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050B1 - 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 Google Patents

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050B1
KR101476050B1 KR1020130104349A KR20130104349A KR101476050B1 KR 101476050 B1 KR101476050 B1 KR 101476050B1 KR 1020130104349 A KR1020130104349 A KR 1020130104349A KR 20130104349 A KR20130104349 A KR 20130104349A KR 101476050 B1 KR101476050 B1 KR 101476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outer ring
magnet
guide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희섭
Original Assignee
신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섭 filed Critical 신희섭
Priority to KR102013010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0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0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or of a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which reduces the noise generated in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vertical motion of a foothold when the foothold performs the vertical motion in a vibrator of a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allows more precise vibration by preventing separation of a magnet constituting a vibrating element;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by detecting the weight of a user standing on the foothol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vibrator of a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which comprises an upper and a lower plate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 vibration unit vibrating by delivering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mutually magnetic action of a magnet part, consisting of a pair of magnets, and a coil unit to the foothold, and multiple vibration absorption units for absorbing the impact generated in vibration while guiding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upper plate, wherein the magnet part of the vibration unit has an outer ring cover, an inner ring cover, and a guide shaft penetrated into the center of the magnets, extended to the lower plate and fixa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cover by an upper flange, and a bobbin cover of the coil unit has a guide bush coupled to the guide shaft to be penetrated into, and guiding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guide shaft.

Description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ng device of a vertical oscillatory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진동자의 작동으로 발판을 수직으로 진동시켜 발판에 올라서 있는 사람에게 운동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발판이 상하운동할 때 발판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고, 진동자를 구성하는 자석이탈을 방지하여 보다 정밀 진동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발판에 올라서 있는 운동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진동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or of a vertical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which can vibrate a foot plate vertically by the action of a vibrator to give a motion effect to a person standing on the foot plate, more specifically, A vibrating type vibrator for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guiding guide member and preventing the deviation of the magnet constituting the vibrator to perform more precise vibrating motio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b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lifter on the foot plate To a vibrator of an exercise device.

일반적으로, 칼로리 높은 음식의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비만 환자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신체의 비만은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등 성인병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정형외과 영역에서는 특히 골관절염의 발병과도 관련이 있어 해당 의사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 된다.In general, obesity is increasing due to the intake of high calorie foods and lack of exercise. Obesity in the body is well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adult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it is also related to the onset of osteoarthritis in the orthopedic field.

최근 들어 고 칼로리 식생활 문화와 컴퓨터를 이용한 장시간의 업무처리, 게임 등으로 인하여 어린이 비만 특히, 복부비만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성인에 있어서는 조절된 식사와 적당한 운동을 통하여 비만해소를 자신의 의지에 따라 해결할 수 있으나, 어린이 비만인 경우에는 성인과 같이 조절된 식사와 적당한 운동을 하는 등의 해결방법에 대한 적용이 어렵다. 즉, 가능하면 과격한 운동을 피하면서 효과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children's obesity, especially abdominal obesity, has been increasing rapidly due to high-calorie food culture and computer-based long-term work processes and games. In adults, it is possible to solve obesity according to their will, through controlled diet and moderate exercise. However, in the case of obese children, it is difficult to apply solutions such as controlled meals and proper exercise as adults. In other words, the need for exercise equipment that can exercise aerobic exercise effectively while avoiding excessive exercise is increasing.

특히, 고도비만인 경우 걷기 운동이나 조깅 등은 무릎 관절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이 회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치료로서 유산소 운동이면서 충격이 적은 운동으로 복부 진동벨트를 이용하거나 러닝머신 등을 저속으로 작동시켜서 사용하기도 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high altitude obesity, walking or jogging often affects the knee joints, and therefore, users tend to avoid the exercise. Therefore, aerobic exercise and low impact exercise may be performed using an abdominal vibration belt or a treadmill It is also used at low speed.

이와 같이, 유산소 운동을 도와주면서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 운동기구로서 진동형 운동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러한 진동형 운동장치는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장과 자석에 대향되어 설치되는 코일에 전류를 흘릴때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를 이용한 것으로,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발판에 전달하면 발판이 진동하여 발판 위에 올라선 사람에게 운동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vibration type exercise device has been proposed as a exercise device that does not put a strain on the knee joint while helping aerobic exercise. Such a vibration type exercis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a coil installed opposite to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The vibrator that generates vibration by interaction with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is used. When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or is transmitted to the foot plate, the foot plate vibrates to give a movement effect to the person standing on the foot plate.

이러한 진동형 운동장치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11-0082484호에는, 프레임과 손잡이가 형성되는 진동형 운동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하부플레이트(110b)(110a); 상기 하부플레이트(110b)(110a)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하로 진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부진동판(121)(122)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진동판(121)과 접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b)가 상하로 진동되도록 구동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상부진동판(121)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진동부(12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10b)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a)의 사이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a)의 테두리영역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10b)가 상하로 진동하는 동안 상기 상부플레이트(110b)가 하강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vibrating type exercise apparatus in which a frame and a handle are formed,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0b (110b, 110c, 110d, 110a); And upper and lower diaphragms 121 and 122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110b and capable of vibrating up and down. The upper plate 110b, which contacts the upper diaphragm 121, A vibration unit 120 for vibrating the upper diaphragm 121 up and down by receiving a driving signal to vibrate the upper diaphragm 121;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arrang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b and the lower plate 110a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edge region of the lower plate 110a, And a vibration absorbing part 130 for absorbing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plate 110b is lowered.

여기서 상기 상부진동판(121)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b)에 체결되고,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커버(121a); 상기 커버(121a)에 체결되고, 캡형상으로 형성되는 외곽링(121b); 상기 외곽링(121b)보다 작은 크기의 캡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곽링(121b)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곽링(121c); 상기 내곽링(121c)의 상부면에 체결되면서 상기 외곽링(121b)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제1 자석(121d); 상기 내곽링(121c)의 중앙에서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앙포스트(121f); 및 상기 중앙포스트(121f)의 끝단에 체결되고, 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제2 자석(121e); 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upper diaphragm 121 includes a cover 121a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plate 110b and has a predetermined radius, and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 outer ring 121b fastened to the cover 121a and formed in a cap shape; An inner ring 121c formed inside the outer ring 121b in a shape of a cap smaller than the outer ring 121b; A first magnet 121d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121c and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21b and having magnetic properties; A center post 121f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ring 121c; And a second magnet 121e fastened to an end of the center post 121f and having magnetic properties; Lt; / RTI >

또한, 하부진동판(122)은 하부플레이트(110a)에 체결되면서 외곽링(121b)과 내곽링(121c) 사이에 삽입되도록 캡형상으로 형성되는 보빈외곽링(122a), 보빈외곽링(122a)의 외부면에 둘러싸면서 제1 자석(121d)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부진동판(121)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외곽코일(122b), 보빈외곽링((122a)보다 작은 캡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곽링(121c)과 중앙포스트(121f) 사이에 삽입되는 보빈내곽링(122c) 및 보빈내곽링(122c)의 외부면에 둘러싸면서 제2 자석(121e)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소정의 전기에너지를 형성하는 내곽코일(1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lower diaphragm 122 includes a bobbin outer ring 122a and a bobbin outer ring 122a which are formed in a cap shape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ring 121b and the inner ring 121c while being fastened to the lower plate 110a, An outer coil 122b which surrounds the outer surface and forms a magnetic field with the first magnet 121d so as to vibrate the upper diaphragm 121 up and down and an outer ring 122c formed into a cap shape smaller than the bobbin outer ring 122a, Which forms a magnetic field with the second magnet 121e and forms a predetermined electric energy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inner ring 122c and the bobbin inner ring 122c inserted between the central post 121f and the center post 121f, (122d).

상기 종래의 수직진동형 운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진동부(120)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내곽링(121c)과 중앙포스트(121f)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제1 자석(121d)의 강한 자기력에 의해 커버(121a)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석(121d)의 자기력이 강하다고 하더라도 상부진동판(121)이 진동될 때 내곽링(121c)과 중앙포스트(121f) 몸체는 정위치에서 이탈되어 하부진동판(122)의 보빈외곽링(122a)이나 보빈내곽링(122c)과 간섭이 생긴다거나, 진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inner ring 121c and the center post 121f integrally formed in the vibrating portion 120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vertical oscillatory type exercise device are not attached to the separate fastening means and the strong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121d And is fixed to the cover 121a. The inner ring 121c and the body of the center post 121f may be detached from the fixed position when the upper diaphragm 121 vibrates even if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121d is strong,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ference occurs with the bobbin inner ring 122a and the bobbin inner ring 122c or the vibration becomes unstable.

또한, 상부플레이트(110b)와 하부플레이트(110a)의 사이에 복수 개의 진동흡수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130)는 진동부(120)의 작동으로 상부플레이트(110b)가 상하로 진동하는 동안 상부플레이트(110b)가 하강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복귀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진동흡수부(13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흡수부재(135)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부싱부재(130a)와 상기 부싱부재(13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부싱부재(13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30b)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ibration absorbing parts 130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b and the lower plate 110a. The vibration absorbing part 130 absorbs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upper plate 110b is lowered while the upper plate 110b vibrates up and down by the action of the vibration part 120, The vibration absorbing part 130 includes a bushing member 130a formed integrally with the absorbing member 135 made of a spring and a bushing member 130b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shing member 130a, And a guide member 130b formed to vertically move in the inserted state.

그런데, 진동부(120)의 작동으로 상부플레이트(110b)가 상하로 진동하는 동안 상부플레이트(110b)가 수직으로 상승할 때에는 흡수부재(135)의 양단이 그와 접촉하고 있는 리니어받침대(131)와 가이드받침대(136)로부터 떨어졌다가 상부플레이트(110b)가 수직으로 하강할 때에는 흡수부재(135)의 양단이 그와 접촉하고 있는 리니어받침대(131) 및 가이드받침대(136)와 다시 접촉하게 되며, 이때 접촉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When the upper plate 110b rises vertically while the upper plate 110b vibrates vertically by the action of the vibration unit 120, both ends of the absorbing member 135 contact the linear support 131, Both ends of the absorbing member 135 come into contact with the linear pedestal 131 and the guide pedestal 136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absorbing member 135 , There is a problem that a noise due to contact occurs at this time.

특허출원 제10-2011-0082484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82484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진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진동자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진동판과 하부진동판이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여 안정된 진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플레이트의 균형을 유지하고 상부플레이트의 하강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흡수부재에서 발생되던 소음을 제거하여 안정되고 쾌적한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된 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ion plate which is capable of performing stable vibration motion by fixing the upper diaphragm and the lower diaphragm, And a vibrator for vibrating the vibrating exercise device in which the noise generated in the absorbing member installed to absorb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upper plate is lowered is maintained while the balance of the upper plate is maintained and the user can exercise in a stable and comfortable state.

또한, 일반적으로 운동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적정 강도라고 고려되는 크기의 기준값들을 사전에 저장하여 놓고, 운동자가 발판 위에 올라서는 초기에 운동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체중에 대응되는 초기 기준값으로 진동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refere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an athlete are stored in advance, and the athlete's body weight is detected at an early stage when the athlete climbs on the footrest, and the vibration intensity is controlled as an initial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body weight And to provide a vibrator of a vibratory exercise device adapted to be able to perform vibration.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자석부와 코일부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에서 대향되게 결합되어 상호 자기작용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가동부인 발판에 전달하여 진동시키는 진동부, 그리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의 가장자리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수직진동을 가이드하면서 진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진동흡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The vibrator of the vertical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orizontally installed, a pair of magnet parts and a coil part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plates, A vibrating part for transmitting vibrations generated by a magnetic action to a foot plate as a moving part to vibrate the vibrating part and a plurality of vibrating parts for absorbing shocks generated during vibration while guiding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upper plate, A vertical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vibration absorbing portion,

외곽링커버에 의하여 상면이 덮여진 원통형의 외곽링과, 상기 외곽링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내측에 배치되고 상면이 내곽링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내곽링, 그리고 상기 외곽링커버와 상기 내곽링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곽링커버와 상기 내곽링커버를 자력으로 상호 결합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부;An outer ring ring having a top surface covered by an outer ring cover, an inner ring ring concentrically formed with the outer ring ring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n upper surface sealed by an inner ring cover, A magnet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ring covers and is made of a magnet that couples the outer ring cover and the inner ring cover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코일이 다수회 권취되어 있는 보빈이 상기 외곽링과 상기 내곽링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하부가 보빈커버에 의해 밀폐되어 하부플레이트에 결합된 코일부;A coil par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bobbin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and a lower part coupled to the lower plate by a bobbin cover;

상기 자석부의 상기 외곽링커버와 상기 내곽링커버 및 상기 자석의 중앙을 관통결합하여 하부플레이트까지 연장형성되고 상부플랜지에 의해 상기 외곽링커버의 상측표면에 고정되는 가이드축;A guide shaft extending through the outer ring cover of the magnet unit, the inner ring cover, and the center of the magnet to extend to a lower plate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cover by an upper flange;

상기 가이드축이 관통결합되어 가이드축의 수직진동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코일부의 보빈커버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시;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 guide bush installed on the bobbin cover of the coil portion to guide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guide shaft through the guide shaft; .

상기 가이드부시에는 가이드축과의 접촉부위에 리니어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bush is provided with a linear bearing at a contact portion with the guide shaft.

상기 자석부의 외곽링커버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는 비자성체로 된 스페이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pacer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ring cover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gnet portion.

상기 진동흡수부는 부싱플랜지를 통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체결되고, 내측에 리니어베어링이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하강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부싱부재;와 상기 부싱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일단은 가이드바디플랜지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부싱부재의 리니어베어링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부싱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부싱플랜지에 접촉되는 스프링의 끝단을 고정하는 제1 스프링고정브라켓;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디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디플랜지에 접촉되는 스프링의 끝단을 고정하는 제2 스프링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Wherein the vibration absorbing unit comprises a bushing member fastened to the lower plate through a bushing flange and provided with a linear bearing on the inner side and a spring for absorbing impact generated when the upper plate descend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guide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plate through a guide body flange and the other end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of the bushing member; A first spring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bushing flange and fixing an end of a spring contacting the bushing flange; And a second spring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guide body flange and fixing an end of a spring that contacts the guide body flange.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면에 로드셀 탑재부가 형성되어 있는 로드셀 지지대와, 상기 로드셀 탑재부의 상측과 상부플레이트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게 고정되어 로드셀을 가압하는 가압핀으로 이루어지는 체중감지부가 추가로 설치되어, 작동초기에 탑승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진동부의 강도를 제어하거나, 운동결과에 대응되는 소모칼로리를 표시하거나, 탑승자 없을시 진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ad cell support unit includes a load cell supporter vertically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load cell support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upper plates of the load cell supporter, and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fixed by the elastic member, A weight sensing unit formed of a pressure pin is additionally provided so as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vibrating part in response to the weight of the occupant at the beginning of operation or display the consumed calorie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exercise o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vibrating part in the absence of the occupant .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자석부를 매개로 외곽링과 내곽링을 결합하는 진동부에서 자석부의 이탈이나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된 정밀진동운동을 구현할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가 상하운동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프링의 유동을 방지하여 스프링의 양단에서 발생되던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체중을 정밀하게 감지하여 탑승자의 체중에 대응되어 최적의 정밀진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viation or flow of a magnet part from a vibrating part that connects an outer ring and an inner ring ring via a magnet part, thereby realizing a stable precision vibration mo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and precisely detect the weight of the occupant so that an optimum precision vibration motion can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occupant have.

도 1은 종래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에 사용되는 진동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진동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동부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동부의 분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체중감지부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체중감지부의 분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vibrator used in a conventional vertical vibration exercise devic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ng portion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oscillating part shown in Fig. 2,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ight sensing unit shown in Fig.
FIG.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weight sensing unit shown in FIG.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진동기(1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하부플레이트(11a,11b),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자석부와 코일부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a,11b)에서 대향되게 결합되어 상호 자기작용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가동부인 상부플레이트에 전달하여 진동시키는 진동부(20), 그리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a,11b) 사이의 가장자리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1a)의 수직진동을 가이드하면서 진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진동흡수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4, the vibra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plates 11a and 11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vibrating part 20 opposed to the upper plate 11a and the lower plate 11b so as to transmit vibrations generated by mutual magnetic action to the upper plate as a movable part to vibrate the vibrating part 20, And a plurality of vibration absorbers 60 installed at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11a to guide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upper plate 11a while absorbing shocks generated during vibration.

여기서 상,하부플레이트(11a,11b)는 구조적으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플레이트(11a)는 발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미감을 위하여 별도의 마감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a and 11b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in order to maintain strength, and the upper plate 11a is used as a foot plate.

진동부(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자석부(20a)와 코일부(20b)가 상부플레이트(11a)와 하부플레이트(11b)의 사이에서 중앙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호 자기작용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상부플레이트(11a)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가동부로 작용하는 자석부(20a)가 상부플레이트(11a)에 결합되고 코일부(20b)가 하부플레이트(11b)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동부로 작용하는 코일부(20b)를 상부플레이트(11a)에 결합하고 자석부(20a)를 하부플레이트(11b)에 결합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주기적으로 극성이 변하도록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극성이 변하는 자기장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자석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인력과 척력으로 교번 작용을 하여 상부플레이트(11a)를 진동시키게 된다.The vibrating unit 20 includes a pair of magnet units 20a and a coil unit 20b disposed at the center between the upper plate 11a and the lower plate 11b so as to face each other, To the upper plate 11a.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magnet portion 20a acting as a movable portion is shown coupled to the upper plate 11a and the coil portion 20b is shown coupled to the lower plate 11b. However, the coil portion 20b acting as a movable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late 11a and the magnet portion 20a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11b. A magnetic field periodically changed in polarity is gen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supplied to the coil part such that the polarity is periodically changed by a control part (not show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is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part, So that the upper plate 11a is vibrated.

여기서 자석부(20a)는 외곽링커버(201)에 의하여 상면이 덮여진 원통형의 외곽링(202)과, 상기 외곽링(202)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내측에 배치되고 상면이 내곽링커버(203)에 의해 밀폐되는 내곽링(204), 그리고 상기 외곽링커버(201)와 상기 내곽링커버(20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곽링커버(201)와 상기 내곽링커버(203)를 자력으로 상호 결합하는 자석(205)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magnet portion 20a includes a cylindrical outer ring 202 whose upper surface is covered by an outer ring cover 201 and a cylindrical outer ring 202 concentrically formed with the outer ring 202 and disposed on the inner sid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outer ring cover 203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ring cover 201 and the inner ring cover 203 so as to cover the outer ring cover 201 and the inner ring cover 203 And a magnet 205 which magnetically couples with each other.

상기 외곽링(202)과 내곽링(204)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외곽링커버(201)와 내곽링커버(203)를 통해 자석(205)과 접촉되어 자화된다.The outer ring 202 and the inner ring 204 ar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contact with the magnet 205 through the outer ring cover 201 and the inner ring cover 203 to be magnetized.

이러한 자석부(20a)는 외곽링커버(201)를 통해 상부플레이트(11a)에 고정되는데, 상부플레이트(11a)와 외곽링커버(201)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스페이서(30)가 매개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0)는 상부플레이트(11a)가 자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예컨대 비자성 금속체인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gnet portion 20a is fixed to the upper plate 11a through the outer ring cover 201. The spacer 30 can be media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11a and the outer ring cover 201 . The spacer 30 may be formed of aluminum, for example, a non-magnetic metal so as to prevent the top plate 11a from being magnetized.

또한, 코일부(20b)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코일(206)이 다수회 권취되어 있는 보빈(207)이 상기 외곽링(202)과 상기 내곽링(20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하부가 보빈커버(208)에 의해 밀폐되어 이루어져 있다. The coil portion 20b is cylindrical and has a bobbin 207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rality of times by a coil 206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ring 202 and the inner ring 204, And is hermetically sealed by a bobbin cover 208.

이러한 코일부(20b)는 보빈커버(208)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하부플레이트(11b)에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coil portion 20b is fixed to the lower plate 11b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한편, 상기 자석부(20a)의 상기 외곽링커버(201)와 상기 자석(205) 및 상기 상기 내곽링커버(203)의 중앙을 관통결합하여 하부플레이트(11b)까지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축(4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축(40)의 헤드부에는 가이드축(40)보다 직경이 큰 상부플랜지(41)가 형성되어 상부플랜지(41)를 통해 상기 외곽링커버(201)의 상측표면에 고정된다.A guide shaft 40 (not shown) extends through the outer ring cover 201 of the magnet portion 20a and the center of the magnet 205 and the inner ring cover 203 to the lower plate 11b, An upper flange 4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guide shaft 40 is formed on the head portion of the guide shaft 40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cover 201 through the upper flange 41 .

상기 가이드축(40)에 대응되어 코일부(20b)에는 가이드부시(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시(50)는 코일부(20b)에서 상기 보빈(207)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는 리니어베어링(5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니어베어링(51)의 내측으로 상기 가이드축(40)이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부시(50)와 보빈(207) 및 보빈커버(20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 guide bush 50 is provided in the coil part 20b in correspondence with the guide shaft 40. [ The guide bush 5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bbin 207 in the coil part 20b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linear bearing 51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bush 50. Inside the linear bearing 51, And the guide shaft 40 penetrates and is coupled. The guide bushing 50, the bobbin 207, and the bobbin cover 208 may be integrally formed.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코일(206)에 진동제어용 주파수를 갖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코일(206)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자석(20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자석부(20a)가 진동하게 되고, 자석부(20a)가 진동하게 되면 스페이서(30)를 통해 자석부(20a)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11a)도 진동하게 된다.When a control signal having a vibration control frequency is input to the coil 206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206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magnet 205 interact with each other, When the magnet 20a vibrates, the upper plate 11a integrally coupled with the magnet 20a vibrates through the spacer 30 as well.

상기 진동제어용 주파수를 변경하면 상부플레이트(11a)의 진동주기도 달라지게 된다. 즉 진동제어용 주파수에 대응되어 신체에서 운동부위가 달라지게 되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운동부위에 따라 진동제어용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vibration control frequency is change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upper plate 11a also changes. That is, since the moving part of the bod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bration control frequency, although not shown, the user can select the vibration control frequency according to the moving part.

다시 도 2에 의거 설명하면, 상부플레이트(11a)와 하부플레이트(11b) 사이의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 개의 진동흡수부(6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진동흡수부(60)는 상부플레이트(11a)가 상하로 진동하는 동안 상부플레이트(11a)가 하강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2, a plurality of vibration absorbing parts 60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area between the upper plate 11a and the lower plate 11b. The vibration absorbing parts 60 Is installed to absorb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upper plate 11a descends while the upper plate 11a vibrates up and down.

상기 진동흡수부(60)는 부싱부재(61)와 가이드부재(62)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스프링(6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vibration absorbing portion 60 includes a bushing member 61, a guide member 62, and a spring 63 for absorbing shock.

상기 부싱부재(61)는 그 일측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부싱플랜지(611)를 통해 하부플레이트(11b)에 체결되고, 내측에 리니어베어링(612)이 설치되어 있어서 후술되는 가이드부재(62)의 원활한 진동운동을 가이드하며, 외주면에 스프링(63)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a)가 하강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bushing member 61 is fastened to the lower plate 11b through a bushing flange 611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ushing member 61 and a linear bearing 612 is installed inside the bushing member 61, And a spring 63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bsorb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upper plate 11a descends.

또한, 상기 부싱부재(61)에는 가이드부재(62)가 결합되어 상부플레이트(11a)의 상하진동운동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62)는 일단에 가이드바디플랜지(621)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11a)에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부싱부재(61)의 리니어베어링(612) 내측으로 관통결합되어 리니어베어링(612) 내측에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A guide member 62 is coupled to the bushing member 61 to guide upward and downward vibrations of the upper plate 11a. The guide member 62 has a guide body flange 621 at one end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plate 11a through the guide body 621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612 of the bushing member 61 The linear bearing 612 moves upward and downward.

특히, 상기 부싱플랜지(611)의 일측에는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 스프링고정브라켓(614)이 결합되어 상기 부싱플랜지(611)에 접촉되는 스프링(63)의 끝단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바디플랜지(621)의 일측에도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 스프링고정브라켓(624)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디플랜지(621)에 접촉되는 스프링(63)의 끝단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In particular, a first spring fixing bracket 614, which is formed in a square shap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shing flange 611 to fix the end of the spring 63 that contacts the bushing flange 611. Similarly, a second spring fixing bracket 624 formed to one side of the guide body flange 621 is coupled to fix the end of the spring 63 contacting the guide body flange 621 .

이와 같이 스프링(63)의 양단이 각각 제1 스프링고정브라켓(614)과 제2 스프링고정브라켓(624)을 통해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62)가 진동운동을 하는 동안 가이드부재(62)가 최대 진폭으로 상승하여도 스프링(63)의 양단은 각각 상기 부싱플랜지(611)와 가이드바디플랜지(621)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써, 종래에 스프링(63)의 양단이 부싱플랜지(611)와 가이드바디플랜지(621)로부터 떨어졌다가 접촉될 때에 발생되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Thus, both ends of the spring 63 are fixed so as to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first spring fixing bracket 614 and the second spring fixing bracket 624, respectively. The both ends of the spring 63 are in contact with the bushing flange 611 and the guide body flange 621, respectively, even when the guide member 62 rises at the maximum amplitude while the guide member 62 vibrates The noise generated when both ends of the spring 63 are separated from and contacted with the bushing flange 611 and the guide body flange 621 can be prevented.

한편, 상부플레이트(11a)와 하부플레이트(11b) 사이에는 상부플레이트(11a) 위에 올라 서 있는 운동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감지부(7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Between the upper plate 11a and the lower plate 11b, a weight sensing unit 7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exerciser standing on the upper plate 11a is additionally provided.

도 5는 체중감지부(70)의 조립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체중감지부(70)의 분해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부플레이트(11b)의 상측으로는 로드셀 지지대(71)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셀 탑재부(71)의 상면에는 로드셀 탑재부(72)가 형성되어 있어, 로드셀(73)이 안착된다.6 is a fragmentary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ight sensing unit 70. A load cell support 71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11b And a load cell mounting portion 7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 cell mounting portion 71 so that the load cell 73 is seated.

상기 로드셀(73)의 상측으로는 로드셀 가압핀(74)이 탄성부재(75)에 의해 상기 로드셀(73)을 가압하도록 탄지되어 있다.The load cell pressing pin 74 is elastically urged to press the load cell 73 by the elastic member 75 above the load cell 73.

탄성부재(75)는 예컨대, 스프링(751)과 상기 스프링(751)의 상측을 지지하면서 상부플레이트(11a)에 고정되는 상부 스프링지지대(752)와 상기 스프링(751)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로드셀 가압핀(74)이 고정되어 있는 하부 스프링지지대(753)로 구성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75 includes a spring 751 and an upper spring support 752 fixed to the upper plate 11a while supporting the upper side of the spring 751 and a lower spring support 752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pring 751, And a lower spring support base 753 to which the pressing pin 74 is fixed.

상기 로드셀 가압핀(74)은 평소 로드셀(73)에 접촉되어 있다가 상부플레이트(11a)에 사람이 올라서게 되면 스프링(751)에 의해 가압되어 로드셀(73)을 가압하게 되고, 로드셀(73)에서는 이때의 가압력을 판단하여 상부플레이트(11a)에 사람이 올라서 있는 사람의 체중을 감지하게 된다.The load cell pressing pin 74 is in contact with the load cell 73 and is pressed by the spring 751 to press the load cell 73 when the person is raised on the upper plate 11a, At this time, the pressing force is judged to detect the weight of the person who is on the upper plate 11a.

상기 로드셀(73)에서 감지되는 체중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전송되며, 이러한 제어부에서는 작동초기에 탑승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진동부의 강도를 제어하거나, 운동결과에 대응되는 소모칼로리를 표시하거나, 탑승자 없을시 진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등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The weight signal detected by the load cell 73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vibrating unit in response to the weight of the occupant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displays the consumed calories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result, 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vibrating part when it is absen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 진동기, 11a -- 상부플레이트,
11b -- 하부플레이트, 20 -- 진동부,
20a -- 자석부, 20b --코일부,
201 -- 외곽링커버, 202 -- 외곽링,
203 -- 내곽링커버, 204 -- 내곽링,
205 --자석, 206 --코일,
207 -- 보빈, 208 -- 보빈커버,
30 -- 스페이서 40 --가이드축,
41 -- 상부플랜지, 50 -- 가이드부시,
51 -- 리니어베어링, 60 -- 진동흡수부,
61 -- 부싱부재, 62 -- 가이드부재,
612 -- 리니어베어링, 614 -- 제1 스프링고정브라켓,
621 -- 가이드바디플랜지, 624 -- 제2 스프링고정브라켓,
63 -- 스프링, 70 -- 체중감지부,
71 -- 로드셀 지지대, 72 --로드셀 탑재부,
73 -- 로드셀, 74 -- 로드셀 가압핀,
75 -- 탄성부재.
10 - vibrator, 11a - upper plate,
11b-lower plate, 20-vibrating portion,
20a - a magnet portion, 20b - a coil portion,
201 - outer ring cover, 202 - outer ring,
203 - inner ring cover, 204 - inner ring ring,
205 - magnet, 206 - coil,
207 - Bobbin, 208 - Bobbin cover,
30 - spacer 40 - guide shaft,
41 - upper flange, 50 - guide bushing,
51 - Linear bearing, 60 - Vibration absorber,
61 - Bushing member, 62 - Guide member,
612 - Linear bearings, 614 - First spring fixing bracket,
621 - Guide body flange, 624 - Second spring fixing bracket,
63 - spring, 70 - weight sensing part,
71 - Load cell support, 72 - Load cell mounting part,
73 - Load cell, 74 - Load cell push pin,
75 - Elastic member.

Claims (5)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자석부와 코일부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에서 대향되게 결합되어 상호 자기작용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가동부인 발판에 전달하여 진동시키는 진동부, 그리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의 가장자리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수직진동을 가이드하면서 진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진동흡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외곽링커버에 의하여 상면이 덮여진 원통형의 외곽링과, 상기 외곽링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내측에 배치되고 상면이 내곽링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내곽링, 그리고 상기 외곽링커버와 상기 내곽링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곽링커버와 상기 내곽링커버를 자력으로 상호 결합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코일이 다수회 권취되어 있는 보빈이 상기 외곽링과 상기 내곽링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하부가 보빈커버에 의해 밀폐되어 하부플레이트에 결합된 코일부;
상기 자석부의 상기 외곽링커버와 상기 내곽링커버 및 상기 자석의 중앙을 관통결합하여 하부플레이트까지 연장형성되고 상부플랜지에 의해 상기 외곽링커버의 상측표면에 고정되는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이 관통결합되어 가이드축의 수직진동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코일부의 보빈커버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The vibrator of the vertical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includes upper and lower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orizontally arranged, and a pair of magnet parts and a coil part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a plurality of vibration absorbing parts mounted on th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absorb vertical vibration of the upper plate while absorbing impact generated at the time of vibration, In the exercise device,
An outer ring ring having a top surface covered by an outer ring cover, an inner ring ring concentrically formed with the outer ring ring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n upper surface sealed by an inner ring cover, A magnet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ring covers and is made of a magnet that couples the outer ring cover and the inner ring cover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A coil par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bobbin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and a lower part coupled to the lower plate by a bobbin cover;
A guide shaft extending through the outer ring cover of the magnet unit, the inner ring cover, and the center of the magnet to extend to a lower plate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cover by an upper flange;
A guide bush installed on the bobbin cover of the coil portion to guide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guide shaft through the guide shaft; And a vibrator of the vertical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시에는 가이드축과의 접촉부위에 리니어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bush is provided with a linear bearing at a contact portion with the guid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의 외곽링커버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는 비자성체로 된 스페이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The vibrator of a vertical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acer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ring cover of the magnet part and the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부싱플랜지를 통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체결되고, 내측에 리니어베어링이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하강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부싱부재;와 상기 부싱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일단은 가이드바디플랜지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부싱부재의 리니어베어링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부싱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부싱플랜지에 접촉되는 스프링의 끝단을 고정하는 제1 스프링고정브라켓;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디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디플랜지에 접촉되는 스프링의 끝단을 고정하는 제2 스프링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The bushing of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absorber is a bushing having a bushing flange fastened to the lower plate, a linear bearing mounted on the inner side, and a spring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bsorb a shock generated when the upper plate descends And a guide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plate through a guide body flange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of the bushing member, ; A first spring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bushing flange and fixing an end of a spring contacting the bushing flange; And a second spring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guide body flange and fixing an end of a spring that contacts the guide body fl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면에 로드셀 탑재부가 형성되어 있는 로드셀 지지대와, 상기 로드셀 탑재부의 상측과 상부플레이트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게 고정되어 로드셀을 가압하는 가압핀으로 이루어지는 체중감지부가 추가로 설치되어, 작동초기에 탑승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진동부의 강도를 제어하거나, 운동결과에 대응되는 소모칼로리를 표시하거나, 탑승자 없을시 진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The load cell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ad cell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load cell mounting p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upper plates of the load cell mounting part; A weight sensing part is formed of a pressing pin for pressing the load cell so as to control the strength of the vibrating part in response to the weight of the occupant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r to display the consumed calorie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exercise, Wherein the vibrator of the vertical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is capable of stopping the oscillation.
KR1020130104349A 2013-08-30 2013-08-30 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KR101476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349A KR101476050B1 (en) 2013-08-30 2013-08-30 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349A KR101476050B1 (en) 2013-08-30 2013-08-30 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050B1 true KR101476050B1 (en) 2014-12-23

Family

ID=5267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349A KR101476050B1 (en) 2013-08-30 2013-08-30 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05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808A (en)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Oscillation guiding apparatus
KR101750541B1 (en) 2016-02-05 2017-06-26 윈다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ir cylinder position to stabilize suspension system
KR101842626B1 (en) * 2015-11-03 2018-03-29 주식회사이앤에스테크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noise of vibratory type exercise apparatus
KR101983648B1 (en) * 2017-11-20 2019-09-10 (주)태연메디칼 Vibration generator by magnetic force and well-being bed equipped with it
KR102071247B1 (en) * 2019-08-13 2020-01-30 주추임 Vertical Vibration Device Using Magnetic Field
KR102603306B1 (en) * 2022-12-14 2023-11-20 주식회사 소닉월드 Apparatus for vibrating wheelch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008A (en) * 2004-10-29 2006-05-03 김성배 Vibratory apparatus of exercise
KR100762915B1 (en) * 2006-08-10 2007-10-04 우리헬스뱅크 주식회사 The vibration sporting goods
JP4297248B2 (en) * 2001-02-13 2009-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pe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7248B2 (en) * 2001-02-13 2009-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peaker
KR20060038008A (en) * 2004-10-29 2006-05-03 김성배 Vibratory apparatus of exercise
KR100762915B1 (en) * 2006-08-10 2007-10-04 우리헬스뱅크 주식회사 The vibration sporting good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808A (en)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Oscillation guiding apparatus
KR101696049B1 (en) * 2014-12-24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Oscillation guiding apparatus
KR101842626B1 (en) * 2015-11-03 2018-03-29 주식회사이앤에스테크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noise of vibratory type exercise apparatus
KR101750541B1 (en) 2016-02-05 2017-06-26 윈다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ir cylinder position to stabilize suspension system
KR101983648B1 (en) * 2017-11-20 2019-09-10 (주)태연메디칼 Vibration generator by magnetic force and well-being bed equipped with it
KR102071247B1 (en) * 2019-08-13 2020-01-30 주추임 Vertical Vibration Device Using Magnetic Field
KR102603306B1 (en) * 2022-12-14 2023-11-20 주식회사 소닉월드 Apparatus for vibrating wheel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050B1 (en) 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US7670304B2 (en) Vertical movement vibrator of magnetic gap type
US11779812B2 (en) Treadmill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user exercise movement
CN107921308B (en) Sleeve in body-building apparatus
USRE44360E1 (en) Vibratory apparatus of exercise
US7594878B1 (en) Whole body vibrator
US20100049105A1 (en) Whole body vibrator (ii)
KR101234882B1 (en) Vibration unit 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motion with the same
CN203897854U (en) Moving sensing device for child support equipment
DE60228369D1 (en) Pedal mechanism for a climbing device
CA2701540A1 (en) Magnetic levitation v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indications using the same
KR100762915B1 (en) The vibration sporting goods
KR101497926B1 (en) Vibrating appratus for exercising
KR101269241B1 (en) Vibratory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electric generator
CN102574003A (en) Alternately vibratory-type exercise apparatus
KR100806333B1 (en) Health mechine with magnetic vibrator
KR101842626B1 (en)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noise of vibratory type exercise apparatus
CN210124351U (en) Massage vibrator and massage waistband
KR101329786B1 (en) Vibratory type exercise apparatus for preventing tilt of footboard
CN210872783U (en) Vertical rhythm measuring device
KR101799506B1 (en) Vibration air board
KR102071247B1 (en) Vertical Vibration Device Using Magnetic Field
CN104759064B (en) A kind of pedal balance type sport instrument
KR101374265B1 (en) Wave type motion mechanism having vibration
KR101529874B1 (en) Bicycle-type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