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065B1 -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vehicle - Google Patents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065B1
KR101479065B1 KR1020130094038A KR20130094038A KR101479065B1 KR 101479065 B1 KR101479065 B1 KR 101479065B1 KR 1020130094038 A KR1020130094038 A KR 1020130094038A KR 20130094038 A KR20130094038 A KR 20130094038A KR 101479065 B1 KR101479065 B1 KR 10147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signal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건식
정원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9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60Y230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following vehicles of an emergency situation by a user′s emergency switch operation in the event of a vehicular emergency situation and by automatically displaying a pattern or a text on a display unit disposed in a rear window in a case where an accident is likely to occur due to, for example, the bad weather and low forward visibility, or an accident has actually occurred for the airbag to be deployed. In this manner, a secondary accident involving the following vehicles can be prevented and crimes in vehicles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vehicle}[0001]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비상 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a vehicle.

최근 들어, 차량의 주행 중 사고 또는 고장으로 정차 시, 후방 주행 차량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이 늘어가고 있으며, 여성 운전자의 증가로 차량 범죄도 늘어가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econdary accidents caused by rear-driving vehicles has increased in case of an accident or malfunction while driving, and the number of female drivers is also increasing.

이렇게, 차량 고장 및 사고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의 비상등을 점등하고, 정차한 차량의 후방에 삼각대를 설치하여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에 대해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야 한다.In this wa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vehicle breakdown or an accident, the driver generally lights the emergency light of the vehicle and installs a tripod at the rear of the stopped vehicle to inform the vehicle in the rear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do.

그러나, 사고가 발생한 차량은 비상등만을 점등하는데 그치는 것이 현실이고, 차량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후방에 삼각대를 설치하여 후방 진행 차량에 비상 상황을 알리는 운전자는 많지 않다. 이는, 비상등의 경우에는 손쉽게 점등이 가능한 반면, 삼각대의 경우에는 차량에서 내려 후방으로 걸어가서 설치해야하는 만큼 2차 피해의 우려가 많기 때문이다.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only an emergency light is lit only in a vehicle in which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few drivers install a tripod behind the vehicle sufficiently to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to a rearward traveling vehicle. This is because an emergency light can be easily turned on, while in the case of a tripod, it is necessary to walk from the vehicle down to the rear to install it, and thus there is a fear of secondary damage.

그러나, 비상등의 경우에는, 차량 서행, 악천후 주의, 차선 변경에 대한 감사의 표현등 다양한 의미로 이용되므로, 후방에서 주행하는 운전자들로 하여금 비상 상황을 인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고, 차량내 범죄 발생의 경우에는 다른 운전자들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수단이 마땅히 없는 상황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emergency lights, it is used in various meanings such as expressions of slowing down the vehicle, bad weather, lane change, etc.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letting drivers who run in the rear to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In such cases, there is no way to inform other driv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상 상황 발생시에 2차 피해의 우려를 최소화하면서도 후방에서 진행하는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to a driver in a rear direction while minimizing the risk of secondary damag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스위치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비상 스위치;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을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표시 모듈; 및 상기 비상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스위치 모드 신호에 따라서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notific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ing: an emergency switch for outputting a switch mode signal by a user's operation; A display modu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for lighting or blinking a character or a graphic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emergency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 mode signal input from the emergency switch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는 차량 및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모드 신호 및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a vehicle, the device including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 situation of a vehicle and a surrounding area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 mode signal can be generated and output.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는, 차량 및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을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표시 모듈; 및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 display modu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for lighting or blinking a character or a graphic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emergency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는 에어백 전개 여부를 나타내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에어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더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further comprises an airbag module for outputting an airbag deployment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airbag deployment is to the control unit, A signal can be generated and output.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의 상기 표시 모듈은, 복수의 발광 수단이 설치된 표시부; 및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발광 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켜, 상기 표시부를 통해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of the vehicle emergency ale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ans; And a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lighting or blink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nd displaying characters or graphics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의 상기 표시부는 차량의 후면 유리에 설치될 수 있다.The display portion of the vehicl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window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of the vehicl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apparatus may display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or graphics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의 상기 센서 모듈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강우의 양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센서;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의 감지 신호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of the vehicle emergency ale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an ambient illuminance; A propuls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rainfall; A brak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rake of the vehicle is operated; And 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nd 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ensing signals of the sensors.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센서들의 출력값에 따라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주변 조도가 어두울수록, 강우의 양이 많을수록,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도형을 더 크고 밝게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emergency warning apparatus operates the brakes according to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s input from the sensor module, the darker the surrounding illuminance, the greater the amount of rainfall, The greater the distance, the larger the character or figu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can be displayed.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은 (a) 사용자의 비상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발생된 스위치 모드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스위치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을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표시 모듈을 통해서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nputting a switch mode signal generated by an emergency switch operation of a user; (b) generating an emergency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 mode signal; And (c) illuminating or blinking a character or figure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through a display modul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은, 상기 (a) 단계에서, 차량 및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한 감지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위치 모드 신호 및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wherein in the step (a), a sensing signal sensing a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is further input, And generate and output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은 (a) 차량 및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한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을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표시 모듈을 통해서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b) generating an emergency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c) illuminating or blinking a character or graphics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through a display modul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은, 상기 (a) 단계에서, 에어백 전개 여부를 나타내는 에어백 전개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에어백 전개 신호를 더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a), an airbag deployment signal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airbag deployment is further input is input, and the step (b) , And generate the emergency condition mode signal.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차량의 후면 유리에 설치된 복수의 발광 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c), the display module selectively lights or blink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ans provided on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 Characters, or graphics.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c) may display characters or graphics of different kinds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은, 상기 (a) 단계에서, 주변 조도를 감지한 조도 감지 신호; 강우의 양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 신호;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감지 신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a) illuminance detection signal sensing ambient illuminance; A propuls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rainfall; A brake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rake of the vehicle is operated; And a distance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rear vehicle, and the step (b) may generate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by taking the detection signals into consideration in a comprehensive manner.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주변 조도가 어두울수록, 강우의 양이 많을수록,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도형을 더 크고 밝게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inform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the brake is operated, the ambient illuminance becomes darker, the amount of rainfall increase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emergency mode signal that instructs the module to display a character or graphic displayed larger and brighter.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비상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악천후로 인한 전방 시야 미확보와 같이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상황이나 에어백 전개와 같이 실제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차량 후면 유리에 설치된 표시부에 도형 또는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후방에 진행하는 차량들에 비상 상황을 알림으로써, 후방 주행 차량에 의한 2차 차량 사고를 방지하며, 차량 내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vehicle, the emergency switch operation of the user causes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a high risk of an accident such as a front sight unacknowledged due to bad weather, In this case, by displaying shapes or letters on the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vehicle accident by the rear driving vehicle by informing the vehicles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비상 스위치 조작에 따라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 및 도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자동 모드 신호가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발생된 경우에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 및 도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aler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haracters and graphic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emergency switch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haracters and graphic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when an automatic mode signal is generated a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aler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는 표시 모듈(130), 비상 스위치(120), 센서 모듈(140), 제어부(110), 및 에어백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emergency aler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130, an emergency switch 120, a sensor module 140, a controller 110, and an airbag module 150. [ .

먼저, 비상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스위치 모드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스위치 모드는 비상 상황의 정도 또는 사용자의 요청을 나타낼 수 있도록 복수의 모드로 구성된다.First, the emergency switch 120 outputs a switch mod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by the user's operation. The switch mode is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modes so as to indicate the degree of emergency or user's reques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비상 스위치(120)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120)는 push-return 타입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 스위치 모드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서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또한, 비상 스위치(120)는 각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서 각 단계를 나타내는 LED(121)가 순차적으로 점등된다. 즉, 제 1 단계 스위치 모드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1개의 LED(121)가 점등되고,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 에서는 2개 및 3개의 LED(121)가 각각 점등된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mergency switch 1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emergency switch 12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ush-return type switches, and sequentially generates first to third step switch mode signa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resses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10. In addition, in the emergency switch 120, the LEDs 121 representing the respective steps are sequentially turned on as each user presses them. That is, when the first-step switch mode signal is generated, one LED 121 is turned on, and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two and three LEDs 121 are turned on, respectively.

비상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닿는 위치에 설치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개 단계의 스위치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1개 단계 또는 2개 단계의 스위치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emergency switch 120 is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user's hand easily touches it, 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mode signal is generated in three stages, but the one- or two- As shown in FIG.

이렇게, 사용자는 차량에 비상 상황 발생시에 비상 스위치(120)를 조작하여, 차량 후면 유리에 설치된 표시부(133)를 통해서 비상 상황을 알림으로써 후방 차량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operates the emergency switch 120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vehicle, and notifies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33 provided on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a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the rear vehicle.

센서 모듈(140)은 조도 센서(141), 우적 감지 센서(143), 브레이크 센서(145), 및 거리 감지 센서(14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제어부(110)로 출력하여 비상 상황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예컨대, 악천후로 인한 전방 시야 미확보로 인한 사고 위험 가능성이 높은 경우), 차량 후면 유리에 설치된 표시부(133)를 통해서 비상 상황을 알림으로써 후방 차량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40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n illuminance sensor 141, a right sensor 143, a brake sensor 145, and a distance sensor 147, (For example, whe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ccidents due to unfavorable foresight due to bad weather),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33 installed on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Secondary accident can be prevented.

먼저, 조도 센서(141)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되어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제어부(110)는 조도값을 이용하여 현재 주간 운전 상황인지 또는 야간 운전 상황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First, the illuminance sensor 141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to sense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and output the illuminance to the controller 110. The controller 110 uses the illumina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current daytime driving condition or the nighttime driving condition .

우적 감지 센서(143)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되어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하는 센서로서, 제어부(110)는 우적 감지 센서(143)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빗길 운전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amount of rainwater and the velocity of the rainwater by us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right-side sensing sensor 143,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a comb driving state.

브레이크 센서(145)는 브레이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현재 브레이크가 작동중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The brake sensor 145 is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brake and detects whether the brake is currently being operated and outputs the brak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거리 감지 센서(147)는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The distance sensor 147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vehicle from the rear, and outputs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ontroller 110.

에어백 모듈(150)은 현재 에어백이 전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에어백이 전개되었다는 것은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고정된 물체와 충돌하여 사고가 발생한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110)는 에어백 모듈(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서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The airbag module 150 detects whether the airbag is currently deployed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10. [ The development of the airbag means that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vehicle or a fixed object, so that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an accident situation through a signal input from the airbag module 150. [

제어부(110)는 비상 스위치(120)로부처 입력되는 스위치 모드 신호, 센서 모듈(140)로부터 입력되는 각 센서의 감지 신호(센서 측정값) 및 에어백 전개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에어백 전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emergency switch 120 in accordance with a switch mode signal input to the emergency switch 120, a sensing signal (sensor measurement value) input from the sensor module 140 and an airbag deployment signal input from the airbag deployment module, And outputs the mode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1 of the display module 130.

예컨대, 제어부(110)는 비상 스위치(120)로부터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 스위치 모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제 1 수동 모드 신호 내지 제 3 수동 모드 신호를 각각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생성하여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로 출력한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to third step switch mode signals are input from the emergency switch 120, the controller 110 generates the first to third manual mode signals as the emergency mode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1 of the controller 130.

또한, 제어부(110)는 센서 모듈(1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가 사전에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면 제 1 자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생성하여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로 출력하고, 에어백 전개 신호가 에어백 모듈(150)로부터 입력되면 제 2 자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생성하여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로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first automatic mode signal a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when the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module 140 satisfies a predefined condition and outputs the first automatic mode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1 of the display module 130 And outputs the second automatic mode signal a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1 of the display module 130 when the airbag deployment signal is input from the airbag module 150.

제어부(110)는 조도 센서(141)로부터 입력된 조도값이 사전에 정의된 조도값 이하로 내려가서 야간 운행중이라고 판단되고, 우적 감지 센서(143)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 내리는 비의 양이 사전에 정의된 양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며, 브레이크 센서(145)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브레이크를 밟고 있다고 판단되고,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과의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자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발생시켜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로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illuminance value in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141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and is running at night,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amou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braking the vehicle from th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brake sensor 145 an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rear direc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utputs the first automatic mode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1 of the display module 130 a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한편, 표시 모듈(130)은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표시부(133)와,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표시부(133)를 구동하여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부(131)를 포함한다.The display module 130 includes a display unit 133 for displaying characters or graphics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isplay unit 133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10 to display characters or graphics 13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시부(133)는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현방식에 제한이 없다. 표시부(133)를 구현하는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는, 투명 OLED 패널을 차량의 후면 유리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각 도형 또는 문자를 나타내도록 복수의 LED 소자들이 연결되어 배치된 LED 패널을 차량의 후면 유리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차량 후면 유리에 복수의 LED 램프를 삽입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33 is not limited in its implementation method if it is configured to display characters or graphics. In the simplest way of implementing the display portion 133, a transparent OLED panel may be attached to the rear glass of a vehicle, or an LED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LED elements are arranged so as to show each figure or character, Or may be implement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LED lamps into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구동부(131)는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비상상황 모드신호에 따라서 표시부(133)를 구동하여 도형 또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3)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부(131)는 표시부(133)에 포함된 복수의 LED 소자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LED 소자를 점등 또는 점멸시킴으로써 도형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구동부(131)가 표시부(133)를 구동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The driving unit 131 drives the display unit 133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10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33 to display figures or character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131 is configured to display graphics or characters by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LED element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33 to light or blink the LED elements. However, the driving unit 131 May drive the display unit 133 in any manner.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비상 스위치(120) 조작에 따라서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문자 및 도형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4 shows an example of characters and graphic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switch 120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비상 스위치(12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 1 단계 스위치 모드 신호가 제어부(110)로 입력된 경우에, 구동부(131)는 제어부(110)로부터 제 1 수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도록 표시부(133)를 통해서 삼각대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되도록 표시한다(도 4의 (a)참조).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emergency switch 120 and the first-stage switch mode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110, the driver 131 receives the first switch mode signal from the controller 110 A manual mode signal is inputted a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nd the tripod is displayed so as to be lit and blinked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rough the display unit 133 so as to correspond thereto (see FIG.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비상 스위치(12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 스위치 모드 신호가 제어부(110)로 각각 입력된 경우에, 제어부(110)는 제 2 수동 모드 신호와 제 3 수동 모드 신호를 구동부(131)로 각각 출력한다. 구동부(131)는 제 2 수동 모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HELP" 문자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되고 점멸 표시되도록 표시부(133)를 제어하고(도 4의 (b) 참조), 제 3 수동 모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삼각대와 "HELP"가 교번으로 점등되도록 표시부(133)를 제어한다(도 4의 (c) 참조). In the same manner, when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emergency switch 120 and the second-stage and third-stage switch mode signals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control unit 110, the control unit 110 outputs the second manual mode signal and the second manual mode signal 3 manual mode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1, respectively. When the second manual mode signal is input, the driving unit 131 controls the display unit 133 to display the " HELP "charact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display a blinking state (refer to FIG. 4B) Quot; HELP "is turned on alternately (refer to (c) of FIG. 4).

한편, 구동부(131)가 제어부(110)로부터 제 1 자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수신한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3)를 통해서 "STOP"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되도록 표시부(133)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센서 모듈(140)로부터 입력되는 주변 환경에 대한 감지 신호값에 따라서, 표시부(133)를 통해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도형의 크기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unit 131 receives the first automatic mod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0 a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 STOP " The display unit 133 can be driven so as to turn on and off in a time perio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can adjust the size and brightness of characters or graphic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3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valu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put from the sensor module 140. [

예컨대, 제어부(110)는 동일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더라도, 조도가 낮아 주변이 어두울수록, 내리는 비의 양이 많을수록, 후행 차량의 거리가 멀수록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도형의 크기를 크고 더 밝게 표시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텍스트의 크기를 더 작고 밝기를 덜 밝게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 same character or graphics are displayed, 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the characters or graphic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3 as the distance from the following vehicle increases as the illuminance decreases, You can display bigger and brighter, and vice versa, you can display text smaller and brightness less bright.

한편, 구동부(131)가 제어부(110)로부터 제 2 자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수신한 경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여 에어백이 전개된 경우이므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3)를 통해서 "HELP"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되도록 표시부(133)를 구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unit 131 receives the second automatic mod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0 a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the airbag is deployed due to an accident in the vehicle. Therefore, Similarly, the display unit 133 can be driven so that "HELP" is lit and blinked at a constant time period through the display unit 133. [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Up to this point, a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이므로, 비록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상술한 기능은 후술하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에서 모두 수행되는 것임을 주의해야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vehicl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method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of the vehic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explanation,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re all performed in the vehicl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method .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상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스위치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고, 센서 모듈(140)에 포함된 각 센서들은 측정값을 제어부(110)로 출력하며, 에어백 모듈(150)은 에어백이 전개되면 에어백 전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emergency switch 120 generates a switch mode signal by a user's operation, each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module 140 outputs a measurement value to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airbag module 150 Generates an air bag deployment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 air bag is developed.

구체적으로, 비상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스위치 입력이 발생하면, 입력 단계에 따라서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까지의 스위치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S210).Specifically, when the switch input is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emergency switch 120 generates the switch mode signals from the first step to the third step according to the input step and outputs the switch mode signals to the control unit 110 (S210).

스위치 모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스위치 모드 신호에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수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생성하여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로 출력한다(S241).When the switch mode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110 generates the first to third manual mode signals as emergency state mode signals according to the switch mode signals and outputs them to the driver 131 of the display module 130 (S241).

상술한 제 S210 단계 및 제 S241 단계와 독립적으로, 센서 모듈(140)은 차량 주변의 조도, 우적 측정값, 브레이크 작동 감지신호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The sensor module 140 measures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right hand side, the brake opera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to the control unit 110 independently of the steps S210 and S241.

센서 측정값을 입력받은 제어부(110)는 측정 조도값이 기준 조도값 이하인지 여부를 조사하여 야간 주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21), 야간 주행이라고 판단되면 우적 측정값이 우적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빗길 주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며(S223), 우적 측정값이 우적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25), 브레이크가 작동중이라면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기준 거리값 이하인지 여부를 조사하여(S227), 기준 거리값 이하로 차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제 1 자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생성하여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로 출력한다(S243).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measured sensor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at night (S221). If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is judged to be running at night, (S223).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right h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ight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rake has been operated (S225). If the brake is in operation,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S227). When the headway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value, the first automatic mode signal is generated a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nd outputted to the driving unit 131 of the display module 130 (S243).

한편, 상술한 제 S210 단계 및 제 S241 단계가 수행되고, 제 S221 단계 내지 제 S227 단계와 제 S243 단계가 수행되는 것과 독립적으로, 에어백 모듈(150)은 에어백이 전개되면 에어백 전개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제어부(110)는 에어백 전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S230), 에어백 전개 신호가 입력되면, 제 2 자동 모드 신호를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생성하여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로 출력한다(S245).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teps S210 and S241 are performed, and independently of performing steps S221 to S227 and step S243, the airbag module 150 transmits an airbag deployment signal to the controller 110 The control unit 110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 airbag deployment signal is input in step S230. If the airbag deployment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second automatic mode signal a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1 of the controller (S245).

한편, 표시 모듈(130)의 구동부(131)는 입력되는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표시부(133)를 구동하고(S250), 표시부(133)는 구동부(131)의 제어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도형이나 문자를 표시한다(S260). The driving unit 131 of the display module 130 drives the display unit 133 in accordance with the inputted emergency state mode signal at step S250 and the display unit 133 displays the emergency state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31. [ Or characters (S26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동 모드 신호가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구동부(131)에 입력된 경우에는 삼각대가 후면 유리에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 표시되고, 제 2 수동 모드 신호가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구동부(131)에 입력된 경우에는 "HELP" 가 후면 유리에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 표시되며, 제 3 수동 모드 신호가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구동부(131)에 입력된 경우에는 삼각대와 "HELP"가 교번적으로 차량의 후면 유리에 표시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when the first manual mode signal is input to the driver 131 a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the tripod is lit and blinked on the rear window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When the mode signal is inputted to the driving unit 131 a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HELP" is lit and flickered on the rear window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the third manual mode signal is inputted to the driving unit 131 a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 A tripod and "HELP"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rear window of the vehicle.

한편, 제 1 자동 모드 신호가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구동부(131)에 입력된 경우에는 "STOP" 이 후면 유리에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 표시되며, 제 2 자동 모드 신호가 비상 상황 모드 신호로서 구동부(131)에 입력된 경우에는 "HELP" 가 후면 유리에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utomatic mode signal is inputted to the driving unit 131 a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STOP" is lit and blinked on the rear window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the second automatic mode signal is outputted a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Quot; HELP " is lit and blinked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n the rear glass when the light is input to the display 131. [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0: 제어부 120: 비상 스위치
121: LED 130: 표시 모듈
131: 구동부 133: 표시부
140: 센서 모듈 141: 조도 센서
143: 우적 감지 센서 145: 브레이크 센서
147: 거리 감지 센서 150: 에어백 모듈
110: control unit 120: emergency switch
121: LED 130: Display module
131: driving part 133: display part
140: sensor module 141: illuminance sensor
143: Property sensor 145: Brake sensor
147: Distance sensor 150: Airbag module

Claims (17)

삭제delete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스위치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비상 스위치;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을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표시 모듈;
차량 및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비상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스위치 모드 신호 및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강우의 양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센서;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의 감지 신호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센서들의 출력값에 따라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주변 조도가 어두울수록, 강우의 양이 많을수록,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멀수록,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도형을 더 크고 밝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An emergency switch for outputting a switch mode signal by a user operation;
A display modu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for lighting or blinking a character or a graphic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nd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emergency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 mode signal and the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emergency switch and outputting the emergency mode signal to the display module,
The sensor module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ambient illuminance;
A propuls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rainfall;
A brak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rake of the vehicle is operated; And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ensing signals of the sensors, and the brak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s input from the sensor module, the darker the ambient illuminance, the greater the amount of rainfall And displays the character or figu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larger and brighter as the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becomes longer.
차량 및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을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표시 모듈; 및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강우의 양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센서;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의 감지 신호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센서들의 출력값에 따라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주변 조도가 어두울수록, 강우의 양이 많을수록,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멀수록,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도형을 더 크고 밝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 display modu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for lighting or blinking a character or a graphic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nd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he sensor module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ambient illuminance;
A propuls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rainfall;
A brak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rake of the vehicle is operated; And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ensing signals of the sensors, and the brak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s input from the sensor module, the darker the ambient illuminance, the greater the amount of rainfall And displays the character or figu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larger and brighter as the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becomes long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에어백 전개 여부를 나타내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에어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더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n airbag module for outputting an airbag deployment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airbag deployment is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nd output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considering further the airbag deployment signal.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복수의 발광 수단이 설치된 표시부; 및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발광 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켜, 상기 표시부를 통해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상황 알림 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display module
A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ans; And
And a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lighting or blink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nd displaying a character or figure through the display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차량의 후면 유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상황 알림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상황 알림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ing unit displays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or graphics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a) 사용자의 비상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발생된 스위치 모드 신호 또는 차량 및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한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스위치 모드 신호 또는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을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표시 모듈을 통해서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주변 조도를 감지한 조도 감지 신호;
강우의 양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신호;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 신호;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감지 신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b) 단계는,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주변 조도가 어두울수록, 강우의 양이 많을수록,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도형을 더 크고 밝게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
(a) inputting a switch mode signal generated by a user's emergency switch operation or a sensing signal detecting a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 gener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 mode signal or the detection signal input in the step (a); And
(c) illuminating or blinking a character or figure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display modul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In the step (a)
An illuminance detection signal sensing ambient illuminance;
A propulsion sense signal for sensing the amount of rainfall;
A brake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rake of the vehicle is operated; And
At least one of a distance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a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input,
In the step (b),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ction signals,
The step (b)
And generate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instructing to display a character or figu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in a lighter and brighter form as the brake is operated, the ambient illuminance becomes darker, the amount of rainfall increases, And the vehicl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method.
(a) 차량 및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한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을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표시 모듈을 통해서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주변 조도를 감지한 조도 감지 신호;
강우의 양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신호;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 신호;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감지 신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b) 단계는,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주변 조도가 어두울수록, 강우의 양이 많을수록,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도형을 더 크고 밝게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
(a) inputting a detection signal that detects a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 generating an emergency mode signal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c) illuminating or blinking a character or figure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display modul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In the step (a)
An illuminance detection signal sensing ambient illuminance;
A propulsion sense signal for sensing the amount of rainfall;
A brake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rake of the vehicle is operated; And
At least one of a distance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a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input,
In the step (b),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ction signals,
The step (b)
And generates an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instructing to display a character or figu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in a lighter and brighter form as the brake is operated, the ambient illuminance becomes darker, the amount of rainfall increases, And the vehicl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method.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에어백 전개 여부를 나타내는 에어백 전개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에어백 전개 신호를 더 고려하여,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In the step (a), an airbag deployment signal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airbag deployment is further inputted,
Wherein the step (b) further generates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by further considering the airbag deployment signal.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차량의 후면 유리에 설치된 복수의 발광 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상황 알림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in the step (c)
Wherein the display module selectively displays or flash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ans provided on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to display a character or a graphic.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상 상황 모드 신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상황 알림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tep (c)
And displaying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or graphics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94038A 2013-08-08 2013-08-08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vehicle KR101479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038A KR101479065B1 (en) 2013-08-08 2013-08-08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038A KR101479065B1 (en) 2013-08-08 2013-08-08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065B1 true KR101479065B1 (en) 2015-01-07

Family

ID=5258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038A KR101479065B1 (en) 2013-08-08 2013-08-08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55A1 (en) * 2015-05-18 201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Not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WO2020059948A1 (en) * 2018-09-17 2020-03-26 마준성 Vehicle controller and method for inputting/outputting output message according to vehicle state signal in real ti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864A (en) * 2000-02-19 2001-08-29 장해수 Information displayer of car
KR200277817Y1 (en) * 2002-02-08 2002-06-14 김호용 Apparatus for displaying a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KR20120106036A (en) * 2011-03-17 2012-09-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ystem for automatic control of hazard lamp and automatic control method of hazard lamp by ecu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864A (en) * 2000-02-19 2001-08-29 장해수 Information displayer of car
KR200277817Y1 (en) * 2002-02-08 2002-06-14 김호용 Apparatus for displaying a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KR20120106036A (en) * 2011-03-17 2012-09-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ystem for automatic control of hazard lamp and automatic control method of hazard lamp by ecu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55A1 (en) * 2015-05-18 201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Not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US10235879B2 (en) 2015-05-18 2019-03-19 Lg Electronics Inc. Notification system of a ca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20059948A1 (en) * 2018-09-17 2020-03-26 마준성 Vehicle controller and method for inputting/outputting output message according to vehicle state signal in real 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9165B2 (en) System for detecting surrounding conditions of moving body
US9990847B2 (en) Traffic accident occurrence notification system using LED display lamps
US7148813B2 (en) Light emitting traffic sign having vehicle sensing capabilities
JP6761426B2 (en) Vehicle lighting, vehicle systems and vehicles
EP1878616B1 (en) Vehicle light 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1767994B1 (en) Vehicle brake lighting
CN109204305B (en) Method for enriching the field of view, device for use in an observer vehicle and object, and motor vehicle
KR202000578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of vehicle
KR101679980B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Lamp for Vehicle
KR20120123833A (en) HUD System for Vehicle
KR101479065B1 (en)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vehicle
CN112119398A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camera-monitor system of a motor vehicle
KR20180136851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river sleepiness
JP2009113540A (en) Vehicular signal lighting system
JP5648230B2 (en) Speed over / decrease prevention method
KR20180080922A (en) Traffic lights that simultaneously display lights and flashes
KR1023541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head lamp turn-on of rear vehicle
KR20040013758A (en) Informing Device for Running at the Speed of Over the Restricted Speed of a Vehicle
KR101490059B1 (en) Apparatus for interior illumination warning of vehicle with blind spot object detecting and method thereof
KR20140144954A (en) Automotive Speed Indicator
KR102645892B1 (en) A traffic sign apparatus for school zone traffic safety
JP3138662U (en) Anti-collision safety assist device for tunnel travel
JP5477158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11168086A (en) Warning system for vehicle
KR20190047291A (en) Notification apparatus for smart cruise contro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