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564B1 -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564B1
KR101475564B1 KR1020120043333A KR20120043333A KR101475564B1 KR 101475564 B1 KR101475564 B1 KR 101475564B1 KR 1020120043333 A KR1020120043333 A KR 1020120043333A KR 20120043333 A KR20120043333 A KR 20120043333A KR 101475564 B1 KR101475564 B1 KR 101475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amount
electric vehicl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0231A (en
Inventor
권기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564B1/en
Publication of KR2013012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기 자동차,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적어도 1개의 충전기가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상기 검출 유닛이 검출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 유닛;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이 계산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 전달하는 통신 유닛 및 통신부; 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충전하는 패턴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불필요한 배터리의 완충에 의한 배터리의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system and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One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 charging station provided with at least one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remaining capacity (SOC)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on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harging station. Wherei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by the charger is performed by charging an amount of power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set period of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by the owner or the operator of the electric vehicle A pattern charging mode, and a normal charg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charging system and the charg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rtening of the service life of the battery due to the unnecessary buffering of the battery.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system and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중 콘센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충전되어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An electric vehicle is an automobile that is operated by electricity.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lassified into a pure electric vehicle (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Vehicle). Here, a pure electric vehicle is driven by only electricity and is generally called an electric vehicle.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are meant to run on electricity and fossil fuels. Such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for running.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plug-in type hybrid electric vehicle of a pure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electric vehicle, the battery is charged by a current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drive the electric motor.

그러나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은 배터리가 완충되어야 종료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기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배터리 소모 패턴에 따라서 배터리의 완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배터리가 완충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이 단출될 우려가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charging of the battery generally ends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art, even if the buffering of the battery is not requir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electric vehicle,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and the life of the battery may be short.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and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are configured to improve the life of the battery.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기 자동차,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적어도 1개의 충전기가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상기 검출 유닛이 검출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 유닛;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이 계산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 전달하는 통신 유닛 및 통신부; 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충전하는 패턴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수행된다.One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 charging station provided with at least one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remaining capacity (SOC)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on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harging station. Wherei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by the charger is performed by charging an amount of power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set period of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by the owner or the operator of the electric vehicle A pattern charging mode, and a normal charging mode.

본 발명에 의한 충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는, 배터리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전기 자동차;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적어도 1개의 충전기가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서 저장하고, 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충전하는 패턴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패턴 충전 모드 또는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한다.An aspec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vehicle for calculating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A charging station having at least one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from the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harging station; Wherein the charger inputs a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attern charging mode and a general charging mode for charging an amount of power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consideration of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And charges the battery in the pattern charging mode or the normal charging mod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전기 자동차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충전기에 의하여 충전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기초로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가, 상기 충전기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a battery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is charged by a charg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alculating the battery consumption pattern for a period of time;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a charging mode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charging the battery by an amount of power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set period of time in consideration of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charger; .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가 완충되거나 전기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한 양의 전력이 배터리에 충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불필요한 배터리의 완충에 의한 배터리의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the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is charged with a positive electric power in consideration of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electric vehicle or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fully charg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rtening of the service life of the battery due to the unnecessary buffering of the batter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예시적으로 보인 개념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3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consumption pattern of a battery in an embodiment of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가 충전 스테이션(200)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에서는,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이 일반 모드 충전 또는 배터리 소모 패턴을 고려한 패턴 모드 충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battery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transmitted to the charging station 200. In the charging station 200,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selectively performed in a normal mode charging mode or a pattern mode charging mode in which a battery consumption pattern is consider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 자동차(100)에는, 배터리(110), 검출 유닛(120), 저장 유닛(130), 통신 유닛(140), 및 제어 유닛(150)이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110)는,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운행을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검출 유닛(120)은, 상기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유닛(130)에는 상기 검출 유닛(120)이 검출한 상기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통신 유닛(140)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50)은, 상기 검출 유닛(120)이 검출한 상기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유닛(13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150)은, 상기 저장 유닛(130)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을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은, 기설정된 기간, 예를 들면, 1일이나 1주 또는 충전 동작 사이의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으로부터 역산된 상기 배터리(110)의 평균 소모량을 기초로 계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50)은,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140)을 통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으로 전송한다.More specifically, the electric vehicle 100 is provided with a battery 110, a detection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The battery 110 provides electric power for operating the electric vehicle 100. The detection unit 120 detects a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110.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110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2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e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station 200. The control unit 150 store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110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20 in the storage unit 130. [ Also, the control unit 150 calculates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based on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11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 Here,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may be an average of the battery 110 inversely calculated from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110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one day or one week,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consumption.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and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to the charging station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에는, 충전기(210), 저장부(220), 통신부(230), 입력부(240) 및 제어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기(210)는, 상기 배터리(110)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충전기(210)는 1대 또는 다수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통신부(230)는, 상기 전기 자동차(100), 실질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140)과 통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230)는, 전력선 통신과 같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으로 상기 통신 유닛(14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30)는, 상기 충전기(210)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240)는,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240)는, 상기 통신부(230)와 동일하게, 상기 충전기(210)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부(240)가 일반 충전 모드 및 패턴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일반 충전 모드란, 종래의 일반적인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일반 충전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110)를 완충시키거나,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운행자 또는 소유자가 입력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패턴 충전 모드란, 상기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 동작이 1일 1회씩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110)의 1일 소모량이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량의 40%라면, 상기 패턴 충전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110)의 1일 소모량에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 또는 상기 배터리(110)의 1일 소모량에 기설정된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입력부(240)가 입력받은 신호, 즉 선택된 충전 모드에 따라서 상기 충전기(210)에 의한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50)도, 상기 충전기(110)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The charging station 200 includes a charger 210, a storage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n input unit 240, and a control unit 250. The charger 21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10 and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110. The charger 210 may be one or more. The storage unit 220 stor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00. The communication unit 230 communicates with the electric vehicle 100, substantially the communication unit 14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30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40 by wir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installed in the charger 210, respectively. The input unit 240 receives a signal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00. The input unit 240 may be installed in the charger 21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munication unit 230. 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unit 240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either the normal charging mode or the pattern charging mode. Here, the normal charging mode means a charging mod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110. Therefore, in the normal charging mode, the battery 110 may be charged or charged by the operator or the owner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he pattern charging mode refers to a charging mode in which the battery 110 is charged in consideration of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For example, if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110 is performed once a day and the daily consumption of the battery 110 is 40% of the charging amount of the battery 110, in the pattern charging mode, The battery 110 may be charged by a power amount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aily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110 by the safety factor or a reserve amount of a predetermined amount to the daily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110. [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charging unit 210 to charge the battery 110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input unit 240, that is, a selected charging mode. The controller 250 may also be included in the charger 1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동차(100)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전기 자동차(100)에서 계산된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가 서버(3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300)는, 상기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충전 스테이션(2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300)란,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을 운용하는 운용 회사나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회사 등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통신 유닛(140)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의 통신부(230)는, 각각 상기 서버(3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in this embodi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and information on consumption patterns of the battery 110 calculated by the electric vehicle 100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transmits information on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receiv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00 to the charging station 200. The server 300 corresponds to an upper concept of the charging station 200 and is understood as an operating company that operates the charging station 200 or a power company that supplies power to the charging station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electric vehicle 1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of the charging station 200 may perform wireless or wire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300,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예시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FIG. 3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conceptual diagrams exemplarily showing consumption patterns of a battery in the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전기 자동차(100)의 제어 유닛(150)이,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을 계산한다.(S11)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제어 유닛(150)은, 예를 들면, 1일 동안의 상기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배터리(110)의 평균 소모량으로부터 상기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을 계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자동차(100)가 주차지와 목적지 사이를 1일에 1회 왕복 운행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1회 왕복 운행에 상기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이 80%에서 40%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110)의 평균 소모량을 상기 배터리(110)의 용량의 40%라고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1회 왕복 운행에 상기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SOC)가 90%에서 10%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110)의 평균 소모량을 상기 배터리(110)의 용량의 80%라고 계산할 수 있다. 3, first, the control unit 150 of the electric vehicle 100 calculates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S11) In the eleventh step, the control unit 150 calculates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can be calculated from the average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110 calculated from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110 for one day. As shown in FIG. 4, the electric vehicle 100 reciprocates once a day between the main charge and the destination,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110 in one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Of the capacity of the battery 110 can be calculated as 40% of the capacity of the battery 110 when the battery 110 is reduced from 80% to 40%. 5, when the remaining capacity (SOC) of the battery 110 decreases from 90% to 10% in a single reciprocal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he average of the battery 11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nsumption amount as 80% of the capacity of the battery 110.

다음으로 상기 제어 유닛(150)은, 상기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충전 스테이션(200) 또는 서버(300)로 전송한다.(S13) 즉,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통신 유닛(140)이 상기 서버(300) 또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200)의 통신부(230)로 전송된다.Next,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to the charging station 200 or the server 300 (S13).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electric vehicle 100 (14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or the communication unit (230) of the charging station (200).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이 개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상기 제15단계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이 개시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상기 전기 자동차(100)와 충전기(210)의 연결 여부 또는/및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부(240)가 입력받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의 개시에 선행, 동시 또는 후행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식별이 이루어질 것이다.In step 1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started. In step 15, it is determined whether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started. 210 and / or whether a signal for starting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input to the input unit 240. Also, the identific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will be made prior to, simultaneously with, or after the start of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0.

상기 제15단계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부(240)가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S17) 이때 상기 입력부(240)는, 일반 충전 모드 또는 패턴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입력부(240)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240)가 상기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5 tha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started, the input unit 240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a charging mode. (S17) At this time, A pattern charging mode, and a pattern charging mod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put unit 240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the pattern charging mode, the input unit 240 may regard the input signal as a signal for selecting the normal charging mode.

그리고 상기 제17단계에서 상기 입력부(240)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상기 제19단계에서 상기 입력부(240)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것으로 판단되면, 패턴 모드 충전이 수행된다.(S21) 따라서 상기 배터리(110)의 소모 패턴에 따른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110)의 평균 소모량에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이 상기 배터리(110)에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률은 1을 초과하는 양수(陽數)일 것이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110)의 평균 소모량에 소정의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이 상기 배터리(110)에 충전될 수 있다. In step 1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unit 240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the pattern filling mode. (S19) In step 19, the input unit 240 selects the pattern filling mode Pattern mode charging is performed (S21). Accordingly, the battery 110 is charged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110. [0050] FIG. For example, the battery 110 may be charged with an amount of power that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verage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110 by the safety factor. Where the safety factor may be a positive number greater than one. In another example, the battery 110 may be charged with an amount of power added to an average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110 plus a reserve amount of a predetermined amount.

한편 상기 제17단계에서 상기 입력부(240)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상기 입력부(240)가 상기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일반 모드 충전이 수행된다.(S23) 따라서 상기 배터리(110)가 완충되거나, 설정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110)가 충전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7 that the input unit 240 has not received the signal for selecting the pattern charging mode, that is, if the input unit 240 selects the normal charging mode, (S23). Accordingly, the battery 110 may be fully charged or the battery 110 may be charged by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마지막으로,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 완료 여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패턴 충전 모드에서 소정의 전력량이 충전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일반 충전 모드에서 완충 또는 설정된 전력량이 충전되었는지 여부로 이해될 수 있다. Final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10 is completed or not (S25). The completion of charging the battery 1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is charged in the pattern charging mode, It can be understood as to whether the charged or set amount of electric power is charged in the charging mod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Claims (17)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상기 검출 유닛이 검출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전기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충전하는 패턴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수행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으로부터 역산되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고,
상기 패턴 충전 모드에서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1을 초과하는 양수인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전기 자동차.
battery;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remaining capacity (SOC)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 RTI >
The charging of the battery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attern charging mode and a general charging mode for charging an amount of power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consideration of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In one mode,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consumed pattern of the battery based on a consumed amount of the battery which is inversely calculated from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Wherein the battery is charged by an amount of electric power obtained by multiplying a consumed amount of the battery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by a safety factor of more than 1 in the pattern charging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충전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가 완충되거나 입력받은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전기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normal charging mode, the battery is charged by an amount of electric power that is buffered or in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충전 모드에서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기설정된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전기 자동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attery is charged by an amount of electric power added to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plus a reserve amount of a predetermined size.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배터리의 잔존 용량으로부터 역산되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전기 자동차;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적어도 1개의 충전기가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서 저장하고, 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충전하는 패턴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패턴 충전 모드 또는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패턴 충전 모드에서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1을 초과하는 양수인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An electric vehicle for calculating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based on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which is inversely calculated from a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A charging station having at least one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from the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harging station; Lt; / RTI >
Wherein the charger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attern charging mode and a general charging mode for charging a power amount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set period in consideration of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Charging the battery in the pattern charging mode or the general charging mode according to a signal,
Wherein the battery is charged with an amount of electric power obtained by multiplying a consumed amount of the battery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by a safety factor of more than 1 in the pattern charging m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것으로 간주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harger assumes that a signal for selecting the normal charging mode is received when the signal for selecting the pattern charging mode is input.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충전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거나 입력받은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normal charging mode charges the battery by charging the battery or by an amount of input pow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충전 모드에서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기설정된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battery is charged with an amount of power added to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plus a reserve amount of a predetermined amount.
전기 자동차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충전기에 의하여 충전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기초로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가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패턴 충전 모드, 및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거나 입력한 전력량만큼 충전하는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가, 상기 충전기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a battery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is charged by a charger, comprising:
The electric vehicle calculating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based on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A pattern charging mode in which the battery is charged by an amount of electric power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consideration of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and a normal charging mode in which the battery is charged for a predetermined amount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either one; And
Charging the battery by an amount of power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consideration of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charger; Lt; / RTI >
Wherein the charger charges the battery with an amount of power exceeding a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set period upon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the pattern charging mod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가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electric vehicle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to a charging station provided with the charg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가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electric vehicle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consumption pattern of the battery to a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a charging station provided with the charg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1을 초과하는 양수인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 또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기설정된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harger has a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when a signal for selecting the pattern charging mode is input, a power amount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by a safety factor, To the battery (10).
KR1020120043333A 2012-04-25 2012-04-25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101475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33A KR101475564B1 (en) 2012-04-25 2012-04-25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33A KR101475564B1 (en) 2012-04-25 2012-04-25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31A KR20130120231A (en) 2013-11-04
KR101475564B1 true KR101475564B1 (en) 2014-12-30

Family

ID=4985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333A KR101475564B1 (en) 2012-04-25 2012-04-25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5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65B1 (en) * 2013-11-11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electric vehicle
KR102075898B1 (en) * 2015-03-31 2022-05-31 에스케이시그넷 주식회사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in variable current based on state of charging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9918A (en) * 2007-10-19 2009-04-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Battery charging system for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state of charge
US20100094496A1 (en) * 2008-09-19 2010-04-15 Barak Hershkovitz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Vehicle
JP2010534053A (en) * 2007-07-18 2010-10-28 テスラ モータ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attery charging based on cost and life
KR20120037861A (en) * 2010-10-12 2012-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bill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053A (en) * 2007-07-18 2010-10-28 テスラ モータ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attery charging based on cost and life
KR20090039918A (en) * 2007-10-19 2009-04-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Battery charging system for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state of charge
US20100094496A1 (en) * 2008-09-19 2010-04-15 Barak Hershkovitz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Vehicle
KR20120037861A (en) * 2010-10-12 2012-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bil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31A (en)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0485B (en) Bidirectional electric automobile electric supply installation using intelligent grid and the bidirectional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electric supply installation
JP4836213B2 (en) Power supply system
US9174547B2 (en)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for auxiliary battery thereof
KR101388388B1 (en)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of sub-battery charging thereof
US8368347B2 (en) Vehicular charging system
US9744963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101703722B1 (en) Charging device for an energy stor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 charging device
CN105922878B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stroke length of a vehicle and control unit for a vehicle
WO2011083613A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charging secondary batteries of work vehicles, and system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ies of work vehicles
KR101512879B1 (en) A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101336794B1 (en) Integrated battery charging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N104709104A (en) Method and system for rapidly switching battery packs of electric vehicle
JP2014050116A (en) Charge/discharge system
JPWO2013046252A1 (e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03441558A (en) Charge control method, electric car car-mounted terminal and charge control system
JP2013189161A (en) Hybrid vehicle and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for hybrid vehicle
KR101475564B1 (e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5573125B2 (en) Charging stand and vehicle charging method
CN112572175B (en) Vehic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riding vehicle
KR101481215B1 (en) An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101481216B1 (e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2014204527A (en) Vehicle-to-vehicle power discharge/charge device and vehicle-to-vehicle power discharge/charge method
CN110723002A (en) Mobile charging trolley
KR101466438B1 (en) A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102281649B1 (en) electric vehicle Charge report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