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653B1 -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653B1
KR101480653B1 KR1020130162433A KR20130162433A KR101480653B1 KR 101480653 B1 KR101480653 B1 KR 101480653B1 KR 1020130162433 A KR1020130162433 A KR 1020130162433A KR 20130162433 A KR20130162433 A KR 20130162433A KR 101480653 B1 KR101480653 B1 KR 10148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ead unit
channel
sound channel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6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6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comprises the steps of: running a second application at a wireless terminal while the wireless terminal and a head unit of a vehic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mirrorlink and a first application is being run through a first sound channel through the head unit; reques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the generation of a second sound channel defined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second application to the head unit; generating the second sound channel by the head unit; and outputting, by the head unit, output sound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second application through the generated second sound channel.

Description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

본 발명은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링크시 사운드를 출력 채널 별로 구분하여 제하하는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mirror link sound outpu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mirror link sound output in which a sound is divided for each output channel during a mirror link.

디지털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VOD(Video On Demand)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단말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화된 비디오, 그래픽, 오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자유롭게 액세스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s), 그 중에서도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의 증가와 더불어 최근에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술과, 무선으로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미러링(display mirroring) 기술 등이 사용자 장치에 채택되고 있다. As multimedia services such as digital TV,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VOD (Video On Demand) and the like are diversified and terminal technology developed, multimedia contents such as digitized video, graphics, audio and the like can be freely accessed and displaye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user devices, especially portable terminals.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such demands, a technique of wirelessly shar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a display mirroring technique capable of wirelessly sharing a screen have been adopted in user devices.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들 간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요구된다. 사용자 장치들간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데이터 전송률, 대역폭, 소모 전력 등과 같은 제한 요소가 데이터 전송에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만일 데이터 전송률, 대역폭, 소모 전력 등과 같은 제한 요소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다면, 무선 데이터 공유 또는 디스플레이 미러링이 수행되는 사용자 장치들간에 원치 않는 시간적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In order to perform display mirroring, smooth data transmission between remote user devices is required. In order to smoothly transfer data between user devices, a limiting factor such as a data rate, a bandwidth, and a power consumption should be sufficiently considered for data transmission. Unless constraints such as data rate, bandwidth, power consumption, etc. are taken into account, unwanted temporal delays can occur between user devices on which wireless data sharing or display mirroring is performed.

특히, 미러링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미러링 시에 영상이나 오디오 신호가 끊기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즉, 미러링 데이터의 전송시에 데이터의 압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 또는 음질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의 트레픽이 높아져서 전송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mirrored data corresponds to a moving picture or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ultimedia data,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video or audio signal is disconnected at the time of mirroring. That is,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or deterioration of sound quality due to compression of data may occur during transmission of the mirroring data, and transmission delays may occur due to high traffic on the network.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러링크시 사운드를 출력하는 채널을 구분하여 사운드의 출력을 제어하는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mirror link sound output by controlling a sound output by separating a channel for outputting sound in a mirror link.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은 무선 단말기와 차량의 헤드유닛이 미러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헤드유닛을 통해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1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실행되고 있는 중에,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정의되는 제2 사운드 채널의 생성을 상기 헤드유닛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생성된 제2 사운드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출력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mirror link sound out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mirror link sound output in which a wireless terminal and a head unit of a vehicle are connected via a mirror link, Requesting the head unit to generate a second sound channel def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wherein the head unit generates the second sound channel And the head unit outputs an output soun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through the generated second sound channel.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생성한 후,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이 생성되었음을 상기 무선 단말기에 알림과 동시에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특정하는 채널번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head unit notifies the wireless terminal that the second sound channel has been created, and transmits a channel number specifying the second sound channel at the same time after generating the second sound channel. do.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알림과 채널번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출력 사운드를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상기 헤드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output soun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to the head unit through the second sound channel after receiving the notification and the channel number .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 사운드를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상기 헤드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채널번호 및 패킷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output sound to the head unit through the second sound channel,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ound channe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hannel number and the packet type .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2 사운드 채널은 상기 헤드유닛에 대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종료요청에 따라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generated second sound channel is terminate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termin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for the head unit.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채널 및 상기 제2 사운드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무선 단말기 또는 상기 헤드유닛의 사용자에 의해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sound channel and the second sound channel is defined by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or the head unit.

본 발명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은 미러링크시 사운드를 출력하는 채널을 구분하여 사운드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irror link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utput of sound by dividing the channel for outputting the sound during the mirror link.

도 1은 차량의 헤드유닛과 무선 단말기의 미러링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에서 복수의 채널에 따라 사운드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head unit of a vehicle and a mirror link of a wireless terminal.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sound control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hannels in a method of controlling mirror link soun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irror link soun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and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The expression " and / or " is used herein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Also, the expression " coupled / connected " is used to mean eithe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ing" or "comprising" means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차량의 헤드유닛과 무선 단말기의 미러링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헤드유닛(110)은 무선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120)과 미러링크되어 있다. 즉, 무선 단말기(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차량의 헤드유닛에 전송(130)되어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운드 역시 차량의 헤드유닛에 전송(140)되어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head unit of a vehicle and a mirror link of a wireless terminal. Fig. Referring to FIG. 1, a head unit 110 of a vehicle is mirror-linked to a wireless terminal (e.g., a smartphone 120). That is, an image output from the wireless terminal 120 is transmitted (130) to a head unit of the vehicle and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provided in the vehicle, and sound is also transmitted to the head unit of the vehicle (140) And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speaker.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는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여러 사운드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통해서 음악을 듣고 있는 경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어 해당 알림이 사운드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렇듯 무선 단말기는 여러 가지 사운드를 출력하지만, 현재 미러링크가 연결된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사운드를 채널의 구분없이 차량의 헤드유닛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음악과 문자메시지 수신 알림음 등이 사운드 출력 구분없이 동일하게 출력된다.Generally, a wireless terminal can process several applications in parallel at the same time, so that various sounds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For example, when a user is listening to music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 text message may be received and the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However, since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head unit of the vehicle without distinction of channels, when the mirror link is currently connected,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s various sounds, And is output in the same manner.

그러나, 무선 단말기의 사양이 발전함에 따라 동시에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증가할 것이고, 미러링크로 연결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자 하는 욕구도 증가할 것이다.However, as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elops, the number of applications to be processed at the same time will increase, and a desire to control the output of sound appropriately according to need eve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will incr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은 복수의 사운드가 동시에 출력되더라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를 채널별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mirror link sound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ound to be divid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ser even if a plurality of sounds are simultaneously outpu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에서 복수의 채널에 따라 사운드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sound control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hannels in a method of controlling mirror link soun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사운드를 출력하는 채널이 4개 있고, 각 채널에 따른 세부적인 동작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도 2를 통해서 나타내는 사운드 제어 내용은 예시적인 것이며, 해당 채널의 사운드 출력 특성은 무선 단말기 또는 헤드유닛의 사용자에 의해서 정의되어 헤드유닛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의 사운드 채널은 도 2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Referring to FIG. 2, there are four channels for outputting sound, and details of the operation according to each channel are described. The sound control contents shown in FIG. 2 are illustrative, and the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can be defined by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or the head unit and generated through the head unit. Therefore, the sound channel of the mirror link sound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FIG.

구체적으로, 채널 4를 설명하면, 채널 4를 통해서 사운드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채널번호 4와 함께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따른 출력은 전석 스피커를 통해서 100% 출력되고, 후석 스피커를 통해서 50% 출력됨과 동시에, 채널 4번이 아닌 다른 채널번호(1 내지 3)를 통해서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따른 출력은 전석 스피커에서는 출력되지 않고, 후석 스피커를 통해서 50% 출력된다.Specifically, when sound is output through the channel 4, an output according to th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channel number 4 is output through the entire speaker at 100% %, The output according to th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hannel numbers (1 to 3) other than the channel 4 is not output from the speaker at all but 50% through the speaker.

위와 같이, 채널번호 4번의 정의된 특성을 살펴보면, 차량의 후석보다는 차량의 전석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필요한 사운드의 출력일 경우에 적합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에서는 미러링크로 헤드유닛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차량의 헤드유닛을 통하여 영상과 함께 사운드가 출력되더라도, 필요에 따라 사운드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istic defined by the channel number 4 is suitable for a sound output required by a user who rides in all seats of a vehicle rather than a vehicle. As a result,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mirror link sound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application running on a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head unit through a mirror link outputs a sound together with an image through a head unit of the vehicle,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은 S310 단계 내지 S400 단계를 포함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irror link soun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mirror link sound output control method includes steps S310 to S400.

먼저, 스마트폰과 헤드유닛은 미러링크를 통해서 연결이 되어 있으며, 채널번호 1, 2 및 3(311)을 통해서 기존에 스마트폰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가 출력되고 있는 상황(S310)을 가정한다. 여기서 채널번호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3개의 채널로 사운드가 출력되는 상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가 될 수 있다.First, it is assumed that the smartphone and the head unit are connected through a mirror link, and that a sound of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on the smartphone is outputted through channel numbers 1, 2 and 3 (311) do. Here, the channel number is an example, and it is not limited to a situation in which sound is output by three channels, but it may be one.

이후, 미러링크로 연결된 스마트폰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320). 스마트폰은 실행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사운드의 출력을 위한 사운드 채널의 생성을 헤드유닛에 요청한다(S330).Thereafter, a new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s executed on the smart phone connected by the mirror link (S320). The smart phone requests the head unit to generate a sound channel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the executed new application (S330).

사운드 채널의 생성 요청과 함께, 스마트폰은 생성될 사운드 채널의 특성(311)을 정의할 수 있다. Along with the request to create a sound channel, the smartphone can define the characteristics 311 of the sound channel to be created.

이후, 헤드유닛은 수신된 사운드 채널의 생성 요청(S330) 및 해당 사운드 채널의 특성(311)에 따른 새로운 사운드 채널을 생성한다(S340). 도 3은 생성된 사운드 채널의 채널번호를 4로 나타낸다. 생성된 채널번호 4의 채널특성은 스마트폰에서 생성 요청과 함께 전달된 채널의 특성(311)과 동일하다.Thereafter, the head unit generates a new sound channel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generating the received sound channel (S330) and the characteristics (311) of the corresponding sound channel (S340). FIG. 3 shows the channel number of the generated sound channel by 4. The channel characteristic of the generated channel number 4 is the same as the characteristic 311 of the channel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generation request in the smartphone.

이후, 헤드유닛은 앞선 S330 단계에서의 요청에 따른 새로운 사운드 채널이 생성되었음을 스마트폰에 알린다(S350). S350 단계에서는 생성된 사운드 채널의 채널번호를 함께 스마트폰에 전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head unit informs the smartphone that a new sound channel according to the request in step S330 has been generated (S350). In step S350, the channel number of the generated sound channel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이후, 스마트폰은 S340 단계에서 생성된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S320단계에서 새롭게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헤드유닛으로 전달한다(S360). 여기서, 스마트폰은 생성된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S350단계에서 수신한 채널번호 및 새롭게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 패킷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360, the smartphone transmits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newly executed in step S320 to the head unit through the sound channel generated in step S340. Here, the smart phon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hannel number received in step S350 and the sound packet type of the newly executed application in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generated sound channel.

이후, 헤드유닛은 S360 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생성된 사운드 채널(채널번호 4)을 통해서 스피커로 출력한다.Then, the head unit outputs the data received in step S360 to the speaker through the generated sound channel (channel number 4).

이후, 스마트폰에서 S320 단계에서 실행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종료가 예상되는 경우, 스마트폰은 채널번호 4번의 생성된 사운드 채널의 종료를 요청한다(S380).Thereafter, if the termination of the new application executed in step S320 is expected in the smartphone, the smart phone requests the end of the generated sound channel of channel number 4 (S380).

생성된 사운드 채널의 종료 요청을 수신한 헤드유닛은 해당 사운드 채널(채널번호 4)를 종료한다. 채널번호 4의 종료로 인해서, S310 단계에서 이미 존재하던 채널번호 1, 2 및 3(311)의 사운드 채널만 존재하게 된다.The head unit that has received the termination request of the generated sound channel ends the corresponding sound channel (channel number 4). Due to the end of the channel number 4, only the sound channels of the channel numbers 1, 2, and 3 (311) already existed in the step S310.

이후, 헤드유닛은 채널번호 4의 종료를 스마트폰에 알린다(S395). 그리고 스마트폰은 채널번호 4의 생성을 유도했던 S320 단계에서 새롭게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400).Thereafter, the head unit informs the smartphone of the end of the channel number 4 (S395). The smartphone terminates the newly executed application in step S320 in which the generation of the channel number 4 is induced (step 400).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복수의 사운드가 동시에 출력되더라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사운드를 채널 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mirror link sound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lurality of sounds due to the execu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output at the same time, .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s.

Claims (6)

무선 단말기와 차량의 헤드유닛이 미러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헤드유닛을 통해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1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실행되고 있는 중에,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정의되는 제2 사운드 채널의 생성을 상기 헤드유닛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생성된 제2 사운드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출력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The second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while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head unit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by a mirror link and the first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through the first unit through the first sound channel;
Requesting the head unit to generate a second sound channel def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e head unit generating the second sound channel; And
And the head unit includes outputting an output soun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through the generated second sound chan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생성한 후,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이 생성되었음을 상기 무선 단말기에 알림과 동시에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특정하는 채널번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unit notifies the wireless terminal that the second sound channel is generated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a channel number specifying the second sound channel after generating the second sound channel. Control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알림과 채널번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출력 사운드를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상기 헤드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the output soun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to the head unit through the second sound channel after receiving the notification and the channel number, Output control meth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사운드를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상기 헤드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사운드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채널번호 및 패킷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ransmitting the output sound to the head unit via the second sound channel,
Wherein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ound channe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hannel number and the packet 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2 사운드 채널은,
상기 헤드유닛에 대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종료요청에 따라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ed second sound channel comprises:
And terminating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termin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for the head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채널 및 상기 제2 사운드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무선 단말기 또는 상기 헤드유닛의 사용자에 의해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ound channel and the second sound channel is defined by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or the head unit.
KR1020130162433A 2013-12-24 2013-12-24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KR1014806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33A KR101480653B1 (en) 2013-12-24 2013-12-24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33A KR101480653B1 (en) 2013-12-24 2013-12-24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653B1 true KR101480653B1 (en) 2015-01-12

Family

ID=5258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433A KR101480653B1 (en) 2013-12-24 2013-12-24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6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990B1 (en) 2015-10-26 2017-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ngaging with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860A (en) * 2002-07-16 2004-01-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udio System Processing the Digital Audio Signal out of the Vehicle
KR100735891B1 (en) * 2006-12-22 2007-07-04 주식회사 대원콘보이 Audio mixer for vehicle
KR20130090229A (en) * 2012-02-03 2013-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nvenience apparatus for us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860A (en) * 2002-07-16 2004-01-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udio System Processing the Digital Audio Signal out of the Vehicle
KR100735891B1 (en) * 2006-12-22 2007-07-04 주식회사 대원콘보이 Audio mixer for vehicle
KR20130090229A (en) * 2012-02-03 2013-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nvenience apparatus for us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990B1 (en) 2015-10-26 2017-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ngaging with vehicle
US10064081B2 (en) 2015-10-26 2018-08-2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ngaging with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6029B2 (en) Providing low and high quality streams
US10992721B2 (en) Tiered content streaming
US9319738B2 (en) Multiplexing, synchronizing, and assembling multiple audio/video (A/V) streams in a media gateway
US96285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lient behavior in adaptive streaming
JP65821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service
US9357215B2 (en) Audio output distribution
KR101614862B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of multimedia video data and corresponding device
JP2018061255A (en)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video content for display control
KR20150074542A (en) Method for controlling mirrorlink
US20240121455A1 (e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video bitrate switching
CN106303651A (en) Display system and the display packing of display system
CN102202206B (en) Communication equipment
EP2312826A2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ream switch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N113691862B (en) Video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for video playing and video playing system
JP2015521402A (en) Dynamic interstitial transition
US9118947B2 (en) Multi-vision virtual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148065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sound in mirrorlink
JP6193569B2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US115532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bit rate during live streaming
CN103327364A (en)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for audio and video playing
WO201714016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haring audio and video resource, and network gateway
JP6396342B2 (en) Wireless docking system for audio-video
JP6400163B2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KR102051985B1 (en) Synchronization of Media Rendering in Heterogeneous Networking Environments
CN113727183B (en) Live push metho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