부(110)와 동일한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output unit 160 outputs various data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output unit 16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video signal. In this case,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video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speaker and an LCD device, and the output unit 160 may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module as the input unit 110, such as a touch screen.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도 2 및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application execution process in the unlocking window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as follows.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잠금해제창(100)에는 잠금수단(111)을 제외하고 어느 곳도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는 활성화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잠금수단(111)을 제외하고도 활성화 영역(101)이 형성된다. 상기 활성화 영역(101)은 본 발명에는 잠금수단(111)의 상부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잠금수단(111)과 간섭되지 않는다면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lock release window 100 shown in FIG. 1, an active area responsive to a user's touch is not formed except for the lock means 111. 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activation region 101 is formed except for the locking means 111. [ Although the activation region 101 is formed only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means 111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formed at any position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cking means 111.

이처럼 잠금해제창(100)에 형성된 활성화영역(101)에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0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01a) 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어 실행되면, 동시에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전부 비활성화상태, 즉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application icon 101a is disposed in the activation area 101 formed in the lock-release window 100. When any one of the application icons 101a is touched and executed, all the other applications are inactivated , I.e., does not respond to the user's touch.

본 발명에서 상기 활성화영역(101)에 배치되는 가장 바람직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01a)으로는 인터넷 검색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101b)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뉴스제공애플리케이션, 기상정보제공애플리케이션 등 개인적인 정보를 노출할 염려 없이 신속한 정보의 습득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들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preferable application icon 101a disposed in the activation area 101 may be an icon 101b of the Internet search application.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expos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news providing application,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pplications that need to acquire information quickly can be deployed.

이때 상기 인터넷 검색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01a)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검색창이 활성화될 것이고, 검색을 위해서는 자판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므로 동시에 자판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면서 검색이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과 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면 모두 비활성화됨은 당연하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touches the Internet search application icon 101a, a search window for enabling Internet search will be activated. Since the keyboard program is essential for searching, the keyboard program is activated and searchable.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activated application and all the necessary programs and applications are disabled at this tim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의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을 보이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n application in a lock-unlock window in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스마트폰의 전원스위치가 온(ON)되면(S101), 전원부(141)는 일단 입력부(1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마트폰을 사용 가능 상태로 만든다.First, when the power switch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n (S101), the power supply unit 141 once supplies power to the input unit 110 to make the smartphone usable.

다음 잠금수단(111)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S102), 사용자가 잠금수단(111)을 해제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가능한 상태(S103)가 된다.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ext locking means 111 is released (S102). When the user releases the locking means 111, all the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re available (S103).

만일 사용자가 잠금수단(111)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활성화영역(101) 내 아이콘(101a)을 터치하게 되면(S104)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된 아이콘(101a)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비활성화상태로 만드는 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If the user touches the icon 101a in the active area 101 without releasing the locking means 111 in step S104,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icon 101a And making all the applications except the system program and the application to be in an inactive state (S10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genius will be so self-eviden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잠금해제창 101: 활성화 영역
102: 비활성화 영역 110: 입력부
111: 잠금수단 120: 저장부
130: 프로그램 실행부 140: 잠금수단 구동부
150: 타이머 160: 출력부
170: 제어부
100: unlocking window 101: activation area
102: inactive area 110: input part
111: Locking means 120:
130: Program executing section 140: Locking means driving section
150: Timer 160: Output section
170:

Claims (3)

스마트폰의 전원스위치 온(ON)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잠금수단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잠금수단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활성화영역 내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터치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비활성화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잠금해제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witch of the smart phone is ON;
Determining whether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When the icon in the active area is touched without releasing the locking means, the step of making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icon and the system program for making it available and all applications except for the application disabl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039504A 2013-04-10 2013-04-10 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releasing function in mobile device KR1014819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504A KR101481990B1 (en) 2013-04-10 2013-04-10 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releasing function i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504A KR101481990B1 (en) 2013-04-10 2013-04-10 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releasing function in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25A KR20140124025A (en) 2014-10-24
KR101481990B1 true KR101481990B1 (en) 2015-01-14

Family

ID=5199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504A KR101481990B1 (en) 2013-04-10 2013-04-10 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releasing function in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9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603B1 (en) 2022-03-08 2022-08-18 (주)에이블소프트 System for detecting and calibrating coordinates of electronic blackboar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521A (en) * 2011-08-29 201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521A (en) * 2011-08-29 201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25A (en) 201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1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KR10201358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36720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6366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the same
US8732624B2 (en) Protection for unintentional inputs
KR102070276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00131605A (en) The method for executing menu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TWI675329B (en) Information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EP3531330B1 (en) Isolation method and device for payment application, and terminal
KR201200551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KR201200092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KR201401244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document of touch device
KR20140008643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232007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information disclosure thereof
WO2012098360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lock management and user interaction
KR20150085325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81990B1 (en) 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ocking/releasing function in mobile device
JP2015521768A (en) Launching applications on programmable devices that use gestures on images
EP1815325A1 (en) Navigating applications in an interactive computing device
JP201410988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34892B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10085767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7072177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user interface configurable command placement logic
JP6199265B2 (e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034889B1 (en) Mobile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terminal, and recorable medium for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