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44B1 - 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444B1
KR101479444B1 KR20140026168A KR20140026168A KR101479444B1 KR 101479444 B1 KR101479444 B1 KR 101479444B1 KR 20140026168 A KR20140026168 A KR 20140026168A KR 20140026168 A KR20140026168 A KR 20140026168A KR 101479444 B1 KR101479444 B1 KR 101479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formation
answer
scoring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6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종현
Original Assignee
오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현 filed Critical 오종현
Priority to KR2014002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4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coring examination paper including answers. The examination paper sc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xecuting a test scoring application; receiving examination paper after selecting the examination paper; marking the answers on the examination paper; completing the marking operation; checking the answers; scoring the examination paper including the answers; displaying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nd storing the result of the test.

Description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본 발명은 답안 일체형 시험지를 채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지 정보, 문제의 위치정보 및 답안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배열된 시험지를 이용하여 시험 응시자의 능력을 평가하고 답안을 채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rking test-integrated test pap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rking test papers using test papers arranged with identification codes including test papers information, problem location information and answer information, .

일반적으로 해당하는 학습과목의 시험 응시자의 능력 평가를 위하여 필기 또는 실기시험을 시행한다. 필기시험은 시험지와 답안지로 구분하여 응시자는 시험지를 보고 문제를 푼 다음 답안지를 작성한 후에 제출하고, 답안지는 채점자가 정답 및 오답을 판단하여 채점을 한다. 이러한 시험은 통상 종이에 시험문제를 인쇄한 시험지를 배포하고, 답안은 응시자가 시험지에 직접 표시를 하거나 별도의 답안지에 표시한다. 답안지는 OMR(Optical Mark Reader, 광학식 마크 판독장치)카드가 주로 사용되는 데, OMR카드는 전용 펜이나 연필 등으로 기입한 마크만을 판독하여 정보를 읽어내는 것으로, 학생들의 시험 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Generally, a written or practical test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petency of the candidate in the corresponding course. The written test is divided into the test paper and the answer sheet. The test taker looks at the test paper, draws the answer sheet after the problem is solved, and submits the answer sheet. The answer sheet is scored by the scorer judging the correct answer and the wrong answer. These tests are usually done by distributing test papers that have printed test questions on paper, and the candidates will either mark the test papers directly or mark them on a separate answer sheet. OMR cards are mainly used for examinations of students by reading only the marks written by special pens or pencils and reading the information. The OMR card is mainly used for OMR (Optical Mark Reader) cards.

따라서 학습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가 출시되고 있지만 관리자 입장에서는 시험지와 답안지를 분리하여 관리하게 된다. 하지만 시험 응시자는 자신이 풀고 있는 시험지에 대한 집중력이 월등이 높다. 따라서 응시자가 객관식 문제를 풀 때에 시험지에 풀이정답을 마크한 후에 OMR카드 답안지에 옮겨 써야 한다. 이때, 문제를 풀 때마다 답안지에 마크하는 일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한 번에 답안을 OMR카드 답안지에 옮겨 쓰는 동안 해당하는 문항의 답안을 잘못 기입하는 오류를 종종 범하는 경우가 있어 답안작성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Therefore, although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used in evaluation of learning are being released, administrators manage the test paper and answer sheet separately. However, the test taker is more likely to concentrate on the test paper he or she is releasing. Therefore, candidates should mark the correct answer on the exam sheet and transfer it to the OMR card answer sheet when solving multiple-choice questions. At this time, it is troublesome to mark your answer sheet every time you solve the problem, and while you write your answer on the OMR card answer sheet at one time, you often make mistakes to answer the question correctly. We must.

또한, OMR카드 등에 서술형 답안 등을 작성할 경우에 문제 풀이의 집중도가 떨어져 답안 오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채점 결과와 풀이한 문제지를 별도로 보아야 함으로써 틀린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첨삭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Also, when writing narrative type of answers on OMR card, etc., the concentration of problem solving is low, and the answer comes out frequentl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promptly solve the wrong problem by separately viewing the scoring result and the solved questionnair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리더기가 시험 답안지를 스캐닝하는 단계와; 상기 스캐닝된 시험 답안지를 정보파일, 객관식파일, 주관식파일로 나누어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파일과 객관식파일을 흑화소 밀도의 히스토그램에 의하여 흑화소 밀도값이 높은 부분을 추출하여 응시자가 체크된 데이터를 인식한 정보 데이터와 응시자가 체크한 답안과 정답을 비교하여 채점한 객관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관식파일을 백프로퍼게이션 신경망 알고리즘으로 추출된 글자와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다수개의 필체와 비교하여 인식된 문자로 채점한 주관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데이터, 객관식데이터, 주관식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에 부여한 일련번호에 따른 채점데이터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채점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reading a test answer sheet by scanning a test answer sheet; Dividing the scanned test answer sheet into an information file, a multiple choice file, and a supporting file; The information file and the multiple-choice file are extracted by the histogram of the black pixel density to extract the portion having the high black pixel density value, and the candidate data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data which recognized the checked data and the answer selected by the candidate, ; Comparing the extracted character file with a plurality of handwritten characters of a database stored in a storage unit, and generating thumbnail data by scoring the recognized character as a recognized character; Collecting the information data, the multiple-choice data, and the questionnaire data, and generating score data according to the serial number assigned to the information data.

또한, 특허문헌 2는 시험이 종료된 직후 시험답안지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학생정보와 결합하여 저장하는 제1 과정; 객관식 문항의 채점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제2 과정; 채점자가 접속하여 주관식 문항의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자 정보, 주관식 문항의 채점결과, 채점이유 및 채점시간을 저장하는 제3 과정; 객관식 문항의 채점결과와 주관식 문항의 채점결과를 합하여 성적을 처리하는 동시에 전체적인 통계 및 각 학생별 석차 등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제4 과정; 및 열람요구가 있는 경우에 시험답안지 이미지, 채점자 정보, 채점결과, 채점이유, 채점시간, 전체적인 통계 및 각 학생별 석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열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험답안지의 관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lso, in Patent Document 2, there is a first process of receiving an image of a test answer sheet immediately after a test is completed, and storing the combined image together with student information; A second step of scoring a multiple choice item and storing the result; A third process of accessing a scorer to perform scoring of the question item, storing the scorer information, the scoring result of the question, the scoring reason, and the scoring time; A fourth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statistics and the scores of each student while processing the grades by summing the scores of the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the scores of the question-answer items, and storing the results; And a fifth step of, when there is a request for reading, reading the test answer sheet image, the scorer information, the scoring result, the scoring reason, the scoring time, the overall statistics, A method for managing a test answer sheet is disclosed.

특허문헌 3은 선택지 배열이 서로 다른 시험 문제 출제 방법에 있어서, (a) 시험 출제자로부터 각 문항에 속한 선택지에 문항번호와 선택지 번호가 결합된 선택지 식별코드가 지정되어 있는 베이스 출제지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베이스 출제지 파일을 XML로 변환하여 문제 문항수, 문항별 선택지 수, 선택지 식별코드의 정상 부여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 (c) 생성될 개별 시험지 파일 수, 선택지 재배열시의 혼합도 및 선택지 재변경이 가능한 가변 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메타 파일을 참조하여 각 개별 시험지에 대응되도록 고유의 시험지 식별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를 하나의 파일에 모두 포함하고 있는 선택지 변환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의 구성 시 가변 문항에 한하여 상기 혼합도에 따라 선택지를 재배열하는 단계; (e) 상기 선택지 변환 정보 파일에 포함된 각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를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 출제지 파일에 포함된 전체 문항 중 가변 문항에 한하여 선택지를 재배열함과 동시에 시험지 식별코드를 해당 영역에 입력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정된 베이스 출제지 파일을 개별 시험지 파일로 저장하되, 개별 시험지 파일은 상기 각 선택지 정보 배열 세트에 대응되는 수로 생성하고 선택지 배열이 변경된 문항의 선택지에 지정된 선택지 식별코드도 변경된 선택지 배열에 따라 수정하는 단계; (f) 상기 생성된 개별 시험지 파일을 XML로 변환한 후 각 문항의 선택지 식별코드를 순서대로 파싱하고, 개별 시험지 파일에 부여된 시험지 식별코드에 의해 XML 변환된 개별 시험지 파일의 생성 시 참조된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를 상기 선택지 변환 정보 파일로부터 독출한 후, 파싱된 각 문항의 선택지 식별코드로부터 파악되는 선택지 배열순서와 상기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로부터 직접적으로 파악되는 선택지 배열순서가 서로 일치하는지 검수하는 단계; 및 (g) 상기 검수가 완료된 개별 선택지 파일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지 배열이 서로 다른 시험문제 출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method of examining a test subject having a different arrangement of choices,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from a test taker a base presentation file in which an option identification code combining an item number and an option number is assigned to an option belonging to each question; (B) translating the base publication file into XML, validating the number of question items, the number of choices per item, and whether a selection identification code is normally assigned; (c) receiving a meta file including the number of individual test paper files to be generated, the degree of mixture at the time of option rearrangement, and variable item information capable of changing the selection item; (d) generating an option conversion information file including all of the set of option array information identified by a unique test paper identification code in one fil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individual test paper with reference to the meta file, Rearranging the choi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blending only for variable items when configuring the information set; (e) referring to each set of arrang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ption conversion information file, rearranges the options only for the variable items among all the items included in the base folder file, and inputs the test paper identification code into the corresponding area , The modified base file file is stored as an individual test paper file, the individual test paper file is generat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t of option information arrays, and the selected optio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option of the changed item array is changed Modifying according to the array; (f) converting the generated individual test paper files into XML, parsing the option identification codes of the respective items in order, parsing the selected test paper files in XML, Confirming whether an order of arrangement of an option, which is grasped from an option identification code of each item that is parsed, and an order of an option arrangement directly grasped from the option arrangement information set, coincide with each other after reading the set of arrangement information from the option conversion information file; And (g) printing the individual selection file in which the verification is completed.

또한, 특허문헌 3은 선택지 배열이 서로 다른 응시자별 개별 시험지에 기초하여 실시된 시험을 통해 수집되고, 시험지 식별코드, 시험 서지사항 및 답안이 마킹되어 있는 OMR 카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OMR 카드를 스캐닝하여 시험지 식별코드, 응시자 서지사항 및 응시자 답안을 독출하는 단계; (b) 전체 응시자에게 배포된 개별 시험지와 1:1 대응 되는 관계로 시험지 식별코드에 의해 구별되는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를 전체 개별 시험지에 대하여 포함하고 있는 선택지 변환 정보 파일과, 베이스 출제지의 선택지를 기준으로 한 원본 정답을 리드하는 단계; (c) 시험지 식별코드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를 선택지 변환 정보 파일로부터 리드하고 리드된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원본 정답을 변경된 선택지 배열에 따른 개별 정답으로 변환한 후, 개별 정답과 응시자 답안을 서로 비교하여 채점을 실시하고 정 오답 분포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를 참조하여 응시자 답안을 베이스 출제지에 포함된 선택지를 기준으로 한 원본 기준 답안으로 변환하고 원본 기준 답안과 원본 정답을 서로 비교하여 채점을 실시하고 정 오답 분포를 산출한 후, 응시자 답안을 기준으로 한 채점 결과와 원본 기준 답안을 기준으로 한 채점 결과가 서로 일치하고 정 오답 분포가 서로 일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및 (e) 채점 검수가 완료된 응시자 답안, 선택지 배열 정보 세트에 의해 변환된 원본 기준 답안, 시험지 식별코드, 점수 및 시험 서지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채점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lso, in Patent Document 3, in the automatic grading method using the OMR card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choices is collected through tests conducted on the basis of individual test papers for different candidates, and the test papers identification code, the test bibliography, and the answer are marked a) scanning the OMR card to read a test strip identification code, a candidate bibliography, and a candidate answer; (b) an option conversion information file that includes, for all individual test papers, a set of optional layout information distinguished by a test paper identification code in a 1: 1 correspondence with individual test papers distributed to all candidates; and Reading the original correct answer; (c) reads the corresponding set of arrang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from the option conversion information file by referring to the test paper identification code, converts the original correct answer into individual correct answers according to the changed arrangement of the choices based on the set of the selected option array information, Comparing the candidate answers with each other to perform grading and calculating a positive error distribution; (d) By referring to the above-mentioned option array information set, the candidate's answer is converted into the original standard answer based on the option included in the base issue place, and the original answer is compared with the original answer, Checking whether the scoring result based on the candidate's answer matches the scoring result based on the original standard answer and whether the correct anomaly distribu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e) databasing the original standard answer, the test strip identification code, the score, and the test bibliography, which have been converted into the candidate answers completed by the scoring examination, the set of option arrang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

특허문헌 4는 평가기준표에 등록되어 있는 대분류 평가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채점서버가, 선택된 대분류 평가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복 수개의 공통첨삭문들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상기 선택된 대분류 평가항목의 공통첨삭문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대분류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 평가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채점서버가, 선택된 세부 평가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복수개의 개별첨삭문들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상기 선택된 세부 평가항목의 개별첨삭문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분류 평가항목들에 대한 공통첨삭문 및 상기 대분류 평가항목들 각각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세부 평가항목들 모두에 대한 개별첨삭문이 설정되면, 상기 채점서버가, 상기 대분류 평가항목들과, 상기 세부 평가항목들과, 상기 공통 및 개별 첨삭문들을 이용하여 채점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분류 평가항목에 대한 상기 공통첨삭문은, 모든 채점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첨삭문이며, 상기 대분류 평가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공통첨삭문들은, 핵심적인 내용은 동일하면서 이런 내용을 표현하는 단어, 문장형태, 어투, 어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이며, 상기 선택된 세부 평가항목의 상기 개별첨삭문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평가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복 수개의 점수대 또는 복수개의 평가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 수개의 점수대 또는 복수개의 평가항목 각각에 대하여, 핵심적인 내용은 동일하면서 이런 내용을 표현하는 단어, 문장형태, 어투, 어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복 수개의 개별첨삭문들을 생성하여, 상기 점수대 내지 평가항목과 링크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세부 평가항목에 대하여 상기 복 수개의 점수대 또는 상기 복수개의 평가항목 중 어느 하나의 점수대 내지 평가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채점서버가, 선택된 점수대 내지 평가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복수개의 개별첨삭문들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상기 선택된 세부 평가항목의 개별첨삭문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술형 답안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및 첨삭문 생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In Patent Document 4, when any one of the major classification evaluation items registered in the evaluation standard table is selected, the scoring server randomly extracts any one of a plurality of common annotation statements linked to the selected major classification evaluation item, Setting a common annotation statement of the selected major classification evaluation item; When one of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for the selected large classification evaluation item is selected, the rating server randomly extracts any one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addition statements linked to the selected detailed evaluation item, Setting an individual annotation of the item; And when a common annotation statement for the large classification evaluation items and an individual annotation statement for all of the sub-evaluation items linked to each of the large classification evaluation items are set, the scoring server updates the classification evaluation items, And generating a score sheet using the common evaluation scores and the common evaluation scores, wherein the common score statement for the major evaluation item is an annotation statement commonly included in all score sheets, Wherein the plurality of common annotations linked to the item ar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a word, a sentence form, a sentence, and a word order expressing the same core content but different from each other, Setting a plurality of score points or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each of the sub-evaluation items The method comprising;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core points or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generates a plurality of individual addition statements having at least one of a word, a sentence form, a sentence, and a word order expressing the same contents as the core contents but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step of storing and linking the score range and the evaluation item, and when the score range or the evaluation item of any of the multiple score ranges or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is selected for the sub-evaluation item, And a step of randomly extra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incremental statements linked to the selected evaluation item and setting it as an individual incremental statement of the selected detailed evaluation item. hav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951호(2008.01.21.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95951 (published on January 21, 20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9461호(2005.05.25.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49461 (published May 25, 20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5942호(2007.02.06.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75942 (published on Mar. 2, 20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5146호(2013.06.17.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75146 (published on June 17, 201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험지 정보, 문제의 답안 위치정보 및 답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배열된 시험지와, 이 시험지에 객관식 또는 단답식이나 서술형 문제를 시험 응시자가 직접 마크를 하거나 서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험 응시자의 문제 풀이에 따른 집중력 향상과 채점에 따른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sheet i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est paper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e test is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the test taker by solving the problem and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scoring.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에 있어서,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에 설치된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은 문제정보DB에서 문제정보를 불러와 문제를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시험지에 문제가 배열되면, 식별코드 생성모듈은 시험지에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답안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와,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식별코드 생성모듈은 제2식별코드와 함께 객관식정보 추출부와, 제3식별코드와 함께 단답형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시험지에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은 식별코드 및 답안위치가 생성된 시험지를 시험지DB에 저장함과 더불어 프린터를 통해 시험지를 인쇄하는 단계; (e) 상기 인쇄된 시험지를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이 작성된 시험지가 제출되어 시험지 채점기에 투입되면, 시험지 채점기의 시험지정보 인식모듈은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시험지 채점기의 채점모듈은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정답 및 오답)표시와 첨삭정보가 시험지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g) 상기 시험지 채점기의 채점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정오표시 및 첨삭정보가 인쇄모듈을 통해 시험지에 인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coring a test sheet integrated with a test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a) after a test sheet gener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is executed, ; (b) If a problem is arranged in the test paper by the test paper creating applic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ng module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nd multiple choic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short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c)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selectively generates an answer position including a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and a short answer box together with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together with a third identification code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on a test sheet; (d) the application for creating a test paper includes the steps of: storing the test paper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nswer position are generated in the test paper DB, and printing the test paper through the printer; (e) If the printed test paper is submitted by the test applicant and submitted to the test paper scoring unit, the test paper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of the test paper scoring unit extracts the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Extracting short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f) The scoring module of the test strip scoring unit includes a step of comparing the extracted test information with the test stri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n displaying the noon (correct answer and wrong answer) display and the annotation information on the test strip, and And a step of printing the erroneous mark and the annot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scoring module of the test strip scoring unit on the test strip through the print module.

또한, 본 발명에서, (h) 상기 채점모듈에서 채점된 시험정보는 채점정보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h) the test information scored in the scoring module may further be stored in the scoring information storage modu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b)에서, 답안위치정보는 시험지정보와 각 문제의 문항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the answer position information may use test paper information and an item image of each ques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험지 채점기는 시험지정보로서 식별코드의 위치 값이 많은 경우에 시험지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채점 후에 채점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strip sco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est strip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the position value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large as the test strip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scoring result after scoring in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답안위치정보의 인식을 위하여 시험지의 문항 일측에 마커가 표시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rker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an item of the test paper for the recognition of the answer posi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a QR code or a bar cod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e)에서, 인쇄된 시험지를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이 작성된 시험지가 제출되면,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에 설치된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시험지를 촬영한 다음 상기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이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정답 및 오답)표시와 첨삭정보가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표시된 정오표시 및 첨삭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e), when the test sheet in which the answer sheet is printed by the test applicant is printed on the printed test sheet, the test sheet is photographed after the test sheet scor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st sheet scoring terminal is executed, The grading application extracts the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multiple choic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test paper, compares the te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extracted test information, Correct answer and wrong answer) display and annota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test strip scoring terminal, and the erroneous display and annotation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application for scoring test strip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에 있어서,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에 설치된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은 문제정보DB에서 문제정보를 불러와 문제를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시험지에 문제가 배열되면, 식별코드 생성모듈은 시험지에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답안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와,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식별코드 생성모듈은 제2식별코드와 함께 객관식정보 추출부와, 제3식별코드와 함께 단답형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시험지에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은 식별코드 및 답안위치가 생성된 시험지를 시험지DB에 저장함과 더불어 서버로 전송하여 시험지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응시자의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에 설치된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시험지를 선택하여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시험지를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 시험지에 표시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g) 상기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은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정답 및 오답)표시와 첨삭정보가 시험지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h) 상기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표시된 정오표시 및 첨삭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a) arranging a problem by calling the problem information from the problem information DB after the application for test paper generation installed in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is executed; (b) If a problem is arranged in the test paper by the test paper creating applic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ng module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nd multiple choic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short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c)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selectively generates an answer position including a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and a short answer box together with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together with a third identification code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on a test sheet; (d)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stores the test paper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nswer position are generated, in the test paper DB, and transmits the test paper to the server and stores the test paper in the test paper information DB; (e) selecting and receiving a test sheet from a server by connecting to a server after the test sheet pooling and scor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st strip pool using terminal of the candidate is executed; (f) The application for solving the test strip and scoring includes extracting test sheet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multiple choice information, short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test sheet after completing the answer sheet by the test applicant ; (g) The application for analyzing and scoring includes comparing the extracted test information with the te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n displaying the noon (correct answer and wrong answer) indication and annotation information on the test page after the score is compared, and And a step of storing the erroneous display and annotation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application for the test strip and scoring in the storage modu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f)에서,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해당 시험지의 답안지를 수신하여 시험 응시자가 답안을 입력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f), the application for resolving and scoring may receive an answer sheet of the test sheet from the server, and the test candidate may input the answer.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 응시자가 답안을 시험지에 바로 표시할 수 있어 시험 응시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답안의 오기 표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시험지에 표시된 식별코드로부터 응시자 정보와 시험지 정보 및 문항별 답안 인식이 가능하여 시험지 채점 때에 시험지 채점기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채점 및 첨삭이 가능하며, 특히 점차 중요성이 높아지는 서술형 답안에 대한 답안지 작성에 불편을 해소함과 더불어 평가 내용 등의 기록을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등 출제자의 채점 및 평가 관리를 용이하게 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taker can immediately display his or her answer on the test paper, thereby improving the concentration of the test taker and minimizing the display of the answer. Also,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andidate information, the test pap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core and write in a short period of time using a test strip scoring machine at the time of scoring test strip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ave the record of the evaluation content, etc., It is advantageous that grading and evaluation management of the applicant is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로,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지 채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로,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험지를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로,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의 적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scoring a test strip integrated with an exampl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scoring a test strip with an integrated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scoring a test strip integrated test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est strip sco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coring an answer sheet integrated test she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photographing of test strips using a test strip scor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scoring a test strip integrated test she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to 1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integrated test sheet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for scoring an integrated test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답안지가 일체로 구성된 시험지의 출력과 답안이 작성된 시험지를 채점하는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In FIG. 1, a system for scoring a test sheet in which an answer sheet is composed of an output of a test sheet and an answer sheet is constructed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2에서,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는 출제자가 시험문제를 출제한 후에 출제된 시험지정보를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것이다.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는 퍼스널컴퓨터(PC)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는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이 설치된다.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은 문제정보DB(12)에 저장된 시험문제를 선택한 후 배열된 시험지를 완성한다. 식별코드 생성모듈(13)은 시험문제가 배열된 시험지로부터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가 삽입되도록 한다. 식별코드는 QR코드로 구성되는 것이 좋지만 바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식별코드 생성모듈(13)에서 생성되는 식별코드로서, 제1식별코드는 시험지 상부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시험의 종류나 과목 등을 포함하는 시험지정보,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정보, 그리고 시험지의 해당하는 부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답안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제2식별코드는 해당 문항의 정답 및 해설 등의 정보와 더불어 다지선다형의 객관식정보 및 응시자가 문제를 푼 후에 선택하는 답안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제3식별코드는 단답을 요구하는 해당 문항의 단답형정보와 응시자가 문제를 푼 후에 기입하는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는 복수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출제된 시험지를 저장하는 시험지DB(14)가 포함된다. 시험지DB(14)는 과목별이나 단원별 등으로 출제된 시험지정보를 저장한다.In FIG. 2,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stores or outputs the test paper information issued after the issuer issues the test questions.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may include a personal computer (PC), a mobile terminal, a server, or the like. A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is installed in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selects the test questions stored in the problem information DB 12, and completes the test paper.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13 inserts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code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test book on which the test questions are arranged.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QR code, but it may be composed of a bar code or the like. As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13,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st strip, and includes test strip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and subject of the test, candidate information to take the test, Answers that allow you to identify parts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f the item, multiple-choice multiple-choic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nswer that the candidate selects after solving the problem.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short answe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 requiring an immediate answer and an answer position information to be filled in after the candidate has solved the problem.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also includes a test paper DB 14 for storing the test paper including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codes. The test paper DB 14 stores the test paper information that has been issued by subject or by unit.

프린터(20)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서 출제되어 저장된 시험지를 인쇄물로 인쇄하는 것이다. 인쇄된 시험지는 시험 응시자에게 배포되어 답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inter 20 prints out the test paper prepared and stored in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as a printed matter. Printed test papers will be distributed to test takers so they can write their answers.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30)는 시험 응시자가 보유한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 원격에서 출제된 시험지를 다운로드 받아 시험을 치를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퍼스널컴퓨터(PC) 등이 포함된다.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30)는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31)이 설치되어 있다.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31)은 서버(50) 또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 접속하여 해당 시험지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모듈(32)에 저장하였다가 시험지에 답안 작성과 더불어 채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30)는 서버(50) 또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 접속하여 답안지만 다운로드 받아 인쇄된 시험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terminal (30) using the test strip pool is a terminal possessed by the test applicant, and includes a smart phone or a personal computer (PC), which can download a test sheet remotely issu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ake a test. The test paper pool use terminal 30 is provided with a test paper pooling and grading application 31. [ The application for test stripping and scoring 31 is connected to the server 50 or the test strip generating terminal 10 to download the test strip and store the test strip in the storage module 32 so that the test strip can be scored . In addition, the test paper pool use terminal 30 may connect to the server 50 or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to download only the answer sheet and input an answer to the printed test paper.

시험지 채점기(40)는 시험 응시자가 인쇄된 시험지에 답안을 작성한 후에 제출된 시험지를 자동으로 채점하는 것이다. 시험지 채점기(40)는 투입된 시험지의 정보를 인식하는 시험지정보 인식모듈(41)이 포함되어 있다. 시험지정보 인식모듈(41)은 시험지 이미지를 읽어 시험지에 표시된 복수의 식별코드, 객관식정보 추출부, 단답형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에 표시된 정보를 각각 인식한다. 시험지정보 인식모듈(41)에 읽어 들인 시험지 이미지의 각 항목에 대하여 채점모듈(42)은 채점을 수행한다. 이때, 시험지 채점기(40)는 정답 정보가 포함된 식별코드를 해석한 후에 채점을 하거나 서버(50) 또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 등을 통해 정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험지정보 인식모듈(41)은 채점모듈(42)에서 채점이 이루어지면, 채점정보를 채점정보 저장모듈(43)에 저장하거나 인쇄모듈(44)을 통해 시험지에 정오(정답과 오답)표시, 즉 정답인 경우에는 시험지의 해당 문항번호에 'O'가 표시되도록 하고 오답인 경우에는 시험지의 해당 문항번호에 '/'를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채점정보는 데이터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접속된 서버(50)나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로 전송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The test strip grader (40) is to automatically score the test strips submitted after the test taker has completed his / her answers on the printed test strips. The test strip scoring unit 40 includes a test strip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41 for recog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test strips that have been input. The test paper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41 reads the test paper image and recognizes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codes, a multiple choice information extracting section, a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ng section, The grading module 42 performs grading for each item of the test paper image read into the test paper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41. [ At this time, the test strip scoring unit 40 may score the score after analyz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or receive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50 or the test strip generation terminal 10 or the like. When the scoring module 42 scans the test piece information, the test piec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41 stores the scoring information in the scoring information storage module 43 or displays the test piece at noon In other words, if the answer is correct, 'O' is displayed in the item number of the test paper. If the answer is incorrect, '/' is displayed in the item number of the test paper. In addition, the scor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or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connected through the data interface unit 45 and stored.

서버(50)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30), 시험지 채점기(40),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70)와 시험지 관련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서버(50)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서 수신된 시험지정보와 정답정보 및 응시자정보 등을 시험지정보DB(51)에 저장하고, 시험지 채점기(40)나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70) 또는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30) 등에서 수신된 채점정보를 채점정보DB(52)에 저장한다.The server 5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est strips to the test strip generation terminal 10, the test strip pool use terminal 30, the test strip scoring unit 40 and the test strip scoring terminal 70. The server 50 stores the test paper information,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and the candid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in the test paper information DB 51 and outputs the test paper information to the test paper scoring unit 40 or the test paper scoring terminal 70 And stores the scor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st strip using terminal 30 or the like in the scoring information DB 52. [

또한,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70)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시험 응시자가 답안을 작성한 시험지를 촬영하여 채점하는 것이다.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70)에는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촬영된 시험지로부터 시험지에 표시된 복수의 식별코드, 객관식정보 추출부, 단답형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에 표시된 정보를 각각 인식한 후 채점한다.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70)는 채점에 필요한 정보를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나 서버(50)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st strip scoring terminal 7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photographs and scans test strips prepared by the test applicant.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codes, a multiple-choic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a short-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and information displayed in a filling-in column are recognized and scored in the test strip scoring terminal 70 from a test strip on which a test strip scoring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test site scoring terminal 7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necessary for scoring from the test site generation terminal 10 or the server 50 or the lik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15의 흐름도, 구성도 및 개략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the configuration diagrams, and the schematic diagrams of FIGS. 3 to 15. FIG.

제1실시 예로서, 도 3의 흐름도와 같이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에서 종이에 인쇄된 시험지를 생성하고, 도 4의 흐름도와 같이 이 시험지에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이 기입된 시험지를 시험지 채점기를 이용하여 자동 채점하는 방법이다.As a first embodiment, a test paper printed on a paper sheet is generated in a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3, and a test paper in which an answer is written by the test applicant on the test paper,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4, It is a method of automatic scoring.

도 3에서,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 설치된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이 실행되면(S1),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은 시험지의 크기나 종류 또는 과목이나 또는 단원 등의 시험지를 선택한다(S2). 그리고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은 문제정보DB(12)에서 출제할 문제정보를 불러와 문제를 배열한다(S3). 이때, 출제자는 문제를 새로이 출제하여 생성하거나 이미 출제되어 저장된 문제를 선택하여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3, when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installed in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is executed (S1),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selects a test paper such as a test paper size or type, a subject, (S2). Then,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retrieves problem information to be issued from the problem information DB 12 and arranges the problem (S3). At this time, the applicant will be able to create a new question or create a problem and arrange it by selecting the problem that has already been made and stored.

도 10a에서,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에 의하여 시험지(60)에 문제가 배열되면, 식별코드 생성모듈(13)은 시험지에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61)와,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62),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63)를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이때, 제2식별코드(62)와 제3식별코드(63)는 해당 문항에 관한 정보로부터 객관식, 단답형 또는 풀이기입란을 생성하여 표시된다(S4). 더욱이 답안위치에 관한 정보는 시험지정보와 각 문제의 문항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문항 일측에 마커(67)를 표시하여 문제의 위치나 답안위치 등을 표시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10A, when a problem is arranged in the test paper 60 by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13 adds a first identification code 61 (see FIG. 10A) including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including the multiple-choice information and the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including the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and the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are displayed by generating a multiple choice, short answer, or full entry field from information on the item (S4).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answers can be obtained from the test papers and the question images of each question. In addition, the marker 67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item so that the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question can be displayed and recognized.

도 10b에서, 식별코드로서, 제2식별코드(62)와 제3식별코드(63)는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마킹된 사각형(ⓐ)은 5지선다형의 답안의 위치를 찾는 기준이 되고, 내측의 점(ⓑ)들은 정답 및 문항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In FIG. 10B, as the identification code,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are used as a criterion for finding the position of the answer of the five-point multiple choice type in the square marked at the upper left corner, Points (ⓑ) include correct answer and item related information.

또한, 식별코드 생성모듈(13)은 제2식별코드(62)와 함께 객관식정보 추출부(64)와, 제3식별코드(63)와 함께 단답형정보 추출부(65), 및 풀이기입란(66)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시험지에 선택적으로 생성한다(S5). 객관식정보 추출부(64)는 제2식별코드(62)를 기준으로 동영상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답안표기, 즉 흑색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고 채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제2식별코드(62) 및 객관식정보 추출부(64)와 제3식별코드(63) 및 단답형정보 추출부(65)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서버(50)나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 등으로부터 정답을 수신하거나 문제 해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답과 답안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에 채점결과가 바로 나타나게 되고, 정답은 암호화되어 시험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별도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정답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또한, 풀이기입란(66)은 해당 식별코드로부터 서술형 기록을 추출하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일정 공간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서버(50)로 전송하도록 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13 also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as well as an optional 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 64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together with a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 65 and a paste- (Step S5).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the multiple-choic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4 can check that the moving picture frame is sequentially displayed, that is, the answer is high, that is, the black ratio is high.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the multiple-choic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64,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and the short-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65 are used for generating the server 50 and test strips using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Receive correct answers from the terminal 10 or the like, or receive problem description information. Also,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not, the score result will be displayed immediately, and the correct answer should be encrypted and included in the test paper. 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separately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for extracting the narrative record from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is included, the pool entry box 66 extracts an image of a certain spa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server 50.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에서 식별코드 생성모듈(13)에 의하여 문제와 더불어 해당 문항에 관한 식별코드와 객관식정보 추출부(64), 단답형정보 추출부(65), 및 풀이기입란(66) 등이 설정되면 시험지는 시험지DB(14)에 저장되고, 프린터(20)를 통해 시험지가 인쇄된다(S6). 시험지DB(14)에 저장된 시험지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50)를 거쳐 시험지정보DB(51)에 저장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13 of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relating to the item and a multiple choice reply 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 64, a short answer 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 65, The test sheet is stored in the test sheet DB 14, and the test sheet is printed through the printer 20 (S6). The test sheet information stored in the test sheet DB 14 can be stored in the test sheet information DB 51 via the server 5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도 11에서, 프린터(20)를 통해 인쇄된 시험지가 시험 응시자에게 배포되어 답안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7). 따라서 시험 응시자는 시험지(60)의 객관식정보 추출부(64)에 해당하는 답안의 표시, 단답형정보 추출부(65)에 해당하는 답안의 작성, 그리고 풀이기입란(66)에 해당하는 풀이정보를 기재하게 된다.In Fig. 11, a test sheet printed through the printer 20 is distributed to the test applicant so that an answer can be prepared (S7). Therefore, the test candidate displays the answer corresponding to the multiple-choic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4 of the test paper 60, the answer corresponding to the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5, and the po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ll- .

도 4 및 도 5에서, 시험 응시자가 시험의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 이를 수거하여 시험지 채점기(40)에 투입하여 채점이 이루어진다(S11). 시험지 채점기(40)의 시험지정보 인식모듈(41)은 시험지(60)에 표시된 시험지 이미지와 더불어 제1식별코드(61) 내지 제3식별코드(63), 그리고 객관식정보 추출부(64), 단답형정보 추출부(65), 및 풀이기입란(66) 등을 각각 인식한다(S12). 이때, 채점모듈(42)에서 제2식별코드(62)나 제3식별코드(63)에 포함된 정답정보를 판독한 후에 객관식정보 추출부(64), 단답형정보 추출부(65), 및 풀이기입란(66)에 기재된 답안을 확인한다(S13). 채점모듈(42)은 답안의 확인 후에 해당 문항의 정오를 판단하여 채점이 이루어진다(S14). 또한, 시험지 채점기(40)는 시험지정보로서 식별코드의 위치 값이 많은 경우에 시험지정보를 통신망을 거쳐 서버(50)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채점 후에 채점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In FIGS. 4 and 5, when the test taker completes the preparation of the test answer, the test taker collects the answer and puts it into the test paper grader 40 (S11). The test paper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41 of the test paper grading device 40 receives the test paper images displayed on the test paper 60 along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61 to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and the multiple choic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64, The short-response typ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5, and the pooling column 66, respectively (S12). At this time, after the correc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or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is read by the scoring module 42, the multiple-answer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5, And confirms the answer written in the entry box 66 (S13). The scoring module 42 judges the noon of the item after the answer is confirmed, and scoring is performed (S14). The test strip scoring unit 40 may transmit the test strip information to the server 5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position value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large as the test strip information, and may receive the scoring result after scoring in the server.

그리고 도 12에서, 인쇄모듈(44)은 시험지(60)를 출력하면서 해당 문항번호에 정오(정답과 오답)표시(68)를 한다(S15). 또한, 채점모듈(42)에 의하여 해당 문항에 대한 첨삭정보가 인쇄모듈(44)을 통해 시험지(60)에 인쇄되도록 한다(S16). 첨삭정보는 해당 문항에 대하여 출제자에 의하여 이미 입력되어 저장된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12, the printing module 44 outputs the test paper 60 and displays the noon (correct answer and wrong answer) indication 68 in the corresponding item number (S15). In addition, the scoring module 42 causes the test module 60 to print th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item through the print module 44 (S16). The annotation information will include information already stored and input by the applicant for the item.

또한, 채점모듈(42)에서 채점된 시험정보는 채점정보 저장모듈(43)에 저장된다.(S17).In addition, the test information scored in the scoring module 42 is stored in the scoring information storage module 43 (S17).

제2실시 예로서, 도 3의 흐름도와 같이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에서 종이에 인쇄된 시험지를 생성하고, 도 6의 흐름도와 같이 이 시험지에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이 기입된 시험지를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 채점하는 방법이다.As a second embodiment, a test paper printed on paper is generated in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3, and the test paper on which the answer is written by the test applicant is written on the test paper, And automatically scoring it.

도 6에서, 인쇄된 시험지를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이 작성된 시험지가 제출되면,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70)에 설치된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S21), 도 7에서,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70)에 구비된 카메라로 시험지(60)를 촬영한다(S22). 그리고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71)이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답안을 확인한다(S23). 이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하고(S24), 정오(정답 및 오답)표시와 첨삭정보가 시험지에 표시되도록 한다(S25).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71)에 의하여 표시된 정오표시 및 첨삭정보가 저장모듈(72)에 저장된다.6, when a test sheet on which an answer has been prepared by the test applicant is printed by the test applicant, an application for grading test paper sheets installed on the test paper grading terminal 70 is executed (S21) The test strip 60 is photographed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test strip 70 (S22). Then, the test application program 71 extracts the test paper information, the candidate information, the multiple choice information, the short answer information, and the answer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test paper (S23). The extracted test information and the test shee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re compared and scored (S24), and the noon (correct answer and wrong answer) display and annota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test sheet (S25). The erroneous display and annotation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application for scoring test paper 71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72. [

또한, 제3실시 예로서, 도 8의 흐름도와 같이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에서 종이에 전자문서 파일로 저장된 시험지를 생성하고, 도 9의 흐름도와 같이 이 시험지에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이 기입된 시험지를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 채점하는 방법이다.As a third embodiment, a test sheet stored as an electronic document file on a paper sheet is generated in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8, and the test sheet on which the answer is written by the test applicant It is a method of automatic scoring by using a terminal using a test strip pool.

도 8에서,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 설치된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이 실행되면(S31),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은 시험지의 크기나 종류 또는 과목이나 또는 단원 등의 시험지를 선택한다(S32). 그리고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은 문제정보DB(12)에서 출제할 문제정보를 불러와 문제를 배열한다(S33). 이때, 출제자는 문제를 새로이 출제하여 생성하거나 이미 출제되어 저장된 문제를 선택하여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8, when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installed in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10 is executed (S31),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selects the test paper such as the size and type of the test paper, (S32). Then,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retrieves the problem information from the problem information DB 12 and arranges the problem (S33). At this time, the applicant will be able to create a new question or create a problem and arrange it by selecting the problem that has already been made and stored.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에 의하여 시험지(60)에 문제가 배열되면, 식별코드 생성모듈(13)은 시험지에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61)와,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62),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63)를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이때, 제2식별코드(62)와 제3식별코드(63)는 해당 문항에 관한 정보로부터 객관식, 단답형 또는 풀이기입란을 생성하여 표시된다(S34). 더욱이 답안위치에 관한 정보는 시험지정보와 각 문제의 문항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문항 일측에 마커(67)를 표시하여 문제의 위치나 답안위치 등을 표시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식별코드로서, 제2식별코드(62)와 제3식별코드(63)는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마킹된 사각형(ⓐ)은 5지선다형의 답안의 위치를 찾는 기준이 되고, 내측의 점(ⓑ)들은 정답 및 문항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When a problem is arranged in the test paper 60 by the test paper creating application 11,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ng module 13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code 61 including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including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including short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are displayed by generating a multiple choice, short answer, or full entry field from the information on the item (S34).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answers can be obtained from the test papers and the question images of each question. In addition, the marker 67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item so that the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question can be displayed and recognized.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are used as a reference for finding the position of the answer of the five-point multiple choice type in the square marked at the upper left corner, They include information on correct answers and questions.

또한, 식별코드 생성모듈(13)은 제2식별코드(62)와 함께 객관식정보 추출부(64)와, 제3식별코드(63)와 함께 단답형정보 추출부(65), 및 풀이기입란(66)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시험지에 선택적으로 생성한다(S35). 객관식정보 추출부(64)는 제2식별코드(62)를 기준으로 동영상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답안표기, 즉 흑색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고 채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제2식별코드(62) 및 객관식정보 추출부(64)와 제3식별코드(63) 및 단답형정보 추출부(65)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서버(50)나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 등으로부터 정답을 수신하거나 문제 해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답과 답안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에 채점결과가 바로 나타나게 되고, 정답은 암호화되어 시험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별도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정답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또한, 풀이기입란(66)은 해당 식별코드로부터 서술형 기록을 추출하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일정 공간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서버(50)로 전송하도록 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13 also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as well as an optional 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 64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together with a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 65 and a paste- (Step S35).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the multiple-choic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4 can check that the moving picture frame is sequentially displayed, that is, the answer is high, that is, the black ratio is high.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62, the multiple-choic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64,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63 and the short-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65 are used for generating the server 50 and test strips using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Receive correct answers from the terminal 10 or the like, or receive problem description information. Also,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not, the score result will be displayed immediately, and the correct answer should be encrypted and included in the test paper. 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separately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for extracting the narrative record from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is included, the pool entry box 66 extracts an image of a certain spa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server 50.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11)에서 식별코드 생성모듈(13)에 의하여 문제와 더불어 해당 문항에 관한 식별코드와 객관식정보 추출부(64), 단답형정보 추출부(65), 및 풀이기입란(66) 등이 설정되면 시험지는 시험지DB(14)에 저장된다(S36). 시험지DB(14)에 저장된 시험지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50)를 거쳐 시험지정보DB(51)에 저장되거나 시험 응시자의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로 전송된다(S37).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13 of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11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relating to the item and a multiple choice reply 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 64, a short answer 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 65, The test strip is stored in the test strip DB 14 (S36). The test paper information stored in the test paper DB 14 is stored in the test paper information DB 51 via the server 5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ransmitted to the test paper using terminal of the test applicant at step S37.

도 9에서, 시험 응시자의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30)에 설치된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31)이 실행되면(S41), 시험 응시자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50)나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10)에 접속하여 선택 또는 자동 수신에 의하여 다운로드 받고(S42), 이 다운로드 받은 시험지(60)의 객관식정보 추출부(64)에 해당하는 답안의 표시, 단답형정보 추출부(65)에 해당하는 답안의 작성, 그리고 풀이기입란(66)에 해당하는 풀이정보를 기재하게 된다(S43).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S44), 시험지에 표시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답안을 확인한다(S45). 이때,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31)은 통신망에 접속된 서버(50)로부터 해당 시험지의 답안지를 수신하여 시험 응시자가 답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9, when the test application solution 31 and the scoring application 31 installed in the test application pool use terminal 30 of the test applicant are executed (S41), the test applicant transmits the test solution to the server 50 and the test strip generation terminal 1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Typ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4 of the downloaded test sheet 60 and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short-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5 (step S42) , And the pool corresponding to the filled-in box 66 (S43). When the answer is completed (S44), test sheet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multiple choice information,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re extracted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test sheet (S45). At this time, the test paper reading and grading application 31 may receive the answer sheet of the test paper from the server 5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test candidate can input his answer.

그리고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31)은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하고(S46), 정오(정답 및 오답)표시와 첨삭정보가 시험지에 표시되도록 한다(S47).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31)에 의하여 표시된 정오표시 및 첨삭정보는 저장모듈(32)에 저장된다.
Then, the application for test stripping and scoring 31 compares the te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extracted test information (S46), and displays the noon (correct answer and wrong answer) display and annotation information on the test page (S47 ). The erroneous marking and annot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application for test stripping and scoring 31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2.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has it will know it easily.

10: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11: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 12: 문제정보DB 13: 식별코드 생성모듈 14: 시험지DB 20: 프린터 30: 시험지 풀이용 단말기 31: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어플리케이션 32: 저장모듈 40: 시험지 채점기 41: 시험지정보 인식모듈 42: 채점모듈 43: 채점정보 저장모듈 44: 인쇄모듈 45: 데이터인터페이스부 50: 서버 51: 시험지정보DB 52: 채점정보DB 60: 시험지 61: 제1식별코드 62: 제2식별코드 63: 제3식별코드 64: 객관식정보 추출부 65: 단답형정보 추출부 66: 풀이기입란 67: 마커 68: 정오표시 70: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10: Test strip generating terminal 11: Test strip generating application 12: Problem information DB 13: Identification code generating module 14: Test strip DB 20: Printer 30: Test strip pool use terminal 31: Application for test stripping and scoring 32: A test strip scanner 41: a test strip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42: a scoring module 43: a scoring information storage module 44: a print module 45: a data interface unit 50: a server 51: a test strip information DB 52: 62: second identification code 63: third identification code 64: multiple-choic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5: short answer information extracting unit 66: fill-in column 67: marker 68: erroneous mark 70:

Claims (9)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에 있어서,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에 설치된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은 문제정보DB에서 문제정보를 불러와 문제를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시험지에 문제가 배열되면, 식별코드 생성모듈은 시험지에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와,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식별코드 생성모듈은 제2식별코드와 함께 객관식정보 추출부와, 제3식별코드와 함께 단답형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시험지에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시험지 생성용 어플리케이션은 식별코드 및 답안위치가 생성된 시험지를 시험지DB에 저장함과 더불어 프린터를 통해 시험지를 인쇄하는 단계;
(e) 상기 인쇄된 시험지를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이 작성된 시험지가 제출되어 시험지 채점기에 투입되면, 시험지 채점기의 시험지정보 인식모듈은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시험지 채점기의 채점모듈은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정답 및 오답)표시와 첨삭정보가 시험지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g) 상기 시험지 채점기의 채점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정오표시 및 첨삭정보가 인쇄모듈을 통해 시험지에 인쇄되도록 하는 단계, 및
(h) 상기 채점모듈에서 채점된 시험정보는 채점정보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지 채점기는 시험지정보로서 식별코드의 위치 값이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에 시험지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채점 후에 채점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In the method of scoring an answer sheet,
(a) after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st paper generation terminal is executed, the test paper generation application may arrange the problem by calling the trouble information from the problem information DB;
(b) If a problem is arranged in the test paper by the test paper creating applic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ng module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nd multiple choic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short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c)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selectively generates an answer position including a short answer typ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and a short answer box together with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together with a third identification code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on a test sheet;
(d) the application for creating a test paper includes the steps of: storing the test paper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nswer position are generated in the test paper DB, and printing the test paper through the printer;
(e) If the printed test paper is submitted by the test applicant and submitted to the test paper scoring unit, the test paper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of the test paper scoring unit extracts the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Extracting short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f) The scoring module of the test strip scoring unit compares the extracted test information with the test stri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displays the noon (correct answer and wrong answer) indication 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on the test paper after scoring;
(g) causing an erroneous mark and annot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scoring module of the test strip scoring unit to be printed on the test strip through the print module, and
(h) storing the test information scored in the scoring module in a scoring information storage module,
Wherein the test strip scoring unit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the test strip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ing the scoring result after scoring in the server when the position value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more than a certain number as the test strip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답안위치정보는 시험지정보와 각 문제의 문항이미지를 이용하는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step (b), the answer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test item information and an item image of each ques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위치정보의 인식을 위하여 시험지의 문항 일측에 마커가 표시된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rk is displayed on one side of a test item to recognize the answer posi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code comprises a QR code or bar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인쇄된 시험지를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답안이 작성된 시험지가 제출되면,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에 설치된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시험지를 촬영한 다음 상기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이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정답 및 오답)표시와 첨삭정보가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시험지 채점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표시된 정오표시 및 첨삭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되도록 하는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step (e), when the test sheet on which the answer sheet is prepared by the test applicant is printed on the printed test sheet, the test sheet is photographed after the test sheet scoring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est sheet scoring terminal is executed, The grading application extracts the test paper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multiple choice information, and answer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test paper, compares the te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extracted test information, Correct answer and wrong answer) display and annota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test strip scoring terminal, and the erroneous display and annot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test strip scoring applic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40026168A 2014-03-05 2014-03-05 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KR101479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6168A KR101479444B1 (en) 2014-03-05 2014-03-05 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6168A KR101479444B1 (en) 2014-03-05 2014-03-05 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444B1 true KR101479444B1 (en) 2015-01-05

Family

ID=5258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6168A KR101479444B1 (en) 2014-03-05 2014-03-05 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4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582A (en) * 2020-06-26 2022-01-04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nswer processing
CN115037842A (en) * 2022-06-08 2022-09-09 北京飞象星球科技有限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812A (en) 2001-12-28 2003-09-10 Ntt Docomo Inc Online examination system, examination provider equipment, system user equipment, terminal device, writing device, printer, grading sheet, answer sheet, examination system controlling program, terminal device controlling program, and writing device controlling program used for online examination system
KR100798465B1 (en) * 2006-09-08 2008-01-28 (주)드림투리얼리티 Learning data formation system for the subject explanation
KR20120092421A (en) * 2011-02-11 2012-08-21 이형곤 System for improving studying capability using relational questio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68920B1 (en) * 2011-01-31 2013-05-29 김정원 An examination paper marking system make use of barcod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812A (en) 2001-12-28 2003-09-10 Ntt Docomo Inc Online examination system, examination provider equipment, system user equipment, terminal device, writing device, printer, grading sheet, answer sheet, examination system controlling program, terminal device controlling program, and writing device controlling program used for online examination system
KR100798465B1 (en) * 2006-09-08 2008-01-28 (주)드림투리얼리티 Learning data formation system for the subject explanation
KR101268920B1 (en) * 2011-01-31 2013-05-29 김정원 An examination paper marking system make use of barcode and method thereof
KR20120092421A (en) * 2011-02-11 2012-08-21 이형곤 System for improving studying capability using relational questio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582A (en) * 2020-06-26 2022-01-04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nswer processing
KR102547386B1 (en) * 2020-06-26 2023-06-2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nswer processing
CN115037842A (en) * 2022-06-08 2022-09-09 北京飞象星球科技有限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15037842B (en) * 2022-06-08 2024-03-19 北京飞象星球科技有限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20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oring nonobjective assessment materials through the application and use of captured images
KR101481498B1 (en) System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and managing wrong answer data
US9754500B2 (en) Curriculum assessment
JP4894189B2 (en) Teaching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teaching material processing method, teaching material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501872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assisted grading of printed tests
US201700618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orting hard copy assessments into an automatic educational system assessment
US20030180703A1 (en) Student assessment system
US20120189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o evaluate student worksheets
US20120282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implement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actice worksheets
US8768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digital assessments
CN106373447A (en) Intelligent paper marking system and method
US8831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actice worksheets
KR101265720B1 (en) System for improving studying capability using relational questio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183143A (en) Reading and amending method and teaching system
KR20130021684A (en) System for managing answer paper and method thereof
TWM546586U (en) Test making and scoring system of examination paper
KR101479444B1 (en) 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CN112396897A (en) Teaching system
CN109086261A (en) It gos over examination papers by hand on a kind of paper the method and system of computer system point
JP72347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WO2020166539A1 (en) Grading support device, grading support system, grading support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20180277004A1 (en) Question assessment
KR102126834B1 (e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KR20230036441A (en) User-customizing learning service system
KR101893222B1 (en) System for Operating a Question for Exa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